종자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5-07-17)

종자기능사
(2005-07-1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종자(임의구분)

1. 우량종자를 생산하는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격리재배를 통하여 이종의 혼입을 막는다.
  2. 무병지에서 채종한다.
  3. 감자의 바이러스 병을 막기 위해 평지에서 채종한다.
  4. 벼종자는 평야지 보다 분지에서 생산된 것이 임실이 좋아서 종자가치가 높다.
(정답률: 80%)
  • 감자의 바이러스 병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감자를 심으면 바이러스가 번식하여 수확량과 품질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감자의 바이러스 병을 막기 위해서는 감염되지 않은 무병지에서 채종해야 합니다. 따라서 "감자의 바이러스 병을 막기 위해 평지에서 채종한다."는 잘못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종자가 발아하기에 좋은 환경조건이 되어도 발아하지 않는 상태를 가리키는 것은?

  1. 미숙
  2. 후숙
  3. 휴면
  4. 불발아
(정답률: 80%)
  • 종자가 발아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온도, 습도, 산소 등의 환경조건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종자가 발아하기 전에는 휴면 상태에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종자가 발아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조건이 갖추어져도 발아하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종자가 자신의 생존을 위해 일시적으로 성장을 멈추고 대기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휴면"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보급종을 생산하는 포장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위탁 보급종 포장
  2. 위탁 농가 포장
  3. 채종포
  4. 위탁 채종지
(정답률: 74%)
  • 보급종을 생산하는 포장을 "채종포"라고 부릅니다. 이는 보급종을 생산하는 농가에서 생산된 채종지를 수확하여 건조한 후, 채종지를 묶어서 포장한 것입니다. 따라서 "위탁 보급종 포장"이나 "위탁 농가 포장", "위탁 채종지"는 보급종 생산과는 관련이 있지만, 직접적으로 보급종을 생산하는 포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종자의 퇴화원인이 아닌 것은?

  1. 저장양분의 고갈
  2. 분열조직의 기아
  3. 가수분해효소의 활성화
  4. 발아유도기구의 분해
(정답률: 79%)
  • 가수분해효소는 종자 내부의 저장된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 등의 유기물을 분해하여 발아에 필요한 에너지와 영양소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가수분해효소의 활성화는 오히려 발아를 촉진시켜 종자의 퇴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가수분해효소의 활성화는 종자의 퇴화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전중량(全重量)이 5g, 순씨앗 중량이 4.7g 일때의 청결율(淸潔率)로 맞는 것은?

  1. 90%
  2. 92%
  3. 94%
  4. 96%
(정답률: 73%)
  • 청결율은 순씨앗 중량 / 전중량 x 100 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4.7 / 5 x 100 = 94 이므로 정답은 "94%"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국내에서 이용하고 있는 종자소독제가 아닌 것은?

  1. 카보람
  2. 베노람
  3. 지오람
  4. 에피흄
(정답률: 73%)
  • 에피흄은 국내에서 이용하고 있는 종자소독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작물 가운데 농학상의 종자와 식물학상의 종자가 일치하는 것은?

  1. 상추
  2. 오이
  3. 당근
  4. 근대
(정답률: 47%)
  • 오이는 농학상의 종자와 식물학상의 종자가 모두 일치하는 작물입니다. 즉, 농업적으로 재배하기에 적합한 종자와 생물학적으로 정확한 종자가 동일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종자병 검정 중 항 혈청학적 검정방법에 속하는 것은?

  1. 한천 배지 검정법
  2. 무 배양 검정법
  3. 여과지 배양 검정법
  4. 효소결합항체(ELISA검정)법
(정답률: 78%)
  • 종자병은 바이러스에 의해 전염되는 질병으로, 항체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ELISA 검정법은 항체와 항원의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항체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항체 검사에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종자병 검정 중 항 혈청학적 검정방법에 속하는 것은 ELISA 검정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포장검사 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달관검사
  2. 표본검사
  3. 재관리검사
  4. 임의검사
(정답률: 56%)
  • 달관검사, 표본검사, 재관리검사는 모두 제품의 일정한 기준에 따라 검사하는 방법이지만, 임의검사는 제품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다른 방법들은 제품의 특정한 부분을 검사하는 것이지만, 임의검사는 제품 전체를 대상으로 하며, 불량률을 추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종자전염병의 수확전 방제법에 속하는 방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종자의 표면소독
  2. 감염 종자의 이물질 분리
  3. 온탕 처리
  4. 포장에서 이병된 식물체 제거
(정답률: 65%)
  • 종자전염병은 종자 내부에 감염된 병원체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이러한 감염 종자는 종자의 외부나 내부에 존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확전 방제법 중에서는 종자의 외부에 존재하는 감염 종자를 제거하기 위해 "포장에서 이병된 식물체 제거" 방법이 적합합니다. 이 방법은 수확한 종자를 포장하거나 운반하는 과정에서 이병된 식물체를 제거하여 감염 종자의 전파를 막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종자수확 작업전에 고엽제를 뿌리고 수확작업하는 채소작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고추
  2. 토마토
  3. 감자
  4. 가지
(정답률: 51%)
  • 감자는 수확 전 고엽제를 뿌리는 것이 적합한 채소작물입니다. 이는 감자가 수확 전에 노란색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뿌리는 고엽제가 뿌리와 줄기에 흡수되어 수확량과 품질을 향상시키기 때문입니다. 반면, 고추, 토마토, 가지는 수확 전 고엽제를 뿌리는 것이 오히려 역효과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종자의 건조과정에서 발아력을 저하시킬 수 있는 가장 큰 요인은?

  1. 단일
  2. 장일
  3. 저온
  4. 고온
(정답률: 79%)
  • 고온은 종자 내부의 수분을 증발시켜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발아력을 저하시키는 가장 큰 요인입니다. 고온으로 인해 종자 내부의 단백질, 효소, 핵산 등의 생물학적 활성물질이 손상되어 발아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종자의 건조과정에서는 저온하고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종자발아에 관여하는 외적조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수분
  2. 온도
  3. 유전성
(정답률: 87%)
  • 종자발아에 관여하는 외적조건으로는 광, 수분, 온도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유전성은 내적인 조건으로,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자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므로 외적조건에 속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전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식물학상의 과실이 영(潁)에 둘러 싸여 있지 않은 것은?

  1. 겉보리
  2. 귀리
(정답률: 38%)
  • 영(潁)은 중국의 한 지방으로, 주로 벼를 재배합니다. 그러나 밀, 겉보리, 귀리는 주로 다른 지역에서 재배되기 때문에 영에는 그 과실이 둘러싸여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직접발아시험을 하지 않고도 종자의 발아력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적당한 것은?

  1. 유묘판별검사법
  2. 저온발아검사법
  3. 테트라졸리움법
  4. 글루코스대사검사법
(정답률: 89%)
  • 테트라졸리움법은 종자에 테트라졸리움 염료를 뿌려서 발아력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염료는 살아있는 세포에서만 분해되어 색이 변하기 때문에, 발아하지 않은 종자는 염료가 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염료의 색 변화를 통해 발아력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벼 배유의 제일 바깥 세포층을 가리키는 것은?

  1. 호분층
  2. 왕겨
  3. 내배유
  4. 씨눈
(정답률: 78%)
  • 벼 배유의 제일 바깥 세포층은 호분층입니다. 이는 벼 배유의 외부를 보호하고 수분과 영양분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종자의 구조를 크게 3가지로 나눈 것이 아닌 것은?

  1. 배(씨눈)
  2. 근초
  3. 저장조직
  4. 종자의 외곽부
(정답률: 72%)
  • 종자의 구조를 크게 3가지로 나누는 것은 일반적으로 "배(씨눈)", "연속조직", "종자의 외곽부"로 나눕니다. 따라서 "근초"는 종자의 구조를 나누는 대표적인 분류 기준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F1 품종의 종자생산을 위해 가장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은?

  1. 인공교배
  2. 웅성불임성
  3. 자연교배
  4. 화학약품(에테폰)의 이용
(정답률: 57%)
  • 웅성불임성은 특정한 유전자를 가진 개체들끼리 교배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를 이용하면 원하는 유전자를 더욱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F1 품종의 종자생산을 위해 가장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은 웅성불임성입니다. 인공교배나 자연교배는 원하는 유전자를 고정시키기 어렵고, 화학약품의 이용은 환경오염 등 부작용이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발아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발아율은 파종된 총 종자 수에 대한 발아종자수의 비율이다.
  2. 발아세는 정해진 시일 내의 발아율을 말한다.
  3. 발아기는 대부분(80% 이상)이 발아한 날이다.
  4. 발아시는 발아한 것이 처음 나타난 날이다.
(정답률: 65%)
  • "발아기는 대부분(80% 이상)이 발아한 날이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발아기는 발아가 시작되는 날을 말하며, 발아율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발아율은 파종된 총 종자 수에 대한 발아종자수의 비율을 나타내는데, 이 비율이 높을수록 발아기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발아율이 높을수록 발아기가 빠르게 진행되어 대부분의 종자가 발아한 날이 발아기가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일반적으로 종자 저장관리에 있어서 흡습제의 재료로 가장 쉽게 많이 쓰여지고 있는 것은?

  1. 소디움크로라이드
  2. 염화칼슘
  3. 소석회
  4. 유황분말
(정답률: 90%)
  • 염화칼슘은 고습제로서 물을 매우 잘 흡수하고, 흡수한 물을 공기 중으로 방출하여 습기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종자 저장관리에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비교적 안전하고 저렴한 재료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종자 저장 시 흡습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작물육종(임의구분)

21. 다음 중 서로 다른 염색체에 존재하는 유전자간의 상호작용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동의유전자
  2. 조건유전자
  3. 복대립유전자
  4. 열성상위유전자
(정답률: 53%)
  • 복대립유전자는 서로 다른 염색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호작용이 없는 유전자입니다. 이는 한 염색체에 있는 유전자들은 서로 상호작용하여 특정 형질을 결정하는 반면, 다른 염색체에 있는 유전자들은 서로 영향을 주지 않고 독립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육종목표 중에서 경제적 특성과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1. 양질성, 다수성
  2. 조만성
  3. 생태적 적응성
  4. 내병충성
(정답률: 59%)
  • "양질성, 다수성"은 경제적 가치가 높은 육종목표 중 하나입니다. 이는 농업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높은 생산성과 수확량을 보장하는 동시에, 다양한 종류의 작물을 재배하여 작물의 다양성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농업 경제의 안정성과 지속성을 보장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방사선을 이용한 돌연변이 육종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것은?

  1. X선
  2. 중성자
  3. β선
  4. γ선
(정답률: 67%)
  • γ선은 파장이 짧고 에너지가 높아 세포 내부의 DNA 분자를 파괴하거나 변형시키는 능력이 높기 때문에 돌연변이 육종에 가장 많이 이용됩니다. X선과 β선도 돌연변이 육종에 이용되지만, γ선에 비해 파장이 길어 세포 내부로 침투하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용빈도가 낮습니다. 중성자는 에너지가 높아 세포 내부를 침투하지만, 반응성이 높아 방사선 처리 후에도 세포 내부에 남아있을 수 있어 안전성 문제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순계선발법에서 가장 효율적인 순계 선발대상은?

  1. F1
  2. 육종조작이 많은 것
  3. 재래종
  4. 도입품종
(정답률: 53%)
  • 재래종은 유전적으로 다양하고 적응력이 높아서 다양한 환경에서 재배가 가능하며, 농약과 비료를 적게 사용하여도 높은 수확량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순계선발법에서 가장 효율적인 순계 선발대상이 됩니다. 반면에 육종조작이 많은 도입품종은 유전적으로 단조화되어 있어서 환경적으로 취약하며, 농약과 비료를 많이 사용해야만 높은 수확량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선발대상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른 종(種)의 화분의 자극을 받아 난세포가 수정되지 않고 배가 발육하는 현상으로 반수체 식물을 얻을 수도 있는 것은?

  1. 위수정
  2. 단성생식
  3. 단위생식
  4. 무배생식
(정답률: 68%)
  • 위수정은 다른 종의 화분의 자극을 받아 난세포가 수정되지 않고 배가 발육하는 현상으로, 이는 반수체 식물을 얻을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다른 보기인 단성생식, 단위생식, 무배생식은 반수체 식물을 얻는 방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환경변이와 유전적변이를 구별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검정법은?

  1. 염색체검정
  2. 화분검정
  3. 식물체검정
  4. 후대검정
(정답률: 46%)
  • 환경변이와 유전적변이를 구별하기 위해서는 후대검정이 이용됩니다. 후대검정은 유전자 변이가 발생한 후 그 변이가 자손 대부분에게 나타나는지를 검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환경변이는 자손에게 일시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유전적변이는 자손에게 계속해서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후대검정이 유전적변이와 환경변이를 구별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완전 연관인 경우 조환가는 얼마인가?

  1. 100%
  2. 50%
  3. 0%
  4. 1%
(정답률: 57%)
  • 완전 연관인 경우, 두 변수는 서로 독립적이지 않으며 한 변수의 값이 다른 변수의 값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조환가는 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일대잡종 품종의 장점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수량이 많아진다.
  2. 종자 가격이 저렴하다.
  3. 균일성이 높아진다.
  4. 생육이 왕성하다.
(정답률: 67%)
  • 일대잡종 품종은 여러 종의 유전자를 섞어 만든 혼합종으로,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생육이 왕성하고, 수량이 많아지며, 균일성이 높아집니다. 그러나 종자 가격이 저렴한 이유는, 일대잡종 품종은 다양한 종의 유전자를 섞어 만들기 때문에, 특정한 품종에 비해 유전자의 조합이 불규칙하고, 일정한 특성을 보장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대잡종 품종의 종자는 일정한 특성을 보장하기 어렵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벼에서 물질생산능력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엽면적
  2. 광합성 능력
  3. 뿌리 활력
  4. 수당 영화수
(정답률: 76%)
  • 수당 영화수는 벼와 관련이 없는 용어입니다. 엽면적은 광합성을 위한 면적, 광합성 능력은 광합성 작용을 수행하는 능력, 뿌리 활력은 물과 영양분을 흡수하는 뿌리의 능력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F1 종자 Aa를 자식시키면 F2에서 유전자형 AA의 출현 비율은?

  1. 25%
  2. 50%
  3. 75%
  4. 100%
(정답률: 68%)
  • F1 종자 Aa는 A와 a 두 개의 서로 다른 유전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종자를 자식시키면 A와 a 유전자가 각각 50%의 확률로 전달됩니다. 따라서 F2에서 AA의 출현 비율은 A 유전자가 두 번 전달되어야 하므로 50% × 50% = 2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채소종자 생산에서 우수한 형질을 가진 1대잡종의 양친이 자식열세를 보였을 때 이에 대한 알맞는 방지법은?

  1. 각각의 양친 계통내에서 형매 교배한다.
  2. 1대 잡종 품종을 각 양친에 교배한다.
  3. 1대 잡종 품종을 한쪽친에만 교배한다.
  4. 새로운 조합을 작성 선발한다.
(정답률: 45%)
  • 1대 잡종의 양친이 우수한 형질을 가진 자식열세를 보인다면, 이는 각각의 양친이 다른 유전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각각의 양친 계통내에서 형매 교배를 하면,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면서도 우수한 형질을 가진 자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한쪽친에만 교배하는 것보다 더욱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식물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웅성불임성이나 자가불화합성은 다음 중 어느 격리기구에 속하는가?

  1. 지리적 격리
  2. 환경적 격리
  3. 자연적 격리
  4. 생식적 격리
(정답률: 83%)
  • 정답: 생식적 격리

    식물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웅성불임성이나 자가불화합성은 생식적 격리에 해당합니다. 이는 서로 다른 종의 개체들이 교배를 하더라도 생식에 실패하거나 새로운 후대가 생산되지 않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생식적 격리는 종의 분화와 진화에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보족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스위트피의 흰꽃이 피는 2품종을 교잡하면 F1은 자색꽃이 피는데, F2에서 자색꽃과 흰꽃이 분리하는 비율은?

  1. 15 : 1
  2. 6 : 1
  3. 9 : 7
  4. 13 : 3
(정답률: 63%)
  • 보족유전자는 두 개의 대립유전자 중에서 우세한 특성을 나타내는 유전자입니다. 따라서, 스위트피의 흰꽃이 피는 2품종을 교잡하면 F1은 보족유전자를 가진 모든 개체들이 자색꽃을 가지게 됩니다.

    이제 F1 개체들을 서로 교잡하면, 보족유전자를 가진 개체들은 자색꽃을 가지게 되고, 보족유전자를 가지지 않은 개체들은 흰꽃을 가지게 됩니다.

    이러한 교잡 결과를 푸니넷 규칙(Punnett square)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 | Bb | bb |
    |---|---|---|
    | Bb | BB/Bb (자색) | Bb/bb (자색) |
    | bb | Bb/bb (자색) | bb/bb (흰색) |

    위의 표에서, B는 보족유전자를 나타내고 b는 보족유전자를 가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F2에서 자색꽃을 가진 개체들은 BB/Bb와 Bb/bb로부터 나올 수 있으며, 흰꽃을 가진 개체들은 bb/bb에서만 나올 수 있습니다.

    이를 비율로 나타내면, 자색꽃 : 흰꽃 = 9 : 3 : 3 : 1이 됩니다. 여기서 자색꽃을 가진 개체들 중에서 보족유전자를 가진 개체들의 비율은 9 : 3이므로, 보족유전자를 가진 개체들이 자색꽃을 가질 확률은 9/16이 됩니다.

    따라서, 자색꽃과 흰꽃이 분리하는 비율은 9 : 7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검정 교잡(Test cross)의 형식인 것은?

  1. Rr × rr
  2. Rr × Rr
  3. RR × Rr
  4. RR × rr
(정답률: 48%)
  • 검정 교잡(Test cross)은 유전자형을 알아내기 위해 특정 개체와 순수 개체를 교배시키는 실험이다. 이 때, 순수 개체는 대문자로 표기되는 순수한 유전자형을 가진 개체를 의미하며, 특정 개체는 대소문자 조합으로 표기되는 혼합된 유전자형을 가진 개체를 의미한다.

    따라서, "Rr × rr"은 검정 교잡의 형식이다. 이는 Rr 유전자형을 가진 특정 개체와 rr 유전자형을 가진 순수 개체를 교배시킨 것이다. 이를 통해 특정 개체의 유전자형이 Rr인지 rr인지를 알아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영양번식을 하는 작물에서 주로 이용되는 조합능력 검정 방법은?

  1. 3계 교배 검정법
  2. 다교배 검정법
  3. Top 교배 검정법
  4. 단교배 검정법
(정답률: 49%)
  • 영양번식을 하는 작물에서는 다양한 유전자가 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다교배 검정법이 주로 이용됩니다. 다교배 검정법은 여러 개체들을 모두 교배시켜서 그 후손들의 형질을 관찰하고 분석하여 유전적 다양성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영양번식 작물에서는 다양한 유전자를 조합하기 위해 다교배 검정법이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여교잡(Backcross) 육종법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여러 가지 형질을 동시에 개량하기 어렵다.
  2. 재래종의 내병성 유전자를 이병성 장려품종에 도입하기 쉽다.
  3. 복합저항성 품종을 육성하는데 비 능율적이다.
  4. 복합유전자를 집적하는데 유리하다.
(정답률: 48%)
  • 답: "복합저항성 품종을 육성하는데 비 능율적이다." 이유는 여교잡 육종법은 한 번에 하나의 형질만 개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여러 형질을 동시에 개량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복합저항성 품종은 여러 가지 내성을 가진 품종을 결합한 것이므로, 여러 형질을 동시에 개량해야 합니다. 이에 비해, 여러 개의 유전자를 동시에 이식할 수 있는 다른 육종법들이 더욱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신품종이나 신종의 구비 조건이 아닌 것은?

  1. 우수성
  2. 균등성
  3. 불변성
  4. 영속성
(정답률: 71%)
  • 불변성은 새로운 종류나 조건이 추가되어도 변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신품종이나 신종의 구비 조건이 아닌 것은 불변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원예작물 채종포의 구비조건 중 적당하지 못한 것은?

  1. 다른 교잡원과 멀리 떨어진 장소
  2. 개화기나 성숙기에 비가 적은 장소
  3. 토양이 비옥하고 병해충 발생이 적은 장소
  4. 4계절이 뚜렷한 장소
(정답률: 61%)
  • 4계절이 뚜렷한 장소는 원예작물 채종포의 구비조건 중 적당하지 못한 것입니다. 이는 원예작물이 일정한 기온과 습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계절 변화가 큰 장소에서는 적합한 조건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원예작물 채종포를 구비할 때는 4계절이 뚜렷하지 않은 장소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품종의 퇴화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근교약세
  2. 돌연변이
  3. 자연교잡
  4. 잡종강세
(정답률: 55%)
  • 잡종강세는 다양한 품종의 교배로 인해 유전적 다양성이 증가하고, 적응력이 높아지는 반면에 근교약세는 특정 지역에서 특정 품종만이 재배되어 유전적 다양성이 감소하고, 적응력이 약해지는 것이 원인입니다. 돌연변이는 유전자 변이로 인한 것이며, 자연교잡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교배로 인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꽃이 피지 않고도 내부에서 수분과 수정이 완료되는 것은?

  1. 장벽수정(墻壁授精)
  2. 폐화수정(閉花授精)
  3. 이형예(異型蘂)현상
  4. 자웅이숙(雌雄異熟)
(정답률: 82%)
  • 꽃이 피지 않고도 내부에서 수분과 수정이 완료되는 것은 폐화수정(閉花授精) 때문입니다. 폐화수정은 꽃이 개화하기 전에 수술로 꽃받침을 제거하여 꽃받침 내부에서 수분과 수정이 완료되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꽃이 개화하지 않아도 수술로 수분과 수정을 공급받아 씨앗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작물(임의구분)

41. 감자의 휴면타파를 위해 사용하는 생장조절 물질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옥신
  2. 시토키닌
  3. 지베렐린
  4. 아브시스산
(정답률: 86%)
  • 감자의 휴면타파를 위해서는 생장을 촉진시켜야 합니다. 이때 가장 적합한 생장조절 물질은 지베렐린입니다. 지베렐린은 식물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호르몬으로, 씨앗의 발아를 촉진시키고 꽃과 열매의 성장을 촉진시킵니다. 따라서 감자의 휴면타파를 위해서는 지베렐린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사질논에 보리를 답리작으로 재배하고자 할 경우 다음 중 어떤 기계파종방법이 가장 적당한가?

  1. 휴립광산파
  2. 평면세조파
  3. 휴립세조파
  4. 부분경운파
(정답률: 47%)
  • 사질논은 경사가 심하지 않은 평지이므로, 평면세조파가 가장 적합합니다. 평면세조파는 평지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기계파종 방법으로, 씨앗을 일정한 간격으로 뿌리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씨앗을 균일하게 분포시키고, 작물의 성장을 도와 수확량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일반적으로 볍씨를 소금물에 담그는 목적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깜부기병을 방제하기 위해서
  2. 발아를 빠르게 하기 위해서
  3. 도열병을 예방하기 위해서
  4. 충실한 종자를 고르기 위해서
(정답률: 75%)
  • 볍씨를 소금물에 담그는 목적은 충실한 종자를 고르기 위해서입니다. 소금물에 담그면 가라앉지 않는 부유성 불량종자들이 떠오르게 되어 이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볍씨를 소금물에 담그는 것은 좋은 품질의 종자를 선택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작물 중 내병성품종 육성의 경우나 특수한 형태적 특성에서와 같이 목적하는 형질이 쉽게 감정되는 형질에 대한 육종에 적용되는 육종법은?

  1. 계통 육종법
  2. 여교잡 육종법
  3. 반수체 육종법
  4. 도입 육종법
(정답률: 58%)
  • 여교잡 육종법은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순종계통을 교배하여 새로운 유전자 조합을 만들어내는 육종법입니다. 이 방법은 목적하는 형질이 쉽게 감정되는 형질에 대한 육종에 적용되며, 유전적 다양성을 높이고 유전자의 재조합을 유도하여 새로운 형질을 발현시키는 데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내병성품종 육성이나 특수한 형태적 특성에서와 같이 목적하는 형질이 쉽게 감정되는 형질에 대한 육종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배젖종자에 속하는 것은?

  1. 아주까리
  2. 유채
(정답률: 65%)
  • 벼는 배즙종자에 속하는 식물로, 씨앗 안에 배즙이 들어있어서 물에 담가두면 씨앗이 떠오르는 특징이 있습니다. 즉, 벼는 배즙종자에 속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작물 생육에 미치는 주요 기상 요소가 아닌 것은?

  1. 바람
  2. 온도
  3. 산소
(정답률: 45%)
  • 산소는 작물 생육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작물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광합성을 하여 산소를 생산합니다. 따라서 산소는 작물 생육에 필요한 원소 중 하나이지만, 직접적인 기상 요소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토양이 너무 산성화되면 이용도가 떨어지는 양분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아연
  2. 망간
  3. 알루미늄
  4. 인산
(정답률: 68%)
  • 토양이 너무 산성화되면 pH가 낮아지게 되어 인산의 이용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인산은 토양의 pH가 적절할 때 가장 잘 이용되는 양분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토양의 pH를 조절하여 인산의 이용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재배시 석회를 시용하지 않아도 되는 작물은?

  1. 시금치
  2. 보리
(정답률: 50%)
  • 벼는 석회를 시용하지 않아도 높은 수확량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벼는 지방산 함량이 낮아서 산성 토양에서도 재배가 가능하며, 또한 벼는 뿌리가 깊게 자라기 때문에 지하수를 이용하여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벼는 석회를 시용하지 않아도 재배가 가능한 작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일반적인 쌀알의 외형적 발달과정으로 옳은 것은?

  1. 두께 → 나비 → 길이
  2. 나비 → 길이 → 두께
  3. 나비 → 두께 → 길이
  4. 길이 → 나비 → 두께
(정답률: 82%)
  • 정답은 "길이 → 나비 → 두께"입니다.

    쌀알은 먼저 길이가 늘어나면서 발아가 시작됩니다. 이후에는 나비 모양으로 발달하면서 쌀알의 크기가 커지고, 마지막으로 두께가 증가합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쌀알의 발달 과정은 길이 → 나비 → 두께 순서로 진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일반 작물의 분류상 성격이 다른 것은?

  1. 맥류
  2. 잡곡
  3. 두류
  4. 유료작물
(정답률: 80%)
  • 유료작물은 상업적 가치가 높은 작물로서 경제적인 목적으로 재배되는 작물이며, 다른 작물들은 주로 식량 또는 축산용으로 재배되는 일반적인 작물들이다. 따라서 유료작물은 다른 작물들과는 목적과 성격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농약살포시 일반적인 주의사항으로 가장 부적당한 것은?

  1. 약을 뿌릴 때에는 마스크, 보안경, 고무장갑 및 방제복 등을 착용하고 바람을 등지고 뿌린다.
  2. 살포전·후 살포기를 반드시 씻는다.
  3. 사용하는 제품은 농약이므로 안전한 용기에 옮겨 보관한다.
  4. 안전사용기준과 취급제한기준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정답률: 75%)
  • "사용하는 제품은 농약이므로 안전한 용기에 옮겨 보관한다."가 가장 부적당한 것이다. 이유는 농약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농약 제조업체에서 제공하는 원래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농약 용기는 농약의 종류와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제공되며, 이 용기는 농약의 안전한 보관과 운반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농약을 안전하게 보관하려면 농약 용기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밭에 주로 발생하는 잡초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방동사니
  2. 바랭이
  3. 쇠털골
  4. 물달개비
(정답률: 59%)
  • 바랭이는 밭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잡초 중 하나입니다. 이는 바랭이가 빠르게 번식하며, 뿌리가 얕아서 뽑기 쉽기 때문입니다. 또한 바랭이는 높이가 낮아서 작물의 성장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밭에서 가장 적당한 잡초로 바랭이가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일반적으로 1년생 잡초의 번식은 주로 무엇에 의해 번식하는가?

  1. 땅속 줄기
  2. 덩이 줄기
  3. 종자
  4. 광엽
(정답률: 46%)
  • 1년생 잡초는 대부분 종자에 의해 번식합니다. 이는 잡초가 한 해 동안 자라고 번식하기 때문에, 그 해 안에 종자를 만들어 다음해에 번식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종자는 잡초의 생존과 번식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봄 화단을 장식하는 1, 2년 초화로 옳은 것은?

  1. 모란, 작약
  2. 팬지, 데이지
  3. 국화, 옥잠화
  4. 샐비어, 매리골드
(정답률: 73%)
  • 봄 화단은 밝고 화사한 분위기를 연출해야 하므로, 색감이 화려하고 귀여운 느낌을 주는 꽃들이 적합합니다. 이에 따라 팬지와 데이지가 적합한 초화로 선택됩니다. 모란과 작약은 봄 화단에 어울리지 않는 무거운 느낌의 꽃이며, 국화와 옥잠화는 봄보다는 가을에 어울리는 꽃입니다. 샐비어와 매리골드는 봄 화단에 어울리는 꽃이지만, 팬지와 데이지보다는 색감이 단조롭고 화려하지 않아 선택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중복 수정을 하는 작물 중 웅핵이 극핵과 결합하여 만들어지는 씨앗의 기관은?

  1. 씨눈
  2. 배젖
  3. 줄기
  4. 뿌리
(정답률: 81%)
  • 웅핵과 극핵이 결합하여 만들어지는 씨앗의 기관은 배젖입니다. 이는 웅핵과 극핵이 합체하여 배젖이라는 구조물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씨앗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인 씨눈, 줄기, 뿌리는 씨앗의 형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절화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저장방법으로 올바른 것은?

  1. 온도를 높여주고 건조하게 저장한다.
  2. 온도를 낮게 해 주고 습하게 저장한다.
  3. 온도와 습도를 모두 높여주어 저장한다.
  4. 온도와 습도를 모두 낮게 해 주어 저장한다.
(정답률: 47%)
  • 절화는 습기를 좋아하므로 습하게 저장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온도가 높으면 꽃잎이 빨리 시들어지므로 온도를 낮게 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저장방법은 "온도를 낮게 해 주고 습하게 저장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인류의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작물 재배 기술을 발전시킨다.
  2. 새로운 품종을 개발한다.
  3. 농업 정책을 활성화 한다.
  4. 농산물을 저렴하게 수입하고, 농토를 공업단지로 전용을 확대한다.
(정답률: 95%)
  • 농산물을 저렴하게 수입하고, 농토를 공업단지로 전용을 확대하는 것은 오히려 농업 생산성을 낮추고 농지를 파괴하여 식량문제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는 인류의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방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씨감자를 준비할 때 관련된 내용으로 가장 부적당한 것은?

  1. 바이러스나 다른 병에 감염되지 않도록 한다.
  2. 싹이 터 있는 것으로 한다.
  3. 일반적으로 10a당 150 ~ 200kg정도로 준비한다.
  4. 굵은 것은 3 ~ 4조각으로 잘라서 이용한다.
(정답률: 76%)
  • 정답: "일반적으로 10a당 150 ~ 200kg정도로 준비한다."

    이유: 씨감자를 준비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양은 지역과 재배 방법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양을 제시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10a당 150 ~ 200kg정도로 준비한다."는 부적절한 내용입니다. 반면에 "싹이 터 있는 것으로 한다."는 씨감자가 싹이 트기 전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는 내용으로, 씨감자가 싹이 트면 더 이상 씨감자로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또한, 바이러스나 다른 병에 감염되지 않도록 하는 것과 굵은 것은 3 ~ 4조각으로 잘라서 이용하는 것은 씨감자를 안전하게 사용하고, 맛과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가을보리나 밀을 봄에 파종하였다. 개화 출수와 관련된 사항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영양생장만 계속하고 이삭이 형성되지 않는다.
  2. 정상적으로 개화 출수한다.
  3. 다 자라지 못하고 개화한다.
  4. 개화는 하나 출수하지 않는다.
(정답률: 75%)
  • 정답: "영양생장만 계속하고 이삭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유: 가을보리나 밀은 출수기가 봄이 아니라 가을에 오기 때문에 봄에 파종하면 출수기에 영양생장만 계속하고 이삭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는 출수기가 오기 전에 식물이 너무 많은 영양분을 소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을보리나 밀은 가을에 파종하는 것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은 작물 중 콩의 경우 10a당 표준 시비량은 4-7-6(㎏)정도 인데 여기서 7㎏이 나타내는 것은?

  1. 인산
  2. 질소
  3. 규산
  4. 칼륨
(정답률: 72%)
  • 7㎏은 콩 생산에 필요한 질소(N)의 양을 나타냅니다. 콩은 질소를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시비량에서 질소의 양이 높게 설정됩니다. 인산은 콩 생산에도 필요하지만, 시비량에서는 질소보다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으로 설정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인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