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3-30)

방사선비파괴검사기능사
(2003-03-3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방사선투과시험법

1. 초음파탐상시험시 다음 중 특별점검이 요구되는 시기가 아닌 것은?

  1. 장비에 충격을 받았다고 생각될 때
  2. 탐촉차 케이블을 교환했을 때
  3. 일일작업 완료후 장비를 철수할 때
  4. 특수환경에서 사용했을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일일작업 완료후 장비를 철수할 때는 이미 작업이 완료되어 장비가 사용되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특별점검이 요구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다른 보기들은 장비에 충격을 받았거나 탐촉차 케이블을 교환한 경우에는 장비의 상태가 변할 수 있으므로 특별점검이 필요하며, 특수환경에서 사용한 경우에는 환경에 따라 장비의 상태가 변할 수 있으므로 특별점검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형광침투탐상시험시 다음 중 침투제를 적용할 때의 조건으로 올바른 것은?

  1. 밝은 실내에서 적용한다.
  2. 검사체의 표면온도는 -4°F∼175°F에서 적용한다.
  3. 현상제를 적용한 후 즉시 적용한다.
  4. 어두운 지역에서 자외선조사등을 켜고 적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형광침투탐상시험은 침투제가 검사체 내부로 침투되어야 하므로, 침투제가 검사체 표면에서 빠르게 증발되지 않도록 어두운 지역에서 자외선조사등을 켜고 적용해야 합니다. 이는 자외선이 침투제를 활성화시켜 침투력을 높여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어두운 지역에서 자외선조사등을 켜고 적용한다."가 올바른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공업용 방사선투과검사에 주로 많이 사용되는 선원들은?

  1. 알파선, 중성자선
  2. 엑스선, 알파선
  3. 베타선, 열중성자선
  4. 엑스선, 감마선
(정답률: 알수없음)
  • 공업용 방사선투과검사에서는 물체 내부를 살펴보기 위해 물체에 방사선을 쏘아 투과시키고, 그 방사선이 물체 내부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신호를 측정하여 물체 내부의 결함이나 손상 등을 파악합니다. 이때, 엑스선과 감마선은 물체를 투과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공업용 방사선투과검사에 주로 사용됩니다. 알파선은 물체를 투과하지 못하고 표면에서 반사되기 때문에 사용이 제한적이며, 베타선과 열중성자선은 엑스선과 감마선에 비해 투과능력이 낮아서 사용이 제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서로 다른 2개의 X선발생장치에서 관전류, 관전압 및 측정 위치가 동일하여도 선질 및 선량율이 다르게 되는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관전압 발생 방법
  2. X선관내에서의 흡수차이
  3. 관전압의 측정오차
  4. 측정장치의 오차
(정답률: 알수없음)
  • 측정장치의 오차는 측정된 값을 실제 값과 다르게 나타내는 오차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동일한 조건에서 측정된 값이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 이는 측정장치의 오차 때문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측정장치의 오차는 서로 다른 X선발생장치에서도 선질 및 선량율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원인으로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방사선투과사진의 상질과 관계가 없는 인자는?

  1. 필름의 종류
  2. 선원의 크기
  3. 산란 방사선
  4. 노출 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투과사진에서 상질과 관계가 없는 인자는 "노출 시간"입니다. 이는 노출 시간이 길어질수록 방사선의 양이 증가하므로, 상질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필름의 종류, 선원의 크기, 산란 방사선은 방사선투과사진에서 상질과 관련이 있는 인자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X선 발생장치의 주요 구성부가 아닌 것은?

  1. X-선관
  2. 선원용기
  3. 고전압 발생기
  4. 제어기
(정답률: 알수없음)
  • X-선 발생장치의 주요 구성부는 X-선관, 고전압 발생기, 제어기입니다. 선원용기는 X-선 발생장치에서 사용되는 방사선을 차단하고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보호용기이므로, 주요 구성부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방사선 중 생물학적 효과비가 가장 큰 것은?

  1. 엑스선
  2. 알파선
  3. 감마선
  4. 중성자선
(정답률: 알수없음)
  • 알파선은 매우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으며, 매우 무거운 입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알파선은 다른 방사선에 비해 생물학적 효과비가 가장 큽니다. 알파선은 생체 내에서 쉽게 흡수되어 조직 내부에 침투하며, 세포 내부에 직접적인 손상을 일으키기 때문에 세포 손상 및 돌연변이 등의 생물학적 효과가 크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알파선은 인체에 매우 위험한 방사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감마선투과시험 장비에 사용하는 동위원소의 특성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137Cs의 γ선 에너지는 1.33 MeV이다.
  2. 60Co 선원 1Ci는 1m 거리에서 0.37R/h이다.
  3. 192Ir의 γ선 존재비가 가장 큰 γ선은 0.31MeV이다.
  4. 170Tm은 β방출체로서 투과시험에는 이용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192Ir의 γ선 존재비가 가장 큰 γ선은 0.31MeV이다. 이는 192Ir의 원자핵이 에너지를 방출할 때, 이 에너지가 0.31MeV인 γ선으로 방출되는 비율이 가장 높기 때문이다. 이는 감마선투과시험에서 이용되는 장비에서 적합한 에너지 범위에 해당하며, 높은 존재비로 인해 검출 능력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X선 발생장치의 제어기를 만질 때 감전되었다. 다음 중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접지의 불안전
  2. X선관의 파손
  3. 전원과 접지단자간의 절연불량
  4. 관전압 측정회로의 불량
(정답률: 알수없음)
  • X선 발생장치의 제어기를 만질 때 감전된 경우, X선관의 파손이 원인일 수 없습니다. X선관의 파손은 X선 발생장치의 작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X선관의 파손은 이 문제와는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전류 5㎃, 노출시간 12분에서 가장 좋은 사진을 얻었다. 다른 조건은 바꾸지 않고 전류만 10㎃로 바꾸었다면, 동일한 사진을 얻기 위해 적용해야 할 노출시간은?

  1. 3분
  2. 6분
  3. 12분
  4. 24분
(정답률: 알수없음)
  • 전류가 10㎃로 바뀌면 노출시간과의 관계는 역수 관계이므로, 노출시간은 5/10 = 1/2배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12분 × 1/2 = 6분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방사선 투과사진이 구비할 조건으로서 다음 중 확인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시험부의 사진농도
  2. 투과도계의 농도
  3. 계조계의 값
  4. 투과도계 식별 최소 선경
(정답률: 알수없음)
  • 투과도계의 농도는 방사선 투과사진을 구비할 조건으로 확인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투과도계의 농도란, 투과도계에 사용되는 액체의 농도를 의미하는데, 이는 방사선 투과사진의 품질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투과도계의 농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방사선투과시험시 필름 현상처리액중 강알카리성인 것은?

  1. 현상액
  2. 정지액
  3. 정착액
  4. 수세액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투과시험에서 필름은 빛을 받아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이 이미지를 현상액에 담아 필름을 현상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강알카리성인 현상액이 필요합니다. 이는 필름에 노출된 실버할라이드를 화학적으로 변화시켜 이미지를 형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현상처리 과정에서 기인된 인공 결함이 아닌 것은?

  1. 파이프(pipe)
  2. 반점(spotting)
  3. 주름(frilling)
  4. 오염 물질
(정답률: 알수없음)
  • 파이프는 제조 과정에서 생긴 결함이 아니라 설치나 운영 중에 발생하는 결함으로 인공 결함이 아닙니다. 반면에 반점, 주름, 오염 물질은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공 결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방사선투과시험을 이용하여 결함깊이를 측정하는 방법 중 파라렉스법을 사용할 때 그림과 같은 경우 결함깊이를 구하기 위한 D값(필름면으로부터 결함까지의 거리)을 구하는 계산 공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D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D = (L1 x L2) / (L1 + L2)

    여기서 L1은 결함과 필름면 사이의 거리, L2는 결함과 검출기 사이의 거리입니다.

    그림에서 L1과 L2는 모두 주어져 있으므로, D값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D = (10 x 20) / (10 + 20) = 6.67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D값은 결함깊이를 측정하는 중요한 값으로, 파라렉스법에서 사용되는 공식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방사선 투과사진상에 새발자국 모양의 무늬가 나타났다. 이의 원인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과노출 및 과현상
  2. 정전기 현상
  3. 촬영전에 광노출 현상
  4. 현상전 정착액이 국부적으로 묻었을 때 생기는 현상
(정답률: 알수없음)
  • 정전기 현상은 방사선 촬영 시에 발생할 수 있는 현상으로, 촬영 대상과 촬영 장비 사이에 정전기가 발생하여 방사선이 이를 따라 흐르면서 새발자국 모양의 무늬가 나타납니다. 이는 촬영 전에 대상과 장비를 지지고 볶는 등의 방법으로 정전기를 제거하거나, 촬영 시에 방전기를 사용하여 방전시키는 등의 대책을 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방사선 투과사진의 두 영역사이의 농도차로 정의되는 콘트라스트는 다음 중 무엇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

  1. 검사체와 필름 자체
  2. 검사체와 필름 접촉 상태
  3. 검사체와 기하학적 불선명도
  4. 필름자체와 선원.필름간 거리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 투과사진에서 콘트라스트는 검사체와 필름 자체의 물리적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검사체의 조직 밀도나 원자 번호, 두께 등이 콘트라스트에 영향을 미치며, 필름 자체의 민감도와 해상도도 콘트라스트에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검사체와 필름 자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콘트라스트를 얻을 수 있도록 조절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X선 발생장치의 올바른 사용법으로 틀린 것은?

  1. 사용전에 에이징을 한다.
  2. 야외 사용시에는 접지를 하지 않는다.
  3. 보호 장치의 작동시에는 그 원인 규명을 한다.
  4. 플러그를 깨끗이 유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야외 사용시에는 접지를 하지 않는다."가 올바른 사용법이 아닌 이유는, 야외에서는 지면과의 접지가 불안정하고 전기적인 위험이 높기 때문에 접지를 하지 않으면 안전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야외에서도 접지를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50Ci Co-60 선원에서 20m 지점의 시간당 선량률은? (단, Co-60의 상수(RHM값)는 1.32이다.)

  1. 0.165R/h
  2. 0.243R/h
  3. 0.423R/h
  4. 0.623R/h
(정답률: 알수없음)
  • Co-60의 상수(RHM값)가 1.32이므로, 50Ci의 Co-60 선원에서 20m 지점의 시간당 선량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시간당 선량률 = (상수 × 방사선 선량률) ÷ 거리의 제곱
    = (1.32 × 50Ci) ÷ (20m)²
    = 0.165R/h

    따라서, 정답은 "0.165R/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비파괴검사를 하는 이유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은?

  1. 원제품을 평가하기 위하여
  2. 사용중에 생기는 결함을 찾기 위하여
  3. 용접후에 생기는 결함을 찾기 위하여
  4. 재료를 알맞게 가공하기 위하여
(정답률: 알수없음)
  • 재료를 알맞게 가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재료의 물성과 특성을 파악해야 하며, 이를 위해 비파괴검사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재료를 알맞게 가공하기 위하여"는 비파괴검사를 하는 이유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방사선투과시험시 투과도계의 역할은?

  1. 필름의 밀도 측정
  2. 부위의 불연속부 크기 측정
  3. 필름 콘트라스트의 양 측정
  4. 방사선투과사진의 상질 측정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투과시험에서 투과도계는 방사선투과사진의 상질을 측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투과된 방사선의 양과 밀도를 측정하여 이미지의 명료도와 선명도를 평가하고,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방사선투과사진의 상질 측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방사선안전관리 관련규격

21. X-선 발생장치 구입시 첨부된 노출도표는 표준노출도표이다. 이는 어떻게 사용되어야 하는가?

  1.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2. 표준농도계와 차이가 없으면 그대로 사용된다.
  3. 현장조건에 맞춰서 새로 만들어 사용되어야 한다.
  4. 표준노출도표이므로 5년간은 그대로 사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X-선 발생장치의 노출도표는 표준노출도표이므로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사용 가능하지만, 현장 조건에 따라 다른 노출량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 조건에 맞춰서 새로운 노출도표를 만들어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표면흠의 비파괴검사법으로 현재 실용화되지 않는 것은?

  1. 침투탐상시험법
  2. 와전류탐상시험법
  3. 자분탐상시험법
  4. 중성자투과시험법
(정답률: 알수없음)
  • 중성자투과시험법은 현재 실용화되지 않은 비파괴검사법입니다. 이는 중성자를 이용하여 물질 내부를 조사하는 방법으로, 중성자가 물질과 상호작용하면서 발생하는 반응을 측정하여 물질 내부의 결함이나 구조를 파악합니다. 하지만 중성자를 발생시키는 장비가 크고 비용이 많이 들어가며, 중성자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현재까지는 실용화되지 않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방사선 투과사진을 얻기 위해 촬영이 끝난 필름을 처리하는 절차로 옳은 것은?

  1. 현상 → 정착 → 수세 → 정지 → 건조
  2. 현상 → 수세 → 정지 → 정착 → 건조
  3. 현상 → 정지 → 수세 → 정착 → 건조
  4. 현상 → 정지 → 정착 → 수세 → 건조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 투과사진을 얻기 위해 촬영된 필름은 현상액에 담겨 현상되어야 합니다. 현상 후에는 필름에 남아있는 현상액을 제거하기 위해 정지액에 담겨 정지되어야 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필름 표면에 남아있는 물방울을 제거하기 위해 수세를 해야 합니다. 이후에는 필름의 이미지를 고정시키기 위해 정착액에 담겨 정착되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건조를 통해 필름을 완전히 마무리합니다. 따라서 "현상 → 정지 → 정착 → 수세 → 건조"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알루미늄합금의 재질을 판별하거나 열처리 상태를 판별해 낼 수 있는 검사방법은?

  1. 와전류탐상검사
  2. 중성자 투과검사
  3. 적외선 검사
  4. 스트레인측정
(정답률: 알수없음)
  • 알루미늄합금은 전기전도성이 높은 특징이 있어, 와전류탐상검사를 통해 판별할 수 있습니다. 와전류탐상검사는 전류를 흘려보내어 불량부위에서 전류가 끊어지는 현상을 감지하여 불량부위를 찾아내는 검사 방법입니다. 이 때, 알루미늄합금은 전류를 잘 통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불량부위에서 전류가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알루미늄합금의 재질을 판별하거나 열처리 상태를 판별해 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미소 두께차(△T)에 대응하는 투과사진 콘트라스트(△D)를 나타내는 아래 기본식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두께 T가 증가하면 농도 D가 감소한다.
  2. 두께차(△T)가 작은 범위에서, 투과사진 콘트라스트 |△D|는 |△T|에 반비례한다.
  3. 양변에 환산계수 0.693(=1n2)가 상수로 주어져야 한다.
  4. 일정 두께차 |△T|에 대한 투과사진 콘트라스트|ΔD|를 작게하기 위해서는 r와 μ를 크게하고, n을 작게하는 촬영조건이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두께 T가 증가하면 농도 D가 감소하는 이유는, 물질이 더 많아지면 광선이 흡수되는 양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두께가 증가하면 광선이 흡수되는 양이 많아져서 농도가 감소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두께차(△T)가 작은 범위에서, 투과사진 콘트라스트 |△D|는 |△T|에 반비례하게 됩니다. 또한, 환산계수 0.693(=1n2)가 상수로 주어져야 하는 이유는, 이는 물질의 반감측광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물질의 특성에 따라 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일정 두께차 |△T|에 대한 투과사진 콘트라스트|ΔD|를 작게하기 위해서는 r(물질의 밀도), μ(물질의 흡수계수), n(촬영환경)을 조절하여 r와 μ를 크게하고, n을 작게하는 촬영조건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KS B 0845에서 A급 상질의 투과사진 농도 범위에 해당하는 것은?

  1. 1.0 ∼ 3.5
  2. 1.0 ∼ 3.0
  3. 1.3 ∼ 4.0
  4. 1.8 ∼ 4.0
(정답률: 알수없음)
  • KS B 0845에서 A급 상질의 투과사진 농도 범위는 1.3 ~ 4.0 입니다. 이유는 KS B 0845에서 A급 상질은 미세한 결함이나 흠집이 거의 없는 최상급의 상질로 분류되며, 이 상질의 투과사진 농도 범위는 1.3 ~ 4.0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방사선 안전관리의 목적과 관계가 적은 것은?

  1. 방사성 물질 제조시설의 입지조건 선택
  2. 방사선 차폐 설계
  3. 방사선 측정기의 교정
  4.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
(정답률: 알수없음)
  •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은 방사선 안전관리의 목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방사선 안전관리는 방사선을 사용하는 시설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방사선의 위험을 최소화하고, 인체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입니다. 원자력 발전소의 건설은 에너지 생산을 위한 것으로, 방사선 안전관리와는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외부방사선피폭 방어의 세가지 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방사선강도는 거리의 역제곱 법칙에 의해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성질을 이용하는 방법
  2. 방사선이 피폭되는 양은 시간에 비례하므로 피폭되는 시간을 줄이는 방법
  3. 방사선은 거리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성질을 이용하는 방법
  4. 방사선은 차폐체내에서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는 법칙을 이용하는 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방사선은 거리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성질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이유는 방사선의 강도는 거리의 역제곱 법칙에 따라 멀어질수록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방사선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은 곳에서 멀리 떨어져 있거나, 방사선원을 차단할 수 있는 장애물을 이용하여 거리를 늘리는 것이 방사선 방어에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외부방사선 피폭의 방어 3대 원칙은?

  1. 시간, 거리, 강도
  2. 차폐, 시간, 거리
  3. 강도, 차폐, 시간
  4. 거리, 강도, 차폐
(정답률: 알수없음)
  • 외부방사선 피폭의 방어 3대 원칙은 "차폐, 시간, 거리" 입니다. 이는 방사선을 막는 물질로 차폐를 하거나, 방사선에 노출되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방사선원으로부터 최대한 멀리 떨어져서 노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어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강도는 방사선의 세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방어 방법 중 하나이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서베이메터의 눈금 지시침이 5.5mR/h에 있고, 배율 조정 손잡이는 X10 에 놓여 있었다. 이 때의 방사선량은?

  1. 0.55R/h
  2. 5.5mR/h
  3. 55mR/h
  4. 5.5R/h
(정답률: 알수없음)
  • 서베이메터의 눈금 지시침이 5.5mR/h에 있으므로, 이는 0.0055R/h를 의미합니다. 배율 조정 손잡이가 X10에 놓여 있으므로, 이 값을 10배 해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0.0055R/h x 10 = 0.055R/h가 됩니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5.5R/h"와 일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방사선 피폭에 있어서 공중의 허용 피폭선량을 작업인의 허용 피폭선량보다 낮게 한정하는 이유로서 적합치 않은 것은?

  1. 유아, 미성년자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2. 측정 및 감시, 감독을 받고 있지 않으므로
  3. 피폭에 의한 직접적인 이익이 없으므로
  4. 피폭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므로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 피폭에 있어서 공중의 허용 피폭선량을 작업인의 허용 피폭선량보다 낮게 한정하는 이유는 작업인은 방사선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직접적인 이익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공중은 작업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이익이 없습니다. 따라서 공중의 허용 피폭선량을 작업인의 허용 피폭선량보다 낮게 한정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피폭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으므로"는 적합치 않은 이유입니다. 이유는 방사선 피폭은 개인의 선택이 아닌 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개인이 피폭을 선택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대통령령이 정하는 방사선의 정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1만 전자볼트이상의 에너지를 가진 전자선
  2. 알파선.중양자선.양자선.베타선 기타 중하전입자선
  3. 중성자선
  4. 감마선 및 엑스선
(정답률: 알수없음)
  • "1만 전자볼트 이상의 에너지를 가진 전자선"은 방사선의 일종인 베타선에 해당됩니다. 이유는 베타선은 전자를 방출하여 발생하는 전자선으로, 전자의 에너지가 일정 수준 이상일 때만 방사선으로 분류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만 전자볼트 이상의 에너지를 가진 전자선은 방사선의 일종인 베타선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KS B 0845에 의해 검출된 결함이 제3종 결함인 경우의 분류는?

  1. 1류로 한다.
  2. 2류로 한다.
  3. 3류로 한다.
  4. 4류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KS B 0845은 전기용품의 안전성에 관한 규격으로, 제3종 결함은 전기적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기능상의 결함이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따라서, 제3종 결함은 제품의 안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4류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KS D 0242에서 알루미늄 용접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에 의한 등급 분류는?

  1. 1,2,3,4급
  2. A,B,C급
  3. 1,2,3,4,5,6급
  4. A,B,C,D,E급
(정답률: 알수없음)
  • KS D 0242에서 알루미늄 용접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에 의한 등급 분류는 "1,2,3,4급"입니다. 이는 용접부의 품질에 따라 등급이 결정되며, 등급이 높을수록 용접부의 결함이 적습니다. 등급은 용접부의 결함 크기, 수량, 위치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따라서 등급이 높을수록 용접부의 품질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KS B 0845에 규정된 투과사진에 의한 흠 상의 분류가 잘못된 것은?

  1. 둥근 블로홀은 제1종으로 분류한다.
  2. 용입 불량은 제2종으로 분류한다.
  3. 텅스텐 말아넣음은 제3종으로 분류한다.
  4. 가늘고 긴 슬러그 말아넣음은 제2종으로 분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텅스텐 말아넣음은 KS B 0845에서 제3종으로 분류되는데, 이는 흠 상의 크기가 0.5mm 이상 1.5mm 미만인 경우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텅스텐 말아넣음은 제3종으로 분류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KS B 0845 강판의 맞대기용접 이음부의 촬영방법 및 투과사진의 필요조건 중 계조계의 적용구분에 맞는 것은?

  1. 모재의 두께가 15mm 초과 25mm 이하면 15형을 사용한다.
  2. 모재의 두께가 15mm 초과 30mm 이하면 20형을 사용한다.
  3. 모재의 두께가 20mm 초과 40mm 이하면 20형을 사용한다.
  4. 모재의 두께가 40mm 초과 60mm 이하면 25형을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KS B 0845에서는 강판의 맞대기용접 이음부의 촬영방법 및 투과사진의 필요조건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계조계의 적용구분에 맞는 것은 모재의 두께에 따라 사용하는 계조계의 크기를 결정하는 부분입니다.

    모재의 두께가 20mm 초과 40mm 이하인 경우, 20형 계조계를 사용합니다. 이는 모재의 두께가 일정 범위 내에 있을 때, 해당 범위에 맞는 계조계를 사용하여 적절한 검사를 할 수 있도록 규정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모재의 두께가 20mm 초과 40mm 이하면 20형을 사용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KS D 0227 주강품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에서 투과사진에 의한 흠의 영상에 대해 대상으로 하는 흠의 종류를 올바르게 짝지은 것은?

  1. 블로홀, 모래 박힘 및 개재물, 슈링키지 및 갈라짐
  2. 기공, 모래 혼입 및 개재물, 용입불량, 갈라짐
  3. 수축, 열간균열, 갈라짐, 텅스텐 권입
  4. 모래 혼입 및 개재물, 융합불량, 갈라짐, 주물귀 또는 케렌
(정답률: 50%)
  • 주강품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에서 투과사진에 의한 흠의 영상에 대한 대상으로 하는 흠의 종류는 "블로홀, 모래 박힘 및 개재물, 슈링키지 및 갈라짐" 입니다.

    - 블로홀: 주물 과정에서 기체나 다른 불순물이 주입되어 생긴 구멍으로, 흔히 기포로 인해 발생합니다.
    - 모래 박힘 및 개재물: 주물 과정에서 모래가 제대로 제거되지 않아 주강품 내부에 남아있는 경우 발생합니다.
    - 슈링키지: 주물 과정에서 금속이 끓어오르면서 생기는 구멍으로, 금속이 고체가 되면서 발생합니다.
    - 갈라짐: 주강품 내부에서 응력이 발생하여 생긴 균열로, 주로 냉각과정에서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KS B 0845에 따른 투과사진 상질의 적용구분에서 강관의 원둘레 용접이음부에 대한 상질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A급
  2. B급
  3. F급
  4. P1급
(정답률: 알수없음)
  • KS B 0845은 강관용 용접구조용 강재의 품질에 관한 규정입니다. 이 규정에서는 강관의 원둘레 용접이음부에 대한 상질의 종류를 나열하고 있습니다.

    "A급"과 "B급"은 용접이음부의 품질이 높은 등급으로, 용접이음부의 결함이 거의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P1급"은 용접이음부의 결함이 일부 허용되는 등급으로, 특정한 용도에 사용됩니다.

    반면에 "F급"은 용접이음부의 결함이 허용되지 않는 등급입니다. 따라서, 강관의 원둘레 용접이음부에 대한 상질의 종류가 아닌 것은 "F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KS B 0845에 의거 강관의 원둘레 용접이음부의 촬영시 시험부의 가로터짐의 검출을 필요로 하는 경우, 시험부 유효 길이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1. 1회 촬영에서 시험부의 유효 길이는 투과도계의 식별 최소 선지름, 투과사진의 농도 범위 및 계조계 값의 규정을 만족하는 범위
  2. 내부선원 촬영방법(분할 촬영)시 시험부의 유효길이는 선원과 시험부의 선원측 표면간 거리의 1/2이하
  3. 내부필름 촬영방법시 시험부의 유효길이는 관의 원둘레 길이의 1/10 이하
  4. 이중벽 편면 촬영방법시 시험부의 유효길이는 관의 원둘레 길이의 1/6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내부필름 촬영방법시 시험부의 유효길이는 관의 원둘레 길이의 1/10 이하"가 틀린 설명입니다. 내부필름 촬영방법은 시험부의 유효길이가 관의 원둘레 길이의 1/2 이하이어야 합니다. 이유는 내부필름 촬영방법은 시험부를 관의 내부에서 촬영하는 방법으로, 시험부의 전체를 촬영하기 어렵기 때문에 유효길이를 제한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그림은 KS B 0845에 따른 강판의 맞대기 용접이음부의 방사선투과검사를 위한 배치이다. 투과사진의 상질을 B급으로 할 때 선원과 필름 사이의 최소 거리를 구하면?

  1. 250
  2. 300
  3. 375
  4. 425
(정답률: 알수없음)
  • 선원과 필름 사이의 최소 거리는 투과사진에서 양 옆에 있는 어두운 그림자의 폭이 최소가 되는 지점이다. 그림에서 보면 양 옆 그림자의 폭이 가장 좁은 지점은 중앙에서 약 3.75cm 지점이다. 따라서 정답은 "37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금속재료일반 및 용접 일반

41. 합금이 순금속 보다 좋은 성질은?

  1. 경도 및 강도
  2. 전기전도율
  3. 가단성
  4. 열전도율
(정답률: 알수없음)
  • 합금은 순금속보다 더 많은 원소를 혼합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더 강하고 경도가 높습니다. 따라서 합금은 더 많은 압력과 충격을 견딜 수 있으며, 더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원자반경이 작은 H, B, C, N 등의 용질원자가 용매원자의 결정격자 사이의 공간에 들어가는 것은?

  1. 규칙형 결정체
  2. 침입형 고용체
  3. 금속간 화합물
  4. 기계적 혼합물
(정답률: 알수없음)
  • 침입형 고용체는 용질원자가 용매원자의 결정격자 사이에 들어가는 형태를 말합니다. 이는 용질원자의 원자반경이 작아서 결정격자 사이의 공간에 들어갈 수 있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따라서 H, B, C, N 등의 용질원자가 이러한 형태로 용매원자의 결정격자 사이에 침입하여 고용체를 형성하는 것입니다. 이와 달리 규칙형 결정체는 용질원자가 결정격자의 규칙적인 위치에 들어가는 형태를 말하며, 금속간 화합물은 금속원자가 결정격자의 규칙적인 위치에 들어가는 형태를 말합니다. 기계적 혼합물은 물질들이 물리적으로 섞인 형태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면심입방격자를 가지는 금속의 단위격자 소속원자수는?

  1. 4 개
  2. 3 개
  3. 2 개
  4. 1 개
(정답률: 알수없음)
  • 면심입방격자는 각 면에 하나의 원자가 위치하고, 각 꼭짓점에도 하나의 원자가 위치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에서 각 단위격자는 총 4개의 원자를 포함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 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체심입방정계로써 Ar〃 변태를 하여 얻어지는 담금질 열처리 조직은?

  1. 페라이트
  2. 트루스타이트
  3. 마텐자이트
  4. 시멘타이트
(정답률: 알수없음)
  • Ar〃 변태는 고온에서 일어나는 상변화 중 하나로, 철계열 합금에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이 변태로 인해 얻어지는 열처리 조직은 마텐자이트입니다. 마텐자이트는 고온에서 빠르게 냉각되어 형성되며, 경도가 높고 인성이 낮은 조직입니다. 따라서 담금질 열처리를 통해 강도를 높이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재료의 연성을 알기 위한 시험법은?

  1. 에릭슨 시험
  2. 란쯔법
  3. 에멜시험
  4. 마크로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재료의 연성을 알기 위한 시험법 중 에릭슨 시험은 재료의 탄성 한계를 측정하는 시험법으로, 재료에 일정한 하중을 가하고 그에 대한 변형량을 측정하여 탄성 한계를 파악합니다. 따라서, 에릭슨 시험은 재료의 연성을 알기 위한 시험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강(steel)의 질화처리는 어느 물질에 의하여 이루어 지는가?

  1. H2O
  2. CO2
  3. NaOH
  4. NH3
(정답률: 알수없음)
  • 강의 질화처리는 NH3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이는 NH3가 강의 표면에 흡착되어 질소와 결합하여 강의 표면을 질화시키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강의 질화처리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강에 황이 많이 개재되었을 때 고온에서 어떠한 현상이 일어나는가?

  1. 저온메짐(low tempering shortness)
  2. 상온메짐(cold shortness)
  3. 청열메짐(blue shortness)
  4. 적열메짐(red shortness)
(정답률: 알수없음)
  • 강에 황이 많이 개재되면 고온에서 강의 인성이 감소하게 되어 적열메짐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는 강의 화학적 구성에 의해 황과 결합하여 황화물을 형성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강의 인성을 감소시키고 파괴될 위험성을 높입니다. 따라서 적열메짐은 강의 인성을 유지하기 위해 주의해야 할 중요한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강의 강인성 및 내식, 내산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첨가하는 원소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니켈
  2. 구리
  3. 주석
(정답률: 알수없음)
  • 니켈은 강인성과 내식성이 뛰어나며, 내산성도 높은 원소입니다. 따라서 강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하는 원소로 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흰색의 인성이 있는 금속으로써 비중이 8.9이고 용융점이 1455℃인 원소는?

  1. 니켈
  2. 마그네슘
(정답률: 알수없음)
  • 문제에서 제시된 특징들을 모두 만족하는 원소는 니켈뿐입니다. 철은 비중은 맞지만 용융점이 1455℃보다 높습니다. 금은 비중은 맞지만 용융점이 1455℃보다 높습니다. 마그네슘은 비중은 맞지만 용융점이 1455℃보다 낮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니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반도체 기판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반도체 금속은?

  1. 구리
  2. 실리콘
(정답률: 알수없음)
  • 실리콘은 반도체 소자 제조에 필수적인 소재로 사용되는 반도체 금속입니다. 이는 실리콘이 전기적으로 안정하고, 쉽게 가공 가능하며, 안정적인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실리콘은 지구상에서 가장 풍부하게 존재하는 원소 중 하나로,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실리콘이 반도체 기판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반도체 금속이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자기 변태점이 없는 금속은?

  1. 주석
  2. 코발트
  3. 니켈
(정답률: 알수없음)
  • 주석은 자기 변태점이 없는 금속 중 하나입니다. 이는 주석이 자기장에 노출되어도 자기화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주석은 자기장이나 전자기장을 감지하는 장비의 부품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금속의 소성가공을 재결정온도 이상에서 하는 것은?

  1. 냉간가공
  2. 상온가공
  3. 취성가공
  4. 열간가공
(정답률: 알수없음)
  • 금속의 소성가공을 재결정온도 이상에서 하는 것은 열간가공이라고 합니다. 이는 재결정 온도 이상에서 금속의 결정 구조가 변화하여 더욱 섬세한 가공이 가능해지기 때문입니다. 냉간가공이나 상온가공은 재결정 온도 이하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열간가공보다는 가공성이 떨어지고, 취성가공은 금속의 특성을 이용하여 가공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열간가공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일반적으로 가스용접 작업 중 불꽃에 산소의 양이 많아지는 경우의 결과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중요한 것은?

  1. 용접봉의 소비량이 많아진다.
  2. 용제의 사용이 필요없게 된다.
  3. 용접부에 기공이 생긴다.
  4. 용접부의 비드가 아름답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산소의 양이 많아지면 연소가 더욱 강력해지고, 이로 인해 용접부의 온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이는 용접봉이 녹아내리는 소비량이 많아지고, 용접부에 기공이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용접부의 강도가 약해지고, 용접결함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용접변형을 최소로 줄이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적정한 용접 조건을 택할 것
  2. 예열과 후열을 하지 말것
  3. 용접 지그를 이용할 것
  4. 용접 순서를 충분히 고려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예열과 후열을 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는 용접 부위의 온도가 일정하지 않아서 용접변형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예열을 하면 용접 부위가 더 높은 온도로 시작되어 용접 후 냉각되면서 수축하게 되는데, 이 때 부분적으로 냉각되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이 생겨 용접변형이 발생합니다. 후열을 하면 용접 부위가 더 오래 뜨거운 상태로 유지되어 용접 후 냉각되면서 더 많은 수축이 발생하게 되어 용접변형이 더욱 심해집니다. 따라서 예열과 후열을 하지 않는 것이 용접변형을 최소화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직류 아크용접에서 역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모재의 용입이 깊다.
  2. 용접봉의 녹음이 느리다.
  3. 비드 폭이 좁다.
  4. 박판, 주철, 고탄소강, 합급강, 비철금속의 용접에 쓰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직류 아크용접에서 역극성은 양극성보다 용접봉의 녹음이 느리고 모재의 용입이 깊으며 비드 폭이 좁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박판, 주철, 고탄소강, 합급강, 비철금속의 용접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슈퍼 컴퓨터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병렬 처리 구조로 되어 있다.
  2. 인공 지능 프로세서로 처리한다.
  3. 연산을 매우 빠른 속도로 수행한다.
  4. 방대하고 복잡한 계산이 필요한 곳에 쓰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슈퍼 컴퓨터는 인공 지능 프로세서로 처리하지 않습니다. 인공 지능 프로세서는 인공 지능을 구현하기 위한 특수한 하드웨어입니다. 슈퍼 컴퓨터는 대규모의 데이터 처리와 과학적인 연구 등에 사용되는 고성능 컴퓨터입니다. 따라서, 인공 지능 프로세서와 슈퍼 컴퓨터는 서로 다른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는 서버에서 파일을 자신의 컴퓨터에 복사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1. POP
  2. FTP
  3. HTTP
  4. TCP/IP
(정답률: 알수없음)
  • FTP는 File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파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인터넷에 접속된 서버에서 파일을 자신의 컴퓨터로 복사하고자 할 때 FTP를 사용합니다. POP는 이메일 수신 프로토콜, HTTP는 웹 페이지 요청 및 전송 프로토콜, TCP/IP는 인터넷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웹 브라우저를 통해 사용할 수 있는 인터넷 검색 엔진이 아닌 것은?

  1. 네이버(http://www.naver.com)
  2. 야후(http://kr.yahoo.com)
  3. 심마니(http://www.simmani.com)
  4. 조인스(http://www.joins.com)
(정답률: 알수없음)
  • 조인스는 뉴스 전문 사이트이며, 검색 엔진 기능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인터넷 검색 엔진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일종의 전자게시판을 가진 기능으로 한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국한된 다른 전자게시판과 달리 뉴스 그룹이라 불리는 여러 개의 기사들을 교환하는 것은?

  1. BBS
  2. 전자우편
  3. 유즈넷
  4. 고퍼
(정답률: 알수없음)
  • 유즈넷은 여러 사용자들이 공유하는 전자게시판의 집합체로, 뉴스 그룹이라 불리는 다양한 주제의 게시판들이 있어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정보를 교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전자게시판과 달리 국한되지 않고 전 세계의 사용자들이 참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우리나라의 정보화 수준은 상당히 높은 수준에 있다. 이에 걸맞게 사이버 공간에서 기본적인 예의와 윤리를 지켜야 한다. 이를 일컫는 용어는?

  1. Netizen
  2. Netiquette
  3. Stocker
  4. Internet Worm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인 "Netiquette"는 "네티켓"으로, 인터넷 상에서의 예의와 윤리를 지키는 것을 말한다. "Netizen"은 인터넷 이용자를 의미하며, "Stocker"는 스토킹을 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Internet Worm"은 인터넷 상에서 자동으로 복제되어 전파되는 악성 코드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