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4-04)

방사선비파괴검사기능사
(2004-04-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방사선투과시험법

1. 초음파탐상시험에 사용되는 기계적, 전기적으로 안정하고 액체에 불용성이며 사용수명이 긴 것은 어떤 진동자로 만든 탐촉자인가?

  1. 황산리튬
  2. 티탄산 바륨
  3. 수정
  4. 로켈레(Rochelle)염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탐상시험에 사용되는 탐촉자는 고무나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진 것이 일반적이며, 이 중에서도 수정은 기계적, 전기적으로 안정하고 액체에 불용성이며 사용수명이 긴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된다. 황산리튬, 티탄산 바륨, 로켈레(Rochelle)염은 초음파탐상시험에 사용되는 탐촉자로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비파괴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미세한 표면균열 검출감도는 방사선투과검사가 가장 우수하다.
  2. 자분탐상시험에서는 선형자장보다 원형자장이 탈자하기 어렵다.
  3. 침투탐상시험에서는 결함의 폭이 깊이보다 클 경우에 검출감도가 높다.
  4. 와전류탐상시험을 이용하면 결함의 종류, 크기, 깊이를 정확히 판정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자분탐상시험에서는 선형자장보다 원형자장이 탈자하기 어렵다."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는 원형자장이 자성체의 전체적인 자기장을 나타내기 때문에 결함이 발생한 지점에서도 자기장이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선형자장은 결함이 발생한 지점에서 자기장이 약해져서 결함을 검출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침투탐상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추천된 침투시간은 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2. 검사체의 온도가 52℃이상이면 침투제가 결함에 들어가지 못한다.
  3. 16℃ 이하에서는 침투탐상시험은 할수 없다.
  4. 침투시간은 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침투탐상시험에서 사용되는 침투제는 일정한 시간 동안 검사체 내부로 침투하여 결함을 찾아내는데, 이 때 추천된 침투시간은 온도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온도가 높아질수록 침투시간이 짧아지고, 낮아질수록 침투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이는 침투제의 특성상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X선관 내부의 양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원자번호가 높아야 한다.
  2. 용융 온도가 높아야 한다.
  3. 열전도성이 좋아야 한다.
  4. 높은 증기압이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높은 증기압이어야 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X선관 내부의 양극은 전자를 방출하기 위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원자번호가 높을수록 전자를 방출하기 쉽고, 용융 온도가 높을수록 전자를 방출하기 쉽고, 열전도성이 좋을수록 전자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증기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의 공식은 다음중 어느 것에 해당되는가?

  1. 상호법칙
  2. 노출인자
  3. 사진의 명암도
  4. 안전거리 법칙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노출인자

    설명: 이미지의 밝기와 대비를 결정하는 요소인 노출인자는 카메라의 조리개, 셔터 스피드, ISO 등의 설정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는 사진의 밝기와 선명도를 조절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다른 요소들과 함께 조합하여 원하는 이미지를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노출인자"가 정답인 이유는 이미지의 밝기와 대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방사선발생장치에서 필라멘트와 포커싱 컵(focusing cup) 은 다음 무엇의 필수 부품인가?

  1. 음극
  2. 양극
  3. 정류기
  4. X-선 트랜스
(정답률: 알수없음)
  • 필라멘트와 포커싱 컵은 X-선 발생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품은 아니지만, 이 두 부품이 있는 곳에서는 반드시 음극이 존재해야 합니다. 음극은 전자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필라멘트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전자가 방출되어 포커싱 컵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렇게 전자가 모이면서 X-선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음극은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음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양극이 텅스텐(원자번호 74)으로 된 X선관에 400kV의 전압을 걸어 주었을 때의 X선 전환능률은?

  1. 2.96%
  2. 1.48%
  3. 0.75%
  4. 0.14%
(정답률: 알수없음)
  • X선 전환능률은 전압과 양극의 재질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 경우 양극이 텅스텐으로 되어 있으므로 전환능률은 약 1%에서 3%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은 "2.96%"이다. 이 값은 실험적으로 측정된 결과이며, 텅스텐의 원자번호가 높아서 X선을 발생시키는 능력이 높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전환능률을 보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X선 발생장치에서 후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중심축으로부터 이탈된 X선빔을 제거한다.
  2. 높은 유전성의 기체로 냉각제의 역할을 한다.
  3. 텅스텐 표적으로부터의 산란을 차폐하여 준다.
  4. 양극에서 직접 불필요한 방사선을 제거하여 준다.
(정답률: 알수없음)
  • 높은 유전성의 기체가 냉각제의 역할을 하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후드는 X선 발생장치에서 발생하는 방사선을 차단하고, 중심축으로부터 이탈된 X선빔을 제거하며, 텅스텐 표적으로부터의 산란을 차폐합니다. 양극에서 직접 불필요한 방사선을 제거하는 역할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공업용 X선 장치의 실용 X선 관전압을 10~400kV 정도 얻기 위해서 가장 유효한 전자 가속방식은?

  1. 공진 변압기
  2. 철심 변압기
  3. 선형 발전기
  4. 정전 발전기
(정답률: 알수없음)
  • 철심 변압기는 고주파 전류를 이용하여 전압을 변환하는 방식으로, 고주파 전류를 사용하기 때문에 높은 전압을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업용 X선 장치에서 실용적인 X선 관전압을 얻기 위해서는 철심 변압기가 가장 유효한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X선과 γ선의 차이점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발생원리가 다르다.
  2. γ선의 에너지는 임의로 조절이 가능하다.
  3. X선은 전원(電源)이 필요하나 γ선은 필요없다.
  4. 사용하지 않을 때도 γ선원은 차폐를 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γ선의 에너지는 임의로 조절이 가능하다."이다.

    X선과 γ선은 모두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발생하지만, 발생원리가 다르다. X선은 전자를 고속으로 가속시켜서 원자핵과 충돌시키면서 발생하는 반면, γ선은 원자핵 내부에서 일어나는 핵반응으로 발생한다.

    X선은 전원이 필요하지만, γ선은 필요하지 않다. 이는 γ선이 원자핵 내부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전기적인 에너지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도 γ선원은 차폐를 해야 한다. 이는 γ선이 매우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서 인체에 해로울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γ선의 에너지는 임의로 조절이 가능하다는 것은 γ선이 발생원리가 다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방사선에 관한 다음 설명중 잘못된 것은?

  1. 조사선량은 광자 및 β선에 적용하는 양이다.
  2. 매초당 붕괴수(dps)는 방사능의 단위이다.
  3. 단위 eV로 입자의 질량을 나타낼 수 있다.
  4. 흡수선량은 모든 방사선에 적용할 수 있는 양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된 설명은 "조사선량은 광자 및 β선에 적용하는 양이다."입니다. 조사선량은 방사선의 종류와 상관없이 모든 방사선에 적용할 수 있는 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계조계의 배치에 관한 일반적인 사항으로 옳지 못한것은?

  1. 시험부의 선원측에 배치
  2. 시험부에 걸쳐 양쪽에 되도록 멀리 배치
  3. 시험부중앙에서 과히 떨어지지 않은 모재면상에 배치
  4. 계조계의 두께가 변화하는 방향이 시험부와 평행되게 배치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방사선 투과사진 필름에 직접 닿는 연박증감지의 주요 작용은?

  1. 일차방사선보다 산란방사선을 더 증감(增減)시킨다.
  2. 투과사진 상의 명암도를 증가시킨다.
  3. 산란방사선보다 일차방사선을 더 증감(增減)시킨다.
  4. 투과사진 상의 명암도를 감소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연박증감지는 일차방사선을 감지하여 명암도를 증감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산란방사선은 이미 방사선이 물질과 상호작용하여 방향을 바꾼 후에 나오는 방사선으로, 이미 방향이 바뀌어서 목적지가 달라져서 연박증감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일차방사선보다 산란방사선을 더 증감시키는 것이 아니라, 일차방사선을 더 증감시키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산란방사선보다 일차방사선을 더 증감(增減)시킨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방사선투과시험에서 노출선도에 의한 투과촬영시 다음 중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피사체의 재질
  2. 관전압 및 관전류
  3. 결함의 종류
  4. 필름 및 증감지의 종류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투과시험에서 노출선도에 의한 투과촬영시 고려해야 하는 것은 결함의 종류입니다. 이는 결함의 크기, 위치, 형태, 수량 등을 파악하여 결함의 종류를 판단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 위함입니다. 피사체의 재질, 관전압 및 관전류, 필름 및 증감지의 종류는 모두 방사선투과시험에서 고려해야 하는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방사선의 노출인자를 구하는 공식은? (단, I : 선원의 강도, T : 시간, D : 선원ㆍ필름간 거리)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의 노출인자는 선원의 강도, 시간, 선원ㆍ필름간 거리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중에서 방사선의 강도와 시간은 직접적으로 노출량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분자에 위치하게 되고, 선원ㆍ필름간 거리는 노출량에 역수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에 분모에 위치하게 됩니다. 따라서, 방사선의 노출인자를 구하는 공식은 분자에 선원의 강도와 시간을 곱한 값, 분모에는 선원ㆍ필름간 거리의 제곱을 곱한 값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에 해당하는 보기는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래프에서 300mAㆍsec의 노출조건으로 A타입 필름의 농도가 1.0 이 되었다. B타입의 필름으로 사진농도가 1.0 이 되려면 노출조건은?

  1. 1mAㆍsec
  2. 10mAㆍsec
  3. 100mAㆍsec
  4. 1000mAㆍsec
(정답률: 알수없음)
  • A타입 필름과 B타입 필름의 노출조건은 같은 그래프 상에서 교차하는 지점에서의 값이 같아야 합니다. A타입 필름의 농도가 1.0이 되는 노출조건은 300mAㆍsec이므로, 이 값에 해당하는 그래프 상의 교차점에서 B타입 필름의 농도가 1.0이 되는 노출조건을 찾으면 됩니다. 그래프 상에서 300mAㆍsec에 해당하는 교차점은 대략 0.1 정도입니다. 따라서 B타입 필름의 농도가 1.0이 되려면 1000mAㆍsec의 노출조건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SFD(선원, 필름간 거리) 80㎝로서 촬영하는데 10분 노출하여 적당한 사진을 구하였다. 이것을 SFD 40㎝로 촬영하고자 한다. 다른 조건은 동일할 때 필요한 노출 시간은?

  1. 2.5분
  2. 5분
  3. 20분
  4. 40분
(정답률: 알수없음)
  • SFD가 80㎝에서 40㎝로 줄어들면 필름에 도달하는 빛의 양이 4배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적당한 사진을 구하기 위해 필요한 노출 시간은 4배 감소하여 10분 ÷ 4 = 2.5분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X선 장치로 투과시험을 할 때 사진의 상질에 직접 영향을 주지 않는 인자는?

  1. 선원 - 필름간 거리
  2. 비방사능
  3. 관전압
  4. 초점의 크기
(정답률: 30%)
  • 비방사능은 X선을 발생시키는 원천인 방사선원의 성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진의 상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따라서 X선 장치로 투과시험을 할 때 사진의 상질에 직접 영향을 주지 않는 인자는 비방사능입니다. 선원-필름간 거리, 관전압, 초점의 크기는 모두 X선의 진행 방향, 진폭, 진동수 등을 조절하여 사진의 상질을 개선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는 인자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X선 튜브의 초점으로부터 1m 거리에 필름을 부착하고 주어진 노출 조건하에서 적절한 투과사진의 농도를 얻을 수 있었다. 필름을 50㎝의 거리에 놓고 작업을 하고자 한다면 다른 조건은 그대로 두고 노출시간만 조정하고 싶을 때의 경우로 맞는 것은?

  1. 변화시킬 필요가 없다.
  2. 처음 노출시간의 80%만 노출하면 된다.
  3. 처음 노출시간의 55%만 노출하면 된다.
  4. 처음 노출시간의 25%만 노출하면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X선 튜브와 필름 사이의 거리가 1m에서 50cm로 줄어들면, 필름에 도달하는 X선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이는 필름에 도달하는 X선의 직선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노출시간을 줄여서 필름에 도달하는 X선의 양을 조절해야 한다. 거리가 1m에서 50cm로 줄어들었으므로, 필름에 도달하는 X선의 양은 4배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처음 노출시간의 25%만 노출하면 필름에 도달하는 X선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방사선투과시험시 노출도표에 명시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장비명칭 및 제조년월일
  2. 증감지의 종류와 두께
  3. 사진농도와 현상조건
  4. 선원과 시험체와의 거리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투과시험시 노출도표에 명시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장비명칭 및 제조년월일" 입니다. 이는 시험 결과와 무관하며, 시험을 진행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즉, 시험 결과를 판정하는데 필요한 정보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방사선안전관리 관련규격

21. 방사선투과시험시 동일한 결함이라도 조사 방향에 따라 식별하는데 영향을 받는 것은?

  1. 원형기공
  2. 균열
  3. 개재물
  4. 용입불량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투과시험은 X선이나 감마선을 이용하여 물체 내부의 결함을 검출하는 검사 방법입니다. 이때, 조사 방향에 따라 동일한 결함이라도 그 형태나 크기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균열"은 방사선투과시험에서 가장 잘 식별되는 결함 중 하나입니다. 이는 균열이 일정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기 때문에, 조사 방향에 따라 균열의 모양이 다르게 나타나지 않고 일정하게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균열은 방사선투과시험에서 식별하기 쉬운 결함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현상후 필름에 뿌연 안개현상(Fogging)이 나타나는 주된 원인이 아닌 것은?

  1. 사용전 필름의 보관 상태 불량
  2. 암등에 의한 과도한 노출
  3. 현상액의 온도 상승
  4. 정지액의 능력 저하
(정답률: 알수없음)
  • 정지액은 현상액에서 남아있는 화학물질을 제거하고 필름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지액의 능력이 저하되면 필름에 남아있는 화학물질이 제거되지 않고 남아있게 되어 필름에 뿌연 안개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따라서 정지액의 능력 저하는 뿌연 안개현상이 나타나는 주된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방사선투과시험시 계조계를 사용하는 이유는?

  1. 투과사진의 콘트라스트를 판단키 위해
  2. 필름의 입상성을 판단키 위해
  3. 촬영 위치 관계를 판단키 위해
  4. 투과사진의 식별도를 판단키 위해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투과시험에서 계조계를 사용하는 이유는 "투과사진의 콘트라스트를 판단하기 위해"입니다. 계조계는 밝기 차이를 측정하여 콘트라스트를 평가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계조계를 사용하여 투과사진의 콘트라스트를 판단하여 검사 결과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방사성 동위원소 핵종에 있어서 동중성자 핵종끼리 짝지어진 것은?

  1. 92U235, 92U238
  2. 7N15, 8O15
  3. 7N14, 8O15
  4. 27Co60, 27Co60m
(정답률: 알수없음)
  • 동중성자와 양성자의 수가 같은 원소를 이성질핵종(isobar)이라고 합니다. 이성질핵종은 원자핵 내부의 전하 상태가 같기 때문에 화학적 성질이 유사합니다. 따라서 방사성 동위원소 핵종 중에서 동중성자 수가 같은 이성질핵종끼리는 화학적 성질이 유사하며, 같은 방식으로 화학적으로 처리될 수 있습니다.

    7N148O15은 동중성자 수가 같은 이성질핵종입니다. 7N14은 7개의 양성자와 7개의 동중성자로 이루어진 원자핵을 가지고 있으며, 8O15은 8개의 양성자와 7개의 동중성자로 이루어진 원자핵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두 핵종은 동중성자 수가 같은 이성질핵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단강품에 주로 이용되지 않는 비파괴검사법은?

  1. 방사선투과검사
  2. 초음파탐상검사
  3. 침투탐상검사
  4. 자분탐상검사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투과검사는 X선이나 감마선을 이용하여 물체 내부의 결함이나 불순물을 검출하는 비파괴검사법입니다. 하지만 단강품은 X선이나 감마선을 통과하기에 충분히 불투과성이 높아 검사가 어렵기 때문에 주로 이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방사선투과검사는 단강품에 주로 이용되지 않는 비파괴검사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방사선량의 단위중 전리된 이온쌍의 정(正)또는 부(負)의 전기량이 공기 1[kg]에 대하여 2.58×10-4쿨롬(coulomb)일 때 그것을 단위로 X선 또는 γ선량을 표시하는 것은?

  1. 1 R(렌트겐)
  2. 1 Sv(서베이)
  3. 1 Gy(그레이)
  4. 1 joule(줄)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량의 단위 중 전리된 이온쌍의 정(正) 또는 부(負)의 전기량이 공기 1[kg]에 대하여 2.58×10^-4쿨롬(coulomb)일 때, 이를 단위로 X선 또는 γ선량을 표시하는 것은 "1 R(렌트겐)"입니다.

    이유는 방사선량의 단위 중 하나인 렌트겐(R)은 공기 중에서 전리된 이온쌍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이기 때문입니다. 즉, 1 R은 공기 중에서 2.58×10^-4쿨롬의 전기량을 생성하는 방사선의 양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X선 또는 γ선량을 표시할 때에는 이 양에 해당하는 렌트겐(R)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방사선과 관계있는 양과 단위를 표시하였다. 짝지음이 틀린 것은?

  1. 선량당량 - Rhm
  2. 조사선량 - R
  3. 방사능 - Ci
  4. 흡수선량 - Gy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방사능 - Ci"

    선량당량은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단위로, 그 단위는 그레이(Gy)이다. 조사선량은 방사선이 물질과 상호작용할 때 방사선의 에너지를 나타내는 단위로, 그 단위는 레온(R)이다. 흡수선량은 인체 내부에 흡수된 방사선의 에너지를 나타내는 단위로, 그 단위는 그레이(Gy)이다.

    하지만 방사능은 방사성 동위원소의 붕괴 속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그 단위는 큐리(Ci)이다. 따라서 방사능은 방사선과 관련이 있지만, 양과 단위가 다르기 때문에 짝지어진 것이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Ir-192 10Ci선원으로 부터 5m 지점에서의 시간당 선량율은? (단, Ir-192 1Ci당 1m거리에서 1시간당 선량율은 0.5R/h로 간주한다.)

  1. 0.05R/h
  2. 0.2R/h
  3. 1R/h
  4. 5R/h
(정답률: 알수없음)
  • Ir-192 1Ci당 1m거리에서 1시간당 선량율이 0.5R/h이므로, 10Ci당 1m거리에서 1시간당 선량율은 10배 더 높아져 5R/h가 된다.

    거리가 5m이므로,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감쇠율을 고려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시간당 선량율 = (1/거리^2) x 선원 강도 x 5R/h
    = (1/5^2) x 10Ci x 5R/h
    = 0.2R/h

    따라서, 정답은 "0.2R/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Ir-192의 방사선이 인체에 피폭되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상호 작용은?

  1. 광전효과, 콤프톤 효과
  2. 콤프톤 효과, 힐 효과
  3. 전자 쌍생성, 삼전자 생성
  4. 삼전자 생성, 광핵 반응
(정답률: 알수없음)
  • Ir-192는 고에너지 감마선 방출체로, 인체에 피폭되면 광전효과와 콤프톤 효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광전효과는 감마선이 물질과 상호작용하여 전자를 방출하는 현상이며, 콤프톤 효과는 감마선이 전자와 충돌하여 전자의 운동에너지를 증가시키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인체 조직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방사선 방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KS D 0242(`02년도) 알루미늄 평판 접합 용접부의 방사선투과시험시 선원과 투과도계 사이의 거리는 시험부의 유효 길이의 몇 배이상 인가? (단, 상질은 A급이다.)

  1. 2배
  2. 3배
  3. 5배
  4. 7배
(정답률: 알수없음)
  • 알루미늄은 방사선을 많이 투과하기 때문에 방사선투과시험에서는 상질이 A급인 경우에도 선원과 투과도계 사이의 거리를 적어도 시험부의 유효 길이의 2배 이상으로 유지해야 합니다. 이는 선원과 투과도계 사이의 거리가 너무 가까워서 방사선이 투과도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KS D 0242(`02년도)에 의거하여 방사선투과검사할 때 모재의 두께가 얼마 미만의 시험부 촬영시에는 계조계를 이용하여 시험부와 동시에 촬영하도록 규정하고 있는가?

  1. 10mm
  2. 20mm
  3. 40mm
  4. 80mm
(정답률: 알수없음)
  • KS D 0242(`02년도)에서는 모재의 두께가 80mm 이상일 경우에는 계조계를 이용하여 시험부와 동시에 촬영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두께가 80mm 미만인 시험부를 촬영할 때는 계조계를 이용하여 동시에 촬영할 필요가 없으므로, 정답은 "80m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3 반감기가 지난 후의 방사능은 최초의 방사능에 대해 약 몇 %인가?

  1. 50%
  2. 30%
  3. 12.5%
  4. 25%
(정답률: 알수없음)
  • 반감기란 원래의 방사능의 절반으로 감소하는 시간을 말합니다. 따라서 1번의 반감기가 지나면 원래의 방사능은 절반으로 줄어들어 50%가 됩니다. 2번의 반감기가 지나면 다시 원래의 방사능의 절반으로 줄어들어 50%의 절반이 되는 25%가 됩니다. 3번의 반감기가 지나면 다시 원래의 방사능의 절반으로 줄어들어 25%의 절반이 되는 12.5%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원자력법시행령에 의한 비파괴검사 목적 이동사용자의 허가기준으로서 장비에 대한 기준이 올바른 것은?

  1. 방사선투과 검사장비 : 1대이상
  2. 방사선측정 장비중 방사선 측정기 : 2대이상
  3. 방사선방호 장비중 경고등 : 5개이상
  4. 방사선측정 장비중 방사선 경보기 : 10개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원자력발전소에서는 안전을 위해 비파괴검사를 실시합니다. 이때, 방사선을 사용하는 장비를 사용하기 때문에 방사선 안전을 위한 장비들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방사선 경보기는 방사선이 감지되면 경보를 울리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방사선 경보기의 수가 많을수록 방사선 안전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이 기준이 올바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KS B 0845에 규정된 흠 분류 방법중 모재의 두께가 12㎜ 초과 48㎜ 미만인 경우 제2종의 흠 분류로 틀린 것은?

  1. 1류 : 모재 두께의 1/4 이하
  2. 2류 : 모재 두께의 1/3 이하
  3. 3류 : 모재 두께의 3/4 이하
  4. 4류 : 흠 길이가 3류보다 긴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3류 : 모재 두께의 3/4 이하" 입니다.

    이유는 KS B 0845에서 모재의 두께가 12㎜ 초과 48㎜ 미만인 경우 제2종의 흠 분류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때 제2종의 흠 분류 중 모재 두께에 따른 등급은 다음과 같습니다.

    - 1류 : 모재 두께의 1/4 이하
    - 2류 : 모재 두께의 1/3 이하
    - 3류 : 모재 두께의 3/4 이하

    따라서, 모재의 두께가 12㎜ 초과 48㎜ 미만인 경우에는 모재 두께의 3/4 이하인 경우에 해당되므로 3류로 분류되어야 합니다. "3류 : 모재 두께의 3/4 이하"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KS B 0845 강용접 이음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에 따라 계조계를 사용할 경우 계조계의 치수 허용차는 두께에 대하여 몇 %인가?

  1. ±2%
  2. ±3%
  3. ±5%
  4. ±10%
(정답률: 알수없음)
  • KS B 0845에서는 이음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에 따라 계조계를 사용할 경우, 계조계의 치수 허용차는 두께에 대하여 ±5%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이음부의 두께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일정한 범위 내에서 허용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유는 이음부의 두께가 너무 작거나 크면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일정한 범위 내에서 허용하는 것이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계조계의 치수 허용차가 ±5%인 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강용접부의 방사선투과시험에서 KS B 0845에 따라 최고 농도 3.2의 투과사진을 관찰하고자 할 때 어떤 관찰기가 필요한가?

  1. D10형
  2. D20형
  3. D30형
  4. D40형
(정답률: 알수없음)
  • KS B 0845에 따르면, 방사선투과시험에서 최고 농도 3.2의 투과사진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3.0mm 알루미늄 필터를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알루미늄 필터 두께가 3.0mm인 D30형 관찰기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KS B 0845에 따라 강용접 이음부의 방사선투과 시험 방법에서 모재두께 15mm 강판의 맞대기 용접에 대한 흠 상의 분류에서 제1종 흠이 1개인 경우 흠의 긴지름이 얼마 이하일 때 흠점수로 산정하지 않는가? (즉 산정하지 않는 흠의 치수는?)

  1. 1.0mm
  2. 0.8mm
  3. 0.7mm
  4. 0.5mm
(정답률: 알수없음)
  • KS B 0845에 따르면, 제1종 흠은 긴지름이 3mm 이하인 흠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흠의 긴지름이 3mm보다 작으면 흠점수로 산정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제1종 흠이 1개인 경우를 다루고 있으므로, 다른 흠이 없는 상황에서 흠의 긴지름이 3mm보다 작으면 흠점수로 산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흠의 긴지름이 0.5mm 이하인 경우에는 흠점수로 산정하지 않습니다. 이것이 정답이 "0.5mm"인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KS B 0845에 따라 25형 계조계를 사용하려 한다. 다음 중 25형 계조계의 두께로 알맞은 것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알수없음)
  • KS B 0845은 "금속재질의 두께 측정법"을 규정하는 표준이다. 이 중 25형 계조계는 금속재질의 두께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계기이다. 이 계기는 측정 범위가 0~25mm이며, 측정 원리는 두께 측정용 프로브를 측정 대상에 접촉시켜서 프로브의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두께를 계산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25형 계조계의 두께는 4.0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KS B 0845에 따라 강판의 맞대기 이음부의 촬영시 선원과 필름간의 거리는 시험부의 선원쪽 표면과 필름간의 거리의 m배 이상이다. 여기서 계수 m의 값으로 맞는 것은? (단, f는 선원치수, d는 투과도계의 식별최소 선지름)

  1. 상질이 A급 일 때 2f/d 또는 7중 큰 쪽의 값
  2. 상질이 B급 일 때 2f/d 또는 6중 큰 쪽의 값
  3. 상질이 A급 일 때 3f/d 또는 6중 큰 쪽의 값
  4. 상질이 B급 일 때 3f/d 또는 7중 큰 쪽의 값
(정답률: 알수없음)
  • KS B 0845에서는 강판의 맞대기 이음부의 촬영시 선원과 필름간의 거리가 시험부의 선원쪽 표면과 필름간의 거리의 m배 이상이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때 m의 값은 상질 등급에 따라 다르게 결정됩니다.

    상질 등급이 A일 때는 m=2, B일 때는 m=3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상질이 B급일 때는 선원과 필름간의 거리가 시험부의 선원쪽 표면과 필름간의 거리의 3배 이상이어야 합니다.

    그리고 이때 선원과 필름간의 거리는 3f/d 또는 7중 큰 쪽의 값이 되어야 합니다. 이는 투과도계의 식별최소 선지름 d와 선원치수 f에 따라 결정되는 값으로, 이 값을 충족시키면 적절한 이미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KS D 0227에 따라 주강품 방사선 투과사진의 흠의 영상분류시 틀린 설명은?

  1. 블로홀에 대해서는 흠점수를 구하여 종류를 결정한다.
  2. 갈라짐이 존재하는 경우는 항상 4류로 한다.
  3. 개재물에 대하여는 흠점수를 구하여 종류를 결정한다.
  4. 나뭇가지 모양의 슈링키지에 대해서는 흠면적을 구하여 종류를 결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갈라짐이 존재하는 경우는 항상 4류로 한다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갈라짐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그 크기와 형태에 따라 다른 등급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갈라짐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흠의 크기, 형태, 위치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등급으로 분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금속재료일반 및 용접 일반

41. 다음 중 응용 프로그램과 비교하여 컴퓨터의 시스템 프로그램이 하는 일과 거리가 먼 것은?

  1. 데이터와 파일을 관리하는 일
  2. 업무의 연속 처리를 위한 스케줄을 관리하는 일
  3. 사용자가 작성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바꾸어주는 일
  4. 게임이나 그래픽 또는 CAD 등의 작업을 컴퓨터로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일
(정답률: 알수없음)
  • 게임이나 그래픽 또는 CAD 등의 작업을 컴퓨터로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일은 시스템 프로그램이 아닌 응용 프로그램에 해당합니다. 시스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관리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응용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따라서 게임이나 그래픽 또는 CAD 등의 작업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인터넷에서 접속된 컴퓨터간에 전자우편 전송을 위해 사용하는 규약은?

  1. SNMP
  2. TCP/IP
  3. SMTP
  4. SLIP/PPP
(정답률: 알수없음)
  • SMTP는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전자우편을 보내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인터넷에서 접속된 컴퓨터간에 전자우편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규약은 SMTP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다른 프로토콜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인터넷을 사용할 때 영문으로 표현된 도메인이름을 컴퓨터가 가지고 있는 IP주소로 변환시켜 주는 것은?

  1. DTS
  2. DNT
  3. DNS
  4. DNP
(정답률: 알수없음)
  •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는 서로 다른 형식이기 때문에, 인터넷 사용자가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면 DNS(Domain Name System) 서버가 해당 도메인 이름을 해당하는 IP 주소로 변환시켜줍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도메인 이름을 통해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컴퓨터의 주변 장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입력 장치
  2. 보조 기억 장치
  3. 제어 장치
  4. 출력 장치
(정답률: 알수없음)
  • 제어 장치는 컴퓨터의 중앙 처리 장치(CPU)와 다른 주변 장치들 간의 통신을 조정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주변 장치에 속하지 않습니다. 입력 장치는 데이터를 입력하는데 사용되고, 출력 장치는 데이터를 출력하는데 사용되며, 보조 기억 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파일을 전송할 때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로, 원격 호스트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자의 계정이 필요하나, 계정이 없이도 접속하여 호스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프로토콜은?

  1. FTP
  2. TFP
  3. PTF
  4. FSND
(정답률: 알수없음)
  • 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로, 파일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사용자의 계정이 필요하지만, 익명 로그인을 허용하여 계정이 없어도 접속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FTP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전, 연성이 가장 큰 것은?

  1. 백금
  2. 텅스텐
  3. 주철
(정답률: 알수없음)
  • 전성과 연성은 물질이 전기와 열을 전도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금은 전성과 연성이 모두 매우 높은 금속으로, 전기와 열을 매우 잘 전도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전, 연성이 가장 큰 것은 "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금과 은의 기호로 맞는 것은?

  1. Mg, Mn
  2. Zn, Al
  3. Sn, Pb
  4. Au, Ag
(정답률: 알수없음)
  • 금은 화학 기호로 "Au"이고, 은은 화학 기호로 "Ag"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Au, A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순철의 동소변태에 해당되는 온도는?

  1. 약 210℃
  2. 약 700℃
  3. 약 912℃
  4. 약 1600℃
(정답률: 알수없음)
  • 순철의 동소변태는 철이 액체 상태에서 결정체로 변하는 온도를 말합니다. 이 온도는 철의 용융점인 1538℃보다 낮으며, 약 912℃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약 91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상온에서 순철(α 철)의 결정 격자는?

  1. 면심입방격자
  2. 조밀육방격자
  3. 체심입방격자
  4. 정방격자
(정답률: 알수없음)
  • 상온에서 순철(α 철)은 체심입방격자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철 원자가 8개의 원자를 둘러싸고 있으며, 각각의 원자는 철 원자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철의 결정 격자를 가장 밀도 높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체심입방격자가 순철의 결정 격자 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충격시험은 무엇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가?

  1. 인장강도
  2. 경도와 연성
  3. 압축강도
  4. 인성과 취성
(정답률: 알수없음)
  • 충격시험은 재료의 인성과 취성을 조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인성은 재료가 충격하거나 강한 힘에 노출될 때 파괴되지 않고 변형되는 능력을 의미하며, 취성은 재료가 파괴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충격시험은 재료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강 중에서 적열메짐을 가장 일으키기 쉬운 원소는?

  1. 규소
  2. 망간
(정답률: 알수없음)
  • 황은 전자 구조상 적열메짐을 일으키기 쉽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황은 6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모두 3p 궤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 궤도는 3s 궤도보다 더 멀리 있으므로, 황의 전자는 핵과 더 멀리 떨어져 있어서 핵의 양성 전하와의 상호작용이 약해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황은 다른 원소들보다 적열메짐을 일으키기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동일한 조건에서 탄소강은 탄소량에 따라 부식 상태가 어떻게 되는가?

  1. 탄소가 많을수록 부식되기 쉽다.
  2. 탄소가 적을수록 부식되기 쉽다.
  3. 탄소가 일정할수록 부식되기 쉽다.
  4. 탄소량과 부식과는 관계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탄소는 철과 결합하여 강을 형성하는데, 탄소가 많을수록 강의 경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강의 강도는 증가하지만, 부식에 취약해진다. 이는 탄소가 부식에 취약한 결정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탄소가 많을수록 부식되기 쉽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철강 제조시 황을 제거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원소는?

  1. 규소
  2. 탄소
  3. 수소
  4. 망간
(정답률: 알수없음)
  • 망간은 황과 결합하여 황화물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철강 제조 과정에서 망간을 첨가하면 황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망간은 철강 제조시 황을 제거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원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강과 주철을 구분하는 탄소함유량(%)은?

  1. 약 0.1
  2. 약 0.5
  3. 약 1.0
  4. 약 2.0
(정답률: 알수없음)
  • 강은 탄소함유량이 0.2% 이상인 것을 강조철이라고 하며, 주철은 탄소함유량이 2.0% 이상인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강과 주철을 구분하는 탄소함유량은 약 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청동합금에 탄성, 내마모성, 내식성을 향상시키고 유동성 증가를 위하여 첨가하는 원소는?

  1. 망간
  2. 아연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인"입니다. 인은 청동합금의 강도와 경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내식성과 내마모성도 향상시킵니다. 또한, 인은 청동합금의 유동성을 증가시켜 가공성을 향상시킵니다. 따라서, 청동합금에 인을 첨가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철-탄소계에서 공석반응에 해당되는 것은?

  1. γ(고용체) ⇄ α (고용체) + 시멘타이트
  2. L (액체) ⇄ γ(고용체) + 시멘타이트
  3. L (액체) ⇄ 레데뷰라이트
  4. α (고용체) ⇄ γ(고용체) + 시멘타이트
(정답률: 알수없음)
  • 철-탄소계에서 공석반응은 고온에서 일어나는 결정구조 변화 반응으로, 고온에서 γ(고용체) 상태의 철이 α(고용체) 상태로 변화하면서 시멘타이트가 생성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γ(고용체) ⇄ α (고용체) + 시멘타이트" 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철-탄소계에서 일어나는 다른 반응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금속적 성질과 비금속적 성질을 같이 나타내는 것은?

  1. 아금속(metalloid)
  2. 중금속(heavy metal)
  3. 연성금속(ductility metal)
  4. 경금속(light metal)
(정답률: 37%)
  • 아금속은 금속적 성질과 비금속적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아금속인 규소는 전기전도성이 있지만, 금속보다는 약하며, 동시에 비금속인 탄소와 같이 고체 상태에서는 부서지기 쉽습니다. 따라서, 아금속은 금속과 비금속의 중간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전기저항열을 이용하는 용접법이 아닌 것은?

  1. 시임 용접
  2. 플래시 맞대기 용접
  3. 프로젝션 용접
  4. 일렉트로 가스 용접
(정답률: 알수없음)
  • 일렉트로 가스 용접은 전기저항열을 이용하는 용접법이 아니라 가스를 이용하여 용접하는 용접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일렉트로 가스 용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용접부의 피로강도에 영향을 주는 것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1. 용접부의 결함
  2. 용접봉의 표면 형상
  3. 용접부의 형태
  4. 용접구조상의 응력 집중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부의 피로강도에 영향을 주는 것 중 틀린 것은 "용접봉의 표면 형상"이 아닙니다.

    용접봉의 표면 형상은 용접부의 피로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용접봉의 표면이 부드럽고 깨끗하면 용접부의 피로강도가 낮아지고, 용접봉의 표면이 거칠거나 불순물이 많으면 용접부의 피로강도가 높아집니다. 이는 용접봉의 표면 형상이 용접부의 결함과 용접구조상의 응력 집중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용접봉의 표면 형상은 용접부의 피로강도를 낮추기 위해 꼭 신경써야 하는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아크전류가 200A, 아크전압이 25V, 용접속도가 15 cm/min 인 경우 용접길이 1cm당 발생하는 용접입열은 몇 J/cm 인가?

  1. 15000
  2. 20000
  3. 25000
  4. 30000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입열은 아크전류, 아크전압, 용접속도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 문제에서는 아크전류와 아크전압, 용접속도가 주어졌다.

    용접입열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용접입열 = 아크전류 x 아크전압 x 용접속도 / 10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용접입열 = 200 x 25 x 15 / 10 = 75000

    하지만 문제에서는 "용접길이 1cm당 발생하는 용접입열"을 물어보고 있으므로, 용접입열을 용접길이로 나눠주어야 한다.

    용접길이 1cm당 발생하는 용접입열 = 75000 / 1 = 75000 J/cm

    따라서 정답은 75000이 아니라, 200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