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비파괴검사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9-27)

방사선비파괴검사기능사
(2009-09-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방사선투과시험법

1. 다음 중 비파괴검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비파괴 검사는 시험절차서에 따라 실시할 필요는 없다.
  2. 비파괴검사는 시험대상물을 절삭하고 파괴하는 것을 허용 하고 있다.
  3. 비파괴검사는 적절한 시험방법을 선택하면 재료, 부품, 구조물 등의 종류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하다.
  4. 비파괴 검사는 일정한 자격을 소지한 기술자가 장비의 선택없이 한가지 검사로 모든 시험을 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비파괴검사는 시험대상물을 절삭하고 파괴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으며, 적절한 시험방법을 선택하면 재료, 부품, 구조물 등의 종류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누설검사법에 대한 다음 설명중 틀린 것은?

  1. 기체누설시험시 사용되는 기체는 일반적으로 건조하고 깨끗한 공기를 사용한다.
  2. 기체누설시험시 사용되는 기체는 일반적으로 독성이 없는 것을 사용한다.
  3. 수압시험을 할 때는 시험하려는 용기 내부에 동기가 있는 지 확인 하여야 한다.
  4. 내압시험에 필요한 유체의 온도는 취성파괴가 일어나는 온도이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내압시험에 필요한 유체의 온도는 취성파괴가 일어나는 온도이어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내압시험에 필요한 유체의 온도는 취성파괴가 일어나는 온도보다는 낮아야 합니다. 취성파괴가 일어나는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시험을 진행하면 용기가 파괴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반영구적으로 기록이 가능하고 거의 모든 재료에 적용할 수 있으나 작업자의 피폭 등 안전관리에 특히 유의하여야 하는 비파괴검사법은?

  1. 침투탐상시험법
  2. 초음파탐상시험범
  3. 자분탐상시험범
  4. 방사선투과시험범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투과시험범은 X선, 감마선 등의 방사선을 이용하여 물체 내부의 결함, 불순물, 두께 등을 검사하는 비파괴검사법입니다. 이 방법은 반영구적으로 기록이 가능하고 거의 모든 재료에 적용할 수 있지만, 방사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피폭 등 안전관리에 특히 유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자분탐상시험법 중 선형(직선) 자화법을 이용하는 것은?

  1. 극간법
  2. 프로드법
  3. 직각통전법
  4. 전류관통법
(정답률: 60%)
  • 선형(직선) 자화법은 자성체의 자화력이 외부 자기장에 비례한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하여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극간법은 자성체의 자화력이 자기장의 극성과 극간 거리에 비례한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하여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극간법은 선형(직선) 자화법과는 다른 방법이므로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시험체의 내부와 외부, 즉 계와 주위의 압력차가 생길 때 주위의 압력은 대기압을 두고, 계에 압력을 가압하거나 감압하여 결함을 탐상하는 비파괴검사법은?

  1. 누설시험
  2. 침투탐상시험
  3. 초음파탐상시험
  4. 와전류탐상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누설시험은 시험체 내부나 외부에 압력차가 생겼을 때, 시험체와 주위 사이에 누설이 발생하는지를 검사하는 비파괴검사법입니다. 따라서 "누설"이라는 단어가 포함되어 있어 정답입니다. 침투탐상시험은 시험체 표면에 손상이 있는지를 검사하는 방법이며, 초음파탐상시험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시험체 내부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와전류탐상시험은 전기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시험체 내부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비파괴검사법 중 일반적으로 탐상검사하기 전에 전처리 과정이 생략되었을 때 결함의 검출감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1. 침투탐상시험
  2. 초음파탐상시험
  3. 방사선투과시험
  4. 중성자투과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침투탐상시험은 검사 대상의 표면에 결함이 있을 경우, 결함 부위에 액체를 침투시켜 결함을 드러내는 검사법입니다. 따라서 검사 대상의 표면이 깨끗하지 않으면 액체가 결함 부위에 침투하지 못하거나, 침투 후 액체가 결함 부위에서 제거되지 않아 검출감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침투탐상시험은 전처리 과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전자유도의 법칙을 이용해서 표면 또는 표면 가까운 부분(Sub-Surface)의 균열을 탐상하는 시험법은?

  1. 침투탐상시험
  2. 방사선투과시험
  3. 초음파탐상시험
  4. 와전류탐상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유도의 법칙은 전기적으로 전도성이 있는 물체에 대해 전자기장이 인가되면 그 물체 내부에 전류가 유도된다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와전류탐상시험은 전자기장을 인가하여 시편 내부에 유도된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표면 또는 표면 가까운 부분의 균열을 탐상하는 시험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와전류탐상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비파괴검사법 중 강자성체에만 적용되는 것은?

  1. 자분탐상시험법
  2. 초음파탐상시험법
  3. 침투탐상시험법
  4. 방사선투과시험법
(정답률: 알수없음)
  • 강자성체는 자성체로서 자기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기장을 이용하여 내부 결함을 탐지하는 자기입자검사법이 적용됩니다. 이 중 자분탐상시험법은 자기입자검사법 중 하나로, 자성체 내부의 미세한 입자들이 자기장에 의해 움직이면서 결함을 탐지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강자성체에만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와전류탐상시험에서 시험코일의 자계의 세기와 자속밀도와의 관계로 옳은 것은?

  1. 비례한다.
  2. 반비례한다.
  3. 항상 일정하다.
  4. 고주파일 때만 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비례한다.

    와전류탐상시험에서 시험코일의 자계의 세기와 자속밀도는 비례한다. 이는 자속밀도가 증가하면 시험코일 내부의 자계 세기도 증가하기 때문이다. 자속밀도는 시험코일 내부의 자기장 세기와 시험코일의 크기에 비례하기 때문에, 시험코일의 크기가 일정하다면 자속밀도와 자계의 세기는 비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비파괴검사법 중 빛의 밝기(조도)가 규정되어 있지 않는 것은?

  1. 방사선투과시험
  2. 초음파탐상시험
  3. 자분탐상시험
  4. 침투탐상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탐상시험은 빛의 밝기(조도)와는 관련이 없는 비파괴검사법입니다.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체 내부의 결함이나 불균일성을 탐지하는 방법으로, 소리의 진동수와 파동속도를 이용하여 결함을 파악합니다. 따라서 빛의 밝기(조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초음파탐상시험 방법 중 불연속의 존재가 CRT 상에 불연속지시의 형태로 나타나지 않는 것은?

  1. 수직법
  2. 투과법
  3. 표면파법
  4. 경사각법
(정답률: 알수없음)
  • 투과법은 초음파를 물체 안쪽으로 보내어 물체 내부의 불연속을 탐지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CRT 상에 불연속지시의 형태로 나타납니다. 반면에 수직법, 표면파법, 경사각법은 모두 물체의 표면에서 초음파를 반사시켜 불연속을 탐지하는 방법이므로 CRT 상에 불연속지시의 형태로 나타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비파괴검사법 중 반사파를 이용하는 것은?

  1. 초음파탐상시험법
  2. 침투탐상시험법
  3. 방사선투과시험법
  4. 자분탐상시험법
(정답률: 알수없음)
  • 반사파를 이용하는 비파괴검사법은 초음파탐상시험법입니다. 초음파는 물체 내부를 통과하면서 반사되는 파동을 이용하여 결함을 탐지하는 방법입니다. 초음파탐상시험법은 용접부, 금속, 콘크리트 등 다양한 물체의 결함 탐지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선원-필름간 거리가 4m 일 때 노출 시간이 60초였다면 다른 조건은 변화시키지 않고 선원-필름간 거리만 2m 로 할때 방사선투과시험의 노출 시간은 얼마이어야 하는가?

  1. 15초
  2. 30초
  3. 120초
  4. 240초
(정답률: 알수없음)
  • 선원-필름간 거리가 2m로 줄어들면 방사선이 필름에 도달하는 거리가 줄어들게 되어 노출 시간이 감소해야 합니다. 거리가 2m로 줄어들었으므로, 노출 시간은 4m일 때의 노출 시간의 제곱에 반비례합니다. 따라서, 60초 × (2/4)² = 15초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일반적으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용접부 검사에 적용하기 어려운 비파괴검사법 만의 조합은?

  1. 자분탐상시험과 침투탐상시험
  2. 초음파탐상시험과 자분탐상시험
  3. 방사선투과시험과 침투탐상시험
  4. 방사선투과시험과 초음파탐상시험
(정답률: 70%)
  •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용접 후에도 자성이 없어 자기입자검사법을 적용할 수 없습니다. 또한, 침투탐상시험은 용접부의 표면이 매끄럽지 않아 검사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파괴검사법 중에서도 용접부의 내부 결함을 검출하는 데에 적합한 초음파탐상시험과 용접부의 표면 결함을 검출하는 데에 적합한 자분탐상시험이 조합으로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X선 방생장치의 주요 구성 3요소로 옳은 것은?

  1. X선관, 고전압발생기, 제어기
  2. X선관, 필라멘트, 정류기
  3. 표적(타게트), 제어기, 라디에이터
  4. 표적(타게트), 전류제어기, 조리개
(정답률: 알수없음)
  • X선 방생장치의 주요 구성 3요소는 X선을 발생시키는 X선관, X선을 발생시키기 위한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발생기, 그리고 X선의 발생과 조절을 제어하는 제어기입니다. X선관은 전자를 가속시켜 X선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며, 고전압발생기는 X선관에 전압을 공급하여 전자를 가속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제어기는 X선의 발생과 조절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X선관, 고전압발생기, 제어기"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방사선투과시험에서 건조처리에 사용되는 계면 활성제(wetting agent)의 주된 목적은?

  1. 주름살의 억제
  2. 농도 변화의 억제
  3. 망상 주름의 방지
  4. 물방울 자국의 방지
(정답률: 알수없음)
  • 방사선투과시험에서 건조처리에 사용되는 계면 활성제(wetting agent)의 주된 목적은 물방울 자국의 방지입니다. 이는 건조 시 물방울이 남아서 생기는 자국을 방지하여 시료의 정확한 측정을 위함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주름살, 농도 변화, 망상 주름 등과 같은 다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지만, 이 문제는 물방울 자국 방지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현상 후 필름에 뿌연 안개현상(Fogging)이 나타나는 주된 원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정지액의 능력 저하
  2. 현상액의 온도 상승
  3. 암실등에 의한 과도한 노출
  4. 사용 전 필름의 보관 상태 불량
(정답률: 25%)
  • 정지액은 현상 후 필름에서 남아있는 화학약품 중 하나로, 필름의 이미지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정지액의 능력이 저하되면 필름에 남아있는 화학약품이 충분히 제거되지 않아 필름 표면에 안개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따라서 정지액의 능력 저하는 필름에 뿌연 안개현상이 나타나는 주된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X선 노출인자의 공식으로 옳은 것은?

  1. 전류(mA) × 거리 / (시간)2
  2. 전류(mA) × 거리 / 거리2
  3. 거리 × 시간 / (전류(mA))2
  4. (시간)2 / 전류(mA) × 거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전류(mA) × 거리 / 거리2"입니다.

    X선 노출인자는 X선이 인체에 노출될 때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값은 전류(mA)와 거리에 따라 결정됩니다. 전류는 X선 발생기에서 나오는 전기적인 흐름을 의미하며, 거리는 X선 발생기와 인체 사이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거리가 멀어질수록 X선의 강도는 약해지게 됩니다. 따라서 거리에 반비례하는 값으로 나타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거리를 거리의 제곱으로 나누어줍니다. 따라서 X선 노출인자의 공식은 "전류(mA) × 거리 / 거리2"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X선 발생장치의 방사구에 설치하는 조사통과 조리개의 역할이 아닌 것은?

  1. 상질의 개선
  2. 산란선의 감소
  3. 노출시간 단축
  4. 불필요한 방사선 차단
(정답률: 알수없음)
  • 조사통과 조리개는 불필요한 방사선을 차단하고, 상질의 개선과 산란선의 감소를 도와줍니다. 그러나 노출시간을 단축시키는 역할은 아닙니다. 노출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은 X선 발생장치의 기술적인 발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조사통과 조리개는 이러한 발전과 함께 사용되어 노출시간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필름특성곡선의 기울기로부터 알 수 있는 것은?

  1. 흡수단면적
  2. 산란선의 감소
  3. 노출시간 단축
  4. 불필요한 방사선 차단
(정답률: 알수없음)
  • 필름특성곡선의 기울기는 필름의 민감도를 나타내며, 높을수록 더 많은 방사선을 받아들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기울기가 작아지면 필름은 덜 민감해지게 되어 적은 양의 방사선만으로도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산란선의 감소와 관련이 있습니다. 산란선은 물질 내에서 방사선이 산란되어 나오는 선으로, 필름에 도달하는 산란선의 양이 적어지면 필름은 덜 민감해지게 됩니다. 따라서 필름특성곡선의 기울기가 작아지면 산란선의 감소가 일어나고, 이는 필름의 민감도가 낮아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방사선안전관리 관련규격

21. 파장이 5 X 10-10cm 인 X선의 에너지는 약 몇 keV 인가?

  1. 124
  2. 248
  3. 350
  4. 402
(정답률: 알수없음)
  • X선의 에너지(E)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E = hc/λ

    여기서 h는 플랑크 상수, c는 빛의 속도, λ는 파장입니다.

    따라서, E = (6.626 x 10^-34 J·s) x (3 x 10^8 m/s) / (5 x 10^-10 m) = 1.24 x 10^-16 J

    1 Joule(J)는 6.24 x 10^18 electron volt(eV)와 같으므로, 위의 결과를 eV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E = 1.24 x 10^-16 J x (6.24 x 10^18 eV/J) = 7.73 keV

    따라서, 파장이 5 x 10^-10cm인 X선의 에너지는 약 7.73 keV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24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X선관에서 표적(양극)물질로 텅스텐을 사용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융점이 높다.
  2. 특성 X선을 나타낸다.
  3. 원자번호가 크다.
  4. X선 발생효율이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X선관에서 표적(양극)물질로 텅스텐을 사용하는 이유는 "특성 X선을 나타낸다." 입니다. 텅스텐은 원자번호가 크고 융점이 높아 X선 발생효율이 좋기 때문에 X선 발생에 적합한 물질입니다. 하지만 이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이유는 텅스텐이 특성 X선을 나타낸다는 것입니다. 특성 X선은 원자의 전자가 에너지를 받아서 빠져나올 때 방출되는 X선으로, 각 원소마다 고유한 특성 X선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텅스텐을 표적물질로 사용하면 특성 X선을 쉽게 얻을 수 있어서 X선 분석에 매우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같은 에너지를 가진 X선과 감마선의 기본적인 차이는?

  1. 속도
  2. 주파수
  3. 발생원
  4. 파장의 크기
(정답률: 50%)
  • X선과 감마선은 모두 고에너지 전자기파이지만, 그들의 기본적인 차이는 발생원에 있습니다. X선은 전자가 고속으로 움직이거나 원자핵과 상호작용할 때 발생하며, 감마선은 원자핵의 에너지 상태 변화나 핵분열 등의 고에너지 핵과 상호작용할 때 발생합니다. 따라서, 발생원이라는 것은 X선과 감마선의 구분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용착 금속이나 용착 금속과 모재사이에 산화물, 황화물 등과 같은 비금속 개재물이 내부에 존재할 때 가장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비파괴검사법은?

  1. 방사선투과시험
  2. 자분탐상시험
  3. 와전류탐상시험
  4. 침투탐상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비금속 개재물이 내부에 존재할 때 가장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비파괴검사법은 방사선투과시험입니다. 이는 X선이나 감마선을 이용하여 물체 내부를 촬영하여 결함이나 이물질 등을 발견하는 방법으로, 용착 금속이나 용착 금속과 모재사이에 존재하는 비금속 개재물을 탐지할 수 있습니다. 자분탐상시험은 미세한 입자를 탐지하는데 적합하며, 와전류탐상시험은 표면 결함을 탐지하는데 적합합니다. 침투탐상시험은 금속 내부 결함을 탐지하는데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X선 튜브를 냉각시키는 물질이 아닌 것은?

  1. 기름
  2. 공기
  3. 지르콘사
(정답률: 알수없음)
  • X선 튜브를 냉각시키는 물질은 물, 기름, 공기이며, 지르콘사는 X선 튜브를 냉각시키는 물질이 아닙니다. 지르콘사는 주로 핵연료로 사용되는 물질로, X선 튜브를 냉각시키는 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주강품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D 0227)에 따른 투과 사진의 홈의 영상 분류 시 틀린 설명은

  1. 블로홀에 대해서는 흠점수를 구하여 분류를 결정한다.?
  2. 갈라짐이 존재하는 경우는 항상 4류로 한다.
  3. 개재물에 대해서는 흠점수를 구하여 분류를 결정한다.
  4. 나뭇가지 모양의 슈링키지에 대해서는 흠면적을 구하여 분류를 결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갈라짐이 존재하는 경우는 항상 4류로 한다는 것은, 갈라진 부분이 어떤 불량인지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갈라진 부분이 있으면 최악의 경우인 4류로 분류하여 안전성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강용접 이음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B 0845)에 의한 결함의 분류방법에서 시험시야의 크기는 어떻게 구분하고 있는가?

  1. 10×10, 10×20, 10×30
  2. 10×10, 20×20, 30×30
  3. 10×10, 10×20, 10×50
  4. 10×10, 10×30, 50×50
(정답률: 알수없음)
  • 강용접 이음부의 결함을 분류하기 위해 시험시야를 구분하는데, 이는 강판의 두께와 결함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시험시야의 크기는 일정한 간격으로 증가하며, 보통 10×10, 10×20, 10×30 등의 크기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정답은 "10×10, 10×20, 10×30"인 이유는, 이 크기들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강판의 두께와 결함의 크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10×10은 작은 결함을 검출하기에 적합하고, 10×20은 중간 크기의 결함을 검출하기에 적합하며, 10×30은 큰 결함을 검출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이 세 가지 크기가 결함 분류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정답으로 선택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방사선의 종류에 따른 차폐방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β입자는 제동복사를 고려한다.
  2. X선은 원자번호가 큰 물질로 차폐한다.
  3. 중성자는 감속시켜 차폐체에 흡수시킨다.
  4. γ선은 가벼운 원소로 차폐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γ선은 가벼운 원소로 차폐하는 것이 효과적이다."가 틀린 것입니다. γ선은 차폐하기 어렵기 때문에 높은 밀도의 물질로 차폐해야 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는 "높은 밀도의 물질로 차폐한다."로 바꿔야 합니다.

    γ선은 고에너지의 전자기파로, 전자기파는 전하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전자기력에 의한 제동복사나 전하에 의한 흡수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높은 밀도의 물질로 차폐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선량당량 단위는 국제단위(SI)로 Sv(시버트)를 사용하며 기존에는 rem을 사용했다. 다음중 1rem을 국제단위로 옳게 환산한 것은?

  1. 1mSv
  2. 10mSv
  3. 100mSv
  4. 1Sv
(정답률: 알수없음)
  • 1rem은 0.01Sv에 해당하며, 1mSv는 0.1rem에 해당한다. 따라서 1rem을 국제단위로 환산하면 10mSv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개인피폭선량 측정용 모니터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필름배지는 X, γ 및 중성자를 측정할 수 있다.
  2. 휴먼카운터는 γ선 및 고에너지 β선을 검출한다.
  3. 포켓선량계의 측정범위는 대략 10~200mrem 이다.
  4. 형광유리 선량계는 특수유리를 가열하여 발광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형광유리 선량계는 특수유리를 가열하여 발광시킨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이유를 설명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방사성 동위원소 중 반감기가 큰 순서로 나열된 것은?

  1. Ir-192 > Cs-137 > Tm-170 > Co-60
  2. Cs-137 > Co-60 > Tm-170 > Ir-192
  3. Co-60 > Cs-137 > Ir-192 > Tm-170
  4. Cs-137 > Ir-192 > Co-60 > Tm-170
(정답률: 알수없음)
  • Cs-137의 반감기는 30년, Co-60의 반감기는 5.27년, Tm-170의 반감기는 128.6일, Ir-192의 반감기는 73.8일입니다. 반감기는 원소가 방사능을 가지고 있을 때, 반감기 시간이 지나면 반감기 시간의 절반만큼 방사능이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반감기가 큰 원소일수록 방사능이 더 느리게 감소하므로 Cs-137의 반감기가 가장 크고, Ir-192의 반감기가 가장 작습니다. 따라서 Cs-137 > Co-60 > Tm-170 > Ir-192 순으로 나열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강용접 이음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B 0845)에서 투과사진의 농도가 3.8 일 때 사용할 수 있는 관찰기의 휘도 요건으로 옳은 것은?

  1. 4000cd/m2 이상
  2. 3000cd/m2 이상
  3. 1000cd/m2 이하
  4. 3000cd/m2 미만
(정답률: 알수없음)
  • 투과사진의 농도가 3.8일 때, 관찰기의 휘도 요건은 최소한 3000cd/m2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관찰기의 밝기가 일정 수준 이상이어야 투과사진의 농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4000cd/m2 이상일 경우에도 더욱 정확한 관찰이 가능하지만, 최소한 3000cd/m2 이상이어야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습니다. 1000cd/m2 이하나 3000cd/m2 미만의 경우에는 관찰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강용접 이음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B 08450)에서 모재두께가 30MM인 강용접부의 투과시험에서 1종 결함이 1개인 경우 점수로서 산정하지 않는 결함의 치수는 얼마인가?

  1. 0.3mm 이하
  2. 0.5mm 이하
  3. 0.7mm 이하
  4. 1.0mm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강용접 이음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B 08450)에서는 1종 결함이 1개인 경우, 점수로서 산정하지 않는 결함의 치수는 0.7mm 이하이다. 이는 KS B 08450에서 결함의 크기에 대한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1종 결함이 1개인 경우, 점수로서 산정하지 않는 결함의 크기는 0.7mm 이하이기 때문이다. 이는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준으로 설정된 것이며, 이를 준수하여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강용접 이음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B 0845)에서 강판의 T용접 이음부에 대한 투과사진의 상질은 어떤 것을 적용하는가?

  1. A급
  2. P1급
  3. B급
  4. F급
(정답률: 알수없음)
  • 강용접 이음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B 0845)에서 강판의 T용접 이음부에 대한 투과사진의 상질은 F급을 적용한다. F급은 최저 상징적 결함을 나타내며, 이는 허용되는 결함의 크기와 수를 나타내는 등급 중에서 가장 낮은 등급이다. 따라서 F급은 결함의 크기와 수에 대한 제한이 가장 느슨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알루미늄 평판 접합 용접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D 0242)에 따른 투과사진의 판정 시 시험부의 두께가 20mm 이상 40mm 미만일 때 흠집수로 산정하지 않는 블로홀의 최대 크기는 얼마인가?

  1. 0.6mm
  2. 0.8mm
  3. 1.0mm
  4. 1.2mm
(정답률: 알수없음)
  • 알루미늄 평판 접합 용접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D 0242)에서는 흠집수로 산정하지 않는 블로홀의 최대 크기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 두께가 20mm 이상 40mm 미만인 시험부에서는 최대 크기가 0.6mm 이하인 블로홀
    - 두께가 40mm 이상인 시험부에서는 최대 크기가 1.0mm 이하인 블로홀

    따라서, 이 문제에서 시험부의 두께가 20mm 이상 40mm 미만이므로 최대 크기가 0.6mm 이하인 블로홀을 허용한다. 따라서 정답은 "0.6m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비파괴검사용 화질지시계-원리 및 판정(KS A 4054)의 투과도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바늘형 투과도계의 띠형은 7개의 선으로 구성된다.
  2. 바늘형 투과도계의 일반형은 9개의 선으로 구성된다.
  3. 바늘형 투과도계의 일반형은 동일 지름의 선으로 구성 된다.
  4. 바늘형 투과도계의 띠형은 동일 지름의 선으로 구성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바늘형 투과도계의 띠형은 동일 지름의 선으로 구성된다. 이는 바늘형 투과도계가 원형의 물체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때 띠형은 원형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으로 구성되어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늘형 투과도계의 띠형은 동일 지름의 선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강용접 이음부의 방사선 투과시험방법(KS B 0845)에서 계조계는 모재의 두께 50mm 이하의 용접이음부에 사용한다. 모재의 두께에 따른 계조계의 종류로 옳게 연결된 것은?

  1. 20.0mm 이하 : 10형
  2. 20.0mm 초과 30mm 이하 : 15형
  3. 20.0mm 초과 40mm 이하 : 20형
  4. 30.0mm 초과 50mm 이하 : 25형
(정답률: 알수없음)
  • 강용접 이음부의 방사선 투과시험방법(KS B 0845)에서 계조계는 모재의 두께에 따라 종류가 결정된다. 계조계는 모재의 두께가 얼마 이상일 때 어떤 종류를 사용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데, 이 경우에는 모재의 두께가 20.0mm 초과 40mm 이하일 때 20형을 사용해야 한다. 이유는 20형은 모재의 두께가 20.0mm 초과 40mm 이하일 때 최적의 계조계이기 때문이다. 다른 종류의 계조계는 모재의 두께에 따라 적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정확한 종류를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스테인리스강 용접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 및 투과사진의 등급분류 방법(KS D 0237)에 따라 투과사진에 대한 결함 및 등급의 분류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결함의 종류를 4종류로 분류하고 있다.
  2. 균열 및 이와 유사한 결함은 모두 4급으로 등급 분류한다.
  3. 표면에 발생한 언더컷(Undercut)은 스테인리스강에서 중요한 내용이므로 등급 분류를 정확히 하여야 한다.
  4. 금속조직 등에 기인하는 선상 또는 반점상의 음영은 강도의 저하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으므로 등급 분류에 포함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균열 및 이와 유사한 결함은 모두 4급으로 등급 분류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KS D 0237에서는 균열 및 이와 유사한 결함을 1~4급으로 등급 분류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오류가 있습니다.

    "표면에 발생한 언더컷(Undercut)은 스테인리스강에서 중요한 내용이므로 등급 분류를 정확히 하여야 한다."라는 이유는 언더컷은 용접부의 강도를 저하시키는 결함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등급 분류를 정확히 하여 용접부의 안전성을 보장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방사선안전관리 등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규정하는 방사능표지의 크기를 틀리게 나타낸 것은?

  1. 방사선관리구역은 반지름 15cm 이상
  2. 방사성동위원소의 저장실은 반지름 5cm 이상
  3. 방사성동위원소의 저장함은 반지름 3cm 이상
  4. 방사선 발생장치의 사용실은 반지름 10cm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방사선관리구역은 반지름 15cm 이상"입니다.

    방사능표지의 크기는 규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는 오류가 있습니다.

    방사성동위원소의 저장실은 반지름 5cm 이상이어야 하는 이유는 방사능이 방출되는 동위원소를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해서입니다. 방사능은 시간이 지나도 계속해서 방출되므로, 저장실의 크기가 작으면 방사능이 축적되어 위험한 수준에 이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충분한 크기의 저장실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Ir-192 감마선 조사기를 사용하는 종사자가 방사선량율이 100mR/h 인 곳에서 작업하려면 1일 작업시간을 얼마로 제한하면 되는가? (단, 1일 허용선량은 20mR 이다.)

  1. 6분
  2. 12분
  3. 1시간
  4. 12시간
(정답률: 알수없음)
  • 1일 허용선량은 20mR 이므로, 1시간에 허용되는 선량은 20mR/24시간 = 0.83mR 이다. 따라서, 100mR/h 인 곳에서 1시간 작업하면 100mR 이므로, 0.83mR를 넘지 않도록 작업시간을 제한해야 한다. 이를 계산하면, 0.83mR = 100mR/h x 작업시간/60분 이므로, 작업시간은 약 12분이 된다. 따라서, 종사자는 1일 작업시간을 12분으로 제한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금속재료일반 및 용접 일반

41. 개인정보와 낚시의 합성어로서 유명 업체의 위장 홈페이지를 만든 뒤 불특정 다수 이메일 이용자에게서 개인 정보를 빼내는 행위는?

  1. 인터넷 백도어
  2. 인터넷 웜
  3. 스파이 웨어
  4. 인터넷피싱
(정답률: 알수없음)
  • 인터넷피싱은 개인정보와 낚시를 합성한 용어로, 유명 업체의 위장 홈페이지를 만들어 불특정 다수 이메일 이용자에게서 개인 정보를 빼내는 행위를 말합니다. 따라서, "인터넷피싱"이 정답입니다. 인터넷 백도어는 컴퓨터 시스템에 침입하여 제어권을 획득하는 것을 말하며, 인터넷 웜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으로 복제되어 전파되는 악성 코드를 말합니다. 스파이 웨어는 사용자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하거나 제어권을 획득하는 악성 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운영체제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Visual Basic
  2. DOS
  3. Windows XP
  4. UNIX
(정답률: 알수없음)
  • "Visual Basic"은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운영체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인터넷 도메인명으로 대학을 나타내는 것은?

  1. ac
  2. co
  3. go
  4. re
(정답률: 알수없음)
  • "ac"는 academic(학술적인)의 약어로, 대학과 연구기관을 나타내는 인터넷 도메인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른 프로그램을 감염시키지 않고 자기 자신을 복제하면서 통신망을 통해 널리 퍼지는 것은?

  1. 백도어
  2. CIH바이러스
  3. 트로이목마
(정답률: 알수없음)
  • 웜은 자기 자신을 복제하면서 통신망을 통해 다른 컴퓨터에 전파되는 악성코드입니다. 따라서 다른 프로그램을 감염시키지 않고 자기 자신을 복제하면서 통신망을 통해 널리 퍼지는 것이 웜의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은행 및 항공권 예약 업무 등에서 사용되는 시스템으로 데이터가 발생되는 즉시 처리해주는 것은?

  1. 실시간처리시스템
  2. 분산자료처리시스템
  3. 시분할처리시스템
  4. 일괄처리시스템
(정답률: 알수없음)
  • 실시간처리시스템은 데이터가 발생되는 즉시 처리해주는 시스템으로, 은행 및 항공권 예약 업무에서는 실시간으로 예약 정보를 처리하고 예약 가능 여부를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실시간처리시스템이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실시간처리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공구용 재료가 구비해야할 조건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내마열성이 커야한다.
  2. 열처리와 가공이 용이해야 한다.
  3. 강인성이 작아야 한다.
  4. 상온 및 고온에서 경도가 높아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강인성이 작아야 한다."입니다. 공구용 재료는 강인성이 높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강인성이 작으면 공구가 금방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철(Fe)과 비교한 구리(Cu)의 성질로 틀린 것은?

  1. 전열성이 크다.
  2. 경도가 높다
  3. 열전도율이 높다
  4. 전기전도율이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경도가 높다

    설명: 철과 구리는 모두 전열성, 열전도율, 전기전도율이 높은 금속입니다. 그러나 구리는 철보다 더 부드럽고 덜 단단합니다. 따라서 경도가 높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금속의 결정구조에서 조밀육방격자(HCP)의 배위수는?

  1. 6
  2. 8
  3. 10
  4. 12
(정답률: 알수없음)
  • 조밀육방격자(HCP)의 배위수는 12입니다. 이는 HCP 구조가 ABABAB...와 같이 쌓인 층을 가지며, 각 층은 육각형 모양을 띠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한 층에 있는 원자의 수는 6개이고, 이웃하는 층과의 원자 쌍의 수는 2개이므로, 총 배위수는 6 x 2 = 12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주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주철에 비하여 기계적 성질이 나쁘다.
  2. 용접에 의한 보수가 어렵다
  3. 주조한 상태로는 조직이 거칠고 메짐성이 있다
  4. 주조 후에는 응력을 제거할 필요가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강은 주철에 비해 기계적 성질이 나쁘며, 용접에 의한 보수가 어렵습니다. 이는 주조한 상태로는 조직이 거칠고 메짐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조 후에는 응력을 제거할 필요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6-4황동에 Sn을 1% 첨가한 합금으로, 조성이 62%Cu-37% Zn-1%Sn 인 것으로 용접봉, 밸브대 등에 사용되는 합금은?

  1. 에드미럴티 황동(admiralty brass)
  2. 네이벌 황동(naval brass)
  3. 톰백(tombac)
  4. 망간 황동
(정답률: 알수없음)
  • 네이벌 황동은 Cu-Zn-Sn 합금으로, 조선업에서 사용되는 합금으로서 우수한 내식성과 기계적 강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용접봉, 밸브대 등과 같은 조선업에서 사용되는 부품에 적합한 합금입니다. 또한, Sn을 첨가하여 합금의 강도와 내식성을 높였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네이벌 황동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산과 작용하였을 때 수소 가스가 발생하기 가장 어려운 금속은?

  1. Ca
  2. Na
  3. Al
  4. Au
(정답률: 알수없음)
  • 금속의 화학적 성질은 원자의 전자 구조와 결합 형태에 따라 결정됩니다. 산과 작용하면서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은 금속과 산의 화학 반응입니다. 이 반응에서 금속은 산화되어 수소를 방출합니다.

    금속의 산화능력은 전자 구조와 결합 형태에 따라 결정됩니다. 전자 구조가 안정하고 결합 형태가 강한 금속일수록 산화하기 어렵습니다. Au는 전자 구조가 안정하고 결합 형태가 강한 금속으로, 산화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산과 작용하였을 때 수소 가스가 발생하기 가장 어려운 금속은 Au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Fe3C 화합물에서 Fe 원자 비는 몇%인가?

  1. 25
  2. 55
  3. 75
  4. 95
(정답률: 알수없음)
  • Fe3C 화합물에서 Fe 원자 비는 75%이다. 이유는 Fe3C 분자식에서 Fe 원자가 3개 있고, 전체 분자식에서 원자의 수는 4개이므로 Fe의 비율은 (3/4) x 100 = 75%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Fe-C 평형상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공정점의 탄소량은 약 0.80% 이다.
  2. 포정점의 온도는 약 1490℃ 이다.
  3. 공석점에서는 레데뷰라이트가 석출한다.
  4. A0 를 철의 자기변태점이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Fe-C 평형상태도는 철과 탄소의 비율에 따른 각 온도에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 상태도에서 포정점은 철과 탄소가 고체 상태에서 함께 존재하는 온도이다. 이 온도에서는 철과 탄소가 모두 고체 상태에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를 평형상태라고 한다. 포정점의 온도가 약 1490℃인 이유는 Fe-C 평형상태도에서 해당 온도에서 철과 탄소가 함께 고체 상태에서 존재할 수 있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첨가되는 주성분으로 옳은 것은?

  1. Pb-Mg
  2. Cu-Al
  3. Cr-Ni
  4. P-Sn
(정답률: 알수없음)
  •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내식성과 내열성이 뛰어나며, 크롬(Cr)과 니켈(Ni)이 주성분으로 첨가됩니다. 이는 크롬이 스테인리스강의 내식성을 향상시키고, 니켈이 내열성과 내식성을 높여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Cr-Ni"입니다. Pb-Mg, Cu-Al, P-Sn은 스테인리스강에 첨가되는 주성분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비커스 경도계 시험하중 유지시간을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경우 약 몇 초 정도가 적당한가?

  1. 1~3
  2. 10~15
  3. 25~30
  4. 50~60
(정답률: 알수없음)
  • 비커스 경도계 시험하중 유지시간을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경우, 일반적으로 10~15초 정도가 적당합니다. 이는 시험하중을 충분히 유지하여 시료의 물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시간이며, 동시에 시간이 너무 길어지면 시료의 변형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범위가 가장 적절한 시험하중 유지시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물의 삼중점(고체, 액체, 기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1기압 0℃에서 나타난다.
  2. 삼중점에서의 자유도는 2이다.
  3. 3가지의 성분이 같이 존재하는 점이다.
  4. 3가지 사항이 같이 존재하는 점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물의 삼중점은 고체, 액체, 기체 상태의 물이 모두 같이 존재하는 지점입니다. 따라서 "3가지 사항이 같이 존재하는 점이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기압과 온도는 삼중점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며, 이 때의 자유도는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구조용 합금강 중 강인강에서 Fe3C 중에 용해하여 경도 및 내마열성을 증가시키며 임계냉각 속도를 느리게 하여 공기중에 냉각 하여도 경화하는 자경성이 있는 원소는?

  1. Ni
  2. Mo
  3. Si
  4. Cr
(정답률: 알수없음)
  • 강인강은 탄소 함량이 0.2% 이하인 강종으로, 경도와 내마열성이 낮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Fe3C를 용해하여 경도와 내마열성을 증가시키는데, 이때 임계냉각 속도를 느리게 하여 공기중에 냉각 하여도 경화하는 자경성이 있는 원소가 필요합니다.

    Cr은 자경성이 높은 원소 중 하나로, Fe-C계통에서도 자경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Cr은 합금강에서 산화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서 내식성이 우수하며, 고온에서도 강도를 유지할 수 있어서 고온 내구성도 우수합니다. 따라서 강인강에서 Cr을 합금하면 경도와 내마열성을 증가시키면서도 자경성과 내식성, 고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서 적합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용접 결함 중 언더컷의 방지대책으로 틀린 것은?

  1. 높은 전류를 사용한다.
  2. 용접 속도를 늦춘다
  3. 짧은 아크 길이를 유지한다.
  4. 모재에 적합한 용접봉을 선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높은 전류를 사용하는 것은 오히려 언더컷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고온으로 인해 용접봉과 모재 사이의 금속이 녹아내리면서 언더컷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올바른 방법은 용접 속도를 늦추거나 짧은 아크 길이를 유지하거나 모재에 적합한 용접봉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아세틸렌에 함유된 불순물 중 용접부의 강도를 저하시키고 용접장치를 부식시키는 대표적인 원소는?

  1. 황화수소
  2. 산소
  3. 메탄
  4. 암모니아
(정답률: 알수없음)
  • 황화수소는 아세틸렌과 함께 사용되는 가스 중 하나이며, 용접부의 강도를 저하시키고 용접장치를 부식시키는 대표적인 원소입니다. 이는 황화수소가 고체 불순물과 반응하여 황화물을 생성하고, 이 황화물이 용접부의 강도를 약화시키고 용접장치를 부식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세틸렌 사용 시 황화수소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가스용접에 쓰이는 가연성가스의 필요 성질이 아닌 것은?

  1. 불꽃의 온도가 높을 것
  2. 연소속도가 느릴 것
  3. 발열량이 클 것
  4. 용융금속과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을 것
(정답률: 알수없음)
  • 가스용접에서는 불꽃의 온도가 높아야 용접이 가능하므로 "불꽃의 온도가 높을 것"은 필요한 성질입니다. 그러나 "연소속도가 느릴 것"은 필요한 성질이 아닙니다. 연소속도가 느리면 용접이 불가능하거나 용접이 불완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소속도가 느릴 것"은 가스용접에 쓰이는 가연성가스의 필요 성질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