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식물병리학
1. 벼줄무늬잎마름병 바이러스의 매개충은?
2. 진균(곰팡이)의 특징이 아닌 것은?
3. 바이로이드(viroid)에 의한 병은?
4. 독소와 기주특이성과의 관계를 알맞게 설명한 것은?
5. 식물병원균의 생태형(race)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은?
6. 다음의 식물병해 중 식물체내 규산함량이 많을수록 저항성이 강해지는 것은?
7. 다음 병원 중 전염성이 아닌 것은?
8. 다음 병 중 여름날씨가 저온다습할 때 심하게 발생되는 병은?
9. 하우스내 재배작물에 병이 많이 발생하는 가장 큰 이유는 어느 것인가?
11. 바이러스병의 진단에 흔히 이용되는 식물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2. 병원균이 생물이 아니므로 전염성이 없는 병해는?
13. 노균병균이 기주에 침입하는 곳은?
14. 씨감자를 고냉지(高冷地)에서 생산하는 이유는?
15. 수목의 흰가루병은 어느 진균에 속하는가?
16. 뿌리혹병(근두암종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17. 다음 중 녹병의 표징은?
18. 파이토플라스마의 진단법으로 부적당한 것은?
19. 물에 의해 전반되는 식물 병원체가 아닌 것은?
20. 식물병 종합적 방제의 목표로서 틀린 것은?
2과목: 농림해충학
21. 곤충의 기관에서 체외로 방출되어 같은 종의 다른 개체에 교미, 집합 등의 특정한 행동을 일으키는 화학물질을 (A)이라 하고, 다른 종간에 상호작용하는 물질로 이물질을 받는 종에게 유리한 반응을 유도하는 물질을 (B)이라 한다. A, B에 맞는 용어는?
22. 파리목에 속하는 곤충은 날개가 어느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가?
23. 고자리파리의 숙주가 아닌 것은?
24. 딱정벌레 목(目)의 특징이 아닌 것은?
25. 총채벌레목의 특징이 아닌 것은?
26. 다음 해충 중 벼의 잎을 엽초만 남기고 마구 먹으며, 다 먹은 다음에는 다른 논으로 이동하는 것은?
27. 당근뿌리혹선충은 알에서 깨어난 제2령유충이 기주식물 뿌리속에 침입하여 성장과 탈피를 거듭 한 후에 성충이 된다. 부화이후 정확한 탈피 횟수는?
28. 다음 중 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은?
29. 식물의 해충에 대한 내충성은 유전적인 것이다. 작물의 선천적 내충성은 보통 3종류로 구분되는데 내충성과 관계가 없는 것은?
30. 곤충의 소화계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31. 다음 해충 중 성충으로 월동하는 것은?
32. 소나무의 새로 나온 가지가 부러져 달려 있다. 자세히 보니 부러진 부분에 벌레가 먹어 들어간 구멍이 있고 늘어진 새 가지의 나무속(수부)에 터널이 있었다. 다음 중 어느 해충의 피해인가?
33. 미국흰불나방의 방제약제 중 효과적인 것은?
34. 유충을 기준으로 체장은 24mm정도, 머리는 담갈색, 몸의 앞과 뒤에 암자색 무늬가 있다. 유충의 몸은 통통하고, 황록색이며 센털(刺毛)이 있다. 새알처럼 생긴 고치 속에서 유충으로 월동한다. 이것은 어떤 해충인가?
35. 다음 곤충 중 분류학적으로 꿀벌과 가장 가까운 것은?
36. 주광성을 이용해서 성충을 유살할 수 없는 해충은?
37. 솔잎혹파리의 가해상태는?
38. 솔잎혹파리의 가해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39. 벼오갈병(萎縮病)의 병원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매개충은 어느 것인가?
40. 시설채소에서 많이 발생하는 해충으로 성충의 체장은 1.4mm 정도로서 작은 파리모양이고, 몸색은 옅은 황색이지만 몸표면이 흰 왁스가루로 덮혀 있어 흰색을 띤다. 이것은 어떤 해충인가?
3과목: 농약학
41. 우리나라 농약관리법에서 잔류성 농약을 구분하는데 해당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
42. 농약원제에 발연제, 방염제 등을 혼합하고 기타 보조제 및 증량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농약제형은?
43. 30% Hinosan 유제를 1000 배로 희석하기 위해 10a 에 물 10 말을 살포하려고 할 때 Hinosan 유제의 소요량은 얼마인가? (단, 1말 = 18000cc)
44. 우리나라의 농약의 독성을 구분할 때 고체의 경피독성(mg/kg체중)으로 고독성의 경우에 해당하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45. 65 % 지오릭스(Endosulfan)분말 1㎏ 을 5 % 분제로 만들려면 이에 소요되는 증량제의 양은?
46. 네오아소진 농약은 약해를 해결하기 위해 유기비소제에 다음 어느 금속을 결합시켰는가?
47. 다음 계면활성제(界面活性劑)를 구성하는 원자단 중 친유성(親油性)을 갖는 것은?
48. 페녹시계 제초제인 2,4 - D 의 작용기작은?
49. 우리 나라 농약관리법에서 정하고 있는 농약의 독성정도에 따른 농약의 구분이 아닌 것은?
50. 과수나 정원수의 해충을 방제하기 위해서 나무줄기 등에 처리하여 사용되는 농약사용 방법은?
51. 살비제의 구비요건 중 바람직하지 못한 것은?
52. 수화제 농약의 물리성 중 가장 중요하지 않은 것은?
53. 무기 화합물 농약시대의 약제가 아닌 것은?
54. 농약의 명칭 중 농약개발회사의 약자 또는 약종의 상징 문자에다 선택번호를 부여하여 개발하는 동안 등록 되기 전에 사용되어지는 명칭은 무엇인가?
55. 농약 살포중의 중독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예방책이 아닌것은?
56. 카바메이트계 살충제는?
57. 다음 중 농약의 보조제에 속하지 않는 것은?
58. 다음 중 직접살포제 농약이 아닌 것은?
59. 농약 혼용의 기대 효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60. 세빈 25% 유제(비중은 1.0)100cc 를 희석하여 0.05% 의 살포액을 만들고져 한다. 이에 소요되는 물의 양은 얼마인가?
4과목: 잡초방제학
61. 벼와 경합하는 논잡초는?
62. 제초제 5% 용액이란 물 10㎖에 몇 g의 제초제가 용해되어 있는 것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63. 잡초로 인한 작물의 피해요인으로 맞지 않은 것은?
64. 방동사니류 잡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65. 제초제의 제형 중 입제의 특성이 아닌 것은?
66. 잡초 방제를 위해 곤충, 병원균 및 동물 등을 이용하는 방법은?
67. 잡초의 지하경 형성은 일장 및 이식시기에 따라 달라지는 데 일반적으로 일장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발생하는 대표적인 잡초는?
68. 잡초군락의 천이에서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은?
69. 경엽(輕葉)처리용 제초제는?
70. 잡초의 물리적 방제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71. 농경지나 휴경지 및 목초지에서 발견되는 귀화잡초는?
72. 잡초를 형태학적으로 분류할 때 관계 없는 것은?
73. 벼 재배시 벼와 경합이 가장 큰 잡초는?
74. 작물과 잡초의 경합요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75. 다음 중 수생잡초로만 바르게 나열한 것은?
76. 방제가 어려운 문제 잡초의 특성 중 맞는 것은?
77. 우리나라 밭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1년 잡초는?
78. 일반적으로 논 잡초 방제의 최적기는?
79. 제초제의 안전사용 수칙으로 맞지 않는 것은?
80. 잡초발생이 물 관리에 미치는 영향이 아닌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