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3-05)

식물보호산업기사
(2006-03-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식물병리학

1. 병원체의 번식기관으로서의 표징은?

  1. 균핵
  2. 균사체
  3. 균사속
  4. 병자각
(정답률: 61%)
  • 병원체의 번식기관인 병자각은 세포 외부에 있는 작은 구조물로, 세포 분열과 같은 번식과 관련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병원체의 번식기관으로서 표징으로 선택된 것입니다. 균핵은 세포 내부에 있는 핵으로, 번식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균사체와 균사속은 선충류에 해당하는 병원체의 분류에 사용되는 용어이며, 번식기관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바이러스병 방제법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콩 모자이크바이러스병 방제를 위해서는 무병종자의 선택이 보다 중요하다.
  2. 콩 모자이크바이러스병 방제를 위해 진딧물의 방제는 중요 하지 않다.
  3. 감자 잎말림바이러스병의 방제를 위해 건전한 씨감자를 심어야 한다.
  4. 감자 Y바이러스병의 방제에는 진딧물 방제가 중요 하다.
(정답률: 93%)
  • "콩 모자이크바이러스병 방제를 위해 진딧물의 방제는 중요 하지 않다."가 틀린 것이다. 콩 모자이크바이러스병 방제에는 진딧물 방제도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이종기생균은?

  1. 향나무 녹병균
  2. 밀 속깜부기병균
  3. 복숭아 세균성 구멍병
  4.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
(정답률: 87%)
  • 이종기생균이란, 다른 종류의 생물과 함께 살아가며 상호작용하는 균을 말합니다. "향나무 녹병균"은 향나무를 감염시키는 균으로, 이종기생균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동일한 종류의 생물에 감염되는 균 또는 바이러스이므로 이종기생균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벼 도열병의 월동처는?

  1. 토양
  2. 매개충의 알.
  3. 중간기주
  4. 피해를 입은 볏짚
(정답률: 84%)
  • 벼 도열병은 볏짚에서 발생하는 질병으로, 볏짚이 월동하는 동안 병원균이 생존하여 다음해 봄에 벼에 감염됩니다. 따라서 월동처인 볏짚이 벼 도열병의 발생과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이 병원균은 피해를 입은 볏짚에서는 적게 발생하므로, 피해를 입은 볏짚이 벼 도열병의 월동처로서 적합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채소류 잿빛곰팡이병의 방제법으로 맞는 것은?

  1. 비닐하우스를 최대한 습하도록 해준다.
  2. 하우스내 온도를 20℃ 전후로 조절한다.
  3. 배수가 잘되도록 한다.
  4. 밀식을 한다.
(정답률: 94%)
  • 채소류 잿빛곰팡이병은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배수가 잘되도록 하여 습기를 줄이는 것이 방제법 중 하나이다. 따라서 비닐하우스 내부를 건조하게 유지하기 위해 배수가 잘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병원균의 포자가 공기 중에 확산되어 주로 바람에 의해 전파되는 병은?

  1. 벼 잎집무늬마름병(잎집얼룩병)
  2. 벼 오갈병
  3. 벼 키다리병
  4. 벼 도열병
(정답률: 70%)
  • 벼 도열병은 병원균의 포자가 공기 중에 확산되어 주로 바람에 의해 전파되는 병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벼 도열병과는 전파 경로가 다르거나, 병원균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은행나무 잎마름병(엽고병)의 병원균 Pestalotia sp. 는 잎에 어떤 방법으로 침입하는가?

  1. 수공으로 침입한다.
  2. 기공으로 침입한다.
  3. 상처부위로 칩입한다.
  4. 각피로 침입한다.
(정답률: 65%)
  • Pestalotia sp.는 상처부위로 침입하여 은행나무 잎에 감염을 일으킵니다. 이는 잎의 표면에 상처가 생기면 그 상처를 통해 병원균이 침입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은행나무 잎마름병 예방을 위해서는 은행나무의 잎을 다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소나무의 병든 잎에 6~11mm간격으로 격막이 생기고 1개 또는 여러개의 흑색 병반(자낭반)이 생기는 병은?

  1. 소나무 녹병
  2. 소나무 잎떨림병
  3. 소나무 잎마름병
  4. 소나무 그을음엽고병
(정답률: 60%)
  • 소나무 잎떨림병은 소나무의 잎에 격막이 생기고 흑색 병반(자낭반)이 생기는 병으로, 이는 곰팡이균에 의해 발생합니다. 격막으로 인해 수분과 영양분 공급이 차단되어 잎이 말라 죽게 되며, 이로 인해 잎이 떨리는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따라서 이 병은 "소나무 잎떨림병"이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병든 식물을 습실처리하여 병의 원인을 가장 많이 진단할 수 있는 것은?

  1. 곰팡이에 의한 병
  2. 세균에 의한 병
  3. 바이러스에 의한 병
  4. 파이토플라스마에 의한 병
(정답률: 81%)
  •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 발생하는 곰팡이는 식물의 잎이나 줄기에 붙어서 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병든 식물을 습실처리하여 병의 원인을 가장 많이 진단할 수 있는 것은 곰팡이에 의한 병입니다. 세균, 바이러스, 파이토플라스마도 식물의 병원체 중 하나이지만, 곰팡이에 비해 습기가 적은 환경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진단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대추나무 빗자루병(천구소병)의 병원체는?

  1. 진균
  2. 세균
  3. 바이러스
  4. 파이토플라스마
(정답률: 77%)
  • 대추나무 빗자루병(천구소병)의 병원체는 파이토플라스마입니다. 이는 세포내 생물체로서 세균과는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으며, 세포벽이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병원체는 대추나무를 감염시켜 잎이 노랗게 변하고, 가지가 굽어지는 증상을 유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길항미생물을 이용하여 방제에 성공한 대표적인 병은?

  1. 배추 무사마귀병
  2. 과수 뿌리혹병
  3. 감귤 궤양병
  4. 벼 흰잎마름병
(정답률: 64%)
  • 과수 뿌리혹병은 길항미생물을 이용하여 방제에 성공한 대표적인 병입니다. 이 병은 과수나무의 뿌리에 생기는 병으로, 뿌리를 부풀게 만들어서 뿌리가 공기를 더 잘 흡수할 수 있게 합니다. 이를 통해 과수나무가 더 건강하게 자라고 열매의 수량과 품질이 향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병징(symptom)을 보고 진단이 용이한 식물병은?

  1. 포도나무 흰가루병
  2. 고구마 무름병
  3. 대추나무 빗자루병
  4. 보리 붉은곰팡이병
(정답률: 46%)
  • 대추나무 빗자루병은 대추나무의 잎이 빗자루처럼 굽어지는 증상이 나타나며, 이 증상이 다른 식물병과 구별하기 쉽기 때문에 진단이 용이합니다. 또한 대추나무 빗자루병의 원인균인 "빗자루균"은 대추나무에 특이적으로 발생하는 균으로, 대추나무에서만 발생하는 식물병이기 때문에 진단이 더욱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식물항체(plantibody)란 무엇인가?

  1. 동물이 만든 항체를 식물에 주입한 것
  2. 병원체의 침입에 반응하여 식물이 만드는 항체
  3. 식물성분에 대해서 동물이 생산한 항체
  4. 동물유전자가 코딩(coding)하지만 식물에서 생산하는 항 체
(정답률: 52%)
  • 식물항체는 동물유전자가 코딩하지만 식물에서 생산하는 항체이다. 즉, 동물에서 만들어진 항체의 유전자를 식물에 전달하여 식물이 항체를 생산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식물이 병원체의 침입에 반응하여 항체를 생산하게 되어, 식물 자체가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자낭균류는?

  1. 벼 잎집무늬마름병균
  2. 복숭아나무 잎오갈병
  3. 배추 노균병균
  4. 파 녹병균
(정답률: 52%)
  • 자낭균류는 복숭아나무 잎오갈병을 일으키는 균류입니다. 이 균류는 복숭아나무의 잎과 가지를 감염시켜 잎이 노랗게 변하고 마르며, 가지가 죽는 증상을 일으킵니다. 이로 인해 수확량이 감소하고, 병해충의 발생을 촉진시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식물병의 방제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단감 둥근무늬낙엽병의 방제를 위하여 낙엽을 모아 태운 다
  2. 수박 덩굴쪼김병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파를 심었 던 밭에 재배한다
  3. 배추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병의 매개충인 애멸구를 방제 한다
  4. 가지과 풋마름병 방제를 위한 윤작은 비효과적이다.
(정답률: 56%)
  • 배추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병의 매개충인 애멸구를 방제하는 것은 다른 보기들과 달리 식물 질병의 직접적인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간접적인 방법으로 질병을 예방하거나 제거하는 것이다.
  • 배추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병의 매개충 : 벼룩잎벌레, 검정배줄벼룩잎벌레
    정답 : 가지과 풋마름병 방제를 위한 윤작은 비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기주체에 침입할 때 병원균이 분비하는 효소는?

  1. Fusaric acid
  2. Victorin
  3. Cutinase
  4. Tabtoxin
(정답률: 46%)
  • 병원균이 기주체에 침입할 때, 기주체의 표면을 덮고 있는 cutin과 같은 지질성 물질을 분해하는 효소가 필요합니다. 이때 분비되는 효소가 바로 Cutinase입니다. Cutinase는 cutin과 같은 지질성 물질을 분해하여 기주체에 침입하는 병원균이 기주체 내부로 침투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배추 뿌리혹병(무사마귀병)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세균에 의해 발생한다.
  2. 온도가 15℃ 이하일 때 잘 발생한다.
  3. 산성토양에서 잘 발생한다.
  4. 벼에도 발생한다.
(정답률: 73%)
  • 정답은 "산성토양에서 잘 발생한다."입니다. 배추 뿌리혹병은 토양 중 pH가 5.5 이하인 산성토양에서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산성토양에서는 뿌리가 약해져서 성장이 저하되고, 성장이 멈춘 뿌리 부분에서 세균이 발생하여 병이 생기게 됩니다. 따라서 산성토양에서는 뿌리혹병 예방을 위해 pH 조절이 필요합니다.
  • 지상부는 건전한 그루에 비해 생육 부진, 생육초기는 잎이 전체적으로 푸른 상태로 시들고, 생육 중기의 감염 그루는 아래쪽잎만 시들거나, 시드는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다. 뿌리는 이상비대, 크고 작은 부정형의 혹, 생육후기에 혹의 상처부위로 세균이나 다른 균류가 침입하여 뿌리가 썩기도 한다.
    점균(끈적균), 절대기생균으로 휴면포자, 변형체, 유주자를 형성
    토양내에서 수 년간 생존할 수 있으며, 병든 식물체의 잔재속에서 겨울을 지난다.
    병원균은 농기구, 곤충 및 인축(人畜)에 의해 전반된다.
    고온, 다습한 조건에서 급격히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벼 오갈병을 옮기는 해충은?

  1. 애멸구
  2. 끝동매미충
  3. 마름무늬매미충
  4. 진딧물
(정답률: 85%)
  • 벼 오갈병을 옮기는 해충은 끝동매미충입니다. 이는 끝동매미충이 벼 오갈병의 바이러스를 전염시키기 때문입니다. 끝동매미충은 벼 오갈병의 주요 전파자 중 하나로, 벼를 포함한 여러 작물에 대해 매해 큰 피해를 입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식물병원체를 동정하기 위한 단크론 항체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단크론 항체는 만들기가 비교적 어렵다.
  2. 단크론 항체는 매번 동물의 혈액을 통해서만 제조할 수 있다
  3. 단크론 항체는 만들기가 비교적 어렵다.
  4. 단크론 항체는 같은 항체를 반복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정답률: 63%)
  • "단크론 항체는 매번 동물의 혈액을 통해서만 제조할 수 있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단크론 항체는 현재는 인공적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동물의 혈액을 사용하지 않고도 제조할 수 있다. 이는 생명공학 기술의 발전으로 가능해졌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식물 바이러스 입자는 주로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1. 핵산과 단백질 껍질
  2. DNA와 RNA
  3. 세포벽과 세포질
  4. 피막과 핵
(정답률: 71%)
  • 식물 바이러스 입자는 핵산과 단백질 껍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핵산은 바이러스의 유전 정보를 담고 있으며, 단백질 껍질은 핵산을 보호하고 바이러스 입자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구성은 바이러스 입자가 강력한 복제 능력을 가지고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농림해충학

21. 부화 유충이 초본류를 가해하다가 수목으로 이동하여 줄기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는 천공성 해충은?

  1. 박쥐나방
  2. 굴벌레나방
  3. 알락하늘소
  4. 향나무하늘소
(정답률: 61%)
  • 박쥐나방은 부화 유충 시기에 초본류를 먹다가 성충이 되면 수목으로 이동하여 줄기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는 천공성 해충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박쥐나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곤충에 살포된 살충제가 작용점까지 도달하는 침투경로라고 할 수 없는 것은?

  1. 경구(經口) 침투
  2. 경시(經翅) 독성
  3. 경피(硬皮) 침투
  4. 경기문(經氣門) 침투
(정답률: 74%)
  • "경시(經翅) 독성"은 날개를 통해 살포된 살충제가 작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날개는 침투 경로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경구 침투는 구강을 통해 살충제가 작용하는 것, 경피 침투는 표면을 통해 살충제가 작용하는 것, 경기문 침투는 기관을 통해 살충제가 작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벼 해충 중 기온이 낮은 해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저온성 해충은?

  1. 흰등멸구
  2. 벼애잎굴파리
  3. 끝동매미충
  4. 이화명나방
(정답률: 56%)
  • 기온이 낮은 해에는 벼애잎굴파리가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데, 이는 벼애잎굴파리가 저온에 강하고 번식력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온이 낮은 해에는 벼애잎굴파리에 대한 예방조치가 필요합니다.
  • 벼 저온성 해충 : 벼물바구미· 벼애잎굴파리(벼잎물가파리)·벼줄기굴파리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성충은 뽕나무의 눈을 가해하고 유충은 목질부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는 뽕나무 해충은?

  1. 뽕나무깍지벌레
  2. 뽕나무애바구미
  3. 뽕나무하늘소
  4. 뽕나무순혹파리
(정답률: 35%)
  • 뽕나무애바구미는 뽕나무의 목질부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는 유충과 성충이 모두 뽕나무를 해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곤충의 생식기관에 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곤충은 일반적으로 체내수정을 한다.
  2. 사람과 마찬가지로 정자는 암컷 체내에서 오래 살아 있을 수 없다.
  3. 암컷의 부속샘(accessory gland)은 알을 코팅하는 기능도 담당한다.
  4. 곤충의 경우 단위생식이나 유생생식을 하는 경우도 있다.
(정답률: 88%)
  • "곤충은 일반적으로 체내수정을 한다."는 생식기관에 관한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곤충은 일반적으로 체내수정을 한다."이다.

    사람과 마찬가지로 정자는 암컷 체내에서 오래 살아 있을 수 없는 이유는, 정자가 생존하기 위해 필요한 영양분이나 환경 조건이 암컷 체내에서는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암컷 체내에서는 정자를 제거하는 면역 체계가 작동하기 때문에 정자가 오래 살아남기 어렵다. 따라서 정자는 암컷 체외에서 적절한 온도와 영양분, 습도 등의 조건을 갖춘 환경에서 생존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소화계의 배열에서 입 이후의 배열 순서가 맞게 배열된 것은?

  1. 인두-모이주머니-위맹낭-중장-직장
  2. 인두-중장-모이주머니-위맹낭-직장
  3. 인두-모이주머니-중장-위맹낭-직장
  4. 인두-위맹낭-모이주머니-중장-직장
(정답률: 69%)
  • 정답은 "인두-모이주머니-위맹낭-중장-직장" 입니다. 소화계에서는 음식물이 입으로 들어와 인두를 통해 식도로 이동하고, 모이주머니에서는 음식물이 잠시 머무르며 소화가 시작됩니다. 그리고 위맹낭에서는 음식물이 소화되고, 중장에서는 소화된 음식물이 흡수되며, 마지막으로 직장에서는 잔여물이 배출됩니다. 따라서, 입 이후에는 인두-모이주머니-위맹낭-중장-직장 순서로 배열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나무이는 어느 목에 속하는가?

  1. 파리목
  2. 노린재목
  3. 매미목
  4. 총채벌레목
(정답률: 57%)
  • 나무이는 매미목에 속합니다. 이는 나무이의 생물학적 특성과 해부학적 특징이 매미목에 속하는 다른 생물들과 유사하기 때문입니다. 매미목은 주로 나무에서 생활하며, 나무의 잎이나 줄기를 먹고 번식합니다. 또한 매미목에 속하는 생물들은 몸이 길쭉하고 날개가 없으며, 미세한 모낭을 가지고 있어서 나무에 붙어서 생활합니다. 이러한 특징들이 나무이와 매미목에 속하는 다른 생물들과 공통점이 있기 때문에 나무이는 매미목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잎을 가해하는 청동풍뎅이는 어떻게 월동하는가?

  1. 유충태로 땅속에서 월동한다.
  2. 난상태로 땅속에서 월동한다.
  3. 성충태로 지피물에서 월동한다.
  4. 번데기 상태로 잎을 먹고 월동한다.
(정답률: 46%)
  • 잎을 가해하는 청동풍뎅이의 유충은 겨울철 추위를 피해 땅속에 들어가 월동을 한다. 이는 땅속에서 안정적인 온도와 습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충태로 땅속에서 월동한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곤충의 호흡계와 소화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호흡계는 기문, 기관, 모세기관으로 구성된다.
  2. 중장과 후장의 내벽은 표피로 덮혀 있어서 탈피할 때마다 새로운 표피로 대체된다.
  3. 기관의 내부는 나선사로 되어 있어 찌그러짐을 방지한다.
  4. 음식물이 주로 소화되는 곳은 중장이다.
(정답률: 77%)
  • "음식물이 주로 소화되는 곳은 중장이다."가 틀린 것입니다.

    중장은 식물성 식품을 소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육식성 곤충의 경우 후장에서 소화가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중장과 후장의 내벽은 표피로 덮혀 있어서 탈피할 때마다 새로운 표피로 대체되는 이유는, 곤충의 외골격이 불완전하기 때문입니다. 외골격은 곤충의 몸을 보호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외골격이 유연하지 않아서 곤충이 성장하면서 몸의 크기가 커지면 외골격도 함께 커져야 합니다. 이를 위해 곤충은 주기적으로 외골격을 탈피하게 되는데, 이때 내부의 표피도 함께 탈락하게 됩니다. 따라서 새로운 표피가 대체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유충기에 지하에서 부식물이나 농작물, 수목 등의 뿌리를 먹고 자란 뒤, 성충이 된 후에는 지상에서 나와서 농작물의 새싹이나 밤나무와 같은 활엽수의 잎을 갉아먹어 피해를 주는 해충은?

  1. 응애류
  2. 매미류
  3. 하늘소류
  4. 풍뎅이류
(정답률: 66%)
  • 풍뎅이류는 유충기에 지하에서 부식물을 먹고 자란 뒤, 성충이 된 후에는 지상에서 나와서 농작물의 새싹이나 밤나무와 같은 활엽수의 잎을 갉아먹어 피해를 주는 해충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벼물바구미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단위생식을 한다.
  2. 유충으로 월동한다.
  3. 외래해충이다.
  4. 성충은 잎을 가해하고 유충은 뿌리를 가해한다.
(정답률: 68%)
  • "유충으로 월동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벼물바구미는 성충이 뿌리를 가해하고 유충은 잎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유충은 겨울철에 땅속에서 월동하지 않고, 떨어진 잎사귀나 땅 위에서 겨울을 이겨냅니다.
  • 성충으로 월동한다. 성충보다 유충의 피해가 더 크다. 1년에 1회 발생.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곤충은 보통 양성생식을 하며 성비는 1:1이 보통이지만 암컷만으로 번식하는 단성생식을 하는 종도 있다. 다음 중 단성생식을 하는 해충은?

  1. 밤바구미
  2. 복숭아유리나방
  3. 밤나무혹벌
  4. 사과굴나방
(정답률: 60%)
  • 정답은 "밤나무혹벌"입니다. 이는 암컷만으로 번식하는 단성생식을 하는 해충으로, 수컷이 없는 환경에서도 번식이 가능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보통의 양성생식을 하며, 성비는 1:1입니다.
  • 유충 땅속 월동, 1년1회 발생, 중국긴꼬리좀벌(천적), 성충은 우화 당일 산란하고 수명은 1~2일.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솔잎혹파리는 분류학상 (A)에 속하며 학명은 (B)이다. A와B에 들어갈 적당한 것은?

  1. A - 노린재목 초파리과, B - Thecodiplosis japonensis Ushida et lnouye
  2. A - 파리목 초파리과, B - Dendrolimus spectabilis Butler
  3. A - 벌목 혹파리과, B - Dendrolimus spectabilis Butler
  4. A - 파리목 혹파리과, B - Thecodiplosis japonensis Ushida et lnouye
(정답률: 78%)
  • 솔잎혹파리는 솔나무 잎에 서식하는 작은 파리로, 그 모습이 혹같이 생겨서 혹파리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러한 솔잎혹파리는 분류학상 파리목 혹파리과에 속하며, 학명은 Thecodiplosis japonensis Ushida et lnouye이다. 따라서 정답은 "A - 파리목 혹파리과, B - Thecodiplosis japonensis Ushida et lnouy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거세미나방의 월동 충태는?

  1. 유충
  2. 번데기
  3. 성충
(정답률: 65%)
  • 거세미나방은 유충으로 월동을 한다. 이는 성충이 날개를 펴고 날아다니는 반면, 유충은 지하나 나무껍질 등에서 월동을 하기 때문이다.
  • 1년 2회 발생, 땅속 월동. 줄기와 잎을 식해, 주광성과 주화성이 강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수목의 수피속 형성층이나 목질부를 가해하지 않는 해충은?

  1. 향나무하늘소
  2. 회양목명나방
  3. 소나무좀
  4. 박쥐나방
(정답률: 63%)
  • 회양목명나방은 수목의 수피속 형성층이나 목질부를 가해하지 않는 해충입니다. 다른 보기들인 "향나무하늘소", "소나무좀", "박쥐나방"은 각각 향나무, 소나무, 박달나무의 수피나 목질부를 가해하는 해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곤충강 중 세계에서 가장 많은 종이 기록되어 있어 많은 해충과 익충이 포함되어 있는 곤충목은?

  1. 사마귀목
  2. 강도래목
  3. 딱정벌레목
  4. 흰개미붙이목
(정답률: 95%)
  • 딱정벌레목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종이 기록되어 있는 곤충목입니다. 이는 많은 해충과 익충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사마귀목, 강도래목, 흰개미붙이목은 딱정벌레목에 비해 기록된 종의 수가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성충은 식물조직에 산란하고 부화한 유충은 2령을 경과한 후 땅속에서 제1, 제2 번데기 기간을 거쳐 성충이 되는 곤충은?

  1. 꽃노랑총채벌레
  2. 온실가루이
  3. 점박이응애
  4. 목화바둑명나방
(정답률: 71%)
  • 꽃노랑총채벌레는 식물조직에 산란하고 부화한 유충이 땅속에서 제1, 제2 번데기 기간을 거쳐 성충이 되는 곤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해충을 유아등에 모이게 하여 죽이는 등화유살은 곤충의 어떤 성질을 이용한 것인가?

  1. 주광성
  2. 주화성
  3. 주풍성
  4. 주열성
(정답률: 88%)
  • 해충은 빛에 매우 민감한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밤에 빛을 따라다니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유아등과 같은 빛을 발하는 물체에 모이게 되고, 이를 이용하여 죽이는 등화유살은 "주광성"을 이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파리의 날개는 몸의 어느 부위에 부착되어 있는가?

  1. 앞가슴
  2. 가운데가슴
  3. 뒷가슴
  4. 능상부
(정답률: 78%)
  • 파리의 날개는 가운데가슴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파리는 세그먼트로 나뉘어진 세 가지 몸 부위를 가지고 있는데, 가운데가슴은 두 번째 세그먼트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파리의 날개는 가운데가슴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벌레몸 껍질조직의 키틴질 형성을 저해하여 탈피억제(IGR계)로 살충효과를 나타내는 농약은?

  1. 메프수화제
  2. 주론수화제
  3. 비펜스린수화제
  4. 싸이스린수화제
(정답률: 45%)
  • 주론수화제는 벌레모 껍질조직의 키틴질 형성을 저해하여 탈피억제(IGR계)로 살충효과를 나타내는 농약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른 작용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농약학

41. 인돌비 액제의 유효성분은?

  1. IAA와 6-benzylaminopurine
  2. IBA
  3. I-naphthylacetamide
  4. 4-CPA
(정답률: 78%)
  • 인돌비 액제는 식물 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호르몬성 액체입니다. 이 액제의 유효성분은 IAA와 6-benzylaminopurine입니다. IAA는 식물의 세포분열과 성장을 촉진시키는 호르몬으로, 6-benzylaminopurine은 식물의 세포분열과 성장을 촉진시키는 다른 호르몬입니다. 이 두 가지 성분이 함께 작용하여 식물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네오아소진 농약은 약해를 해결하기 위해 유기비소제에 다음 어느 금속을 결합시켰는가?

  1. Fe
  2. Mg
  3. Zn
  4. Cu
(정답률: 75%)
  • 네오아소진 농약은 약해를 해결하기 위해 유기비소제에 철(Fe)를 결합시켰습니다. 이는 철이 식물의 생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철은 엽록소 합성에 필요한 효소의 구성 요소이며, 식물의 광합성 작용과 호흡 작용에 모두 관여합니다. 따라서 철 결합이 추가된 네오아소진 농약은 식물의 생장을 촉진하고, 더욱 효과적인 방제 효과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농약의 급성독성에서 농약투여방법에 따른 독성구분이 아닌 것은?

  1. 경구독성
  2. 흡입독성
  3. 경피독성
  4. 보통독성
(정답률: 83%)
  • 보통독성은 농약의 투여방법에 따른 독성구분이 아니라, 농약의 독성이 일반적으로 중등도 수준인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다른 세 가지 독성구분은 농약의 투여방법에 따라 독성이 달라지는 반면, 보통독성은 그렇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파라치온 유제를 500배로 희석하여 살포하려고 할 때 물 1말(18리터)에 필요한 약량은?

  1. 18cc
  2. 20cc
  3. 36cc
  4. 72cc
(정답률: 71%)
  • 파라치온 유제를 500배로 희석한다는 것은 1배의 농도에서 1/500배로 묽혀서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필요한 양은 1/500배인 0.002배의 양이 됩니다. 이를 계산하면 18리터 × 0.002 = 0.036리터가 됩니다. 이를 밀리리터로 환산하면 36cc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6c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유기염소계 농약의 중심 원소는 어떤 것인가?

  1. P
  2. Cl
  3. S
  4. Cu
(정답률: 69%)
  • 유기염소계 농약은 염소 원자가 붙어있는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중심 원소는 염소 원자를 나타내는 "C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농약의 독성을 나타내는 LD50의 의미가 옳은 것은?

  1. 시험 동물의 50%가 생존할 수 있는 농약의 양을 의미한 다
  2. 시험동물을 시험하기 위해 농약의 양 50%가 유지되는 것 을 의미한다.
  3. 공시동물의 체중 kg당 몇mg의 농약을 투여하면, 공시동 물의 반수가 죽게되는 것을 의미한다.
  4. 시험동물이 전체 시험동물의 50%이상이 되어야 하는 것 을 의미하며, 단위는 mg/kg으로 표시한다.
(정답률: 70%)
  • LD50은 공시동물의 체중 kg당 몇mg의 농약을 투여하면, 공시동 물의 반수가 죽게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독성이 높을수록 LD50 값이 작아지며, 독성이 낮을수록 LD50 값이 커집니다. LD50 값은 농약의 안전성 평가에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계면 활성제를 구성하는 다음 원자단 중 친유성이 가장 강한 것은?

  1. ROCH2-
  2. - CnH2n+1
  3. -OH
  4. -SO3H(Na)
(정답률: 69%)
  • 친유성이 가장 강한 원자단은 "- CnH2n+1"이다. 이는 탄화수소 체인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비극성이 강하고, 따라서 다른 분자와 상호작용하기 쉽기 때문이다. ROCH2-는 친수성이 강하고, -OH는 극성이 강하지만, 친유성은 상대적으로 약하다. -SO3H(Na)는 음이온이기 때문에 친유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조메 85%분제 1kg을 50%의 분제로 만들려면 증량제가 얼마나 필요한가?

  1. 0.58kg
  2. 0.7kg
  3. 1.0kg
  4. 1.5kg
(정답률: 59%)
  • 85%의 다조메 1kg은 순도가 높기 때문에 50%의 분제로 만들기 위해서는 물을 첨가해야 한다. 이때, 증량제의 양을 x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1kg(85%) + x = (1+x)kg(50%)

    이를 정리하면,

    0.85kg + x = 0.5kg + 0.5x

    0.35kg = 0.5x - x

    0.35kg = -0.5x

    x = -0.7kg

    하지만, 증량제의 양은 음수가 될 수 없으므로, x는 0.7kg가 된다. 따라서, 증량제가 0.7kg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농약 살포액 조제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중이 1에 가까운 약제는 용량으로 살포액을 조절한다.
  2. 비중이 높은 약제는 중량으로 계산하여 조제해야 한다
  3. 퍼센트액 조제법은 농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제 방법이다.
  4. 살포액을 조제하는데는 중량으로 계산하여 조제하는 것이 원칙이다.
(정답률: 69%)
  • 정답은 "퍼센트액 조제법은 농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제 방법이다."이다. 이유는 농가에서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간단한 방법인 퍼센트액 조제법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Sulfonyl urea계 제초제는?

  1. 엠시피피(mecoprop)
  2. 피라조설푸론에칠(pyrazosulfuron ethyl)
  3. 벤치오(thiobencarb)
  4. 메토라크롤(metolachlor)
(정답률: 64%)
  • Sulfonyl urea계 제초제는 잡초의 뿌리 성장을 억제하여 제거하는데 효과적인 제초제입니다. 그 중에서도 피라조설푸론에칠은 높은 효과성과 낮은 독성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는 Sulfonyl urea계 제초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농약의 이화학적 특성에 따른 약해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부착성
  2. 고온다습
  3. 부성분
  4. 표류비산
(정답률: 63%)
  • 고온다습은 농약의 이화학적 특성과는 관련이 없는 요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농약의 부착성, 부성분, 표류비산 등의 이화학적 특성에 따라 약해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고온다습은 농약의 분해나 활성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어서 약력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곤충체 내에서 농약의 분해 및 대사의 경로가 아닌 것은?

  1. 산화
  2. 가수분해
  3. 포함(Conjugation)
  4. 복분해
(정답률: 44%)
  • 복분해는 물질을 작은 조각으로 나누는 과정이며, 이는 농약의 분해 및 대사 경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농약이 산화, 가수분해, 포함(Conjugation) 등의 과정을 통해 분해되거나 대사되는 경로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농약의 물리적 성질 중 습전성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살포한 약액이 작물이나 해충의 표면에 잘 적시고 퍼지는 성질을 말한다.
  2. 약제와 물과의 친화도를 나타내는 성질을 의미한다.
  3. 약제는 물에 가했을 때 입자가 균일하게 부유, 분산하는 성질을 말한다.
  4. 부착한 약제가 이슬이나 빗물에 씻겨 내려 가지않고 식물 체의 표면에 붙어 있는 성질을 의미한다.
(정답률: 80%)
  • 정답은 "살포한 약액이 작물이나 해충의 표면에 잘 적시고 퍼지는 성질을 말한다."입니다. 이는 농약이 습기를 흡수하여 입자가 작아지고 분산되어 작물이나 해충의 표면에 잘 부착되는 성질을 의미합니다. 이는 농약의 효과를 높이는 중요한 성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농약 보조제로 쓰이는 계면활성제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화력(乳化力)이나 분산력(分散力)이 커야 한다.
  2. 농약의 주제를 변질시켜서는 안된다.
  3. 연수(軟水)에만 쓰일 수 있어야 한다.
  4. 주제 및 기타 보조제와 친화성(親和性)을 지녀야 한다.
(정답률: 85%)
  • "연수(軟水)에만 쓰일 수 있어야 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계면활성제는 물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물의 성질에 따라 사용 가능 여부가 결정됩니다. 따라서, 물의 성질에 따라 사용 가능 여부가 결정되는 것이지, 연수(軟水)에만 쓰일 수 있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급성독성 중 일반적으로 호흡기를 통해서 흡수된 경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경구독성
  2. 경피독성
  3. 만성독성
  4. 흡입독성
(정답률: 80%)
  • 흡입독성은 독성 물질이 호흡기를 통해 흡입되어 발생하는 독성으로, 일반적으로 먼지, 연기, 가스 등 공기 중에 존재하는 독성 물질이 호흡기로 들어가서 발생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호흡기를 통해서 흡수된 경로"를 묻고 있으므로, 정답은 "흡입독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수화제가 갖추어야할 특성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현수성
  2. 유화성
  3. 부착성
  4. 저장성
(정답률: 37%)
  • 수화제가 갖추어야 할 특성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유화성"입니다. 이는 수화제가 물과 잘 섞이지 않고, 유체와 잘 섞이는 특성을 의미합니다. 수화제는 대개 물과 섞여 사용되기 때문에 유화성이 높을수록 효과적인 성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화성이 너무 높으면 수화제가 유체에 녹아들어가지 않고 표면에 떠 있을 수 있으므로 적절한 유화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농약의 약해 증상 중 급성적 약해 증상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괴사 반점
  2. 발근 저해
  3. 개화 지연
  4. 비대 지연
(정답률: 62%)
  • 비대 지연은 만성적인 약해 증상으로, 농작물의 성장이 둔화되고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급성적인 약해 증상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괴사 반점은 잎이 검게 변하고 죽는 것, 발근 저해는 씨앗이 발아하지 않는 것, 개화 지연은 꽃이 피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수화제 제조용 증량제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탈크
  2. 규조토
  3. 모래
  4. 유안
(정답률: 59%)
  • 규조토는 높은 흡착력과 분산성을 가지고 있어 수화제 제조에 적합합니다. 또한 안정성이 높아서 제조과정에서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화제 제조용 증량제로 가장 적당한 것은 규조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농약 혼용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약효의 경감
  2. 약해의 경감
  3. 독성의 경감
  4. 약효 지속시간 연장
(정답률: 75%)
  • 농약 혼용의 장점 중 "약효의 경감"은 장점이 아닙니다. 이는 농약의 효능이 약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농작물 보호를 위해서는 약효가 유지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저장 곡물이나 종자를 창고나 온실에 넣고 밀폐시켜 약제를 가스화하여 병해충을 방제하는 방법은?

  1. 연무법
  2. 훈증법
  3. 관주법
  4. 미스트법
(정답률: 77%)
  • 저장 곡물이나 종자를 창고나 온실에 넣고 밀폐시켜 약제를 가스화하여 병해충을 방제하는 방법은 "훈증법"이다. 이는 곡물이나 종자를 가열하여 내부 온도를 높여 병해충을 죽이는 방법으로, 화학적인 약제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 친화적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잡초방제학

61. 광엽잡초에 효과가 큰 제초제는?

  1. 이사디(2,4-D)
  2. 마세트(butachlor)
  3. 사단(thiobencarb)
  4. 밧사그란(bentazon)
(정답률: 64%)
  • 이사디(2,4-D)는 광엽잡초에 효과가 큰 제초제 중 하나이다. 이는 이사디(2,4-D)가 식물의 세포분열을 방해하여 광엽잡초의 성장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사디(2,4-D)는 넓은 범위의 잡초를 제거할 수 있어 다양한 작물에서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맥류포장에서 발생하는 잡초가 아닌 초종은?

  1. 둑새풀
  2. 쇠비름
  3. 냉이
  4. 갈퀴덩굴
(정답률: 31%)
  • 맥류포장은 건강한 잔디가 자라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때로는 잡초가 자라기도 합니다. 그러나 쇠비름은 식물이 아니라 미생물의 일종으로, 맥류포장에서 발생하는 잡초가 아닙니다. 쇠비름은 맥류포장의 표면에 생기는 검은색 덩어리로, 미생물이 생산하는 물질로 인해 생기는 것입니다. 따라서 쇠비름은 맥류포장에서 발생하는 잡초가 아니라 초종이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방선균으로부터 유전공학기법으로 개발된 비선택성 제초제는?

  1. Bialaphos
  2. Glyphosate
  3. Glufosinate
  4. Sulfosate
(정답률: 22%)
  • 방선균은 Bialaphos를 생산하는데, 이것은 특정 효소를 억제하여 식물의 아미노산 합성을 방해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작용으로 인해 Bialaphos는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고 죽음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Bialaphos는 비선택성 제초제로 사용되며, 이는 Glyphosate, Glufosinate, Sulfosate와는 다른 작용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방제가 어려운 문제 잡초의 특성 중 맞는 것은?

  1. 종자의 번식기관에 휴면성이 없다.
  2. 영양번식기간이 비교적 늦고 길다
  3. 낮은 잡초밀도로도 큰 피해를 준다.
  4. 불량한 환경에서는 잘 생육되지 않는다.
(정답률: 65%)
  • 잡초는 빠른 생장력과 번식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잡초의 밀도가 낮더라도 농작물과 경쟁하여 생장하면 농작물의 생육을 방해하고 수확량을 감소시키는 큰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잡초 방제는 농작물 생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우리나라 밭잡초 방제 특성을 열거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저 수익성 때문에 새로운 투자나 기술을 수용할 의욕이 부족하다.
  2. 영농조건이 불리하기 때문에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기 곤 란하다.
  3. 밭농사 전용의 제초제, 제초기 및 살포장비는 충분히 보급 되어 있다.
  4. 밭작물의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모든 작물에 공통적으 로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제초기술을 개발하기 어렵다.
(정답률: 74%)
  • "밭농사 전용의 제초제, 제초기 및 살포장비는 충분히 보급 되어 있다."가 틀린 것이다. 이유는 우리나라 밭잡초 방제 기술은 여전히 미흡하며, 특히 제초제나 제초기 등의 방제 장비는 보급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는 저 수익성 때문에 새로운 투자나 기술을 수용할 의욕이 부족하고, 영농조건이 불리하기 때문에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기 곤란하다는 문제 때문이다. 또한 밭작물의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모든 작물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제초기술을 개발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작물과 잡초의 경합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종내경합은 같은 초종중에서 개체간에 일어나는 경합이다.
  2. 종간경합은 작물과 잡초간의 경합으로 벼와 피의 경합이 다.
  3. 작물의 경합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파재배보다는 이앙재 배가 유리하다.
  4. 작물에 대한 잡초의 경합력은 잡초의 종류, 밀도 등에 따 라 거의 일정하다.
(정답률: 82%)
  • 작물에 대한 잡초의 경합력은 잡초의 종류, 밀도 등에 따라 거의 일정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잡초의 종류와 밀도는 작물과의 경합에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밀도가 높은 잡초는 작물과의 경합에서 더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작물과 잡초의 경합에서는 잡초의 종류와 밀도를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논토양의 표토(0~5cm)에 주로 지하경을 형성하는 다년생 잡초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가래
  2. 올방개
  3. 올미
  4. 벗풀
(정답률: 50%)
  • 해당 문제는 오류가 있어 정답과 해설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벼 재배시 벼와 경합이 가장 큰 잡초는?

  1. 강피
  2. 물달개비
  3. 올방개
  4. 벗풀
(정답률: 77%)
  • 강피는 벼와 같은 시기에 자라며, 벼와 비슷한 생장환경을 선호하기 때문에 벼와 경쟁이 가장 심하다. 따라서 벼 재배시 가장 큰 잡초로 강피가 선택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토양에서 산소농도가 높아야 잘 출현하는 잡초는?

  1. 강피
  2. 물달개비
  3. 향부자
  4. 올챙이고랭이
(정답률: 68%)
  • 향부자는 고산지대에서 자라는 식물로, 산소농도가 높은 토양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토양의 산소농도와는 별 관련이 없는 다른 조건들에 더 영향을 받는 잡초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식물병원균이나 곤충을 이용한 잡초방제법은?

  1. 화학적 방제법
  2. 생물적 방제법
  3. 생태적 방제법
  4. 물리적 방제법
(정답률: 81%)
  • 식물병원균이나 곤충을 이용한 잡초방제법은 "생물적 방제법"이다. 이는 화학적인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자연적인 방법으로 해충이나 병원균을 제어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환경 친화적이며, 재배하는 작물에 대한 부작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잡초종자 중 암(暗)조건에서 발아가 잘 되는 것은?

  1. 개비름
  2. 독말풀
  3. 참방동사니
  4. 소리쟁이
(정답률: 48%)
  • 암(暗)조건은 빛이 없는 어두운 환경을 말합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광합성이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의 식물들은 발아가 어렵습니다. 그러나 독말풀은 암조건에서도 발아가 잘 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독말풀이 광합성을 하는 방식이 C4 광합성으로, 이 방식은 빛이 부족한 환경에서도 효율적으로 광합성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논에 다년생 잡초인 올방개의 방제법으로 바람직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추경 또는 춘경 등 경운을 한다.
  2. 벤푸러세이트가 혼합된 제초제를 초기에 처리한다.
  3. 밧사그란을 생육기에 처리한다.
  4. 직파재배를 한다.
(정답률: 78%)
  • 직파재배는 올방개를 방제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 아닙니다. 올방개는 뿌리가 깊게 파고들어 있기 때문에, 직파재배를 하면 뿌리를 파괴하지 못하고 오히려 더욱 번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올방개를 방제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잡초 중 비산(飛散)형 종자는 어느 것인가?

  1. 명아주, 방동사니
  2. 서양민들레, 망초
  3. 어저귀. 한련초
  4. 질경이. 환삼덩굴
(정답률: 87%)
  • 비산(飛散)형 종자란 바람에 의해 멀리 날아다니며 번식하는 종자를 말한다. 따라서, 서양민들레와 망초는 바람에 의해 씨앗이 멀리 흩어지기 때문에 비산형 종자에 해당한다. 반면, 명아주, 방동사니, 어저귀, 한련초, 질경이, 환삼덩굴은 비산형 종자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우리나라 논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다년생 잡초는?

  1. 마디꽃
  2. 나도겨풀
  3. 올미
  4. 물달개비
(정답률: 47%)
  • 올미는 우리나라 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다년생 잡초 중 하나입니다. 이는 올미가 높은 생존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올미는 뿌리가 깊게 파고들어 물과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으며, 뿌리가 끊어지더라도 뿌리의 일부가 남아 다시 자라날 수 있습니다. 또한 올미는 빠른 생장속도와 넓은 잎사귀를 가지고 있어 다른 작물들의 성장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올미는 농작물 생산에 큰 문제가 되는 잡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작물의 전 생육기간에 비하여 잡초경합한계기간(critical period for weed comprtition)이 가장 긴 작물은?

  1. 녹두
  2. 땅콩
  3. 양파
(정답률: 69%)
  • 양파는 전 생육기간에 비해 잡초경합한계기간이 가장 긴 작물 중 하나입니다. 이는 양파가 뿌리를 깊게 내리기 때문에 잡초와 경쟁하는 능력이 높아서입니다. 또한 양파는 잡초와 경쟁할 때 뿌리와 잎사귀를 모두 이용하여 경쟁하기 때문에 더욱 경쟁력이 강합니다. 따라서 양파는 잡초와의 경쟁을 최소화하기 위해 적절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효과적인 잡초방제를 위해서는 재배작물은 물론 발생되는 잡초의 종류와 환경적인 조건을 파악하여야 한다. 다음은 비농경지 잡초방제시 비농경지가 구비하고 있는 특성을 열거한 것이다. 이들 중 옳지 않은 것은?

  1. 경운 및 정지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잡 초의 종류가 단순하다.
  2. 잡초의 발생시기가 일정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연장된다.
  3. 지표면이 항상 잡초의 발아에 유리한 상태이다.
  4. 후작의 염려가 없기 때문에 잔효기간이 긴 제초제를 처리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70%)
  • 정답은 "후작의 염려가 없기 때문에 잔효기간이 긴 제초제를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다.

    "경운 및 정지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잡초의 종류가 단순하다."는 옳은 설명이다. 비농경지는 경운이나 정지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특정한 잡초가 발생하기 보다는 일반적인 잡초들이 발생하게 된다.

    "잡초의 발생시기가 일정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연장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비농경지는 자연환경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잡초의 발생시기가 일정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지표면이 항상 잡초의 발아에 유리한 상태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비농경지는 경작되지 않은 지표면이기 때문에 잡초의 발아에 유리한 상태이다.

    "후작의 염려가 없기 때문에 잔효기간이 긴 제초제를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비농경지에서도 후작이 필요하며, 잔효기간이 긴 제초제를 사용하면 환경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제초제를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휴면의 종류에는 생득휴면(生得休眠, Innate dormancy)과 강제휴면(强制休眠, Enforced dormancy), 유도(誘導休眠, Induced dormancy)이 있다. 다음 중 생득휴면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종자 자체의 조성 때문에 휴면이 되는 것이다.
  2. 종자 자체의 구조 때문에 휴면이 되는 것이다.
  3. 도꼬마리 상부종자가 가지는 휴면이다.
  4. 수분, 온도, 산소가 부적합하여 일어나는 현상이다.
(정답률: 63%)
  • "수분, 온도, 산소가 부적합하여 일어나는 현상이다."는 생득휴면의 특성이 아니라 강제휴면이나 유도휴면의 특성이다. 생득휴면은 종자 자체의 조성이나 구조 때문에 발생하는 휴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농약 사용시 살포전 지켜야 할 일이 아닌 것은?

  1. 설명서 읽기
  2. 살포장비 점검
  3. 건강상태 확인
  4. 남은 농약 안전보관
(정답률: 75%)
  • 농약 사용 후에는 남은 농약을 안전하게 보관해야 합니다. 이는 농약이 어린이나 애완동물 등에게 위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농약 사용시에는 남은 농약 안전보관을 지켜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농약 사용 전에 지켜야 할 일들입니다. "설명서 읽기"는 농약의 사용 방법과 안전 사용법을 확인하기 위해, "살포장비 점검"은 살포장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건강상태 확인"은 농약 사용에 적합한 건강 상태인지 확인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아트라진(altrazine), 씨마진(simazine), 브로마실(bromacil)등의 제초제는 주로 어떤 기작에 의하여 살초 효과를 나타내는가?

  1. 단백질합성 저해
  2. 세포분열 저해
  3. 광합성 저해
  4. 지질생합성 저해
(정답률: 51%)
  • 아트라진, 씨마진, 브로마실 등의 제초제는 광합성 저해 기작에 의해 살초 효과를 나타낸다. 이는 이들 제초제가 광합성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엽록소의 생합성을 방해하여 식물의 성장을 저해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 제초제는 특히 태양광이 충분한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잡초의 번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종자에 의한 번식을 하는 잡초에는 올피, 별꽃, 알방동사니 등이 있다
  2. 경운과 같은 농경지의 교란이 증가하면 영양번식체에 의 한 번식이 증가한다.
  3. 영양번식체에 의한 번식을 하는 잡초종은 대부분 종자에 의한 번식은 하지 않는다.
  4. 잡초의 휴면은 종자에서만 일어나므로 올방개나 벗풀의 괴경에서는 휴면이 없다.
(정답률: 50%)
  • 잡초 중에는 종자에 의한 번식을 하는 것도 있고, 영양번식체에 의한 번식을 하는 것도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올피, 별꽃, 알방동사니 등은 종자에 의한 번식을 하는 잡초입니다. 또한, 경운과 같은 농경지의 교란이 증가하면 영양번식체에 의한 번식이 증가하게 됩니다. 하지만 영양번식체에 의한 번식을 하는 잡초종은 대부분 종자에 의한 번식은 하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잡초의 휴면은 종자에서만 일어나므로 올방개나 벗풀의 괴경에서는 휴면이 없다는 것도 알아두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