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식물병리학
1. 병원체의 번식기관으로서의 표징은?
2. 바이러스병 방제법 설명으로 틀린 것은?
3. 다음 중 이종기생균은?
4. 벼 도열병의 월동처는?
5. 채소류 잿빛곰팡이병의 방제법으로 맞는 것은?
6. 병원균의 포자가 공기 중에 확산되어 주로 바람에 의해 전파되는 병은?
7. 은행나무 잎마름병(엽고병)의 병원균 Pestalotia sp. 는 잎에 어떤 방법으로 침입하는가?
8. 소나무의 병든 잎에 6~11mm간격으로 격막이 생기고 1개 또는 여러개의 흑색 병반(자낭반)이 생기는 병은?
9. 병든 식물을 습실처리하여 병의 원인을 가장 많이 진단할 수 있는 것은?
10. 대추나무 빗자루병(천구소병)의 병원체는?
11. 길항미생물을 이용하여 방제에 성공한 대표적인 병은?
12. 병징(symptom)을 보고 진단이 용이한 식물병은?
13. 식물항체(plantibody)란 무엇인가?
14. 다음 중 자낭균류는?
15. 식물병의 방제법과 거리가 먼 것은?
16. 기주체에 침입할 때 병원균이 분비하는 효소는?
17. 배추 뿌리혹병(무사마귀병)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8. 벼 오갈병을 옮기는 해충은?
19. 식물병원체를 동정하기 위한 단크론 항체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20. 식물 바이러스 입자는 주로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2과목: 농림해충학
21. 부화 유충이 초본류를 가해하다가 수목으로 이동하여 줄기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는 천공성 해충은?
22. 곤충에 살포된 살충제가 작용점까지 도달하는 침투경로라고 할 수 없는 것은?
23. 벼 해충 중 기온이 낮은 해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저온성 해충은?
24. 성충은 뽕나무의 눈을 가해하고 유충은 목질부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는 뽕나무 해충은?
25. 곤충의 생식기관에 관한 설명이 아닌 것은?
26. 다음 소화계의 배열에서 입 이후의 배열 순서가 맞게 배열된 것은?
27. 나무이는 어느 목에 속하는가?
28. 잎을 가해하는 청동풍뎅이는 어떻게 월동하는가?
29. 곤충의 호흡계와 소화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0. 유충기에 지하에서 부식물이나 농작물, 수목 등의 뿌리를 먹고 자란 뒤, 성충이 된 후에는 지상에서 나와서 농작물의 새싹이나 밤나무와 같은 활엽수의 잎을 갉아먹어 피해를 주는 해충은?
31. 벼물바구미의 설명 중 틀린 것은?
32. 곤충은 보통 양성생식을 하며 성비는 1:1이 보통이지만 암컷만으로 번식하는 단성생식을 하는 종도 있다. 다음 중 단성생식을 하는 해충은?
33. 솔잎혹파리는 분류학상 (A)에 속하며 학명은 (B)이다. A와B에 들어갈 적당한 것은?
34. 거세미나방의 월동 충태는?
35. 수목의 수피속 형성층이나 목질부를 가해하지 않는 해충은?
36. 곤충강 중 세계에서 가장 많은 종이 기록되어 있어 많은 해충과 익충이 포함되어 있는 곤충목은?
37. 성충은 식물조직에 산란하고 부화한 유충은 2령을 경과한 후 땅속에서 제1, 제2 번데기 기간을 거쳐 성충이 되는 곤충은?
38. 해충을 유아등에 모이게 하여 죽이는 등화유살은 곤충의 어떤 성질을 이용한 것인가?
39. 파리의 날개는 몸의 어느 부위에 부착되어 있는가?
40. 벌레몸 껍질조직의 키틴질 형성을 저해하여 탈피억제(IGR계)로 살충효과를 나타내는 농약은?
3과목: 농약학
41. 인돌비 액제의 유효성분은?
42. 네오아소진 농약은 약해를 해결하기 위해 유기비소제에 다음 어느 금속을 결합시켰는가?
43. 농약의 급성독성에서 농약투여방법에 따른 독성구분이 아닌 것은?
44. 파라치온 유제를 500배로 희석하여 살포하려고 할 때 물 1말(18리터)에 필요한 약량은?
45. 유기염소계 농약의 중심 원소는 어떤 것인가?
46. 농약의 독성을 나타내는 LD50의 의미가 옳은 것은?
47. 계면 활성제를 구성하는 다음 원자단 중 친유성이 가장 강한 것은?
48. 다조메 85%분제 1kg을 50%의 분제로 만들려면 증량제가 얼마나 필요한가?
49. 농약 살포액 조제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0. 다음 중 Sulfonyl urea계 제초제는?
51. 농약의 이화학적 특성에 따른 약해의 원인이 아닌 것은?
52. 곤충체 내에서 농약의 분해 및 대사의 경로가 아닌 것은?
53. 농약의 물리적 성질 중 습전성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54. 농약 보조제로 쓰이는 계면활성제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5. 급성독성 중 일반적으로 호흡기를 통해서 흡수된 경로를 무엇이라 하는가?
56. 수화제가 갖추어야할 특성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57. 다음 농약의 약해 증상 중 급성적 약해 증상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58. 다음 중 수화제 제조용 증량제로 가장 적당한 것은?
59. 농약 혼용의 장점이 아닌 것은?
60. 저장 곡물이나 종자를 창고나 온실에 넣고 밀폐시켜 약제를 가스화하여 병해충을 방제하는 방법은?
4과목: 잡초방제학
61. 광엽잡초에 효과가 큰 제초제는?
62. 맥류포장에서 발생하는 잡초가 아닌 초종은?
63. 방선균으로부터 유전공학기법으로 개발된 비선택성 제초제는?
64. 방제가 어려운 문제 잡초의 특성 중 맞는 것은?
65. 우리나라 밭잡초 방제 특성을 열거한 것으로 틀린 것은?
66. 작물과 잡초의 경합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67. 논토양의 표토(0~5cm)에 주로 지하경을 형성하는 다년생 잡초는?(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68. 벼 재배시 벼와 경합이 가장 큰 잡초는?
69. 토양에서 산소농도가 높아야 잘 출현하는 잡초는?
70. 식물병원균이나 곤충을 이용한 잡초방제법은?
71. 다음 잡초종자 중 암(暗)조건에서 발아가 잘 되는 것은?
72. 논에 다년생 잡초인 올방개의 방제법으로 바람직한 방법이 아닌 것은?
73. 다음 잡초 중 비산(飛散)형 종자는 어느 것인가?
74. 우리나라 논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다년생 잡초는?
75. 작물의 전 생육기간에 비하여 잡초경합한계기간(critical period for weed comprtition)이 가장 긴 작물은?
76. 효과적인 잡초방제를 위해서는 재배작물은 물론 발생되는 잡초의 종류와 환경적인 조건을 파악하여야 한다. 다음은 비농경지 잡초방제시 비농경지가 구비하고 있는 특성을 열거한 것이다. 이들 중 옳지 않은 것은?
77. 휴면의 종류에는 생득휴면(生得休眠, Innate dormancy)과 강제휴면(强制休眠, Enforced dormancy), 유도(誘導休眠, Induced dormancy)이 있다. 다음 중 생득휴면의 특성이 아닌 것은?
78. 농약 사용시 살포전 지켜야 할 일이 아닌 것은?
79. 아트라진(altrazine), 씨마진(simazine), 브로마실(bromacil)등의 제초제는 주로 어떤 기작에 의하여 살초 효과를 나타내는가?
80. 잡초의 번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