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9-07)

식물보호산업기사
(2008-09-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식물병리학

1. 오늘날 세계 3대 수목병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소나무류 리지나뿌리썩음병
  2. 밤나무 줄기마름병
  3. 느릅나무 시들음병
  4. 잣나무 털녹병
(정답률: 70%)
  • 소나무류 리지나뿌리썩음병은 세계 3대 수목병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소나무류가 아닌 다른 나무종류에 영향을 주는 수목병들 중에서 선별된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잎도열병의 발생은 다음 조건 중 어떤 때 많아지는가?

  1. 가용태질소의 함량이 많을 때
  2. 가용태질소에 대한 규산의 함량비가 많을 때
  3. 가용태질소의 함량이 적을 때
  4. 3요소 비료를 골고루 주었을 때
(정답률: 89%)
  • 잎도열병은 질소 과다증이 원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가용태질소의 함량이 많을 때, 식물은 과다한 질소를 흡수하게 되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식물병에 관한 문헌은?

  1. 행포지(杏浦志)
  2. 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
  3. 유산잡설(裕山雜說)
  4. 조선작물병해목록(朝鮮作物病害目錄)
(정답률: 71%)
  • "행포지(杏浦志)"는 조선시대 18세기에 쓰인 지리와 역사를 다룬 문헌으로, 이 중에서 식물병에 대한 기록이 가장 오래되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식물병에 관한 문헌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죽은 식물체에 증식하지 않는 식물 병원균은?

  1. 점균(끈적균)
  2. 진균
  3. 세균
  4. 바이러스
(정답률: 92%)
  • 바이러스는 죽은 식물체에 증식하지 않는 식물 병원균입니다. 이는 바이러스가 살아있는 호스트 세포 내에서만 증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죽은 식물체에는 바이러스가 증식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침입저항성과 가장 관련이 있는 사항은?

  1. 두꺼운 각피
  2. 과민성 반응
  3. 파이토알렉신(phytoalexin)의 분비
  4. 페놀(phenol)물질의 집적
(정답률: 75%)
  • 두꺼운 각피는 외부 침입자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침입저항성과 가장 관련이 있습니다. 두꺼운 각피는 피부의 외부층에 위치하며, 외부 침입자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수분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두꺼운 각피가 있는 피부는 외부 침입자로부터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생물학적 병원(病原)이 아닌 것은?

  1. 균류
  2. 세균
  3. 선충
  4. 고온
(정답률: 94%)
  • 고온은 생물학적 병원이 아닌 것이다. 이는 고온이 생물체가 아니기 때문이다. 균류, 세균, 선충은 모두 생물체이며, 각각 다양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바이러스병 진단에 이용되는 지표식물이 아닌 것은?

  1. 천일홍
  2. 명아주
  3. 쇠비름
  4. 담배(N. glutinosa)
(정답률: 50%)
  • 정답: 쇠비름

    설명: 쇠비름은 바이러스병이 아니라 균사병으로 인한 식물병이다. 따라서 바이러스병 진단에 이용되는 지표식물이 아니다. 천일홍, 명아주, 담배는 바이러스병 진단에 이용되는 지표식물로 알려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병은 진단할 때 쓰는 방법은?

  1. 머피의 법칙
  2. 코흐의 법칙
  3. 최소량의 법칙
  4. 유전자 대 유전자설
(정답률: 90%)
  • 코흐의 법칙은 병의 진단에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로, 병의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발생한 원인을 찾아내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병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병을 진단할 때 코흐의 법칙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머피의 법칙, 최소량의 법칙, 유전자 대 유전자설은 병의 진단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법칙이나 이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감자 역병 발병의 최적환경은?

  1. 기온이 30℃ 내외이고 다습한 곳
  2. 기온이 20℃ 내외이고 건조한 곳
  3. 기온이 20℃ 내외이고 습기가 많은 냉량한 곳
  4. 기온이 30℃ 내외이고 건조한 곳
(정답률: 70%)
  • 감자 역병의 원인균인 Phytophthora infestans는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 번식하고 확산하기 때문에 습기가 많은 환경이 필요합니다. 또한, 기온이 20℃ 내외인 냉량한 환경에서는 원인균의 번식과 역병 발생이 가장 적기 때문에 최적환경입니다. 따라서, "기온이 20℃ 내외이고 습기가 많은 냉량한 곳"이 감자 역병 발병의 최적환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식물병을 유발하는 선충의 이동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소나무 재선충은 토양에 존재하는 경우가 드물다.
  2. 일반적으로 한 생육기 동안 몇 미터 밖에 이동하지 못한다.
  3. 기주식물의 줄기나 잎 표면을 자력으로 올라가기도 한다.
  4. 토양공극이 얇은 수막으로 되어있을 때보다 물로 가득차 있을 때 더 빨리 이동한다.
(정답률: 67%)
  • 토양공극이 얇은 수막으로 되어있을 때보다 물로 가득차 있을 때 더 빨리 이동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선충은 토양 속에서 이동하는데, 토양공극이 얇은 수막으로 되어있을 때는 이동이 어렵기 때문에 물로 가득차 있을 때보다 더 느리게 이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수박 탄저병의 특징적인 병징은?

  1. 움푹 들어간 흑갈색의 원형 병반위에 담홍색의 점질물이 분비된다.
  2. 엽액에 한정된 다각형의 병반이 생긴다.
  3. 비온 후 날씨가 습하면 병환부에 솜같은 곰팡이가 발생한다.
  4. 열매를 잘라보면 내부가 완전히 상하여 썩어있고 악취가 난다.
(정답률: 70%)
  • 수박 탄저병은 움푹 들어간 흑갈색의 원형 병반위에 담홍색의 점질물이 분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병원균이 엽점을 통해 식물체 내부로 침입하여 엽점 주위 조직을 파괴하고, 그 결과 엽점 주위에 병반을 형성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 병반에서는 병원균이 번식하면서 분비물을 생산하게 되는데, 이 분비물이 담홍색의 점질물로 나타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병원균이 세균(細菌)인 것은?

  1. 벼 깨씨무늬병
  2. 포도 탄저병(만부병)
  3. 토마투 풋마름병
  4. 감자 역병
(정답률: 77%)
  • 병원균은 세균으로 분류되며, 이 중 "토마투 풋마름병"은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병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벼 깨씨무늬병"은 바이러스, "포도 탄저병(만부병)"은 곰팡이, "감자 역병"은 박테리아에 의해 발생하는 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병원균이 주로 종자전염하는 병은?

  1. 보리 겉깜부기병
  2. 보리 흰가루병
  3. 밀 줄기녹병
  4. 배추 노균병
(정답률: 84%)
  • 병원균 Pseudomonas syringae pv. atrofaciens은 주로 보리 겉깜부기병을 일으키는 원인균입니다. 이 병은 보리의 잎과 줄기에 검은색 점무늬가 생기며, 심하면 전체적으로 검게 변색됩니다. 이 병원균은 보리의 종자에 감염되어 전파되기 때문에 종자전염성이 높은 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식물병의 진단방법 중 면역학적 진단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응집과 침강반응
  2. 면역확산법
  3. ELISA법
  4. 현미경관찰법
(정답률: 79%)
  • 면역학적 진단방법은 면역반응을 이용하여 질병을 진단하는 방법을 말한다. 따라서 "현미경관찰법"은 면역학적 진단방법에 속하지 않는다. 현미경관찰법은 질병의 증상을 직접적으로 관찰하여 진단하는 방법으로, 면역반응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하우스내 재배 작물에 병이 많이 발생하는 가장 주요한 이유는?

  1. 높은 온도
  2. 높은 습도
  3. 강한 광선
  4. 낮은 온도
(정답률: 89%)
  • 높은 습도는 작물에 병균과 곰팡이 등의 질병을 일으키는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에 가장 주요한 이유입니다. 습도가 높으면 작물의 잎이 젖어서 병균이 번식하기 쉽고, 곰팡이도 번식하기 좋은 환경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적절한 환기와 건조한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식물병의 발병에 관여하는 3대 요인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병원체의 밀도
  2. 야생동물의 가해
  3. 기주식물의 감수성
  4. 연작
(정답률: 78%)
  • 야생동물의 가해는 식물병의 발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식물병의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병원체의 밀도, 기주식물의 감수성, 연작 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균핵을 형성하지 않는 것은?

  1. 채소류 균핵병
  2. 과수의 흰가루병
  3. 흰비단병
  4. 벼 잎집무늬마름병
(정답률: 40%)
  • 균핵이란 세포 내부에 있는 핵을 둘러싸고 있는 막으로, 일부 질병원균은 이 균핵을 형성합니다. 하지만 과수의 흰가루병은 균핵을 형성하지 않습니다. 이 병은 과수의 잎, 가지, 열매 등에 흰색 가루 모양의 곰팡이가 생기면서 발생하는 질병으로, 곰팡이가 식물의 광합성을 방해하여 열매의 생산량을 감소시키고 수확기를 지연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비료성분이 부족한 논에서 발생하기 쉬운 벼의 병해는?

  1. 도열병
  2. 키다리병
  3. 깨씨무늬병
  4. 흰잎마름병
(정답률: 58%)
  • 깨씨무늬병은 비료성분이 부족한 논에서 발생하기 쉬운 벼의 병해 중 하나입니다. 이 병은 벼의 잎이 노랗게 변하고, 잎에 작은 깨씨 모양의 검은 점이 생기는 증상을 보입니다. 이는 비료가 부족하여 벼가 영양분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고, 뿌리가 약해져서 생기는 병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해당하는 식물병의 방제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배나무 붉은별무늬병 – 배나무와 향나무의 거리를 1.5km 이상 격리시킨다.
  2. 벼 도열병 – 찬물을 직접 논에 넣지 않고, 얕게 대되 마르지 않게 한다.
  3. 배추 무사마귀병 – 토양을 pH 5.0 이하의 산성으로 유지한다.
  4. 포도나무 노균병 – 보호살균제와 침투성살균제를 살포한다.
(정답률: 85%)
  • 배추 무사마귀병의 방제법은 토양의 pH를 5.0 이하의 산성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이는 다른 병들과 달리 거리와는 무관하게 토양의 산성도를 조절하여 방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주로 물에 의해서 전파되는 벼의 병은?

  1. 키다리병
  2. 도열병
  3. 흰잎마름병
  4. 오갈병
(정답률: 79%)
  • 흰잎마름병은 주로 물에 의해서 전파되는 벼의 병으로, 벼 잎의 엽록소가 파괴되어 잎이 흰색으로 변하고 마르는 증상을 보입니다. 이 병은 물에 의해 전파되기 때문에, 농작물 재배 시 물 관리와 관련된 예방 조치가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농림해충학

21. 곤충의 외분비물질로 특히 개척자가 새로운 기주를 찾았다고 동족을 불러들이는데 사용되는 종내 통신물질로 나무좀류에서 발달되어있는 물질은?

  1. 집합페로몬
  2. 경보페로몬
  3. 길잡이페로몬
  4. 성페로몬
(정답률: 73%)
  • 집합페로몬은 곤충들이 같은 종의 다른 개체들과 모여서 생활하는 것을 돕는 통신물질이다. 따라서 개척자가 새로운 기주를 찾았다는 정보를 전달하여 동족들이 모여들도록 유도하는 데 사용된다. 나무좀류에서 발달되어 있는 이유는 나무좀류가 대부분 집단으로 생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집합페로몬은 나무좀류에서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파리목에 속하는 곤충은 날개가 어느 부분에 부착되어 있는가?

  1. 앞가슴
  2. 가운데가슴
  3. 뒷가슴
  4. 복부 제 1마디
(정답률: 86%)
  • 파리목에 속하는 곤충은 가운데가슴에 날개가 부착되어 있습니다. 이는 파리목의 특징 중 하나로, 날개가 가운데가슴에 부착되어 있어서 앞뒤로 자유롭게 날아다닐 수 있습니다. 또한, 가운데가슴에는 다리와 머리도 연결되어 있어서 곤충의 움직임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성충으로 월동하는 해충은?

  1. 왕무당벌레붙이
  2. 혹명나방
  3. 검거세미나방
  4. 복숭아혹진딧물
(정답률: 59%)
  • 왕무당벌레붙이는 나무껍질 속에서 월동하는 해충으로, 겨울철에는 나무껍질 속으로 들어가서 먹이를 섭취하지 않고 기다리며 봄이 되면 다시 활동을 시작합니다. 따라서 성충으로 월동하는 해충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수도(벼)해충이 아닌 것은?

  1. 이화명나방
  2. 끝동매미충
  3. 거세미나방
  4. 혹명나방
(정답률: 69%)
  • 거세미나방은 벼해충이 아니라 콩, 땅콩, 참깨 등의 작물을 해충으로 공격하는 나방 종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일반적으로 곤충의 발육 적산온도법칙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발육속도
  2. 유효적산온도
  3. 발생예찰
  4. 최적발육온도
(정답률: 43%)
  • 일반적으로 곤충의 발육 적산온도법칙과 가장 관계가 먼 것은 "최적발육온도"입니다. 이는 곤충이 발육하는데 가장 적합한 온도를 의미하며, 이 온도에서 곤충의 발육 속도가 가장 빠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최적발육온도는 곤충의 생태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관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발육단계마다 발육에 필요한 일정한 온량이 필요하다. 이를 유효적산온도라 하며 1일 평균기온에서 발육영점온도를 빼고 그 값을 누적하면 유효적산온도. 이를 이용해 발육단계를 예측. 계산법 : 발육하지 않는 온도 (발육영점온도)를 T', 발육단계에 필요한 온도의 합계 (유효적산온도)를 K, 사육온도 T'에서 발육 소요 일수 D는 D=K/ (T-T')로 표시되며 발육속도 V는 1/D로 V= (T-T')/ K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소화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중장(中腸)은 기계적 소화를 하는 곳이다.
  2. 소화흡수작용은 후장(後腸)에서만 일어난다.
  3. 말피기관은 배설기관이다.
  4. 전장(前腸)에는 많은 선세포(腺檅胞)가 발달되어 있다.
(정답률: 73%)
  • 말피기관은 음식물을 소화하여 영양분을 흡수하는 장기이지만, 배설도 함께 이루어지기 때문에 배설기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이화명나방의 월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볏짚이나 그루터기 속에서 번데기로 월동한다.
  2. 볏짚이나 잡초에서 알로 월동한다.
  3. 볏짚이나 그루터기 속에서 유충으로 월동한다.
  4. 잡초에서 성충으로 월동한다.
(정답률: 84%)
  • 이화명나방은 볏짚이나 그루터기와 같은 식물 부스러기 속에서 유충으로 월동합니다. 이는 이화명나방이 알을 낳고 번데기로 발달하기 전에 겨울을 이곳에서 보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볏짚이나 그루터기 속에서 유충으로 월동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곤충의 피부 중 제일 바깥층에 속하는 것은?

  1. 진피층(epidermis layer)
  2. 표피소층(cuticulin layer)
  3. 외원표피(exocuticle)
  4. 시멘트층(cement layer)
(정답률: 71%)
  • 시멘트층은 곤충의 피부 중에서 가장 바깥층에 위치하며,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물과 기타 물질의 침투를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층은 불규칙한 형태의 미세한 결정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곤충의 외골격을 보호하고 강화시켜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해충 발생예찰의 가장 궁극적인 목적은?

  1. 발생시기 결정
  2. 발생량 조사
  3. 피해량 조사
  4. 방제실시 여부
(정답률: 75%)
  • 해충 발생예찰의 가장 궁극적인 목적은 방제실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함이다. 발생시기, 발생량, 피해량 등을 조사하여 해충의 심각성과 방제의 필요성을 판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방제를 실시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따라서 방제실시 여부가 가장 중요한 목적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소나무재선충병을 옮기는 매개충의 몸속으로 재선충이 이동하는 시기는?

  1. 솔수염하늘소의 우화기
  2. 솔수염하늘소의 번데기
  3. 솔수염하늘소의 유충기
  4. 솔수염하늘소의 난기(卵期)
(정답률: 36%)
  • 소나무재선충병을 옮기는 매개충의 몸속으로 재선충이 이동하는 시기는 "솔수염하늘소의 유충기"이다. 이유는 솔수염하늘소가 소나무재선충병을 옮기는 매개충인 솔나무재선충의 유충을 먹이로 삼기 때문이다. 따라서 솔수염하늘소의 유충기에 재선충이 이동하여 번식하게 된다.
  • 산림청 자료 근거 :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된 나무에 매개충 암컷이 알을 낳고, 알에서 깨어난 매개충 에벌레는 나무를 갉아먹으면서 성장한다. 애벌레는 이렇게 나무속에서 월동하고 봄이 되면 번데기가 되고 성충으로 우화하는데, 이때 감염목 안에 있던 소나무재선충들이 매개충의 몸으로 이동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총채벌레목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날개 둘레를 따라 긴 가털이 나 있다.
  2. 불완전변태를 한다.
  3. 대부분 초식성이다.
  4. 씹는 입틀을 갖고 있다.
(정답률: 58%)
  • 총채벌레목은 주로 썩은 나무, 썩은 식물, 동물 부산물 등을 먹는 초식성 곤충으로, 이들은 대개 불완전변태를 한다. 또한 날개 둘레를 따라 긴 가털이 나 있어서 총채벌레목의 특징 중 하나이다. 그러나 총채벌레목은 주로 액체나 부드러운 식물성 물질을 먹기 때문에 씹는 입틀을 갖고 있지 않다. 따라서 "씹는 입틀을 갖고 있다."는 총채벌레목의 특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담배나방의 방제가 어려운 주된 이유는?

  1. 약제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여 효과적인 방제약제가 없기 때문에
  2. 발생시기가 불규칙하여 방제적기 예측이 어렵고 알에서 부화된 유충이 바로 고추속으로 들어가 약제 방제효율이 저조하기 때문에
  3. 수간에 알을 낳고 부화유충이 피목의 목질부를 가해하여 그 속으로 들어가 먹어들어가는 특성 때문에
  4. 유충이 낮에는 주로 땅속에 숨어있고 밤에만 활동하기 때문에
(정답률: 68%)
  • 담배나방의 방제가 어려운 이유는 발생시기가 불규칙하여 방제적기 예측이 어렵고 알에서 부화된 유충이 바로 고추속으로 들어가 약제 방제효율이 저조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유충과 성충이 모두 잎을 식해하는 해충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솔잎벌, 회양목명나방
  2. 소나무좀, 매미나방
  3. 솔나방, 오리나무잎벌레
  4. 오리나무잎벌레, 느티나무벼룩바구미
(정답률: 54%)
  • 유충과 성충이 모두 잎을 식해하는 해충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오리나무잎벌레, 느티나무벼룩바구미"입니다. 이는 다른 보기들 중에서 솔잎벌, 회양목명나방, 소나무좀, 매미나방, 솔나방은 유충과 성충 중 하나가 다른 것을 식해하거나 다른 식물을 식해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불완전변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번데기 과정이 없다.
  2. 풀잠자리는 불완전변태를 하는 예가 된다.
  3. 변태를 성공적으로 하지 못한 곤충의 경우에 해당한다.
  4. 날개를 가진 곤충 중에서는 드물게 볼 수 있는 경우이다.
(정답률: 80%)
  • 불완전변태는 새끼 곤충이 성체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번데기 단계가 없는 변태 방식을 말한다. 따라서 "번데기 과정이 없다"는 것은 불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이 번데기 단계를 거치지 않고 직접 성체로 성장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다른 변태 방식인 완전변태와 구분되는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기주식물에 바이러스병을 매개하는 해충은?

  1. 복숭아혹진딧물
  2. 아메리카잎굴파리
  3. 독나방
  4. 콩잎말이명나방
(정답률: 82%)
  • 복숭아혹진딧물은 기주식물의 잎을 먹고 그 속에 있는 바이러스를 매개하여 전파시키는 해충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바이러스 전파 기능이 없는 해충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곤충의 더듬이(觸角)모양 중 새의 깃털 모양을 가진 곤충은?

  1. 수중다리종벌
  2. 흰개미
  3. 모기의 수컷
  4. 비단벌레의 암컷
(정답률: 53%)
  • 새의 깃털 모양을 가진 곤충은 모기의 수컷입니다. 모기의 수컷은 머리에 깃털 모양의 더듬이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암컷을 유혹하여 교배를 유도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식물체의 뿌리, 줄기 또는 잎을 통하여 약제가 식물 전체에 들어감으로써 식물의 즙액을 흡즙하는 해충 즉 멸구나 진딧물을 죽게 하는 살충제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접촉제
  2. 침투성 살충제
  3. 소화중독제
  4. 훈증제
(정답률: 82%)
  • 정답: 침투성 살충제

    해설: 침투성 살충제는 식물체의 표면에 분사되어 식물 내부로 침투하여 해충을 죽이는 살충제이다. 따라서 뿌리, 줄기, 잎 등 식물 전체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반면에 접촉제는 해충과 직접 접촉하여 작용하며, 소화중독제는 해충이 먹이를 먹은 후 소화기관에서 작용하고, 훈증제는 해충을 기저부터 증발시켜 죽이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곤충의 유추이 알에서 깨어나 두 번 탈피하였으면 몇 령의 유충이 되는가?

  1. 1령충
  2. 2령충
  3. 3령충
  4. 4령충
(정답률: 77%)
  • 곤충의 유추는 알에서 부화하여 1령충이 되고, 이후 1번 탈피하여 2령충이 되고, 다시 1번 탈피하여 3령충이 된다. 따라서, 알에서 깨어나 두 번 탈피한 경우 3령충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숨문(氣門)은 곤충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보통 최대 몇 쌍인가?

  1. 6쌍
  2. 10쌍
  3. 14쌍
  4. 18쌍
(정답률: 88%)
  • 숨문은 곤충의 호흡기 구조 중 하나로, 공기의 유입과 배출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곤충은 몸의 여러 부위에 숨문을 가지고 있으며, 종류에 따라 숫자가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보통 가장 많은 숨문을 가진 곤충은 10쌍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0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곤충의 소화기관의 주위를 감싸고 있는 근육에 작용하는 신경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말초신경계
  2. 내장신경계
  3. 배신경줄
  4. 중추신경계
(정답률: 57%)
  • 내장신경계는 내장기관 주위를 감싸고 있는 근육에 작용하는 신경계로, 소화기관을 비롯한 내장기관의 움직임과 기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곤충의 소화기관의 주위를 감싸고 있는 근육에 작용하는 신경계는 내장신경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농약학

41. 농약관리법에서 정한 농약의 급성어독성 Ⅰ급에 해당하는 농도(반수를 죽일 수 있는 농도[mg/L, 48시간]) 기준은?

  1. 0.5미만
  2. 1.0미만
  3. 2.0미만
  4. 2.5미만
(정답률: 72%)
  • 농약관리법에서 정한 농약의 급성어독성 Ⅰ급에 해당하는 농도 기준은 0.5mg/L 미만입니다. 이는 반수를 죽일 수 있는 농도를 기준으로 하며, 이 농도 이상으로 노출될 경우 인체나 동물에 심각한 독작용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기준을 준수하여 농약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12% 바리신분제 1kg을 1% 분제로 조제하고자 할 때 필요한 증량제의 양은 몇 kg 인가?

  1. 10
  2. 11
  3. 12
  4. 13
(정답률: 75%)
  • 바리신분제 1kg 중에 12%가 실제 바리신이다. 이를 1% 분제로 만들기 위해서는 1/12만큼의 양만 필요하다. 따라서 증량제의 양은 11/12kg이 된다. 이를 소수점을 제거하여 정수로 표현하면 1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아조포 유제를 500배로 희석하여 살포하려고 할 때 물 1말(18L)에 필요한 약량은 몇 mL 인가?

  1. 18
  2. 20
  3. 36
  4. 72
(정답률: 75%)
  • 아조포 유제를 500배로 희석한다는 것은 1배의 농도를 500분의 1로 만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mL의 아조포 유제를 500mL의 물로 희석하면 1/500 농도의 용액이 만들어집니다.

    이 문제에서는 1말(18L)의 물에 필요한 양을 구해야 하므로, 18L을 500으로 나누어준 후 1mL을 곱해주면 됩니다.

    18L ÷ 500 = 0.036L = 36mL

    따라서, 물 1말(18L)에는 36mL의 아조포 유제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유기인계 살균제는?

  1. 에디펜(히노산)
  2. 네오진(네오아소진)
  3. 홀펫
  4. 라브사이드
(정답률: 55%)
  • 에디펜(히노산)은 유기인계 살균제로,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여 세균의 성장을 방해하고 살균 효과를 나타냅니다. 이에 반해 네오진(네오아소진), 홀펫, 라브사이드는 모두 무기인계 살균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농약의 명칭 중 농약개발회사의 약자 또는 약종의 상징문자에 선택번호를 부여하여 등록되기 전에 사용되는 명칭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일반명(common name)
  2. 상품명(trade name)
  3. 품목명(item name)
  4. 시험명(code name)
(정답률: 79%)
  • 시험명은 농약을 개발하는 회사에서 해당 농약에 대한 약자나 상징문자에 선택번호를 부여하여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명칭이다. 이는 농약의 개발 및 등록 과정에서 사용되며, 등록 전에는 일반명이나 상품명 등으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시험명은 농약의 임시적인 명칭으로, 등록 전에는 이를 사용하여 농약의 효능, 안전성 등을 검증하고 평가하는 과정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농약의 약효를 높이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방제적기에 농약을 살포한다.
  2. 한 가지 농약을 계속 사용한다.
  3. 표준희석배수의 농약을 점량 살포한다.
  4. 방제대상에 적합한 농약을 선택한다.
(정답률: 85%)
  • "한 가지 농약을 계속 사용한다"는 농약 내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농약의 약효를 높이는 방법이 아니다. 농작물에 계속 같은 농약을 사용하면, 그 농약에 대한 해충의 내성이 생겨나게 되어 농약의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농약을 번갈아가며 사용하거나, 생물학적 방제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농약 내성을 예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농약관리법에서 정한 농약의 독성정도에 따른 구분이 아닌 것은?

  1. 저독성
  2. 유해성
  3. 고독성
  4. 보통독성
(정답률: 83%)
  • "유해성"은 농약의 독성정도에 따른 구분이 아니라, 농작물에 대한 영향이나 인체에 대한 위험성 등을 고려한 평가 결과로 분류된 것입니다. 따라서, "저독성", "고독성", "보통독성"은 농약의 독성정도에 따른 구분이며, "유해성"은 다른 요소들도 고려한 평가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제충국제의 살충유효 성분이 아닌 것은?

  1. Pyrethrin Ⅰ
  2. Pyrethrin Ⅱ
  3. Cinerin Ⅰ
  4. Rotenine
(정답률: 73%)
  • Rotenine은 제충국제의 살충유효 성분이 아닙니다. 이유는 Rotenine은 살충제가 아닌, 식물에서 발견되는 알칼로이드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카바메이트(carbamate)계 살충제가 아닌 것은?

  1. 비피(BPMC)
  2. 칼탑(cartap)
  3. 카보(cabofuran)
  4. 푸라티오카브(furathiocarb)
(정답률: 52%)
  • 칼탑은 카바메이트 계 살충제가 아니라, 티오카르바메이트(thiocarbamate) 계 살충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훈증제가 아닌 것은?

  1. 클로로피크린
  2. 메틸브로마이드
  3. 인화아연
  4. 디크로보스(DDVP)
(정답률: 57%)
  • 인화아연은 살충제나 살균제로 사용되는 화학물질이며, 훈증제가 아닙니다. 클로로피크린, 메틸브로마이드, 디크로보스는 모두 훈증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농약 중 쥐에 대한 경구독성이 가장 높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이피엔(EPN)
  2. 다이아지논(diazinon)
  3. 파라티온(parathion)
  4. 디디브이피(dichlorvos)
(정답률: 34%)
  • 정답은 "다이아지논(diazinon)"입니다. 다이아지논은 쥐에 대한 경구독성이 가장 높은 농약 중 하나입니다. 이는 쥐가 다이아지논을 섭취하면 신경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다이아지논은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을 분해하는 역할을 하는 염기성 인산화효소를 억제하여 신경계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쥐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에 영향을 받아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작용기작이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약제에 대해 저항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 개체 안에 두 가지 이상의 저항성기작이 존재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교차저항성
  2. 복합저항성
  3. 저항성계통
  4. 감수성계통
(정답률: 66%)
  • 복합저항성은 한 개체 안에 두 가지 이상의 약제에 대한 저항성기작이 존재하여 발생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두 약제가 각각 다른 작용기작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 약제에 대한 저항성이 다른 약제에 대해서도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두 약제를 함께 사용해도 효과가 없거나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복합저항성은 항생제 치료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비에이 액제의 주된 용도는?

  1. 담배의 액아 억제제
  2. 과수의 낙과 방지제
  3. 콩나물 생장 촉진제
  4. 카네이션의 발근 촉진제
(정답률: 69%)
  • 비에이 액제는 콩나물 생장을 촉진시키는데 사용되는데, 이는 비타민 B1과 카르보하이드레이트 등의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콩나물이 더욱 건강하게 자라고, 생산성이 향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과 같은 화학구조를 가지는 제초제는?

  1. 2,4-D
  2. EPN
  3. MCP
  4. TBA
(정답률: 68%)
  • 화학구조에서 MCP는 2-메틸-4-클로로페녹시안산으로, 이는 제초제로 사용되는 화합물 중 하나입니다. MCP는 잡초를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며, 농작물에 대한 독성이 낮아 안전하게 사용됩니다. 따라서, 주어진 화학구조와 보기 중에서 MCP가 제초제로 사용되는 화합물임을 알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농약제조시 보조제로 첨가하는 계면활성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원제를 녹이기 위해 사용하는 물질이다.
  2. 액체 제형은 살포용수에서 유화액 상태로 균일하게 분산되게 한다.
  3. 살포약액이 병해충 및 잡초에 대한 접촉효율을 높이는 데에도 사용된다.
  4. 약액의 표면장력을 낮추는 작용을 한다.
(정답률: 54%)
  • "원제를 녹이기 위해 사용하는 물질이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계면활성제는 원제를 녹이기 위해 사용되는 물질 중 하나이다. 계면활성제는 액체 제형을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살포약액의 표면장력을 낮추어 병해충 및 잡초에 대한 접촉효율을 높이는 데에도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곤충 생장조절제로 개발되었으나 국내에서는 혼합제로 제조하여 벼멸구 방제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약제는?

  1. Buprofezin
  2. Pencycuron
  3. Thiophanate-methyl
  4. Cymozanil
(정답률: 44%)
  • 문제에서 언급한 약제는 "곤충 생장조절제"로 개발되었으나, 국내에서는 "혼합제"로 제조되어 사용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혼합제 중에서도 벼멸구 방제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약제는 "Buprofezin"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Buprofezi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2,4-D의 특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선택성
  2. 호르몬형
  3. 접촉형
  4. 이행형
(정답률: 66%)
  • 2,4-D의 특성 중 "호르몬형"은 해당하지 않습니다.

    2,4-D는 접촉형 제초제입니다. 이는 2,4-D가 식물의 잎이나 줄기 등에 직접 접촉하여 작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2,4-D를 뿌린 지점에만 효과가 있으며, 다른 부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이와 달리 이행형 제초제는 흙을 통해 식물 전체에 흡수되어 작용하므로, 뿌린 지점 이외의 부분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2,4-D는 선택성 제초제로, 특정 작물에만 효과를 발휘하며 다른 작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분제는 물리적 성질이 약효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다음 중 분제가 가지는 물리적 성질이 아닌 것은?

  1. 토분성
  2. 부착성
  3. 분산성
  4. 습전성
(정답률: 72%)
  • 정답: 습전성

    설명: 습전성은 분자가 습기를 흡수하는 성질로, 약효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반면, 토분성은 분말 형태로 존재하는 성질, 부착성은 표면에 물질이 잘 달라붙는 성질, 분산성은 물 속에서 잘 섞이는 성질로, 이들은 약물의 흡수, 용해도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갯지렁이에서 추출한 천연살충 성분인 nereistoxin 의 유도체 농약은?

  1. 벤설탑(bensultap)
  2. 에디펜(edifenphos)
  3. 디코폴(kelthane)
  4. 비피(BPMC)
(정답률: 52%)
  • nereistoxin 유도체 농약은 벤설탑(bensultap)이다. 이는 갯지렁이에서 추출한 천연살충 성분인 nereistoxin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농약으로, 벤설탑은 이 농약의 주요 활성 성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농약 혼용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약효의 경감
  2. 약해의 경감
  3. 독성의 경감
  4. 약호 지속시간 연장
(정답률: 68%)
  • 정답: "약효의 경감"

    농약 혼용의 장점은 약해의 경감, 독성의 경감, 약호 지속시간 연장 등이 있다. 이는 농작물의 병해충에 대한 효과를 높이고, 농약 사용량을 줄이며, 작물의 생육을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농약 혼용은 약효를 강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약효를 경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약효의 경감"은 농약 혼용의 장점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잡초방제학

61. 제초제 저항성 잡초의 출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은?

  1. 동일한 제초제를 매년 사용한다.
  2. 동일한 작물을 연작한다.
  3. 약호가 좋은 동일계열 제초제를 매년 사용한다.
  4. 작용기작이 다른 제초제를 번갈아 사용한다.
(정답률: 81%)
  • 동일한 제초제를 매년 사용하거나 동일한 작물을 연작하면 제초제 저항성 잡초가 출현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는 잡초가 해당 제초제나 작물에 대한 저항성을 발달시켜서 그 효과를 줄이거나 무력화시키기 때문이다.

    반면에 작용기작이 다른 제초제를 번갈아 사용하면, 각각의 제초제가 다른 방식으로 잡초를 제거하기 때문에 저항성 잡초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진다. 또한, 번갈아 사용함으로써 특정 제초제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작물과 토양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종자에 낙하산과 같은 긴 털을 가지거나 솜털과 같은 것으로 덮여서 바람에 잘 날리는 잡초는?

  1. 민들레
  2. 소리쟁이
  3. 메귀리
  4. 진득찰
(정답률: 89%)
  • 민들레는 종자에 낙하산과 같은 긴 털을 가지고 있어 바람에 잘 날리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효과적인 잡초방제를 하기 위하여 염두 해 두어야 할 제초제 사용법으로 틀린 것은?

  1. 적합한 종류의 제초제를 선택할 것
  2. 적합한 종류의 제초제를 적기에 사용할 것
  3. 적합한 종류의 제초제를 적량 살포할 것
  4. 적합한 종류의 제초제를 적기에 가급적 다량 살포할 것
(정답률: 91%)
  • "적합한 종류의 제초제를 적기에 가급적 다량 살포할 것"은 틀린 것입니다. 적합한 종류의 제초제를 선택하고 적기에 적량을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너무 많은 양을 사용하면 환경 오염과 비용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운동장이나 공한지 등 작물이 심겨져 있지 않는 비농경지 상태에 발생하는 잡초를 방제하는데 가장 적절한 제초제는?

  1. Butachlor
  2. Simazine
  3. Glyphosate
  4. 2,4-D
(정답률: 59%)
  • Glyphosate은 넓은 스펙트럼의 제초제로, 잡초의 세포벽 합성을 방해하여 잡초를 죽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지속성이 높아 재발 방지에도 효과적이며, 인체에 대한 독성이 낮아 안전성이 높은 제초제입니다. 따라서, 비농경지 상태에서 발생하는 잡초 방제에 가장 적합한 제초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여름작물(콩, 옥수수, 감자, 참깨) 포장에서 발생이 가장 많은 우점 잡초는?

  1. 바랭이
  2. 뚝새풀
  3. 별꽃
  4. 냉이
(정답률: 65%)
  • 바랭이는 여름작물 포장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우점 잡초 중 하나입니다. 이는 바랭이가 빠른 생장 속도와 넓은 잎사귀로 인해 작물을 덮치고 영양분과 물을 빼앗아 작물의 성장을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바랭이는 뿌리가 깊게 파고들어 제거하기 어렵기 때문에 문제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농경지 잡초군락이 천이에 미치는 경종조건의 영향이 아닌 것은?

  1. 제초방법
  2. 작부체계
  3. 기상
  4. 물관리
(정답률: 63%)
  • 기상은 농경지 잡초군락이 천이에 미치는 경종조건의 영향과 관련이 없습니다. 제초방법, 작부체계, 물관리는 농경지 잡초군락을 관리하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기상은 이러한 요소들과는 별개로 농경지 잡초군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문제 잡초들은 경합력이 특히 강하고 끈질기게 생존하는 습성을 갖고 있어서 방제가 쉽지 않다. 다음 중 문제 잡초들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광합성 효율이 높고 생장이 매우 빠르며, 대부분 C4형 광합성을 한다.
  2. 종자 또는 지하번식기관으로 번식할 수 있으며, 많은 종자를 생산한다.
  3. 불량한 환경조건에 잘 적응하며, 과습의 조건에서도 견뎌 낼 수 있는 메카니즘을 가지고 있다.
  4. 휴면성이 낮아 불리한 조건 아래에서도 발아율이 높다.
(정답률: 84%)
  • 정답: "종자 또는 지하번식기관으로 번식할 수 있으며, 많은 종자를 생산한다."

    해설: 문제 잡초들은 광합성 효율이 높고 생장이 매우 빠르며, 대부분 C4형 광합성을 하기 때문에 빠른 생장과 대량의 생산이 가능합니다. 또한 불량한 환경조건에 잘 적응하며, 과습의 조건에서도 견뎌낼 수 있는 메카니즘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방제가 어렵습니다. 휴면성이 낮아 불리한 조건 아래에서도 발아율이 높다는 것은 문제 잡초들이 빠른 생장과 대량의 생산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어떠한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작물과 잡초의 경합에 관여하는 요인들 중에서 가장 경미한 경합인자는?

  1. CO2
  2. 수분
  3. 영양분
(정답률: 84%)
  • CO2는 광합성에 필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작물이 자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CO2가 부족하면 작물이 제대로 자라지 못하고, 이에 따라 잡초와의 경쟁에서 밀리게 됩니다. 따라서 CO2는 작물과 잡초의 경합에서 가장 경미한 경합인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잡초의 물리적 방제법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손제초
  2. 호미질
  3. 경운
  4. 토양산도교정
(정답률: 84%)
  • 잡초의 물리적 방제법으로는 손제초, 호미질, 경운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토양산도교정은 화학적 방제법에 해당하므로 물리적 방제법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방동사니류 잡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잎이 둥글고 크며 잎맥이 그물모양이다.
  2. 습지에서도 많이 자생한다.
  3. 줄기가 삼각형 모양의 특징이 있다.
  4. 잎끝이 뽀족하고 소수(小穗)에 꽃이 착생한다.
(정답률: 65%)
  • "잎이 둥글고 크며 잎맥이 그물모양이다."가 틀린 것이다. 방동사니류의 잎은 일반적으로 뾰족한 끝이 있고, 잎맥은 별모양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년생의 영양번식기관이 아닌 것은?

  1. 덩이줄기
  2. 뿌리줄기
  3. 비늘줄기
  4. 절간
(정답률: 70%)
  • 절간은 다년생 식물에서 영양을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역할을 하지 않는 부분으로, 다른 보기들은 모두 영양번식기관의 일종입니다. 덩이줄기는 덩어리 모양으로 된 줄기로서 영양을 저장하고 새로운 식물을 번식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뿌리줄기는 뿌리처럼 생긴 줄기로서 영양을 저장하고 새로운 식물을 번식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비늘줄기는 비늘 모양으로 된 줄기로서 영양을 저장하고 새로운 식물을 번식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절간은 영양번식기관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벼 재배방법 중 벼와 잡초와의 경합이 가장 큰 것은?

  1. 어린모 재배
  2. 중묘 재배
  3. 무경운 기계이앙재배
  4. 담수표면 산파재배
(정답률: 52%)
  • 담수표면 산파재배는 벼를 물에 심어서 재배하는 방법으로, 물 위에서 벼가 자라기 때문에 잡초와의 경합이 가장 큽니다. 잡초도 물 위에서 자라기 때문에 벼와 경쟁하여 생장하게 되어 벼의 성장을 방해합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잡초 관리에 매우 민감하며,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제초제의 따른 약효 반응과 관련이 가장 적은 증상은?

  1. 괴사(necrosis)
  2. 상편생장
  3. 황화
  4. 숙기억제
(정답률: 70%)
  • 제초제는 식물의 세포분열을 억제하여 생장을 방해하거나 광합성 과정을 방해하여 식물을 죽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러한 약효로 인해 괴사, 상편생장, 황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숙기억제는 제초제가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여 숙성과정을 지연시키는 효과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따라서 다른 증상들과는 달리 생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아 관련이 가장 적은 증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이 설명하는 잡초의 특성은?

  1. 정아우세 현상(apical dominance)
  2. 체질적 다형성(somatic polymorphism)
  3. 2차 휴면(secondary dormancy)
  4. 1차 휴면(primary dormancy)
(정답률: 70%)
  • 잡초는 생존에 필요한 조건이 갖춰지면 빠르게 성장하고 번식하는데, 이때 2차 휴면 상태에 빠져 적극적인 성장을 멈추고 생존에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합니다. 이는 환경적인 압력이나 경쟁 상황에서 잡초가 살아남을 수 있는 전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과수원 및 비농경지 잡초 중 다년생 잡초는?

  1. 바랭이
  2. 망초
  3. 강아지풀
(정답률: 65%)
  • 쑥은 다년생 잡초로, 과수원이나 비농경지에서 자주 발견됩니다. 다른 보기인 바랭이, 망초, 강아지풀은 모두 일년생 잡초이기 때문에 정답은 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제초제의 포장지 색깔은?

  1. 분홍색
  2. 녹색
  3. 청색
  4. 황색
(정답률: 80%)
  • 제초제의 주요 성분 중 하나인 Glyphosate의 원료인 PMIDA의 색깔이 황색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제초제의 포장지 색깔도 황색으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잡초발생이 주로 논보다 밭에서 많은 이유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논보다 밭에 영양분이 더 많기 때문이다.
  2. 논에서는 빛을 받는데 제한적인 반면에 밭에서 빛이 많기 때문이다.
  3. 논에서는 물이 다수의 잡초를 억제할수 있는 반면에 밭에서는 그렇지 못하기 때문이다.
  4. 비옥도의 차이로 밭의 비옥도가 논보다 높기 때문이다.
(정답률: 81%)
  • 논에서는 물이 다수의 잡초를 억제할수 있는 반면에 밭에서는 그렇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잡초에 대한 작물의 경합력을 높이는 방법은?

  1. 직파재배를 한다.
  2. 이앙·이식재배를 한다.
  3. 무비재배를 한다.
  4. 무경운재배를 한다.
(정답률: 85%)
  • 이앙·이식재배는 작물과 잡초가 함께 자라는 것을 막기 위해 작물을 심은 후, 작물 주변에 잡초가 자라지 않도록 잡초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다른 작물을 심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하면 작물이 잡초와 경쟁하지 않고 더욱 건강하게 자라날 수 있어 경합력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잡초의 생물학적 방제의 장점과 거리가 먼 것은?

  1. 방제비용이 적게 든다.
  2. 환경에 잔류가 없다.
  3. 살초작용이 빠르다.
  4. 방제법이 간단하다.
(정답률: 82%)
  • 잡초의 생물학적 방제는 살초작용이 빠르기 때문에 다른 방제법에 비해 빠르게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농작물의 성장을 방해하는 잡초를 빠르게 제거하여 농작물의 생육을 보호하고 수확량을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일정기간 이내에 대부분 종자가 발아를 마치는 집중발아습성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발아 계절성
  2. 발아 기회성
  3. 발아 준동시성
  4. 발아 연속성
(정답률: 64%)
  • 일정기간 이내에 대부분 종자가 발아를 마치는 것을 "발아 준동시성"이라고 한다. 이는 일정한 기간 동안 일정한 환경 조건이 유지되어 발아가 집중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봄철에는 따뜻한 기온과 충분한 습도가 유지되어 많은 종자들이 발아를 하게 된다. 따라서 봄철은 발아 준동시성이 높은 계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