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식물병리학
1. 벼 흰잎마름병의 가장 중요한 발병 요인은?
2. 잣나무 잎떨림병균의 월동 장소는?
3. 외부로부터 유해한 작용을 받았을 때 신속하게 치유하는 특성을 무엇이라 하는가?
4. 병원체가 침입할 수 있는 식물체의 자연개구가 아닌 것은?
5. 파이토플라스마병 진단법과 거리가 먼 것은?
6. 식물병과 중간기주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7. 식물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8. 병해방제 비용이 작물수익의 증가분과 정확하게 일치할 때의 발병 수준을 무엇이라 하는가?
9. 고구마 검은무늬병 방제 방법으로 저장 직전에 실시하는 것은?
10. 파종기를 늦춰어 이병성 품종의 병발생을 막았다면 이것은 무엇을 이용한 방제 방법인가?
11. 특정한 병원균의 레이스에만 저항성을 나타내며 환경요인에 대해 안정적인 저항성은?
12. 포플러 모자이크병 진단을 위한 지표식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3. 사과 수심(water core) 현상의 원인은?
14. 병지의 은폐(masking)가 일어나는 병은?
15. 식물병의 방제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6. 우리나라에서 배나무 붉은별무늬병에 대하여 언급한 최초의 저서는?
17. 병든 식물을 습실처리하여 병의 원인을 가장 쉽게 진단할 수 있는 것은?
18. 병원균의 포자가 공기 중에 확산되어 주로 바람에 의해 전파되는 병은?
19. 종자전염성 병원균이 아닌 것은?
20. 담배 모자이크바이러스(TMV)와 같은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된 식물체의 세포 내에는 건전식물의 세포에는 볼 수 없는 특이한 구조를 볼 수 있는데 이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2과목: 농림해충학
21. 가로수에 밴딩(banding)을 하여 해충을 방제하는 기술은 주로 어떤 해충을 대상으로 한 것인가?
22. 곤충의 파악기(把握器)를 옳게 설명한 것은?
23. 오리나무잎벌레의 천적으로 가장 보호되어야 할 곤충은?
24. 곤충의 24시간주기(circadian rhythms)와 가장 관계가 깊은 환경 요인은?
25. 수목에 비료를 시비할 때 진딧물류, 깍지벌레류와 같은 흡즙성 해충의 증식을 가장 촉진시키는 비료의 종류는?
26. 불완전 변태를 하는 곤충 목(目)은?
27. 기주이동을 하는 곤충은?
28. 벼룩잎벌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9. 곤충이 분비하는 방어물질은 곤충 이종간(異種間)의 통신용 화합물이다. 잠재적 포식자와 마주쳤을 때에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분비하는 물질은?
30. 곤충의 순환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1. 곤충 체내조직에 산소를 운반하는 곳은?
32. 단식성인 해충은?
33. 밤나무혹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4. 분류학상 곤충강(綱)에 속하지 않는 것은?
35. 다음 중 내한성(耐寒性)이 가장 약한 해충은?
36. 곤충의 소화기관 중 발생학적으로 외배엽성 기원이 아닌 부위는?
37. 곤충의 혈림프로 방출되는 탄수화물의 저장 형태는?
38. 천공성 해충이 아닌 것은?
39. 끝동매미충의 월동충태는?
40. 목재섬유인 셀룰로오스를 분해할 수 있는 공생미생물은 흰개미의 몸 어느 부위에서 존재하는가?
3과목: 농약학
41. 다음 중 카바메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약제는?
42. nereistoxin을 기초로 한 천연물 유도형의 살충제는?
43. 수화제, 수용제 등의 살포액에 기포제를 가하여 전용노즐로 공기와 교반하여 가는 거품의 집합체로 살포하는 방법은?
44. 응애약인 플로페녹수론 분산성액제의 검사항목을 옳게 나타낸 것은?
45. 항생제인 가스가마이신 액제의 주된 살균 기작은?
46. 비중 1.15인 비피단유제(50%) 100mL로 0.05% 살포액을 조제하는데 필요한 물의 양은 몇 L 인가?
47. 식품 중에 잔류되는 유기인계 농약성분을 분석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방법은?
48. 유기인계 살충제의 일반적인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9. 살포된 분제가 식물체 표면에 잘 달라붙게 하는 성질을 무엇이라 하는가?
50. 제초제, 목재의 방부제, 낙엽촉진제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약제는?
51. 우리나라 농약의 어독성은 어떻게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는가?
52. 토양내에서 서식하고 있는 병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가장 적당한 농약 사용 방법은?
53. 농약의 사용방법과 관련하여 일어나는 약해가 아닌 것은?
54. 다음 중 Sulfonyl urea계 제초제는?
55. 우리나라에서 농약 등록 시 안전성 평가항목으로서 일반 독성 평가 항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56. 농약의 독성을 표시할 때 사용하는 LD50의 의미는?
57. 농약의 독성정도에 따른 구분 시 급성경구(고체의 경우)의 고독성이라고 하면 반수치사량(mg/kg체중)이 얼마로 정해져 있는가?
58. 급성독성 중 일반적으로 호흡기를 통해서 흡수되는 독성을 무엇이라 하는가?
59. 다음 중 입체 제제 시 증량제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60. Dichlorvos(DDV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과목: 잡초방제학
61. 콩밭에 중경·배토하는 것은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62. 일반적으로 잡초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철저히 방제를 하여야 할 작물의 생육 시기는?
63. 제초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64. 잡초의 이용면을 잘못 연결한 것은?
65. 제초제에 따른 약효 반응과 가장 관련이 적은 증상은?
67. 화학적 잡초방제법의 단점은?
68. 논 제초제 사용방법으로 틀린 것은?
69. 잡초종자가 발아하는데 관여하는 3대 환경요소가 아닌 것은?
70. 잡초의 번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71. 잡초의 형태적 특성에 따른 분류로 옳은 것은?
72. 논의 잡초 발생과 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73. 잡초 종자가 새로운 지역으로 확산되기 위한 전파 기능 중 종실에 가시나 갈고리 모양의 돌기가 있어 인축에 부착되어 전파되는 초종으로만 나열된 것은?
74. 잡초와 작물과의 경합 요인 중 가장 영향력이 높은 것은?
75. 논에서 발생하는 우점 다년생 잡초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6. 벼 재배시 벼와 경합이 가장 큰 잡초는?
77. 혼합제초제의 효과로 볼 수 없는 것은?
78. 여름작물(콩, 옥수수, 감자, 참깨) 포장에서 발생이 가장 많은 우점 잡초는?
79. C3 작물과 C4 잡초의 연결로 틀린 것은?
80. 국내 논에서 발생하고 있는 제초제 저항성 잡초들은 주로 어떤 계통에 대한 저항성 잡초들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