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10-01)

식물보호산업기사
(2016-10-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식물병리학

1. 토마토 잎곰팡이병을 발생시키는 병원균은?

  1. Fulvia fulva
  2. Fusarium solani
  3. Alternaria alternata
  4. Agrobacterium tumefaciens
(정답률: 70%)
  • 토마토 잎곰팡이병을 발생시키는 병원균은 "Fulvia fulva"이다. 이 균은 토마토 잎에 감염되어 잎에 갈색 반점을 일으키며, 이후 잎이 말라 죽게 된다. 이 균은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 번식하며, 토양이나 씨앗 등을 통해 전파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오이 노균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세균에 의해 발생한다.
  2. 주로 줄기에 발생한다.
  3. 질소질 성분이 부족할 경우 잘 발생한다.
  4. 시설재배보다 노지재배할 경우 피해가 더 크다.
(정답률: 73%)
  • 오이 노균병은 질병을 유발하는 세균에 의해 발생하며, 주로 오이의 줄기에 발생합니다. 이 질병은 질소질 성분이 부족할 경우 잘 발생하는데, 이는 질병에 걸린 식물이 질소를 흡수하지 못해 면역력이 약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비료 관리가 필요합니다. 시설재배보다는 노지재배할 경우 피해가 더 크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맞지만, 이는 오이 노균병에 한정된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무성포자에 해당하는 것은?

  1. 난포자
  2. 분생포자
  3. 자낭포자
  4. 담자포자
(정답률: 80%)
  • 무성포자는 생식기관이 없는 포자를 말하는데, 이 중에서 분생포자는 분열을 통해 생식하는 포자를 말합니다. 따라서 분생포자가 무성포자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식물병 진단에 이용하기 위하여 특정병원체의 침입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식물로서 주로 바이러스병 진단에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지표식물
  2. 표적식물
  3. 진단식물
  4. 실험식물
(정답률: 87%)
  • 지표식물은 특정병원체의 침입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그 병원체의 존재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식물이다. 따라서 바이러스병 진단에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지표식물은 식물병 진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모래땅이나 유기질이 적은 논에서 발생하기 쉬운 병은?

  1. 벼 도열병
  2. 벼 키다리병
  3. 벼 흰잎마름병
  4. 벼 깨씨무늬병
(정답률: 69%)
  • 벼 깨씨무늬병은 모래땅이나 유기질이 적은 논에서 발생하기 쉬운 병으로, 이는 이 병의 원인균인 무늬마름균이 모래토나 유기질이 적은 토양에서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과수 뿌리혹병의 생물적 방제에 이용되는 균은?

  1. Aspergillus niger
  2. Aspergillus nidulans
  3. Agrobacterium tumefaciens
  4. Agrobacterium radiobacter
(정답률: 84%)
  • 과수 뿌리혹병은 Agrobacterium radiobacter에 의해 유발됩니다. 따라서 이 균은 생물적 방제에 이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 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파종기를 늦추어 감수성 품종의 병 발생을 막았다면 이것은 무엇을 이용한 방제방법인가?

  1. 내성
  2. 회피
  3. 면역성
  4. 저항성
(정답률: 95%)
  • 파종기를 늦추어 감수성 품종의 병 발생을 막은 것은 "회피" 방제방법이다. 회피란 병원균이나 해충 등의 피해를 피하기 위해 환경을 조절하거나,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은 시기나 장소를 피하는 방법이다. 파종기를 늦추어 감수성 품종의 병 발생을 막은 것은 병원균이나 해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시기를 피하는 것으로, 회피 방제방법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가지 풋마름병의 병원체는?

  1. 세균
  2. 균류
  3. 바이러스
  4. 생리적 용인
(정답률: 82%)
  • 가지 풋마름병의 병원체는 세균입니다. 이는 가지 풋마름병이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병이기 때문입니다. 세균은 하나의 독립된 생물체로서, 세포벽과 세포막으로 둘러싸인 원형 또는 막대형의 형태를 가지며, 대부분의 경우 유익한 역할을 하지만 일부는 병원체로 작용하여 질병을 유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기주범위가 좁고 기주가 없으면 오래 생존하지 못하고 쉽게 사멸하는 병원균의 방제방법으로 효과적인 것은?

  1. 윤작
  2. 접목
  3. 멀칭
  4. 연작
(정답률: 84%)
  • 윤작은 작물을 심기 전에 땅을 적당한 습도와 온도로 유지하여 병원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기주범위가 좁고 기주가 없는 병원균은 환경이 좋지 않으면 쉽게 사멸하기 때문에 윤작은 이러한 병원균을 방제하는데 효과적이다. 접목, 멀칭, 연작은 윤작과는 다른 방법으로 작물의 생장을 돕는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물에 의해 전반되는 식물 병원체가 아닌 것은?

  1. 세균
  2. 선충
  3. 균류
  4. 바이러스
(정답률: 73%)
  • 바이러스는 물에 의해 전파되지 않으며, 호스트 세포 내에서만 번식할 수 있는 비생물적인 병원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물로 인해 전파되는 식물 병원체인 세균, 선충, 균류와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균류에 속하는 식물병균 중 순활물기생균이 아닌 것은?

  1. 녹병균
  2. 노균병균
  3. 흰가루병균
  4. 잿빛곰팡이병균
(정답률: 73%)
  • 잿빛곰팡이병균은 균류에 속하지 않는 진균류에 속하는 식물병균이기 때문에 순활물기생균이 아닙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순활물기생균에 속하는 식물병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파이토알렉신(Phytoalexi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병원균이 분비한다.
  2. 병원체의 발육을 촉진하는 물질이다.
  3. 기주와 균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생긴다.
  4. 생산되 파이토알렉신의 종류는 식물의 종과는 관계없이 균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정답률: 79%)
  • 파이토알렉신은 식물이 병원균과의 상호작용에서 생산하는 자연적인 방어물질로, 기주와 균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긴다. 이는 식물이 병원균과의 접촉 시, 병원균이 방어기전을 뚫고 침입하면 식물이 이에 대항하기 위해 생산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식물은 자신의 생존을 보호하고 병원균의 발육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파이토알렉신은 병원체의 발육을 억제하는 물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식물병과 중간기주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1. 소나무 혹병 - 쑥부쟁이
  2. 잣나무 털녹병 - 송이풀
  3. 포플러 잎녹병 - 향나무
  4. 사과나무 붉은별무늬병 - 포플러류
(정답률: 88%)
  • 잣나무 털녹병과 송이풀은 서로 상호작용하는 관계에 있다. 잣나무 털녹병은 잣나무를 감염시키는 질병으로, 이 병균은 송이풀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따라서, 송이풀은 잣나무 털녹병의 중간기주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관계를 바탕으로, 잣나무 털녹병 예방을 위해 송이풀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맥류의 흰가루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낭균에 의해 발병한다.
  2. 내품성 품종을 재배하여 방제한다.
  3. 4~5월경에 발생하여 수확기에 심하게 발생한다.
  4. 잎에만 발생하고 잎집이나 줄기에는 발생하지 않는다.
(정답률: 91%)
  • 맥류의 흰가루병은 잎, 줄기, 꽃 등에 발생할 수 있지만, 이 중에서는 잎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잎에만 발생하고 잎집이나 줄기에는 발생하지 않는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세균성 식물병의 진단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유출검사에 의한 진단
  2. 즙액접종에 의한 진단
  3. 괴경지표법에 의한 진단
  4. 파지(Phage)에 의한 진단
(정답률: 61%)
  • 괴경지표법은 세균의 종을 식별하기 위한 방법으로, 세균성 식물병의 진단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유출검사, 즙액접종, 파지에 의한 진단은 모두 세균성 식물병의 진단에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대추나무 빗자루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문제오류로 인하여 실제 시험에서는 1, 2, 4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1. 마름무늬매미충에 의해 전염된다.
  2. 파이토플라스마에 의해 발병한다.
  3. 분주에 의해서는 전염되지 않는다.
  4. 병든 나무의 꽃은 염화현상이 나타나 열매가 열리지 않는다.
(정답률: 90%)
  • 대추나무 빗자루병은 파이토플라스마에 의해 발병하며, 병든 나무의 꽃은 염화현상이 나타나 열매가 열리지 않습니다. 마름무늬매미충은 이 병을 전염시키는 벡터 역할을 합니다. 즉, 이 벌레가 병든 나무에서 바이러스를 먹고 다른 나무로 이동하면서 전염시키는 것입니다. 따라서 "마름무늬매미충에 의해 전염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일반적으로 세균이 침입할 수 없는 부위는?

  1. 기공
  2. 각피
  3. 수공
  4. 상처
(정답률: 90%)
  • 각피는 표면에 있는 외피로서 세포들이 밀접하게 붙어있어 세균이 침입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각피는 피부의 첫 번째 방어선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처가 없는 경우 세균이 침입하기 어렵습니다. 반면 기공과 수공은 피부 내부에 있는 구조물로서 세균이 침입하기 쉽습니다. 상처는 피부가 파열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세균이 쉽게 침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배추 무사마귀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한낮에는 시들음 증상을 보인다.
  2. 뿌리의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커진다.
  3. 토양이 산성인 경우 잘 발생하지 않는다.
  4.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배추, 양배추, 무, 갓 등에 많이 발생한다.
(정답률: 91%)
  • 토양이 산성인 경우에는 pH가 낮아서 무사마귀병의 원인균인 균주가 번식하기 어렵기 때문에 발생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설명에서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

  1. ㉠ : 저항성, ㉡ : 감수성
  2. ㉠ : 저항성, ㉡ : 친화성
  3. ㉠ : 감수성, ㉡ : 저항성
  4. ㉠ : 감수성, ㉡ : 친화성
(정답률: 95%)
  • 전류가 흐르는데 있어서 저항성은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성질을 말하고, 감수성은 전류의 흐름에 민감한 성질을 말한다. 따라서 전기회로에서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고자 할 때는 저항성이 필요하고, 전류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할 때는 감수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 : 저항성, ㉡ : 감수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병이 아닌 것은?

  1. 감귤 궤양병
  2. 포플러 잎녹병
  3. 배나무 불마름병
  4. 사과나무 뿌리혹병
(정답률: 65%)
  •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병이 아닌 것은 "포플러 잎녹병"입니다. 포플러 잎녹병은 곰팡이에 의해 발생하는 병으로, 세균이 아닌 곰팡이에 의해 발생합니다. 감귤 궤양병, 배나무 불마름병, 사과나무 뿌리혹병은 모두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농림해충학

21. 해충의 생태적 방제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윤작 실시
  2. 포장위생 실시
  3. 재배시기 조절
  4. 길항식물 재배
(정답률: 60%)
  • 해충의 생태적 방제방법으로는 윤작 실시, 포장위생 실시, 재배시기 조절 등이 있지만, 길항식물 재배는 생태적 방제방법이 아닙니다. 길항식물은 해충을 막는 효과가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해충의 서식지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길항식물을 재배하는 것은 해충 방제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뽕나무하늘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과나무, 배나무에도 피해를 준다.
  2. 성충이 과실을 물어뜯고 즙액을 빨아먹는다.
  3. 다 자란 유충은 나뭇잎 뒷면에서 번데기가 된다.
  4. 유충이 나무줄기 속으로 구멍을 뚫고 들어간다.
(정답률: 64%)
  • "다 자란 유충은 나뭇잎 뒷면에서 번데기가 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옳은 설명은 다음과 같다. 뽕나무하늘소는 사과나무, 배나무 등 과수작물에 피해를 주며, 성충은 과실을 물어뜯고 즙액을 빨아먹는다. 유충은 나무줄기 속으로 구멍을 뚫고 들어가서 나무를 파괴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미생물 살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해충에 대하여 기주 특이적으로 작용한다.
  2. 환경변화에 대하여 비교적 안정성이 높다.
  3. 침입해충에 대하여 높은 독성이 지니고 있다.
  4. 자외선과 열 같은 물리적 요소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률: 75%)
  • 미생물 살충제는 화학적인 물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외선과 열 같은 물리적 요소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오히려 이러한 물리적 요소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완전변태를 하는 것은?

  1. 메뚜기
  2. 진딧물
  3. 잠자리
(정답률: 87%)
  • 완전변태를 하는 곤충 중에서 벌은 다른 세 개의 곤충과 달리 성체로 발달하기 전에 번데기, 유충, 고치, 섬유, 성충으로 완전한 변태를 거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솔잎혹파리의 월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성충으로 땅속에서 월동한다.
  2. 유충으로 땅속에서 월동한다.
  3. 성충이 혹을 만들어 그 안에서 월동한다.
  4. 유충이 혹을 만들어 그 안에서 월동한다.
(정답률: 51%)
  • 솔잎혹파리의 월동에 대한 옳은 설명은 "유충으로 땅속에서 월동한다." 이다. 이는 솔잎혹파리의 유충이 추운 겨울철에 땅속으로 파묻혀서 월동을 하기 때문이다. 성충은 겨울철에 죽어서 월동하지 않으며, 혹을 만들어 월동하는 것도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해충발생밀도 조사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수반조사법
  2. 예찰등조사법
  3. 해충가해조사법
  4. 공중포충망조사법
(정답률: 74%)
  • 해충가해조사법은 해충의 발생 밀도를 조사하는 방법이 아니라, 이미 발생한 해충을 제거하거나 방제하는 방법을 말한다. 따라서, 다른 세 가지 방법은 모두 해충의 발생 밀도를 조사하는 방법이지만, 해충가해조사법은 그렇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날개가 1쌍인 해충은?

  1. 하늘소
  2. 나방파리
  3. 호랑나비
  4. 나나니벌
(정답률: 76%)
  • 나방파리는 날개가 1쌍인 해충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꽃바구미의 발육영점온도는 10℃이고 알에서부터 성충까지의 유효적산온도가 250℃일 때 20℃ 인큐베이터에 오늘 알을 넣으면 언제 성충이 되는가?

  1. 10일 후
  2. 15일 후
  3. 20일 후
  4. 25일 후
(정답률: 74%)
  • 꽃바구미의 발육영점온도는 10℃이므로, 20℃에서의 발육속도는 2배가 된다. 따라서, 유효적산온도 250℃를 2로 나눈 값인 125일이 걸린다. 이를 20℃에서 계산하면 125 x 2 = 250일이 걸린다. 따라서, 오늘 알을 넣으면 250일 후에 성충이 된다. 250일 후는 25일 후이므로 정답은 "25일 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알의 양쪽에 공기주머니가 붙어 있는 해충은?

  1. 솔나방
  2. 무당벌레
  3. 학질모기
  4. 이화명나방
(정답률: 78%)
  • 알의 양쪽에 공기주머니가 붙어 있는 해충은 학질모기입니다. 이는 학질모기의 알이 물 속에서 부유하며, 공기주머니를 통해 호흡을 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인 솔나방, 무당벌레, 이화명나방은 알에 공기주머니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어떤 곤충에 다른 작은 곤충이 붙어있는 것으로 외부기생충이 아닌 단순한 편리공생인 경우에 해당하는 것은?

  1. 편승
  2. 먹이 탐색
  3. 구애 행동
  4. 도둑 기생
(정답률: 80%)
  • 정답은 "편승"입니다. 편승은 서로 다른 두 종 간의 관계 중 하나로, 한 종이 다른 종에게 이용되지 않고 함께 이동하거나 생활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 경우 작은 곤충이 큰 곤충에게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둘 다 상호 이익을 얻는 관계이기 때문에 외부기생충이 아닌 편리공생에 해당합니다. 먹이 탐색은 한 종이 다른 종의 먹이를 찾아주는 관계, 구애 행동은 한 종이 다른 종의 번식을 방해하는 관계, 도둑 기생은 한 종이 다른 종의 자원을 빼앗는 관계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곤충의 피부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저막은 일정한 모양이 형성된 비세포성 연결조직이다.
  2. 외표피는 단백질과 지질로 구성된 얇은 층으로 되어있다.
  3. 원표피는 성층표피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외원표피와 내원표피로 구성된다.
  4. 진피세포는 표리를 이루는 단백질, 지질, 키틴 화합물 등을 합성 및 분비하는 세포균이다.
(정답률: 66%)
  • "기저막은 일정한 모양이 형성된 비세포성 연결조직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기저막은 세포 외 기질과 세포막 사이에 위치한 섬유성 막으로, 세포막과 밀착하여 세포를 지지하고 영양과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기저막은 비세포성이 아닌 섬유성 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소화와 흡수가 주로 이루어지는 기관은?

  1. 결장
  2. 중장
  3. 전장
  4. 모이주머니
(정답률: 86%)
  • 중장은 소화와 흡수가 주로 이루어지는 기관으로, 식사를 마친 음식물이 소화되고 영양소가 흡수되는 곳입니다. 결장은 대장의 일부로 대변을 형성하는 역할을 하고, 전장은 소장과 결장 사이에 위치하여 소화와 흡수에 직접적인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모이주머니는 쓰레기통과 같은 역할을 하며, 소화와 흡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단위생식으로 번식하는 해충이 아닌 것은?

  1. 밤나무혹벌
  2. 벼물바구미
  3. 미국선녀벌레
  4. 복숭아혹진딧물
(정답률: 68%)
  • 미국선녀벌레는 단위생식이 아닌 것입니다. 단위생식은 한 번에 하나의 암컷이 하나의 수컷과 교배하여 산란하는 번식 방식을 말합니다. 하지만 미국선녀벌레는 다수의 암컷이 한 수컷과 교배하여 산란하는 집단생식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흡즙성 해충에 해당하는 것은?

  1. 포플러하늘소
  2. 미국흰불나방
  3. 오리나무잎벌레
  4. 주머니깍지벌레
(정답률: 60%)
  • 주머니깍지벌레는 나무를 흡수하는 흡즙성 해충으로, 나무의 잎이나 줄기를 먹고 생활합니다. 반면, 포플러하늘소는 초식성 동물이며, 미국흰불나방과 오리나무잎벌레는 나무를 먹는 나방류의 해충입니다. 따라서, 주머니깍지벌레만이 흡즙성 해충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곤충의 호르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뇨호르몬은 지질 동원에 관여한다.
  2. 유약호르몬은 성장 조절에 관여한다.
  3. 경화호르몬은 탈피 후 표피의 경화에 영향을 준다.
  4. 앞가슴샘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은 탈피에 영향을 준다.
(정답률: 75%)
  • "이뇨호르몬은 지질 동원에 관여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뇨호르몬은 신장에서 분비되어 체내의 물과 염분 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뇨호르몬은 수분 대사와 관련이 있지만, 지질 동원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곤충의 주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주광성
  2. 주랭성
  3. 주촉성
  4. 주화성
(정답률: 87%)
  • 주광성, 주촉성, 주화성은 모두 곤충의 주요 특징 중 하나인 각각의 눈, 다리, 날개에 대한 특성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하지만 주랭성은 곤충의 주요 특징 중 하나가 아닌, 존재하지 않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주랭성은 곤충의 주요 특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깍지벌레가 속하는 목은?

  1. 이목
  2. 노린재목
  3. 총채벌레목
  4. 부채벌레목
(정답률: 72%)
  • 깍지벌레는 목으로서 노린재목에 속합니다. 이는 깍지벌레가 나무를 먹이로 삼기 때문입니다. 노린재목은 주로 나무를 먹이로 삼는 벌레들이 속하는 목으로, 깍지벌레뿐만 아니라 다른 나무를 먹이로 삼는 벌레들도 이 목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말피기소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진딧물은 말피기소관이 없다.
  2. 후장의 시작 부분에 붙어있다.
  3. 끝이 막혀 있는 큰 원통형 모양이다.
  4. 몸에서 발생한 함질소 노폐물 등을 체액으로부터 걸러준다.
(정답률: 68%)
  • "끝이 막혀 있는 큰 원통형 모양이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말피기소관은 끝이 막혀 있지 않고, 소변이 체외로 배출되는 구조이다. 말피기소관은 신장에서 소변이 생성되고, 요관을 통해 토출되기 전에 소변을 저장하는 방법으로 작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페로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카이로몬, 알로몬, 시노몬 등이 있다.
  2. 짝짓기를 위한 암수의 통신에 관여한다.
  3. 사회성을 유지하거나 개체들을 모이게 한다.
  4. 적으로부터 피하거나 방어를 위한 신호를 보내는데 사용한다.
(정답률: 70%)
  • 페로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카이로몬, 알로몬, 시노몬 등이 있다." 입니다. 이는 오타일 가능성이 있으며, 실제로는 "카이로몬, 알로몬, 신노몬 등이 있다." 라는 말이 맞습니다. 페로몬은 짝짓기를 위한 암수의 통신에 관여하며, 사회성을 유지하거나 개체들을 모이게 하며, 적으로부터 피하거나 방어를 위한 신호를 보내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딱정벌레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앞날개는 매우 두껍다.
  2. 성충은 외골격이 매우 발달되었다.
  3. 앞날개 밑에 얇은 뒷날개가 접혀 있다.
  4. 번데기는 피용이고 대개 고치를 짓지 않는다.
(정답률: 80%)
  • 번데기는 딱정벌레의 유충 단계를 말하며, 딱정벌레는 대개 고치를 짓지 않는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딱정벌레는 나무를 먹는 해충으로, 나무를 파괴하여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고, 나무가 썩어서 구조물의 안전성을 약화시키는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농약학

41. 독성 정도에 따른 농약의 구분에서 고체 급성경구 1급(맹독성)의 기준치(mg/kg 체중)는?

  1. 0.05 미만
  2. 0.5 미만
  3. 5 미만
  4. 50 미만
(정답률: 60%)
  • 고체 급성경구 1급(맹독성)은 인체에 치명적인 독성을 가진 농약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농약의 기준치는 매우 낮아야 합니다. "0.05 미만"과 "0.5 미만"은 낮은 독성을 가진 농약의 기준치이며, "50 미만"은 상대적으로 높은 독성을 가진 농약의 기준치입니다. 따라서 "5 미만"이 고체 급성경구 1급(맹독성)의 기준치인 이유는, 인체에 치명적인 독성을 가진 농약이지만, 다른 1급 농약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독성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곡물용 훈증제로 주로 사용되며, 인체에 독성이 강하므로 세심한 주의를 요하는 약제는?

  1. EDB
  2. 아조벤젠
  3. 이황화탄소
  4. 메틸브로마이드
(정답률: 75%)
  • 메틸브로마이드는 곡물용 훈증제로 주로 사용되며, 인체에 독성이 강하므로 세심한 주의를 요하는 약제입니다. 따라서 인체에 해로울 수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아조포 유제를 500배로 희석하여 살포하려고 할 때 물 1말 (18L)에 필요한 약량은 몇 mL인가?

  1. 18
  2. 20
  3. 36
  4. 72
(정답률: 81%)
  • 아조포 유제를 500배로 희석한다는 것은 1부의 아조포 유제와 499부의 물을 섞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부의 아조포 유제를 500부로 만들기 위해서는 1/500만큼의 양의 아조포 유제가 필요합니다.

    물 1말 (18L)에 500배로 희석하려면, 18L x (1/500) = 0.036L의 아조포 유제가 필요합니다.

    1L는 1000mL이므로, 0.036L는 36mL입니다. 따라서, 물 1말 (18L)에 아조포 유제를 500배로 희석하려면 36mL의 아조포 유제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농약의 어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생물의 종류
  2. 생육상태
  3. 농약의 형태
  4. 농약관리제도
(정답률: 72%)
  • 농약의 어독성은 농약이 사용되는 환경과 사용 방법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 중에서 농약관리제도는 농약 사용에 대한 규제와 제한을 정하는 제도로, 농약의 어독성을 줄이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농약관리제도가 가장 거리가 먼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무기농약인 석회황합제의 제조 및 사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생석회와 황을 2:1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가마솥에 넣고 일정량의 물과 온도하에 가열반응시켜 숙성 후에 여과하여 만든다.
  2. 약제 조제용 그릇은 금속제를 피하고 나무통을 사용하고 분무기는 약제 사용 후 암모니아수나 초산액으로 씻은 다음 물로 씻어 보관한다.
  3. PCP, 황산니코틴, 황산아연 등과 혼용해도 무방하지만 유기인제, 제충국제와는 혼용을 피하는 것이 좋다.
  4. 공기와 접촉하게 되면 분해가 촉진되기 때문에 저장할 때는 공기와의 접촉을 막아야 한다.
(정답률: 7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분제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살충, 살균제에 많이 사용된다.
  2. 고착성이 우수하여 잔효성이 요구뒤는 과수방제용으로 적당하다.
  3. 수도 병해충방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4. 표류비산에 의한 살포구역 이외의 환경오염이 클 수 있다.
(정답률: 68%)
  • 고착성이 우수하여 잔효성이 요구되는 것은 분제의 특징이 아니라 과수방제용으로 적합한 이유 중 하나일 뿐이다. 따라서 "고착성이 우수하여 잔효성이 요구뒤는 과수방제용으로 적당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2,4-D 산의 형태 중 작용력이 가장 커 물이 채워져 있는 논에 그대로 처리하여도 효과가 큰 것은?

  1. 에스테르형
  2. 소다형
  3. 암모늄형
  4. 아민형
(정답률: 67%)
  • 에스테르형은 지표면에 떠 있는 잡초를 제거하는 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물이 채워져 있는 논과 같이 작물이 심어져 있는 지면에서도 효과가 크게 나타납니다. 또한 에스테르형은 흡수력이 높아 잡초를 뿌리까지 제거할 수 있어서 다른 형태의 2,4-D 산보다 더욱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클러버 등 광역잡초에는 특이한 살초효과가 있으나 피 등과 같은 화본과잡초에는 효과가 없는 호르몬형 이행성 제초제는?

  1. Dicamba
  2. Dymuron
  3. Glyphosate
  4. Molinate
(정답률: 75%)
  • Dicamba는 클러버 등 광역잡초에 대한 특이한 살초효과가 있지만, 피 등과 같은 화본과잡초에는 효과가 없는 호르몬형 이행성 제초제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Dicamb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농약안전사용기준을 설정한 목적으로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농산물 중 잔류농약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2. 농약 살포액 조제시 농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3. 농약 살포시 작업자의 중독 예방을 위하여
  4. 농약 살포에 따른 작물의 약해 방지를 위하여
(정답률: 65%)
  • 농약안전사용기준을 설정한 목적은 "농산물 중 잔류농약에 대한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입니다. 이는 농산물을 생산하고 유통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잔류농약 문제를 예방하고, 소비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광역잡초 생육기 경엽처리용 제초제로서 잡초가 발생한 시기에 사용할 수 있어 사용폭이 넓고 화본과잡초를 제외한 일년생 및 다년생 광역잡초와 사초과 잡초에 효과가 있는 약제는?

  1. MCPB
  2. Butachlor
  3. Bentazone
  4. Benthiocarb
(정답률: 67%)
  • Bentazone은 광역잡초 생육기 경엽처리용 제초제로서, 일년생 및 다년생 광역잡초와 사초과 잡초에 효과가 있기 때문에 사용폭이 넓습니다. 또한, 화본과 잡초를 제외한 다른 잡초들도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Bentazone은 광범위한 잡초 제거에 적합한 약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동일 분자 내에 친수성기와 소수성기를 가진 화합물은?

  1. 안정제
  2. 중량제
  3. 용제
  4. 계면활성제
(정답률: 82%)
  • 친수성기와 소수성기를 가진 화합물은 계면활성제입니다. 이는 친수성기와 소수성기가 서로 다른 환경에서 물과 기름을 혼합시키는 능력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계면활성제는 세제, 샴푸, 화장품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유기비소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식은 R·AS·X2로 표시된다.
  2. 유기비소제 Thiram은 농용항생제로 개발되었다.
  3. 벼의 잎집무늬마름병과 사과의 부란병에 효과적이다.
  4. Meozin은 유기비소제에 철을 결합시킨 것으로 문제를 해결한 약제이다.
(정답률: 59%)
  • 유기비소제 Thiram은 농용항생제로 개발되었다. (이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농약의 물리적 성질 중 습전성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살포한 약액이 작물이나 해충의 표면에 잘 적시고 퍼지는 성질을 말한다.
  2. 약제와 물과의 친화도를 나타내는 성질을 말한다.
  3. 약제는 물에 가했을 때 입자가 균일하게 부유, 분산하는 성질을 말한다.
  4. 부착한 약제가 이슬이나 빗물에 씻겨 내려가지 않고 식물체의 표면에 붙어있는 성질을 말한다.
(정답률: 87%)
  • 습전성은 살포한 약액이 작물이나 해충의 표면에 잘 적시고 퍼지는 성질을 말합니다. 즉, 농약이 물과 함께 작용하여 작물이나 해충의 표면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성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농약 혼용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방제 비용이 절감된다.
  2. 혼용가능 농약은 혼합 후 바로 사용하지 않아도 좋다.
  3. 같은 약제 연용에 의한 내성의 억제 효과가 있다.
  4. 동시에 서로 다른 병해충의 방제가 가능하다.
(정답률: 86%)
  • 혼용가능 농약은 혼합 후 바로 사용하지 않아도 좋다는 것은, 혼합한 농약을 오랫동안 보관해도 효능이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것은 농부들이 농약을 구매할 때 더 많은 양을 구매하여 장기간 보관할 수 있으므로 방제 비용이 절감된다는 장점과 연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양한 제제형태로 조제되어 적용범위가 넓고 특히 소나무의 솔잎혹파리 방제용으로 주로 적용되는 농약은?

  1. 오메톤
  2. 에토사졸
  3. 에토프
  4. 이미다클로프리드
(정답률: 75%)
  • 이미다클로프리드는 솔잎혹파리를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농약으로, 다양한 제제형태로 조제되어 적용범위가 넓기 때문에 솔잎혹파리 방제용으로 주로 적용됩니다. 반면, 오메톤, 에토사졸, 에토프는 다른 종류의 해충 방제에 주로 사용되는 농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어류에 대한 독성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감수서에 차이가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온이 높으면 농약에 대한 저항성이 낮아진다.
  2. 독성은 제형에 따라 다른데 입제가 가장 강하다.
  3. 어류는 알(卵)일 때 농약에 대하여 감수성이 가장 낮다.
  4. 수생생물에 대한 독성은 잉어와 물벼룩으로 평가한다.
(정답률: 65%)
  • "독성은 제형에 따라 다른데 입제가 가장 강하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어류에 대한 독성은 제형, 노출 시간, 노출 농도, 수온 등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입제는 노출 농도와 노출 시간에 따라 독성이 달라질 수 있으며, 어류에 따라 입제가 가장 강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어류에 대한 독성을 평가할 때는 다양한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펜프로파트린 유제를 1,000배액으로 희석하여, 10a당 140L를 분무하려고 할 때 원액 몇 mL가 필요한가?

  1. 70mL
  2. 140mL
  3. 280mL
  4. 350mL
(정답률: 85%)
  • 1,000배액으로 희석하면 1mL의 원액이 1,000mL(=1L)의 용액으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10a당 140L를 분무하려면 1,000배액으로 희석한 용액을 사용해야 하므로, 1L의 원액을 1,000배액으로 희석한 용액이 필요하다. 이때, 1L의 원액을 1,000배액으로 희석하면 1mL의 원액이 1,000mL(=1L)의 용액으로 만들어지므로, 140L의 용액을 만들기 위해서는 140mL의 원액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140m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각종 과실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주로 사용하는 약제는?

  1. 6-BA
  2. 2,4-D
  3. 클로르프로팜
  4. 일-메틸사이클로프로펜
(정답률: 55%)
  • 일-메틸사이클로프로펜은 과일의 노화를 억제하여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약제로 널리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농작물의 생장을 촉진하거나 병해충을 방제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수화제를 물에 풀면 물에 녹지 않은 원제나 중량제의 미립자가 균등히 분산된 살포액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유탁액
  2. 용액
  3. 현탁액
  4. 미탁액
(정답률: 72%)
  • 수화제를 물에 풀면 물에 녹지 않은 원제나 중량제의 미립자가 균등히 분산되어 혼합된 상태를 현탁액이라고 한다. 이는 미립자들이 물 분자와 상호작용하여 떨어지지 않고 떠다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탁액은 물에 투명하게 분산된 상태를 가지며, 유탁액과는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실응애제 농약의 작용기작이 아닌 것은?

  1. 단백질 합성 저해
  2. 신경계에 작용하여 신경기능 저해
  3. 생체 내 Amine 대사를 저해하는 대사 저해
  4. 미토콘드리아에 작용하여 에너지대사 저해
(정답률: 50%)
  • "단백질 합성 저해"는 농약이 작용하여 생물체 내에서 단백질 합성 과정을 방해하여 단백질의 생산을 저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생물체의 세포 분열, 성장, 대사 등에 영향을 미치며, 생존에 필수적인 단백질의 부족으로 인해 죽음에 이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잡초방제학

61. 예방적 방제수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농기계 청소
  2. 비산종자 관리
  3. 작물종자 정선
  4. 경엽처리제 살포
(정답률: 81%)
  • 경엽처리제 살포는 예방적 방제수단이 아닙니다. 경엽처리제는 이미 발생한 병해충을 제거하기 위한 치료적인 방제수단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예방적 방제수단은 농기계 청소, 비산종자 관리, 작물종자 정선과 같은 것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제초제의 선택성에 관여하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식물체 생장점의 위치
  2. 식물체 생육기의 차이
  3. 식물체 건조 무게 차이
  4. 식물체 뿌리의 분포상태
(정답률: 83%)
  • 제초제의 선택성은 주로 식물체와 제초제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 이 중에서도 가장 거리가 먼 요인은 "식물체 건조 무게 차이"이다. 이는 제초제가 식물체의 녹조체를 공격하여 죽이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녹조체가 많이 존재하는 식물체일수록 제초제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된다. 따라서 식물체의 건조 무게가 높을수록 제초제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되어 선택성이 높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영양번식기관으로 번식하는 잡초가 아닌 것은?

  1. 깨풀
  2. 가래
  3. 올방개
  4. 너도방동사니
(정답률: 62%)
  • "깨풀"은 영양번식기관으로 번식하지 않고, 씨앗으로 번식하는 잡초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영양번식기관으로 번식하는 잡초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벼 재배방법 중 잡초 종류와 발생량이 가장 적은 것은?

  1. 담수직파
  2. 건답직파
  3. 중묘 기계이앙
  4. 어린 모 기계이앙
(정답률: 80%)
  • 중묘 기계이앙은 벼 재배 시 노동력을 대폭 줄일 수 있는 기계적 방법으로, 이를 사용하면 노동력이 필요한 잡초 제거 작업이 줄어들어 잡초 발생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잡초 종류와 발생량이 가장 적은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작물과 잡초의 경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문제오류로 인하여 실제 시험에서는 1, 3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1. 작물은 일반적으로 잡초보다 경합에 유리한 생태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2. 종간경합은 작물과 잡초 간의 경합으로 대표적으로 벼와 피의 경합이 있다.
  3. 작물에 대한 잡초의 경합력은 잡초의 종류, 밀도 등에 따라 거의 일정하다.
  4. 종내경합은 같은 초종 중에서 개체간의 경합으로 벼와 벼, 피와 피 간 경합이 있다.
(정답률: 80%)
  • "작물에 대한 잡초의 경합력은 잡초의 종류, 밀도 등에 따라 거의 일정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잡초의 종류와 밀도에 따라 작물에 대한 경합력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제초제의 제형 중 유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물에 희석하면 투명한 액체가 된다.
  2. 원제를 기름과 혼합하여 만든 액체이다.
  3. 원제를 유기용매에 녹인 후 유화제를 넣어 만든 액체이다.
  4. 원제를 카올린, 벤토나이트 등의 분말과 혼합분쇄한 것이다.
(정답률: 80%)
  • 제초제의 제형 중 유제는 "원제를 유기용매에 녹인 후 유화제를 넣어 만든 액체"입니다. 이는 원제가 유기용매에 녹을 수 있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며, 유화제를 넣어 안정적인 형태로 유지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잡초종자의 휴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의 미숙에 의하여 휴면하기도 한다.
  2. 발아환경이 부적당하면 2차 휴면을 한다.
  3. 종자뿐만 아니라 괴경 및 지하경에서도 볼 수 있다.
  4. 외적요건이 발아에 부적당하여 발아하지 못하는 경우 자발휴면이라고 한다.
(정답률: 67%)
  • 잡초종자의 휴면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외적요건이 발아에 부적당하여 발아하지 못하는 경우 자발휴면이라고 한다." 이다. 외적요건이 부적당하여 발아하지 못하는 경우는 강제휴면이며, 자발휴면은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월년생 잡초로만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1. 별꽃, 냉이
  2. 쑥, 명아주
  3. 깨풀, 강아지풀
  4. 씀바귀, 애기메꽃
(정답률: 75%)
  • 월년생 잡초는 한해살이 잡초와 다르게 여러 해 동안 자라는 잡초를 말합니다. 따라서 "쑥, 명아주, 깨풀, 강아지풀, 씀바귀, 애기메꽃"은 모두 한해살이 잡초이므로 올바르게 나열되지 않습니다. 반면에 "별꽃, 냉이"는 모두 월년생 잡초이므로 올바르게 나열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잡초의 생물적 방제법에 이용되는 생물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비산 및 분산능력이 커야 한다.
  2. 번식속도가 빠르지 않아야 한다.
  3. 대상 잡초에만 피해를 주어야 한다.
  4. 환경 적응성 및 저항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정답률: 79%)
  • 잡초의 생물적 방제법에 이용되는 생물은 대상 잡초에만 피해를 주어야 하고, 비산 및 분산능력이 커야 하며, 환경 적응성 및 저항성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번식속도가 빠르면 잡초와 함께 번식하여 생태계의 균형을 깨뜨릴 수 있기 때문에 번식속도가 빠르지 않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제초제에 사용시기에 따른 분류에서 파종전 처리제에 해당하는 것은?

  1. 토양 소독제
  2. 경엽 처리제
  3. 생육기 처리제
  4. 이앙 벼의 초기 제초제
(정답률: 67%)
  • 파종전 처리제는 씨앗을 심기 전 토양을 처리하는 제초제를 말합니다. 따라서 토양 소독제가 파종전 처리제에 해당합니다. 토양 소독제는 토양 내에 존재하는 병원균, 해충, 잡초 등을 제거하여 씨앗의 원활한 발아와 생육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십자화과에 속하며, 월년생 잡초에 해당하는 것은?

  1. 바랭이
  2. 광대나물
  3. 벼룩나물
  4. 속속이풀
(정답률: 63%)
  • 십자화과에 속하는 잡초들은 대부분 높이가 낮고 작은 꽃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속속이풀은 특히 작은 꽃이 많이 피어서 그 이름이 붙었습니다. 또한 월년생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서 한 해 내내 자라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계절에만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우리나라 농경지 잡초 발생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남방형 잡초가 북방형 잡초보다 많다.
  2. 광엽잡초보다 화본과잡초의 종류가 더 많다.
  3. 평지의 과수원에서는 다년생 잡초가 우점한다.
  4. 제초제 사용이 증가하면서 논에서는 다년생 잡초보다 일년생 잡초가 많아지고 있다.
(정답률: 60%)
  • 정답은 "남방형 잡초가 북방형 잡초보다 많다."입니다. 이는 남쪽 지역이 기후가 따뜻하고 습도가 높아서 잡초가 잘 자라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북쪽 지역은 기후가 추운 편이고 건조하기 때문에 잡초가 자라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작물과 잡초의 경합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산소
  2. 수분
  3. 영양분
(정답률: 82%)
  • 산소는 작물과 잡초 모두에게 필요한 요소이지만, 작물은 깊은 뿌리를 통해 더 많은 산소를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잡초보다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산소는 작물과 잡초의 경쟁에서 가장 거리가 먼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장기간에 걸친 잡초의 생존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많은 종자 생산
  2. 종자만으로 번식
  3. C4 광합성 회로 이용
  4. 불량한 환경조건에 잘 적응
(정답률: 87%)
  • 장기간에 걸친 잡초의 생존 특성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 "종자만으로 번식"입니다. 이는 잡초가 생존하기 위해 필요한 다른 생존 전략들과는 상반되는 특성입니다. 잡초는 많은 종자 생산과 C4 광합성 회로 이용, 불량한 환경조건에 잘 적응하는 등의 다양한 생존 전략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종자만으로 번식한다면, 그 종자들이 모두 생존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지 않는 한, 잡초는 생존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는 잡초의 생존 전략으로는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주로 벼와 경합하는 논잡초로만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1. 돌피, 쇠뜨기
  2. 물피, 쇠비름
  3. 명아주, 나도겨풀
  4. 올방개, 생이가래
(정답률: 63%)
  • 올방개와 생이가래는 모두 벼와 경쟁하는 논잡초이기 때문에 올방개와 생이가래만 올바르게 나열된 것입니다. 돌피와 쇠뜨기, 물피와 쇠비름, 그리고 명아주와 나도겨풀은 모두 다른 종류의 잡초이므로 올바르게 나열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개체당 종자 수가 가장 많은 잡초는?

  1. 별꽃
  2. 망초
  3. 마디꽃
  4. 알방동사니
(정답률: 74%)
  • 망초는 하나의 개체당 많은 수의 작은 종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개체당 종자 수가 가장 많은 잡초입니다. 이는 망초가 생존과 번식을 위해 많은 양의 종자를 생산해야 한다는 생물학적인 필요성에서 비롯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잡초종자에 갈고리 모양의 돌기 또는 바늘 모양의 가시를 가져서 인축에 부착되어 전파되는 것은?

  1. 민들레
  2. 진득찰
  3. 소리쟁이
  4. 가막사리
(정답률: 73%)
  • 가막사리는 잡초종자에 갈고리 모양의 돌기 또는 바늘 모양의 가시를 가져서 인축에 부착되어 전파되는 것입니다. 이는 다른 세포나 동물의 털이나 옷에 달라붙어 전파되기도 하며, 이러한 전파 방식을 통해 잡초가 쉽게 번식하고 확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제초제의 광분해와 가장 관계가 높은 것은?

  1. 자외선
  2. 적외선
  3. 가시광성
  4. 관계없음
(정답률: 81%)
  • 제초제의 광분해는 자외선에 의해 일어납니다. 자외선은 제초제 분자를 분해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외선은 제초제의 광분해와 가장 관계가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잡초종자의 발아습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발아주기성이란 같은 조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발아하는 것이다.
  2. 준동시성 발아형이란 일정기간 이내에 집중적으로 발아하는 것이다.
  3. 발아계절성이란 발생 계절의 일장보다 대기온도에 반응하여 발아하는 것이다.
  4. 연속성 발아형이란 발아에 적합한 조건을 주어도 오랜 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발아하는 것이다.
(정답률: 75%)
  • "발아계절성이란 발생 계절의 일장보다 대기온도에 반응하여 발아하는 것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발아주기성은 같은 조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발아하는 것을 말하며, 준동시성 발아형은 일정기간 이내에 집중적으로 발아하는 것을 말한다. 연속성 발아형은 발아에 적합한 조건을 주어도 오랜 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발아하는 것을 말한다.

    발아계절성은 일정한 계절에 발아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대기온도와는 관계가 없다. 예를 들어, 봄에는 봄에 적합한 조건에서 발아하고, 가을에는 가을에 적합한 조건에서 발아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화본과 잡초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쇠털골
  2. 뚝새풀
  3. 강아지풀
(정답률: 56%)
  • 쇠털골은 식물이 아니라 동물인 고래의 뼈로, 따라서 화본과 잡초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