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식물병리학
1. 병원체의 감염, 침입 등의 자극에 의하여 식물체가 파이토알렉신, PR protein 등을 만들어 저항성을 나타내는 것은?
2. 주변에 향나무가 많은 경우 배나무에 주로 발생하는 병은?
3. 기주에서 기생생활을 원칙으로 하나 조건에 따라 죽은 기주에서 부생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것은?
4. 매개층의 알을 통하여 다음 대까지 바이러스가 옮겨지는 병은?
5. 사과나무 부란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는?
6. 다음 중 비기생성 성질의 병은?
7. 다음 중 법적 방제법에 해당하는 것은?
8. 균류유사체에 속하는 병원균에 의해 산성토양에서 많이 발생하는 병해는?
9. 감염되면 식물체의 모든 부위에 병징이 나타나는 병은?
10. 다음 중 병원체가 기주식물이 없어도 오랫동안 전염원으로서 생존이 가능하며 기주식물을 연작할 경우 그 피해가 증대해 방제하기가 가장 어려운 병해는?
11. 병원체가 기주를 침해하여 병을 일으킬 수 있는 능력을 무엇이라 하는가?
12. 벚나무 빗자루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는 어디에 속하는가?
13. 병 진단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4. 다음 중 병원체가 가지고 있는 플라스미드의 T-DNA 부분이 식물 세포로 이행하여 뿌리 혹병을 일으키는 것은?
15. 다음 중 물에 의해 전파되는 병으로 가장 옳은 것은?
16. 다음 중 비전염성인 병은?
17. 식물에 병원균이 침해되어도 전혀 병 발생이 없는 것은?
18. 바이러스병의 진단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9. 감자 잎말림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는?
20. 발병에 영향을 주는 세 가지 요인에 속하지 않는 것은?
2과목: 농림해충학
21. 곤충의 전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2. 생물적 방제를 위하여 해충의 천적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23. 천공성 해충으로서 피해구멍에 배설물을 실로 칠하여 덮어 놓으므로 혹같이 보이는 해충은?
24. 농생태계와 비교하여 산림생태계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5. 벼해충 중 대표적인 비래해충은?
26. 곤충에서 수컷 생식계의 3대 구성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7. 곤충의 발육단계에서 빛의 영향을 가장 받지 않는 것은?
28. ( )에 가장 알맞은 내용은?
29. 메뚜기의 경우 앞날개가 뒷날개를 보호하고 비행 시 펼치기만 할 뿐 비행에 활용하지 않는다. 이런 날개를 무엇이라 하는가?
30. 페로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1. 솔나방의 학명으로 옳은 것은?
32. 소나무 재선충을 매개하는 해충은?
33. 다음 중 사과나무 재배 시 경제적으로 가장 큰 피해를 주는 해충은?
34. 곤충강에서 분화가 다양하고, 세계적으로 종수가 가장 많은 목은?
35. 다음 중 하루살이가 속한 분류군은?
36. 곤충의 혈구 중 부정형혈구, 편도혈구 및 판막혈구의 공통적인 기능은?
37. 수정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8. 곤충학의 발달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은?
39. 일부지역에만 한정되어 분포하는 종을 일컫는 용어는?
40. 벌목 곤충에 있어서 앞날개의 경화된 접힌 부위에 결합하는 뒷날개의 기관은?
3과목: 농약학
41. 수화제 제형 제조에서 중요하게 관리해야할 물리적 특성에 해당하는 것은?
42. 분제의 약효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성질이 아닌 것은?
43. 농약 살포 중 중독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 것은?
44. 벼의 도북경감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살균제는?
45. 다음 중 실험동물(rat)에 경구독성이 가장 강한 것은?
46. 농약합성 및 제제 시 사용하는 가성소다(NaOH)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47. 포자의 침입 및 발아를 저지하고 균사의 생육을 저해하여 병반의 확대, 진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예방과 치료효과를 동시에 발휘하는 생합성 저해제 농약은?
49. 살균제의 분류방법 중 살균기작에 의해 분류한 것은?
50. 농약관리법령상 고체 농약의 급성경구 고독성에 해당하는 반수치사량(mg/kg)의 범위는?
51. Carbamate 계 살충제가 아닌 것은?
52. DEP제(trichlorfon)가 분해하여 1차로 변하는 형태는?
53. 갯지렁이의 독소 물질인 nereistoxin의 구조를 변형하여 만든 살충제는?
54. 농약의 독성표시를 가장 바르게 나타낸 것은?
55. 합성 pyrethroid계 살충제의 살충작용의 기전을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56. 40%(비중=1)의 어떤 유제가 있다. 이 유제를 1000배로 희석하여 9L를 살포하고자 할 때, 유제의 소요량(mL)은?
57. 농약의 작물잔류성에 미치는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58. 입자의 크기가 가장 작은 농약의 제형은?
59. 농약의 분류 중 유효성분 조성에 따른 분류는?
60. 희석하지 않고 직접 살포하는 제형은?
4과목: 잡초방제학
61. 밭잡초의 발생 특성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62. 제초제 저항성 잡초의 출현을 감소시킬수 있는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63. 농경지에서 잡초를 방제하지 않을 때 나타나는 손실과 관계가 없는 것은?
64. 영양번식의 환경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65. 다음 중 종피에 기인한 휴면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66. 다음 중 화본과 잡초에는 있으나 광엽잡초에는 없는 주요 기관은?
67. 다음 중 선택성 제초제는?
68. 논에 오리를 방사하여 잡초를 방제하는 방법은?
69. 다음 중 영양번식기관과 해당 잡초가 옳지 않게 연결된 것은?
70. 우리나라 논에서 발생하는 주요 다년생 광엽잡초는?
71. 발생지에 따른 분류와 해당 잡초종이 잘못 연결된 것은?
72. 논에 발생하는 피류의 속명은?
73. 종자에 낙하산과 같은 깃털을 가지거나 솜털과 같은 것으로 덮여서 바람에 잘 날리는 잡초는?
74. 다음 잡초 중 기주식물에서 기생하는 잡초는?
75. 밭잡초의 효과적 방제를 위한 다양한 특성을 고려해야 할 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6. 제초제의 흡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7. 다음 중 다년생 논잡초이며, 지하 번식체를 0~5cm의 표토에 주로 생성하는 것은?
78. 잡초의 형태적 특성에 따른 분류로 옳은 것은?
79. 잡초종자의 발아에 관여하는 환경요인과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80. 우리나라에서 발생하고 있는 대부분의 잡초종자 바랑 최적온도 범위로 가장 옳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