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음파비파괴검사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8-05)

초음파비파괴검사기사(구)
(2007-08-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초음파탐상시험원리

1. 초음파탐상시험에서 탐상절차서와 합격기준이 아주 상세하게 서면화 되었을 때 검사원에 대한 훈련의 필요성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절차서와 합격기준이 상세한 경우 더 이상 검사원에 대한 훈련은 불필요하다.
  2. 절차서와 합격기준이 아무리 상세하게 잘 작성되어 있다 해도 훈련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3. 절차서와 합격기준만으로는 부족하며 시편의 이용을 잘하면 훈련은 불필요하다.
  4. 대개 합격기준의 까다로운 정도에 따라 검사원의 훈련여부 문제를 결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절차서와 합격기준이 아무리 상세하게 작성되어 있어도, 검사원은 이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꾸준한 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절차서와 합격기준이 아무리 상세하게 잘 작성되어 있다 해도 훈련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가 가장 적절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초음파탐상시험시 미세한 불연속을 찾기 위한 조건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가능한 한 낮은 주파수의 탐촉자 사용
  2. 관통법을 사용한다.
  3. 가능한 한 높은 주파수의 탐촉자 사용
  4. 크기가 작은 탐촉자 사용
(정답률: 알수없음)
  • 가능한 한 높은 주파수의 탐촉자를 사용하면 초음파 파장의 길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미세한 불연속을 더욱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면 해상도가 높아져서 작은 크기의 불연속도 더욱 세밀하게 탐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음파탐상시험시 미세한 불연속을 찾기 위한 조건으로는 가능한 한 높은 주파수의 탐촉자 사용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탐촉자의 분해능은 대역폭(band width ⊿f)에 직접 비례한다. 대역폭의 값이 0.25, 공진주파수가 1㎒인 수정진동자가 있다면 이 탐촉자를 수침법으로 사용할 경우 Q 값은 얼마인가?

  1. 0.25
  2. 0.4
  3. 2.5
  4. 4
(정답률: 알수없음)
  • Q = 공진주파수 / 대역폭 = 1 / 0.25 = 4
    대역폭이 작을수록 Q 값은 커지게 되므로, 대역폭이 0.25인 경우 Q 값은 4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티탄산바륨 진동자의 단점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수용성이다.
  2. 음파 송신효율이 낮다.
  3. 초음파 수신효율이 나쁘다.
  4. 기계적 임피던스가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티탄산바륨 진동자는 기계적 임피던스가 높아 초음파 수신효율이 나쁘다는 것이 가장 큰 단점이다. 즉, 초음파를 전달하는 능력이 떨어져서 음파 송신효율도 낮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초음파탐상시험에서 주파수를 증가시킬 경우 일정 직경의 진동자에 있어서 빔 분산각의 변화로 옳은 것은?

  1. 빔 분산각은 증가한다.
  2. 빔 분산각은 진동자의 직경에만 의존하므로 변화하지 않는다.
  3. 빔 분산각은 상대적으로 감소한다.
  4. 빈 분산각은 파장에만 관계되므로 일정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탐상시험에서 주파수를 증가시키면 파장이 짧아지므로 빔의 직경이 작아지게 됩니다. 이는 빔이 진동자에 집중되는 영역이 작아지게 되어 빔 분산각이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빔 분산각은 상대적으로 감소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초음파공명시험에서 1차공명(기본공명)은 시험체의 두께가 음파 파장의 얼마 크기일 때 발생되는가?

  1. ½
  2. 1
  3. ¼
  4. 2
(정답률: 알수없음)
  • 1차공명은 시험체의 두께가 음파 파장의 절반 크기일 때 발생됩니다. 이는 파장의 절반 크기에서 파장이 시험체를 왕복하면서 파장이 상쇄되지 않고 강화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탄소강과 스테인리스강이 계면을 이루며 접촉되어 있을 때 그림과 같이 탄소강으로부터 스테인리스강 쪽으로 음파가 입사할 경우 스테인리스강 중의 음의 굴절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단, 탄소강의 음속은 6000㎧, 밀도는 7.8g/cm3, 스테인리스강의 음속은 5000㎧, 밀도는 7.9g/cm3이다.)

  1. ①과 같이 모두 반사할 것이다.
  2. ②와 같이 굴절각이 45°보다 작은 각으로 굴절할 것이다.
  3. ③과 같이 굴절각이 45°보다 큰 각으로 굴절할 것이다.
  4. ④와 같이 경계면으로 진행할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음파가 물체 내부에서 전파될 때, 속도가 달라지는 경계면에서 굴절이 일어난다. 이 때, 굴절각은 두 매질의 속도 비율에 따라 결정된다. 속도가 느린 매질에서 빠른 매질로 진행할 때는 굴절각이 작아지고, 빠른 매질에서 느린 매질로 진행할 때는 굴절각이 커진다. 따라서, 탄소강에서 스테인리스강으로 진행할 때는 속도가 느린 스테인리스강에서 빠른 탄소강으로 진행하므로 굴절각은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②와 같이 굴절각이 45°보다 작은 각으로 굴절할 것이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캐나다의 최북단 -50℃의 곳에 배관용접부 초음파탐상 검사 용역이 있었다. 접촉 매질을 준비하려고 할 때 다음 중 어느 것이 가장 좋은가?

  1. D.I.water
  2. Oil
  3. Glycerin
  4. Ultragel
(정답률: 알수없음)
  • 캐나다의 최북단은 매우 추운 환경이므로, 접촉 매질로는 냉각 효과가 높은 것이 좋습니다. 이 중에서도 Ultragel은 냉각 효과가 높으면서도 점성이 낮아 초음파 탐상 검사에 적합한 매질입니다. D.I.water는 냉각 효과는 높지만 점성이 낮아 검사 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Oil는 냉각 효과가 낮아 검사 시간이 길어지고, Glycerin은 냉각 효과는 높지만 점성이 높아 검사 시간이 더욱 길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Ultragel이 가장 적합한 접촉 매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누설검사시 샤를의 법칙에 사용되는 온도는?

  1. Kelvin 온도
  2. Rankin 온도
  3. Centigrade 온도
  4. Brown 온도
(정답률: 알수없음)
  • Kelvin 온도는 절대온도로, 영도를 0으로 정의하고 절대온도 1도를 1/273.16분의 1로 정의합니다. 따라서 누설검사시 샤를의 법칙에 사용되는 온도는 절대온도인 Kelvin 온도를 사용합니다. 다른 온도 체계인 Rankin 온도, Centigrade 온도, Brown 온도는 모두 상대온도 체계이므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광학적 성질을 이용한 스트레인 측정법으로 옳게 조합된 것은?

  1. X 선회절법, 중성자회절법
  2. 응력도료법, Thermography
  3. 광탄성피막법, 모아레법
  4. 전기저항법, 와전류탐상법
(정답률: 알수없음)
  • 광탄성피막법은 광을 이용하여 표면의 스트레인을 측정하는 방법이고, 모아레법은 빛의 굴절을 이용하여 스트레인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두 방법을 조합하여 광학적 성질을 이용한 스트레인 측정이 가능합니다. X 선회절법과 중성자회절법은 입사된 입자의 회절 패턴을 이용하여 결정 구조를 분석하는 방법이며, 응력도료법과 Thermography는 열을 이용하여 스트레인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전기저항법과 와전류탐상법은 전기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스트레인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들 방법은 광학적 성질을 이용한 스트레인 측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초음파탐상시험에서 주파수가 증가한다면 주어진 직경의 탐촉자의 빔퍼짐(beam spread)은 어떻게 변하는가?

  1. 감소한다.
  2. 증가한다.
  3. 변하지 않는다.
  4. 증가와 감소를 반복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의 파장은 일정하므로 주파수가 증가하면 파장이 짧아지게 됩니다. 이는 탐촉자에서 방출되는 초음파 빔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므로 빔퍼짐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주파수가 증가하면 주어진 직경의 탐촉자의 빔퍼짐은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재료 중에서 초음파의 감쇠현상이 가장 심하게 일어나는 것은?

  1. 알루미늄 주조물
  2. 마그네슘 주조물
  3. 탄소강 주조물
  4. 구리 주조물
(정답률: 알수없음)
  • 구리는 초음파의 감쇠율이 가장 높은 금속 중 하나이기 때문에 초음파의 감쇠현상이 가장 심하게 일어납니다. 이는 구리의 밀도와 음속이 높기 때문에 초음파가 구리 주조물 내부를 통과할 때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초음파의 투과와 반사를 결정할 때 음향임피던스는 중요한 인자이다. 다음 중 음향임피던스가 가장 큰 재료는 무엇인가?

  1. 유리
  2. 공기
(정답률: 알수없음)
  • 음향임피던스는 매질의 밀도와 음속에 비례하므로, 밀도가 높고 음속이 빠른 재료일수록 음향임피던스가 크다. 따라서 철은 다른 보기에 비해 밀도가 매우 높고 음속도 빠르기 때문에 음향임피던스가 가장 큰 재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탐상면에 수직인 내부결함을 굴절각Ɵ의 탐촉자로 탐상할 때 결함 상단부에 에코가 진행한 빔 진행거리가 WU, 결함하단부에 에코가 진행한 빔 진행거리가 WL이라 할 때 결함높이 H를 구하는 식은 무엇인가?

  1. H = (WU - WL)ㆍsecƟ
  2. H = (WU - WL)ㆍtanƟ
  3. H = (WU - WL)ㆍcosƟ
  4. H = WLㆍcosƟ - WUㆍsinƟ
(정답률: 알수없음)
  • 결함 상단부에서 진행한 빔과 결함 하단부에서 진행한 빔은 같은 내부결함을 지나가므로, 두 빔이 지나가는 거리 차이인 (WU - WL)이 결함의 높이 H가 됩니다. 이때, 굴절각Ɵ의 탐촉자로 탐상하므로, H에 대한 굴절각Ɵ의 함수는 cosƟ가 됩니다. 따라서 H = (WU - WL)ㆍcosƟ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3㎒의 주파수로 알루미늄 소재에 초음파를 투과시켰을 때 초음파의 파장은 얼마인가?(단, 알루미늄에서 초음파의 종파속도는 6300㎧이다.)

  1. 1.1㎜
  2. 1.6㎜
  3. 2.1㎜
  4. 2.6㎜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의 파장은 파장 = 속도 / 주파수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파장 = 6300 / 3000 = 2.1㎜ 입니다. 주파수가 일정하다면, 파장은 속도와 반비례하기 때문에, 속도가 높을수록 파장은 짧아집니다. 따라서, 알루미늄 소재에 초음파를 투과시켰을 때 파장이 가장 짧은 2.1㎜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경사각 탐촉자를 사용할 때 다음 중 가장 자주 점검해야 하는 내용은?

  1. 입사점 및 굴절각
  2. 감도
  3. 원거리분해능
  4. 불감대
(정답률: 알수없음)
  • 경사각 탐촉자는 물체의 표면을 스캔하여 3차원 모델을 만들어내는데,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물체와 경사각 탐촉자 사이의 입사점과 굴절각입니다. 이것이 정확하지 않으면 스캔 결과물이 왜곡되거나 불완전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장 자주 점검해야 하는 내용은 "입사점 및 굴절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근거리음장이 가장 큰 탐촉자는?

  1. 직경 ½인치, 주파수 1㎒
  2. 직경 ½인치, 주파수 2㎒
  3. 직경 1인치, 주파수 2㎒
  4. 직경 2인치, 주파수 1㎒
(정답률: 알수없음)
  • 근거리음장은 직경이 크고 주파수가 낮을수록 크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직경 2인치, 주파수 1㎒"인 탐촉자가 가장 근거리음장이 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진동자가 가장 얇은 탐촉자는?

  1. 1㎒ 탐촉자
  2. 5㎒ 탐촉자
  3. 10㎒ 탐촉자
  4. 20㎒ 탐촉자
(정답률: 알수없음)
  • 진동자의 탐촉자는 진동자의 진동을 감지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탐촉자의 두께가 얇을수록 진동자의 진동을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0㎒ 탐촉자"가 가장 얇은 탐촉자이며, 다른 보기들보다 더 민감하게 진동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은 와전류탐상시험에서 표피효과의 기준이 되는 침투깊이에 대해 기술한 것이다. 올바른 것은?

  1. 시험체의 투자율이 낮을수록 침투깊이는 작다.
  2. 시험체의 도전율이 높을수록 침투깊이는 크다.
  3. 시험주파수가 낮을수록 침투깊이는 작다.
  4. 탄소강과 알루미늄 중 탄소강이 침투깊이가 작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탄소강과 알루미늄 중 탄소강이 침투깊이가 작다."의 이유는 탄소강의 전기저항이 높기 때문에 시험체의 도전율이 낮아져 침투깊이가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반면 알루미늄은 전기저항이 낮아 도전율이 높아져 침투깊이가 크게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주어진 재질내에서 판파의 속도를 결정하는 요소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진동자의 크기
  2. 판의 두께
  3. 주파수
  4. 파의 입사각도
(정답률: 알수없음)
  • 판파의 속도는 주어진 재질의 탄성계수와 밀도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 판파의 속도를 결정하는 요소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진동자의 크기"입니다. 진동자의 크기가 판파의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진동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진동 주기가 짧아지기 때문입니다. 짧은 진동 주기는 높은 주파수를 의미하며, 높은 주파수는 더 높은 탄성계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판파의 속도가 더 빨라집니다. 따라서 진동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판파의 속도는 더 빨라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초음파탐상검사

21. 다음 중 A스캔 장비에서 스크린을 더 밝게 하려면 무엇을 조정하여야 하는가?

  1. 펄스의 길이
  2. 펄스의 반복주파수
  3. 리젝트
  4. 게인(gain)
(정답률: 알수없음)
  • A스캔 장비에서 스크린을 더 밝게 하려면 "펄스의 반복주파수"를 조정하여야 합니다. 이는 A스캔 장비에서 사용되는 펄스의 반복주파수가 높을수록 스크린에 표시되는 신호의 밝기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펄스의 반복주파수를 높여서 스크린을 더 밝게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초음파의 펄스반복율은 장비 내의 타이머(timer)에 의해 조정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장비의 펄스반복율은 매 초당 몇 회 정도 범위인가?

  1. 60∼2000
  2. 2000∼20000
  3. 20000∼400000
  4. 400000∼6000000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의 펄스반복율은 초음파 파장과 관련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2~18MHz 범위 내에서 사용된다. 이 범위에서 매 초당 펄스반복회수는 60~2000회 정도이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초음파 파장이 너무 짧아지거나 길어져서 이미지의 해상도가 떨어지거나 깊이가 제한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초음파 장비의 펄스반복율은 60~2000회 정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B스캔 장비에 있는 Rate발생기는 다음 중 어디에 직접 연결되는가?

  1. CRT 강도 회로
  2. 펄스발생기 회로
  3. RF 증폭회로
  4. 수평 소인회로
(정답률: 알수없음)
  • B스캔 장비의 Rate발생기는 펄스발생기 회로에 직접 연결됩니다. 이는 Rate발생기가 수평 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신호를 펄스발생기 회로에서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Rate발생기는 펄스발생기 회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판두께 25㎜인 용접부위를 굴절각 71°의 탐촉자로 경사각탐상할 경우 가장 적당한 측정범위(㎜)는?

  1. 100
  2. 200
  3. 300
  4. 400
(정답률: 알수없음)
  • 측정범위는 탐촉자의 굴절각과 용접부위의 판두께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굴절각이 71°이므로, 측정범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측정범위 = (판두께 / sin(굴절각)) x 2

    = (25 / sin(71°)) x 2

    ≈ 200

    따라서, 가장 적당한 측정범위는 "2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루사이트 슈(Lucite Shoe)가 부착된 탐촉자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진동자의 마모를 방지해 준다.
  2. 곡면체에서도 검사가 가능하다.
  3. 분해능과 감도가 증가한다.
  4. 경사각 초음파탐상검사가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루사이트 슈는 탐촉자의 마모를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진동자의 마모를 방지해 준다."가 아닌 것이다. 그러나 루사이트 슈는 곡면체에서도 검사가 가능하고, 경사각 초음파탐상검사가 가능하며, 이로 인해 분해능과 감도가 증가한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후판의 라미네이션 결함 탐상에 다음 중 가장 효과적인 검사법은?

  1. 수직탐상법
  2. 경사각탐상법
  3. 표면파탐상법
  4. 탠덤탐상법
(정답률: 알수없음)
  • 후판의 라미네이션 결함은 후판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결함으로, 외부에서는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내부 결함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후판을 자르거나 분해해야 합니다. 이러한 방법은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검사법이 필요합니다.

    수직탐상법은 후판의 라미네이션 결함을 확인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검사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후판의 표면에 수직으로 빛을 비추어 결함 부분에서 반사되는 빛의 양을 측정하여 결함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결함 부분에서는 반사되는 빛의 양이 적어지기 때문에, 이를 측정하여 결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빠르게 검사할 수 있으며, 정확도도 높습니다. 따라서 후판의 라미네이션 결함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수직탐상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초음파탐상시험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이나 9% 니켈강에서 모재 및 열영향부에서 발생한 결함은 횡파 경사각탐상으로 검출이 가능하다.
  2.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용접부의 초음파탐상에 있어서 점집속탐촉자나 2진동자 탐촉자는 S/N비의 개선을 위해 이용된다.
  3. 횡파 경사각탐촉자를 이용하여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용접부를 초음파탐상할 때 의사에코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4. 오스테아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용접부내를 종파가 전파 할때 종파 음속은 그 전파방향과 결함의 주 성장방향과는 무관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오스테아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용접부내를 종파가 전파 할때 종파 음속은 그 전파방향과 결함의 주 성장방향과는 무관하다."이 설명이 틀린 것은 없다. 이유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음속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종파가 전파될 때 전파방향과 결함의 주 성장방향과는 무관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단조품의 수직탐상에서 탐상감도 설정시 대비시험편의 인공 결함을 이용할 경우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검사결과의 상호 비교가 용이하다.
  2. 검출 목적에 부합되는 깊이 및 크기의 인공 불연속을 임의로 만들 수 있다.
  3. 탐상감도를 나타내기가 용이하다.
  4. 표면거칠기 및 시험체 곡률 등의 영향이 자동적으로 보정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단조품의 수직탐상에서 탐상감도 설정시 대비시험편의 인공 결함을 이용할 경우, "표면거칠기 및 시험체 곡률 등의 영향이 자동적으로 보정된다." 이는 인공 결함을 만들 때 정확한 크기와 깊이를 설정하여 탐상감도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시험체의 표면 상태나 곡률 등의 영향을 자동으로 보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두께가 15㎜인 강용접부를 굴절각 70°인 탐촉자로 탐상하여 80㎜에서 결함지시가 나타났다. 이 때 탐촉자와 용접부 사이의 거리가 75㎜라면, 이 결함의 탐촉자와 결함간 거리(㎜)는 약 얼마인가?

  1. 14.2
  2. 26.5
  3. 75.2
  4. 77.8
(정답률: 알수없음)
  • 결함지시가 나타난 위치에서 탐촉자와 결함 사이의 각도는 70°이므로, 결함과 탐촉자 사이의 직선거리는 결함과 탐촉자 사이의 거리인 75㎜보다 더 길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한다.

    직선거리 = 거리 / sin(각도)

    여기서 거리는 75㎜, 각도는 70°이므로,

    직선거리 = 75 / sin(70) ≈ 77.8㎜

    따라서 결함과 탐촉자 사이의 거리는 약 77.8 - 80 = -2.2㎜이다. 하지만 이는 결함과 탐촉자 사이의 거리가 음수라는 불가능한 결과를 나타내므로, 탐촉자와 용접부 사이의 거리가 75㎜일 때 결함과 탐촉자 사이의 거리는 약 75.2㎜이다. 따라서 정답은 "75.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단조품에 대한 수직탐상시 저면에코 방법으로 탐상감도를 설정할 경우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표면거칠기를 보정하지 않아도 된다.
  2. 시험체 곡률을 보정하지 않아도 된다.
  3. 시험체 형상에 구애받지 않는다.
  4. 시험편 방식에 비하여 감도설정이 쉽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저면에코 방법은 시험체의 형상에 구애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는 저면에코 방법이 시험체의 표면이 아닌 내부를 탐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험체의 형상이나 곡률에 영향을 받지 않고 감도설정이 가능하다. 이에 비해 시험편 방식은 시험체의 형상에 따라 감도설정이 어려울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용접부의 초음파탐상시험시 용접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놓인 불연속이 검출되었을 때 결함의 지시길이를 dB drop법으로 결정하려 할 때 가장 바람직한 주사방법은?

  1. 목돌림 주사
  2. 진자 주사
  3. 좌우 주사
  4. 전후 주사
(정답률: 알수없음)
  • 초음파탐상시험에서는 결함의 위치와 크기를 파악하기 위해 반사파의 감쇠 정도를 측정하는 dB drop법을 사용한다. 이 때, 용접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놓인 불연속을 검출하기 위해서는 좌우 주사가 가장 바람직하다.

    좌우 주사는 용접선을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초음파를 쏘아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용접선에 평행한 불연속을 검출하기에 적합하며, 결함의 지시길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반면에, 목돌림 주사나 전후 주사는 용접선에 수직으로 초음파를 쏘는 방법이기 때문에 용접선에 평행한 불연속을 검출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진자 주사는 용접선에 수직으로 초음파를 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좌우 주사보다는 검출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용접선에 평행한 불연속을 검출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초음파탐상검사시 탐상도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라미네이션은 다중에코가 생기고 에코가 등간격으로 여러개 나오는 경우가 많다,
  2. 구멍 형태의 부식부로부터 나타나는 에코파형은 매우 예리한 파형이다.
  3. 비금속개재물에 의해 얻어진 에코는 일반적으로 저면 에코도 동시에 나타난다.
  4. 표면 에코와 저면 에코와 사이에 에코가 나타나면 라미네이션이나 비금속개재물 등의 내부결함이라 판단해도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구멍 형태의 부식부로부터 나타나는 에코파형은 매우 예리한 파형이 아니라 둥근 형태의 파형이다. 이유는 구멍 부분에서는 초음파가 반사되지 않고 흡수되기 때문에 파형이 둥글게 나타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표준시험편인 STB-G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V15-4는 표준구멍(ø1.4㎜)의 깊이 15㎜로 가공된 것이다.
  2. V2에서 V8까지의 시험편은 거리진폭 특성곡선용이다.
  3. V15 시리즈는 증폭의 직선성 점검용이다.
  4. 단면이 60×60㎜인 것과 50×50㎜ 두 종류가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V15-4는 표준구멍(ø1.4㎜)의 깊이 15㎜로 가공된 것이다." 이다. 이유는 STB-G 시험편 중 V15-4는 표준구멍(ø1.4㎜)의 깊이가 4㎜로 가공된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2개의 경사각 탐촉자를 용접부의 선상에서 전후로 배열하여 각각 송ㆍ수신용으로 하는 초음파탐상 주사법은?

  1. 진자주사
  2. 탠덤주사
  3. 평행주사
  4. 지그재그주사
(정답률: 알수없음)
  • 탠덤주사는 두 개의 경사각 탐촉자를 전후로 배열하여 용접부를 탐지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송신 탐촉자에서 발생한 초음파가 수신 탐촉자로 전달되는 동안 용접부를 횡단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므로 용접부의 전체적인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에 비해 진자주사는 한 개의 탐촉자를 사용하므로 용접부의 일부분만 탐지할 수 있습니다. 평행주사와 지그재그주사는 탐촉자의 배열 방향이 일정하지 않아 용접부의 전체적인 상태를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어떤 시험체를 탐촉자 5Z20N을 사용하여 탐상하였더니 임상에코가 많이 나타나서 탐상이 되지 않았다. 탐상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음 중 어느 탐촉자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가?

  1. 10Q10N
  2. 5Q20N
  3. 2Z20N
  4. 5Z10N
(정답률: 알수없음)
  • 임상에코가 많이 나타나는 것은 탐촉자의 주파수가 너무 높아서 생기는 현상이다. 따라서 주파수가 낮은 탐촉자를 사용해야 한다. "2Z20N"은 다른 보기들보다 주파수가 낮기 때문에 가장 적절한 탐촉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X형 개선의 용접부결함 중 내부 용입부족은 방향성 때문에 검출하기 어려운 결함이다. 다음 중 이를 검출하기에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태덤탐상법
  2. 수침법
  3. 표면파법
  4. 용접선상 주사법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태덤탐상법

    내부 용입부족은 방향성 때문에 검출하기 어려운 결함이기 때문에, 내부를 직접적으로 살피는 방법이 필요하다. 태덤탐상법은 X선을 이용하여 물체 내부를 살피는 방법으로, 내부 용입부족을 검출하는 데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수침법은 물체 표면에 침을 꽂아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이며, 표면파법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체 표면과 내부를 살피는 방법이다. 용접선상 주사법은 용접선 위를 이동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용접부를 경사각탐촉자로 탐상시 초음파빔 폭보다 큰 용접부 방향의 결함길이를 측정하는 주사 방법은?

  1. 전후주사
  2. 좌우주사
  3. 목돌림주사
  4. 진자주사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부를 경사각탐촉자로 탐상시에는 용접부의 경사각 방향으로 초음파빔이 전달되므로, 용접부 방향의 결함길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좌우주사 방법이 적합합니다. 좌우주사 방법은 용접부를 수평 방향으로 탐상하여 용접부 방향의 결함길이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용접부의 전체적인 결함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접부의 결함길이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좌우주사 방법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직경 12㎜, 중심주파수 2㎒인 수침용 초음파탐촉자의 물에서의 근거리 음장한계거리는?

  1. 12
  2. 24
  3. 48
  4. 96
(정답률: 알수없음)
  • 근거리 음장한계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근거리 음장한계거리 = (1.5 × 파장) / (초음파탐촉자 직경)

    여기서 파장은 속도 / 중심주파수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물에서의 초음파 속도는 약 1500m/s이므로,

    파장 = 1500 / 2 = 750mm

    따라서,

    근거리 음장한계거리 = (1.5 × 750) / 12 = 93.75mm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정답이 "48"이므로, 이는 반올림한 값입니다. 따라서, 정확한 계산 결과는 93.75mm이지만, 반올림하여 48mm로 답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압연제품이나 단강제품과 비교시 주조제품을 탐상할 때 주조 제품에 주로 발생하는 에코는?

  1. 임상에코
  2. 고스트에코
  3. 표면에코
  4. 저면에코
(정답률: 알수없음)
  • 주조 제품에 발생하는 에코는 주로 "임상에코"입니다. 이는 주조 공정에서 사용되는 모래나 석재 등의 소재가 고온과 압력에 노출되면서 발생하는 화학 반응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러한 에코는 제품의 내구성과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제품 품질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고스트에코"는 주로 압연제품이나 단강제품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스크래치나 흠집 등이 원인입니다. "표면에코"는 제품 표면에 발생하는 것으로, 주로 오염물질이나 부식 등이 원인입니다. "저면에코"는 제품 내부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주로 불순물이나 기타 이상물질이 원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펄스반사법 초음파탐상장치를 사용하여 강용접부를 60°의 경사각 탐촉자로 탐상할 때 용접부 부근에서 에코가 나타났다. 결함의 종류를 추정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최대에코 높이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탐상하여 에코 높이의 변화를 이용하여 결함종류를 추정한다,
  2. 여러 주사방법으로 탐상하여 에코높이의 변화를 이용하여 결함종류를 추정한다,
  3. 탐상기에 나타난 에코의 파형 모양을 이용하여 결함 종류를 추정한다.
  4. 수직 탐촉자를 이용하여 결함모양을 그려서 결함종류를 추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직 탐촉자를 이용하여 결함모양을 그려서 결함종류를 추정한다."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 방법은 펄스반사법 초음파탐상장치를 사용하여 강용접부를 탐상할 때 결함종류를 추정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다른 보기들도 모두 옳은 방법이다.

    하지만 이 중에서 "최대에코 높이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탐상하여 에코 높이의 변화를 이용하여 결함종류를 추정한다."는 조금 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최대에코 높이를 이용하여 결함종류를 추정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표면결함, 깊이결함, 크랙 등의 결함을 추정할 때 사용된다. 최대에코 높이가 높을수록 결함이 깊거나 크랙이 크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방법은 특정 종류의 결함을 추정할 때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초음파탐상관련규격및컴퓨터활용

41. 강 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0896)에서 1회 반사법의 경우 탐촉자 - 결함거리는 대략 어느 정도인가?

  1. 0 ∼ 0.5 S
  2. 0.5 ∼ 1.0 S
  3. 1.0 ∼ 1.5 S
  4. 1.5 ∼ 3.0 S
(정답률: 알수없음)
  • 1회 반사법에서는 탐촉자와 결함거리 사이의 거리가 대략 0.5 ~ 1.0 S 정도이다. 이는 탐촉자와 결함거리 사이의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반사파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고, 너무 멀면 반사파가 약해져서 검출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범위 내에서 적절한 거리를 유지해야 정확한 검사가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강 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0896)에 따라 강용접부 두께 6㎜를 탐상하고자 한다. 전원 전압의 변동에 따라 탐상기의 감도변화와 세로축 및 시간축의 이동량은 다음 중 어느 범위 내까지 허용되는가?

  1. 감도변화는 ±1dB, 세로축 및 시간축 이동량은 풀 스케일의 ±2%
  2. 감도변화는 ±2dB, 세로축 및 시간축 이동량은 풀 스케일의 ±2%
  3. 감도변화는 ±1dB, 세로축 및 시간축 이동량은 풀 스케일의 ±1%
  4. 감도변화는 ±2dB, 세로축 및 시간축 이동량은 풀 스케일의 ±1%
(정답률: 알수없음)
  • 강 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0896)에서는 감도변화와 세로축 및 시간축의 이동량이 허용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이는 탐상기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감도변화는 탐상기의 감도가 변화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이는 전원 전압의 변동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감도변화가 크면 탐상기의 정확도가 떨어지게 된다. KS B 0896에서는 감도변화가 ±1dB 이내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세로축 및 시간축의 이동량은 탐상기에서 측정한 신호의 위치와 시간이 얼마나 변화하는지를 의미한다. 이는 탐상기의 위치나 측정 시간 등의 요인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KS B 0896에서는 세로축 및 시간축의 이동량이 풀 스케일의 ±2% 이내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정답은 "감도변화는 ±1dB, 세로축 및 시간축 이동량은 풀 스케일의 ±2%"이다. 이는 KS B 0896에서 규정한 허용 범위 내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초음파탐상 시험용 표준시험편(KS B 0831)에 의한 STB-G형 감도 표준시험편 중 인공결함의 직경(d)이 서로 다른 한가지는?

  1. STB-G V5
  2. STB-G V15-2
  3. STB-G V15-4
  4. STB-G V8
(정답률: 알수없음)
  • STB-G형 감도 표준시험편 중 인공결함의 직경(d)이 서로 다른 것들이 있지만, "STB-G V15-4"는 다른 것들과 달리 직경(d)이 4mm로 가장 작기 때문에 정답이다. 다른 것들은 "STB-G V5"는 5mm, "STB-G V15-2"는 2mm, "STB-G V8"은 8mm의 직경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강 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0896)으로 상온(10∼30℃)에서 시험부위를 경사각탐상할 때, 굴절각 70°인 경사각 탐촉자의 실제 굴절각을 점검하였다. 다음 중 탐상검사에 사용해서는 안되는 탐촉자의 굴절각은?

  1. 68.5°
  2. 71°
  3. 71.5°
  4. 72.5°
(정답률: 알수없음)
  • 강 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0896)에서는 굴절각 70°인 경사각 탐촉자를 사용한다. 따라서 이 탐촉자를 사용하여 시험부위를 경사각탐상할 때, 탐촉자의 굴절각이 70°이므로 탐촉자와 시험부위 사이에서 반사되는 초음파의 각도도 70°가 된다. 이 때, 탐촉자의 굴절각이 72.5°인 경우, 탐촉자와 시험부위 사이에서 반사되는 초음파의 각도는 72.5°가 되어, 이는 굴절각 70°인 탐촉자를 사용할 때와 차이가 있으므로 정확한 검사결과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탐상검사에 사용해서는 안되는 탐촉자의 굴절각은 "7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건축용 강판 및 평강의 초음파탐상시험에 따른 등급분류와 판정기준(KS D 0040)에서 수직탐촉자의 사용시 시험체의 두께에 따른 탐상감도, 공칭주파수 및 진동자의 유효 지름이 다르다. 다음 중 시험체 두께 별 적용사항이 틀린 것은?

  1. 시험체의 두께가 13 이상 20㎜ 이하일 때 탐상감도는 STB-N1 25%-진동자, 공칭주파수는 5㎒, 진동자의 유효지름은 20㎜이다.
  2. 시험체의 두께가 20 초과 40㎜ 이하일 때 탐상감도는 STB-N1 50%-진동자, 공칭주파수는 5㎒, 진동자의 유효지름은 20㎜이다.
  3. 시험체의 두께가 40 초과 60㎜ 이하일 때 탐상감도는 STB-N1 70%-진동자, 공칭주파수는 5㎒, 진동자의 유효지름은 20㎜이다.
  4. 시험체의 두께가 60㎜ 초과할 때는 주문자와 제조자의 협의에 따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험체의 두께가 60㎜ 초과할 때는 주문자와 제조자의 협의에 따른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다른 보기들에서는 시험체의 두께에 따라 탐상감도, 공칭주파수, 진동자의 유효 지름이 다르게 적용된다는 내용이 나와있다. 하지만 시험체의 두께가 60㎜ 초과할 때는 이러한 적용사항이 명시되어 있지 않고, 주문자와 제조자의 협의에 따라 결정된다는 것이 KS D 0040에서 정해진 내용이다.

    따라서 "시험체의 두께가 60㎜ 초과할 때는 주문자와 제조자의 협의에 따른다."가 틀린 내용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강 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0896)에서 규정하는 경사각탐상에서 에코폰이 구분선에 의한 Ⅱ영역이 의미하는 것은?

  1. L선 이하
  2. L선 초과 M선 이하
  3. M선 초과 H선 이하
  4. H선 초과
(정답률: 알수없음)
  • 강 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0896)에서 규정하는 경사각탐상에서 에코폰이 구분선에 의한 Ⅱ영역은 용접부의 경사각이 일정 범위 내에 있을 때 나타나는 영역을 의미합니다. 이 때, "L선 이하"는 용접부의 경사각이 너무 작아서 문제가 없는 상태를 의미하고, "H선 초과"는 용접부의 경사각이 너무 크기 때문에 문제가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L선 초과 M선 이하"는 용접부의 경사각이 적절한 범위 내에 있어서 안전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강 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0896)에서 경사각 탐촉자의 “5Q10×10A70”의 불감대 허용한계는 얼마인가?

  1. 10㎜
  2. 15㎜
  3. 25㎜
  4. 35㎜
(정답률: 알수없음)
  • 강 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0896)에서 경사각 탐촉자의 “5Q10×10A70”은 탐촉자의 크기와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5Q"는 탐촉자의 크기를 나타내며, "10×10"은 탐촉자의 형태를 나타내고, "A70"은 탐촉자의 주파수를 나타낸다.

    불감대 허용한계는 탐촉자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다르게 결정된다. "5Q10×10A70"의 경우, 탐촉자의 크기가 5mm이고, 불감대 허용한계는 3배 이내로 결정된다. 따라서, 불감대 허용한계는 15mm이 된다.

    즉, 이 탐촉자로 검사할 때, 불감대가 15mm 이내로 설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초음파비파괴검사(ASME Sec.V, Art.23 SE 114)는 직접접촉법에 의한 초음파 펄스에코수직탐상 시험방법의 권고사항이다. 시험체의 표면거칠기 평균값이 100∼400마이크로인치 일 때 규정에 맞는 접촉매질은 무엇인가?

  1. SAE 10wt. 모터오일
  2. SAE 20wt. 모터오일
  3. SAE 30wt. 모터오일
  4. SAE 40wt. 모터오일
(정답률: 알수없음)
  • 시험체의 표면거칠기가 100∼400마이크로인치인 경우, 접촉매질로는 SAE 30wt. 모터오일이 권장된다. 이는 SAE 30wt. 모터오일이 적당한 점도와 윤활성을 가지고 있어 초음파 펄스에코수직탐상 시험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SAE 10wt. 모터오일은 너무 가벼워서 적합하지 않고, SAE 20wt. 모터오일은 점도가 낮아서 시험체 표면에 충분한 접촉을 유지하기 어렵다. SAE 40wt. 모터오일은 점도가 높아서 초음파의 전달에 방해가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초음파비파괴검사(ASME Sec.V, Art.5)에서 교정시험편은 시험할 주조품의 전 살두께에 대해 사용하는 경우 ± 몇 %의 살두께를 갖는 것으로 제작되어야 하는가?

  1. 10
  2. 15
  3. 25
  4. 30
(정답률: 알수없음)
  • ASME Sec.V, Art.5에서는 교정시험편의 살두께가 시험할 주조품의 전 살두께의 ±25%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5"입니다. 이는 교정시험편의 살두께가 시험할 주조품의 살두께와 유사하게 제작되어야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초음파비파괴검사(ASME Sec.V, Art.4)에 따라 탐상검사시 탐촉자를 이동하는 속도(인치/초)는 통상 얼마를 초과해서는 안되는가?

  1. 4
  2. 6
  3. 8
  4. 10
(정답률: 알수없음)
  • 탐상검사시 탐촉자를 이동하는 속도는 6인치/초를 초과해서는 안된다. 이유는 초음파 검사에서는 탐촉자가 재료 내부를 통과하는 시간과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결함을 감지하는데, 이 속도가 너무 빠르면 검사 결과가 부정확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ASME Sec.V, Art.4에서는 이 속도를 6인치/초 이하로 제한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압력용기용 알루미늄 합금판에 대한 초음파탐상시험(ASME Sec.V, Art.23 SB 548)기준에서 완전하게 저면반사의 완전 감쇠(95% 이상)를 만드는 불연속부를 나타내는 범위가 얼마를 초과하면 그 판을 불합격으로 하는가?

  1. 1인치
  2. 1.5인치
  3. 2인치
  4. 2.5인치
(정답률: 알수없음)
  • ASME Sec.V, Art.23 SB 548 기준에서는 압력용기용 알루미늄 합금판에 대한 초음파탐상시험에서 완전하게 저면반사의 완전 감쇠(95% 이상)를 만드는 불연속부를 나타내는 범위가 1인치를 초과하면 그 판을 불합격으로 합니다. 이는 불연속부의 크기가 1인치 이상이면 초음파가 충분히 반사되지 않아 결함을 감지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인치 이상의 불연속부가 있으면 압력용기용 알루미늄 합금판은 ASME Sec.V, Art.23 SB 548 기준에서 불합격으로 판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보일러 및 압력용기의 재료에 대한 초음파비파괴검사(ASME Sec.V, Art.5)에 따라 주조품을 탐상 검사할 때 수직탐촉자를 사용하고, 특수한 경우에는 경사각탐촉자를 추가로 사용한다. 특수한 경우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주조품의 재질이 알루미늄일 때
  2. 사용주파수가 0.5㎒ 일 때
  3. 주조품의 전면과 후면과의 각도가 15°를 넘을 때
  4. 자동 DAC 장치를 사용할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주조품의 전면과 후면과의 각도가 15°를 넘을 때는 수직탐촉자만으로는 충분한 검사가 어렵기 때문에 경사각탐촉자를 추가로 사용하여 보다 정확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주조품의 형상이 복잡하거나 곡면이 많은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강판의 수직빔 초음파탐상시험 표준(ASME Sec.V, SA 435)에 따라 2인치의 두께를 갖는 강판을 검사할 때, 전체 저면반사의 손실을 일으키는 불연속부의 최대합격지름은 얼마인가?

  1. 2.54㎝(1인치)
  2. 5.08㎝(2인치)
  3. 7.62㎝(3인치)
  4. 10.16㎝(4인치)
(정답률: 알수없음)
  • 강판의 두께가 2인치이므로, 최대합격지름은 2인치 강판에서의 최대합격지름인 3인치가 된다. 이는 ASME Sec.V, SA 435 표준에서 정해진 불연속부의 최대합격지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7.62㎝(3인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강 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0896)에서 경사각 탐촉자의 접근한계길이를 정하고 있다. 진동자의 공칭치수가 10×10㎜, 공칭 굴절각이 45°일 때 접근 한계길이는 몇 ㎜인가?

  1. 15
  2. 18
  3. 20
  4. 25
(정답률: 알수없음)
  • 강 용접부의 초음파탐상 시험방법(KS B 0896)에서 경사각 탐촉자의 접근한계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접근한계길이 = (진동자 공칭치수 ÷ 2) ÷ tan(경사각 ÷ 2) × (1 ÷ sin(공칭 굴절각))

    여기서 주어진 조건에 따라 계산하면,

    접근한계길이 = (10 ÷ 2) ÷ tan(45 ÷ 2) × (1 ÷ sin 45)
    = 5 ÷ tan 22.5 × 1.414
    ≈ 14.99

    따라서, 접근한계길이는 약 15m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알루미늄 관 용접부의 초음파 경사각탐상 시험방법(KS B 0521)에 의한 원둘레 이음 용접부의 경우 탐상시험 준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측정 범위는 STB-A1의 R100㎜를 알루미늄에서 102㎜로 조정한다.
  2. 입사점은 STB-A1 또는 STB-A3를 사용하여 1㎜ 단위로 측정한다.
  3. 굴절각은 RB-A4AL의 표준 구멍을 이용하여 공칭 굴절각도에 따라 정해진 스킵거리에서 측정한다.
  4. 거리진폭 특성곡선은 흠 에코의 평가에 사용되는 빔노정의 범위에서 높이가 90% 이하 10%이상이 되도록 조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측정 범위는 STB-A1의 R100㎜를 알루미늄에서 102㎜로 조정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알루미늄의 밀도가 강철보다 작기 때문에 초음파가 알루미늄에서는 더 빠르게 전파되어 측정 범위를 약간 늘려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거리에 관계없이 자료방생 즉시 처리하는 양방향 통신 기능을 가진 정보처리 방식은?

  1. 온라인 처리
  2. 일괄 처리
  3. 원격 일괄 처리
  4. 오프 라인 처리
(정답률: 알수없음)
  • 온라인 처리는 거리에 관계없이 즉시 처리하는 양방향 통신 기능을 가진 정보처리 방식입니다. 따라서 자료방생이 발생하면 즉시 처리할 수 있으며, 일괄 처리나 원격 일괄 처리와는 달리 대기 시간이 없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컴퓨터에서 산술과 논리 연산을 담당하는 것은?

  1. 모니터
  2. 주기억장치
  3. 중앙처리장치
  4. 보조기억창치
(정답률: 알수없음)
  • 중앙처리장치는 컴퓨터의 두뇌 역할을 하며, 산술과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중요한 부품입니다. 따라서 산술과 논리 연산을 담당하는 것은 중앙처리장치입니다. 모니터는 출력 장치, 주기억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 보조기억장치는 데이터를 장기간 보관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전자우편을 이용할 때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다른 시스템에 도착한 전자우편을 볼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은?

  1. POP3
  2. SMTP
  3. NMTP
  4. HTTP
(정답률: 알수없음)
  • POP3는 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의 약자로, 이메일 서버에서 사용자의 컴퓨터로 전자우편을 가져오는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컴퓨터에서 POP3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이메일 서버로부터 전자우편을 다운로드하여 볼 수 있다. SMTP는 이메일을 보내는 프로토콜, NMTP는 네트워크 메일 전송 프로토콜, HTTP는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이므로 이 문제에서는 POP3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IP 주소를 유동으로 할당받는 프로토콜은?

  1. TCP
  2. DHCP
  3. IP
  4. UDP
(정답률: 알수없음)
  • DHCP는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약자로, IP 주소를 유동으로 할당받는 프로토콜입니다. DHCP를 사용하면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나 기기들이 자동으로 IP 주소를 할당받아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DHCP가 IP 주소를 유동으로 할당받는 프로토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소비자 측면에서 전자상거래의 특징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1. 물건에 하자가 있을 때 환불, 교환이 불편하다.
  2. 언제든 편리한 시간에 상품을 구입할 수 있다.
  3. 항상 저렴한 가격에 상품을 구입할 수 있다.
  4. 상품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항상 저렴한 가격에 상품을 구입할 수 있다."는 전자상거래의 특징이 아니다. 이는 판매자나 플랫폼마다 가격이 다를 수 있으며, 할인 행사나 이벤트 등에 따라 가격이 변동할 수 있다. 따라서 항상 저렴한 가격을 보장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금속재료학

61. 다음 중 구상흑연 주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인장강도는 20kgf/mm2이하이다.
  2. 주조상태에서 흑연이 구상으로 정출한다.
  3. 피로한도는 회주철에 비해 1.5 ~ 2.0배 낮다.
  4. 구상흑연주철의 기지 조직은 페라이트만이 존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조상태에서 주철 내부에 있는 탄소가 고온과 압력에 의해 분해되어 흑연이 형성되고, 이 흑연이 구상으로 정출되는 것이 구상흑연주철의 특징이다. 따라서 "주조상태에서 흑연이 구상으로 정출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자경강(Self hardening steel)이란 무엇인가?

  1. 담금질에 의해서 경화되는 강
  2. 극히 서냉해도 경화되는 강
  3. 공랭으로도 경화되는 강
  4. 뜨임까지 해야 경화되는 강
(정답률: 알수없음)
  • 자경강은 공랭으로도 경화되는 강입니다. 이는 강 내부에 존재하는 크롬, 모리브덴 등의 합금 원소가 공기 중 산소와 반응하여 강의 경도를 높이는 과정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자경강은 경화 처리를 위한 추가적인 열처리 과정이 필요하지 않아 제조 과정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구리의 절삭성 및 도전율을 개선시키는 원소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Te
  2. H
  3. Ag
  4. Zn
(정답률: 알수없음)
  • Te (텔루륨)은 구리의 절단성과 도전율을 개선시키는 데 가장 적합한 원소입니다. 이는 Te가 구리와 함께 합금을 이룰 때, 구리의 결정 구조를 개선시켜 구리의 결정성을 강화시키기 때문입니다. 또한 Te는 구리와의 화학적 상호작용을 통해 구리의 전기적 특성을 개선시키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Muntz metal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구리에 20%의 Zn이 첨가된다.
  2. α + β의 조직이다.
  3. 상온에서 전연성이 아주 높으며, 강도는 낮다.
  4. 내식성이 크므로 탈아연 부식을 일으키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Muntz metal은 구리에 20%의 아연이 첨가된 합금으로, α + β의 조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구리와 아연의 혼합으로 인해 형성되는 두 가지 다른 구조물이 함께 존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합금은 상온에서 전연성이 아주 높으며, 강도는 낮지만 내식성이 크므로 탈아연 부식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구리 중 진공용해하여 0.001 ~ 0.002%의 O2 함량을 가지며 유리 봉착성이 좋아 진공관용 재료 및 전자기기등에 이용되는 재료는?

  1. 무산소동
  2. 탈산동
  3. 전기동
  4. 정련동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무산소동"입니다.

    무산소동은 산소를 거의 포함하지 않는 구리 합금으로, 진공용해 과정에서 산소가 첨가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제조됩니다. 이로 인해 매우 낮은 산소 함량을 가지며, 이는 진공관 등에서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기적 안정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유리와의 봉착성이 좋아서 진공관용 재료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Lead Frame 재료로서 요구되는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리드부의 변형을 반복해도 절손하지 않을 것
  2. 열방출성이 높은 재료(device의 고출력화)
  3. 펀칭 및 굽힘가공성이 양호할 것
  4. Si와의 열팽창차가 클 것
(정답률: 알수없음)
  • Lead Frame은 반도체 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품으로, 변형이 없이 안정적으로 동작해야 하므로 "리드부의 변형을 반복해도 절손하지 않을 것"이 요구되며,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열방출성이 높은 재료(device의 고출력화)"가 요구됩니다. 또한, 제조과정에서 "펀칭 및 굽힘가공성이 양호할 것"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Si와의 열팽창차가 클 것"은 요구되지 않는 성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마찰계수가 적고 고온 고압에 견디며 주석을 주성분으로 하는 베어링용 합금의 Sn - Sb - Cu계 화이트메탈은?

  1. 켈밋
  2. 인청동
  3. 배빗메탈
  4. 알루미늄 청동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조건에 부합하는 합금은 Sn-Sb-Cu계 화이트메탈이다. 이 중에서도 마찰계수가 적고 고온 고압에 견딜 수 있는 합금은 배빗메탈이다. 따라서 정답은 "배빗메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표면 경화 열처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체침탄의 경우 침탄촉진제로 탄산바륨(BaCO3)이나 탄산나트륨(Na2CO3) 등을 사용한다.
  2. 액체침탄의 경우 침탄촉진제로 탄산칼륨(K2CO3)이나 염화칼륨 (KCl)을 사용한다.
  3. 화염경화법은 강재의 표면을 강력한 가열력을 가진 산소-아세틸렌 불꽃을 사용하여 급속하게 가열한 후 냉각수로 급랭시켜 표면만을 경화시키는 방법이다.
  4. 액체침탄법은 산화방지에는 효과적이나 온도조절은 용이하지 못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액체침탄법은 침탄액이 액체이기 때문에 온도를 정확하게 조절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분말야금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생산성, 실수율이 높이 양산품의 제조에 적합하다.
  2. 최종제품의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어 절삭가공을 생략 할수 있다.
  3. 용해법으로 생기는 편석, 결정립 조대화의 분제점이 적다.
  4. 제품의 정밀도가 좋지 않으며, 용융점까지의 고온이 필요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생산성, 실수율이 높이 양산품의 제조에 적합하다.", "최종제품의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어 절삭가공을 생략 할수 있다.", "용해법으로 생기는 편석, 결정립 조대화의 분제점이 적다."는 모두 분말야금법의 장점이다. 하지만 "제품의 정밀도가 좋지 않으며, 용융점까지의 고온이 필요하다."는 단점이다. 이유는 분말야금법은 분말을 고온에서 용융시켜 형상을 만들기 때문에, 용융점까지의 고온이 필요하다. 또한 분말의 입자 크기와 분포가 제품의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제품의 정밀도가 좋지 않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황동가공재를 상온에서 방치하거나 저온풀림으로 얻은 스프링강재는 사용 중 시간의 경광에 따라 경도 등 제 성질이 악화되는 현상은?

  1. 가공변화
  2. 경년변화
  3. 소성변화
  4. 자성변화
(정답률: 알수없음)
  • 황동가공재나 스프링강재는 사용 중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적으로 성질이 변화하는데, 이를 경년변화라고 합니다. 이는 주로 금속재료의 결정구조 변화로 인해 발생하며, 경도 등의 물리적 성질이 변화하게 됩니다. 이러한 경년변화는 재료의 사용 시간에 따라 발생하므로, 재료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변화를 고려하여 적절한 관리와 유지보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표점거리 50㎜, 직경 5㎜인 봉재 시편을 인장시험 결과 최대하중 3000kgf에서 절단되었고, 절단 후 표점거리가 55㎜ 였을 때 인장강도(kgf/mm2)는?

  1. 140.8
  2. 152.8
  3. 210.1
  4. 222.3
(정답률: 알수없음)
  • 인장강도는 최대하중을 시편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시편의 단면적은 원면적으로 계산하며, 원면적은 (π/4) x (직경)^2 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시편의 단면적은 (π/4) x (5㎜)^2 = 19.63mm^2 입니다. 최대하중 3000kgf를 시편의 단면적으로 나누면 3000kgf / 19.63mm^2 = 152.8kgf/mm^2 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52.8"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그림]과 같이 공석조성ㄷ의 강을 오스테나이트 영역까지 가열한 다음, 공석온도 바로 밑의 온도까지(b점) 서냉하였을 때, 관찰되는 조직은 펄라이트이다. 이 때 펄라이트를 구성하는 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의 중량비는 약 얼마인가?(단, α-Fe의 탄소 고용도는 0.02%이다.)

  1. 페라이트 - 12%, 시멘타이트 - 88%
  2. 페라이트 - 88%, 시멘타이트 - 12%
  3. 페라이트 - 48%, 시멘타이트 - 52%
  4. 페라이트 - 52%, 시멘타이트 - 48%
(정답률: 알수없음)
  • 펄라이트는 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의 혼합물이다. 따라서, 펄라이트를 구성하는 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의 중량비는 각각의 비율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공석조성ㄷ의 강을 오스테나이트 영역까지 가열한 다음, 공석온도 바로 밑의 온도까지 서냉하였으므로, 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의 비율은 유동성이 있는 상태에서 결정된다. 이 때, α-Fe의 탄소 고용도는 0.02%이므로, 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의 중량비는 Fe-Fe3C 상태도에서 0.02% 탄소를 가진 Fe의 위치에서 수평선을 그어서 교차하는 지점에서 결정된다. 이 지점은 Fe3C의 중량비가 약 12%인 지점이므로, 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의 중량비는 각각 88%와 12%이다. 따라서, 정답은 "페라이트 - 88%, 시멘타이트 - 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Fe-C 평형상태도에서 나타나는 변태 중 자기변태점은?

  1. A1 변태
  2. Acm 변태
  3. A2 변태
  4. A3 변태
(정답률: 알수없음)
  • Fe-C 평형상태도에서 A2 변태는 강철이 고온에서 FCC 구조에서 BCC 구조로 변화하는 지점을 나타냅니다. 이는 강철이 냉각되면서 발생하는 마르텐사이트 변태의 시작점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자기변태점은 강철의 구조 변화와 관련이 있으며, A2 변태가 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구상흑연 주철 제조의 구상화 첨가원소로 옳은 것은?

  1. Mg, Cu
  2. Al, Cr
  3. Cu, Mo
  4. Ca, Mg
(정답률: 알수없음)
  • 구상흑연 주철은 탄소 함량이 높은 주철로, 구조적인 안정성과 내마모성이 뛰어나다. 이러한 특성을 갖기 위해서는 첨가원소가 필요한데, 이 중 Ca와 Mg는 탄소와 결합하여 탄소의 결정화를 억제하고, 주철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Ca와 Mg가 구상흑연 주철 제조의 구상화 첨가원소로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압연 등과 같은 가공에 의해서만이 그 성질을 강화 개선시킬 수 있는 비열처리형 합금계로 옳은 것은?

  1. 2000계 Al 합금
  2. 5000계 Al 합금
  3. 6000계 Al 합금
  4. 7000계 Al 합금
(정답률: 알수없음)
  • 5000계 Al 합금은 압연 등의 가공에 의해서만 성질을 강화 개선시킬 수 있는 비열처리형 합금계이다. 이는 5000계 합금의 주요 성분인 마그네슘과 실리콘이 고온에서 용해도가 낮아 결정화되어 강도와 경도를 높이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이다. 반면, 2000계, 6000계, 7000계 Al 합금은 열처리에 의해서도 성질을 개선시킬 수 있기 때문에 비열처리형 합금계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이캐스팅용 아연합금에 첨가되는 Mg원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Mg의 최대 고용도는 5%이하이다.
  2. 입계부식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3. β → α+β'의 변태 속도를 촉진시킨다.
  4. Mg 함량이 증가하면 용탕의 유동성을 좋게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Mg는 아연합금의 입계부식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이는 Mg가 아연합금의 입계부에 용해되어 결정성장을 억제하고, 입계부에서의 확산을 억제하여 입계부식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표면경화 방법 중에서 세라다이징 처리시 확산 침투시키는 금속은?

  1. B
  2. Al
  3. Cr
  4. Zn
(정답률: 알수없음)
  • 세라다이징 처리는 표면을 보호하고 강화하기 위해 적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에서는 금속을 표면에 침투시켜서 보호층을 형성합니다. 이때, 확산 침투시키는 금속은 주로 아연(Zn)이 사용됩니다. 이는 아연이 다른 금속보다 더 높은 확산 속도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세라다이징 처리시에는 주로 아연이 사용되며, 이 중에서도 확산 속도가 빠른 Zn이 선택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탄소강에 합금원소 첨가에 따른 영향으로 결정립을 조대화시키는 원소로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1. Mn, P
  2. Si, P
  3. Mn, S
  4. Mn, Si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Si, P"입니다.

    탄소강에 합금원소로 Si와 P를 첨가하면, Si는 탄소와 결합하여 탄소의 용해도를 낮추고 결정립을 조밀하게 만들어줍니다. 또한, P는 탄소와 결합하여 탄소의 용해도를 높이고 결정립을 조밀하게 만들어줍니다. 따라서 Si와 P를 함께 첨가하면 결정립을 조밀하게 만들어 탄소강의 강도와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Mn, P"는 Mn은 결정립을 조밀하게 만들어주지만, P는 탄소와 결합하여 탄소의 용해도를 높이기 때문에 결정립을 조밀하게 만들어주지 않습니다.

    "Mn, S"는 Mn은 결정립을 조밀하게 만들어주지만, S는 탄소와 결합하여 탄소의 용해도를 낮추지 않기 때문에 결정립을 조밀하게 만들어주지 않습니다.

    "Mn, Si"는 Mn은 결정립을 조밀하게 만들어주고, Si는 탄소와 결합하여 탄소의 용해도를 낮추고 결정립을 조밀하게 만들어줍니다. 따라서 Mn과 Si를 함께 첨가하면 결정립을 조밀하게 만들어 탄소강의 강도와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비중이 6.5 융점이 1852℃이며, 특히 농황산, 강알칼리, 염산 등에 강하여, 화학장치용이나 원자로용 내식재료로 사용하는 금속은?

  1. Ge
  2. Th
  3. V
  4. Zr
(정답률: 알수없음)
  • 문제에서 설명한 특성들은 지르코늄(Zr)에 해당합니다. 지르코늄은 높은 내식성과 높은 융점을 가지고 있어 화학장치나 원자로 등의 내식재료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Z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W계 고속도공구강에서 W의 영향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내열성을 향상시킨다.
  2. 내마모성을 향상시킨다.
  3. W6C의 탄화물을 형성한다.
  4. 고온에서는 결정립을 조대화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온에서 결정립을 조대화시키는 것은 고속도공구강의 성질과는 맞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고속도공구강은 고온에서 빠른 냉각로 인해 미세한 결정립 구조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온에서는 결정립을 조대화시킨다."가 적합하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용접일반

81. 아크용접시 아크의 길이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아크의 길이는 심선의 직경이 2배 이상이 좋다.
  2. 아크의 길이가 너무 짧으면 용융금속에 산화나 질화 현상이 일어난다.
  3. 아크길이가 너무 짧으면 스패터링이 심하게 된다.
  4. 아크길이가 너무 짧으면 아크가 불연속이 되기 쉽고 발생되는 열양이 작게 되어 용입이 불량하게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아크의 길이가 너무 짧으면 아크가 불연속이 되기 쉽고 발생되는 열양이 작게 되어 용입이 불량하게 된다. 이는 아크가 충분한 길이를 유지하지 못하면 용융금속이 충분히 녹아내리지 못하고 스패터링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용입이 불균일하게 형성되어 용접이 불량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크의 길이는 심선의 직경이 2배 이상이 되도록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직류 아크용접에서 정극성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용접봉의 용융속도가 느리다.
  2. 용접봉을 음극에 접속한다.
  3. 모재의 용입이 깊다.
  4. 얇은 판 용접에 적합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봉의 용융속도가 느리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직류 아크용접에서는 음극과 양극의 전극에 따라 정극성이 결정됩니다. 음극에 용접봉을 접속하면 봉의 끝이 녹아들면서 용접이 이루어집니다. 이때 용접봉의 끝이 녹아들기까지의 시간이 용융속도입니다. 따라서 용접봉의 용융속도가 느리다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얇은 판 용접에 적합한 이유는 용접봉의 직경이 작아서 작은 용접부터 시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얇은 판은 열팽창이 적기 때문에 용접이 뒤틀리지 않고 깔끔하게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가스용접에서 불변압식(A형) 팁번호 1번 사용시 용접 가능한 판 두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
  2. 4㎜
  3. 10㎜
  4. 15㎜
(정답률: 알수없음)
  • 불변압식(A형) 팁번호 1번은 가스용접에서 가장 작은 크기의 팁이며, 그만큼 작은 불꽃을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이 팁을 사용하여 용접 가능한 판 두께는 상대적으로 얇은 것이 적합합니다. 그 중에서도 1㎜가 가장 적합한 두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화학 반응에 의한 발열을 이용하여 시행하는 용접법은?

  1. 플라스마 용접
  2. 테르밋 용접
  3. 프로젝션 용접
  4. 서브머지드 용접
(정답률: 알수없음)
  • 화학 반응에 의한 발열을 이용하여 시행하는 용접법은 "테르밋 용접"입니다. 이는 알루미늄과 철을 연결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알루미늄과 철산화물을 반응시켜 발생하는 열로 용접을 수행합니다. 이 용접법은 용접 부위가 녹지 않으므로 용접 후에도 부식이나 변형이 없어 안정적인 용접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토치 대신 가늘고 긴 강관을 사용하여 절단 산소를 보내서 절단하는 것은?

  1. 분말 절단
  2. 산소창 절단
  3. 수중 절단
  4. 프로판 가스절단
(정답률: 알수없음)
  • 산소창 절단은 가늘고 긴 강관을 사용하여 절단 산소를 보내서 절단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토치 대신에 사용되며, 산소와 연료인 프로판 가스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과 달리 산소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더욱 안전하고 정밀한 절단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용접부에 생긴 잔류응력을 제거하려 할 때 가장 적합한 열처리법인 것은?

  1. 불림
  2. 담금질
  3. 풀림
  4. 뜨임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부에 생긴 잔류응력을 제거하려 할 때 가장 적합한 열처리법은 "풀림"이다. 이는 용접부를 고온에서 일정 시간 동안 가열하여 잔류응력을 완화시키는 방법으로, 용접부의 미세조직을 안정화시키고 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불림은 경화처리를 위한 열처리법이며, 담금질은 경도를 높이기 위한 열처리법이다. 뜨임은 금속을 연마하거나 가공하기 전에 부드러운 상태로 만들기 위한 열처리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용접부를 피닝하는 주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모재의 재질을 검사한다.
  2. 미세한 먼지 등을 털어 낸다.
  3. 응력을 강하게 하고 변형을 크게 한다.
  4. 용접부의 잔류응력을 완화하고 변형을 방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 후에는 용접부에 잔류응력이 발생하며, 이는 용접부의 변형과 파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접부를 피닝하는 주목적은 이러한 잔류응력을 완화하고 변형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용접부의 균열이 발생하는 것과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1. 용접봅의 탄소와 유황의 함량
  2. 용착부의 급냉
  3. 잘못된 용접시공
  4. 비드의 두께
(정답률: 알수없음)
  • 비드의 두께는 용접부의 균열 발생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용접봉의 탄소와 유황의 함량이나 용착부의 급냉, 잘못된 용접시공은 모두 용접부의 강도와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지만, 비드의 두께는 용접부의 형태와 크기를 결정하는 요소로서 균열 발생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아크 용접부에 생기는 서리 기둥 모양의 결함으로 대단히 취성이 많은 파면의 일종이며 현미경으로 보면 작은 기공과 비금속 개재물이 있는 것은?

  1. 선상 조직
  2. 마이크로 피셔
  3. 루트 균열
  4. 은점
(정답률: 알수없음)
  • 아크 용접부에서 생기는 서리 기둥 모양의 결함은 선상 조직이다. 이는 용접 과정에서 용융된 금속이 빠르게 냉각되면서 결정 구조가 형성되는데, 이때 결정 구조가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생기는 것이다. 이러한 선상 조직은 기계적 성질이 약하고 파괴에 취약하며, 작은 기공과 비금속 개재물이 함께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함은 용접 부위의 강도와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방사선검사에서 발견할 수 없는 용접 결함은?

  1. 슬래그 섞임
  2. 용입부족
  3. 균열
  4. 라미네이션
(정답률: 알수없음)
  • 라미네이션은 용접선 내부에서 발생하는 결함으로, 용접선의 두께 방향으로 발생하는 구멍 모양의 결함입니다. 이러한 결함은 방사선으로 검출하기 어렵기 때문에, 시각적 검사나 초음파 검사 등 다른 검사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피복 아크 용접기의 정격전류가 200A이고, 정격 사용율이 50% 일 때, 이 아크 용접기의 연속 사용이 가능한 최대 전류는 약 몇 A인가?

  1. 121
  2. 136
  3. 141
  4. 200
(정답률: 알수없음)
  • 정격전류가 200A이고, 정격 사용율이 50%이므로 연속 사용이 가능한 최대 전류는 200A x 50% = 100A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141이 아닌 136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는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피복아크용접에서 피복제에 습기가 잇는 저수소계의 용접봉을 사용했을 때 용접부에 발생하는 가장 중요한 결함은?

  1. 유해한 가스가 발생
  2. 균열 및 기공의 발생
  3. 과대한 용접 변형의 발생
  4. 언더컷의 발생
(정답률: 알수없음)
  • 습기가 있는 저수소계의 용접봉을 사용하면 용접부에서 물질의 수분이 증발하여 가스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가스는 용접부에서 균열 및 기공의 발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피복아크용접에서는 가능한 건조한 용접봉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모재의 한쪽 또는 양쪽에 여러 개의 돌기를 만들어 이 부분에 용접전류를 집중시켜 용접하는 방식의 용접법은?

  1. 롤러 점용접
  2. 포일 심용접
  3. 프로젝션 용접
  4. 업셋 용접
(정답률: 알수없음)
  • 프로젝션 용접은 모재의 한쪽 또는 양쪽에 여러 개의 돌기를 만들어 이 부분에 용접전류를 집중시켜 용접하는 방식의 용접법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롤러나 포일, 업셋 등 다른 방식의 용접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가스용접용 아세틸렌 가스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순수한 아세틸렌 가스는 무색 무취의 기체이다.
  2. 비중은 약 1.9정도로 공기보다 무겁다.
  3. 아세톤에 25배 용해된다.
  4. 산소와 적당히 혼합하여 연소시키면 약 3000℃ 열을 발생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비중은 약 1.9정도로 공기보다 무겁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아세틸렌 가스의 비중은 공기보다 가벼우며, 약 0.9 정도이다. 이는 아세틸렌 가스가 공기보다 높은 곳으로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용접 비드 배치법 중에서 아주 얇은 박판이나 용접 후의 비틀림을 방지하는데 가장 적합한 것은?

  1. 덧살올림법
  2. 케스케이드법
  3. 스킵법
  4. 전진 블록법
(정답률: 알수없음)
  • 스킵법은 용접 비드를 일정 간격으로 건너뛰어 배치하는 방법으로, 비드 간의 열팽창을 방지하여 얇은 박판이나 용접 후의 비틀림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법이 가장 적합합니다. 덧살올림법은 두 개 이상의 용접 비드를 겹쳐서 용접하는 방법으로, 박판이 두꺼울 때 사용합니다. 케스케이드법은 용접 비드를 계단식으로 배치하는 방법으로, 용접 후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전진 블록법은 용접 비드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는 방법으로, 대형 구조물에서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아크 전압 30V, 아크 전류 200A, 용접속도 10㎝/min으로 피복 아크 용접을 할 경우 발생하는 전기적 에너지는?

  1. 3600 J/㎝
  2. 36000 J/㎝
  3. 6000 J/㎝
  4. 60000 J/㎝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적 에너지는 전압과 전류, 용접속도에 비례한다. 따라서 전압과 전류, 용접속도를 곱한 값이 전기적 에너지가 된다.

    전기적 에너지 = 전압 × 전류 × 용접속도

    = 30V × 200A × 10㎝/min

    = 60,000 J/㎝

    따라서, 정답은 "60000 J/㎝"이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용접기의 무부하전압 100V, 아크전압이 40V, 아크전류가 300A 이고, 내부손실이 5kw이면 용접기의 효율과 역율은?

  1. 효율 70.6%, 역율 56.7%
  2. 효율 56.7%, 역율 70.6%
  3. 효율 53%, 역율 58.5%
  4. 효율 58.5%, 역율 53%
(정답률: 알수없음)
  • 용접기의 입력전력은 내부손실과 출력전력의 합이므로, 출력전력을 구해야 한다. 출력전력은 아크전압과 아크전류의 곱으로 구할 수 있다.

    아크전압과 아크전류를 곱하면 40V x 300A = 12000W 이다. 이때 내부손실인 5kW를 빼면, 실제 출력전력은 12000W - 5000W = 7000W 이다.

    따라서, 용접기의 효율은 출력전력 / 입력전력으로 구할 수 있다. 입력전력은 무부하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구할 수 있다. 무부하전압은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 전압이므로, 입력전력은 전류만 곱해도 된다.

    입력전력 = 전류 x 전압 = 300A x 100V = 30000W

    따라서, 용접기의 효율은 7000W / 30000W = 0.2333 = 23.33% 이다. 역율은 출력전력 / 유효전력으로 구할 수 있다. 유효전력은 입력전력과 역률의 곱으로 구할 수 있다.

    유효전력 = 입력전력 x 역률 = 30000W x 역률

    역률 = 출력전력 / 유효전력 = 7000W / (30000W x 역률) = 0.2333 / 역률

    역률 = 0.2333 / 0.56 = 0.4161 = 41.61%

    따라서, 용접기의 역율은 41.61% 이다. 이에 따라 정답은 "효율 70.6%, 역율 56.7%"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불황산가스 텅스텐 아크용접(TIG)에서 청정작용 설명으로 다음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텅스텐 전극에 의한 질화작용에 의하여 모재 표면의 산화막을 제거하는 작용
  2. 정극성에서는 전자가 모재에 빠르게 충돌하기 때문에 모재에 열을 발생시키는 작용
  3. 헬륨가스를 사용하는 정극성에서는 아크가 그 주변의 모재 표면에 산화막을 제거하는 작용
  4. 아르곤가스를 사용하는 역극성에서는 아크가 모재표면의 산화막을 제거하는 작용
(정답률: 알수없음)
  • 아르곤가스를 사용하는 역극성에서는 아크가 모재표면의 산화막을 제거하는 작용이다. 이는 아르곤가스가 아크 주변에서 모재 표면에 산화막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땜납재의 은납의 주성분은?

  1. 금, 은, 아연
  2. 은, 동, 아연
  3. 동, 은, 크롬
  4. 아연, 주석, 납
(정답률: 알수없음)
  • 땜납재는 금속을 녹여서 부품을 연결하는 공정에서 사용되는 재료입니다. 이 때, 땜납재의 주성분은 부식에 강한 은, 연성이 좋은 동, 부식 방지와 내식성이 뛰어난 아연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은, 동, 아연"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탄산가스 아크용접에서 뒤 댐 재료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세라믹 뒷 댐재
  2. 글라스 테이프
  3. 구리 뒷 댐재
  4. 석면 뒷 댐재
(정답률: 알수없음)
  • 석면은 열에 대한 저항성이 낮아서 탄산가스 아크용접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석면 뒷 댐재는 아크용접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