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감식평가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0-06-06)

화재감식평가기사
(2020-06-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화재조사론

1. 다음 중 A급 화재에서만 발생할 수 있는 위험현상으로 옳은 것은?

  1. 보일 오버(boil over)
  2. 슬롭 오버(slop over)
  3. 플레임 오버(flame over)
  4. 프로스 오버(froth over)
(정답률: 79%)
  • 정답: "플레임 오버(flame over)"

    플레임 오버는 A급 화재에서만 발생할 수 있는 위험현상으로, 불길이 상승하여 천장까지 닿아 공간 전체가 불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화재가 공간 내부에서 발생하고 공기가 충분히 공급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화재 발생 시 즉시 대처하여 공기 공급을 차단하고, 화재 진압을 위한 소화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가솔린의 연소범위(vol%)가 1.4~7.6일 때 위험도로 옳은 것은? (단, 소수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할 것)

  1. 0.8
  2. 1.2
  3. 4.4
  4. 6.4
(정답률: 72%)
  • 가솔린의 연소범위가 넓을수록 폭발 위험이 높아지므로, 연소범위가 좁을수록 안전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연소범위의 중앙값인 (1.4+7.6)/2 = 4.5를 기준으로, 이보다 낮은 4.4가 가장 안전한 값이라고 할 수 있다. (단, 소수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4.4로 표기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화재현장의 관찰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소실 붕괴된 부분에서는 복원적인 관점에서 관찰한다.
  2. 발화원인이 될 수 있는 가연물에 유의하여 조사한다.
  3. 건물 구조재 수용품 등의 소실 상황을 통하여 연소의 방향을 고려한다.
  4. 소손 및 탄화 정도가 강한 부분에서 약한 부분으로 이동하며 관찰한다.
(정답률: 80%)
  • 소손 및 탄화 정도가 강한 부분에서 약한 부분으로 이동하며 관찰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 아닐 수 있다. 이는 화재 현장에서 안전하지 않을 수 있으며, 화재 진압 작업에 방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안전한 위치에서 전체적인 상황을 파악하고, 필요한 부분을 선별하여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화재현장 출입금지구역의 범위를 확대하여야 할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1. 진화 후에 행방불명자를 확인한 경우
  2. 구조물 등이 광범위하게 소손되어 바닥에 연소 낙하물이나 퇴적물이 많이 쌓인 경우
  3. 건물 전체가 소손된 상황으로 연소 진행방향이 확인되지 않을 때
  4. 발화지점 부근의 목격상황에 대한 진술이 제각기 달라 발화지점이 불명확할 때
(정답률: 72%)
  • "진화 후에 행방불명자를 확인한 경우"가 옳지 않은 이유는 이미 화재 진압이 완료되어 화재 현장 출입금지구역이 해제되었기 때문에 더 이상 출입금지구역을 확대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소방기본법령상 화재조사전담부서에서 갖추어야 할 발굴 장비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동그라인더
  2. 슈미트해머
  3. 다용도 칼
  4. 빗자루
(정답률: 66%)
  • 슈미트해머는 발굴 작업에 사용되는 도구가 아니라, 금속 가공이나 새김 작업에 사용되는 도구이기 때문에 화재조사전담부서에서 갖추어야 할 발굴 장비로 옳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슈미트해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가연성 물질에 해당하는 것은?

  1. 아르곤
  2. 산화알루미늄
  3. 일산화탄소
  4. 헬륨
(정답률: 77%)
  • 일산화탄소는 공기 중에서도 가연성이 있는 물질로, 높은 농도에서는 폭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무색, 무취이며 인체에 유독하므로 환기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가연성 물질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상 건물의 동수 산정방법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목조 또는 내화조 건물이 격벽으로 방화구획되어 있는 경우 2개의 동으로 본다.
  2. 구조에 관계없이 지붕 및 실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것은 2개의 동으로 본다.
  3. 건물의 외벽을 이용하여 실을 만들어 헛간, 작업실 및 사무실 등의 용도로 사용하고 있는 것은 주건물과 1동으로 본다.
  4. 독립된 건물과 건물 사이에 차광막, 비막이 등의 덮개를 설치하고 그 밑을 통로 등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동일동으로 본다.
(정답률: 71%)
  • 건물의 외벽을 이용하여 실을 만들어 헛간, 작업실 및 사무실 등의 용도로 사용하고 있는 것은 주건물과 1동으로 본다. 이유는 외벽을 이용하여 만든 실이 주건물과 구분되지 않고 하나의 공간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폭발 위력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는 자료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편의 비행거리
  2. 무너진 벽의 종류와 구조
  3. 폭발 시점
  4. 폭심부의 크기 및 깊이
(정답률: 82%)
  • "폭발 시점"은 폭발이 일어난 시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폭발의 위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폭발 시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이산화탄소 소화약제의 주된 소화효과로 옳은 것은?

  1. 냉각효과
  2. 질식효과
  3. 부촉매효과
  4. 억제효과
(정답률: 81%)
  •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는 질식효과를 주된 소화효과로 가지고 있습니다. 이 약제는 화재 현장에서 이산화탄소를 방출하여 산소를 차단하고, 이로 인해 불꽃이 꺼지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질식효과는 화재 진압에 매우 효과적이며, 화재 현장에서의 인명 구조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화재현장에서 확보해야하는 화재현장의 관계자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화상을 입었거나 의류가 타버린 자
  2. 의류가 물에 젖어 있거나 오손되어 있는 자
  3. 현장부근에 말쑥한 정장차림의 구경하고 있는 자
  4. 가재도구를 집어 들고 있거나 물건을 반출하고 있는 자
(정답률: 85%)
  • 화재현장에서는 화재 진압 및 대피 등의 긴급한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현장부근에 말쑥한 정장차림의 구경하고 있는 자는 화재 진압 및 대피 작업에 방해가 될 수 있으며, 화재의 확산 등의 위험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확보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현장부근에 말쑥한 정장차림의 구경하고 있는 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발굴이 끝난 후의 화재 전 상황으로 복원하는 요령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형체가 소실되어 배치가 불가능한 것은 대용품을 사용하되, 대용품이라는 것이 인식되도록 한다.
  2. 관계인을 입회시켜 복원상황을 확인시킨다.
  3. 잔존물이 파손되지 않도록 잦은 위치이동은 하지 않는다.
  4. 불명확한 것은 예측을 통하여 복원한다.
(정답률: 83%)
  • 불명확한 것은 예측을 통하여 복원한다. - 이유를 최대한 간단명료하게 설명해줘.

    발굴이 끝난 후의 화재 전 상황을 복원하는 과정에서 형체가 소실되어 배치가 불가능한 것은 대용품을 사용하되, 대용품이라는 것이 인식되도록 하고, 관계인을 입회시켜 복원상황을 확인시키며, 잔존물이 파손되지 않도록 잦은 위치이동은 하지 않는다. 그러나 발굴 당시에는 파괴되지 않은 부분도 있을 수 있으며, 화재로 인해 소실된 것들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불명확한 것들은 예측을 통해 가능한 한 정확하게 복원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소방기본법령상 “화재조사전담부서의 설치, 운영 등”의 조항에 명시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화재조사자의 포상
  2. 화재조사자의 자격
  3. 화재조사전담부서장의 업무
  4. 화재조사에 필요한 장비 및 시설
(정답률: 83%)
  • 정답: "화재조사자의 포상"

    설명: 소방기본법령상 "화재조사전담부서의 설치, 운영 등"의 조항에는 화재조사자의 자격, 화재조사전담부서장의 업무, 화재조사에 필요한 장비 및 시설 등이 명시되어 있지만, 화재조사자의 포상에 대한 내용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화재조사자의 포상은 각 지자체나 소방서에서 별도로 정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화재플럼(Fire Plume)에 의해 수직벽면에 생성되는 패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V 패턴
  2. 모래시계 패턴
  3. 도넛형태 패턴
  4. U 패턴
(정답률: 79%)
  • 화재플럼에 의해 수직벽면에 생성되는 패턴 중 옳지 않은 것은 "도넛형태 패턴"입니다. 이유는 화재플럼은 일반적으로 V 패턴, 모래시계 패턴, U 패턴 등의 형태를 띄며, 도넛형태 패턴은 화재플럼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의 건물 구획실 화재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일반적으로 최성기의 구획실 화재 온도는 500~600℃까지 도달한다.
  2. 연기의 이동은 소화작용에서 발생하는 부력에 의존한다.
  3. 환기지배형 화재에서는 CO와 연기의 발생량이 많아진다.
  4. 대부분의 구획실과 건물은 최성기에서 연료지배형이 된다.
(정답률: 65%)
  • 환기지배형 화재에서는 공기의 유입으로 인해 연소 반응이 촉진되어 연기와 CO의 발생량이 많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화재 시 발생하는 박리 현상(spalling)의 원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콘크리트에 포함된 수분의 증발 및 팽창
  2. 철근 또는 철망 및 주변 콘크리트 간의 불균일한 수축
  3. 콘크리트 혼합물과 골재 간의 균일한 팽창
  4. 화재에 노출된 표면과 슬래브 내장재 간의 균일한 팽창
(정답률: 71%)
  • 화재 시 콘크리트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하면서 콘크리트 내부에서 압력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콘크리트 표면이 강하게 벗겨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를 박리 현상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콘크리트에 포함된 수분의 증발 및 팽창"이 박리 현상의 원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의 구획실 화재 성장단계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초기→플래시오버→쇠퇴기→최성기→자유연소 순으로 진행된다.
  2. 자유연소단계는 환기지배형 연소이며 복사열에 의해 확산된다.
  3. 플래시오버 현상은 최성기 전에 주로 발생한다.
  4. 최성기는 연료지배형 연소단계이며, 접염방식으로 확산된다.
(정답률: 79%)
  • 정답은 "플래시오버 현상은 최성기 전에 주로 발생한다." 이다.

    플래시오버 현상은 연소가 급격하게 확산되는 현상으로, 연소체 내부의 열과 가스 압력이 급격히 상승하여 연소체 외부로 불이 번지는 현상이다. 이는 초기 단계에서 연소체 내부의 열과 가스 압력이 충분히 쌓이기 전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플래시오버 현상은 초기 단계에서 주로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환기지배형 화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대부분 화재 초기에 발생한다.
  2. 연료공급에 좌우된다.
  3. 환기량이 크다.
  4. 불완전연소에 가깝다.
(정답률: 63%)
  • 환기지배형 화재는 환기량이 많아서 산소 공급이 충분하고 연료 공급이 부족하여 불완전연소에 가깝습니다. 이러한 화재는 대부분 초기에 발생하며 연료 공급에 따라 크기가 좌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목재 균열흔의 종류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소흔
  2. 열소흔
  3. 완소흔
  4. 강소흔
(정답률: 71%)
  • 고소흔은 목재가 건조하면서 발생하는 균열로, 목재의 섬유 방향과 수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옳지 않은 것은 "고소흔"이 아니라 다른 세 가지 종류인 "열소흔", "완소흔", "강소흔"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전도 열전달 형태와 관계되는 법칙으로 적합한 것은?

  1. 퓨리에(Fourier)의 법칙
  2. 플랭크(Planck)의 법칙
  3. 뉴튼(Newton)의 법칙
  4. 피크(Fick)의 법칙
(정답률: 68%)
  • 퓨리에의 법칙은 열전달 형태와 관계되는 법칙으로, 열전달량은 열전도계수, 면적, 온도차이에 비례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법칙이 가장 적합하다. 플랭크의 법칙은 빛의 방출과 관련된 법칙이고, 뉴튼의 법칙은 운동과 관련된 법칙이며, 피크의 법칙은 확산과 관련된 법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화재조사자가 유의해야 할 사항으로 옳은 것은?

  1. 관계자 또는 목격자의 진술에 근거하여 주관적 방법으로 접근한다.
  2. 정확한 화재조사를 위해서는 개인의 권리를 침해할 수도 있다.
  3. 조사결과에 대한 보안 유지와 언론보도에 신중해야 한다.
  4. 타 조사기관 상호간에는 비밀을 유지하여야 한다.
(정답률: 81%)
  • 조사결과에 대한 보안 유지와 언론보도에 신중해야 한다. 이유는 화재조사 결과는 법적인 문제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불필요한 정보공개로 인해 피해자나 가해자의 권리를 침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잘못된 정보가 유포될 경우 사회적인 혼란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신중한 대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화재감식론

21. 가스사고 형태별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폭발
  2. 질식
  3. 중독
  4. 재질 불량
(정답률: 82%)
  • 재질 불량은 가스사고의 형태가 아니라, 가스기기나 파이프 등의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결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가스사고 형태별 분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발화요인 분류 중 화학적 요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역화
  2. 혼촉발화
  3. 자연발화
  4. 금수성 물질이 물과 접촉
(정답률: 63%)
  • "역화"는 화학적 요인이 아닌, 기계적 요인에 해당된다. 역화는 마찰, 충격, 압력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화재로, 화학적 반응이나 열분해 등의 화학적 요인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전선의 소선 일부가 끊어져 발생하는 국부적인 저항치 증가 현상으로 나타나는 전기화재 현상에 해당하는 것은?

  1. 트래킹
  2. 아산화동
  3. 반단선
  4. 그래파이트
(정답률: 70%)
  • 전선의 일부가 끊어져 발생하는 국부적인 저항치 증가 현상은 반단선이라고 합니다. 이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두 지점 사이에서 전기가 흐르면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전기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인 "트래킹", "아산화동", "그래파이트"는 전기화재와는 관련이 있지만, 반단선과는 다른 원인과 현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방화에 사용되는 촉진제로 거리가 먼 것은?

  1. 아세톤
  2. 시너
  3. 톨루엔
  4. 수산화나트륨
(정답률: 69%)
  • 수산화나트륨은 고체 상태이며,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화학 물질입니다. 따라서 방화에 사용될 때 거리가 먼 것으로 선택되는 것입니다. 반면, 아세톤, 시너, 톨루엔은 액체나 기체 상태이며, 즉시 화염을 일으키기 때문에 거리가 가까운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플라스틱의 일반적인 연소특성으로 틀린 것은?

  1. 폴리염화비닐은 연소되면 염화수소 가스가 발생한다.
  2. 열가소성 플라스틱에는 아미노수지, 페놀수지, 에폭시수지 등이 있다.
  3. 플라스틱은 일반적으로 저분자 물질과 달리 온도에 따른 상변화가 명확하지 않다.
  4. 열경화성 플라스틱은 화염에 노출되면 표면이 고체 숯과 같이 되는 경향 때문에 내부로의 연소확대가 지연된다.
(정답률: 5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상대습도별 산불발생위험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상대습도가 60% 이상이면 산불이 매우 발생하기 쉽다.
  2. 상대습도가 40~50%면 산불이 발생하기 쉽고 연소 진행이 빠르다.
  3. 상대습도가 50~60%면 산불이 발생할 수 있으나 연소 진행이 느리다.
  4. 상대습도가 40% 이하면 산불 발생 시 진화가 곤란할 정도로 연소 진행이 빠르다.
(정답률: 73%)
  • "상대습도가 60% 이상이면 산불이 매우 발생하기 쉽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상대습도가 높을수록 공기 중의 수증기가 많아져 연소에 필요한 산소 농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산불 발생 위험이 낮아진다. 따라서, 상대습도가 낮을수록 산불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유연탄의 자연발화 위험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주변온도가 높을수록 산화반응이 촉진된다.
  2. 괴상은 분말상보다 자연발화를 일으키기 쉽다.
  3. 채탄 직후의 석탄은 자연발화의 위험이 크다.
  4. 자연발화는 저탄장 등에 대량으로 쌓아둔 곳에서 일어나기 쉽다.
(정답률: 69%)
  • "괴상은 분말상보다 자연발화를 일으키기 쉽다."가 틀린 것이다.

    유연탄의 자연발화 위험성은 산화반응과 관련이 있다. 주변온도가 높을수록 산화반응이 촉진되어 자연발화의 위험이 높아진다. 또한 채탄 직후의 석탄은 수분이 많아서 자연발화의 위험이 크다. 자연발화는 대량으로 쌓아둔 곳에서 일어나기 쉽다는 것도 맞다. 그러나 괴상과 분말상 중에서 자연발화를 일으키기 쉬운 것은 분말상이다. 괴상은 입자 크기가 크기 때문에 공기 중에 떠다니는 것보다는 자연발화의 위험이 낮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나무, 천, 종이 및 가구와 같은 가연성 물질의 화재 분류(class)는?

  1. Class A
  2. Class B
  3. Class C
  4. Class D
(정답률: 83%)
  • 가연성 물질의 화재 분류(class) 중 Class A는 일반적인 고체 물질인 나무, 천, 종이 및 가구와 같은 물질을 나타냅니다. 이는 이러한 물질이 일반적으로 산소와의 반응으로 인해 발화하며, 불꽃이 붙으면 불이 번지기 쉽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Class A 화재는 물을 이용한 소화가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소방관이 사용하는 물대포나 소화기 등으로 진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물질의 상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물의 증발잠열은 80cal/g이다.
  2. 분자는 액체 상태일 떄 가장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다.
  3. 온도 변화없이 상태 변화를 위해 필요한 열을 잠열이라 한다.
  4. 액체상태에서 열을 흡수하여 에너지가 증가하면 고체상태가 된다.
(정답률: 73%)
  • 온도 변화없이 상태 변화를 위해 필요한 열을 잠열이라 하는 이유는, 상태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분자들이 서로 다른 형태로 배열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분자들 간의 상호작용 에너지가 변화해야 하며, 이를 위한 열의 양이 잠열이 된다. 따라서, 상태 변화를 위한 열의 양은 온도 변화와는 무관하며, 상태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잠열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항공기의 열전대 화재경고장치(thermocouple fire warning system) 중 배선시스템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감지 회로(detector circuit)
  2. 알람 회로(alarm circuit)
  3. 단락 회로(short circuit)
  4. 시험 회로(test circuit)
(정답률: 61%)
  • 단락 회로는 구성요소가 아니라는 이유는, 단락 회로는 실제로 시스템의 일부가 아니라,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단락 회로란 전기 회로에서 전선이나 부품 등이 단락되어 전기가 흐르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단락 회로는 열전대 화재경고장치의 구성요소가 아니라,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차량 충전장치와 시동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충전장치는 교류발전기(alternator), 레귤레이터(regulator)로 구성되며, 시동장치에는 스타터가 있다.
  2. 정류기 내에 있는 다이오드가 과전류 등으로 인해 그 기능을 잃은 경우, 다이오드가 소실되는 경우가 있다.
  3. 챠콜 캐니스터의 보디(body)는 금속재가 많은 점에서 2차적으로 착화하여도 연소되지 않으므로 관찰이 용이하다.
  4. 배터리 단자는 납 또는 납 합금으로 되어있어 화재열로 용이하게 녹아버리므로, 화재감식 시 배터리배선 터미널부의 용융 등도 확인한다.
(정답률: 70%)
  • 정답은 "챠콜 캐니스터의 보디(body)는 금속재가 많은 점에서 2차적으로 착화하여도 연소되지 않으므로 관찰이 용이하다." 이다. 이유는 챠콜 캐니스터의 보디는 금속재가 많아서 연소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금속재가 적어서 연소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이 부분이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임황(林況)과 산불과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활엽수는 침엽수보다 산불위험성이 높다.
  2. 동령림은 이령림보다 산불위험성이 높다.
  3. 혼효림은 단순림보다 산불위험성이 높다.
  4. 수종별로 비교하면 음수는 양수보다 산불위험성이 높다.
(정답률: 50%)
  • 정답은 "동령림은 이령림보다 산불위험성이 높다." 이다. 이유는 동령림이 이령림보다 더 습기가 적고 건조하기 때문에 산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임황과 산불과의 관계에서는 지리적인 요인과 수종별 특성 등이 산불 발생 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표의 가스들을 위험도가 높은 물질부터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아세틸렌>산화에틸렌>이황화탄소>수소
  2. 아세틸렌>산화에틸렌>수소>이황화탄소
  3. 이황화탄소>아세틸렌>수소>산화에틸렌
  4. 이황화탄소>아세틸렌>산화에틸렌>수소
(정답률: 66%)
  • 이황화탄소는 유독성이 매우 높고 폭발성이 있으며, 산화에틸렌은 불안정하고 폭발성이 있지만, 아세틸렌은 더욱 불안정하고 폭발성이 높기 때문에 이황화탄소보다 위험도가 높다. 수소는 폭발성이 있지만, 다른 가스들에 비해 농도가 낮아 위험도가 낮다. 따라서 "아세틸렌>산화에틸렌>이황화탄소>수소"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유류성분 감정기구인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물질이 유사한 여러 성분의 혼합계 분리에 매우 유효하다.
  2. 현장조사 시 휴대 및 가스 포집이 간편하며 성분판별이 가능하다.
  3. 가스 상태로 분석하기 때문에 조작도 간단하고 시간도 빠르다.
  4. 각 성분을 검출하여 그 양을 전기적인 신호로 기록계에 저장하고 도형적으로 기록함으로써 분석결과가 객관적이다.
(정답률: 56%)
  •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의 장점 중 "물질이 유사한 여러 성분의 혼합계 분리에 매우 유효하다."는 옳은 설명이지만, "현장조사 시 휴대 및 가스 포집이 간편하며 성분판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아니다.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은 대개 실험실에서 수행되며, 현장에서는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 보기는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미소화원과 유염화원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유염화원이 무염화원보다 에너지량(열량)이 적다.
  2. 유염화원은 무염화원보다 연소 확대에 피요한 시간이 짧다.
  3. 유염화원은 가연물과 접촉 시 바로 착화할 가능성이 무염화원보다 적다.
  4. 무염화원의 연소흔적은 깊이 탄 것은 보이지 않으며 연소범위가 넓은 경향을 보인다.
(정답률: 64%)
  • 정답은 "유염화원은 무염화원보다 연소 확대에 필요한 시간이 짧다." 이다. 이유는 유염화원은 불꽃이나 열에 노출되면 즉시 연소되는 반면, 무염화원은 불꽃이나 열에 노출되어도 일정 시간이 지나야 연소가 시작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염화원은 불꽃이나 열에 노출되는 시간이 짧아도 연소가 확대되기 때문에 빠른 대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방화의 주요 동기가 아닌 것은?

  1. 실수
  2. 복수심
  3. 경제적 이익
  4. 범죄은폐
(정답률: 79%)
  • 실수는 방화의 주요 동기가 아닙니다. 방화는 의도적으로 불을 지르는 범죄 행위이며, 복수심, 경제적 이익, 범죄은폐 등이 주요 동기가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담뱃불 접촉에 의한 물질의 착화 가능성이 가장 낮은 것은?

  1. 톱밥류
  2. 마른 건초류
  3. 구겨진 신물지류
  4. 가솔린 증기
(정답률: 64%)
  • 가솔린 증기는 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어야만 착화가 가능하므로, 다른 물질들에 비해 착화 가능성이 낮습니다. 반면에 톱밥류, 마른 건초류, 구겨진 신물지류는 담뱃불 접촉만으로도 쉽게 착화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그림과 같은 3상 부하회로에 있어서 부하전류가 20A일 떄 부하의 선간전압 VLL은 얼마인가?

  1. 100
  2. 100√2
  3. 100√3
  4. 200
(정답률: 56%)
  • 3상 부하회로에서 선간전압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LL = √3 × VLN

    여기서 VLN은 단상 전압이다. 부하전류가 20A일 때, 단상 전류는 20A이다. 따라서, 단상 전압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VLN = IL × ZL

    여기서 ZL은 부하의 임피던스이다. 부하의 임피던스는 5Ω + j12Ω이므로,

    ZL = 5 + j12

    따라서,

    VLN = 20 × (5 + j12) = 100 + j240

    따라서,

    VLL = √3 × VLN = √3 × (100 + j240) = 100√3 + j200√3

    따라서, 정답은 "100√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차량 배터리의 내부에서 화원이 될 가능성이 있는 원인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외부 단자의 이완
  2. 과충전에 의한 과열
  3. 과충전에 의한 용단스파크불꽃
  4. 배터리 전해액 부족에 의한 내부 쇼트
(정답률: 66%)
  • 외부 단자의 이완은 차량 배터리 내부에서 화원이 될 가능성이 있는 원인에 속하지 않는 이유는, 외부 단자의 이완은 배터리 외부에서 발생하는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배터리 내부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은 배터리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학 반응에 의한 것이므로, 외부 단자의 이완과는 별개의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방화행위의 입증요소로 틀린 것은?

  1. 방화재료의 입수 경위가 밝혀져야 한다.
  2. 방화를 한 장소 및 소훼물이 있어야 한다.
  3. 방화의 수단과 방법이 실현가능하여야 한다.
  4. 방화의 수단이 가능한지 추상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정답률: 74%)
  • 방화의 수단이 가능한지 추상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는 것은, 방화가 가능한지 이론적으로 가능한지 검토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불을 붙이기 위해 필요한 온도, 산소 등의 조건이 충족되어야 방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추상적으로 검토해야 합니다. 이는 방화의 실제 발생 여부와는 별개로, 방화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방화의 수단이 가능한지 추상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는 것이 방화행위의 입증요소로 틀린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증거물관리 및 법과학

41. 관계자에게 질문할 경우 유의해야 하는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질문자는 자기신분을 밝힌다.
  2. 피질문자에 대한 선입견을 배제한다.
  3. 관계자에는 초기소화자, 피난자, 출동한 소방관도 포함된다.
  4. 실체적 진실을 밝히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유도질문이나 상대방의 감정을 도발하는 질문기법도 필요하다.
(정답률: 76%)
  • "질문자는 자기신분을 밝힌다."는 틀린 내용입니다. 질문자는 자신의 신분을 밝히지 않아도 됩니다.

    "실체적 진실을 밝히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유도질문이나 상대방의 감정을 도발하는 질문기법도 필요하다."는 올바른 내용입니다. 이는 관계자가 말하지 않을 수 있는 정보를 얻기 위해 유도질문이 필요하며, 상대방의 감정을 도발하여 진실을 파악할 수 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비디오카메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목격자, 소유자 거주인, 혐의자와의 면담에서 사용할 수 있다.
  2. 비디오카메라의 장점은 보는 각도를 점차 이동하며 화재현장을 나타내는 것이다.
  3. 주밍-인(zooming-in)이나 과장확대기법을 적극적으로 사용한다.
  4. 가장 큰 장점으로 점진적으로 시각의 움직임에 의해 화재현장을 보여주는 능력이 있다.
(정답률: 69%)
  • "주밍-인(zooming-in)이나 과장확대기법을 적극적으로 사용한다."가 틀린 것이다. 비디오카메라는 주밍-인이나 과장확대기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것이 적극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 기법은 필요에 따라 사용되며, 적절한 사용이 중요하다.

    주밍-인(zooming-in)이나 과장확대기법을 사용하는 이유는 보다 세부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어, 화재현장에서는 화재의 발생 위치나 화재의 규모 등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연소범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온도가 높아질수록 연소범위는 좁아진다.
  2. 고온ㆍ고압의 경우 연소범위는 더욱 넓어진다.
  3. 압력이 높아지면 하한값은 크게 변하지 않으나 상한값은 높아진다.
  4. 혼합기를 이루는 공기의 산소농도가 높을수록 연소범위는 넓어진다.
(정답률: 70%)
  • "고온ㆍ고압의 경우 연소범위는 더욱 넓어진다."가 틀린 것이다.

    온도가 높아질수록 연소가 빠르게 일어나므로 연소범위는 좁아진다. 고온ㆍ고압의 경우에는 연소가 더욱 활발하게 일어나므로 상한값은 높아지지만 하한값은 크게 변하지 않는다. 또한 혼합기를 이루는 공기의 산소농도가 높을수록 연소범위는 넓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가스크로마토그래피(GC) 분석을 위한 용매추출법 중 잔류물을 추출하기 위한 용액으로 틀린 것은?

  1. 크실렌
  2. η-펜탄
  3. 이황화탄소
  4. η-헥산
(정답률: 47%)
  • 정답: 이황화탄소

    이유: 이황화탄소는 GC 분석에서 사용되는 용매 중 하나가 아닙니다. 대신, 크실렌, η-펜탄, η-헥산은 모두 GC 분석에서 잔류물을 추출하기 위한 용액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화재사 또는 흡연과 관련된 CO-Hb의 농도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일반적으로 비흡연자의 CO-Hb 농도는 0.01%이다.
  2. 40% 이상의 CO-Hb 농도는 CO자체만으로 사망할 수 있는 수치이다.
  3. 일반적으로 하루 두갑 이상 흡연하는 사람의 CO-Hb 농도는 3~8%이다.
  4. 40%이하의 CO-Hb 농도는 산소 부족, 심정지 또는 열화상으로 사망할 수 있다.
(정답률: 5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냉온수기 자동온도 조절장치에서 절연체의 오염에 의한 트래킹 화재가 발생한 경우 수거하여야 할 증거물로 맞는 것은?

  1. 응축기
  2. 시즈히터
  3. 압축기
  4. 서모스탯
(정답률: 73%)
  • 서모스탯은 냉온수기 자동온도 조절장치에서 온도를 감지하고 제어하는 장치로, 오염에 의한 트래킹 화재가 발생한 경우 이 장치가 손상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수거하여야 할 증거물로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화재현장 사진촬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현장사진은 자료 확보를 위하여 충분하게 촬영한다.
  2. 연소 및 탄화된 형태를 조사자 시각에서 객관화하여 촬영한다.
  3. 발화건물 내부 촬영 시 소실된 부분을 국부적으로 촬영한다.
  4. 불필요한 피사체(인물 등) 촬영 금지, 접사 촬영 시 배경막 설치 후 촬영한다.
(정답률: 71%)
  • "발화건물 내부 촬영 시 소실된 부분을 국부적으로 촬영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발화건물 내부 촬영 시 소실된 부분을 국부적으로 촬영하는 것은 오히려 전체적인 화재 현황을 파악하는 데에는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대신에 전체적인 화재 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넓은 범위에서 촬영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화재증거물 사진의 촬영 및 유의사항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화재증거물은 오물을 제거하고 나서 찍는다.
  2. 접사로 촬영하는 경우 셔터스피드를 이용해 피사계 심도를 조절한다.
  3. 접사 촬영이 필요할 경우 매크로렌즈(접사용) 및 링스트로보 등을 활용한다.
  4. 피사계 심도는 어느 정해진 시간 동안에 초점이 맞는 가장 멀리 있는 사물과 가장 가까이 있는 사물의 거리이다.
(정답률: 34%)
  • "접사로 촬영하는 경우 셔터스피드를 이용해 피사계 심도를 조절한다."가 틀린 것이다. 접사 촬영 시에는 조리개 값을 조절하여 피사계 심도를 조절한다. 셔터스피드는 노출 시간을 조절하는 것으로, 피사계 심도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물리적 증거물의 감정 및 시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발화 지점, 화재 특정 원인, 화재 확산에 기여한 요인 판별
  2. 물리적 증거물의 화학 조성을 확인하기 위한 감정 및 시험
  3. 물리적 증거물의 작동이나 오작동 또는 고장을 판단하기 위하여 설계가 충분한지 여부를 판별
  4. 실험실이나 다른 시험기관이 수행할 수 있는 특정 실험방법 및 제한사항에 관계없이 공정성을 위해 화재조사관 단독으로 감정 및 시험 실시
(정답률: 74%)
  • "물리적 증거물의 화학 조성을 확인하기 위한 감정 및 시험"은 틀린 설명입니다. 물리적 증거물의 화학 조성을 확인하기 위한 감정 및 시험은 화학적 증거물의 감정 및 시험에 해당합니다. 화재조사관은 발화 지점, 화재 특정 원인, 화재 확산에 기여한 요인 판별, 물리적 증거물의 작동이나 오작동 또는 고장을 판단하기 위하여 설계가 충분한지 여부를 판별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며, 실험실이나 다른 시험기관이 수행할 수 있는 특정 실험방법 및 제한사항에 관계없이 공정성을 위해 화재조사관 단독으로 감정 및 시험을 실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화상의 위험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1. 심도(沈度)
  2. 온도(溫度)
  3. 질병(疾病)
  4. 범위(範圍)
(정답률: 62%)
  • 화상의 위험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화상을 입은 부위의 범위(範圍)입니다. 화상 부위가 넓을수록 심각한 상처와 출혈, 감염 등의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화상을 입은 부위의 범위를 최대한 작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화재 증거물의 수송으로 권장할 만한 가장 적절한 방법은?

  1. 직접운반
  2. 제3자 전달
  3. 우편배송
  4. 화물로의 배송
(정답률: 78%)
  • 화재 증거물은 매우 중요한 증거이기 때문에 안전하게 운반되어야 합니다. 이 때, 직접운반은 적절한 방법입니다. 왜냐하면 직접운반은 증거물이 손상되거나 분실될 위험이 적기 때문입니다. 제3자 전달이나 우편배송은 증거물이 중간에 누락되거나 손상될 가능성이 있으며, 화물로의 배송은 증거물이 다른 화물과 함께 운반되어 손상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전기기기 또는 구성품에 대한 증거물 수집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전기적 증거물이 발견된 상태를 가능한 한 그대로 보존해야 한다.
  2. 제품 내 전기적 특이점이 발견된다면 해당 부분만 수거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3. 일부 남은 전선 피복을 검사 할 수 있도록 가능한 전선을 길게 수집해야 한다.
  4. 전기기기를 전체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제자리에 안전하게 놓는 것이 좋다.
(정답률: 71%)
  • "제품 내 전기적 특이점이 발견된다면 해당 부분만 수거하는 것이 효과적이다."가 틀린 것이다. 전기적 특이점이 발견된 부분만 수거하면 전체적인 상황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전체적인 증거물을 수집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화재증거물수집관리규칙에 포함되는 내용이 아닌 것은?

  1. 증거물의 포장
  2. 증거물 감정 절차
  3. 증거물의 상황기록
  4. 초상권 및 개인정보 보호
(정답률: 30%)
  • 증거물 감정 절차는 화재증거물수집관리규칙에 포함되는 내용이 아닙니다. 증거물 감정 절차는 증거물의 진위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는 과정으로, 증거물의 외관, 크기, 무게, 색상 등을 확인하고 측정하여 기록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증거물의 진위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사나 재판에서 증거로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화재증거물수집관리규칙상 현장사진 및 비디오 촬영 시 유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최초 도착하였을 때의 원상태를 그대로 촬영하고 진압 순서에 따라 촬영
  2. 현장사진 및 비디오 촬영할 때에는 연소확대 경로 및 증거물 기록에 대한 번호표와 화살표를 표시 후에 촬영
  3. 증거물을 촬영할 때에는 그 소재와 상태가 명백히 나타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구분이 용이하게 번호표 등을 넣어 촬영
  4. 화재현장의 특정한 증거물 등을 촬영함에 있어서는 그 길이, 폭 등을 명백히 하기 위하여 측정용 자 또는 대조 도구를 사용하여 촬영
(정답률: 65%)
  • "증거물을 촬영할 때에는 그 소재와 상태가 명백히 나타나도록 하며, 필요에 따라 구분이 용이하게 번호표 등을 넣어 촬영"이 틀린 것이다.

    최초 도착하였을 때의 원상태를 그대로 촬영하는 이유는, 화재 현장은 진압 과정에서 많은 변화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최초 도착 시의 상황을 정확히 기록해두어야 한다. 이후 진압 순서에 따라 촬영하여, 화재 발생 경위와 증거물의 위치 등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현장사진 및 비디오 촬영할 때에는 연소확대 경로 및 증거물 기록에 대한 번호표와 화살표를 표시 후에 촬영하며, 증거물 등을 촬영할 때에는 그 소재와 상태가 명백히 나타나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구분이 용이하게 번호표 등을 넣어 촬영한다. 또한, 특정한 증거물 등을 촬영할 때에는 그 길이, 폭 등을 명백히 하기 위하여 측정용 자 또는 대조 도구를 사용하여 촬영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열에 의한 재성형이 불가능한 합성 고분자 화합물의 종류로 맞는 것은?

  1. 테프론
  2. 폴리에틸렌
  3. 멜라민수지
  4.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정답률: 55%)
  • 멜라민수지는 열에 대한 안정성이 높아서 재성형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주로 접착제, 코팅제, 표면처리제 등으로 사용됩니다. 반면에 테프론과 폴리에틸렌은 열에 강하고 재성형이 가능한 고분자 화합물입니다.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은 열에 대한 안정성이 있지만, 재성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화재현장에서 수집된 증거물의 오염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물리적 증거물 대부분의 오염은 운반하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2. 증거물 보관용기는 오염지역에서 떨어진 곳에 보관하여야 한다.
  3. 증거물의 오염방지를 위하여 화재조사관의 맨손으로 직접 수집하는 것이 원칙이다.
  4. 증거물 용기는 개봉상태로 유지하며, 실험실에서 조사를 마친 후 봉인되어야 한다.
(정답률: 67%)
  • 증거물 보관용기는 오염지역에서 떨어진 곳에 보관하여야 한다. 이유는 물리적 증거물 대부분의 오염은 운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염지역과는 떨어진 곳에서 보관함으로써 증거물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증거물 수집용기 중 유리병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휘발성 액체의 증발을 방지한다.
  2. 내부의 증거물 확인이 용이하다.
  3. 장기 저장 시 증거물의 악화를 줄여 준다.
  4. 크기가 다양하여 많은 양을 저장할 수 있따.
(정답률: 62%)
  • 유리병의 크기가 다양하여 많은 양을 저장할 수 있다는 것은 유리병의 장점이 아닌 것입니다. 이는 단순히 유리병의 특징일 뿐, 다른 증거물 수집용기들도 크기가 다양하여 많은 양을 저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리병의 장점은 "휘발성 액체의 증발을 방지한다.", "내부의 증거물 확인이 용이하다.", "장기 저장 시 증거물의 악화를 줄여 준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일반적인 방화 현장에서 나타나는 패턴이 아닌 것은?

  1. U형 패턴
  2. 독립연소 패턴
  3. 포어(pour) 패턴
  4. 트레일러(trailer) 패턴
(정답률: 48%)
  • "U형 패턴"은 일반적인 방화 현장에서 나타나지 않는 패턴이다. 다른 보기들은 실제로 방화 현장에서 발견되는 패턴들이지만, "U형 패턴"은 일반적으로 발견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화재현장의 증거물 시료 채취 시 유의사항으로 아닌 것은?

  1. 가급적 증거물 전체를 수집 또는 채취
  2. 동일한 물질이 있었을 때는 채취하지 않고 내용만 기술
  3. 감정의뢰서에 증거물을 수집, 채취한 경과와 사건개요를 기술
  4. 채취된 증거물의 물질이 상이할 때에는 서로 섞이지 않도록 분리하여 채취, 보관
(정답률: 78%)
  • "동일한 물질이 있었을 때는 채취하지 않고 내용만 기술"은 유의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오히려 증거물을 채취할 때 반드시 해야하는 사항입니다. 동일한 물질이 있을 경우, 증거물을 채취하면서 혼합되어 원래의 증거물과 다른 성질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증거물의 내용을 기술하고 해당 증거물을 채취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화재 당시 살아있었음을 나타내는 생활반응으로 맞는 것은?

  1. 시반이 없다.
  2. 머리가 그을렸다.
  3. 기도에 매연이 부착되었다.
  4. 피부가 진피까지 탄화되었다.
(정답률: 75%)
  • 화재 당시 매연이 발생하여 기도에 매연이 부착되었다는 것은 호흡기에 유해한 물질이 들어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생존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화재조사보고 및 피해평가

61. 다음은 주택화재 현장에 출동한 화재조사관이 조사한 내용이다. 해당 화재조사관이 국가화재정보시스템 유형별 조사서 중 시설용도 항목에 입력한 사항으로 맞는 것은?

  1. 시설용도: 주거시설-단독주택-다세대주택
  2. 시설용도: 주거시설-공동주택-연립주택
  3. 시설용도: 주거시설-기타주택-다세대주택
  4. 시설용도: 주거시설-도시형주택-연립주택
(정답률: 54%)
  • 이 사례는 여러 가구가 함께 거주하는 연립주택이기 때문에 "시설용도: 주거시설-공동주택-연립주택"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건물의 일부를 개수 또는 보수한 경우에 있어서의 경과연수의 산정 기준 적용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재설치비의 50%미만 개ㆍ보수한 경우 : 최초 설치연도 기준
  2. 재설치비의 50%이상 개ㆍ보수한 경우 : 최초 설치연도 기준
  3. 재설치비의 80%이상 개ㆍ보수한 경우 : 개ㆍ보수한 때를 기준으로 하여 경과연수를 산정
  4. 재설치비의 50~80% 미만을 각각 개ㆍ보수한 경우 : 최초 설치연도를 기준으로 한 경과연수와 개ㆍ보수한 때를 기준으로 한 경과연수를 합산하고 평균하여 경과연수를 산정
(정답률: 59%)
  • "재설치비의 50%이상 개ㆍ보수한 경우 : 최초 설치연도 기준"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재설치비의 50% 이상을 개수 또는 보수한 경우에는 해당 부분이 실질적으로 새로운 건물 부분으로 대체되기 때문에 최초 설치연도 기준으로 경과연수를 산정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재고자산의 상품 중 견본품, 전시품, 진열품에 대한 화재피해액 산정 시 우선 적용사항으로 맞는 것은?

  1. 시장거래가격으로 산정한다.
  2. 구입가의 50%로 일괄 산정한다.
  3. 구입가의 50~80%를 피해액으로 한다.
  4. 구입가에 감가수정한 가격으로 산정한다.
(정답률: 50%)
  • 정답은 "구입가의 50~80%를 피해액으로 한다." 이다.

    견본품, 전시품, 진열품은 일반적으로 판매를 목적으로 하지 않고, 고객에게 제품을 소개하거나 시연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품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품들은 구입가가 시장거래가격보다 높을 수 있으며, 또한 각각의 상품마다 구입가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품들의 화재피해액은 구입가를 기준으로 산정하며, 구입가의 50~80%를 피해액으로 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해당 상품의 실제 가치를 고려한 적정한 보상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 상 화재건수를 결정할 때 1건의 화재 결정으로 틀린 것은?

  1. 동일 대상물에서 발화점이 2개소이며, 누전점이 동일한 화재
  2. 동일 대상물에서 발화점이 3개소로서 낙뢰에 의한 다발화재
  3. 동일 대상물에서 발화점이 4개소로서 지진에 의한 다발화재
  4. 각기 다른 사람에 의한 방화나 불장난으로 동일 대상물에서 발화한 화재
(정답률: 72%)
  • 각기 다른 사람에 의한 방화나 불장난으로 동일 대상물에서 발화한 화재는 하나의 발화점에서 발생한 것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화재건수를 1건으로 결정할 수 없다. 이는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발화점이 여러 개인 경우가 아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재고자산의 화재 피해액 산정에 관한 사항으로 맞는 것은?

  1. 판매 및 일반관리비의 미실현 이익 내지 미실현 비용을 포함한다.
  2. 재고자산 중 반제품은 구입 후 사용하지 않고 보관중인 소모품을 의미한다.
  3. 재고자산은 구입비용 자체가 피해액이 되므로 감가공제는 하지 않는다.
  4. 재고자산의 구입비에는 운반비 등 구입경비와 판매비용은 포함하지 않는다.
(정답률: 39%)
  • 재고자산은 이미 구입한 상품이나 원자재 등으로 구입비용 자체가 피해액이 되므로 감가공제를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재고자산의 화재 피해액 산정 시 구입비용을 그대로 적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화재발생종합보고서 작성 시 질문기록서 작성을 생략할 수 있는 대상으로 맞는 것은?

  1. 선박 화재
  2. 자동차 화재
  3. 건축ㆍ구조물 화재
  4. 전봇대 화재
(정답률: 72%)
  • 전봇대 화재는 일반적으로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고, 주변 건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질문기록서 작성을 생략할 수 있는 대상으로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 상 화재피해액 산정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차량은 전부손해의 경우 시중매매가격으로 한다.
  2. 임야의 입목은 전부손해의 경우 감정가격으로 한다.
  3. 미술공예품은 전부손해의 경우 감정가격으로 한다.
  4. 기타피해 물품은 피해당시의 현재가를 재구입비로 하여 피해액을 산정한다.
(정답률: 51%)
  • 정답은 "임야의 입목은 전부손해의 경우 감정가격으로 한다." 이다.

    임야의 입목은 전부손해의 경우에도 감정가격이 아닌 재산평가원이 공고한 입목평가표를 참고하여 입목의 종류, 수량, 직경 등을 고려하여 산정한다. 이는 임야의 입목이 감정가격보다는 입목평가표를 참고하여 산정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화재현황조사서에 명시된 발화요인으로 맞는 것은?

  1. 불꽃, 불티
  2. 작동기기
  3. 담뱃불, 라이터불
  4. 교통사고
(정답률: 54%)
  • 교통사고는 차량 충돌이나 엔진 고장 등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차량 충돌로 인해 연료가 유출되어 불이 붙거나, 엔진 고장으로 인해 전기 시스템이 과열되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화재현황조사서에 교통사고가 발화요인으로 명시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화재범위가 2이상의 관할구역에 걸친 화재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출동하여 진압한 소방서에서 1건의 화재로 한다.
  2. 관할 소방서장과 출동한 소방서장과 협의하여 정한다.
  3. 발화 소방대상물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소방서에서 1건의 화재로 한다.
  4. 발화 소방대상물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소방서와 출동한 소방서에서 각각 1건의 화재로 한다.
(정답률: 69%)
  • 화재가 발생한 곳의 소방서에서 1건의 화재로 한 이유는 해당 지역의 소방서가 가장 먼저 출동하여 진압하고 대응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해당 지역의 소방서에서 화재를 1건으로 처리하고, 다른 지역의 소방서와 협력하여 대응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화재 현장조사서에 첨부할 도면의 작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도면작성에 있어서는 방의 배치와 출입구, 개구부의 상황을 위주로 한다.
  2. 거리측정은 기둥의 중심에서 다른 기둥의 중심까지로 기준점을 통일한다.
  3. 도면(평면도, 입체도)은 측정치를 기준으로 하여 축척에 맞춰서 작성한다.
  4. 화재조사관은 화재현장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화재의 유형과 규모에 관계없이 3차원 형식의 도면을 반드시 작성하여야 한다.
(정답률: 74%)
  • "화재조사관은 화재현장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화재의 유형과 규모에 관계없이 3차원 형식의 도면을 반드시 작성하여야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화재의 유형과 규모에 따라 3차원 형식의 도면을 작성할 필요는 없습니다. 도면 작성은 화재 현장의 상황에 맞게 적절한 방식으로 작성하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화재조사서류 중 화재발생종합보고서의 보존기간으로 맞는 것은?

  1. 5년
  2. 10년
  3. 영구
  4. 준영구
(정답률: 74%)
  • 화재발생종합보고서는 화재 발생 시 중요한 증거 자료로 화재 원인과 경위 등을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중요한 자료를 보존기간이 짧다면 추후에 필요한 경우에 활용할 수 없게 됩니다. 따라서 화재발생종합보고서는 영구적으로 보존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화재피해액 산정에 있어 상당부분 교체 내지 수리가 필요한 경우의 손해율로 맞는 것은?

  1. 20%
  2. 40%
  3. 60%
  4. 80%
(정답률: 44%)
  • 화재피해액 산정에서 교체 내지 수리가 필요한 경우의 손해율은 일반적으로 60%로 산정됩니다. 이는 보험회사가 보상을 지급할 때, 피보험자가 실제로 지불한 비용의 60%를 보상해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유는 보험회사가 피보험자가 지불한 비용 중 일부를 공제하여 보상을 지급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화재피해액 산정 시 교체 내지 수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60%의 손해율을 적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화재현장조사서 작성 시 유의사항 중 틀린 것은?

  1. 관계자 진술은 주관적인 것이므로 기재하지 않는다.
  2. 필요한 경우 예상되는 사항 및 관련 조치사항 등도 기록할 수 있다.
  3. 발화지점 및 화재원인 판정은 객관적인 증거자료(사진, 기타서류 등)를 첨부할 수 있다.
  4. 필요한 경우 감식ㆍ감정 결과통지서, 전기배선도, 연구자료, 재현실험 결과, 참고문헌 등 참고자료를 첨부할 수 있다.
(정답률: 72%)
  • "관계자 진술은 주관적인 것이므로 기재하지 않는다."가 틀린 것이다. 화재현장조사서 작성 시에는 관계자 진술도 중요한 자료이므로 기재해야 한다. 다만, 관계자 진술은 주관적인 내용이 많기 때문에 객관적인 증거자료와 함께 기재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지은지 10년된 아파트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100m2가 소실되었다. 화재피해액은 약 얼마인가? (단, 내용연수 50년, 신축단가 670천원/m2, 손해율 40%이다.)

  1. 21862천원
  2. 22512천원
  3. 26661천원
  4. 28891천원
(정답률: 53%)
  • 화재피해액 = 소실면적 × 신축단가 × (1-손해율) × (남은 연수/내용 연수)

    여기에 값을 대입하면,

    화재피해액 = 100 × 670,000 × (1-0.4) × (50/50) = 22512천원

    따라서 정답은 "22512천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화재발생종합보고서에서 화재 발생 시 모든 경우에 작성되어야 할 조사서는?

  1. 화재현황조사서
  2. 화재유형별조사서
  3. 방화ㆍ방화의심조사서
  4. 화재피해(인명ㆍ재산)조사서
(정답률: 70%)
  • 화재현황조사서는 화재 발생 시 모든 경우에 작성되어야 할 조사서입니다. 이는 화재 발생 현장의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화재 원인과 확산 경로 등을 분석하기 위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화재발생종합보고서에서는 반드시 화재현황조사서가 작성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화재피해액 산정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최종잔가율은 건물, 부대설비, 가재도구의 경우 20%, 기타의 경우 10%로 한다.
  2. 화재피해액을 산정하기 위한 피해면적은 화재피해를 입은 건물의 바닥면적을 말한다.
  3. 화재로 인한 건물의 피해액은 화재피해 대상 건물과 동일한 구조, 용도, 질, 규모의 건물 재건축비에서 손해율을 곱한 금액이 된다.
  4. 간이평가방식에 의한 부대설비의 피해액 산정에 있어 전등 및 전열설비 등 기본적 전기설비만 설치되어 있어도 별도로 부대시설 피해액을 산정한다.
(정답률: 51%)
  • 최종잔가율은 건물, 부대설비, 가재도구의 경우 20%, 기타의 경우 10%로 한 이유는, 건물, 부대설비, 가재도구는 화재로 인한 피해가 크기 때문에 더 많은 보상이 필요하고, 기타 항목은 상대적으로 피해가 적기 때문에 적은 보상을 지급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상 화재로 인한 재산피해의 범위가 아닌 것은?

  1. 연기에 의한 그을음 피해
  2. 화재로 인한 영업손실의 피해
  3. 소화활동으로 발생한 수손피해
  4. 열에 의한 탄화, 용융, 파손 피해
(정답률: 76%)
  • 화재로 인한 영업손실은 보험 계약서에서 명시적으로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보험회사는 화재로 인한 실제 물적 손해만 보상하며, 영업손실은 보상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화재피해액 산정 시 중고로 구입한 기계장치 및 집기비품으로서 그 제작년도를 알 수 없을 경우 그 상태에 따라 신품가액 대비 잔가율로 정할 수 있는 비율은?

  1. 30% 내지 50%
  2. 30% 내지 60%
  3. 20% 내지 50%
  4. 20% 내지 60%
(정답률: 45%)
  • 중고 기계장치나 집기비품의 제작년도를 알 수 없을 경우, 그 상태에 따라 신품가액 대비 잔가율로 산정할 수 있습니다. 이때, 잔가율은 일반적으로 30%에서 50% 사이로 정해집니다. 이유는 중고 제품의 상태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입니다. 상태가 좋은 제품은 50%에 가까운 잔가율을 적용할 수 있지만, 상태가 나쁜 제품은 30%에 가까운 잔가율을 적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잔가율은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30%에서 50% 사이로 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화재현장 출동보고서의 기재항목이 아닌 것은?

  1. 발화지점 판정
  2. 출동대원 및 응답자
  3. 현장도착시 발견사항
  4. 도착하여 처음 실행한 일의 지점 및 유형
(정답률: 68%)
  • "발화지점 판정"은 화재현장 출동보고서에 기재되는 항목이 아니며, 이는 화재 조사 단계에서 수행되는 작업이다. 화재 조사 단계에서는 화재 발생 원인과 발화 지점을 판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화재 예방 및 대응 방안을 마련하게 된다. 따라서 화재현장 출동보고서에는 "출동대원 및 응답자", "현장도착시 발견사항", "도착하여 처음 실행한 일의 지점 및 유형" 등이 기재되며, 이는 화재 발생 시 대응 과정에서 기록되는 사항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화재현장조사서 작성 시 화재원인 검토와 관련된 내용 중 필수 검토항목이 아닌 것은?

  1. 방화 가능성
  2. 전기적 요인
  3. 인적 부주의
  4. 관련 조치사항
(정답률: 70%)
  • 화재원인 검토와 관련된 내용 중 필수 검토항목은 "방화 가능성", "전기적 요인", "인적 부주의"이다. 이들은 화재 발생 원인을 파악하고 예방하기 위해 반드시 검토되어야 하는 중요한 사항들이다. 반면에 "관련 조치사항"은 화재 발생 후에 필요한 대처나 예방 조치 등을 포함하는 내용으로, 화재원인 검토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관련 조치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화재조사관계법규

81. 소방기본법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화재조사 전담부서의 장이 소속 소방공무원 가운데 소방청장이 실시하는 화재조사에 관한 시험에 합격한 자가 없는 경우, 화재조사를 실시하게 할 수 있는 소방공무원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소방교육기관에서 10주 이상 화재조사에 관한 전문교육을 이수한 자
  2.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서 10주 이상 화재조사에 관한 전문교욱을 이수한 자
  3. 외국의 화재조사 관련 기관에서 10주 이상 화재조사에 관한 전문교육을 이수한 자
  4.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건축ㆍ위험물ㆍ전기ㆍ안전관리(가스ㆍ소방ㆍ소방설비ㆍ전기안전ㆍ화재감식평가 종목에 한한다)분야 산업기사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자
(정답률: 67%)
  •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건축ㆍ위험물ㆍ전기ㆍ안전관리 분야 산업기사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자가 화재조사를 실시할 수 있는 소방공무원의 기준이다. 이는 해당 분야에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화재조사에 필요한 역량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방기본법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화재조사 전담부서의 장이 소속 소방공무원 가운데 소방청장이 실시하는 화재조사에 관한 시험에 합격한 자가 없는 경우, 해당 분야 산업기사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소방공무원이 화재조사를 실시할 수 있는 기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상 조사본부의 설치운영에 관한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조사본부장은 화재조사 업무를 관장하는 과장으로 핟나.
  2. 조사관은 소방본부 및 소방서의 화재조사업무를 담당한다.
  3. 조사본부장은 조사종류 후 7일 이내에 예외 없이 조사내용을 발표해야 한다.
  4. 본부장 또는 서장은 조사본부의 기능이 완료되었을 경우 이를 해체한다.
(정답률: 70%)
  • "본부장 또는 서장은 조사본부의 기능이 완료되었을 경우 이를 해체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조사본부는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에 따라 설치되며, 조사가 필요한 경우에는 언제든지 재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조사본부의 기능이 완료되었다고 해체하는 것은 옳지 않다.

    조사본부장은 조사종류 후 7일 이내에 예외 없이 조사내용을 발표해야 하는 이유는 조사결과를 빠르게 공개하여 화재의 원인을 파악하고 예방에 이용하기 위함이다. 또한, 조사결과를 공개함으로써 시민들의 안전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화재 예방에 대한 노력을 촉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소방기본법령상 화재조사 전담부서의 장이 관장하는 업무가 아닌 것은?

  1. 화재조사의 발전과 조사요원의 능력향상에 관한 사항
  2. 화재조사를 위한 장비의 관리운영에 관한 사항
  3. 화재조사의 총괄ㆍ조정
  4. 화재조사에 관한 시험의 응시자격 결정
(정답률: 67%)
  • 화재조사 전담부서의 장이 관장하는 업무 중 "화재조사에 관한 시험의 응시자격 결정"은 해당 부서의 업무가 아닙니다. 이는 화재조사에 대한 능력과 경험을 갖춘 사람들이 시험을 통해 자격을 증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화재조사에 참여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업무입니다. 따라서 이 업무는 화재조사 전담부서가 아닌, 관련 법령을 담당하는 기관이나 담당자가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화재로 인한 손해의 배상의무자가 법원에 손해배상액의 경감을 청구할 수 있는 경우로 옳은 것은?

  1. 고의에 인한 화재인 경우
  2. 중대한 과실로 인한 실화인 경우
  3. 경미한 과실로 인한 실화인 경우
  4. 악의적인 방화로 인한 화재인 경우
(정답률: 67%)
  • 손해의 배상의무자가 법원에 손해배상액의 경감을 청구할 수 있는 경우는 "경미한 과실로 인한 실화인 경우"입니다. 이는 손해의 배상의무자가 화재 발생 시 적절한 예방조치를 취하였으나, 경미한 부주의나 실수로 인해 화재가 발생한 경우를 말합니다. 이 경우 손해의 배상액이 전액 부담되는 것이 불공정하므로, 손해의 배상액을 경감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의에 인한 화재, 중대한 과실로 인한 실화, 악의적인 방화로 인한 화재 등의 경우에는 손해의 배상액을 경감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에서 6가지로 규정한 화재 유형이 아닌 것은?

  1. 건축ㆍ구조물 화재
  2. 위험물ㆍ가스제조소 등 화재
  3. 공원화재
  4. 선박ㆍ항공기화재
(정답률: 70%)
  •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에서 규정한 6가지 화재 유형 중 "공원화재"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는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이 건축물, 위험물, 가스제조소, 선박, 항공기 등과 같은 인프라와 시설물에 대한 화재를 다루는 규정이기 때문입니다. 공원화재는 일반적으로 산불 등의 자연재해로 분류되며,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의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제조물 책임법에 따르면 손해배상의 청구권은 제조업자가 손해를 발생시킨 제조물을 공급한 날부터 몇 년 이내에 행사하여야 하는가? (단, 원칙적인 경우에 한한다.)

  1. 3년
  2. 5년
  3. 10년
  4. 15년
(정답률: 63%)
  • 제조물 책임법은 제조업자가 생산한 제조물로 인해 손해를 입은 소비자들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법이다. 이 법에 따르면 제조업자는 제조물을 공급한 날부터 10년 이내에 손해배상 청구권을 행사해야 한다. 이는 제조업자가 생산한 제조물이 오랜 기간 동안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손해가 발생한 시점과 청구권 행사 시점이 멀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조물 책임법에 따르면 손해배상 청구권은 10년 이내에 행사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화재로 인한 재해보상과 보험가입에 관한 법률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보험금 청구권 중 손해배상책임을 담보하는 보험의 청구권은 압류할 수 없다.
  2. “손해보험회사”란 손해배상법에 따른 화재보험업의 허가를 받은 자를 말한다.
  3. 대한민국에 주둔하는 외국군대가 소유하는 건물은 특수건물소유자의 손해배상책임에 적용되지 않는다.
  4. 손해보험회사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협회의 설립과 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출연하여야 한다.
(정답률: 38%)
  • "“손해보험회사”란 손해배상법에 따른 화재보험업의 허가를 받은 자를 말한다."이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형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진화방해죄에 대한 벌칙 기준 중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은?

  1. 10
  2. 7
  3. 5
  4. 1
(정답률: 63%)
  • 진화방해죄의 벌칙 기준은 동물보호법 제16조에 따라 처벌되며,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이는 동물의 진화를 방해하는 행위가 인간의 삶과 생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엄격한 처벌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 기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제조물 책임법상 제조업자에 해당하는 자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조물의 제조ㆍ가공을 업으로 하는 자
  2. 제조물의 유통을 업으로 하는 자
  3. 제조물의 수입을 업으로 하는 자
  4. 제조물에 성명ㆍ상호ㆍ상표 등을 사용하여 자신을 제조업자로 오인하게 할 수 있는 표시를 한 자
(정답률: 44%)
  • 제조물 책임법상 제조업자에 해당하는 자는 "제조물의 제조ㆍ가공을 업으로 하는 자"이다. 제조물의 유통을 업으로 하는 자는 제조물의 유통업자이며, 제조물의 수입을 업으로 하는 자는 수입업자이다. 또한, 제조물에 성명ㆍ상호ㆍ상표 등을 사용하여 자신을 제조업자로 오인하게 할 수 있는 표시를 한 자는 가장 일반적으로 "가장자리 제조업자"라고 불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미성년자가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경우에 그 행위의 책임을 변식할 지능이 없는 때에는 배상의 책임이 없다. 이 경우 민법상 미성년자임을 판단하는 연령과 그 산정방법으로 옳은 것은?

  1. 14세 미만, 출생일 산입
  2. 18세 미만, 출생일 불산입
  3. 19세 미만, 출생일 산입
  4. 20세 미만, 출생일 불산입
(정답률: 57%)
  • 미성년자의 판단능력은 연령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미성년자임을 판단하는 연령이 중요하다. 민법상 미성년자임을 판단하는 연령은 만 19세이다. 출생일을 산입하는 이유는, 만 19세가 되는 날을 포함하여 계산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19세 미만, 출생일 산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소방기본법령상 화재원인조사 중 발화원인 조사의 점위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화재가 발생한 과정
  2. 화재의 연소경로
  3. 화재가 발생한 지점
  4. 불이 붙기 시작한 물질
(정답률: 55%)
  • 화재의 연소경로는 발화원인 조사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발화원인 조사는 화재가 발생한 과정, 화재가 발생한 지점, 불이 붙기 시작한 물질 등을 조사하여 화재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화재의 연소경로는 화재가 발생한 후 불이 번지는 경로를 의미하며, 화재 진압 후에 조사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화재로 인한 재해보상과 보험가입에 관한 법률상 특약부화재보험을 가입하지 않은 특수건물 소유자의 벌칙으로 옳은 것은?

  1. 200만원 이하의 벌금
  2. 300만원 이하의 벌금
  3. 400만원 이하의 벌금
  4. 5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57%)
  • 화재보험을 가입하지 않은 특수건물 소유자는 재해보상을 받을 수 없으며, 이는 법률상 특약부화재보험을 가입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를 위반한 경우 500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실화책임에 관한 법률상 배상의무자가 법원에 손해배생액의 경감을 청구할 경우 법원이 손해배상액의 경감을 고려하는 사정이 아닌 것은?

  1. 화재의 원인과 규모
  2. 피해의 대상과 정도
  3. 연소 및 피해 확대의 원인
  4. 화재피해자의 직업
(정답률: 70%)
  • 화재피해자의 직업은 손해배상액의 경감 여부와 무관하다. 다른 보기들은 화재 발생과 관련된 요소들이지만, 화재피해자의 직업은 손해배상액의 경감 여부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화재 현장에서의 증거물이 법정에 제출되는 경우, 증거로서의 가치를 상실하지 않도록 준수해야 하는 적법한 절차에 관한 사항으로 옳은 것은?

  1. 관련 법규 및 지침에 규정된 일반적인 원칙과 절차를 준수한다.
  2. 화재조사에 필요한 증거 수집은 화재피해자의 피해를 최대화하도록 하여야 한다.
  3. 화재의 증거물을 획득할 때에는 어떠한 장비도 사용해서는 아니된다.
  4. 최정적으로 법정에 제출되는 화재증거물은 증거의 훼손 방지를 위하여 항상 사본을 제출한다.
(정답률: 69%)
  • 화재 현장에서의 증거물이 법정에 제출되는 경우, 증거로서의 가치를 상실하지 않도록 준수해야 하는 적법한 절차는 "관련 법규 및 지침에 규정된 일반적인 원칙과 절차를 준수한다." 이다. 이는 법적으로 요구되는 절차를 따르고, 증거물의 훼손을 방지하며, 증거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화재조사에 필요한 증거 수집은 화재피해자의 피해를 최대화하도록 하여야 하며, 화재의 증거물을 획득할 때에는 어떠한 장비도 사용해서는 안 된다. 또한, 최종적으로 법정에 제출되는 화재증거물은 증거의 훼손 방지를 위하여 항상 사본을 제출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화재보험법령상 손해보험회사가 운영하는 특약부화재보험에 가입 하여야 하는 특수건물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노래연습장업으로 사용하는 부분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m2이상인 건물
  2. 학원으로 사용하는 부분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m2이상인 건물
  3. 병원급 의료기관으로 사용하는 건물로서 연면적의 합계가 2000m2이상인 건물
  4. 관광숙박업으로 사용하는 건물로서 연면적의 합계가 3000m2이상인 건물
(정답률: 61%)
  • 화재보험법령상 손해보험회사가 운영하는 특약부화재보험에 가입해야 하는 특수건물의 기준은 연면적의 합계입니다. 따라서, 연면적의 합계가 3000m2이상인 건물이 해당됩니다. 이 중에서도 관광숙박업으로 사용하는 건물이 해당되는 이유는 관광숙박업은 대부분 인원이 많이 모이는 곳이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인명피해가 크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소방기본법상 화재, 재난ㆍ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이 발생한 현장에 소방활동구역을 정하여 소방활동에 필요한 사람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람 외에는 그 구역에 출입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는 자는?

  1. 시ㆍ도지사
  2. 행정안전부장관
  3. 시장ㆍ군수
  4. 소방대장
(정답률: 71%)
  • 소방대장은 소방활동에 필요한 사람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해진 사람 외에는 소방활동구역에 출입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승객이 있는 기차에 불을 놓은 경우에 해당되는 죄는 무엇인가?

  1. 현주건조물등에의 방화
  2. 공용건조물등에의 방화
  3. 일반건조물등에의 방화
  4. 일반물건에의 방화
(정답률: 67%)
  • 승객이 있는 기차에 불을 놓은 경우, 해당 죄는 "현주건조물등에의 방화"에 해당합니다. 이는 현주(車両)라는 용어가 기차를 의미하며, 건조물등에의 방화는 건물이나 시설물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기차를 포함한 교통수단에 불을 놓은 경우 해당 죄가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화재조사 및 보고규정상 건축ㆍ구조물화재의 소실정도의 분류 중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은?

  1. ㉠ 20, ㉡ 50
  2. ㉠ 20, ㉡ 70
  3. ㉠ 30, ㉡ 50
  4. ㉠ 30, ㉡ 70
(정답률: 72%)
  • 이미지에서 보이는 화재는 건물 전체가 아닌 일부분이 소실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소실정도를 분류하는 규정에 따라, 소실된 면적이 전체 면적의 30% 이하면 ㉠ 30, 70% 이하면 ㉡ 70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정답은 "㉠ 30, ㉡ 7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화재조사관이 화재원인 및 피해조사활동을 개시하는 시점으로 옳은 것은?

  1. 화재사실을 인지하는 즉시
  2. 현장에 소방차량이 도착함과 동시
  3. 화재가 진압되고 즉시
  4. 관할 경찰서의 조사허가 즉시
(정답률: 69%)
  • 화재조사관은 화재사실을 인지하는 즉시 화재원인 및 피해조사활동을 개시해야 합니다. 이는 화재가 발생한 현장에서 가능한 한 빠르게 조사를 시작하여 증거를 보존하고 원인을 파악하기 위함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화재가 진압되거나 경찰서의 조사허가가 필요한 경우를 가정한 것으로, 이들 경우에는 화재조사관이 조사를 개시하는 시점이 다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소방서장 등은 불이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필요할 때에는 불이 번질 우려가 있는 소방대상물을 일시적으로 사용하거나 그 사용의 제한 또는 소방활동에 필요한 처분을 할 수 있다. 다음 중 이러한 처분을 방해한 자에 대한 벌칙으로 옳은 것은?

  1. 3년이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2. 5년이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
  3. 1년이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
  4. 3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39%)
  • 소방서장 등이 불이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 일시적으로 사용하거나 제한하는 소방대상물에 대한 처분을 방해하는 행위는 위험한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엄격하게 규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방해한 자에게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