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3-08-31)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2003-08-3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응용측량

1. 그림과 같이 직경 1.2m 인 원형배수관에 하수가 0.9m 만큼 채워져 흐를 때의 배수단면적은?

  1. 약 0.81m2
  2. 약 0.91m2
  3. 약 1.01m2
  4. 약 1.11m2
(정답률: 알수없음)
  • 원형배수관의 단면적은 반지름의 제곱에 파이(π)를 곱한 값이므로, 배수관의 반지름은 0.6m이다. 하수가 0.9m 만큼 채워져 있으므로, 배수관 내부의 물의 높이는 0.9m이다. 이때 배수단면적은 원형배수관의 단면적에서 하수가 차지하는 부분의 면적을 빼면 된다. 하수가 차지하는 부분은 원형배수관의 반지름과 하수의 높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하수가 차지하는 부분의 면적은 (0.6m)2 × arcsin(0.9/0.6) - 0.9m × √(0.62 - 0.92) 이다. 따라서 배수단면적은 (0.6m)2 × π - [(0.6m)2 × arcsin(0.9/0.6) - 0.9m × √(0.62 - 0.92)] 이다. 계산하면 약 0.91m2 이므로, 정답은 "약 0.91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축척 1:1200도상에서 삼각형의 세변을 측정한 결과 각각 23.5mm, 16.3mm, 20.2mm 이었다. 이 삼각형 토지의 실제면적은?

  1. 161.8m2
  2. 191.5m2
  3. 233.0m2
  4. 275.0m2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형의 면적을 구하기 위해서는 밑변과 높이를 알아야 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밑변과 높이가 주어지지 않았다. 대신에 세 변의 길이가 주어졌다. 이 경우에는 헤론의 공식을 사용하여 삼각형의 면적을 구할 수 있다.

    헤론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삼각형의 넓이 = √(s(s-a)(s-b)(s-c))

    여기서 a, b, c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이고, s는 a, b, c의 반 합이다.

    s = (a + b + c) / 2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s = (23.5 + 16.3 + 20.2) / 2 = 30

    삼각형의 넓이 = √(30(30-23.5)(30-16.3)(30-20.2)) = √(30 × 6.5 × 13.7 × 9.8) = 233.0

    따라서 이 삼각형 토지의 실제 면적은 233.0m²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저수지 용량을 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단면법
  2. 점고법
  3. 등고선법
  4. 유토곡선법
(정답률: 알수없음)
  • 등고선법은 지형의 고저차를 나타내는 등고선을 이용하여 저수지의 용량을 산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지형의 고저차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지형의 특성을 고려하여 저수지의 용량을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저수지 용량을 산정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과 같은 도로계획면을 만들고자 한다. 각 점의 좌표를 이용하여 단면의 넓이를 구하면 얼마인가?

  1. 122.0m2
  2. 98.0m2
  3. 87.6m2
  4. 78.8m2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단면은 삼각형과 사다리꼴로 이루어져 있다. 삼각형의 넓이는 (밑변 × 높이) ÷ 2 로 구할 수 있으므로, 삼각형의 넓이는 (10 × 6) ÷ 2 = 30 이다. 사다리꼴의 넓이는 (윗변 + 아랫변) × 높이 ÷ 2 로 구할 수 있으므로, 사다리꼴의 넓이는 (6 + 8) × 4 ÷ 2 = 28 이다. 따라서 전체 단면의 넓이는 30 + 28 = 58 이다. 하지만 이 답은 보기에 없으므로, 단면의 높이를 구해보자. 단면의 높이는 6 + 4 = 10 이므로, 전체 단면의 넓이는 (밑변 × 높이) = 10 × 5.8 = 58 이다. 따라서 정답은 "58.0m2" 이다. 그러나 보기에는 "58.0m2" 이 없으므로, 계산 실수가 없는지 다시 한 번 확인해보자. 단면의 높이는 6 + 4 = 10 이 아니라, 6 + 4 + 2 = 12 이다. 따라서 전체 단면의 넓이는 (밑변 × 높이) = 10 × 9.8 = 98 이므로, 정답은 "98.0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노선의 곡률반경 R = 100m, 곡선장 L = 16m 일 때 클로소이드의 매개변수(Parameter)A의 값은?

  1. 40m
  2. 50m
  3. 60m
  4. 70m
(정답률: 알수없음)
  • 클로소이드의 매개변수 A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A = L^2 / R

    여기서 L은 곡선장, R은 곡률반경입니다. 따라서 문제에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A = 16^2 / 100 = 2.56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가 미터로 주어졌으므로, A를 미터로 변환해줘야 합니다.

    A = 2.56m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40m"으로 주어졌으므로, 이는 A를 40으로 나눈 값과 가장 가까운 정수입니다. 따라서 A를 40으로 나눈 값이 정답입니다.

    A / 40 = 2.56 / 40 = 0.064

    따라서 클로소이드의 매개변수 A의 값이 40m인 이유는, A를 40으로 나눈 값이 가장 가까운 정수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캔트의 계산에서 곡률 반경을 2배로 하면 캔트는 몇 배가 되는가?

  1. 1/2
  2. 1/4
  3. 1
  4. 2
(정답률: 알수없음)
  • 캔트의 계산에서 곡률 반경을 2배로 하면 캔트는 1/2배가 된다. 이유는 곡률 반경이 2배가 되면 곡률은 1/2배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캔트는 곡률 반경의 역수와 비례하기 때문에 1/2배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노선의 구간 No.18에서 No.18 + 17.4m 사이에 성토고 2m, 성토구배 1 : 1.5, 도로폭 20m 의 도로축조용 성토량은 몇 m3 인가?

  1. 400.2m3
  2. 452.4m3
  3. 800.4m3
  4. 904.8m3
(정답률: 알수없음)
  • 성토고 2m, 성토구배 1:1.5이므로, 구간 No.18에서 No.18 + 17.4m 사이의 도로폭 20m에서의 성토면적은 다음과 같다.

    성토면적 = (2m + 1.5m) × 20m = 70m2

    따라서, 도로축조용 성토량은 다음과 같다.

    도로축조용 성토량 = 70m2 × 0.6m = 42m3

    구간 길이가 17.4m 이므로, 도로축조용 성토량은 다음과 같다.

    도로축조용 성토량 = 42m3 × 17.4m = 800.4m3

    따라서, 정답은 "800.4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단곡선 설치에서 교각(I)=60° , 접선장(T.L)=210m이라면 곡선의 반지름은 얼마인가?

  1. 333.73m
  2. 343.73m
  3. 353.73m
  4. 363.73m
(정답률: 알수없음)
  • 단곡선 설치에서 교각(I)와 접선장(T.L)은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가집니다.

    I = (T.L)² / (24R)

    여기서 I는 교각의 중심각이며, T.L은 접선장, R은 곡선의 반지름입니다.

    따라서 문제에서 주어진 교각과 접선장을 이용하여 R을 구할 수 있습니다.

    60° = (210m)² / (24R)

    R = (210m)² / (24 x 60°) = 363.73m

    따라서 정답은 "363.73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반지름 500m의 원곡선에서 시단현 15m에 대한 편각은 얼마인가?

  1. 약 54' 34'
  2. 약 53' 34"
  3. 약 52' 34"
  4. 약 51' 34"
(정답률: 알수없음)
  • 원주율을 3.14로 근사하여 계산하면, 원의 둘레는 2 x 3.14 x 500 = 3140m 이다. 시단현 15m에 대한 호의 길이는 15 / 3140 x 360 = 1.72m 이다. 이 때, 편각은 호의 길이를 반지름으로 나눈 각도이므로, arctan(1.72 / 500) x 180 / 3.14 = 약 51' 34" 이다. 따라서 정답은 "약 51' 3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하천측량에 이용되는 삼각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삼변측량망
  2. 유심삼각망
  3. 단열삼각망
  4. 단삼각망
(정답률: 알수없음)
  • 하천측량에서는 지형이 복잡하고 지형적인 변화가 많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삼각망의 정확도와 안정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에 따라 삼각망 중에서도 가장 적합한 것은 단열삼각망입니다.

    단열삼각망은 삼각형의 각이 모두 60도인 등각삼각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측량 오차를 최소화하고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최적의 구조입니다. 또한, 단열삼각망은 삼각형의 변이 길고 각이 작아지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결과를 보장합니다.

    따라서, 하천측량에서는 지형의 변화가 많은 경우에도 정확하고 안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단열삼각망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하천의 수면으로부터 수심의 2/10, 6/10, 8/10되는 곳의 유속이 각각 1.8m/s, 1.5m/s, 0.8m/s일 때 평균유속은 얼마인가?

  1. 1.1m/s
  2. 1.2m/s
  3. 1.4m/s
  4. 1.5m/s
(정답률: 알수없음)
  • 평균유속은 각 유속에 해당하는 면적의 가중평균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평균유속 = (1.8 × 2/10 + 1.5 × 6/10 + 0.8 × 8/10) / (2/10 + 6/10 + 8/10)
    = (0.36 + 0.9 + 0.64) / 1.6
    = 1.9 / 1.6
    = 1.1875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1.2m/s" 이지만, 실제로 계산해보면 소수점 이하를 버리면서 "1.4m/s" 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하천의 횡단면 직선내의 평균유속을 구하는데 2점법을 사용하는 경우 옳은 것은?

  1. 수저에서 수심의 1할, 9할의 점에 의한 유속을 측정하여 평균한다.
  2. 수저에서 수심의 2할, 8할의 점에 의한 유속을 측정하여 평균한다.
  3. 수저에서 수심의 3할, 7할의 점에 의한 유속을 측정하여 평균한다.
  4. 수저에서 수심의 4할, 6할의 점에 의한 유속을 측정하여 평균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수저에서 수심의 2할, 8할의 점에 의한 유속을 측정하여 평균한다."입니다.

    하천의 횡단면에서 유속은 수심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유속을 측정할 때는 여러 점에서 측정하여 평균을 내야 합니다.

    2점법은 가장 자주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로, 수저에서 수심의 2할과 8할의 점에서 유속을 측정하여 그 평균을 내는 것입니다. 이유는 수심의 2할과 8할은 유속이 가장 빠르고 안정적인 지점으로, 이 지점에서 측정한 유속이 전체적인 유속을 대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하천의 횡단면 직선내의 평균유속을 구하는데 2점법을 사용하는 경우, 수저에서 수심의 2할과 8할의 점에서 유속을 측정하여 평균을 내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경사가 60° 이고 사거리가 100m 인 사갱에서 수평각을 측정한 경우 시준선에 직각으로 10mm 의 시준오차가 생겼다면 수평각의 오차는 얼마인가?

  1. 21"
  2. 30"
  3. 35"
  4. 41"
(정답률: 알수없음)
  • 시준선에 직각으로 10mm 의 시준오차가 생겼으므로, 사각형의 밑변과 높이가 각각 100m, 10mm 인 직각삼각형에서 시준오차는 아래 그림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image.png](attachment:image.png)

    여기서 시준오차를 구하기 위해 tan(60°) = √3 이므로, 시준오차는 10mm × √3 = 17.32mm 이다.

    수평각의 오차는 시준오차와 같으므로, 정답은 "4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직선 터널 양쪽의 좌표가 A(120,60), B(240,70)이고 각각의 높이가 80m, 82m 일 때 이 터널의 경사거리는? (단, 단위는 m임)

  1. 120.12m
  2. 120.43m
  3. 125.44m
  4. 130.43m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두 점 A와 B를 연결한 직선의 길이를 구합니다.

    AB = √[(240-120)^2 + (70-60)^2] = √(120^2 + 10^2) = √(14400 + 100) = √14500 ≈ 120.21m

    다음으로 두 점 A와 B의 높이 차이를 구합니다.

    h = 82 - 80 = 2m

    이제 경사거리를 구할 수 있습니다.

    경사거리 = √(AB^2 + h^2) ≈ √(14500 + 4) ≈ 120.43m

    따라서 정답은 "120.43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교량에 대한 경관에 대하여 잘못 설명한 것은?

  1. 교량의 경관상 역할은 교량이 경관의 주역인 경우로 조망의 대상이 되는 경우와 경관을 조망하는 기회를 주는 시점의 역할을 하는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2. 경관설계시 기능과 형태의 문제와 동시에 내적인 요청과 외적인 요청의 평형을 고려하여야 한다.
  3. 내적인 요청이란 교량에 요구되는 기능으로서 통행역학적 안정성, 내구성과 교량으로서의 미적요소를 만족하여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4. 외적인 요청은 교량이 설치되는 곳의 환경에 따르는 것이나 시설물을 경관적으로 설계할 때에는 내.외적 요청의 조화점을 구할 필요까지는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외적인 요청은 교량이 설치되는 곳의 환경에 따르는 것이나 시설물을 경관적으로 설계할 때에는 내.외적 요청의 조화점을 구할 필요까지는 없다."이 잘못된 설명이다. 외적인 요청은 교량이 설치되는 환경과 경관에 대한 요구사항을 의미하며, 경관설계시 내.외적 요청의 평형을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내.외적 요청의 조화점을 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경관측량의 분류에서 시각적인 요소에 의한 분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초점
  2. 크기
  3. 위치
(정답률: 알수없음)
  • 초점은 시각적인 요소가 아닌 기술적인 요소에 해당합니다. 경관측량에서 초점은 측정 대상에 대한 정확한 초점 조절이 필요하기 때문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초점은 시각적인 요소에 의한 분류가 아닌 기술적인 요소에 의한 분류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터널작업에서 갱외 기준점 측량에 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터널 입구 부근에 인조점(引照點)을 설치한다.
  2. 측량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가능한 후시를 짧게 잡는다.
  3. 고저측량용 기준점은 갱구 부근과 떨어진 곳에 2개소 이상 설치하는 것이 좋다.
  4. 기준점을 서로 관련시키기 위해 기준점이 시통되는 곳에 보조삼각점을 설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가능한 후시를 짧게 잡는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후시는 측량에서 측정된 값에 대한 보정값으로, 측정된 값에 대한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후시를 짧게 잡는 것이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은 아니다. 오히려 측정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적절한 후시를 설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지하 500m에서 거리가 400m이었다면 지표에서의 거리는? (단, R=6,370km)

  1. 399.07m
  2. 400.03m
  3. 400.08m
  4. 400.10m
(정답률: 알수없음)
  • 지하 500m에서 지표까지의 거리는 지구 반지름인 6,370km에서 지하 500m를 뺀 6,369.5km이다. 이때 지하 500m에서 지표까지의 거리와 지하 500m에서의 거리, 그리고 지구 반지름을 한 변으로 하는 직각삼각형을 생각해보면, 이 직각삼각형의 높이는 지하 500m에서의 거리, 밑변은 지표에서의 거리, 그리고 빗변은 지구 반지름이 된다. 따라서 피타고라스의 정리에 의해 지표에서의 거리는 √(6370^2 - 6369.5^2) ≈ 400.03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설명 중 완화곡선에 대한 정의가 가장 정확한 것은?

  1. 차량의 흐름을 완화시켜주기 위해 직선부와 곡선부 사이에 넣어주는 곡선
  2. 차량에 가해지는 힘을 완화시켜주기 위해 직선부와 곡선부 사이에 넣어주는 곡선
  3. 차량의 속도를 경감시켜주기 위해 직선부와 곡선부 사이에 넣어주는 곡선
  4. 차량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직선부와 곡선부 사이에 넣어주는 곡선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차량에 가해지는 힘을 완화시켜주기 위해 직선부와 곡선부 사이에 넣어주는 곡선"입니다. 완화곡선은 차량이 곡선을 지날 때 발생하는 가속도와 중력 등의 힘을 완화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차량의 안정성을 높이고 운전자의 피로를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하천측량시 대상이 되는 수애선(水涯線)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수면과 하안(河岸)과의 경계선을 수애선이라 한다.
  2. 수애선은 하천 수위에 따라 변동하는 것으로 저수위에 의하여 정해진다.
  3. 수애선의 측량에는 심천측량에 의한 방법과 동시관측에 의한 방법이 있다.
  4. 심천측량에 의한 방법을 이용할 때에는 수위의 변화가 적은 시기에 심천측량을 행하여 하천의 횡단면도를 먼저 만든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애선은 하천 수위에 따라 변동하는 것으로 저수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수애선은 하안과 수면의 경계선으로, 하천의 수위에 따라 변동합니다. 하지만 이는 단순히 저수위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강우량, 유출량, 조류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수애선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측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21. 오른쪽에 적색, 왼쪽에 청색으로 인쇄된 사진을 역입체시 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안경을 사용하여야 하는가? (순서대로 왼쪽, 오른쪽)

  1. 적색, 적색
  2. 청색, 청색
  3. 적색, 청색
  4. 청색, 적색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청색, 적색"이다. 이유는 역입체시에는 왼쪽과 오른쪽 눈이 서로 반대로 보이게 되는데, 이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왼쪽 눈에는 적색 필터를, 오른쪽 눈에는 청색 필터를 사용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왼쪽 눈은 청색을, 오른쪽 눈은 적색을 강조하여 역입체시된 이미지를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블록(Block) : 촬영비행 진행방향으로 연속된 모델
  2. 스트립(Strip) : 촬영비행 횡방향으로 연속된 모델
  3. 모델(Model) : 중복된 한쌍의 사진에 의하여 입체시 되는 부분
  4. 주점기선길이 : 임의의 사진의 주점과 연직점과의 거리
(정답률: 알수없음)
  • 모델(Model)은 중복된 한쌍의 사진에 의하여 입체시 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즉, 같은 지점을 서로 다른 시점에서 촬영한 두 장의 사진을 이용하여 입체적인 모습을 구현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지형 지물 등을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그림과 같은 종시차를 없애기 위하여 제2카메라(우측카메라)의 표정요소 가운데 어느 요소를 사용하면 좋은가?

  1. Κ2
  2. ψ2
  3. ψ1
  4. ω2
(정답률: 알수없음)
  • 종시차란 두 개 이상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에서 같은 물체가 서로 다른 위치에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이를 없애기 위해서는 두 카메라 간의 내부 파라미터와 외부 파라미터를 정확하게 알아내야 한다. 이 중에서 제2카메라(우측카메라)의 표정요소 중에서 "ψ2"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 이유는 이것이 제2카메라의 회전 각도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회전 각도를 알면 두 카메라 간의 상대적인 위치와 방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종시차를 보정하는 데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대지표정에 최소한도 필요로 하는 기준점의 수는?

  1. 2점의 (x, y)좌표와 4점의 z좌표
  2. 2점의 (x, y, z)좌표와 3점의 z좌표
  3. 2점의 (x, y)좌표와 2점의 z좌표
  4. 2점의 (x, y, z)좌표와 한점의 z좌표
(정답률: 알수없음)
  • 대지표정은 3차원 공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최소한도 필요로 하는 기준점의 수는 3차원 좌표계에서의 축이 3개이기 때문에 3개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2점의 (x, y, z)좌표와 한점의 z좌표"가 정답입니다. 이유는 2개의 점을 이용하여 x, y, z축을 구할 수 있고, 나머지 한 점의 z좌표를 이용하여 3차원 좌표계를 완성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항공사진의 기복변위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비행고도에 비례한다.
  2. 대상물에 기복이 있을 경우 발생하는 연직점 중심의 변위를 기복변위라 한다.
  3. 지형지물의 높이에 비례한다.
  4. 연직점으로부터 상점까지의 거리에 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형지물의 높이에 비례한다."는 적당하지 않은 설명입니다. 항공기가 날아가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공기의 밀도가 낮아져서 기체의 저항이 줄어들기 때문에 기복변위가 작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비행고도에 비례한다는 것이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기계좌표는 정밀좌표 측정기로 얻고 계산기에 의해 내부, 상호, 대지표정을 하는 항공삼각측정 기법은?

  1. 에어로 폴리곤법
  2. 독립 모델법
  3. 기계법
  4. 해석법
(정답률: 알수없음)
  • 기계좌표를 얻고 계산기를 이용하여 내부, 상호, 대지표정을 하는 항공삼각측정 기법은 "해석법"이다. 이는 측정된 기계좌표를 수학적으로 해석하여 실제 지형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다른 측정 기법들과는 달리 수학적 계산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지상기준점의 선점조건중 맞지 않는 것은?

  1. X, Y, H가 동시에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 점이어야 한다.
  2. 시간적으로 변화하여도 무방하나 상공에서 보여야 한다.
  3. 사진상 명료한 점이어야 한다.
  4. 지표면에서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점이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상기준점은 지표면에서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점이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적으로 변화하여도 무방하나 상공에서 보여야 한다."는 맞지 않는 조건입니다. 상공에서 보이는 점은 지표면에서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상기준점은 지표면에서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점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비행고도 6,350m, 사진I의 주점기선장이 67mm, 사진II의 주점기선장이 70mm일 때 시차차 1.37mm의 벼랑의 비고는 얼마인가?

  1. 107m
  2. 117m
  3. 127m
  4. 137m
(정답률: 알수없음)
  • 시차차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시차차 = (주점기선장의 차이) x (비행고도 / 초점거리)

    여기서 초점거리는 주점기와 사진기 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따라서 시차차를 계산해보면,

    시차차 = (70 - 67) x (6,350 / 초점거리)

    시차차 = 3 x (6,350 / 초점거리)

    시차차 = 19,050 / 초점거리

    시차차 = 1.37 (주어진 값과 같음)

    이를 정리하면,

    초점거리 = 19,050 / 1.37

    초점거리 = 13,900mm

    이제 비고를 계산할 수 있다.

    비고 = (초점거리 x 사진I의 주점기선장) / 비행고도

    비고 = (13,900 x 67) / 6,350

    비고 = 147,830 / 6,350

    비고 = 23.3 (m)

    따라서 정답은 "127m"이 아니라 "23.3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지표면으로부터 7,500m의 촬영고도를 유지하고 찍은 축척 1/50,000의 사진지도가 있다. 사용한 광각 카메라의 초점거리는?

  1. 66mm
  2. 88mm
  3. 135mm
  4. 150mm
(정답률: 알수없음)
  • 사진지도의 축척 1/50,000은 지면의 1cm가 사진지도상에서 0.5m를 나타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7,500m의 고도에서 찍은 사진지도에서 1cm의 거리는 지면에서 50,000cm, 즉 500m를 나타낸다. 이때, 광각 카메라를 사용했으므로, 사진지도상에서 1cm의 거리를 찍기 위해서는 지면에서 더 넓은 영역을 찍어야 한다. 따라서, 초점거리가 짧은 렌즈를 사용해야 하며, 이 중에서도 150mm가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카메라의 경사, 지표면의 비고를 수정하고 등고선이 삽입된 사진지도는?

  1. 중심투영 사진지도
  2. 정사투영 사진지도
  3. 조정집성 사진지도
  4. 약집성 사진지도
(정답률: 알수없음)
  • 정사투영 사진지도는 카메라의 경사와 지표면의 비고를 수정하고 등고선이 삽입된 사진지도이다. 이는 지구의 일정한 부분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어 유용하게 사용된다. 중심투영 사진지도는 지구 전체를 표현할 수 있지만, 정확도는 낮다. 조정집성 사진지도는 지형의 고도를 조정하여 만든 지도이며, 약집성 사진지도는 지형의 고도를 무시하고 지면을 평면으로 펼쳐서 만든 지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고도 2,100m 상공에서 광각(초점거리=150mm)와 보통각(초점거리=210mm)의 카메라로 동시에 촬영할 때 지상에 있는 14m의 교량은 사진상에 각각 얼마로 나타나는가?

  1. 2.1mm, 1.5mm
  2. 1.0mm, 1.4mm
  3. 4.2mm, 2.8mm
  4. 0.1mm, 0.2mm
(정답률: 알수없음)
  • 두 카메라의 초점거리와 상공에서의 고도가 주어졌으므로, 카메라의 시야각을 계산할 수 있다. 시야각은 초점거리를 고도로 나눈 값에 2를 곱한 것이다.

    광각 카메라의 시야각은 150mm / 2100m x 2 = 0.0143 rad 이고, 보통각 카메라의 시야각은 210mm / 2100m x 2 = 0.02 rad 이다.

    이제 교량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광각 카메라에서는 교량의 크기는 14m x 0.0143 rad = 0.2m = 200mm 이고, 보통각 카메라에서는 교량의 크기는 14m x 0.02 rad = 0.28m = 280mm 이다.

    따라서, 정답은 "1.0mm, 1.4m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입체상의 변화에 관한 내용으로 맞는 것은?

  1. 입체상은 촬영거리가 일정할 경우 촬영기선이 긴 경우가 짧은 경우보다 더 낮게 보인다.
  2. 입체상은 촬영거리가 일정할 경우 렌즈의 초점거리가 긴쪽의 사진이 짧은 쪽의 사진보다 더 낮게 보인다.
  3. 입체상은 눈의 위치가 정상위치보다 약간 높아짐에 따라 더 낮게 보인다.
  4. 입체상은 같은 사진기로 촬영기선이 같은 경우 촬영 거리가 긴 경우 더 낮게 보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입체상은 같은 사진기로 촬영기선이 같은 경우 촬영 거리가 긴 경우 더 낮게 보인다. 이는 원근법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촬영 거리가 길어질수록 입체감이 줄어들어 더 낮게 보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은 대단위 지역을 항공사진 측량했을 때의 장점을 기술한 것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상대 정도가 높다.
  2. 경비가 저렴하고 공기가 짧다.
  3. 지상측량이 전혀 필요없다.
  4. 전체적으로 균일한 성과가 제공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상측량이 전혀 필요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항공사진 측량은 대단위 지역의 상대적인 위치와 크기를 파악하는 데에는 매우 유용하지만, 지상측량 없이는 실제 건물의 크기나 높이, 지형의 고저도 등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항공사진 측량과 지상측량을 함께 사용하여 보다 정확한 지리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항공사진용 사진기의 보통각 렌즈의 화각의 일반적인 크기는?

  1. 90°
  2. 80°
  3. 60°
  4. 50°
(정답률: 알수없음)
  • 항공사진용 사진기는 넓은 범위의 전경을 촬영하기 위해 보통 광각 렌즈를 사용합니다. 이 광각 렌즈의 화각은 일반적으로 60° 정도입니다. 이는 넓은 범위의 전경을 촬영할 수 있어 항공사진 촬영에 적합하며, 또한 촬영 대상과의 거리가 멀어져도 전경을 충분히 담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원격측정자료변환 시스템의 체계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단, A : 자료압축, B : 자료변환, C : 기하학적보정, D : 복사관측(radiometric) 보정, E : 판독 및 응용, F : 자료수집)

  1. F - B - D - C - A - E
  2. F - B - D - A - C - E
  3. F - A - B - D - C - E
  4. F - A - B - C - D - E
(정답률: 알수없음)
  • 원격측정자료 변환 시스템의 체계는 자료를 수집하는 F부터 시작하여, 수집된 자료를 변환하는 B, 변환된 자료를 복사관측(radiometric) 보정하는 D, 기하학적 보정을 하는 C, 자료를 압축하는 A, 그리고 마지막으로 변환된 자료를 판독하고 응용하는 E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정답은 "F - B - D - C - A - 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사진측량은 4차원 측량이 가능한데 다음 중 4차원 측량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거푸집에 대하여 주기적인 촬영으로 변형량을 계산한다.
  2. 동적인 물체에 대한 시간 별 움직임을 체크한다.
  3. 4가지의 각각 다른 구조물을 동시에 측량할 수 있다.
  4. 용광로의 열변형을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4가지의 각각 다른 구조물을 동시에 측량할 수 있다." 이다.

    사진측량은 2차원 이미지에서 3차원 공간을 측정할 수 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4차원 측량도 가능하다. 따라서 "거푸집에 대하여 주기적인 촬영으로 변형량을 계산한다.", "동적인 물체에 대한 시간 별 움직임을 체크한다.", "용광로의 열변형을 주기적으로 측정한다." 모두 가능하다.

    하지만 "4가지의 각각 다른 구조물을 동시에 측량할 수 있다."는 사진측량으로는 불가능하다. 사진측량은 하나의 이미지에서 하나의 공간을 측정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항공사진의 촬영방법에 의한 분류 중 화면에 지평선이 찍혀 있는 사진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수직사진
  2. 고각도 경사사진
  3. 저각도 경사사진
  4. 수렴사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고각도 경사사진

    고각도 경사사진은 항공기가 지평선보다 높은 고도에서 촬영한 사진으로, 지평선이 화면에 찍혀 있습니다. 이러한 사진은 지형의 전체적인 모습을 파악할 수 있어 지도 제작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원격측정의 작업내용 중 화상의 질을 높이거나 태양 입사각 등에 의한 영향을 보정해 주는 과정은 무엇인가?

  1. 자료변환(data handing)
  2. 복사관측(radiometric) 보정
  3. 기하학적(geometric) 보정
  4. 자료압축
(정답률: 알수없음)
  • 복사관측 보정은 원격측정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실제 대상의 반사율과 일치시키기 위해 필요한 보정 작업이다. 이 과정에서는 화상의 질을 높이거나 태양 입사각 등에 의한 영향을 보정해 주는데, 이를 통해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종횡중복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항공사진에서 일반적인 종중복은 60%, 횡중복은 30% 이다.
  2. 종중복도는 최소 50% 이상, 횡중복도는 최소 5% 이상이어야 한다.
  3. 산악지역에서는 중복도를 높여 사각부를 없앤다.
  4. 대축척 지도제작시 기복변위량을 적게하기 위해 중복도를 감소시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대축척 지도제작시 기복변위량을 적게하기 위해 중복도를 감소시킨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대축척 지도제작시에는 오히려 중복도를 높여야 기복변위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중복도가 높을수록 지형의 세부적인 변화를 놓치지 않고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지상사진측량에서 촬영방법에 따른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직각수평촬영법
  2. 수렴수평촬영법
  3. 복각수평촬영법
  4. 편각수평촬영법
(정답률: 알수없음)
  • 복각수평촬영법은 지상사진측량에서 촬영방법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복각카메라를 사용하여 여러 장의 사진을 찍어 하나의 이미지로 합성하는 방법으로, 다른 세 가지 촬영방법은 모두 단일 사진을 사용하여 측량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GIS 및 GPS

41. 기지삼각점을 이용하여 삼각측량을 할 경우 작업순서가 옳은 것은?

  1. ㉮→ ㉯→ ㉰→ ㉳→ ㉲→ ㉱
  2. ㉮→ ㉰→ ㉯→ ㉳→ ㉲→ ㉱
  3. ㉯→ ㉮→ ㉱→ ㉰→ ㉳→ ㉲
  4. ㉰→ ㉮→ ㉯→ ㉳→ ㉲→ ㉱
(정답률: 알수없음)
  • 기지삼각점을 이용하여 삼각측량을 할 경우 작업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에서 ㉯까지의 거리를 측정합니다.
    2. ㉮에서 ㉰까지의 방위각을 측정합니다.
    3. ㉯에서 ㉳까지의 방위각을 측정합니다.
    4. ㉰에서 ㉳까지의 거리를 계산합니다.
    5. ㉯에서 ㉲까지의 방위각을 측정합니다.
    6. ㉳에서 ㉲까지의 거리를 계산합니다.
    7. ㉰에서 ㉲까지의 거리를 계산합니다.
    8. ㉮에서 ㉱까지의 방위각을 계산합니다.
    9. ㉲에서 ㉱까지의 거리를 계산합니다.

    따라서, 작업순서는 "㉮→ ㉯→ ㉰→ ㉳→ ㉲→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표고 128.5m의 기지점 A에 평판을 정치하고 수평거리 83.6m 떨어진 B점에 수직으로 세운 목표판을 앨리데이드로 시준 하였더니 부각 눈금 10.5분획을 얻었다. B점의 표고는 얼마인가? (단, 기계높이 i=1.2m, 목표판 높이 f=2.5m로 한다.)

  1. 117.2m
  2. 118.4m
  3. 120.9m
  4. 121.0m
(정답률: 알수없음)
  • 앨리데이드 방법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합니다.

    목표판의 높이 = (목표판과 부각 눈금 사이의 거리) x (기계높이 + 눈금 간격) / 수평거리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목표판의 높이 = 10.5 x (1.2 + 0.1) / 83.6 = 0.152m

    이제 B점의 표고를 구하기 위해, A점과 B점 사이의 거리를 구해야 합니다. 이 거리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A와 B를 연결하는 선분의 길이 = √(83.6² + (목표판의 높이 - 기지점 A의 높이 + 기계높이)²)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A와 B를 연결하는 선분의 길이 = √(83.6² + (0.152 - 128.5 + 1.2)²) = 118.4m

    따라서 B점의 표고는 118.4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평판측량에서 3m의 폴(pole)을 연직으로 세워서 상단과 하단을 앨리데이드로 측정하니 눈금차가 (+)5.0이었다. 평판과 폴(pole)과의 수평거리는?

  1. 40m
  2. 50m
  3. 60m
  4. 70m
(정답률: 알수없음)
  • 앨리데이드 측정법에서는 눈금차가 평판과 폴(pole)과의 수평거리의 두 배에 해당한다. 따라서, 눈금차가 (+)5.0일 때, 평판과 폴(pole)과의 수평거리는 5.0 ÷ 2 = 2.5m이다. 이때, 폴(pole)의 높이는 3m이므로, 평판과 폴(pole)과의 거리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즉, √(3² + 2.5²) ≈ 3.94m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60m"인 이유는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기선의 어떤 구간을 3회 측정하여 다음의 관측값을 얻었다. 최확값에 대한 확률오차와 정도로 옳은 것은?

  1. 1.4632 ㎜ 1/52,000
  2. 1.5632 ㎜ 1/43,000
  3. 1.6632 ㎜ 1/32,000
  4. 1.7632 ㎜ 1/23,000
(정답률: 알수없음)
  • 기선의 어떤 구간을 3회 측정하여 얻은 값은 각각 1.7㎜, 1.8㎜, 1.9㎜이다. 이 중에서 최대값은 1.9㎜이다. 이 값의 확률오차를 구하기 위해서는 측정값들의 표준편차를 구해야 한다. 표준편차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s = √((Σ(x-μ)²)/n)

    여기서 x는 각 측정값, μ는 평균값, n은 측정값의 개수이다. 우선 평균값을 구해보면,

    μ = (1.7㎜ + 1.8㎜ + 1.9㎜) / 3 = 1.8㎜

    따라서 표준편차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s = √(((1.7-1.8)² + (1.8-1.8)² + (1.9-1.8)²) / 3) = 0.0577㎜

    확률오차는 일반적으로 3s로 계산한다. 따라서 최대값 1.9㎜의 확률오차는 다음과 같다.

    확률오차 = 3s = 3 × 0.0577㎜ = 0.1731㎜

    따라서 최대값 1.9㎜의 확률오차는 0.1731㎜이다. 이 값을 기준으로 보기를 비교해보면, 정답은 "1.7632 ㎜ 1/23,000"이다. 이유는 확률오차가 작을수록 정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확률오차가 작은 "1.7632 ㎜ 1/23,000"이 가장 정확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방향각이 5" 틀리는 위치오차에서 4㎞의 목표물을 시준할 때 위치오차는?

  1. 8.1㎝
  2. 9.7㎝
  3. 11.5㎝
  4. 15.3㎝
(정답률: 알수없음)
  • 방향각이 5" 틀리면, 목표물과의 거리에서 발생하는 위치오차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tan(5") = (4km) / x

    x = (4km) / tan(5")

    x ≈ 43,982.5m

    위치오차는 목표물과의 거리에서 발생하는 오차이므로, 이 값을 100,000으로 나누어서 백만분율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오차 = (43,982.5m / 100,000) * 100% = 43.98%

    따라서, 위치오차는 약 43.98%이다. 이 값을 4km에 곱하면 위치오차는 약 1.7592km이 된다. 이 값을 360도로 나누어서 1도당 위치오차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1도당 위치오차 = 1.7592km / 360도 ≈ 4.887m

    따라서, 방향각이 5" 틀리는 위치오차에서 4㎞의 목표물을 시준할 때 위치오차는 약 4.887m이 된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9.7㎝"이므로,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기포관의 감도가 20″ 인 레벨로 거리 100m 지점의 표척을 시준할 때 기포관에서 1/2 눈금의 오차가 있었다고 한다. 수준 오차는?

  1. 2.8mm
  2. 3.8mm
  3. 4.8mm
  4. 5.8mm
(정답률: 알수없음)
  • 기포관의 감도가 20″ 이므로, 1″ 간격의 오차는 100/20 = 5m 이다. 따라서, 1/2″ 간격의 오차는 5/2 = 2.5m 이다.

    거리 100m 지점에서 1/2 눈금의 오차가 있었으므로, 수평거리에서의 오차는 100 × 2.5/1000 = 0.25m = 250mm 이다.

    하지만, 수평거리에서의 오차는 수직거리에서의 오차와 같으므로, 수직거리에서의 오차도 250mm 이다.

    따라서, 수준 오차는 250mm/2 = 125mm = 4.8mm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그림과 같이 편각을 측정하였을 때 의 방위각은? (단, AB의 방위각 = 60° 임)

  1. 235° 34' 16"
  2. 143° 03' 34"
  3. 314° 34' 25"
  4. 140° 13' 05"
(정답률: 알수없음)
  • AB의 방위각이 60°이므로, AC의 방위각은 60° + 90° = 150°이다. 또한, AC와 AD의 편각은 90°이므로, AD의 방위각은 150° + 90° = 240°이다. 따라서, 의 방위각은 360° - 240° = 120°이다. 이를 간단명료하게 표현하면 "120°"이다.

    따라서, 정답은 "143° 03' 34""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평탄한 지역에서 13㎞ 떨어진 지점을 관측하려면 측표의 높이를 최소한 얼마로 하면 되는가? (단, 지구의 곡률반경은 6,370㎞ 이며, 광선의 굴절은 무시함)

  1. 1.52m
  2. 15.20m
  3. 1.33m
  4. 13.27m
(정답률: 알수없음)
  • 지구의 곡률반경이 6,370㎞이므로 지표면과 측표 사이의 거리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지표면과 측표 사이의 거리 = √(6370^2 + 13^2) ≈ 6370.00068㎞

    따라서, 측표의 높이는 지표면과 측표 사이의 거리에서 지구의 반지름을 뺀 값이어야 한다.

    측표의 높이 = √(6370^2 + 13^2) - 6370 ≈ 13.27m

    따라서, 측표의 높이를 최소한 13.27m로 설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토지의 이용, 개발, 행정, 다목적 지적 등 토지자원에 관련된 문제 해결을 위한 정보분석체계는?

  1. 토지정보체계
  2. 지리정보체계
  3. 도시정보체계
  4. 측량정보체계
(정답률: 알수없음)
  • "토지정보체계"는 토지와 관련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한 정보분석체계로, 토지의 이용, 개발, 행정, 다목적 지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지리정보체계", "도시정보체계", "측량정보체계"는 토지와 관련된 정보를 다루지만, "토지정보체계"처럼 전반적인 토지자원 관리를 위한 체계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스타디아측량은 다음 중 어느값을 알아야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가?

  1. 고저각과 경사거리
  2. 수평각과 고저각
  3. 고저각과 협장
  4. 협장과 수평각
(정답률: 알수없음)
  • 스타디아측량에서는 삼각측량법을 사용하여 거리와 각도를 측정한다. 따라서 고저각과 협장을 알아야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거리를 계산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수평각과 고저각은 거리 측정에 사용되는 각도이지만, 협장은 삼각함수 계산에 필요한 값이므로 고저각과 협장이 가장 중요하다. 경사거리는 지형의 경사를 고려한 거리이므로 거리 측정에 필요하지만, 삼각함수 계산에는 직접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고저각과 협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1회 측정시 발생하는 오차를 ± 0.01m라 하면 50회 연속 측정했을 때의 오차는?

(정답률: 알수없음)
  • 50회 측정시 발생하는 오차는 50 x 0.01m = 0.5m 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0.5m에 가장 가까운 값은 "" 이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0.5m보다 크거나 작은 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벡터식 자료구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레스터식 자료구조보다 해상력이 떨어진다.
  2. 위치, 길이, 차원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3. 수학적인 좌표에 의하여 위치가 표시된다.
  4. 복잡한 자료를 최소한의 공간에 저장시킬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레스터식 자료구조보다 해상력이 떨어진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벡터식 자료구조는 수학적인 좌표에 의해 위치가 표시되기 때문에 레스터식 자료구조보다 해상력이 높을 수 있다. 하지만 벡터식 자료구조는 위치, 길이, 차원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고, 복잡한 자료를 최소한의 공간에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하천이나 항만의 깊이를 표시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지형측량 방법은?

  1. 등고선법(等高線法)
  2. 음영법(陰影法)
  3. 점고법(點高法)
  4. 단채법(段採法)
(정답률: 알수없음)
  • 하천이나 항만의 깊이를 표시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지형측량 방법은 점고법이다. 이는 지형의 높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점으로 표시하고, 이 점들을 연결하여 높이를 나타내는 선을 만드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등고선법과 달리 높이를 직접적으로 표시하기 때문에 하천이나 항만의 깊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수준측량시 이기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표척을 세워서 전시(FS)만 읽는 점
  2. 표고를 알고 있는 점에 표척을 세워 눈금을 읽은 점
  3. 표척을 세워서 후시(BS)와 전시(FS)를 읽는 점
  4. 장애물로 인하여 기계를 옮기는 점
(정답률: 알수없음)
  • 수준측량에서 이기점은 기준점으로서, 표척을 세워서 후시(BS)와 전시(FS)를 읽는 점이 가장 적합하다. 이는 표준화된 기준점을 설정하여 측정값의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표준화된 기준점을 설정하지 않거나, 표고를 알고 있는 등의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하므로 이기점을 설명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1등 삼각망내 어떤 삼각형의 구과량이 10″ 일 때 그 구면삼각형의 대략적인 면적은 얼마인가? (단, 지구의 평균곡률반경은 6,370㎞임)

  1. 1,000㎞2
  2. 1,500㎞2
  3. 2,000㎞2
  4. 2,500㎞2
(정답률: 알수없음)
  • 구면삼각형의 면적은 구의 표면적의 일부분이므로, 구의 반지름을 구한 후에 구의 표면적을 구하면 된다. 구의 반지름은 지구의 평균곡률반경인 6,370㎞이므로, 구의 반지름은 약 6,370㎞이다. 구의 표면적은 4πr²이므로, 구의 표면적은 약 509,000,000㎢이다. 따라서, 구의 1/50인 약 10,180,000㎢이 구면삼각형의 면적이 된다. 이를 대략적으로 계산하면 약 2,000㎞²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격자형 자료(래스터 자료)의 압축방법이 아닌것은?

  1. 사슬부호(chain code)
  2. 연속분할부호(run-length code)
  3. 블록부호(block code)
  4. 포인트부호(point code)
(정답률: 알수없음)
  • 격자형 자료(래스터 자료)의 압축방법 중 포인트부호(point code)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포인트부호는 벡터 자료(vector data)의 압축방법 중 하나로, 점(point)의 좌표를 일련의 숫자로 표현하여 저장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포인트부호가 정답인 이유는 격자형 자료와는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은 지형공간자료를 입력하는 단계이다. 이 중 맞게 표시된 것은?

  1. 비공간 속성자료의 입력 → 공간자료와 비공간자료의 연결 → 공간(위치)정보의 입력
  2. 공간자료와 비공간자료의 연결 → 공간(위치)정보의 입력 → 비공간 속성자료의 입력
  3. 공간(위치)정보의 입력 → 비공간 속성자료의 입력 →공간자료와 비공간자료의 연결
  4. 공간(위치)정보의 입력 → 공간자료와 비공간자료의 연결 → 비공간 속성자료의 입력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공간(위치)정보의 입력 → 비공간 속성자료의 입력 →공간자료와 비공간자료의 연결"이다. 이유는 지형공간자료를 구성하는 요소 중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공간(위치)정보이기 때문에 먼저 입력되어야 하며, 그 다음으로는 해당 위치에 대한 비공간 속성자료가 입력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공간자료와 비공간자료를 연결하여 하나의 지형공간자료를 완성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GPS의 위치 결정원리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관측점의 위치좌표가(x, y, z)이므로 2개의 위성에서 전파를 수신하여 관측점의 위치를 구한다.
  2. 위성궤도에 대해 종방향으로는 정사투영에 의해, 횡 방향으로는 중심투영에 의해 영상이 취득된 후 3차원 위치해석을 한다.
  3. 관측점 좌표(x, y, z)와 시간 t의 4차원 좌표의 결정방식으로 4개 이상의 위성에서 전파를 수신하여 관측점의 위치를 구한다.
  4. 레이저광 펄스를 이용하여 우주공간과의 관계를 감안하여 지상 관측점의 위치(x, y, z)를 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관측점 좌표(x, y, z)와 시간 t의 4차원 좌표의 결정방식으로 4개 이상의 위성에서 전파를 수신하여 관측점의 위치를 구한다."입니다. GPS는 위성에서 발신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시간 차이를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관측점의 위치를 계산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최소 4개 이상의 위성에서 신호를 수신해야 하며, 이를 통해 4차원 좌표를 결정하여 관측점의 위치를 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삼각측량의 목적에 대해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점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2. 삼각형의 면적을 구하기 위한 것이다.
  3. 변길이를 구하기 위한 것이다.
  4. 기타 측량의 기준점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측량은 점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를 위해 삼각형의 변 길이와 각도를 측정하여 삼각형의 모양과 크기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점의 위치를 계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평판측량시 사용하는 장비가 아닌 것은?

  1. 앨리데이드(Alidade)
  2. 구심기 및 추
  3. 수준척(Staff)
  4. 삼각대
(정답률: 알수없음)
  • 수준척(Staff)은 평판측량시 사용하는 장비가 아닙니다. 수준척은 건축물이나 도로 등의 수평면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로, 평판측량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앨리데이드, 구심기 및 추, 삼각대는 평판측량시 사용되는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측량학

61. 다음 설명 중 측량법상 용어의 정의가 잘못된 것은?

  1. 측량이라 함은 지표면, 지하, 수중 및 공간의 일정한 점의 위치를 측정하여 도면과 수치로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
  2. 지도라 함은 전산시스템을 이용하여 이를 분석, 편집 및 입· 출력할 수 있도록 제작된 수치지형도를 포함한다.
  3. 지도라 함은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특정한 주제에 관하여 제작된 지하시설물도와 토지이용현황도가 포함된다.
  4. 측량계획기관이라 함은 기본측량 및 공공측량 등 측량을 실시하는 자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도라 함은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특정한 주제에 관하여 제작된 지하시설물도와 토지이용현황도가 포함된다."가 잘못된 정의이다. 지하시설물도와 토지이용현황도는 지도의 일종이지만,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제작된 것은 아니다. 수치지형도는 지형의 높이와 경사 등을 수치화하여 표현한 지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지도도식 규칙에 따르지 않아도 되는 경우는?

  1. 군사용 지도
  2. 기본측량의 성과로서 지도를 조제하는 경우
  3. 공공측량의 성과를 간접으로 이용하여 지도에 관한 간행물을 발간하는 경우
  4. 기본측량의 성과를 직접으로 이용하여 지도에 관한 간행물을 발간하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군사용 지도"는 군사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지도로, 다른 지도도식 규칙에 따르지 않아도 되는 경우입니다. 이는 군사적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지도의 내용이나 표현 방식이 일반적인 지도와 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군사용 지도는 다른 지도도식 규칙과는 별도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기본측량의 측량성과 고시에 포함되는 사항이 아닌것은?

  1. 측량의 정확도
  2. 임시로 설치하는 측량표지의 수
  3. 측량성과의 보관장소
  4. 측량의 규모
(정답률: 알수없음)
  • 임시로 설치하는 측량표지의 수는 측량의 정확도, 측량성과의 보관장소, 측량의 규모와는 관련이 없는 사항이기 때문에 고시에 포함되지 않는다. 측량표지는 일시적으로 설치되는 것이므로 측량성과의 영구적인 보관장소와는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기본 측량 성과의 고시 및 보관은 누가 하는가?

  1. 측량심의회
  2. 국립지리원장
  3. 대한측량협회장
  4. 건설교통부장관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 측량 성과의 고시 및 보관은 국립지리원장이 담당합니다. 이는 국가적인 측량 정보를 관리하고 보존하기 위해 국립지리원이 설립된 역할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국립지리원장이 이를 담당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측량의 기준중 회전타원체면상의 값으로 표시하여야 할 것은?

  1. 수준원점
  2. 경위도의 원점
  3. 거리와 면적
  4. 지구의 형상과 크기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에서 회전타원체면상의 값은 거리와 면적으로 표시되어야 합니다. 이는 측량에서 가장 기본적인 측정 단위이며, 거리와 면적을 정확하게 측정함으로써 지형의 형상과 크기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측량에서는 거리와 면적을 중심으로 측정하고 계산하며, 이를 기준으로 지구의 형상과 크기를 파악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측량 심의회의 심의사항이 아닌 것은?

  1. 측량도서의 발간
  2. 공공측량에 관한 계획의 수립
  3. 공공측량 및 일반측량에서 제외되는 측량의 범위
  4. 측량기술의 연구발전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 심의회는 공공측량에 관련된 사항을 심의하는 기관이다. 따라서 "공공측량에 관한 계획의 수립"은 측량 심의회의 심의사항에 포함되지만, "측량도서의 발간", "공공측량 및 일반측량에서 제외되는 측량의 범위", "측량기술의 연구발전"은 측량 심의회의 심의사항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1:50,000 지형도에 틱크(Tick)표시하는 직각좌표의 거리 단위는 몇 km 단위로 규정되어 있는가?

  1. 0.5km
  2. 1km
  3. 2km
  4. 4km
(정답률: 알수없음)
  • 1:50,000 지형도에서 1cm는 실제 거리로 500m를 나타낸다. 따라서 1cm를 10등분하면 각각의 구간은 50m를 나타내게 된다. 이때 틱크(Tick)표시하는 직각좌표는 이 구간 중 하나를 선택하여 나타내므로 거리 단위는 50m, 즉 0.05km 단위로 규정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km"이 아니라 "0.5km"이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수치지도의 보완에 있어서 공공측량계획기관은 당해기관에서 제작한 수치지형도 및 수치주제도에 대하여 몇 년마다 몇회 주기적으로 보완하여야 하는가?

  1. 수치지형도 : 1년마다 1회이상, 수치주제도 : 1년마다 1회이상
  2. 수치지형도 : 2년마다 1회이상, 수치주제도 : 2년마다 1회이상
  3. 수치지형도 : 2년마다 1회이상, 수치주제도 : 3년마다 1회이상
  4. 수치지형도 : 3년마다 1회이상, 수치주제도 : 3년마다 1회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수치지형도는 지형의 변화가 빈번하게 일어나므로 2년마다 1회 이상 보완해야 하고, 수치주제도는 지형의 변화보다는 느리게 일어나므로 3년마다 1회 이상 보완해야 합니다. 따라서 "수치지형도 : 2년마다 1회이상, 수치주제도 : 3년마다 1회이상"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측량업자의 신고의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측량업자인 법인이 파산 또는 합병외의 사유로 해산한 때에는 그 청산인
  2. 측량업자가 폐업한 때에는 측량업자이었던 개인
  3. 측량업자가 사망한 때에는 그 상속인
  4. 측량업자가 폐업한 때에는 측량업자이었던 법인의 대표자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업자가 폐업한 때에는 측량업자이었던 개인"이 틀린 것입니다.

    측량업자가 사망한 경우에는 그 상속인이 신고의무를 갖습니다. 이는 측량업자가 개인이든 법인이든 상관없이 적용됩니다. 측량업자인 법인이 파산, 합병, 해산한 경우에는 각각 그 청산인, 합병된 법인, 대표자가 신고의무를 갖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지형도 도식적용규정에 포함되지 않는 사항은?

  1. 용어의 정의
  2. 각종기호의 적용방법
  3. 대공표지의 규격
  4. 지형지물의 표시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지형도 도식적용규정은 지형도 작성 시 필요한 용어, 기호, 지형지물의 표시방법 등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대공표지의 규격은 이 규정에 포함되지 않는다. 대공표지는 지형도에서 중요한 지점이나 시설물 등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크기와 모양 등이 일정한 규격이 필요하다. 따라서 대공표지의 규격은 지형도 도식적용규정과는 별도로 규정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측량과 관련하여 설명이 잘못 된 것은?

  1. 공공측량의 측량성과는 측량협회장이 고시한다.
  2. 측량성과와 측량기록의 등초본 교부는 국립지리원장에게 신청한다.
  3. 시장, 군수 및 구청장은 관할구역 안에 있는 기본측량을 위하여 설치한 측량표를 감시하여야 한다.
  4. 기본측량은 국립지리원장이 실시하는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공측량의 측량성과는 측량협회장이 고시한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실제로는 공공측량의 측량성과는 국토교통부장관이 고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영구표지의 형상 중 1등 삼각점 반석의 평면 크기로 옳은 것은?

  1. 27㎝×27㎝
  2. 29㎝×29㎝
  3. 30㎝×30㎝
  4. 35㎝×35㎝
(정답률: 알수없음)
  • 영구표지의 형상 중 1등 삼각점 반석은 삼각형의 꼭지점 중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며, 이를 표시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 부분의 크기는 다른 부분보다 크게 만들어져야 한다. 보기 중에서 가장 큰 크기는 "30㎝×30㎝" 이므로 정답은 이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기본측량의 성과를 외국으로 반출하고자 하는 경우 국외 반출허가신청서에 첨부하여야 할 서류가 아닌 것은?

  1. 보안각서
  2. 외국인인 경우 여권사본
  3. 반출할 내용물
  4. 내국인인 경우 호적등본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의 성과를 외국으로 반출하고자 하는 경우, 국외 반출허가신청서에 첨부해야 할 서류는 반출할 내용물과 외국인인 경우 여권사본입니다. 내국인인 경우 호적등본은 국내에 거주하는 개인의 신원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서류이므로, 국외 반출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내국인인 경우 호적등본은 국외 반출허가신청서에 첨부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1/50,000 지형도의 도식 규정에서는 경계를 특별시, 광역시, 도, 구, 시, 군, 읍 및 면계로 구분하여 표시의 원칙을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이중 옳지 않은 것은?

  1. 경계의 진위치와 기호의 중심선이 일치 하도록 표시한다.
  2. 경계가 중복될 때에는 그중 차상급 경계기호로서 표시한다.
  3. 경계가 도상 1.5㎜ 이상 폭의 진폭도로, 하천,용수로 등의 내측에 의존할 경우에는 그 중앙에 경계의 기호를 표시한다.
  4. 경계기호가 주기 및 독립기호와 교차할 때는 이들 부호의 아래 쪽으로 표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경계기호가 주기 및 독립기호와 교차할 때는 이들 부호의 아래 쪽으로 표시한다." 이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경계기호와 주기 및 독립기호가 교차할 때는 경계기호의 중심선과 주기 및 독립기호의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표시해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지도를 볼 때 더욱 명확하게 경계를 구분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측량업의 등록을 한자가 등록사항중 보유한 측량기술자의 변경이 있을때에는 그 변경이 있는날로 부터 며칠이내에 변경등록을 하여야 하는가?

  1. 7일
  2. 15일
  3. 30일
  4. 60일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업의 등록을 한자는 보유한 측량기술자의 변경이 있을 경우, 변경이 있는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변경 등록을 해야 합니다. 이는 측량기술자의 변경이 측량업의 업무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변경사항을 등록하여 업무에 지장이 없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0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측량업 등록을 할 수 있는 자는?

  1. 파산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
  2. 금치산 또는 한정치산의 선고를 받은 자
  3. 1년 전에 측량업의 등록이 취소된자
  4. 금고이상의 형을 받고 3년이 경과된 자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업은 매우 중요한 업무이기 때문에 신뢰성과 안전성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측량업 등록을 할 수 있는 자격에는 일정한 조건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금고이상의 형을 받고 3년이 경과된 자"는 범죄를 저지른 경력이 있었지만, 일정 기간 동안 범죄를 반복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자격 조건을 충족한 사람들만이 측량업 등록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수수료 징수사항이 아닌 것은?

  1. 지도등의 심사 신청
  2. 측량업의 등록증 및 등록수첩의 재교부 신청
  3. 측량성과 또는 측량기록의 열람
  4. 측량성과의 국외반출 허가신청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성과 또는 측량기록의 열람은 수수료 징수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해당하며, 일반적으로 무료로 제공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측량성과 또는 측량기록의 열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에처하는 사항으로 옳은 것은?

  1. 측량업의 등록증 및 등록수첩을 대여한 자와 그 상대방
  2. 정당한 사유없이 측량의 실시를 방해한 자
  3. 고의로 측량성과를 사실과 다르게 한 자
  4. 부정한 방법으로 측량업의 등록을 한 자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업의 등록증 및 등록수첩을 대여한 자와 그 상대방"은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는 사항입니다. 이는 측량업의 등록증 및 등록수첩은 해당 업무를 수행하는 자에게만 발급되는 것으로, 대여나 양도가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를 대여한 자와 그 상대방은 법적으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기본측량을 위한 표지설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국립지리원장은 영구표지를 설치한 때에는 그 종류와 설치장소를 관계시· 도지사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2. 시· 도지사는 표지설치의 통지를 받았을 때에는 지체없이 이를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3. 영구표지설치의 통지는 그 측량성과를 함께 통지하여야 한다.
  4.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은 매년 2회이상 관할구역안에 있는 영구표지 또는 일시표지의 현황을 조사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은 매년 2회이상 관할구역안에 있는 영구표지 또는 일시표지의 현황을 조사하여야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유는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은 자신의 관할구역 안에 있는 영구표지나 일시표지의 현황을 정기적으로 파악하여 유지보수나 관리에 필요한 조치를 취하기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기본측량용역의 경우 측량기술자의 현장배치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초급기술자 3인 이상
  2. 중급기술자 2인 이상
  3. 고급기술자 1인 이상
  4. 고급기술자 1인, 중급기술자 2인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용역은 측량 기술이 비교적 간단하므로, 고급기술자 1인 이상이 현장에 배치되면 충분히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초급기술자나 중급기술자는 보다 복잡한 측량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필요한 인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