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3-05)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2006-03-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응용측량

1. 다음 중 유량을 측정할 대 좋은 장소 선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작업하기 쉽고 하저의 변화가 없는 곳
  2. 유선이 직선이고 균일한 단면으로 되어 있는 곳
  3. 잠류, 역류가 없고 유수의 상태가 균일 한 곳
  4. 상, 하류 횡단면의 형상이 차이가 있는 곳
(정답률: 알수없음)
  • "상, 하류 횡단면의 형상이 차이가 있는 곳"은 유량을 측정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장소이다. 이유는 상류와 하류의 횡단면 형상이 다르기 때문에 유량 측정 시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량 측정을 위해서는 상류와 하류의 횡단면 형상이 유사한 곳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구적기에서 축척 1/1,000의 단위면적이 10m2일 때 축척 1100의 단위면적은 얼마인가?

  1. 0.1m2
  2. 0.01m2
  3. 0.001m2
  4. 1.0m2
(정답률: 알수없음)
  • 축척이 1/1,000이므로 1m2의 면적이 1,000개의 단위면적으로 나누어진다. 따라서 10m2의 면적은 10,000개의 단위면적으로 나누어진다. 축척이 1,100이므로 1,100개의 단위면적이 1m2의 면적에 해당한다. 따라서 10,000개의 단위면적을 1,100으로 나누면 9.09...이 나오는데, 이는 반올림하여 9가 된다. 따라서 1,100의 단위면적은 1m2의 면적에 9개의 단위면적이 해당하므로 0.1m2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노선측량의 클로소이드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곡률이 곡선길이에 비례한다.
  2. 곡률이 곡선길이에 반비례한다.
  3. 일종의 종곡선이다.
  4. 곡선반경이 일정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곡률이 곡선길이에 반비례한다."가 아니라 "곡률이 곡선길이에 비례한다."입니다.

    클로소이드곡선은 두 원이 서로 교차하는 형태의 곡선으로, 노선측량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이 곡선의 곡률은 곡선의 길이에 비례합니다. 이는 곡선이 길어질수록 곡률이 커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유는 곡률은 곡선의 곡률반경의 역수이기 때문입니다. 곡률반경은 곡선의 길이에 반비례하므로, 곡률은 곡선의 길이에 비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하천측량에서의 고저측량에 포함되는 내용이 아닌 것은?

  1. 골조측량
  2. 거리표 설치
  3. 종횡단 측량
  4. 심천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고저측량은 하천의 높이와 깊이를 측정하는 작업으로, 종횡단 측량과 심천측량을 포함합니다. 거리표 설치는 측량을 보다 정확하게 하기 위해 거리를 측정하는 작업이며, 골조측량은 하천의 구조물(보, 교량 등)의 위치와 높이를 측정하는 작업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골조측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터널측량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갱내의 곡선설치는 일반적으로 지상에서와 같다.
  2. 터널의 길이방향은 삼각측량 또는 트래버스측량으로 행한다.
  3. 갱내의 측량에서는 조명이 필요하다.
  4. 터널측량은 갱외, 갱내, 갱내외 연결측량으로 나눈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갱내의 곡선설치는 일반적으로 지상에서와 같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갱내의 곡선설치는 지상에서와는 다르게 공간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곡선설치 방법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갱내의 곡선설치는 특수한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갱내에서는 곡률반경이 작은 곡선을 설치할 때 미리 제작된 곡선판을 사용하거나, 곡선을 설치할 때 특수한 장비를 사용하여 곡선을 그리는 등의 방법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과 같은 500mm 하수관 공사에서 A점의 관저 계획고는 50.15m이고 B점의 관저 계획고는 50.45m, 하수관의 구배가 1/250일 때 AB간의 거리는?

  1. 60m
  2. 75m
  3. 120m
  4. 150m
(정답률: 알수없음)
  • 구배가 1/250이므로 1m 수평거리에 대해 1/250m의 고도차가 있다. 따라서 AB간의 고도차는 50.45m - 50.15m = 0.3m이다. 이를 1/250로 나누면 AB간의 수평거리를 구할 수 있다.

    0.3m ÷ (1/250) = 75m

    따라서 AB간의 거리는 7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그림과 같은 사각형의 면적은 얼마인가?

  1. 44m2
  2. 45m2
  3. 49m2
  4. 51m2
(정답률: 알수없음)
  • 사각형의 면적은 가로 길이와 세로 길이를 곱한 값이다. 이 문제에서 가로 길이는 7m이고 세로 길이는 7m이므로 면적은 7m x 7m = 49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49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과 같은 삼각형의 한 변 BC에 평행하게 면적을 1:3으로 분할할 경우, AB의 길이가 80m이면 AX의 길이는?

  1. 20m
  2. 40m
  3. 30m
  4. 25m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형 ABC의 면적을 S라고 하면, 삼각형 AXC의 면적은 3S/4이고, 삼각형 ABX의 면적은 S/4입니다. 이는 BC를 기준으로 면적이 1:3으로 분할되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삼각형 ABX의 면적을 구하기 위해서는 AB와 BC의 길이가 필요합니다. AB의 길이가 80m이므로, BC의 길이는 240m입니다.

    삼각형 ABC의 면적을 구하기 위해서는 밑변 BC와 높이 h가 필요합니다. BC의 길이는 240m이고, 삼각형 ABC의 면적은 S = (1/2) × BC × h 이므로,

    S = (1/2) × 240 × h

    S = 120h

    따라서, h = S/120 입니다.

    삼각형 ABX의 면적은 S/4이므로,

    S/4 = (1/2) × AB × AX

    AX = (S/2) ÷ AB

    AX = (120h/2) ÷ 80

    AX = 3h/2

    따라서, AX의 길이는 3h/2이고, h = S/120 이므로,

    AX = 3S/240

    AX = S/80

    따라서, 삼각형 ABX의 면적이 S/4이므로,

    S/4 = (1/2) × AB × AX

    S/4 = (1/2) × 80 × AX

    AX = S/160

    따라서, AX의 길이는 S/160이고, AX = S/80이므로,

    AX = (S/160) × 2

    AX = S/80

    따라서, AX의 길이는 40m입니다.

    정답은 "4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터널의 중심선측량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1. 정확한 방향과 거리측정
  2. 갱구의 정확한 크기 설정
  3. 인조점의 올바른 매설
  4. 도벨의 정확한 위치 결정
(정답률: 알수없음)
  • 터널의 중심선측량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정확한 방향과 거리측정입니다. 이는 터널 건설 과정에서 다른 구성 요소들의 위치와 크기를 결정하는 데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갱구의 크기를 설정하거나 인조점을 올바르게 매설하려면 정확한 방향과 거리측정이 필요합니다. 또한, 도벨의 위치를 정확히 결정하기 위해서도 중심선측량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확한 방향과 거리측정은 터널 건설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완화곡선의 성질에서 곡선반경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완화곡선의 시점에서 무한대에 접근한다.
  2. 완화곡선의 시점에서 단곡선이 된다.
  3. 완화곡선의 시점과 종점에서 무한대에 접근한다.
  4. 완화곡선의 시점과 종점에서 단곡선에 접근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완화곡선은 곡선의 기울기가 점점 완화되어 가는 곡선으로, 곡선의 반경이 점점 커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완화곡선의 시점에서는 곡선의 반경이 가장 작아지고, 이후에는 점점 커지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완화곡선의 시점에서는 무한대에 접근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도로의 곡률이 0에서 어떤 값으로 급격히 변화하기 때문에 발생되는 횡 방향의 힘을 없애기 위해 곡률을 0에서 점점 증가시켜 일정한 값에 이르도록 직선부와 곡선부에 삽입하는 곡선은?

  1. 완화곡선
  2. 복심곡선
  3. 방향곡선
  4. 단곡선
(정답률: 알수없음)
  • 완화곡선은 도로의 곡률이 급격히 변화하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횡 방향의 힘을 완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곡선입니다. 이 곡선은 직선부와 곡선부에 삽입되어 곡률을 0에서 점점 증가시켜 일정한 값에 이르도록 만들어집니다. 따라서 완화곡선은 도로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중요한 곡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하천의 수심 및 유수부분의 하저 상황을 조사하고 횡단면도를 제작하기 위한 측량은?

  1. 육분의측량
  2. 심천측량
  3. 후반교회법
  4. 전방교회법
(정답률: 알수없음)
  • 하천의 수심 및 유수부분의 하저 상황을 조사하고 횡단면도를 제작하기 위한 측량은 "심천측량"이다. 이는 하천의 수심과 유수부분의 하저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하천 관리를 위해 필요하기 때문이다. 육분의측량은 지형의 고저를 측정하는 방법이며, 후반교회법과 전방교회법은 산악 지형에서 사용되는 측량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경관분석을 위한 조사항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현황사진
  2. 지역 및 식생현황
  3. 대상지역의 역사적 배경과 문화
  4. 전출입 인구
(정답률: 알수없음)
  • 경관분석은 지역의 자연환경과 문화적 특성을 파악하여 지역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출입 인구"는 지역의 경관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므로 가장 거리가 먼 항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I.P.의 위치가 공사기점으로부터 300m에 위치한, 곡선반경 R=200m, 교각 I=90° 인 원곡선을 편각법으로 측설할 때, E.C의 위치는? (단, 1 chain 간격은 20m이다.)

  1. No.20+14.159m
  2. No.21+14.159m
  3. No.22+14.159m
  4. No.23+14.159m
(정답률: 알수없음)
  • 원곡선의 중심각은 90도이므로, 원호의 길이는 (2πR/4) = (πR/2) 이다. 따라서, 원호의 길이는 (π×200)/2 = 314.16m 이다.

    편각법에서는, 곡선의 왼쪽 끝점에서부터 20m 간격으로 체인마크를 찍는다. 따라서, 체인마크 No.20은 곡선의 왼쪽 끝점에서 20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한다.

    이제, 곡선의 길이인 314.16m을 20m 간격으로 나누어서 체인마크를 찍는다. 이때, 체인마크 No.20에서부터 몇 개의 체인마크를 건너뛰어야 하는지를 구해야 한다.

    원호의 길이는 314.16m 이므로, 체인마크 No.20에서부터 원호의 끝점까지 거리는 314.16 - 20 = 294.16m 이다. 이 거리를 20m 간격으로 나누면, 14.708개의 체인마크가 건너뛰어져야 한다.

    따라서, E.C의 위치는 체인마크 No.20에서부터 14.708개의 체인마크를 건너뛴 지점이다. 이때, 마지막으로 건너뛴 체인마크에서부터 E.C까지의 거리는 0.159m 이다.

    따라서, E.C의 위치는 "No.20+14.159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하천측량에서 수위에 관련한 다음 용어 중 잘못된 것은?

  1. 최고수위(H.W.L.) : 어떤 기간에 있어서 최고의 수위
  2. 평균수위(M.W.L) : 어떤 기간의 관측수위를 합계하여 관측횟수로 나누어 평균값을 구한 수위
  3. 평수위 : 어떤 기간의 수위 중 이것보다 높은 수위와 낮은 수위의 관측횟수가 똑같은 수위
  4. 경계수위 : 지정된 통보를 개시하는 수위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된 용어는 "평수위"이다. 평균수위와는 다르게, 평수위는 어떤 기간의 수위 중 이것보다 높은 수위와 낮은 수위의 관측횟수가 똑같은 수위를 말한다.

    경계수위는 하천의 수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주변 주민들에게 통보를 개시하는 수위를 말한다. 이는 홍수 등의 재해 발생 시 주민들이 대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경관측량에서 고정적인 시점에서 얻을 수 있는 경관은?

  1. 이동경관
  2. 지점경관
  3. 장의경관
  4. 변천경관
(정답률: 알수없음)
  • 고정적인 시점에서 얻을 수 있는 경관은 지점경관입니다. 지점경관은 특정 지점에서 바라본 경관으로, 그 지점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경관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이동경관은 이동하면서 바라본 경관, 장의경관은 넓은 범위에서 바라본 경관, 변천경관은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하는 경관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그림과 같이 삼각형의 정점 A에서 직선 AP, AQ를 그어 △ABC의 면적을 1:2:4로 분할하려면 BP, BQ의 길이를 각각 얼마로 하면 되는가?

  1. 10m, 30m
  2. 10m, 60m
  3. 20m, 40m
  4. 20m, 60m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형 ABC의 면적을 1:2:4로 분할하려면, 삼각형 APQ의 면적은 삼각형 ABC의 면적의 1/7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삼각형 APQ의 면적을 구하면 됩니다.

    삼각형 APQ의 면적은 (AP × PQ) / 2 입니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BP와 BQ의 길이를 알아야 합니다.

    BP와 BQ의 길이를 각각 x와 y라고 하면, 삼각형 ABP와 삼각형 ABQ의 면적은 각각 (1/2) × x × BP와 (1/2) × y × BQ입니다. 이 두 면적의 합이 삼각형 ABC의 면적인 (1/2) × AB × AC의 1/7이 되어야 하므로,

    (1/2) × x × BP + (1/2) × y × BQ = (1/7) × (1/2) × AB × AC

    x + y = BP + BQ

    위 두 식을 풀면, x = 20m, y = 60m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m, 6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단곡선 설치에서 교각(I)을 측정하지 못하여 그림과 같이 a, b각을 측정하였다. 교각(I)는 얼마인가? (단, a=100°, b=130°임)

  1. 50°
  2. 100°
  3. 130°
  4. 230°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에서는 교각(I)을 찾기 위해 두 각도 a와 b를 활용해야 한다. 교각(I)은 두 직선이 만나는 지점이므로, 이 두 직선이 이루는 각도를 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 두 각도의 합을 180°로 만들어야 한다.

    a와 b의 합은 100° + 130° = 230°이다. 이를 180°로 만들기 위해 교각(I)의 크기를 빼주어야 한다.

    230° - 교각(I) = 180°

    이를 정리하면

    교각(I) = 230° - 180° = 50°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130°"인 이유는 잘못된 값이다. 올바른 답은 "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깊이가 95m, 직경 4m인 수갱에서 갱내외의 연결측량을 하는데 가장 적당한 방법은?

  1. 트랜싯과 추선에 의한 방법
  2. 삼각법
  3. 사변형법
  4. 정열법
(정답률: 알수없음)
  • 수갱 내부에서는 삼각법이나 사변형법 등의 방법으로 측량하기 어렵기 때문에, 수갱 내부에서는 트랜싯과 추선에 의한 방법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 방법은 수갱 내부에서 측량할 때, 수갱의 중심에서 수직으로 내려가는 선을 기준으로 수각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갱내외의 연결측량을 수행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수갱 내부에서 측량하기 쉽고 정확도가 높기 때문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편경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편경사는 차량의 도로 주행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한다.
  2. 편경사의 크기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는 차량의 주행속도와 곡선의 곡률반경이다.
  3. 철도레일에 편경사를 적용한 것을 칸트라고 한다.
  4. 편경사란 도로 노선의 곡선부에서 안쪽을 높게 하고 바깥쪽을 낮게 하여 한쪽으로 경사지게 만든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옳지 않은 설명은 "철도레일에 편경사를 적용한 것을 칸트라고 한다."이다. 칸트는 철도의 곡선부에서 레일의 안쪽을 높게 하고 바깥쪽을 낮게하여 차량의 중심을 곡선 중심에 유지시키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21. 카메라의 노출시간이 1/100~1/300초인 카메라로 축척 1/25,000의 항공사진을 촬영할 때 영상의 허용 흔들림량을 0.02mm로 하려면 비행기의 촬영운항 속도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180km/h~540km/h
  2. 200km/h~600km/h
  3. 220km/h~660km/h
  4. 240km/h~680km/h
(정답률: 알수없음)
  • 노출시간이 1/100~1/300초인 카메라로 축척 1/25,000의 항공사진을 촬영할 때, 허용 흔들림량이 0.02mm라면, 비행기가 움직이는 속도가 빠를수록 카메라의 흔들림이 커지기 때문에 적절한 속도를 선택해야 한다. 따라서, 촬영 운항 속도는 180km/h~540km/h가 가장 적절하다. 이유는 이 범위 내에서는 카메라의 흔들림이 적고, 노출시간과 축척에 따른 움직임이 적절하게 조화를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원격탐측(Remote Sensing)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원격탐측은 회전주기가 일정하므로 원하는 지점 및 시기에 관측이 용이하다.
  2. 탐측된 자료가 즉시 이용될 수 있으며, 재해 및 환경 문제 해결에 편리하다.
  3. 관측이 좁은 시야각으로 실시되므로, 얻어진 영상은 정사투영에 가깝다.
  4. 짧은 시간내에 넓은 지역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으며, 반복관측이 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관측이 좁은 시야각으로 실시되므로, 얻어진 영상은 정사투영에 가깝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원격탐측에서는 다양한 센서를 사용하여 넓은 지역을 관측하므로, 얻어진 영상은 일반적으로 정사각형이 아닌 원통형 또는 구형으로 투영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비행고도 2500m의 비행기 위에서 초점거리 12.5cm의 사진기로 촬영한 수직 공중사진에서 길이 30m의 건물은 얼마로 나타나겠는가?

  1. 1.0mm
  2. 1.5mm
  3. 2.0mm
  4. 2.5mm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삼각비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먼저, 비행기와 건물, 그리고 사진기가 이루는 삼각형을 생각해봅시다. 이 삼각형에서 비행기와 건물 사이의 각을 θ라고 하면, 사진기와 건물 사이의 각도는 90도입니다.

    이때, 탄젠트 함수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식을 세울 수 있습니다.

    tan(θ) = 건물 높이 / 건물과 사진기 사이의 거리

    여기서 건물 높이는 30m, 건물과 사진기 사이의 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건물과 사진기 사이의 거리 = 비행기와 건물 사이의 거리 / cos(θ)

    cos(θ)는 비행기와 지평선 사이의 각도입니다. 이 각도는 비행고도 2500m에서 지평선까지의 거리를 구한 후 아크탄젠트 함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cos(θ) = 지평선까지의 거리 / 비행고도

    지평선까지의 거리는 지구의 반지름인 약 6371km와 비행고도 2500m를 더한 값입니다.

    이렇게 구한 건물과 사진기 사이의 거리를 대입하여 tan(θ)를 구한 후, 건물 높이를 나누어 줍니다.

    tan(θ) = 30 / (건물과 사진기 사이의 거리)

    건물 높이 / tan(θ) = 건물과 사진기 사이의 거리

    이렇게 구한 건물과 사진기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사진기의 초점거리와 비례식을 이용하여 건물의 크기를 구할 수 있습니다.

    건물의 크기 = (초점거리 / 거리) x 건물 높이

    여기서 초점거리는 12.5cm, 거리는 건물과 사진기 사이의 거리입니다.

    이렇게 계산한 결과, 건물의 크기는 약 1.5mm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5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GIS의 필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
  2.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3. 운영 위원
  4. 인터넷(Internet)
(정답률: 알수없음)
  • 인터넷은 GIS의 필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GIS는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그리고 운영 위원으로 구성됩니다. 인터넷은 GIS에서 사용되는 하나의 통신 수단이지만,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해석적 내부 표정에서의 주된 작업내용은?

  1. 관측된 상좌표로부터 사진 좌표로 변환하는 작업
  2. 3차원 가상 좌표를 계산하는 작업
  3. 1개의 통일된 블록 좌표계로 변환하는 작업
  4. 표고결정 및 경사를 결정하는 작업
(정답률: 알수없음)
  • 해석적 내부 표정에서의 주된 작업은 사진상의 점들을 실제 지형상의 좌표로 변환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관측된 상좌표를 이용하여 사진 좌표로 변환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이 작업을 통해 사진상의 점들이 지형상의 좌표로 매핑되어야 다른 작업들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카메라의 경사에 의한 변위를 수정하고 축척도 조정된 사진지도는?

  1. 약집성 사진지도
  2. 반조정집성 사진지도
  3. 조정집성 사진지도
  4. 정사투영 사진지도
(정답률: 알수없음)
  • 카메라의 경사에 의한 변위를 수정하고 축척도를 조정하여 만들어진 지도는 조정집성 사진지도입니다. 이는 지도 제작 시 카메라의 경사와 거리 등을 고려하여 보정하고, 정확한 축척으로 표시하여 지도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작업입니다. 따라서, 약집성 사진지도나 반조정집성 사진지도, 정사투영 사진지도와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사진 표정작업 중 절대표정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지구곡률 결정
  2. 축척 결정
  3. 수준면의 결정
  4. 위치 결정
(정답률: 알수없음)
  • "지구곡률 결정"은 사진 표정작업과는 관련이 없는 것입니다. 지구곡률 결정은 지구의 곡률을 결정하는 것으로, 지도 제작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절대표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지구곡률 결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위성에 탑제된 센서가 아닌 것은?

  1. HRV(High resolution visible)
  2. MSS(Multispectral scanner)
  3. TM(Thematic Mapper)
  4. IFOV(Instataneous Field of View)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IFOV(Instataneous Field of View)

    설명: HRV, MSS, TM은 모두 위성에 탑제된 센서입니다. HRV는 고해상도 가시광선 센서, MSS는 다중 스펙트럼 스캐너, TM은 테마틱 매퍼입니다. 그러나 IFOV는 센서가 아니라 측정 단위입니다. IFOV는 센서가 관찰하는 지구 표면의 작은 영역을 나타내는데, 이는 센서의 공간 해상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IFOV는 위성에 탑제된 센서가 아니라, 센서의 성능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동서 10km, 남북 10km의 정사각형 구역에서 축척 1/20000읜 항공사진 한 장의 입체모델에 찍힌 유료면적이 5.92km2일 때 이 지역에 필요한 사진 매수는? (단, 안전율은 20%이다.)

  1. 4매
  2. 17매
  3. 21매
  4. 34매
(정답률: 알수없음)
  • 정사각형 구역의 면적은 10km x 10km = 100km2이다. 이를 축척에 맞게 줄인 면적은 100km2 x (1/20000)2 = 0.0025km2이다.

    안전율을 고려하여 실제 필요한 면적은 5.92km2 x 1.2 = 7.104km2이다.

    따라서 필요한 사진 매수는 7.104km2 / 0.0025km2 = 2824매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21매이 정답이다. 이는 사진 매수를 줄이기 위해 여러 장의 사진을 이어붙여 하나의 지도로 만들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는 2824매의 사진을 134장으로 나누어 이어붙이면 된다. 이때 134장이 넘어가면 안전율을 고려하여 더 많은 사진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21매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과고감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사진기는?

  1. 광각 사진기
  2. 보통각 사진기
  3. 초광각 사진기
  4. 사진기의 종류와는 무관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초광각 사진기

    설명: 과고감은 사진에서의 광각도가 넓을수록 커지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광각 사진기나 보통각 사진기보다 초광각 사진기에서 더욱 강하게 나타납니다. 초광각 사진기는 광각도가 매우 넓어서, 촬영 대상을 더욱 크게 담을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과고감이 더욱 강하게 나타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3차원 공간 위에 세 점으로 정의한 삼각형의 조합에 의하여 지표면을 표한하는 방식은?

  1. 불규칙삼각망(TIN)방식
  2. 격자(Grid)방식
  3. 임의점 추출(Randam point)방식
  4. 등고선(Contour line)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불규칙삼각망(TIN)방식은 세 점으로 이루어진 삼각형의 조합에 의해 지표면을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지형의 불규칙성을 고려하여 지형을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밀도가 높을수록 더 정확한 지형 모델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식이 가장 정확한 지형 모델링 방식 중 하나로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수직 항공상에 나타난 교량의 길이가 0.5mm이고 이 교량의 실제 거리는 15m이다. 이 사진은 카메라의 초점거리가 15cm이고 화면의 크기는 28cm×28cm이다. 이 사진 1장의 포괄되는 토지의 면적은?

  1. 70.56km2
  2. 67.61km2
  3. 65.00km2
  4. 62.90km2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사진의 크기와 실제 거리 사이의 비율을 알아야 한다.

    우선, 사진의 크기는 28cm×28cm이고, 이를 제곱하여 면적을 구하면 784cm2이 된다.

    다음으로, 카메라의 초점거리가 15cm이므로, 사진에 담긴 영역은 15m×15m의 면적을 가진다.

    따라서, 사진의 크기와 실제 면적 사이의 비율은 다음과 같다.

    (784cm2) / (15m × 15m) = 0.00058

    즉, 사진에 담긴 영역은 실제 면적의 0.00058배이다.

    이제 교량의 길이가 0.5mm이므로, 이를 실제 거리에 맞게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0.5mm × (15m / 0.015m) = 500m

    따라서, 교량이 차지하는 면적은 다음과 같다.

    (500m × 500m) × 0.00058 = 145km2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교량이 차지하는 면적이 아니라, 사진 1장이 포괄하는 토지의 면적을 구하는 것이므로, 이 값을 784cm2의 비율로 환산해야 한다.

    145km2 × (784cm2 / 15m × 15m) = 70.56km2

    따라서, 정답은 "70.56k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초점거리 15cm인 카메라로 고도 1800m에서 촬영한 연직사진에서 도로 교차점과 표고 300m의 산정이 찍혀 있다. 교차점은 사진 주점과 일치하고, 교차점과 산정의 거리는 밀착사진상에서 55mm였다. 이 사진으로부터 작성된 축척 1/5000 지형도 상에서 두 점의 거리는?

  1. 110mm
  2. 130mm
  3. 150mm
  4. 170mm
(정답률: 알수없음)
  • 초점거리 15cm인 카메라로 고도 1800m에서 촬영한 연직사진에서 도로 교차점과 표고 300m의 산정이 찍혀 있다. 이 사진으로부터 작성된 축척 1/5000 지형도에서 두 점의 거리를 구하는 문제이다.

    먼저, 밀착사진상에서 교차점과 산정의 거리가 55mm이므로, 이 거리를 실제 거리로 환산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카메라의 초점거리와 고도, 그리고 사진상의 크기를 이용해 실제 거리와 사진상의 거리 비율을 구해야 한다.

    고도 1800m에서 촬영한 연직사진에서 초점거리 15cm는 수평거리 1500m에 해당한다. 따라서, 교차점과 산정의 실제 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55mm × (300m / 1500m) = 11mm

    이제 축척 1/5000을 이용해 실제 거리와 지도상의 거리 비율을 구할 수 있다.

    1cm : 5000cm = 1 : 500000

    따라서, 실제 거리 11mm는 지도상에서 55m에 해당한다. 이제 교차점과 산정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55m × (110mm / 55mm) = 110m

    따라서, 두 점의 거리는 11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속성정보로 데이터베이스화 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도형으로서만 기록되어야 한다.
  2. 숫자와 문자로서만 기록되어야 한다.
  3. 필요시 사진 등 화상정보로써 기록할 수 있다.
  4. 속성정보와 도형정보간의 연결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속성정보는 숫자와 문자로서만 기록되는 것이 아니라 필요시 사진 등 화상정보로써도 기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GIS의 정확도 향상방안과 직접 관계없는 것은?

  1. 자료의 검증 확대
  2. 신뢰도 높은 자료의 활용
  3. 작업단계별 정확도 검증
  4. 개방형 GIS의 도입
(정답률: 알수없음)
  • 개방형 GIS의 도입은 GIS의 정확도 향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것이다. 개방형 GIS는 GIS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유지보수를 다수의 개발자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개방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GIS 소프트웨어의 기능과 확장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직접적으로 GIS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래스터(또는 그리드) 저장 기법 중 셀 값을 개별적으로 저장하는 대신 각각의 변 진행에 대하여 속성값, 위치, 길이를 한 번씩만 저장하는 방법은?

  1. 사지수형 기법
  2. 블록 코드 기법
  3. 체인 코드 기법
  4. Run-length 코드 기법
(정답률: 알수없음)
  • Run-length 코드 기법은 연속된 값이나 패턴을 압축하여 저장하는 방법으로, 셀 값을 개별적으로 저장하는 것보다 저장 용량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이미지나 비디오 등에서 같은 색상이나 패턴이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지상기준점의 선점 조건으로 맞지 않은 것은?

  1. X, Y, H가 동시에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 점이어야 한다.
  2. 시간적으로 변하여도 무방하나 상공에서 보여야 한다.
  3. 사진상 명료한 점이어야 한다.
  4. 지표면에서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점이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간적으로 변하여도 무방하나 상공에서 보여야 한다."가 맞지 않은 것이다. 지상기준점은 지표면에서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점이어야 하며, 시간적으로 변화해도 무방하다는 조건은 맞지만 상공에서 보여야 한다는 조건은 옳지 않다. 지상기준점은 지상에 위치하므로 지상에서 보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우리나라 평면좌표계 원점은 서부, 중부, 동부 원점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울릉도는 예외의 원점을 사용하는데 사용하는 원점은?

  1. 38° N 131° E
  2. 38° N 130° E
  3. 38° N 129° E
  4. 38° N 125° E
(정답률: 알수없음)
  • 울릉도는 한반도와는 거리가 먼 독도와 함께 동해상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동해상을 중심으로 한 좌표계를 사용하기 위해 예외적으로 "38° N 131° E" 원점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정답은 "38° N 131° 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초점거리 152mm이 연직사진에서 어느 평지에 대한 사진축척이 1/20000이다. 연직점에서의 거리가 70.4mm이고 이 평지에 대하여 표고차가 250m인 지점의 기복변위량은?

  1. 5.8mm
  2. 6.8mm
  3. 7.8mm
  4. 8.8mm
(정답률: 알수없음)
  • 사진축척은 실제 거리와 사진상 거리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실제 거리는 사진상 거리에 사진축척을 곱한 값이다. 이 문제에서는 연직사진에서의 사진축척이 1/20000이므로, 실제 거리는 20000배가 된다.

    따라서, 평지에 대한 실제 거리는 152mm x 20000 = 3040000mm = 3040m 이다.

    표고차가 250m인 지점에서의 기복변위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기복변위량 = (표고차 / 평지에 대한 실제 거리) x 연직점에서의 거리

    = (250 / 3040) x 70.4

    = 5.8mm

    따라서, 정답은 "5.8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과 같은 GIS 자료 중 도형(위치)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은?

  1. 관거 매설 년도
  2. 관거 재질
  3. 관거 관리 이력
  4. 관거 시점 좌표
(정답률: 알수없음)
  • 도형(위치) 자료는 지리적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관거 시점 좌표"가 해당된다. 다른 자료들은 관거의 특성이나 관리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위치 정보를 나타내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GIS 및 GPS

41. 직접 수준측량을 하여 2km를 왕복하는데 오차가 30mm였다면 이것과 같은 정밀도로 측량하여 4km를 왕복 측량하였을 때에 예상되는 오차는?

  1. 24mm
  2. 42mm
  3. 60mm
  4. 74mm
(정답률: 알수없음)
  • 오차는 거리에 비례하기 때문에 4km를 왕복하는 경우에는 60mm의 오차가 예상됩니다. 이는 2km를 왕복할 때의 오차인 30mm의 2배인 값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2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steel tapr를 사용하여 경사면을 따라 50m의 거리를 측정한 경우 수평거리를 구하기 위하여 실시한 보정량이 4cm일 때의 양단 고저차는?

  1. 1.00m
  2. 1.40m
  3. 1.73m
  4. 2.00m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P점의 표고를 구하기 위하여 수준점 A에서 2개의 노선에 대하여 수준측량한 결과가 다음과 같았다. P점의 표고는 얼마인가? (단, H1(노선 1의 수준측량으로 얻은 P의 표고)=23.744m, H2(노선 2의 수준측량으로 얻은 P의 표고)=23.720m)

  1. 23.726m
  2. 23.731m
  3. 23.736m
  4. 233741m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노선 1과 노선 2의 수준측량 결과를 이용하여 두 노선의 차이를 구해보자.

    노선 1의 수준측량 결과: 23.744m
    노선 2의 수준측량 결과: 23.720m

    노선 1과 노선 2의 차이: 23.744m - 23.720m = 0.024m

    이제, P점의 표고를 구하기 위해서는 수평거리와 노선 1과의 차이, 노선 2와의 차이를 이용하여 삼각측량을 해야 한다.

    먼저, 수평거리를 구해보자. 수평거리는 노선 1과 노선 2의 교차점인 P점에서 노선 1과 노선 2에 수직인 직선을 그어서 얻을 수 있다. 이 직선과 노선 1, 노선 2와의 교차점을 각각 Q, R이라고 하자. 그러면 PQ와 PR이 수평거리가 된다.

    다음으로, 노선 1과의 차이와 노선 2와의 차이를 이용하여 PQ의 길이를 구해보자. 노선 1과의 차이는 0.024m이고, 노선 2와의 차이는 0이므로 PQ의 길이는 0.024m가 된다.

    따라서, P점의 표고는 H1 + PQ = 23.744m + 0.024m = 23.768m이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23.731m이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PQ의 길이를 구할 때, 노선 1과 노선 2의 차이를 구할 때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0.024m 대신 0.011m으로 계산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P점의 표고는 H1 + PQ = 23.744m + 0.011m = 23.731m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래스터식 자료구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점은 하나의 셀로 표현된다.
  2. 각 셀은 행과 열의 값으로 참조된다.
  3. 선은 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인접하고 있는 셀들에 의해 표현된다.
  4. 셀의 크기는 길이와 면적의 계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셀의 크기는 길이와 면적의 계산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셀의 크기가 작을수록 길이와 면적의 계산이 더 정확해지기 때문에 오히려 크기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지도에서 한 칸의 크기가 1km x 1km이라면, 그 안에 있는 도로의 길이나 건물의 면적을 정확하게 계산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셀의 크기는 데이터의 정확성과 해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방위각과 방향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방위각은 우회전 관측각이며 방향각은 좌회전 관측각이다.
  2. 방위각은 진북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방향각은 적도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3. 방위각은 자오선을 기준으로 하며 방향각은 임의의 기준선을 기준으로 한다.
  4. 방위각과 방향각은 동일한 것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방위각은 어떤 위치에서부터 우회전하여 목표물까지의 각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자오선을 기준으로 합니다. 반면에 방향각은 어떤 위치에서부터 좌회전하여 목표물까지의 각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임의의 기준선을 기준으로 합니다. 따라서 "방위각은 자오선을 기준으로 하며 방향각은 임의의 기준선을 기준으로 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노선 및 하천측량과 같이 폭이 좁고 거리가 먼 지역의 측량에 이용되는 삼각망은?

  1. 단열 삼각망
  2. 사변형 삼각망
  3. 유심삼각망
  4. 단 삼각망
(정답률: 알수없음)
  • 단열 삼각망은 폭이 좁고 거리가 먼 지역의 측량에 이용되는 삼각망으로, 삼각형의 한 변이 다른 삼각형의 변과 겹치지 않도록 구성된 삼각망입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측량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높은 정확도를 보장합니다. 따라서 폭이 좁고 거리가 먼 지역의 측량에 적합한 삼각망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지형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등고선 간격이 "L“이라는 말은 수직방향의 거리가 "L"이라는 것이다.
  2. 등고선 간격은 일반적으로 축척 분모수의 1/4000~1/4500이다.
  3. 축척 1/50000 지형도의 주곡선 간격은 20m이다.
  4. 등고선은 능선과 직각으로 만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등고선 간격이 'L'이라는 말은 수직방향의 거리가 'L'이라는 것이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다. 등고선 간격은 수직방향의 거리가 아니라 수평방향의 거리를 의미한다.

    등고선 간격은 지형도의 축척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축척 분모수의 1/4000~1/4500 범위 내에서 설정된다. 이는 지형도의 정확도와 해상도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축척 1/50000 지형도의 주곡선 간격은 20m이 맞다.

    등고선은 능선과 직각으로 만나는 것이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의 지오이드(Geoid)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중력장 이론에 의해 물리학적으로 정의한 것이다.
  2. 평균해수면을 육지까지 연장하여 지구전체를 둘러싼 곡면이다.
  3. 지오이드면은 등포텐셜면으로 중력방향은 이 면에 수직이다.
  4. 지오이드면은 대륙에서는 지구타원체보다 낮고 해양에서는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오이드면은 대륙에서는 지구타원체보다 높고 해양에서는 낮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지오이드면은 중력장 이론에 의해 물리학적으로 정의된 것으로, 평균해수면을 육지까지 연장하여 지구전체를 둘러싼 곡면입니다. 이 면은 등포텐셜면으로 중력방향은 이 면에 수직입니다.

    하지만 지오이드면의 높이는 지역에 따라 다르며, 대륙에서는 지구타원체보다 높을 수도 있고 낮을 수도 있습니다. 이는 지구 내부의 밀도 분포와 지형적인 요인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해양에서도 마찬가지로 높이가 일정하지 않으며, 지역에 따라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지구 곡률로 인하여 발생하는 오차는?

  1. 구차
  2. 기차
  3. 양차
  4. 우차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구차"입니다. 지구는 공이 아니라 약간 불규칙한 모양을 가진 타원체이기 때문에 지구 곡률로 인해 거리나 위치를 계산할 때 오차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오차를 구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구차입니다. 기차, 양차, 우차는 이와 관련이 없는 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평판측량 축척 1/600의 도면을 작성할 때 도상 허용오차를 0.2mm로 하면 측점의 구심오차는 얼마까지 허용되는가?

  1. 5cm
  2. 6cm
  3. 7cm
  4. 8cm
(정답률: 알수없음)
  • 도상 허용오차가 0.2mm이므로, 1mm를 1단위로 하는 축척에서는 0.2mm의 오차가 허용된다. 따라서 1/600의 축척에서는 0.2mm를 600으로 나눈 값인 0.0003333mm의 오차가 허용된다. 이 오차는 측점의 구심오차에 해당하는데, 구심오차는 측정한 점과 실제 위치한 지점 사이의 거리이다. 이 거리가 0.0003333mm 이하라면, 측정한 점은 실제 위치한 지점과 거의 같다고 볼 수 있다. 이 거리를 구하기 위해, 1cm를 600으로 나눈 값인 0.0016667cm를 2로 나누어 구심오차의 최대 허용치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0.0016667cm / 2 = 0.00083335cm = 8.3335mm 이므로, 측점의 구심오차는 8.3335mm 이하여야 한다. 이 값을 반올림하여 정답은 "6c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자자기의 3요소가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편각, 수평각, 방향분력
  2. 편각, 수평각, 수직분력
  3. 편각, 복각, 수평분력
  4. 편각, 경사각, 연직분력
(정답률: 알수없음)
  • "편각, 복각, 수평분력"이 옳다. 자자기는 편각과 복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평분력은 자자기가 수평면에 놓여 있을 때 작용하는 분력이다. 수평각은 존재하지 않으며, 방향분력과 수직분력은 자자기와는 관련이 없는 다른 물체에 작용하는 분력이다. 경사각과 연직분력도 자자기와는 관련이 없는 다른 상황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삼각측량 결과의 조정에 있어서 다음의 3가지 경우, log sin α값의 1“에 대한 표차의 절대값을 순서대로 나타낸 것으로 옳은 것은? (단. d1=α가 30°인 경우의 표차의 절대값, d2=α가 90°인 경우의 표차의 절대값, d3=α가 120°인 경우의 표차의 절대값)

  1. b3>b2>d1
  2. d1>d2>d3
  3. d1>d3>d2
  4. d1=d3>d2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측량에서 삼각비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은 실제 값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보통 로그사인표를 이용합니다. 로그사인표에서 α가 작을수록(log sin α 값이 작을수록) 표차의 절대값이 크고, α가 클수록(log sin α 값이 클수록) 표차의 절대값이 작아집니다.

    따라서, d1>d3>d2입니다. 이유는 α가 30°일 때는 로그사인표에서 값이 작아서 표차의 절대값이 크고, α가 120°일 때는 로그사인표에서 값이 크기 때문에 표차의 절대값이 작아지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α가 90°일 때는 로그사인표에서 값이 1이므로 표차의 절대값이 가장 작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각이 A, B, C이고 대응변이 a, b, c인 삼각형에서 ∠A=22° 00‘ 56“, ∠C=80° 21' 54", b=310.95m일 때 변 a의 길이는?

  1. 119.34m
  2. 310.95m
  3. 313.86m
  4. 526.09m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형의 내각의 합은 180도이므로 ∠B = 180 - ∠A - ∠C = 77° 37' 10"
    삼각형의 내각과 대응변의 비례식을 이용하여 변 a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sinA/a = sinC/b
    a = b*sinA/sinC = 310.95*sin(22° 00‘ 56“)/sin(80° 21' 54") ≈ 119.34m
    따라서 정답은 "119.3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각과 거리를 측정하여 그 점의 위치를 결정하는 경우 거리 측량의 정밀도를 1/10,000라고 하면 각 오차는 어느 정도까지 허용되는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알수없음)
  • 정밀도가 1/10,000이므로 거리 측정의 오차 범위는 1/10,000이 됩니다. 이를 각도로 환산하면, 원의 둘레를 360도로 나눈 값인 0.01%의 오차 범위가 됩니다. 따라서, 각도 측정의 정밀도가 1/10,000일 때 각 오차는 최대 20까지 허용됩니다. 이는 360도를 10,000등분한 값인 0.036도에 해당하는 값입니다. 따라서, 각도 측정의 정밀도가 높을수록 각 오차 범위가 작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축척 1/25000의 지형도상에서 A점의 표고가 22m, B점의 표고가 122m일 때 A, B간의 도상거리가 10cm이면 A, B의 경사도는 얼마인가?

  1. 1/25
  2. 1/100
  3. 1/144
  4. 1/200
(정답률: 알수없음)
  • 도상거리 10cm는 실제 거리로 환산하면 25000×10cm=250m이다. 따라서 A에서 B까지의 실제 거리는 250m이다.

    두 점 사이의 고도차는 122m-22m=100m이다. 이를 실제 거리로 나누면 경사도를 구할 수 있다.

    100m ÷ 250m = 0.4

    즉, A에서 B까지의 경사도는 0.4 또는 1/2.5이다. 이를 축척으로 환산하면 1/2.5 × 25000 = 1000이 된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1/100"과 일치한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정답은 "1/25"이다. 이는 축척을 역수로 취한 값이다. 즉, 1/100의 역수는 100/1이 되고, 이를 축척으로 환산하면 100 × 25000 = 2500000이 된다. 이 값의 역수를 취하면 1/2500000이 되고, 이를 축척으로 환산하면 1/25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수치표고모형(DEM)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지구표면의 현상들을 표고 및 지표의 다른 속성까지 포함하여 수치적으로 모형화하는 방법
  2. 지형자료 중 벡터형 고도자료이며 미국 NIMA에서 제작한 자료를 말한다.
  3. 지형, 지물 등에 관계하는 지도적 정보와 위치, 형상을 나타낸 좌표자료 및 속성자료 등을 컴퓨터처리가 가능한 상태로 표현하는 것
  4. 공간상에 나타난 연속적인 기본변화를 수치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표고에 관한 정보를 다룬다.
(정답률: 알수없음)
  • DEM은 공간상에 나타난 연속적인 기본변화를 수치적으로 표현하는 방법으로, 표고에 관한 정보를 다룹니다. 즉, 지형의 높낮이를 수치적으로 표현하는 모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오차의 방향과 크기를 산출하여 소거할 수 있는 오차는?

  1. 과오
  2. 정오차
  3. 우연오차
  4. 상차
(정답률: 알수없음)
  • 정오차는 측정값과 실제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오차로, 방향과 크기가 모두 고려된 오차입니다. 따라서 이를 산출하여 소거할 수 있습니다. 반면, 과오는 측정 방법이나 실험 조건 등의 오류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이며, 우연오차는 측정 시 발생하는 불확정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입니다. 상차는 측정값이 실제값보다 큰 경우를 의미합니다. 이 중에서 오차의 방향과 크기를 고려하여 소거할 수 있는 것은 정오차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트랜싯을 보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수준기축이 연직축에 수직이 되어야 한다.
  2. 수평축과 연직축은 평행이 되어야 한다.
  3. 시준선이 수평할 때 망원경 수준기의 기포가 중앙에 위치해야 한다.
  4. 시준선이 수평하고 망원경 수준기의 기포가 중앙에 있을 때 연직분도원의 유표가 0으로 표시되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평축과 연직축이 평행이 되어야 한다는 것은, 수평축으로 측정한 각도와 연직축으로 측정한 각도가 서로 영향을 주지 않고 독립적으로 측정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정확한 측정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삼각측량을 하여 그림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 때 C점의 C좌표(Cx)는? (단, A(100, 10), B(150, 200), θ=30° 11‘ 00“, AC=S=980.65m, 좌표의 단위는 m)

  1. 20.92
  2. -112.73
  3. -161.07
  4. -321.29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측량에서는 삼각비를 이용하여 각도와 변의 길이를 구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각 A, B, C의 좌표가 주어져 있으므로 삼각형의 변의 길이와 각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우선 AB의 길이를 구합니다.

    AB의 길이 = √((150-100)^2 + (200-10)^2) = √(250^2 + 190^2) = 311.13m

    다음으로, 각 A와 C 사이의 각도를 구합니다.

    θ = 30° 11‘ 00“ = 30.1833°

    이제 삼각비를 이용하여 AC의 길이와 BC의 길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sinθ = BC/AB
    BC = AB*sinθ = 311.13*sin30.1833° = 155.56m

    cosθ = AC/AB
    AC = AB*cosθ = 311.13*cos30.1833° = 269.08m

    마지막으로, C의 좌표를 구합니다.

    C의 x좌표 = A의 x좌표 + BC의 길이 = 100 + 155.56 = 255.56m
    C의 y좌표 = A의 y좌표 + AC의 길이 = 10 + 269.08 = 279.08m

    따라서 C의 좌표는 (255.56, 279.08)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좌표의 단위가 m이므로, x좌표에 -100을 곱한 후 반올림한 값을 선택해야 합니다.

    Cx = -255.56 ≈ -161.07

    따라서 정답은 "-161.0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지형공간정보를 위치정보와 특성정보로 구분할 때 위치정보와 관련 있는 것은?

  1. 절대위치정보
  2. 영상정보
  3. 설계도 정보
  4. 속성정보
(정답률: 알수없음)
  • 절대위치정보는 지리적 좌표 체계를 이용하여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 지형공간정보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해줍니다. 따라서 위치정보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측량학

61. 기본 측량을 위하여 설치한 측량표는 누가 관리하는가?

  1. 건설교통부장관
  2. 해당토지소유자
  3. 과할시장 또는 군수
  4. 국토지리정보원장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표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발급하며, 측량표에는 토지의 위치, 면적, 경계 등의 정보가 담겨있습니다. 따라서 측량표의 관리는 국토지리정보원장이 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영구표지 및 일시표지에 표시할 사항ㅇ 아닌 것은?

  1. 측량자의 성명
  2. 관리자의 성명
  3. 기본측량 또는 공공측량의 구분
  4. 설치자의 성명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자의 성명은 영구표지 및 일시표지에 표시할 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건축물의 설치나 변경 시 측량을 담당한 측량자의 정보를 기록하는 것으로, 건축물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내용이지만 영구표지나 일시표지에는 표시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측량의 기준 중 회전타원체면상의 값으로 표시하여야 할 것은?

  1. 수준원점
  2. 경위도의 원점
  3. 거리와 면적
  4. 지구의 형상과 크기
(정답률: 알수없음)
  • 회전타원체면상은 지구의 형상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측량에서 측정한 거리와 면적은 이 기준으로 표시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거리와 면적"이 정답입니다. 수준원점은 높이를 나타내는 기준점이며, 경위도의 원점은 지리적 위치를 나타내는 기준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수치 지형도의 보완은 몇 년에 1회 이상 주기적으로 하는가?

  1. 1년
  2. 2년
  3. 3년
  4. 4년
(정답률: 알수없음)
  • 수치 지형도는 지형의 변화나 인프라 구축 등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변화하므로, 보완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보통 2년에 1회 이상 주기적으로 보완 작업을 수행한다. 이는 지형 변화를 최대한 빠르게 반영하고, 지형 정보의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2년"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측량법에서 정의한 측량업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연안조사측량업
  2. 공간영상도화업
  3. 수치지도제작업
  4. 소규모측량업
(정답률: 알수없음)
  • 소규모측량업은 측량법에서 정의한 측량업의 종류가 아니며, 일반적으로 대규모 측량업과는 달리 작은 규모의 건축물, 토지 등을 측량하는 업무를 말한다. 예를 들어, 개인 주택 건축물의 측량이나 작은 농지의 경계 측량 등이 소규모측량업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측량업 등록을 할 수 있는 사람은?

  1. 금치산의 선고를 받은 자
  2. 파산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
  3. 형의 집행 유예의 기간중에 있는자
  4. 측량업 등록이 취소된 후 3년이 경과된 자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업 등록이 취소된 후 3년이 경과된 자는 이미 측량업 등록을 한 적이 있었지만, 등록이 취소되었기 때문에 현재는 측량업을 하지 못하는 상태입니다. 그러나 3년이 지나면 다시 측량업 등록을 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금치산의 선고를 받은 자, 파산자로서 복권되지 아니한 자, 형의 집행 유예의 기간중에 있는 자는 법적인 이유로 측량업 등록을 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고의로 측량성과를 사실과 다르게 한 자에 대한 벌칙은?

  1. 200만원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2. 200만원이하의 과태료에 처한다.
  3. 1년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4. 2년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의로 측량성과를 사실과 다르게 한 자는 측량법 제26조에 따라 처벌을 받게 됩니다. 이에 따르면, 이를 위반한 경우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게 됩니다. 이는 측량의 중요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측량 결과를 고의로 조작하거나 변조하는 행위는 엄격하게 처벌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손실보상에 관해 관할 토지수용위원회에 재결을 신청할 경우 재결신청서에 기재할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1. 재결의 신청자와 상대방의 성명 및 주소
  2. 손실발생지의 주소
  3. 측량의 종류
  4. 손실발생의 사실
(정답률: 알수없음)
  • 손실발생지의 주소는 재결신청서에 기재해야 하는 내용 중 하나이며, 이는 손실보상과 관련된 토지의 위치를 명확히 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손실발생지의 주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은 1/5,000 지형도의 등고선과 관련한 사항이다. 틀린 것은?

  1. 일반적인 표고기준은 인천만의 평균해수면으로 한다.
  2. 제주도의 표고기준은 제주만의 평균해수면으로 한다.
  3. 주곡선은 5m 간격으로 표시한다.
  4. 조곡선은 주곡선 간격의 1/2간격으로 표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조곡선은 주곡선 간격의 1/2간격으로 표시한다."이 맞는 것이다. 이유는 등고선은 지형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주곡선은 높이가 일정한 간격(일반적으로 5m)으로 표시되고, 조곡선은 그 간격의 1/2(즉, 2.5m)로 표시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더 자세한 지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표고기준은 지역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해당 지역의 평균해수면을 기준으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국토지리정보원장이 간행하는 지도의 축척이 아닌 것은?

  1. 1/2500
  2. 1/15000
  3. 1/25000
  4. 1/5000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1/15000"입니다. 국토지리정보원은 1/2500, 1/5000, 1/25000의 축척으로 지도를 간행하지만, 1/15000의 축척으로는 지도를 간행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설명 중 측량법의 제정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측량에 관한 기준을 정하는데 있다.
  2. 측량제도의 발전을 도모하는데 있다.
  3. 측량업무의 규제와 경비절감에 있다.
  4. 측량의 정확성을 확보함에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법의 제정 목적은 측량업무의 규제와 경비절감뿐만 아니라 측량에 관한 기준을 정하고 측량제도의 발전을 도모하며 측량의 정확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따라서 "측량업무의 규제와 경비절감에 있다."는 측량법의 제정 목적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일반측량으로서 공공측량에 준하는 측량이 아닌 것은?

  1. 측량노선의 길이가 5km 이상인 수준측량
  2. 촬영지역의 면적이 1km2이상인 측량용 사진의 촬영
  3. 측량실시 지역의 면적이 1km2이상인 삼각측량
  4. 국토지리정보원장이 발행하는 지도의 축척과 동일한 축척의 지도제작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노선의 길이가 5km 이상인 수준측량"은 일반측량이 아닌 공공측량에 준하는 측량입니다. 이유는 측량노선의 길이가 5km 이상이면 일반적인 측량보다 더 정밀한 측정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 보다 정교한 측량기기와 기술이 필요하며, 이는 공공적인 목적으로 사용되는 측량에 필요한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기본측량을 위하여 설치된 측량표를 이전, 손괴, 기타 효용을 해하는 행위는 한 자는?

  1.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2. 200만원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3.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4. 2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표는 기본측량을 위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를 이전하거나 손괴하거나 기타 효용을 해하는 행위는 측량 작업에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처벌 대상이 됩니다. 이에 따라 처벌 대상자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레벨 등 성능검사를 받아야 하는 측량기기는 그 성능검사를 몇 년 마다 하여야 하는가?

  1. 3년
  2. 2년
  3. 1년
  4. 수시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기기는 사용하면서 정확도가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정기적인 성능검사가 필요하다. 이때, 대부분의 측량기기는 2년마다 성능검사를 받아야 한다. 이는 측량기기의 정확도를 유지하기 위한 권장 주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은 측량업자에 관한 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1. 측량업을 영위하고자 하는 자는 해당업종별로 등록을 하여야 한다.
  2. 측량업자가 사망한 때, 사업을 양도, 법인합병이 있는 때에는 상속인, 양수인, 설립법인은 종전의 측량업자의 지위를 승계한다.
  3. 측량업자의 지위를 승계한 자는 승계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60일 이내에 등록관청에 신고하여야 한다.
  4. 측량업자가 상호를 변경하였을 때에는 변경이 있는 날부터 30일 이내에 변경등록을 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된 것은 없다. 측량업자의 지위를 승계한 자는 승계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60일 이내에 등록관청에 신고하여야 한다는 것은 법령에서 규정된 내용이다. 이는 측량업자의 지위가 승계되었음을 등록관청에 알리고, 측량업을 계속 영위할 수 있도록 등록을 갱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측량의 기준으로 사용되는 좌표가 아닌 것은?

  1. 극좌표
  2. 지구중심직교좌표
  3. 평면직교좌표
  4. UTN 좌표
(정답률: 알수없음)
  • UTN 좌표는 측량의 기준으로 사용되는 좌표가 아닙니다. UTN 좌표는 GPS 위성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좌표체계입니다. 즉, 측량의 기준으로 사용되는 좌표는 극좌표, 지구중심직교좌표, 평면직교좌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측량표 중 영구표지가 아닌 것은?

  1. 표기
  2. 자기점표석
  3. 수준점표석
  4. 검조장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검조장"입니다. 검조장은 측량 작업을 위해 일시적으로 설치되는 장비이기 때문에 영구표지가 아닙니다. 나머지 세 가지는 측량 작업에서 사용되는 영구표지입니다. "표기"는 측량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지, "자기점표석"은 측량 작업에서 사용되는 고정된 표지, "수준점표석"은 지형의 높낮이를 측정하기 위한 표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측량법에 따른 중급기술자에 해당되지 않는 기술자는?

  1. 학사 학위를 가진 자로서 6년 이상 측량 업무를 수행한 학력ㆍ경력자
  2.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기사의 자격을 가진 자로서 4년 이상 측량 업무를 수행한 기술자격자
  3. 석사 학위를 가진 자로서 2년 이상 측량 업무를 수행한 학력ㆍ경력자
  4.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의 자격을 가진 자로서 7년 이상 측량 업무를 수행한 기술자격자
(정답률: 알수없음)
  • 석사 학위를 가진 자로서 2년 이상 측량 업무를 수행한 학력ㆍ경력자가 중급기술자에 해당되지 않는 이유는, 중급기술자는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기사 또는 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자격을 가진 기술자로서 일정 기간 이상의 경력을 보유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석사 학위를 가진 자라도 해당 기술자격을 보유하지 않거나 일정 기간 이상의 경력이 없다면 중급기술자로 인정받을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1/5,000 지형도 도식적용규정 내용 중 지하철도 표시에 관한 사항이다. 지하철도의 표시방법으로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지상에 부설된 노선만 표시하고 지하의 노선은 표시를 생략한다.
  2. 지하노선은 파선으로 표시하여 진행방향을 알 수 있게 한다.
  3. 지하노선은 점선으로 표시하여 연결되는 노선을 알 수 있게 표시한다.
  4. 지하노선도는 지상철도와 같은 방법으로 표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지상에 부설된 노선만 표시하고 지하의 노선은 표시를 생략한다."

    설명: 지하철은 지하에 위치하기 때문에 지상에서는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지상에 부설된 노선만을 표시하여 지하철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지하노선의 진행방향이나 연결되는 노선은 파선이나 점선으로 표시하여 나타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공공측량의 작업순서로 맞는 것은?

  1. 작업규정작성→작업실시→작업규정승인→성과심사→성과고시
  2. 작업규정작성→작업규정승인→작업실시→성과심사→성과고시
  3. 작업실시→작업규정작성→작업규정승인→성과심사→성과고시
  4. 작업규정작성→작업실시→작업규정승인→성과고시→성과심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작업규정작성→작업규정승인→작업실시→성과심사→성과고시"입니다. 작업규정은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작성되어야 하며, 작성된 작업규정은 승인되어야 합니다. 작업규정이 승인되면 작업을 실시할 수 있습니다. 작업이 완료되면 성과심사를 통해 작업의 성과를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고시합니다. 따라서 작업규정작성→작업규정승인→작업실시→성과심사→성과고시 순서가 올바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