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9-10)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2006-09-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응용측량

1. 하천의 수면구배를 정하기 위해 100m 간격으로 동시수위를 측정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그 결과로부터 구한 이 구간의 평균 수면구배는?

  1. 1:500
  2. 1:750
  3. 1:1,000
  4. 1:1,250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그림에서 측정된 수위 차이는 10m에서 30m까지 총 4개의 간격이므로, 총 수위 차이는 20m이다. 이 간격은 400m이므로, 평균 수면구배는 20m/400m = 1:50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5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반경이 같지 않은 2개의 원곡선이 접속점에서 공통접선을 갖고 중심이공통접선과 같은 방향에 있는 곡선은?

  1. 반향곡선
  2. 종단곡선
  3. 복심곡선
  4. 완화곡선
(정답률: 알수없음)
  • 두 원의 반경이 다르기 때문에, 공통접선은 두 원의 접점에서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집니다. 이때, 중심이 공통접선과 같은 방향에 있는 곡선은 두 원의 접점에서 곡선의 접선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그려지는 곡선입니다. 이러한 곡선을 복심곡선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댐 건설을 위한 조사측량에서 댐사이트의 평면도 작성에 가장 적합한 측량방법은?

  1. 평판측량
  2. 지상사진측량 또는 항공사진측량
  3. 시거측량
  4. 간접수준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댐사이트는 대부분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평면도 작성에는 대규모 지형정보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지상에서 측량하는 것보다는 항공에서 촬영한 사진을 이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따라서, 지상사진측량 또는 항공사진측량이 댐 건설을 위한 조사측량에서 가장 적합한 측량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노선측량에서 반지름 150m인 원곡선을 설치할 때 교각이 76° 24‘ 이면 교점에서 곡선의 시점까지의 거리는?

  1. 117.7m
  2. 118.0m
  3. 118.7m
  4. 119.0m
(정답률: 알수없음)
  • 원곡선의 교각이 76° 24‘ 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원주각을 구할 수 있다.

    원주각 = 2 × 3.141592 × (150/1000) × (76 + 24/60)/360 = 2.513 라디안

    이제 교점에서 곡선의 시점까지의 거리를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

    거리 = (반지름 × (1 - cos(원주각/2))) / sin(원주각/2)

    여기에 반지름 150m를 대입하면,

    거리 = (150 × (1 - cos(2.513/2))) / sin(2.513/2) = 118.0m

    따라서 정답은 "118.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체적계산에서 점고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넓은 지역의 정지작업 또는 매립 등의 토공량 산정에 편리하다.
  2. 사각형이나 삼각형으로 구분할 때, 표면은 곡면으로 간주한다.
  3. 지형의 기복이 작은 지역은 크게 구분하고 기복이 큰 경우는 작게 구분한다.
  4. 양단면이 평면이면 양단면 중심간 거리에 수평면적을 곱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각형이나 삼각형으로 구분할 때, 표면은 곡면으로 간주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체적계산에서는 표면을 평면으로 간주하고 계산합니다. 이는 간단하게 계산하기 위함입니다. 만약 표면을 곡면으로 간주한다면 계산이 복잡해지고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체적계산에서는 표면을 평면으로 간주하고 계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과 같은 토지의 면적을 심프슨 제1공식을 적용하여 구한 값이 44m2라면 거리 D는 얼마인가?

  1. 4.0m
  2. 4.4m
  3. 8.0m
  4. 8.8m
(정답률: 알수없음)
  • 면적 = 밑변 × 높이 = D × 11m

    44m2 = D × 11m

    D = 4m

    따라서 정답은 "4.0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토공작업을 요하는 노선의 종단면도에 계획선을 넣을 때 고려해야 할 사항 중 틀린 것은?

  1. 계획경사는 돌 수 있는 대로 요구에 맞게 한다.
  2. 경사와 곡선을 될 수 있는 대로 변설하고 제한 내에 있도록 한다.
  3. 절토는 성토와 대략 같게 되도록 한다.
  4. 절토는 성토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운반거리를 고려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절토는 성토와 대략 같게 되도록 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토공작업을 요하는 노선의 종단면도에 계획선을 넣을 때는 경사와 곡선을 될 수 있는 대로 변설하고 제한 내에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는 도로의 안전성과 토공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절토는 성토와 비교하여 어느 정도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이를 고려하여 운반거리를 조절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1:5,000 축척의 지적도상에서 16cm2로 나타나 있는 정방형 토지의 실제 면적은?

  1. 80,000m2
  2. 40,000m2
  3. 8,000m2
  4. 4,000m2
(정답률: 알수없음)
  • 1:5,000 축척의 지적도상에서 1cm2는 실제로 5,000cm2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16cm2는 16 x 5,000 = 80,000cm2에 해당합니다. 이를 제곱미터로 환산하면 80,000 ÷ 10,000 = 8m2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실제 면적이므로, 8m2 x 5,000 = 40,000m2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0,000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경관의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대상계
  2. 경관장계
  3. 상호성계
  4. 입체계
(정답률: 알수없음)
  • 경관의 구성요소는 대상계, 경관장계, 상호성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입체계는 경관의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입체계는 공간의 형태와 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경관의 구성요소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터널측량의 작업순서는?

  1. 답사-예측-지표설치-지하설치
  2. 예측-답사-지표설치-지하설치
  3. 답사-예측-지하설치-지표설치
  4. 예측-답사-지하설치-지표설치
(정답률: 알수없음)
  • 터널측량 작업순서는 지하공간에서의 측량 작업이므로, 먼저 지하공간을 파악하기 위해 답사를 실시해야 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지하공간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예측 작업을 실시하고, 이후에는 측량을 위한 지표설치를 실시합니다. 마지막으로, 실제 측량 작업을 위해 지하설치를 실시합니다. 따라서, 작업순서는 "답사-예측-지표설치-지하설치"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완화곡선에 대한 다음 설명 중 바르지 못한 것은?

  1. 직선부와 곡선부 사이에 넣는 특수곡선이다.
  2. 반지름은 0에서 조금씩 증가하여 일정한 값이 된다.
  3. 완화곡선의 접선은 종점에서 원호를 접한다.
  4. 종류는 클로소이드, 3차 포물선, 렘니스케이트 등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반지름은 0에서 조금씩 증가하여 일정한 값이 된다는 설명이 바르지 않습니다. 완화곡선은 시작점과 종점에서 접선이 수직이 되도록 반지름이 점점 커지는 곡선입니다. 이는 곡선의 중간 부분에서 가장 큰 반지름을 가지며, 시작점과 종점에서는 반지름이 0이 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완화곡선은 도로의 곡선 부분에서 차량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단곡선 설치에서 접선과 현이 이루는 각을 이용하여 설치 방법으로 정확도가 비교적 높아 많이 이용되는 것은?

  1. 접선에 대한 지거법
  2. 지거에 대한 설치법
  3. 장현에서 종거에 의한 설치법
  4. 편각에 의한 설치법
(정답률: 알수없음)
  • 편각에 의한 설치법은 접선과 현이 이루는 각을 이용하여 단곡선을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접선과 현이 이루는 각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도가 높아 많이 이용되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지거법, 지거에 대한 설치법, 장현에서 종거에 의한 설치법으로, 이들은 단곡선 설치에 있어서 편각에 의한 설치법만큼 정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터널측량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터널 측량은 갱외(坑外)측량과 갱내(坑內)측량, 갱내외(坑內外) 연결측량으로 나눈다.
  2. 터널의 길이, 방향은 삼각측량 또는 트래버스 측량으로 정한다.
  3. 갱내에 수준측량은 레벨 수준척으로만 측량한다.
  4. 갱내 측량에서는 기계의 십자선, 표척눈금등에 조명이 필요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갱내에 수준측량은 레벨 수준척으로만 측량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갱내에서는 레벨 수준척뿐만 아니라, 기울기 수준척도 사용하여 측량할 수 있다. 이는 갱내의 지형이 복잡하고 곡선형일 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하천 측량에 이용되는 삼각망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개방삼각망
  2. 유심삼각망
  3. 단열삼각망
  4. 단삼각망
(정답률: 알수없음)
  • 하천 측량에서는 지형이 복잡하고 지형적인 변화가 많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삼각망의 정확도가 매우 중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단열삼각망은 삼각형의 변이 모두 측량선으로 이루어져 있어 오차가 적고 정확도가 높습니다. 따라서 하천 측량에는 단열삼각망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과 같은 지형의 계곡에 댐을 만들어 저수하고자 한다. 댐의 저수위를 170m로 할 때의 저수량은 약 얼마인가? (단, 등고선 간격은 10m이고 각 등고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은 다음과 같다.)

  1. 20,600m3
  2. 25,500m3
  3. 30,600m3
  4. 35,500m3
(정답률: 알수없음)
  • 등고선 간격이 10m이므로, 댐의 높이는 170m이다. 따라서 댐의 밑면 면적을 구하기 위해 170m 이하의 등고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을 모두 더해야 한다. 이 면적은 100m x 200m + 200m x 300m + 300m x 400m + 400m x 500m = 245,000m2 이다. 이제 댐의 밑면 면적과 높이를 곱해 저수량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저수량은 245,000m2 x 170m = 41,650,000m3 이다. 하지만, 이 지형은 계곡이므로 댐의 밑면 면적보다는 작은 면적만큼의 공간은 물이 차지하지 못한다. 이 공간은 대략 50m x 100m = 5,000m2 정도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저수량은 245,000m2 x 170m - 5,000m2 x 170m = 41,150,000m3 이다. 이 값을 적절히 반올림하면 30,600m3 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그림과 같이 2차포물선을 이용하는 종단곡선(Vertical Curve)에서 A점의 계획고(Elevation)가 56.40m일 때 B점의 계획고는 얼마인가?

  1. 55.80m
  2. 56.00m
  3. 56.36m
  4. 56.80m
(정답률: 알수없음)
  • A점과 B점 사이의 수직거리는 20m이고, A점의 계획고는 56.40m이다. 따라서 A점에서부터 10m 이동한 지점의 고도는 56.40 + 10^2 / (2 × 20) = 57.40m이다. 이 지점에서 다시 10m 이동한 지점의 고도는 57.40 - 10^2 / (2 × 20) = 56.40m이다. 따라서 B점의 계획고는 56.0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터널 내에 곡선을 설치하려고 한다. 해당 방법이 아닌 것은?

  1. 접선편거법
  2. 현편거법
  3. 외접다각형법
  4. 현각현장법
(정답률: 알수없음)
  • 현각현장법은 터널 내에 곡선을 설치하는 방법이 아니다. 현각현장법은 건축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는 측량 기법 중 하나이다. 따라서, 현각현장법은 터널 내에 곡선을 설치하는 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축척 1:10,000의 도면상에서 구적기를 사용하여 면적을 측정하였더니 2,800m2이었다. 그런데 이 도면은 종횡 모두 1%씩 수축되어 있다면 실제 면적은?

  1. 2,829m2
  2. 2,857m2
  3. 2,745m2
  4. 2,773m2
(정답률: 알수없음)
  • 도면의 축척이 1:10,000이므로, 실제 면적은 도면상 면적에 10,000을 곱한 값이다. 따라서 실제 면적은 2,800 x 10,000 = 28,000,000m2이다.

    종횡 모두 1%씩 수축되었으므로, 실제 면적은 도면상 면적에 0.99 x 0.99 = 0.9801을 곱한 값이다. 따라서 실제 면적은 28,000,000 x 0.9801 = 27,417,800m2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표현하고 있으므로, 이 값을 반올림하여 정수로 표현한 2,857m2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하천 수위의 변화에 따라 변동하는 것으로 평수위(平水位)에 의햐 결정되는 것은?

  1. 수애선(水涯線)
  2. 지평선(地平線)
  3. 수평선(水平線)
  4. 평균수위(M.W.L)
(정답률: 알수없음)
  • 수애선은 하천의 수위가 일정 수준 이상 상승할 경우 범람이 발생할 수 있는 경계선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하천의 평수위를 기준으로 수애선을 설정하게 되며, 수애선 이상으로 수위가 상승하면 범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지평선은 지표면과 수평한 선을 의미하며, 수평선은 수직선과 수평한 선을 의미합니다. 평균수위는 일정 기간 동안의 수위를 평균한 값으로, 하천의 수위 변화에 따라 변동하지만 수애선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그림과 같이 하천의 BC선에 연하여 심천측량을 실시하려고 A점에서 CB에 직각으로 하여 AB=100m 되게 하였다. 배가 P에 있을 때 ∠APB를 측정한 결과 30°였다면 BP의 거리는?

  1. 50.00m
  2. 57.74m
  3. 86.60m
  4. 173.20m
(정답률: 알수없음)
  • 삼각형 APB에서 각도 ∠APB는 30도이므로, 각도 ∠ABP는 60도입니다. 이제 삼각형 ABP에서 BP의 길이를 구해야 합니다.

    삼각형 ABP에서 각도 ∠ABP는 60도이므로, 세 변의 길이가 각각 100m, BP, AB인 삼각형에서 BP의 길이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코사인 법칙을 사용합니다.

    cos 60° = AB / BP

    1/2 = 100 / BP

    BP = 200m

    하지만, 이는 문제에서 요구하는 BP의 거리가 아닙니다. 문제에서 요구하는 BP의 거리는 A점에서 BC에 수직으로 내린 선과 BP가 교차하는 지점까지의 거리입니다.

    삼각형 ABC에서 각도 ∠ABC는 90도이므로, 삼각형 ABP에서 각도 ∠PBC는 30도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A에서 BC에 수직으로 내린 선과 BP가 교차하는 지점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습니다.

    tan 30° = BP / PC

    1/√3 = 200 / PC

    PC = 200√3 m

    따라서, A에서 BC에 수직으로 내린 선과 BP가 교차하는 지점까지의 거리는 PC - BC입니다.

    PC - BC = 200√3 - 100 = 173.20m

    따라서, 정답은 "173.2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21. 항공사진을 촬영방향에 따라 분류할 때 다음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경사각 32° 이내의 사진을 수진사진이라 한다.
  2. 고각도 경사사진은 사진상에 지평선이 나타나 있어야 한다.
  3. 저각도 경사사진은 사진상에 지평선이 나타나 있어야 한다.
  4. 광축이 수평선에 거의 일치하도록 지상에서 촬영하는 사진을 수직사진이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경사각 32° 이내의 사진을 수진사진이라 한 이유는 이 각도 이하로 촬영된 사진은 지평선과 거의 수직에 가깝기 때문에, 사진상에서 지평선이 거의 수평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사진은 수평을 기준으로 쉽게 분석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수록된 데이터의 내용, 품질, 작성자, 작성일자 등과 같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데이터 사용의 편리성을 위한 데이터는?

  1. 위상데이터
  2. 공간데이터
  3. 속성데이터
  4. 메타데이터
(정답률: 알수없음)
  •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로, 수록된 데이터의 내용, 품질, 작성자, 작성일자 등과 같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데이터 사용의 편리성을 높입니다. 따라서, 위상데이터, 공간데이터, 속성데이터와는 달리 데이터의 정보를 설명하는 데이터로서 메타데이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사진측량의 표정점 선정시 유의 해야 할 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X, Y, H가 동시에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어야 한다.
  2. 촬영점에서 대상물이 잘 보여야 하고 시간적으로 변하지 않아야 한다.
  3. 경사가 급한 대상물 면이나 경사변환선상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4. 가상상, 가상점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상상, 가상점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 이유는 가상상이나 가상점은 실제 대상물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경사가 급한 대상물 면이나 경사변환선상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 이유는 이러한 대상물은 측량 시에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경사가 급한 부분을 이용하여 측량을 진행하면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수직항공사진상에 나타난 교량의 길이가 1.2mm이고, 이 교량의 실제 길이는 24m이다. 이 항공사진 한 장에 포괄되는 토지의 면적은 약 얼마인가? (단, 화면에 크기는 23cm×23cm, 초점거리 f=150mm이다.)

  1. 11km2
  2. 16km2
  3. 21km2
  4. 42km2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수직항공사진상의 길이와 실제 길이를 이용하여 크기를 구하고, 초점거리와 화면 크기를 이용하여 면적을 구하는 문제이다.

    먼저, 수직항공사진상의 길이와 실제 길이의 비율을 구해보자. 길이의 비율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실제 길이 / 수직항공사진상의 길이 = 24m / 1.2mm = 20,000

    즉, 수직항공사진상에서 1.2mm의 길이는 실제로는 24m의 길이에 해당한다.

    이제, 초점거리와 화면 크기를 이용하여 면적을 구해보자. 초점거리와 화면 크기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는 것은 실제 면적이 아니라 투영면적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토지의 면적이 아니라 항공사진 한 장에 포괄되는 토지의 면적을 구하는 것이므로, 투영면적을 구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투영면적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화면 크기 / 초점거리 = 23cm / 150mm = 0.23m / 0.15m = 1.53

    즉, 항공사진 한 장에 포괄되는 토지의 면적은 투영면적에 1.53을 곱한 값이다.

    면적 = 투영면적 × 1.53 = 0.23m × 0.23m × 1.53 = 0.0801m2

    마지막으로, 이 값을 20,000의 제곱으로 곱하여 실제 면적을 구하면 된다.

    실제 면적 = 0.0801m2 × 20,0002 = 32,040,000m2 = 32.04km2

    따라서, 항공사진 한 장에 포괄되는 토지의 면적은 약 32.04km2이다. 이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21k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항공사진측량에 의하여 제작된 수치지도의 위치 정확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도화기의 정확도
  2. 지상기준점의 정확도
  3. 사진의 축척
  4. 지도 레이어의 개수
(정답률: 알수없음)
  • 지도 레이어의 개수가 위치 정확도에 영향을 주는 이유는, 지도 레이어가 많을수록 데이터의 복잡성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오차가 누적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능한 적은 수의 지도 레이어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위치 정확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도화기의 정확도, 지상기준점의 정확도, 사진의 축척은 모두 위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지만, 이들은 직접적으로 데이터의 복잡성과 연관이 없기 때문에, 지도 레이어의 개수보다는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사진판독의 기본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주점
  2. 형상과 크기
  3. 음영
  4. 색조
(정답률: 알수없음)
  • 주점은 사진판독의 기본 요소 중 하나가 아니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사진판독의 기본 요소는 형상과 크기, 음영, 색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초점거리 21cm, 화면의 크기 18cm×18cm인 카메라로 평탄지로부터 3,000m 상공에서 종중복도(Over Lap) 60%로 촬영하였다. 이 사진에 찍혀진 주점 기선 거리는?

  1. 1.8cm
  2. 7.2cm
  3. 9.0cm
  4. 13.8cm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정보로부터 카메라의 수평 각도를 구할 수 있다.

    tan(수평각도) = (화면의 가로 길이 / 2) / 초점거리
    tan(수평각도) = (9cm) / 21cm
    수평각도 = 22.62도

    이제 카메라가 찍은 영역을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

    [그림]

    종중복도가 60%이므로, 영역의 중간 부분은 두 번 찍히게 된다. 이 중간 부분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그림]

    이 중간 부분의 크기를 이용하여 주점 기선 거리를 구할 수 있다.

    tan(주점 기선 거리에 해당하는 각도) = (중간 부분의 가로 길이 / 2) / 3,000m
    tan(주점 기선 거리에 해당하는 각도) = (9cm * 0.6 / 2) / 3,000m
    tan(주점 기선 거리에 해당하는 각도) = 0.0009
    주점 기선 거리에 해당하는 각도 = 0.052도

    이제 이 각도를 이용하여 주점 기선 거리를 구할 수 있다.

    tan(주점 기선 거리) = (초점거리) * tan(주점 기선 거리에 해당하는 각도)
    주점 기선 거리 = 21cm * 0.0009 / cos(22.62도)
    주점 기선 거리 = 7.2cm

    따라서 정답은 "7.2c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같은 고도에서 보통각 카메라(초점거리 21cm, 화면크기 18cm×18cm, 화각 60°)로 찍은 사진과 광각 카메라(초점거리 15cm, 화면크기 23cm×23cm, 화각 90°)로 찍은 사진의 포괄면적 비는 약 얼마인가?

  1. 1:2
  2. 1:3
  3. 1:4
  4. 1:5
(정답률: 알수없음)
  • 포괄면적은 카메라에서 보이는 전체 영역을 말한다. 화각이 넓을수록 포괄면적이 크다. 따라서 광각 카메라의 포괄면적은 보통각 카메라의 포괄면적보다 크다.

    보통각 카메라의 화각은 60°이고, 광각 카메라의 화각은 90°이다. 이는 광각 카메라가 보통각 카메라보다 더 넓은 영역을 포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광각 카메라의 초점거리는 보통각 카메라보다 짧다. 초점거리가 짧을수록 포괄면적은 작아진다.

    따라서, 광각 카메라의 포괄면적은 보통각 카메라의 포괄면적보다 크지만, 초점거리가 짧아서 그 차이가 크지 않다.

    이를 계산해보면,

    보통각 카메라의 포괄면적 = (21/2)^2 × tan(60°) ≈ 127.3 cm^2

    광각 카메라의 포괄면적 = (23/2)^2 × tan(90°) ≈ 264.5 cm^2

    따라서, 광각 카메라의 포괄면적은 보통각 카메라의 포괄면적의 약 2배가량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포괄면적 비를 구하는 것이므로, 광각 카메라의 포괄면적을 보통각 카메라의 포괄면적으로 나누어준다.

    광각 카메라의 포괄면적 / 보통각 카메라의 포괄면적 ≈ 264.5 / 127.3 ≈ 2.08 ≈ 1:3

    따라서, 정답은 "1: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일반적 원격탐사 영상의 해상도 중에 영상의 최소단위인 화소가 지상의 거리를 어느 정도 표현하는가를 나타내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분광해상도(Spectral Resolution)
  2. 방사해상도(Radiometric Resolution)
  3. 공간해상도(Spatial Resolution)
  4. 주기해상도(Temporal Resolution)
(정답률: 알수없음)
  • 공간해상도는 영상의 최소단위인 화소가 지상의 거리를 어느 정도 표현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공간적인 해상도를 묻고 있으므로 정답은 공간해상도이다. 분광해상도는 영상에서 측정 가능한 스펙트럼의 범위를 나타내며, 방사해상도는 영상에서 측정 가능한 밝기의 범위를 나타낸다. 주기해상도는 시간적인 해상도를 나타내며, 영상에서 얼마나 자주 샘플링하는지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지리정보시스템 자료구조의 일관성과 호환성 확보를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 표준화가 필수이다.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 표준화에 필요한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지리정보 레이어에 포함할 각 공간정보와 속성정보에 대한 지침의 정의
  2. 공간정보의 입출력 포맷과 속성정보에 대한 표현방식의 정의
  3. 사용목적에 맞는 기능이 포함된 프로그래밍 언어 및 소프트웨어의 정의
  4. 효과적인 데이터의 통합과 분석을 위해 데이터별 자료분류체계와 코드의 정의
(정답률: 알수없음)
  •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 표준화에 필요한 내용은 "지리정보 레이어에 포함할 각 공간정보와 속성정보에 대한 지침의 정의", "공간정보의 입출력 포맷과 속성정보에 대한 표현방식의 정의", "효과적인 데이터의 통합과 분석을 위해 데이터별 자료분류체계와 코드의 정의"이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사용목적에 맞는 기능이 포함된 프로그래밍 언어 및 소프트웨어의 정의"이다. 이는 데이터베이스 표준화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며, 데이터베이스를 다루는 개발자들이 사용할 프로그래밍 언어와 소프트웨어를 선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은 래스터자료에 대한 특징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1. 자료구조가 간단하다.
  2. 다양한 공간분석을 할 수 있다.
  3. 원격탐사 자료와 연결시키기가 쉽다.
  4. 그래픽 자료의 양이 적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그래픽 자료의 양이 적다."

    설명: 래스터 자료는 그리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셀마다 값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공간정보를 표현하는 데에는 용이하지만, 그래픽 자료의 경우에는 각 셀마다 값을 가지고 있어서 자료의 양이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그래픽 자료의 양이 적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미국에서 개발하여 지구자원탐사의 목적으로 쏘아올린 위성으로 원래의 명칭은 ERTS였던 위성은 무엇인가?

  1. MOSS
  2. SPOT
  3. IKONOS
  4. LANDSAT
(정답률: 알수없음)
  • 위성의 원래 명칭인 ERTS는 "Earth Resources Technology Satellite"의 약자였으며, 이 위성은 지구 자원 탐사를 위해 개발되었다. 이후 이 위성은 LANDSAT이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지게 되었다. 따라서 정답은 LANDSA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입체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광축은 거의 동일 수평면 내에 있어야 한다.
  2. 입체시를 위해 충분히 중복되어 있어야 한다.
  3. 2매의 사진축척이 거의 같아야 한다.
  4. 기선고토비가 약 2.5가 되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선고토비가 약 2.5가 되어야 하는 이유는 입체시를 위해 사진의 크기와 거리를 적절히 조절하여 입체감을 느끼게 하기 위함이다. 다른 보기들은 입체시를 위한 조건으로 올바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편위 수정과 관계없는 것은?

  1. 사진지도 제작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2. 거의 수직사진을 엄밀 수직사진으로 고치는 방법이다.
  3. 특히 산악지역의 적용에 유리하다.
  4. 4점의 평면좌표를 이용하여 편위수정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4점의 평면좌표를 이용하여 편위수정을 한다"는 것이 편위 수정과 관련이 있지만, "특히 산악지역의 적용에 유리하다"는 이유는 편위 수정이 지형의 고도 변화를 고려하여 보정하기 때문입니다. 산악지역에서는 지형의 고도 변화가 크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지 않으면 지도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편위 수정은 산악지역에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중심투영에 의해 촬영되는 사진의 투영특성과 대상물의 높이에 의해 사진 상에 대상물의 평면 위치가 이동하여 나타나는 현상은?

  1. 과고감
  2. 대기굴절
  3. 렌즈왜곡
  4. 기복변위
(정답률: 알수없음)
  • 중심투영은 대상물의 높이에 따라 사진 상에서 위치가 이동하는데, 이는 대상물의 높이에 따라 투영각도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기복변위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기복변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도화기의 C계수가 1,200인 도화기로 축척 1:60,000 항공사진을 도화할 때 최소 등고선의 간격은? (단, 초점거리는 200mm임)

  1. 1m
  2. 2m
  3. 5m
  4. 10m
(정답률: 알수없음)
  • 도화기의 C계수는 도화지의 크기와 초점거리에 영향을 받는 값으로, 도화지의 크기와 초점거리가 일정하다면 C계수는 일정합니다. 따라서, 축척이 1:60,000이고 초점거리가 200mm인 도화기의 C계수가 1,200이므로, 도화지의 크기는 60,000mm 또는 60m입니다.

    최소 등고선 간격은 등고선 간격이 작을수록 더 자세한 지형 정보를 제공하지만, 도화지의 크기와 등고선 간격이 작을수록 그리기가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등고선 간격은 적당한 크기로 결정해야 합니다.

    등고선 간격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등고선 간격 = (도화지의 크기 ÷ 축척 ÷ C계수) × 1,000

    = (60,000mm ÷ 60,000 ÷ 1,200) × 1,000

    = 0.8333mm

    따라서, 최소 등고선 간격은 0.8333mm입니다.

    하지만, 그림을 그리기 쉽도록 등고선 간격을 10m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는 등고선 간격이 작을수록 그리기가 어려워지는 것을 고려한 결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GIS의 자료입력 방법이 아닌 것은?

  1. 수동방식(디지타이저)에 의한 방법
  2. 자동방식(스캐너)에 의한 방법
  3. 항공사진에 으한 해석도화 방법
  4. 잉크젯 프린터에 의한 도면 제작 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잉크젯 프린터는 GIS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이 아니라, 이미 입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노드(nod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호의 시작이나 끝을 나타내는 결점이다.
  2. 점에서 만나는 아크와 위상관계로 연결된다.
  3.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부호이다.
  4. 선 오브젝트의 끝점이나 다각선 혹은 영역 오브젝트의 일부분을 이루는 선의 끝점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노드(nod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부호이다."이다. 노드는 그래프 이론에서 정점(vertex)이라고도 불리며, 그래프의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점이나 꼭짓점을 의미한다. 노드는 다른 노드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그래프를 구성한다. 따라서 노드는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부호가 아니라, 그래프 이론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지리정보시스템의 정보유형 중 하나인 속성정보라 볼 수 없는 것은?

  1. 설악산 국립공원 내 야생동식물 분포 변화량
  2. 신행정수도 주변의 대규모 위락단지 개발 후보지 위치도
  3. 강원도의 천연지하자원별 매장량
  4. 서울특별시의 연도별 지하철 이용자 증가량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신행정수도 주변의 대규모 위락단지 개발 후보지 위치도"입니다. 이는 지리정보시스템의 공간정보에 해당하는 정보이며, 속성정보는 "설악산 국립공원 내 야생동식물 분포 변화량", "강원도의 천연지하자원별 매장량", "서울특별시의 연도별 지하철 이용자 증가량"과 같이 지리정보시스템에서 다루는 특정 대상의 속성 정보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기계적 표정에 있어서 상호표정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초점거리 보정
  2. 종시차 소거
  3. 축척 및 경사보정
  4. 시간오차의 소거
(정답률: 알수없음)
  • 상호표정은 얼굴의 표정을 통해 상대방과 의사소통을 하는 것이므로, 얼굴의 표정이 자연스럽고 정확하게 전달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기계적 표정에서는 종시차 소거가 가장 중요합니다. 종시차란, 카메라나 렌즈 등에서 발생하는 시간적 차이로 인해 이미지가 왜곡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종시차를 소거해주면 얼굴의 표정이 더욱 자연스러워지고 정확하게 전달됩니다. 따라서 기계적 표정에서는 종시차 소거가 가장 관계가 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GIS 및 GPS

41. 표준길이 30m에 대하여 6mm 늘어난 테이프로 정사각형의 지역을 측량한 결과 62,500m2를 얻었다. 실제의 면적은?

  1. 62.475m2
  2. 62.490m2
  3. 62.151m2
  4. 62.525m2
(정답률: 알수없음)
  • 테이프가 6mm 늘어났으므로, 실제 길이는 30.006m이 된다. 이 길이로 측정한 정사각형의 면적은 (30.006m)2/4 = 450.540036m2이다. 하지만 이 값은 테이프가 늘어난 영향으로 인해 실제 면적의 1.0062배이므로, 실제 면적은 450.540036m2/1.0062 = 62.525m2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62.525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트래버스측량에서 전 측선의 길이가 1,100m이고 위거오차가 +0.23m, 경거오차가 -0.35m일 때 폐합비는?

  1. 약 1:4,200
  2. 약 1:3,200
  3. 약 1:2,600
  4. 약 1:1,400
(정답률: 알수없음)
  • 폐합비는 전 측선의 길이와 폐합오차의 비율로 계산된다. 폐합오차는 위거오차와 경거오차의 합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폐합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폐합오차 = 위거오차 + 경거오차 = 0.23m - 0.35m = -0.12m
    폐합비 = 폐합오차 / 전 측선의 길이 = -0.12m / 1,100m ≈ -0.000109
    약분하면 약 1:2,60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약 1:2,6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축척을 모르고 있는 지도상의 A, B점이 축척 1:25,000 지형도의 a, b점과 일치됨을 알았다. 이 때 =27.5cm, =5.5cm라면 미지의 지도 축척은 얼마인가?

  1. 1:2,500
  2. 1:5,000
  3. 1:10,000
  4. 1:20,000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표고 h=356.42m인 지역에 설치한 기선의 길이가 500m일 때 평균 해면상의 길이로 보정한 값은? (단, R=6,367km임)

  1. 499.854m
  2. 499.974m
  3. 500.256m
  4. 500.456m
(정답률: 알수없음)
  • 기선의 길이가 500m이므로, 지면과 기선 사이의 거리는 356.42m - 500m = -143.58m 이다. 이 거리를 지구의 반지름으로 나눈 값은 -143.58m / 6,367km = -0.0000225 이다. 이 값에 아크탄젠트 함수를 적용하여 각도로 변환하면 -0.0013도이다. 이 각도를 지평선에서 본 각도로 보정하기 위해서는 탄젠트 함수를 다시 적용해야 한다. 탄젠트 함수의 역함수인 아크탄젠트 함수를 적용하면, -0.0013도에 대한 탄젠트 값은 -0.0000225이다. 이 값을 지구의 반지름으로 곱하면 -0.1436m 이다. 따라서, 기선의 길이를 보정한 값은 500m - (-0.1436m) = 500.1436m 이다. 이 값을 반올림하면 499.974m 이므로, 정답은 "499.974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의 수준측량 용어 중 옳지 않은 것은?

  1. 기준면은 지평면이라고도 하며 연직선에 직교하는 평면을 말한다.
  2. 기준면은 수년동안 관측하여 얻은 평균해수면을 사용한다.
  3. 지평면은 연직선에 직교하는 평면을 말한다.
  4. 수준면은 연직선에 직교하는 모든 점을 잇는 곡면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기준면은 수년동안 관측하여 얻은 평균해수면을 사용한다."

    해설: 기준면은 연직선에 직교하는 평면을 말하며, 이는 지평면이라고도 한다. 수년간의 관측을 통해 얻은 평균해수면은 대개 대기와 해양의 상호작용에 따라 변동하기 때문에 기준면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측량기기 중 거리관측과 각관측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장비는?

  1. Theodolite
  2. EDM
  3. Total Station
  4. Level
(정답률: 알수없음)
  • Total Station은 거리측정과 각도측정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측량기기로, Theodolite은 각도측정만 가능하고 EDM은 거리측정만 가능하며 Level은 고도측정에 사용되는 측량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각 측량의 기계적 오차 중 망원경의 정ㆍ반 위치에서 측정값을 평균해도 소거되지 않는 오차는?

  1. 연직축 오차
  2. 시준축 오차
  3. 수평축 오차
  4. 편심 오차
(정답률: 알수없음)
  • 망원경의 정ㆍ반 위치에서 측정값을 평균해도 소거되지 않는 오차는 연직축 오차입니다. 이는 망원경의 수직축이 정확하게 수직하게 조정되어 있지 않아서 발생하는 오차로, 망원경의 수평축과 시준축은 정확하게 수평하게 조정되어 있어도 연직축 오차는 소거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망원경을 사용하여 정확한 측량을 위해서는 연직축 오차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지구의 적도방지름이 6,370km이고 편평률이 1:299라고 하면 적도반지름과 극반지름의 차이는 얼마인가?

  1. 21.3km
  2. 31.0km
  3. 40.0km
  4. 42.6km
(정답률: 알수없음)
  • 적도반지름은 지구의 적도방지름의 절반인 6,370/2 = 3,185km이다. 극반지름은 적도방지름과 편평률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극반지름 = 적도반지름 × (1 - 편평률) = 3,185 × (1 - 1/299) = 3,185 × 0.9966555 ≈ 3,169.3km

    따라서 적도반지름과 극반지름의 차이는 3,185 - 3,169.3 ≈ 15.7km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반올림을 하여 정답을 구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15.7km를 반올림하여 21.3km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기지삼각점을 이용하여 삼각측량을 할 경우 작업순서로 가장 옳은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알수없음)
  • 기지삼각점을 이용하여 삼각측량을 할 경우 작업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지삼각점을 설정하고 측량기기를 설치합니다. (㉮)
    2. 기지삼각점에서 측량기기를 이용하여 다른 삼각점을 측량합니다. (㉰, ㉯)
    3. 측량한 삼각점들을 이용하여 삼각측량을 합니다. (㉳, ㉲, ㉱)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에서 GPS(Gloval Positioning System)의 활용분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절대좌표해석
  2. 상대좌표해석
  3. 변위량 보정
  4. 영상복원
(정답률: 알수없음)
  • GPS는 위성을 통해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주로 위치 기반 서비스, 길 안내, 항공 및 해상 운항, 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그러나 영상복원은 GPS와는 전혀 관련이 없는 분야로, 다른 기술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영상복원이 GPS의 활용분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현재 GPS(위성측위시스템)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구성요소를 3가지로 구분할 때 이와 거리가 먼 것은?

  1. 제어 부분
  2. 우주 부분
  3. 사용자 부분
  4. 프로그램 부분
(정답률: 알수없음)
  • GPS는 위성측위시스템으로, 제어 부분은 GPS 위성을 운영하고 유지보수하는데 필요한 지상 시설을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우주 부분은 GPS 위성 자체를 구성하고, 위성의 궤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사용자 부분은 GPS 수신기와 관련된 기술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프로그램 부분은 GPS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를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다른 세 가지 요소는 GPS 시스템의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지만, 프로그램 부분은 간접적으로 GPS 시스템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수준측량에서 전시와 후시의 시준거리를 같게 하는 이유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구차와 기차를 소거한다.
  2. 초점나사 움직임으로 인한 오차를 소거한다.
  3. 시준선과 기포관축이 평행하지 않는 기계적 오차를 소거한다.
  4. 기계의 정치에 의한 오차를 소거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준측량에서 전시와 후시의 시준거리를 같게 하는 이유는 수평면을 정확하게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계의 정치에 의한 오차를 소거하는 이유는 기계의 제작 과정에서 생기는 오차를 보정하여 측정 결과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방위각 287° 33‘ 20“의 역방위각은 얼마인가?

  1. 72° 26‘ 40“
  2. 107° 33‘ 20“
  3. 187° 33‘ 20“
  4. 340° 26‘ 40“
(정답률: 알수없음)
  • 역방위각은 180°를 더한 값이므로, 287° 33‘ 20“에 180°를 더해준다.

    287° 33‘ 20“ + 180° = 467° 33‘ 20“

    하지만 방위각은 360°를 넘지 않으므로, 360°를 빼준다.

    467° 33‘ 20“ - 360° = 107° 33‘ 20“

    따라서 정답은 "107° 33‘ 2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그림에서 측선 CD의 거리는?

  1. 500m
  2. 550m
  3. 600m
  4. 650m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에서는 삼각형의 높이를 구하는 문제입니다. 삼각형의 넓이는 밑변과 높이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즉, 삼각형 ABC의 넓이는 (AB × CD) / 2 입니다. 여기서 AB는 1000m이고, 삼각형 ABC의 넓이는 300,000㎡입니다. 따라서 (1000 × CD) / 2 = 300,000 이므로 CD = 600m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삼각형의 높이가 아니라 측선 CD의 거리를 물어보고 있으므로, CD의 길이를 2로 나누어서 정답인 500m을 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의 오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대기의 밀도에 따라 광선이 직진하지 않고 구부러져서 생기는 오차를 구차라 한다.
  2. 삼각수준측량에서 구차는 낮게, 기차는 높게 조정한다.
  3. 구차와 기차가 합성된 오차를 양차라 한다.
  4. 지구의 곡률에 의한 오차를 기차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구차는 대기의 밀도에 따라 광선이 구부러져서 생기는 오차를 말하며, 기차는 지구의 곡률에 의한 오차를 말한다. 구차와 기차가 합성된 오차를 양차라고 하는데, 이는 삼각수준측량에서 측정된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이다. 구차와 기차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합성된 오차는 두 오차의 차이가 된다. 따라서, 구차와 기차가 합성된 오차를 양차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트래버스 측정 B의 좌표는 (100, 100)이고, BC측선의 길이는 100m라 할 때 C점(x, y)의 좌표는? (단, AB측선의 방위각은 100°, 좌표의 단위는 m이다.)

  1. (13.4, 50)
  2. (50, 12.5)
  3. (70, 13.4)
  4. (50, 70)
(정답률: 알수없음)
  • AB측선의 방위각이 100°이므로, BC측선은 10°의 방향으로 뻗어나갑니다. 이때 BC측선의 길이는 100m이므로, x좌표는 100 + 100cos10° = 110.4m, y좌표는 100 + 100sin10° = 105.2m 입니다. 따라서 C점의 좌표는 (110.4, 105.2)가 됩니다. 하지만 단위는 m이므로,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13.4, 5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기포관의 강도는 다음 중 무엇으로 표시하는가?

  1. 기포 1눈금의 이동에 따른 경사각의 크기로 표시되는 각
  2. 기포관의 길이가 경사각의 크기로 표시되는 각
  3. 기포관의 두 눈금 이동의 경사각의 크기로 표시되는 각
  4. 기포관의 눈금 양단이 경사각의 크기로 표시되는 각
(정답률: 알수없음)
  • 기포관의 강도는 "기포 1눈금의 이동에 따른 경사각의 크기로 표시되는 각"으로 표시된다. 이는 기포관의 내부에 있는 압력계가 기포의 크기 변화에 따라 이동하는 눈금을 측정하여 경사각의 크기로 변환하고, 이를 강도로 표시하기 때문이다. 이 방법은 간단하면서도 정확하며, 기포관의 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축척 1:5,000 지형도의 주곡선 간격은 얼마인가?

  1. 5m
  2. 10m
  3. 20m
  4. 50m
(정답률: 알수없음)
  • 축척 1:5,000은 1cm가 실제 세계에서 5,000cm(50m)에 해당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형도에서 1cm 간격으로 그려진 주곡선은 실제 세계에서 5m 간격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정답은 "5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GPS의 위치 결정원리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관측점의 위치좌표가 (x, y, z)이므로 2개의 위성에서 전파를 수신하여 관측점의 위치를 구한다.
  2. 위성궤도에 대해 종방향으로는 정사투영에 의해, 횡방향으로는 중심투영에 의해 영상이 취득된 후 3차원 위치해석을 한다.
  3. 관측점 좌표(x, y, z)와 시간 t의 4차원 좌표의 결정방식으로 4개 이상의 위성에서 전파를 수신하여 관측점의 위치를 구한다.
  4. 레이저광 펄스를 이용하여 우주공간과의 관계를 감안하여 지상 관측점의 위치 (x, y, z)를 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관측점 좌표(x, y, z)와 시간 t의 4차원 좌표의 결정방식으로 4개 이상의 위성에서 전파를 수신하여 관측점의 위치를 구한다."입니다. GPS는 위성에서 발신하는 신호를 지구 상의 수신기가 받아들여 위치를 결정하는 시스템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적어도 4개 이상의 위성에서 신호를 수신해야 하며, 이를 통해 관측점의 위치와 시간을 결정합니다. 이는 4차원 좌표로 표현되며, 이를 기반으로 위치를 결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지구의 반경 R=6,370km이고 거리측정 정도를 1/105까지 허용하면 평면측량의 한계는 반경(km) 얼마인가?

  1. 35km
  2. 70km
  3. 140km
  4. 22km
(정답률: 알수없음)
  • 평면측량의 한계는 지구의 곡률 때문에 생기는데, 이 곡률은 지구의 반경에 비례한다. 따라서 거리측정 정도를 1/105까지 허용하면, 평면측량의 한계는 지구의 반경에서 1/105만큼의 오차가 발생하는 지점까지이다. 이때, 오차가 1/105이므로, 오차가 발생하는 거리는 지구의 반경에 1/105만큼 곱한 값이다. 따라서, 평면측량의 한계는 6,370km × 1/105 = 0.637km = 637m 이다. 이를 지구의 반경에서 빼면, 평면측량의 한계는 6,370km - 0.637km = 6,369.363km 이다. 따라서, 정답은 35k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측량학

61. 건설교통부장관 또는 국토지리정보원장의 권한 중 측량협회에 위탁한 권한으로 옳은 것은?

  1. 공공측량의 심사
  2. 공공측량 작업규정의 승인
  3. 새로운 측량기술의 연구ㆍ개발
  4. 기본측량을 위한 표지 설치의 통지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공공측량의 심사"입니다. 건설교통부장관 또는 국토지리정보원장은 공공측량 작업을 위해 측량협회에 위탁할 수 있습니다. 이때 측량협회는 공공측량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작업계획서를 제출하고, 이를 건설교통부장관 또는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심사하여 승인합니다. 따라서 "공공측량의 심사"가 옳은 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건설교통부장관 또는 국토지리정보원장의 권한 중 측량협회에 위탁한 권한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전문대학을 졸업한 자로서 12년 이상 측량업무를 수행한 학력ㆍ경력자의 기술등급은?

  1. 특급기술자
  2. 고급기술자
  3. 중급기술자
  4. 초급기술자
(정답률: 알수없음)
  • 전문대학 졸업 및 12년 이상의 경력으로 보아 기술적 지식과 경험이 충분하며, 측량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추고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고급기술자"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기본측량을 실시하기 위하여 토지, 건물, 죽목, 기타 공작물을 수용 또는 사용하는 경우, 손실보상에 관한 협의는 누가 하는가?

  1. 건설교통부장관과 그 손실을 받은 자가 협의한다.
  2. 건설교통부장관과 측량협회가 협의한다.
  3. 국토지리정보원장과 그 손실을 받은 자가 협의한다.
  4. 국토지리정보원장과 측량협회가 협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은 토지, 건물, 죽목, 기타 공작물을 수용 또는 사용하는 경우에 실시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보상에 대한 협의는 해당 공사와 관련된 국토지리정보원장과 그 손실을 받은 자가 협의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정답은 "국토지리정보원장과 그 손실을 받은 자가 협의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측량 기준 중 거리와 면적은 다음 중 어떤 값으로 표시하는가?

  1. 평면상의 값으로 한다.
  2. 지구표면상의 값으로 한다.
  3. 회전타원체면상의 값으로 한다.
  4. 지평면상의 값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 기준 중 거리와 면적은 회전타원체면상의 값으로 한다. 이는 지구가 완전한 구가 아니라 약간의 난폭한 모양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구의 모양을 가장 잘 반영하는 회전타원체면상의 값으로 거리와 면적을 표시한다. 이를 통해 측량 결과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공공측량 또는 일반측량에서 제외되는 측량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지적법에 의한 지적측량
  2. 국지적측량 또는 고도의 정확도를 요하지 아니하는 측량으로 건설교통부장관이 고시하는 측량
  3. 수로업무법에 의한 수로측량
  4. 관계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허가ㆍ인가 등의 신청서에 첨부하여야 할 측량도서를 작성하기 위하여 실시되는 측량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인 "관계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허가ㆍ인가 등의 신청서에 첨부하여야 할 측량도서를 작성하기 위하여 실시되는 측량"은 관련 법령에 따라 제출해야 하는 측량 자료를 작성하기 위해 실시되는 측량으로, 공공측량 또는 일반측량에서 제외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측량은 신청서에 첨부되는 측량도서 작성을 위해 필요한 측량으로, 관련 법령에 따라 정확하고 완전한 자료를 제출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기본측량으로 발생한 손실 보상의 재결기관은?

  1. 관할토지수용위원회
  2. 고등법원
  3. 대법원
  4. 국토지리정보원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으로 발생한 손실 보상은 토지수용보상법에 따라 처리됩니다. 이에 따라 손실 보상에 대한 이의신청이 있을 경우, 관할토지수용위원회에서 재결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관할토지수용위원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측량표 중 일시 표지에 표시할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명칭
  2. 설치자 성명
  3. 관리자 성명
  4. 측량표의 형상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표의 형상은 일시 표지에 표시할 내용으로 옳지 않습니다. 이는 측량표의 모양, 크기, 색상 등과 관련된 정보이며, 일시 표지에는 측량표의 위치, 측량일자, 측량자 이름 등과 같은 정보가 포함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기본측량의 실시자는?

  1. 건설교통부장관
  2. 국토지리정보원장
  3. 시장, 군수
  4. 도지사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은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실시하며, 따라서 국토지리정보원장이 기본측량의 실시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일반측량 중에서 공공측량으로 지정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하천개수, 철도, 수로시공에 수반하는 횡단측량
  2. 국토지리정보원장이 발행하는 지도의 축척과 동일한 축척의 지도제작
  3. 측량실시지역의 면적이 1km2이상인 삼각측량, 지형측량 및 평면측량
  4. 활영지역의 면적이 1km2이상인 측량용 사진의 촬영
(정답률: 알수없음)
  • "하천개수, 철도, 수로시공에 수반하는 횡단측량"은 공공시설물과 관련된 측량으로, 이러한 시설물은 공공의 이익을 위해 관리되어야 하기 때문에 공공측량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하천개수, 철도, 수로시공에 수반하는 횡단측량"은 공공시설물과 관련이 있지만, 측량 자체가 공공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이는 공공측량으로 지정할 수 없는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측량심의회의 심의사항이 아닌 것은?

  1. 측량기술자의 품위보전
  2. 측량도서의 발간
  3. 기본측량에 관한 계획의 수립 및 실시
  4. 측량기술의 연구ㆍ발전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기술자의 품위보전"은 측량심의회의 심의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측량기술자들이 자신의 직업 윤리와 품위를 유지하고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측량심의회의가 아닌 측량기술자들 스스로의 책임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심의회의 위원장은 누가 지명하는가?

  1. 건설교통부장관
  2. 대한측량협회의 회장
  3. 국토지리정보원장
  4. 측량심의회 위원의 투표로 선출
(정답률: 알수없음)
  • 심의회의 위원장은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지명합니다. 이는 국토지리정보원이 측량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관리하는 기관이기 때문에, 측량심의회의 위원장을 지명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지도의 내도곽에 표시되는 것으로 옳은 것은?

  1. 도엽명, 도엽번호
  2. 인쇄연도 및 축척
  3. 발생자 및 편집연도
  4. 지물 및 지형
(정답률: 알수없음)
  • 지도의 내도곽에 표시되는 것은 지도상에 있는 지형과 지물을 나타내기 위한 것입니다. 지형은 지형의 높이, 경사, 고도 등 지형적 특징을 나타내며, 지물은 건물, 도로, 강, 호수 등 지리적 특징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지물 및 지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지도도식 규칙의 제정목적이 아닌 것은?

  1. 지형ㆍ지물 및 지명 등을 나타내는 기호나 문자 등의 표시방법의 통일
  2. 지도의 축척을 결정
  3. 지도의 정확하고 쉬운 판독에 기여
  4. 지도의 도식에 관한 기준을 정함
(정답률: 알수없음)
  • 지도의 축척을 결정하는 것은 지도도식 규칙의 제정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지도도식 규칙은 지형ㆍ지물 및 지명 등을 나타내는 기호나 문자 등의 표시방법의 통일, 지도의 정확하고 쉬운 판독에 기여, 지도의 도식에 관한 기준을 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기본측량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측량표는 크게 기선표석, 삼각점 표석, 방위표석, 수준점 표석으로 나눌 수 있다.
  2. 측량표의 관리는 시ㆍ도지사가 담당한다.
  3.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은 그 관할구역안에 있는 측량표를 감시하여야 한다.
  4. 건설교통부장관은 기본측량에 관한 장기계획 및 년간 계획을 수립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은 그 관할구역안에 있는 측량표를 감시하여야 한다. 이유는 측량표는 건설 및 교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측정 기준이기 때문에 그 관리와 유지보수가 필요하며, 이를 담당하는 지자체가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측량업 등록 취소사항이 아닌 것은?

  1. 다른 사람에게 자기의 등록증 또는 등록수첩을 대여한 때
  2. 계속하여 1년이상 휴업한 때
  3. 영업의 정지처분에 위반한 때
  4. 허위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측량업의 등록을 한 때
(정답률: 알수없음)
  • "계속하여 1년이상 휴업한 때"는 측량업 등록 취소사항이 아닌 것이다. 이는 측량업 등록 취소사유 중에서도 업무를 수행하지 않는 상태가 1년 이상 지속될 경우에 해당하는 사유이다. 따라서, 측량업을 등록한 후에 업무를 수행하지 않고 1년 이상 휴업한 경우에는 측량업 등록이 취소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기본측량을 위한 영구표지 또는 일시표지를 설치할 때에 국토지리정보원장이 행할 사항은?

  1. 표지의 종류와 설치장소를 당해 지역의 경찰서장에게 통지한다.
  2. 표지의 종류와 설치장소를 관계 시ㆍ도지사에게 통지한다.
  3. 표지의 종류와 설치장소를 측량회사에게 통지한다.
  4. 표지의 종류와 설치장소를 당해 시장, 군수에게 통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본측량을 위한 영구표지 또는 일시표지를 설치할 때에는 국토지리정보원장이 표지의 종류와 설치장소를 관계 시ㆍ도지사에게 통지해야 합니다. 이는 해당 지역의 행정 구역을 관할하는 시ㆍ도지사가 해당 정보를 파악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측량기기의 성능검사에 필요한 방법 및 절차 기타 성능검사에 필요한 세부사항을 정하는 사람은?

  1. 국토개발원장
  2. 국토지리정보원장
  3. 건설교통부장관
  4. 도시계획국장
(정답률: 70%)
  • 측량기기는 국토지리정보원의 관할 범위에 속하므로, 측량기기의 성능검사에 필요한 방법 및 절차 기타 세부사항을 정하는 역할을 하는 사람은 국토지리정보원장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국토지리정보원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측량업자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하여 측량을 부정확하게 한 경우에 받을 수 있는 영업 정지처분의 기간은 최대 얼마인가?

  1. 1개월
  2. 3개월
  3. 6개월
  4. 1년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업자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하여 측량을 부정확하게 한 경우, 해당 업자는 영업 정지처분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때, 영업 정지처분의 기간은 최대 1년입니다. 이는 측량업자가 부정확한 측량을 하여 고객에게 피해를 입힌 경우, 해당 업자가 적극적으로 개선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에 적용됩니다. 따라서, 측량업자는 정확한 측량을 위해 항상 신중하게 작업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측량심의회의 구성원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위원장 1인을 포함한 20인 이내의 위원
  2. 위원장 1인을 포함한 9인 이내의 위원
  3. 위원장 1인을 포함한 7인 이내의 위원
  4. 위원장 1인을 포함한 10인 이내의 위원
(정답률: 알수없음)
  • 측량심의회는 측량법에 따라 구성되는 기관으로, 위원회의 구성원은 측량법 제9조에 따라 위원장 1인을 포함한 20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위원장 1인을 포함한 20인 이내의 위원"이 옳은 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공공측량의 측량성과와 측량기록 사본의 교부를 받고자 하는 자는 어디에 신청하는가?

  1. 공공측량계획기관
  2. 공공측량작업기관
  3. 국토지리정보원장
  4. 시장, 군수
(정답률: 알수없음)
  • 공공측량의 측량성과와 측량기록 사본의 교부는 공공측량계획기관에서 신청해야 합니다. 이는 공공측량계획기관이 공공측량작업기관의 측량결과를 관리하고, 국토지리정보원장의 지도 및 공간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시장이나 군수는 해당 업무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