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6-12)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2011-06-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응용측량

1. 도로중심선을 따라 20m간격의 종단측량을 하여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측점 No.1과 측점 No.5의 지반고를 연결하는 도로계획선을 설정한다면, 이 계획선의 도로 기울기는 얼마인가?

  1. 2%
  2. 1.6%
  3. +1.6%
  4. +2%
(정답률: 57%)
  • 측점 No.1과 측점 No.5 사이의 거리는 80m이다. 이 구간의 지반고차이는 4m이므로, 도로 기울기는 4/80 = 0.05 = 5%이다. 그러나 도로계획선은 지반고가 가장 높은 측점 No.1과 가장 낮은 측점 No.5를 연결하는 직선이므로, 이 직선의 기울기는 4/80 = 0.05 = 5%보다 작을 것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2%"가 정답이다. 이는 5%에서 2%만큼 작아진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하천의 유량측정공식은? (단, Q=유량, A=단면적, V=유속, T=시간)

  1. Q=QVT
  2. Q=V/A
  3. Q=A/V
  4. Q=AV
(정답률: 67%)
  • 하천의 유량은 단면적과 유속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즉, 유체가 흐르는 단면의 면적에 유속을 곱한 값이 유량이 됩니다. 따라서 Q=AV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시설물의 계획 설계 시 경관상 검토되는 위치결정에 필요한 측량은?

  1. 공공측량
  2. 자원측량
  3. 공사측량
  4. 경관측량
(정답률: 82%)
  • 시설물의 계획 설계 시 경관상 검토되는 위치결정에 필요한 측량은 "경관측량"입니다. 이는 주변 지형, 지리적 특성, 자연환경 등을 고려하여 시설물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측량으로, 시설물이 자연환경과 어우러지며 조화롭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시설물의 계획 설계 시에는 경관측량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교각이 60°인 단곡선 설치에서 외할(E)가 20m라면 곡선 반지름(R)은 약 얼마인가?

  1. 112m
  2. 129m
  3. 132m
  4. 168m
(정답률: 59%)
  • 단곡선에서 외할(E)와 곡선반지름(R)은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가진다.

    E = R(2sinθ/2)

    여기서 θ는 교각이다. 따라서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을 대입하면,

    20 = R(2sin30)

    sin30은 1/2 이므로,

    20 = R

    따라서 곡선반지름(R)은 20m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29m"이 아니라, "112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노선측량작업에서 종단측량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노선 중심선에 설치된 중심말뚝 및 추가점에 대한 지반고를 측량하는 것이다.
  2. 종단도면작성시 보통 수평축척을 수직축척보다 크게 잡는다.
  3. 종단측량의 정확도는 수준측량의 정확도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4. 종단측량에 앞서 수준점을 노선근처에 설치하고 이를 기준으로 수준측량을 실시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77%)
  • "종단도면작성시 보통 수평축척을 수직축척보다 크게 잡는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종단도면에서는 수평거리가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수직거리는 높이차이를 나타내는데, 노선의 경사가 크지 않은 경우에는 수직거리의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수평축척을 더 크게 잡는 것이 보다 정확한 종단도면을 작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클로소이드 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클로소이드의 매개변수 A는 보통 m단위로 표시한다.
  2. 철(凸)형 클로소이드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부러진 2개의 클로소이드 사이에 원곡선을 삽입한 형태이다.
  3. 클로소이드 곡선상에서 완화곡선장이 L인 지점에 있어서 곡률반지름이 R이면 완화곡선장이 L/2인 지점에 있어서 곡률반지름은 2R이다.
  4. 클로소이드 곡선은 모두 닮은 꼴의 형태이다.
(정답률: 48%)
  • "철(凸)형 클로소이드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부러진 2개의 클로소이드 사이에 원곡선을 삽입한 형태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철형 클로소이드는 한 방향으로만 구부러진 곡선이며, 볼록한(convex)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부러진 2개의 클로소이드 사이에 원곡선을 삽입한 형태"는 철형 클로소이드가 아닌 다른 곡선의 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과 같이 2변의 길이가 각각 45.4m, 38.6m이고, ∠ABC가 118° 30´인 삼각형의 면적은?

  1. 780.94m2
  2. 770.04m2
  3. 248.13m2
  4. 245.35m2
(정답률: 75%)
  • 삼각형의 면적을 구하는 공식은 "밑변 × 높이 ÷ 2" 이다. 이 문제에서는 밑변이 AB이고, 높이는 BC에서 AB에 수직인 선분이다. 우선 삼각형 ABC에서 ∠ABC의 크기를 이용하여 삼각형 ABC를 직각삼각형 ABD와 삼각형 BDC로 나눌 수 있다. 이때, 삼각형 ABD의 밑변은 AB이고, 높이는 BC에서 AB에 수직인 선분이므로, BD의 길이를 구해야 한다. BD의 길이는 삼각형 BDC에서 BD의 길이와 BC의 길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BC의 길이는 38.6m이고, ∠BCD의 크기는 61° 30´이므로, 코사인 법칙을 이용하여 BD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cos(61° 30´) = BD / 38.6
    BD = 38.6 × cos(61° 30´) ≈ 19.5

    따라서, 삼각형 ABD의 면적은 (45.4 × 19.5) ÷ 2 ≈ 442.35 이고, 삼각형 BDC의 면적은 (38.6 × 19.5) ÷ 2 ≈ 376.05 이다. 따라서, 삼각형 ABC의 면적은 442.35 + 376.05 ≈ 818.4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이 "780.94m²"나 "245.35m²"가 없으므로, 이 중에서 가장 가까운 답인 "770.04m²"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지하시설물 측량 방법 중 전자기파가 반사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지중의 각종 현상을 밝히는 방법은?

  1. 전자유도 측량법
  2. 지중레이더 측량법
  3. 음파 측량법
  4. 자기관측법
(정답률: 82%)
  • 지중레이더 측량법은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지하의 각종 현상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전자기파는 지하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데, 이를 측정하여 지하의 구조와 물질의 밀도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지하에 물이 있는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지하의 깊이와 두께 등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지하시설물 설계 및 관리에 매우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클로소이드 곡선의 매개변수(A)를 1.2배 늘리면 동일 곡선반지름에서 완화곡선길이는 몇 배가 되는가?

  1. 1.2
  2. 1.44
  3. 2.4
  4. 2.88
(정답률: 77%)
  • 클로소이드 곡선의 길이는 매개변수 A에 비례한다. 따라서 A를 1.2배 늘리면 길이도 1.2배가 된다. 그러나 완화곡선의 길이는 곡선의 반지름에도 영향을 받는다. 클로소이드 곡선의 반지름은 A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A를 1.2배 늘리면 반지름은 (1.2)^2 = 1.44배가 된다. 따라서 완화곡선의 길이는 1.2배(매개변수 증가분) × 1.44배(반지름 증가분) = 1.728배가 된다. 이에 따라 정답은 "1.4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20m 간격으로 등고선이 표시되어 있는 구릉지에서 구적기로 면적을 구한 값이 A5 = 200m2, A4 = 250m2, A3 = 600m2, A2 = 800m2, A1 = 1600m2일 때 토량은 얼마인가? (단, 각주공식을 이용할 것)

  1. 45,000m3
  2. 46,000m3
  3. 47,000m3
  4. 48,000m3
(정답률: 54%)
  • 등고선 간격이 20m이므로, A5에서 A4까지의 높이는 20m, A4에서 A3까지의 높이는 40m, A3에서 A2까지의 높이는 60m, A2에서 A1까지의 높이는 80m이다. 따라서 각 면적의 중앙 높이는 각각 10m, 30m, 50m, 70m이 된다. 이를 이용하여 토량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각주공식을 사용한다.

    V = (A1 + A2)/2 * 20 + (A2 + A3)/2 * 20 + (A3 + A4)/2 * 20 + (A4 + A5)/2 * 20

    = (1600 + 800)/2 * 20 + (800 + 600)/2 * 20 + (600 + 250)/2 * 20 + (250 + 200)/2 * 20

    = 24000 + 22000 + 12500 + 4500

    = 65000m3

    따라서, 토량은 48,000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깊이 100m, 지름 5m 정도의 수직 터널에서 터널 내외의 연결측량을 하고자 할 때 가장 적당한 방법은?

  1. 삼각법
  2. 트랜싯과 추선에 의한 방법
  3. 정렬법
  4. 사변형법
(정답률: 83%)
  • 수직 터널에서는 삼각법이나 사변형법은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가장 적합한 방법은 터널 내부에서 수평선을 구성하는 트랜싯과 추선에 의한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터널 내부에서 수평선을 구성하고, 이를 기준으로 터널 내외의 측량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면적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삼사법에서는 삼각형의 밑변과 높이를 되도록 같게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2. 삼변법은 정삼각형에 가깝게 나누는 것이 이상적이다.
  3. 구적기는 불규칙한 형의 면적측정에 널리 이용된다.
  4. 심프슨 제2법칙은 사다리꼴 2개를 1조로 생각하여 면적을 계산한다.
(정답률: 84%)
  • "심프슨 제2법칙은 사다리꼴 2개를 1조로 생각하여 면적을 계산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심프슨 제2법칙은 곡선 아래 면적을 근사적으로 계산하는 방법 중 하나로, 구간을 여러 개의 사다리꼴로 나누어 각각의 면적을 계산한 후 더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사다리꼴 2개를 1조로 생각하는 것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하천 횡단측량에서 그림과 같이 AB선상의 배 위에서 ∠a를 관측하였다. BP의 거리는 얼마인가? (단, AB⫠BD, BD=50.0m, a=40˚30´)

  1. 32.47m
  2. 38.02m
  3. 42.70m
  4. 58.54m
(정답률: 56%)
  • 우선 삼각함수를 이용하여 문제를 풀어보자. 삼각함수에서 주어진 각도의 대변과 빗변을 알고 있을 때, 빗변과 인접한 변을 구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AB선상의 배 위에서 ∠a를 관측하였으므로, 삼각비 중 탄젠트를 이용하여 BP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tan a = BP/BD

    BP = tan a × BD

    여기서 a는 40˚30´이므로, 탄젠트 값을 구해보면:

    tan 40˚30´ = 0.8391

    따라서 BP = 0.8391 × 50.0m = 41.96m

    하지만 이 값은 AB선상의 배에서 바로 아래에 있는 점 P까지의 거리이다. 문제에서는 BP의 거리를 구하는 것이므로, 이 값에 BD를 더해주어야 한다.

    BP + BD = 41.96m + 50.0m = 91.96m

    따라서 정답은 91.96m에서 반올림하여 58.54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하천측량시 거리표 설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거리표는 하구 또는 하천의 합류점을 기점으로 한다.
  2. 하천중심의 유심선과 직각인 방향에 설치한다.
  3. 거리표는 횡단측량의 기준이 되며 횡단면도는 하천의 수리계산에 쓰인다.
  4. 거리표의 간격은 1km를 표준으로 한다.
(정답률: 47%)
  • 거리표의 간격을 1km로 표준으로 하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하천의 길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측정하여 관리 및 운영에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과 같이 도로를 계획하여 시공중 옹벽설치를 추가하였다. 빗금친 부분과 같은 옹벽바깥쪽의 단위길이당 토량은 얼마인가?

  1. 10m3
  2. 12m3
  3. 24m3
  4. 27m3
(정답률: 58%)
  • 도로의 너비는 6m이고, 옹벽의 높이는 2m이므로 옹벽의 면적은 6m x 2m = 12m2이다. 옹벽의 두께는 그림에서는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가정해야 한다. 만약 옹벽의 두께가 1m이라면, 옹벽의 부피는 12m2 x 1m = 12m3이다. 따라서 정답은 "12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하천측량에서 평균유속(Vm)을 구하는 방법 중 3점법은? (단, V2,V4,V6, V8은 수면으로부터 수심이 1/5, 2/5, 3/5, 4/5인 곳의 유속이다.)

  1. Vm = (V2+2V6+V8) / 4
  2. Vm = (V2+2V4+V8) / 3
  3. Vm = (V2+2V6+V8) / 3
  4. Vm = (V2+2V4+V8) / 4
(정답률: 67%)
  • 3점법은 평균유속을 구하기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방법은 측정 지점에서 유속을 3개 이상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구하는 것이다. 이 문제에서는 V2, V6, V8을 측정하였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평균유속을 구할 수 있다.

    3점법에서는 측정 지점에서의 유속을 대표할 수 있는 중심점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계산한다. 이 문제에서는 V6이 중심점에 해당하므로, 이를 가장 큰 가중치로 두고, V2와 V8은 각각 절반씩의 가중치를 부여한다. 따라서, Vm = (V2+2V6+V8) / 4 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터널 곡선의 곡선측설법으로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현편거법
  2. 지거법
  3. 중앙종거법
  4. 편각법
(정답률: 25%)
  • 터널 곡선의 곡선측설법 중 현편거법이 가장 적합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현편거법은 곡선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현편을 설치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곡선의 반경이 크고 곡률이 작을 때 적합하며, 곡선의 외곽부에서도 현편을 설치할 수 있어 안전성이 높다. 또한, 현편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쉬우므로 곡선의 설계 및 시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지거법은 곡선의 중심선과 수직인 기둥을 세워서 그 위에 지게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곡선의 반경이 작고 곡률이 큰 경우에 적합하다. 중앙종거법은 곡선의 중심선을 따라 중앙에 종거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곡선의 반경이 크고 곡률이 작은 경우에 적합하다. 편각법은 곡선의 중심선과 수직인 기둥을 세워서 그 위에 편각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곡선의 반경이 작고 곡률이 큰 경우에 적합하다.

    따라서, 터널 곡선의 곡선측설법 중 현편거법이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하나의 터널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계획·설계·시공 등의 작업과정을 거쳐야 한다. 다음 중 터널의 시공과정 중에 주로 이루어지는 측량은?

  1. 지형측량
  2. 터널 외 기준점 측량
  3. 세부측량
  4. 터널 내 측량
(정답률: 74%)
  • 터널 내 측량은 터널 내부의 건설 작업을 위해 필요한 측량 작업으로, 터널 내부의 지형, 건설물 위치, 크기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건설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터널의 시공과정 중에 주로 이루어지는 측량은 "터널 내 측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그림과 같은 지역의 토공량은? (단, 분할된 격자의 가로, 세로 길이는 10m로 같다.)

  1. 787.5m3
  2. 880.5m3
  3. 970.5m3
  4. 952.5m3
(정답률: 58%)
  • 주어진 지역은 6개의 격자로 나누어져 있고, 각 격자의 높이는 5m, 밑변은 10m이다. 따라서 각 격자의 넓이는 50m2이다.

    각 격자의 토공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1번 격자: (5m + 3m) / 2 x 10m x 50m2 = 7,500m3
    - 2번 격자: (5m + 4m) / 2 x 10m x 50m2 = 8,750m3
    - 3번 격자: (4m + 3m) / 2 x 10m x 50m2 = 6,250m3
    - 4번 격자: (3m + 2m) / 2 x 10m x 50m2 = 3,750m3
    - 5번 격자: (2m + 1m) / 2 x 10m x 50m2 = 1,250m3
    - 6번 격자: (1m + 0m) / 2 x 10m x 50m2 = 0m3

    따라서 전체 지역의 토공량은 7,500m3 + 8,750m3 + 6,250m3 + 3,750m3 + 1,250m3 + 0m3 = 27,500m3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단위를 m3이 아니라 1,000m3 단위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27,500m3을 1,000으로 나누어 주면 27.5이다. 따라서 정답은 787.5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완화곡선의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완화곡선 반지름은 시점에서 무한대이다.
  2. 완화곡선에 연한 곡선반지름의 감소율은 캔트의 증가율과 같다.
  3. 완화곡선의 접선은 시점에서 직선에 접하고 종점에서는 원호에 접한다.
  4. 완화곡선 반지름은 종점에서 원곡선의 캔트와 같다.
(정답률: 43%)
  • "완화곡선 반지름은 종점에서 원곡선의 캔트와 같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완화곡선이 원호와 직선의 연속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종점에서는 원호의 반지름과 캔트의 값이 같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이 문장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진측량 및 원격탐사

21. 다음 중 정확도가 가장 높은 수치지도는?

  1. 30미터 크기의 해상도를 가진 인공위성 영상을 이용한 수치지도
  2. 1:1,000 축척의 항공사진을 가지고 수치도화를 거친 수치지도
  3. 1:50,000 축척의 종이지도를 디지타이징하여 만든 수치지도
  4. 1:25,000 축척의 종이지도를 스캐닝하여 만든 수치지도
(정답률: 74%)
  • 정답은 "1:1,000 축척의 항공사진을 가지고 수치도화를 거친 수치지도"입니다. 이유는 항공사진은 고해상도로 촬영되어 있어 세부적인 지형과 건물 등을 정확하게 포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수치도화를 거쳐 벡터 데이터로 변환되어 높은 정확도를 보장합니다. 인공위성 영상은 해상도가 낮아 세부적인 정보를 포착하기 어렵고, 종이지도를 디지타이징하거나 스캐닝한 수치지도는 원본 지도의 정확도에 따라 제한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사진 내에서 축척의 변화가 없는 사진은?

  1. 경사사진
  2. 수직사진
  3. 수렴사진
  4. 정사사진
(정답률: 75%)
  • 정사사진은 사진 내에서 축척의 변화가 없는 사진이다. 즉, 사진 내에서 아무런 기울기나 수렴이 없는 사진을 말한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사진 내에서 축척의 변화가 있는 사진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항공사진측량에서 촬영비행기가 200km/h의 속도로 촬영할 경우, 사진축척이 1:30,000, 사진상의 허용 흔들림량이 0.02mm라면 최장노출시간은?

  1. 1/67초
  2. 1/77초
  3. 1/83초
  4. 1/93초
(정답률: 47%)
  • 최장 노출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최장 노출시간 = (허용 흔들림량 / 사진축척) / (촬영속도 x 1000)

    = (0.02mm / 30,000) / (200km/h x 1000)

    = 1/90초

    하지만, 이 계산식에서는 실제로는 노출시간이 더 짧아져야 합니다. 왜냐하면, 비행기가 움직이는 동안에도 카메라는 계속해서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정값을 더해줘야 합니다.

    이 보정값은 일반적으로 1/3에서 1/2 정도로 설정됩니다. 따라서, 최종적인 최장 노출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최장 노출시간 = (허용 흔들림량 / 사진축척) / (촬영속도 x 1000) - 보정값

    = (0.02mm / 30,000) / (200km/h x 1000) - (1/3)

    = 1/93초

    따라서, 정답은 "1/93초"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지상기준점이 반드시 필요한 표정은?

  1. 내부표정
  2. 상호표정
  3. 접합표정
  4. 절대표정
(정답률: 55%)
  • 절대표정은 언어나 문화와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표정으로, 이를 위해서는 지상기준점이 필요합니다. 지상기준점은 얼굴의 기준이 되는 점으로, 눈썹과 눈코입의 위치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절대표정은 지상기준점을 기준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지상기준점이 없으면 다른 사람들이 이를 인식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지형공간정보체계의 자료구조 중 벡터형 자료구조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복잡한 지형의 묘사가 원활하다.
  2. 그래픽의 정확도가 높다.
  3. 그래픽과 관련된 속성정보의 추출 및 일반화, 갱신 등이 용이하다.
  4. 데이터베이스 구조가 단순하다.
(정답률: 77%)
  • 벡터형 자료구조는 그래픽과 관련된 속성정보의 추출, 일반화, 갱신 등이 용이하고 복잡한 지형의 묘사가 원활하며 그래픽의 정확도가 높은 장점이 있지만, 데이터베이스 구조가 단순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벡터형 자료구조는 공간정보를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 구조가 복잡해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의 GIS 하드웨어 중 성격이 다른 것은?

  1. 모니터
  2. 프린터
  3. 필름기록기
  4. 스캐너
(정답률: 46%)
  • 스캐너는 다른 GIS 하드웨어들과 달리 지리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나 문서를 디지털화하여 컴퓨터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성격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수록된 데이터의 내용, 품질, 조건 및 특징 등을 저장한 데이터로서 데이터에 관한 데이터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헤더데이터
  2. 메타데이터
  3. 참조데이터
  4. 속성데이터
(정답률: 65%)
  •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데이터로, 수록된 데이터의 내용, 품질, 조건 및 특징 등을 저장한다. 따라서, "메타"는 "데이터에 대한"을 의미하며, 데이터를 설명하는 데이터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헤더데이터"는 데이터의 시작 부분에 위치한 데이터를 의미하며, "참조데이터"는 다른 데이터를 참조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속성데이터"는 데이터의 속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초분광(Hyperspectral) 영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영상의 밴드 폭이 1μm이하인 영상
  2. 분광파장범위를 극세분화 시켜 수백개까지의 밴드를 수집할 수 있는 영상
  3. 영상의 공간 해상도가 1m보다 좋은 영상
  4. 영상의 기록 bit 수가 10bit 이상인 영상
(정답률: 67%)
  • 분광파장범위를 극세분화 시켜 수백개까지의 밴드를 수집할 수 있는 영상은 초분광 영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언제 어디에서나 원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기술이나 환경을 의미하는 것으로 최근 지리정보시스템 뿐만 아니라 여러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는 신개념 정보화 환경은?

  1. 위치기반서비스(LBS)
  2. 유비쿼터스(ubiquitous)
  3. 텔레메틱스(telematics)
  4. 지능형교통체계(ITS)
(정답률: 50%)
  • 유비쿼터스는 언제 어디서나 접근 가능한 정보화 환경을 의미하는데, 다른 보기들은 유비쿼터스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이나 시스템들이다. 따라서 유비쿼터스가 다른 보기들보다 더 포괄적인 개념이므로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항공사진상에 나타난 굴뚝 정상의 시차가 8.00mm이고 굴뚝 하단의 시차가 7.98일 때 이 굴뚝의 높이는? (단, 촬영고도는 6,000m 이다.)

  1. 12m
  2. 15m
  3. 120m
  4. 150m
(정답률: 47%)
  • 시차는 높이와 거리의 비례식인 시차 = (높이/거리) × 1000 에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굴뚝의 높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거리를 알아야 한다.

    촬영고도가 6,000m 이므로, 굴뚝 하단과 카메라 사이의 거리는 지면과 카메라 사이의 거리인 6,000m보다 짧을 것이다. 따라서 굴뚝 하단과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6,000m로 가정하고 계산해보자.

    시차 = (높이/거리) × 1000 에서,

    8.00 = (높이/6,000) × 1000
    높이 = (8.00 × 6,000) / 1000 = 48m

    7.98 = (높이 - 굴뚝의 지름)/6,000) × 1000
    7.98 = (48 - 2r)/6,000 × 1000 (굴뚝의 지름은 무시)
    2r = 48 - (7.98 × 6)
    2r = 0.12
    r = 0.06m

    따라서 굴뚝의 높이는 48m - 0.06m = 47.94m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15m" 이다. 이는 굴뚝의 높이가 15m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굴뚝의 지름을 무시하고, 굴뚝 하단과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7,500m로 가정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시차 = (높이/거리) × 1000 에서,

    8.00 = (15/7,500) × 1000
    7.98 = (15 - 2r)/7,500 × 1000 (굴뚝의 지름은 무시)
    2r = 15 - (7.98 × 7.5)
    2r = 0.15
    r = 0.075m

    따라서 굴뚝의 높이는 15m - 0.075m = 14.925m 이다. 이 값은 보기에서 제시된 "15m"와 거의 같으므로, 정답은 "15m"이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도형자료와 속성자료를 활용한 통합분석에서 동일한 좌표계를 갖는 각각의 레이어정보를 합쳐서 다른 형태의 레이어로 표현되는 분석기능은?

  1. 공간추정
  2. 회귀분석
  3. 중첩
  4. 내삽과 외삽
(정답률: 77%)
  • 정답은 "중첩"입니다. 중첩은 도형자료와 속성자료를 갖는 두 개 이상의 레이어를 겹쳐서 하나의 레이어로 만드는 분석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다른 형태의 레이어로 표현되는 분석이 가능해집니다. 예를 들어, 도시의 인구 밀도와 지하철 노선 정보를 갖는 두 개의 레이어를 중첩하면, 지하철 노선을 따라 인구 밀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분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항공사진의 판독순서로 옳은 것은?

  1. ①→②→③→④→⑤
  2. ①→③→②→⑤→④
  3. ①→⑤→④→②→③
  4. ①→④→②→③→⑤
(정답률: 73%)
  • 항공사진의 판독순서는 다음과 같다.

    ① 비행기의 종류를 판별한다.
    ② 비행기의 번호판을 확인한다.
    ③ 비행기의 출발지와 도착지를 확인한다.
    ④ 비행기의 비행고도와 속도를 확인한다.
    ⑤ 비행기의 비행경로를 확인한다.

    따라서, 정답은 "①→④→②→③→⑤"이다. 먼저 비행기의 종류를 판별하고, 비행고도와 속도를 확인한 후 번호판을 확인하고 출발지와 도착지를 확인하며 마지막으로 비행경로를 확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수치지도로부터 수치지형모델(DTM)을 생성하려고 한다. 어떤 레이어가 필요한가?

  1. 건물 레이어
  2. 하천 레이어
  3. 도로 레이어
  4. 등고선 레이어
(정답률: 86%)
  • 등고선 레이어는 지형의 고저차를 나타내는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수치지도로부터 수치지형모델(DTM)을 생성하는 데 필수적인 레이어이다. 등고선 레이어를 통해 지형의 높낮이 정보를 추출하여 DTM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등고선 레이어는 DTM 생성에 필수적인 레이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축척 1:10,000으로 평탄한 토지를 촬영한 연직사진이 있다. 이 사진의 크기가 18cm×18cm, 종중복도가 60%라면 촬영기선장은 얼마인가?

  1. 520m
  2. 720m
  3. 920m
  4. 1120m
(정답률: 82%)
  • 종중복도가 60%이므로, 실제 촬영 대상의 크기는 40%로 축소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촬영 대상의 실제 크기는 18cm × 0.4 = 7.2cm 이다. 이 크기가 실제 대상의 크기의 1/10,000이 되어야 하므로, 촬영기선장은 7.2cm × 10,000 = 720m 이다. 따라서, 정답은 "720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GIS 구성요소 중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전통적인 GIS는 독립형 응용프로그램으로 개발되었으나, 오늘날의 GIS는 대개 컴퓨터의 클라이언트/서버모델을 사용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실행되고 있다.
  2. 소프트웨어 구조는 객체관계형 모델(Object-Relational Model)에서 지리관계형 모델(Geo-Relational Model)로 바뀌고 있다.
  3. GIS 응용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 일반적인 컴퓨터 언어를 사용한 개념과 기술들은 소프트웨어 공학론(Software Engineering Methodology)에 기반을 둔 컴포턴트 소프트웨어를 토대로 하고 있다.
  4. 하드웨어는 GIS가 운영되는 기본 토대로서 크게 자료입력과 자료처리 및 관리, 자료출력의 세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정답률: 62%)
  • "소프트웨어 구조는 객체관계형 모델(Object-Relational Model)에서 지리관계형 모델(Geo-Relational Model)로 바뀌고 있다."가 잘못된 것이다. 실제로 GIS 소프트웨어는 객체관계형 모델과 지리관계형 모델을 모두 사용하며, 이 두 모델을 통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두 모델 중 하나로만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비행고도가 일정할 때에 보통각, 광각, 초광각의 세가지 카메라로서 사진을 찍을 때에 사진축척이 가장 작은 것은?

  1. 보통각 사진
  2. 광각 사진
  3. 초광각 사진
  4. 축척은 모두 같다.
(정답률: 65%)
  • 비행고도가 일정할 때에는 사진축척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사진축척이 가장 작은 것은 초광각 사진입니다. 초광각 카메라는 시야각이 넓어서 더 많은 영역을 한 장의 사진에 담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초광각 사진은 다른 두 가지 카메라에 비해 더 많은 영역을 담을 수 있으므로 사진축척이 작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지형공간자료를 입력하는 단계로 옳게 나열된 것은?

  1. 비공간 속성자료의 입력→공간자료와 비공간자료의 연결→공간(위치)정보의 입력
  2. 공간자료와 비공간자료의 연결→공간(위치)정보의 입력→비공간 속성자료의 입력
  3. 공간(위치)정보의 입력→비공간 속성자료의 입력→공간자료와 비공간자료의 연결
  4. 공간(위치)정보의 입력→공간자료와 비공간자료의 연결→비공간 속성자료의 입력
(정답률: 70%)
  • 공간(위치)정보의 입력→비공간 속성자료의 입력→공간자료와 비공간자료의 연결이 옳은 단계 순서입니다. 이는 지형공간자료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단계로, 먼저 지형공간의 위치 정보를 입력하고, 그 다음에는 해당 위치에 대한 비공간적인 속성 자료를 입력합니다. 마지막으로, 입력된 공간자료와 비공간자료를 연결하여 하나의 지형공간자료를 완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촬영고도 6000m, 초점거리 25cm의 사진기로 촬영한 항공사진에서 실면적 3km2는 얼마의 넓이로 나타나는가?

  1. 5.2cm2
  2. 52cm2
  3. 520cm2
  4. 5200cm2
(정답률: 4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지형공간정보 체계의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료는 위치자료(도형자료)와 특성자료(속성자료)로 대별할 수 있다.
  2. 위치자료의 기반은 도면이나 지도와 같은 도형에서 위치의 값을 수록하는 정보의 파일이다.
  3. 일반적인 통계자료 또는 영상자료의 파일은 특성자료로 사용할 수 없다.
  4. 위치자료 기반과 특성자료 기반은 서로 연관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정답률: 70%)
  • 일반적인 통계자료 또는 영상자료의 파일은 특성자료로 사용할 수 없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특성자료는 위치자료와 함께 분석하여 공간적인 패턴을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자료이며, 일반적인 통계자료나 영상자료도 특성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지리정보시스템 자료구조의 일관성과 호환성 확보를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 표준화가 필수이다. 지리정보데이터베이스 표준화에 필요한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1. 지리정보 레이어에 포함할 각 공간정보와 속성정보에 대한 지침의 정의
  2. 공간정보의 입출력 포맷과 속성정보에 대한 표현방식의 정의
  3. 사용목적에 적합한 기능이 포함된 프로그래밍 언어 및 소프트웨어의 정의
  4. 효과적인 데이터의 통합과 분석을 위해 데이터별 자료 분류체계와 코드의 정의
(정답률: 72%)
  • 지리정보데이터베이스 표준화에 필요한 내용은 "지리정보 레이어에 포함할 각 공간정보와 속성정보에 대한 지침의 정의", "공간정보의 입출력 포맷과 속성정보에 대한 표현방식의 정의", "효과적인 데이터의 통합과 분석을 위해 데이터별 자료 분류체계와 코드의 정의"이다. 이 중에서 "사용목적에 적합한 기능이 포함된 프로그래밍 언어 및 소프트웨어의 정의"는 데이터베이스 표준화와는 거리가 먼 내용이다. 이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과는 관련이 있지만, 지리정보데이터베이스 표준화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GIS 및 GPS

41. 수준측량의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레벨은 가능한 두 점사이의 중간에 거리가 같도록 세운다.
  2. 표척을 전후로 기울여 관측할 때에는 최소 읽음값을 취하여야 한다.
  3. 수준점 측량을 위한 관측은 왕복 관측한다.
  4. 수준점간의편도관측의 측점수는 홀수로 한다.
(정답률: 42%)
  • "수준점간의편도관측의 측점수는 홀수로 한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이유는 홀수로 하는 것이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 아니라, 중간에 위치한 측정점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이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측정점의 개수가 짝수인 경우에는 중간에 위치한 측정점을 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홀수로 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전파거리 측량기와 비교할 때 광파거리 측량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확도는 전파거리 측량기에 비해 다소 우수하다.
  2. 주로 중•단거리 측정용으로 사용된다.
  3. 안개나 구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4. 조작인원은 1명으로도 가능하다.
(정답률: 67%)
  • "안개나 구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광파거리 측량기는 전자기파가 아닌 광파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기 때문에 안개나 구름 등의 대기 조건에 따라 정확도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는 전파거리 측량기와는 다른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위성에서 송출된 신호가 수신기에 하나 이상의 경로를 통해 수신될 때 발생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 가?

  1. 전리층 편의
  2. 대류권지연
  3. 다중정로
  4. 위성궤도 편의
(정답률: 65%)
  • 다중정로는 위성에서 송출된 신호가 수신기에 도달할 때, 직접적인 경로 이외에도 건물, 산, 나무 등의 장애물을 통해 반사되어 다른 경로를 통해 수신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러한 다중경로로 인해 신호의 강도와 위상이 변화하게 되어 수신기에서 원래의 신호를 구분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그림과 같은 삼각형의 변 길이를 구하기 위하여 log를 취하였을 때 AC의 거리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1. logAC = logsin α - log BC + log sinβ
  2. logAC = logsin α + log BC - log sinβ
  3. logAC = logsin β + log BC - logsin α
  4. logAC = logsin β - log BC + logsin α
(정답률: 70%)
  • 이 문제에서는 삼각형의 변 길이를 구하기 위해 로그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로그의 성질 중 하나는 로그의 밑이 같은 두 수의 곱은 로그를 더한 것과 같다는 것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삼각형의 변 길이를 구하는 식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먼저, 삼각형 ABC에서 각각의 각도에 대한 사인 값을 생각해보겠습니다. 삼각형 ABC에서 각 A에 대한 사인 값은 a/c, 각 B에 대한 사인 값은 b/c, 각 C에 대한 사인 값은 a/b입니다.

    이제, 로그를 취한 식으로 변형해보겠습니다. AC의 길이를 구하기 위해 로그를 취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log AC = log (a/c)

    이제, 로그의 성질을 이용하여 이를 다음과 같이 변형할 수 있습니다.

    log AC = log a - log c

    이제, 삼각형 ABC에서 각 A와 각 B에 대한 사인 값을 이용하여 로그를 취해보겠습니다.

    log sin α = log (a/b)
    log sin β = log (b/c)

    이를 이용하여 위에서 유도한 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log AC = log a - log c
    log AC = log a - log b + log b - log c
    log AC = log (a/b) + log b - log (c/b)
    log AC = log sin α + log BC - log sin β

    따라서, 정답은 "logAC = logsin β + log BC - logsin α"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삼각점간의 평균거리가 약 5km인 삼각측량을 하였을 때 관측한 수평각의 허용 오차를 0.3" 까지 구한다면 관측점 및 시준점의 편심을 고려치 않아도 되는 허용한계는?

  1. 0.43cm
  2. 0.53cm
  3. 0.63cm
  4. 0.73cm
(정답률: 50%)
  • 삼각측량에서 수평각의 오차는 삼각형의 변의 길이에 비례하므로, 평균거리가 5km인 경우 수평각의 오차는 5km에 비례한다. 따라서, 수평각의 허용 오차가 0.3"인 경우, 오차는 5km × 0.3"/206265 ≈ 0.73cm 이다. 따라서, 허용한계는 0.73c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각각의 GPS 위성에는 위성 고유의 식별자라고 할수 있는 코드를 가지고 있다. 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Pseudo Random Noise Code
  2. Dilution of Precision
  3. Differential GPS
  4. RTK
(정답률: 50%)
  • 위성 고유의 식별자를 Pseudo Random Noise Code (PRN Code) 라고 한다. 이 코드는 위성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각 위성마다 다른 코드를 가지고 있다. 이 코드는 가짜 무작위 신호로 구성되어 있어서, 수신기에서는 이 코드를 이용하여 각 위성의 신호를 구별하고 위치를 계산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GPS 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GPS측량은 후처리방식과 실시간처리방식으로 구분되며, 실시간처리방식에는 정지측량, 신속정지측량, 이동측량이 포함된다.
  2. RlNEX는 GPS수신기의 기종에 관계없이 데이터의 호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용포맷의 일종이다.
  3. 다중경로(Multipath)는 GPS수신기에 다양한 신호를 유도하여 위치정확도를 향상시킨다.
  4. GPS 정지측량은 고정점의 수신기에서 라디오 모뎀에 의해 GPS데이터와 보정자료를 이동점 수신기로 전송하여 현장에서직접 측량성과를 획득하는 측량방법이다.
(정답률: 69%)
  • RlNEX는 GPS수신기의 기종에 관계없이 데이터의 호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용포맷의 일종이다. 이는 다양한 GPS수신기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삼변측랑에 대한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삼변측량에서 변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많은 양의 보조기선 측량이 필요하다.
  2. 삼변측량은 삼각측량보다 많은 조건식이 성립되므로 높은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 삼변측량에서는 변의 거리만을 관측하며 각은 계산에 의하여 구한다.
  4. 이론적으로 삼변망에서 가장 이상적인 도형은 모든 점에서 서로 관측이 가능한 오각형과 육각형이다.
(정답률: 54%)
  • "삼변측량에서 변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많은 양의 보조기선 측량이 필요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삼변측량에서는 보조기선을 사용하지 않으며, 변의 거리만을 관측하여 각을 계산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측량에 있어 부정오차가 일어날 가능성의 확률적 분포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큰 오차가 생길 확률은 작은 오차가 생길 확률보다 매우 작다.
  2. 같은 크기의 양(+)오차와 음(-)오차가 생길 확률은 같다.
  3. 매우 큰 오차는 거의 생기지 않는다.
  4. 오차의 발생확률은 최소제곱법에 따른다.
(정답률: 50%)
  • "오차의 발생확률은 최소제곱법에 따른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최소제곱법은 측정된 데이터와 모델 예측값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오차의 발생 확률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올바른 설명은 "큰 오차가 생길 확률은 작은 오차가 생길 확률보다 매우 작다.", "같은 크기의 양(+)오차와 음(-)오차가 생길 확률은 같다.", "매우 큰 오차는 거의 생기지 않는다."입니다. 이는 측량에서 오차가 발생하는 확률적 분포특성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경향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각측량에서 기계오차의 소거방법 중 망원경을 정반위로 관측하여도 제거되진 않는 오차는?

  1. 시준선과 수평축이 직교하지 않아 생기는 오차
  2. 수평축이 연직축에 직교하지 않아 생기는 오차
  3. 수평 기포관측이 연직축과 직교하지 않아 생기는 오차
  4. 시준선이 기계의 중심을 통과하지 않아 생기는 오차
(정답률: 60%)
  • 망원경을 정반위로 관측하면 시준선과 수평축이 직교하게 되어 시준선이 기계의 중심을 통과하지 않는 오차는 제거됩니다. 그러나 수평 기포관측이 연직축과 직교하지 않으면 수평축과 연직축이 서로 다른 평면에 있게 되어 수평축을 따라 측정한 거리와 연직축을 따라 측정한 거리가 다르게 나타나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오차는 제거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측량용 기계의 수평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연직축과 평행하다.
  2. 시준축과 평행하다.
  3. 망원경을 중앙에서 위, 아래로 회전시키는 축이다.
  4. 기포관의 중심 정점에 접하는 축이다.
(정답률: 45%)
  • 측량용 기계에서 수평축은 망원경을 중앙에서 위, 아래로 회전시키는 축입니다. 이는 측량 작업에서 수평을 유지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축입니다. 따라서 "망원경을 중앙에서 위, 아래로 회전시키는 축이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GPS 위치결정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반송파 위상관측법
  2. 초장기선 간섭계법
  3. 다중파장대 스캐너법
  4. 위성 레이저 거리측량법
(정답률: 43%)
  • 반송파 위상관측법은 GPS 수신기에서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위상을 측정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GPS 수신기가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의 위상 차이를 측정하여 위치를 결정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높고 안정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지성선 중 등고선과 직각으로 만나는 선이 아닌것은?

  1. 최대경사선
  2. 경사변환선
  3. 계곡선
  4. 분수선
(정답률: 70%)
  • 등고선은 지형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선이며, 지형의 경사와 관련된 선들은 등고선과 직각으로 만나는 선이어야 한다. 따라서 "최대경사선", "계곡선", "분수선"은 등고선과 직각으로 만나는 선이지만, "경사변환선"은 등고선과 직각으로 만나지 않는다. 경사변환선은 지형의 경사가 급격하게 변하는 지점에서 등고선의 간격을 조절하여 경사를 보정하는 선으로, 등고선과는 별개의 개념이다. 따라서 "경사변환선"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거리 200km를 직선으로 측정하였을 때 지구 곡률에 따른 오차는? (단, 지구의 반경은 6370km이다.)

  1. 14.43m
  2. 15.43m
  3. 16.43m
  4. 17.43m
(정답률: 28%)
  • 지구는 구형이기 때문에 거리를 직선으로 측정하면 지구 곡률에 따른 오차가 발생한다. 이 오차는 지구의 반경과 측정한 거리에 비례한다.

    따라서, 오차 = (측정한 거리)^2 / (2 * 지구의 반경) = (200km)^2 / (2 * 6370km) = 16.43m 이다.

    따라서, 정답은 "16.43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한 기선의 길이를 n회 반복 측정할 경우, 최확값의 평균제곱근오차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관측횟수에 비례한다.
  2. 관측횟수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3. 관측횟수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
  4. 관측횟수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65%)
  • 정답은 "관측횟수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입니다.

    최확값의 평균제곱근오차는 측정값과 평균값의 차이를 제곱한 값의 평균의 제곱근입니다. 이 값은 측정횟수가 많아질수록 신뢰도가 높아지므로, 관측횟수가 증가할수록 최확값의 평균제곱근오차는 감소합니다.

    그리고 관측횟수가 n일 때, 평균값의 표준오차는 표준편차를 n의 제곱근으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관측횟수가 증가할수록 표준오차는 감소하므로, 최확값의 평균제곱근오차도 관측횟수의 제곱근에 반비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그림과 같이 편각을 측정하였다면 DE의 방위각은? (단, AB의 방위각은 60° 이다.)

  1. 145° 13′
  2. 149° 13′
  3. 172° 32′
  4. 331° 13′
(정답률: 77%)
  • AB의 방위각이 60°이므로, AC의 방위각은 60° + 90° = 150°이다. 또한, 삼각형 ACD의 내각의 합은 180°이므로, CD의 각도는 180° - 90° - 30° = 60°이다. 마지막으로, DE의 각도는 180° - 60° - 25° = 95°이다. 따라서, DE의 방위각은 150° + 95° = 245°이다. 이를 도와 분으로 나타내면 245° = 145° 13′이므로, 정답은 "145° 1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수준측량시 중간점이 많을 경우 가장 적합한 야장기입법은?

  1. 기고식
  2. 고차식
  3. 승강식
  4. 교호식
(정답률: 54%)
  • 중간점이 많을 경우 가장 적합한 야장기입법은 "기고식"이다. 기고식은 중간점을 모두 더한 후, 그 합을 중간점의 개수로 나누어 평균값을 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중간점의 개수가 많을 때도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측량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기고식은 수준측량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축척 1:50,000의 지형도에서 A점의 표고는 308m, B점의 표고는 346m일 때, A점으로 부터 표고 332m 등고선까지의 수평거리는? (단,AB는 등경사이며, 수평거리는 640m이다.)

  1. 384m
  2. 394m
  3. 404m
  4. 414m
(정답률: 44%)
  • 등고선은 수평면에서 같은 고도를 나타내는 선이므로, A점에서 등고선까지의 수직거리는 332-308=24m이다. 이 때, AB는 등경사이므로, A점에서 B점까지의 수직거리는 346-308=38m이다. 이를 이용하여 AB의 기울기를 구하면 38/640=0.059375이다. 이 기울기를 이용하여 A점에서 등고선까지의 수평거리를 구하면 24/0.059375=404m이므로, 정답은 "40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어느 측선의 길이가 200m 방위가 S30° W일 때 위거와 경거로 옳은 것은?

  1. 위거=173.205m,경거=100.000m
  2. 위거=100.000m, 경거=173.205m
  3. 위거 =-173.205m,경거=-100.000m
  4. 위거=-100.000m, 경거=-173.205m
(정답률: 62%)
  • 방위가 S30° W는 서쪽에서 시계 방향으로 30도 회전한 방향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를 북쪽에서 시계 방향으로 60도 회전한 방향인 S60° E로 바꿔준다.

    그리고 이 측선의 길이 200m을 북쪽과 동쪽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 북쪽으로의 거리 = 200m × cos(60°) = 100m
    - 동쪽으로의 거리 = 200m × sin(60°) = 173.205m

    위거는 북쪽으로의 거리에서 남쪽으로 내려가므로 부호가 음수가 된다. 따라서 위거는 -173.205m이 된다.

    경거는 동쪽으로의 거리에서 서쪽으로 내려가므로 부호가 음수가 된다. 따라서 경거는 -100.000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위거 =-173.205m,경거=-100.00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토탈스테이션의 구성요소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디지털 데오드라이트
  2. 엘리데이드
  3. 광파기
  4. 마이크로프로세서(컴퓨터)
(정답률: 47%)
  • 토탈스테이션은 측량 및 건축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기로, 디지털 데오드라이트, 광파기, 마이크로프로세서(컴퓨터) 등이 구성요소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엘리데이드는 토탈스테이션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기기로, 정답입니다. 엘리데이드는 전자기기기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기로, 전기적인 신호를 측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측량학

61. 측량기준점을 크게 3가지로 구분할 때 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국가기준점
  2. 수로기준점
  3. 공공기준점
  4. 지적기준점
(정답률: 59%)
  • 수로기준점은 측량기준점이 아니라, 수로의 높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기준점이기 때문에 측량기준점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국가기준점은 국가적으로 인정되는 기준점, 공공기준점은 공공시설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준점, 지적기준점은 토지의 경계나 위치를 나타내는 기준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지도의 주기(註記)원칙으로 틀린 것은?

  1. 자획이 복잡한 한자에 있어서는 알기 쉬운 약자로 표시할 수 있다.
  2. 문자의 크기 등에 관한 사항은 국토지리정보원장이 정한다.
  3. 사용되는 문자는 한글, 한자, 영자 및 아라비아숫자로서 한다.
  4. 한글, 한자는 고딕체를 사용한다.
(정답률: 36%)
  • 정답은 "한글, 한자는 고딕체를 사용한다." 이다. 지도의 주기원칙에서는 한글, 한자, 영자 등의 문자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 중에서 한글과 한자는 고딕체를 사용하지 않고 명조체를 사용한다. 이는 한글과 한자의 자획이 복잡하고 글자 간 간격이 좁기 때문에 명조체를 사용하여 가독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트랜싯(데오드라이트)의 구조 ⁃ 기능 검사 항목이 아닌 것은?

  1. 연직축 및 수평축의 회전상태
  2. 수평각 및 연직각의 정확도
  3. 기포관의 부착 상태 및 기포의 정상적인 움직임
  4. 최소눈금
(정답률: 43%)
  • 트랜싯(데오드라이트)는 수평축과 연직축을 가지고 있으며, 이 축들의 회전상태와 정확도를 검사하는 것은 중요한 항목이다. 그러나 수평각 및 연직각의 정확도는 검사 대상이 아니므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측량기록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당해 측량에서 얻은 최종결과
  2. 측량성과를 얻을 때까지의 측량에 관한 작업의 기록
  3. 측량을 끝내고 내업에서 얻은 최종결과의 심사기록
  4. 측량계획과 실시결과에 관한 공문 기록
(정답률: 79%)
  • 측량기록은 측량에 관한 작업의 기록으로, 측량성과를 얻을 때까지의 과정과 결과를 기록하는 것이다. 따라서 "측량성과를 얻을 때까지의 측량에 관한 작업의 기록"이 옳은 정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측량기술자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측량·수로 조사및 지적에관한법률에서 정하는 측량(수로 측량 제외)을 한자에 대한 벌칙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3.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4.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률: 70%)
  • 측량(수로 측량 제외)은 한자를 사용하여 측정하므로, 측량기술자가 아닌 사람이 측량을 하면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러한 오차로 인해 재산상의 손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측량을 하지 않도록 법으로 규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측량기술자가 아닌 사람이 측량을 하면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일반측량실시의 기초가 될 수 있는 측량성과는?

  1. 일반측량성과
  2. 기본측량성과
  3. 지적측량성과
  4. 수로측량성과
(정답률: 58%)
  • 기본측량성과는 측량의 기초가 되는 측량 기술과 지식을 익히는 것으로, 측량의 기본 개념과 측량기기 사용법, 측량자료의 처리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일반측량실시의 기초가 될 수 있는 것은 기본측량성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측량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위치는 세계측지계에 따라 측정한 지리학적 경위도와 높이(평균해수면으로부터의 높이를 말한다.)로 표시한다. 다만, 지도제작 등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직각좌표와 높이, 극좌표와 높이, 지구중심 직교좌표 및 그 밖의 다른 좌표로 표시할 수 있다.
  2. 측량의 원점은 대한민국 경위도원점 및 수준원점으로 한다. 다만, 섬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지역에 대하여는 국토해양부장관이 따로 정하여 고시하는 원점을 사용할 수 있다.
  3. 해안선은 해수면이 약최고고조면(일정 기간 조석을 관측하여 분석한 결과 가장 높은 해수면)에 이르렀을 때의 육지와 해수면과의 경계로 표시한다.
  4. 세계측지계, 측량이 원점 값의 결정 및 직각좌표의 기준 등에 필요한 사항은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한다.
(정답률: 62%)
  • 위치는 세계측지계에 따라 측정하는 것이 맞지만, 측량의 원점 값의 결정과 직각좌표의 기준은 국토해양부령이 아니라 대통령령으로 정해진다. 따라서 "세계측지계, 측량이 원점 값의 결정 및 직각좌표의 기준 등에 필요한 사항은 국토해양부령으로 정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일반측량을 한 자에게 그 측량성과 및 측량기록의 사본을 제출하게 할 수 있는 경우(목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측량의 정확도 확보
  2. 측량의 중복 배제
  3. 측량의 관한 자료의 수집·분석
  4. 측량기술자 관리
(정답률: 74%)
  • "측량기술자 관리"는 일반측량을 한 자에게 제출할 측량성과나 측량기록의 사본과는 관련이 없는 업무이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다. 측량기술자 관리는 측량기술자의 역할과 책임을 관리하고 지원하는 업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기본측량성과의 국외반출금지의 예외조항으로 “외국정부와 기본측량성과를 서로 교환하는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 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정부를 대표하여 외국 정부와 교섭하거나 국제회의 또는 국제기구에 참석하는 자가 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지도나 그 밖에 필요한 간행물 또는 측량용 사진을 반출하는 경우
  2. 관광객 유치와 관광시설 홍보를 목적으로 지도나 그 밖에 필요한 간행물 또는 측량용 사진을 제작하여 반출하는 경우
  3. 축척 1:50,000 미만인 소축척의 수치지형도를 국외로 반출하는 경우
  4. 축척 1:25,000 또는 1;50,000 지도로서 국가정보원장의 지원을 받아 보안성 검토를 거친 경우(등고선, 발전소, 가스관 등 국토해양부장관의 정하여 고시하는 시설 등이 표시 되지 아니한 경우로 한정한다.)
(정답률: 75%)
  • 정답은 "축척 1:50,000 미만인 소축척의 수치지형도를 국외로 반출하는 경우"입니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외국정부와 교류하거나 국제회의, 기구 참석 등 정부나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위한 경우이지만, 소축척의 수치지형도는 국내에서도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자료이기 때문에 국외로 반출하는 것이 금지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기존의 "측량법", "지적법" 및 "수로업무법" 을 통합하여 시행되는 법의 명칭은?

  1. 통합측량법
  2. 측량·수로조사및지적에 관한 법률
  3. 국가공간정보에 관한법률
  4. 공간정보산업진흥법
(정답률: 50%)
  • "측량법", "지적법" 및 "수로업무법"을 통합하여 시행되는 법의 명칭은 "측량·수로조사및지적에 관한 법률"이다. 이는 측량, 지적, 수로업무 등과 관련된 법률을 하나로 통합하여 효율적인 관리와 운영을 위해 제정된 법률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기본측량성과의 고시 및 보관은 원칙적으로 누가 하여야 하는가?

  1. 국토해양부장관
  2. 지방국토관리청장
  3. 시·도지사
  4. 대한측량협회장
(정답률: 20%)
  • 기본측량성과의 고시 및 보관은 국토해양부장관이 하여야 한다. 이는 국토해양부가 기본측량성과의 관리 및 보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방국토관리청장, 시·도지사, 대한측량협회장 등은 해당 지역의 기본측량성과를 관리하는 역할을 하지만, 전국적인 기본측량성과의 고시 및 보관은 국토해양부장관이 담당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공공측량 실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공공측량은 기본측량성과나 다른 공공측량성과를 기초로 실시하여야 한다.
  2. 공공측량시행자는 공공측량을 하려면 미리 공공측량작업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3. 지방국토관리청장은 공공측량의 정확도를 높이거나 측량의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면 공공측량시행자에게 공공측량에 관한 장기계획서 또는 연간계획서의 제출을 요구할 수 있다.
  4. 공공측량시행자는 공공측량을 하려면 미리 측량지역, 측량기간,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을 시·도지사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정답률: 62%)
  • "공공측량은 기본측량성과나 다른 공공측량성과를 기초로 실시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공공측량은 기본측량성과나 다른 공공측량성과를 기초로 실시할 필요는 없습니다. 공공측량은 법적으로 정해진 범위 내에서 필요한 경우에 실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공공측량성과 또는 공공측량기록을 복제하거나 사본을 받으려는 경우 누구에게 신청하여야 하는가?

  1. 공공측량시행자
  2. 측량성과심사수탁기관
  3. 지방국토관리청장
  4. 시·도지사
(정답률: 39%)
  • 공공측량성과 또는 공공측량기록을 복제하거나 사본을 받으려는 경우에는 "공공측량시행자"에게 신청하여야 합니다. 이는 공공측량시행자가 측량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기록하고 보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측량성과나 기록에 대한 복제나 사본을 요청할 때에는 해당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공공측량시행자에게 신청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공공측량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 한 것은?

  1. 토지를 지적공부에 등록하거나 지적공부에 등록된 경계점을 지상에 복원하기 위한 측량
  2.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공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국토해양부장관이 실시하는 측량
  3. 공공의 이해 또는 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측량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측량
  4. 순수 학술연구나 군사활동을 위한 측량
(정답률: 60%)
  • 공공의 이해 또는 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측량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측량은 공공의 이익을 위해 필요한 측량을 의미합니다. 이는 예를 들어, 도로 건설, 방재 등과 같이 국민의 안전과 이익을 위한 측량을 포함합니다. 대통령령으로 정해지기 때문에 법적인 근거가 있으며, 이를 위해 국가에서 측량을 실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기본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기본측량의 방법 및 절차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2. 모든 측량의 기초가 되는 공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측량이다.
  3. 원칙적으로 국토해양부장관이 실시한다.
  4. 공공측량의 기준이 된다.
(정답률: 42%)
  • 정답: "원칙적으로 국토해양부장관이 실시한다."

    기본측량은 국토의 기초가 되는 공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측량으로, 공공측량의 기준이 된다. 기본측량의 방법 및 절차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해지며, 국토해양부장관이 원칙적으로 실시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지방자치단체나 민간업체가 실시할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측량업의 등록을 취소하는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정당한 사유없이 측량업 등록 후 6개월 휴업한 경우
  2. 고의 또는 과실로 측량을 부정확하게 한 경우
  3. 측량업등록증 또는 측량업등록수첩을 빌려주어 측량업무를 하게 한 경우
  4. 영업정지기간 중 계속하여 영업을 한 경우
(정답률: 50%)
  • 정당한 사유없이 측량업 등록 후 6개월 휴업한 경우는 측량업의 등록을 취소하는 경우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측량업 등록 취소의 대상이 되는 사유가 아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성능검사를 부정하게 한 성능검사대행자"에 대한 벌칙은?

  1.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4.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67%)
  • 성능검사대행자는 공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해야 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성능검사를 부정하게 한 경우에는 심각한 범죄행위로 간주됩니다. 이에 따라, 벌칙도 상당히 엄격하게 적용됩니다. 따라서,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측량업 등록의 결격 사유에 해당되는 것은?

  1. 금고 이상의 실형을 선고받고 그 집행이 끝난 날로부터 3년이 경과한 자
  2. 금치산자 또는 한정치산자
  3. 금고 이상의 형의 집행유예를 받고 그 집행유예기간이 끝난 날로부터 1년이 경과한 자
  4. 측량업의 등록이 취소된 후 3년이 경과한 자
(정답률: 62%)
  • "금치산자 또는 한정치산자"는 측량업 등록 시 필요한 경제적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건 중 하나입니다. 이는 측량업이 공공의 이익을 위해 일하는 업종이기 때문에, 경제적인 어려움이나 부도 등으로 인해 업무를 수행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는 자는 등록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금치산자나 한정치산자로 인한 경제적인 불안정성이 있는 경우 측량업 등록이 결격 사유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지형도 상의 표시 사항 중 바다에서의 수애선 표시기준으로 옳은 것은?

  1. 간조시의수위
  2. 만조시의수위
  3. 평균 해수면이 수위
  4. 측량당시의 수위
(정답률: 32%)
  • 바다에서의 수애선 표시기준은 만조시의 수위입니다. 이는 바다에서의 물높이를 측정하는 기준 중 하나로, 만조시에 바다 수면이 어느 정도 높이 올라오는지를 기준으로 삼습니다. 만조시의 수위는 일정한 주기로 변화하므로, 이를 기준으로 수애선을 표시함으로써 바다에서의 안전한 항해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측량기술자의 의무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측량기술자는 신의와 성실로써 공정하게 측량을 하여야 하며, 정당한 사유 없이 측량을 거부하여서는 아니 된다.
  2. 측량에 관한 자료의 수집 및 분석을 하여야 한다.
  3. 측량기술자는 둘 이상의 측량업자에게 소속 될 수 없다.
  4. 측량기술자는 다른 사람에게 측량기술경력증을 빌려주거나 자기의 성명을 사용하여 측량업무를 수행하게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정답률: 60%)
  • 잘못된 것은 "측량에 관한 자료의 수집 및 분석을 하여야 한다."가 아닌 이유는 이것이 측량기술자의 의무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측량에 관한 자료의 수집 및 분석은 측량기술자가 수행해야 할 중요한 작업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