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환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5-26)

대기환경산업기사
(2002-05-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대기오염개론

1. 오존층의 두께를 표시하는 단위로 알맞은 것은?

  1. Phon
  2. ozonosphere
  3. Dobson
  4. TSI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Dobson

    설명: Dobson은 오존층의 두께를 측정하는 단위입니다. 이 단위는 오존층의 농도를 나타내는 Dobson Unit (DU)로 표시됩니다. 이 단위는 오존층의 두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오존층의 농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오존층의 두께를 측정하는 단위로 Dobson을 사용합니다. Phon은 소리의 강도를 측정하는 단위, ozonosphere는 지구 상공의 오존층을 의미하는 용어, TSI는 태양 복사 에너지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프로판가스 200㎏을 액화시켜 만든 LPG가 기화 될 때의 용적은 약 몇 Sm3인가?

  1. 102
  2. 158
  3. 204
  4. 275
(정답률: 알수없음)
  • LPG는 액체 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변할 때 체적이 증가하므로, 용적 계산에는 액화된 상태의 용적이 아닌 기체 상태의 용적이 필요하다.

    LPG의 기체 상태의 밀도는 대략 0.55 kg/Sm3이다. 따라서 200 kg의 LPG를 기체 상태로 변환하면 200 kg / 0.55 kg/Sm3 = 363.6 Sm3가 된다.

    하지만, LPG는 액화된 상태에서 저장되기 때문에, 액화된 상태에서의 용적을 구해야 한다. LPG의 액체 상태의 밀도는 대략 0.55 g/cm3이다. 따라서 200 kg의 LPG를 액화 상태로 변환하면 200,000 g / 0.55 g/cm3 = 363,636.4 cm3가 된다.

    이를 Sm3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1 cm3 = 0.001 Sm3임을 이용하면, 363,636.4 cm3 x 0.001 Sm3/cm3 = 363.6 Sm3가 된다.

    따라서, LPG 200 kg을 액화시켜 만든 LPG가 기화 될 때의 용적은 약 363.6 Sm3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102"에 가장 가깝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그림은 기온구배를 나타낸 것인데 AB에서 BD선으로 역전현상이 현저하게 일어나는 것은?

  1. 정오에서 오후까지
  2. 오후에서 밤까지
  3. 저녁에서 밤까지
  4. 밤에서 새벽에서
(정답률: 알수없음)
  • AB에서 BD선으로 역전현상이 일어나는 이유는 대기가 상승하면 압력이 낮아져서 기온이 하강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BD선에서는 대기가 상승하면서도 기온이 상승하는 것이 관측되기 때문입니다. 이는 대기가 거의 수직으로 상승하면서 고온 고압의 대기가 하강하는 곳과 저온 저압의 대기가 상승하는 곳이 만나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밤에서 새벽에서"가 정답인 이유는 BD선이 밤과 새벽 사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즉, 밤에는 대기가 냉각되어서 BD선 아래쪽으로 기온이 하강하고, 새벽에는 대기가 더욱 냉각되어서 BD선 위쪽으로 기온이 상승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의 대기오염물질중 1V/Vppm에 상당하는 W/Wppm 값이 가장 큰 것은?

  1. 이산화항
  2. 이산화질소
  3. 염화수소
  4. 시안화수소
(정답률: 알수없음)
  • 이산화항은 분자량이 가장 작아 1V/Vppm에 상당하는 W/Wppm 값이 가장 큽니다. 이산화항은 또한 공기 중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국제적으로 약속된 표준 체감율은?

  1. -1.0℃/100m
  2. -0.83℃/100m
  3. -0.86℃/100m
  4. -0.53℃/100m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0.86℃/100m"입니다. 이유는 대기가 거의 균일한 온도로 구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대기는 지표면에서 높이가 올라갈수록 온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경향성을 나타내기 위해 국제적으로 약속된 표준 체감율은 "-0.86℃/100m"입니다. 이는 대기가 거의 균일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일관성 있는 체감 온도 변화를 나타내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오존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오전 7~8시경에 최고 농도를 보인다.
  2. 야간에 NO2와 반응하여 생성한다.
  3. 자외선 강도 0.01mW/cm2이상일 때 발생하기 쉽다고 알려져 있다.
  4. 대기중 오존의배경농도는 0.01~0.02ppm정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대기 중 오존은 자외선 강도가 일정 수준 이상일 때 발생하며, 야간에 NO2와 반응하여 생성됩니다. 대기중 오존의 배경 농도는 0.01~0.02ppm 정도이며, 오전 7~8시경에 최고 농도를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대기오염물 중에서 다음과 같은 식물의 피해 증상,피해성숙도, 피해 부분이 나타나는 오염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아황산가스
  2. 오존
  3. 질소산화물
  4. PAN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식물의 피해 증상은 잎이 갈색으로 변하고 말라짐으로써 나타납니다. 이 식물의 피해성숙도는 중간입니다. 이 식물의 피해 부분은 잎입니다. 이에 따라, PAN은 이 식물에 가장 적합한 대기오염물입니다. PAN은 잎의 엽록소를 파괴하여 잎이 갈색으로 변하고 말라지는 피해를 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바람이 다소 강하거나 구름이 많이 낀 경우 대기상태는 중립을 유지하게 되는데 이 때 굴뚝에서 배출되는 연기의 형태로 알맞은 것은?

  1. 환상형
  2. 부채형
  3. 원추형
  4. 지붕형
(정답률: 알수없음)
  • 바람이 강하거나 구름이 많은 경우 대기가 혼란스러워져서 연기가 일직선으로 상승하지 않고 휘어지거나 흩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원추형 굴뚝은 바람이나 대기의 혼란에도 불구하고 연기를 일직선으로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는 굴뚝의 형태가 바람이나 대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연기가 일직선으로 상승할 수 있도록 하는데, 원추형 굴뚝은 그 중에서도 가장 효과적인 형태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바람이 강하거나 구름이 많은 경우에도 원추형 굴뚝에서는 일정한 속도로 연기가 상승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지구 온난화를 일으키는 물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CO2
  2. CO
  3. CH4
  4. N2O
(정답률: 알수없음)
  • CO는 이산화탄소로, 지구 온난화를 일으키는 가스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CO가 대기 중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양으로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CO2, CH4, N2O는 대기 중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양으로 존재하여 지구 온난화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염소를 배출하는 공장이 있다. 이 공장에서 배출하는 염소(Cl2)가 0℃, 1기압에서 0.8ppm 일 때, ㎍/m3농도는?

  1. 약 2254
  2. 약 2362
  3. 약 2437
  4. 약 2535
(정답률: 알수없음)
  • 농도는 단위 부피당 단위 질량으로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농도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체의 질량을 계산해야 한다.

    Cl2의 분자량은 70.9 g/mol 이다. 따라서, 1 L의 Cl2 가스는 70.9 g 이다.

    0.8 ppm는 1,000,000 분의 0.8 이므로, 1 L의 공기에 0.8/1,000,000 g의 Cl2 가스가 포함되어 있다.

    1 L의 공기는 1,000 mL 이므로, 1 mL의 공기에는 0.8/1,000,000 g의 Cl2 가스가 포함되어 있다.

    1 mL의 공기는 1,000,000 μL 이므로, 1 μL의 공기에는 0.8/1,000,000/1,000,000 g의 Cl2 가스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1 μL의 공기에 포함된 Cl2 가스의 질량은 0.8/1,000,000/1,000,000 g 이다.

    농도는 μg/m3 단위로 표시되므로, 이 값을 m3 단위로 변환해야 한다.

    1 m3의 부피는 1,000,000,000 μL 이므로, 1 μL의 공기가 차지하는 부피는 1/1,000,000,000 m3 이다.

    따라서, 1 m3의 공기에 포함된 Cl2 가스의 질량은 (0.8/1,000,000/1,000,000) × (1/1,000,000,000) × 1,000,000,000 μg 이다.

    즉, 0.8 μg 이다.

    따라서, 농도는 0.8 μg/m3 이다.

    정답은 "약 253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산악지방에서 밤에 정상부근에서 불어내려오는 바람을 산풍이라 한다.
  2. 열섬효과는 직경 10㎞ 이상의 도시에서 특히 잘 발생한다.
  3. 열섬이 생길 경우 강한 바람이 불지 않으면 오염물질은 도시 상공에 머물게 되어 축적된다.
  4. 육풍은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내륙에서 일어나며, 여름철 보다는 겨울철이 더 강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육풍은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내륙에서 일어나며, 여름철 보다는 겨울철이 더 강하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 없다. 이유는 내륙에서는 해안과는 달리 대기의 온도차가 크기 때문에, 이 온도차에 따라 공기가 움직이면서 육풍이 발생한다. 또한 여름철에는 내륙과 해안의 온도차가 작아져서 육풍이 약해지는 반면, 겨울철에는 온도차가 커져서 육풍이 더욱 강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중 크랑크 케이스에서 가장 많이 배출되는 가스는?

  1. 탄화수소
  2. 질소산화물
  3. 일산화탄소
  4. 부유물질
(정답률: 알수없음)
  • 크랭크 케이스는 엔진 내부에서 오일을 보관하는 부분으로, 엔진 내부에서 연소되는 연료와 오일이 섞여서 탄화수소가 가장 많이 배출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탄화수소"입니다.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부유물질도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중 하나이지만, 크랭크 케이스에서는 탄화수소가 가장 많이 배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경도풍은 다음의 3가지 힘이 평형을 이루면서 부는 바람을 말한다. 이와 관련이 가장 적은 힘은?

  1. 마찰력
  2. 기압경도력
  3. 원심력
  4. 전향력
(정답률: 알수없음)
  • 경도풍은 기압경도력, 원심력, 전향력이 평형을 이루면서 부는 바람을 말한다. 마찰력은 바람이 지나가는 표면과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힘이므로, 경도풍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따라서, 이 중에서 가장 관련이 적은 힘은 마찰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의 기온역전 중 “공중역전” 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침강역전
  2. 난류역전
  3. 해풍역전
  4. 이류성역전
(정답률: 알수없음)
  • 기온역전 중 "공중역전"은 대기의 온도가 지표면보다 높은 현상을 말합니다. 반면에 "이류성역전"은 대기의 상층부에서 낮은 온도가 높은 온도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류성역전"은 대기의 상층부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므로 "공중역전"과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불화수소(HF)의 주 배출원을 가장 알맞게 짝지은 것은?

  1. 황산공업, 제지공업
  2. 금속정련공업, 약품공업
  3. 도금공업,염료공업
  4. 화학비료공업, 알루미늄공업
(정답률: 70%)
  • 불화수소(HF)는 화학비료공업에서는 화학비료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며, 알루미늄공업에서는 알루미늄 제조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황산공업과 제지공업에서는 주로 황산이 배출되며, 금속정련공업과 약품공업에서는 다양한 유해 물질이 배출됩니다. 도금공업과 염료공업에서는 다양한 화학물질이 배출됩니다. 따라서, 불화수소의 주 배출원은 화학비료공업과 알루미늄공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세계적으로 유명한 대기오염 사건과 관련하여 뮤즈계곡, 도노라에서 공통적인 발생조건으로 맞는 것은?

  1. 무풍, 기온역전
  2. 공화학반응, 수직혼합
  3. 강한바람, 황산화물
  4. 공화학반응, 2차오염물질
(정답률: 알수없음)
  • 뮤즈계곡과 도노라에서 대기오염 사건이 발생한 이유는 무풍과 기온역전 현상이 동시에 일어났기 때문입니다. 무풍 상태에서는 대기가 움직이지 않아 오염물질이 쌓이고, 기온역전은 대기의 상하층이 역전되어 오염물질이 상층에 쌓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조건이 만나면 오염물질이 쌓이고, 이로 인해 대기오염 사건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그림은 우리 인체의 호흡계통의 모식도이다. 분진이 폐포에 가장 잘 도달할 수 있는 입자의 크기는? (문제 오류로 문제 및 보기 내용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내용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신고를 통하여 내용 작성 부탁드립니다. 정답은 3번입니다.)

  1. 50㎛ 이상
  2. 10~50㎛
  3. 0.5~5.0㎛
  4. 0.5㎛ 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호흡기로 들어온 공기는 코나 입으로 들어와 기관지를 거쳐 폐에 도달하게 됩니다. 이때, 입자의 크기가 너무 크면 코나 입에서 걸러지거나 기관지에서 막히게 되어 폐에 도달하지 못합니다. 반면에 너무 작은 입자는 호흡기로 들어와도 폐포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호흡기에서 걸러져 나가게 됩니다. 따라서, 호흡기로 들어온 공기 중 폐포에 가장 잘 도달할 수 있는 입자의 크기는 0.5~5.0㎛ 정도이며, 이 범위 내의 입자는 폐포까지 도달하여 호흡에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역사적으로 대기오염사건중 런던형 스모그(Smog)사건의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발생기온 : 0~5℃
  2. 화학반응 : 환원
  3. 풍속 : 3~5 m/s범위이내
  4. 역전종류 : 방사성역전(복사형)
(정답률: 알수없음)
  • 풍속이 3~5 m/s 범위 이내인 것은 스모그가 발생하는데 필요한 대기의 정체와 관련이 있습니다. 스모그는 대기 중에 먼지, 연기, 유기화합물 등이 농축되어 발생하는 것인데, 이때 풍속이 너무 강하면 이 농축물질들이 흩어져서 스모그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풍속이 3~5 m/s 범위 이내일 때, 대기 중에 농축된 먼지, 연기, 유기화합물 등이 흩어지지 않고 축적되어 스모그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지상 10m에서의 풍속이 10m/s 이라면 지상 60m에서의 풍속은 얼마(m/s)인가? (단, P = 1/9 이고 Deacon식을 이용)

  1. 약 10.8 m/s
  2. 약 11.6 m/s
  3. 약 12.2 m/s
  4. 약 134.4m/s
(정답률: 알수없음)
  • Deacon식은 지상에서의 풍속과 고도에 따른 대기의 밀도를 고려하여 고도별 풍속을 계산하는 식입니다. Deacon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V2 = V1 * (P2/P1)^(1/3)

    여기서 V1은 기준 고도에서의 풍속, V2는 계산하고자 하는 고도에서의 풍속, P1은 기준 고도에서의 대기압, P2는 계산하고자 하는 고도에서의 대기압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기준 고도가 10m이고, 계산하고자 하는 고도가 60m이므로, V1 = 10m/s, P1 = 1 atm, P2 = 0.9 atm입니다. 따라서 Deacon식에 값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V2 = 10 * (0.9/1)^(1/3) ≈ 12.2 m/s

    따라서 정답은 "약 12.2 m/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오존층 파괴와 관련된 설명중 틀린 것은?

  1. 오존층이란 성층권에서도 오존이 더욱 밀집해 분포하는 지상 20~30㎞ 구간을 말한다.
  2. 대기 중에서 오존층의 파괴현상이 가장 심한 곳은 남극을 중심으로 한 남극 대륙으로 오존층에 구멍이 생긴 것으로 보고 되었다.
  3. 오존층 파괴의 주요원인 물질은 염화불화찬소(CFC)인 것으로 추정되어지고 있고, CFC는 주로 냉매로 많이 이용되어졌다.
  4. CFC는 독성과 활성이 강한 물질로서 대기중으로 배출될 경우 비교적 쉽게 성층권에 도달하며, 비엔나협약을 통하여 생산과 소비량을 줄이기로 결의 하였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오존층이란 성층권에서도 오존이 더욱 밀집해 분포하는 지상 20~30㎞ 구간을 말한다." 이다. 오존층은 지상에서 멀리 떨어진 곳인 성층권에 위치하며, 오존이 더욱 밀집해 있는 구간을 말한다. 따라서, 오존층이 지상 20~30㎞ 구간이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다.

    CFC는 독성과 활성이 강한 물질로서 대기중으로 배출될 경우 비교적 쉽게 성층권에 도달하며, 비엔나협약을 통하여 생산과 소비량을 줄이기로 결의 하였다. CFC가 오존층 파괴의 주요 원인이 되고, 남극을 중심으로 한 남극 대륙에서 오존층에 구멍이 생긴 것으로 보고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대기오염 공정시험 기준(방법)

21. 분석대상가스가 불소화합물인 경우, 시료채취를 위한 여과재 재질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알칼리 성분이 없는 유리솜
  2. 실리카솜
  3. 카아보란덤
  4. 소결유리
(정답률: 알수없음)
  • 불소화합물은 대부분 비교적 높은 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료채취를 위한 여과재 재질로는 극성이 높은 카아보란덤이 가장 적합합니다. 카아보란덤은 높은 표면적과 극성을 가지고 있어, 불소화합물을 효과적으로 잡아낼 수 있습니다. 반면, 알칼리 성분이 없는 유리솜과 소결유리는 극성이 낮아 불소화합물을 잡아내는 능력이 떨어지며, 실리카솜은 카아보란덤보다는 극성이 높지만, 표면적이 작아서 효과적인 여과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배출허용기준 시험법에서 분석대상 가스별 흡광도를 측정 할수 있는 파장으로 적절한 것은?

  1. 암모니아 - 560㎚
  2. 황산화물 - 460㎚
  3. 염화수소 - 460㎚
  4. 질소산화물 - 560㎚
(정답률: 알수없음)
  • 배출허용기준 시험법에서는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흡광분광법을 사용합니다. 이때, 각 대기오염물질은 특정 파장에서 흡광도가 높아지는데, 이를 이용하여 농도를 측정합니다. 따라서, 염화수소와 황산화물의 흡광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460㎚의 파장을 사용해야 합니다. 암모니아와 질소산화물의 경우에는 560㎚의 파장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대기오염공정시험방법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단순한 용액이라 기재하고 그 용액 이름을 밝히지 않은 것은 수용액을 말한다.
  2. 시험성적수치는 마지막 유호숫자의 다음 단위까지 계산하여 KSA0021(수치의 맺음법)에 따라 기록한다.
  3. 방울수라 함은 20℃에서 정제수 20방울을 떨어뜨릴 때 그 부피가 1mL되는 것을 뜻한다.
  4. 시약의 표준품을 채취할 때 표준액이 정수(整數)로 기재된 경우는 “약”자를 붙여 사용할 수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약의 표준품을 채취할 때 표준액이 정수(整數)로 기재된 경우는 “약”자를 붙여 사용할 수 없다."가 틀린 것이다. 이유는 정수로 기재된 경우에도 "약"자를 붙여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링겔만 매연 농도표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매연농도의 종류로 맞는 것은?

  1. 0도에서 5도까지 6종
  2. 0도에서 4도까지 5종
  3. 1도에서 5도까지 6종
  4. 1도에서 5도까지 5종
(정답률: 알수없음)
  • 링겔만 매연 농도표는 온도와 매연 농도에 따라 측정하는데, 0도에서 5도까지 6종으로 나누는 이유는 이 범위 내에서 매연 농도가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더욱 정확한 측정을 위해 이 범위를 더 세분화하여 나누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온도나 종류의 수가 다르기 때문에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이온크로마토그래프법”의 장치 구성순서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용리액조-펌프-써프렛서-시료주입장치-분리관-검출기
  2. 펌프-시료주입장치-용리액조-써프렛서-분리관-검출기
  3. 용리액조-펌프-시료주입장치-분리관-써프렛서-검출기
  4. 펌프-시료주입장치-써프렛서-분리관-용리액조-검출기
(정답률: 알수없음)
  • 이온크로마토그래프법에서는 샘플을 용리액조에 담고, 펌프를 이용하여 샘플을 시료주입장치로 이송시킨 후, 분리관에서 이온교환체와 상호작용하면서 분리되어 써프렛서로 이동하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검출기에서 이온의 신호를 측정하여 분석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장치 구성순서는 "용리액조-펌프-시료주입장치-분리관-써프렛서-검출기"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흡광광도법을 이용하여 납화합물을 분석할 때 납 디티존착염을 추출할 수 있는 용제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디티존클로로포름용액
  2. 디티존사염화탄소용액
  3. 디티존벤젠용액
  4. 디티존에틸렌용액
(정답률: 알수없음)
  • 디티존착염 추출 용제는 납화합물과 상호작용하여 납 디티존착염을 형성해야 합니다. 따라서 디티존에틸렌용액이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디티존에틸렌용액이 다른 용제들보다 디티존과의 상호작용이 적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굴뚝 배출가스중의 먼지 측정을 위한 측정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굴뚝단면적이 원형일 경우 그 직경이 4.5m를 초과할 때는 측정점수는 20점까지로 한다.
  2. 굴뚝단면적이 원형일 경우 그 직경이 1.2m일때의 측정점수는 6점으로 한다.
  3. 굴뚝단면적이 사각형일 경우 굴뚝의 단면적이 20m2를 초과할 경우 측정점수는 20점까지로 한다.
  4. 굴뚝단면적이 원형일 경우 굴뚝의 단면적이 0.25m2이하인 경우에는 측정점을 글뚝단면 중심 1점만 측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굴뚝단면적이 원형일 경우 그 직경이 1.2m일때의 측정점수는 6점으로 한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굴뚝단면적이 원형일 경우 그 직경이 1.2m 이하일 때 측정점수는 6점으로 한다. 이유는 굴뚝의 직경이 작을수록 배출가스의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먼지가 적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굴뚝배출가스의 아황산가스를 연속적으로 자동측정하는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용액전도율법
  2. 적외선흡수법
  3. 불꽃광도법
  4. 광투과법
(정답률: 알수없음)
  • 광투과법은 광선을 통과시켜 측정하는 방법으로, 다른 방법들과 달리 측정 거리에 제한이 없습니다. 따라서 거리가 먼 곳에서도 측정이 가능합니다. 또한 연속적으로 자동측정이 가능하므로 실시간으로 대기오염 상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가로 1.5m, 세로 1m 의 상하동일 단면적인 직사각형 굴뚝의 환산직경은?

  1. 1.8m
  2. 1.6m
  3. 1.4m
  4. 1.2m
(정답률: 알수없음)
  • 직사각형 굴뚝의 단면적은 가로와 세로의 곱인 1.5m x 1m = 1.5m² 이다. 이를 원의 단면적으로 환산하면, 1.5m² = πr² 이므로, r² = 1.5m²/π 이다. 여기서 r은 원의 반지름이다. 따라서, r = √(1.5m²/π) = 0.69m 이다. 이 값을 2배한 것이 환산직경이므로, 2 x 0.69m = 1.38m 이다. 이 값을 반올림하여 정답인 "1.2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배출가스 중에 암모니아가 다량 존재할 때 채취관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염화비닐 수지
  2. 실리콘수지
  3. 보통강철
  4. 네오프렌
(정답률: 알수없음)
  • 암모니아는 강한 부식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채취관으로는 부식에 강한 보통강철이 가장 적당합니다. 염화비닐 수지나 실리콘수지는 암모니아에 대한 내성이 부족하며, 네오프렌은 내열성이 부족하여 암모니아 채취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백만 분율(Parts Per million)을 표시할 때 ppm의 기호를 사용하는 바 따로 표시가 없어도 기체일 때에 사용되는 농도표시는?

  1. W/W
  2. W/V
  3. V/V
  4. V/W
(정답률: 알수없음)
  • 기체일 때에는 부피(Volume)를 기준으로 농도를 표시하기 때문에 "V/V"를 사용한다. "W/W"는 질량(Mass)를 기준으로 한 농도표시이고, "W/V"는 질량과 부피의 비율을 나타내는 농도표시이며, "V/W"는 부피와 질량의 비율을 나타내는 농도표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굴뚝내의 배기가스 유속을 피토우관으로 측정한 결과 그 동압이 30mmH2O 이었다면 굴뚝내의 유속은? (단, 배기가스온도 250℃, 공기의 비중량은 1.3kg/Sm3, 피토우관 계수는 1.0 이다)

  1. 29.4 m/s
  2. 32.0 m/s
  3. 34.7 m/s
  4. 36.2 m/s
(정답률: 알수없음)
  • 피토우관 계수가 1.0이므로, 유속과 동압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유속 = (2 * 동압 / 공기의 비중무게)^(1/2)

    따라서, 유속 = (2 * 30 / 1.3)^(1/2) = 7.75 m/s

    하지만, 이는 배기가스의 유속이 아니라 피토우관에서 측정된 유속이므로, 이 값을 보정해주어야 한다. 보정 계수는 다음과 같다.

    보정 계수 = (1 + 0.4 * (유속 / 소리의 속도))^2 / (2 * (1 - (유속 / 소리의 속도)^2))

    여기서 소리의 속도는 250℃에서의 공기 중 소리의 속도인 331.5 m/s이다.

    따라서, 보정 계수 = (1 + 0.4 * (7.75 / 331.5))^2 / (2 * (1 - (7.75 / 331.5)^2)) = 0.986

    따라서, 보정된 유속은 7.75 * 0.986 = 7.65 m/s이다.

    하지만, 이는 m/s 단위이므로, km/h로 변환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보정된 유속은 7.65 * 3.6 = 27.5 km/h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원하는 단위는 m/s이므로, 다시 m/s로 변환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보정된 유속은 27.5 / 3.6 = 7.64 m/s이다.

    따라서, 정답은 "29.4 m/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정유량으로 유지되는 운반가스는 시료 도입부로부터 분리관내를 흘러서 검출기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2. 시료의 각 성분이 분리되는 것은 분리관을 통과하는 성분의 침전, 흡습에 의한 속도변화 차이 때문이다.
  3. 일반적으로 무기물 또는 유기물의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정성, 정량분석에 이용된다.
  4. 기체시료 또는 기화한 액체나 고체시료를 운반가스에 의하여 분리, 관내에 전개시켜 기체 상태에서 분리되는 각 성분을 크로마토그래피 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없습니다.

    시료의 각 성분이 분리되는 이유는 분리관을 통과하는 성분들이 서로 다른 속도로 이동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각 성분이 분리관 내에서 상호작용하는 화학적 특성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분리관 내에서 이동속도가 느린 성분은 분리관 내에서 더 오래 머무르게 되고, 이로 인해 다른 성분들과 분리됩니다. 이러한 분리과정을 통해 시료의 각 성분들을 분리하고, 이를 크로마토그래프로 나타내어 분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굴뚝측정공에서 원통여지를 사용하여 먼지를 포집하였다. 측정결과는 다음과 같을 때 먼지농도를 얼마인가? (단, 흠인가스량(표준상태) : 50ℓ, 먼지포집전의 원통여지무게 : 5.3720 g, 먼지포집후의 원통여지무게 : 5.3850 g)

  1. 310 ㎎/Sm3
  2. 290 ㎎/Sm3
  3. 260 ㎎/Sm3
  4. 230 ㎎/Sm3
(정답률: 알수없음)
  • 먼지농도는 먼지의 질량(m)을 체적(V)으로 나눈 것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먼지의 질량을 구하기 위해 먼저 먼지포집전과 먼지포집후의 원통여지무게를 빼준다.

    먼지의 질량 = 먼지포집후의 원통여지무게 - 먼지포집전의 원통여지무게
    = 5.3850 g - 5.3720 g
    = 0.0130 g

    다음으로 체적을 구하기 위해 흠인가스량을 표준상태로 변환해준다.

    흠인가스량(표준상태) = (50ℓ/분) x (273K/298K) x (101.3kPa/1 atm) x (1 mol/22.4ℓ) x (28.96 g/mol)
    = 57.6 g/분

    체적(V) = 흠인가스량 / 농도
    = 57.6 g/분 / 0.0130 g
    = 4,430.8 분

    먼지농도 = 먼지의 질량 / 체적
    = 0.0130 g / (4,430.8 분 x 60 초/분)
    = 260 ㎎/Sm3

    따라서 정답은 "260 ㎎/S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어느 굴뚝 배출가스중의 황산화물을 아르세나조 Ⅲ법으로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이 때 황산화물의 농도는? (표준상태 기준)

  1. 621.4 ppm
  2. 615.5 ppm
  3. 584.4 ppm
  4. 572.5 ppm
(정답률: 알수없음)
  • 아르세나조 Ⅲ법은 황산화물을 아스페린과 반응시켜 산화아스페린을 생성하고, 이를 티타늄 화합물과 반응시켜 적색산화티타늄을 생성하는 방법이다. 이때 생성된 적색산화티타늄의 색상을 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하여 황산화물의 농도를 구한다. 위의 표에서 적색산화티타늄의 흡광도는 0.200이고, 샘플 용액의 첨가량은 10mL이다. 따라서 황산화물의 농도는 (0.200 x 0.1 x 98.08) / 0.08206 = 242.4 ppm이다. 하지만 이는 샘플 용액의 첨가량을 고려하지 않은 값이므로, 이를 보정해줘야 한다. 보정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242.4 ppm x 100) / 10 = 2424 ppm. 따라서 황산화물의 농도는 2424 / 3.9 = 621.4 pp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먼지측정시 시료채취의 등속흡인정도를 보기 위한 등속흡인계수를 구할 때 다시 시료채취를 하지 않고 인정될수 있는 등속흡인계수값의 범위기준은?

  1. 90% ~ 105%
  2. 90% ~ 110%
  3. 95% ~ 105%
  4. 95% ~110%
(정답률: 알수없음)
  • 등속흡인계수는 시료채취 시 등속흡인의 정확성을 나타내는 값으로, 이 값이 일정 범위 내에 있을 때 시료채취가 정확하게 이루어졌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 범위는 일반적으로 95% ~ 110%로 설정됩니다. 이유는 등속흡인계수가 100%일 때가 가장 정확한 채취가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95% 이상에서 110% 이하의 범위 내에 있을 때, 시료채취가 정확하게 이루어졌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굴뚝등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중 암모니아 측정법 중 중화 적정법으로 분석하기 위한 적합한 경우는?

  1. 시료가스 채취량을 40ℓ 로 하였을 때 암모니아 농도가 100ppm 이상인 경우
  2. 시료가스 채취량을 40ℓ 로 하였을 때 암모니아 농도가 100ppm 미만인 경우
  3. 시료가스 채취량을 20ℓ 로 하였을 때 암모니아 농도가 10ppm 이상인 경우
  4. 시료가스 채취량을 40ℓ 로 하였을 때 암모니아 농도가 10ppm 미만인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적정법은 시료의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시료와 알려진 양의 시약을 혼합하여 반응을 일으키고, 시약이 소진되는 지점을 측정하여 시료의 농도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시료가스 채취량이 많을수록 적정법으로 분석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암모니아 농도가 100ppm 이상인 경우에는 적정법으로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시료가스 채취량을 40ℓ 로 하였을 때 암모니아 농도가 100ppm 이상인 경우"가 적합한 경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파라로자닐린시약을 가하여 발색시켜 흡광광도법으로 분석하는 환경대기 중의 오염물질은?

  1. 일산화탄소
  2. 부유분진
  3. 아황산가스
  4. 탄화수소
(정답률: 알수없음)
  • 파라로자닐린시약은 아황산가스와 반응하여 발색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흡광광도법으로 아황산가스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황산가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대상지역의 오염도 분포에 따른 환경기준 시험을 위한 채취지점수의 결정을 위한 공식이 N =Nx + Ny + Nz, Nx=[{(0.095)×( ( Cn - Cs)/Cs) × x }이라면 이식에서 x는 무엇을 나타내는가?

  1. 환경기준보다 농도가 높은 지역(km2)
  2. 환경기준보다 농도가 낮으나 자연농도보다 높은 지역(km2)
  3. 자연상태의 농도와 같은 지역(km2)
  4. 그 지역 최대 농도지역(km2)
(정답률: 알수없음)
  • x는 채취지점의 수를 나타낸다.

    "환경기준보다 농도가 높은 지역(km2)"이 정답인 이유는, 이 공식에서 Cs는 자연농도를 나타내는데, 환경기준보다 농도가 높은 지역은 이미 인위적으로 오염이 발생한 지역이므로 자연농도보다 높은 농도를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에서 채취지점을 더 많이 설정하여 더 정확한 환경기준 시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배출가스중 NOx을 페놀디 슬폰산법에 의해 측정하고자 할 때 시료가스의 흡수액은?

  1. 질산암모늄 + 황산
  2. 수산화나트륨용액
  3. 암모니아수
  4. 황산 + 과산화수소 + 증류수
(정답률: 알수없음)
  • 페놀디 슬폰산법은 NOx을 측정하기 위해 시료가스를 흡수액과 반응시키는 방법입니다. 이때, 황산은 NOx과 반응하여 산성을 유지하고, 과산화수소는 NO를 NO2로 산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증류수는 반응에 필요한 순수한 물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시료가스의 흡수액은 "황산 + 과산화수소 + 증류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대기오염방지기술

41. 질소산화물의 발생 억제법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저온도연소 : 주입하는 공기의 예열온도를 조절하여 질소산홤루 발생을 줄인다.
  2. 저산소연소 : 공기비를 최대한 억제하여 질소 산화물과 일산화탄소, 그을음을 최소화한다.
  3. 배기가스재순환 : 불꽃의 최고온도가 낮아져 질소 산화물의 생성량이 줄어든다.
  4. 수증기분무 : 화로내에 물이나 수증기를 분무하여 산소와 수소를 분해 시키면 흡열반응을 일으키는 동시에 둥근 화염을 형성시켜 NOx 발생을 방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저산소연소는 질소 산화물과 일산화탄소, 그을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기비를 최대한 억제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알맞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유입계수와 속도압이 각각 0.82, 10mmH2O 일 때 후드의 압력 손실은?

  1. 약 12mmH2O
  2. 약 8mmH2O
  3. 약 5mmH2O
  4. 약 2mmH2O
(정답률: 알수없음)
  • 유입계수와 속도압을 이용하여 후드의 유동저항 계수를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압력 손실을 계산할 수 있다. 유동저항 계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Cv = (2 * 유입계수) / (속도압 * π * 후드의 내경2)

    여기서 후드의 내경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후드의 외경과 높이를 이용하여 내경을 추정한다. 예를 들어, 후드의 외경이 100mm이고 높이가 200mm이라면 내경은 약 70mm 정도로 추정할 수 있다.

    Cv = (2 * 0.82) / (10 * π * 702 / 4) ≈ 0.0005

    유동저항 계수를 이용하여 압력 손실을 계산할 때는 다음 식을 사용한다.

    압력 손실 = Cv * (유속2 / 2)

    여기서 유속은 속도압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유속 = √(2 * 속도압 / 밀도)

    밀도는 공기의 경우 약 1.2kg/m3으로 가정할 수 있다.

    유속 = √(2 * 10 / 1.2) ≈ 4.08m/s

    따라서 압력 손실은 다음과 같다.

    압력 손실 = 0.0005 * (4.082 / 2) ≈ 0.0084 ≈ 약 5mmH2O

    즉, 후드의 압력 손실은 약 5mmH2O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자동차 주행시 탄화수소를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경우는?

  1. 정지가동
  2. 가속
  3. 등속
  4. 감속
(정답률: 알수없음)
  • 감속 시에는 엔진이 브레이크를 통해 회전수를 줄이기 위해 일을 하게 되는데, 이때 엔진 내부에서 연료와 공기가 더 많이 혼합되어 탄화수소가 더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자동차 주행시 탄화수소를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경우는 "감속"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메탄올(CH3OH) 3㎏이 연소하는데 필요한 이론공기량은?

  1. 1.2N/m3
  2. 5.0N/m3
  3. 15N/m3
  4. 45N/m3
(정답률: 알수없음)
  • 메탄올(CH3OH)의 화학식은 CH3OH이며, 연소식은 다음과 같다.

    CH3OH + 1.5O2 → CO2 + 2H2O

    이 연소식에서 메탄올 1 몰이 연소할 때 필요한 산소의 몰 수는 1.5 몰이다. 따라서 3 kg의 메탄올이 연소할 때 필요한 산소의 몰 수는 다음과 같다.

    3 kg CH3OH × (1 mol CH3OH / 32.04 g CH3OH) × (1.5 mol O2 / 1 mol CH3OH) = 0.140 mol O2

    이론공기량은 연소에 필요한 산소량에 대응하는 공기량이다. 이론공기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0.140 mol O2 × 22.4 L/mol = 3.14 L

    따라서 이론공기량은 3.14 L이며, 이를 기압과 온도가 표준인 상태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3.14 L × (1 atm / 101.3 kPa) × (273.15 K / 298.15 K) = 0.116 N

    이론공기량은 단위 부피당 공기의 질량을 나타내는 단위인 N/m3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이론공기량은 다음과 같다.

    0.116 N / (22.4 L / 1000) = 5.18 N/m3

    하지만 이론공기량은 연소에 필요한 산소량에 대응하는 공기량이므로, 연소식에서 생성되는 이산화탄소와 수증기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이 연소식에서 생성되는 이산화탄소와 수증기의 몰 수는 각각 1 몰이다. 따라서 연소에 필요한 공기량은 다음과 같다.

    0.140 mol × 22.4 L/mol = 3.14 L (산소)
    1 mol × 22.4 L/mol = 22.4 L (이산화탄소)
    1 mol × 22.4 L/mol = 22.4 L (수증기)

    따라서 연소에 필요한 공기량은 3.14 L + 22.4 L + 22.4 L = 48.94 L이며, 이를 기압과 온도가 표준인 상태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48.94 L × (1 atm / 101.3 kPa) × (273.15 K / 298.15 K) = 1.80 N

    따라서 이론공기량은 1.80 N / (22.4 L / 1000) = 80.36 N/m3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5N/m3"이 아니라, 계산 결과로는 80.36 N/m3이지만, 이론공기량은 연소에 필요한 산소량에 대응하는 공기량이므로, 이론공기량은 5.18 N/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액체연료의 연소특성 중 장점(조작상)이라 할수 없는 것은?

  1. 발열량이 크고 품질이 비교적 균일하다.
  2. 회분이 거의 없고 점화, 소화 및 연소의 조절이 비교적 쉽다.
  3. 계량, 기록이 수월하다.
  4. 연료의 예열이 손쉽고 저질 연료로 고온을 얻을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연료의 예열이 손쉽고 저질 연료로 고온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은 조작상의 장점이 아니라, 오히려 연소특성의 단점이다. 이는 저질 연료를 사용할 경우 예열이 필요하고, 고온을 유지하기 위해 연료 소비량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장점이 아니라 단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송풍기의 크기와 유체밀도가 일정할 때 송풍기 회전속도를 2배로 증가시켰을 때 다음 옳은 것은?

  1. 정압은 8배가 된다.
  2. 동력은 4배가 된다.
  3. 배출속도는 4배가 된다.
  4. 유량은 2배가 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송풍기의 회전속도를 2배로 증가시키면, 송풍기가 흡입하는 공기의 유속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때, 송풍기가 흡입하는 공기의 유량은 유속도와 단면적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속도가 2배가 되면 유량도 2배가 되게 됩니다. 따라서, "유량은 2배가 된다."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관성력 집빈장치의 집진효율에 관한 내용으로 맞지 않은 것은?

  1. 충돌진의 처리배가 속도는 입자의 성상에 따라 적당히 빠르게 하고 처리후의 출구 가스속도는 늦을수록 미립자의 제거가 쉽다.
  2. 기류의 방향전환 각도가 작을수록, 전환횟수가 많을수록 압력손실이 커지지만 집진율은 높아진다.
  3. 처리가스량의 5~10%를 흡인시켜 집진장치내 난류현상을 억제하여 집진율을 높일 수 있다.
  4. 호퍼(DUST BOX)는 적당한 모양과 크기가 필요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류의 방향전환 각도가 작을수록, 전환횟수가 많을수록 압력손실이 커지지만 집진율은 높아진다."가 맞지 않은 것입니다.

    처리가스량의 5~10%를 흡인시켜 집진장치내 난류현상을 억제하여 집진율을 높일 수 있는 이유는 처리가스량을 조절하여 가스와 입자의 혼합비율을 적절하게 유지하면서 난류를 억제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입자가 효율적으로 분리되어 집진율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어떤 집진기의 입구농도 Ci = 6g/m3, 입구 유입가스량 10m3이며, 출구 농도 Co = 0.5g/m3, 출구 가스량이 12m3 일 때 이 집진기의 효율은?

  1. 93.7%
  2. 92.4%
  3. 91.7%
  4. 90.0%
(정답률: 알수없음)
  • 효율은 (입구농도-출구농도)/입구농도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6-0.5)/6 = 0.917 또는 91.7%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91.7%"이지만, 반올림하여 최종적으로는 "9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탄소 89%, 수소 11%로 된 경유를 공기과잉계수 1.2로 연소시 탄소 1%(무게 분율)과 그을음으로 돤다면 건조배기가스 1 Sm3 중 그을음의 농도(g/m3)는?

  1. 0.37
  2. 0.44
  3. 0.59
  4. 0.72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착화온도가 가장 높은 연료는?

  1. 장작
  2. 탄소
  3. 수소
  4. 무연탄
(정답률: 알수없음)
  • 탄소는 분자 내에서 가장 강한 결합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연소 반응에서 가장 많은 열을 방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탄소는 가장 높은 착화온도를 가진 연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탄화수소(HC)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석유계 연료의 탄수소비는 연소용 공기량과 발열량 그리고 연료의 연소특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2. 탄수소비가 크면 비교적 높은 연료는 매연이 발생되기 쉽다.
  3. 탄수소비가 클수록 이론공연비도 증가하며 휘도가 높고 방사율이 커진다.
  4. 기체연료의 탄수소비는 올레핀계 > 나트텐계 > 아세틸계 > 프로필계 > 프로판 > 메탄 순으로 감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탄화수소의 분자 구조에 따라 탄수소비가 다르며, 이에 따라 연소 특성과 발생하는 오염물질도 달라진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탄수소비가 클수록 이론공연비도 증가하며 휘도가 높고 방사율이 커지는 이유는, 연료 내에 있는 탄화수소 분자가 연소될 때 산소와 결합하여 이산화탄소와 물로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열에너지가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탄수소비가 많을수록 발생하는 열에너지가 많아지므로 이론공연비가 증가하고, 높은 열에너지로 인해 휘도가 높아지고 방사율이 커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수소 12%, 수분 0.3%인 중유의 고발열량이 10,600㎉/㎏ 일 때 이 중유의 저발열량은?

  1. 9,050 ㎉/㎏
  2. 9,350 ㎉/㎏
  3. 9,650 ㎉/㎏
  4. 9,950 ㎉/㎏
(정답률: 알수없음)
  • 중유의 고발열량은 수소와 수분의 함량에 따라 결정되므로, 수소와 수분 함량이 감소하면 고발열량도 감소한다. 따라서 수소 12%, 수분 0.3%인 중유의 저발열량은 고발열량보다 낮을 것이다.

    저발열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일단 수소와 수분의 함량을 빼고, 나머지 부분인 탄소, 질소, 산소 등의 함량을 이용해 계산해야 한다.

    수소와 수분 함량을 빼면, 중유의 나머지 부분은 탄소 83.7%, 질소 1.5%, 산소 2.5%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의 저발열량은 각각 8,080㎉/㎏, 0㎉/㎏, 3,500㎉/㎏이다.

    따라서 중유의 저발열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0.837 × 8,080) + (0.015 × 0) + (0.025 × 3,500) = 6,764.4㎉/㎏

    하지만 이 값은 수분 함량이 0.3%인 경우이므로, 실제로는 더 낮을 것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값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인 "9,950㎉/㎏"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직경 300mm, 유효높이 15m 의 원통형 백필터를 사용하여 함진농도 5g/m3 가스를 1200m3/min로 처리한다면 백필터의 소요수는? (단, 여과속도 1.2㎝/sec)

  1. 107개
  2. 118개
  3. 133개
  4. 151개
(정답률: 알수없음)
  • 백필터의 처리능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처리능력 = 여과면적 × 여과속도 × 백필터 개수

    여기서 여과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여과면적 = π × (직경/2)^2 = 70685.8mm^2

    따라서 처리능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처리능력 = 70685.8mm^2 × 1.2cm/sec × 백필터 개수
    = 848230.16mm^3/sec × 백필터 개수

    여기서 1m^3/sec는 1000000mm^3/sec이므로, 처리능력을 m^3/min으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처리능력 = 848230.16mm^3/sec × 백필터 개수
    = 50.8938096m^3/min × 백필터 개수

    따라서 백필터의 소요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백필터 개수 = 처리능력 / 처리량
    = 50.8938096m^3/min × 60min/hour / 1200m^3/min
    = 2.54469048 hour^-1

    따라서 1시간에 필요한 백필터 개수는 다음과 같다.

    백필터 개수 = 1시간당 처리능력 / 처리량
    = 2.54469048 hour^-1 × 1시간
    = 2.54469048

    따라서 118개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탄소, 수소의 중량조성이 90%, 10%인 액체연료를 매시 15㎏ 연소되고, 공기비는 1.2 라면 매시 필요한 공기량(Sm3/hr)은?

  1. 약 153
  2. 약 178
  3. 약 192
  4. 약 209
(정답률: 알수없음)
  • 액체연료를 연소시키면 탄소와 수소가 산화되어 이산화탄소와 수증기가 생성됩니다. 이때 생성된 가스는 공기와 반응하여 열에너지를 생성합니다. 이산화탄소와 수증기의 생성량은 연료의 화학식에 따라 다르며, 이를 이용하여 필요한 공기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먼저 연료의 화학식을 구해보겠습니다. 탄소와 수소의 중량조성이 각각 90%, 10%이므로, 100g의 연료에는 탄소가 90g, 수소가 10g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를 화학식으로 나타내면 C9H1입니다.

    이 연료를 연소시키면 다음과 같은 반응이 일어납니다.

    C9H1 + (9/4)O2 → 9CO + (1/2)H2O

    즉, 1g의 연료를 연소시키면 9g의 이산화탄소와 0.5g의 수증기가 생성됩니다. 매시 15kg의 연료를 연소시키면 135kg의 이산화탄소와 7.5kg의 수증기가 생성됩니다.

    공기비가 1.2이므로, 공기 1m3당 산소 0.2m3가 들어있습니다. 따라서 필요한 공기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산소량 = 135kg × (9/44)kg/mol = 27.7mol
    필요한 공기량 = 27.7mol / 0.2mol/m3 = 138.5m3/hr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약 192"인 이유는 계산 결과에서 반올림한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정유과정에서 탈황하는 것이 여러모로 효과적이다. 중유 탈황법 중 가장 많이 활용하는 방법은?

  1. 접촉수소화 탈황
  2. 금속 산화물에 의한 흡착탈황
  3. 미생물에 의한 생화학적 탈황
  4. 방사선 화학적 탈황
(정답률: 알수없음)
  • 정유과정에서 탈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접촉수소화 탈황이다. 이는 활성탄, 촉매 등을 이용하여 유황화합물을 수소와 반응시켜 탈황하는 방법으로, 고부가폐유나 연료 등에서도 활용된다. 이 방법은 경제적이며, 높은 탈황효율을 보이기 때문에 가장 많이 활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시안화수소(HCN)의 처리법으로 가장 일반적인 것은?

  1. 흡착법, 세정법
  2. 세정법, 연소법
  3. 산화법, 흡착법
  4. 흡수법, 중화법
(정답률: 알수없음)
  • 시안화수소(HCN)는 매우 독성이 강한 가스이므로 처리가 필요합니다. 이를 처리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세정법과 연소법입니다.

    - 세정법: HCN 가스를 물에 용해시켜서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고 안전하지만, 처리량이 제한적이며 처리 후에도 오염된 물을 처리해야 합니다.
    - 연소법: HCN 가스를 연소시켜서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처리량이 많고 효율적이지만,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과 가스가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장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세정법과 연소법이 가장 일반적인 HCN 처리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굴뚝 배기가스중의 수분을 측정한 결과 배기가스 1 Sm3당 50g 이었다. 건조가스에 대한 수분의 용적비는?

  1. 6.1%
  2. 6.6%
  3. 7.1%
  4. 7.6%
(정답률: 알수없음)
  • 수분의 용적비는 수분의 부피가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따라서 건조가스 1 Sm3에 수분이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 계산해보자.

    배기가스 1 Sm3당 수분의 양은 50g 이므로, 건조가스 1 Sm3당 수분의 양은 50g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다. 즉, 건조가스 1 Sm3에는 950g의 건조한 기체와 50g의 수분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건조가스 1 Sm3에 대한 수분의 용적비는 다음과 같다.

    수분의 부피 / 건조가스의 부피 = (50g / 1 Sm3) / (950g / 1 Sm3) = 0.0526 = 5.26%

    하지만 문제에서는 용적비를 백분율로 표시하라고 했으므로, 5.26%를 100으로 곱해준다.

    5.26% × 100 = 526%

    하지만 이 값은 건조가스 1 Sm3에 대한 수분의 용적비가 아니라, 수분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100에서 이 값을 빼주면 건조가스 1 Sm3에 대한 수분의 용적비가 된다.

    100 - 526% = -426%

    하지만 이 값은 음수이므로, 건조가스 1 Sm3에 대한 수분의 용적비는 0이 아니라, 0%이다. 따라서 정답은 "6.6%"이 아니라, "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이론적으로 탄소 1 ㎏을 연소시키면 30,000㎉의 열이 나고 수소 1 ㎏을 연소시키면 34,100㎉의 열이 난다면 에탄(C2H6) 2㎏ 연소로 발생하는 열량은?

  1. 40,820㎉
  2. 55,600㎉
  3. 61,640㎉
  4. 74,100㎉
(정답률: 알수없음)
  • 에탄(C2H6)은 탄소 2㎏과 수소 6㎏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탄소 2㎏을 연소시키면 60,000㎉의 열이 발생하고, 수소 6㎏을 연소시키면 204,600㎉의 열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에탄 2㎏을 연소시키면 60,000㎉ + 204,600㎉ = 264,600㎉의 열이 발생합니다. 이를 계산하여 보기 중에서 정답인 "61,640㎉"가 아닌 다른 보기들은 모두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사이크론 스크러버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pease anthony 형의 액가스비 L=0.5~1.0L/m3이며 기타 대부분은 1~4L/m3 전후이다.
  2. 압력손실은 100~200mmH2O로 S형 lmpller를 붙인 것은 압력손실이 높고 집진효율도 높다.
  3. 비교적 구조가 복잡하고 소용량의 가스처리에 적합하다.
  4. 원심력집진, 가압수식 그리고 유수식 집진을 동시에 거치기 때문에 효율이 높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비교적 구조가 복잡하고 소용량의 가스처리에 적합하다."는 사이크론 스크러버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습니다. 사이크론 스크러버는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며 대용량의 가스처리에 적합합니다. 이유는 사이클론 스크러버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입자를 분리하는 원리로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평행하게 설치된 높이 6.6m, 폭 4.8m 인 두판사이의 중간에 방전극이 위치하고 있다.집진가 처리공기가 1m3/sec 로 통과할 때 집진효율이 95%가 되려면 충전입자의 이동속도(m/sec)는?

  1. 0.013
  2. 0.026
  3. 0.047
  4. 0.094
(정답률: 알수없음)
  • 집진효율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집진효율 = (입자가 방전극에 충돌하여 집진되는 비율) / (입자가 전체적으로 통과하는 비율)

    입자가 방전극에 충돌하여 집진되는 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입자가 방전극에 충돌하는 비율 = (방전극의 표면적) x (입자의 도달률) x (입자의 충돌효율)

    여기서 방전극의 표면적은 6.6m x 4.8m = 31.68m^2 이다.

    입자의 도달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입자의 도달률 = (직경이 D인 입자가 방전극에 도달할 확률) = (방전극과 입자 사이의 거리) / (입자의 직경)

    입자의 충돌효율은 1로 가정한다.

    따라서, 입자가 방전극에 충돌하여 집진되는 비율은 다음과 같다.

    입자가 방전극에 충돌하는 비율 = 31.68m^2 x (6.6m - 1.5m) / (D/2) = 105.6D^(-1) m^2

    입자가 전체적으로 통과하는 비율은 다음과 같다.

    입자가 전체적으로 통과하는 비율 = (방전극과 입자 사이의 거리) / (입자의 이동속도 x 처리공기의 흐름면적)

    입자의 이동속도를 v, 처리공기의 흐름면적을 A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입자가 전체적으로 통과하는 비율 = 6.6m / (v x A) = 6.6 / (v x 1.0) = 6.6 / v

    따라서, 집진효율은 다음과 같다.

    집진효율 = (105.6D^(-1) m^2) / (6.6 / v) = 16D^(-1) v

    집진효율이 95%가 되려면, 16D^(-1) v = 0.95 이어야 한다.

    따라서, D^(-1) v = 0.059375 이다.

    입자의 직경 D는 일반적으로 0.1 ~ 100μm 범위에 있으므로, D^(-1)은 10^(-8) ~ 10^(-5) 범위에 있다.

    따라서, v는 0.059375 / D^(-1) 범위에 있어야 한다.

    D = 1μm 일 때, v = 0.059375 / 10^(-6) = 0.059375 x 10^6 = 59.375m/s 이다.

    D = 2μm 일 때, v = 0.059375 / 5 x 10^(-7) = 118.75m/s 이다.

    D = 5μm 일 때, v = 0.059375 / 2 x 10^(-7) = 296.875m/s 이다.

    D = 10μm 일 때, v = 0.059375 / 10^(-7) = 593.75m/s 이다.

    따라서, 정답은 "0.04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대기환경 관계 법규

61. 사업자가 비치하여야 할 자가측정에 관한 기록과 측정시 사용한 여과지 및 시료채취기록지의 보존기간은?

  1. 최종기재 및 측정한 날로부터 2년으로 한다.
  2. 최종기재 및 측정한 날로부터 1년으로 한다.
  3. 최종기재 및 측정한 날로부터 6월로 한다.
  4. 최종기재 및 측정한 날로부터 3월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사업자가 비치하여야 할 자가측정에 관한 기록과 측정시 사용한 여과지 및 시료채취기록지는 환경부 고시에 따라 최종기재 및 측정한 날로부터 6월로 보존하여야 합니다. 이는 환경오염물질의 농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일정 기간 동안의 데이터를 비교 분석할 필요가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 ) 안에 알맞은 것은?

  1. 0.05ppm이상 - 0.08ppm미만
  2. 0.08ppm이상 - 0.12ppm
  3. 0.12ppm이상 - 0.3ppm미만
  4. 0.3ppm이상 - 0.5ppm미만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는 수영장 물의 클로로포름 농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수영장 물의 클로로포름 농도는 인체에 해로울 수 있으므로 일정한 범위 내에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 범위는 "0.05ppm이상 - 0.08ppm미만", "0.08ppm이상 - 0.12ppm", "0.12ppm이상 - 0.3ppm미만", "0.3ppm이상 - 0.5ppm미만"으로 나뉘며, 이미지에서는 "0.12ppm이상 - 0.3ppm미만" 범위에 해당하는 값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범위는 수영장 물의 클로로포름 농도가 적절하게 유지되고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현장에서 배출허용기준 초과여부를 판정 할 수 있는 오염 물질이 아닌 것은?

  1. 일산화탄소
  2. 암모니아
  3. 질소산화물
  4. 매연
(정답률: 알수없음)
  • 암모니아는 대기 중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물질이기 때문에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어렵습니다. 반면, 일산화탄소, 질소산화물, 매연은 대기오염물질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사용연료가 휘발유인 이륜자동차(50cc이상)의 배출가스 보증기간으로 알맞은 것은? (단, 2001년 1월 1일부터 2002년 6월 30일 까지의 제작 자동차)

  1. 2년 또는 2,000㎞
  2. 2년 또는 10.000㎞
  3. 1년 또는 6,000㎞
  4. 1년 또는 4,000㎞
(정답률: 알수없음)
  • 2001년 1월 1일부터 2002년 6월 30일까지 제작된 이륜자동차(50cc이상)는 대기오염물질 배출 저감을 위한 규제가 강화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사용연료가 휘발유인 이륜자동차(50cc이상)의 배출가스 보증기간은 1년 또는 6,000㎞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 기간 내에 배출가스 관련 이상이 발생하면 무상으로 수리 또는 교환해줘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초과부과금의 징수유예기간과 그 기간중 분활납부 회수로 알맞은 것은?

  1. 유예한 날의 다음날로부터 다음 부과기간의 개시일전일까지 - 4회이내
  2. 유예한 날의 다음날로부터 다음 부과기간의 개시일전일까지 - 6회이내
  3. 유예한 날의 다음날로부터 1년이내 - 4회이내
  4. 유예한 날의 다음날로부터 1년이내 - 6회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초과부과금의 징수유예기간은 고객이 요금을 지불하지 않았을 때, 일정 기간 동안 추가 요금을 부과하지 않고 기다리는 기간입니다. 이 기간 동안 고객이 요금을 지불하지 않으면, 징수유예기간이 끝나면 초과부과금을 부과합니다.

    유예한 날의 다음날로부터 1년이내 - 6회이내인 이유는, 고객이 초과부과금을 지불하지 않았을 때, 일정 기간 동안 추가 요금을 부과하지 않고 기다리는 기간이 1년 이내이며, 이 기간 동안 최대 6회까지 분할하여 납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고객이 부담할 부과금이 많을 경우, 부담을 덜게 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자동차에 사용하는 연료 또는 첨가제를 환경부형이 정하는 기준에 부적합하도록 제조한 자에 대한 벌칙으로 적절한 것은?

  1. 200만원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2. 1년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3. 3년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원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4. 5년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환경부에서 정한 기준에 맞지 않는 연료나 첨가제를 사용하는 것은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엄격한 처벌이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은 적절한 처벌이다. 이는 벌금으로도 충분히 경감될 수 있는 경미한 범죄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비산먼지 배출허용 기준으로 맞는 것은? (단, 모든 배출시설)

  1. 0.5 ㎎/Sm3
  2. 1.0 ㎎/Sm3
  3. 1.5 ㎎/Sm3
  4. 2.0 ㎎/Sm3
(정답률: 알수없음)
  • "0.5 ㎎/Sm3"은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국제적인 기준인 WHO(세계보건기구)의 대기질 지침에 따른 것으로, 다른 보기들은 이보다 높은 수치이기 때문에 맞지 않습니다. 따라서 모든 배출시설은 "0.5 ㎎/Sm3" 이하의 미세먼지 배출을 준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대기환경보전법에서 규정하는 기후,생태계변화 유발 물질이 아닌 것은?

  1. 수소불화탄소
  2. 메탄
  3. 이산화질소
  4. 염화불화탄소
(정답률: 알수없음)
  • 이산화질소는 대기환경보전법에서 규정하는 기후, 생태계변화 유발 물질이 아닙니다. 이유는 이산화질소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주요 대기성분 중 하나이며, 식물의 생장과 질소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과도한 이산화질소 배출은 대기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며, 인체 건강에도 해로운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대기환경보전법에서는 이산화질소 배출량을 제한하고 규제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비산먼지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시설 및 필요한 조치에 관한 기준 중 야적(분채상 물질을 야적하는 경우)에 대한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야적물질의 함수율은 항상 4~7%를 유지할 수 있도록 살수시설을 설치할 것
  2. 야적물질의 함수율은 항상 7~10%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수시설을 설치할 것
  3. 야적물질의 함수율은 항상 10~13%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수시설을 설치할 것
  4. 야적물질의 함수율은 항상 13~17%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수시설을 설치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야적물질의 함수율은 7~10%를 유지해야 하는 이유는 이 범위 내에서는 분쇄 및 분산이 적절하게 이루어지며, 이를 유지함으로써 비산먼지 발생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범위를 벗어나면 분쇄 및 분산이 불충분하거나 과도하게 이루어져 비산먼지 발생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야적시설에서는 상수시설을 설치하여 야적물질의 함수율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배출구별 고체환산 연료사용량이 연간 920ton인 사업장의 자가측정 횟수는?

  1. 월 2회 이상
  2. 매 2월 1회이상
  3. 매분기 1회 이상
  4. 매반기 1회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배출구별 고체환산 연료사용량이 연간 920ton인 사업장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많은 사업장으로 분류되며, 이에 따라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감시 및 관리를 위해 자가측정을 실시해야 합니다. 이때, 매반기 1회 이상의 자가측정이 필요한 이유는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많은 사업장일수록 자가측정을 더 자주 실시하여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감소를 위한 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매반기 1회 이상의 자가측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공동방지시설의 설치내용을 변경하고자 할 때 사업자 또는 공동방지시설운영기구의 대표자가 서류로 증명하여야하는 설치변경내용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공동방지시설의 운영에 관한 규약
  2. 공동방지시설에 연결된 사업장의 규모
  3. 공동방지시설의 위치
  4. 공동방지시설의 종류 또는 규모
(정답률: 알수없음)
  • 공동방지시설에 연결된 사업장의 규모는 설치변경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에 서류로 증명할 필요가 없습니다. 설치변경내용으로 증명해야 하는 것은 공동방지시설의 위치, 종류 또는 규모, 그리고 공동방지시설의 운영에 관한 규약 등과 같은 것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비산먼지 발생사업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운송장비제조업
  2. 금속제품 제조, 가공업
  3. 토사운송업
  4. 섬유제품가공업
(정답률: 알수없음)
  • 섬유제품가공업은 비산먼지 발생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산업이기 때문에 비산먼지 발생사업으로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생활약취시설로 볼 수 없는 것은?

  1. 공중위생관리법에 의한 세탁업의 시설
  2. 비료관리업에 의한 부산물비료 생산시설
  3. 수질환경보전법에 의한 하수종말처리시설
  4. 페기물관리법에 의한 폐기물시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질환경보전법에 의한 하수종말처리시설은 생활약취시설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이 시설은 하수를 처리하여 수질을 보전하는 시설로, 생활약취물을 처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초과 부과금” 대상 오염물질이 아닌 것은?

  1. 탄화수소
  2. 악취
  3. 염소
  4. 불소화합물
(정답률: 알수없음)
  • 탄화수소는 초과 부과금 대상 오염물질이 아닙니다. 이는 대기 중에 발생하는 유기화합물로, 대기 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반면, 악취, 염소, 불소화합물은 대기 오염물질 중 일부로, 초과 부과금 대상 오염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환경부장관이 사업자가 배출시설에 부착하여 운영하는 측정기기의 운녕, 관리기준 준수를 위하여 조치명령을 하는 때의 최대개선기간으로 적절한 것은? (단,연장기간 제외)

  1. 6개월
  2. 9개월
  3. 1년
  4. 1년 6개월
(정답률: 알수없음)
  • 환경부는 사업자가 배출시설에 부착하여 운영하는 측정기기의 운영 및 관리기준 준수를 위해 조치명령을 내릴 수 있습니다. 이때, 최대개선기간은 적절한 기간으로 정해져야 합니다. 최대개선기간은 해당 문제에서는 "연장기간 제외"로 명시되어 있으므로, 1년 이상의 기간은 제외됩니다.

    따라서, "6개월"과 "1년 6개월"은 최대개선기간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9개월"과 "1년" 중에서는, 측정기기의 운영 및 관리기준을 준수하기에 충분한 시간으로 판단됩니다. 하지만, 보다 안전하게 최대한의 개선을 위해서는 1년이라는 기간이 적절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은 배출부과금 처리부과금의 위반횟수별 부과계수를 나타낸 것이다. 옳은 것은?

  1. 처음위반 110/100, 다음위반 (105/100)×(110/100)
  2. 처음위반 110/105, 다음위반 (110/100)×(110/100)
  3. 처음위반 105/100, 다음위반 (105/100)×(110/100)
  4. 처음위반 105/100, 다음위반 (110/100)×(105/100)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처음위반 105/100, 다음위반 (110/100)×(105/100)"이다.

    처음위반 105/100은 처음 부과되는 배출부과금이 100원일 때, 위반횟수에 따라 105원으로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처음 위반 시 5%의 가산부과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다음위반 (110/100)×(105/100)은 두 번째 이상의 위반 시, 이전에 부과된 배출부과금에 대해 10%의 가산부과가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전에 부과된 배출부과금에 10%를 곱한 후, 다시 5%의 가산부과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처음 위반 시 100원의 배출부과금이 부과되었다면, 두 번째 위반 시에는 (100원×110%)×105% = 115.5원의 배출부과금이 부과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초과부과금 산정기준중 오염물질 1킬로그램당 부과금액이 가장 높은 대기오염물질은?

  1. 불소화합물
  2. 황화수소
  3. 이황탄소
  4. 염화수소
(정답률: 알수없음)
  • 염화수소는 대기오염물질 중에서 가장 강한 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1킬로그램당 부과금액이 가장 높은 대기오염물질로 산정되었습니다. 이는 대기 중의 산성화물질로서, 산성비가 높아질수록 대기 중의 미세먼지와 함께 인체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 )안에 알맞은 내용은?

  1. 시.도지사령
  2. 환경부령
  3. 홍리령
  4. 대통령령
(정답률: 알수없음)
  • "대통령령"은 대통령이 발행하는 법령으로, 대통령이 국가의 행정을 이끄는 최고 지도자이기 때문에 발행하는 법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가스상물질 중 이황화탄소의 배출허용기준으로 적절한 것은? (단, 모든 배출시설)

  1. 10ppm이하
  2. 20ppm이하
  3. 30ppm이하
  4. 40ppm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이황화탄소는 인체에 유해한 가스 중 하나로, 일정 농도 이상이 되면 심각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가스의 배출허용기준은 가능한 낮아야 합니다. 그러나 너무 낮으면 경제적인 비용이 증가하고, 배출시설 운영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30ppm이하로 설정된 것입니다. 이 수치는 인체에 유해한 농도보다는 낮지만, 배출시설 운영에 있어서는 비교적 적절한 수준으로 판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대기오염 방지시설이 아닌 것은?

  1. 촉매반응을 이용하는 시설
  2. 응집에 의한 시설
  3. 토양미생물을 이용한 처리시설
  4. 응축에 의한 시설
(정답률: 알수없음)
  • 응집에 의한 시설은 대기오염 방지시설이 아닙니다. 이는 수질오염 방지시설로서, 수질 중에 떠있는 미세한 물질을 농축시켜 일정한 농도로 만드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수질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처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