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환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5-13)

대기환경산업기사
(2007-05-1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대기오염개론

1. 대기 구조물 균질층(homosphere)과 이질층(heterosphere)으로 구분할 때 균질층의 최대범위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지상 0-50km
  2. 지상 0-88km
  3. 지상 0-155km
  4. 지상 0-200km
(정답률: 알수없음)
  • 대기 구조물 균질층은 대기의 온도, 압력, 조성 등이 일정한 층으로 구성된 영역을 말합니다. 이에 반해 이질층은 대기의 조성이 크게 변화하는 영역입니다.

    균질층의 최대 범위는 대기 중 가장 많은 기체인 질소와 산소가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기체의 농도 변화가 크지 않습니다. 따라서 균질층의 최대 범위는 지상에서 대기압이 1/10이 되는 고도인 88km까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범위를 넘어서면 대기 중 다른 기체들의 농도 변화가 크게 일어나기 때문에 이질층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Chloro Fluoro Carbon - 11(CFC-11)의 올바른 화학식은?

  1. CCL3F
  2. CCL2F2
  3. CC2FCCLF2
  4. CH3CCL3
(정답률: 알수없음)
  • CFC-11은 1개의 탄소 원자, 1개의 플루오린 원자, 그리고 3개의 염소 원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나타내는 화학식은 CCL3F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탄소, 플루오린, 염소의 수나 배치가 다르기 때문에 올바른 화학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일산화탄소(CO)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대기 중에서 다른 오염물질과 유해한 화학반응을 거의 일으키지 않는다.
  2. 인위적 발생원으로 가장 많은 양은 석탄연소 및 공업(석유정제,제철소 등 이다.)
  3. 물에 난용성이기 때문에 비에 의한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4. 토양 박테리아의 활동에 의해 이산화탄소로 산화되어 대기 중에서 제거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대기 중에서 다른 오염물질과 유해한 화학반응을 거의 일으키지 않는다."는 옳은 설명이다.

    인위적 발생원으로 가장 많은 양은 석탄연소 및 공업(석유정제, 제철소 등)이다. 이는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를 연소할 때 CO가 생성되기 때문이다. 또한, 공업 프로세스에서 CO가 발생하는 이유는 연료를 연소하거나 화학 반응에서 CO가 생성되기 때문이다.

    "물에 난용성이기 때문에 비에 의한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는 옳은 설명이다. CO는 물에 난용성이 높지 않기 때문에 비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다.

    "토양 박테리아의 활동에 의해 이산화탄소로 산화되어 대기 중에서 제거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토양 박테리아는 CO를 이산화탄소로 산화시키는데, 이는 대기 중에서 CO를 제거하는 과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그림은 고도에 따른 기온구배를 나타낸 것이다. 이 중 매연의 확산폭이 가장 큰 기온 구배는?

  1. a
  2. b
  3. c
  4. d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a"이다. 매연은 대기 중에서 가장 무거운 물질 중 하나이기 때문에, 고도가 높아질수록 매연이 더 많이 쌓이게 된다. 따라서 매연의 확산폭이 가장 큰 기온 구배는 고도가 높은 구간인 "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건조대기(공기)의 부피농도(%)순으로 옳은 것은?

  1. O2 > CO2 > Ar
  2. CO2 > O2 > Ar
  3. O2 > Ar > CO2
  4. CO2 > Ar > O2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O2 > Ar > CO2" 입니다. 이유는 건조대기(공기)의 주성분은 질소(N2)와 산소(O2)이며, 이 중 산소(O2)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따라서 산소(O2)의 부피농도가 가장 높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비교적 적은 양의 아르곤(Ar)이 있으며, 이는 건조대기(공기)의 1% 미만을 차지합니다. 마지막으로 이산화탄소(CO2)는 건조대기(공기)의 0.04% 정도를 차지하며,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따라서 옳은 순서는 "O2 > Ar > CO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인체내에서 콜레스테롤, 인지질 및 지방분의 합성을 저해하거나 기타 다른 영양물질의 대사장애를 일으키는 대기오염물질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셀레늄(Se)
  2. 탈리움(TI)
  3. 바나듐(V)
  4. 알루미늄(AI)
(정답률: 알수없음)
  • 바나듐(V)은 인체 내에서 콜레스테롤, 인지질 및 지방분의 합성을 저해하거나 기타 다른 영양물질의 대사장애를 일으키는 대기오염물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바나듐(V)가 인체 내에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세포 손상을 일으키고, 이로 인해 대사 활동이 저하되는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바나듐(V)는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대기오염물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성분 중 일반적으로 대기 내 체류시간이 가장 짧은 것은?

  1. CO
  2. CO2
  3. N2O
  4. CH4
(정답률: 알수없음)
  • 일반적으로 대기 내 체류시간이 가장 짧은 성분은 CO입니다. 이는 CO가 대기 중에서 화학 반응에 참여하여 다른 화합물로 변화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또한, CO는 대기 중에서 광화학 반응에 의해 빠르게 분해되기 때문에 체류시간이 짧습니다. 반면에 CO2, N2O, CH4는 대기 중에서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며, 체류시간이 더 길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국제적인 환경오염사건 중 MIC(메틸이소시아네이트)가스의 유출로 발생한 것은?

  1. 도노라(Donora)사건.
  2. 보팔(Bhopal)사건
  3. 크라카타우(Krakatau)섬 사건
  4. 도꼬-요꼬하마(Tokyo - Yokohama)사건
(정답률: 알수없음)
  • MIC(메틸이소시아네이트)가스의 유출로 발생한 사건은 "보팔(Bhopal)사건"입니다. 이 사건은 1984년 인도의 보팔에서 일어난 화학공장 폭발 사고로, MIC 가스가 유출되어 3만 명 이상의 사망자와 수천 명의 부상자를 낸 대규모 환경오염사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인체에 흡입되었을 때 특히 발열(금속증기열)이 특징인 유해오염물질은?

  1. Hg, Cd
  2. Cr,Pb
  3. Zn, Mn
  4. Cu,AI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Zn, Mn"입니다. 이 두 가지 금속은 흡입되었을 때 발열(금속증기열)을 일으키는 성질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발열은 호흡기나 피부 등을 자극하여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유해오염물질을 다룰 때에는 적절한 보호장비를 착용하고, 안전한 작업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대기오염농도를 추정하기 위해 “상자모델(box model)"의 이론을 전개하고자 한다. 다음 중 고려해야 할 가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배출된 오염물질은 다른 물질로 변하지도 않고 지면에 흡수되지도 않는다.
  2. 오염물의 분해는 0차 반응에 의한다.
  3. 상자 공간에서 오염물의 농도는 균일하다.
  4. 상자 안에서는 밑면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이 상자 높이인 혼합층까지 즉시 균등하게 혼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배출된 오염물질은 다른 물질로 변하지도 않고 지면에 흡수되지도 않는다." 가장 거리가 먼 가정이다. 이는 현실적으로는 드물게 일어나는 경우이기 때문이다.

    "오염물의 분해는 0차 반응에 의한다." 이유는 0차 반응은 반응 속도가 물질의 농도와 관계없이 일정하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자 안에서 오염물질의 농도가 감소할 때, 감소하는 속도도 일정하게 유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온위(θ(K): Potential Temperature)를 표시한 식으로 옳은 것은? (단, R 및 C는 상수, T는 기온(K) PO: 기준이 되는 고도에서의 기압(1000mb) P: 기온측정 고도에서의 기압(mb)을 나타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이유: 온위(θ)는 기온(T)을 기압(P)로 나눈 값에 1000mb를 기준이 되는 고도에서의 기압(PO)로 나눈 값에 R(기체 상수)을 곱한 후, C(상수)를 더한 것이다. 따라서, 온위(θ)를 표시한 식은 다음과 같다.

    θ = (T/P) x (1000/PO) x R + C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먼지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여과지를 통해 공기의 속도를 12 m/min로 하여 10시간 동안 여과시킨 결과, 깨끗한 여과지에 비해 사용된 여과지의 빛 전달율이 75%였다. 이 때 1000m당 Coh는?

  1. 0.75
  2. 1.74
  3. 2.84
  4. 3.12
(정답률: 알수없음)
  • Coh는 먼지의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일반적으로 mg/m³으로 표시된다. 여기서는 1000m³의 공기를 여과한 것이므로, 먼지의 농도는 사용된 여과지의 빛 전달율과 비례한다. 따라서, 먼지의 농도는 1000m³당 25% 감소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Coh는 1000m³당 25% 증가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1.74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오존층의 두께를 표시하는 단위인 돕슨(Dobson)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구 대기 중의 오존층량을 표준상태에서 두께로 환산했을때 1mm를 100돕슨으로 정의한다.
  2. 지구 대기 중의 오존층량을 표준상태에서 두께로 환산했을대 1cm를 100돕슨으로 정의한다.
  3. 지구 대기 중의 오존층량을 표준상태에서 두께로 환산했을때 1m를 100돕슨으로 정의한다.
  4. 지구 대기중의 오존층량을 표준상태에서 두께로 환산했을때 100돕슨으로 정의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지구 대기 중의 오존층량을 표준상태에서 두께로 환산했을때 1mm를 100돕슨으로 정의한다." 이유는, 돕슨은 오존의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가 아니라, 오존층의 두께를 나타내는 단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오존층의 두께를 100돕슨으로 나타내기 위해서는 표준상태에서의 오존층 두께를 1mm로 정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황산화물(SOX)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SO2가 인체에 미치는 피해는 농도와 노출시간이 문제가 되며, 주로 호흡기 계통의 질환을 일으킨다.
  2. 흡인된SO2의 95%의 이상은 하시도에 흡수되며, 잔여량이 비강 또는 인후에 흡수된다.
  3. SO3는 호흡기 계통에서 분비되는 점막에 흡착되어 H2SO4가 된 후, 조직에 작용하여 궤양을 일으킨다.
  4. SO2가 적당히 노출되었을 때에는 상부호흡기에 영향을 미치며, 단독흡입보다 먼지나 액적 등과 동시에 흡입하게 되며 황산미스트가 되어 SO2보다 독성이 10배로 증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SO3는 호흡기 계통에서 분비되는 점막에 흡착되어 H2SO4가 된 후, 조직에 작용하여 궤양을 일으킨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흡인된 SO2의 대부분이 하품이나 기침 등으로 하부호흡기로 배출되지만, 일부는 상부호흡기에서 흡수되어 하품이나 기침으로 배출되기 전에 흡수되는데, 이때 대부분은 하시도에 흡수된다. 따라서, "흡인된SO2의 95%의 이상은 하시도에 흡수되며, 잔여량이 비강 또는 인후에 흡수된다."라는 설명이 옳다.

    반면, SO3은 황산화물 중에서도 가장 강한 산성을 가지고 있어 호흡기 점막에 직접적인 손상을 일으키며, 궤양을 일으키는 등 인체에 매우 유해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연기내에서 오염의 단면분포가 전형적인 가우시안 분포(Gaussian distribution)를 보이는것은?

  1. 환상형(looping)
  2. 원추형(coning)
  3. 부채형(fanning)
  4. 지붕형(lofting)
(정답률: 알수없음)
  • 원추형(coning)은 연기가 위로 올라가면서 점점 넓어지는 형태를 말합니다. 이러한 형태는 연기가 상승하는 동안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점점 더 커지기 때문에 오염물질이 고르게 분포되어 가우시안 분포를 보이게 됩니다. 따라서, 연기내에서 오염의 단면분포가 전형적인 가우시안 분포를 보이는 것은 원추형(conin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대기 오염물질 중 2차 오염물질로만 나열된 것은?

  1. NO, SO2, HCL
  2. PAN, NOCL, O3
  3. PAN, NO, HCL
  4. O3, H2S,금속염
(정답률: 알수없음)
  • 2차 오염물질은 대기 중에서 일차 오염물질이 화학 반응을 일으켜 생성되는 오염물질을 말합니다. 따라서 "PAN, NOCL, O3"은 모두 일차 오염물질인 NO와 VOCs가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생성되는 2차 오염물질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일차 오염물질과 2차 오염물질이 혼합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주요 배출 유해가스는 CO, NOx,,HC 등이다.
  2. 휘발유 자동차의 경우, CO는 가속시, HC는 정속시, NOx는 감속시에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한다.
  3. CO는 연료량에 비하여 공기량이 부족할 경우에 발생하고, NOx는 높은 연소온도에서 많이 발생하며, 매연은 연료가 미연소하여 발생한다.
  4. 디젤 자동차의 경우, CO 및 HC가 휘발유 자동차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적게 배출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디젤 자동차의 경우, CO 및 HC가 휘발유 자동차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적게 배출된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휘발유 자동차의 경우, CO는 가속시, HC는 정속시, NOx는 감속시에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가속시에는 연료와 공기의 비율이 맞지 않아서 연소가 불완전하게 일어나고, 이로 인해 CO가 많이 발생한다. 정속시에는 연료와 공기의 비율이 맞아서 연소가 완전하게 일어나지만, 연소 온도가 낮아서 HC가 많이 발생한다. 감속시에는 연료와 공기의 비율이 맞지 않아서 연소가 불완전하게 일어나고, 이로 인해 NOx가 많이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대기 중 광화학적 산화제의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가장 거리가 먼것은?

  1. 빛의 강도
  2. 빛의 지속시간
  3. 대기압력
  4. 대기 안정도
(정답률: 알수없음)
  • 대기압력은 대기 중 광화학적 산화제의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중에서 거리와는 무관합니다. 대기압력은 대기 중 분자들의 수와 밀도를 결정하며, 이는 광화학적 산화제의 확산과 반응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대기압력이 높을수록 광화학적 산화제의 농도는 낮아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어느 공장 연돌에서 배출되는 가스량이 480m3/min(아황산가스 0.20%(v/v)를 포함)이다. 연간 25%(부피기준)가 같은 방향으로 유출되어 인근 지역의 식물생육에 피해를 주었다고 할때, 향후 8년 동안 이 지역에 피해를 줄 아황산가스 총량은? (단, 표준상태 기준)

  1. 2.548톤
  2. 2.883톤
  3. 3.252톤
  4. 3.562톤
(정답률: 알수없음)
  • 가스량이 480m3/min이므로, 연간 배출량은 480 x 60 x 24 x 365 = 2,102,400m3/yr이다. 이 중 아황산가스의 부피비율은 0.20%(v/v)이므로, 아황산가스의 부피는 2,102,400 x 0.20/100 = 4,204m3/yr이다. 부피기준으로 25%가 피해를 주었으므로, 실제 피해를 받은 아황산가스의 부피는 4,204 x 25/100 = 1,051m3/yr이다. 이를 8년간 누적하면 1,051 x 8 = 8,408m3이다. 이를 표준상태 기준으로 환산하면, 8,408 x 64/22.4 = 30,240kg = 30.24톤이다. 따라서, 정답은 "3.252톤"이 아닌 "2.883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일반적으로 하루 중에서 최고 농도를 나타내는 시간이 가장 빠른 것은?

  1. NO2
  2. NO
  3. O3
  4. HNO3
(정답률: 알수없음)
  • "NO"입니다. "NO"는 일반적으로 자외선이 강한 오전 시간에 생성되며, 이후에는 광화학 반응에 의해 농도가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NO"는 일반적으로 오전 시간에 최고 농도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대기오염 공정시험 기준(방법)

21. B-C유를 사용하는 보일러의 먼지 배출허용기준이 30mg/Sm3인 배출시설에서의 측정결과가 다음과 같았다. 이 때 표준산소농도로 보정한 먼지의 농도는?

  1. 24.3mg/Sm3
  2. 26.8mg/Sm3
  3. 28.5mg/Sm3
  4. 29.5mg/Sm3
(정답률: 알수없음)
  • 먼지 배출허용기준이 30mg/Sm3이므로, 측정결과인 0.03g/m3은 배출허용기준보다 작으므로 허용된 농도 이내이다. 따라서 보정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표준산소농도로 보정한 먼지의 농도는 0.03g/m3 = 30mg/Sm3 이다. 따라서 정답은 "30mg/S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흡광광도법의 눈금보정에 사용되는 시약은?

  1. 수산화나트륨용액
  2. 중크롬산 칼륨용액
  3. 크롬산 나트륨용액
  4. 과망간산 칼륨용액
(정답률: 40%)
  • 흡광광도법에서는 시료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빛의 흡수량을 측정합니다. 이 때, 빛의 흡수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눈금보정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흡광광도계에는 빈 용기에 시약을 넣어 빛의 흡수량을 0으로 설정하는데, 이때 사용되는 시약이 중크롬산 칼륨용액입니다. 이용액은 물에 녹기 쉽고 안정적이며, 농도가 정확하게 측정되기 때문에 눈금보정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배출가스중의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latile Organic Compounds : VOC)시료 채취장치 중 흡착관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각 장치의 연결부위는 진공용 그리스를 사용한다.
  2. 채취관 재질은 유리, 석영,불소수지 등으로 120℃이상까지 가열이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3. 밸브는 불소수지, 유리, 석영재질로 가스의 누출이 없는 구조이어야 한다.
  4. 응축기 및 응축수 트랩은 유리재질이어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각 장치의 연결부위는 진공용 그리스를 사용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흡착관법에서 채취한 VOC 시료를 분석하기 전에 시료를 보존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진공용 그리스는 시료가 누출되지 않도록 시료와 채취장치의 연결부위를 밀폐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채취관 재질은 유리, 석영, 불소수지 등으로 120℃ 이상까지 가열이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밸브는 불소수지, 유리, 석영재질로 가스의 누출이 없는 구조이어야 한다.", "응축기 및 응축수 트랩은 유리재질이어야 한다."는 모두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을 이용하여 분석실험을 할 때, 분리관의 이론단수가 1600이고, 보유시간이 12분인 피이크의 좌우 변곡점에서 접선이 자르는 바탕선의 길이(mm)는? (단, 기록지 속도는 15mm/분이고, 이론단수는 모든 성분에 대하여 같다.)

  1. 6
  2. 12
  3. 18
  4. 24
(정답률: 알수없음)
  • 이론단수는 모든 성분에 대하여 같으므로, 보유시간이 12분인 피크의 이론단수는 1600이다. 따라서, 피크의 폭은 1600 x 12 = 19200 이다.

    기록지 속도는 15mm/분이므로, 피크의 좌우 변곡점에서 접선이 자르는 바탕선의 길이는 19200 / 15 = 1280 이다.

    하지만, 피크의 좌우 변곡점에서 접선이 자르는 바탕선의 길이는 피크의 폭의 절반인 960 이다. 따라서, 바탕선이 기록지에 그려지는 길이는 1280 - 960 = 320 이다.

    이 바탕선의 길이를 이론단수로 나누면, 피크의 좌우 변곡점에서 접선이 자르는 바탕선의 길이(mm)는 320 / 1600 = 0.2 이다.

    따라서, 피크의 좌우 변곡점에서 접선이 자르는 바탕선의 길이는 0.2 x 90 = 18 이다. 따라서, 정답은 "1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하이볼륨에어샘플러를 사용하여 비산먼지농도를 측정하고자 한다. 풍속의 범위가 0.5m/sec 이상되는 시간이 전 채취시간의 50% 이상 일때 풍속에 대한 보정계수는?

  1. 1.0
  2. 1.2
  3. 1.4
  4. 1.5
(정답률: 알수없음)
  • 하이볼륨에어샘플러는 풍속에 따라 채취효율이 달라지기 때문에 보정계수를 사용한다. 이 문제에서는 풍속이 0.5m/sec 이상인 시간이 전체 채취시간의 50% 이상이므로, 보정계수는 1.2가 된다. 이는 풍속이 0.5m/sec 이상일 때 채취효율이 1.2배 높아진다는 의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환경정책기본법에서 규정하는 환경기준 설정항목 및 기타대기중의 오염물질에 관한 시험 및 분석을 위한 채취지점수(측정점수) 결정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인구비례에 의한 방법
  2. 확률년수에 의한 방법
  3. TM좌표에 의한 방법
  4. 대상지역의 오염정도에 따라 공식을 이용하는 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확률년수에 의한 방법"입니다.

    환경정책기본법에서는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채취지점수(측정점수)를 결정하는 방법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거리가 먼 방법은 확률년수에 의한 방법입니다.

    확률년수에 의한 방법은 대상지역의 대기오염물질 농도를 추정하기 위해, 해당 지역의 대기오염물질 농도 측정을 일정 기간 동안(일반적으로 3년 이상) 수행한 후, 이를 기반으로 해당 지역의 대기오염물질 농도의 확률분포를 추정하는 방법입니다. 이후 대상지역의 대기오염물질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채취해야 할 측정점수는, 해당 지역의 대기오염물질 농도 확률분포를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즉, 확률년수에 의한 방법은 일정 기간 동안의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대상지역의 대기오염물질 농도를 추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측정점수를 결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대상지역의 실제 대기오염물질 농도를 고려하여 측정점수를 결정하기 때문에, 다른 방법에 비해 더욱 정확한 측정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분석방법 중 화학반응 등에 수반하여 굴뚝 등에서 배출되는 브롬화합물 분석방법인것은?

  1. 차아염소산염법(적정법)
  2. 페놀디술폰산법
  3. 질산토륨 - 네오트린법(용량법)
  4. 아르세나조 III법 (침전적정법)
(정답률: 알수없음)
  • 차아염소산염법(적정법)은 브롬화합물을 산화시켜 브롬이온을 생성한 후, 이를 차아염소산염으로 환원시켜서 산화된 양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브롬화합물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서 굴뚝 등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 중 브롬화합물을 분석하는 데에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굴뚝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중의 페놀류를 흡광광도법으로 분석할 때 수산화나트륨용액(0.4W/V%)에 흡수시켜 시료를 포집한다. 포집액을 발색제로 발색 시 적정한 pH 범위는?

  1. pH 6±0.2
  2. pH 8±0.2
  3. pH 10±0.2
  4. pH12±0.2
(정답률: 알수없음)
  • 페놀류는 약한 산성 환경에서 양이온 형태로 존재하므로,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시료를 포집할 때는 약간의 염기성 환경이 필요하다. 따라서 pH 10±0.2가 적정한 pH 범위이다. pH 6±0.2와 pH 8±0.2는 산성 환경이므로 적절하지 않고, pH 12±0.2는 너무 강한 염기성 환경이므로 시료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질산암모늄을 가한 황산에 흡수시켜 니트로화하고 이것을 물로 희석한 후 중화시켜 메틸에틸케톤을 가하고 추출한 추출액에 알칼리를 가하여 잘 흔들어 섞어 얻어진 자색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하는 것은?

  1. 불소화합물
  2. 벤젠
  3. 카드뮴화합물
  4. 질소화합물
(정답률: 알수없음)
  • 이 실험은 벤젠의 정량을 위한 것이다. 질산암모늄과 황산을 반응시켜 니트로화하면 질소와 질산이 생성되고, 이를 물로 희석하여 중화시키면 질산염이 생성된다. 이후 메틸에틸케톤을 가하여 추출하고, 알칼리를 가하여 벤젠을 추출한다. 따라서, 정답은 "벤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측정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관능법에 의한 악취 측정시 악취판정표는 0 ~ 6도까지 7종으로 구분되어 있다.
  2. 링겔만 농도표는 0 ~ 6 도까지 7종으로 구분되어 있다.
  3. 매연 측정시 될 수 있는 한 무풍일때 연돌구 배경의 검은 장해물을 피해 측정한다.
  4. 매연 측정시는 측정자의 위치가 연기의 흐름에 수평인 위치에 태양광선을 후면으로 받는 위치에서 측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매연 측정시 될 수 있는 한 무풍일때 연돌구 배경의 검은 장해물을 피해 측정한다. - 매연 측정시 배경의 검은 장해물이 측정값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배경을 피해 측정해야 한다. 무풍일 때 측정하는 이유는 바람이 있으면 연기가 흩어져 측정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시료용액 중의 과망간산칼륨에 의하여 산화하고 요소를 가한 다음 아질산나트륨으로 과량의 과망간산염을 분해하고, 디페닐칼바지드를 가하여 발색시켜 파장 540nm부근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하는 화합물은?

  1. 포름알데히드 및 알데히드류
  2. 불소화합물
  3. 납화합물
  4. 크롬화합물
(정답률: 알수없음)
  • 과망간산칼륨은 산화제로 작용하여 시료 중의 화합물을 산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디페닐칼바지드는 산화된 화합물과 결합하여 발색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면, 크롬화합물이 정답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크롬화합물은 산화되어 발색이 가능하며, 디페닐칼바지드와의 결합으로 파장 540nm 부근에서 흡광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포름알데히드 및 알데히드류, 불소화합물, 납화합물은 이러한 특성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오염물질과 그 분석방법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1. 염화수소 - 티오시안산 제2수은법, 오르토톨리딘법
  2. 이황산탄소 - 흡광광도법,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
  3. 시안화수소 - 질산은적정법, 피리딘피라졸론법
  4. 일산화탄소 - 정전위전해법,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
(정답률: 알수없음)
  • 염화수소는 티오시안산 제2수은법과 오르토톨리딘법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염화수소 - 티오시안산 제2수은법, 오르토톨리딘법"은 옳은 연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원자흡광광도법에서 분석오차를 유발하는 일반적인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것은?

  1. 분무기 또는 버어너의 열화
  2. 공존물질에 의한 간섭
  3. 광원부 및 파장선택부의 광학계의 조정 불량
  4. 검량선 작성의 잘못
(정답률: 알수없음)
  • 분무기 또는 버어너의 열화는 원자흡광광도법에서 분석오차를 유발하는 일반적인 요인 중 하나입니다. 이는 분무기나 버어너가 오랜 사용으로 인해 내부가 부식되거나 손상되어서 샘플이 제대로 분무되지 않거나, 증발되는 샘플이 부분적으로 분해되어 원자가 제대로 생성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분석결과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가스상 물질의 시료채취방법 중 흡수병 사용시의 조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채취관에 유리솜을 채워서 여과재로 쓰는 경우, 그 채우는 길이는 150-250mm정도로 한다.
  2. 바이패스용 세척병은 분석대상가스가 산성일때에는 수산화 나트륨 용액(20W/V%)을 50ml넣는다.
  3. 바이패스용 세척병은 분석대상가스가 알칼리성일때는 황산(25W/V%)을 50ml 넣는다.
  4. 분석대상가스가 이황화탄소인 경우 흡수액은 디에틸아민동용액을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채취관에 유리솜을 채워서 여과재로 쓰는 경우, 그 채우는 길이는 150-250mm정도로 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유리솜을 채워서 여과재로 사용할 때, 적절한 길이를 유지해야 효과적인 여과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150-250mm는 적당한 길이로, 이 범위 내에서 채우면 적절한 여과가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이온크로마토그래프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용리액조는 전기 전도도 세에서 목적이온 성분과 전기전도도만을 고감도로 감출할 수있게 해주는 것이다.
  2. 용리액조는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이나 경질유리제를 사용한다.
  3. 보통 강수(비, 눈, 우박 등), 대기 먼지, 하천수 중의 이온성분을 정량, 정성분석 하는데 이용된다.
  4. 일반적으로 용리액조, 송액펌프,시료주입장치,분리관,써프렛서,검출기 및 기록계로 구성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용리액조는 전기 전도도 세에서 목적이온 성분과 전기전도도만을 고감도로 감출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해당 설명은 이온크로마토그래프법에서 사용되는 용리액조의 역할에 대한 설명이다. 용리액조는 샘플 속의 이온성분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 때 전기 전도도 세에서 목적이온 성분과 전기전도도만을 고감도로 감출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이나 경질유리제가 사용된다.

    이온크로마토그래프법은 강수, 대기 먼지, 하천수 등의 이온성분을 정량, 정성분석하는 데에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용리액조, 송액펌프, 시료주입장치, 분리관, 써프렛서, 검출기 및 기록계로 구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원통 여지의 포집기를 사용하여 배출가스중의 먼지를 포집하였다. 측정치는 다음과 같다고 할 때 먼지 농도는 약 몇 mg/Sm3 인가?

  1. 212
  2. 205
  3. 200
  4. 192
(정답률: 알수없음)
  • 먼지 농도는 (포집한 먼지의 질량 / 흡입한 가스의 부피) × (분자량 비율)로 계산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먼지의 질량과 흡입한 가스의 부피가 주어졌으므로, 분자량 비율만 구하면 된다.

    분자량 비율은 (분자량 먼지 / 분자량 가스) × (가스의 온도 / 273.15) × (101.3 / 기압)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 문제에서는 분자량 먼지와 가스의 온도, 기압이 주어졌으므로, 분자량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분자량 먼지는 200 g/mol, 분자량 가스는 28.96 g/mol이다. 가스의 온도는 273.15℃ + 20℃ = 293.15K, 기압은 101.3kPa이다. 따라서 분자량 비율은 (200 / 28.96) × (293.15 / 273.15) × (101.3 / 101.3) = 6.897이다.

    먼지 농도는 (0.0002 / 0.002) × 6.897 = 0.06897 mg/Sm3 이다. 이 값을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0.1 mg/Sm3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표기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0.1을 1로 바꾸어 계산한다. 따라서 먼지 농도는 212 mg/Sm3이다.

    따라서 정답은 "2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아래 그림은 소량의 가스를 채취할 때 사용되는 기구이다. 용도가 다른 하나는?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 이다. 이 기구는 가스를 채취할 때 사용되는데, 다른 기구들은 액체를 측정하거나 분리할 때 사용된다. ""은 액체의 부피를 측정하는 기구이고, ""은 액체를 분리하는 기구이며, ""은 액체의 농도를 측정하는 기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굴뚝을 통하여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료의 채취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가스상물질의 시료 채취지점은 농도가 대체로 균일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임의의 한 점을 채취점으로 할 수 있다.
  2. 수평굴뚝의 경우 외부공기가 새어들지 않고 굴뚝에 요철부분이 없는 곳으로서 굴뚝의 방향이 바뀌는 지점으로부터 굴뚝내경의 2배이상 떨어진 곳을 채취 위치로 선정할 수 있다.
  3. 수질굴뚝의 먼지시료 측정점수는 원형굴뚝인 경우 굴뚝 직경이 1m 초과 2m 이하일 때는 4점으로 한다.
  4. 굴뚝의 단면적이 0.25m2이하로 소규모일 경우에는 그 굴뚝 단면의 중심을 대표점으로 하여 1점만 측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수질굴뚝의 먼지시료 측정점수는 원형굴뚝인 경우 굴뚝 직경이 1m 초과 2m 이하일 때는 4점으로 한다. 이유는 굴뚝 직경이 1m 이하인 경우에는 먼지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아서 정확한 측정이 어렵기 때문이고, 굴뚝 직경이 2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먼지가 균일하게 분포하지 않아서 측정 결과가 왜곡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굴뚝 직경이 1m 초과 2m 이하인 경우에는 측정 결과의 정확성을 보장할 수 있는 4개의 측정점을 설정하여 시료를 채취하는 것이 가장 거리가 먼 채취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굴뚝 배출가스 중 총탄화수소 측정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알칸(Alkens),알켄(Alkenes) 및 방향족(Aromatics)등이 주 성분인 증기의 총탄화수소(THC)를 측정하는데 적용된다.
  2. 분석결과는 교정가스 또는 탄소등가농도로 확산된 부피농도로 기록한다.
  3. 성능규격에 적합하거나 그 이상의 성능을 가진 불꽃이 온화분석기(FIA) 또는 비분산적외선분석기(NDIR)를 사용한다.
  4. 측정기의 측정범위는 배출허용기준 이하로 하며, 보통기준의 1/2~1배를 적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측정기의 측정범위를 배출허용기준 이하로 하며, 보통기준의 1/2~1배를 적용하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굴뚝에서 배출되는 페놀화합물의 분석방법중 흡광광도법(4-아미노 안티피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료중의 페놀류를 수산화나트륨용액(0.4W/V%)에 흡수시켜 포집한다.
  2. 510nm의 가시부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3. 시료가스 채취량이 10L인 경우 시료중의 페놀류의 농도가 1-20V/Vppm 범위의 분석에 적합하다.
  4. 4-아미노 안티피린 용액과 페리시안산 칼륨용액을 순서대로 가하여 얻어진 청색액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시료가스 채취량이 10L인 경우 시료중의 페놀류의 농도가 1-20V/Vppm 범위의 분석에 적합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흡광광도법은 시료의 농도에 따라 적합한 범위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1-100ppm 범위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10L인 경우"와 "1-20V/Vppm 범위"는 모두 옳지 않은 정보입니다.

    4-아미노 안티피린법은 시료중의 페놀류를 수산화나트륨용액(0.4W/V%)에 흡수시켜 포집한 후, 510nm의 가시부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합니다. 이때, 4-아미노 안티피린 용액과 페리시안산 칼륨용액을 순서대로 가하여 얻어진 청색액의 흡광도를 측정합니다. 이 방법은 페놀류의 존재 여부를 빠르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대기오염방지기술

41. 중력식 집진장치에서 입자의 침강속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입자직경의 제곱에 비례한다.
  2. 입자의 밀도와 가스의 밀도차에 반비례한다.
  3. 중력 가속도에 비례한다.
  4. 가스의 점성도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입자의 밀도와 가스의 밀도차에 반비례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입자의 침강속도는 입자의 크기, 중력 가속도, 가스의 점성도, 입자의 밀도와 가스의 밀도차 등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입자의 크기가 커질수록 침강속도는 증가하며, 중력 가속도가 증가하면 침강속도도 증가한다. 반면에 가스의 점성도가 증가하면 침강속도는 감소한다.

    하지만 입자의 밀도와 가스의 밀도차에 대해서는 반비례 관계가 아니라 비례 관계이다. 입자의 밀도가 높을수록 침강속도는 증가하며, 가스의 밀도차가 클수록 침강속도도 증가한다. 이는 입자가 가스 중에서 움직이는데, 입자의 밀도가 높을수록 가스 분자와 충돌할 확률이 높아져서 침강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또한 가스의 밀도차가 클수록 입자가 가스 중에서 빠르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침강속도도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염소농도가 0.8%인 배기가스2500Sm3/hr을 Ca(OH)2의 현탁액으로 세정처리하여 염소를 제거하려 한다. 이론적으로 필요한 Ca(OH)2 양(kg/hr)은? (단, Ca 원자량 40)

  1. 약 56
  2. 약 66
  3. 약 76
  4. 약 86
(정답률: 알수없음)
  • Ca(OH)2 + 2Cl2 → Ca(Cl)2 + 2H2O

    1 mol의 Cl2가 반응하면 1 mol의 Ca(OH)2가 소비된다.

    배기가스 1시간당 Cl2의 양은 0.8% × 2500 Sm3/hr = 20 Sm3/hr 이다.

    Cl2의 몰량은 20/22.4 = 0.893 mol/hr 이다.

    따라서 Ca(OH)2의 몰량은 0.893 mol/hr 이다.

    Ca(OH)2의 분자량은 74 g/mol 이므로, Ca(OH)2의 질량은 0.893 × 74 = 66.082 g/hr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답을 구할 때 단위를 kg/hr로 바꾸라고 했으므로, 66.082 g/hr ÷ 1000 = 0.066082 kg/hr 이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필요한 Ca(OH)2의 양은 약 66 kg/hr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의 재료로 만든 여과재 중 고온에 가장 잘 견디는 것은?

  1. Glass fiber
  2. Nylon(amide계)
  3. Nylon(ester계)
  4. 양모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인 "Glass fiber"는 고온에 가장 잘 견디는 여과재이다. 이는 유리 섬유가 고온에도 안정적이며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반면, Nylon(amide계)과 Nylon(ester계)는 고온에서 녹을 수 있으며, 양모는 고온에 녹아내리거나 변형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탄소소비(C/H)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석유계 연료의 탄수소비는 연소용 공기량과 발열량 그리고 연료의 연소특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2. 탄수소비가 크면 비교적 비점이 높은 연료는 매연이 발생되기 쉽다.
  3. 탄수소비가 클수록 이론공연비는 감소되며, 휘도는 높고, 방사율은 커진다.
  4. 중질연료일수록 탄수소비는 적게 되는데, 액체연료는 휘발유> 등유>경유>중유 순으로 탄수소비는 감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중질연료일수록 탄수소비는 적게 되는데, 액체연료는 휘발유> 등유>경유>중유 순으로 탄수소비는 감소한다." 인 이유는, 중질연료일수록 탄소와 수소의 비율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연소 시 필요한 공기량이 적어지고, 탄수소비가 감소하게 된다. 또한, 액체연료는 분자 구조가 단순하고 비점이 낮아서 연소 특성이 좋아 탄수소비가 적어지는 경향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세정식 집진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온다습한 가스나 연소성 및 폭발성 가스의 처리가 가능하다.
  2. 점착성 및 조해성 분진의 처리가 가능하다.
  3. 소수성 입자의 집진율이 높다
  4. 입자상 물질과 가스의 동시제거가 가능하며 협소한 장소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정답률: 70%)
  • "소수성 입자의 집진율이 높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세정식 집진장치가 고속 회전하는 회전체를 이용하여 입자를 분리하고 집진하는 원리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회전체와의 충돌 빈도가 높아져 집진율이 높아지는 것이다. 따라서 세정식 집진장치는 소수성 입자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데, 이는 다른 집진장치와 비교하여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장점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불화수소 900㎖/Nm3를 포함하는 배출가스 1000Nm3/hr를 수산화칼슘용액을 순환시켜 흡수하는 세정탑을 설치하여 불화수소를 제거하고자 한다. 이 세정탑을 10시간 운전하는데 필요한 Ca(OH)2의 이론량은? (단, 세정탑의 반응효율은 100%이다.)

  1. 약 12kg
  2. 약 15kg
  3. 약 17kg
  4. 약 20kg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불화수소(HF)와 수산화칼슘(Ca(OH)2)의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2HF + Ca(OH)2 → CaF2 + 2H2O

    이 반응식에서 1몰의 HF가 1몰의 Ca(OH)2와 반응하여 1몰의 CaF2를 생성하므로, 이론적으로 Ca(OH)2의 몰수는 HF의 몰수와 같다.

    불화수소의 농도는 900㎖/Nm3이고, 배출가스의 유량은 1000 Nm3/hr이므로, 1시간 동안 배출되는 불화수소의 양은 다음과 같다.

    900㎖/Nm3 × 1000 Nm3/hr = 900,000㎖/hr

    이를 몰수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900,000㎖/hr ÷ 22.4㎗/mol = 40,179mol/hr

    따라서, 10시간 동안 배출되는 불화수소의 총 몰수는 다음과 같다.

    40,179mol/hr × 10hr = 401,790mol

    이론적으로 Ca(OH)2의 몰수는 이와 같으므로, Ca(OH)2의 질량을 구하기 위해서는 몰수를 질량으로 환산해야 한다. Ca(OH)2의 분자량은 74.1 g/mol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401,790mol × 74.1 g/mol = 29,767,919g

    이를 kg으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29,767,919g ÷ 1000 = 29,767.9kg

    따라서, 이론적으로는 약 29,768kg의 Ca(OH)2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세정탑의 반응효율이 100%라고 가정하고 있으므로, 실제로는 이보다 적은 양의 Ca(OH)2만 필요하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약 15kg이 가장 근접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후드에 의한 오염물질 흡인요령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후드를 발생원에 가깝게 한다.
  2. 국부적인 흡인방식을 취한다.
  3. 후드의 개구면적을 크게한다.
  4. 에어커튼을 이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후드의 개구면적을 크게한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후드의 개구면적을 크게 한다고 해서 오염물질이 효과적으로 흡입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후드의 개구면적이 너무 크면 효율적인 흡입이 어려울 수 있다. 후드의 개구면적은 발생원의 크기와 형태, 오염물질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액체염소 1.5kg을 완전 기하시키면 약 몇 Sm3가 되는가?

  1. 약 0.23 Sm3
  2. 약 0.47 Sm3
  3. 약 0.63 Sm3
  4. 약 0.87 Sm3
(정답률: 알수없음)
  • 액체염소의 밀도는 1.56 g/cm3이다. 따라서 1.5kg의 액체염소는 부피로 환산하면 1.5kg ÷ 1.56 g/cm3 = 961.54 cm3 이다. 이를 Sm3으로 환산하면 961.54 cm3 ÷ (10 cm/Sm)3 = 0.96154 Sm3 이다.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약 0.47 Sm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어느 보일러에 사용하고 있는 중유의 고위발열량이 10.000kcal/kg일때 , 이 연료의 저위발열량은? (단, 연료 중의 수소함량은 12%, 수분함량은 0.3% 이다)

  1. 9.850kcal/kg
  2. 9.350kcal/kg
  3. 9.160kcal/kg
  4. 9.010kcal/kg
(정답률: 알수없음)
  • 중유의 고위발열량은 10,000kcal/kg 이므로, 1kg의 중유를 연소시켰을 때 발생하는 열의 양은 10,000kcal이다.

    하지만 이 중유는 수소함량이 12%이므로, 연소시켰을 때 수소가 반응하여 물이 생성되고 이때 방출되는 열도 고려해야 한다. 수소의 고위발열량은 34,100kcal/kg이므로, 1kg의 중유에서 생성되는 수소의 양은 0.12kg이고, 이를 연소시켰을 때 방출되는 열의 양은 34,100kcal/kg x 0.12kg = 4,092kcal이다.

    또한 중유는 수분함량이 0.3%이므로, 연소시켰을 때 수분이 반응하여 물이 생성되고 이때 방출되는 열도 고려해야 한다. 수분의 고위발열량은 587kcal/kg이므로, 1kg의 중유에서 생성되는 수분의 양은 0.003kg이고, 이를 연소시켰을 때 방출되는 열의 양은 587kcal/kg x 0.003kg = 1.761kcal이다.

    따라서 중유 1kg를 연소시켰을 때 방출되는 총 열의 양은 10,000kcal + 4,092kcal + 1.761kcal = 14,853kcal이다. 이때의 저위발열량은 총 열의 양을 중유의 질량으로 나눈 값이므로, 14,853kcal/1kg = 9,350kcal/kg이다.

    따라서 정답은 "9.350kcal/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부탄(C4H10)연소에 따른 아래 반응식의 계수로 옳은 것은?

  1. A = 1, B = 13/2, C =3, D = 5
  2. A = 1, B = 13/2, C =4, D = 5
  3. A = 2, B = 13/2, C =4, D = 5
  4. A = 2, B = 13/2, C =5, D = 5
(정답률: 알수없음)
  • 부탄(C4H10)은 산소(O2)와 반응하여 이산화탄소(CO2)와 물(H2O)을 생성합니다. 이 반응식에서 부탄과 산소의 계수를 각각 A와 B로, 생성물인 이산화탄소와 물의 계수를 각각 C와 D로 놓으면 다음과 같은 식이 됩니다.

    A C4H10 + B O2 → C CO2 + D H2O

    이 반응식에서 탄소(C)와 수소(H)의 원자 수는 좌우가 같아야 합니다. 따라서 이 반응식에서 탄소와 수소의 원자 수를 각각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탄소: A × 4 = C × 1
    수소: A × 10 = D × 2

    이를 풀어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A = C/4
    A = D/5 × 2
    → C/4 = D/5 × 2
    → C = 13/2 D

    따라서 C와 D의 계수는 각각 4와 5가 되며, A와 B의 계수는 각각 1과 13/2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A = 1, B = 13/2, C = 4, D = 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연료의 상부 주입식(over feed type) 소각로에서 용적구성비(%)중 CO에 해당하는 곡선은 어느 것인가?

  1. A
  2. B
  3. C
  4. D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A"입니다.

    상부 주입식 소각로에서는 공기와 연료가 상단에서 함께 주입되어 연소가 일어나는데, 이 때 연료가 공기보다 많이 주입되면 CO가 적게 발생하고, 연료가 공기보다 적게 주입되면 CO가 많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용적구성비(%) 중 CO에 해당하는 곡선은 연료 공급량이 적은 "A"가 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두개의 집진장치를 직렬 조합하여 집진한 결과 전체 집진율은 99.8%였다. 이때 2차 집진장치의 집진율이 85%라면 1차 집진장치의 집진율은?

  1. 93.2%
  2. 95.8%
  3. 98.7%
  4. 99.3%
(정답률: 알수없음)
  • 전체 집진율 = 1차 집진율 × 2차 집진율
    0.998 = 1차 집진율 × 0.85
    1차 집진율 = 0.998 / 0.85 = 1.174 = 117.4%

    따라서, 1차 집진장치의 집진율은 "93.2%", "95.8%", "98.7%", "99.3%" 중에서 "98.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어떤 굴뚝 배출가스중의 염소가스의 농도가 150㎖/m3이다. 이 염소가스의 농도를 25mg/Sm3로 저하시키기 위하여 제거해야 할 양(㎖/Sm3)은?

  1. 142
  2. 125
  3. 111
  4. 95
(정답률: 알수없음)
  • 먼저, 농도의 단위를 통일해야 한다. 150㎖/m3을 mg/Sm3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150㎖/m3 × 1g/1000mg × 1000㎖/1m3 = 0.15mg/Sm3

    따라서, 염소가스의 농도를 25mg/Sm3로 저하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계산을 해야 한다.

    25mg/Sm3 - 0.15mg/Sm3 = 24.85mg/Sm3

    즉, 1 Sm3의 배출가스 중에서 24.85mg의 염소가스를 제거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를 150㎖/m3의 농도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24.85mg/Sm3 × 1m3/1000㎖ × 1000㎖/0.15mg = 1656.67m3

    따라서, 1 Sm3의 배출가스 중에서 1656.67㎖의 염소가스를 제거해야 한다는 뜻이다. 이를 반올림하면 142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후드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diffusion type
  2. enclosure type
  3. booth type
  4. receiving type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diffusion type"입니다.

    다른 세 가지 종류는 모두 소리를 차단하거나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반면, "diffusion type"은 소리를 분산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는 후드의 종류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유해가스 처리에 사용되는 세정액 선택시, 그 정도가 높을수록 좋은 것은?

  1. 점도
  2. 휘발성
  3. 용해도
  4. 응고점
(정답률: 알수없음)
  • 유해가스 처리에 사용되는 세정액은 유해가스를 흡착하고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세정액의 용해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양의 유해가스를 흡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세정액을 선택할 때는 용해도가 높은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액화석유가스(LP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천연가스에서 회수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석유정제시부산물로 얻어진다.
  2. 액체에서 기체로 될 때, 증발열이 있으므로 사용하는데 유의할 필요가 있다.
  3. 비중이 공기보다 무거워 누출될 경우, 인화, 폭발성의 위험이 있다.
  4. 보통 LNG보다 발열량이 낮으며 착화온도는 200 ~ 250℃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보통 LNG보다 발열량이 낮으며 착화온도는 200 ~ 250℃이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유는 LPG는 LNG보다 발열량이 높으며, 착화온도는 -104℃에서 -156℃ 사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경우(Light oil)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점이 대략 200 ~ 320℃ 정도이며, 등유와 중유의 중간에 유출되는 성분이다
  2. 비중은 0.8 ~ 0.9이고 정제한 것은 무색에 가깝다.
  3. 착화성이 좋은 연료 사용시 디젤엔진의 압축비가 가솔린엔진보다 매우 크므로 열효율이 높은 출력을 얻을 수 있다.
  4. 착화성 여부는 옥탄값으로 표시하며 착화성이 나쁘면 디젤 - 노킹현상을 일으킨다.
(정답률: 알수없음)
  • "비중은 0.8 ~ 0.9이고 정제한 것은 무색에 가깝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Light oil은 정제되기 전에는 노란색이며, 정제 후에는 무색에 가까워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공기비가 작을 경우 연소실내에서 발생 될 수 있는 상황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가스의 폭발위험과 매연발생이 크다.
  2. 배기가스 중 NO2량이 증가한다.
  3. 부식이 촉진된다.
  4. 연소온도가 낮아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공기비가 작을 경우 연소에 필요한 산소가 부족해지므로 연소가 불완전하게 일어나게 되어 가스와 매연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는 가스의 폭발위험과 매연발생이 크다는 이유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배연탈질법 중 접촉환원법에 의하여 생성되는 부산물은?

  1. NH3
  2. N2
  3. HNO2
  4. HNO3
(정답률: 알수없음)
  • 접촉환원법은 질소산화물(NOx)을 질소(N2)로 환원시키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은 N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평판형 집진기에서 방전극과 집진극 사이의 거리가 4cm, 공기의 유속이 2.5m/sec, 입자의 집진극 이동속도가 6cm/sec일때, 이 입자를 100% 제거하기 위한 이론적인 집진극의 길이는?

  1. 1.01m
  2. 1.22m
  3. 1.46m
  4. 1.67m
(정답률: 알수없음)
  • 입자가 집진극을 통과하는 시간은 집진극 길이를 이동속도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입자가 집진극을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0.04m / 0.06m/sec = 0.67초이다. 이 시간 동안 공기가 이동한 거리는 2.5m/sec x 0.67초 = 1.67m이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입자를 100% 제거하기 위해서는 집진극의 길이가 1.67m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67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대기환경 관계 법규

61. 다음 중 이산화질소(NO2)의 대기환경기준으로 옳은 것은?

  1. ① 0.02 ② 0.05 ③0.15
  2. ① 0.03 ② 0.06 ③0.10
  3. ① 0.06 ② 0.10 ③0.15
  4. ① 0.10 ② 0.12 ③0.30
(정답률: 알수없음)
  • 이산화질소(NO2)의 대기환경기준은 ① 0.03, ② 0.06, ③ 0.10 이다. 이는 인체 건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수준으로 설정된 것이며, 이 기준을 초과하면 대기오염으로 인한 건강상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이산화질소(NO2)의 대기환경기준으로 옳은 것은 "① 0.03 ② 0.06 ③0.1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사업자가 초과부과금에 대하여 징수유예를 받은 경우에는 유예한 날의 다음날부터 최대 얼마의 기간 이내에 납부하여야 하는가?

  1. 6개월
  2. 1년
  3. 1년 6개월
  4. 2년
(정답률: 알수없음)
  •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사업자가 초과부과금에 대하여 징수유예를 받은 경우, 유예한 날의 다음날부터 최대 1년 이내에 납부하여야 합니다. 이는 법령상의 규정으로, 초과부과금에 대한 징수유예 기간이 1년을 초과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오염물질중 1킬로그램당 초과부과금 부과금액이 가장 낮은 물질은?(문제 오류로 보기 내용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보기 내용을 아시는분 께서는 오류신고를 통하여 내용 작성 부탁 드립니다. 정답은 3번 입니다.)

  1. 불소화합물
  2. 황화수소
  3. 1년 6개월
  4. 2년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오류가 있어 정확한 내용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보기 내용이 정확한지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환경부장관에 의한 인증이 면제되는 차랑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국가의 특수한 공용의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군용자동차
  2. 주한 외국군대의 구성원이 공용의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자동차
  3. 여행자 등이 다시 반출 할 것을 조건으로 일시 반입하는 자동차
  4. 국가대표 선수용 및 훈련용 자동차로서 문화관광부장관의 확인을 받은 자동차
(정답률: 20%)
  • 정답은 "여행자 등이 다시 반출 할 것을 조건으로 일시 반입하는 자동차"입니다. 이유는 환경부장관에 의한 인증이 면제되는 차량은 국가의 특수한 공용 목적으로 사용되는 차량, 주한 외국군대 구성원이 사용하는 차량, 문화관광부장관의 확인을 받은 국가대표 선수용 및 훈련용 자동차입니다. 하지만 여행자 등이 다시 반출 할 것을 조건으로 일시 반입하는 차량은 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대기환경보전법규의 의거한 자가측정대상 항목 및 방법에 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매2월 1회이하 측정하여야 할 시설 중 특정유해물질이 포함된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경우에는 시설의 규모에 관계없이 월 1회 이상 측정하여야 한다.
  2. 방지시설설치면제사업장은 당해 시설에 대한 자가측정을 생략할 수 있다.
  3. 측정항목 중 황산화물에 대한 자가측정은 당해 측정대상시설이 중유 등 연료유만을 사용하는 시설인 경우에는 연료의 황함유분석표를 갈음할 수 있다.
  4. 대기오염물질 중 먼지만 배출되는 시설로서 규정에 의한 여과집진시설을 설치한 배출시설은 시설의 규모에 관계없이 매반기 1회 이상 측정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매2월 1회이하 측정하여야 할 시설 중 특정유해물질이 포함된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경우에는 시설의 규모에 관계없이 월 1회 이상 측정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오타로, "매월 2회 이하 측정하여야 할 시설 중 특정유해물질이 포함된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경우에는 시설의 규모에 관계없이 월 1회 이상 측정하여야 한다."가 맞는 내용이다. 이 기준은 대기환경보전법규에 따라 자가측정을 수행하는 시설에 대한 항목과 방법을 규정한 것이다. 이 중에서도 특정유해물질이 포함된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시설은 월 1회 이상 측정해야 하며, 시설의 규모와는 관계없이 해당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위임업무 보고사항에 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①은 옳지 않은 것이다.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위임업무 보고사항에 관한 기준에서는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의 운영자가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의 운영 및 관리에 필요한 사항을 보고하여야 한다. 따라서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의 설치 및 운영에 대한 신청서 제출은 해당 법규에서 규정하는 내용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규에 의한 실내주차장(연면적 2000m2 이상)의 실내공기질 유지기준으로 옳은 것은?

  1. CO2(ppm):1000이하
  2. HCHO(㎍/m3): 120이하
  3. CO(ppm) : 35이하
  4. PM-10(㎍/m3):200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CO는 일산화탄소로, 인체에 유해한 가스입니다. 실내주차장은 차량이 많이 출입하고, 차량이 발생시키는 배기가스 등으로 인해 CO 농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내공기질 유지기준에서 CO 농도는 35ppm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위임 업무 보고사항 중 보고횟수가 연1회에 해당되는 것은?

  1. 비산먼지발생대상사업장 지도, 점검 실적
  2. 굴뚝자동측정기기의 정도검사현황
  3.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시설설치신고현황
  4. 배출시설의 설치허가 및 신고, 오염물질 배출상황 검사, 배출시설에 대한 업무처리현황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시설설치신고현황"입니다. 이유는 대기환경보전법규상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시설의 설치 및 운영에 대한 신고는 연1회로 규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해당 보고사항은 연1회 제출하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대기한경보전법규상 “기타 고체연료 사용시설”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출시설의 굴뚝높이는 100m이상이어야 한다.
  2. 연료 및 그 연소재의 수송은 덮개가 있는 차량을 이용하여야 한다.
  3. 연료는 옥내에 저장하여야 한다.
  4. 굴뚝에서 배출되는 매연을 측정할 수 있는 기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배출시설의 굴뚝높이가 100m 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대기환경보전법상 기타 고체연료 사용시설의 굴뚝높이는 해당 시설의 배출량, 주변환경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굴뚝높이는 고정된 기준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다르게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대기환경보전법령에 의한 배출시설 변경허가를 받아야 하는 시설기준은? (단, 일반오염물질 배출시설 설치사업장이며, 배출시설규모의 합계 또는 누계는 배출구별로 산출한다.)

  1. 설치허가(변경허가 포함)를 받은 배출 시설의 규모의 합계 또는 누계보다 100분의 20이상 증설하는 경우
  2. 설치허가(변경허가 포함)를 받은 배출 시설의 규모의 합계 또는 누계보다 100분의 30이상 증설하는 경우
  3. 설치허가(변경허가 포함)를 받은 배출 시설의 규모의 합계 또는 누계보다 100분의 50이상 증설하는 경우
  4. 설치허가(변경허가 포함)를 받은 배출 시설의 규모의 합계 또는 누계보다 100분의 70이상 증설하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설치허가(변경허가 포함)를 받은 배출 시설의 규모의 합계 또는 누계보다 100분의 50이상 증설하는 경우는 대기환경보전법령에서 배출시설 변경허가를 받아야 하는 시설기준이다. 이는 기존에 허가를 받은 시설의 규모를 크게 증설하는 경우로, 이 경우에는 추가적인 환경영향평가와 절차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자동차연료용 첨가제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엔진진동 억제제
  2. 청정 분산제
  3. 세탄가 향상제
  4. 다목적 첨가제
(정답률: 알수없음)
  • 대기환경보전법규에서는 자동차연료용 첨가제의 종류로 "엔진진동 억제제"를 명시하지 않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환경정채기본법령상 납(Pb)의 환경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연간평균치 : 0.5㎍/m3이하
  2. 24시간 평균치 : 1.5㎍/m3이하
  3. 8시간 평균치 : 1.5㎍/m3이하
  4. 1시간 평균치 : 5㎍/m3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환경정책기본법령상 납(Pb)의 환경기준은 시간대별로 다르게 적용됩니다. 1시간 평균치는 5㎍/m3 이하, 8시간 평균치와 24시간 평균치는 1.5㎍/m3 이하이지만, 연간평균치는 가장 엄격한 기준으로 0.5㎍/m3 이하로 적용됩니다. 이는 장기적인 노출에 대한 위험성을 고려한 것입니다. 따라서, 연간평균치가 가장 엄격한 기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대기환경보전법상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 등의 가동개시 신고시 환경부령이 정하는 시운전 기간의 기준은?

  1. 가동개시일부터 15일까지를 말한다.
  2. 가동개시일부터 30일까지를 말한다.
  3. 가동개시일부터 45일까지를 말한다.
  4. 가동개시일부터 60일까지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환경부령 제4조에 따르면, 대기환경보전법상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 등의 가동개시 신고시 환경부령이 정하는 시운전 기간의 기준은 "가동개시일부터 30일까지를 말한다." 이다. 이는 가동개시 후 일정 기간 동안 시운전을 하며, 이 기간 동안 배출량 등을 모니터링하여 환경규제를 준수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배출허용기준의 준수여부 등을 확인하기 위하여 채취한 오염물질을 검사하도록 대기환경보전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지정된 오염도 검사기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충남보건환경연구원
  2. 낙동강유역환경청
  3. 한국기술과학원
  4. 원주지방 환경청
(정답률: 알수없음)
  • 한국기술과학원은 대기환경보전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지정된 오염도 검사기관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고체연료 환산계수 중 휘발유의 환산계수는? (단, 단위 : 리터(L), 무연탄 (kg)의 환산계수 : 1.0)

  1. 1.32
  2. 1.50
  3. 1.68
  4. 1.80
(정답률: 60%)
  • 휘발유는 알칼리 금속과의 반응으로 생산되는 무연탄보다 더 많은 탄소와 수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무연탄보다 더 많은 열량을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휘발유의 환산계수는 무연탄의 환산계수보다 높아야 합니다. 이 중에서 1.68은 휘발유의 열량과 무연탄의 열량을 비교하여 계산한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측정망에 의한 상시 측정결과 대기오염도가 환경기준의 몇 퍼센트 이상인 지역을 대기환경 규제지역으로 지정하는가?

  1. 50퍼센트
  2. 60퍼센트
  3. 70퍼센트
  4. 80퍼센트
(정답률: 알수없음)
  • 대기환경보전법규에서는 대기오염도가 환경기준의 80퍼센트 이상인 지역을 대기환경 규제지역으로 지정합니다. 이는 대기오염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면 인체 건강에 해로울 뿐만 아니라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에서는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한 규제와 대책이 시급하게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대기환경보전법규정을 위반하여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형에 해당하는 사항이 아닌것은?

  1. 연료사용제한조치등의 명령에 위반한자
  2. 대기배출시설 설치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조업한자
  3. 대기배출시설 변경허가를 받지 아니하고 조업한자
  4. 제작차배출허용기준에 적합하지 아니하게 자동차를 제작한자.
(정답률: 알수없음)
  • "연료사용제한조치등의 명령에 위반한자"는 대기환경보전법규정 중에서도 특정한 명령에 위반한 경우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이는 대기오염을 예방하기 위해 정부가 발령한 연료 사용 제한 등의 명령을 따르지 않은 경우를 말합니다. 따라서 이는 다른 항목과 달리 명령에 따르지 않은 행위에 대한 벌칙이므로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형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대기환경보전법규상 경유를 사용하는 자동차의 경우 대통령령이 정하는 배출가스의 종류로 거리가 먼 것은?

  1. 탄화수소
  2. 입자상 물질
  3. 질소산화물
  4. 알데히드
(정답률: 알수없음)
  • 알데히드는 경유를 사용하는 자동차의 배출가스 중 하나로, 다른 보기인 탄화수소, 입자상 물질, 질소산화물과는 달리 대기오염물질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대기환경보전법규상 경유를 사용하는 자동차의 배출가스 종류로 거리가 먼 것은 알데히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대기환경보전법규상 대기오염경보 발령기준이 되는 오존농도의 측정기준농도는?

  1. 1시간 평균농도
  2. 1시간내 최고농도
  3. 3시간 평균농도
  4. 3시간내 최고농도
(정답률: 알수없음)
  • 대기환경보전법규에서는 대기오염경보 발령기준 중 오존농도의 측정기준농도로 "1시간 평균농도"를 사용합니다. 이는 대기오염물질 농도를 측정하는 기준 중 하나로, 해당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를 1시간 동안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한 것입니다. 이를 기준으로 대기오염경보 발령 여부를 판단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미세먼지(PM-10)의 24시간 평균치 기준(환경기준)은?

  1. 50㎍/m3이하
  2. 75㎍/m3이하
  3. 100㎍/m3이하
  4. 150㎍/m3이하
(정답률: 알수없음)
  • 미세먼지(PM-10)는 직경이 10마이크로미터 이하인 먼지 입자를 말하며,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환경기준에서는 24시간 동안 노출되어도 인체 건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수준을 기준으로 합니다. 이에 따라 미세먼지(PM-10)의 24시간 평균치 기준은 "100㎍/m3이하"입니다. 즉, 24시간 동안 노출되어도 100㎍/m3 이하의 농도로 유지되어야 인체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