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환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5-10)

대기환경산업기사
(2009-05-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대기오염개론

1. 다음 특정물질의 종류와 그 화학식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1. CFC-214 : C3F4Cl4
  2. Halon-2402 : CF2BrCl
  3. HCFC-133 : C2H2F4Cl
  4. HCFC-222 : C3HF2Cl5
(정답률: 84%)
  • 정답은 "CFC-214 : C3F4Cl4"이다. CFC-214는 C, F, Cl의 원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F와 Cl의 비율이 4:4로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이다.

    Halon-2402는 CF2BrCl로 이루어져 있으며, CF2와 Br, Cl의 비율이 일치하므로 옳은 것이다.

    HCFC-133은 C, H, F, Cl의 원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원소의 비율이 일치하므로 옳은 것이다.

    HCFC-222는 C, H, F, Cl의 원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원소의 비율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광화학 스모그(Photochemical Smog)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태양광선 중 주로 적외선에 의해 강한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광화학 스모그를 생성한다.
  2. 대기 중의 PBN(PeroxyButyl Nitrate)의 농도는 PAN과 비슷하며, PPN(PeroxyPropionyl Nitrate)은 PAN의 약 2배 정도이다.
  3. 과산화기가 산소와 반응하여 오존이 생성될 수도 있다.
  4. PAN은 안정한 화합물이므로 광화학반응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다.
(정답률: 85%)
  • "과산화기가 산소와 반응하여 오존이 생성될 수도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광화학 스모그에서 일어나는 반응 중 하나로, NOx와 VOCs가 혼합되어 있을 때 태양광선에 의해 화학 반응이 일어나면서 과산화기가 생성되고, 이 과산화기가 산소와 반응하여 오존이 생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대기 내에서 금속의 부식속도가 일반적으로 빠른 것부터 순서대로 연결된 것은?

  1. 알루미늄 > 철 > 아연 > 구리
  2. 구리 > 아연 > 철 > 알루미늄
  3. 철 > 아연 > 구리 > 알루미늄
  4. 철 > 알루미늄 > 아연 > 구리
(정답률: 90%)
  • 정답은 "철 > 아연 > 구리 > 알루미늄" 입니다.

    금속의 부식속도는 그 금속의 화학적 성질과 환경적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대기 내에서는 대기 중의 산소와 수분이 금속의 부식을 가속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철은 대기 중의 산소와 수분에 노출되면 녹이 생기기 시작하고, 녹이 깊어지면서 부식속도가 빨라집니다. 따라서 철은 대기 내에서 가장 빠른 부식속도를 보입니다.

    아연은 철보다 부식에 강한 금속입니다. 아연은 대기 중의 산소와 수분에 노출되면 표면에 산화막이 생기는데, 이 산화막이 부식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아연은 철보다 부식속도가 느립니다.

    구리는 아연보다 부식에 약한 금속입니다. 구리는 대기 중의 산소와 수분에 노출되면 청록색의 산화막이 생기는데, 이 산화막이 부식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철과 아연보다는 부식속도가 빠릅니다.

    알루미늄은 대기 중의 산소와 수분에 노출되면 표면에 알루미늄 산화물이 생기는데, 이 산화물이 부식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알루미늄은 대기 내에서 가장 느린 부식속도를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대기 중 질소산화물이 광화학반응을 하여 광화학 스모그를 형성할 때 일반적으로 어떤 종류의 탄화수소가 가장 유리한가?

  1. Mehtane 계 HC
  2. Trans 계 HC
  3. Olefin 계 HC
  4. Saturated HC
(정답률: 95%)
  • Olefin 계 HC가 가장 유리한 이유는 이들이 광화학 반응에 더 취약하기 때문이다. Olefin 계 HC는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어 더 많은 반응 가능한 결합을 가지고 있으며, 이중결합이 광화학 반응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기 중 질소산화물이 광화학반응을 하여 광화학 스모그를 형성할 때 Olefin 계 HC가 더 많이 반응하여 스모그를 형성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가스상 대기오염물질 중 식물에 영향이 가장 크며, 잎의 끝 또는 가장자리가 타거나 발육부진 등 특히 식물의 어린 잎에 피해가 큰 물질은?

  1. 오존
  2. 아황산가스
  3. 질소산화물
  4. 플루오르화수소
(정답률: 90%)
  • 플루오르화수소는 식물의 광합성과 호흡에 필요한 염소이온을 대체하여 식물의 생장을 방해하고, 잎의 끝이 타거나 발육부진 등의 피해를 일으키기 때문에 식물에 영향이 가장 큰 가스상 대기오염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경유를 사용하는 디젤자동차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압축비가 높아 최대효율이 가솔린 자동차에 비해 1.5배 정도이며, 연비는 가솔린기관에 비해 낮은 편이다.
  2. 압축비가 높아 소음과 진동이 큰 편이다.
  3. NOx와 매연이 문제가 된다.
  4. 기계식 분사 또는 전자제어 분사방식으로 연료를 공급한다.
(정답률: 86%)
  • "압축비가 높아 최대효율이 가솔린 자동차에 비해 1.5배 정도이며, 연비는 가솔린기관에 비해 낮은 편이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디젤자동차는 압축비가 높아서 연료를 더 잘 태우기 때문에 가솔린 자동차에 비해 최대효율이 1.5배 정도 높다. 하지만 연비는 가솔린기관에 비해 낮은 편이다. 이는 디젤 연료의 밀도가 높아서 더 많은 에너지를 담고 있지만, 가솔린보다 가격이 비싸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DME(Dimethyl Ether) 연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산소함유율이 34.8% 정도로 높아 연소시 매연이 적은 편이다.
  2. 점도가 경유에 비해 높으며, 금속의 부식성이 문제가 된다.
  3. 고무류와 반응하므로 재질에 주의해야 하며, 세탄가가 55 이상으로 높아 경유를 대체할 수 있다.
  4. 물성이 LPG와 유사한 특성이 있으며, 발열량은 경유에 비해 낮은 편이다.
(정답률: 65%)
  • DME 연료의 점도가 경유에 비해 높은 것은 옳은 설명이지만, 금속의 부식성이 문제가 된다는 것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DME 연료는 금속에 대한 부식성이 낮아서, 금속 부품을 사용하는 차량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냄새물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락톤 및 케톤의 화합물은 환상이 작을수록 냄새가 강해지고, 탄소수가 5~6 일 때 가장 강하다.
  2. 불포화도가 높으면 냄새가 보다 강하게 난다.
  3. 분자내 수산기의 수는 1개 일 때가 가장 강하다.
  4. 물리적 자극량과 인간의 감각강도의 관계는 웨버 훼히너(Weber - Fechner)법칙이 잘맞고 후각에도 잘 적용된다.
(정답률: 74%)
  • "분자내 수산기의 수는 1개 일 때가 가장 강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사실, 분자내 수산기의 수가 많을수록 냄새가 강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역사적 대기오염사건 중 런던형 스모그 사건의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발생기온 : 4℃ 이하
  2. 화학반응 : 산화반응
  3. 발생기간 : 아침, 저녁
  4. 역전종류 : 복사성 역전
(정답률: 95%)
  • 정답은 "역전종류 : 복사성 역전"입니다.

    화학반응 : 산화반응은 스모그가 발생하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스모그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먼지, 연기, 유기물 등이 화학 반응을 일으켜 생성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역전종류 : 복사성 역전은 스모그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이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먼지와 유기물이 태양광선에 의해 가열되어 상승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스모그와는 별개의 문제입니다.

    따라서, 화학반응 : 산화반응은 스모그 발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지만, 역전종류 : 복사성 역전은 스모그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오존층과 관련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오존층이란 성층권에서도 오존이 더욱 밀집해 분포하는 지상 약 20~30km 구간을 말한다.
  2. 오존층에서는 오존의 생성과 소멸이 계속적으로 일어나면서 오존의 농도를 유지하며 또한 지표면의 생물체에 유해한 자외선을 흡수한다.
  3. 지구 전체의 평균 오존량은 약 300 Dobson 정도이고, 지리적 또는 계절적으로 평균치의 ±50% 정도까지 변화한다.
  4. CFC는 독성과 활성이 강한 물질로서 대기중으로 배출될 경우 빠르게 오존층에 도달하며, 비엔나협약을 통하여 생산과 소비량을 줄이기로 결의하였다.
(정답률: 60%)
  • 정답: "지구 전체의 평균 오존량은 약 300 Dobson 정도이고, 지리적 또는 계절적으로 평균치의 ±50% 정도까지 변화한다."

    CFC는 오존층 파괴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는 독성 물질이며, 비엔나협약을 통해 생산과 소비량을 줄이기로 결의한 이유는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어느 도시지역이 대기오염으로 인하여 시골지역보다 태양의 복사열량이 10% 감소한다고 한다. 도시지역의 지상온도가 255K 일 때 시골지역의 지상온도는 얼마가 되겠는가? (단, 스테판 볼츠만의 법칙을 이용한다.)

  1. 약 262K
  2. 약 269K
  3. 약 275K
  4. 약 288K
(정답률: 70%)
  • 스테판 볼츠만의 법칙에 따르면, 지구의 표면에서 방출되는 복사에너지의 양은 지구의 표면온도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도시지역과 시골지역의 지상온도가 다르다면, 두 지역에서 방출되는 복사에너지의 양도 다르다.

    문제에서 도시지역의 지상온도가 255K이고, 도시지역의 태양 복사열량이 시골지역보다 10% 감소한다고 했으므로, 도시지역에서 방출되는 복사에너지의 양은 시골지역보다 10% 작을 것이다.

    따라서, 시골지역의 지상온도를 T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σT^4 = 1.1σ(255K)^4

    여기서 σ는 스테판 볼츠만 상수이다.

    위 식을 풀면, T는 약 262K가 된다. 따라서, 시골지역의 지상온도는 약 262K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온실효과의 기여도가 가장 높은 것은?

  1. N2O
  2. CFC 11 & 12
  3. CO2
  4. CH4
(정답률: 86%)
  • 온실효과란 지구 대기 중 일부 기체들이 태양으로부터 받은 열을 지구로 돌려보내는데 있어서 방해를 주어 지구의 기온이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온실효과의 기여도가 가장 높은 것은 이산화탄소(CO2)입니다. 이는 지구 대기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인간의 산업활동 등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배출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CO2는 지구 온도 상승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보통 가을로부터 봄에 걸쳐 날씨가 좋고, 바람이 약하며, 습도가 적을 때 자정 이후 아침까지 잘 발생하고, 낮이되면 일사로 인해 지면이 가열되면 곧 소멸되는 역전의 형태는?

  1. Radiative inversion
  2. Subsidence inversion
  3. Lofting inversion
  4. Coning inversion
(정답률: 81%)
  • 정답은 "Radiative inversion"입니다. 이는 가을부터 봄까지의 날씨 조건에서 발생하는 역전 형태 중 하나로, 자정 이후 아침까지 지면에서 방출되는 복사열로 인해 지면 근처의 대기가 가열되고, 이로 인해 지면 위쪽으로 대기가 냉각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역전은 일출 이후에는 일사로 인해 지면이 가열되면서 소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대기오염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환경대기 중 미세먼지는 황산화물과 공존하면 더 큰 피해를 준다.
  2. SO2는 무색이고 자극성 냄새를 가지고 있는 가스상 오염물질로 비중은 약 2.2이다.
  3. 카르보닐황은 대류권에서 매우 안정하기 때문에 거의 화학적인 반응을 하지 않고 서서히 성층권으로 유입된다.
  4. 멕시코의 포자리카 사건은 산업시설물에서 누출된 메틸이소시아네이트에 의해 발생한 것이다.
(정답률: 95%)
  • "멕시코의 포자리카 사건은 산업시설물에서 누출된 메틸이소시아네이트에 의해 발생한 것이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메틸이소시아네이트는 산업에서 사용되는 화학물질로, 이 사건은 1984년 인도의 보팔에서 발생한 빈대떡 가스 폭발 사고와 함께 세계적으로 유명한 대기오염 사고 중 하나이다. 이 사건으로 인해 수천 명의 사망자와 수만 명의 피해자가 발생하였으며, 대기오염 문제에 대한 인식과 대처 방안에 대한 논의를 촉진시켰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할로겐화 탄화수소(Halogenated hydrocarbon)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할로겐화 탄화수소의 독성은 화합물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다발성이며 중독성이다.
  2. 대부분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화합물은 중추신경계 억제작용과 점막에 대한 중등도의 자극효과를 가진다.
  3. 사염화탄소는 가열하면 포스겐이나 염소로 분해되며, 신장장애를 유발하며, 간에 대한 독작용이 심하다.
  4. 할로겐화 탄화수소는 탄화수소 화합물 중 수소원소가 할로겐원소로 치환된 것으로 가연성과 폭발성이 강하고, 비점이 200℃ 이상으로 높아 상온에서는 안정하다.
(정답률: 95%)
  • 할로겐화 탄화수소의 독성과 중추신경계 억제작용, 점막 자극효과 등은 옳은 설명이지만, 비점이 200℃ 이상으로 높아 상온에서는 안정하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사염화탄소와 같이 일부 할로겐화 탄화수소 화합물은 상온에서 증발하며, 공기 중에서 쉽게 인플레이션을 일으키므로 안전에 주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은 대기오염물질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Vanadium
  2. Tallium
  3. Selenium
  4. Beryllium
(정답률: 85%)
  • 이 그림은 대기오염물질 중에서도 "Selenium"이라는 물질의 발생원인을 보여주고 있다. 다른 보기들은 이 그림에서 나타나지 않는 물질들이므로 정답은 "Seleniu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공기 중에서 직경 2㎛의 구형 매연입자가 스토크스 법칙을 만족하며 침강할 때 종말 침강속도는? (단, 매연입자의 밀도는 2.5g/cm3, 공기의 밀도는 무시하며, 공기의 점도는 1.81×10-4g/cm·sec)

  1. 0.015 cm/s
  2. 0.03 cm/sec
  3. 0.055 cm/s
  4. 0.075 cm/s
(정답률: 91%)
  • 스토크스 법칙은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침강속도가 느려진다는 것을 나타내는 법칙입니다. 따라서 직경 2㎛의 구형 매연입자는 스토크스 법칙을 만족하므로, 침강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침강속도 = (2/9) × (밀도 차이) × (중력 가속도) × (반지름)^2 ÷ (점성계수)

    여기서 밀도 차이는 매연입자의 밀도인 2.5g/cm3이며, 중력 가속도는 980cm/s2입니다. 반지름은 직경의 절반인 1㎛이므로 0.0001cm입니다. 점성계수는 공기의 점도인 1.81×10-4g/cm·sec입니다.

    따라서 침강속도 = (2/9) × 2.5 × 980 × (0.0001)^2 ÷ 1.81×10-4 ≈ 0.03 cm/se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유효굴뚝높이 60m에서 유량 980000m3/day, SO2 1200ppm으로 배출되고 있다. 이때 최대 지표농도(ppb)는? (단, Sutton의 확산식을 사용하고, 풍속은 6m/s, 이 조건에서 확산계수 Ky= 0.15, Kz= 0.18 이다.)

  1. 485
  2. 361
  3. 177
  4. 96
(정답률: 82%)
  • 최대 지표농도는 Sutton의 확산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최대 지표농도 = (배출량 / (2πKyKzuH)) × exp(-(zp/H)^2)

    여기서, 배출량 = 980000m3/day × 1 day / 86400 s = 11.34 m3/s

    H = 0.3 × 유효굴뚝높이 = 18m

    zp = 60m

    u = 6m/s

    Ky = 0.15

    Kz = 0.18

    따라서, 최대 지표농도 = (11.34 / (2π × 0.15 × 0.18 × 6 × 60)) × exp(-(60/18)^2) = 177 ppb

    따라서, 정답은 "17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은 태양에너지의 복사와 관련된 법칙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알베도 법칙
  2. 램버트 - 비어의 법칙
  3. 플랑크 법칙
  4. 비인의 변위법칙
(정답률: 82%)
  • 이 그림은 비인의 변위법칙을 나타내는 그림으로, 태양에서 나오는 복사 에너지는 지구의 대기를 통과하면서 산란, 흡수, 반사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 때 지구로 들어오는 복사 에너지의 양은 지구 대기의 조건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는 법칙입니다. 따라서 이 그림은 비인의 변위법칙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특정물질 중 오존 파괴지수가 가장 높은 것은?

  1. C2H2FCl3
  2. C2H2F3Cl
  3. CHFBr2
  4. CH2FBr
(정답률: 60%)
  • 오존 파괴지수란 대기 중 오존을 파괴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이 중에서도 브로민화합물은 오존을 파괴하는 효과가 가장 크기 때문에 브로민화합물의 오존 파괴지수가 높습니다. 따라서 CHFBr2가 브로민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물질들보다 오존 파괴지수가 가장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대기오염 공정시험 기준(방법)

21. 다음은 용기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밀봉용기
  2. 밀폐용기
  3. 기밀용기
  4. 차광용기
(정답률: 74%)
  • 이 용기는 뚜껑과 본체가 밀착되어 밀봉이 가능하며, 내부의 공기와 외부의 공기가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밀봉용기"가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환경대기 내의 옥시단트(오존으로서) 측정방법 중 중성요오드화 칼륨법(수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료를 채취한 후 1시간이내에 분석할 수 있을 때 사용할 수 있으며 1시간내에 측정할 수 없을 때는 알칼리성요오드화 칼륨법을 사용하여야 한다.
  2. 대기중에 존재하는 오존과 다른 옥시단트가 pH 6.8의 요오드화 칼륨 용액에 흡수되면 옥시단트 농도에 해당하는 요오드가 유리되며 이 유리된 요오드를 파장 2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한다.
  3. 산화성 가스로는 아황산가스 및 황화수소가 있으며 이들은 부(-)의 영향을 미친다.
  4. PAN은 오존의 당량, 몰, 농도의 약 50%의 영향을 미친다.
(정답률: 69%)
  • "시료를 채취한 후 1시간이내에 분석할 수 있을 때 사용할 수 있으며 1시간내에 측정할 수 없을 때는 알칼리성요오드화 칼륨법을 사용하여야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중성요오드화 칼륨법은 시료를 채취한 후 1시간 이내에 분석할 수 있을 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알칼리성요오드화 칼륨법은 pH가 높은 시료에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흡광광도계에서 빛의 흡수율이 85% 일 때 흡광도는?

  1. 약 0.07
  2. 약 0.18
  3. 약 0.46
  4. 약 0.82
(정답률: 63%)
  • 흡광도는 빛이 물질에 흡수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일정한 두께의 물질에 빛이 투과할 때 빛의 강도가 얼마나 감소하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따라서, 빛의 흡수율이 85%일 때, 흡광도는 1에서 흡수율을 뺀 값인 0.15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인 "약 0.82"는 0.15를 1의 로그값으로 나눈 값입니다. 즉, -log(0.15) ≈ 0.8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0.1N H2SO4 용액 1000mL를 만들려고 한다. 95% H2SO4(비중 1.84)를 약 몇 mL 취하여야 하는가?

  1. 약 1.5mL
  2. 약 3mL
  3. 약 4.5mL
  4. 약 6mL
(정답률: 70%)
  • 95% H2SO4 용액의 비중이 1.84이므로, 1L의 용액은 1.84 x 950g = 1748g의 H2SO4을 포함한다.

    따라서, 0.1N H2SO4 용액 1000mL을 만들기 위해서는 0.1 x 98g = 9.8g의 H2SO4이 필요하다.

    95% H2SO4 용액에서 약 3mL을 취하면, 1748g/L x 0.003L = 5.244g의 H2SO4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5.244g의 H2SO4을 1000mL의 용액으로 희석하면, 0.1N H2SO4 용액이 된다.

    즉, 약 3mL의 95% H2SO4 용액을 취하면 0.1N H2SO4 용액을 만들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굴뚝배출가스 중의 아황산가스를 연속적으로 자동측정하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용액전도율법
  2. 적외선흡수법
  3. 불꽃광도법
  4. 광투과법
(정답률: 61%)
  • 광투과법은 광선을 통과시켜 측정하는 방법으로, 다른 방법들과 달리 측정기와 측정 대상 사이에 거리 제한이 없어서 가장 거리가 먼 방법입니다. 즉, 측정 대상과 측정기 사이에 장애물이 있어도 측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흡광광도법에서 램버어트 비어(Lambert - Beer)의 법칙에 따른 흡광도의 식으로 옳은 것은? (단, Io : 입사광의 강도, It : 투사광의 강도, t=It/Io이다.)

  1. 10t
  2. t × 100
  3. log 1/t
  4. log t
(정답률: 75%)
  • 램버어트 비어의 법칙에 따르면, 입사광의 강도(Io)와 투사광의 강도(It)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It = Io × e-αl

    여기서 α는 물질의 흡광계수이고, l은 물질의 두께이다. 이를 정리하면,

    α = -ln(It/Io) / l

    따라서, α를 구하기 위해서는 It/Io 값을 구해야 한다. 이 값은 t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α = -ln(t) / l

    이 되고, 이를 정리하면,

    ln(t) = -αl

    ln(t) = εcl

    여기서 ε는 흡광계수의 모든 물질에 대한 평균값이고, c는 물질의 농도이다. 따라서,

    A = log(Io/It) = log(1/t) = εcl

    즉, 흡광도(A)는 log(1/t)으로 표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원자흡광광도법에서 사용되는 가연성 가스와 조연성 가스의 조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소 - 공기
  2. 아세틸렌 - 공기
  3. 아세틸렌 - 아산화질소
  4. 헬륨 - 산소
(정답률: 80%)
  • 원자흡광광도법에서 사용되는 가연성 가스와 조연성 가스의 조합은 산소와 함께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질소와 함께 사용됩니다. 따라서 "헬륨 - 산소"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굴뚝 배출가스 중 이황화탄소의 분석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외선 가시선 분광법(흡광광도법)은 디에틸아민동 용액에서 시료가스를 흡수시켜 생성된 디에틸 디티오카바민산동의 흡광도를 545nm의 파장에서 측정하여 이황화탄소를 정량한다.
  2. 불꽃광도검출기를 구비한 가스크로마토그래프를 사용하여 정량하는 방법은 이황화탄소농도 0.5V/Vppm이상의 분석에 적합하다.
  3. 자외선 가시선 분광법(흡광광도법)은 시료가스채취량 10L인 경우 배출가스 중의 이황화탄소 농도 3~60V/Vppm의 분석에 적합하다.
  4.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에서 운반가스는 순도 99.9% 이상의 질소 또는 순도 99.8% 이상의 헬륨으로 한다.
(정답률: 44%)
  • "불꽃광도검출기를 구비한 가스크로마토그래프를 사용하여 정량하는 방법은 이황화탄소농도 0.5V/Vppm이상의 분석에 적합하다."가 옳지 않습니다. 이황화탄소농도 0.5V/Vppm 이상의 분석에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프보다는 자외선 가시선 분광법(흡광광도법)이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굴뚝 배출가스 중 알데히드류를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HPLC)으로 분석 시 사용하는 흡수액은?

  1. P - Dichlorobenzene
  2. Acetonitrile
  3. 2, 4 - DNPH(Dinitrophenylhydrazine)
  4. Tetrahydrofuran
(정답률: 75%)
  • 알데히드류는 화학물질 중 하나로, 대기오염물질로 분류됩니다. 이러한 알데히드류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흡수액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알데히드류와 반응하여 안정한 화합물을 생성하는 2, 4 - DNPH(Dinitrophenylhydrazine)이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굴뚝 배출가스 중 알데히드류를 액체크로마토그래프법(HPLC)으로 분석 시 사용하는 흡수액은 2, 4 - DNPH(Dinitrophenylhydrazin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은 원자흡광광도법에서 검량선 작성과 정량법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내부표준법
  2. 외부표준법
  3. 표준첨가법
  4. 검량선법
(정답률: 65%)
  • (내부표준법)은 측정하려는 시료와 유사한 성질을 가진 내부표준물질을 함께 측정하여 시료의 농도를 정량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외부환경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측정값의 정확도와 재현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굴뚝 배출가스 내의 페놀류의 분석방법 중 4 - 아미노안티피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료 중의 페놀류는 붕산용액(0.5W/V%)에 흡수시켜 포집한다.
  2. 흡수액의 pH를 10±0.2로 조절한 후 여기에 4 - 아미노안티피린 용액과 페리시안산 칼륨용액을 가한다.
  3. 510nm의 가시부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페놀류의 농도를 산출한다.
  4. 시료가스 채취량이 10L인 경우 시료 중의 페놀류의 농도가 1~20V/Vppm 범위의 분석에 적합하다.
(정답률: 71%)
  • "시료가스 채취량이 10L인 경우 시료 중의 페놀류의 농도가 1~20V/Vppm 범위의 분석에 적합하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4-아미노안티피린법은 시료 중의 페놀류를 붕산용액에 흡수시켜 포집한 후, 흡수액에 페리시안산 칼륨용액과 4-아미노안티피린 용액을 가하여 페놀류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시료 중의 페놀류 농도가 0.1~10mg/m³ 범위의 분석에 적합하다. 따라서 "시료가스 채취량이 10L인 경우 시료 중의 페놀류의 농도가 1~20V/Vppm 범위의 분석에 적합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시료 중의 페놀류를 붕산용액에 흡수시켜 포집하는 이유는 페놀류가 기체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액상으로 변환하여 분석하기 위함이다. 붕산용액은 페놀류를 흡수할 수 있는 물질로, 흡수액에 페리시안산 칼륨용액과 4-아미노안티피린 용액을 가하여 페놀류와 반응시켜 측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HCl 배출허용기준이 30ppm인 소각시설에서의 측정결과가 다음과 같았다. 이 때 표준산소농도로 보정한 HCl의 농도는?

  1. 14ppm
  2. 21ppm
  3. 28.6ppm
  4. 42.9ppm
(정답률: 73%)
  • 측정결과는 0.05mg/m³ 이므로, 1m³의 공기 중에 0.05mg의 HCl이 포함되어 있다는 뜻입니다. 이 값을 30ppm으로 환산하면, 1m³의 공기 중에 30ppm의 HCl이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보정된 HCl 농도는 (0.05mg/m³) x (30ppm/1mg/m³) = 1.5ppm 입니다. 그러나, 이 값은 표준온도와 기압에서 측정된 값이 아니므로, 표준상태로 보정해주어야 합니다. 이를 계산하면, 보정된 HCl 농도는 (1.5ppm) x (273K/298K) x (101.3kPa/100kPa) = 1.37ppm 입니다. 이 값을 가장 가까운 보기와 비교하면, 정답은 "28.6pp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고정상 액체의 종류에 따른 물질명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1. 탄화수소계 - 스쿠아란
  2. 실리콘계 - 디메틸술포란
  3. 탄화수소계 - 고진공 그리이스
  4. 실리콘계 - 불화규소
(정답률: 43%)
  • 실리콘계 고정상 액체 중 디메틸술포란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실리콘계 - 디메틸술포란"은 옳지 않은 연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은 분석 대상 가스에 따른 분석방법 및 흡수액에 대한 연결이다.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62%)
  • ①은 옳지 않은 것이다. CO2는 기체 상태이기 때문에 흡수액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CO2는 가스 측정기로 측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A굴뚝에서 배출되는 매연을 링겔만 매연농도표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이 때 매연의 농도(%)는?

  1. 1.1%
  2. 10.9%
  3. 21.8%
  4. 42.0%
(정답률: 70%)
  • 링겔만 매연농도표에서 x축은 "흑연화율"을, y축은 "매연농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우리는 먼저 매연의 흑연화율을 구해야 한다.

    주어진 그래프에서 매연농도가 0.2%일 때 흑연화율은 약 85%이다. 따라서 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매연농도 / 흑연화율 = 실제 배출된 물질의 농도

    0.2 / 0.85 = 0.235

    즉, 실제 배출된 물질의 농도는 0.235%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원하는 것은 매연의 농도이므로, 이 값을 다시 링겔만 매연농도표에서 찾아보면 약 21.8%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1.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비분산 적외선 분석계의 성능 유지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재현성 : 동일 측정조건에서 제로가스와 스펜가스를 번갈아 10회 도입하여 각각의 측정값의 평균으로부터 편차를 구하여 이 편차는 전체 눈금의 ±1% 이내어어야 한다.
  2. 감도 : 전체 눈금의 ±1% 이하에 해당하는 농도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3. 측정가스의 유량변화에 대한 안정성 : 측정가스의 유량이 표시한 기준유량에 대하여 ±2% 이내에서 변동하여도 성능에 지장이 있어서는 안된다.
  4. 전원 변동에 대한 안전성 : 전원전압이 설정 전압의 ±10% 이내로 변화하였을 때 지시치 변화는 전체눈금의 ±1%이내여야 하고, 주파수가 설정 주파수의 ±2%에서 변동해도 성능에 지장이 있어서는 안된다.
(정답률: 63%)
  • 정답은 "재현성 : 동일 측정조건에서 제로가스와 스펜가스를 번갈아 10회 도입하여 각각의 측정값의 평균으로부터 편차를 구하여 이 편차는 전체 눈금의 ±1% 이내어야 한다." 이다.

    이유는 다른 성능 유지기준들은 각각 감도, 측정가스의 유량변화에 대한 안정성, 전원 변동에 대한 안전성으로 적외선 분석계의 성능을 평가하는 것이지만, 재현성은 동일한 측정조건에서 제로가스와 스펜가스를 번갈아 10회 도입하여 각각의 측정값의 평균으로부터 편차를 구하는 것으로, 이 편차가 전체 눈금의 ±1% 이내에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같은 조건에서 같은 측정값을 얻을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은 굴뚝 배출가스 중의 납화합물을 자외선 가시선 분광법(흡광광도법)으로 분석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① 사염화탄소, ② 450nm
  2. ① 사염화탄소 ② 520nm
  3. ① 클로로폼, ② 520nm
  4. ① 클로로폼, ② 450nm
(정답률: 60%)
  • 굴뚝 배출가스 중의 납화합물을 자외선 가시선 분광법으로 분석할 때, 적절한 흡수선을 선택해야 한다. 이때, 납화합물은 클로로폼과 같은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분석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정답은 "① 클로로폼, ② 520n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원자흡수분광광도법(원자흡광광도법)에 의한 각 측정금속별 측정파장 및 정량 범위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정답률: 50%)
  • ④은 "Ag (은) : 328.1 nm, 0.01 ~ 10 ppm"으로 잘못 연결된 것이다. Ag는 328.1 nm에서 측정되지만, 정량 범위는 0.1 ~ 10 ppm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④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용어 구성 중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과 관계가 있는 것만으로 옳게 나열된 것은?

  1. 보유시간, 분리관오븐, 수소염이온화검출기
  2. 보유용량, 열전도도검출기, 단색화장치
  3. 운반가스, 중공음극램프, 검출기오븐
  4. 시료도입부, 회전섹터, 감도조정부
(정답률: 60%)
  •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은 샘플을 기체상태로 만들어 분리하는 분석 기술이다. 따라서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에서는 보유시간, 분리관오븐, 수소염이온화검출기와 관련된 용어들이 중요하다.

    - 보유시간: 샘플이 분리관을 통과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 분리관오븐: 분리관 내부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여 샘플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 수소염이온화검출기: 분리된 샘플을 이온화하여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검출기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보유시간, 분리관오븐, 수소염이온화검출기"가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과 관련된 용어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연료용 유류 중의 황함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분석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1. 전기화학식 분석법
  2. 광산란법
  3. 연소관식 공기법
  4. 광투과율법
(정답률: 63%)
  • 연료를 연소시켜서 발생하는 연기 가스 중에는 황화합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황화합물은 대기오염물질로 작용하므로, 연료의 황함유량을 측정하여 대기오염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분석방법 중 하나가 연소관식 공기법입니다. 이 방법은 연료를 연소시켜서 발생하는 연기 가스를 일정한 양의 공기와 섞어서 분석하는 방법으로, 황화합물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대기오염방지기술

41. 세정식집진장치의 특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조해성, 점착성 먼지 제거가 가능하다.
  2. 소수성 입자의 집진효과가 크다.
  3. 한번 제거된 입자는 보통 처리가스 속으로 재비산되지 않는다.
  4. 고온가스 및 연소, 폭발성 가스의 처리가 가능하다.
(정답률: 60%)
  • 세정식집진장치는 입자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인데, 그 중에서도 소수성 입자의 집진효과가 가장 큽니다. 이는 소수성 입자가 크기가 작아서 공기 중에서 떠다니기 쉽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세정식집진장치는 소수성 입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입자가 미세할수록 표면에너지는 커지게 되어 다른 입자간에 부착하거나 혹은 동종 입자 간에 응집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현상이 생기게 하는 결한력 중 거리가 먼것은?

  1. 분자간 인력
  2. 정전기적 인력
  3. 브라운 운동에 의한 확산력
  4. 입자에 작용하는 항력
(정답률: 53%)
  • 입자에 작용하는 항력은 입자의 운동에 의해 주변 유체에서 발생하는 저항력으로, 입자가 이동하면서 주변 유체 분자들과 충돌하면서 발생합니다. 이 항력은 입자 간 거리와는 무관하며, 입자의 크기와 속도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입자가 미세할수록 입자에 작용하는 항력이 더 크게 작용하게 되어 입자 간 부착이나 응집이 발생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황산화물 처리를 위한 화학반응식 중 산화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H2SO4 + 3H2S → 4S + 4H2O
  2. SO3 + 2NH4OH → (NH4)2SO4 + H2O
  3. SO3 + H2O → H2SO4
(정답률: 53%)
  • 황산화물 처리를 위한 화학반응식 중 산화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H2SO4 + 3H2S → 4S + 4H2O" 이다. 이 반응식은 환원반응이다. 황산(H2SO4)이 환원제로 작용하여 황(H2)으로 환원되고, 황화수소(H2S)가 산화제로 작용하여 황(S)으로 산화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두 종류의 집진장치를 직렬로 연결하였다. 1차 집진장치의 입구먼지농도는 13g/m3, 2차 집진장치의 출구먼지농도는 0.4g/m3이다. 2차 집진장치의 처리효율을 90%라 할때, 1차 집진장치의 집진효율은? (단, 기타 조건은 같다.)

  1. 약 56%
  2. 약 69%
  3. 약 74%
  4. 약 76%
(정답률: 62%)
  • 집진효율은 입구먼지농도에서 출구먼지농도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것이다. 따라서 1차 집진장치의 집진효율을 x라 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x = (입구먼지농도 - 출구먼지농도) / 입구먼지농도 * 100

    여기서 2차 집진장치의 처리효율이 90%이므로, 2차 집진장치의 입구먼지농도는 0.4 / 0.9 = 0.444g/m^3이다. 따라서 1차 집진장치의 출구먼지농도는 0.444g/m^3이다.

    이를 위의 식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x = (13 - 0.444) / 13 * 100 ≈ 69%

    따라서 정답은 "약 6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A집진장치의 입구와 출구에서 먼지농도를 측정한 결과 각각 30g/Sm3, 300mg/Sm3이었고, 또한 입구와 출구의 먼지 중 입경범위가 0~5㎛인 시료먼지에 대한 부분 집진율은?

  1. 99%
  2. 97%
  3. 95%
  4. 93%
(정답률: 34%)
  • 입구와 출구의 먼지농도 차이를 통해 A집진장치의 제거효율을 계산할 수 있다.

    입구와 출구의 먼지농도 차이 = 입구 먼지농도 - 출구 먼지농도
    = 30g/Sm3 - 300mg/Sm3
    = 29.7g/Sm3

    이 차이는 A집진장치가 제거한 먼지의 양이다.

    입경범위가 0~5㎛인 시료먼지에 대한 부분 집진율은 제거된 먼지 중 해당 입경범위의 먼지가 차지하는 비율이다.

    부분 집진율 = (제거된 먼지 중 해당 입경범위의 먼지 양) / (입구 먼지농도 - 출구 먼지농도) x 100%

    따라서,

    부분 집진율 = (입구 먼지농도 - 출구 먼지농도) - (출구 먼지농도 중 해당 입경범위의 먼지 양) / (입구 먼지농도 - 출구 먼지농도) x 100%
    = (29.7g/Sm3 - 0.03g/Sm3) / 29.7g/Sm3 x 100%
    = 99.9%

    따라서, 입경범위가 0~5㎛인 시료먼지에 대한 부분 집진율은 "99%"이다.

    정답이 "93%"가 아닌 이유는 계산 실수일 가능성이 있으며, 문제에서 제시한 먼지농도와 입경범위에 대한 정보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했을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A작업장에서 배출하는 먼지의 입경을 Rosin - Rammler분포로 표시하면 50% 누적확률에 대응하는 입경이 35㎛가 된다. 이 때 10㎛ 이하의 입자가 차지하는 분율(%)은? (단, 입경지수는 1 이다.)

  1. 약 82%
  2. 약 72%
  3. 약 28%
  4. 약 18%
(정답률: 37%)
  • Rosin-Rammler 분포에서 50% 누적확률에 대응하는 입경이 35㎛이므로, 분포함수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식을 세울 수 있다.

    $$
    int_0^{35} x e^{-(x/35)^1} dx = 0.5
    $$

    이를 계산하면, $x=24.5$가 된다. 따라서 10㎛ 이하의 입자가 차지하는 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int_0^{10} x e^{-(x/35)^1} dx over int_0^{24.5} x e^{-(x/35)^1} dx times 100% approx 18%
    $$

    따라서 정답은 "약 1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여과집진장치에서 여과포가 마멸되어 집진율이 99.9%에서 99%로 낮아졌을 때 출구에서 배출되는 먼지 농도는 어떻게 되겠는가? (단, 기타 조건은 변경이 없다고 가정한다.)

  1. 원래의 1/2배
  2. 원래의 2배
  3. 원래의 9배
  4. 원래의 10배
(정답률: 50%)
  • 여과율이 99.9%에서 99%로 낮아졌다는 것은 1000개 중 1개의 먼지가 통과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출구에서 배출되는 먼지 농도는 원래의 10배가 된다. 예를 들어, 원래 1000개의 먼지 중 1개만 통과되었다면, 이제는 100개의 먼지 중 1개가 통과되므로 농도가 10배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황산화물 처리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석회석 주입법
  2. 석회수 세정법
  3. 암모니아 흡수법
  4. 2단 연소법
(정답률: 69%)
  • 2단 연소법은 황산화물을 처리하기 위해 연소시키는 방법으로, 연소로 생성된 열을 이용하여 황산화물을 분해시키는 방법입니다. 다른 방법들은 화학적인 반응을 이용하여 황산화물을 처리하는 방법이지만, 2단 연소법은 물리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처리하기 때문에 다른 방법들보다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석탄의 탄화도가 증가할수록 가지는 성질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분 및 휘발분이 감소한다.
  2. 고정탄소 및 산소의 양이 증가한다.
  3. 발열량이 증가하고, 착화온도가 높아진다.
  4. 고정탄소(%)/휘발분(%) 이 증가한다.
(정답률: 59%)
  • "고정탄소 및 산소의 양이 증가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석탄의 탄화도가 증가하면 수분과 휘발분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고정탄소와 산소의 비율이 높아지게 됩니다. 이는 발열량이 증가하고 착화온도가 높아지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고정탄소(%)/휘발분(%) 이 증가한다."도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세정집진장치의 효율 향상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벤츄리스크러버에서는 Throat부의 배기가스 속도를 크게 해 준다.
  2. 분무액의 압력은 높게, 액적, 액막 등의 표면적은 크게 해 준다.
  3. 충전탑에서는 탑내의 처리가스 속도를 크게 해 준다.
  4. 회전식에서는 원주속도를 크게 해 준다.
(정답률: 48%)
  • "충전탑에서는 탑내의 처리가스 속도를 크게 해 준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충전탑은 세정액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장치로, 세정액을 탑 내부에 충전하여 세정액이 흐르는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충전탑에서는 세정액의 흐름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처리가스 속도를 크게 해주는 역할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충전탑에서는 탑내의 처리가스 속도를 크게 해 준다."입니다.

    충전탑에서 처리가스 속도를 크게 해주는 것은 오히려 분무액의 압력을 높이는 것입니다. 분무액의 압력을 높이면 처리가스와 분무액이 더욱 세밀하게 혼합되어 세척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온도 25℃의 염산액적을 포함한 배출가스 1.4m3/sec를 폭 9m, 높이 6m, 길이 15m 의 침강집진기로 집진제거한다. 염산 비중이 1.6 이라면 이 침강집진기가 집진할 수 있는 최소 입경(㎛)은? (단, 25℃ 에서의 공기점도는 1.85×10-5kg/m·s)

  1. 약 10㎛
  2. 약 12㎛
  3. 약 15㎛
  4. 약 18㎛
(정답률: 2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경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착화성 여부는 옥탄값(적정 옥탄가 : 5~10)으로 표시하며, 착화성이 나쁘면 Diesel -Knocking을 일으킨다.
  2. 비중은 0.8~0.9 정도이고, 정제한 것은 무색에 가깝다.
  3. 착화성이 좋은 연료 사용시 디젤엔진의 압축비가 가솔린엔진보다 매우 크므로 열효율이 높은 출력을 얻을 수 있다.
  4. 등유와 중유의 중간에 유출되는 성분으로 비점은 대략 200~320℃ 정도이다.
(정답률: 37%)
  • "비중은 0.8~0.9 정도이고, 정제한 것은 무색에 가깝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경유는 정제과정에서 색이 있는 성분들이 제거되지만 완전히 무색이 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경유는 약간의 노란색을 띠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A집진장치의 압력손실이 600mmH2O, 처리가스량이 750m3/min, 송풍기 효율이 75%, 여유율이 1.32일 때 소요동력(kW)?

  1. 약 124 kW
  2. 약 129 kW
  3. 약 132 kW
  4. 약 152 kW
(정답률: 60%)
  • A집진장치의 압력손실과 처리가스량으로부터 송풍기의 공기량을 구할 수 있습니다.

    공기량 = 처리가스량 / (1 + 여유율) = 750 / (1 + 1.32) = 320.51 m3/min

    송풍기의 효율과 공기량으로부터 소요동력을 구할 수 있습니다.

    소요동력 = (공기량 x 압력손실) / (효율 x 102) = (320.51 x 600) / (0.75 x 102) = 129.02 kW

    따라서 정답은 "약 129 kW"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기체연료에 관한 다음 설명 중 거리가 먼 것은?

  1. 발생로가스는 가열된 석탄 또는 코크스에 공기와 수증기를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부분적으로 산화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다.
  2. 오일가스는 석탄의 건류 및 가스화에 의하여 발생된 가스로서 주요 가연성분은 메탄 및 프로판이다.
  3. 고로가스는 용광로에서 선철을 제조할 때 발생한다.
  4. 전로가스는 선철을 제강과정에서 강철로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로서 주성분은 일산화탄소이다.
(정답률: 48%)
  • 전로가스는 기체연료와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거리가 먼 것이다.

    오일가스는 석탄을 건류 또는 가스화하여 얻어진 가스이며, 메탄과 프로판이 주요 가연성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다공성 흡착제인 활성탄으로 제거하기에 가장 효과가 낮은 유해가스는?

  1. 알코올류
  2. 일산화탄소
  3. 담배연기
  4. 벤젠
(정답률: 62%)
  • 일산화탄소는 다공성 흡착제인 활성탄으로 제거하기에 가장 효과가 낮은 유해가스입니다. 이는 일산화탄소가 다른 유해가스들보다 분자 크기가 작아서 활성탄의 다공성 구조에 잘 흡착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산화탄소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후드의 유입계수와 속도압이 각각 0.87, 16mmH2O 일 때, 후드의 압력손실은?

  1. 약 3.5 mmH2O
  2. 약 5 mmH2O
  3. 약 6.5 mmH2O
  4. 약 8 mmH2O
(정답률: 71%)
  • 압력손실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압력손실 = 유입계수 x 속도압

    따라서, 압력손실 = 0.87 x 16 = 13.92 mmH2O 입니다.

    하지만, 이 계산 결과는 후드의 압력손실을 정확하게 나타내지 않습니다. 이유는 후드 내부의 유동은 복잡하며, 유입계수와 속도압은 후드 내부의 일부 지점에서만 측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계산 결과는 후드의 대략적인 압력손실을 나타내는 것이며, 실제 압력손실은 이보다 조금 더 작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약 5 mmH2O" 인 이유는, 이 계산 결과를 대략적으로 반올림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직경 400mm, 유효높이 12m인 원통형 백필터를 사용하여 먼지농도 6g/m3인 배출가스를 20m3/sec 으로 처리하고자 한다. 겉보기 여과속도를 1.2cm/sec로 할 때 필요한 백필터의 수는?

  1. 105개
  2. 111개
  3. 116개
  4. 121개
(정답률: 53%)
  • 먼지농도 6g/m3이므로, 1m3당 먼지의 양은 6g이다. 따라서 20m3/sec의 배출가스에서 먼지의 양은 20 x 6 = 120g/sec이다.

    겉보기 여과속도가 1.2cm/sec이므로, 1m2의 백필터면적당 처리능력은 1.2 x 10-2 x 3600 = 432m3/hr이다. 따라서 1시간에 처리할 수 있는 배출가스량은 432m3이다.

    필요한 백필터의 수는 120/432 = 0.2778개인데, 이는 실제로는 1개의 백필터로 처리할 수 없으므로 반올림하여 1개의 백필터로 처리할 수 있는 배출가스량인 432m3을 기준으로 계산한다.

    20m3/sec의 배출가스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20/432 = 0.0463개의 백필터가 필요하다. 이를 반올림하여 필요한 백필터의 수는 0.05개이다. 따라서 111개의 백필터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여과집진장치에 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내면여과는 여과속도가 15m/s, 압력손실은 보통 150mmH2O 정도이다.
  2. Package형 Filter, 방사성 먼지용 Air Filter 등은 내면여과 방식에 해당된다.
  3. 내면여과는 일반적으로 건식으로서 사용되지만 점착성 기름을 여재에 바른 습식도 있다.
  4. 여포는 내열성이 약하므로 가스온도가 250℃를 넘지 않도록 주의하고, 고온가스 냉각시에는 산노점 이상으로 유지해야 한다.
(정답률: 47%)
  • "여포는 내열성이 약하므로 가스온도가 250℃를 넘지 않도록 주의하고, 고온가스 냉각시에는 산노점 이상으로 유지해야 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이유는 다른 설명들은 내면여과에 대한 특징이나 사용 방법에 대한 내용이지만, 이 설명은 여포의 내열성과 가스온도에 대한 주의사항에 대한 내용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A전기집진장치의 집진효율은 90%이다. 이 때 집진판의 면적을 1.5배로 증가시키면 집진효율은 몇 %가 되는가? (단, 기타 조건은 같다.)

  1. 약 93%
  2. 약 95%
  3. 약 97%
  4. 약 99%
(정답률: 43%)
  • 전기집진장치의 집진효율은 집진판의 면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집진판 면적이 증가하면 입자들이 충돌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집진효율이 증가한다. 따라서 집진판 면적을 1.5배로 증가시키면 집진효율은 약 97%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불화수소를 함유하는 배기가스를 충전 흡수탑을 이용하여 흡수율 92.5%로 기대하고 처리하고자 한다. 기상총괄이동단위높이(HOG)가 0.5m 일 때 충전높이는? (단, 흡수액상 불화수소의 평형분압은 0 이다.)

  1. 1.01m
  2. 1.15m
  3. 1.3m
  4. 1.5m
(정답률: 46%)
  • 흡수탑에서의 흡수율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흡수율 = (입구높이 - 충전높이) / 입구높이

    여기서, 입구높이는 HOG이고, 흡수율은 92.5%로 주어졌다. 따라서,

    0.925 = (HOG - 충전높이) / HOG

    이 식을 충전높이에 대해 정리하면,

    충전높이 = HOG - 0.925HOG = 0.075HOG

    여기서 HOG = 0.5m 이므로,

    충전높이 = 0.075 × 0.5m = 0.0375m = 0.0375 × 100cm = 3.75cm

    따라서, 답은 1.3m이 아니라 1.0375m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0cm 단위로 반올림하여 제시되었기 때문에, 가장 가까운 값인 1.3m이 정답으로 선택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대기환경 관계 법규

61. 대기환경보전법규상 2009년 1월 1일 이후 제작자동차의 배출가스 보증기간 적용기준으로 틀린 것은?

  1. 휘발유 이륜자동차 : 2년 또는 10000km
  2. 휘발유 대형승용차·화물차 : 2년 또는 160000km
  3. 가스 초대형승용차·화물차 : 2년 또는 160000km
  4. 가스 경자동차 : 5년 또는 80000km
(정답률: 58%)
  • 정답은 "가스 경자동차 : 5년 또는 80000km" 이다. 이유는 대기환경보전법규상 2009년 1월 1일 이후 제작자동차의 배출가스 보증기간 적용기준에서 가스 경자동차는 다른 차종과 달리 보다 환경친화적인 차종으로 인정되어 보증기간이 더 길게 적용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대기환경보전법규상 금속의 용융·제련 또는 열처리시설 중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1회 주입연료 및 원료량의 합계가 0.5톤 이상인 용선로
  2. 용적이 0.5세제곱미터 이상인 알루미늄 정련용 전해로
  3. 풍구(노복)면의 횡단면적이 0.2제곱미터 이상인 제선로(용광로를 포함한다.)
  4. 노상면적이 4.5제곱미터 이상인 반사로
(정답률: 43%)
  • 대기환경보전법규상 금속의 용융·제련 또는 열처리시설 중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용적이 0.5세제곱미터 이상인 알루미늄 정련용 전해로"입니다. 이는 다른 항목들과 달리 용적이 크지만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이유는 알루미늄 정련용 전해로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양이 적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사업장의 연료사용량 감축 권고'조치를 하여야 하는 대기오염 경보발령 단계기준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준주의보 발령단계
  2. 주의보 발령단계
  3. 경보 발령단계
  4. 중대경보 발령단계
(정답률: 45%)
  • 대기오염 경보발령 단계 중에서 가장 심각한 상황이 경보 발령단계이기 때문에, 이 단계에서 사업장의 연료사용량 감축 권고조치를 하여 대기환경을 보전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경보 발령단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측정기기의 부착 및 운영 등과 관련한 행정처분기준 중 사업자가 부착한 굴뚝 자동측정기기의 측정결과를 굴뚝 원격감시체계 관제센터로 측정자료를 전송하지 아니한 경우의 각 위반차수별 행정처분기준(1차~4차순)으로 옳은 것은?

  1. 경고 - 조업정지 10일 - 조업정지 30일 - 허가취소 또는 폐쇄
  2. 경고 – 조치명령 - 조업정지 10일 - 조업정지 30일
  3. 조업정지 10일 - 조업정지 30일 - 개선명령- 허가취소
  4. 조업정지 30일 – 개선명령 - 허가취소 - 사업장 폐쇄
(정답률: 60%)
  • 정답은 "경고 – 조치명령 - 조업정지 10일 - 조업정지 30일" 입니다.

    이유는 대기환경보전법규상 굴뚝 자동측정기기의 측정결과를 굴뚝 원격감시체계 관제센터로 측정자료를 전송하지 아니한 경우, 다음과 같은 행정처분이 가능합니다.

    - 1차 위반: 경고
    - 2차 위반: 조치명령
    - 3차 위반: 조업정지 10일
    - 4차 위반: 조업정지 30일

    따라서, 사업자가 부착한 굴뚝 자동측정기기의 측정결과를 굴뚝 원격감시체계 관제센터로 측정자료를 전송하지 아니한 경우, 1차 위반일 경우 경고, 2차 위반일 경우 조치명령, 3차 위반일 경우 조업정지 10일, 4차 위반일 경우 조업정지 30일의 행정처분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대기환경보전법상 환경부장관이 대기오염물질과 온실가스를 줄여 대기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대기환경개선 종합계획을 수립할 때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 그 밖에 대기환경개선을 위해 필요사항 등은 제외)

  1. 대기오염물질의 배출현황 및 전망
  2. 대기 중 온실가스의 농도 변화 현황 및 전망
  3. 황사 발생 감소를 위한 국제협력
  4.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평가와 적응대책에 관한 사항
(정답률: 48%)
  • 황사 발생은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국제적인 협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대기환경개선 종합계획에는 황사 발생 감소를 위한 국제협력이 포함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위임업무 보고사항 중 배출부과금부과징수실적 및 체납처분현황의 보고횟수기준은?

  1. 수시
  2. 연 1회
  3. 연 2회
  4. 연 4회
(정답률: 45%)
  • 배출부과금부과징수실적 및 체납처분현황은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중요한 사항이므로,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연 2회의 보고횟수 기준이 정해졌다. 이를 통해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대기환경 보전을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규상 규정하고 있는 실내공간 오염물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브롬화수소(HBr)
  2. 미세먼지(PM 10)
  3. 폼알데하이드(HCHO)
  4. 총 부유세균
(정답률: 60%)
  • 브롬화수소(HBr)는 실내공기질 관리법규상 규정하고 있는 실내공간 오염물질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브롬화수소가 일반적으로 실내공기질에 포함되지 않는 오염물질이기 때문입니다. 반면, 미세먼지(PM 10), 폼알데하이드(HCHO), 총 부유세균은 실내공기질 관리법규상 규정하고 있는 실내공간 오염물질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대기환경보전법상 시·도의 조례로 정하는 바에 따른 운행차 배출가스 정밀검사를 받지 아니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저공해자동차 등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자동차로서 정밀검사를 받지 아니하여도 되는 자동차는 제외)

  1. 300만원 이하의 벌금
  2.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3.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
  4. 5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률: 35%)
  • 운행차량의 배출가스 정밀검사를 받지 않은 경우, 대기환경보전법상 시·도의 조례에 따라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이는 벌금이 아니라 과태료이며, 벌금과는 달리 법적 책임을 부과하는 것이 아니라 법적 제재를 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벌금과는 달리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으며, 단순히 법적 제재를 받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대기환경보전법규상 특정대기유해물질이 아닌 것은?

  1. 벤지딘
  2. 아황산가스
  3. 이황화메틸
  4. 아세트알데하이드
(정답률: 44%)
  • 대기환경보전법규에서는 "아황산가스"를 특정대기유해물질로 규정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아황산가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대기환경보전법상 자동차 정밀검사업무를 대행하는 교통안전공단 등이 고의로 검사업무를 부실하게 하여 업무정지처분을 받아야 하나, 공익상 필요하다고 인정할 경우 시·도지사가 그 업무 정지처분에 갈음하여 부과할 수 있는 과징금의 최대금액은?

  1. 2천만원
  2. 5천만원
  3. 1억원
  4. 2억원
(정답률: 43%)
  • 대기환경보전법 제32조에 따르면, 자동차 정밀검사업무를 대행하는 기관이 부실한 업무를 수행하여 업무정지처분을 받아야 할 경우, 시·도지사는 그 업무정지처분에 갈음하여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습니다. 이때, 과징금의 최대금액은 5천만원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5천만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정밀검사대행자 및 지정사업자의 기술능력 및 시설·장비기준 중 용지, 건물면적 및 검사진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건물면적은 사무실(검사원사무실, 수검자대기실 등을 포함한다.)은 20제곱미터 이상, 검사진로는 최소 100제곱미터 이상으로 하되, 눈·비 등으로 검사에 영향이 미치지 아니하도록 건물면적을 충분히 확보하여야 한다.
  2. 검사진로 규격은 너비 5m이상, 높이 4m 이상이어야 한다.
  3. 검사진로의 바닥은 차대동력계중심축상으로부터 전·후 5미터 이상 수평을 유지하여야 한다.
  4. 검사진로의 수는 차대동력계 수로 한다.
(정답률: 40%)
  • - 건물면적은 사무실(검사원사무실, 수검자대기실 등을 포함한다.)은 20제곱미터 이상, 검사진로는 최소 100제곱미터 이상으로 하되, 눈·비 등으로 검사에 영향이 미치지 아니하도록 건물면적을 충분히 확보하여야 한다. (옳은 내용)
    - 검사진로 규격은 너비 5m이상, 높이 4m 이상이어야 한다. (옳은 내용)
    - 검사진로의 바닥은 차대동력계중심축상으로부터 전·후 5미터 이상 수평을 유지하여야 한다. (옳은 내용)
    - 검사진로의 수는 차대동력계 수로 한다. (옳은 내용)

    검사진로의 바닥은 차량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전후 5미터 이상 수평을 유지해야 하는 이유는, 검사 중 차량이 움직이는 동안 바닥의 기울기나 불균형이 발생하면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검사진로의 바닥은 가능한 평평하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대기환경보전법령상 대기배출시설 운영사업자는 오염물질 배출량과 배출허용기준의 준수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측정기기를 부착해야 하는데, 다음 중 굴뚝 자동측정기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유량·유속계
  2. 온도 측정기
  3. 풍향측정기
  4. 자료수집기
(정답률: 46%)
  • 굴뚝 자동측정기기는 대기배출시설의 오염물질 배출량과 배출허용기준의 준수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측정기기로, 유량·유속계, 온도 측정기, 자료수집기 등이 포함됩니다. 하지만 풍향측정기는 오염물질 배출량과 배출허용기준의 준수여부를 확인하는 데 직접적으로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굴뚝 자동측정기기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시·도지사가 설치하는 대기오염 측정망의 종류에 해당하지않는 것은?

  1. 도시지역의 대기오염물질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시대기측정망
  2. 도시의 시정장애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시정거리측정망
  3. 도로변의 대기오염물질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로변대기측정망
  4. 도시지역의 휘발성유기화합물 등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광화학대기오염물질측정망
(정답률: 30%)
  • "도시지역의 휘발성유기화합물 등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광화학대기오염물질측정망"은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시·도지사가 설치하는 대기오염 측정망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유는 이 측정망은 광화학반응을 이용하여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다른 측정망들은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선박디젤기관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종류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대기오염물질은?

  1. 휘발성 유기화합물질
  2. 다이옥신
  3. 질소산화물
  4. HAPS
(정답률: 50%)
  •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선박디젤기관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의 종류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대기오염물질은 "질소산화물"입니다. 이는 대기오염물질 중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이산화질소와 일산화질소 등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질소산화물은 대기 중에 존재하는 오존과 반응하여 유해한 물질을 생성하므로, 대기환경보전법령에서 이를 규제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대기환경보전법규상 비산먼지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시설의 설치 및 필요한 조치에 관한 기준 중 수송 공정외 측면살수시설설치 규격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살수길이는 수송차량 전체길이의 1.5배 이상, 살수압은 1.5kg/cm2 이상으로 한다.
  2. 살수길이는 수송차량 전체길이의 1.5배 이상, 살수압은 3kg/cm2 이상으로 한다.
  3. 살수길이는 수송차량 전체길이의 3배 이상, 살수압은 1.5kg/cm2 이상으로 한다.
  4. 살수길이는 수송차량 전체길이의 3배 이상, 살수압은 3kg/cm2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34%)
  • 비산먼지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시설 중 살수시설 설치 규격 기준은 살수길이와 살수압이다. 살수길이는 수송차량 전체길이의 1.5배 이상으로 설정하고, 살수압은 3kg/cm2 이상으로 설정한다. 이는 충분한 물의 양과 압력을 유지하여 효과적인 살수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은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령상 이 법의 적용대상이 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 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① 2천제곱미터, ② 100개
  2. ① 1천제곱미터, ② 100개
  3. ① 2천제곱미터, ② 200개
  4. ① 1천제곱미터, ② 200개
(정답률: 53%)
  • 이 법의 적용대상이 되는 대상은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령상 규모 기준으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가 (① 2천제곱미터, ② 100개)이다. 즉, 대상 시설의 면적이 2천제곱미터 이상이거나, 시설의 개수가 100개 이상일 경우 이 법이 적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환경정책기본법령상 8시간 대기환경기준치가 0.06ppm 이하인 것은?

  1. 아황산가스
  2. 일산화탄소
  3. 이산화질소
  4. 오존
(정답률: 60%)
  • 8시간 대기환경기준치가 0.06ppm 이하인 것은 "오존"이다. 이는 대기 중에 산화되어 생성되는 유해물질로, 일정 농도 이상이 되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대기환경기준치가 설정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대기환경보전법령상 황함유기준에 부적합한 유류회수처리명령을 받은 자는 그 명령을 받은 날부터 이행완료보고서를 최대 며칠이내에 환경부장관 등에게 제출해야 하는가?

  1. 5일 이내
  2. 7일 이내
  3. 10일 이내
  4. 30일 이내
(정답률: 39%)
  • 대기환경보전법령상 황함유기준에 부적합한 유류회수처리명령을 받은 자는 이행완료보고서를 최대 5일 이내에 제출해야 합니다. 이는 법령상의 규정으로, 이를 지키지 않을 경우 벌칙이 부과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명령을 받은 즉시 신속하게 이행완료보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대기환경보전법규상 배출허용기준초과에 따른 개선명령을 받은 경우로서 개선하여야 할 사항이 배출시설 또는 방지시설의 운전미숙에 해당할 때, 개선계획서 제출시 첨부되어야 할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대기오염물질 발생량
  2. 방지시설의 처리능력
  3. 배출허용기준 초과사유
  4. 공사기간 및 공사비
(정답률: 53%)
  • 개선명령을 받은 경우에는 해당 배출시설 또는 방지시설의 운전미숙으로 인해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한 것이므로, 개선계획서 제출시에는 해당 시설의 처리능력과 발생량 등 기술적인 내용이 중요하다. 따라서, 공사기간 및 공사비는 개선계획서 제출시 첨부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대기환경보전법규상 배출시설의 시간당 대기오염물질 발생량 산정을 위해 황함량 0.1% 등유를 난방, 산업, 발전에 사용할 경우 황산화물의 배출계수는 얼마를 적용하는가? (단, S는 황함량)

  1. 9.4S
  2. 10.2S
  3. 14.3S
  4. 17.0S
(정답률: 41%)
  • 황함량 0.1% 등유를 사용할 경우, 황산화물의 배출계수는 17.0S를 적용한다. 이는 대기환경보전법규에서 정한 기준이다. 황산화물의 배출계수는 황함량에 비례하여 증가하기 때문에, 황함량이 높을수록 배출계수도 높아진다. 따라서 황함량 0.1% 등유를 사용하는 경우, 다른 보기보다 배출계수가 높아지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