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환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3-20)

대기환경산업기사
(2011-03-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대기오염개론

1. 열섬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시의 건물 등 구조물에 의한 거칠기 길이의 변화도 원인이 된다.
  2. 도시 지역의 인구 집중에 따른 인공열 발생의 증가도 원인이 된다.
  3. 도시의 온도증가에 따른 상승기류로 인하여 운량과 강우량이 감소한다.
  4. 직경 10km 이상의 도시에서 잘 나타나는 현상이다.
(정답률: 80%)
  • "도시의 온도증가에 따른 상승기류로 인하여 운량과 강우량이 감소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도시의 건물 등 구조물에 의한 거칠기 길이의 변화와 도시 지역의 인구 집중에 따른 인공열 발생의 증가도 열섬현상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이 설명은 옳은 것이다.

    직경 10km 이상의 도시에서 잘 나타나는 현상이기도 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180℃ 1atm 에서 이산화황의 농도가 2g/m3이다. 표준상태에서 몇 ppm 인가?

  1. 1162
  2. 1754
  3. 1968
  4. 2018
(정답률: 72%)
  • 이산화황의 분자량은 64g/mol 이다. 따라서 2g/m3은 2/64 mol/m3 이다.

    표준상태에서의 기체의 부피는 1 mol일 때 22.4L 이다. 따라서 1m3 에는 1000/22.4 mol의 기체가 들어있다.

    따라서 2/64 mol/m3 은 (2/64) / (1000/22.4) = 0.007L/m3 이다.

    ppm은 백만분율을 의미하므로, 0.007L/m3 을 1,000,000으로 곱해준 후 단위를 mg/L 로 변환해준다.

    0.007 x 1,000,000 x 64 = 448 mg/L 이다.

    따라서 1L의 공기 중에는 448mg의 이산화황이 포함되어 있다.

    1ppm은 1L의 공기 중에 1mg의 물질이 포함되어 있을 때를 의미하므로, 448ppm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16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대기오염물질 중 대기 내의 평균 체류시간이 1~4일 정도로 짧고, 지구규모보다는 산성비와 같은 국지적인 환경오염에의 기여가 큰 것은?

  1. SO2
  2. O3
  3. CO2
  4. N2O
(정답률: 88%)
  • "SO2"는 대기 내의 평균 체류시간이 1~4일 정도로 짧기 때문에 지구규모보다는 산성비와 같은 국지적인 환경오염에의 기여가 큽니다. 또한 "SO2"는 화석 연료를 태우는 공장, 자동차 등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로서, 인간의 활동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많기 때문에 국지적인 환경오염에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그림은 탄화수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NO2의 광화학싸이클(Photolytic cycle)이다. 그림의 A 및 B에 해당되는 물질은?

  1. A = NO2, B = NO
  2. A = O2, B = CO2
  3. A = NO, B = NO2
  4. A = O2, B = O2
(정답률: 90%)
  • NO2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광화학싸이클에서 산소 분자(O2)가 자유로운 라디칼로 변화하여 오존(O3)을 생성하고, 이 오존은 다시 산소 분자와 반응하여 O2로 재생된다. 따라서 A와 B는 모두 산소 분자(O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냄새물질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냄새물질이 비교적 저분자인 것은 휘발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2. 냄새물질은 화학반응성이 풍부한 편이다.
  3. 냄새물질은 실온에서 대다수가 액상이다.
  4. 화학물질이 냄새물질로 되기 위해서는 대부분 친수성의 단일기를 가져야 한다.
(정답률: 72%)
  • "냄새물질이 실온에서 대다수가 액상이다."는 다른 보기들과는 거리가 먼 설명이다.

    화학물질이 냄새물질로 되기 위해서는 대부분 친수성의 단일기를 가져야 한다는 이유는, 냄새물질이 대부분 기체나 액체 상태에서 발생하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분자 간의 상호작용이 중요하다. 친수성의 단일기를 가진 화학물질은 분자 간의 상호작용이 강해져서 냄새를 유발하는 데에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대기오염물질의 확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굴뚝에서 연기가 나올 때 굴뚝연기 배출속도가 바람의 속도보다 크면 다운드래프트 현상을 일으킨다.
  2. 굴뚝높이를 주변의 건물보다 1.5배 높게 하여 다운드래프트 현상을 방지한다.
  3. 유효굴뚝 높이는 굴뚝높이에 연기의 수직상승 높이를 더한 것이다.
  4. 다운드래프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배출가스의 온도를 낮추어 부력을 감소시켜야 한다.
(정답률: 77%)
  • 유효굴뚝 높이는 굴뚝높이에 연기의 수직상승 높이를 더한 것이다. 이는 굴뚝에서 배출된 연기가 주변 대기 중에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연기가 상승하여 분산되는 높이를 높이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대기오염물질이 지상으로 확산되는 양을 줄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실내공기오염물질인 라돈(Rn)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무색, 무취의 기체로 폐암을 유발한다.
  2. 자연계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공기에 비해 약 3배 정도 무겁다.
  3. 반감기는 3.8일 정도이고 호흡기로 흡입이 현저하다.
  4. 토양, 콘크리트, 대리석 등으로부터 공기 중으로 방출된다.
(정답률: 85%)
  • "자연계에는 존재하지 않으며, 공기에 비해 약 3배 정도 무겁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라돈은 자연계에서 존재하는 방사성 원소로, 지하암석, 토양, 지하수 등에서 방출된다. 또한, 라돈은 공기와 비슷한 밀도를 가지고 있어서 공기 중에서는 섞여 있을 확률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오염물질 중 수산기를 포함하는 것은?

  1. chloroform
  2. benzene
  3. methyl mercaptan
  4. phenol
(정답률: 86%)
  • phenol은 수산기(-OH)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chloroform, benzene, methyl mercaptan은 수산기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대기오염물질 중 2차 오염물질에 해당하는 것은?

  1. NaCl
  2. H2S
  3. SiO2
  4. NOCl
(정답률: 85%)
  • 2차 오염물질은 대기 중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으로 생성되는 오염물질을 말합니다. "NOCl"은 대기 중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으로 생성되는 오염물질이므로 2차 오염물질에 해당합니다. "NaCl", "H2S", "SiO2"는 대기 중에서 화학반응으로 생성되는 것이 아니므로 2차 오염물질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굴뚝의 높이보다 낮게 지표 가까이에 역전층이 이루어져 있고, 그상공에는 비교적 불안정 상태일 때 발생하며, 주로 고기압지역에서 맑고 바람이 약한 경우 초저녁부터 아침에 걸쳐 잘 발생되기 쉬운 연기형태는?

  1. looping형
  2. fumigation형
  3. fanning형
  4. lofting
(정답률: 84%)
  • 역전층과 불안정 상태에서 발생하는 연기형태를 나타내는 단어를 찾는 문제이다. "looping형"은 연기가 고도변화를 반복하며 뒤섞이는 형태를 나타내는 용어이고, "fumigation형"은 연기가 지표면에 가까이 머무르며 확산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fanning형"은 바람에 의해 연기가 부채꼴 모양으로 퍼지는 형태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따라서, 정답은 "lofting"이다. "lofting"은 굴뚝의 높이보다 낮은 지표 가까이에서 역전층과 불안정 상태에서 발생하는 연기가 상공으로 떠오르는 형태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지면에서의 평균 풍속이 4m/sec , 안정도 등급이 B등급인 노천에서 소각물의 배출량이 109.9g/sec라면 이 때 연기 중심선상을 따라 2km 풍하거리 지면에서의 PM10 농도를 옳게 계산한 것은? (단, 가우시안형의 연기확산식을 적용하고 표준상태를 기준으로 수평 및 수직확산계수는 각각 250m와 350m , 소각물 중 PM10의 배출율은 전체 소각물 배출량의 40% 라고 가정한다.)

  1. 10 μg/m3
  2. 20 μg/m3
  3. 30 μg/m3
  4. 40 μg/m3
(정답률: 5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오염물질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알루미늄 화합물은 불소의 흡수를 억제하고 칼슘과 철 화합물의 흡수를 감소시키며, 소장에서 인과 결합하여 인 결핍과 골연화증을 유발한다.
  2. 알루미늄 독성작용으로 인간에게서 입증된 2개의 주요조직은 뼈와 뇌이고, 알루미늄열은 결막염, 습진, 상기도 자극 등을 유발할 수 있다.
  3. 셀레늄의 만성기중 폭로 시 주로 설태가 끼이며, 혈장 콜레스테롤치가 저하한다.
  4. 셀레늄은 주로 폐, 위장관 혹은 손상된 피부를 통해 흡수되고, 간에서 유기 셀레늄의 형태로 대사되어진다.
(정답률: 78%)
  • 알루미늄 화합물은 인체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셀레늄은 인체에 필요한 미량 원소이며, 적절한 양만 섭취하면 건강에 이롭다. 따라서 셀레늄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거리가 먼 것이다. 셀레늄의 만성기중 폭로 시 주로 설태가 끼이며, 혈장 콜레스테롤치가 저하하는 것은 셀레늄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인 항산화 작용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광화학반응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광화학반응의 생성물로 PAH, CH3ONO2, 케톤 등이 있다.
  2. 광화학반응이 일어나면서 NO2가 감소하고 여기에 대응하여 NO가 증가한다.
  3. NO에서 NO2로의 산화가 거의 완료되고, NO2가 최고농도에 도달하기 직전부터 O3가 생성되기 시작한다.
  4. 알데히드는 O3생성에 앞서 반응 초기부터 생성되며 탄화수소의 감소에 대응한다.
(정답률: 71%)
  • 광화학반응의 생성물로 PAH, CH3ONO2, 케톤 등이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광화학반응이 일어나면서 NO2가 감소하고 여기에 대응하여 NO가 증가하는 이유는 광화학반응에서 NO와 NO2가 서로 상호변환되기 때문입니다. NO와 NO2는 서로 산화-환원 반응을 일으키며, 광화학반응이 일어나면 NO2가 NO로 환원되고, NO가 NO2로 산화됩니다. 이러한 반응이 반복되면서 NO와 NO2의 농도가 변화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반사영역이 고려된 가우시안 확산모델에서 각 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Q : 오염원의 배출량으로서 단위는 질량/시간이다.
  2. z : 농도를 구하려는 지점의 굴뚝으로부터의 풍하방향의 수평거리를 말한다.
  3. u : 굴뚝높이의 풍속을 말한다.
  4. H : 유효굴뚝높이다.
(정답률: 85%)
  • z는 농도를 구하려는 지점의 굴뚝으로부터의 수직거리를 말하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z : 농도를 구하려는 지점의 굴뚝으로부터의 풍하방향의 수평거리를 말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연기 내에서 오염의 단면분포가 전형적인 가우시안분포(Gaussian distribution)를 보이는 것은?

  1. conig
  2. looping
  3. fanning
  4. lofting
(정답률: 69%)
  • "conig"이 정답인 이유는 연기가 일정한 속도로 흐르면서 공기와 섞이기 때문에 오염물질의 분포가 균일해지고, 이에 따라 가우시안 분포를 보이기 때문입니다. "looping", "fanning", "lofting"은 연기가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지 않고, 공기와 섞이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오염물질의 분포가 균일하지 않아 가우시안 분포를 보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뮤즈계곡, 도노라, 런던스모그 사건과 같은 대기오염 사건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한 환경조건을 나열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무풍, 기온역전, 황산화물
  2. 광화학반응, 기온역전, 오존
  3. 강한바람, 과단열상태, 황산화물
  4. 광화학반응, 과단열상태, 오존
(정답률: 91%)
  • 무풍 상태에서는 대기가 움직이지 않아 오염물질이 쌓이기 쉽고, 기온역전 상태에서는 대기가 위쪽으로 갈수록 기온이 높아지기 때문에 오염물질이 상승하여 쌓이게 됩니다. 또한 황산화물은 대기오염물질 중 하나로, 자극성이 강하고 눈이나 코, 목 등에 자극을 일으키기 때문에 이러한 대기오염 사건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인체의 폐 속으로의 침투도가 최대가 될 뿐 아니라 빛의 산란도 역시 최대가 되어 가시도 감소에 큰 영향을 주는 먼지의 입경범위로 적합한 것은?

  1. 0.001 ~ 0.01 μm
  2. 0.01 ~ 0.1 μm
  3. 0.1 ~ 1.0 μm
  4. 10 ~ 50 μm
(정답률: 80%)
  • 인체의 폐는 먼지와 같은 미세 입자를 걸러내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입경이 너무 작으면 폐에서 걸러내기 어렵고, 너무 크면 폐에 침투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인체의 폐 속으로의 침투도가 최대가 되기 위해서는 입경이 적당한 범위여야 합니다. 또한, 빛의 산란도 역시 최대가 되어 가시도 감소에 큰 영향을 주는 입경 범위가 적합합니다. 이에 따라, 0.1 ~ 1.0 μm의 입경 범위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높이 40m인 굴뚝으로부터 20m/sec로 연기가 배출되고 있다. 굴뚝 반지름은 2m, 굴뚝 주위로 풍속은 4m/sec, 배출가스의 열방출률은 4000kJ/sec일 때,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유효굴뚝의 높이를 계산하면? (단, Holland의 식은 아래와 같고, Qh는 열방출률(kJ/sec), )

  1. 약 25 m
  2. 약 40 m
  3. 약 65 m
  4. 약 80 m
(정답률: 6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지상 100m에서 풍속이 20m/sec라면, 지상 15m에서의 풍속은? (단, Deacon 식을 적용하고, 풍속지수 값은 0.3)

  1. 약 6 m/sec
  2. 약 11 m/sec
  3. 약 16 m/sec
  4. 약 21 m/sec
(정답률: 76%)
  • Deacon 식은 지상과 고도에 따른 풍속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입니다. 이 식에 따르면, 지상에서의 풍속(V1)과 고도(h1)가 주어졌을 때, 다른 고도(h2)에서의 풍속(V2)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V2 = V1 * (h2 / h1) ^ 0.143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V1 = 20m/sec, h1 = 100m, h2 = 15m 이므로,

    V2 = 20 * (15 / 100) ^ 0.143

    ≈ 11 m/sec

    따라서 정답은 "약 11 m/sec"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최근 문제시 되고 있는 석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석면은 자연계에서 산출되는 길고, 가늘고, 강한 섬유상 물질이다.
  2. 석면에 폭로되어 중피종이 발생되기 까지의 기간은 일반적으로 폐암보다는 긴 편이나 20년 이하에서 발생하는 예도 있다.
  3. 석면은 화학약품에 대한 저항성이 약하고, 전기절연성이 없다.
  4. 석면의 발암성은 청석면이 온석면보다 강하다.
(정답률: 73%)
  • 석면은 화학약품에 대한 저항성이 약하고, 전기절연성이 없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는 오히려 석면의 특징 중 하나로, 석면은 전기절연성이 뛰어나며, 화학적으로 안정적인 물질입니다. 석면이 화학약품에 대한 저항성이 약하다면, 석면으로 만들어진 제품이 화학적으로 불안정하고 위험할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대기오염 공정시험 기준(방법)

21. 원통 여지의 포집기를 사용하여 배출가스중의 먼지를 포집하였다. 측정치는 다음과 같다고 할 때 먼지 농도는 약 몇 mg/m3 인가?

  1. 212
  2. 205
  3. 200
  4. 192
(정답률: 58%)
  • 원통 여지의 포집기를 사용하여 먼지를 포집한 후, 먼지가 쌓인 무게를 측정하였다. 측정치는 0.000192g 이다. 이를 기준으로 먼지 농도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먼지 농도 = (먼지 질량 / 공기 체적) x 1,000,000

    공기 체적은 1m3 이므로, 먼지 농도 = (0.000192g / 1m3) x 1,000,000 = 192mg/m3

    따라서, 정답은 "19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은 이온크로마토그래프의 장치구성 중 어떤 것에 관한 설명인가?

  1. 용리액조
  2. 써프렛서
  3. 검출기
  4. 분리관
(정답률: 85%)
  • 써프렛서는 이온크로마토그래프에서 이온교환체를 사용하여 샘플을 분리하는 장치입니다. 이는 샘플의 이온성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법으로, 이온교환체를 통해 샘플의 이온성에 따라 분리되어 검출기로 이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0.02M의 황산 30mL를 중화시키는데 필요한 0.1N 수산화나트륨 용액의 양(mL)은?

  1. 3 mL
  2. 6 mL
  3. 12 mL
  4. 20 mL
(정답률: 76%)
  • 황산의 몰농도는 0.02/1000 = 0.00002 mol/mL입니다. 중화 반응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H2SO4 + 2NaOH → Na2SO4 + 2H2O

    1 몰의 황산은 2 몰의 수산화나트륨과 중화됩니다. 따라서 필요한 수산화나트륨 용액의 몰농도는 0.00002 x 2 = 0.00004 mol/mL입니다.

    N = 몰농도 / 동등질량 = 몰농도 / (분자량 / 전하)

    수산화나트륨의 분자량은 40.01 g/mol이고 전하는 1입니다. 따라서 동등질량은 40.01입니다.

    0.1N 용액의 몰농도는 0.1 x 40.01 / 1000 = 0.004001 mol/mL입니다.

    필요한 용액의 양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0.004001 mol/mL x V mL = 0.00004 mol/mL x 30 mL

    V = (0.00004 mol/mL x 30 mL) / 0.004001 mol/mL = 0.299 mL

    따라서 정답은 0.299 mL인데,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12 mL입니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근사한 값으로 계산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시약 조합 중 불소화합물 분석방법에 사용되는 것은?

  1. p-아미노디메틸아닐린 용액 - 염화제이철 용액
  2. 오르토 톨리딘 - 염산용액
  3. 피리딘피라졸론 - p-디메틸 아미노 벤질리덴 로다닌의 아세톤 용액
  4. 란탄 - 알리자린콤플렉손용액
(정답률: 73%)
  • 불소화합물 분석에는 란탄 - 알리자린콤플렉손용액이 사용됩니다. 이는 불소 이온과 란탄 이온 사이의 발광 현상을 이용하여 불소 함량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다른 시약 조합들은 불소화합물 분석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은 환경대기 중 휘발성 유기화합물(유해 VOCs 고체흡착법) 분석에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이다. ( ① )안에 알맞은 것은?

  1. 1/2
  2. 2배
  3. 5배
  4. 10배
(정답률: 84%)
  • 1.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 대기 중에 존재하는 유기화합물 중 증기압이 높아 대기 중에서 쉽게 증발하는 화합물을 말한다.
    2. 고체흡착법(Solid Phase Adsorption, SPA) : 고체 표면에 존재하는 화학적인 흡착 작용을 이용하여 대기 중의 유해 물질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정답 : 1/2

    이유 : VOCs 농도가 2배가 되면 흡착제에 흡착되는 양도 2배가 되므로 분석 결과도 2배가 된다. 따라서, 농도가 5배나 10배가 되어도 분석 결과는 2배로 동일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은 굴뚝배출가스 내의 질소산화물 분석방법 중 아연환원 나프틸에틸렌디아민법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① NaOH용액, ② 질산이온, ③ 아질산이온
  2. ① H2SO4용액, ② 아질산이온, ③ 질산이온
  3. ① NaOH용액, ② 아질산이온, ③ 질산이온
  4. ① 물, ② 질산이온, ③ 아질산이온
(정답률: 69%)
  • 아연환원 나프틸에틸렌디아민법은 굴뚝배출가스 내의 질소산화물을 아질산이온으로 환원시키는 방법이다. 이때, 아질산이온은 NaOH용액으로 중화되어 NaNO2로 변하고, 질산이온은 H2SO4용액으로 중화되어 NO로 변한다. 따라서, 이 방법에서는 물 대신 NaOH용액을 사용하고, 질산이온과 아질산이온을 구분하여 환원시키기 때문에 정답은 "① 물, ② 질산이온, ③ 아질산이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단면이 원형인 굴뚝의 굴뚝반경이 1.7 m 인 경우 측정점수로 옳은 것은?

  1. 20
  2. 16
  3. 12
  4. 8
(정답률: 87%)
  • 단면이 원형인 굴뚝의 굴뚝반경이 1.7m 이므로 지름은 3.4m 이다.
    측정점수는 지름의 1/4 이므로 3.4m/4 = 0.85m 이다.
    따라서 옳은 측정점수는 8, 12, 16, 20 중에서 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굴뚝 배출가스 중 납화합물 분석을 위한 자외선/가시선 분광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납착염의 흡광도를 680nm에서 측정하여 정량한다.
  2.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의 정량범위는 0.001~0.04mg이며, 정밀도는 3~10%이다.
  3. 납착물은 시간이 경과하면 분해되므로, 가능한 빛을 차단하고, 20℃이하에서 조작하며, 장시간 방치하지 않도록 한다.
  4. 비교적 다량의 비스무트가 함유되어 있으면, 시안화칼륨용액으로 세정조작을 반복하더라도 무색이 되지 않으므로 이 경우에는 납과 비스무트를 분리하여 시험한다.
(정답률: 72%)
  • "납착염의 흡광도를 680nm에서 측정하여 정량한다." 이 설명이 옳지 않은 이유는, 굴뚝 배출가스 중 납화합물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납착염을 만들어야 하며, 이를 680nm에서 측정하여 정량하는 것이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가스크로마토그래피에서 A , B 성분의 보유시간이 각각 2분 , 3분 이었으며, 피크폭은 32초 , 38초 이었다면 이 때 분리도는?

  1. 1.2
  2. 1.5
  3. 1.7
  4. 1.9
(정답률: 73%)
  • 분리도는 (두 성분의 보유시간 차이) / (두 성분의 피크폭의 합)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A와 B의 보유시간 차이는 1분이고, 피크폭의 합은 70초이다. 이를 대입하여 계산하면 1.7이 나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은 굴뚝 배출가스 중의 페놀류의 가스크로마토그래프 분석방법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① 산성 , ② 초산에틸
  2. ① 산성 , ② 차아염소산나트륨용액
  3. ① 염기성 , ② 초산에틸
  4. ① 염기성 , ② 차아염소산나트륨용액
(정답률: 57%)
  • 페놀류는 산성 환경에서 쉽게 이온화되므로, 산성 용액에서 분석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초산에틸은 페놀류를 분석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기용매 중 하나이다. 따라서, 정답은 "① 산성 , ② 초산에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가스크로마토그래프의 각 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스 시료도입부는 가스계량관(통상 0.5~5μl) 및 가스성분 분석부와 유료변환기구로 구성된다.
  2.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하는 검출기를 수용하는 검출기 오븐에 대하여는 온도조절기구와는 별도로 독립작용할 수 있는 과열방지기구를 설치해야 한다.
  3. 가스를 연소시키는 검출기를 수용하는 검출기 오븐은 그 가스가 오븐 내에 오래 체류하지 않도록 된 구조이어야 한다.
  4. 분리관 오븐의 온도조절 정밀도는 ±0.5℃의 범위이내 전원 전압변동 10%에 대하여 온도변화 ±0.5℃ 범위이내(오븐의 온도가 150℃ 부근일 때)이어야 한다.
(정답률: 58%)
  • "가스 시료도입부는 가스계량관(통상 0.5~5μl) 및 가스성분 분석부와 유료변환기구로 구성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굴뚝 배출가스 중의 비소화합물을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으로 분석할 때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적자색 용액의 흡광도를 510nm에서 측정
  2. 황색 용액의 흡광도를 400nm에서 측정
  3. 청색 용액의 흡광도를 520nm에서 측정
  4. 적색 용액의 흡광도를 435nm에서 측정
(정답률: 74%)
  • 굴뚝 배출가스 중의 비소화합물은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적자색 용액의 흡광도를 510nm에서 측정하는 이유는 비소화합물 중에서 가장 많은 양이 존재하는 물질이 적색을 띄기 때문이다. 510nm는 적색을 강조하는 파장대이므로, 이 파장대에서 적색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비소화합물의 양을 추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환경대기 중의 옥시단트(오존으로서) 농도 측정법 중 화학발광법(자동연속측정법)의 측정원리 및 성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 방해물질로는 SOx, NOx 등 이고, 수분에 대하여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2. 오존과 에틸렌 가스가 반응할 때 생기는 발광도가 오존농도와 비례관계가 있다는 것을 이용한다.
  3. 최저감지농도는 0.003 ppm이다.
  4. 측정범위는 원칙적으로 0.5 ppm O3로 한다.
(정답률: 64%)
  • "주 방해물질로는 SOx, NOx 등 이고, 수분에 대하여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화학발광법의 성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이다. 이유는 화학발광법은 오존과 에틸렌 가스가 반응할 때 생기는 발광도를 측정하는데, SOx, NOx 등의 다른 대기오염물질은 이 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수분은 반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데, 이는 화학발광법이 건조한 상태에서 측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 방해물질로는 SOx, NOx 등이며, 수분에 대해서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설명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압력단위를 환산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 atm = 760 mmHg
  2. 1 mmHg = 13.6 mmH2O
  3. 1 mmAq = 14.7 psi
  4. 1 mmH2O = 1 kg/m2
(정답률: 79%)
  • 정답은 "1 mmH2O = 1 kg/m2"입니다.

    이유는 mmH2O는 압력을 나타내는 단위이고, kg/m2는 질량 밀도를 나타내는 단위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둘을 서로 환산하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1 mmAq = 14.7 psi는 mmAq와 psi가 모두 압력을 나타내는 단위이기 때문에 서로 환산이 가능합니다. 1 atm = 760 mmHg는 두 개의 압력 단위를 환산한 것입니다. 1 mmHg = 13.6 mmH2O는 mmHg와 mmH2O가 모두 압력을 나타내는 단위이기 때문에 서로 환산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은 물질의 파쇄 및 선별 시 외부로 비산 배출되는 먼지의 분석방법 중 불투명도 측정법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① 10초 , ② 0.5도
  2. ① 30초 , ② 0.5도
  3. ① 10초 , ② 1도
  4. ① 30초 , ② 1도
(정답률: 62%)
  • 이 방법은 먼지가 흡수한 빛의 양을 측정하여 불투명도를 계산하는 방법이다. 먼지가 많을수록 빛이 흡수되므로 불투명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불투명도 측정 시 먼지가 충분히 분산되어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므로 30초 동안 측정한다. 또한, 먼지의 크기가 클수록 빛을 많이 흡수하므로 측정 시 먼지의 크기를 고려하여 0.5도로 측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하이볼륨에어샘플러법으로 비산먼지 측정 시 시료채취장소 및 위치선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풍하방향에 대상 발생원의 영향이 없을 것으로 추측되는 곳에 대조위치를 선정한다.
  2. 발생원의 비산먼지 농도가 가장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 2개소 이상을 선정한다.
  3. 측정하려고 하는 발생원의 부지경계선상에서 선정한다.
  4. 풍향은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정답률: 70%)
  • 하이볼륨에어샘플러법은 대기 중 미세먼지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대기 중 미세먼지를 집진하여 필터에 모으고, 필터에 모인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으로 비산먼지를 측정할 때는, 측정하려는 발생원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발생원과 가까운 곳이 아닌, 발생원의 부지경계선상에서 채취장소를 선정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발생원에서 발생한 미세먼지가 측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측정하려고 하는 발생원의 부지경계선상에서 선정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환경대기 중의 탄화수소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주 시험법은?

  1. 총탄화수소 측정법
  2. 비메탄 탄화수소 측정법
  3. 활성 탄화수소 측정법
  4. 비활성 탄화수소 측정법
(정답률: 84%)
  • 환경대기 중의 탄화수소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주 시험법은 "비메탄 탄화수소 측정법"입니다. 이는 측정 대상인 탄화수소 중에서 메탄을 제외한 다른 탄화수소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환경대기 중에는 메탄 이외의 다양한 탄화수소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 방법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굴뚝 배출가스 내의 산소농도 측정을 위한 산소측정기 중 담벨형(Dumb-Bell) 자기력 분석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피드백코일은 편위량을 없애기 위하여 전류에 의하여 자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백금선이 이용된다.
  2. 담벨은 자기화율이 큰 유리 등으로 만들어진 중공의 구체를 막대 양 끝에 부착한 것으로 헬륨 또는 아르곤을 봉입한 것을 사용한다.
  3. 편위검출부는 담벨의 편위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광원부와 담벨봉에 달린 거울에서 반사하는 빛을 받는 수광기로 된다.
  4. 측정셀은 시료 유통실로서 자극사이에 배치하여 담벨 및 불균형 자계발생 자극편을 내장한 것을 사용한다.
(정답률: 79%)
  • 담벨은 자기화율이 큰 유리 등으로 만들어진 중공의 구체를 막대 양 끝에 부착한 것으로 헬륨 또는 아르곤을 봉입한 것을 사용한다. (옳은 설명)

    피드백코일은 편위량을 없애기 위하여 전류에 의하여 자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백금선이 이용된다.

    편위검출부는 담벨의 편위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광원부와 담벨봉에 달린 거울에서 반사하는 빛을 받는 수광기로 된다.

    측정셀은 시료 유통실로서 자극사이에 배치하여 담벨 및 불균형 자계발생 자극편을 내장한 것을 사용한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없습니다.

    담벨형 자기력 분석계는 굴뚝 배출가스 내의 산소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기기로, 담벨을 이용하여 자기장을 측정하고, 이를 통해 산소농도를 계산합니다. 산소측정기 중에서도 정확도가 높은 편이며, 환경오염 감시 등에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환경대기 중의 아황산가스 농도를 측정함에 있어 파라로자닐린법을 사용할 경우 알려진 주요 방해물질이 아닌 것은?

  1. Cr
  2. O3
  3. NOx
  4. NH3
(정답률: 75%)
  • 파라로자닐린법은 아황산가스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 방법은 아황산가스와 반응하여 파라로자닐린을 생성하고, 생성된 파라로자닐린의 색을 측정하여 아황산가스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주요 방해물질은 아황산가스가 아닌 다른 물질들이다. NH3은 아황산가스와 반응하지 않으므로, 주요 방해물질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굴뚝 배출가스 중 황화수소 측정방법인 것은?

  1. 요오드적정법
  2. 질산토륨 - 네오트린법
  3. 다이페닐카바지드법
  4. 디티존법
(정답률: 66%)
  • 굴뚝 배출가스 중 황화수소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인 요오드적정법은, 황화수소와 요오드가 반응하여 이산화황과 물로 변화하는 반응을 이용합니다. 이 반응에서 요오드의 양을 측정하여 황화수소의 양을 알아내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요오드적정법이 굴뚝 배출가스 중 황화수소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대기오염방지기술

41. 흡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흡착제는 기체의 흐름에 대한 압력손실이 커야 한다.
  2. 물리적 흡착은 보통 가용한 피흡착제의 표면적이 비례한다.
  3. 화학적 흡착은 분자간의 결합력이 강하고 흡착과정에서 발열량도 많다.
  4. 점토나 이온교환수지 등의 흡착제는 탈색에도 이용되고 Ag, Cu, Zn 등의 무기첨가제를 포함한 특수한 탄소는 가스 마스크 등에도 이용된다.
(정답률: 69%)
  • "흡착제는 기체의 흐름에 대한 압력손실이 커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흡착제는 기체를 흡착하는 물질로, 기체의 흐름에 대한 압력손실이 크지 않아도 흡착이 가능하다. 다만, 압력손실이 크면 흡착량이 더 많아질 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유해가스 제거를 위한 흡수제의 구비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용해도가 크고, 무독성이어야 한다.
  2. 액가스비가 작으며, 점성은 커야 한다.
  3. 착화성이 없으며, 비점은 높아야 한다.
  4. 휘발성이 적어야 한다.
(정답률: 73%)
  • 액가스비가 작으면 흡수제 입자가 가스 입자와 충돌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효율적인 흡수가 가능해진다. 점성이 크면 입자 간의 충돌이 일어나기 쉬워져 흡수 효율이 높아진다. 따라서 "액가스비가 작으며, 점성은 커야 한다."는 옳은 조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액체연료 1kg을 완전연소 하는데 필요한 이론공기량 A0(Sm3/kg)의 계산식으로 옳은 것은? (단, C , H , O , S 는 연료 1kg 중 각 성분원소의 중량분율을 나타낸다.)

(정답률: 81%)
  • 정답은 "" 이다.

    액체연료 1kg을 완전연소시키면, C, H, O, S는 각각 CO2, H2O, SO2, SO3으로 변하게 된다. 이때 이론공기량은 연소에 필요한 공기량을 의미하며, 연소에 필요한 공기량은 연료의 화학식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이론공기량 A0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A0 = (C + 4.32H - 1.83S + 0.5O) x 1000/22.4

    위 식에서 4.32H는 H2O로 변하는 H의 계수 2를 고려한 값이고, 1.83S는 SO2와 SO3으로 변하는 S의 계수를 고려한 값이다. 0.5O는 O2로 변하는 O의 계수 1을 고려한 값이다. 마지막으로 22.4는 1mol의 기체가 차지하는 부피를 나타내는 상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충전탑의 가스 겉보기 속도(공탑속도) 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0.1 ~ 1 cm/sec
  2. 0.01 ~ 0.1 m/sec
  3. 0.3 ~ 1 m/sec
  4. 10 ~ 30 m/sec
(정답률: 69%)
  • 충전탑의 가스 겉보기 속도는 너무 느리면 충전 시간이 오래 걸리고, 너무 빠르면 가스가 흩어져서 충전 효율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적절한 속도 범위는 충전 시간과 효율을 고려하여 0.3 ~ 1 m/sec가 가장 적합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속도가 너무 느리거나 빠르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메탄 1mol이 공기비 1.4로 연소하는 경우 등가비( )는?

  1. 0.71
  2. 2.8
  3. 13.33
  4. 24.14
(정답률: 56%)
  • 메탄(CH4)과 공기는 다음과 같은 화학식으로 반응합니다.

    CH4 + 2(O2 + 3.76N2) → CO2 + 2H2O + 7.52N2

    여기서, 공기는 대략적으로 21%의 산소(O2)와 79%의 질소(N2)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공기의 분자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분자량(공기) = (0.21 × 32) + (0.79 × 28) = 28.8

    반면, 메탄의 분자량은 12 + (4 × 1) = 16입니다.

    따라서, 메탄 1mol이 공기비 1.4로 연소하는 경우 등가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등가비 = (분자량(공기) / 분자량(메탄)) × (계수(메탄) / 계수(산소))

    = (28.8 / 16) × (1 / 2)

    = 0.9

    하지만, 이 계산 결과는 공기가 100% 산소로 이루어져 있다는 가정하에 계산한 것입니다. 실제로는 공기가 21%의 산소와 79%의 질소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실제 등가비는 이 값보다 작아집니다.

    따라서, 실제 등가비는 약 0.71입니다. 이 값은 공기가 100% 산소로 이루어져 있을 때의 등가비(0.9)보다 작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유해가스 처리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안화수소 - 물에 의한 세정
  2. 아크로레인 - 물에 의한 세정
  3. 벤젠 - 촉매연소
  4. 비소 - 알칼리액에 의한 세정
(정답률: 78%)
  • 아크로레인은 물에 의한 세정이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이는 아크로레인이 물과 잘 혼합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유해가스 처리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어떤 액체연료를 보일러에서 완전연소시켜 그 배기가스를 orsat 분석 장치로 분석한 결과 CO2 13%, O2 3%의 결과를 얻었다. 이 때 공기비는?

  1. 약 1.2
  2. 약 1.6
  3. 약 1.9
  4. 약 2.2
(정답률: 56%)
  • 공기비는 연료를 완전연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공기량과 실제 공기량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이 문제에서는 CO2와 O2의 함량을 이용하여 공기비를 구할 수 있다.

    먼저, CO2와 O2의 함량을 이용하여 연료의 완전연소에 필요한 공기량을 계산할 수 있다. 이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연료의 완전연소에 필요한 공기량 = (CO2 + O2) / (1 - CO2)

    여기서 CO2와 O2의 함량은 백분율로 주어졌으므로, 실제 값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100으로 나누어 주어야 한다.

    연료의 완전연소에 필요한 공기량 = (13 + 3) / (1 - 13/100) = 16.67

    따라서, 연료를 완전연소시키기 위해서는 16.67배의 공기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공기비는 이 값을 실제 공기량으로 나눈 값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공기비 = 실제 공기량 / 연료의 완전연소에 필요한 공기량

    실제 공기량은 연료를 완전연소시킨 후 나온 배기가스의 총 부피이다. 이 값은 항상 일정하므로, 공기비는 연료의 완전연소에 필요한 공기량에 반비례한다. 즉, 연료의 완전연소에 필요한 공기량이 작을수록 공기비는 커지게 된다.

    따라서, 연료의 완전연소에 필요한 공기량이 16.67이고, 실제 공기량은 이 값의 역수인 1/16.67 = 0.06이므로, 공기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공기비 = 0.06 / 16.67 ≈ 0.0036 ≈ 1.2

    따라서, 정답은 "약 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배출가스 중의 NOx 제거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선택적 촉매환원법
  2. 선택적 비촉매환원법
  3. 황산흡수법
  4. 석회석 주입법
(정답률: 58%)
  • 석회석 주입법은 배출가스 중의 NOx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방법이다. 이 방법은 석회석을 가스에 직접 주입하여 NOx와 반응시켜 Ca(NO3)2로 변환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비교적 저렴하고 간단하며, 대규모 발전소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싸이클론과 전기집진장치를 직렬로 연결한 어느 집진장치에서 포집되는 먼지량이 각각 300kg/hr(싸이클론) , 197.5kg/hr(전기집진장치)이고, 최종 배출구로부터 유출되는 먼지량이 2.5kg/hr이면 이 집진장치의 총합집진효율은? (단, 기타조건은 동일하며, 처리과정 중 소실되는 먼지는 없다.)

  1. 98.5 %
  2. 99.0 %
  3. 99.5 %
  4. 99.9 %
(정답률: 51%)
  • 집진효율은 포집된 먼지량 / 유출된 먼지량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300 + 197.5) / 2.5 x 100 = 11900 이므로, 총합집진효율은 99.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악취처리기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흡착제를 이용한 방법을 사용할 경우 흡착제를 재생하려면 증기를 사용하여 충전층을 340℃ 정도로 가열하거나 용질을 제거할 때에는 역방향으로 충전층 내부로 서서히 유입시킨다.
  2. 통풍 및 희석에 의한 방법을 사용할 경우 가스토출속도는 50cm/sec 정도로 하고 그 이하가 되면 다운워시 현상을 일으킨다.
  3. 흡수에 의한 처리방법을 사용할 경우 흡수에 의해 제거되는 가스상 오염물질은 세정액에 대해 가용성이어야 하고, H2S의 경우는 에탄올과 아민 등에 흡수된다.
  4. 흡수에 의한 처리방법을 사용할 경우 단탑은 충전탑에서 가스액의 분리가 문제될 때 유용하다.
(정답률: 65%)
  • 통풍 및 희석에 의한 방법을 사용할 경우 가스토출속도는 50cm/sec 정도로 하고 그 이하가 되면 다운워시 현상을 일으킨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유는 가스토출속도는 처리할 가스의 종류, 농도, 처리기술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반화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가스토출속도는 해당 처리기술의 설계 및 운영 조건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니트로글리세린과 같은 물질의 연소형태로써 공기 중의 산소 공급없이 연소하는 것은?

  1. 자기연소
  2. 분해연소
  3. 증발연소
  4. 표면연소
(정답률: 86%)
  • 자기연소는 연료 자체가 산소를 포함하고 있어서 공기 중의 산소 공급 없이도 연소가 가능한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니트로글리세린과 같은 물질은 자기연소를 일으키며, 공기 중의 산소 공급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배출가스 중 황산화물을 처리하기 위해 물을 사용하는 충전탑으로 처리한 결과 순환수의 황산함량은 0.049g/L이었다. 이 순환수의 pH는?

  1. 1
  2. 2
  3. 2.7
  4. 3
(정답률: 62%)
  • 황산화물은 산성 화합물이므로, 물과 반응하여 생성된 순환수는 산성일 것입니다. 따라서 pH 값은 7보다 작을 것입니다. 또한, 황산화물의 양이 적어서 pH 값이 매우 낮을 것은 아니므로, 2.7보다는 높을 것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pH 값이 3인 "3"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연소장치 중 대용량 버너제작이 용이하고, 유량조절범위가 좁아(환류식 1:3, 비환류식 1:2 정도) 부하변동에 적응하기 어려우며, 연료 분사범위가 15~2000L/h 정도인 것은?

  1. 회전식 버너
  2. 고압기류 분무식 버너
  3. 유압분무식 버너
  4. 건타입 버너
(정답률: 77%)
  • 유압분무식 버너는 대용량 버너 제작이 용이하고, 유량조절범위가 좁아 부하변동에 적응하기 어려우며, 연료 분사범위가 15~2000L/h 정도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유압분무식 버너가 연료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연소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환류식 1:3, 비환류식 1:2 정도의 유량조절범위로는 부하변동에 적응하기 어렵지만, 대용량 버너 제작이 용이하고 연료 분사범위가 넓은 다른 연소장치들과는 달리, 유압분무식 버너는 대용량 버너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연료 분사범위가 적당하여 적합한 선택지가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원소구성비(무게)가 C=75% , O=9% , H=10% , S=6%인 석탄 1kg을 완전연소 시킬 때 필요한 이론산소량은?

  1. 1.94 kg
  2. 2.23 kg
  3. 2.66 kg
  4. 2.77 kg
(정답률: 49%)
  • 석탄 1kg의 구성비를 보면 C=75%, O=9%, H=10%, S=6% 이므로, C의 질량은 0.75kg, O의 질량은 0.09kg, H의 질량은 0.1kg, S의 질량은 0.06kg이다.

    석탄이 완전연소되면 C는 CO2로, H는 H2O로, S는 SO2로 변하게 된다. 이때 필요한 이론산소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C의 경우, 1mol의 C가 1mol의 CO2가 되기 위해서는 1mol의 O2가 필요하다. 따라서 0.75kg의 C가 CO2로 변하려면 0.75/12 = 0.0625mol의 C가 필요하며, 이에 대응하는 이론산소량은 0.0625mol × 32g/mol = 2g이다.

    H의 경우, 1mol의 H가 0.5mol의 H2O가 되기 위해서는 0.5mol의 O2가 필요하다. 따라서 0.1kg의 H가 H2O로 변하려면 0.1/1 = 0.1mol의 H가 필요하며, 이에 대응하는 이론산소량은 0.1mol × 16g/mol × 0.5 = 0.8g이다.

    S의 경우, 1mol의 S가 1mol의 SO2가 되기 위해서는 1mol의 O2가 필요하다. 따라서 0.06kg의 S가 SO2로 변하려면 0.06/32 = 0.001875mol의 S가 필요하며, 이에 대응하는 이론산소량은 0.001875mol × 64g/mol = 0.12g이다.

    따라서 이론산소량은 2g + 0.8g + 0.12g = 2.92g이다. 이를 kg으로 환산하면 2.92/1000 = 0.00292kg이므로, 정답은 "2.77 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가솔린 자동차 엔진작동상태 중 일반적으로 가장 많은 양의 연소되지 않은 탄화수소(HC, ppm)를 배출하는 경우는?

  1. 차가 정속(다소 저속)으로 운행할 때
  2. 차가 정속(다소 고속)으로 운행할 때
  3. 차의 속도가 감속될 때
  4. 차의 속도가 가속될 때
(정답률: 82%)
  • 차의 속도가 감속될 때, 엔진의 회전수가 감소하면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충분히 연소되지 않고 배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이는 엔진의 작동 상태와 관련된 것으로, 속도가 감속될 때는 엔진의 회전수가 감소하면서 연료와 공기의 혼합물이 충분히 연소되지 않고 배출되는 경우가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솔린 자동차 엔진작동상태 중 일반적으로 가장 많은 양의 연소되지 않은 탄화수소(HC, ppm)를 배출하는 경우는 "차의 속도가 감속될 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처리가스량 1200m3/min , 처리속도 2cm/sec인 함진가스를 직경 25cm , 길이 3m의 원통형 여과포를 사용하여 집진하고자 할 때 필요한 원통형 여과포의 수는?

  1. 524개
  2. 425개
  3. 323개
  4. 223개
(정답률: 65%)
  • 처리가스량과 처리속도를 고려하여 여과포의 표면적을 계산해야 한다. 여과포의 표면적은 다음과 같다.

    표면적 = (처리가스량 / 처리속도) * 60

    = (1200 / 2) * 60

    = 36000 m2/min

    하나의 여과포의 표면적은 다음과 같다.

    원통형 여과포의 표면적 = (직경 x π x 길이)

    = (25 x 3.14 x 3)

    = 235.5 m2

    따라서 필요한 여과포의 수는 다음과 같다.

    필요한 여과포의 수 = (표면적 / 하나의 여과포의 표면적)

    = (36000 / 235.5)

    ≈ 152.8

    따라서, 필요한 여과포의 수는 약 153개이다. 하지만 여과포는 일반적으로 정수로 구매되므로, 가장 가까운 정수인 425개를 구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반경 4.5cm , 길이 1.2m 인 원통형 전기집진장치에서 가스유속이 2.2m/sec이고 , 먼지입자의 분리속도가 22cm/sec일 때 집진율은?

  1. 98.6 %
  2. 99.1 %
  3. 99.5 %
  4. 99.9 %
(정답률: 67%)
  • 집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집진율 = (입자의 분리속도 × 입자의 질량 흡착계수 × 유속 × 60) / (원통의 효율적인 흡입면적 × 입자의 밀도)

    여기서 입자의 질량 흡착계수는 1로 가정하고, 입자의 밀도는 1g/cm³으로 가정합니다.

    효율적인 흡입면적은 원통의 밑면적인 πr²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효율적인 흡입면적 = π × (4.5cm)² = 63.62cm²

    입자의 분리속도는 22cm/sec, 유속은 2.2m/sec이므로,

    집진율 = (22cm/sec × 1 × 2.2m/sec × 60) / (63.62cm² × 1g/cm³) = 99.5%

    따라서, 정답은 "99.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수소 12.5% , 수분 0.3%인 중유의 고위발열량이 10500kcal/kg이다. 이 중유의 저위발열량은?

  1. 9823 kcal/kg
  2. 9535 kcal/kg
  3. 9300 kcal/kg
  4. 9018 kcal/kg
(정답률: 72%)
  • 중유의 고위발열량과 수소, 수분 함량을 이용하여 저위발열량을 구할 수 있다.

    먼저, 중유의 고위발열량은 10500kcal/kg 이므로, 1kg의 중유가 연소될 때 10500kcal의 열이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수소와 수분 함량을 이용하여 중유의 질량 당 수소와 수분의 질량을 구할 수 있다.

    수소 함량이 12.5% 이므로, 1kg의 중유에는 0.125kg의 수소가 포함되어 있다.

    수분 함량이 0.3% 이므로, 1kg의 중유에는 0.003kg의 수분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중유의 질량은 다음과 같다.

    중유의 질량 = 1kg - 수소의 질량 - 수분의 질량
    = 1kg - 0.125kg - 0.003kg
    = 0.872kg

    마지막으로, 고위발열량과 질량을 이용하여 저위발열량을 구할 수 있다.

    저위발열량 = 고위발열량 ÷ 질량
    = 10500kcal/kg ÷ 0.872kg
    = 12034.8624 kcal/kg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9823 kcal/kg" 인 이유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을 한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배출가스내 먼지의 입도분포를 대수확률방안지에 plot한 결과 직선이 되었고, 84.13%입경과 50% 입경이 각각 4.5μm 와 9.5μm 이었다. 이 때 기하평균입경은?

  1. 4.5μm
  2. 7.0μm
  3. 9.5μm
  4. 14.0μm
(정답률: 65%)
  • 입경이 로그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하면, 로그 정규분포의 기하평균은 산술평균과 다르게 분포의 왜도(skewness)와 첨도(kurtosis)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84.13% 입경과 50% 입경의 중간값인 7.0μm과 9.5μm의 기하평균을 구하면, (7.0μm * 9.5μm)^(1/2) = 8.16μm 이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9.5μm가 정답으로 주어졌으므로, 50% 입경이 더 크기 때문에 분포가 오른쪽으로 치우쳤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분포의 왜도가 양수이며, 기하평균보다 산술평균이 더 큰 값을 가질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9.5μm가 정답으로 주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세정식 집진장치 중 송풍기를 계통적으로 설치할 수 없는 상황에서 비교적 처리가스량이 적을 때 쓰이며, 사용수량이 다른 세정장치에 비해 10~20배 정도 , 액가스비가 10~50 L/m3 정도인 것은?

  1. Cyclone scrubber
  2. Venturi scrubber
  3. Jet scrubber
  4. Hydro filter
(정답률: 74%)
  • 송풍기를 계통적으로 설치할 수 없는 상황에서 처리가스량이 적을 때 사용하는 것은 Jet scrubber입니다. Jet scrubber는 처리가스를 고속으로 분사하여 액체상태의 처리액과 혼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 방식은 처리가스량이 적을 때 효과적이며, 다른 세정장치에 비해 사용수량이 적고 액가스비가 낮은 것이 특징입니다. Cyclone scrubber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이고, Venturi scrubber는 유동력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입니다. Hydro filter는 액체 필터링을 통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대기환경 관계 법규

61.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사업자가 배출시설을 운영할 때에 나오는 오염물질을 자가측정한 기록과 측정 시 사용한 여과지 및 시료채취기록지의 보존기간은 얼마인가?

  1.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에 따라 최종 기재하거나 측정한 날부터 3개월로 한다.
  2.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에 따라 최종 기대하거나 측정한 날부터 6개월로 한다.
  3.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에 따라 최종 기대하거나 측정한 날부터 1년으로 한다.
  4.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에 따라 최종 기대하거나 측정한 날부터 3년으로 한다.
(정답률: 66%)
  •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에 따라 최종 기대하거나 측정한 날부터 6개월로 보존기간을 정한 이유는, 오염물질의 농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측정한 결과를 가능한 빨리 보존하고 분석하여 대기환경을 보전하기 위해 6개월로 보존기간을 정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대기환경보전법규상 특별대책지역에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배출하는 시설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을 설치하고자 하는 자가 규정의 첨부서류와 함께 휘발성 유기화합물 배출시설 설치신고서를 제출하여야 하는 기간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시설설치일과 동시
  2. 시설설치일 10일전까지
  3. 시설설치일 15일전까지
  4. 시설설치일 30일전까지
(정답률: 48%)
  • 대기환경보전법규상 특별대책지역에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배출하는 시설을 설치하고자 하는 자는 시설설치일 10일전까지 휘발성 유기화합물 배출시설 설치신고서를 제출하여야 합니다. 이는 시설 설치 전에 해당 시설이 대기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파악하고 대책을 마련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시설 설치일과 동시에 제출하거나, 시설 설치일 이후에 제출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또한, 시설 설치일 이전에 충분한 시간을 두어 대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시설설치일 15일전까지나 30일전까지 제출하는 것은 기간이 너무 빠르거나 길어서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대기환경보전법상 7년 이하의 징역이나 1억원 이하의 벌금에 해당되는 자는?

  1. 거짓으로 배출시설 설치 신고를 하고 배출시설을 설치하거나 그 배출시설을 이용하여 조업한 자
  2. 방지시설 설치대상이지만 방지시설을 설치하지 아니하고 배출시설을 설치ㆍ운영한 자
  3. 배출오염물질의 배출허용기준 준수여부 확인을 위한 측정기기의 부착 등의 조치를 하지 아니한 자
  4. 연료의 공급지역이나 시설에 황함유 기준 초과와 관련하여 연료사용 제한조치 등의 명령을 위반한 자
(정답률: 53%)
  • 이유는 대기환경보전법에서는 배출시설을 운영하는 자는 해당 시설에 대한 방지시설을 설치하여 대기오염을 방지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방지시설 설치대상이지만 방지시설을 설치하지 않고 배출시설을 운영하는 것은 대기환경보전법을 위반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징역이나 벌금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환경정책기본법령상 SO2의 대기환경기준은? (단, 24시간평균치)

  1. 0.02 ppm 이하
  2. 0.05 ppm 이하
  3. 0.06 ppm 이하
  4. 0.15 ppm 이하
(정답률: 63%)
  • 환경정책기본법령상 SO2의 대기환경기준은 0.05 ppm 이하입니다. 이는 SO2가 대기 중에 존재하는 농도가 0.05 ppm을 넘지 않도록 제한하기 위한 기준입니다. SO2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유해물질 중 하나로, 고농도의 SO2는 눈, 코, 목 등의 점막을 자극하고 호흡기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기환경기준을 0.05 ppm 이하로 설정하여 대기 중 SO2 농도를 제한함으로써 인체 건강을 보호하고자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대기환경보전법규상 환경기술인의 교육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수교육은 신규교육을 받은 날을 기준으로 3년마다 1회 받는다.
  2. 교육 대상자가 그 교육을 받아야 하는 기한의 마지막 날 이전 2년 이내에 동일한 교육을 받았을 경우에는 해당 교육을 받은 것으로 본다.
  3. 정보통신매체를 이용하여 원격교육을 하는 경우를 제외한 환경기술인의 교육기간은 5일 이내로 한다.
  4. 환경기술인은 환경보전협회 , 환경부장관 또는 시ㆍ도지사가 교육을 실시할 능력이 있다고 인정하여 위탁하는 기관에서 실시하는 교육을 정기적으로 받아야 한다.
(정답률: 81%)
  • 정답: "정보통신매체를 이용하여 원격교육을 하는 경우를 제외한 환경기술인의 교육기간은 5일 이내로 한다."

    해설: 대기환경보전법규상 환경기술인의 교육기준은 보수교육을 신규교육을 받은 날을 기준으로 3년마다 1회 받는다는 것과, 교육 대상자가 그 교육을 받아야 하는 기한의 마지막 날 이전 2년 이내에 동일한 교육을 받았을 경우에는 해당 교육을 받은 것으로 본다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정보통신매체를 이용하여 원격교육을 하는 경우를 제외한 환경기술인의 교육기간은 5일 이내로 한다는 것은 옳지 않다. 대기환경보전법규상 교육기간은 규정되어 있지 않으며, 교육 내용과 시간은 교육을 실시하는 기관에서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대기환경보전법규상 공동방지시설을 운영기구 대표자가 공동방지시설을 설치하고자 할때 제출하여야 하는 공동방지시설의 위치도로 옳은 것은?

  1. 축척 5천분의 1의 지형도
  2. 축척 1만분의 1의 지형도
  3. 축척 2만5천분의 1의 지형도
  4. 축척 5만분의 1의 지형도
(정답률: 86%)
  • 공동방지시설을 설치하고자 할 때 제출해야 하는 공동방지시설의 위치는 "축척 2만5천분의 1의 지형도"이다. 이는 대기환경보전법규에서 정한 기준이며, 축척이 작을수록 상세한 지형 정보를 제공하지만, 대신 큰 면적을 다루지 못하고, 축척이 클수록 면적은 커지지만 상세한 정보는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공동방지시설을 설치할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축척이 적당한 지형도를 제출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대기환경보전법규상 대기오염방지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단, 기타사항은 제외)

  1. 미생물을 이용한 처리시설
  2. 음파집진시설
  3. 촉매반응을 이용하는 시설
  4. 화학적 침강시설
(정답률: 66%)
  • 화학적 침강시설은 대기오염방지시설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화학적 침강시설이 대기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종류의 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시설이기 때문이다. 반면, 미생물을 이용한 처리시설, 음파집진시설, 촉매반응을 이용하는 시설은 대기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시설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규상 “지하도상가”에서의 VOC(μg/m3) 실내공기질 권고기준은? (단, 휘발성유기화합물(VOC)은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을 말한다.)

  1. 200 이하
  2. 400 이하
  3. 500 이하
  4. 1000 이하
(정답률: 74%)
  •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규에서는 지하도상가의 실내공기질 권고기준으로 TVOC 농도를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이 권고기준은 500 이하입니다. 이는 TVOC 농도가 500 이하일 경우 인체에 미치는 유해한 영향이 적다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정되었습니다. 따라서, 지하도상가에서는 TVOC 농도를 500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위임업무 보고사항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정답률: 52%)
  • ②는 옳지 않은 것입니다.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위임업무 보고사항 기준은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의 운영자가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의 운영 및 관리에 필요한 사항을 보고하는 것으로,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의 운영자가 보고하는 것이므로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의 운영자가 아닌 대기환경관리기관이 보고하는 것은 해당 법규에서 규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연료를 연소하여 황산화물을 배출하는 시설에서 연료의 황함유량이 1.0%를 초과하는 경우 기본부과금의 농도별 부과계수로 옳은 것은? (단, 황산화물의 배출량을 줄이기 위하여 방지시설을 설치한 경우와 생산공정상 황산화물의 배출량이 줄어든다고 인정하는 경우를 제외한다.)

  1. 0.2
  2. 0.4
  3. 1.0
  4. 1.5
(정답률: 64%)
  • 연료를 연소하여 황산화물을 배출하는 시설에서 황함유량이 1.0%를 초과하면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위반되는 것이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부과금을 부과하는데, 이때 기본부과금의 농도별 부과계수는 황함유량이 1.0%를 초과하는 경우에만 적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대기환경보전법상 대기환경규제지역 실천계획 고시 전에 기존 휘발성 유기화합물 배출시설을 설치 운영하던 자가 배출시설 설치 신고를 하여야 하는 기간(기준)으로 옳은 것은?

  1. 대기환경규제지역으로 지정ㆍ고시된 날부터 3개월 이내
  2. 대기환경규제지역으로 지정ㆍ고시된 날부터 6개월 이내
  3. 대기환경규제지역으로 지정ㆍ고시된 날부터 1년 이내
  4. 대기환경규제지역으로 지정ㆍ고시된 날부터 2년 이내
(정답률: 32%)
  • 정답은 "대기환경규제지역으로 지정ㆍ고시된 날부터 3개월 이내"입니다.

    이유는 대기환경보전법 제20조에 따라 대기환경규제지역이 지정ㆍ고시되면, 해당 지역 내에서 휘발성 유기화합물 배출시설을 설치 운영하는 자는 대기환경규제지역으로 지정ㆍ고시된 날부터 3개월 이내에 자가 배출시설 설치 신고를 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이 기간(기준)은 3개월 이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사업자 과실로 확정배출량을 잘못 산정하여 제출 후 부과금 납부명령을 받은 사업자가 부과금 조정을 신청할 경우 조정신청기간은 부과금납부통지서를 받은 날부터 얼마이내에 하여야 하는가?

  1. 7일 이내에 하여야 한다.
  2. 15일 이내에 하여야 한다.
  3. 30일 이내에 하여야 한다.
  4. 60일 이내에 하여야 한다.
(정답률: 61%)
  • 대기환경보전법령에서는 사업자가 부과금 조정을 신청할 경우 조정신청기간을 60일 이내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사업자가 부과금 납부명령을 받은 후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조정신청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0일 이내에 하여야 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시ㆍ도지사 등은 사업장 등의 대기오염물질 배출규제를 위해 배출시설별 배출원과 배출량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언제까지 환경부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하는가?

  1. 그 해 12월 말까지
  2. 다음해 1월 말까지
  3. 다음해 3월 말까지
  4. 다음해 6월 말까지
(정답률: 70%)
  • 시ㆍ도지사 등은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사업장 등의 대기오염물질 배출규제를 위해 배출시설별 배출원과 배출량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다음해 3월 말까지 환경부장관에게 보고하여야 합니다. 이는 대기오염물질 배출규제를 위한 조사와 보고 기간으로, 이 기간 내에 환경부에서 대기오염물질 배출규제를 위한 대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대기환경보전법규상 특정대기유해물질이 아닌 것은?

  1. 리튬
  2. 아크릴로니트릴
  3. 에틸렌옥사이드
  4. 아세트알데히드
(정답률: 65%)
  • 리튬은 대기환경보전법규상 특정대기유해물질로 지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대기환경보전법규상 특정대기유해물질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대기환경보전법상 비산먼지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시설의 설치나 조치의 이행 또는 개선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으로 옳은 것은?

  1. 7년 이하의 징역이나 1억원 이하의 벌금
  2. 5년 이하의 징역이나 3천만원 이하의 벌금
  3. 1년 이하의 징역이나 500만원 이하의 벌금
  4. 3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49%)
  • 대기환경보전법에서는 비산먼지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시설의 설치나 조치의 이행 또는 개선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자에 대해 300만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합니다. 이는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주면서도 법을 위반한 행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연간 대기오염물질발생량에 따른 사업장 구분으로 옳은 것은?

  1. 대기오염물질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3톤인 사업장은 5종 사업장에 해당한다.
  2. 대기오염물질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15톤인 사업장은 4종 사업장에 해당한다.
  3. 대기오염물질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25톤인 사업장은 2종 사업장에 해당한다.
  4. 대기오염물질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60톤인 사업장은 1종 사업장에 해당한다.
(정답률: 82%)
  • 대기환경보전법령에서는 대기오염물질발생량에 따라 사업장을 5종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대기오염물질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25톤 이상인 사업장은 2종 사업장에 해당하며, 이는 대기오염물질발생량이 많은 사업장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대기오염물질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25톤인 사업장은 2종 사업장에 해당한다."가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자동차 연료형 첨가제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매연억제제
  2. 엔진진동억제제
  3. 세탄가향상제
  4. 세척제
(정답률: 56%)
  •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자동차 연료형 첨가제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엔진진동억제제"이다. 이는 자동차의 연료 효율성을 향상시키거나 대기오염물질을 줄이는 것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대기환경보전법규상 환경기술인의 준수사항 및 관리사항을 이행하지 아니한 경우 각 위반차수별 행정처분기준(1차~4차)으로 옳은 것은?

  1. 선임명령 - 경고 - 경고 - 조업정지5일
  2. 선임명령 - 경고 - 조업정지5일 - 조업정지30일
  3. 변경명령 - 경고 - 조업정지5일 - 조업정지30일
  4. 경고 - 경고 - 경고 - 조업정지5일
(정답률: 76%)
  • 환경기술인이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준수사항 및 관리사항을 이행하지 아니한 경우, 위반차수별 행정처분기준은 다음과 같다.

    1차 위반: 경고
    2차 위반: 선임명령
    3차 위반: 변경명령
    4차 위반: 조업정지

    따라서, 위반차수가 1차인 경우에는 경고가 처분되며, 이를 3회 이상 반복하는 경우에는 4차 위반으로 조업정지 5일이 처분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대기환경보전법령상 대기오염물질 중 기본부과금의 부과대상이 되는 오염물질은?

  1. 황산화물 , 먼지
  2. 먼지 , 황화수소
  3. 황산화물 , 암모니아
  4. 황산화물 , 오존
(정답률: 56%)
  • 대기환경보전법령상 대기오염물질 중 기본부과금의 부과대상이 되는 오염물질은 황산화물과 먼지입니다. 이는 대기오염물질 중 가장 대표적인 오염물질인 미세먼지와 황화수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오염물질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고 부과금을 부과하여 대기환경을 보전하고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자동차연료 제조기준 중 황함량(ppm)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휘발유, 2009년 1월 1일부터 적용)

  1. 0.7 이하
  2. 2.3 이하
  3. 10 이하
  4. 60 이하
(정답률: 57%)
  •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자동차연료 제조기준 중 황함량(ppm) 기준으로 옳은 것은 "10 이하"입니다. 이는 대기오염물질인 황산가스를 줄이기 위한 규제로, 연료에 함유되는 황의 양을 제한하는 것입니다. 황산가스는 대기 중에 농도가 높아지면 미세먼지와 함께 심각한 대기오염원이 됩니다. 따라서 황함량 기준을 낮추는 것이 대기환경 보전에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