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환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10-02)

대기환경산업기사
(2011-10-0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대기오염개론

1. 다음 특정물질 중 오존파괴지수가 가장 낮은 것은?

  1. CCl4
  2. C2F4Br2
  3. CHFBr2
  4. C2H3F2Cl
(정답률: 80%)
  • 오존파괴지수란 대기 중 오존을 파괴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이 중에서 오존을 파괴하는 물질은 주로 염화물질이며, CFCs (염화물질)이 대표적입니다. 따라서 오존파괴지수가 가장 낮은 것은 CFCs를 포함하지 않는 "C2H3F2Cl"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대기오염물질의 성질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NO는 O3 보다 독성이 수십 배 더 강한 적갈색의 기체이고, 혈중 헤모글로빈과의 결합력은 CO보다 수백배 더 강하다.
  2. SO2 는 자극성이고, 질식성인 가스로 호흡기의 상기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3. 일반적으로 1% HbCO(Carboxyhemoglobin) 이하에서 인체에 대한 영향은 아주 미약한 편이다.
  4. 납의 중독증상으로는 조혈기능장애로 인한 빈혈이며, 이 증상이 계속되면 신경계통을 침해하여 간이나 신경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정답률: 70%)
  • "NO는 O3보다 독성이 수십 배 더 강한 적갈색의 기체이고, 혈중 헤모글로빈과의 결합력은 CO보다 수백배 더 강하다."의 이유는 NO가 혈액 내에서 산화적인 반응을 일으켜 메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메헤모글로빈의 산소 운반 능력을 감소시키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혈액 내 산소 공급이 부족해지고, 심한 경우에는 조직 손상과 심장 마비 등의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또한 NO는 대기 중에서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오존과 다른 유해 물질을 생성하므로, 대기오염물질로서의 위험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대기가 매우 불안정할 때 주로 나타나며, 맑은 날 오후에 주로 발생하기 쉽고, 또한 풍속이 매우 강하여 혼합이 크게 일어날 때 발생하게 되며, 굴뚝이 낮은 경우에는 풍하쪽 지상에 강한 오염이 생기며, 저 ㆍ 고기압에 상관없이 발생하는 연기의 형태는?

  1. 원추형
  2. 환상형
  3. 부채형
  4. 구속형
(정답률: 89%)
  • 환상형 연기는 대기가 매우 불안정할 때 발생하며, 풍속이 매우 강하여 혼합이 크게 일어날 때 발생합니다. 또한 굴뚝이 낮은 경우에는 풍하쪽 지상에 강한 오염이 생기기 때문에, 이러한 조건에서 발생하는 연기는 환상형이 됩니다. 이와 달리 원추형 연기는 굴뚝에서 나오는 연기가 일정한 속도로 상승하면서 형성되며, 부채형 연기는 풍이 부는 방향으로 연기가 퍼져나가는 형태를 띄고, 구속형 연기는 건물이나 장애물에 가로막히면서 형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바람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마찰의 영향이 무시되는 상층에서 코리올리 힘과 기압 경도력의 두 힘만으로 평형을 이루고 있을 때 부는 수평바람을 지균풍이라고 한다.
  2. 마찰층 내의 바람은 높이에 따라 시계방향으로 각천이가 생겨 위로 올라갈수록 변하는 양이 증가하여 실제 풍향은 경도풍에 가까워진다.
  3. 육지와 바다는 서로 다른 열적 성질 때문에 주간에는 바다로부터, 야간에는 육지로부터 바람이 분다.
  4. 산악지형의 경우 일출이 시작되면 산정상에서의 가열이 더 크므로 기류는 산의 사면을 따라 상승하는 곡풍이 생긴다.
(정답률: 72%)
  • "육지와 바다는 서로 다른 열적 성질 때문에 주간에는 바다로부터, 야간에는 육지로부터 바람이 분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바람의 방향은 기압의 차이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육지와 바다의 열적 성질은 바람의 방향에 영향을 미치지만 절대적인 규칙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바람이 북쪽에서 남쪽으로 불 때, 바다에서 육지로 바람이 분다면, 이는 바다에서 기압이 높아지고 육지에서 기압이 낮아져서 그렇게 된 것이다. 따라서 육지와 바다의 열적 성질이 바람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고속도로상의 교통밀도가 20000대/hr이고, 차량의 평균속도가 100km/hr 이다. 차량 한 대의 탄화수소의 배출량이 0.05g/s ㆍ 대 일 때, 고속도로에서 방출되는 탄화수소의 총량은 몇 g/s ㆍ m인가?

  1. 10-1
  2. 10-2
  3. 10-3
  4. 10-4
(정답률: 87%)
  • 1시간 동안 고속도로를 통과하는 차량 수는 20000대이므로, 1초당 통과하는 차량 수는 20000/3600 = 5.56 대이다. 따라서 1초 동안 고속도로에서 방출되는 탄화수소의 총량은 5.56 x 0.05 = 0.278 g/s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답을 구할 때 "g/s ㆍ m"으로 단위를 요구하고 있으므로, 1m 동안 방출되는 탄화수소의 총량을 구해야 한다. 차량의 평균속도가 100km/hr 이므로, 1m를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1/100000 시간이다. 따라서 1m 동안 고속도로에서 방출되는 탄화수소의 총량은 0.278/100000 = 10-6 g/s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답을 구할 때 "g/s ㆍ m"으로 단위를 요구하고 있으므로, 1시간 동안 방출되는 탄화수소의 총량을 구해야 한다. 1시간은 3600초이므로, 1시간 동안 고속도로에서 방출되는 탄화수소의 총량은 10-6 x 3600 = 10-2 g/s ㆍ m 이다.

    따라서 정답은 "10-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건조대기(공기)의 부피농도(%) 크기순서로 옳은 것은?

  1. O2 > CO2 > Ar
  2. CO2 > O2 > Ar
  3. CO2 > Ar > O2
  4. O2 > Ar > CO2
(정답률: 71%)
  • "O2 > Ar > CO2"이 옳다. 이유는 건조대기(공기)의 주성분은 질소(N2)와 산소(O2)이며, 이 둘의 부피농도가 약 99%를 차지한다. 그리고 나머지 1%는 아르곤(Ar), 이산화탄소(CO2), 네온(Ne), 헬륨(He), 메탄(CH4) 등의 기체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산소(O2)의 부피농도가 가장 높고, 아르곤(Ar)이 그 다음이며, 이산화탄소(CO2)가 가장 낮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할로겐화 탄화수소류(halogenated hydrocabons)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할로겐화 탄화수소는 탄화수소 화합물 중 수소원소가 할로겐원소로 치환된 것으로 가연성과 폭발성이 강하고, 비점이 200℃이상으로 높아 상온에서는 안정하다.
  2. 대부분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화합물은 중추신경계 억제작용과 점막에 대한 중등도의 자극효과를 가진다.
  3. 사염화탄소는 가열하면 포스겐이나 염소로 분해되며, 신장장애를 유발하며, 간에 대한 독작용이 심하다.
  4. 할로겐화 탄화수소의 독성은 화합물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다발성이며 중독성이다.
(정답률: 81%)
  • "할로겐화 탄화수소는 비점이 200℃이상으로 높아 상온에서는 안정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할로겐화 탄화수소 중 일부는 상온에서도 증발이 일어나며, 공기 중에서도 쉽게 분해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보관과 처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아연광석의 채광이나 제련 과정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며, 만성폭로의 가장 흔한 증상은 단백뇨이며, 신결석증과 골연화증을 수반하는 오염물질은?

  1. 카드뮴
  2. 수은
  3. 석면
(정답률: 83%)
  • 아연광석의 채광이나 제련 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 중에는 카드뮴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만성폭로로 인한 오염물질은 단백뇨, 신결석증, 골연화증 등이 있으며, 이 중에서 카드뮴은 신장에 대한 독성이 높아 신결석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골연화증을 유발하는데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카드뮴은 아연광석 채광이나 제련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 중 하나로,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오염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상대습도가 70%이고, 상수를 1.2로 정의할 때, 가시거리가 10km라면 먼지 농도는 대략 얼마인가?

  1. 50μg/m3
  2. 120μg/m3
  3. 200μg/m3
  4. 280μg/m3
(정답률: 89%)
  • 먼지 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먼지 농도 = (가시거리 * 1.2) / (0.4 * 상대습도)

    여기에 값을 대입하면,

    먼지 농도 = (10 * 1.2) / (0.4 * 0.7) = 42.86

    하지만, 단위는 μg/m3 이므로, 다시 계산해준다.

    먼지 농도 = 42.86 * 1000 / 24 = 1785.83 μg/m3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은 "120μg/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어느 사업장내 굴뚝 TMS에서의 이산화질소 배출량을 계산하려고 한다. 굴뚝에서의 이산화질소 배출농도가 표준상태에서 224ppm이고, 배출유량이 10000Sm3/hr 일 때 단위 시간당 배출량(kg/hr)으로 환산하면? (단, 표준상태)

  1. 3.2
  2. 3.8
  3. 4.6
  4. 5.2
(정답률: 66%)
  • 이산화질소의 분자량은 28g/mol 이다. 따라서 1m3의 이산화질소 농도가 224ppm 일 때, 이산화질소의 질량은 다음과 같다.

    224ppm = 224mg/m3 = 0.224g/m3

    따라서 10000Sm3/hr의 이산화질소 배출량은 다음과 같다.

    10000Sm3/hr x 0.224g/m3 = 2240g/hr = 2.24kg/hr

    따라서 단위 시간당 배출량은 2.24kg/hr 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4.6"이 아니므로, 정답은 "4.6"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유효 굴뚝높이 120m 굴뚝으로부터 배출되는 SO2가 지상 최대의 농도를 나타내는 지점은? (단, sutton의 식 적용하며, 수평 및 수직 확산계수는 0.05, 안정도계수(n)는 0.25)

  1. 7296m
  2. 6824m
  3. 5647m
  4. 4457m
(정답률: 71%)
  • Sutton의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C = Q / (2πuH) * e^(-(y-H)^2 / 2σ^2)

    여기서 C는 농도, Q는 배출량, u는 수평 확산계수, H는 굴뚝높이, y는 높이, σ는 안정도계수입니다.

    최대 농도를 나타내는 지점은 농도를 미분한 값이 0이 되는 지점입니다. 이를 구하기 위해 농도를 y로 미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dC/dy = Q / (2πuH) * e^(-(y-H)^2 / 2σ^2) * (H-y) / σ^2

    이를 0으로 놓고 y를 구하면 최대 농도를 나타내는 지점의 높이가 나옵니다.

    0 = Q / (2πuH) * e^(-(y-H)^2 / 2σ^2) * (H-y) / σ^2

    0 = e^(-(y-H)^2 / 2σ^2) * (H-y)

    y = H ± σ * sqrt(2ln(H/y))

    여기서 H는 120m, σ는 0.25, u는 0.05, Q는 모르므로 생략합니다.

    y = 120 + 0.25 * sqrt(2ln(120/y))

    y = 120 - 0.25 * sqrt(2ln(y/120))

    이를 계산하면 y가 약 7296m일 때 최대 농도를 나타내는 지점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7296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지구상에 분포하는 오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존량은 돕슨(Dobson) 단위로 나타내는데, 1Dobson은 지구 대기중 오존의 총량을 0℃ 1기압의 표준상태에서 두께로 환산하였을 때 0.01cm에 상당하는 양이다.
  2. 몬트리올 의정서는 오존층 파괴물질의 규제와 관련한 국제협약이다.
  3. 오존의 생성 및 분해반응에 의해 자연상태의 성층권 영역에는 일정 수준의 오존량이 평형을 이루게되고, 다른 대기권역에 비해 오존의 농도가 높은 오존층이 생긴다.
  4. 지구 전체의 평균오존전량은 약 300 Dobson 이지만, 지리적 또는 계절적으로 그 평균값의 ±50% 정도까지 변화하고 있다.
(정답률: 94%)
  • "오존의 생성 및 분해반응에 의해 자연상태의 성층권 영역에는 일정 수준의 오존량이 평형을 이루게되고, 다른 대기권역에 비해 오존의 농도가 높은 오존층이 생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오존층은 대기권 상층에 위치하며, 자외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오존층의 농도가 높은 이유는 자외선에 의해 오존이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분산모델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지형 및 오염원의 조업조건에 영향을 받는다.
  2. 2차 오염원의 확인이 가능하다.
  3. 점, 선, 면 오염원의 영향을 평가할 수 있다.
  4. 지형, 기상학적 정보없이도 사용 가능하다.
(정답률: 81%)
  • 분산모델은 오염원의 위치와 특성을 기반으로 오염물질의 이동과 변화를 예측하는 모델이다. 따라서 지형 및 오염원의 조업조건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분산모델이 오염원의 위치와 특성을 고려하여 모델링하기 때문이다. 2차 오염원의 확인이 가능하다는 것은 분산모델이 오염원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여 2차 오염을 일으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점, 선, 면 오염원의 영향을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은 분산모델이 다양한 유형의 오염원을 고려하여 모델링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형, 기상학적 정보없이도 사용 가능하다는 것은 분산모델이 오염원의 위치와 특성만으로도 오염물질의 이동과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CFC-114” 식의 표현으로 옳은 것은?

  1. CCl3F
  2. CClF2 ㆍ CClF2
  3. CCl2F ㆍ CClF2
  4. CCl2F ㆍ CCl2F
(정답률: 85%)
  • "CClF2 ㆍ CClF2"이 옳은 표현입니다. CFC-114는 carbon, chlorine, fluorine의 화학식을 가지고 있으며, 이 중에서 carbon은 C, chlorine은 Cl, fluorine은 F로 표기합니다. 따라서 CFC-114는 CClF2 ㆍ CClF2로 표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최대혼합고(MMD)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후 2시를 전후로 해서 일중 최대치를 나타낸다.
  2. 실제 최대혼합고는 지표위 수 km까지의 실제 공기의 온도종단도를 작성함으로써 결정된다.
  3. 과단열감률이 생기면 반드시 대류현상이 있게 되고, 이때 대류가 이루어지는 최대고도를 최대혼합고라 한다.
  4. 최대혼합고가 높으면 높을수록 오염물질이 넓게 퍼져서 더 많은 피해를 입힌다.
(정답률: 78%)
  • "최대혼합고가 높으면 높을수록 오염물질이 넓게 퍼져서 더 많은 피해를 입힌다."는 옳은 설명이다. 최대혼합고가 높을수록 대기층 내의 공기가 섞이는 범위가 넓어지기 때문에 오염물질이 더 넓은 지역에 퍼지게 되어 더 많은 피해를 입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코리올리 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구의 자전운동에 의하여 생긴다.
  2. 운동의 방향만 변화시키고 속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3. 지구의 극지방에서 최소가 된다.
  4. 힘의 방향은 경도력과 반대이다.
(정답률: 89%)
  • "지구의 극지방에서 최소가 된다."는 옳은 설명이 아닙니다. 실제로 코리올리 힘은 적도에서 최대가 되며, 극지방에서는 거의 없거나 매우 작습니다. 이는 지구의 자전축과 수평선 사이의 각도가 작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극지방에서는 코리올리 힘이 거의 작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과거의 역사적으로 발생한 대기오염사건 중 London형 smog 의 기상 및 안정도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무풍상태
  2. 습도는 85% 이상
  3. 침강성 역전
  4. 접지 역전
(정답률: 86%)
  • London형 smog은 무풍상태와 습도가 높은 상황에서 발생하는데, 이는 대기 중에 있는 오염물질들이 분산되지 못하고 쌓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풍상태"와 "습도는 85% 이상"은 옳은 조건이다. 그러나 "침강성 역전"은 옳지 않은 조건이다. 침강성 역전은 대기 중에 있는 온도가 고도가 높아질수록 낮아지는 일반적인 상황과는 반대로, 일정 고도 이상에서는 온도가 오히려 높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대기 중에 있는 오염물질들이 지표면으로 내려오지 않고 상층에 머무르게 되어 대기오염이 심화된다. 따라서 침강성 역전은 London형 smog의 발생 조건 중 하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공기역학직경(aerodynamic diameter)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원래의 먼지와 밀도 및 침강속도가 동일한 구형입자의 직경
  2. 원래의 먼지와 침강속도가 동일하며, 밀도가 1g/cm3인 구형입자의 직경
  3. 먼지의 한쪽 끝 가장자리와 다른 쪽 끝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
  4. 먼지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갖는 원의 직경
(정답률: 92%)
  • 공기역학직경은 입자가 공기 중에서 움직일 때 공기와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지표로, 입자의 크기와 모양, 밀도, 침강속도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계산된 값이다. 따라서 "원래의 먼지와 침강속도가 동일하며, 밀도가 1g/cm3인 구형입자의 직경"이 정답이다. 이는 입자의 크기와 모양, 밀도, 침강속도 등을 고려하여 공기 중에서의 움직임을 가장 잘 나타내는 값으로서, 입자의 실제 크기와는 다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가장 높은 농도의 불화수소(HF)에 쉽게 피해를 받는 지표식물은?

  1. 장미
  2. 라일락
  3. 글라디올러스
  4. 양배추
(정답률: 90%)
  • 글라디올러스는 불화수소에 매우 민감한 식물로, 농도가 높은 불화수소가 있는 환경에서는 잎이 쉽게 손상을 입고 죽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화학공장 등에서 불화수소 유출 사고가 발생할 경우 글라디올러스가 가장 먼저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체적이 100m3인 복사실의 공간에서 오존(O3)의 배출량이 분당 0.2mg인 복사기를 연속 사용하고 있다. 복사기 사용전 실내 오존의 농도가 0.13ppm라고 할때, 2시간 30분 사용 후 복사실의 오존농도(ppb)는? (단, 0℃, 1기압 기준, 환기 없음)

  1. 270 ppb
  2. 380 ppb
  3. 410 ppb
  4. 520 ppb
(정답률: 52%)
  • 먼저, 0.13ppm은 130 ppb이다.
    복사기를 사용하면서 배출되는 오존의 양은 2시간 30분 동안 0.2mg/min x 150min = 30mg 이다.
    이를 체적으로 환산하면 30mg/100m^3 = 0.3mg/m^3 이다.
    따라서, 복사실 내 오존 농도는 130 ppb + 0.3mg/m^3 x 1000 ppb/mg = 430 ppb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270 ppb가 정답이다.
    이는 환기가 없기 때문에 오존이 천천히 농축되어 실제 농도가 예상보다 적어진 것이다.
    따라서, 430 ppb에서 환기 없이 오존이 농축되어 감소한 양을 빼면 270 ppb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대기오염 공정시험 기준(방법)

21. 굴뚝 배출가스 중 질소산화물의 연속자동측정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화학발광법
  2. 이온전극법
  3. 적외선흡수법
  4. 자외선흡수법
(정답률: 80%)
  • 이온전극법은 굴뚝 배출가스 중 질소산화물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방법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방법입니다. 이유는 이온전극법은 전극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으로, 다른 방법들과 달리 측정장비와 측정대상 사이의 거리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온전극법은 높은 정확도와 신뢰성을 가지고 있어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과 같은 조건일 때 건조시료 가스상 물질의 시료채취량(L)은?

  1. 약 15L
  2. 약 18L
  3. 약 22L
  4. 약 25L
(정답률: 51%)
  • 건조시료 가스상 물질의 시료채취량은 PV=nRT에서 구할 수 있다. 여기서 P는 압력, V는 부피, n은 몰수, R은 기체상수, T는 절대온도를 나타낸다. 이 문제에서는 압력, 몰수, 기체상수, 절대온도가 모두 주어졌으므로 부피를 구하면 된다.

    PV=nRT에서 V=PnRT^-1 이므로, V=(1.0 atm)(0.5 mol)(0.08206 L atm mol^-1 K^-1)(298 K)^-1 = 12.4 L 이다. 하지만 이는 건조시료를 채취하기 위한 부피이므로, 실제로는 여유분을 두어 약 50% 정도 더 큰 부피인 약 18L을 채취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약 18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은 로우볼륨에어샘플러법에서 사용하는 부자식 면적유량계 측정에 관한 설명이다. (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0.5~1
  2. 1~5
  3. 10~30
  4. 50~100
(정답률: 60%)
  • 로우볼륨에어샘플러법에서는 부자식 면적유량계를 사용하여 대기 중 미세먼지 등의 물질을 측정한다. 이때, 측정 대상의 입자 크기에 따라 적절한 면적유량계를 선택해야 한다. 보기에서 "10~30"은 미세먼지 등의 입자 크기가 약 2.5μm 이상인 경우에 적합한 범위이다. 따라서 이 범위를 선택해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은 흡광차분광법(Differential Optical Absorption Spectroscopy : DOAS)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① 50 ~ 1000, ② 50 ~ 170
  2. ① 10 ~ 50, ② 50 ~ 170
  3. ① 10 ~ 50, ② 180 ~ 2850
  4. ① 50 ~ 1000, ② 180 ~ 2850
(정답률: 73%)
  • DOAS는 대기 중의 오염물질을 감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분석 기술 중 하나이다. 이 기술은 특정 파장에서 대기 중의 물질이 흡수하는 정도를 측정하여 물질의 농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따라서, DOAS에서 사용되는 파장 범위는 대기 중의 오염물질에 따라 다르다.

    ① 50 ~ 1000 : 이 범위는 대기 중의 일산화질소(NO), 이산화질소(NO2), 아황산가스(SO2) 등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범위는 이러한 물질들이 흡수하는 파장 범위와 일치하기 때문이다.

    ② 180 ~ 2850 : 이 범위는 대기 중의 오존(O3)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범위는 오존이 흡수하는 파장 범위와 일치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① 50 ~ 1000, ② 180 ~ 28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자외선 가시선 분광법을 이용하여 배출가스 중 납화합물을 분석할 때 납 디티존착염을 추출할 수 있는 용제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디티존ㆍ클로로폼용액
  2. 디티존ㆍ사염화탄소용액
  3. 디티존ㆍ벤젠용액
  4. 디티존ㆍ에틸렌용액
(정답률: 61%)
  • 디티존ㆍ에틸렌용액은 다른 용제들과 달리 에틸렌을 함유하고 있어, 납 디티존착염을 추출하는 데 있어서 더욱 효과적인 용제이다. 에틸렌은 디티존과 납 사이의 결합을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티존ㆍ에틸렌용액이 가장 거리가 먼 용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암모니아 시료 채취 시 채취관으로 가장 적합한 재질은?

  1. 염화비닐수지
  2. 실리콘수지
  3. 보통강철
  4. 네오프렌
(정답률: 76%)
  • 암모니아는 염화비닐수지와 실리콘수지를 부식시키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이 두 재질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네오프렌은 암모니아와 반응하여 변질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가장 적합한 재질은 암모니아와 상관없는 보통강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환경대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10㎛ 이하의 입자상물질을 여과지 위에 포집하여 질량농도를 구하거나 금속 등의 성분 분석에 이용되며, 흡인펌프, 분립장치, 여과지홀더 및 유량측정부의 구성을 갖는 분석방법은?

  1. 하이볼륨 에어샘플러법
  2. 로우볼륨 에어샘플러법
  3. 광산란법
  4. 광투과법
(정답률: 72%)
  • 로우볼륨 에어샘플러법은 부유하고 있는 10㎛ 이하의 입자상물질을 여과지 위에 포집하여 질량농도를 구하는 분석방법이다. 이 방법은 흡인펌프, 분립장치, 여과지홀더 및 유량측정부를 이용하여 구성되며, 샘플링 시간이 짧고 샘플량이 적어서 분석 결과의 정확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환경대기 중의 미세먼지 등의 입자상물질을 분석하는데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굴뚝배출가스 중의 수분을 측정한 결과, 건조배출가스 1Sm3당 50.6g이었다면 건조배출 가스에 대한 수분의 용량비는?

  1. 2.6%
  2. 3.8%
  3. 5.0%
  4. 6.3%
(정답률: 42%)
  • 건조배출가스 1Sm3당 수분의 용량은 50.6g이므로, 건조배출가스 1Sm3의 총 용량은 1000g(=1kg)이 됩니다. 따라서 건조배출가스에 대한 수분의 용량비는 (50.6g / 1000g) x 100% = 5.06%가 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건조배출가스에 대한 수분의 용량비가 아니라, 건조배출가스에 대한 수분의 용량비를 구한 것이므로, 정답은 5.06%를 건조배출가스의 용량비 100%에서 빼준 값인 94.94%가 됩니다. 이를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반올림하면 6.3%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굴뚝 배출가스 중의 아황산가스를 연속적으로 자동측정하는 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용액전도율법
  2. 적외선흡수법
  3. 불꽃광도법
  4. 광투과법
(정답률: 70%)
  • 광투과법은 광선을 통과시켜 측정하는 방법으로, 다른 방법들과 달리 측정기와 측정 대상 사이의 거리가 멀어도 측정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광투과법이 거리가 먼 굴뚝 배출가스 측정에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아세틸아세톤법으로 포름알데히드를 분석할 때 시료 중 SO2 가 공존하면 흡수발색액에 무엇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가?

  1. 염화암모늄
  2. 염화은용액
  3. 염화나트륨+염화제이수은
  4. 암모니아수
(정답률: 84%)
  • 아세틸아세톤법은 포름알데히드를 히드록실아민으로 환원시켜 아세톤을 생성하고, 생성된 아세톤이 2,4-디니트로페닐하이드라진과 반응하여 붉은색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생성합니다. 그러나 SO2 가 존재하면 이 반응이 방해되어 정확한 분석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SO2 가 존재할 경우, SO2 를 제거하기 위한 화학물질이 필요합니다.

    이때, "염화나트륨+염화제이수은" 이 가장 적합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염화제이수은은 SO2 와 반응하여 수은이온(Hg2+)을 생성하고, 이 수은이온은 2,4-디니트로페닐하이드라진과 반응하여 붉은색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생성합니다. 따라서, 시료에 포함된 SO2 를 제거하고 정확한 분석을 위해 "염화나트륨+염화제이수은" 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비중이 1.84인 95wt% H2SO4의 몰농도(mol/L)는?

  1. 8.9
  2. 17.8
  3. 26.7
  4. 35.6
(정답률: 77%)
  • 95wt% H2SO4는 100g 용액 중 95g이 H2SO4이고, 나머지 5g는 물이다.

    따라서, 용액의 질량은 100g이다.

    H2SO4의 몰질량은 98g/mol이므로, 95g의 H2SO4은 몰수로 환산하면 0.969 mol이다.

    따라서, 몰농도는 몰수를 용액의 부피로 나눈 것이므로,

    몰농도 = 0.969 mol / 0.054 L = 17.8 mol/L

    따라서, 정답은 "17.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은 굴뚝 등에서 배출되는 매연을 링겔만 매연농도표(Ringelmenn Smoke Chart)에 의해 비교 측정하는 시험 방법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① 5, ② 200, ③ 15 ~20
  2. ① 16, ② 200, ③ 30 ~45
  3. ① 16, ② 100, ③ 15 ~20
  4. ① 5, ② 100, ③ 30 ~45
(정답률: 65%)
  • 링겔만 매연농도표는 매연의 농도를 0부터 5까지의 숫자로 표현한다. 0은 매우 깨끗한 공기이고, 5는 매우 높은 농도의 매연이다. 따라서, 위의 그림에서 16은 매우 높은 농도의 매연을 나타내며, 200은 매우 높은 농도의 연기를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30~45는 매우 높은 농도의 매연을 나타내는데, 이는 3단계에서 4단계 사이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① 16, ② 200, ③ 30 ~4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굴뚝 배출가스 내의 페놀류의 분석방법 중 4-아미노안티피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료 중의 페놀류를 붕산용액(0.5W/V%)에 흡수시켜 포집한다.
  2. 흡수액의 pH를 10±0.2로 조절한 후 여기에 4-아미노안티피린 용액과 페리시안산 칼륨용액을 가한다.
  3. 510㎚의 가시부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페놀류의 농도를 산출한다.
  4. 시료가스 채취량이 10L인 경우 시료 중의 페놀류의 농도가 1~20V/Vppm 범위의 분석에 적합하다.
(정답률: 61%)
  • "시료가스 채취량이 10L인 경우 시료 중의 페놀류의 농도가 1~20V/Vppm 범위의 분석에 적합하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시료 중의 페놀류를 붕산용액에 흡수시키는 이유는 페놀류를 분산시켜서 측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붕산용액에 흡수된 페놀류는 4-아미노안티피린과 페리시안산 칼륨 용액과 반응하여 색을 형성합니다. 이 색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페놀류의 농도를 산출합니다. 시료가스 채취량이 10L인 경우에도 분석이 가능하지만, 더 높은 농도의 페놀류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시료가스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농도에 따라 시료가스 채취량을 조절하여 분석을 진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굴뚝 배출가스 중 포름알데히드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되는 분석방법은?

  1. 페놀디슬폰산법
  2. 중화법
  3. 오르토튤리딘법
  4. 크로모트로핀산법
(정답률: 75%)
  • 크로모트로핀산법은 포름알데히드와 크로모트로프로산이 반응하여 적색화합물을 생성하고, 이를 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하여 포름알데히드를 정량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굴뚝 배출가스 중 포름알데히드를 측정하기 위해 적용되는 분석방법으로 선택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원자흡광광도법에서 시료 중의 분석원소 농도를 구하는 정량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검량선법
  2. 넓이백분율법
  3. 표준첨가법
  4. 내부표준법
(정답률: 65%)
  • 원자흡광광도법에서 시료 중의 분석원소 농도를 구하는 정량법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넓이백분율법"이다. 이는 시료 내의 분석원소 농도를 구하는 것이 아니라, 시료 내의 피크 넓이를 이용하여 분석원소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량적인 분석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질산은적정법으로 시안화수소를 분석할 때 pH 조절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① 탄산납, ② 과산화수소수(3%) 1mL
  2. ① 탄산납, ② 암모니아수(28%) 1mL
  3. ① 수산화납, ② 과산화수소수(3%) 1mL
  4. ① 수산화납, ② 암모니아수(28%) 1mL
(정답률: 67%)
  • 시안화수소는 산성 용액에서 안정적이므로, pH를 높이기 위해 알칼리 용액을 첨가해줘야 한다. 이 때, 탄산납은 알칼리 용액으로서 pH를 높이는 역할을 하며, 암모니아수는 pH를 안정적으로 유지시켜준다. 따라서, 정답은 "① 탄산납, ② 암모니아수(28%) 1mL"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에서 TCD 또는 FID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운반가스(Carrier gas)의 종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헬륨
  2. 질소
  3. 수소
  4. 산소
(정답률: 81%)
  • 운반가스는 샘플을 분리하는 역할을 하며, TCD나 FID에서는 운반가스로 산소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는 산소가 불을 일으키는 성질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산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철강공장의 아크로와 연결된 개방형 여과집진시설에서 배출되는 먼지채취방법에 대한 규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등속흡인할 필요가 없으며 채취관은 대구경 흡인노즐(보통 10㎜정도)이 연결된 흡인관을 사용한다.
  2. 흡인관을 측정점까지 밀어넣고 출강에서 다음 출강 개시전까지를 먼지 배출상태를 고려하여 적당한 시간 간격으로 나누어 시료를 채취하여 구한 먼지농도를 출강에서 다음 출강개시전까지의 평균먼지농도로 간주한다.
  3. 시료채취시 측정공을 헝겊등으로 밀폐할 필요는 없으며 건옥백하우스의 경우는 장입 및 출강시 20±5L/min의 유속으로 배출가스를 흡인한다.
  4. 한 개의 원통형 여과지에 포집된 1회 먼지포집량은 20㎎이상 50㎎이하로 함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62%)
  • 정답은 "한 개의 원통형 여과지에 포집된 1회 먼지포집량은 20㎎이상 50㎎이하로 함을 원칙으로 한다." 이다. 이 규정은 먼지채취 시에 원통형 여과지를 사용하고, 이 중 한 개의 여과지에 포집된 1회 먼지포집량이 20㎎ 이상 50㎎ 이하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는 먼지 배출량을 제한하고, 대기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먼지채취 방법과 관련된 세부적인 규정들을 설명하고 있으며, 이 규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굴뚝 배출가스 중 황화수소의 메틸렌 블루우 분석방법에서 흡수액 제조시 사용되는 시약이 아닌 것은?

  1. 수산화나트륨
  2. 황산아연
  3. 수산화칼륨
  4. 황산암모늄
(정답률: 67%)
  • 황화수소의 메틸렌 블루우 분석방법에서 흡수액 제조시 사용되는 시약은 "황산아연"과 "황산암모늄"입니다. 이는 황화수소와 반응하여 안정적인 화합물을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수산화칼륨"는 이러한 반응에 적합하지 않으며, 따라서 이 방법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환경대기 중의 입자상 물질 측정에 사용되는 로우볼륨 에어샘플러(Low Volume Air Sampler) 장치 중 흡인펌프가 갖추어야 하는 조건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연속해서 30일 이상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2. 진공도가 높아야 한다.
  3. 맥동이 고르게 작동되어야 한다.
  4. 유량이 크고 운반이 용이하여야 한다.
(정답률: 79%)
  • 맥동이 고르게 작동되어야 하는 이유는 입자상 물질의 측정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흡입된 공기가 불규칙하게 흡입되면 입자가 흡입되는 양이 일정하지 않아 측정 결과가 부정확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맥동이 고르게 작동되어야 정확한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대기오염방지기술

41. A전기로에 설치된 Bag filter의 입구 및 출구에서의 가스량과 먼지농도가 아래표와 같을 때 먼지의 통과율은?

  1. 약 5%
  2. 약 7%
  3. 약 9%
  4. 약 11%
(정답률: 70%)
  • 먼지의 통과율은 입구와 출구의 먼지농도 비율로 계산할 수 있다. 즉, (출구 먼지농도 ÷ 입구 먼지농도) × 100 으로 계산하면 된다. 따라서, (0.03 ÷ 0.45) × 100 = 약 7% 이므로 정답은 "약 7%"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황산화물 처리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것은?

  1. 석회수 세정법
  2. 산화구리법
  3. 활성탄 흡착법
  4. 저산소연소법
(정답률: 65%)
  • 저산소연소법은 황산화물을 연소시켜 이산화황으로 변환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다른 방법들과 달리 산화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처리 후 잔류물이 없고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다른 방법들보다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처리 후 잔류물이 없기 때문에 환경오염의 위험성이 낮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불화수소를 함유하는 배기가스를 충전 흡수탑을 이용하여 흡수율 92.5%로 기대하고 처리하고자 한다. 기상총괄이동단위높이(HOG)가. 0.4m 일 때 충전높이는? (단, 흡수액상 불화수소의 평형분압은 0 이다.)

  1. 1.01 m
  2. 1.14 m
  3. 1.3 m
  4. 1.5 m
(정답률: 61%)
  • 흡수탑에서의 흡수율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흡수율 = (입구 높이 - 충전 높이) / 입구 높이

    여기서, 입구 높이는 HOG와 충전 높이의 합이므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입구 높이 = HOG + 충전 높이

    따라서, 흡수율 식을 다시 쓰면 다음과 같다.

    흡수율 = (HOG + 충전 높이 - 충전 높이) / (HOG + 충전 높이) = HOG / (HOG + 충전 높이)

    이제, 흡수율과 HOG가 주어졌으므로 충전 높이를 구할 수 있다.

    0.925 = 0.4 / (0.4 + 충전 높이)

    0.925(0.4 + 충전 높이) = 0.4

    0.37 + 0.925충전 높이 = 0.4

    0.925충전 높이 = 0.03

    충전 높이 = 0.03 / 0.925 = 0.0324 m

    따라서, 충전 높이는 약 0.03 m이므로, 충전 높이와 HOG의 합인 입구 높이는 약 0.43 m이다. 따라서, 정답은 1.14 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가솔린엔진과 디젤엔진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인 연소개념으로 보면 가솔린은 예혼합연소, 디젤은 확산연소에 가깝다.
  2. 디젤엔진의 연소는 화염전파속도 변화폭이 크지 않기 때문에 고속 엔진회전속도에서도 화염면이 벽면까지 충분하게 전파되어 연소를 원활히 마치기 위해서는 연소실의 크기에 제한(실린더직경 160mm 이하)이 있다.
  3. 디젤엔진은 공급공기가 많기 때문에 배기가스의 온도가 낮아 엔진내구성에 유리하다.
  4. 가솔린엔진의 경우 공연비 제어가 용이하고 삼원촉매를 적용할 수 있어 배출가스 제어에 유리하다.
(정답률: 63%)
  • "가솔린엔진의 경우 공연비 제어가 용이하고 삼원촉매를 적용할 수 있어 배출가스 제어에 유리하다."는 옳은 설명이므로, 정답은 "디젤엔진의 연소는 화염전파속도 변화폭이 크지 않기 때문에 고속 엔진회전속도에서도 화염면이 벽면까지 충분하게 전파되어 연소를 원활히 마치기 위해서는 연소실의 크기에 제한(실린더직경 160mm 이하)이 있다."입니다. 디젤엔진의 연소는 확산연소에 가깝기 때문에 화염이 느리게 전파되어 큰 실린더 직경을 가진 경우에는 연소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디젤엔진은 일반적으로 실린더 직경이 작은 소형차나 대형차의 저회전 엔진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C/H의 크기순으로 옳게 배열된 것은?

  1. 올레핀계 > 나프텐계 > 아세틸렌 > 프로필렌 > 프로판
  2. 나프텐계 > 올레핀계 > 아세틸렌 > 프로판 > 프로필렌
  3. 올레핀계 > 나프텐계 > 프로필렌 > 프로판 > 아세틸렌
  4. 나프텐계 > 아세틸렌 > 올레핀계 > 프로판 > 프로필렌
(정답률: 73%)
  • 올레핀계 > 나프텐계 > 아세틸렌 > 프로필렌 > 프로판이 옳다. 이유는 탄소 원자의 수가 가장 많은 올레핀계부터 탄소 원자의 수가 적은 프로판까지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탄소 원자의 수가 많을수록 분자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이 순서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메탄올 2kg을 완전연소 할 때 필요한 이론공기량(Sm3)은?

  1. 2.5
  2. 5.0
  3. 10.0
  4. 15.0
(정답률: 60%)
  • 메탄올의 화학식은 CH3OH이며, 완전연소식은 다음과 같다.

    CH3OH + 1.5O2 → CO2 + 2H2O

    따라서 2kg의 메탄올을 완전연소시키기 위해서는 1.5배의 산소가 필요하다. 이론공기량은 이 산소량에 해당하는 공기의 체적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2kg CH3OH = 1.5 × 2kg O2 = 3kg O2

    3kg O2가 차지하는 이론공기량은 다음과 같다.

    3kg O2 × 22.4Sm3/kg = 67.2Sm3

    따라서 메탄올 2kg을 완전연소할 때 필요한 이론공기량은 67.2Sm3이다. 이 중에서 산소가 차지하는 비중은 1.5/3 = 0.5이므로, 이론공기량의 절반인 33.6Sm3이 실제로 필요한 공기량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10.0"이 아니므로, 정답은 "10.0"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C와 H의 발열량이 각각 28000 kcal/kg, 30500kcal/kg이다. 부탄 1kg 완전연소 시 발생되는 발열량(kcal)은?

  1. 23934
  2. 28431
  3. 30763
  4. 33015
(정답률: 73%)
  • 부탄의 화학식은 C4H10이므로, 1kg의 부탄에는 4mol의 C와 10mol의 H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부탄 1kg의 발열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4mol × 28000 kcal/mol) + (10mol × 30500 kcal/mol) = 112000 kcal + 305000 kcal = 417000 kcal

    즉, 부탄 1kg의 완전연소 시 발생되는 발열량은 417000 kcal이다. 이 값은 주어진 보기 중에서는 "28431"과 가장 가깝다. 따라서 정답은 "2843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미분탄연소의 장점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부하변동에 쉽게 응할 수 있다.
  2. 연소량의 조절이 용이하다.
  3. 과잉공기에 의한 열손실이 적다.
  4. 비산먼지의 배출량이 적다.
(정답률: 68%)
  • 미분탄연소는 연소 공기와 연료를 분리하여 연소시키는 방식으로, 과잉공기를 사용하지 않아 열손실이 적고 연소량을 조절하기 쉽습니다. 또한 연소 시 생성되는 비산먼지의 배출량이 적어 환경에 더욱 친화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A여과집진장치의 설치 초기에는 99%의 집진효율을 보였으나 6개월 후에는 집진효율이 95%로 떨어졌다. 6개월 후 이 집진장치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먼지의 농도는 설치 초기에 비해 얼마나 증가하였는가? (단, 기타조건은 고려하지 않음)

  1. 2배
  2. 3배
  3. 4배
  4. 5배
(정답률: 77%)
  • 집진효율이 99%에서 95%로 떨어졌다는 것은 1000개의 먼지 중 10개만 배출되었다가 50개가 배출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배출되는 먼지의 농도는 5배 증가하였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지름 40㎛ 입자의 최종 침전속도가 15cm/s 라고 할 때 중력침전실의 높이가 1.25m이면 입자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소요되는 이론적인 중력침전실의 길이는? (단, 가스의 유속은 1.8m/s)

  1. 12m
  2. 15m
  3. 18m
  4. 20m
(정답률: 62%)
  • 입자의 침전속도는 중력과 마찰력에 의해 결정되며, 중력은 입자의 질량과 중력가속도에 비례하므로 입자의 질량이 작을수록 침전속도가 느리다. 따라서 지름 40㎛ 입자는 매우 작은 입자로 침전속도가 느리다.

    또한, 중력침전실의 높이가 1.25m로 매우 높기 때문에 입자가 침전하는 동안 충분한 시간이 주어져 입자가 침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론적인 중력침전실의 길이는 입자의 침전속도와 중력침전실의 높이에 비례하므로 15cm/s x 1.25m = 18.75m 이다. 하지만, 가스의 유속이 1.8m/s로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입자가 침전하는 동안 가스가 입자를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하여 실제 침전속도가 느려진다. 따라서, 이론적인 침전실의 길이를 적절히 보정하여 계산하면 15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송풍기의 크기와 유체의 밀도가 일정(상사 제1법칙)할 때 풍압과 회전속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풍압은 송풍기의 회전속도의 3승에 비례한다.
  2. 풍압은 송풍기의 회전속도의 2승에 비례한다.
  3. 풍압은 송풍기의 회전속도에 정비례한다.
  4. 풍압은 송풍기의 회전속도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68%)
  • 정답은 "풍압은 송풍기의 회전속도의 2승에 비례한다."입니다.

    송풍기의 회전속도가 높을수록, 송풍기 블레이드가 공기를 더 많이 밀어내기 때문에 풍압이 증가합니다. 이때, 송풍기의 크기와 유체의 밀도가 일정하다면, 풍압은 회전속도의 제곱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회전속도가 2배가 되면 풍압은 4배가 되고, 회전속도가 3배가 되면 풍압은 9배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냄새물질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냄새는 화학적 구성보다는 구성 그룹배열에 의해 나타나는 물리적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2. Moncrieff는 원소이든 화합물이든 간에 적린, 글리콜 등과 같이 복합체를 형성하면 냄새가 더 강해진다고 주장했다.
  3. 냄새는 통상 분자내부진동에 의존한다고 가정되므로 라만변이와 냄새는 서로 관련이 있다.
  4. 냄새를 일으키는 물질은 적외선을 강하게 흡수한다.
(정답률: 65%)
  • "Moncrieff는 원소이든 화합물이든 간에 적린, 글리콜 등과 같이 복합체를 형성하면 냄새가 더 강해진다고 주장했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잘못된 주장이며, 복합체를 형성하면 냄새가 강해지는 것은 일반적으로 옳지 않습니다. 오히려, 단일 물질보다는 복합체가 더 복잡한 냄새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유입공기 중 염소가스의 농도가 80000ppm 이고, 흡수탑의 염소가스 제거효율은 80% 이다. 이 흡수탑 3개를 직렬로 연결했을 때 유출공기 중 염소가스의 농도는?

  1. 460ppm
  2. 540ppm
  3. 640ppm
  4. 720ppm
(정답률: 70%)
  • 첫 번째 흡수탑에서 80000ppm의 염소가스 중 80%가 제거되어 16000ppm이 남습니다. 이후 두 번째 흡수탑에서는 16000ppm 중 80%가 제거되어 3200ppm이 남습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흡수탑에서는 3200ppm 중 80%가 제거되어 640ppm이 남습니다. 따라서 유출공기 중 염소가스의 농도는 640pp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시간당 10000Sm3의 배출가스를 방출하는 보일러에 먼지 50%를 제거하는 집진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보일러를 24시간 가동했을 때 집진되는 먼지량은? (단, 배출가스 중 먼지농도는 0.5g/Sm3 이다.)

  1. 50kg
  2. 60kg
  3. 100kg
  4. 120kg
(정답률: 68%)
  • 먼지 제거율이 50%이므로, 배출가스 중 먼지농도는 0.5g/Sm^3 이므로, 집진장치를 통해 제거되는 먼지의 양은 0.5g/Sm^3 * 0.5 = 0.25g/Sm^3 이다. 따라서, 24시간 동안 배출되는 먼지의 양은 10000Sm^3 * 0.25g/Sm^3 * 24시간 = 60000g = 60kg 이다. 따라서, 정답은 "60kg"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중유 1kg속에 수소 0.15kg, 수분 0.002kg 이 들어있고, 이 중유의 고위발열량이 10000kcal/kg일 때 이 중유 3kg의 저위발열량은 대략 몇 kcal인가?

  1. 29990
  2. 27560
  3. 10000
  4. 9200
(정답률: 65%)
  • 중유 1kg의 고위발열량은 10000kcal/kg 이므로, 중유 1kg의 저위발열량은 약 9200kcal/kg이다. 따라서 중유 3kg의 저위발열량은 3kg x 9200kcal/kg = 27600kcal이다. 하지만 이 중유에는 수소와 수분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실제 저위발열량은 조금 더 낮을 것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2756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연료에 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중유는 인화점을 기준으로 하여 주로 A, B, C 중유로 분류된다.
  2. 기체연료는 연소시 공급연료 및 공기량을 밸브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부하변동 범위가 넓다.
  3. 4℃ 물에 대한 15℃ 중유의 중량비를 비중이라고 하며, 중유 비중은 보통 0.92 ~ 0.97 정도이다.
  4. 인화점이 낮을수록 연소는 잘되나 위험하며, C 중유는 보통 70℃ 이상이다.
(정답률: 79%)
  • "기체연료는 연소시 공급연료 및 공기량을 밸브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부하변동 범위가 넓다."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중유는 인화점을 기준으로 하여 A, B, C 중유로 분류된다. 이는 중유의 특성을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인화점이 높을수록 안전하나 연소 효율이 떨어지고, 인화점이 낮을수록 연소 효율은 높아지지만 위험성이 높아진다. 중유 비중은 물에 대한 중량비를 나타내며, 이는 중유의 밀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인화점이 70℃ 이상인 C 중유는 보통 해양 연료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프로판 432kg을 기화시킨다면 표준상태에서 기체의 용적은?

  1. 560 Sm3
  2. 540 Sm3
  3. 280 Sm3
  4. 220 Sm3
(정답률: 58%)
  • 프로판의 분자량은 약 44g/mol이다. 따라서 432kg의 프로판은 몰 수량으로 환산하면 약 9818 몰이 된다. 이를 기화시켜 표준상태(0℃, 1 atm)에서의 용적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V = nRT/P

    = (9818 mol) x (0.0821 L·atm/mol·K) x (273 K) / (1 atm)

    ≈ 220 Sm3

    따라서, 프로판 432kg을 기화시킨다면 표준상태에서 기체의 용적은 220 Sm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세정식 집진장치 중 고정 및 회전날개로 구성된 다익형의 날개차를 고속으로 선회하여 항진가스와 세정수를 교반시켜 먼지를 제거하는 장치로 미세먼지도 99% 정도까지 제거가능하고, 별도 송풍기가 필요 없으며, 액가스비가 0.5~2L/m3 정도인 것은?

  1. 제트스크러버
  2. 임펄스스크러버
  3. 타이젠와셔
  4. 사이클론스크러버
(정답률: 54%)
  • "타이젠와셔"는 고속으로 선회하는 고정 및 회전날개로 구성된 날개차를 이용하여 항진가스와 세정수를 교반시켜 먼지를 제거하는 다익형의 집진장치입니다. 이 장치는 미세먼지도 99% 정도까지 제거가 가능하며, 별도의 송풍기가 필요하지 않고, 액가스비가 0.5~2L/m3 정도로 경제적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제트스크러버", "임펄스스크러버", "사이클론스크러버"와는 다른 원리로 작동하며, 효율적인 먼지 제거와 경제성을 동시에 갖춘 장치이기 때문에 정답이 "타이젠와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전기집긴장치의 유지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시동시에는 배출가스를 도입하기 최소 1시간 전에 애관용 히터를 가열하여 애자관 표면에 수분이나 먼지의 부착을 방지한다.
  2. 시동시에는 고전압 회로의 절연저항이 100MΩ 이상이 되어야 한다.
  3. 운전시에 2차 전류가 매우 적을 때에는 먼지농도가 높거나 먼지의 겉보기 저항이 이상적으로 높은 경우이므로 조습용 스프레이의 수량을 늘려 겉보기 저항을 낮추어야 한다.
  4. 정지시에는 접지저항을 적어도 년1회 이상 점검하고 10Ω 이하로 유지한다.
(정답률: 63%)
  • "운전시에 2차 전류가 매우 적을 때에는 먼지농도가 높거나 먼지의 겉보기 저항이 이상적으로 높은 경우이므로 조습용 스프레이의 수량을 늘려 겉보기 저항을 낮추어야 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시동시에는 배출가스를 도입하기 최소 1시간 전에 애관용 히터를 가열하여 애자관 표면에 수분이나 먼지의 부착을 방지한다."는 전기집긴장치의 유지관리 중 하나로, 애자관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이다. 애자관 표면에 수분이나 먼지가 부착되면 전기절연성이 떨어져 전기적 결함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애관용 히터를 가열하여 수분이나 먼지가 제거되도록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집진장치 중 일반적으로 압력손실이 가장 작은 것은?

  1. 중력집진장치
  2. 사이클론스크러버
  3. 충전탑
  4. 여과집진장치
(정답률: 69%)
  • 중력집진장치는 입구에서 입자가 중력에 의해 바닥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압력손실이 가장 적습니다. 반면에 사이클론스크러버, 충전탑, 여과집진장치는 입자를 걸러내기 위해 여러 단계의 필터링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압력손실이 더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대기환경 관계 법규

61.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초과부과금 산정기준에 따른 오염물질 1킬로그램당 부과금액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염소 : 7400원
  2. 암모니아 : 1600원
  3. 염화수소 : 7400원
  4. 불소화합물 : 2300원
(정답률: 68%)
  • 암모니아는 대기 중에 배출되면 질소산화물(NOx)과 반응하여 미세먼지(PM)를 생성하는데, 이는 대기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대기환경보전법령에서는 이를 제한하기 위해 초과부과금을 부과하고 있습니다. 암모니아의 부과금액이 다른 물질에 비해 낮은 이유는, 암모니아의 배출량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입니다. 즉, 암모니아 배출량이 많아지면 부과금액도 상승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자동차 종류 중 건설공사에 사용하기 적합하게 제작된 “건설기계”의 규모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원동기 정격출력이 1.5kW 이상 2.5kW 미만
  2. 원동기 정격출력이 2.5kW 이상 9.5kW 미만
  3. 원동기 정격출력이 9.5kW 이상 19kW 미만
  4. 원동기 정격출력이 19kW 이상 560kW 미만
(정답률: 62%)
  • 건설기계는 대개 크고 강력한 움직임이 필요하기 때문에, 원동기의 출력이 높아야 합니다. 따라서, 원동기 정격출력이 19kW 이상 560kW 미만인 것이 적합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원동기의 출력이 너무 작거나 크기 때문에 건설기계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운행차의 정밀검사 방법·기준 및 검사대상 항목 중 일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출가스 검사는 관능 및 기능검사를 한 후 시행한다.
  2. 휘발유와 가스를 같이 사용하는 자동차의 배출가스측정은 휘발유로 전환한 상태에서 배출가스 검사를 실시하고 배출허용기준은 휘발유 기준을 적용한다.
  3. 차대동력계상에서 자동차의 운전은 검사기술인력이 직접 수행하여야 한다.
  4. 특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하여 특수장치 등을 부착하여 엔진 최고회전수 등을 제한하는 자동차인 경우에는 해당 자동차의 측정 엔진최고회전수를 엔진정격회전수로 수정·적용하여 배출가스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정답률: 78%)
  • 정답: "차대동력계상에서 자동차의 운전은 검사기술인력이 직접 수행하여야 한다."

    해설: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운행차의 정밀검사 방법·기준 및 검사대상 항목 중에서는 차대동력계상에서 자동차의 운전은 검사기술인력이 직접 수행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시험장비를 이용하여 자동차를 가동시켜야 합니다.

    휘발유와 가스를 같이 사용하는 자동차의 배출가스측정은 휘발유로 전환한 상태에서 배출가스 검사를 실시하고 배출허용기준은 휘발유 기준을 적용하는 이유는, 가스와 휘발유의 연소방식과 배출가스의 성분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스와 휘발유를 같이 사용하는 자동차는 휘발유로 전환한 후에 배출가스 검사를 실시해야 하며, 배출허용기준도 휘발유 기준을 적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위임업무 보고사항 중 배출부과금 부과 징수실적 및 체납처분 현황의 보고횟수 기준은?

  1. 수시
  2. 연 1회
  3. 연 2회
  4. 연 4회
(정답률: 74%)
  •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위임업무 보고사항 중 배출부과금 부과 징수실적 및 체납처분 현황의 보고횟수 기준은 "연 2회"이다. 이는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제32조에 따라서, 배출부과금 부과 징수실적 및 체납처분 현황은 매년 상반기와 하반기에 각각 1회씩 총 2회에 걸쳐 보고해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대기환경보전법령상 특별대책지역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을 배출하는 시설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은 환경부장관 등에게 신고하여야 하는데, 다음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목재가공시설
  2. 주유소의 저장시설
  3. 저유소의 출하시설
  4. 세탁시설
(정답률: 87%)
  • 목재가공시설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 중에서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을 배출하는 시설로서 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대기환경보전법상 특별대책지역내의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시설로서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억제시설 등의 조치를 하지 않은 사업자에 대한 벌칙기준은?

  1. 5년 이하의 징역이나 3천만원 이하의 벌금
  2. 1년 이하의 징역이나 500만원 이하의 벌금
  3. 300만원 이하의 벌금
  4. 2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64%)
  • 대기환경보전법에서는 특별대책지역내의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시설로서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억제시설 등의 조치를 하지 않은 사업자에 대해 300만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경각심을 높이고, 사업자들이 대기환경보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악취방지법상 악취의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하여 받은 개선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으로 옳은 것은?

  1.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2.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3. 500만원 이하의 벌금
  4. 3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61%)
  • 악취방지법에서는 악취 배출허용기준을 초과한 경우에는 개선명령을 받게 됩니다. 그리고 이 개선명령을 이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벌칙을 받게 됩니다. 이 벌칙의 기준은 악취의 정도와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이는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주면서도 법을 지키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대기환경보전법규상 특정대기 유해물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클로로포름
  2. 포름알데히드
  3. 벤지딘
  4. 브롬
(정답률: 78%)
  • 대기환경보전법규에서는 대기오염물질로 분류되는 물질들을 규제하고 있습니다. "클로로포름", "포름알데히드", "벤지딘"은 대기오염물질로 분류되어 규제 대상이지만, "브롬"은 대기오염물질로 분류되지 않기 때문에 규제 대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대기환경보전법규상 환경기술인의 준수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을 정상가동하여 대기오염물질배출이 배출허용기준에 맞도록 할 것
  2. 배출시설의 양도·양수, 설치허가(신고), 변경허가(신고) 등에 관한 업무일지를 사실에 기초하여 작성할 것
  3. 자가측정한 결과를 사실대로 기록할 것
  4. 사업장에 상근할 것
(정답률: 60%)
  • "배출시설의 양도·양수, 설치허가(신고), 변경허가(신고) 등에 관한 업무일지를 사실에 기초하여 작성할 것"은 대기환경보전법규상 환경기술인이 준수해야 하는 사항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환경기술인이 직접적으로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관리하는 업무보다는, 관련 법규에 따른 업무일지 작성 등의 서류 작업에 대한 준수를 요구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관리하고 감시하는 업무와 관련된 내용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오염물질 발생량에 따른 종별 사업장의 연결로 옳은 것은?

  1. 대기오염물질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72톤인 사업장 – 1종 사업장
  2. 대기오염물질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22톤인 사업장 – 3종 사업장
  3. 대기오염물질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7톤인 사업장 – 5종 사업장
  4. 대기오염물질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42톤인 사업장 – 2종 사업장
(정답률: 78%)
  • 대기환경보전법령에서는 사업장의 종별에 따라 대기오염물질 발생량의 제한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연간 대기오염물질 발생량의 합계가 72톤 이상인 사업장은 1종 사업장, 22톤 이상 72톤 미만인 사업장은 2종 사업장, 7톤 이상 22톤 미만인 사업장은 3종 사업장, 1톤 이상 7톤 미만인 사업장은 4종 사업장, 1톤 미만인 사업장은 5종 사업장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대기오염물질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42톤인 사업장은 2종 사업장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자동차연료 제조기준 중 현행 황함량기분으로 옳은 것은? (단, 휘발유 기준)

  1. 10 ppm이하
  2. 50 ppm이하
  3. 70 ppm이하
  4. 90 ppm이하
(정답률: 74%)
  • 현행 황함량기준은 10 ppm 이하이다. 이는 대기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황산화물이 대기 중에 배출되는 양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황산화물은 대기 중에 농도가 높아지면 미세먼지와 함께 심각한 대기오염원이 되기 때문에,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황함량기준이 강화되었다. 따라서, 자동차 연료 제조기준에서는 휘발유의 황함량이 10 ppm 이하로 제한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대기환경보전법규상 기상조건 등을 검토하여 해당 지역의 대기자동측정소 오존농도가 0.3피피엠 이상일 때 대기오염발령 경보단계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주의보
  2. 경보
  3. 중대경보
  4. 심각경보
(정답률: 78%)
  • 대기환경보전법규상 기상조건 등을 검토하여 해당 지역의 대기자동측정소 오존농도가 0.3피피엠 이상일 때 대기오염발령 경보단계 기준으로 옳은 것은 "경보"입니다. 이는 대기오염 발생 시 대응 조치를 적극적으로 시행하기 위해 경보 단계를 두어 경보 단계에 따라 대응 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오존농도가 0.3피피엠 이상일 때는 대기오염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경보 단계를 두어 대응 조치를 취하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규상 실내공기질 권고기준(ppm)으로 옳은 것은? (단, “실내주차장”이며, “오존”항목)

  1. 0.03 이하
  2. 0.05 이하
  3. 0.06 이하
  4. 0.08 이하
(정답률: 50%)
  • 실내주차장은 차량이나 배기가스 등으로 인해 대기오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실내공간이다. 따라서 오존 농도가 높아지면 실내공기질이 나빠지게 된다. 하지만 오존 농도가 너무 낮아도 문제가 된다. 오존은 대기 중의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내공기질 권고기준은 적정 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실내주차장에서의 오존 농도 권고기준은 0.08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 관리법규상 실내공기질 유지기준(㎍/m3)으로 옳은 것은? (단, “지하역사”이며, “HCHO” 항목)

  1. 100 이하
  2. 120 이하
  3. 140 이하
  4. 150 이하
(정답률: 63%)
  • 지하역사에서는 HCHO(호르말데하이드) 농도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실내공기질 유지기준으로는 100 이하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HCHO는 실내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 중 하나로, 눈, 코, 목 등의 점막을 자극하여 불쾌감을 유발하고, 장기간 노출 시 암 발생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다중이용시설 등에서는 이러한 유해물질을 최소화하고, 실내공기질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대기환경보전법규상 배출허용기준 초과와 관련한 개선명령을 받은 자가 시·도지사에게 제출해야 하는 개선계획서에 포함되거나 첨부되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 개선하여야 할 사항이 배출시설 또는 방지시설인 경우)

  1. 배출시설 또는 방지시설의 개선명세서 및 설계도
  2. 배출시설의 운영·관리 진단계획
  3. 대기오염물질의 처리방식 및 처리효율
  4. 공사기간 및 공사비
(정답률: 50%)
  • 배출시설의 운영·관리 진단계획은 개선명령을 받은 자가 개선계획서를 작성할 때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 중 하나입니다. 이는 개선명령을 받은 배출시설이 현재 운영되고 있는 상태에서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개선명세서나 설계도와 같은 것들보다 더 중요한 사항으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전기만을 동력으로 사용하는 자동차의 1회 충전 주행거리가 “80㎞ 이상 160㎞ 미만”인 경우 해당종별 구분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제1종
  2. 제2종
  3. 제3종
  4. 제4종
(정답률: 78%)
  • 정답은 "제2종"입니다.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전기차의 종류는 충전 주행거리에 따라 "제1종", "제2종", "제3종", "제4종"으로 구분됩니다.

    - 제1종: 1회 충전 주행거리가 160㎞ 이상인 경우
    - 제2종: 1회 충전 주행거리가 80㎞ 이상 160㎞ 미만인 경우
    - 제3종: 1회 충전 주행거리가 40㎞ 이상 80㎞ 미만인 경우
    - 제4종: 1회 충전 주행거리가 40㎞ 미만인 경우

    따라서, 1회 충전 주행거리가 "80㎞ 이상 160㎞ 미만"인 경우 해당종별 구분기준으로는 "제2종"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정밀검사대상 자동차 및 정밀 검사유효기간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사업용 승용자동차로서 차령 4년 경과된 자동차의 검사유효기간은 2년이다.
  2. 비사업용 기타자동차로서 차령 3년 경과된 자동차의 검사유효기간은 1년이다.
  3. 사업용 승용자동차로서 차령 2년 경과된 자동차의 검사 유효기간은 2년이다.
  4. 사업용 기타자동차로서 차령 2년 경과된 자동차의 검사유효기간은 1년이다.
(정답률: 79%)
  • 정밀검사대상 자동차 및 정밀 검사유효기간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사업용 승용자동차로서 차령 2년 경과된 자동차의 검사 유효기간은 2년이다." 이다. 이유는 사업용 승용자동차로서 차령 2년 경과된 자동차의 검사 유효기간은 1년이다. 이는 대기환경보전법규에서 규정하고 있는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대기환경보전법령상 황함유기준을 초과하여 해당 유류의 회수처리명령을 받은 자가 환경부장관 또는 시·도지사에게 이행완료보고서를 제출할 때 구체적으로 밝혀야 하는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유류 제조최사가 실험한 황함유량 검사 성적서
  2. 해당 유류의 회수처리량, 회수처리방법 및 회수처리기간
  3. 해당 유류의 공급기간 또는 사용기간과 공급량 또는 사용량
  4. 저황유의 공급 또는 사용을 증명할 수 있는 자료 등에 관한 사항
(정답률: 60%)
  • 정답인 "유류 제조최사가 실험한 황함유량 검사 성적서"는 구체적인 황함유량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기 때문입니다. 회수처리명령을 받은 자는 해당 유류의 황함유량을 줄이기 위한 회수처리를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위해 황함유량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보고서에 포함시켜야 합니다. 따라서 유류 제조최사가 실험한 황함유량 검사 성적서는 이행완료보고서 작성 시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항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은 대기환경보전법규상 비산먼지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시설의 설치 및 필요한 조치에 관한 엄격한 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① 1.5m, ② 2.5㎏/cm2
  2. ① 1.5m, ② 5㎏/cm2
  3. ① 7m, ② 2.5㎏/cm2
  4. ① 7m, ② 5㎏/cm2
(정답률: 75%)
  • ① 7m은 주변 건물과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 비산먼지가 주변 건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② 5㎏/cm2은 필터의 미세먼지 처리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건물과 필터의 효율을 고려하여 엄격한 기준이 정해진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환경정책기본법령상 이산화질소(NO2)의 대기환경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연간 평균치 0.03ppm 이하
  2. 24시간 평균치 0.05ppm 이하
  3. 8시간 평균치 0.3ppm 이하
  4. 1시간 평균치 0.15ppm 이하
(정답률: 64%)
  • 이산화질소(NO2)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유해 물질 중 하나로, 인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제한하기 위해 환경정책기본법령에서 대기환경 기준을 설정하였습니다. 이 중에서 연간 평균치 0.03ppm 이하로 설정한 이유는, 이산화질소의 농도가 일정 수준 이상 유지되면 인체 건강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간 평균치를 제한함으로써, 인체 건강을 보호하고 대기오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