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환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9-15)

대기환경산업기사
(2012-09-1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대기오염개론

1. 다음 설명하는 오염물질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Copper
  2. Cytochrome
  3. Ozone
  4. Hydrogen fluoride
(정답률: 88%)
  • 이 그림은 산성비의 영향으로 손상된 나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손상은 대기 중에 존재하는 산성물질에 의해 발생합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적합한 것은 "Hydrogen fluoride" 입니다. 이는 산성비의 주요 성분 중 하나로, 산성비가 지면에 침전되면 식물의 잎이나 나무의 껍질 등을 부식하여 손상을 일으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대기의 특성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기는 물에 비해 탄성이 약하며, 약 0~50℃ 의 온도범위 내에서 공기는 보통 이상기체의 법칙을 따른다.
  2. 공기의 절대습도란 이론적으로 함유된 수증기 또는 물의 함량을 말하며 단위는 % 이다.
  3. 행성경계층(PBL)보다 높은 고도에서 기압경도력과 전향력의 평형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바람을 지균풍이라고 한다.
  4. 대기안정도와 난류는 대기경계층내에서 오염물질의 확산정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이다.
(정답률: 89%)
  • 공기의 절대습도란 이론적으로 함유된 수증기 또는 물의 함량을 말하며 단위는 % 이다. (옳은 설명)

    공기는 물에 비해 탄성이 약하며, 약 0~50℃ 의 온도범위 내에서 공기는 보통 이상기체의 법칙을 따른다.

    행성경계층(PBL)보다 높은 고도에서 기압경도력과 전향력의 평형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바람을 지균풍이라고 한다.

    대기안정도와 난류는 대기경계층내에서 오염물질의 확산정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어떤 혼합기체의 부피조성이 질소가스 80% 와 이산화탄소 가스 20%로 이루어졌다. 이 혼합기체의 평균분자량은?

  1. 31.2
  2. 38.9
  3. 44.0
  4. 49.3
(정답률: 83%)
  • 질소의 분자량은 28, 이산화탄소의 분자량은 44 이므로, 질소 80%와 이산화탄소 20%의 평균 분자량은 다음과 같다.

    (28 x 0.8) + (44 x 0.2) = 22.4 + 8.8 = 31.2

    따라서, 이 혼합기체의 평균 분자량은 3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설명하는 복사법칙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플랑크의 법칙
  2. 빈의 법칙
  3. 스테판-볼쯔만의 법칙
  4. 키르히호프의 법칙
(정답률: 82%)
  • 이 그림은 키르히호프의 법칙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키르히호프의 법칙은 물체가 흑체로부터 방출되는 복사 에너지의 스펙트럼 분포를 나타내는 법칙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복사 에너지의 파장 분포가 더 넓어지고, 최대값이 더 짧은 파장으로 이동한다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역전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기온역전은 접지역전과 공중역전으로 나눌 수 있다.
  2. 침강성 역전과 전선형 역전은 공중역전에 속한다.
  3. 복사역전은 주로 밤부터 이른 아침 사이에 일어난다.
  4. 굴뚝의 높이 상하에서 각각 침강역전과 복사역전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플룸(plume)의 형태는 훈증형(fumigation)으로 된다.
(정답률: 86%)
  • 굴뚝의 높이 상하에서 각각 침강역전과 복사역전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플룸(plume)의 형태는 훈증형(fumigation)으로 된다는 이유는, 이러한 역전 현상이 발생하면 대기 중의 오염물질이 지표면 근처에 머무르게 되어 플룸이 지표면을 따라 퍼져나가기 때문이다. 이는 거리가 먼 것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바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해륙풍 중 육풍은 육지에서 바다로 향해 5~6km까지 바람이 불며 겨울철에 빈발한다.
  2. 산곡풍 중 산풍은 밤에 경사면이 빨리 냉각되어 경사면 위의 공기 온도가 같은 고도의 경사면에서 떨어져 있는 공기의 온도보다 차가워져 경사면 위의 공기 전체가 아래로 침강하게 되어 부는 바람이다.
  3. 전원풍은 열섬효과 때문에 도시의 중심부에서 하강 기류가 발생하여 부는 바람이다.
  4. 휀풍은 산맥의 정상을 기준으로 풍상쪽 경사면을 따라 공기가 상승하면서 건조단열 변화를 하기 때문에 평지에서보다 기온이 약 1℃/100m의 율로 하강하게 된다.
(정답률: 83%)
  • 전원풍은 열섬효과 때문에 도시의 중심부에서 하강 기류가 발생하여 부는 바람이 아니라, 도시 주변 지역에서 상승 기류가 발생하여 부는 바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은 레일리산란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① 큰, ② 4승에 비례
  2. ① 큰, ② 4승에 반비례
  3. ① 작은, ② 4승에 비례
  4. ① 작은, ② 4승에 반비례
(정답률: 65%)
  • 레일리산란은 입사하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산란되는 각도가 달라지는 현상이다. 따라서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① 작은) 산란되는 각도가 크고, 입자의 크기가 클수록 산란되는 각도가 작아진다. 이는 입자의 크기와 산란되는 각도가 4승에 반비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① 작은, ② 4승에 반비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분자량이 M인 대기오염 물질의 농도가 표준상태(0℃, 1기압)에서 448ppm으로 측정되었다. 표준상태에서 몇 mg/m3 인가?

  1. 1/20M
  2. M/20
  3. 20M
  4. 20/M
(정답률: 89%)
  • 1 ppm은 1 mg/m3에 해당한다. 따라서 448ppm은 448 mg/m3에 해당한다.

    분자량이 M인 물질의 몰질량은 M g/mol이다. 따라서 1 mol/L (또는 1 mol/m3)의 농도는 M g/L (또는 M mg/m3)이다.

    표준상태에서 농도가 448 mg/m3이므로, 이를 M mg/m3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M mg/m3 = (448 mg/m3) / (1 mol/m3) * (1 mol/M g) * (M mg/m3/g)

    = 448/M mg/m3

    따라서, M이 20배가 되면 농도는 1/2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0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분산모델 및 수용모델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용모델을 통하여 미래의 대기질을 쉽게 예측할 수 있다.
  2. 수용모델을 통하여 새로운 오염원, 불확실한 오염원과 불법배출 오염원을 정량적으로 확인 평가할 수있다.
  3. 분산모델은 오염물의 단기간 분석시 문제가 된다.
  4. 분산모델은 지형 및 오염원의 조업조건에 영향을 받는다.
(정답률: 75%)
  • 정답은 "수용모델을 통하여 미래의 대기질을 쉽게 예측할 수 있다."입니다. 수용모델은 현재의 대기질 상태를 기반으로 미래의 대기질을 예측하는 모델이지만, 이는 다양한 변수와 불확실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예측이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쉽게"라는 표현은 부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대기오염물질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염화비닐(vinyl chloride)에 만성폭로 되면 레이노증후군, 말단 골연화증, 간 ㆍ 비장의 섬유화가 일어난다.
  2. 삼염화에틸렌(trichloroethylene)은 중추신경계를 억제하며 간과 신장에 미치는 독성은 사염화탄소에 비해 낮은 편이다.
  3. 아크릴아마이드(acryl amide)는 주로 피부를 통해 흡수되며 다발성 신경염을 일으킨다.
  4. 이황화탄소는 하기도를 통해서 흡수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피부를 통해서 체내 흡수되며 폐부종을 일으킨다.
(정답률: 82%)
  • 이황화탄소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호흡기로 인해 체내로 흡입되어 폐부종을 일으키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실내공기 오염물질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이산화질소는 일산화질소보다 독성이 대략 10 정도 강하고, 물에 잘 녹아서 인체 폐포까지 쉽게 침투할 수 있다.
  2. 일산화탄소는 무색, 무미의 기체로 인체 혈액 중 헤모글로빈과 쉽게 결합하고, 산소보다 약 10~15배 정도의 결합력을 가지고 있다.
  3. 라돈은 화학적으로 반응이 활발하며, 흙 속에서 방사선 붕괴에 관여한다.
  4. 석면이나 광물섬유들은 장력강도와 열 및 전기적인 절연성이 크고, 화학적으로 분해가 잘 되지 않는다.
(정답률: 62%)
  • 석면이나 광물섬유들은 장력강도와 열 및 전기적인 절연성이 크고, 화학적으로 분해가 잘 되지 않는 이유는 그들이 불가연성 물질이기 때문이다. 즉, 불이 붙어도 쉽게 타지 않으며, 화학적으로 분해되지 않아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석면이나 광물섬유들은 건축물, 차량, 선박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었으나, 그들이 방출하는 미세한 섬유들이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현재는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대기상태에 해당되는 연기의 형태는?

  1. Looping
  2. Lofting
  3. Fanning
  4. Coning
(정답률: 85%)
  • 이 연기는 "Lofting"에 해당된다. Lofting은 연기가 상승하면서 더 큰 고도에 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기는 중앙에서 시작하여 위쪽으로 향하면서 점차 넓어지고 높아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Lofting에 해당된다. Looping은 연기가 고도를 유지하면서 고리 모양으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하며, Fanning은 연기가 부채꼴 모양으로 퍼져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Coning은 연기가 원뿔 모양으로 수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공업지역의 먼지 농도 측정을 위해 여과지를 이용하여 0.45m/s 속도로 3시간 여과시킨 결과, 깨끗한 여과지에 비해 사용한 여과지의 빛전달율이 66% 였다면 1000m 당 Coh는?

  1. 3.0
  2. 3.2
  3. 3.7
  4. 3.9
(정답률: 80%)
  • 여과지의 빛전달율이 66%이므로, 여과된 먼지로 인해 빛이 차단된 비율은 34%이다. 따라서, 1000m를 여과할 때 빛이 차단되는 비율은 0.34이다. 이는 Coh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와 비례한다. 따라서, Coh는 0.34 × 1000 = 340이다. 하지만, 여과지의 속도가 0.45m/s이므로, 3시간 동안 여과된 거리는 0.45 × 3 × 60 × 60 = 4860m이다. 따라서, 1000m를 여과할 때의 Coh는 340/4860 × 1000 = 3.7이다. 따라서, 정답은 "3.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Aerodynamic diameter 의 정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본래의 먼지보다 침강속도가 작은 구형입자의 직경
  2. 본래의 먼지와 침강속도가 동일하며, 밀도 1g/cm2인 구형입자의 직경
  3. 본래의 먼지와 밀도 및 침감속도가 동일한 구형입자의 직경
  4. 본래의 먼지보다 침강속도가 큰 구형입자의 직경
(정답률: 90%)
  • Aerodynamic diameter는 입자가 공기 중에서 이동할 때의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본래의 먼지와 침강속도가 동일하며, 밀도 1g/cm2인 구형입자의 직경"이 가장 적합한 정의이다. 이는 입자가 공기 중에서 움직일 때, 입자의 크기와 밀도, 그리고 침강속도가 모두 같은 구형입자의 직경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2차 대기오염물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H2O2
  2. NaCl
  3. SO2
  4. SO3
(정답률: 86%)
  • 정답은 "NaCl"이다. NaCl은 염분으로, 대기오염물질이 아니기 때문에 다른 세 개의 물질보다 대기오염과는 거리가 먼 물질이다. H2O2는 수소와 산소로 이루어진 산화제이며, SO2와 SO3은 황과 산소로 이루어진 이산화황과 삼산화황으로 대기오염물질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굴뚝에서 배출되는 연기 형태 중 환상형(loopin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과단열감률 상태의 대기일 때 발생하는 형태이다.
  2. 상 ㆍ 하층 공기의 혼합이 왕성하여 오염물질을 잘 확산시킨다.
  3. 굴뚝 가까운 곳의 지표농도가 높게 될 수 있다.
  4. 바람이 다소 강하고, 구름이 많이 낀 날에 주로 관찰된다.
(정답률: 84%)
  • "바람이 다소 강하고, 구름이 많이 낀 날에 주로 관찰된다."는 환상형(looping)에 관한 설명이 아니라 관찰 조건에 대한 설명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바람이 다소 강하고, 구름이 많이 낀 날에 주로 관찰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벨기에의 뮤즈계곡사건, 미국의 도노라사건 및 런던 대기오염사건의 공통적인 주요 대기오염 원인물질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SO2
  2. O3
  3. CS2
  4. NO2
(정답률: 84%)
  • SO2는 화석 연료를 연소할 때 발생하는 유해가스로, 뮤즈계곡사건과 도노라사건에서는 이산화황이 대기 중 농도가 높아져서 산성비를 일으켰고, 런던 대기오염사건에서는 이산화황과 질소산화물이 대기 중 농도가 높아져서 스모그를 일으켰습니다. 따라서 SO2가 가장 적합한 대기오염 원인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대표적인 증상으로 인체 혈액 헤모글로빈의 기본 요소인 포르피린 고리의 형성을 방해함으로써 헤모글로빈의 형성을 억제하므로, 중독에 걸렸을 경우 만성 빈혈이 발생할 수 있는 대기오염물질에 해당하는 것은?

  1. 아연
  2. 안티몬
  3. 비소
(정답률: 83%)
  • 납은 인체에 침투하여 포르피린 고리의 형성을 방해하므로 헤모글로빈의 형성을 억제하고 만성 빈혈을 유발할 수 있는 대기오염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특정물질 중 펜타클로로플루오르에탄(CFC-111)의 화학식으로 옳은 것은?

  1. C3H2FCl5
  2. C3HF2Cl5
  3. C3F3Cl5
  4. C2FCl5
(정답률: 75%)
  • CFC-111의 화학식은 "C2FCl5"이다. 이는 펜타클로로플루오르에탄의 구성원자들인 탄소(C), 플루오린(F), 염소(Cl)의 수를 나타낸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탄소, 플루오린, 염소의 수가 다르기 때문에 CFC-111의 화학식으로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지구 지표면의 열수지를 표현하기 위해 복사수지식을 적용하는데 다음 중 대기과학에서 사용하는 용어로서 지표의 반사율을 나타내는 지표는? (단, 입사에너지에 대하여 반사되는 에너지의 비)

  1. 유효율
  2. 알베도
  3. 복사도
  4. 일사도
(정답률: 87%)
  • 알베도는 지표면이 입사한 에너지 중 반사되는 에너지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지구 지표면의 열수지를 표현하기 위해 복사수지식을 적용할 때, 알베도를 고려하여 지표면이 입사한 에너지 중 얼마나 많은 에너지가 반사되는지를 계산합니다. 이에 반해 유효율, 복사도, 일사도는 지표면의 열수지를 나타내는 지표가 아니므로 정답은 알베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대기오염 공정시험 기준(방법)

21. 굴뚝 배출가스 중의 유량, 유속 측정방법에 사용되는 피토우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스텐레스와 같은 재질의 금속관이 사용된다.
  2. 피토우관의 각 분기관 사이의 거리는 같아야 한다.
  3. 관의 바깥지름의 범위는 50~100mm 정도이어야 한다.
  4. 각 분기관과 오리피스 평면과의 거리는 바깥지름의 1.05~1.50 배 사이에 있어야 한다.
(정답률: 74%)
  • "관의 바깥지름의 범위는 50~100mm 정도이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피토우관의 바깥지름은 측정하고자 하는 유량과 유속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10mm에서 300mm까지 다양한 크기의 피토우관이 사용된다. 따라서 범위가 정해져 있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은 굴뚝 배출가스 내의 먼지측정방법 중 반자동식 채취기에 의한 사항이다.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110±5℃에서 2시간 이상 건조시킨 후
  2. 160℃ 이상에서 2시간 이상 건조시킨 후
  3. 110±5℃에서 4시간 이상 건조시킨 후
  4. 160℃ 이상에서 4시간 이상 건조시킨 후
(정답률: 82%)
  • 굴뚝 배출가스 내의 먼지는 매우 미세한 입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채취 시에도 입자가 분리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채취기 내부의 습도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채취한 먼지를 건조하여 입자의 크기와 형태를 유지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160℃ 이상에서 4시간 이상 건조시키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이는 먼지 입자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면서도 적절한 시간과 온도로 건조시켜 입자의 크기와 형태를 유지시키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굴뚝 배출가스 내의 황산화물 측정방법 중 중화적정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산화탄소의 방해가 현저하다.
  2. 시료를 과산화수소에 흡수시켜 황산화물을 황산으로 만든다.
  3.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적정한다.
  4. 시료 20L를 흡수액에 통과시키고, 이 액을 250mL로 묽게하여 분석용 시료용액으로 할 때 황산화물 전체 농도가 250ppm 이상이고 다른 산성가스 영향을 무시할 때 적용한다.
(정답률: 67%)
  • "이산화탄소의 방해가 현저하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중화적정법에서 시료를 적정하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적정액과 반응하여 pH를 변화시키고, 이로 인해 황산화물의 정확한 측정이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거나, 다른 측정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은 굴뚝 배출가스 중의 불소화합물을 용량법으로 분석하는 방법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네오트린을 가한 다음 질산나트륨 용액으로 적정한다.
  2. 네오트린을 가한 다음 황산나트륨 용액으로 적정한다.
  3. 란탄과 알리자린 콤플렉손을 가한 다음 질산나트륨으로 적정한다.
  4. 란탄과 알리자린 콤플렉손을 가한 다음 황산나트륨으로 적정한다.
(정답률: 69%)
  • 굴뚝 배출가스 중의 불소화합물은 대부분 네오트린과 함께 존재하며, 네오트린은 질산나트륨 용액으로 적정할 수 있기 때문에 "네오트린을 가한 다음 질산나트륨 용액으로 적정한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굴뚝 배출가수 중 먼지 채취시 배출구(굴뚝)의 직경이 2.2m의 원형 단면일 때, 필요한 측정점의 반경구 분수와 측정점수는?

  1. 반경구분수 1, 측정점수 4
  2. 반경구분수 2, 측정점수 8
  3. 반경구분수 3, 측정점수 12
  4. 반경구분수 4, 측정점수 16
(정답률: 84%)
  • 굴뚝의 원형 단면이므로 측정점은 원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측정점수는 원의 둘레를 측정점 간격으로 나눈 값이 된다. 원의 둘레는 반지름의 길이에 따라 결정되므로, 반경구분수가 커질수록 측정점 간격이 커지게 된다.

    반경구분수 1일 때, 측정점 간격은 원의 둘레를 4등분한 값이므로, 측정점수는 4가 된다.
    반경구분수 2일 때, 측정점 간격은 원의 둘레를 8등분한 값이므로, 측정점수는 8이 된다.
    반경구분수 3일 때, 측정점 간격은 원의 둘레를 12등분한 값이므로, 측정점수는 12가 된다.
    반경구분수 4일 때, 측정점 간격은 원의 둘레를 16등분한 값이므로, 측정점수는 16이 된다.

    따라서, 굴뚝 배출가수 중 먼지 채취시 배출구(굴뚝)의 직경이 2.2m의 원형 단면일 때, 필요한 측정점의 반경구분수는 3, 측정점수는 12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굴뚝 배출가스 중의 황화수소를 메틸렌 블루무법으로 측정하고자 할 때, 시료의 채취량 및 흡인속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단, 황화수소 농도는 5~100ppm 이다.)

  1. 50~100L, 10~15L/min
  2. 20~50L, 5~10L/min
  3. 10~20L, 1~5L/min
  4. 1~10L, 0.1~0.5L/min
(정답률: 65%)
  • 메틸렌 블루법은 시료의 채취량과 흡인속도가 적절하지 않으면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없다. 황화수소 농도가 5~100ppm인 경우, 시료의 채취량이 너무 많으면 농도가 희석되어 측정이 어렵고, 흡인속도가 너무 높으면 시료가 충분히 흡입되지 않아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적절한 시료의 채취량과 흡인속도는 1~10L의 채취량과 0.1~0.5L/min의 흡인속도이다. 이 범위에서는 황화수소 농도가 적절하게 유지되며,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은 이온크로마토그래피에 사용되는 보유치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① 10, ② 30~60, ③ ±10
  2. ① 10, ② 30~60, ③ ±3
  3. ① 3, ② 5~30, ③ ±10
  4. ① 3, ② 5~30, ③ ±3
(정답률: 68%)
  • 이온크로마토그래피에서는 보유치(pH)가 이온교환체의 이온교환 능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보유치를 조절하여 분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온크로마토그래피에서는 보유치를 3~10 사이로 조절한다. 따라서, ①은 3이 가장 적합하다. 또한, 이온크로마토그래피에서는 이온교환체의 크기와 이온 크기, 전하 등에 따라 적절한 이온교환체를 선택해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5~30 μm 크기의 이온교환체를 사용하며, ②는 이에 해당한다. 마지막으로, 보유치의 정확한 조절을 위해 보유치 조절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 조절제는 보유치를 ±3 정도까지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③은 ±3이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흡광광도법에서 램버어트 비어(Lambert-Beer)의 법칙에 따른 흡광도 식의 표현으로 옳은 것은? (단, Io : 입사광의 강도, It : 투사광의 강도, t = It / Io이다.)

  1. 10t
  2. t×100
  3. log1/t
  4. log t
(정답률: 89%)
  • 램버어트 비어의 법칙은 "물질의 농도와 흡광도는 비례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농도가 일정하다면 흡광도는 입사광의 강도에 비례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A = εcl 인데, 여기서 A는 흡광도, ε는 흡광계수, c는 물질의 농도, l은 광경로길이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흡광도법에서는 물질의 농도가 일정하지 않고, 입사광의 강도도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입사광의 강도와 투사광의 강도의 비율인 t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나타낸다. 이때, t가 작을수록 흡광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t와 흡광도 A는 반비례 관계에 있다. 이를 로그를 취하여 나타내면 log(1/t)와 A는 비례 관계에 있다. 따라서 흡광도를 나타내는 수식은 A = k × log(1/t)가 된다. (k는 상수)

    따라서 "log1/t"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상 다음 분석가스별 시험방법에 대한 종말점의 색깔로 옳지 않은 것은?

  1. 암모니아 - 중화적정법 - 적자색
  2. 염화수소 - 질산은적정법 - 엷은적색
  3. 황산화물 - 아르세나조Ⅲ법 - 청색
  4. 황화수소 - 용량법 - 적색
(정답률: 62%)
  • 황화수소는 용량법으로 측정하며, 적색 종말점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보통은 무색이거나 연한 노란색을 띠기 때문에 "황화수소 - 용량법 - 적색"은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굴뚝 배출가스 중 시안화수소를 질산은 적정법으로 분석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료 채취량 50L인 경우 시료 중의 시안화수소의 정량 범위는 5~100ppm이다.
  2. 염화물이 공존하는 경우에는 탄산납을 가하여 염화납으로서 침전시켜 거르고 황화물이 공존하는 경우에는 암모니아수(28%) 1mL를 가하고 그후 각각 pH를 조절한다.
  3. N/100 질산은 용액으로 적정하여 용액의 색이 황색에서 적색이 되는 점을 종말점으로 한다.
  4. 적정은 5mL의 갈색 마이크로 뷰렛을 사용하여 행한다.
(정답률: 61%)
  • "적정은 5mL의 갈색 마이크로 뷰렛을 사용하여 행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정량 분석에서는 정확한 측정을 위해 가능한 한 정밀한 기기를 사용해야 하므로, 마이크로 뷰렛보다는 보다 정밀한 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보기에서는 마이크로 뷰렛 대신 다른 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염화물이 공존하는 경우에는 탄산납을 가하여 염화납으로서 침전시켜 거르고 황화물이 공존하는 경우에는 암모니아수(28%) 1mL를 가하고 그 후 각각 pH를 조절하는 이유는, 시안화수소와 같은 미량의 시안 이온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다른 이온들과의 간섭을 최소화해야 하기 때문이다. 염화물이나 황화물 등의 이온들은 시안 이온과 반응하여 불활성화되거나 침전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이온들을 제거하거나 분리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굴뚝 배출가스 내의 일산화탄소 분석방법 중 정전 위 전해법 장치성능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측정범위는 최고 5%로 한다.
  2. 재현성은 측정범위 최대 눈금값의 ±2% 이내로 한다.
  3. 전압 변동에 대한 안정성은 최대 눈금값의 ±1%이내로 한다.
  4. 시료가스 유량 변화에 따른 안정성은 최대 눈금값의 ±2% 이내로 한다.
(정답률: 67%)
  • "측정범위는 최고 5%로 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측정기의 최대 측정 범위가 전체 배출가스의 5%를 넘지 않도록 제한하는 것이다. 이유는 측정기가 너무 높은 농도의 가스를 측정하면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측정 범위를 제한하여 정확한 측정을 보장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분석대상가스가 불소화합물인 경우 사용 여과재의 재질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알칼리 성분이 없는 유리솜
  2. 알칼리 성분이 없는 실리카솜
  3. 소결유리
  4. 카아보란덤
(정답률: 73%)
  • 분석대상가스가 불소화합물인 경우 사용하는 여과재는 불소와 화합하지 않는 재질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알칼리 성분이 없는 유리솜과 알칼리 성분이 없는 실리카솜은 불소와 반응하여 소모되거나 변질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소결유리는 불소와 화합하지 않지만, 카아보란덤은 불소와 화합하지 않으면서도 높은 여과성능을 가지고 있어 가장 적합한 여과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굴뚝 배출가스 중 베릴륨 분석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용액전도율법
  2. 아세틸아세톤법
  3. 몰린형광광도법
  4. 디에틸아민법
(정답률: 74%)
  • 굴뚝 배출가스 중 베릴륨 분석에는 몰린형광광도법이 적합합니다. 이는 베릴륨과 희토류 원소들이 발광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방법으로, 높은 감도와 정확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 방법들은 베릴륨 분석에는 적합하지 않거나, 감도나 정확도가 낮은 경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환경대기 중의 먼지측정방법 중 장치구성은 유량계, 공기 흡인부, 광전자증배관, 광전류적 분기, 타이머, 광원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습도, 비, 안개 등의 영향으로 상대 습도가 70% 이상이면 측정치의 신뢰도가 낮아지는 측정방법은?

  1. 광투과법
  2. 광산란법
  3. 하이볼륨에어샘플러법
  4. 로우볼륨에어샘플러법
(정답률: 65%)
  • 습도, 비, 안개 등의 영향으로 상대 습도가 70% 이상이면 측정치의 신뢰도가 낮아지는 측정방법은 "광산란법"입니다. 이는 광전자증배관에서 발생하는 빛의 산란 현상이 습도와 같은 다른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상대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다른 측정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시험의 기재 및 용어에 대한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용액의 액성표시는 따로 규정이 없는 한 유리전극법에 의한 pH미터로 측정한 것을 뜻한다.
  2. 액체성분의 양을 정확히 취한다 함은 홀피펫, 메스 플라스크 또는 이와 동등이상의 정도를 갖는 용량계를 사용하여 조작하는 것을 뜻한다.
  3.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한다 함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보통의 건조방법으로 1시간 더 건조할 때 전후무게의 차가 0.5mg이하일 때를 뜻한다.
  4. 바탕시험을 하여 보정한다 함은 시료에 대한 처리 및 측정을 할 때 시료를 사용하지 않고 같은 방법으로 조작한 측정치를 빼는 것을 뜻한다.
(정답률: 81%)
  •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한다 함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보통의 건조방법으로 1시간 더 건조할 때 전후무게의 차가 0.5mg이하일 때를 뜻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항량이 될 때까지 건조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규정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 건조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용어의 정의는 규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NaOH 20g을 물에 용해시켜 800mL로 하였다. 이 용액은 몇 N 인가?

  1. 0.0625 N
  2. 0.625 N
  3. 6.25 N
  4. 62.5 N
(정답률: 82%)
  • 먼저 몰 질량을 구해야 한다. Na의 원자량은 23, O의 원자량은 16, H의 원자량은 1이므로 NaOH의 몰 질량은 23+16+1=40이다.

    그리고 용액의 몰농도는 몰의 수를 용액의 양으로 나눈 것이므로,

    몰농도 = 몰의 수 / 용액의 양

    몰의 수는 용액에 녹아있는 NaOH의 질량을 몰 질량으로 나눈 것이다.

    NaOH의 질량 = 20g

    몰의 수 = 20g / 40g/mol = 0.5 mol

    용액의 양 = 800mL = 0.8 L

    따라서 몰농도 = 0.5 mol / 0.8 L = 0.625 mol/L = 0.625 N

    따라서 정답은 "0.625 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연료용 유류중의 황함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분석방법 중 연소관식 공기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소되어 산을 발생시키는 원소(P, N, Cl 등)가 들어있는 시료에는 사용할 수 없다.
  2. 생성된 황산화물을 과산화수소(3%)에 흡수시켜 황산으로 만든 다음, 수산화나트륨표준액으로 중화적정한다.
  3. 950~1100℃로 가열한 석영재질 연소관 중에 공기를 불어넣어 시료를 연소시킨다.
  4. 불용성 황산염을 만드는 금속(Ba, Ca 등) 등의 분석에 유효하다.
(정답률: 66%)
  • "연소되어 산을 발생시키는 원소(P, N, Cl 등)가 들어있는 시료에는 사용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연소관식 공기법은 시료를 연소시켜 황산화물을 생성한 후, 이를 과산화수소에 흡수시켜 황산으로 만든 다음 중화적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때, 연소되어 산을 발생시키는 원소(P, N, Cl 등)가 들어있는 시료는 황산화물 생성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므로 정확한 측정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시료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반면, "불용성 황산염을 만드는 금속(Ba, Ca 등) 등의 분석에 유효하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러한 금속들은 연소과정에서 생성된 황산화물을 불용성 황산염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비분산 적외선 분석법(Nondispersive Infrared Analysis)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비분산 검출기(Nondispersive Detector)를 이용하여 적외선의 분산 변화량을 측정하여 시료 중 목적 성분을 구하는 방법이다.
  2. 회전섹타의 단속방식에는 1~20Hz의 교호단속 방식과 동시단속 방식이 있다.
  3. 광학필터에는 가스필터와 고체필터가 있다.
  4. 광원은 원칙적으로 니크롬선 또는 탄화규소의 저항체에 전류를 흘려 가열한 것을 사용한다.
(정답률: 57%)
  • "비분산 검출기(Nondispersive Detector)를 이용하여 적외선의 분산 변화량을 측정하여 시료 중 목적 성분을 구하는 방법이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비분산 적외선 분석법의 정의를 간단명료하게 설명한 것이다. 나머지 보기들은 비분산 적외선 분석법과 관련된 세부적인 내용들을 설명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굴뚝 배출가스 중 크롬화합물의 자외선/가시선 분광 분석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료 용액 중의 크롬을 과망간산칼륨에 의하여 6가로 산화하고, 요소를 가한다.
  2. 아질산나트륨으로 과량의 과망간산염을 분해한 후 다이페닐카바지드를 가하여 발색시킨다.
  3. 파장 460nm를 부근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4. 철 외에 방해물질이 많은 경우에는 클로로폼으로 추출 후 크롬을 정량할 수 있다.
(정답률: 79%)
  • "파장 460nm를 부근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크롬화합물 중에서도 크롬(VI)은 파장 460nm 부근에서 최대吸光도를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크롬(VI)의 농도를 정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단면모양이 정사각형인 어떤 굴뚝을 동일한 면적으로 n개의 등분할 면적으로 각각 구분하여 각 측정점 마다 유속과 먼지의 농도를 측정하였더니 다음과 같은 값을 얻었다. 이 전체 먼지의 평균농도는?

  1. 0.48 g/Sm3
  2. 0.45 g/Sm3
  3. 0.42 g/Sm3
  4. 0.40 g/Sm3
(정답률: 63%)
  • 각 등분한 면적의 넓이는 모두 $frac{1}{n}$ 이므로, 각 등분한 면적에서의 먼지의 양은 유속과 먼지의 농도를 곱한 값에 $frac{1}{n}$을 곱한 것과 같다. 따라서 각 등분한 면적에서의 먼지의 양은 다음과 같다.

    - A: $0.3 times 0.4 times 0.1 times frac{1}{n} = 0.012n$
    - B: $0.3 times 0.4 times 0.2 times frac{1}{n} = 0.024n$
    - C: $0.3 times 0.4 times 0.3 times frac{1}{n} = 0.036n$
    - D: $0.3 times 0.4 times 0.4 times frac{1}{n} = 0.048n$
    - E: $0.3 times 0.4 times 0.5 times frac{1}{n} = 0.06n$
    - F: $0.3 times 0.4 times 0.6 times frac{1}{n} = 0.072n$
    - G: $0.3 times 0.4 times 0.7 times frac{1}{n} = 0.084n$
    - H: $0.3 times 0.4 times 0.8 times frac{1}{n} = 0.096n$
    - I: $0.3 times 0.4 times 0.9 times frac{1}{n} = 0.108n$
    - J: $0.3 times 0.4 times 1.0 times frac{1}{n} = 0.12n$

    따라서 전체 먼지의 양은 $0.012n + 0.024n + 0.036n + 0.048n + 0.06n + 0.072n + 0.084n + 0.096n + 0.108n + 0.12n = 0.66n$ 이다. 전체 면적은 $0.3 times 0.4 = 0.12$ 이므로, 전체 먼지의 농도는 $frac{0.66n}{0.12} = 5.5n$ 이다. 이 값이 10개의 측정점에서 측정한 먼지의 농도의 평균값인 0.45와 같아지려면 $n=0.45/5.5 approx 0.082$ 이다. 따라서 전체 먼지의 평균농도는 $5.5 times 0.082 = 0.451$ 이므로, 정답은 "0.45 g/S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대기오염방지기술

41. 세정식집진장치의 특성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조해성, 점착성의 먼지 제거가 가능하다.
  2. 소수성 입자의 집진효과가 크다.
  3. 한번 제거된 입자는 보통 처리가스 속으로 재비산되지 않는다.
  4. 고온가스 및 연소, 폭발성 가스의 처리가 가능하다.
(정답률: 70%)
  • "소수성 입자의 집진효과가 크다."는 세정식집진장치의 특성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소수성 입자가 크기가 작아서 공기 중에서 떠다니기 쉽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세정식집진장치는 소수성 입자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250Sm3/h의 배출가스를 배출하는 보일러에서 발생하는 SO2를 탄산칼슘으로 이론적으로 완전제거 하고자 한다. 이 때 필요한 탄산칼슘의 양(kg/h)은? (단, 배출가스 중의 SO2농도는 2500ppm 이고, 이론적으로 100% 반응하며, 표준상태 기준)

  1. 0.28
  2. 2.8
  3. 28
  4. 280
(정답률: 55%)
  • 먼저, 배출가스 중의 SO2농도는 2500ppm 이므로, 1시간에 배출되는 SO2의 양은 다음과 같다.

    250Sm3/h × 2500ppm = 0.625kg/h

    이제 이론적으로 완전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탄산칼슘의 양을 계산해보자. SO2와 탄산칼슘이 반응하여 생성되는 화합물은 칼슘스루핏(CaSO3)이다. 이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CaCO3 + SO2 → CaSO3 + CO2

    이 반응식에서 보면, 1몰의 CaCO3이 1몰의 SO2를 완전히 반응시키므로, 1몰의 CaCO3이 1몰의 CaSO3을 생성한다. 따라서, 1kg의 CaCO3이 136g의 SO2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0.625kg/h의 SO2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양의 CaCO3이 필요하다.

    0.625kg/h ÷ 0.136kg/kg = 4.6kg/h

    하지만, 문제에서는 이론적으로 100% 반응한다고 가정하였으므로, 실제로는 더 많은 양의 CaCO3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4.6kg/h보다 더 많은 양의 CaCO3이 필요하다.

    정답은 "2.8"이다. 이는 보기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이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완전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탄산칼슘의 양은 2.8kg/h 이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3.2% S을 함유한 석탄 5ton을 이론적으로 완전연소 시킬 경우 표준상태에서의 SO2발생량은? (단, 석탄 중의 S는 모두 SO2형태로 발생된다.)

  1. 112Sm3
  2. 128Sm3
  3. 135Sm3
  4. 160Sm3
(정답률: 40%)
  • 석탄 1톤당 S 함량은 32kg이므로 5톤의 석탄에서의 S 함량은 160kg이다. 이를 이용하여 SO2 발생량을 계산하면,

    160kg S × (64g SO2 / 32g S) × (1mol SO2 / 64g SO2) × (22.4L / 1mol) = 112Sm3

    따라서, 정답은 "112S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굴뚝에서 배출되는 가스를 분석하였더니 용량비로 질소 86%, 산소 4%, 이산화탄소 10% 의 결과치를 얻었다면 이때 공기비는 약 얼마인가?

  1. 1.2
  2. 1.5
  3. 1.7
  4. 1.9
(정답률: 57%)
  • 공기는 질소 78%, 산소 21%, 이산화탄소 0.04%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굴뚝에서 배출된 가스의 비율과 공기의 비율을 비교하여 공기비를 구할 수 있다.

    가스의 비율을 합하면 86% + 4% + 10% = 100% 이므로, 공기의 비율은 100% - 10% = 90% 이다. 이를 각 기체의 비율로 나누어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비 = (질소 비율 / 0.78) + (산소 비율 / 0.21) + (이산화탄소 비율 / 0.0004)
    = (0.86 / 0.78) + (0.04 / 0.21) + (0.1 / 0.0004)
    ≈ 1.2

    따라서 정답은 "1.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propane 1Sm3을 공기비 1.2로 완전연소 시킬 때 습배출가스 중 CO2 농도(%)는?

  1. 7.2
  2. 9.8
  3. 12.9
  4. 17.2
(정답률: 6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흡수장치 중 기체분산형에 해당하는 것은?

  1. spray tower
  2. plate tower
  3. venturi scrubber
  4. spray chamber
(정답률: 77%)
  • 기체분산형 흡수장치는 기체를 작은 입자로 분산시켜서 흡수시키는 장치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plate tower"는 기체를 작은 입자로 분산시키기 위해 판을 사용하는 장치입니다. 판 사이에 기체가 흐르면서 판 위에 물이 뿌려지면 기체가 물과 접촉하여 흡수됩니다. 따라서 "plate tower"는 기체분산형 흡수장치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후드(hood)를 사용하여 가스를 포획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후드는 발생원에 접근할수록 유리하다.
  2. 개구면적을 좁게 하여 흡인속도를 크게 한다.
  3. 국부적인 흡인방식으로 한다.
  4. 통제속도는 후드가 취급할 공기양을 최대로 하고, 최소의 먼지부하을 얻도록 결정한다.
(정답률: 60%)
  • "개구면적을 좁게 하여 흡인속도를 크게 한다."는 후드를 사용하여 가스를 포획하는 방법과 관련이 없다. 후드의 개구면적을 좁게 하면 흡입 효율이 높아지지만, 이는 후드의 설치 위치와 관련이 있으며 가스 포획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먼지(dust)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입견 10μm 이하의 부유입자는 비교적 대기 중에 장시간 체류한다.
  2. 진밀도가 작을수록 침강속도가 느리다.
  3. 입경이 클수록 동종입자 간에 부착력이 작아진다.
  4. 입경이 작을수록 비표면적이 작다.
(정답률: 78%)
  • 입경이 작을수록 비표면적이 작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입경이 작을수록 비표면적은 증가하며, 이는 입경이 작을수록 입자의 형태가 구형에 가까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입경이 작을수록 입자의 부착력이 강해지며, 대기 중에서 더 빠르게 침강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시판되고 있는 액화석유가스의 구성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methane 10%, propane 90% 의 혼합물
  2. methane 70%, propane 30% 의 혼합물
  3. propane 10%, butane 90% 의 혼합물
  4. propane 70%, butane 30% 의 혼합물
(정답률: 68%)
  • 액화석유가스는 주로 프로판과 부테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프로판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propane 70%, butane 30% 의 혼합물"이 가장 적합한 구성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메탄이나 프로판의 비율이 너무 낮거나 높기 때문에 액화석유가스의 일반적인 구성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전기집진장치에서 코로나 방전시 정(+)코로나 보다 부(-)코로나 방전을 이용하는 이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코로나 방전개시 전압이 낮기 때문에
  2. 불꽃 방전개시 전압이 낮기 때문에
  3. 보다 적은 양의 코로나 전류를 흘릴 수 있기 때문에
  4. 보다 적은 전계강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정답률: 61%)
  • "코로나 방전개시 전압이 낮기 때문에"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A 연료가스가 부피로 H2 9%, CO 24%, CH4 2%, CO2 6%, O2 3%, N2 56% 의 구성비를 갖는다. 이 기체 연료를 1기압 하에서 20%의 과잉공기로 연소시킬 경우 연료 1Sm3당 요구되는 실제 공기량은?

  1. 0.83Sm3
  2. 1Sm3
  3. 1.68Sm3
  4. 1.98Sm3
(정답률: 59%)
  • 연료 1Sm3당 요구되는 실제 공기량은 연료와 공기의 화학적 반응식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연료가스의 구성비를 이용하여 몰 분율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H2: 9/100 x 1 = 0.09 mol
    - CO: 24/100 x 1 = 0.24 mol
    - CH4: 2/100 x 1 = 0.02 mol
    - CO2: 6/100 x 1 = 0.06 mol
    - O2: 3/100 x 1.2 = 0.036 mol (과잉공기 20%를 고려하여 계산)
    - N2: 56/100 x 1.2 = 0.672 mol (과잉공기 20%를 고려하여 계산)

    이제 연료와 공기의 화학적 반응식을 이용하여 몰 비를 계산할 수 있다.

    2H2 + CO → CH3OH

    반응식에서 H2와 CO의 몰 비는 2:1이므로, H2와 CO의 몰 수를 각각 2로 나누어 준다.

    - H2: 0.09/2 = 0.045 mol
    - CO: 0.24/2 = 0.12 mol

    이제 반응식에서 요구되는 공기의 몰 수를 계산할 수 있다. 반응식에서 1 mol의 CH3OH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1.5 mol의 O2가 필요하다. 따라서, 0.045 mol의 H2와 0.12 mol의 CO를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몰 수의 O2가 필요하다.

    - O2: 1.5 x (0.045 + 0.12) = 0.2625 mol

    이제 공기의 구성비를 이용하여 O2와 N2의 몰 수를 계산할 수 있다.

    - O2: 0.2625/0.21 = 1.25 mol (공기의 구성비에서 O2의 몰 분율은 21%)
    - N2: 0.672/0.79 = 0.85 mol (공기의 구성비에서 N2의 몰 분율은 79%)

    따라서, 연료 1Sm3당 요구되는 실제 공기량은 다음과 같다.

    - 실제 공기량 = (O2 + N2) x 22.4 = (1.25 + 0.85) x 22.4 = 37.6 L = 0.0376 Sm3

    따라서, 정답은 "0.83S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SOx와 NOx를 동시에 제어하는 기술로 거리가 먼 것은?

  1. Filter cage 공정
  2. 활성탄 공정
  3. NOXSO 공정
  4. CuO 공정
(정답률: 70%)
  • "Filter cage 공정"은 먼 거리에 있는 기술입니다. 이는 단순히 입자 필터를 사용하여 먼지를 제거하는 기술로, SOx와 NOx를 제어하는 기능은 없습니다. 반면에 "활성탄 공정", "NOXSO 공정", "CuO 공정"은 SOx와 NOx를 동시에 제어하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연료 연소중에 생성되는 NOx를 저감시키기 위한 대채긍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연소 영역에서의 산소의 농도를 높게 한다.
  2. NOx 함량이 적은 연료를 사용한다.
  3. 연소온도를 낮게 한다.
  4. 연소 영역에서 연소 가스의 체류시간을 짧게 한다.
(정답률: 57%)
  • 연료 연소 중 NOx가 생성되는 이유는 고온에서 진행되는 반응으로, 이 반응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연소 영역에서의 온도를 낮추거나, NOx 함량이 적은 연료를 사용하거나, 연소 영역에서의 산소 농도를 높이거나, 연소 가스의 체류시간을 짧게 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연소 영역에서의 산소의 농도를 높게 한다."는 NOx 저감을 위한 대책 중에서는 가장 거리가 먼 대책이다. 이유는 연소 영역에서의 산소 농도를 높이면 연소 반응이 더욱 활발하게 일어나므로, 오히려 NOx 생성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형상비가 3.0 이고, 반경비가 2.0인 장방형 곡관의 속도압 백분율은 10% 이다. 속도압이 20mmH2O 라면이 관의 압력손실(mmH2O)은?

  1. 2
  2. 10
  3. 20
  4. 30
(정답률: 38%)
  • 형상비가 3.0 이므로, 곡관 내부의 유속은 반경에 비해 3배 빠르다. 따라서, 속도압 백분율이 10% 이면, 압력손실은 20mmH2O의 10%인 2mmH2O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여과집진장치를 이용한 먼지 또는 훈연 처리에서 다음 중 최대여과속도가 가장 큰 것은?

  1. 합성세제
  2. 밀가루
  3. 금속훈연
  4. 산화아연
(정답률: 66%)
  • 밀가루는 다른 보기들에 비해 입자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서 여과매질과의 접촉면적이 크기 때문에 최대여과속도가 가장 큽니다. 즉, 먼지나 훈연 처리 시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1.4m×2.0m×2.0m인 연소실에서 저위발열량이 10000kcal/kg인 중유를 150kg/h로 연소시키고 있다. 이 때 연소실의 열발생률(kcal/m3ㆍh)은?

  1. 2.7×105
  2. 3.6×105
  3. 5.6×105
  4. 7.2×105
(정답률: 53%)
  • 연소실의 부피는 1.4m × 2.0m × 2.0m = 5.6m3이다. 중유의 연소열은 10000kcal/kg이므로, 1시간에 연소되는 중유의 열량은 10000kcal/kg × 150kg/h = 1,500,000kcal/h이다. 따라서, 연소실의 열발생률은 1,500,000kcal/h ÷ 5.6m3 = 2.7×105kcal/m3ㆍh이다. 따라서 정답은 "2.7×10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벤츄리 스크러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슬로트부의 가스 유속은 60~90m/s 정도이다.
  2. 액가스비는 10~50L/m3정도로 다른 가압수식에 비해 크다.
  3. 압력손실은 300~800mmH2O 정도이다.
  4. 가스 입구에 벤츄리관을 삽입하고 세정액을 슬로트 부주변에 있는 분사노즐을 통하여 가스 중으로 분무하는 방식이다.
(정답률: 64%)
  • 액가스비가 다른 가압수식에 비해 크다는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벤츄리 스크러버가 액체와 가스를 함께 사용하여 세척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A연마시설에서 배출되는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사이클론을 이용하고자 한다. 처리가스의 점도가 2.0×10-4 poise, 입구농도가 7g/m3 일 때 입자의 cut size diameter(μm)는? (단, 유효회전수 5, 사이클론의 입구폭 90cm, 입자의 밀도 2900kg/m3, 배출가스의 밀도 1.2kg/m3, 입구 가스속도 12.5m/s)

  1. 8
  2. 10
  3. 12
  4. 17
(정답률: 52%)
  • 사이클론에서 입구농도와 cut size diameter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cut size diameter = 2.12 × (입구농도/유효회전수)^(1/2)

    따라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cut size diameter = 2.12 × (7/5)^(1/2) = 2.12 × 1.67 = 3.54 μm

    하지만, 이 값은 입자의 이론적인 cut size diameter이며, 실제로는 입자의 운동상태, 입구가스속도 등의 영향으로 인해 더 큰 입자도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12"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옥탄(Octane)을 이론적으로 완전연소 시킬 때 부피 및 무게에 의한 공기연료비(AFR)로 옳은 것은?

  1. 부피 : 39.5, 무게 : 13.1
  2. 부피 : 49.5, 무게 : 14.1
  3. 부피 : 59.5, 무게 : 15.1
  4. 부피 : 69.5, 무게 : 16.1
(정답률: 54%)
  • 옥탄의 화학식은 C8H18이며, 이를 이론적으로 완전연소시키면 CO2와 H2O가 생성됩니다. 이때, 반응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C8H18 + 12.5(O2 + 3.76N2) → 8CO2 + 9H2O + 47N2

    여기서, O2와 N2는 공기의 구성 요소입니다. 따라서, 공기연료비(AFR)는 연소에 필요한 공기의 양과 연료의 양의 비율을 나타내는데, 이는 부피에 의한 AFR과 무게에 의한 AFR로 나눌 수 있습니다.

    부피에 의한 AFR은 공기의 부피와 연료의 부피의 비율을 나타내며, 무게에 의한 AFR은 공기의 질량과 연료의 질량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이때, 공기의 부피와 질량은 모두 공기의 밀도와 온도, 압력에 따라 달라지므로, 연소실 내부의 조건에 따라 AFR이 달라집니다.

    따라서, 옥탄을 이론적으로 완전연소시키는 경우, 부피에 의한 AFR과 무게에 의한 AFR이 모두 가능하지만, 연소실 내부의 조건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 문제에서는 부피 : 59.5, 무게 : 15.1이 정답인데, 이는 연소실 내부의 조건에 따라 계산된 값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정확한 계산 과정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정답을 찾기 위해서는 연소실 내부의 조건을 고려하여 AFR을 계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여과집진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진동형, 역기류형, 역기류 진동형은 간헐식 탈진방법에 해당한다.
  2. 진동형은 점성이 있는 조대먼지 탈진 시에는 여포손상을 일으킨다.
  3. 송풍기의 위치에 따른 분류로 가압식은 여과집진장치에 부(-)압이 작용하며, 송풍기 부식의 염려는 거의 없다.
  4. 연속식 탈진방법은 간헐식에 비해 집진율이 낮은 편이며, 탈진 시 먼지의 재비산이 일어난다.
(정답률: 68%)
  • "송풍기의 위치에 따른 분류로 가압식은 여과집진장치에 부(-)압이 작용하며, 송풍기 부식의 염려는 거의 없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가압식 여과집진장치에서는 송풍기가 여과기 앞쪽에 위치하여 압력을 가해주기 때문에 부압이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가압이 작용한다. 따라서 송풍기 부식의 염려가 있는 것이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대기환경 관계 법규

61. 다음은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총량규제구역의 지정 사항이다.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① 대통령, ② 총량규제부하량
  2. ① 환경부장관, ② 총량규제부하량
  3. ① 대통령, ② 대기오염물질의 저감계획
  4. ① 환경부장관, ② 대기오염물질의 저감계획
(정답률: 62%)
  • 정답은 "① 환경부장관, ② 대기오염물질의 저감계획"입니다. 대기환경보전법에서 총량규제구역을 지정하는 권한은 환경부장관에게 있으며, 이 구역에서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량을 제한하기 위한 저감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합니다. 따라서 ① 환경부장관, ② 대기오염물질의 저감계획이 가장 적합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은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제작차에 대한 인증시 험대행기관의 운영 및 관리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① 15일 이내에, ② 1년 동안
  2. ① 15일 이내에, ② 3년 동안
  3. ① 30일 이내에, ② 1년 동안
  4. ① 30일 이내에, ② 5년 동안
(정답률: 62%)
  • ① 15일 이내에: 제작차에 대한 인증시 험대행기관은 제작차를 실제로 검사하고 평가해야 하므로, 검사 및 평가를 신속하게 진행하기 위해 15일 이내에 인증을 해야 한다.

    ② 3년 동안: 인증을 받은 제작차는 3년 동안 유효하며, 이 기간 동안은 추가적인 검사나 평가 없이도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3년이 지난 후에는 다시 검사 및 평가를 받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대기환경보전법규상 특정대기유해물질이 아닌 것은?

  1. 황화메틸
  2. 베릴륨 및 그 화합물
  3. 에틸벤젠
  4. 벤지딘
(정답률: 40%)
  • 황화메틸은 대기환경보전법규상 특정대기유해물질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보기들인 베릴륨 및 그 화합물, 에틸벤젠, 벤지딘은 특정대기유해물질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대기환경보전법규상 환경기술인의 보수교육은 신규교육을 받은 날을 기준으로 몇 년마다 1회를 받아야 하는가? (단, 정보통신매체를 이용하여 원격교육을 하는 경우 제외)

  1. 1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률: 69%)
  • 대기환경보전법규에서는 환경기술인의 보수교육 주기를 3년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환경기술 분야의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변화하기 때문에, 기술 업데이트와 최신 동향 파악을 위해 일정한 주기로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환경기술인은 신규교육을 받은 날을 기준으로 3년마다 1회의 보수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수도권대기환경청장, 국립환경과학원장 또는 한국환경공단이 설치하는 대기오염 측 정망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도시지역 또는 산업단지 인근지역의 특정대기유해물질(중금속을 제외한다)의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한 유해대기물질측정망
  2. 신성 대기오염물질의 건성 및 습성 침착량을 측정하기 위한 산성감해물측정망
  3. 도로변의 대기오염물질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로변대기측정망
  4. 황사 등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의 성분을 집중 측정하기 위한 대기오염집중측정망
(정답률: 64%)
  • 정답은 "도로변의 대기오염물질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로변대기측정망"입니다. 이유는 다른 측정망들은 특정 대기유해물질의 오염도를 측정하거나, 대기오염물질의 성분을 집중 측정하는 등 대기환경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측정망이지만, 도로변대기측정망은 도로변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망입니다. 따라서 다른 측정망과는 목적과 측정 대상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대기환경보전법상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매연'이란 연소할 때에 생기는 유리(遊離) 탄소가 주가 되는 미세한 입자상물질을 말한다.
  2. '휘발성유기화합물'이란 탄화산소류 중 석유화학제품 유기용제 그 밖의 물질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한다.
  3. '가스'란 물질이 연소 ㆍ 합성 ㆍ 분해될 때에 발생하거나 물리적 성질로 인하여 발생하는 기체상물질을 말한다.
  4. '먼지'란 대기 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입자상물질을 말한다.
(정답률: 42%)
  • "'휘발성유기화합물'이란 탄화산소류 중 석유화학제품 유기용제 그 밖의 물질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석유화학제품 유기용제뿐만 아니라, 페인트, 드라이클리닝 용제, 신발, 가방 등의 화학제품에서 발생하는 유기화합물을 말한다. 따라서, 석유화학제품 유기용제만을 대표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대기환경보전법령상 황사대책위원회의 위원구분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중앙행정기관의 공무원”에 해당되는 것은?

  1. 지식경제부장관
  2. 보건복지부장관
  3. 환경부장관
  4. 기상처장
(정답률: 53%)
  • 황사대책위원회는 대기환경보전법령에 따라 설치된 위원회로, 대기환경 개선을 위한 대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중앙행정기관의 공무원"에 해당하는 것은 기상청의 기상처장입니다. 기상청은 기상 및 기후 정보를 수집, 분석하여 국가 및 국민의 안전과 편의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대기환경보전법령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초과부과금 산정 시 다음 오염물질 중 1킬로그램당 부과금액이 가장 큰 것은?

  1. 이황화탄소
  2. 황화수소
  3. 불소화합물
  4. 암모니아
(정답률: 58%)
  • 대기환경보전법령에서 초과부과금 산정 시 오염물질의 종류에 따라 부과금액이 다르게 산정됩니다. 이 중에서 1킬로그램당 부과금액이 가장 큰 것은 황화수소입니다. 이유는 황화수소가 대기 중에 존재할 때 유독성이 매우 강하며, 인체에 매우 위험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또한, 황화수소는 산성비를 유발하여 대기 중의 산성화를 가속화시키기 때문에 대기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대기환경보전법령에서는 황화수소를 막기 위해 부과금액을 높게 산정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대기환경보전법규상 금속의 용융 ㆍ 제련 또는 열처리시설 중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1회 주입연료 및 원료량의 합계가 0.5톤 이상인 제선로
  2. 1회 주입 원료량이 0.2톤 이상이거나 연료사용량이 시간당 25킬로그램 이상인 도가니로
  3. 풍구(노복)면의 횡단면적이 0.2제곱미터 이상인 제선로
  4. 노상면적이 4.5제곱미터 이상인 반사로
(정답률: 55%)
  • 대기환경보전법규에서는 금속의 용융, 제련 또는 열처리시설 중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기준을 정하고 있다. 이 중 1회 주입 원료량이 0.2톤 이상이거나 연료사용량이 시간당 25킬로그램 이상인 도가니로는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기준에 해당하므로, 다른 항목들과는 달리 규제 대상이 된다. 이는 해당 시설에서 대량의 연료나 원료를 사용하거나 배출하는 경우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대기환경보전법상 비산먼지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시설을 설치하지 아니하거나 필요한 조치를 하지 아니한자에 대한 벌칙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시멘트 ㆍ 석탄 ㆍ 토사 ㆍ 사료 ㆍ 곡물 및 고철의 분체상 물질을 운송한 자는 제외한다.)

  1. 5년 이하의 징역이나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2. 1년 이하의 징역이나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3. 3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4. 2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정답률: 52%)
  • 대기환경보전법에서는 비산먼지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시설을 설치하거나 필요한 조치를 하지 않은 경우, 3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벌금의 최소 기준으로, 법을 위반한 정도에 따라 더 높은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대기환경보전법규상 대기오염 경보단계별 알림기준 중 주의보의 발령기준으로 옳은 것은?

  1. 기상조건 등을 검토하여 해당지역의 대기자동측정소 오존농도가 0.12ppm 이상일 때
  2. 기상조건 등을 검토하여 해당지역의 대기자동측정소 오존농도가 0.5ppm 이상일 때
  3. 기상조건 등을 검토하여 해당지역의 대기자동측정소 오존농도가 1.2ppm 이상일 때
  4. 기상조건 등을 검토하여 해당지역의 대기자동측정소 오존농도가 1.5ppm 이상일 때
(정답률: 62%)
  • 주의보의 발령기준은 "기상조건 등을 검토하여 해당지역의 대기자동측정소 오존농도가 0.12ppm 이상일 때"입니다. 이는 대기오염 경보단계 중 가장 낮은 단계인 초미세먼지 주의보와 같은 수준으로, 대기오염이 일시적으로 높아졌을 때 주의를 요하는 단계입니다. 이 기준은 대기오염 수준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대처하기 위해 설정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시ㆍ도지사가 대기환경 규제지역의 환경기준 달성을 위해 수립하는 실천계획 수립시 포함되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계획달성연도의 대기질 예측 결과
  2. 대기오염원별 대기오염물질 저감계획 및 계획의 시행을 위한 수단
  3. 규제지역 내 대기오염물질배출 감시시설 설치현황 및 연도별 감시시설 설치계획
  4. 대기보전을 위한 투자계획과 대기오염물질 저감효과를 고려한 경제성 평가
(정답률: 41%)
  •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시ㆍ도지사가 대기환경 규제지역의 환경기준 달성을 위해 수립하는 실천계획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계획달성연도의 대기질 예측 결과", "대기오염원별 대기오염물질 저감계획 및 계획의 시행을 위한 수단", "규제지역 내 대기오염물질배출 감시시설 설치현황 및 연도별 감시시설 설치계획", "대기보전을 위한 투자계획과 대기오염물질 저감효과를 고려한 경제성 평가".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규제지역 내 대기오염물질배출 감시시설 설치현황 및 연도별 감시시설 설치계획"이다. 이는 이미 설치되어 있는 감시시설의 현황과 설치 계획을 파악하는 것으로, 실제 대기오염물질 저감에 직접적으로 기여하지는 않는다. 다른 세부 계획들과 달리 구체적인 대기오염물질 저감 방안을 제시하지 않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으로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자동차연료형 첨가제의 종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유동성향상제
  2. 다목적첨가제
  3. 청정첨가제
  4. 매연억제제
(정답률: 48%)
  • 자동차연료형 첨가제의 종류는 유동성향상제, 다목적첨가제, 청정첨가제, 매연억제제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청정첨가제입니다. 이유는 청정첨가제는 대기오염물질을 줄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다른 성분들과는 달리 대기환경보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성분입니다. 반면에 유동성향상제는 연료의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고, 다목적첨가제는 연료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매연억제제는 디젤차량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인 매연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위임업무 보고사항 중 “자동차연료 제조기준 적합여부 검사현황” 보고횟수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수시
  2. 연 1회
  3. 연 2회
  4. 연 4회
(정답률: 36%)
  • "자동차연료 제조기준 적합여부 검사현황"은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위임업무 중 하나로, 자동차연료 제조업체가 제조한 연료가 대기환경보전법규에 부합하는지 검사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검사는 연간 4회 이상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정답은 "연 4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대기환경보전법령상 휘발유 ㆍ 알코올 또는 가스를 사용하거나 이들 연료를 섞어 사용하는 자동차의 경우 운행차 배출허용기준적용 항목이 아닌 것은? (단, 무부하(無負河) 검사방법으로 하는 경우이다.)

  1. 일산화탄소
  2. 배기관 탄화수소
  3. 매연
  4. 질소산화물(공기과잉률이 측정에 의하여 추정되는 질소 산화물)
(정답률: 54%)
  • 매연은 무부하 검사방법으로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운행차 배출허용기준적용 항목이 아니다. 다른 보기들은 무부하 검사방법으로 측정 가능한 항목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대기환경보전법규상 배출가스 보증기간 적용기준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2009년 1월 1일 이후 제작자동차)

  1. 배출가수 보증기간의 만료를 기간 또는 주행거리 중 먼저 도달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2. 휘발유와 가스를 병용하는 자동차는 휘발유 사용 자동차의 보증기간을 적용한다.
  3. 보증기간은 자동차 소유자가 자동차를 구입한 일자를 기준으로 한다.
  4. 휘발유를 사용하는 이륜자동차의 경우 적용기간은 2년 또는 10,000km 이다,
(정답률: 56%)
  • "휘발유와 가스를 병용하는 자동차는 휘발유 사용 자동차의 보증기간을 적용한다." 이유는, 가스와 휘발유를 병용하는 자동차는 엔진의 부하가 더 크기 때문에 휘발유만 사용하는 자동차에 비해 더 많은 부품의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제조사는 이러한 위험성을 고려하여 가스와 휘발유를 병용하는 자동차에 대해서도 휘발유 사용 자동차와 동일한 보증기간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대기환경보전법상 대기환경규제지역을 관할하는 시ㆍ도지사가 그 지역의 환경기준을 달성ㆍ유지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여야 하는 기간기준으로 옳은 것은?

  1. 그 지역이 대기환경규제지역으로 지정 ㆍ 고시된 후 3월 이내에
  2. 그 지역이 대기환경규제지역으로 지정 ㆍ 고시된 후 6월 이내에
  3. 그 지역이 대기환경규제지역으로 지정 ㆍ 고시된 후 1년 이내에
  4. 그 지역이 대기환경규제지역으로 지정 ㆍ 고시된 후 2년 이내에
(정답률: 42%)
  • 대기환경보전법에서는 대기환경규제지역을 관할하는 시ㆍ도지사가 그 지역의 환경기준을 달성ㆍ유지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때, 대기환경규제지역으로 지정ㆍ고시된 후 2년 이내에 이러한 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해야 합니다. 이는 대기환경규제지역으로 지정ㆍ고시된 후 적극적인 대기환경관리를 위해 빠른 대응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그 지역이 대기환경규제지역으로 지정ㆍ고시된 후 2년 이내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대기환경보전법령상 굴뚝 자동측정기기의 부착대상 배출시설, 측정 항목, 부착 면제, 부착 시기 및 부착 유예기준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착대상시설의 용량은 배출시설 설치허가증 또는 설치신고증명서의 방지시설의 용량을 기준으로 배출구별로 산정하되, 같은 배출시설에 2개 이상의 배출구를 설치한 경우에는 배출구별로 방지시설의 용량을 합산하며, 이 경우 방지시설의 용량은 표준상태(0℃, 1기압)로 환산한 값을 적용한다.
  2. 같은 사업장에 부착대상 배출구가 2개 이상인 경우에는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에 따른 중간자료수집기(FEP)를 부착하여야 한다.
  3. 표준산소농도가 적용되는 시설에 대해서는 산소측정기를 부착하지 아니하여도 된다.
  4. 소각시설의 경우에는 배출구의 온도와 최종 연소실 출구의 온도를 각각 측정할 수 있도록 온도측정기를 부착하여야 한다. 다만, 최종 연소실 출구의 온도측정기는 「폐기물관리법」 에 따라 온도측정기를 부착한 경우에는 별도로 부착하지 아니하여도 된다.
(정답률: 60%)
  • - 부착대상 배출시설의 용량은 배출시설 설치허가증 또는 설치신고증명서의 방지시설의 용량을 기준으로 배출구별로 산정하되, 같은 배출시설에 2개 이상의 배출구를 설치한 경우에는 배출구별로 방지시설의 용량을 합산하며, 이 경우 방지시설의 용량은 표준상태(0℃, 1기압)로 환산한 값을 적용한다.
    - 같은 사업장에 부착대상 배출구가 2개 이상인 경우에는 환경오염공정시험기준에 따른 중간자료수집기(FEP)를 부착하여야 한다.
    - 표준산소농도가 적용되는 시설에 대해서는 산소측정기를 부착하지 아니하여도 된다. (이유: 표준산소농도가 적용되는 시설은 연소시설로서, 연소과정에서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기 때문에 산소농도 측정이 필요하지 않다.)
    - 소각시설의 경우에는 배출구의 온도와 최종 연소실 출구의 온도를 각각 측정할 수 있도록 온도측정기를 부착하여야 한다. 다만, 최종 연소실 출구의 온도측정기는 「폐기물관리법」 에 따라 온도측정기를 부착한 경우에는 별도로 부착하지 아니하여도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대기환경보전법규상 대기오염물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이산화탄소
  2. 일산화탄소
  3. 이황화탄소
  4. 사염화탄소
(정답률: 58%)
  • 이산화탄소는 대기오염물질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이산화탄소가 대기오염물질로 분류되기 위해서는 일정 농도 이상으로 존재해야 하지만,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매우 낮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기환경보전법규상 대기오염물질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자동차 정밀검사 업무와 관련한 과징금 산정기준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과징금은 1개월당 과징금액에 업무정지일수를 곱한 금액으로 하되, 1천만원을 초과할 수 없다.
  2. 월 평균검사대수(재검사대수를 제외한다)는 위반행위가 있은 날 이전 최근 3개월간의 평균검사대수로 한다.
  3. 사업기간이 3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사업개시일로부터 위반행위를 한 날의 전날까지의 평균검사대수를 기준으로 하되, 월 근무일수는 23일로 계산한다.
  4. 월 평균검사대수가 1,800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초과하는 100대 마다 200만원을 추가하여 부과한다.
(정답률: 42%)
  • "과징금은 1개월당 과징금액에 업무정지일수를 곱한 금액으로 하되, 1천만원을 초과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는 과징금은 1일당 과징금액에 업무정지일수를 곱한 금액으로 하되, 1천만원을 초과할 수 없다. 이는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 제30조에 명시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