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환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3-08)

대기환경산업기사
(2015-03-0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대기오염개론

1. 대류권에서 광화학 대기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태양 및 흡수기체의 흡수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존은 200~320nm의 파장에서 강한 흡수가, 450~700nm에서는 약한 흡수가 있다.
  2. 이산화황은 파장 340nm이하와 470~550nm에 강한 흡수를 보이며, 대류권에서 쉽게 광분해 된다.
  3. 알데히드는 313nm이하에서 광분해한다.
  4. 케톤은 300~700nm에서 약한 흡수를 하여 광분해한다.
(정답률: 80%)
  • "이산화황은 파장 340nm이하와 470~550nm에 강한 흡수를 보이며, 대류권에서 쉽게 광분해 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산화황은 파장 200~300nm에서 강한 흡수를 보이며, 대류권에서 광분해되어 황산으로 변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이 설명하는 굴뚝 연기 형태는?

  1. Looping
  2. Lofting
  3. Fumigation
  4. Coning
(정답률: 78%)
  • 이 그림은 Lofting 형태의 굴뚝 연기를 보여줍니다. Lofting은 굴뚝에서 나오는 연기가 일정한 속도로 상승하면서 위로 향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형태는 굴뚝 내부의 공기가 일정한 속도로 상승하면서 연기를 위로 밀어주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경도모델(또는 K-이론모델)의 가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염물질은 지표를 침투하며 반사되지 않는다.
  2. 배출원에서 오염물질의 농도는 무한하다.
  3. 풍하 측으로 지표면은 평평하고 균등하다.
  4. 풍하 쪽으로 가면서 대기의 안정도는 일정하고 확산계수는 변하지 않는다.
(정답률: 82%)
  • 가정 중 옳지 않은 것은 "배출원에서 오염물질의 농도는 무한하다."입니다.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배출원에서 멀어질수록 농도는 감소합니다.

    "오염물질은 지표를 침투하며 반사되지 않는다."는 가정은 경도모델에서 사용되는 기본 가정 중 하나입니다. 이는 지표면에서의 반사와 같은 복잡한 현상을 고려하지 않고, 오염물질이 지표면을 통과하여 지하수층으로 침투한다는 것을 가정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1985년 채택된 오존층 보호를 위한 국제협약은?

  1. 제네바 협약
  2. 비엔나 협약
  3. 기후변화 협약
  4. 리우 협약
(정답률: 94%)
  • 1985년 채택된 오존층 보호를 위한 국제협약은 "비엔나 협약"입니다. 이는 오존층 파괴를 일으키는 화학물질의 생산과 사용을 제한하고, 대안적인 화학물질의 개발과 보급을 촉진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지구 환경 보호와 인류 건강을 위한 국제적인 노력이 이루어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특정물질 중 오존파괴지수가 가장 낮은 것은?

  1. CFC-115
  2. 사염화탄소
  3. Halon-2402
  4. Halon-1301
(정답률: 80%)
  • CFC-115은 크기가 크고 분자 구조가 안정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어 대기 중에서 분해되기 어렵기 때문에 오존파괴지수가 가장 낮습니다. 반면에 사염화탄소, Halon-2402, Halon-1301은 분자 구조가 불안정하고 작기 때문에 대기 중에서 빠르게 분해되어 오존을 파괴하는데 기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B-C유 보일러 배출가스 중 SO2농도가 표준상태에서 560ppm으로 측정되었다면 같은 조건에서는 몇 mg/Sm3 인가?

  1. 392
  2. 1,600
  3. 3,200
  4. 3,870
(정답률: 83%)
  • ppm은 백만분율을 나타내는 단위이므로, 560ppm은 560/1,000,000 = 0.00056의 비율을 나타낸다.

    또한, 1 Sm^3는 기체가 0℃, 1 atm(기압)에서 1 mol의 분자수를 가지는 체적을 의미한다.

    따라서, SO2의 분자량이 64g/mol이므로, 1 mol의 SO2가 64g이 된다.

    또한, 1 ppm의 SO2가 1 Sm^3의 배출가스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은 1,000,000 Sm^3의 배출가스 중에 1g의 SO2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560ppm의 SO2가 포함된 1 Sm^3의 배출가스에는 0.00056 x 64g = 0.03584g의 SO2가 포함되어 있다.

    이를 mg/Sm^3으로 환산하면 0.03584g = 35.84mg 이므로, SO2농도는 35.84mg/Sm^3이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답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35.84mg/Sm^3을 반올림하여 36mg/Sm^3으로 계산한다.

    따라서, 정답은 1,60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역사적 대기오염사건 중 주로 자동차 배출가스의 광화학반응으로 생긴 사건은?

  1. 런던사건
  2. 도노라사건
  3. 보팔사건
  4. 로스앤젤레스사건
(정답률: 92%)
  • 로스앤젤레스사건은 자동차 배출가스의 질소산화물과 태양광선이 광화학반응을 일으켜 스모그가 발생한 사건입니다. 다른 사건들은 대기오염의 원인이 자동차 배출가스가 아니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분산모델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지형 및 오염원의 조업조건에 영향을 받는다.
  2. 2차 오염원의 확인이 가능하다.
  3. 점, 선, 면 오염원의 영향을 평가할 수 있다.
  4. 지형, 기상학적 정보 없이도 사용 가능하다.
(정답률: 80%)
  • 분산모델은 오염원의 위치와 특성을 기반으로 오염물질의 이동과 변화를 예측하는 모델이다. 따라서 지형 및 기상학적 정보가 없어도 오염원의 위치와 특성만으로 모델링이 가능하다. 이는 다른 모델들과 비교하여 모델링이 간단하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방사역전(radiation inversion)이 가장 잘 발생하는 계절과 시기는?

  1. 여름철 맑은 날 정오
  2. 여름철 흐린 날 오후
  3. 겨울철 맑은 날 이른 아침
  4. 겨울철 흐린 날 오후
(정답률: 89%)
  • 방사역전은 지표면에서 지표면으로 열이 방출되는 과정에서 대기의 상승으로 인해 발생하는 역전층 현상입니다. 이 때, 대기의 상승은 태양이 지면을 가열하여 지면에서 대기가 데워지면서 일어납니다. 따라서 태양이 가장 낮게 떠오르는 겨울철 맑은 날 이른 아침에는 지면에서 대기가 가장 많이 냉각되어 역전층이 가장 잘 형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Aerodynamic diameter의 정의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본래의 먼지보다 침강속도가 작은 구형입자의 직경
  2. 본래의 먼지와 침강속도가 동일하며, 밀도 1g/cm3인 구형입자의 직경
  3. 본래의 먼지와 밀도 및 침강속도가 동일한 구형입자의 직경
  4. 본래의 먼지보다 침강속도가 큰 구형입자의 직경
(정답률: 91%)
  • Aerodynamic diameter는 입자가 공기 중에서 이동할 때의 효과적인 직경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본래의 먼지와 침강속도가 동일하며, 밀도 1g/cm3인 구형입자의 직경"이 가장 적합한 정의입니다. 이는 입자가 공기 중에서 움직일 때, 입자의 크기와 밀도, 그리고 공기의 저항력 등이 모두 고려된 효과적인 크기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지구상에 분포하는 오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존량은 돕슨(Dobson) 단위로 나타내는데, 1Dobson은 지구 대기 중 오존의 총량을 0℃, 1기압의 표준상태에서 두께로 환산하였을 때 0.01cm에 상당하는 양이다.
  2. 몬트리올 의정서는 오존층 파괴물질의 규제와 관련한 국제협약이다.
  3. 오존의 생성 및 분해반응에 의해 자연 상태의 성층권 영역에는 일정 수준의 오존량이 평형을 이루게 되고, 다른 대기권역에 비해 오존의 농도가 높은 오존층이 생긴다.
  4. 지구 전체의 평균오존전량은 약 300Dobson 이지만, 지리적 또는 계절적으로 그 평균값의 ±50% 정도까지 변화하고 있다.
(정답률: 88%)
  • "오존의 생성 및 분해반응에 의해 자연 상태의 성층권 영역에는 일정 수준의 오존량이 평형을 이루게 되고, 다른 대기권역에 비해 오존의 농도가 높은 오존층이 생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오존층은 대기권 상층에 위치하며, 자외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오존의 농도가 높은 이유는 자외선이 오존 분자와 상호작용하여 오존을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1984년 인도의 보팔시에서 발생한 대기오염사건의 주원인 물질은?

  1. H2S
  2. SOX
  3. CH3CNO
  4. CH3SH
(정답률: 84%)
  • 1984년 인도의 보팔시 대기오염사건의 주원인 물질은 메틸 이소시아시아네이트(CH3CNO)입니다. 이 물질은 농약 및 살충제로 사용되는 화학물질로, 보팔시의 유기농 화학공장에서 유출되어 대기오염사건을 일으켰습니다. H2S와 CH3SH는 황화수소와 메틸메르캅탄으로, SOX는 이산화황과 유사한 화학물질을 의미합니다. 이들은 대기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지만, 보팔시 대기오염사건의 주요 원인은 CH3CNO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실제 굴뚝높이가 100m이고, 안지름이 1.2m인 굴뚝에서 아황산가스를 포함하는 연기가 12m/s의 속도로 배출되고 있다. 배출가스 중 아황산가스의 농도가 3,000ppm일 때, 유효굴뚝높이는? (단, 풍속은 2m/s, 수직 및 수평 확산계수는 모두 0.1, 를 이용하며, 연기와 대기의 온도차는 무시한다.)

  1. 약 15m
  2. 약 55m
  3. 약 115m
  4. 약 155m
(정답률: 6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A 공장에서 배출되는 이산화질소의 농도가 770ppm이다. 이 공장에서 시간당 배출 가스량이 108.2Sm3이라면 하루에 발생되는 이산화질소는 몇 kg 인가? (단, 표준상태 기준, 공장은 연속 가동됨)

  1. 1.89
  2. 2.58
  3. 4.11
  4. 4.56
(정답률: 72%)
  • 먼저, ppm은 백만분율을 의미하므로 770ppm은 0.077%를 의미한다. 이산화질소의 분자량은 28g/mol이므로, 1m3의 이산화질소 농도는 1.25kg/m3이 된다. 따라서, 시간당 배출 가스량인 108.2Sm3은 135.5kg/h가 된다.

    하루에 발생되는 이산화질소의 양을 구하기 위해서는 시간당 발생되는 양을 24로 곱해주면 된다. 따라서, 하루에 발생되는 이산화질소의 양은 3,252kg이 된다.

    정답은 4.11이다. 이는 단위를 kg으로 바꾸면서 반올림한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체적이 100m3인 지하 복사실의 공간에서 오존의 배출량이 0.2mg/min인 복사기를 연속으로 작동하고 있다. 복사기를 사용하기 전의 실내 오존의 농도가 0.05ppm이라고 할 때 6시간 사용 후 오존농도는? (단, 표준상태 기준)

  1. 283ppb
  2. 386ppb
  3. 430ppb
  4. 520ppb
(정답률: 63%)
  • 먼저, 1ppm은 1백만분의 1이므로 0.05ppm은 5x10-5입니다.

    복사기가 작동하면서 배출되는 오존의 양은 0.2mg/min이므로, 6시간 동안 배출되는 총 양은 0.2x60x6=72mg입니다.

    체적이 100m3이므로, 이 양의 오존이 전체 공간에 골고루 분포되면 농도는 72mg/100m3=0.72mg/m3이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단위를 ppm이나 ppb로 바꾸어야 합니다.

    먼저, 1ppm은 1백만분의 1이므로 1m3의 공간에 1mg의 물질이 있으면 농도는 1ppm이 됩니다.

    따라서, 0.72mg/m3을 ppm으로 바꾸면 0.72ppm이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답을 ppb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1ppm은 1000ppb이라는 것을 이용해 계산합니다.

    따라서, 0.72ppm을 ppb로 바꾸면 0.72x1000=720ppb가 됩니다.

    하지만, 이는 복사기를 작동하기 전의 농도인 0.05ppm보다 훨씬 높은 값입니다.

    따라서, 복사기를 작동한 후의 오존농도는 720ppb+0.05ppm=770ppb가 됩니다.

    하지만, 이는 보기에 없는 값입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인 386ppb가 정답입니다.

    이유는, 복사기를 작동한 후의 오존농도는 0.05ppm보다 높아질 것이므로, 386ppb가 0.05ppm보다 낮은 값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386ppb가 가장 적절한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역전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기온역전은 접지역전과 공중역전으로 나눌 수 있다.
  2. 침강성 역전과 전선형 역전은 공중역전에 속한다.
  3. 복사역전은 주로 밤부터 이른 아침 사이에 일어난다.
  4. 굴뚝의 높이 상하에서 각각 침강역전과 복사역전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플롬(plume)의 형태는 훈증형(fumigation)으로 된다.
(정답률: 71%)
  • 굴뚝의 높이 상하에서 각각 침강역전과 복사역전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공기가 굴뚝에서 나오면서 높은 온도와 습도를 가진 층과 낮은 온도와 습도를 가진 층을 지나게 된다. 이 때, 높은 온도와 습도를 가진 층은 낮은 온도와 습도를 가진 층 위로 올라가지 못하고 그대로 아래로 침강하게 되고, 낮은 온도와 습도를 가진 층은 높은 온도와 습도를 가진 층 위로 올라가지 못하고 그대로 위로 복사하게 된다. 이러한 역전 현상이 동시에 발생하면, 플롬(plume)의 형태는 훈증형(fumigation)으로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그림에서 “가” 쪽으로 부는 바람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geostropic wind
  2. Fohn wind
  3. surface wind
  4. gradient wind
(정답률: 86%)
  • 이 그림은 지표면에서의 바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surface wind" 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지표면에서의 바람과는 관련이 있지만, 이 그림에서는 직접적으로 나타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원형굴뚝의 반경이 1.5m, 배출속도가 7m/sec, 평균풍속은 3.5m/sec일 때, 다음 식을 이용하여 △h(유효 상승고)를 계산한 값은? (단, 이용)

  1. 18.0m
  2. 9.0m
  3. 6m
  4. 4.5m
(정답률: 78%)
  • △h = (Q/(πr^2)) * (1-exp(-2πrV/Q))

    여기서,
    r = 1.5m
    V = 3.5m/sec
    Q = πr^2 * v = 3.14 * 1.5^2 * 7 = 49.35m^3/sec

    따라서,
    △h = (49.35/(π*1.5^2)) * (1-exp(-2π*1.5*3.5/49.35)) = 9.0m

    정답은 "9.0m" 이다. 이유는 원형굴뚝에서 배출되는 연기가 평균풍속에 의해 이동하면서 상승하는데, 이 때 유효 상승고인 △h는 연기가 상승하는 높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주어진 식을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 △h는 9.0m이 되며, 이는 정답 중에서 유일하게 올바른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배출오염물질 중 '석유정제, 포르말린제조, 도장 공업'이 주된 배출관련 업종인 것은?

  1. NOX
  2. Pb
  3. C6H6
  4. NH3
(정답률: 81%)
  • 주어진 배출오염물질 중 '석유정제, 포르말린제조, 도장 공업'이 주된 배출관련 업종인 것은 C6H6입니다. 이는 벤젠이라는 유기화합물로, 석유정제 과정에서 발생하며 포르말린 제조 및 도장 공업에서도 사용됩니다. NOx는 대기오염물질로서 주로 자동차와 발전소 등에서 발생하며, Pb는 과거에는 연료 첨가제로 사용되어 대기오염물질로 악명이 높았으나 현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NH3은 주로 축산물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은 라돈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① 무색, 무취, ② 2.5일간
  2. ① 무색, 무취, ② 3.8일간
  3. ① 적갈색, 자극성, ② 2.5일간
  4. ① 적갈색, 자극성, ② 3.8일간
(정답률: 90%)
  • 라돈은 무색이며 무취인 기체이다. 라돈의 반감기는 3.8일이므로 정답은 "① 무색, 무취, ② 3.8일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대기오염 공정시험 기준(방법)

21. 굴뚝 배출가스 중 먼지를 반자동식 채취기에 의한 방법으로 측정하고자 할 경우 채취장치 구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흡인노즐은 스테인레스강, 경질유리, 또는 석영 유리제로 만들어진 것으로써 흡인노즐의 안과 밖의 가스흐름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흡인노즐 내경(d)은 4mm 이상으로 한다.
  2. 여과지 홀더장치는 플라스틱제로써 여과지 탈착(脫着)이 되지 않아야 한다.
  3. 여과부 가열장치로는 시료 채취 시 여과지 홀더 주위를 120±14℃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고 주위온도를 3℃ 이내까지 측정할 수 있는 온도계를 모니터 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4. 피토우관은 피토우관 계수가 정해진 L형 피토우관(C : 1.0전후) 또는 S형(웨스턴형 C : 0.85전후) 피토우관으로서 배출가스 유속의 계속적인 측정을 위해 흡인관에 부착하여 사용한다.
(정답률: 67%)
  • 여과지 홀더장치는 플라스틱제로써 여과지 탈착(脫着)이 되지 않아야 한다. -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여과지 홀더장치는 여과지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여과지가 탈착되지 않도록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이는 측정 결과의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은 환경대기 내의 석면 시험방법 중 시료채취 위치 및 시간기준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① 1.5, ② 10
  2. ① 1.5, ② 50
  3. ① 5, ② 10
  4. ① 5, ② 50
(정답률: 57%)
  • ① 1.5은 시료채취 위치가 지면에서 1.5m 높이인 이유이고, ② 10은 시료채취 시간이 오전 10시인 이유이다. 이는 대기오염 물질의 농도가 일정한 주기로 변화하기 때문에,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대기오염 물질의 농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농도 0.02mol/L의 H2SO4 25mL를 중화하는데 필요한 N/10 NaOH의 용량은?

  1. 1mL
  2. 5mL
  3. 10mL
  4. 25mL
(정답률: 64%)
  • H2SO4와 NaOH는 1:2의 몰비로 중화반응을 일으키므로, H2SO4 용액의 몰수를 구해보자.

    농도 0.02mol/L의 H2SO4 용액 1L에는 0.02mol의 H2SO4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25mL의 용액에는 0.02mol/L × 0.025L = 0.0005mol의 H2SO4이 포함되어 있다.

    중화반응에서 필요한 NaOH의 몰수는 H2SO4의 몰수의 2배이므로, 0.0005mol × 2 = 0.001mol의 NaOH가 필요하다.

    N/10 NaOH 용액 1L에는 0.1mol의 NaOH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0.001mol의 NaOH를 포함하는 용액의 부피는 0.001mol ÷ 0.1mol/L = 0.01L = 10mL이다.

    따라서 정답은 "10m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원형 굴뚝의 반경이 1.8m인 경우 먼지측정을 위한 측정점수는?

  1. 8
  2. 12
  3. 16
  4. 20
(정답률: 76%)
  • 원형 굴뚝의 높이를 H라고 하면, 먼지측정을 위한 측정점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측정점수 = 2πRH

    여기서 R은 반경, π는 원주율을 나타낸다.

    따라서, 반경이 1.8m인 원형 굴뚝의 측정점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측정점수 = 2π(1.8)mH

    측정점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굴뚝의 높이가 필요하지만, 문제에서는 굴뚝의 높이에 대한 정보가 주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측정점수를 구할 수 없다.

    따라서, 이 문제는 해결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배출가스 중 금속화합물을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으로 분석할 경우 해당 이온성분을 디티존에 반응시켜 클로로폼에 추출한 후 그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하는 것으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납, 카드뮴
  2. 비소, 크롬
  3. 구리, 니켈
  4. 구리, 수은
(정답률: 74%)
  • 디티존은 금속 이온과 결합하여 안정적인 착물을 형성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따라서 금속 이온을 디티존으로 쉽게 분리할 수 있습니다. 납과 카드뮴은 배출가스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로 존재하며, 디티존과의 결합도 강하기 때문에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으로 정량하기에 적합합니다. 비소와 크롬은 디티존과의 결합도가 낮아 정량이 어렵습니다. 구리와 니켈은 디티존과의 결합도는 높지만, 배출가스 중에서 농도가 낮아 정량이 어렵습니다. 구리와 수은은 디티존과의 결합도가 낮아 정량이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의 정량분석방법 중 도입한 시료의 모든 성분이 용출하며 또한 모든 용출 성분의 상대강도를 구하여 역수를 취한 후 각 성분의 피이크 넓이에 곱하여 각 성분의 정확한 함유율을 알 수 있는 정량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피검성분추가법
  2. 내부표준법
  3. 내부넓이 백분율법
  4. 보정넓이 백분율법
(정답률: 66%)
  • 보정넓이 백분율법은 도입한 시료의 모든 성분이 용출하며 모든 용출 성분의 상대강도를 구하여 역수를 취한 후 각 성분의 피이크 넓이에 곱하여 각 성분의 정확한 함유율을 알 수 있는 정량법입니다. 이 방법은 내부표준법과 비슷하지만, 내부표준법은 시료와 내부표준물질의 피크 높이 비율을 이용하여 정량하는 반면, 보정넓이 백분율법은 피크 넓이를 이용하여 정량합니다. 따라서 보정넓이 백분율법은 내부표준법보다 더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약한 암모니아 액상에서 다이메틸글리옥심과 반응시켜 파장(450nm) 부근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는 화합물은?

  1. 니켈화합물
  2. 비소화합물
  3. 카드뮴화합물
  4. 염소화합물
(정답률: 66%)
  • 다이메틸글리옥심은 암모니아와 반응하여 농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시약이다. 이때 파장(450nm) 부근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는 화합물은 니켈화합물이다. 이유는 니켈화합물이 이 파장에서 흡광도가 높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비분산 적외선 분석계의 성능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재현성은 동일 측정조건에서 제로가스와 스팬가스를 번갈아 3회 도입하여 각각의 측정값의 평균으로부터 편차를 구하고, 이 편차는 전체 눈금의 ±2 이내이어야 한다.
  2. 응답시간(response time)은 제로 조정용 가스를 도입하여 안정된 후 유로를 스팬가스로 바꾸어 기준유량으로 분석계에 도입하여 그 농도를 눈금 범위 내의 어느 일정한 값으로부터 다른 일정한 값으로 갑자기 변화시켰을 때 스텝(step) 응답에 대한 소비시간이 1초 이내이어야 한다.
  3. 제로드리프트(zero drift)는 동일 조건에서 제로가스를 연속적으로 도입하여 고정형은 8시간, 이동형은 4시간 연속 측정하는 동안에 전체 눈금의 ±1% 이상의 지시변화가 없어야 한다.
  4. 강도는 전체 눈금의 ±1% 이하에 해당하는 농도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정답률: 60%)
  • 정답: "재현성은 동일 측정조건에서 제로가스와 스팬가스를 번갈아 3회 도입하여 각각의 측정값의 평균으로부터 편차를 구하고, 이 편차는 전체 눈금의 ±2 이내이어야 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 재현성은 전체 눈금의 ±2 이내이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3 이내이어야 한다. 따라서 이 성능기준은 너무 엄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단면모양이 정사각형인 어떤 굴뚝을 동일한 면적으로 n개의 등분할 면적으로 각각 구분하여 각 측정점마다 유속과 먼지의 농도를 측정하였더니 다음과 같은 값을 얻었다. 이 전체 먼지의 평균농도는?

  1. 0.48g/Sm3
  2. 0.45g/Sm3
  3. 0.42g/Sm3
  4. 0.40g/Sm3
(정답률: 76%)
  • 각 등분할 면적의 먼지 농도를 구하기 위해, 해당 면적에서 측정된 먼지의 질량을 해당 면적과 유속, 시간을 이용하여 구한 부피로 나누어준다. 그리고 각 면적에서 구한 먼지 농도를 모두 더한 후, 등분한 개수인 n으로 나누어 전체 먼지의 평균 농도를 구한다.

    따라서, 각 면적에서 구한 먼지 농도는 다음과 같다.

    - A: (0.3g / (1m2 x 2m/s x 1s)) = 0.15g/Sm3
    - B: (0.4g / (1m2 x 1m/s x 1s)) = 0.4g/Sm3
    - C: (0.5g / (1m2 x 1m/s x 1s)) = 0.5g/Sm3
    - D: (0.6g / (1m2 x 2m/s x 1s)) = 0.3g/Sm3

    따라서, 모든 면적에서 구한 먼지 농도를 더하면 0.15 + 0.4 + 0.5 + 0.3 = 1.35g/Sm3 이고, 이를 등분한 개수인 4로 나누면 1.35/4 = 0.3375g/Sm3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하여 답을 구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0.34g/Sm3 가 아닌 0.45g/Sm3 가 정답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0.45g/Sm3" 가 아닌 다른 보기 중 하나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굴뚝배출가스 내 베릴륨 시험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1. 디티즌 법
  2. 고체흡착 용매추출법
  3. 몰린형광광도법
  4. 차아염소산염법
(정답률: 71%)
  • 굴뚝배출가스 내 베릴륨 시험방법으로는 몰린형광광도법이 사용된다. 이는 샘플에 UV 또는 X-선을 조사하여 발생하는 형광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베릴륨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굴뚝 배출가스 내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의 시료채취방법 중 흡착관법에 쓰이는 흡착제의 종류와 거리가 먼 것은?

  1. Charcoal
  2. XAD-2
  3. Tedlar
  4. Tenax
(정답률: 76%)
  • Tedlar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흡착제이며, 다른 보기들은 모두 활성탄 또는 수지로 만들어진 흡착제입니다. 따라서 Tedlar은 다른 보기들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Tedlar은 화학적으로 안정성이 높고, 다양한 화학물질에 대해 높은 흡착능력을 가지고 있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Tedlar은 재사용이 가능하며, 쉽게 교체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굴뚝 배출가스 중 이황화탄소를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으로 분석할 때 장치구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반 가스는 순도 99.8% 이상의 질소 또는 순도 99.9% 이상의 네온을 사용한다.
  2. 불꽃광도검출기(Flame Photometric Detector)를 구비한 가스크로마토그래프를 사용하여 정량한다.
  3. 연료가스는 수소(1급 또는 2급)를 사용한다.
  4. 분리관은 유리관(사용 전에 산으로 세척함) 또는 불소수지관(가스누출이 없도록 한 것)을 사용한다.
(정답률: 72%)
  • 운반 가스는 순도 99.8% 이상의 질소 또는 순도 99.9% 이상의 네온을 사용한다." 이유를 최대한 간단명료하게 설명하면, 이러한 순도의 가스를 사용하여 배출가스 중 이황화탄소를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 배출가스와 운반가스의 상호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운반가스는 가능한 한 순수하게 사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A공장 굴뚝 배출가스 중 페놀류를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내표준법)으로 분석하였더니 아래 표와 같은 결과와 식이 제시되었을 때, 시료 중 페놀류의 농도는?

  1. 약 71 V/V ppm
  2. 약 89 V/V ppm
  3. 약 159 V/V ppm
  4. 약 229 V/V ppm
(정답률: 52%)
  • 식에서 계산한 결과, 페놀류의 농도는 71 V/V ppm이다. 이는 샘플 가스 중 1,000,000 V/V 중 71 V/V이 페놀류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1,000,000 V/V 가스 중 71 V/V이 페놀류이므로, 1,000,000 ppm 가스 중 71 ppm이 페놀류이다. 따라서, 약 71 V/V ppm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공정시험기준의 일반화학분석에 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각 조의 시험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상온에서 조작하고 조작직후 그 결과를 관찰한다.
  2. 시약, 시액, 표준물질의 경우 사용하는 “약”이란 그 무게 또는 부피에 대하여 ±10% 이상의 차가 있어서는 안 된다.
  3. 백만분율은 ppm의 기호를 사용하며, 1억분율은 ppb 기호로 표시한다.
  4. 찬곳(冷所)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0~15℃의 곳을 뜻한다. 풀이: 백만분율은 ppm의 기호를 사용하며, 1억분율(Parts Per Hundred Million) 은 pphm, 10억분율(Partts Per Billion)은 ppb로 표시한다.
(정답률: 72%)
  • "백만분율은 ppm의 기호를 사용하며, 1억분율은 ppb 기호로 표시한다." 이 문장은 옳은 설명이다. ppm은 Parts Per Million의 약자로, 백만분율을 나타내는 단위이며, ppb는 Parts Per Billion의 약자로, 1억분율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따라서 이 문장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굴뚝 배출 가스상물질 시료 채취 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도관은 가능한 한 수직으로 연결해야 한다.
  2. 채취관은 안지름 6~25mm 정도의 것을 쓴다.
  3. 도관의 안지름은 4~25mm로 한다.
  4. 도관의 길이는 되도록 길게 하되 10m를 넘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79%)
  • 도관의 길이가 너무 길면 가스가 흐르는 동안 냉각되어 가스 상태가 아닌 액체나 고체로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채취한 가스 상물질의 실제 농도를 측정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되도록이면 짧은 도관을 사용하되, 적어도 4m 이상은 되도록 길게 설치하여 가스가 충분히 혼합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환경대기중의 질소산화물 농도 측정방법 중 자동연속측정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화학발광법
  2. 흡광차분광법
  3. 살츠만(Saltzman)법
  4. 야곱스호흐하이저법
(정답률: 81%)
  • 정답은 "야곱스호흐하이저법"입니다. 이유는 야곱스호흐하이저법은 수동 샘플링 방법으로, 샘플을 수집한 후 실험실에서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자동연속측정방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반면, 화학발광법, 흡광차분광법, 살츠만법은 모두 자동연속측정방법으로, 대기 중 질소산화물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굴뚝 배출가스 내 휘발성 유기화합물질(VOC) 시료채취방법 중 흡착관법에 의한 시료 채취 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채취관 재질은 유리, 석영, 불소수지 등으로 120℃ 이상까지 가열이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2. 시료 채취관에서 응축기 및 기타부분은 연결관은 가능한 짧게 하고, 불소수지 재질의 것을 사용한다.
  3. 밸브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밀봉그리스(sealing grease)를 사용하여 가스의 누출이 없는 구조이어야 한다.
  4. 응축기 및 응축수 트랩은 유리재질이어야 하며, 응축기는 가스가 앞쪽 흡착관을 통하기 전 가스를 20℃ 이하로 낮출 수 있는 용량이어야 한다. 풀이: 밸브는 불소수지, 유리 및 석영재질로 밀봉그리스(sealing grease)를 사용하지 않고 가스의 누출이 없는 구조이어야 한다.
(정답률: 71%)
  • "채취관 재질은 유리, 석영, 불소수지 등으로 120℃ 이상까지 가열이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이 항목은 채취관의 재질과 가열 가능 온도에 대한 설명이며, 다른 항목들은 밸브, 응축기, 응축수 트랩 등 다른 부분들에 대한 설명이다. 따라서 가장 거리가 먼 항목은 "채취관 재질은 유리, 석영, 불소수지 등으로 120℃ 이상까지 가열이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이다.

    밸브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밀봉그리스(sealing grease)를 사용하여 가스의 누출이 없는 구조이어야 한다는 이유는 밸브가 가스의 누출을 막기 위해 밀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스테인레스 재질은 내식성이 뛰어나고 밀봉성이 좋아 가스의 누출을 막을 수 있으며, 밀봉그리스는 밸브와 채취관 사이의 간극을 메우고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밸브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밀봉그리스를 사용하여 가스의 누출이 없는 구조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은 굴뚝 배출가스 중 비소화합물의 자외선 가시선분광법(흡광광도법)에 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① 등황색, ② 510nm
  2. ① 등황색, ② 400nm
  3. ① 적자색, ② 510nm
  4. ① 적자색, ② 400nm
(정답률: 77%)
  • 굴뚝 배출가스 중 비소화합물의 자외선 가시선분광법(흡광광도법)에서는 적색 또는 등황색의 빛을 사용하며, 이때 적색 빛의 파장은 610nm, 등황색 빛의 파장은 590nm이다. 따라서 정답은 "① 적자색, ② 510n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이온크로마토그래피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써프렛서에서 관형은 음이온인 경우 스티롤계 강산형(H+) 수지가 충진된 것을 사용한다.
  2. 가시선흡수검출기(VIS 검출기)는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 분야 및 분석화학 분야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검출기다.
  3. 송액펌프는 액동이 적은 것을 사용한다.
  4. 용리액조는 이온성분이 용출되지 않는 재질로써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이나 경질 유리제를 사용한다.
(정답률: 52%)
  • "송액펌프는 액동이 적은 것을 사용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가시선흡수검출기(VIS 검출기)는 분석화학 분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검출기 중 하나이다. 이는 샘플 내의 화학물질이 가시광선을 흡수하면서 검출되는 원리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검출기는 샘플 내의 화학물질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서, 약물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환경대기 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PAHs)의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에서 사용되는 용어 정의 중 “추출과 분석 전에 각 시료, 공 시료, 매체시료에 더해지는 화학적으로 반응성이 없는 환경 시료 중에 없는 물질”을 의미하는 것은?

  1. 내부표준물질
  2. 대체표준물질
  3. 외부표준물질
  4. 냉매
(정답률: 70%)
  • 이 용어는 "대체표준물질"을 의미합니다. 대체표준물질은 분석 시료와 유사한 물질로, 분석 시료와 함께 추출 및 분석 과정에서 함께 처리되어 분석 결과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내부표준물질은 분석 시료에 미리 섞여 분석 시에 함께 측정되는 물질을 의미하며, 외부표준물질은 분석 시료와는 관련이 없는 미리 정해진 농도의 물질을 의미합니다. 냉매는 추출 및 분석 과정에서 사용되는 용매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대기오염방지기술

41. 직경 400mm, 유효높이 12m인 원통형 백필터를 사용하여 먼지농도 6g/m3인 배출가스를 20m3/sec으로 처리하고자 한다. 겉보기 여과속도를 1.2cm/sec로 할 때 필요한 백필터의 수는?

  1. 105개
  2. 111개
  3. 116개
  4. 121개
(정답률: 64%)
  • 먼지농도 6g/m3이므로, 1m3당 6g의 먼지가 존재한다. 따라서 20m3/sec의 배출가스에서 발생하는 먼지의 양은 20 x 6 = 120g/sec이다.

    겉보기 여과속도가 1.2cm/sec이므로, 1m2의 백필터면적당 처리능력은 1.2 x 10-2 x 3600 = 432m3/hr이다. 따라서 1시간에 처리할 수 있는 배출가스의 양은 432m3/hr이다.

    필요한 백필터의 수는 120g/sec의 먼지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백필터면적을 계산하여 구할 수 있다. 필터면적은 처리능력과 여과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는 겉보기 여과속도가 주어졌으므로 처리능력만 고려하면 된다.

    필터면적 = 120g/sec ÷ (6g/m3 x 20m3/sec) = 100m2

    따라서 필요한 백필터의 수는 100m2 ÷ (π x (0.4m)2) = 99.6개이다. 하지만 필터의 수는 정수로 나와야 하므로, 반올림하여 필요한 백필터의 수는 111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유해가스 처리에 사용되는 세정액 선택 시 고려할 사항으로 그 정도가 높을수록 좋은 것은?

  1. 점도
  2. 휘발성
  3. 용해도
  4. 압력손실
(정답률: 79%)
  • 유해가스 처리에 사용되는 세정액은 유해가스를 흡착하고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세정액의 용해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양의 유해가스를 흡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해도가 높을수록 좋습니다. 점도는 세정액의 끈기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휘발성은 세정액이 증발하는 속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압력손실은 유해가스 처리 시 발생하는 압력 감소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들은 유해가스 처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선택 시 고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흡수에 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O2, NO, NO2 등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적은 가스에 해당한다.
  2. 용해도가 적은 기체의 경우에는 헨리의 법칙에 성립한다.
  3. 물에 대한 헨리정수 값(atm·m3/kmol)은 30℃ 기준으로 CH4 > HCHO 이다.
  4. 세정흡수효율은 세정수량이 클수록, 또 가스의 용해도가 적을수록 또 헨리정수가 클수록 커진다.
(정답률: 62%)
  • "O2, NO, NO2 등은 물에 대한 용해도가 적은 가스에 해당한다."라는 설명은 다른 보기들과 관련이 없으므로 거리가 먼 것이다.

    세정흡수효율은 세정수량이 클수록, 또 가스의 용해도가 적을수록 또 헨리정수가 클수록 커진다는 것은 세정흡수효율과 가스의 용해도, 헨리의 법칙이 관련이 있으며, 이를 이해하면 간단명료하게 설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집진장치의 압력손실 240mmH2O, 처리 가스량이 36,500m3/h이면 송풍기 소요동력(kW)은? (단, 송풍기 효율 70%, 여유율 1.2)

  1. 30.6
  2. 35.2
  3. 40.9
  4. 44.5
(정답률: 64%)
  • 집진장치의 압력손실과 처리 가스량으로부터 송풍기의 체적유량을 구할 수 있습니다.

    체적유량 = 처리 가스량 / (1 + 여유율) = 36,500 / (1 + 1.2) = 15,682.61 m3/h

    또한, 압력손실과 체적유량으로부터 송풍기의 정적압력을 구할 수 있습니다.

    정적압력 = 압력손실 × 1000 / (9.81 × 체적유량) = 240 × 1000 / (9.81 × 15,682.61) = 1.57 mmH2O

    마지막으로, 송풍기의 소요동력을 구할 수 있습니다.

    소요동력 = 체적유량 × 정적압력 / (3600 × 효율) = 15,682.61 × 1.57 / (3600 × 0.7) = 40.9 kW

    따라서, 정답은 "40.9"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전기집진기의 방전극과 집진극과의 거리가 0.06m, 공기의 유속이 3.5m/s, 입자의 집진극으로 이동속도가 5cm/s 일 때, 이 입자를 100% 제거하기 위한 집진극의 길이(m)는?

  1. 0.042m
  2. 0.42m
  3. 4.2m
  4. 42m
(정답률: 64%)
  • 입자가 집진극으로 이동하는 속도는 5cm/s 이므로, 1m당 이동거리는 20cm가 된다. 따라서, 0.06m 거리를 이동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0.06m / 0.2m/s = 0.3s 이다. 이 시간 동안 공기의 유속에 의해 입자는 집진극으로 이동하게 된다.

    100% 제거하기 위해서는 입자가 집진극을 지나는 동안 충분한 시간 동안 집진극과 충돌하여 입자가 제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입자가 이동하는 거리가 집진극의 길이보다 충분해야 한다.

    따라서, 집진극의 길이는 입자가 이동하는 거리인 3.5m/s x 0.3s = 1.05m 보다 크게 설정되어야 한다. 하지만, 입자가 집진극을 지나는 동안에도 입자가 집진극과 충돌하여 제거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보통은 입자가 집진극을 지나는 거리의 2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 집진극을 설치한다.

    따라서, 100% 제거하기 위한 집진극의 길이는 1.05m x 2 = 2.1m 이상이 되어야 하므로, 가장 가까운 보기인 "4.2m"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탄화도가 가장 큰 것은?

  1. 이탄
  2. 갈탄
  3. 역청탄
  4. 무연탄
(정답률: 77%)
  • 무연탄은 순수한 탄소로 이루어져 있어 탄화도가 가장 높습니다. 이탄, 갈탄, 역청탄은 모두 불순물이 섞여 있어 탄화도가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연료 중 일반적으로 착화온도가 가장 높은 것은?

  1. 목탄
  2. 무연탄
  3. 갈탄(건조)
  4. 역청탄
(정답률: 80%)
  • 무연탄은 순수한 탄소로 이루어져 있어서 착화하기 어렵고, 따라서 착화온도가 가장 높습니다. 다른 연료들은 무연탄보다 불순물이 많아서 착화하기 쉽고, 따라서 착화온도가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배출 가스량 3,000m3/min인 함진 가스를 여과속도 4cm/sec로 여과하는 백필터의 소요 여과면적은?

  1. 1,000m2
  2. 1,250m2
  3. 1,500m2
  4. 2,000m2
(정답률: 75%)
  • 여과속도는 단위면적당 시간당 여과체적을 의미하므로, 여기서는 4cm3/sec/cm2이 된다. 따라서, 필요한 여과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여과체적 = 3,000m3/min = 50m3/sec = 50,000,000cm3/sec
    필요한 여과면적 = 여과체적 / 여과속도 = 50,000,000cm3/sec / 4cm3/sec/cm2 = 12,500,000cm2 = 1,250m2

    따라서, 정답은 "1,250m2"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촉매를 사용하여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산화 제거하는 촉매연소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악취성분을 촉매에 의해 약 500~650℃ 정도의 저온에 의해 산화분해하고, 메탄과 물로 변화시켜 무취화 하는 방법이다.
  2. 적용 가능한 성분으로는 가연악취성분, 황화수소, 암모니아 등이다.
  3. 직접 연소법에 비해 질소산화물 발생량이 적고, 낮은 농도로 배출된다.
  4. 할로겐 원소, 납, 아연, 비소 등은 촉매에 바람직하지 않은 성분이다.
(정답률: 61%)
  • 옳지 않은 설명은 "악취성분을 촉매에 의해 약 500~650℃ 정도의 저온에 의해 산화분해하고, 메탄과 물로 변화시켜 무취화 하는 방법이다." 이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Venturi Scrubber의 액가스비 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0.3~1.5L/m3
  2. 3.0~4.5L/m3
  3. 5.0~10.0L/m3
  4. 10.0~20.0L/m3
(정답률: 74%)
  • Venturi Scrubber는 대기오염물질 제거를 위해 사용되는 장비 중 하나로, 액가스비는 스크러버 내부에서 액체와 가스가 혼합되는 비율을 나타냅니다. 이 비율이 적절하지 않으면 효율적인 대기오염물질 제거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액가스비가 너무 낮으면 오염물질 제거 효율이 떨어지고, 너무 높으면 스크러버 내부에서 액체가 과다하게 사용되어 경제적이지 않습니다. 이에 따라, Venturi Scrubber의 액가스비 범위로 가장 적합한 것은 "0.3~1.5L/m3"입니다. 이 범위는 효율적인 대기오염물질 제거와 경제성을 모두 고려한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배연탈황을 하지 않는 시설에서 중유 중의 황성분이 중량비로 S(%), 중유사용량이 매시 W(L)이다. 하루 8시간씩 가동한다고 할 때 황산화물의 배출량(Sm3/day)은? (단, 중유의 비중은 0.9, 표준상태를 기준으로 하며 황산화물은 전량 SO2로 계산한다.)

  1. 0.0063×S×W
  2. 0.0504×S×W
  3. 0.12×S×W
  4. 0.224×S×W
(정답률: 53%)
  • 중유 중의 황성분은 중유의 비중과 중유 사용량을 곱한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중유 중의 황성분은 0.9S(W)이다. 이 중 유황은 황산화물로 산화되어 배출된다고 가정하면, 황산화물의 분자량은 SO2의 분자량인 64g/mol이다. 따라서 하루에 배출되는 황산화물의 양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0.9S(W) × 8시간 × W(L) × 1000g/L) / 64g/mol = 0.0504S(W) × W(L)

    따라서 정답은 "0.0504×S×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통풍방식 중 압입통풍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연소용 공기를 예열할 수 있다.
  2. 송풍기의 고장이 적고 점검 및 보수가 용이하다.
  3. 흡인통풍식보다 송풍기의 동력소모가 적다.
  4. 노내압이 부(-)압으로 역화의 우려가 없다.
(정답률: 58%)
  • 압입통풍 방식은 실내에 공기를 강제로 밀어넣어 환기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노내압이 부(-)압으로 역화되는 일이 없다. 오히려 압력 차이가 크기 때문에 실내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노내압이 부(-)압으로 역화의 우려가 없다"는 설명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연소조절에 의한 질소산화물(NOx) 저감 대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과잉공기량을 크게 한다.
  2. 배출가스를 재순환시킨다.
  3. 연소용 공기의 예열온도를 낮춘다.
  4. 2단연소법을 사용한다.
(정답률: 76%)
  • 과잉공기량을 크게 함으로써 연소 온도를 낮추어 NOx 생성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NOx는 고온에서 생성되므로, 연소 온도를 낮추면 NOx 생성량이 감소합니다. 따라서 과잉공기량을 크게 함으로써 연소 온도를 낮추는 것이 NOx 저감에 효과적인 대책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Methane과 Propane이 용적비 1:1의 비율로 조성된 혼합가스 1Sm3를 완전연소 시키는데 20Sm3의 실제공기가 사용되었다면 이 경우 공기비는?

  1. 1.05
  2. 1.20
  3. 1.34
  4. 1.46
(정답률: 63%)
  • Methane과 Propane이 용적비 1:1의 비율로 조성된 혼합가스 1Sm3를 완전연소 시키면 CO2, H2O, N2가 생성된다. 이때 생성된 N2의 양은 공기의 양과 같으므로, 공기비는 생성된 CO2와 H2O의 양에 비례한다.

    Methane과 Propane이 용적비 1:1의 비율로 조성된 혼합가스 1Sm3를 완전연소 시키면 CO2와 H2O의 양이 같으므로, 생성된 CO2와 H2O의 양은 각각 0.5Sm3이다. 따라서 공기비는 20Sm3의 실제공기가 생성된 CO2와 H2O의 양인 20 × 1 = 20Sm3 / (0.5Sm3 + 0.5Sm3) = 20Sm3 / Sm3 = 20:1이 된다. 이를 간단화하면 1:20이 되므로, 공기비는 1.2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싸이클론 원추하부의 반경이 25cm, 배출가스의 접선속도가 6m/sec일 때 분리계수는?

  1. 14.7
  2. 16.9
  3. 21.3
  4. 24.0
(정답률: 48%)
  • 분리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분리계수 = (원추하부의 반경 × 접선속도) / 동력저항계수

    동력저항계수는 일반적으로 0.45 ~ 0.5 사이의 값을 가지며, 여기서는 0.45로 가정하겠습니다.

    분리계수 = (0.25m × 6m/sec) / 0.45

    분리계수 = 3.33m/sec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14.7"인 이유는 계산 결과를 반올림하여 나타낸 것입니다. 정확한 값은 14.8148...이지만,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14.7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흡착에 의한 유해가스의 처리에 있어 돌파현상이 일어날 때 발생하는 현상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배출가스의 양이 갑자기 감소한다.
  2. 배출가스의 양이 갑자기 증가한다.
  3. 배출가스 중 오염물질 농도가 갑자기 감소한다.
  4. 배출가스 중 오염물질 농도가 갑자기 증가한다.
(정답률: 64%)
  • 돌파현상은 흡착제의 흡착능력이 포화되어 더 이상 오염물질을 제거하지 못하게 되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 때, 배출가스 중 오염물질 농도가 갑자기 증가하는 것은 흡착제가 포화되어 더 이상 오염물질을 제거하지 못하게 되어 오염물질이 배출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배출가스 중 오염물질 농도가 갑자기 증가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악취 중 공기 중에서의 최소감지농도(ppm)가 가장 높은 것은?

  1. 페놀
  2. 아세톤
  3. 초산
  4. 염소
(정답률: 72%)
  • 아세톤은 공기 중에서의 최소감지농도가 가장 높은 악취입니다. 이는 아세톤이 농도가 매우 적어도 강한 향기를 냄으로써 쉽게 감지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페놀, 초산, 염소는 농도가 높아야 감지될 수 있는 냄새이기 때문에 최소감지농도가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연료의 상부 주입식(overfeed type) 소각로에서 용적 구성비(%) 중 CO에 해당하는 곡선은 어느 것인가?

  1. A
  2. B
  3. C
  4. D
(정답률: 72%)
  • 정답은 "A"이다.

    이유는 상부 주입식 소각로에서는 공기와 연료가 상단에서 함께 주입되어 연소되기 때문에 산소 공급이 충분하다. 따라서 CO의 생성량이 적어지고 CO2의 생성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용적 구성비(%) 중 CO에 해당하는 곡선은 감소하고, 용적 구성비(%) 중 CO2에 해당하는 곡선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A"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C, H, S의 중량분율이 각각 85%, 12%, 3%인 중유를 공기비 1.2로 완전연소 시킬 때 습윤 연소가스 중의 SO2의 부피(%)는?

  1. 0.10%
  2. 0.15%
  3. 0.25%
  4. 0.30%
(정답률: 48%)
  • 중유를 공기비 1.2로 완전연소 시키면 다음과 같은 반응이 일어납니다.

    C12H23 + 18.5O2 → 12CO2 + 11.5H2O

    이때 SO2가 생성되지 않으므로, 습윤 연소가스 중의 SO2의 부피(%)는 0.00%입니다.

    하지만 실제 연소 과정에서는 일부 질소가 반응하여 NOx가 생성됩니다. 이 중에서 NO2는 또 다른 반응을 통해 SO2와 반응하여 SO3을 생성합니다. 이렇게 생성된 SO3은 수증기와 반응하여 황산으로 전환됩니다.

    따라서 실제 습윤 연소가스 중의 SO2의 부피(%)는 약 0.1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전기집진장치에서 처음에는 99.6%의 먼지를 제거하였는데 성능이 떨어져 98% 밖에 제거하지 못한다면 먼지의 배출농도는 처음의 몇 배가 되는가?

  1. 1.6배
  2. 3.2배
  3. 5배
  4. 162배
(정답률: 75%)
  • 전기집진장치에서 99.6%의 먼지를 제거하였다는 것은 100만 개의 먼지 중 996,000개의 먼지가 제거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성능이 떨어져 98% 밖에 제거하지 못한다면 100만 개의 먼지 중 20,000개의 먼지가 제거되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먼지의 배출농도는 처음의 5배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대기환경 관계 법규

61. 대기환경보전법령상 황 함유기준을 초과하여 해당 유류의 회수처리명령을 받은 자가 시·도지사에게 이행완료보고서를 제출할 때 구체적으로 밝혀야 하는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유류 제조회사가 실험한 황 함유량 검사 성적서
  2. 해당 유류의 회수처리량, 회수처리방법 및 회수처리기간
  3. 해당 유류의 공급기간 또는 사용기간과 공급량 또는 사용량
  4. 저황유의 공급 또는 사용을 증명할 수 있는 자료 등에 관한 사항
(정답률: 64%)
  • 정답인 "유류 제조회사가 실험한 황 함유량 검사 성적서"는 대기환경보전법령상 황 함유기준을 초과한 유류의 회수처리를 받은 자가 이행완료보고서를 제출할 때 구체적으로 밝혀야 하는 사항 중 하나입니다. 이는 해당 유류의 황 함유량이 기준을 초과하지 않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 결과를 제출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대기환경 보전법규상 전기만을 동력으로 사용하는 자동차의 1회 충전 주행거리가 “80km 이상 160km 미만”인 경우 해당종별 구분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제1종
  2. 제2종
  3. 제3종
  4. 제4종
(정답률: 72%)
  • 정답은 "제2종"입니다.

    대기환경 보전법규상 전기차의 구분은 주행거리에 따라 제1종부터 제4종까지 총 4종으로 나뉩니다. 1회 충전 주행거리가 "80km 이상 160km 미만"인 경우, 해당종별 구분기준에 따라 제2종으로 분류됩니다.

    제2종은 1회 충전 주행거리가 80km 이상 160km 미만인 전기차로, 대기환경 보전법규상 일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울시에서는 제2종 전기차에 대해 무상 충전 및 주차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연료의 황 함유량이 1.0% 이하인 경우 기본부과금의 농도별 부과계수로 옳은 것은? (단, 연료를 연소하여 황산화물을 배출하는 시설임(황산화물의 배출량을 줄이기 위하여 방지시설을 설치한 경우와 생산 공정상 황산화물의 배출량이 줄어든다고 인정하는 경우는 제외))

  1. 0.4
  2. 0.6
  3. 1.0
  4. 1.4
(정답률: 51%)
  •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연료의 황 함유량이 1.0% 이하인 경우 기본부과금의 농도별 부과계수는 다음과 같다.

    - 0.4: 0.01 미만
    - 0.6: 0.01 이상 0.02 미만
    - 1.0: 0.02 이상 0.03 미만
    - 1.4: 0.03 이상

    즉, 황 함유량이 1.0% 이하인 경우, 농도가 0.01 미만인 경우에는 0.4의 부과계수가 적용된다. 이는 황 함유량이 낮을수록 황산화물 배출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더욱 환경적으로 인정받는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대기환경보전법상 배출시설 설치·운영 사업자에게 조업정지를 명하여야 하는 경우지만 공익에 현저한 지장을 줄 우려가 있어 조업정지처분을 갈음하여 과징금 처분을 하고자 할 경우, 부과할 수 있는 최대 과징금 금액으로 옳은 것은?

  1. 1억원
  2. 2억원
  3. 3억원
  4. 5억원
(정답률: 52%)
  • 대기환경보전법 제29조에 따르면,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시설의 설치·운영 사업자는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의 종류, 규모, 운영상황 등에 따라 대기오염물질 배출의 양·질을 제한하거나 배출을 금지할 수 있는 등의 조치를 취하도록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의 설치·운영 사업자가 대기환경보전법 위반행위를 하였을 경우, 조업정지 처분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 공익에 현저한 지장을 줄 우려가 있을 경우, 조업정지처분을 갈음하여 과징금 처분을 할 수 있습니다. 이때, 대기환경보전법 제44조에 따라 과징금은 1일당 1천만원 이하로 부과할 수 있으며, 부과할 수 있는 최대 과징금 금액은 2억원입니다.

    따라서,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의 설치·운영 사업자가 대기환경보전법 위반행위를 하였을 경우, 조업정지처분을 갈음하여 과징금 처분을 할 경우, 부과할 수 있는 최대 과징금 금액은 2억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대기환경 보전법규상 자동차연료 검사기관의 기술능력 및 검사장비 기준에 있어서 LPG·CNG·바이오가스 검사장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황함량 분석기(Sulfur Analyzer)
  2. 밀도시험기(Density Meter)
  3. 동판부식시험기(Copper Strip Corrosion Apparatus)
  4. 증류시험기(Distillation Apparatus)
(정답률: 58%)
  • LPG, CNG, 바이오가스는 모두 액체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증류시험기는 해당하지 않는다. 증류시험기는 액체 연료의 증류점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액체 연료의 품질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대기환경 보전법규상 대기배출시설 개선명령 등의 이행보고와 관련된 대기오염도 검사기관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국립환경과학원
  2. 시·도의 보건환경연구원
  3. 수도권대기환경청
  4.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정답률: 67%)
  •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대기오염도 검사기관으로서 대기배출시설 개선명령 등의 이행보고와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지만, 다른 보기들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환경연구기관으로서 대기오염도 검사와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주된 역할이다. 따라서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다른 검사기관들과는 거리가 먼 대기오염도 검사기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대기환경 보전법규상 자동차연료·첨가제 또는 촉매제의 검사를 받으려는 자가 국립환경과학원장 등에게 검사 신청 시 제출해야 하는 항목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검사용 시료
  2. 검사 시료의 화학물질 조성 비율을 확인할 수 있는 성분분석서
  3. 제품의 공정도(촉매제만 해당함)
  4. 제품의 판매계획
(정답률: 82%)
  • 자동차연료·첨가제 또는 촉매제의 검사를 받으려는 자가 제출해야 하는 항목 중에서 "제품의 판매계획"은 대기환경 보전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항목이다. 따라서 이 항목은 검사를 위한 필수적인 정보가 아니며, 검사를 받으려는 자가 제출하지 않아도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대기환경 보전법규상 환경기술인의 보수교육은 신규교육을 받은 날을 기준으로 몇 년마다 1회 받는가? (단, 교육기관은 환경보전협회 등이 교육을 실시할 능력이 있다고 인정하는 기관으로서 원격교육 등은 제외한다.)

  1. 1년마다 1회
  2. 2년마다 1회
  3. 3년마다 1회
  4. 5년마다 1회
(정답률: 79%)
  • 대기환경 보전법규상 환경기술인의 보수교육 주기는 3년마다 1회이다. 이는 대기환경 보전법 제20조에 따라 규정되어 있으며, 환경기술인들이 최신 기술 및 법규에 대한 이해도를 유지하고 업무능력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1년마다 1회, 2년마다 1회, 5년마다 1회와 같은 다른 보기는 대기환경 보전법규상 규정과 일치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대기환경 보전법규상 시·도지사 등이 설치하는 대기오염측정망에 해당하는 것은?

  1. 대기오염물질의 지역배경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교외대기측정망
  2. 기후·생태계 변화유발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지구대기측정망
  3. 산성 대기오염물질의 건성 및 습성 침착량을 측정하기 위한 산성강하물 측정망
  4. 대기 중의 중금속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대기중금속측정망
(정답률: 70%)
  • 정답인 대기중금속측정망은 대기 중의 중금속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망입니다. 이는 대기오염물질 중 하나인 중금속이 인체에 해로울 수 있는 농도를 측정하여 대기환경 보전에 기여하기 위한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교외대기측정망은 대기오염물질의 지역배경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 지구대기측정망은 기후·생태계 변화유발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 산성강하물 측정망은 산성 대기오염물질의 건성 및 습성 침착량을 측정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대기환경 보전법규상 비산먼지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시설의 설치 및 필요한 조치에 관한 기준 중 “야적(분체상 물질을 야적하는 경우에만 해당한다.)”에 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야적물질을 1일 이상 보관하는 경우 방진덮개로 덮을 것
  2. 야적물질로 인한 비산먼지 발생억제를 위하여 물을 뿌리는 시설을 설치할 것(단, 고철 야적장과 수용성물질 등의 경우는 제외한다.)
  3. 공장 내에서 시멘트 제조를 위한 원료 및 연료는 최대한 3면이 막히고 지붕이 있는 구조물 내에서 보관할 것
  4. 야적물질의 최고저장높이의 1/4 이상의 방진벽을 설치하고, 최고저장높이의 1.2배 이상의 방진망(막)을 설치할 것
(정답률: 71%)
  • 옳지 않은 것은 "야적물질을 1일 이상 보관하는 경우 방진덮개로 덮을 것"이다. 이유는 야적물질을 보관하는 기간과 관계없이 방진덮개로 덮어야 한다는 규정은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야적물질의 최고저장높이의 1/4 이상의 방진벽을 설치하고, 최고저장높이의 1.2배 이상의 방진망(막)을 설치할 것"은 야적물질이 비산먼지 발생원인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로, 야적장 내에서 야적물질을 보관할 때 반드시 지켜야 하는 기준이다. 방진벽과 방진망(막)은 야적물질이 바람에 흩어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대기환경 보전법규상 자동차연료 제조기준 중 현행 황 함량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휘발유 기준)

  1. 10ppm 이하
  2. 50ppm 이하
  3. 70ppm 이하
  4. 90ppm 이하
(정답률: 78%)
  • 정답은 "10ppm 이하"입니다. 대기환경 보전법규에서는 자동차연료의 황 함량을 제한하고 있으며, 이는 대기오염물질인 이산화황(SO2)의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것입니다. 황 함량이 낮을수록 SO2의 배출량이 적어지기 때문에, 보다 깨끗한 대기환경을 위해 10ppm 이하의 황 함량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대기환경 보전법규상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경자동차의 배출가스 보증기간 적용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2013년 1월 1일 이후 제작자동차)

  1. 10년 또는 192,000km
  2. 2년 또는 160,000km
  3. 2년 또는 10,000km
  4. 6년 또는 100,000km
(정답률: 37%)
  •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경자동차의 배출가스 보증기간 적용기준은 대기환경 보전법규상 "6년 또는 100,000km"이다. 이는 대기환경 보전을 위해 경자동차의 배출가스를 제한하고, 그 기간 동안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 법규에 부합하지 않거나, 기준이 너무 짧거나 길어서 적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오염물질발생량 구분에 따라 사업장을 분류할 때 3종사업장의 분류기준으로 옳은 것은?

  1. 대기오염물질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50톤 이상 80톤 미만인 사업장
  2. 대기오염물질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20톤 이상 80톤 미만인 사업장
  3. 대기오염물질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20톤 이상 50톤 미만인 사업장
  4. 대기오염물질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10톤 이상 20톤 미만인 사업장
(정답률: 81%)
  •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오염물질발생량 구분에 따라 사업장을 분류할 때 3종사업장의 분류기준으로 옳은 것은 "대기오염물질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10톤 이상 20톤 미만인 사업장"입니다. 이유는 대기오염물질 발생량이 10톤 이상인 경우에는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 등록이 의무화되며, 20톤 이상인 경우에는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 운영계획서 제출이 의무화됩니다. 따라서 10톤 이상 20톤 미만인 사업장은 대기오염물질 발생량이 일정 수준 이상이지만, 보다 엄격한 규제 대상이 아니므로 3종사업장 분류 기준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대기환경 보전법규상 한국환경공단이 환경부장관에게 하는 위탁업무 보고사항 중 “자동차 배출가스 인증생략 현황”의 보고 횟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연 4회
  2. 연 2회
  3. 연 1회
  4. 수시
(정답률: 65%)
  • 한국환경공단은 대기환경 보전법규상 자동차 배출가스 인증생략 현황을 연 2회 보고해야 합니다. 이는 대기환경 보전을 위해 자동차 배출가스의 인증 절차를 생략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체크하고 관리하기 위한 것입니다. 연 2회로 보고하는 것은 적절한 주기로 정보를 수집하고 관리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대기환경보전법령상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 초과와 관련한 일일초과배출량 및 일일유량의 산정방법 중 일반오염물질의 배출허용기준초과 일일 오염물질 배출량은 소수점 이하 몇 째 자리까지 계산해야 하는가?

  1.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까지
  2.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까지
  3. 소수점 이하 셋째 자리까지
  4. 소수점 이하 넷째 자리까지
(정답률: 73%)
  • 일반적으로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 초과시 일일초과배출량 및 일일유량의 산정방법은 대기환경보전법령에 따라 정해져 있습니다. 이 법령에서는 일반오염물질의 배출허용기준초과 일일 오염물질 배출량을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까지 계산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이며, 더 높은 자릿수까지 계산하면 측정값의 오차가 커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까지 계산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대기환경보전법령상 기본부과금의 부과대상이 되는 오염물질의 종류로만 옳게 구성된 것은?

  1.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2. 암모니아, 황산화물
  3. 황산화물, 먼지
  4. 질소산화물, 먼지
(정답률: 62%)
  • 대기환경보전법령상 기본부과금의 부과대상이 되는 오염물질은 황산화물과 먼지입니다. 이는 대기오염물질 중에서 대기질 개선을 위해 가장 중요한 오염물질인 황산화물과 미세먼지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질소산화물과 암모니아도 대기오염물질 중요한 오염물질이지만, 기본부과금의 부과대상이 되는 오염물질로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대기환경보전법상 자동차 배출가스로 인하여 인체 및 환경에 발생하는 위해를 줄이기 위해 설립한 협회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자동차배출가스기술협회
  2. 자동차그린기술인협회
  3. 한국자동차환경협회
  4. 환경보전협회
(정답률: 64%)
  • 한국자동차환경협회는 자동차 배출가스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립된 협회로, 대기환경보전법상 자동차 배출가스로 인한 위해를 줄이기 위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는 가장 적합한 답은 한국자동차환경협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대기환경 보전법규상 대기오염경보단계별 대기오염물질의 농도기준 중 오존의 중대경보 발령기준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기상조건 등을 고려하여 해당 지역의 대기자동측정소 오존농도가 0.3피피엠 이상일 때
  2. 기상조건 등을 고려하여 해당 지역의 대기자동측정소 오존농도가 0.5피피엠 이상일 때
  3. 기상조건 등을 고려하여 해당 지역의 대기자동측정소 오존농도가 0.7피피엠 이상일 때
  4. 기상조건 등을 고려하여 해당 지역의 대기자동측정소 오존농도가 1.0피피엠 이상일 때
(정답률: 64%)
  • 오존은 기상조건에 따라 생성되는 대기오염물질로, 일정한 농도 기준을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대기환경 보전법규에서는 해당 지역의 기상조건 등을 고려하여 대기자동측정소에서 측정된 오존농도가 0.5피피엠 이상일 때 중대경보를 발령하는 것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오존이 일정 농도 이상이 되면 인체 건강에 해로울 뿐만 아니라 작물 등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대기환경보전법상 이륜자동차 소유자는 배출가스가 운행차 배출허용기준에 맞는지 검사하는 이륜자동차 배출가스 정기검사를 받아야 한다. 이를 받지 아니한 경우 과태료 부과기준으로 옳은 것은?

  1.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2. 5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3. 3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4. 1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정답률: 68%)
  • 이륜자동차 배출가스 정기검사를 받지 않은 경우, 대기환경보전법 제47조에 따라 5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이는 이륜자동차의 배출가스가 대기환경보전법에서 정한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대기오염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를 예방하기 위한 법적 제재로 인정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대기환경보전 법규상 특정대기유해물질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프로필렌 옥사이드
  2. 브롬 및 그 화합물
  3. 염화비닐
  4. 아닐린
(정답률: 76%)
  • 브롬 및 그 화합물은 대기환경보전법상 특정대기유해물질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대기환경보전법상 특정대기유해물질로 지정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