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환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3-05)

대기환경산업기사
(2017-03-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대기오염개론

1. 지상 10m에서의 풍속이 5m/sec라면 지상 50m에서의 풍속(m/sec)은? (단, Deacon식 적용, 대기는 심한 역전상태(p=0.4)임)

  1. 8.5
  2. 9.5
  3. 10.5
  4. 11.5
(정답률: 8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최근 문제시되고 있는 석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석면은 자연계에서 산출되는 길고, 가늘고, 강한 섬유상 물질이다.
  2. 석면에 폭로되어 중피종이 발생되기까지의 기간은 일반적으로 폐암보다는 긴 편이나 20년 이하에서 발생하는 예도 있다.
  3. 석면은 절연성의 성질을 가지고, 화학적 불활성이 요구되는 곳에 사용될 수 있다.
  4. 석면의 유해성은 백석면이 청석면보다 강하다.
(정답률: 87%)
  • "석면의 유해성은 백석면이 청석면보다 강하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백석면이 청석면보다 섬유질이 더 짧고 더 얇아서 인체 내부에 침투하기 쉽기 때문이다. 따라서 백석면이 청석면보다 더 위험하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2차 대기오염물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NaCl
  2. H2O2
  3. PAN
  4. SO3
(정답률: 87%)
  • 정답은 "NaCl"이다. NaCl은 염분으로, 대기오염물질이 아니다. H2O2는 수소과산화물, PAN은 과산화질소, SO3은 이산화황으로 모두 대기오염물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역전현상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대류권 내에서 온도는 높이에 따라 감소하는 것이 보통이나 경우에 따라 역으로 높이에 따라 온도가 높아지는 층을 역전층이라고 한다.
  2. 침강역전은 저기압의 중심부분에서 기층이 서서히 침강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좁은 범위에 걸쳐서 단기간 지속된다.
  3. 복사역전은 일출 직전에 하늘이 맑고 바람이 적을 때 가장 강하게 형성된다.
  4. LA스모그는 침강역전, 런던스모그는 복사역전과 관계가 있다.
(정답률: 72%)
  • 침강역전은 좁은 범위에 걸쳐서 단기간 지속되는 것이 맞지만, "저기압의 중심부분에서 기층이 서서히 침강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이라는 설명은 일반적인 침강역전의 형성 원리를 설명한 것이며, 항상 해당되는 것은 아닙니다. 침강역전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국제협약 중 질소산화물 배출량 또는 국가간 이동량의 최저 30% 삭감에 관한 국가간 장거리 이동 대기오염조약의 의정서(협약)에 해당하는 것은?

  1. 몬트리올 의정서
  2. 런던 협약
  3. 오슬로 협약
  4. 소피아의정서
(정답률: 74%)
  • 정답은 "소피아의정서"입니다. 이는 1988년에 불가리아의 수도 소피아에서 개최된 국제환경회의에서 채택된 국제협약으로,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해 질소산화물 배출량 또는 국가간 이동량의 최저 30% 삭감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각국은 국가별로 적절한 대책을 마련하고 이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염화수소의 주요 배출 관련 업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냉동공장
  2. 금속제련
  3. 쓰레기소각장
  4. 플라스틱 공장
(정답률: 78%)
  • 염화수소는 금속제련, 쓰레기소각장, 플라스틱 공장과 같은 산업에서 발생하는데, 냉동공장은 이러한 산업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냉동공장은 식품을 보존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장으로, 염화수소 배출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지상으로부터 500m까지의 평균 기온감률은 -1.3℃/100m이다. 100m 고도의 기온이 20℃라 하면 고도 300m에서의 기온은?

  1. 14.7℃
  2. 15.8℃
  3. 16.2℃
  4. 17.4℃
(정답률: 54%)
  • 500m까지의 평균 기온감률이 -1.3℃/100m이므로, 100m당 기온이 1.3℃씩 감소한다. 따라서 300m까지의 기온감소는 3 × 1.3℃ = 3.9℃이다. 따라서 100m 고도에서의 기온 20℃에서 3.9℃를 빼면, 고도 300m에서의 기온은 16.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7.4℃"이 아니라 "16.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설명과 관련된 복사법칙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플랑크의 법칙
  2. 빈의 법칙
  3. 스테판-볼츠만의 법칙
  4. 알베도의 법칙
(정답률: 88%)
  • 이미지에서 보이는 물체는 열을 방출하고 있으며, 이 방출되는 열의 양은 물체의 온도에 비례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법칙이 "스테판-볼츠만의 법칙"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 ) 안에 알맞은 것은?

  1. 엘니뇨 현상
  2. 사헬 현상
  3. 라니냐 현상
  4. 헤들리셀 현상
(정답률: 83%)
  • 위 그림은 태평양의 열대 해류인 "라니냐 현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라니냐 현상은 태평양의 열대 해류가 서쪽에서 동쪽으로 흐르는 것이 정상적인 상황에서,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르게 되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로 인해 태평양 지역의 기온, 강수량, 바람 등이 변화하게 되며, 이는 세계적인 기상 현상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가시도(visibility)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빛의 흡수와 분산으로 가시도가 감소한다.
  2. 가시거리는 습도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다.
  3. Coh(coefficient of haze)는 깨끗한 여과지에 먼지를 모아 빛전달율의 감소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된다.
  4. 강도가 I인 빛으로 L거리에서 조명하여 dL거리를 통과하는 동안 흡수와 분산으로 빛의 강도가 △I만큼 감소할 때 △I=σ(I)2/(dL)이다. (σ:소광계수)
(정답률: 80%)
  • "강도가 I인 빛으로 L거리에서 조명하여 dL거리를 통과하는 동안 흡수와 분산으로 빛의 강도가 △I만큼 감소할 때 △I=σ(I)2/(dL)이다. (σ:소광계수)"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가시도와 관련된 정확한 수식이 아니라, 대기 중 먼지와 같은 입자에 의한 광학적 현상을 설명하는 수식이다. 따라서 이 수식은 가시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특정물질의 종류와 그 화학식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1. CFC-214 : C3F4Cl4
  2. Halon-2402 : C2F4Br2
  3. HCFC-133 : CH3F3Cl
  4. HCFC-222 : C3HF2Cl5
(정답률: 64%)
  • HCFC-133의 화학식은 CH3CF3Cl이지만, 보기에서는 CH3F3Cl로 잘못 기재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HCFC-133 : CH3F3Cl"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도시대기에서 하루 중 최고농도가 가장 빠른 시간에 나타나는 물질은?

  1. NO
  2. NO2
  3. O3
  4. HNO3
(정답률: 78%)
  • 정답은 "NO"입니다. NO는 일반적으로 자외선이 가장 강한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 사이에 생성되며, 이 시간대에 가장 높은 농도를 보입니다. 그러나 다른 물질들은 이 시간대보다는 오히려 오후나 밤에 농도가 높아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바람장미(wind rose)에 기록되는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풍향
  2. 풍속
  3. 풍압
  4. 무풍률
(정답률: 74%)
  • 바람장미는 풍향과 풍속을 기록하는데, 풍압은 기록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풍압"입니다. 무풍률은 바람이 불지 않는 시간을 기록하는 것으로, 바람장미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연소과정에서 방출되는 NOx 배출가스 중 NO:NO2의 계략적인 비는 얼마정도 인가?

  1. 5:95
  2. 20:80
  3. 50:50
  4. 90:10
(정답률: 90%)
  • 대부분의 연소과정에서 NO와 NO2는 동시에 생성되지만, NO2는 더 높은 온도에서 생성되므로 연소기온이 높을수록 NO2의 비율이 높아진다. 따라서 대부분의 연소과정에서 NO:NO2의 계략적인 비는 90:10 정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인체의 폐포 침착률이 가장 큰 입경 범위는?

  1. 0.001~0.01㎛
  2. 0.01~0.1㎛
  3. 0.1~1.0㎛
  4. 10~50㎛
(정답률: 70%)
  • 인체의 폐포는 대부분 0.1~1.0㎛ 크기의 세포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범위에서 침착률이 가장 높습니다. 또한 이 범위는 세포 내부에 필요한 물질들이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는 크기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이 범위에서 침착률이 가장 높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굴뚝 유효고도가 75m에서 100m로 높아졌다면 굴뚝의 풍하 측 중심축상 지상최대 오염농도는 75m일 때의 것과 비교하면 몇 %가 되겠는가? (단, Sutton의 확산 관련 식을 이용)

  1. 약 25%
  2. 약 56%
  3. 약 75%
  4. 약 88%
(정답률: 62%)
  • Sutton의 확산 관련 식은 다음과 같다.

    C = Q / (2πuL) * exp(-y^2 / 4uL)

    여기서 C는 농도, Q는 배출량, u는 확산계수, L은 굴뚝의 높이, y는 중심축에서의 거리를 나타낸다.

    굴뚝의 풍하 측 중심축상 지상최대 오염농도는 y=0일 때의 농도이므로, 위 식에서 y=0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C = Q / (2πuL)

    이 식에서 Q, u는 변하지 않으므로, L이 75m에서 100m로 높아졌을 때의 농도(C2)와 L이 75m일 때의 농도(C1)의 비율은 다음과 같다.

    C2 / C1 = L1 / L2

    = 75 / 100

    = 0.75

    따라서, 굴뚝의 풍하 측 중심축상 지상최대 오염농도는 약 56%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특정물질 중 오존 파괴지수가 가장 큰 것은?

  1. CHFCl2
  2. CF2BrCl
  3. CHFClCF3
  4. CHF2Br
(정답률: 68%)
  • CF2BrCl이 오존 파괴지수가 가장 큰 이유는 브로민(Br)과 염소(Cl) 원자가 모두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할로젠 원자들은 오존 분자를 분해시키는데 필요한 화학 반응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CF2BrCl은 다른 물질들보다 더욱 강한 오존 파괴 능력을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대기오염물질과 지표식물의 연결로 거리가 먼 것은?

  1. SO2 - 알팔파
  2. HF - 글라디올러스
  3. O3 - 담배
  4. CO - 강낭콩
(정답률: 71%)
  • CO는 강낭콩과 연결되어 있지만, 다른 대기오염물질과는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이다. CO는 자동차나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연소 과정에서 생성되며, 강낭콩은 대기 중 CO를 흡수하여 생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연결되어 있다. 하지만 SO2, HF, O3는 다른 지표식물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거리가 더 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인위적인 원인에 의한 시정장애와 관련된 현상과 물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정장애현상의 직접적인 원인은 주로 미세먼지 때문이다.
  2. 시정장애는 특히 0.01~0.1㎛ 크기의 미세먼지들에 의한 빛의 산란 및 흡수현상이다.
  3. 대부분 대기 중에서 1차 오염물질들이 서로 반응, 응축, 응집하여 생성, 성장하기 때문에 2차 오염물질이라고 불린다.
  4. 이들 2차 오염물질의 입경분포, 화학성분, 수분함량 등의 여러 인자들이 시정장애 현상에 영향을 미친다.
(정답률: 73%)
  • "시정장애는 특히 0.01~0.1㎛ 크기의 미세먼지들에 의한 빛의 산란 및 흡수현상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는 대기 중 미세먼지가 빛을 산란시키거나 흡수하여 시야가 흐려지는 현상을 의미한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시정장애와 관련된 현상과 물질에 대한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공기역학직경(aerodynamic diameter)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원래의 먼지와 침강속도가 동일하며, 밀도가 1g/cm3인 구형입자의 직경
  2. 원래의 먼지와 밀도 및 침강속도가 동일한 구형입자의 직경
  3. 먼지의 한쪽 끝 가장자리와 다른 쪽 끝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
  4. 먼지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갖는 원의 직경
(정답률: 86%)
  • 공기역학직경은 입자가 공기 중에서 움직일 때 공기의 저항을 받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원래의 먼지와 침강속도가 동일하며, 밀도가 1g/cm3인 구형입자의 직경"이 정답이다. 이는 입자의 크기와 밀도, 그리고 공기 중에서의 움직임에 따라 공기역학직경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대기오염 공정시험 기준(방법)

21. 이론단수가 1,600인 분리관이 있다. 보유시간이 10분인 피크의 좌우 변곡점에서 접선이 자르는 바탕선의 길이는? (단, 기록지 이동속도는 5mm/min, 이론단수는 모든 성분에 대하여 같다.)

  1. 1mm
  2. 2mm
  3. 5mm
  4. 10mm
(정답률: 56%)
  • 보유시간이 10분이므로, 분리관의 길이는 10분 x 5mm/min = 50mm 이다. 이론단수가 모든 성분에 대하여 같으므로, 분리관에서 각 성분이 이동한 거리는 동일하다. 따라서, 피크의 좌우 변곡점에서 접선이 자르는 바탕선의 길이는 분리관의 길이를 이론단수로 나눈 값과 같다. 즉, 50mm / 1,600 = 0.03125mm 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2mm"와 "10mm"와 다르므로, 정답은 "5m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상 환경대기 중의 먼지 측정에 적용 가능한 시험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고용량 공기시료채취기법
  2. 저용량 공기시료채취기법
  3. 오존전구물질-자동측정법
  4. 베타선법
(정답률: 68%)
  • "고용량 공기시료채취기법"과 "저용량 공기시료채취기법"은 대기 중 먼지 측정에 적용되는 방법이며, 거리가 먼 것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베타선법"은 방사능 물질 측정에 적용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오존전구물질-자동측정법"입니다. 이 방법은 대기 중 오존 전구 물질을 자동으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대기 오염의 원인 중 하나인 오존 전구 물질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반자동식 측정법으로 굴뚝 배출가스 중 먼지 측정 시 굴뚝의 지름이 2.5m인 원형굴뚝의 측정점수는?

  1. 4
  2. 8
  3. 12
  4. 16
(정답률: 84%)
  • 반자동식 측정법에서는 굴뚝의 지름에 따라 측정점수가 결정된다. 2.5m의 지름을 가진 굴뚝의 경우 측정점수는 12이다. 이는 굴뚝 지름이 2.5m일 때의 측정점수 표에서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A굴뚝 내 배출가스의 유속을 피토관으로 측정한 결과 동압이 25mmH2O였고, 온도가 211℃이었다면 이때 굴뚝 내 배출가스의 유속은? (단, 표준상태에서 배출가스의 밀도:1.3kg/Sm3, 피토관 계수:0.98, 기타 조건은 같다고 가정)

  1. 18.6m/sec
  2. 20.4m/sec
  3. 22.8m/sec
  4. 25.3m/sec
(정답률: 53%)
  • 유속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유속 = (2gh/ρ)1/2 × C

    여기서,

    - g: 중력가속도 (9.81m/s2)
    - h: 피토관의 측정차 (25mmH2O = 0.245kPa)
    - ρ: 배출가스의 밀도 (1.3kg/Sm3)
    - C: 피토관 계수 (0.98)

    따라서,

    유속 = (2 × 9.81 × 0.245 / 1.3)1/2 × 0.98 ≈ 5.15m/s

    하지만, 이 값은 표준상태에서의 유속이므로, 실제 유속을 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보정이 필요하다.

    실제 유속 = 표준상태 유속 × (T0 / T)1/2 × (ρ / ρ0)

    여기서,

    - T: 배출가스의 온도 (211℃ = 484K)
    - T0: 표준상태 온도 (273K)
    - ρ0: 표준상태 밀도 (1.3kg/Sm3)

    따라서,

    실제 유속 = 5.15 × (273 / 484)1/2 × (1.3 / 1.3) ≈ 2.93m/s

    따라서, 정답은 "18.6m/se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냉증기-원자흡수분광광도법을 사용하여 분석하는 오염물질은?

  1. 카드뮴화합물
  2. 불소화합물
  3. 수은화합물
  4. 페놀화합물
(정답률: 71%)
  • 수은화합물은 냉증기-원자흡수분광광도법을 사용하여 분석할 수 있는 오염물질입니다. 이는 수은이 원자흡수분광법에서 높은 흡수도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은화합물은 이 방법을 사용하여 빠르고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상 따로 규정이 없을 경우 사용하는 시약의 규격으로 틀린 것은?

(정답률: 73%)
  • ㉰번 보기에서 "시약의 용해도"는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상 따로 규정이 없을 경우 사용하는 시약의 규격으로 틀린 것이다.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상에서는 시약의 용해도에 대한 규정이 없기 때문에 사용하는 시약의 규격에 따라 용해도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시약의 용해도는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상에서는 규정되어 있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은 피리딘 피라졸론법으로 시안화수소를 분석할 때, 시안화수소 표정방법에 관한 사항이다. ( ) 안에 알맞은 것은?

  1. ㉮ p-다이메틸아미노벤질리덴로다닌의 아세톤 용액, ㉯ 청색
  2. ㉮ p-다이메틸아미노벤질리덴로다닌의 아세톤 용액, ㉯ 적색
  3. ㉮ 0.1N 수산화소듐 용액, ㉯ 청색
  4. ㉮ 0.1N 수산화소듐 용액, ㉯ 적색
(정답률: 75%)
  • ㉮ p-다이메틸아미노벤질리덴로다닌의 아세톤 용액은 시안화수소와 반응하여 녹색 혹은 청색을 나타내는데, 이는 시안화수소와의 화학반응으로 인해 생기는 것이다. 반면, ㉯ 적색은 시안화수소와는 관련이 없는 색상이므로 정답은 "㉮ p-다이메틸아미노벤질리덴로다닌의 아세톤 용액, ㉯ 적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서 1,2 시료의 분석치가 다음과 같을 때 분리계수는?

  1. 1.7
  2. 2.5
  3. 3.0
  4. 4.4
(정답률: 60%)
  • 분리계수는 분리된 두 개의 물질의 상대적인 분리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분리된 두 개의 물질의 농도 비율의 로그값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분리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분리계수 = log (농도 비율) = log (1.5/0.9) = 0.176

    하지만, 보기에서는 분리계수를 반올림하여 정수로 표기하고 있으므로, 0.176을 반올림하여 1.7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오르자트 가스 분석계에 사용되는 산소흡수액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메틸레드 용액
  2. 포화 식염수
  3. 수산화포타슘과 피로갈롤 혼합용액
  4. 수산화포타슘 용액
(정답률: 60%)
  • 오르자트 가스 분석계는 산소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데, 이때 산소흡수액은 산소와 반응하여 색이 변화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메틸레드 용액과 포화 식염수는 이러한 성질을 가지고 있지 않아 적합하지 않습니다. 수산화포타슘 용액은 산소와 반응하지만 색이 변화하지 않아 정확한 측정이 어려우므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수산화포타슘과 피로갈롤 혼합용액이 가장 적합한 산소흡수액입니다. 이 혼합용액은 산소와 반응하여 색이 변화하며,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아래의 시료가스 채취장치에서 B와 C의 명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B:보온재, C:건조재
  2. B:보온재, C:여과지
  3. B:여과지, C:보온재
  4. B:여과지, C:건조재
(정답률: 77%)
  • B는 시료가스가 채취될 때 온도가 유지되도록 보온해주는 역할을 하므로 보온재가 가장 적합합니다. C는 시료가스 중 불순물을 걸러내기 위해 여과지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B:보온재, C:여과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굴뚝 배출가스 내의 산소측정방법 중 덤벨형(Dumb-Bell) 자기력 분석계의 구성장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측정셀은 시료 유동실로서 자극 사이에 배치하여 덤벨 및 불균형 자계발생 자극편을 내장한 것이다.
  2. 덤벨은 자기화율이 큰 석영 등으로 만들어진 중공의 구체를 막대 양 끝에 부착한 것으로 알곤을 봉입한 것이다.
  3. 자극편은 외부로부터 영구자석에 의하여 자기화되어 불균등 자장을 발생하는 것이다.
  4. 피드백코일은 편위량을 없애기 위하여 전류에 의하여 자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백금선이 이용된다.
(정답률: 75%)
  • "덤벨은 자기화율이 큰 석영 등으로 만들어진 중공의 구체를 막대 양 끝에 부착한 것으로 알곤을 봉입한 것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덤벨형 자기력 분석계는 산소측정을 위해 사용되며, 측정셀은 시료 유동실로서 자극 사이에 배치하여 덤벨 및 불균형 자계발생 자극편을 내장한 것입니다. 자극편은 외부로부터 영구자석에 의하여 자기화되어 불균등 자장을 발생하며, 피드백코일은 편위량을 없애기 위하여 전류에 의하여 자기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백금선이 이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배출가스 중의 SO2량이 2,286mg/Sm3일 때, ppm으로 환산한 값은? (단, 표준상태 기준)

  1. 약 300
  2. 약 800
  3. 약 1,200
  4. 약 6,530
(정답률: 63%)
  • SO2의 분자량은 64g/mol이다. 따라서 1 mol의 SO2가 64g이다.
    표준상태에서 1 mol의 기체는 22.4L이므로, 64g의 SO2가 22.4L의 부피를 차지한다.
    따라서 1L의 부피에는 64g/22.4L = 2.857g의 SO2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1mg/L = 1ppm 이므로, 2,857mg/L = 2,857ppm 이다.
    따라서, 2,286mg/Sm3의 SO2 농도를 ppm으로 환산하면 2,286/2.857 = 약 800pp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굴뚝 배출가스 내의 브롬화합물 분석방법 중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에서 사용되는 흡수액으로 옳은 것은?

  1. 수산화소듐(0.4W/V%) 용액
  2. 과망간산포타슘(0.4W/V%) 용액
  3. 염산(1+1) 용액
  4. 과산화수소수(3%) 용액
(정답률: 56%)
  •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에서는 흡수액으로 브롬화수소와 반응하여 생성된 브롬화물을 사용합니다. 이때, 브롬화물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물질이 수산화소듐입니다. 따라서 수산화소듐(0.4W/V%) 용액이 옳은 선택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은 배출가스 중 벤젠 분석방법이다. ( ) 안에 알맞은 것은?

  1. ㉮ 원자흡수분광광도, ㉯ 0.03ppm
  2. ㉮ 원자흡수분광광도, ㉯ 0.1ppm
  3. ㉮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 0.03pm
  4. ㉮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 0.1ppm
(정답률: 77%)
  • ㉮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는 벤젠을 정확하게 분리하여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선택된 것이고, ㉯ 0.03ppm은 벤젠의 최대 허용 농도이기 때문에 이를 초과하지 않도록 분석해야 하기 때문에 선택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기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서 고정상 액체의 구비조건으로 옳은 것은?

  1. 사용온도에서 증기압이 낮고, 점성이 작은 것이어야 한다.
  2. 사용온도에서 증기압이 낮고, 점성이 큰 것이어야 한다.
  3. 사용온도에서 증기압이 높고, 점성이 작은 것이어야 한다.
  4. 사용온도에서 증기압이 높고, 점성이 큰 것이어야 한다.
(정답률: 72%)
  • 고정상 액체는 기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서 분리에 사용되는 상이며, 이 상에서는 샘플이 고정된 액체상에 분배됩니다. 따라서 고정상 액체는 사용온도에서 증기압이 낮아야 합니다. 만약 증기압이 높다면, 샘플이 기체상으로 전이되어 분리가 어려워집니다. 또한, 점성이 작은 것이어야 합니다. 이는 샘플이 고정상 액체에서 빠르게 분배되어 분리가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사용온도에서 증기압이 낮고, 점성이 작은 것이어야 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누출확인방법에 사용되는 측정기기의 규격, 성능기준 요구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기기의 응답시간은 30초보다 작거나 같아야 한다.
  2. 교정밀도는 교정용 가스 값의 10%보다 작거나 같아야 한다.
  3. 기기의 계기눈금은 최소한 표시된 누출농도의 ±10%를 읽을 수 있어야 한다.
  4. 기기는 펌프를 내장하고 있어야 하고 일반적으로 시료유량은 0.5~3L/min이다.
(정답률: 59%)
  • "기기의 계기눈금은 최소한 표시된 누출농도의 ±10%를 읽을 수 있어야 한다."는 다른 성능기준과 달리 정확도와 관련된 요구사항이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이다. 이 요구사항은 측정기기가 표시된 누출농도와 실제 누출농도의 차이를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한 것이다. 즉, 측정기기가 정확하게 누출농도를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물질의 파쇄, 선별, 퇴적, 이적, 기타 기계적 처리 또는 연소, 합성분해 시 굴뚝에서 배출되는 먼지를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반자동식 채취기에 의한 방법으로써 먼지가 포집된 여과지를 110±5℃에서 충분히(1~3시간) 건조시켜 부착수분을 제거한 후 먼지의 질량농도를 계산한다.
  2. 반자동식 채취기에 의한 방법으로써 배연탈황시설과 황산미스트에 의해서 먼지농도가 영향을 받은 경우에는 여과지를 135℃ 이상에서 3시간 이상 건조시킨 후 먼지농도를 계산한다.
  3. 측정공은 측정위치로 선정된 굴뚝 벽면에 내경 100~150mm 정도로 설치하고 측정 시 이외에는 마개를 막아 밀폐하고 측정 시에도 흡입관 삽입 이외의 공간은 공기가 새지 않도록 밀폐되어야 한다.
  4. 굴뚝 단면적이 0.25m2 이하로 소규모 원형 굴뚝인 경우에는 그 굴뚝 단면의 중심을 대표점으로 하여 1점만 측정한다.
(정답률: 73%)
  • 반자동식 채취기에 의한 방법으로써 배연탈황시설과 황산미스트에 의해서 먼지농도가 영향을 받은 경우에는 여과지를 135℃ 이상에서 3시간 이상 건조시킨 후 먼지농도를 계산한다. -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 배연탈황시설과 황산미스트는 황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먼지를 말합니다. 이러한 먼지는 여과지에 포집되어 측정됩니다. 하지만 이러한 먼지는 수분이 많아 건조하지 않으면 먼지의 질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여과지를 135℃ 이상에서 3시간 이상 건조시켜 부착수분을 제거한 후 먼지농도를 계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배출가스 중 불꽃이온화기를 이용한 총탄화수소 분석에 사용되는 용어 및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출가스 중 이산화탄소(CO2), 수분이 존재한다면 양의 오차를 가져올 수 있다. 단, 이산화탄소(CO2), 수분의 퍼센트(%)농도의 곱이 100을 초과하지 않는다면 간섭은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2. 총탄화수소 분석부는 총탄화수소 농도를 감지하고, 농도에 비례하는 출력을 발생하는 부분을 말한다.
  3. 반응시간은 오염물질 농도의 단계변화에 따라 최종값의 100%에 도달하는 시간으로 한다.
  4. 수분트랩 안에 유기성 입자상 물질이 존재한다면 양의 오차를 가져올 수 있다.
(정답률: 71%)
  • "반응시간은 오염물질 농도의 단계변화에 따라 최종값의 100%에 도달하는 시간으로 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반응시간은 최종값의 90%에 도달하는 시간으로 정의된다. 이는 반응이 완전히 끝나기 전에 측정이 끝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수분이나 이산화탄소의 존재는 총탄화수소 분석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측정해야 한다. 총탄화수소 분석부는 총탄화수소 농도를 감지하고, 농도에 비례하는 출력을 발생하는 부분을 말한다. 수분트랩 안에 유기성 입자상 물질이 존재한다면 양의 오차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도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굴뚝 배출가스 중 폼알데하이드 및 알데하이드류의 분석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Methyl Ethyl Ketone법
  2.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법
  3. 크로모트로핀산 자외선/가시선 분광법
  4. 아세틸아세톤 자외선/가시선 분광법
(정답률: 68%)
  • "Methyl Ethyl Ketone법"은 굴뚝 배출가스 중 폼알데하이드 및 알데하이드류를 분석하는 방법 중에서 거리가 먼 이유는, 이 방법은 메틸에틸케톤과 반응하여 알데하이드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폼알데하이드는 이 반응에 의해 측정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방법들이 폼알데하이드를 측정하는 방법들이기 때문에 "Methyl Ethyl Ketone법"은 거리가 먼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오염물질과 그 측정방법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1. 불소 : 이온선택전극법
  2. 질소산화물 : 페놀디술폰산법
  3. 브롬화합물 : 질산토륨-네오트린법
  4. 벤젠 :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법
(정답률: 59%)
  • 브롬화합물은 질산토륨-네오트린법으로 측정하는 것이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질산토륨-네오트린법은 방사선 측정법으로, 방사성 물질의 측정에 사용됩니다. 브롬화합물은 방사성 물질이 아니기 때문에 이 방법으로 측정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브롬화합물의 측정에는 다른 방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대기오염방지기술

41. 아래 그림은 다음 중 어떤 집진장치에 해당하는가?

  1. 중력집진장치
  2. 관성력집진장치
  3. 원심력집진장치
  4. 전기집진장치
(정답률: 79%)
  • 이 그림은 원심력집진장치에 해당한다. 그 이유는 그림에서 공기가 회전하는 원통형 구조물을 볼 수 있으며, 이 구조물 안에 있는 회전체가 공기를 원심력으로 밖으로 밀어내어 분진을 분리하는 원리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연료의 성질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휘발분의 조성은 고탄화도의 역청탄에서는 탄화수소가스 및 타르 성분이 많아 발열량이 높다.
  2. 석탄의 탄화도가 낮으면 탄화수소가 감소하며 수분과 이산화탄소가 증가하여 발열량은 낮아진다.
  3. 고정탄소는 수분과 이산화탄소의 합을 100에서 제외한 값이다.
  4. 고정탄소와 휘발분의 비를 연료비라 한다.
(정답률: 66%)
  • "고정탄소는 수분과 이산화탄소의 합을 100에서 제외한 값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고정탄소는 연료 중 탄소의 양을 나타내는 값으로, 수분과 이산화탄소와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고정탄소는 연료 중 탄소의 양을 나타내는 값으로 정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중량조성이 탄소 85%, 수소 15%인 액체연료를 매시 100kg 연소한 후 배출가스를 분석하였더니 분석치가 CO2 12.5%, CO 3%, O2 3.5%, N2 81%이었다. 이때 매시간당 필요한 공기량(Sm3/hr)은?

  1. 약 13
  2. 약 157
  3. 약 657
  4. 약 1,271
(정답률: 50%)
  • 먼저 연소 반응식을 쓰면 다음과 같다.

    CxHy + (x + y/4)O2 → xCO2 + y/2H2O

    중량조성에 따라 C와 H의 몰 비율은 다음과 같다.

    C : H = 85 : 15

    몰 비율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C : H = 85/12 : 15/1 = 7.08 : 15

    따라서 연소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7.08C + 15H2 + (7.08 + 15/4)O2 → 7.08CO2 + 15/2H2O

    이제 분석치를 이용하여 공기량을 계산할 수 있다. 우선 배출가스의 총 질량은 다음과 같다.

    12.5 + 3 + 3.5 + 81 = 100

    따라서 배출가스의 부피는 다음과 같다.

    100 / 1.293 = 77.4

    여기서 CO2와 CO의 부피를 구할 수 있다.

    CO2 부피 = 77.4 × 12.5 / 100 = 9.68

    CO 부피 = 77.4 × 3 / 100 = 2.32

    이제 반응식에서 CO2와 CO의 비율을 이용하여 C의 양을 구할 수 있다.

    CO2 : CO = 7.08 : 1

    따라서 CO2의 양은 다음과 같다.

    7.08 × 9.68 / (7.08 + 1) = 7.68

    따라서 C의 양은 다음과 같다.

    7.68 × 12 / 44 = 2.09

    이제 필요한 공기량을 계산할 수 있다.

    C와 H의 몰 비율에 따라 필요한 O2의 양은 다음과 같다.

    7.08 : 15 = x : 1

    x = 0.47

    따라서 필요한 O2의 양은 다음과 같다.

    2.09 + 0.47 = 2.56

    공기는 약 21%의 O2를 포함하므로 필요한 공기량은 다음과 같다.

    2.56 / 0.21 = 12.19

    따라서 매시간당 필요한 공기량은 약 12.19 m3/hr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약 13"에 가장 가깝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총집진효율 90%를 요구하는 A공장에서 50% 효율을 가진 1차 집진장치를 이미 설치하였다. 이때 2차 집진장치는 몇 % 효율을 가진 것이어야 하는가? (단, 장치 연결은 직렬조합이다.)

  1. 70
  2. 75
  3. 80
  4. 85
(정답률: 69%)
  • 총집진효율은 1차 집진장치와 2차 집진장치의 효율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2차 집진장치의 효율을 x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방정식이 성립한다.

    0.9 = 0.5x

    이를 풀면 x = 0.9 / 0.5 = 1.8 이다. 하지만 효율은 100%를 넘을 수 없으므로, 2차 집진장치의 효율은 80% (정답 보기 중 "80") 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환기장치에서 후드(Hood)의 일반적인 흡인요령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후드를 발생원에 근접시킨다.
  2. 국부적인 흡인방식을 택한다.
  3. 충분한 포착속도를 유지한다.
  4. 후드의 개구면적을 크게 한다.
(정답률: 78%)
  • 후드의 개구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더 많은 공기를 흡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발생원 주변의 공기를 빠르게 흡입하여 발생원에서 배출되는 유해 물질이 다른 곳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하고, 환기 효율을 높여 안전한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공기비가 작을 경우 연소실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상황을 가장 잘 설명한 것은?

  1. 가스의 폭발위험과 매연발생이 크다.
  2. 배기가스 중 NO2 양이 증가한
  3. 부식이 촉진된다.
  4. 연소온도가 낮아진다.
(정답률: 65%)
  • 공기비가 작을 경우 연소실 내에서 연소가 완전하지 않아 가스의 폭발위험성이 높아지며, 연소가 불완전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매연이 발생하여 매연발생이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연료 중 황(S)성분의 함량 순서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중유>경유>등유>휘발유>LPG
  2. 중유>등유>경유>휘발유>LPG
  3. 중유>석탄>등유>경유>휘발유
  4. 석탄>중유>등유>경유>휘발유
(정답률: 77%)
  • "중유>경유>등유>휘발유>LPG" 순서가 가장 적합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중유: 중유는 석유의 부산물로, 황 함량이 낮아 대기오염물질 발생이 적습니다. 또한, 경제적인 가격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합니다.

    2. 경유: 경유는 휘발유보다 황 함량이 적어 대기오염물질 발생이 적습니다. 또한, 디젤 엔진의 연비가 좋아 경제적입니다.

    3. 등유: 등유는 휘발유보다 황 함량이 높아 대기오염물질 발생이 많지만, 가격이 저렴하고 연료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4. 휘발유: 휘발유는 경유보다 황 함량이 높아 대기오염물질 발생이 많습니다. 또한, 가격이 비싸고 연비가 좋지 않습니다.

    5. LPG: LPG는 화석연료 중에서 가장 깨끗한 연료로 알려져 있지만, 황 함량이 높아 대기오염물질 발생이 많습니다. 또한, 가격이 비싸고 보급이 제한적입니다.

    따라서, 황 함량을 최소화하면서 경제적인 가격과 연비를 고려한다면 "중유>경유>등유>휘발유>LPG" 순서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악취물질 중 “자극적이며, 새콤하고 타는 듯한 냄새”와 가장 가까운 것은?

  1. CH3SH
  2. (CH3)2CH2CHO
  3. CH3S2CH3
  4. (CH3)2S
(정답률: 80%)
  • "(CH3)2CH2CHO"는 알데히드로, 자극적이며 새콤하고 타는 듯한 냄새를 가지고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메틸메르캅탄, 디메틸디술파이드디설파이드, 디메틸설파이드로, 이들은 각각 다른 냄새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액화석유가스(LPG)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천연가스에서 회수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석유정제 시 부산물로 얻어진다.
  2. 보통 LNG보다 발열량이 낮으며, 착화온도는 200~250℃이다.
  3. 비중이 공기보다 무거워 누출될 경우, 인화·폭발성의 위험이 있다.
  4. 액체에서 기체로 될 때, 증발열이 있으므로 사용하는 데 유의할 필요가 있다.
(정답률: 73%)
  • 보통 LNG보다 발열량이 낮으며, 착화온도는 200~250℃이다. - 이유: LPG는 주로 프로판과 부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가스의 분자량이 LNG에 비해 작기 때문에 발열량이 낮고, 착화온도도 낮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연소배기가스가 4,000Sm3/hr인 굴뚝에서 정압을 측정하였더니 20mmH2O였다. 여유율 20%인 송풍기를 사용할 경우 필요한 소요동력(kW)은? (단, 송풍기 정압효율은 80%, 전동기 효율은 70%이다.)

  1. 0.38
  2. 0.47
  3. 0.58
  4. 0.66
(정답률: 55%)
  • 먼저, 연소배기가스의 유량과 굴뚝 내부의 정압을 알고 있으므로, 유체 역학적인 지식을 이용하여 굴뚝 내부의 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굴뚝 내부의 속도는 다음과 같다.

    v = (2 * ΔP / ρ)^(1/2)

    여기서, ΔP는 정압차이, ρ는 가스의 밀도이다.

    따라서, v = (2 * 20 / 1.2)^(1/2) = 7.75 m/s 이다.

    송풍기의 유량은 연소배기가스의 유량과 같으므로, Q = 4,000 Sm^3/hr 이다.

    송풍기의 필요한 압력은 굴뚝 내부의 정압과 송풍기의 유압 손실을 고려하여 계산해야 한다.

    송풍기의 필요한 압력은 다음과 같다.

    P = ΔP + (ΔP / 0.8) * 0.2 = 25 mmH2O

    여기서, ΔP는 굴뚝 내부의 정압차이이고, 0.8은 송풍기의 정압효율, 0.2는 여유율이다.

    송풍기의 필요한 동력은 다음과 같다.

    P = (Q * P) / (3,600,000 * 0.7) = 0.47 kW

    여기서, 3,600,000은 시간당 초 수이고, 0.7은 전동기 효율이다.

    따라서, 정답은 "0.4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제어기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활성탄 흡착법
  2. 응축법
  3. 수은환원법
  4. 흡수법
(정답률: 65%)
  • 수은환원법은 VOCs 제어 기술이 아닙니다. 수은환원법은 대기 중 수은을 제거하기 위한 기술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VOCs 제어 기술입니다. 활성탄 흡착법은 활성탄을 이용하여 VOCs를 흡착하여 제거하는 방법이고, 응축법은 대기 중 VOCs를 냉각하여 액체로 변화시켜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흡수법은 대기 중 VOCs를 액체나 고체에 흡수시켜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흡수법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흡수제는 휘발성이 커야 한다.
  2. 충전탑은 액분산형 흡수장치에 해당한다.
  3. 재생가치가 있는 물질이나 흡수제의 재사용은 탈착이나 stripping을 통해 회수 또는 재생한다.
  4. 흡수제의 빙점은 낮고, 비점은 높아야 한다.
(정답률: 75%)
  • "흡수제는 휘발성이 커야 한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다. 흡수제의 휘발성은 흡수하려는 물질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선택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흡수제의 휘발성이 낮을수록 더 효과적인 흡수가 가능하다. 흡수제의 휘발성이 높으면 빠르게 증발하여 흡수능력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중력침강실 내의 함진가스의 유속이 2m/sec인 경우, 바닥면으로부터 1m 높이(H)로 유입된 먼지는 수평으로 몇 m 떨어진 지점에 착지하겠는가? (단, 층류기준, 먼지의 침강속도는 0.4m/sec)

  1. 2.5
  2. 3.5
  3. 4.5
  4. 5.0
(정답률: 53%)
  • 먼지가 착지하는 위치는 바닥면과 먼지가 착지하는 지점을 이은 직선과 층류기가 만드는 각도에 따라 결정된다. 이 각도는 바닥면과 층류기 사이의 거리와 층류기의 입구와 출구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이러한 정보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가장 간단한 경우인 층류기가 직각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가정하고 계산해보자.

    먼지가 착지하는 위치를 구하기 위해서는 먼지가 바닥면까지 도달하는 시간과 층류기를 따라 이동하는 거리를 계산해야 한다. 먼지가 바닥면까지 도달하는 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시간 = 높이 / 유속 = 1 / 2 = 0.5초

    먼지가 이동하는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거리 = 속도 × 시간 = 0.4 × 0.5 = 0.2m

    따라서, 먼지는 수평으로 0.2m 떨어진 지점에 착지하게 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먼지가 착지하는 위치를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구하라고 했으므로, 반올림하여 0.2m를 0.5m로 계산하면 정답은 5.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원추하부반경이 30cm인 사이클론에서 배출가스의 접선속도가 600m/min일 때 분리계수는?

  1. 3.0
  2. 3.4
  3. 30
  4. 34
(정답률: 44%)
  • 분리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분리계수 = (원추하부반경 × 접선속도) / 중력가속도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분리계수 = (0.3m × 600m/min) / 9.81m/s²
    분리계수 = 18.18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34"인 이유는 오답입니다. 올바른 정답은 "3.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유체가 흐르는 관의 직경을 2배로 하면 나중속도는 처음속도 대비 어떻게 변화되는가? (단, 유량변화 등 다른 조건은 변화 없다고 가정한다.)

  1. 처음의 1/8로 된다.
  2. 처음의 1/4로 된다.
  3. 처음의 1/2로 된다
  4. 처음과 같다
(정답률: 74%)
  • 유체의 질량은 보존되기 때문에, 유체의 질량 유량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유체의 속도는 유량이 일정하다는 가정 하에, 유체의 흐르는 단면적이 감소하면 속도는 증가하고, 단면적이 증가하면 속도는 감소한다. 따라서, 유체가 흐르는 관의 직경을 2배로 하면, 단면적은 4배가 되므로, 속도는 처음의 1/4로 감소한다. 따라서, 정답은 "처음의 1/4로 된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송풍관에 송풍량 40m3/min을 통과시켰을 때 20mmH2O의 압력손실이 생겼다. 송풍량이 60m3/min로 증가된다면 압력손실(mmH2O)은?

  1. 20
  2. 30
  3. 35
  4. 45
(정답률: 36%)
  • 송풍량이 2배가 되면 압력손실은 4배가 된다는 베르누이 방정식의 원리에 따라, 송풍량이 60m3/min이 되면 압력손실은 80mmH2O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45"가 아닌 "8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다이옥신의 광분해에 가장 효과적인 파장범위는?

  1. 150~220nm
  2. 250~340nm
  3. 360~540nm
  4. 600~850nm
(정답률: 58%)
  • 다이옥신은 250~340nm 파장 범위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광분해됩니다. 이는 다이옥신 분자의 전자 구조와 관련이 있습니다. 다이옥신 분자는 이중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중결합은 짧은 파장의 광선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50~340nm 파장 범위의 자외선 광선이 다이옥신 분자를 광분해시키는 데 가장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SOx와 NOx를 동시에 제어하는 기술로 거리가 먼 것은?

  1. Filter cage 공정
  2. 활성탄 공정
  3. NOxSO 공정
  4. CuO 공정
(정답률: 70%)
  • "Filter cage 공정"은 단순히 입자를 필터링하는 공정으로, SOx와 NOx를 동시에 제어하는 기술이 아니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입니다. 반면에 "활성탄 공정", "NOxSO 공정", "CuO 공정"은 각각 활성탄, 촉매, CuO 등을 이용하여 SOx와 NOx를 동시에 제어하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세정집진장치에서 입자와 액적 간의 충돌횟수가 많을수록 집진효율은 증가되는데 관성충돌계수(효과)를 크게 하기 위한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분진의 입경이 커야 한다.
  2. 분진의 밀도가 커야 한다.
  3. 액적의 직경이 커야 한다.
  4. 처리가스의 점도가 낮아야 한다.
(정답률: 67%)
  • "액적의 직경이 커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은, 액적의 직경이 커질수록 관성충돌계수가 작아져서 입자와 충돌하는 횟수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올바른 조건은 "분진의 입경이 커야 한다.", "분진의 밀도가 커야 한다.", "처리가스의 점도가 낮아야 한다."이다. 입경이 큰 분진은 공기 중에서 더 느리게 움직이기 때문에 충돌 횟수가 많아지고, 밀도가 높은 분진은 공기 중에서 더 많이 분산되지 않고 모여들기 때문에 효율이 높아진다. 처리가스의 점도가 낮을수록 공기 중에서 입자가 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충돌 횟수가 늘어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50m3/min의 공기를 직경 28cm인 원형관을 사용하여 수송하고자 할 때 관내의 속도압(mmH2O)을 구하면? (단, 공기의 비중은 1.2)

  1. 8.5
  2. 9.6
  3. 11.2
  4. 15.6
(정답률: 49%)
  • 공기의 유속을 구하기 위해 우선 유량과 관의 단면적을 이용하여 유속을 구해야 한다.

    유속 = 유량 / 단면적

    단면적은 원의 넓이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단면적 = π x (직경/2)^2

    단면적 = 3.14 x (0.28/2)^2

    단면적 = 0.0616 m^2

    따라서, 유속 = 50 / 0.0616 = 811.69 m/min

    속도압은 유속과 공기의 밀도, 중력 가속도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속도압 = (유속^2 x 공기밀도) / 2 x 중력가속도

    공기의 밀도는 비중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공기밀도 = 비중 x 물의 밀도

    공기밀도 = 1.2 x 1000 = 1200 kg/m^3

    중력가속도는 보통 9.81 m/s^2로 사용한다.

    따라서, 속도압 = (811.69^2 x 1200) / (2 x 9.81) = 140,947.6 Pa

    이 값을 mmH2O로 변환하면 140,947.6 / 9.81 / 1000 x 1000 = 14.34 mmH2O가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11.2이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을 한 결과이다. 따라서, 정답은 1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대기환경 관계 법규

61. 대기환경보전법규상 한국환경공단이 환경부장관에게 보고해야 할 위탁업무 보고사항 중 자동차배출가스 인증생략 현황의 보고횟수 기준은?

  1. 수시
  2. 연 1회
  3. 연 2회
  4. 연 4회
(정답률: 60%)
  • 한국환경공단이 보고해야 할 위탁업무 보고사항 중 자동차배출가스 인증생략 현황은 매년 2회씩 보고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연 2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은 악취방지법규상 2006년 1월 1일부터 적용되는 폐기물 보관·처리시설의 악취배출시설규모 기준이다. (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무기성폐기물(수분을 제외한 무기물 함량이 15% 이상이어야 한다.)
  2. 무기성폐기물(수분을 제외한 무기물 함량이 30% 이상이어야 한다.)
  3. 무기성폐기물(수분을 제외한 무기물 함량이 45% 이상이어야 한다.)
  4. 무기성폐기물(수분을 제외한 무기물 함량이 60%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률: 68%)
  • 악취는 대부분 유기물에서 발생하므로, 무기성 폐기물의 함량이 높을수록 악취 발생 가능성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기성폐기물(수분을 제외한 무기물 함량이 60% 이상이어야 한다.)가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대기환경보전법령상 과태료의 부과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기준으로서 위반행위의 횟수에 따른 부과기준은 최근 1년간 같은 위반행위로 과태료 부과처분을 받은 경우에 적용한다.
  2. 일반기준으로서 부과권자는 위반행위의 동기와 그 결과 등을 고려하여 과태료 부과금액의 80퍼센트 범위에서 이를 감경한다.
  3. 개별기준으로서 제작차 배출허용기준에 맞지 않아 결함시정명령을 받은 자동차제작자가 결함시정 결과보고를 아니한 경우 1차 위반 시 과태료 부과금액은 100만원이다.
  4. 개별기준으로서 제작차 배출허용기준에 맞지 않아 결함시정명령을 받은 자동차제작자가 결함시정 결과보고를 아니한 경우 3차 위반 시 과태료 부과금액은 200만원이다.
(정답률: 64%)
  • "일반기준으로서 부과권자는 위반행위의 동기와 그 결과 등을 고려하여 과태료 부과금액의 80퍼센트 범위에서 이를 감경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대기환경보전법령상 과태료 부과기준은 일반기준과 개별기준으로 나뉘는데, 일반기준에서는 위반행위의 횟수에 따른 부과기준이 적용되며, 개별기준에서는 특정 위반행위에 대한 부과기준이 적용된다. 따라서, 위반행위의 동기와 그 결과 등을 고려하여 감경하는 것은 개별기준에서 적용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오염물질발생량에 따른 사업장 분류기준 중 4종 사업장 분류기준은?

  1. 대기오염물질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10톤 이상 20톤 미만인 사업장
  2. 대기오염물질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5톤 이상 20톤 미만인 사업장
  3. 대기오염물질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5톤 이상 10톤 미만인 사업장
  4. 대기오염물질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2톤 이상 10톤 미만인 사업장
(정답률: 79%)
  •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오염물질발생량에 따른 사업장 분류기준 중 4종 사업장 분류기준은 대기오염물질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2톤 이상 10톤 미만인 사업장, 대기오염물질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5톤 이상 10톤 미만인 사업장, 대기오염물질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5톤 이상 20톤 미만인 사업장, 대기오염물질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10톤 이상 20톤 미만인 사업장입니다. 대기오염물질발생량의 합계가 연간 2톤 이상 10톤 미만인 사업장은 다른 분류기준에 비해 오염물질 발생량이 적은 사업장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자동차 운행정지를 받은 자동차를 운행정지기간 중에 운행하는 경우 물게 되는 벌금기준은?

  1. 100만원 이하의 벌금
  2. 200만원 이하의 벌금
  3. 300만원 이하의 벌금
  4. 5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63%)
  •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자동차 운행정지를 받은 자동차를 운행정지기간 중에 운행하는 경우, 해당 법규를 위반한 것으로 간주되어 벌금이 부과됩니다. 이때, 벌금의 기준은 해당 자동차의 등록차량번호에 따라 다르며, 벌금의 최대액은 300만원 이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00만원 이하의 벌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은 대기환경보전법규상 고체연료 사용시설 설치기준이다. (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 50m 이상, ㉯ 20m 이상
  2. ㉮ 50m 이상, ㉯ 10m 이상
  3. ㉮ 100m 이상, ㉯ 20m 이상
  4. ㉮ 100m 이상, ㉯ 100m 이상
(정답률: 71%)
  • 고체연료 사용시설은 대기오염물질을 발생시키므로, 주변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한 거리를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과 (㉯)의 거리가 더 멀수록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지므로, 가장 적합한 것은 "㉮ 100m 이상, ㉯ 20m 이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대기환경보전법규상 환경정책기본법에 의한 환경보전협회에서 받는 환경기술인의 교육기간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신규교육 기준, 정보통신매체 원격교육이 아님)

  1. 2일 이내
  2. 3일 이내
  3. 4일 이내
  4. 10일 이내
(정답률: 67%)
  • 환경정책기본법 제25조에 따르면, 환경기술인은 대기환경보전법 등 관련 법령에서 정하는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이 교육기간은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제10조에 따라 "4일 이내"로 정해져 있습니다. 따라서, 환경보전협회에서 받는 환경기술인의 교육기간도 "4일 이내"로 정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대기환경보전법규상 대기오염물질의 배출허용기준과 관련하여 굴뚝 원격감시체계 관제센터로 측정결과를 자동 전송하는 배출시설에 대한 특례기준이다. ( ) 안에 알맞은 것은?

  1. 매 5분 평균치
  2. 매 10분 평균치
  3. 매 30분 평균치
  4. 매 1시간 평균치
(정답률: 69%)
  • 정답은 "대기환경보전법규상 대기오염물질의 배출허용기준과 관련하여 굴뚝 원격감시체계 관제센터로 측정결과를 자동 전송하는 배출시설에 대한 특례기준이다."입니다.

    매 30분 평균치가 선택된 이유는 대기환경보전법규에서 정한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 중 대기오염물질 농도의 평균치를 매 30분 단위로 측정하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에 맞춰 굴뚝 원격감시체계 관제센터에서도 매 30분 평균치를 측정하여 자동 전송하도록 특별한 기준이 마련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대기환경보전법령상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제작차 배출허용기준이 설정된 오염물질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단, 휘발유자동차)

  1. 일산화탄소
  2. 탄화수소
  3. 질소산화물
  4. 입자상물질
(정답률: 68%)
  • 입자상물질은 대기 중에 떠다니는 먼지, 연기, 황사 등의 물질로 인체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대기환경보전법령상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제작차 배출허용기준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입자상물질"은 대기환경보전법령상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제작차 배출허용기준이 설정된 오염물질의 종류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은 악취방지법상 용어의 뜻이다. ( ) 안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 유해악취물질, ㉯ 다중악취
  2. ㉮ 유해악취물질, ㉯ 복합악취
  3. ㉮ 지정악취물질, ㉯ 다중악취
  4. ㉮ 지정악취물질, ㉯ 복합악취
(정답률: 78%)
  • ㉮ 지정악취물질은 악취방지법상 특정한 물질로 지정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며, ㉯ 복합악취는 여러 가지 물질이 섞여서 발생하는 악취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지정악취물질과 복합악취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일일초과배출량 및 일일유량의 산정방법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오염물질의 배출허용기준 초과 일일오염물질배출량은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까지 계산한다.
  2. 먼지 배출농도의 단위는 세제곱미터당 밀리그램으로 한다.
  3. 일일유량 산정 시 적용되는 측정유량의 단위는 일일당 세제곱미터로 한다.
  4. 일일유량 산정 시 적용되는 일일조업시간은 배출량을 측정하기 전 최근 조업한 30일 동안의 배출시설 조업시간 평균치를 시간으로 표시한다.
(정답률: 55%)
  • "먼지 배출농도의 단위는 세제곱미터당 밀리그램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먼지 배출농도의 단위는 일반적으로 밀리그램/세㎥으로 표시된다.

    일일유량 산정 시 적용되는 측정유량의 단위는 일일당 세제곱미터로 한다. 이는 일일 유량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위로, 하루 동안 배출되는 유량을 세제곱미터로 나타낸 것이다. 이를 통해 일일 배출량을 계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청정연료를 사용하여야 하는 대상시설의 범위로 옳지 않은 것은?

  1. 산업용 열병합 발전시설
  2. 건축법 시행령에 따른 공동주택으로서 동일한 보일러를 이용하여 하나의 단지 또는 여러 개의 단지가 공동으로 열을 이요하는 중앙집중난방방식으로 열을 공급받고, 단지 내 모든 세대의 평균 전용면적이 40.0m2를 초과하는 공동주택
  3. 전체 보일러의 시간당 총 증발량이 0.2톤 이상인 업무용 보일러(영업용 및 공공용 보일러를 포함하되, 산업용 보일러는 제외한다)
  4. 집단에너지사업법 시행령에 따른 지역냉난방사업을 위한 시설(단, 지역냉난방사업을 위한 시설 중 발전폐열을 지역냉난방으로 공급하는 산업용 열병합발전시설로서 환경부장관이 승인한 시설은 제외)
(정답률: 72%)
  • 옳지 않은 것은 "산업용 열병합 발전시설"이다.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청정연료를 사용하여야 하는 대상시설의 범위는 건축법 시행령에 따른 공동주택, 전체 보일러의 시간당 총 증발량이 0.2톤 이상인 업무용 보일러, 집단에너지사업법 시행령에 따른 지역냉난방사업을 위한 시설이다. 산업용 열병합 발전시설은 대상시설에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운행차 배출허용기준 적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건설기계 중 덤프트럭, 콘크리트 믹서트럭, 콘크리트 덤프트럭에 대한 배출허용기준은 화물자동차기준을 적용한다.
  2. 희박연소(Lean Burn)방식을 적용하는 자동차는 공기과잉률 기준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3. 휘발유와 가스를 같이 사용하는 자동차의 배출가스 측정 및 배출허용기준은 휘발유의 기준을 적용한다.
  4. 알코올만 사용하는 자동차는 탄화수소 기준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정답률: 67%)
  • 정답: "휘발유와 가스를 같이 사용하는 자동차의 배출가스 측정 및 배출허용기준은 휘발유의 기준을 적용한다."

    이유: 휘발유와 가스를 같이 사용하는 자동차의 배출가스는 휘발유와 가스의 배출량을 합산하여 측정하고, 이를 휘발유의 기준에 따라 평가한다. 이는 대기환경보전법규에서 명시된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대기환경보전법규상 배출시설과 방지시설의 정상적인 운영·관리를 위해 환경기술인 업무사항을 준수사항 및 관리사항으로 구분할 때, 다음 중 준수사항과 거리가 먼 것은?

  1. 자가측정은 정확히 할 것
  2.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의 운영기록을 사실에 기초하여 작성할 것
  3.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의 관리 및 개선에 관한 계획을 수립할 것
  4. 자가측정 시에 사용한 여과지는 환경분야 시험·검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환경오염 공정시험기준에 따라 기록한 시료채취기록지와 함께 날짜별로 보관·관리할 것
(정답률: 72%)
  • "자가측정 시에 사용한 여과지는 환경분야 시험·검사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른 환경오염 공정시험기준에 따라 기록한 시료채취기록지와 함께 날짜별로 보관·관리할 것"은 준수사항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자가측정 시에 사용한 여과지와 관련된 내용으로,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의 정상적인 운영·관리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의 관리 및 개선에 관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은, 이러한 시설들이 지속적으로 운영되며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실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대기환경보전법규를 준수하고,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환경정책기본법령상 각 오염물질의 대기환경기준 및 측정방법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1. SO2의 1시간 평균치 0.15ppm 이하 - 자외선형광법(Pulse U.V. Fluorescence Method)
  2. NO2의 연간 평균치 0.03ppm 이하 - 화학발광법(Chemiluminescent Method)
  3. O3의 8시간 평균치 0.1ppm 이하 - 자외선광도법(U.V. Photometric Method)
  4. PM-10의 24시간 평균치 100㎍/m3 이하-베타선흡수법(β-Ray Absorption Method)
(정답률: 62%)
  • 환경정책기본법령상 각 오염물질의 대기환경기준 및 측정방법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O3의 8시간 평균치 0.1ppm 이하 - 자외선광도법(U.V. Photometric Method)"이다. 이유는 O3은 자외선광도법으로 측정할 수 없으며, 대신 광화학반응법으로 측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실내공기질관리법상 이 법의 적용대상이 되는 다중이용시설(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의 것)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지하역사(출입통로·대합실·승강장 및 환승통로와 이에 딸린 시설을 포함)
  2. 실외공공주차장
  3. 「도서관법」에 따른 도서관
  4.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른 인터넷컴퓨터게임시설제공업의 영업시설
(정답률: 78%)
  • 실내공기질관리법은 실내 공기질을 관리하는 법이므로, 실외공공주차장은 실내가 아닌 실외에 위치하므로 이 법의 적용대상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실외공공주차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대기환경보전법규상 대기오염방지시설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 환경부장관이 인정하는 시설 등은 제외)

  1. 촉매반응을 이용하는 시설
  2. 음파집진시설
  3. 미생물을 이용한 처리시설
  4. 환기반응을 이용하는 시설
(정답률: 58%)
  • 환기반응을 이용하는 시설은 대기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새로운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여 대기환경을 개선하는 시설입니다. 따라서 다른 시설들과는 달리 대기오염물질을 처리하는 기능이 없으며, 오히려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대기환경보전법규상 공동방지시설 운영기구 대표자가 공동방지시설을 설치하고자 할 때 제출하여야 하는 공동방지시설의 위치도로 옳은 것은?

  1. 축척 5천분의 1의 지형도
  2. 축척 1만분의 1의 지형도
  3. 축척 1만 5천분의 1의 지형도
  4. 축척 2만 5천분의 1의 지형도
(정답률: 72%)
  • 공동방지시설의 위치는 "축척 2만 5천분의 1의 지형도"를 제출하여야 한다. 이는 대기환경보전법규에서 정한 규정이며, 이유는 해당 축척의 지형도는 상세한 지형 정보를 담고 있어 공동방지시설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축척이 작은 지형도는 지형 정보가 부족하여 정확한 위치 파악이 어렵고, 축척이 큰 지형도는 지형 정보가 너무 많아서 필요한 정보를 찾기 어렵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대기환경보전법상 용어의 뜻이 틀린 것은?

  1. “특정대기유해물질”이란 유해성 대기감시물질 중 규정에 따른 심사·평가 결과 저농도에서도 장기적인 섭취나 노출에 의하여 사람의 건강이나 동식물의 생육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위해를 끼칠 수 있어 대기 배출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정된 물질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2. “공회전제한장치”란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을 줄이고 연료를 절약하기 위하여 자동차에 부착하는 장치로서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장치를 말한다.
  3. “저공해엔진”이란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을 줄이기 위한 엔진(엔진 개조에 사용하는 부품은 제외한다)을 말한다.
  4. “검댕”이란 연소할 때 생기는 유리(遊離)탄소가 응결하여 입자의 지름이 1미크론 이상이 되는 입자상물질을 말한다.
(정답률: 69%)
  • 정답은 "“저공해엔진”이란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을 줄이기 위한 엔진(엔진 개조에 사용하는 부품은 제외한다)을 말한다." 이다. 이유는 대기환경보전법에서는 "저공해엔진"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 "저배출차량"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따라서 이 용어의 뜻이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대기환경보전법상 시·도지사는 자동차의 원동기를 가동한 상태로 주·정차하는 행위 등을 제한할 수 있는데, 이 자동차의 원동기 가동 제한을 위반한 자동차 운전자에 대한 과태료 부과금액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50만원 이하의 과태료
  2.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
  3.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
  4. 5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률: 48%)
  • 시·도지사는 자동차의 원동기를 가동한 상태로 주·정차하는 행위 등을 제한할 수 있으며, 이를 위반한 자동차 운전자에게는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과태료 부과금액은 시·도지사가 정하는 범위 내에서 결정됩니다.

    대기환경보전법 제27조에 따르면, 자동차의 원동기를 가동한 상태로 주·정차하는 행위 등을 제한하는 조치를 위반한 경우에는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