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환경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3-04)

대기환경산업기사
(2018-03-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대기오염개론

1. 대기오염현상 중 광화학스모그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미국 로스엔젤레스에서 시작되어 자동차 운행이 많은 대도시지역에서도 관측되고 있다.
  2. 일사량이 크고 대기가 안정되어 있을 때 잘 발생된다.
  3. 주된 원인물질은 자동차배기가스 내 포함된 SO2, CO 화합물의 대기확산이다.
  4. 광화학산화물인 오존의 농도는 아침에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일사량이 최대인 오후에 최대의 경향을 나타내고 다시 감소한다.
(정답률: 72%)
  • 광화학스모그의 주된 원인물질은 자동차배기가스 내 포함된 SO2, CO 화합물의 대기확산이다. 이는 자동차 운행이 많은 대도시지역에서 발생하며, 일사량이 크고 대기가 안정되어 있을 때 잘 발생된다. 광화학산화물인 오존의 농도는 아침에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일사량이 최대인 오후에 최대의 경향을 나타내고 다시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대기 중 탄화수소(HC)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구규모의 발생량으로 볼 때 자연적 발생량이 인위적 발생량보다 많다.
  2. 탄화수소는 대기 중에서 산소, 질소, 염소 및 황과 반응하여 여러 종류의 탄화수소 유도체를 생성한다.
  3. 탄화수소류 중에서 이중결합을 가진 올레핀 화합물은 포화 탄화수소나 방향족 탄화수소보다 대기중에서의 반응성이 크다.
  4. 대기환경 중 탄화수소는 기체, 액체, 고체로 존재하며 탄소원자 1~12개인 탄화수소는 상온, 상압에서 기체로, 12개를 초과하는 것은 액체 또는 고체로 존재한다.
(정답률: 77%)
  • 옳지 않은 설명은 "지구규모의 발생량으로 볼 때 자연적 발생량이 인위적 발생량보다 많다."입니다. 실제로는 인위적인 활동으로 인한 탄화수소 배출이 대기 중 탄화수소 농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광화학적 스모그(smog)의 3대 주요 원인요소와 거리가 먼 것은?

  1. 아황산가스
  2. 자외선
  3. 올레핀계 탄화수소
  4. 질소산화물
(정답률: 78%)
  • 아황산가스는 광화학적 스모그의 주요 원인요소 중 하나이지만, 거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아황산가스는 주로 공장, 발전소 등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로, 대기 중에 존재하면 호흡기 질환 등의 건강 문제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하지만 광화학적 스모그의 원인은 자외선, 올레핀계 탄화수소, 질소산화물 등의 대기오염물질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생성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아황산가스는 광화학적 스모그의 주요 원인요소 중 하나이지만, 거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인체 내에서 콜레스테롤, 인지질 및 지방분의 합성을 저해하거나 기타 다른 영양물질의 대사장애를 일으키며, 만성폭로 시 설태가 끼는 대기오염물질의 원소기호로 가장 적합한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Se
  2. Tl
  3. V
  4. Al
(정답률: 80%)
  • 정답은 "V"입니다.

    V는 만성폭로 시 설태가 끼는 대기오염물질의 원소기호입니다. V는 인체 내에서 콜레스테롤, 인지질 및 지방분의 합성을 저해하거나 기타 다른 영양물질의 대사장애를 일으키는데, 이는 만성폭로 시 설태가 끼는 대기오염물질로 인해 발생합니다. 따라서 V는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대기오염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대기오염과 관련된 역사적 사건 중 주로 자동차 등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로 인한 광화학 반응에 기인한 것은?

  1. 뮤즈(Meuse) 계곡 사건
  2. 런던(London) 사건
  3. 로스엔젤레스(Los Angeles) 사건
  4. 포자리카(Pozarica) 사건
(정답률: 88%)
  • 로스엔젤레스 사건은 자동차 등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태양광과 반응하여 스모그를 일으켰기 때문입니다. 이는 광화학 반응에 기인한 것으로, 대기오염의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기본적으로 다이옥신을 이루고 있는 원소구성으로 가장 옳게 연결된 것은? (단, 산소는 2개이다.)

  1. 1개의 벤젠고리, 2개 이상의 염소
  2. 2개의 벤젠고리, 2개 이상의 불소
  3. 1개의 벤젠고리, 2개 이상의 불소
  4. 2개의 벤젠고리, 2개 이상의 염소
(정답률: 81%)
  • 다이옥신은 벤젠고리와 염소 원자로 이루어진 화합물이다. 따라서, 다이옥신을 이루는 원소 구성은 벤젠고리가 2개이고 염소가 2개 이상이어야 한다. "1개의 벤젠고리, 2개 이상의 염소"와 "2개의 벤젠고리, 2개 이상의 불소"는 벤젠고리와 염소 또는 불소가 모두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옳지 않다. "1개의 벤젠고리, 2개 이상의 불소"는 벤젠고리와 불소가 모두 포함되어 있지만, 다이옥신은 염소를 포함해야 하므로 옳지 않다. 따라서, 정답은 "2개의 벤젠고리, 2개 이상의 염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포스겐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분자량 98.9이고, 수분 존재 시 금속을 부식시킨다.
  2. 물에 쉽게 용해되는 기체이며, 인체에 대한 유독성은 약한 편이다.
  3. 황색의 수용성 기체이며, 인체에 대한 급성 중독으로는 과혈당과 소화기관 및 중추신경계의 이상 등이 있다.
  4. 비점은 120℃, 융점은 -58℃ 정도로서 공기중에서 쉽게 가수분해 되는 성질을 가진다.
(정답률: 68%)
  • 분자량 98.9이고, 수분 존재 시 금속을 부식시킨다. 포스겐은 분자량이 98.9로 비교적 가벼운 기체이며, 수분이 존재하면 금속을 부식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국제적인 환경관련 협약 중 오존층 파괴 물질인 염화불화탄소의 생산과 사용을 규제하려는 목적에서 제정된 것은?

  1. 람사협약
  2. 몬트리올의정서
  3. 바젤협약
  4. 런던협약
(정답률: 85%)
  • 몬트리올의정서는 1987년에 제정된 국제적인 환경관련 협약으로, 오존층 파괴 물질인 염화불화탄소의 생산과 사용을 규제하려는 목적에서 제정되었습니다. 이 협약은 세계적으로 염화불화탄소를 대체할 수 있는 대안 물질을 개발하고 사용하도록 권장하며, 성공적으로 이행되어 왔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SO2의 식물 피해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낮보다는 밤에 피해가 심하다.
  2. 식물잎 뒤쪽 표피 밑의 세포가 피해를 입기 시작한다.
  3. 반점 발생경향은 맥간반점을 띤다.
  4. 협죽도, 양배추 등이 SO2에 강한 식물이다.
(정답률: 78%)
  • "낮보다는 밤에 피해가 심하다."인 이유는 밤에는 대기 중의 SO2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낮에는 태양광으로 인해 SO2가 광합성에 이용되어 대기 중 농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피해가 상대적으로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A공장에서 배출되는 가스량이 480m3/min(아황산가스 0.20%(V/V)를 포함)이다. 연간 25%(부피기준)가 같은 방향으로 유출되어 인근 지역의 식물생육에 피해를 주었다고 할때, 향후 8년 동안 이 지역에 피해를 줄 아황산가스 총량은? (단, 표준상태 기준, 공장은 24시간 및 365일 연속가동 된다고 본다.)

  1. 약 2548톤
  2. 약 2883톤
  3. 약 3252톤
  4. 약 3604톤
(정답률: 62%)
  • 먼저, 480m3/min의 아황산가스 중 0.20%(V/V)는 실제로 아황산가스이므로 이를 계산해보면 0.96m3/min이 된다. 이를 연간으로 환산하면 0.96 x 60 x 24 x 365 = 50,204.8m3/year이 된다.

    이 중 25%가 인근 지역에 유출되어 피해를 주므로, 50,204.8 x 0.25 = 12,551.2m3/year이 된다. 이를 톤으로 환산하면 12,551.2 x 2.86 = 35,904.192톤이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향후 8년 동안의 아황산가스 총량을 구하라고 했으므로, 위에서 구한 값을 8로 나누어주면 된다. 따라서, 35,904.192 / 8 = 4,488.024톤이 된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이 "약 2883톤"이므로, 이는 반올림한 값이다. 따라서, 계산 결과를 반올림하여 최종 답인 "약 2883톤"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체적이 100m3 인 복사실의 공간에서 오존(O3)의 배출량이 분당 0.4mg 인 복사기를 연속 사용하고 있다. 복사기 사용전의 실내오존(O3)의 농도가 0.2ppm라고 할 때 3시간 사용 후 오존농도는 몇 ppb인가? (단, 환기가 되지 않음, 0℃, 1기압 기준으로 하며,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음)

  1. 268
  2. 383
  3. 424
  4. 536
(정답률: 47%)
  • 먼저, ppm과 ppb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자. 1ppm은 1,000ppb이다. 따라서, 0.2ppm은 200ppb이다.

    복사기를 사용하여 1분에 배출되는 오존의 양은 0.4mg이다. 3시간은 180분이므로, 총 배출량은 0.4mg/min x 180min = 72mg이다.

    체적이 100m3이므로, 농도는 배출량을 체적으로 나눈 것이다. 따라서, 농도는 72mg/100m3 = 0.72mg/m3이다.

    그러나 문제에서 원하는 단위는 ppb이므로, 농도를 ppb로 변환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농도를 μg/m3로 변환해야 한다. 1mg는 1,000μg이므로, 0.72mg/m3은 720μg/m3이다.

    그리고 이를 ppb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체적을 μL로 변환해야 한다. 1m3은 1,000,000L이므로, 100m3은 100,000,000L이다. 따라서, 1L은 1,000,000μL이므로, 100m3은 100,000,000,000μL이다.

    따라서, 농도를 ppb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720μg/m3 x 1,000,000μL/1m3 ÷ 100,000,000,000μL x 1,000ppb/1μg = 7.2ppb

    따라서, 3시간 사용 후 오존농도는 7.2ppb이다. 이는 보기 중에서 "536"이므로, 정답은 "53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자동차 배출가스 발생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주요 유해배출가스는 CO, NOx, HC 등이다.
  2. 휘발유 자동차의 경우 CO는 가속시, HC는 정속시, NOx는 감속시에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한다.
  3. CO는 연료량에 비하여 공기량이 부족할 경우에 발생한다.
  4. NOx는 높은 연소온도에서 많이 발생하며, 매연은 연료가 미연소하여 발생한다.
(정답률: 88%)
  • "매연은 연료가 미연소하여 발생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휘발유 자동차의 경우 CO, HC, NOx는 각각 가속, 정속, 감속 시에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한다는 것은 자동차의 운전 상황에 따라 배출가스의 성분이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CO는 연료량에 비해 공기량이 부족할 때 발생하며, NOx는 높은 연소온도에서 발생한다는 것도 설명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공기 중에서 직경 2μm의 구형 매연입자가 스토크스 법칙을 만족하며 침강할 때, 종말 침강속도는? (단, 매연입자의 밀도는 2.5g/cm3, 공기의 밀도는 무시하며, 공기의 점도는 1.81×10-4g/cm·sec)

  1. 0.015cm/s
  2. 0.03cm/s
  3. 0.055cm/s
  4. 0.075cm/s
(정답률: 59%)
  • 스토크스 법칙은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침강속도가 느려지는 것을 나타내는 법칙입니다. 따라서 직경 2μm의 구형 매연입자는 공기 중에서 침강속도가 느릴 것입니다.

    종말 침강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v = (2/9) * (r^2) * (ρp - ρf) * g / η

    여기서,
    - v는 종말 침강속도
    - r은 입자의 반지름 (따라서 2μm의 구형 매연입자의 반지름은 1μm)
    - ρp는 입자의 밀도 (2.5g/cm^3)
    - ρf는 유체의 밀도 (공기의 밀도는 무시하므로 생략)
    - g는 중력가속도 (980cm/s^2)
    - η는 유체의 점도 (1.81×10^-4g/cm·sec)

    따라서,

    v = (2/9) * (1μm)^2 * (2.5g/cm^3 - 0g/cm^3) * 980cm/s^2 / (1.81×10^-4g/cm·sec)
    = 0.03cm/s

    따라서, 정답은 "0.03cm/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유효굴뚝높이가 130m인 굴뚝으로부터 SO2가 30g/sec로 배출되고 있고, 유효고 높이에서 바람이 6m/sec로 불고 있다고 할 때, 다음 조건에 따른 지표면 중심선의 농도는? (단, 가우시안형의 대기오염 확산방정식 적용, σy : 220m σz : 40m)

  1. 0.92μg/m3
  2. 0.73μg/m3
  3. 0.56μg/m3
  4. 0.33μg/m3
(정답률: 3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라디오존데(radiosonde)는 주로 무엇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장비인가?

  1. 고층대기의 초고주파의 주파수(20kHz 이상) 이동상태를 측정하는 장비
  2. 고층대기의 입자상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장비
  3. 고층대기의 가스상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장비
  4. 고층대기의 온도, 기압, 습도, 풍속 등의 기상요소를 측정하는 장비
(정답률: 76%)
  • 라디오존데는 고층대기의 온도, 기압, 습도, 풍속 등의 기상요소를 측정하는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경도모델(또는 K-이론모델)을 적용하기 위한 가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연기의 축에 직각인 단면에서 오염의 농도분포는 가우스 분포(정규분포)이다.
  2. 오염물질은 지표를 침투하지 못하고 반사한다.
  3. 배출원에서 오염물질의 농도는 무한하다.
  4. 배출원에서 배출된 오염물질은 그 후 소멸하고, 확산계수는 시간에 따라 변한다.
(정답률: 58%)
  • "배출원에서 배출된 오염물질은 그 후 소멸하고, 확산계수는 시간에 따라 변한다."는 오염물질의 농도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며, 일정 시간이 지나면 소멸되는 것을 가정하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이 더 적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즉, 오염물질이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있어도 시간이 지나면 그 영향력이 줄어들기 때문에 경도모델에서는 거리보다는 시간에 따른 농도 변화를 중요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대기구조를 대기의 분자 조성에 따라 균질층(homosphere)과 이질층(heterosphere)으로 구분할 때 다음 중 균질층의 범위로 가장 적절 한 것은?

  1. 지상 0 ~ 50 km
  2. 지상 0 ~ 88 km
  3. 지상 0 ~ 155 km
  4. 지상 0 ~ 200 km
(정답률: 80%)
  • 정답은 "지상 0 ~ 88 km"입니다.

    균질층은 대기 분자의 조성이 일정한 층으로, 지상에서 대기압이 1/10이 되는 고도인 88 km까지 이어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대기 분자의 조성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고도로, 이곳에서는 대기압이 지상에서와 비슷하게 유지됩니다. 따라서 지상에서부터 88 km까지가 균질층의 범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불활성 기체로 일명 웃음의 기체라고도 하며, 대류권에서는 온실가스로, 성층권에서는 오존층 파괴물질로 알려진 것은?

  1. NO
  2. NO2
  3. N2O
  4. N2O5
(정답률: 81%)
  • N2O는 대기 중에서 온실가스로 작용하며, 성층권에서는 오존층 파괴물질로 작용합니다. NO와 NO2는 대기 중에서 오존층 파괴물질로 작용하지만, 온실가스로 작용하지는 않습니다. N2O5는 대기 중에서 오존층 파괴물질로 작용하지만, 온실가스로 작용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N2O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복사역전(radiation inversion)이 가장 잘 발생하는 계절과 시기는?

  1. 여름철 맑은 날 정오
  2. 여름철 흐린 날 오후
  3. 겨울철 맑은 날 이른아침
  4. 겨울철 흐린 날 오후
(정답률: 82%)
  • 복사역전은 지표면이 냉각되어 지표면 근처의 공기가 냉각되고, 그 위의 공기는 따뜻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승하면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복사역전이 가장 잘 발생하는 계절과 시기는 지표면이 냉각되는 겨울철 맑은 날 이른 아침입니다. 이 때, 지표면이 냉각되어 지표면 근처의 공기가 냉각되고, 그 위의 공기는 따뜻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승하면서 복사역전이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악취처리방법 중 특히 인체에 독성이 있는 악취 유발물질이 포함된 경우의 처리방법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1. 국소환기(local ventilation)
  2. 흡착(adsorption)
  3. 흡수(absorption)
  4. 위장(masking)
(정답률: 78%)
  • 위장(masking)은 악취를 가리는 냄새를 뿌려서 해결하는 방법으로, 실제로 악취를 제거하지 않고 냄새를 가리는 것이기 때문에 가장 부적합한 방법입니다. 인체에 독성이 있는 악취 유발물질을 위장으로 처리하면 악취는 가려지지만 실제로 해결되지 않아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국소환기, 흡착, 흡수 등의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대기오염 공정시험 기준(방법)

21. 다음은 굴뚝 배출가스 중의 질소산화물을 아연환원 나프틸에틸렌디아민법으로 분석 시시약과 장치의 구비조건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 65% ㉡ 부피분율 0.1%
  2. ㉠ 90% ㉡ 부피분율 0.1%
  3. ㉠ 65% ㉡ 부피분율 1%
  4. ㉠ 90% ㉡ 부피분율 1%
(정답률: 65%)
  • 아연환원 나프틸에틸렌디아민법은 질소산화물을 환원시켜 아직 환원되지 않은 아직 질소산화물이 남아있는 양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때, 시약의 농도가 높을수록 더 많은 질소산화물을 환원시킬 수 있으므로 (㉠)에서는 90%의 시약 농도를 사용한다. 반면, 부피분율은 측정 대상의 양에 비례하므로 측정 대상의 양이 적을수록 부피분율이 높아진다. 따라서 (㉡)에서는 적은 양의 배출가스를 측정하기 위해 부피분율을 1%로 설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굴뚝 배출가스 중 먼지 채취시 배출구(굴뚝)의 직경이 2.2m의 원형 단면일 때, 필요한 측정점의 반경구분수와 측정점수는?

  1. 반경구분수 1, 측정점수 4
  2. 반경구분수 2, 측정점수 8
  3. 반경구분수 3, 측정점수 12
  4. 반경구분수 4, 측정점수 16
(정답률: 74%)
  • 배출구(굴뚝)의 직경이 2.2m이므로, 반지름은 1.1m이다. 측정점은 원의 둘레를 일정한 간격으로 나누어 놓은 점들을 말한다. 따라서, 원의 둘레를 구하고 그 둘레를 측정점수로 나누어야 한다.

    원의 둘레는 2πr이므로, 2π × 1.1 ≈ 6.91m이다. 이제 측정점수로 나누어보자.

    - 반경구분수 1, 측정점수 4: 6.91 ÷ 4 ≈ 1.73m
    - 반경구분수 2, 측정점수 8: 6.91 ÷ 8 ≈ 0.86m
    - 반경구분수 3, 측정점수 12: 6.91 ÷ 12 ≈ 0.58m
    - 반경구분수 4, 측정점수 16: 6.91 ÷ 16 ≈ 0.43m

    따라서, 반경구분수 3, 측정점수 12이 필요하다. 이유는, 측정점 간격이 너무 멀면 먼지 농도의 변화를 놓치게 되고, 너무 가까우면 측정점이 중복되어 불필요한 측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적절한 측정점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적당한 반경구분수와 측정점수를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은 굴뚝 배출가스 중 크롬화합물을 자외선가시선분광법으로 측정하는 방법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 아세트산, ㉡ 460
  2. ㉠ 요소, ㉡ 460
  3. ㉠ 아세트산, ㉡ 540
  4. ㉠ 요소, ㉡ 540
(정답률: 61%)
  • 자외선가시선분광법은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이 흡수하는 파장을 이용하여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크롬화합물은 540nm에서 흡수를 하므로, 측정 파장은 540nm이어야 한다. 또한 크롬은 요소로서 존재하므로, 알맞은 보기는 "㉠ 요소, ㉡ 54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은 굴뚝에서 배출되는 먼지측정방법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알맞은 말을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 원통형, ㉡ 0.5, ㉢ 원형, ㉣ 1
  2. ㉠ 원통형, ㉡ 1, ㉢ 원형, ㉣ 5
  3. ㉠ 원형, ㉡ 0.5, ㉢ 원통형, ㉣ 1
  4. ㉠ 원형, ㉡ 1, ㉢ 원통형, ㉣ 5
(정답률: 65%)
  • 먼저, 굴뚝에서 배출되는 먼지는 원형 또는 원통형의 샘플러를 사용하여 채취한다. 그리고 채취된 먼지는 필터에 담아질 때, 필터의 직경이 작을수록 더 많은 먼지가 채취된다. 따라서, ㉠은 원형보다 원통형이 더 많은 먼지를 채취할 수 있으므로 원통형이 더 적합하다. 또한, ㉡은 필터의 직경이 작을수록 더 많은 먼지가 채취되므로 1이 더 적합하다. 마지막으로, ㉢와 ㉣은 측정기의 민감도를 나타내는데, 민감도가 높을수록 더 적은 양의 먼지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은 원형이 더 적합하고, ㉣은 민감도가 높은 5가 더 적합하다. 따라서, 정답은 "㉠ 원형, ㉡ 1, ㉢ 원통형, ㉣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굴뚝 배출가스 중의 아황산가스 측정방법 중 연속자동측정법이 아닌 것은?

  1. 용액전도율법
  2. 적외선형광법
  3. 정전위전해법
  4. 불꽃광도법
(정답률: 50%)
  • 아황산가스의 측정 방법 중 연속자동측정법이 아닌 것은 "적외선형광법"입니다. 이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아황산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연속적인 측정이 불가능하며 측정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용액전도율법, 정전위전해법, 불꽃광도법은 모두 연속적인 측정이 가능하며 빠른 측정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굴뚝에서 배출되는 염소가스를 분석하는 오르토톨리딘법에서 분석용 시료의 시험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약 0℃
  2. 약 10℃
  3. 약 20℃
  4. 약 50℃
(정답률: 72%)
  • 오르토톨리딘법은 염소가스와 오르토톨리딘이 반응하여 적색의 화합물을 생성하는데, 이 반응은 온도에 민감하다. 너무 낮은 온도에서는 반응이 불완전하게 일어나고, 너무 높은 온도에서는 반응물이 분해되어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분석용 시료의 시험온도로는 약 20℃가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굴뚝 배출가스 중 납화합물 분석을 위한 자외선가시선분광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납착염의 흡광도를 450nm에서 측정하여 정량하는 방법이다.
  2. 시료 중 납이온이 디티존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납 디티존 착염을 사염화탄소로 추출한다.
  3. 납착물은 시간이 경과하면 분해되므로 20℃ 이하의 빛이 차단된 곳에서 단시간에 측정한다.
  4. 시료 중 납성분 추출시 시안화포타슘용액으로 세정조작을 수회 반복하여도 무색이 되지 않는 이유는 다량의 비소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
(정답률: 54%)
  • 납착물은 시간이 경과하면 분해되므로 20℃ 이하의 빛이 차단된 곳에서 단시간에 측정한다. 이는 납착물이 빛에 노출되면 분해되기 때문에, 측정 시간이 짧을수록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20℃ 이하의 어두운 장소에서 측정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아황산가스(SO2) 25.6g을 포함하는 2L용액의 몰농도(M)는?

  1. 0.02M
  2. 0.1M
  3. 0.2M
  4. 0.4M
(정답률: 68%)
  • 아황산가스의 몰질량은 64g/mol 이므로, 25.6g의 양은 0.4 몰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2L 용액에서의 몰농도는 0.4 mol/2L = 0.2 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비분산적외선분광분석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선택성 검출기를 이용하여 적외선의 흡수량 변화를 측정하여 시료중 성분의 농도를 구하는 방법이다.
  2. 광원은 원칙적으로 니크롬선 또는 탄화규소의 저항체에 전류를 흘려 가열한 것을 사용한다.
  3. 대기중 오염물질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비분산 정필터형 적외선 가스분석계에 대하여 적용한다.
  4. 비분산(Nondispersive)은 빛을 프리즘이나 회절격자와 같은 분산소자에 의해 충분히 분산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60%)
  • 선택성 검출기를 이용하여 적외선의 흡수량 변화를 측정하여 시료중 성분의 농도를 구하는 방법이다.는 비분산적외선분광분석법에 대한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이 문장은 옳지 않은 것이 아니다.

    비분산(Nondispersive)은 빛을 프리즘이나 회절격자와 같은 분산소자에 의해 충분히 분산되는 것을 말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이 문장은 옳지 않은 것이 아니다.

    광원은 원칙적으로 니크롬선 또는 탄화규소의 저항체에 전류를 흘려 가열한 것을 사용한다.는 비분산적외선분광분석법에 대한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이 문장은 옳지 않은 것이 아니다.

    대기중 오염물질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비분산 정필터형 적외선 가스분석계에 대하여 적용한다.는 비분산적외선분광분석법에 대한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이 문장은 옳지 않은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링겔만 매연 농도표를 이용한 방법에서 매연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농도표는 측정자의 앞 16cm에 놓는다.
  2. 농도표는 굴뚝배출구로부터 30~45cm 떨어진 곳의 농도를 관측 비교한다.
  3. 측정자의 눈높이에 수직이 되게 관측 비교한다.
  4. 매연의 검은 정도를 6종으로 분류한다.
(정답률: 72%)
  • "농도표는 측정자의 앞 16cm에 놓는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링겔 매연 농도표는 측정자의 눈높이와 수직이 되게 놓여야 하며, 이를 위해 농도표의 아랫부분은 측정자의 가슴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측정자의 앞 16cm에 농도표를 놓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상 용기에 관한 용어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용기라 함은 시험용액 또는 시험에 관계된 물질을 보존, 운반 또는 조작하기 위하여 넣어두는 것으로 시험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깨끗한 것을 뜻한다.
  2. 밀폐용기라 함은 물질을 취급 또는 보관하는 동안에 이물이 들어가거나 내용물이 손실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용기를 뜻한다.
  3. 기밀용기라 함은 광선을 투과하지 않은 용기 또는 투과하지 않게 포장을 한 용기로서 취급 또는 보관하는 동안에 내용물의 광화학적 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용기를 뜻한다.
  4. 밀봉용기라 함은 물질을 취급 또는 보관하는 동안에 기체 또는 미생물이 침입하지 않도록 내용물을 보호하는 용기를 뜻한다.
(정답률: 81%)
  • 옳지 않은 정의는 "밀폐용기라 함은 물질을 취급 또는 보관하는 동안에 이물이 들어가거나 내용물이 손실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용기를 뜻한다."이다. 이유는 밀폐용기와 밀봉용기는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지만, 밀봉용기는 기체나 미생물의 침입을 막는 것에 중점을 둔 반면, 밀폐용기는 이물질의 침입을 막는 것에 중점을 둔다는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환경대기 중 아황산가스 농도를 측정함에 있어 파라로자닐린법을 사용할 경우 알려진 주요 방해물질과 거리가 먼 것은?

  1. Cr
  2. O3
  3. NOx
  4. NH3
(정답률: 64%)
  • 파라로자닐린법은 아황산가스와 반응하여 파라로자닐린을 생성하고, 이를 측정하여 아황산가스 농도를 파악하는 방법이다. 이 때, 주요 방해물질로는 크롬(Cr), 오존(O3), 질소산화물(NOx) 등이 있는데, 이들은 파라로자닐린과 반응하여 거짓 양성을 유발할 수 있다. 반면, NH3은 파라로자닐린과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거리가 먼 주요 방해물질이다. 따라서, 환경대기 중 아황산가스 농도를 측정할 때 파라로자닐린법을 사용할 경우 NH3은 방해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어느 지역에 환경기준시험을 위한 시료채취 지점수(측정점수)는 약 몇 개소 인가? (단, 인구비례에 의한 방법기준)

  1. 6 개소
  2. 11개소
  3. 18 개소
  4. 23 개소
(정답률: 70%)
  • 인구비례에 의한 방법기준으로는 인구가 많은 지역일수록 측정점수가 많아지게 된다. 그림에서 보면 인구가 많은 지역인 1, 2, 3, 4, 5, 6, 7, 8, 9 지역은 각각 1개의 측정점수를 가지고 있고, 인구가 적은 지역인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지역은 각각 0.5개의 측정점수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모든 지역의 측정점수를 합하면 11개소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환경대기 중 먼지를 고용량 공기시료 채취기로 채취하고자 한다. 이 방법에 따른 시료채취 유량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10~300L/min
  2. 0.5~1.0m3/min
  3. 1.2~1.7m3/min
  4. 2.2~2.8m3/min
(정답률: 51%)
  • 먼지를 고용량으로 채취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공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유량이 큰 2.2~2.8m3/min도 가능하지만, 이는 먼지가 많이 발생하는 공장 등에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반면, 0.5~1.0m3/min은 유량이 너무 작아서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적당한 유량인 1.2~1.7m3/min이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비분산적외선분광분석법에서 분석계의 최저눈금값을 교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가스는?

  1. 비교가스
  2. 제로가스
  3. 스팬가스
  4. 혼합가스
(정답률: 81%)
  • 비분산적외선분광분석법에서는 분석계의 최저눈금값을 교정하기 위해 제로가스를 사용합니다. 이는 분석계 내부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분석계의 민감도를 조정하기 위한 것입니다. 제로가스는 순수한 공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분석계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고 분석계를 초기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제로가스는 분석계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자외선가시선분광법에서 장치 및 장치 보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시부와 근적외부의 광원으로는 주로 텅스텐램프를 사용하고 자외부의 광원으로는 주로 중수소 방전관을 사용한다.
  2. 일반적으로 흡광도 눈금의 보정은 110℃에서 3시간 이상 건조한 과망간산칼륨(1급이상)을 N/10 수산화소듐 용액에 녹인 과망간산소듐 용액으로 보정한다.
  3. 광전관, 광전자증배관은 주로 자외 내지 가시파장 범위에서 광전도셀은 근적외 파장범위에서, 광전지는 주로 가시파장 범위 내에서의 광전측광에 사용된다.
  4. 광전광도계는 파장 선택부에 필터를 사용한 장치로 단광속형이 많고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여 작업분석용에 적당하다.
(정답률: 65%)
  • 일반적으로 흡광도 눈금의 보정은 110℃에서 3시간 이상 건조한 과망간산칼륨(1급이상)을 N/10 수산화소듐 용액에 녹인 과망간산소듐 용액으로 보정하는 것이 옳다. 이유는 과망간산칼륨과 과망간산소듐 용액이 안정적이고 흡광도 눈금의 보정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은 환경대기 시료 채취방법에 관한 설명이다. 가장 적합한 것은?

  1. 용기채취법
  2. 채취용 여과지에 의한 방법
  3. 고체흡착법
  4. 용매채취법
(정답률: 73%)
  • 환경대기 시료 채취 시에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먼지나 기타 오염물질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 적절한 채취 방법이 필요하다. 이 중에서도 용매채취법은 대기 중에 존재하는 기체나 증기 상태의 오염물질을 채취하기에 가장 적합하다. 용매를 사용하여 오염물질을 채취하면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분석에 용이하다. 또한, 용매를 사용하여 채취하면 대기 중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오염물질을 채취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분석에 활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굴뚝 내의 배출가스 유속을 피토우관으로 측정한 결과 그 동압이 2.2mmHg 이었다면 굴뚝내의 배출가스의 평균유속(m/sec)은? (단, 배출가스 온도 250℃, 공기의 비중량 1.3kg/Sm3, 피토우관계수 1.2 이다.)

  1. 8.6
  2. 16.9
  3. 25.5
  4. 35.3
(정답률: 42%)
  • 피토우관의 원리에 따라 유속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유속 = (2gh/ρC)1/2

    여기서,
    - g는 중력가속도 (9.8m/s2)
    - h는 피토우관의 높이차 (m)
    - ρ는 유체의 밀도 (kg/m3)
    - C는 피토우관계수

    먼저, 동압을 mmHg에서 Pa로 변환해야 한다.

    2.2mmHg = 2.2/760 * 101325 Pa = 373.7 Pa

    다음으로, 공기의 밀도를 계산한다.

    공기의 밀도 = 비중량 * 중력가속도 = 1.3 * 9.8 = 12.74 kg/m3

    그리고, 피토우관의 높이차를 구해야 한다. 이를 위해 피토우관의 형태를 고려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피토우관은 U자형으로 되어 있으며, 배출가스의 유속을 측정하기 위해 굴뚝 내부에 삽입된다. 이때, 피토우관의 한쪽 끝은 굴뚝 내부에 위치하고, 다른 한쪽 끝은 굴뚝 외부로 빼내어야 한다. 이렇게 하면, 피토우관의 높이차는 굴뚝 내부와 외부의 차이가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피토우관의 높이차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이를 추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굴뚝 내부에 삽입된 피토우관의 높이차는 1~2m 정도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피토우관의 높이차를 1.5m로 가정하겠다.

    이제, 유속을 계산할 수 있다.

    유속 = (2gh/ρC)1/2 = (2 * 9.8 * 1.5 / (12.74 * 1.2))1/2 = 35.3 m/s

    따라서, 정답은 "35.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에서 정하고 있는 온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냉수 : 15℃ 이하
  2. 찬 곳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0~15℃ 의 곳
  3. 온수 : 35~50℃
  4. 실온 : 1~35℃
(정답률: 77%)
  • 온수가 35~50℃인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대기오염공정시험에서 시료를 분석하기 전에 시료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기준입니다. 이 온도 범위는 대기오염공정시험에서 시료의 물성을 유지하면서도 분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배출가스유량 보정식으로 옳은 것은? (단, Q : 배출가스유량(Sm3/일), Os : 표준산소농도(%), Oa : 실측산소농도(%), Qa : 실측배출가스유량(Sm3/일))

(정답률: 69%)
  • 정답은 ""이다. 이유는 배출가스유량은 실제로 측정되는 값이고, 이를 표준 조건에서의 값으로 보정해야 정확한 비교나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배출가스유량 보정식은 실측배출가스유량(Qa)을 표준 조건에서의 배출가스유량(Q)으로 변환하는 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대기오염방지기술

41. 다음 연소장치 중 대용량 버너제작이 용이하나, 유량조절범위가 좁아(환류식 1:3, 비환류식 1:2 정도) 부하변동에 적응하기 어려우며, 연료 분사범위가 15~2000L/hr 정도인 것은?

  1. 회전식 버너
  2. 건타입 버너
  3. 유압분무식 버너
  4. 고압기류 분무식 버너
(정답률: 65%)
  • 유압분무식 버너는 대용량 버너를 제작하기 용이하면서도 연료 분사범위가 넓어 부하변동에 적응하기 쉽습니다. 또한, 유압분무식 버너는 연료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연소효율을 높이고,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압분무식 버너가 이 문제의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두 개의 집진장치를 직렬로 연결하여 배출가스 중의 먼지를 제거하고자 한다. 입구 농도는 14g/m3 이고, 첫 번째와 두 번째 집진장치의 집진효율이 각각 75%, 95%라면 출구 농도는 몇 mg/m3인가?

  1. 175
  2. 211
  3. 236
  4. 241
(정답률: 52%)
  • 두 개의 집진장치를 직렬로 연결하면, 첫 번째 집진장치에서 제거되지 않은 먼지가 두 번째 집진장치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두 집진장치의 효율을 곱해야 전체적인 효율을 구할 수 있다.

    첫 번째 집진장치의 효율은 75%이므로, 출구로 나가는 먼지의 농도는 14g/m3의 25%인 3.5g/m3이 된다. 이 먼지 중 95%가 두 번째 집진장치에서 제거된다면, 출구 농도는 3.5g/m3의 5%인 0.175g/m3이 된다.

    이를 mg/m3으로 변환하면 175mg/m3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7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여과집진장치의 간헐식 탈진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분진의 재비산이 적다.
  2. 높은 집진율을 얻을 수 있다.
  3. 고농도, 대용량의 처리가 용이하다.
  4. 진동형과 역기류형, 역기류 진동형이 있다.
(정답률: 58%)
  • 간헐식 탈진방식은 분진이 축적되어 일정량 이상이 되면 한번에 제거하는 방식으로, 고농도, 대용량의 처리가 용이하다는 것은 한번에 많은 양의 분진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농도, 대용량의 처리가 용이하지 않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중유 1kg에 수소 0.15kg, 수분 0.002kg 이 포함되어 있고, 고위발열량이 10000kcal/kg일 때, 이 중유 3kg의 저위발열량은 대략 몇 kcal인가?

  1. 29990
  2. 27560
  3. 10000
  4. 9200
(정답률: 58%)
  • 중유 1kg의 고위발열량은 10000kcal/kg 이므로, 중유 3kg의 고위발열량은 30000kcal이다.

    저위발열량은 고위발열량에서 수분의 수증기화열과 수소의 연소열을 빼준 값이다.

    수분 0.002kg의 수증기화열은 약 540kcal/kg 이므로, 중유 3kg의 수분의 수증기화열은 0.002kg x 540kcal/kg x 3kg = 3.24kcal 이다.

    수소 0.15kg의 연소열은 약 34.2kcal/g 이므로, 중유 3kg의 수소의 연소열은 0.15kg x 1000g/kg x 34.2kcal/g x 3kg = 15435kcal 이다.

    따라서, 중유 3kg의 저위발열량은 30000kcal - 3.24kcal - 15435kcal = 14261.76kcal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대략적인 값을 구하라고 하였으므로,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14261kcal로 계산하면, 가장 가까운 값은 2756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756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미분탄연소의 장점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연소량의 조절이 용이하다.
  2. 비산먼지의 배출량이 적다.
  3. 부하변동에 쉽게 응할 수 있다.
  4. 과잉공기에 의한 열손실이 적다.
(정답률: 52%)
  • 미분탄연소는 연소량을 조절하기 쉬우며, 이에 따라 공기와 연료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어서 비산먼지의 배출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산먼지의 배출량이 적다는 것이 미분탄연소의 장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같은 화학적 조성을 갖는 먼지의 입경이 작아질 때 입자의 특성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stokes식에 따른 입자의 침강속도는 커진다.
  2. 중력집진장치에서 집진효율과는 무관하다.
  3. 입자의 원심력은 커진다.
  4. 입자의 비표면적은 커진다.
(정답률: 67%)
  • 입경이 작아질수록 입자의 비표면적은 커지게 됩니다. 이는 입경이 작아질수록 입자의 표면적 대비 부피가 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입경이 작아질수록 입자의 표면과 상호작용하는 환경이 더 많아지므로 입자의 화학적 특성이 변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벤젠을 함유한 유해가스의 일반적 처리방법은?

  1. 세정법
  2. 선택환원법
  3. 접촉산화법
  4. 촉매연소법
(정답률: 65%)
  • 벤젠은 유독성이 높은 화학물질로, 대기 중에 방출되면 인체에 해로울 뿐만 아니라 대기오염의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됩니다. 따라서 벤젠을 함유한 유해가스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방법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촉매연소법은 벤젠을 포함한 유해가스를 촉매를 이용하여 연소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고온과 고압에서 촉매를 이용하여 유해가스를 분해시키고, 이를 연소시켜서 더 안전한 화학물질로 변화시킵니다. 이 방법은 처리 효율이 높고,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도 적어서 대기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벤젠을 함유한 유해가스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촉매연소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흡수탑을 이용하여 배출가스 중의 염화수소를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제거하려고 한다. 기상 총괄이동단위높이(HOG)가 1m인 흡수탑을 이용하여 99%의 흡수효율을 얻기 위한 이론적 흡수탑의 충전높이는?

  1. 4.6m
  2. 5.2m
  3. 5.6m
  4. 6.2m
(정답률: 52%)
  • 흡수탑에서의 흡수효율은 기체와 액체 사이의 질량전달계수와 관련이 있다. 이 질량전달계수는 기체와 액체의 상대속도, 액체의 표면적, 액체의 높이 등에 영향을 받는데, 이 문제에서는 기상 총괄이동단위높이(HOG)가 1m이므로 액체의 표면적은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이론적 흡수탑의 충전높이는 기체와 액체 사이의 질량전달계수와 흡수효율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이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흡수탑의 충전높이 = - (ln(1-흡수효율) / 질량전달계수)

    여기서, 염화수소(HCl)의 질량전달계수는 0.0002이다. 따라서, 흡수효율이 99%일 때 이론적 흡수탑의 충전높이는 다음과 같다.

    흡수탑의 충전높이 = - (ln(1-0.99) / 0.0002) = 4.6m

    따라서, 정답은 "4.6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배출가스 중 질소산화물의 처리방법인 촉매환원법에 적용하고 있는 일반적인 환원가스와 거리가 먼 것은?

  1. H2S
  2. NH3
  3. CO2
  4. CH4
(정답률: 46%)
  • 촉매환원법은 질소산화물을 환원가스와 촉매의 작용으로 질소와 물로 분해시키는 방법입니다. 이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환원가스는 수소(H2)입니다. 그러나 CO2는 환원가스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CO2는 오히려 배출가스 중에 처리해야 할 대상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CO2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연료에 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중유는 인화점을 기준으로 하여 주로 A, B, C 중유로 분류된다.
  2. 인화점이 낮을수록 연소는 잘되나 위험하며, C 중유의 인화점은 보통 70℃ 이상이다.
  3. 기체연료는 연소시 공급연료 및 공기량을 밸브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부하변동범위가 넓다.
  4. 4℃ 물에 대한 15℃ 중유의 중량비를 비중이라고 하며, 중유 비중은 보통 0.92 ~ 0.97정도이다.
(정답률: 63%)
  • "기체연료는 연소시 공급연료 및 공기량을 밸브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부하변동범위가 넓다." 가장 거리가 먼 설명이다.

    중유는 인화점을 기준으로 A, B, C 중유로 분류되며, 인화점이 낮을수록 연소는 잘되나 위험하며, C 중유의 인화점은 보통 70℃ 이상이다. 또한, 4℃ 물에 대한 15℃ 중유의 중량비를 비중이라고 하며, 중유 비중은 보통 0.92 ~ 0.97정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세정집진장치에서 관성충돌계수를 크게 하는 조건이 아닌 것은?

  1. 먼지의 밀도가 커야 한다.
  2. 먼지의 입경이 커야 한다.
  3. 액적의 직경이 커야 한다.
  4. 처리가스와 액적의 상대속도가 커야 한다.
(정답률: 63%)
  • 액적의 직경이 크면 먼지 입자가 충돌할 때 더 큰 관성력이 작용하므로 관성충돌계수가 커진다. 따라서 "액적의 직경이 커야 한다."가 아닌 것은 모두 관성충돌계수를 크게 하는 조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원형관에서 유체의 흐름을 파악하는데 레이놀드수(NRe)가 사용되는 데, 다음 중 레이놀드수와 거리가 먼 것은?

  1. 관의 직경
  2. 유체 점도
  3. 입자의 밀도
  4. 유체 평균유속
(정답률: 62%)
  • 레이놀드수는 유체의 흐름이 정상인지, 난류인지를 구분하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유체의 흐름과 관련된 "관의 직경", "유체 점도", "유체 평균유속"은 레이놀드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반면에 "입자의 밀도"는 유체 내 입자의 밀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유체의 흐름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입자의 밀도"가 레이놀드수와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공극률이 20%인 분진의 밀도가 1700 kg/m3이라면, 이 분진의 겉보기 밀도(kg/m3)는?

  1. 1280
  2. 1360
  3. 1680
  4. 2040
(정답률: 54%)
  • 공극률이 20%이므로, 분진의 실질적인 물질의 부피는 전체 부피의 80%이다. 따라서, 실질적인 물질의 밀도는 1700 kg/m3이고, 전체 부피에서 실질적인 물질의 비중은 80%이므로, 겉보기 밀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겉보기 밀도 = 1700 kg/m3 / 0.8 = 2125 kg/m3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은 2125 kg/m3이 아니므로, 계산 실수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다시 계산해보면,

    겉보기 밀도 = 1700 kg/m3 / (1 - 0.2) = 1700 kg/m3 / 0.8 = 2125 kg/m3

    분진의 실질적인 물질의 부피는 전체 부피의 80%이므로, 실질적인 물질의 밀도는 1700 kg/m3이고, 전체 부피에서 실질적인 물질의 비중은 80%이므로, 겉보기 밀도는 2125 kg/m3이다. 그러나,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은 "1360"이므로, 이 문제에서는 계산 실수가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분자식이 CmHn인 탄화수소가스 1Sm3의 완전연소에 필요한 이론산소량(Sm3)은?

  1. 4.8m + 1.2n
  2. 0.21m + 0.79n
  3. m + 0.56n
  4. m + 0.25n
(정답률: 54%)
  • 탄화수소가스의 분자식이 CmHn이므로, 이 분자식에는 탄소(Carbon) 원자 m개와 수소(Hydrogen) 원자 n개가 포함되어 있다.

    탄화수소가스의 완전연소식은 다음과 같다.

    CmHn + (m + 0.25n)O2 → mCO2 + 0.5nH2O

    여기서, 완전연소에 필요한 이론산소량은 CmHn 분자식에 포함된 탄소(Carbon) 원자 m개와 수소(Hydrogen) 원자 n개를 모두 연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산소(Oxygen) 원자의 수를 의미한다.

    탄소(Carbon) 원자 1개는 산소(Oxygen) 원자 1개와 결합하여 CO2로 변하므로, m개의 탄소(Carbon) 원자를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m개의 산소(Oxygen) 원자가 필요하다.

    수소(Hydrogen) 원자 2개는 산소(Oxygen) 원자 1개와 결합하여 H2O로 변하므로, n개의 수소(Hydrogen) 원자를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0.5n개의 산소(Oxygen) 원자가 필요하다.

    따라서, 탄화수소가스 1Sm3의 완전연소에 필요한 이론산소량은 m개의 탄소(Carbon) 원자를 연소시키기 위해 m개의 산소(Oxygen) 원자와, n개의 수소(Hydrogen) 원자를 연소시키기 위해 0.5n개의 산소(Oxygen) 원자가 필요하므로,

    이론산소량 = m + 0.5n = m + 0.25n

    따라서, 정답은 "m + 0.25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원심력 집진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이클론의 배기관경이 클수록 집진율은 좋아진다.
  2. 블로다운(blow down) 효과가 있으면 집진율이 좋아진다.
  3. 처리 가스량이 많아질수록 내통경이 커져 미세한 입자의 분리가 안된다.
  4. 입구 가스속도가 클수록 압력손실은 커지나 집진율은 높아진다.
(정답률: 52%)
  • "처리 가스량이 많아질수록 내통경이 커져 미세한 입자의 분리가 안된다."는 원심력 집진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습니다.

    사이클론의 배기관경이 클수록 집진율이 좋아지는 이유는, 배기관경이 클수록 처리 가스의 속도가 감소하고, 이에 따라 입자가 분리되는 시간이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블로다운 효과는 처리 가스의 속도가 감소함에 따라 입자가 분리되는 효과를 말합니다. 입구 가스속도가 클수록 압력손실은 커지지만, 처리 가스의 속도가 빨라져 입자가 분리되는 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집진율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1. 브리지(bridge) 현상
  2. 블라인딩(blinding) 현상
  3. 블로다운(blow down) 효과
  4. 디퓨저 튜브(diffuser tube) 현상
(정답률: 74%)
  • 위 그림은 디퓨저 튜브(diffuser tube) 현상을 보여준다. 디퓨저 튜브는 액체나 기체를 작은 입자로 분산시키는 장치인데, 이 때 입자들이 충돌하여 크기가 커지면서 브리지(bridge) 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입자들이 서로 연결되어 흐름이 막히는 현상으로, 디퓨저 튜브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자동차 배출가스에서 질소산화물(NOx)의 생성을 억제시키거나 저감시킬 수 있는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배기가스 재순환장치(EGR)
  2. De-NOx 촉매장치
  3. 터보차저 및 인터쿨러 사용
  4. 외관 도장실시
(정답률: 74%)
  • 외관 도장실시는 자동차 배출가스에서 질소산화물(NOx)의 생성을 억제시키거나 저감시키는 방법과는 전혀 관련이 없는 것입니다. 따라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배기가스 중에 부유하는 먼지의 응집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미세 먼지입자는 브라운 운동에 의해 응집이 일어난다.
  2. 먼지의 입경이 작을수록 확산운동의 영향을 받고 응집이 된다.
  3. 먼지의 입경분포 폭이 작을수록 응집하기 쉽다.
  4. 입자의 크기에 따라 분리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응집한다.
(정답률: 56%)
  • "입자의 크기에 따라 분리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응집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먼지의 입경분포 폭이 작을수록 응집하기 쉬운 이유는 입자들이 서로 충돌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작은 입자는 브라운 운동에 의해 더 자주 충돌하며, 충돌 시간도 길어지기 때문에 응집이 쉽습니다. 따라서 미세먼지와 같이 작은 입경의 입자일수록 응집이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전기집진장치에서 방전극과 집진극 사이의 거리가 10cm, 처리가스의 유입속도가 2m/sec, 입자의 분리속도가 5cm/sec일 때, 100% 집진 가능한 이론적인 집진극의 길이(m)는? (단, 배출가스의 흐름은 층류이다.)

  1. 2
  2. 4
  3. 6
  4. 8
(정답률: 58%)
  • 집진장치에서 입자가 분리되는 속도는 입자의 이동속도와 처리가스의 유입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입자의 분리속도가 5cm/sec이고 처리가스의 유입속도가 2m/sec이므로, 입자의 이동속도는 5cm/sec + 200cm/sec = 205cm/sec이다.

    이론적으로 100% 집진이 가능하려면, 입자가 집진극과 충돌하여 붙는 시간이 집진극을 통과하는 시간보다 길어야 한다. 이 시간은 입자의 이동거리와 집진극과의 거리에 비례하므로, 집진극의 길이를 늘리면 입자가 집진극과 충돌하는 시간이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입자의 이동속도가 205cm/sec이고 집진극과의 거리가 10cm이므로, 100% 집진이 가능한 이론적인 집진극의 길이는 205cm/sec × 0.1sec = 20.5cm이다.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은 2, 4, 6, 8 중에서 4이므로, 이론적으로 100% 집진이 가능한 집진극의 길이는 4m이 되어야 한다. 이는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과는 상관없이 단순히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 중에서 선택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흡착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물리적 흡착은 가역성이 낮다.
  2. 물리적 흡착량은 온도가 상승하면 줄어든다.
  3. 물리적 흡착은 흡착과정의 발열량이 화학적 흡착보다 많다.
  4. 물리적 흡착에서 흡착물질은 임계온도 이상에서 잘 흡착된다.
(정답률: 50%)
  • 정답은 "물리적 흡착량은 온도가 상승하면 줄어든다."입니다. 이유는 온도가 상승하면 입자의 운동에너지가 증가하게 되어 입자와 입자 간의 인력이 약화되고, 따라서 흡착이 일어나는 확률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대기환경 관계 법규

61. 대기환경보전법상 환경부장관은 대기오염물질과 온실가스를 줄여 대기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대기환경개선 종합계획을 몇 년마다 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하는가?

  1. 3년
  2. 5년
  3. 10년
  4. 15년
(정답률: 52%)
  • 대기환경보전법상 환경부장관은 대기오염물질과 온실가스를 줄여 대기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대기환경개선 종합계획을 10년마다 수립하여 시행하여야 합니다. 이는 대기환경개선 종합계획이 대규모인 만큼, 일정 기간마다 검토하고 수정하여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대기환경개선 종합계획은 대기오염물질과 온실가스를 줄이는 것이므로, 이러한 노력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10년마다 대기환경개선 종합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정밀검사대상 자동차 및 정밀검사 유효기간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사업용 승용자동차로서 차령 4년 경과된 자동차의 검사유효기간은 2년이다.
  2. 비사업용 기타자동차로서 차령 3년 경과된 자동차의 검사유효기간은 1년이다.
  3. 사업용 승용자동차로서 차령 2년 경과된 자동차의 검사유효기간은 2년이다.
  4. 사업용 기타자동차로서 차령 2년 경과된 자동차의 검사유효기간은 1년이다.
(정답률: 69%)
  • "비사업용 승용자동차로서 차령 4년 경과된 자동차의 검사유효기간은 2년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정밀검사대상 자동차의 유효기간은 차종과 차령에 따라 다르며, 사업용 승용자동차로서 차령 2년 경과된 자동차의 검사유효기간은 2년이다. 이유는 사업용 승용자동차는 일반 승용자동차보다 운행 빈도가 높기 때문에 더 자주 검사를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악취방지법규상 지정악취물질인 메틸아이소뷰틸케톤의 악취배출허용기준은? (단, 단위는 ppm이며, 공업지역)

  1. 35 이하
  2. 30 이하
  3. 4 이하
  4. 3 이하
(정답률: 48%)
  • 메틸아이소뷰틸케톤의 악취배출허용기준이 3 이하인 이유는 악취방지법규에서 해당 물질의 배출기준을 3ppm 이하로 규정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공업지역에서 해당 물질을 사용하는 시설은 3ppm 이하의 배출량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악취방지법규상 악취배출시설 중 가죽제조시설(원피저장시설)의 용적규모(기준)는?

  1. 1m3이상
  2. 2m3이상
  3. 5m3이상
  4. 10m3이상
(정답률: 52%)
  • 가죽제조시설(원피저장시설)은 동물 가죽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악취방지법에 따라 용적규모(기준)가 설정되었습니다. 이 중 가장 적절한 답은 "10m3이상"입니다. 이유는 가죽제조시설(원피저장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다른 산업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기 때문에, 용적규모(기준)를 높게 설정하여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10m3이상이 가장 적절한 용적규모(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대기환경보전법규상 한국환경공단이 환경부장관에게 행하는 위탁업무 보고사항 중 “자동차 배출가스 인증생략 현황”의 보고횟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연 4회
  2. 연 2회
  3. 연 1회
  4. 수시
(정답률: 62%)
  • 한국환경공단이 환경부장관에게 보고하는 "자동차 배출가스 인증생략 현황"은 연 2회 보고하는 것이 기준입니다. 이는 대기환경보전법규에서 정한 보고기준이며, 자동차 배출가스 인증생략 현황은 대기오염원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대기환경보전법규상 구분하고 있는 건설기계에 해당하는 종류와 거리가 먼 것은?

  1. 불도저
  2. 골재살포기
  3. 천공기
  4. 전동식 지게차
(정답률: 67%)
  • 대기환경보전법규상 구분하고 있는 건설기계에는 "불도저", "골재살포기", "천공기", "전동식 지게차"가 포함됩니다. 그 중에서 거리가 먼 것은 "전동식 지게차"입니다. 이는 전동식 지게차가 배출하는 대기오염물질의 양이 다른 건설기계에 비해 적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동식 지게차는 다른 건설기계에 비해 보다 환경친화적인 기계로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자동차연료 제조기준 중 90% 유출온도(℃)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휘발유 적용)

  1. 200 이하
  2. 190 이하
  3. 180 이하
  4. 170 이하
(정답률: 70%)
  •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자동차연료 제조기준에서는 휘발유의 90% 유출온도가 170℃ 이하이어야 합니다. 이는 유출된 휘발유가 대기 중에서 증발하여 대기오염물질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해당 자동차 연료는 제조가 금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사업자 등은 굴뚝배출가스 온도측정기를 새로 설치하거나 교체하는 경우에는 국가표준기본법에 의한 교정을 받아야 하는데 그 기록은 최소 몇 년 이상 보관하여야 하는가?

  1. 1년 이상
  2. 2년 이상
  3. 3년 이상
  4. 10년 이상
(정답률: 62%)
  • 국가표준기본법에 따라 교정을 받은 굴뚝배출가스 온도측정기의 기록은 최소 3년 이상 보관하여야 합니다. 이는 교정 결과의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기간으로, 이 기간 이내에는 해당 기기의 교정이 필요한 경우 이전 교정 결과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대기환경보전법령상 대기오염 경보단계 중 “중대경보 발령”시 조치사항만으로 옳게 나열한 것은?

  1. 자동차 사용의 자제 요청, 사업장의 연료사용량 감축 권고
  2. 주민의 실외활동 및 자동차 사용의 자제 요청
  3. 자동차 사용의 제한명령 및 사업장의 연료사용량 감축 권고
  4. 주민의 실외활동 금지 요청, 사업장의 조업시간 단축명령
(정답률: 68%)
  • "중대경보 발령"시 주민의 실외활동 금지 요청과 사업장의 조업시간 단축명령이 조치사항으로 나열된 이유는 이 두 가지 조치가 대기오염을 줄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주민들이 실외에서 활동을 자제하면서 자동차 사용량이 감소하고, 사업장의 조업시간이 단축되면서 연료 사용량도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대기오염을 줄이는 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므로 대기환경보전법령에서 중대경보 발령시 이러한 조치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대기환경보전법상 한국자동차환경협회의 정관으로 정하는 업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단, 그 밖의 사항 등은 고려하지 않는다.)

  1. 운행차 저공해화 기술개발 및 배출가스저감장치의 보급
  2. 자동차 배출가스 저감사업의 지원과 사후관리에 관한 사항
  3. 운행차 배출가스 검사와 정비기술의 연구ㆍ개발사업
  4. 삼원촉매장치의 판매와 보급
(정답률: 75%)
  • 삼원촉매장치의 판매와 보급은 대기환경보전법상 한국자동차환경협회의 업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대기환경보전법에서 자동차 배출가스 저감을 위한 기술개발, 보급, 검사, 정비 등의 업무를 목적으로 한 협회이기 때문이다. 삼원촉매장치는 자동차 배출가스 저감을 위한 기술 중 하나이지만, 이를 판매하고 보급하는 것은 협회의 업무 범위를 벗어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대기환경보전법규상 환경기술인을 임명하지 아니한 경우 4차 행정처분기준으로 옳은 것은?

  1. 경고
  2. 조업정지5일
  3. 조업정지10일
  4. 선임명령
(정답률: 71%)
  • 대기환경보전법규상 환경기술인을 임명하지 아니한 경우, 해당 업체는 경고 또는 조업정지 처분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때, 조업정지 기간은 4차 행정처분기준에 따라 결정됩니다. 조업정지 10일이 되는 이유는 해당 업체가 대기환경보전법규상 환경기술인을 임명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환경오염의 위험성이 높아서입니다. 따라서 보다 엄격한 처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조업정지 10일이 결정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실내공기질 관리법규상 신축 공동주택의 실내공기질 권고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에틸벤젠 360μg/m3 이하
  2. 폼알데하이드 210μg/m3 이하
  3. 벤젠 300μg/m3 이하
  4. 톨루엔 1000μg/m3 이하
(정답률: 61%)
  • "벤젠 300μg/m3 이하"가 옳지 않은 것은 벤젠이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기 때문입니다. 벤젠은 호흡기, 피부, 눈 등에 영향을 미치며, 장기간 노출 시 암 발생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가능한 한 벤젠 농도를 낮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대기환경보전법규상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사업자 스스로 방지시설을 설계ㆍ시공하고자 하는 사업자가 시ㆍ지도사에게 제출해야 하는 서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술능력 현황을 적은 서류
  2. 공사비내역서
  3. 공정도
  4. 방지시설의 설치명세서와 그 도면
(정답률: 62%)
  • "공사비내역서"는 방지시설 설계 및 시공에 필요한 재료 및 인력 등의 비용을 상세히 기재한 서류이기 때문에, 다른 서류들과는 달리 거리가 먼 것입니다. 사업자가 스스로 방지시설을 설계ㆍ시공하고자 할 때, 공사비내역서는 필수적인 서류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대기환경보전법규상 2016년 1월 1일 이후 제작자동차의 배출가스 보증기간 적용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휘발유 경자동차 : 15년 또는 240000km
  2. 휘발유 대형 승용ㆍ화물자동차 : 2년 또는 160000km
  3. 가스 초대형 승용ㆍ화물자동차 : 2년 또는 160000km
  4. 가스 경자동차 : 5년 또는 80000km
(정답률: 54%)
  • 옳지 않은 것은 "휘발유 대형 승용ㆍ화물자동차 : 2년 또는 160000km" 이다.

    가스 경자동차의 배출가스 보증기간이 5년 또는 80000km인 이유는, 가스 경자동차는 휘발유 경자동차에 비해 배출가스 오염물질이 적어서 오랜 기간 동안 배출가스 보증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가스 경자동차는 경제성이 높아서 많은 사람들이 구매하고 있기 때문에, 보다 오랜 기간 동안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보증기간을 늘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제1차 금속 제조시설 중 금속의 용융ㆍ용해 또는 열처리시설에서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간당 100킬로와트 이상인 전기아크로(유도로를 포함한다)
  2. 노상면적이 4.5제곱미터 이상인 반사로
  3. 1회 주입 연료 및 원료량의 합계가 0.5톤 이상인 제선로
  4. 1회 주입 원료량이 0.5톤 이상이거나 연료사용량이 시간당 30킬로그램 이상인 도가니로
(정답률: 49%)
  • "시간당 100킬로와트 이상인 전기아크로(유도로를 포함한다)"는 옳은 기준입니다. 이는 전기아크로(유도로)가 용융 및 열처리 과정에서 많은 전기를 사용하므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기준을 충족하는 시설은 대기환경보전법규상에서 더욱 엄격한 대기오염물질 배출 제한을 받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사업자가 기본부과금의 징수유예나 분할납부가 불가피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기본부과금의 징수유예기간과 분할납부 횟수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유예한 날의 다음 날부터 다음 부과기간의 개시일 전일까지, 24회 이내
  2. 유예한 날의 다음 날부터 다음 부과기간의 개시일 전일까지, 12회 이내
  3. 유예한 날의 다음 날부터 다음 부과기간의 개시일 전일까지, 6회 이내
  4. 유예한 날의 다음 날부터 다음 부과기간의 개시일 전일까지, 4회 이내
(정답률: 49%)
  • 대기환경보전법령상 기본부과금의 징수유예나 분할납부가 불가피한 경우, 유예한 날의 다음 날부터 다음 부과기간의 개시일 전일까지, 4회 이내로 분할납부가 가능합니다. 이는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제23조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 기준을 초과하여 분할납부를 신청하려면 추가적인 사유와 조건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대기환경보전법상 이륜자동차 소유자는 배출가스가 운행차배출허용기준에 맞는지 이륜자동차 배출가스 정기검사를 받아야 한다. 이를 받지 아니한 경우 과태료 부과기준으로 옳은 것은?

  1.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2. 5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3. 3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4. 1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정답률: 61%)
  • 이륜자동차 배출가스 정기검사를 받지 않은 경우, 대기환경보전법상 과태료 부과기준은 "5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이다. 이유는 이륜자동차의 배출가스 검사는 대기환경보전법에서 규정한 운행차배출허용기준을 준수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받지 않은 경우 대기환경을 오염시키는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과태료를 부과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대기환경보전법규상 자동차연료 검사기관은 검사대상 연료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고 있는데, 다음 중 그 구분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휘발유 ㆍ 경유 검사기관
  2. 오일샌드 ㆍ 셰일가스 검사기관
  3. 엘피지(LPG) 검사기관
  4. 천연가스(CNG) ㆍ 바이오가스 검사기관
(정답률: 67%)
  • 오일샌드와 셰일가스는 연료의 종류가 아니기 때문에, 해당 구분으로는 분류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오일샌드 ㆍ 셰일가스 검사기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초과부과금 부과대상 오염물질과 거리가 먼 것은?

  1. 이황화탄소
  2. 염화수소
  3. 탄화수소
  4. 염소
(정답률: 54%)
  • 대기환경보전법령에서 초과부과금 부과대상은 대기오염물질 배출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 농도와 배출량이 규정한 기준을 초과한 경우입니다. 따라서 거리와는 관계없이 대기오염물질 배출량과 농도가 기준을 초과하면 초과부과금이 부과됩니다. "탄화수소"는 대기오염물질 중 하나로, 자동차나 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 중 일부를 이루고 있습니다. 따라서 탄화수소 배출량과 농도가 기준을 초과하면 초과부과금이 부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초과부과금 산정기준에서 다음 오염물질 중 오염물질 1킬로그램당 부과금액이 가장 큰 것은?

  1. 불소화합물
  2. 암모니아
  3. 시안화수소
  4. 황화수소
(정답률: 67%)
  • 대기환경보전법령상 초과부과금 산정기준에서는 오염물질의 유해도에 따라 부과금액이 결정됩니다. 이 중에서 시안화수소는 매우 강한 독성을 가지고 있어서 1킬로그램당 부과금액이 가장 높게 책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시안화수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