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 1급(3교시)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1-20)

사회복지사 1급(3교시)
(2018-01-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사회복지 정책론

1. 사회복지정책이 추구하는 목표와 추진 방법을 연결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형평 - 실업급여
  2. 적절성 - 최저임금
  3. 기회의 평등 - 여성고용할당
  4. 적극적 자유 - 최저생활 보장
  5. 결과의 평등 - 드림스타트(Dream Start)
(정답률: 72%)
  • "결과의 평등 - 드림스타트(Dream Start)"은 사회적으로 취약한 계층의 아이들에게 교육적 지원을 제공하여 교육적 부채를 해소하고, 교육적 기회의 평등성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추진 방법으로는 교육비 지원, 학습지원, 학습환경 개선 등이 있습니다. 이는 다른 보기들과 달리 결과의 평등을 추구하는 것으로, 이미 교육적으로 불평등한 상황에서 태어난 아이들에게 교육적 부채를 해소하고, 교육적 기회의 평등성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복지국가의 형성과 발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ㄴ
  2. ㄱ,ㄹ
  3. ㄴ,ㄷ
  4. ㄴ,ㄹ
  5. ㄷ,ㄹ
(정답률: 54%)
  • 복지국가의 형성과 발전은 경제적 발전과 더불어 사회적 발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국민의 복지를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실행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ㄴ,ㄹ"이 옳은 것으로 선택된다.

    - "ㄱ,ㄴ": 경제적 발전과 국민의 복지는 서로 연관되어 있지만, 경제적 발전만으로는 복지국가를 형성할 수 없다.
    - "ㄱ,ㄹ": 경제적 발전과 더불어 사회적 발전이 필요하지만, 이를 위한 정책 수립과 실행이 없으면 복지국가를 형성할 수 없다.
    - "ㄴ,ㄷ": 국민의 복지를 위한 정책 수립과 실행은 중요하지만, 이를 위한 자금이나 인력 등이 부족하면 복지국가를 발전시키기 어렵다.
    - "ㄷ,ㄹ": 정부의 역할과 국민의 참여가 모두 필요하지만, 이 둘 사이에는 상호작용이 필요하다는 것만으로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사회복지정책의 발달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확산이론: 한 국가의 제도나 기술 혁신이 인근 국가에 영향을 준다.
  2. 음모이론: 사회복지정책에 대해 사회 안정과 질서 유지를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보았다.
  3. 독점자본이론: 경제발전이 상당 수준에 이르면 사회복지 발전정도가 유사하게 나타난다.
  4. 이익집단이론: 현대사회에서 귀속적 차이 등에 따른 집단들 간의 정치적 행위가 커지고 있다.
  5. 사회양심이론: 인도주의에 입각한 사회적 의무감이 사회복지정책을 확대할 수 있다.
(정답률: 66%)
  • 독점자본이론은 경제발전과 사회복지 발전이 유사하게 나타난다는 이론으로, 경제적 발전이 일어날수록 사회복지 정책도 발전한다는 것을 주장합니다. 이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경제적 발전과 사회복지 발전은 서로 다른 영역이며, 경제적 발전이 있더라도 사회복지 발전이 따라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복지국가의 유형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조지와 월딩(V. George & P. Wilding)의 소극적 집합주의(reluctant collectivism): 자본주의 시장체계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국가 개입 인정
  2. 윌렌스키와 르보(H. Wilensky & C. Lebeaux)의 제도적 모형(institutional model): 가족이나 시장 등 정상적인 통로가 적절히 기능하지 못할 때에만 보충적ㆍ임시적 기능 수행
  3. 미쉬라(R. Mishra)의 분화적 복지국가(differentiated welfare state): 경제집단의 상호의존성을 인식하여 사회적 협력형태로 제도화 추구
  4. 티트머스(R. Titmuss)의 산업성취수행 모형(industrial achievement performance model): 시장밖에서 욕구 원칙에 입각하여 보편적 서비스 제공
  5. 퍼니스와 틸톤(N. Furniss & T. Tilton)의 적극적 국가(positive state): 사회보험과 사회부조 실시를 위해 국가 개입 인정
(정답률: 46%)
  • 조지와 월딩(V. George & P. Wilding)의 소극적 집합주의(reluctant collectivism): 자본주의 시장체계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국가 개입 인정은 옳은 설명이다. 이는 자본주의 시장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국가가 보충적으로 개입하는 것을 인정하는 유형화이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가족이나 시장 등이 기능하지 않을 때에만 국가가 개입하는 제도적 모형, 경제집단의 상호의존성을 인식하여 사회적 협력형태로 제도화 추구하는 분화적 복지국가, 시장밖에서 보편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성취수행 모형, 사회보험과 사회부조 실시를 위해 국가 개입을 적극적으로 인정하는 적극적 국가 등 다른 유형화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에스핑 엔더슨(G. Esping-Andersen)의 복지국가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유주의 복지국가는 시장의 효율성을 중시한다.
  2. 자유주의 복지국가는 저소득층에 초점을 맞춘다.
  3. 보수주의 복지국가는 개인책임과 자조의 원리를 강조한다.
  4. 보수주의 복지국가는 사회적 지위에 따라 사회보험 혜택의 차이가 있다.
  5. 사회민주주의 복지국가는 보편주의적 개입을 통해 가족과 시장을 대체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정답률: 49%)
  • "자유주의 복지국가는 저소득층에 초점을 맞춘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보수주의 복지국가는 개인책임과 자조의 원리를 강조하며, 사회적 지위에 따라 사회보험 혜택의 차이가 있습니다. 자유주의 복지국가는 시장의 효율성을 중시하며, 보편주의적 개입을 통해 가족과 시장을 대체하는 사회민주주의 복지국가와 대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빈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ㄷ
  2. ㄱ,ㄹ
  3. ㄴ,ㄷ
  4. ㄷ,ㄹ
  5. ㄴ,ㄷ,ㄹ
(정답률: 46%)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처럼 빈곤은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것은 경제적인 문제입니다. 따라서 "ㄱ,ㄹ"이 옳은 것입니다. "ㄱ"은 경제적인 문제로 인한 빈곤을 의미하고, "ㄹ"은 지역적인 문제로 인한 빈곤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경제적인 문제와 지역적인 문제, 그리고 사회적인 문제 등 다양한 요인들을 포함하고 있어서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소득불평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ㄴ
  2. ㄴ,ㄷ
  3. ㄷ,ㄹ
  4. ㄱ,ㄴ,ㄷ
  5. ㄱ,ㄴ,ㄹ
(정답률: 65%)
  • - "ㄷ"은 맞습니다. 그래프를 보면 상위 10%의 소득층이 전체 소득의 약 45%를 차지하고 있으며, 하위 50%의 소득층은 전체 소득의 약 1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상위 소득층과 하위 소득층 간의 소득 격차가 크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 "ㄹ"은 맞습니다. 그래프를 보면 1995년부터 2015년까지 상위 10%의 소득층은 소득이 증가하고 있지만, 하위 50%의 소득층은 소득이 거의 증가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는 소득불평등이 점점 심해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서구 복지국가의 위기 이후 나타난 흐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공서비스의 시장화
  2. 노동시장의 유연화정책
  3. 계층 간 소득 불평등 완화
  4. 복지의 투자ㆍ생산적 성격 강조
  5. 경제 활성화를 위한 법인세 인하
(정답률: 63%)
  • 계층 간 소득 불평등 완화는 서구 복지국가의 위기 이후 나타난 흐름 중 하나가 아닙니다. 오히려 소득 불평등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부정적인 흐름이며, 이유는 급격한 금융위기와 경제 불황으로 인한 일자리 감소와 노동시장의 불안정성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사회복지급여의 하나인 증서(vouche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현금급여에 비해 목표달성에 효과적이다.
  2. 현물급여에 비해 소비자의 선택권이 낮다.
  3. 현물급여에 비해 공급자 간 경쟁을 유도하는데 유리하다.
  4. 공급자가 소비자를 자의적으로 선택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5. 현물급여에 비해 서비스에 대한 충분한 정보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정답률: 71%)
  • "현물급여에 비해 소비자의 선택권이 낮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증서는 현금이 아닌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에 소비자는 제공받을 상품이나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현물급여보다는 소비자의 선택권이 높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조세와 사회보험료 부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사회보험료는 소득세에 비해 역진적이다.
  2. 사회보험료에는 조세와 같은 인적공제가 없어 저소득층에게 유리하다.
  3. 조세와 달리 소득상한선이 있는 사회보험료는 고소득층에게 불리하다.
  4. 조세와 달리 사회보험료는 국가의 빈대급부가 특정화되어 있지 않다.
  5. 조세와 달리 사회보험료는 추정된 부담능력(assumed capacity)을 고려한다.
(정답률: 50%)
  • "사회보험료는 소득세에 비해 역진적이다." 이유는 사회보험료는 소득에 따라 일정한 비율로 부과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득이 낮은 사람일수록 소득 대비 사회보험료 부담이 적어지며, 소득이 높은 사람일수록 부담이 더 커집니다. 이는 소득세와는 반대로 역진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인구학적 기준에 따른 사회수당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영효율성이 높다.
  2.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다.
  3. 낙인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4. 사회적 적절성 가치 실현 정도가 높다.
  5. 공공부조에 비해 근로동기 감소효과가 적다.
(정답률: 37%)
  • "운영효율성이 높다."는 인구학적 기준에 따른 사회수당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이다. 이유는 인구학적 기준에 따라 수급 대상자를 선정하므로, 대상자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효율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사회수당의 장점으로서, 사회통합에 기여하고, 낙인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공공부조에 비해 근로동기 감소효과가 적다는 것이 맞지만, "사회적 적절성 가치 실현 정도가 높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유는 인구학적 기준에 따라 수급 대상자를 선정하면서, 실제로 필요한 사람들에게 도움을 제공하지 못하고, 불필요한 사람들에게도 혜택을 주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회적 적절성 가치 실현 정도가 높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사회복지 재원 중 이용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부의 재정 부담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2. 정액의 이용료는 소득재분배에 역진적이다.
  3. 서비스 이용자의 도덕적 해이를 방지할 수 있다.
  4. 저소득층의 서비스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5. 이용자의 권리의식을 높여 서비스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정답률: 72%)
  • "정액의 이용료는 소득재분배에 역진적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저소득층의 서비스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이용료를 인하하거나 면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이는 저소득층이 사회복지 서비스를 더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사회적 격차를 줄이고 사회복지의 보편성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소득재분배 유형과 관련된 제도를 연결한 것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ㄷ
  2. ㄴ,ㄹ
  3. ㄱ,ㄴ,ㄷ
  4. ㄱ,ㄴ,ㄷ,ㄹ
(정답률: 53%)
  • - "ㄹ"은 소득재분배 유형과 관련된 제도와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옳지 않다.
    - "ㄱ,ㄷ"는 소득재분배 유형과 관련된 제도 중 근로소득세와 종합소득세가 해당되기 때문에 옳다.
    - "ㄴ,ㄹ"은 소득재분배 유형과 관련된 제도 중 주택자금대출이 해당되기 때문에 옳다.
    - "ㄱ,ㄴ,ㄷ"는 위의 두 가지 제도 모두에 해당되기 때문에 옳다.
    - 따라서, 정답은 "ㄱ,ㄷ", "ㄴ,ㄹ", "ㄱ,ㄴ,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우리나라 중앙정부의 지방정부 재정지원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ㄴ
  2. ㄱ,ㄷ
  3. ㄴ,ㄷ
  4. ㄱ,ㄴ,ㄷ
(정답률: 47%)
  • - ㄱ.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재정지원은 중앙정부에서 일정한 비율의 세금을 징수하여 지방자치단체에 배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 ㄴ.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자율성을 보장하기 위해 중앙정부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수입을 보조하는 다양한 제도를 마련하고 있다.
    - ㄷ.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지원 방식 중 하나로, 중앙정부에서 지방자치단체에 직접 예산을 지원하는 방식이 있다. 이는 중앙정부에서 지방자치단체의 필요에 따라 예산을 지원하며, 지방자치단체는 이를 기반으로 지방정책을 추진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사회복지정책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치판단적 특성을 가진다.
  2. 국민의 최저생활을 보장한다.
  3. 개인의 자립성을 증진시킨다.
  4. 능력에 비례한 배분을 원칙으로 한다.
  5. 경제의 자동안정장치(built-in-stabilizer) 기능을 수행한다.
(정답률: 61%)
  • "능력에 비례한 배분을 원칙으로 한다."는 사회복지정책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사회복지정책은 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이나 사회적으로 소외된 계층에게 보호와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능력에 따라 배분하는 것이 아니라 보호와 지원이 필요한 정도에 따라 배분됩니다. 따라서 능력에 비례한 배분을 원칙으로 하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정책결정 이론모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합리모형 : 인간의 이성과 합리성을 전제로 최선의 정책대안을 찾을 수 있다고 가정한다.
  2. 혼합모형 : 조직화된 무정부 상태 속에서 정책이 우연히 결정된다고 가정한다.
  3. 최적모형 : 체계론적 시각에서 정책성과를 최적화하려는 정책결정 모형이다.
  4. 만족모형 : 사람은 자신의 제한된 능력과 환경적 제약으로 모든 대안이 초래할 결과를 완전히 예측할 수는 없다.
  5. 점증모형 : 과거의 정책을 약간 수정한 정책결정이 이루어지고, 여론의 반응에 따라 정책수정을 반복한다.
(정답률: 72%)
  • 혼합모형은 조직화된 무정부 상태 속에서 정책이 우연히 결정된다고 가정하는 것으로,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이 옳지 않은 설명이다. 정책결정은 항상 어떤 형태의 조직이나 구조적인 틀 안에서 이루어지며, 우연히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혼합모형은 이론적으로만 존재하는 모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사회보험과 비교할 때 공공부조가 갖는 장점은?

  1. 높은 비용효과성
  2. 근로동기의 강화
  3. 재정 예측의 용이성
  4. 수평적 재분배의 효과
  5. 높은 수급률(take-up rate)
(정답률: 50%)
  • 공공부조는 사회보험과 비교하여 높은 비용효과성을 갖는다. 이는 공공부조가 사회보험보다 적은 비용으로 더 많은 수혜자를 지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공공부조는 근로동기의 강화, 재정 예측의 용이성, 수평적 재분배의 효과, 높은 수급률(take-up rate) 등의 장점도 갖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우리나라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의료급여는 국가가 진료비를 지원하는 공공부조제도로서 본인부담금이 없다.
  2. 희망키움통장과 내일키움통장은 자산형성지원사업이다.
  3. 증위소득은 가구 경상소득 증간값에 전년도 대비 가구소득 증가율을 곱하여 산정한다.
  4. 노숙인은 의료급여 2종 수급권자의 대상에 포함된다.
  5.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는 부양의무자 기준이 적용된다.
(정답률: 67%)
  • 희망키움통장과 내일키움통장은 자산형성지원사업이다. 이는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일환으로, 소득이 적은 가구나 개인에게 자산형성을 지원하여 경제적으로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이다. 희망키움통장은 만 18세 이상의 소득이 적은 청년들을 대상으로, 내일키움통장은 만 65세 이상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지원된다. 이들은 매월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일정 금액을 추가로 지원해주는 형태로 운영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우리나라의 근로장려세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조세환급제도의 일종에 해당한다.
  2. 급여신청 접수는 행정복지센터에서 담당한다.
  3. 자격기준은 근로소득, 부양부모, 재산, 부채이다.
  4. 근로기준법 개정을 근거로 2006년부터 시행되었다.
  5. 신청방식은 신청주의와 직권주의가 혼용되고 있다.
(정답률: 55%)
  • 근로장려세제는 근로자의 근로를 장려하기 위해 정부가 제공하는 세제 혜택으로, 근로소득에 대한 일정 금액의 공제 혹은 환급을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따라서 "조세환급제도의 일종에 해당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또한, 급여신청 접수는 행정복지센터에서 담당하며, 자격기준은 근로소득, 부양부모, 재산, 부채이며, 근로기준법 개정을 근거로 2006년부터 시행되었습니다. 신청방식은 신청주의와 직권주의가 혼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우리나라의 국민건강보험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3, 5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3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본인부담상한액은 가입자의 소득수준 등에 따라 정한다.
  2. 월별 보험료의 총체납횟수가 6회 이상일 경우 급여가 제한될 수 있다.
  3. 외래의 본인부담금은 의료기관 및 질병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4. 직종조합, 지역조합 등이 통합되어 운영되고 있다.
  5. 진료비 지불방식 중 포괄수가제(diagnosis related groups)를 2002년 7개 질병군에 한해 시행 하였다.
(정답률: 70%)
  • "월별 보험료의 총체납횟수가 6회 이상일 경우 급여가 제한될 수 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외래의 본인부담금은 의료기관 및 질병의 종류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는 진료비가 얼마나 들지에 대한 것으로, 의료기관이나 질병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만성질환의 경우 본인부담금이 더 높게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우리나라의 국민연금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실업기간 중에는 가입기간을 추가로 산입할 수 없다.
  2. 출산크레딧은 3명 이상의 자녀가 있을 때부터 가능하다.
  3. 농ㆍ어업인에 대해 연금보험료를 국가가 보조할 수 없다.
  4. 노령연금 수급권자가 소득활동을 하면 최대 3년 동안 연금액이 감액된다.
  5. 군복무자에게는 노령연금수급권 취득 시 6개월을 가입기간에 추가로 산입한다.
(정답률: 59%)
  • 군복무자는 군복무 중 가입이 불가능하므로, 군복무 이후에 가입하게 되는 경우 가입기간에 6개월을 추가로 산입하여 노령연금 수급권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우리나라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단기보호는 시설급여에 해당한다.
  2. 가족에게 요양을 받을 때 지원되는 현금급여가 있다.
  3. 보험료는 건강보험료와 분리하여 징수한다.
  4. 장기요양인정의 유효기간은 3개월 이상으로 한다.
  5. 보험료율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한다.
(정답률: 58%)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노인들이 장기간 요양이 필요한 경우에 대한 보장을 위한 제도입니다. 이 제도에서는 시설급여와 가족요양급여 두 가지 형태의 요양급여가 제공됩니다. 가족에게 요양을 받을 때는 현금급여가 지원되며, 이는 가족이 노인을 집에서 돌보는 경우에도 지원됩니다. 따라서 "가족에게 요양을 받을 때 지원되는 현금급여가 있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의 도입에 관한 이론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ㄷ
  2. ㄴ,ㄹ
  3. ㄱ,ㄴ,ㄹ
  4. ㄱ,ㄷ,ㄹ
  5. ㄴ,ㄷ,ㄹ
(정답률: 39%)
  •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는 일하는 사람들이 산업재해로 인해 입은 손해를 보상하는 제도입니다. 이를 도입하는 이유는 일하는 사람들의 안전과 건강을 보호하고, 산업재해로 인한 손해를 보상하여 사회적 안정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이에 따라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의 도입에 관한 이론은 "ㄴ,ㄷ,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안토넨과 시필라(A. Antonnen & T. Sipila)의 사회서비스 제공체제 모형과 해당 국가의 연결이 옳은 것은?

  1. 보층주의 모형 - 스페인
  2. 공공서비스 모형 - 독일
  3. 가족주의 모형 - 스웨덴
  4. 합리주의 모형 - 핀란드
  5. 자산조사ㆍ시장의존 모형 - 미국
(정답률: 60%)
  • 안토넨과 시필라의 사회서비스 제공체제 모형은 자산조사ㆍ시장의존 모형이다. 이 모형은 개인의 자산과 시장의 역할을 강조하며, 개인의 자율성과 선택권을 중시한다. 미국은 이 모형을 기반으로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미국은 개인의 자율성과 선택권을 존중하며, 시장 경제를 중심으로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영국의 신빈민법(1834)과 우리나라의 현재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원칙은?

  1. 비례급여의 원칙
  2. 원외구제의 원칙
  3. 임금보조의 원칙
  4. 열등처우의 원칙
  5. 비부양의무의 원칙
(정답률: 75%)
  • 영국의 신빈민법과 우리나라의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원칙은 "열등처우의 원칙"입니다. 이는 사회적으로 취약한 계층에게 일정한 혜택을 제공하면서도 그들을 다른 사람들과 구분하여 차별하지 않는 원칙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제도에서는 소득이나 재산 등의 요소에 따라 차별을 받지 않고 모든 국민이 동등하게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사회복지 행정론

26. 베버(M. Weber)의 관료제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ㄷ
  2. ㄱ,ㄹ
  3. ㄴ,ㄹ
  4. ㄱ,ㄴ,ㄹ
  5. ㄴ,ㄷ,ㄹ
(정답률: 52%)
  • - "ㄴ"은 베버의 관료제이론에서 관료의 특징 중 하나인 "전문성"을 나타내는 요소이다. 베버는 관료가 자신의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바탕으로 업무를 수행하며, 이를 통해 조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 "ㄹ"은 베버의 관료제이론에서 관료의 특징 중 하나인 "규범성"을 나타내는 요소이다. 베버는 관료가 조직 내에서 일정한 규칙과 절차에 따라 업무를 수행하며, 이를 통해 조직의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사회복지행정 기능은?

  1. 조정(coordinating)
  2. 인사(staffing)
  3. 지휘(directing)
  4. 조직화(organizing)
  5. 기획(planning)
(정답률: 63%)
  • 이 그림은 각 부서의 역할과 책임을 분명하게 정의하고, 이를 조직 구조에 맞게 배치하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는 조직화(organizing)의 기능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사회복지 조직환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직과 상호작용하는 외부요소를 총칭한다.
  2. 경제적 조건은 조직의 재정적 기반 마련과 관련이 있다.
  3. 조직 간의 의뢰ㆍ협력체계는 보충적 서비스 제공 역할을 한다.
  4. 법적 조건은 조직의 활동을 인가하는 기준이 된다.
  5. 정치적 조건은 과업환경으로서 규제를 통해 사회적 기반을 형성한다.
(정답률: 53%)
  • 정답은 "정치적 조건은 과업환경으로서 규제를 통해 사회적 기반을 형성한다."가 아니다. 정치적 조건은 조직의 활동을 제한하거나 지원하는 법률, 규제, 정책 등을 의미하며, 사회적 기반 형성은 경제적 조건과 연계하여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조직이론은?

  1. 정치경제(Political Economy)이론
  2. 신제도(New Institutional)이론
  3. 과학적 관리(Scientific Managemet)이론
  4. 의사결정(Decision-Making)이론
  5. 조직군생태(Organizational Ecology)이론
(정답률: 60%)
  • 위 그림은 조직 내에서의 권력과 영향력을 나타내는 조직도이다. 이러한 권력과 영향력은 조직 내부의 정치적 상황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직 내부의 정치적 상황을 중심으로 조직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이론이 "정치경제(Political Economy)이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사회복지행정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적ㆍ물적자원을 활용하여 조직 목적과 목표를 달성한다.
  2. 지역사회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활동이다.
  3. 사회복지행정가는 대안선택 시 가치중립적이어야 한다.
  4. 사회복지조직이 제공하는 서비스는 전문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5. 사회복지행정가는 조직운영에서 지역사회 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한다.
(정답률: 69%)
  • 사회복지행정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사회복지행정가는 대안선택 시 가치중립적이어야 한다." 이다. 이유는 사회복지행정가는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에서 일하는데, 이 조직은 특정한 가치와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안 선택 시에도 이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가치중립적이라는 것은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사회복지조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에치오니(A. Etzioni)의 권력 형태에 따른 분류 중 사회복지조직은 규범적 조직에 속한다.
  2. 블라우(P. Blau)와 스콧(W. Scott)이 제시한 호혜적 조직은 조직 구성원들이 주요 수혜자인 조직을 말한다.
  3. 스미스(G. Smith)는 업무통제에 따라 사회적경제조직, 사업조직, 공공조직으로 분류하였다.
  4. 지벨만(M Gibelman)은 운영주체에 따라 공공조직, 준공공조직, 준민간조직, 민간조직으로 분류하였다.
  5. 하센필드(Y. Hasenfeld)는 사회복지조직의 조직기술을 인간식별기술, 인간유지기술, 인간변화 기술로 구분하였다.
(정답률: 40%)
  • "스미스(G. Smith)는 업무통제에 따라 사회적경제조직, 사업조직, 공공조직으로 분류하였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사회복지조직은 이러한 분류 중에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총체적 품질관리(TQM)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최고책임자의 의사결정권을 강조한다.
  2. 조직관리 및 업적평가 방식으로 고안되었다.
  3. 맥그리거(D. McGregor)의 X이론을 발전시켰다.
  4. 서비스 생산 과정과 절차를 지속적으로 개선한다.
  5. 작업시간 단축을 목표로 둔다.
(정답률: 69%)
  • 총체적 품질관리(TQM)는 조직 전체가 품질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경영 철학이다. 이를 위해 서비스 생산 과정과 절차를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는 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서비스 생산 과정과 절차를 지속적으로 개선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에서 설명하는 환경의존 대응전략은?

  1. 방해전략
  2. 교환전략
  3. 흡수전
  4. 경쟁전략
  5. 권위주의전략
(정답률: 55%)
  • 위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방해전략은 다른 기업이나 개체의 환경을 방해하거나 파괴하여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전략입니다. 이 경우, 녹색 기업은 빨간색 기업의 환경을 방해하여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자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방해전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퀸(R. Quinn)이 주장하는 혁신적 슈퍼바이저가 가져야 할 능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연한 변화를 만들기 위한 의사소통 능력
  2. 비판적ㆍ창의적 사고 능력
  3. 슈퍼바이저(supervisee)의 개인성과를 점검하는 능력
  4. 조직을 둘러싼 변화를 판단할 수 있는 능력
  5. 조직구성원과 이해관계자들 간의 갈등을 예방할 수 있는 능력
(정답률: 62%)
  • 정답은 "슈퍼바이저(supervisee)의 개인성과를 점검하는 능력"입니다. 이는 슈퍼바이저의 역할이 아닌 슈퍼바이저와 슈퍼바이지의 상호작용에서 슈퍼바이지가 해야 할 일입니다. 슈퍼바이저는 유연한 변화를 만들기 위한 의사소통 능력, 비판적ㆍ창의적 사고 능력, 조직을 둘러싼 변화를 판단할 수 있는 능력, 조직구성원과 이해관계자들 간의 갈등을 예방할 수 있는 능력 등을 가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전달체계의 원칙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ㄴ
  2. ㄴ,ㄷ
  3. ㄱ,ㄴ,ㄷ
  4. ㄱ,ㄷ,ㄹ
  5. ㄴ,ㄷ,ㄹ
(정답률: 54%)
  • 전달체계의 원칙에는 신뢰성, 효율성, 융통성, 확장성이 있다. 이 중 "ㄴ,ㄷ" 정답은 융통성과 확장성에 관한 것이다. 융통성은 전달체계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며, "ㄴ,ㄷ"은 다양한 데이터 형식을 처리할 수 있는 유연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확장성은 전달체계가 새로운 기능이나 서비스를 추가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며, "ㄴ,ㄷ"은 새로운 기능이나 서비스를 추가하기 쉬운 확장성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에서 설명하는 관리기법은?

  1. 목표관리법(MBO)
  2. 무결점운동(Zero Defect)
  3. 위험관리(Risk Management)
  4. 품질관리(Quality Control)
  5. 직무만족관리(Job Satisfaction Management)
(정답률: 68%)
  • 위험을 사전에 예측하고 분석하여 대비책을 마련하고, 위험을 최소화하고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목적인 관리기법이다. 위험을 인식하고 대응하는 것은 조직의 안전과 성장에 매우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사회복지법인 및 사회복지시설 재무ㆍ회계 규칙상 다음에서 설명하는 예산은?

  1. 계획예산
  2. 본예산
  3. 특별예산
  4. 준예산
  5. 추가경정예산
(정답률: 68%)
  • 이 예산은 "준예산"이다. 이유는 예산안에 수입과 지출 항목이 모두 "예산편성계획" 단계에서 결정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예산은 계획예산보다는 덜 상세하고, 본예산보다는 덜 정확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참여적 리더십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집단지식과 기술 활용이 용이하다.
  2. 상급자의 권한과 책임을 포기하는 것이다.
  3. 소요시간과 책임소재 문제 등이 단점이다.
  4. 기술수준이 높고, 동기부여 된 직원들이 있을 때 효과적이다.
  5. 직원들을 의사결정에 참여시켜 일에 대한 적극적 동기부여가 가능하다.
(정답률: 72%)
  • 상급자의 권한과 책임을 포기하는 것은 참여적 리더십의 특징 중 하나가 아니라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참여적 리더십은 직원들을 의사결정에 참여시켜 일에 대한 적극적 동기부여가 가능하고, 집단지식과 기술 활용이 용이하며, 기술수준이 높고, 동기부여 된 직원들이 있을 때 효과적입니다. 하지만 상급자의 권한과 책임을 포기하는 것은 아닙니다. 참여적 리더십에서도 상급자는 여전히 책임과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목표설정(Goal Setting)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위계적 욕구이론이다.
  2. 인지에 초점을 둔 이론이다.
  3. 동기 형성을 위한 목표설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4. 목표가 구체적일수록 효과적이라고 본다.
  5. 의미 있는 목표는 동기유발을 일으켜 조직성과 달성에 기여한다고 본다.
(정답률: 58%)
  • 위계적 욕구이론은 목표설정 이론과는 관련이 없는 이론이다. 이론은 인간의 욕구를 다섯 가지 단계로 나누어 설명하며, 생리적 욕구, 안전 욕구, 사회적 욕구, 존경 욕구, 자아실현 욕구 순으로 우선순위가 높아지는 것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위계적 욕구이론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에서 설명하는 리더십이론은?

  1. 행동이론
  2. 상황이론
  3. 특성이론
  4. 공동체이론
  5. 카리스마이론
(정답률: 63%)
  • 상황이론은 리더십이 특정 상황에 따라 변화한다는 이론입니다. 즉, 리더십은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며, 상황에 맞게 적절한 리더십 스타일을 선택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론의 핵심은 "상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사회복지조직에서의 인적자원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ㄷ
  2. ㄴ,ㄹ
  3. ㄱ,ㄴ,ㄷ
  4. ㄱ,ㄷ,ㄹ
  5. ㄱ,ㄴ,ㄷ,ㄹ
(정답률: 66%)
  • - ㄱ: 인적자원관리는 조직 내 인력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조직의 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ㄴ: 인적자원관리는 인력의 채용, 교육, 보상, 평가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조직 내 인력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
    - ㄷ: 인적자원관리는 조직의 성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적자원관리가 잘 이루어져야 한다.
    - ㄹ: 인적자원관리는 조직의 비즈니스 전략과 일치하도록 계획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인력의 역량 분석과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조직 내 인력의 다양성과 인권 보호 등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따라서, "ㄱ,ㄴ,ㄷ,ㄹ" 모두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사회복지사업법상 사회복지 시설평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보건복지부장관이 시설의 서비스 최저기준을 고려하여 평가기준을 정한다.
  2. 1997년에 처음으로 시행되었다.
  3. 보건복지부장관과 시ㆍ군ㆍ구의 장이 시설평가의 주체이다.
  4. 4년마다 한번 씩 평가를 실시한다.
  5. 시설평가 결과를 공표할 수 없으나 시설의 지원에는 반영할 수 있다.
(정답률: 47%)
  • 보건복지부장관이 시설의 서비스 최저기준을 고려하여 평가기준을 정하는 것은, 시설의 서비스 품질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시설의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고, 시민들의 복지 증진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우리나라 사회복지전달체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최근 민관 통합사례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2. 희망복지지원단을 시ㆍ군ㆍ구에 설치하였다.
  3. 2016년에 맞춤형 통합서비스를 목적으로 읍면동 복지허브화사업을 시작했다.
  4.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상 생계급여의 집행체계는 읍ㆍ면ㆍ동이다.
  5. 희망복지지원단 설치 후 사회복지통합관리망(행복e음)을 구축하였다.
(정답률: 56%)
  •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상 생계급여의 집행체계는 읍ㆍ면ㆍ동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상 생계급여의 집행체계는 시ㆍ도가 담당하고 있습니다.

    희망복지지원단은 지역사회에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하며, 시ㆍ군ㆍ구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읍면동 복지허브화사업은 지역사회의 사회복지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이를 위해 2016년에 맞춤형 통합서비스를 목적으로 읍면동 복지허브화사업을 시작하였고, 이를 위해 사회복지통합관리망(행복e음)을 구축하였습니다. 최근에는 민관 통합사례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에서 설명하는 기획기법은?

  1. 프로그램 평가검토 기법(PERT)
  2. 시간별 활동게획 도표(Gantt Chart)
  3. 월별 활동계획 카드(Shed - Graph)
  4. 방침관리기획(P-D-C-A)
  5. 주요경로방법(Critical Path Method)
(정답률: 68%)
  • 위 그림은 각 작업의 시작과 끝 시간을 시간별로 나열한 시간별 활동게획 도표(Gantt Chart)이다. 이 도표는 프로젝트 일정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각 작업의 진행 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시간별 활동게획 도표(Gantt Char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사회복지조직을 포함한 비영리조직 마케팅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생산 후 소비의 발생이 이루어진다.
  2. 틈새시장 마케팅이 시장세분화 정도가 가장 높다.
  3. 사회복지서비스의 표준성은 영리조직 마케팅과의 차이점 중 하나이다.
  4. 마케팅믹스의 4P는 유동(place), 촉진(promotion), 가격(price), 문제(problem)를 의미한다.
  5. 공익연계마케팅을 통해 참여 기업과 사회복지조직 모두 혜택을 얻을 수 있다.
(정답률: 65%)
  • 비영리조직인 사회복지조직도 마케팅을 통해 자신의 목적과 가치를 알리고 기부 등의 지원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공익연계마케팅을 통해 참여 기업과 사회복지조직 모두 혜택을 얻을 수 있다. 이는 기업이 자신의 이미지를 개선하고 사회적 책임감을 나타내며, 사회복지조직은 자금과 인지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스키드모어(R. Skidmore)의 7단계 기획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ㄹ
  2. ㄴ,ㄷ
  3. ㄷ,ㄹ
  4. ㄱ,ㄴ,ㄹ
  5. ㄱ,ㄴ,ㄷ,ㄹ
(정답률: 46%)
  • 정답은 "ㄱ,ㄴ,ㄹ" 입니다.

    스키드모어의 7단계 기획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목표 설정
    2. 정보 수집
    3. 문제 정의
    4. 대안 도출
    5. 대안 평가
    6. 계획 수립
    7. 실행 및 평가

    이 중에서 "ㄱ,ㄴ,ㄹ"은 목표 설정, 정보 수집, 문제 정의 단계에 해당합니다. 이 단계들은 기획의 가장 초기 단계로,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이 단계들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에서 설명하는 프로그램평가 요소는?

  1. 산출(output)
  2. 투입(input)
  3. 성과(outcome)
  4. 전환(throughput)
  5. 피드백(feedback)
(정답률: 61%)
  • 이 그림은 프로그램의 결과물인 산출(output)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즉,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나온 결과물을 평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사회복지 평가기준과 그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효과성은 목표달성 정도를 의미한다.
  2. 영향성은 사회집단 간 얼마나 공평하게 배분되었는가를 의미한다.
  3. 노력성은 프로그램을 위해 동원된 자원 정도를 의미한다.
  4. 서비스 질은 이용자의 욕구 충족 수준과 전문가의 서비스 제공여부 등을 의미한다.
  5. 효율성은 투입 대비 산출을 의미한다.
(정답률: 66%)
  • "영향성은 사회집단 간 얼마나 공평하게 배분되었는가를 의미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영향성은 프로그램이나 정책이 사회나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공평성과는 관련이 있지만, 공평성 자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사회복지재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ㄴ
  2. ㄱ,ㄷ
  3. ㄴ,ㄷ
(정답률: 73%)
  • - 사회복지재원은 사회복지사업을 수행하는 공공기관이다. (O)
    - 사회복지재원은 국가, 지방자치단체, 사회단체 등이 설립할 수 있다. (O)
    - 사회복지재원은 사회복지사업의 계획, 조정, 지도, 감독 등을 담당한다. (O)
    - 사회복지재원은 사회복지사업의 실시를 위해 예산을 책정하고 운영한다. (O)
    - 사회복지재원은 사회복지사업의 대상자를 선정하고 지원금을 지급한다. (X)

    따라서 "ㄱ,ㄷ" 가 정답이다. 사회복지재원은 사회복지사업을 수행하는 공공기관으로 국가, 지방자치단체, 사회단체 등이 설립할 수 있으며, 사회복지사업의 계획, 조정, 지도, 감독 등을 담당하고 예산을 책정하고 운영한다. 하지만 사회복지사업의 대상자를 선정하고 지원금을 지급하는 역할은 사회복지사무소 등 다른 기관이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기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속적이며 동태적인 과업이다.
  2. 효율성 및 효과성 모두 관련이 있다.
  3. 타당한 사업 추진을 하기 위함이다.
  4. 미래의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의사결정과정이다.
  5. 목표지향적이나 과정지향적이지는 않다.
(정답률: 75%)
  • "목표지향적이나 과정지향적이지는 않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기획은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과정을 계획하는 것이 중요한데, 따라서 목표지향적이고 과정지향적인 과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사회복지 법제론

51. 법률의 제정에 관한 헌법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법률은 국무회의의 의결을 거쳐 대통령이 제정한다.
  2. 대통령은 법률안의 일부에 대하여 재의를 요구할 수 있다.
  3.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법률안은 지체없이 대통령이 공포한다.
  4. 법률은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공포한 날로부터 20일을 경과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한다.
  5. 대통령이 15일 이내에 재의 요구를 하지 아니한 때에는 그 법률안은 폐기된다.
(정답률: 52%)
  • 정답은 "법률은 특별한 규정이 없는 한 공포한 날로부터 20일을 경과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한다."이다. 이는 헌법 제68조에 명시되어 있으며, 법률이 공포된 이후 20일이 지나면 법률이 효력을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국민들이 법률의 내용을 충분히 알고 이에 대한 이의제기나 반대의견을 제기할 수 있는 기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사회복지법의 체계와 법원(法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시행령은 업무소관 부처의 장관이 발한다.
  2. 국무총리는 소관사무에 관하여 법률의 위임 또는 직원으로 부령을 발할 수 있다.
  3. 지방자치단체는 법령의 범위 안에서 자치에 관한 규정을 제정할 수 있다.
  4.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은 지방의회에서 제정한다.
  5. 국민연금법 시행령보다 국민연금법 시행규칙이 상위의 법규범이다.
(정답률: 60%)
  • 사회복지법은 국회에서 제정된 법률이며, 시행령과 시행규칙이 존재한다. 시행령은 해당 법률의 업무를 수행하는 부처의 장관이 발하며, 시행규칙은 지방의회에서 제정된다. 이때, 지방자치단체는 법령의 범위 안에서 자치에 관한 규정을 제정할 수 있다는 것은 지방자치단체가 해당 법률에 따라 자치를 수행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는 법령의 범위 안에서 자치에 관한 규정을 제정할 수 있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가장 최근에 제정된 법률은?

  1. 장애인복지법
  2. 사회복지사업법
  3. 고용보험법
  4. 노인장기요양보험법
  5.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정답률: 67%)
  • 가장 최근에 제정된 법률은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이다. 이 법은 노인들의 장기요양에 대한 보장을 위해 제정되었으며, 노인들이 건강하고 안정적인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법은 2021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사회보장기본법상 사회보장위원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사회보장위원회는 대통령 소속으로 둔다.
  2. 부위원장은 기획재정부장관, 법무부장관 및 보건복지부장관이 된다.
  3. 보궐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한다.
  4. 공무원인 위원의 임기는 1년으로 한다.
  5. 사회보장위원회는 위원장 1명, 부위원장 3명과 행정안전부장관, 고용노동부장관, 여성가족부장관, 국토교통부장관을 포함한 3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정답률: 57%)
  • 사회보장위원회는 대통령 소속으로 구성되며, 위원장 1명, 부위원장 3명과 행정안전부장관, 고용노동부장관, 여성가족부장관, 국토교통부장관을 포함한 3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정답은 "사회보장위원회는 위원장 1명, 부위원장 3명과 행정안전부장관, 고용노동부장관, 여성가족부장관, 국토교통부장관을 포함한 3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사회보장기본법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사회보장제도를 신설할 경우 신설의 타당성 등에 대하여 보건복지부장관과 협의하여야 하고, 협의가 이루어지지 아니할 경우 대통령이 이를 조정한다.
  2. 보건복지부장관은 사회보장급여 관련 업무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기준을 마련할 수 있다.
  3. 사회보장수급권은 관계 법령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양도할 수 없으나 담보로 제공할 수 있다.
  4. 사회보장수급권은 포기할 수 있으나, 포기는 취소할 수 없다.
  5. 사회보장수급권은 어떤 경우에도 제한되거나 정지될 수 없다.
(정답률: 51%)
  • 정답은 "보건복지부장관은 사회보장급여 관련 업무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기준을 마련할 수 있다."입니다. 이유는 사회보장기본법 제6조에 따라 보건복지부장관은 사회보장급여 관련 업무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기준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회보장제도의 일관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사회보장기본법의 내용이지만, 정확하지 않거나 부분적인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사회보장기본법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국내외에 거주하는 외국인에게 평등주의의 원칙에 따라 사회보장제도를 적용하여야 한다.
  2.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소득보장제도가 효과적으로 연계되도록 하여야 한다.
  3.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사회보장제도를 시행할 때에 가정과 지역공동체의 자발적인 복지활동을 촉진하여야 한다.
  4. 사회보장에 관한 다른 법률을 제정하거나 개정하는 경우에는 사회보장기본법에 부합되도록 하여야 한다.
  5. 모든 국민은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자립ㆍ자활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정답률: 68%)
  • "국내외에 거주하는 외국인에게 평등주의의 원칙에 따라 사회보장제도를 적용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사회보장기본법 제3조(사회보장의 원칙)에 따라 "국민 모두가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국가는 사회보장제도를 설치ㆍ운영하여야 한다."는 원칙에 따라 국내외에 거주하는 외국인도 사회보장제도를 적용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은 사회보장기본법상 어떤 용어에 관한 정의인가?

  1. 사회서비스
  2. 공공부조제도
  3. 사회보험제도
  4. 평생사회안전망
  5. 맞춤형 사회보장제도
(정답률: 59%)
  • 위 그림은 사회서비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회서비스는 사회보장기본법에서 규정하는 사회보장제도 중 하나로, 사회적으로 취약한 이들에게 일정한 혜택을 제공하는 제도이다. 이를 통해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기초적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장기요양사업이란 장기요양보험료,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부담금 등을 재원으로 하여 노인 등에게 장기요양급여를 제공하는 사업을 말한다.
  2. 장기요양보험사업의 피보험자는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른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 한다.
  3. 국가는 노인성질환예방사업을 수행하는 지방자치단체에 대하여 이에 소요되는 비용을 지원할 수 있다.
  4. 장기요양급여는 노인등이 가족과 함께 생활하면서 가정에서 장기요양을 받는 재가급여를 우선적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5. 보건복지부장관은 장기요양사업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3년마다 장기요양인정에 관한 사항등에 관한 조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그 결과를 공표하여야 한다.
(정답률: 44%)
  • 정답: "장기요양보험사업의 피보험자는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른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 한다."

    해설: 장기요양보험사업의 피보험자는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른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아니라, 65세 이상의 노인 및 만성질환자 등으로 지정된 자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산업재해보상보험법상 업무상 재해를 입은 근로자 등의 진료ㆍ요양 및 재활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은?

  1. 국민연금공단
  2. 국민건강보험공단
  3. 근로복지공단
  4. 한국장애인고용공단
  5. 한국산업인력공단
(정답률: 65%)
  •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라 업무상 재해를 입은 근로자 등의 진료ㆍ요양 및 재활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은 근로복지공단입니다. 근로복지공단은 국가에서 운영하는 공공기관으로, 근로자의 복지와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근로자의 업무상 재해에 대한 보상 및 진료ㆍ요양 및 재활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사회복지사업법상 사회복지의 날은?

  1. 4월 20일
  2. 6월 5일
  3. 7월 11일
  4. 9월 7일
  5. 10월 2일
(정답률: 67%)
  • 사회복지사업법 제2조에 따르면, 사회복지의 날은 "9월 7일"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는 1945년 9월 7일에 국내 최초의 사회복지기관인 서울시 사회복지원이 설립된 날로, 이를 계기로 사회복지사업의 발전과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지정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사회복지사업법상 사회복지법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회복지법인의 이사 중에 결원이 생겼을 때에는 3개월 이내에 보충하여야 한다.
  2. 사회복지법인의 이사는 해당 법인이 설치한 사회복지시설의 장을 제외한 그 시설의 직원을 겸할 수 없다.
  3. 시ㆍ도지사는 임시이사가 선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해당 사회복지법인이 정당한 사유 없이 이사회 소집을 기피할 경우 이사회 소집을 권고할 수 있다.
  4. 해산한 사회복지법인의 남은 재산은 정관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귀속된다.
  5. 사회복지법인은 설립하려는 자는 시ㆍ도지사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정답률: 50%)
  • "사회복지법인의 이사 중에 결원이 생겼을 때에는 3개월 이내에 보충하여야 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사 보충 기간은 6개월입니다.

    이유: 사회복지사업법 제29조(이사의 선임 등) 제2항에 따르면 "이사 중에 결원이 생긴 때에는 6개월 이내에 보충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사회복지사업법상 사회복지시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국가는 사회복지시설을 운영할 수 없다.
  2. 사회복지시설의 장은 상근(常勤)하여야 한다.
  3. 사회복지시설의 운영자는 지진에 의한 물적 피해의 책임을 이행하기 위하여 책임보험에 가입 하여야 한다.
  4. 보건복지부장관은 사회복지시설에 대하여 정기 및 수시 안전점검을 실시하여야 한다.
  5. 지방자치단체가 설치한 사회복지시설은 비영리법인에 위탁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정답률: 61%)
  • 사회복지시설의 장은 상근(常勤)하여야 한다. 이유는 사회복지시설은 사람들의 삶과 안녕을 보호하고 증진하기 위한 중요한 시설이기 때문에, 상시적인 관리와 감독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상근으로 장을 두어야만 적극적인 운영과 안전한 시설관리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의료급여법의 내용이다. ( )에 들어갈 숫자를 옳게 짝지은 것은?

  1. ㄱ : 2, ㄴ : 3
  2. ㄱ : 3, ㄴ : 3
  3. ㄱ : 3, ㄴ : 5
  4. ㄱ : 5, ㄴ : 3
  5. ㄱ : 5, ㄴ : 5
(정답률: 54%)
  • 의료급여법에서는 5급식이나 6급식에 해당하는 환자들에게는 병원비를 일부 또는 전액 지원해주는데, 이 때 5급식 환자에게는 3분의 2, 6급식 환자에게는 4분의 3의 병원비를 지원해준다. 따라서 5급식 환자에게는 3분의 2인 66.7%의 병원비를 지원해주므로, ㄱ에는 5가 들어가야 하고, 6급식 환자에게는 4분의 3인 133.3%의 병원비를 지원해주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ㄴ에는 3이 들어가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국외에 체류하는 외국인도 수급권자가 된다.
  2. 기준 중위소득은 지방자치단체별로 중앙생활보장위원회가 고시한다.
  3. 주거급여는 여성가족부소관으로 한다.
  4. 보장기관은 차상위자가 자활에 필요한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재정적인 지원을 할 수는 없다.
  5. 소관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수급자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기 위하여 3년마다 소관별로 기초생활보장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보건복지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정답률: 52%)
  •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은 국내 거주하는 국민 중 최저생활비 이하로 소득이 없거나 적은 가구에게 최저생활비 이상의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이다. 이 법은 국외에 체류하는 외국인도 수급권자가 될 수 있으며, 기준 중위소득은 지방자치단체별로 중앙생활보장위원회가 고시한다. 주거급여는 여성가족부소관으로 하며, 보장기관은 차상위자가 자활에 필요한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재정적인 지원을 할 수 없다. 또한, 소관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수급자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기 위하여 3년마다 소관별로 기초생활보장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보건복지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소관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수급자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기 위하여 3년마다 소관별로 기초생활보장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보건복지부장관에게 제출하여야 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기초연금법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건복지부장관은 선정기준액을 정하는 경우 65세 이상인 사람 중 기초연금 수급자가 100분의 70 수준이 되도록 한다.
  2. 기초연금으로 지급받은 금품은 압류할 수 없다.
  3. 기초연금의 지급이 정지된 기간에는 기초연금을 지급하지 아니한다.
  4. 기초연금 수급권자가 국외로 이주한 때에 기초연금 수급권을 상실한다.
  5. 기초연금 수급권자의 권리는 3년간 행사하지 아니하면 시효의 완성으로 소멸한다.
(정답률: 59%)
  • 기초연금 수급권자의 권리는 3년간 행사하지 아니하면 시효의 완성으로 소멸한다는 내용은 옳지 않습니다. 기초연금 수급권자는 언제든지 권리를 행사할 수 있으며, 시효의 완성으로 권리가 소멸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상 긴급전화센터의 업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가정폭력상담
  2. 관련 기관ㆍ시설과의 연계
  3. 가정폭력관련 법률자문 및 가해자조사
  4. 경찰관서 등으로부터 인도받은 피해자의 임시 보호
  5. 피해자에 대한 긴급한 구조의 지원
(정답률: 58%)
  •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상 긴급전화센터의 업무는 가정폭력상담, 관련 기관ㆍ시설과의 연계, 가정폭력관련 법률자문 및 가해자조사, 경찰관서 등으로부터 인도받은 피해자의 임시 보호, 피해자에 대한 긴급한 구조의 지원 등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가정폭력관련 법률자문 및 가해자조사는 긴급전화센터의 업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법률자문 및 가해자조사는 보다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문적인 기관이나 담당자에게 맡겨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사회복지사업법상 사회복지법인의 임원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숫자를 옳게 짝지은 것은?

  1. ㄱ : 5, ㄴ : 3, ㄷ : 2
  2. ㄱ : 5, ㄴ : 3, ㄷ : 5
  3. ㄱ : 7, ㄴ : 2, ㄷ : 2
  4. ㄱ : 7, ㄴ : 2, ㄷ : 3
  5. ㄱ : 7, ㄴ : 2, ㄷ : 5
(정답률: 45%)
  • 사회복지사업법상 사회복지법인의 이사회는 최소 5명 이상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그 중에서 대표이사 1명을 포함하여 이사장 1명을 둘 수 있다. 따라서 이사회가 7명으로 구성되면 대표이사 1명과 이사장 1명을 둘 수 있으므로 "ㄱ : 7, ㄴ : 2, ㄷ : 2"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자원봉사활동 기본법상 자원봉사활동의 원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무보수성
  2. 비집단성
  3. 비영리성
  4. 비정파성(非政派性)
  5. 비종파성(非宗派性)
(정답률: 65%)
  • 자원봉사활동의 원칙 중에는 무보수성, 비영리성, 비정파성, 비종파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비집단성은 원칙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자원봉사활동은 개인 또는 단체가 참여하여 집단적으로 활동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집단성은 자원봉사활동의 원칙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국민건강보험법상 국민건강보험종합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ㄴ, ㄹ
  3. ㄱ, ㄷ, ㄹ
  4. ㄴ, ㄷ, ㄹ
  5. ㄱ, ㄴ, ㄷ, ㄹ
(정답률: 61%)
  • ㄱ. 건강보험료의 부과, 징수, 납부 및 환급
    ㄴ. 건강보험급여의 지급
    ㄷ. 건강보험급여의 비용부담 및 보험급여기준
    ㄹ. 건강보험의 재정운용 및 관리

    이유: 국민건강보험법에서 국민건강보험종합계획은 건강보험의 제도적 기반을 구성하고 건강보험의 운영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건강보험의 기본적인 부분인 건강보험료의 부과, 징수, 납부 및 환급, 건강보험급여의 지급, 건강보험급여의 비용부담 및 보험급여기준, 건강보험의 재정운용 및 관리 등이 국민건강보험종합계획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문화가족지원법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여성가족부장관은 다문화가족 지원을 위하여 3년마다 다문화가족정책에 관한 기본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2. 다문화가족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통합에 관한 중요 사항을 심의ㆍ조정하기 위하여 여성가족부장관 소속으로 다문화가족정책위원회를 둔다.
  3. 지방자치단체는 다문화가족의 현황 및 실태를 파악하고 다문화가족 지원을 위한 정책수립에 활용하기 위하여 5년마다 다문화가족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공표하여야 한다.
  4. 시ㆍ도에는 다문화가족 지원을 담당할 기구와 공무원을 두어야 한다.
  5. 기업은 다문화가족에 대한 사회적 차별 및 편견을 예방하고 사회구성원이 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고 존중할 수 있도록 홍보와 교육 및 재정상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정답률: 36%)
  • 다문화가족지원법은 여성가족부장관이 다문화가족 지원을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다문화가족정책위원회를 두어 다문화가족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통합에 관한 중요 사항을 심의ㆍ조정하도록 규정하며, 지방자치단체는 다문화가족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공표하여야 한다. 또한 시ㆍ도에는 다문화가족 지원을 담당할 기구와 공무원을 두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따라서 정답은 "시ㆍ도에는 다문화가족 지원을 담당할 기구와 공무원을 두어야 한다."이며, 이는 지방자치단체에서 다문화가족 지원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조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국민연금법에 따른 급여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노령연금
  2. 장애연금
  3. 유족연금
  4. 반환일시금
  5. 장의비(葬儀費)
(정답률: 61%)
  • 국민연금법에 따른 급여에 해당하는 것은 노령연금, 장애연금, 유족연금, 반환일시금입니다. 이들은 국민연금 가입자가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면 받을 수 있는 급여로, 국민연금 보험료를 납부하면서 적립된 자금으로 지급됩니다. 반면에 장의비는 국민연금법에 따른 급여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장의비는 국민연금 가입자가 사망하였을 때, 유족이 장례비용 등을 지출하기 위해 국민연금에서 일시적으로 지급하는 금액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아동복지법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학교의 장은 친권자가 없는 아동을 발견한 경우 그 복지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에게 친권자의 선임을 청구하여야 한다.
  2. 아동위원은 명예직으로 하되, 아동위원에 대하여는 수당을 지급할 수 있다.
  3. 누구든지 아동의 정신건강 및 발달에 해를 끼치는 정서적 학대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4. 매년 5월 5일을 어린이날로 하며, 5월 1일부터 5월 7일까지를 어린이주간으로 한다.
  5. 법원의 심리과정에서 변호사가 아닌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상담원은 학대아동사건의 심리에 있어서 법원의 허가를 받아 보조인이 될 수 있다.
(정답률: 50%)
  • "학교의 장은 친권자가 없는 아동을 발견한 경우 그 복지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시장ㆍ군수ㆍ구청장에게 친권자의 선임을 청구하여야 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학교의 장은 친권자가 없는 아동을 발견한 경우에는 아동복지법 제10조에 따라 아동보호전문기관에 신고하여야 하며, 아동보호전문기관은 아동의 복지를 위해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시장ㆍ군수ㆍ구청장에게 친권자의 선임을 청구하는 것은 아동복지법에서 규정되어 있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은 고용보험법상 이직한 피보험자의 구직급여 수급 요건 중 하나이다. ( )에 들어갈 숫자를 옳게 짝지은 것은?

  1. ㄱ : 6, ㄴ : 90
  2. ㄱ : 6, ㄴ : 120
  3. ㄱ : 10, ㄴ : 180
  4. ㄱ : 18, ㄴ : 120
  5. ㄱ : 18, ㄴ : 180
(정답률: 60%)
  • 구직급여 수급 요건 중 "직전 3개월간 평균 임금이 ( )만원 이상인 경우" 이므로, 3개월간 평균 임금이 18만원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ㄱ : 18, ㄴ : 18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장애인복지법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해당 기관의 장애인정책을 효율적으로 수립ㆍ시행하기 위하여 소속공무원 중에서 장애인정책책임관을 지정할 수 있다.
  2.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에 따른 결혼이민자는 장애인복지법에 따른 장애인 등록을 할 수 없다.
  3.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장애 정도가 심하여 자립하기가 매우 곤란한 장애인이 필요한 보호 등을 평생 받을 수 있도록 알맞은 정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4. 장애인은 장애인 관련 정책결정과정에 우선적으로 참여할 권리가 있다.
  5. 국가는 초ㆍ중등교육법에 따른 학교에서 사용하는 교과용도서에 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을 위한 내용이 포함되도록 하여야 한다.
(정답률: 67%)
  •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에 따른 결혼이민자는 장애인복지법에 따른 장애인 등록을 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장애인복지법 제2조(정의)에 따르면 "장애인"이란 "신체적, 정신적, 지적 또는 미숙으로 인하여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자"를 말하며, 국적에 대한 구분은 없다. 따라서 재한외국인 결혼이민자도 장애인으로 등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노인복지법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국가는 노인보건복지관련 연구시설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국유재산법 규정에 불구하고 국유재산을 무상으로 대부할 수 있다.
  2. 지방자치단체는 노인보건복지관련 사업의 육성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지방재정법의 규정에 불구하고 공유재산을 무상으로 사용하게 할 수 있다.
  3. 재가노인복지시설, 노인공동생활가정 및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은 공동주택에만 설치할 수 있다.
  4. 노인복지법에 의한 노인복지주택의 건축물의 용도는 건축관계법령에 불구하고 노유자시설로 본다.
  5. 노인복지시설에서 노인을 위하여 사용하는 건물ㆍ토지 등에 대하여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조세 기타 공과금을 감면할 수 있다.
(정답률: 61%)
  • "재가노인복지시설, 노인공동생활가정 및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은 공동주택에만 설치할 수 있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노인복지법 제2조(정의)에 따르면, 재가노인복지시설, 노인공동생활가정 및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은 "주거시설, 공동주택, 일반주택 등"에 설치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