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5-13)

폐기물처리산업기사
(2007-05-1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폐기물개론

1. 물질회수를 위한 선별방법 중 손선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컨베어 벨트를 이용하여 손으로 종이류, 플라스틱류, 금속류, 유리류 등을 분류한다.
  2. 기계적인 선별보다 작업량은 증가할 수 있으나 정확도는 떨어진다.
  3. 파쇄공정 유입 전 폭발가능성 있는 물질을 분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4. 작업효율은 0.5 TON/인ㆍ시간 정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계적인 선별보다 작업량은 증가할 수 있으나 정확도는 떨어진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손선별은 기계적인 선별보다 정확도가 높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손으로 물체를 직접 분류하기 때문에 세밀하고 정확한 분류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작업량은 감소할 수 있지만 정확도는 올라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쓰레기 선별방법 중 Trommel 스크린 선별효율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스크린에 폐기물을 주입하기 이전에 분쇄기를 두는 것이 효과적이다.
  2. 회전속도는 어느 정도 증가할 수 록 선별효율이 증가하나 그 이상이 되면 막힘 현상이 일어난다.
  3. 경사도가 크면 효율은 증진되나 부하율이 떨어진다.
  4. 경험적으로 [임계회전속도 x 0.45 = 최적회전속도]로 나타낼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스크린에 폐기물을 주입하기 이전에 분쇄기를 두는 것이 효과적이다."는 Trommel 스크린 선별효율에 영향을 주는 인자와 관련이 없는 설명입니다.

    경사도가 크면 효율은 증진되나 부하율이 떨어진다는 이유는, 경사도가 크면 폐기물이 빠르게 움직여서 선별효율이 증가하지만, 부하율이 떨어지는 이유는 폐기물이 빠르게 움직이기 때문에 스크린에 부담이 많아져서 부하율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폐기물을 수거하여 분석한 결과 함수율이 30%이고 총 휘발성 고형물은 80%, 유기탄소량은 총 휘발성 고형물의 90% 이었다. 또한 총 질소량은 총 고형물의 2%라 할 때 이 폐기물의 C/N(유기탄소량/총질소량)은? (단, 비중은 1.0 기준)

  1. 28
  2. 36
  3. 42
  4. 51
(정답률: 알수없음)
  • C/N 비율은 유기탄소량을 총 질소량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유기탄소량과 총 질소량을 구해야 한다.

    총 휘발성 고형물은 80%이므로, 총 고형물은 100%이다. 따라서, 비휘발성 고형물은 20%이다.

    총 질소량은 총 고형물의 2%이므로, 비휘발성 고형물의 질소량은 0%이고, 휘발성 고형물의 질소량은 총 질소량의 100%이다.

    유기탄소량은 총 휘발성 고형물의 90%이므로, 총 유기탄소량은 80% × 90% = 72%이다.

    따라서, C/N 비율은 72% ÷ 100% × 100 ÷ 2% = 36이다.

    정답은 "3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새로운 쓰레기 수집방법 중 pipe-line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쓰레기 발생빈도가 낮아야 현실성이 있다.
  2. 대형폐기물에 대한 전처리가 필요하다.
  3. 잘못 투입된 물건은 회수하기가 곤란하다.
  4. 장거리 이용이 곤란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쓰레기 발생빈도가 낮아야 현실성이 있다."는 오히려 쓰레기 발생빈도가 높을수록 pipe-line 방식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보기가 알맞지 않다.

    pipe-line 방식은 지하에 파이프를 설치하여 쓰레기를 집적하고, 집적된 쓰레기를 집중처리장소로 운반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대형폐기물에 대한 전처리가 필요하고, 잘못 투입된 물건은 회수하기가 곤란하며, 장거리 이용이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쓰레기 파쇄기에 대한 설명 중 적절하지 못한 사항은?

  1. 전단파쇄기는 주로 목재류, 플라스틱류, 및 종이류를 파쇄 하는데 이용된다.
  2. 전단파쇄기는 대체로 충격파쇄기에 비해 파쇄속도가 느리고 이물질의 혼입에 대하여 약하다.
  3. 충격파쇄기는 기계의 압착력을 이용하는 것으로 주로 왕복식을 적용한다.
  4. 압축파쇄기는 파쇄기의 마모가 적고 비용이 적게 소요되는 장점이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충격파쇄기는 기계의 압착력을 이용하는 것으로 주로 왕복식을 적용한다."가 적절하지 못한 사항이다. 충격파쇄기는 기계의 충격력을 이용하여 파쇄하는 것으로, 왕복식 뿐만 아니라 회전식도 적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어느 주거지역에서 1일 1인당 1.2kg의 폐기물이 발생되고 1가구당 3인이 살며 이 지역의 총가구수는 3,000 일 때 5일간의 총 폐기물 발생량은?

  1. 58,000 kg
  2. 54,000 kg
  3. 31,600 kg
  4. 30,800 kg
(정답률: 알수없음)
  • 1일에 1가구당 폐기물 발생량은 1.2kg x 3명 = 3.6kg 이다. 따라서 1일에 이 지역에서 발생하는 총 폐기물 양은 3,000가구 x 3.6kg/가구 = 10,800kg 이다. 5일간의 총 폐기물 발생량은 10,800kg x 5일 = 54,000kg 이므로 정답은 "54,000 kg"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폐기물의 관리에 있어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은?

  1. 재회수
  2. 재활용
  3. 감량화
  4. 소각
(정답률: 알수없음)
  •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은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를 감량화라고 하며, 폐기물을 줄이는 것이 환경 보호와 자원 절약에 큰 기여를 한다. 따라서 감량화가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쓰레기의 새로운 운송기술 중 관거를 이용한 공기수송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

  1. 진공수송의 경제적인 수송거리는 약 2km 정도이다
  2. 진공수송에 있어서 진공도는 최대 0.5 kg/cm2Vac 정도이다.
  3. 가압수송으로 연속수송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크기가 불균일해서 부착되기 쉽고 우동성ㅇ 나쁜 쓰레기를 정압으로 연속정량 공급하는 것이 곤란하다.
  4. 가압수송은 진공수송에 비하여 경제적이나 수송거리가 약 1km 내외로 짧은 것이 단점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진공수송의 경제적인 수송거리는 약 2km 정도이다"가 알맞지 않은 설명이다.

    가압수송은 쓰레기를 압축하여 관거를 통해 공기로 수송하는 기술이다. 이 방법은 진공수송에 비해 경제적이지만, 수송거리가 짧은 것이 단점이다. 진공수송은 고속으로 쓰레기를 이동시킬 수 있어 경제적인 수송거리가 약 2km 정도이다. 진공도는 최대 0.5 kg/cm2Vac 정도이다. 가압수송으로 연속수송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크기가 불균일해서 부착되기 쉽고 우동성이 나쁜 쓰레기를 정압으로 연속정량 공급하는 것이 곤란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거주지가 정해진 수거일에 맞추어 쓰레기 저장용기를 노변에 갖다 놓으면 수거차량이 용기를 비우고 빈 용기는 주인이 찾아 가는 쓰레기 수거형태는?

  1. set out set back service
  2. curb service
  3. set out service
  4. alley service
(정답률: 알수없음)
  • 정해진 수거일에 쓰레기 저장용기를 노변에 놓고 수거차량이 비우고 빈 용기는 주인이 찾아가는 형태는 "curb service"이다. 이는 노변에 놓인 용기를 수거하는 것으로, "set out set back service"는 용기를 집안에서 노변으로 가져다 놓고 수거차량이 빈 용기를 집안으로 가져다 놓는 형태이며, "set out service"는 용기를 노변에 놓고 수거차량이 빈 용기를 노변에 놓아두는 형태이다. "alley service"는 좁은 골목길에서 수거하는 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인구 1,000,000명이고, 1인 1일 쓰레기 배출량은 1.4 kg/인ㆍ일이라 한다. 쓰레기의 밀도가 750 kg/m3라고 하면 적재량 12m3인 트럭(1대 기준)으로 1일 동안 배출된 쓰레기 전량을 운반하기 위한 횟수는?

  1. 156회
  2. 166회
  3. 176회
  4. 186회
(정답률: 알수없음)
  • 1인당 1일 쓰레기 배출량은 1.4 kg/인ㆍ일이므로, 1,000,000명의 인구가 있다면 1일 동안 총 쓰레기 배출량은 1,400,000 kg이 된다.

    쓰레기의 밀도가 750 kg/m3이므로, 1,400,000 kg의 쓰레기를 운반하기 위해서는 1,400,000 ÷ 750 = 1866.67 m3의 공간이 필요하다.

    하지만 운반 트럭의 적재량은 12m3이므로, 1866.67 ÷ 12 = 155.56회가 필요하다.

    따라서, 1일 동안 배출된 쓰레기 전량을 운반하기 위한 횟수는 "156회"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어떤 쓰레기 입도를 분석한 결과, 입도누적곡선상의 10%, 40%, 60%, 90%의 입경이 각각 2㎜, 5㎜, 10㎜, 20㎜이었다고 한다면 유효입경은?

  1. 2 ㎜
  2. 5 ㎜
  3. 7 ㎜
  4. 10 ㎜
(정답률: 알수없음)
  • 유효입경은 입도누적곡선상에서 10%부터 60%까지의 입경 범위를 의미한다. 따라서 2㎜와 10㎜ 사이의 입경 범위인 "2 ㎜"이 유효입경이 된다. 40%와 60% 사이의 입경 범위인 7㎜은 유효입경이 아니며, 5㎜은 10%부터 40%까지의 입경 범위이므로 유효입경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채취한 쓰레기 시료의 성상분석을 위한 절차 중 가장 먼저 이루어지는 것은?

  1. 건조
  2. 밀도측정
  3. 분류
  4. 전처리
(정답률: 알수없음)
  • 밀도측정은 쓰레기 시료의 밀도를 측정하여 쓰레기의 성상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쓰레기의 밀도는 쓰레기의 종류와 구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밀도측정을 통해 쓰레기의 성상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쓰레기 시료의 성상분석을 위한 절차 중 가장 먼저 이루어지는 것은 밀도측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적환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최종 처리장과 수거 지역의 거리가 먼 경우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폐기물의 수거와 운반을 분리하는 기능을 한다.
  3. 적환장에서 재사용 가능한 물질의 선별이 가능하다.
  4. 적환장의 위치는 최종 처분지와 가깝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폐기물의 수거와 운반을 분리하는 기능을 한다."는 적환장에 대한 설명 중에서 가장 거리와 관련이 없는 것이다.

    "적환장의 위치는 최종 처분지와 가깝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라는 이유는 적환장에서 처리된 폐기물을 최종 처분지로 운반하는데 걸리는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최종 처분지와 가까운 위치에 적환장이 있다면 운반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환경오염과 교통체증 등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슬러지를 농축시키는 이유와 가장 거리가 먼 사항은?

  1. 유해물질 농도 감소
  2. 화학약품 투여량 감소
  3. 처리비용 감소
  4. 저장 탱크 용적 감소
(정답률: 알수없음)
  • 슬러지를 농축시키는 이유는 처리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서입니다. 슬러지를 농축시키면 용적이 줄어들어 저장 탱크 용적도 감소하게 됩니다. 또한, 화학약품 투여량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유해물질 농도도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우리나라 폐기물의 종합적인 관리 대책으로 틀린 것은?

  1. 폐기물의 재생 및 재활용
  2. 분리 수거 체계의 확립
  3. 매립비용 증대
  4. 폐기물 발생의 감량화
(정답률: 알수없음)
  • 매립비용 증대는 우리나라 폐기물의 종합적인 관리 대책으로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매립은 환경오염과 자원낭비를 초래하며, 지속적인 매립지 확보와 운영에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폐기물의 재생 및 재활용, 분리 수거 체계의 확립, 폐기물 발생의 감량화 등의 대안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분뇨의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분뇨는 외관상 황색~다갈색이며 비중은 1.02 정도이다.
  2. 분뇨는 하수슬러지에 비해 질소의 농도가 높다.
  3. 다량의 유기물을 포함하며 고액분리가 곤란하다.
  4. 분뇨 중 질소화합물의 함유형태를 보면 분은 VS의 80~90% 정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다량의 유기물을 포함하며 고액분리가 곤란하다."이다.

    분뇨는 하수처리 과정에서 생기는 오물로, 외관상 황색~다갈색이며 비중은 1.02 정도이다. 하수슬러지에 비해 질소의 농도가 높은 특징이 있으며, 분뇨 중 질소화합물의 함유형태를 보면 분은 VS의 80~90% 정도이다. 다량의 유기물을 포함하고 있어 고액분리가 어렵다는 것은 오히려 분뇨의 특징이 아니라 하수슬러지의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청소상태를 평가하는 평가법 중 서비스를 받는 시민들의 만족도를 설문조사하여 나타내어지는 사용자 만족도 지수는?

  1. CEI
  2. USI
  3. PPI
  4. CPI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USI"이다. 사용자 만족도 지수는 "User Satisfaction Index"의 약자로, 서비스를 받는 시민들의 만족도를 설문조사하여 나타내어지는 평가법이다. 따라서, "USI"가 청소상태를 평가하는 평가법 중 서비스를 받는 시민들의 만족도를 설문조사하여 나타내어지는 사용자 만족도 지수인 이유는 이와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부피 감소율이 80%인 쓰레기의 압축비는?

  1. 2
  2. 3
  3. 4
  4. 5
(정답률: 알수없음)
  • 압축 전의 쓰레기 부피를 1이라고 가정하면, 압축 후의 쓰레기 부피는 0.2가 됩니다. 따라서 압축비는 0.2/1 = 0.2이며, 이를 소수로 표현하면 0.2 = 2/10 = 1/5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은 겉보기 비중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 )안에 들어갈 숫자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30 cm, 3회
  2. 30 cm, 5회
  3. 60 cm, 3회
  4. 60 cm, 5회
(정답률: 알수없음)
  • 겉보기 비중을 측정하는 방법은 물체의 무게를 측정한 후 물에 담그고 나서 물 위에 떠 있는 물체의 무게를 측정하여 그 차이를 구하는 것이다. 이 차이가 물의 밀도와 물체의 부피에 비례하기 때문에 물의 밀도를 알고 있다면 물체의 부피를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물의 밀도가 1 g/cm³일 때, 물체의 겉보기 비중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물체를 물에 담그고 나서 물 위에 떠 있는 물체의 무게를 3회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구해야 한다. 이 때, 물 위에 떠 있는 물체의 부피는 30 cm³이므로 정답은 "30 cm, 3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수분이 60%, 수소가 8%인 폐기물의 고위발열량이 4,000 kcal/kg 이라면 저위발열량(kcal/kg)은?

  1. 3,018
  2. 3,208
  3. 3,408
  4. 3,568
(정답률: 알수없음)
  • 저위발열량은 고위발열량에서 수분의 수분증발열을 빼면 구할 수 있습니다. 수분이 60%이므로 1 kg당 수분은 0.6 kg, 수소는 0.08 kg입니다. 따라서 1 kg당 탄소는 0.32 kg입니다. 수분의 수분증발열은 540 kcal/kg이므로, 1 kg당 수분의 수분증발열은 0.6 kg × 540 kcal/kg = 324 kcal/kg입니다. 따라서 1 kg의 폐기물의 고위발열량은 4,000 kcal/kg이므로, 1 kg당 탄소와 수소의 고위발열량은 4,000 kcal/kg - 0.6 kg × 540 kcal/kg = 3,208 kcal/kg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20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폐기물처리기술

21. 합성차수막인 PVC의 장단점을 설명한 내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강도가 높다.
  2. 접합이 어렵다.
  3. 자외선, 오존, 기후에 약하다.
  4. 대부분의 유기화학물질에 약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PVC의 장점으로는 강도가 높고, 내구성이 좋으며, 가격이 저렴하다는 것이 있다. 하지만 PVC는 자외선, 오존, 기후에 약하며, 대부분의 유기화학물질에도 약하다. 또한 PVC는 접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PVC가 열에 의해 녹아서 접합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PVC를 접합하기 위해서는 특수한 접착제나 용접기 등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용매추출에 이용 가능성이 높은 폐기물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높은 분배계수를 가지는 것
  2. 높은 끊는점을 가질 것
  3.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을 것
  4. 일도가 물과 다를 것
(정답률: 알수없음)
  • "높은 끊는점을 가질 것"이 틀린 것입니다. 용매추출은 일반적으로 높은 끓는점을 가진 용매를 사용하기 때문에, 용매추출에 이용 가능성이 높은 폐기물은 오히려 낮은 끓는점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낮은 끓는점을 가질 것"이라는 보기가 올바른 것입니다.

    간단한 설명: 용매추출은 높은 끓는점을 가진 용매를 사용하면 용매를 제거하기 위해 높은 온도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입니다. 따라서 낮은 끓는점을 가진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어느 분뇨처리장에서 BOD가 20,000mg/ℓ, SS가 30,000mg/ℓ인 분뇨를 2kℓ/일 소화처리 하고자 한다. 이때 협잡물 제거장치에 의해 SS는 30%, BOD는 20% 제거된다고 하면 소화조로 유입되는 BOD 부하량은? (단, 분뇨 비중 1.0, 협잡물 제거 후 소하조로 유입)

  1. 16 kg/일
  2. 32 kg/일
  3. 48 kg/일
  4. 54 kg/일
(정답률: 알수없음)
  • 분뇨처리장에서 유입되는 분뇨의 BOD 부하량은 다음과 같다.

    BOD 부하량 = 분뇨 유량 x BOD 농도
    = 2,000 ℓ/일 x 20,000 mg/ℓ
    = 40,000,000 mg/일

    협잡물 제거장치에 의해 SS는 30%, BOD는 20% 제거된다고 하였으므로, 유입되는 BOD 부하량은 다음과 같다.

    유입되는 BOD 부하량 = 분뇨 유량 x (1 - BOD 제거율) x BOD 농도
    = 2,000 ℓ/일 x (1 - 0.2) x 20,000 mg/ℓ
    = 32,000 mg/일

    따라서, 소화조로 유입되는 BOD 부하량은 32 kg/일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매시간 10 ton의 폐유를 소각하는 소각로에서 황산화물을 탕황하여 부산물인 90% 황산으로 전량 회수한다면 그 부산물량(kg/hr)은? (단, 폐유 중 황성분 2%, 탈황율 90%라 가정한다.)

  1. 약 492
  2. 약 522
  3. 약 574
  4. 약 613
(정답률: 알수없음)
  • 매시간 소각되는 폐유의 양은 10 ton이므로, 황성분의 양은 10 ton x 2% = 0.2 ton = 200 kg이다. 이 중 90%가 탈황되므로, 실제로 황산화물로 전환되는 양은 200 kg x 90% = 180 kg이다. 이제 이 황산화물을 부산물인 90% 황산으로 전량 회수한다고 했으므로, 실제로 얻어지는 부산물의 양은 180 kg x 90% = 162 kg이다. 따라서 정답은 "약 162"가 된다. 주어진 보기에서 "약 613"은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분뇨를 혐기성 소화처리 할 때 발생하는 CH4 gas의 부피는 분뇨투입량의 약 8배라고 한다. 1일에 분뇨 600kℓ씩을 처리하는 소화시설에서 발생하는 CH4가스를 에너지원으로 하여 24시간 균등 연소시킬 때 얻을 수 있는 시간당 열량은? (단, CH4의 발열량은 6000 kcal/m3)

  1. 1.0 x 105kcal/hr
  2. 1.2 x 108kcal/hr
  3. 1.6 x 107kcal/hr
  4. 1.8 x 108kcal/hr
(정답률: 알수없음)
  • 분뇨 600kℓ에 대해 CH4가스 부피는 8배이므로, CH4가스 부피는 600 x 8 = 4800m3/day 이다.

    CH4의 발열량은 6000 kcal/m3 이므로, 4800m3/day의 CH4가스는 4800 x 6000 = 28,800,000 kcal/day 이다.

    24시간 동안 균등 연소시키므로, 시간당 열량은 28,800,000 kcal/day ÷ 24hr = 1,200,000 kcal/hr 이다.

    따라서, 정답은 "1.2 x 108kcal/hr"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분뇨처리장 1차침전지에서 1일 슬러지 제거량이 80m3/day 이고, SS 농도가 30,000mg/L 이었다. 이 슬러지를 탈수했을때 탈수된 슬러지의 함수율은 80% 이었다면 탈수된 슬러지 량은? (단, 슬러지 비중 1.0)

  1. 10 ton/day
  2. 12 ton/day
  3. 14 ton/day
  4. 16 ton/day
(정답률: 알수없음)
  • 1일 슬러지 제거량 = 80m3/day
    SS 농도 = 30,000mg/L
    함수율 = 80%

    먼저 1일 생산되는 SS의 양을 구해보자.
    1일 생산되는 SS의 양 = 80m3/day × 30,000mg/L × 1kg/1,000,000mg × 1,000L/m3 = 2,400kg/day

    그리고 이 슬러지의 함수율이 80%이므로, 탈수된 슬러지의 양은 2,400kg/day × 80% = 1,920kg/day 이다.

    마지막으로, 슬러지의 비중이 1.0이므로 1,920kg를 톤으로 환산하면 1.92t 이다. 따라서 정답은 "12 ton/day"가 아니라 "1.92t/day"이다. 주어진 보기에서는 단위를 톤으로 표기한 것이기 때문에 혼동이 생긴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소각시 다이옥신(Dioxin)의 발생 억제 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

  1. 로내 온도를 300 ~ 350℃ 범위로 일정하게 운전하여 다이옥신성분 발생을 최소화 한다.
  2. 배기가스 conditioning시 칼슘 및 활설탄분말 투입시설을 설치하여 다이옥신과 반응 후 집진함으로서 줄일 수 있다.
  3. 유기 염소계 화합물(PVC 제품류) 반입을 제한한다.
  4. 페인트가 칠해져 있거나 페인트로 처리된 목재, 가구류 반입을 억제, 제한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로내 온도를 300 ~ 350℃ 범위로 일정하게 운전하여 다이옥신성분 발생을 최소화 한다."는 올바른 설명이다. 이는 소각로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다이옥신 생성 반응을 최소화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매입 후 2년이 경과하여 혐기성 단계로 발생되는 가스의 구성비가 거의 일정한 정상상태가 되었다. 이 때의 가스 구성비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메탄 : 이산화탄소 = 55 % : 45 %
  2. 메탄 : 이산화탄소 = 65 % : 35 %
  3. 메탄 : 이산화탄소 = 75 % : 25 %
  4. 메탄 : 이산화탄소 = 85 % : 15 %
(정답률: 알수없음)
  • 혐기성 단계에서는 유기물 분해가 일어나며, 이 과정에서 메탄과 이산화탄소가 생성됩니다. 이 두 가스의 생성 비율은 원래 유기물의 종류와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일정한 정상상태에 이르면 비율이 거의 일정해진다고 합니다. 따라서 매입 후 2년이 경과하여 혐기성 단계로 발생되는 가스의 구성비가 거의 일정한 정상상태가 된다는 것은, 메탄과 이산화탄소의 비율이 일정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가장 적절한 가스 구성비는 "메탄 : 이산화탄소 = 55 % : 4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전처리에서의 SS 제거율은 50%, 1차 처리에서 SS 제거율이 80%일 때 방류수 수질기준 이내로 처리하기 위한 2차처리 최소효율은? (단, 분뇨 SS : 10,000mg/L, SS 방류수 수질기준 : 70 mg/L)

  1. 93 %
  2. 91 %
  3. 89 %
  4. 87 %
(정답률: 알수없음)
  • 처음에 분뇨의 SS 농도는 10,000mg/L이었고, 1차 처리에서 80%의 SS 제거율을 보였으므로 1차 처리 후의 SS 농도는 2,000mg/L이 됩니다. 이후 2차 처리에서는 이 2,000mg/L의 SS를 어느 정도 제거해야 방류수 수질기준인 70mg/L 이내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2차 처리에서 제거해야 할 SS 양은 2,000mg/L - 70mg/L = 1,930mg/L 입니다. 이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제거율은 1,930mg/L / 2,000mg/L x 100% = 96.5% 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2차 처리의 최소효율을 묻고 있으므로, 이 값을 더 낮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인 "93 %"는 2차 처리에서 최소한 93%의 SS 제거율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연직차수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표면차수막과 비교 기준)

  1. 차수막 보강시공이 가능하다.
  2. 지중에 수평방향의 차수층이 존재할 때 사용된다.
  3. 지하수 집배수 시설이 불필요하다.
  4. 단위면적당 공사비는 싸지만 총공사비는 비싸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단위면적당 공사비는 싸지만 총공사비는 비싸다."는 연직차수막의 특징 중 하나로, 연직차수막은 표면차수막에 비해 보강이 필요한 경우가 많고, 지중에 수평방향의 차수층이 존재할 때 사용되기 때문에 총공사비가 높아지게 됩니다. 지하수 집배수 시설이 불필요하다는 것은 연직차수막이 지하수를 집배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지중에 수평방향의 차수층이 존재할 때 사용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침출수를 처리하는 방법 중 펜톤산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철과 과산화수소가 이용된다.
  2. 침출수 pH를 9 ~ 10 으로 조정한다.
  3. 난분해성 물질을 생분해성 물질로 변화시킨다.
  4. 슬러지 생산량이 많아 질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침출수 pH를 9 ~ 10 으로 조정하는 것은 펜톤산화 과정에서 사용되는 pH 범위이기 때문에 틀린 설명이 아니다. 이 pH 범위에서는 철과 과산화수소가 산화되어 펜톤산이 생성되며, 이 과정에서 난분해성 물질이 생분해성 물질로 변화된다. 다만, 이 과정에서 슬러지 생산량이 많아질 수 있다는 것은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소각로 중 다단로 방식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열적충격이 방지되어 내화물 등의 손상이 적다.
  2. 수분함량이 높은 폐기물의 연소가 가능하다.
  3. 휘발성이 적은 폐기물 연소에 유리하다.
  4. 많은 연소영역이 있으므로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다단로 방식은 소각로 내부에 여러 층의 연소영역을 만들어 효율적인 연소를 도모하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열적충격이 방지되어 내화물 등의 손상이 적다는 것이 장점이다. 다른 보기들은 수분함량이 높은 폐기물의 연소가 가능하다, 휘발성이 적은 폐기물 연소에 유리하다, 많은 연소영역이 있으므로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다단로 방식의 장점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어느 도시의 분뇨농도는 TS가 6%이고, TS의 65%가 VS이다. 이 분뇨를 협기성소화처리를 한다면 분뇨 5m3당 발생하는 CH4가스의 양은? (단, 비중은 1.0으로 가정, 분뇨의 VS 1kg당 0.4m3의 CH4가스발생)

  1. 68m3
  2. 78m3
  3. 108m3
  4. 128m3
(정답률: 알수없음)
  • 분뇨 1m3당 TS는 6%이므로, VS는 6% x 65% = 3.9%이다. 따라서 1m3의 분뇨에서 발생하는 CH4가스는 1kg x 0.4m3/kg = 0.4m3이다. 분뇨 5m3에서 발생하는 CH4가스의 양은 5m3 x 3.9% x 0.4m3/kg = 7.8m3이므로, 정답은 "78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함수율이 50%인 쓰레기를 건조시켜 함수율 20%인 쓰레기로 만들려면 쓰레기 1ton당 수분 증발량은?

  1. 225 kg
  2. 375 kg
  3. 415 kg
  4. 455 kg
(정답률: 알수없음)
  • 함수율이 50%인 쓰레기는 수분이 50%이므로, 1 ton(1000 kg)의 쓰레기 중에 수분은 500 kg입니다. 이를 건조시켜 함수율이 20%인 쓰레기로 만들려면, 수분이 80%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1 ton의 쓰레기 중에 수분은 200 kg가 되어야 합니다. 이를 계산하면, 500 kg - 200 kg = 300 kg의 수분이 증발해야 합니다. 따라서, 1 ton의 쓰레기당 수분 증발량은 300 kg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375 kg"인 이유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시멘트 고형화법 중 시멘트 기초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다양한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다.
  2. 폐기물의 건조 또는 탈수가 필요하다.
  3. 낮은 pH에서 폐기물 성분의 용출 가능성이 있다.
  4. 사용되는 시멘트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폐기물 콘크리트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폐기물의 건조 또는 탈수가 필요하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시멘트 기초법은 폐기물을 시멘트와 혼합하여 콘크리트를 만드는 방법 중 하나이며, 폐기물은 보통 높은 수분 함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건조 또는 탈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일반적으로 열용량(kcal/kg)이 가장 높고 회분량(%)이 10~20%, 수분함량이 4% 이하인 RDF의 종류는?

  1. Bulk RDF
  2. Poeder RDF
  3. Pellet RDF
  4. Fluff RDF
(정답률: 알수없음)
  • Poeder RDF는 가장 미세한 입자 크기로 구성되어 있어서 표면적이 크고 공기 저항이 적어 연소 효율이 높아 열용량이 높습니다. 또한 회분량이 낮아서 연소 시 발생하는 잔재물의 양이 적고, 수분함량이 적어 저장이 용이합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열용량이 가장 높고 회분량이 10~20%, 수분함량이 4% 이하인 RDF의 종류는 Poeder RDF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유동상 소각로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기계적 구동부분이 적어 고장율이 낮다.
  2. 상(床)으로부터 찌꺼기의 분리가 용이하다.
  3. 로내 온도의 자동제어로 열회수가 용이하다.
  4. 반응시간이 빨라 소각시간이 짧다.
(정답률: 알수없음)
  • 유동상 소각로는 찌꺼기를 상(床) 위에서 연소시키는 방식으로, 상(床)으로부터 찌꺼기의 분리가 용이하다는 것은 장점이 아니라 단점이다. 이는 찌꺼기가 연소되지 않고 상(床) 위에 쌓이기 때문에 처리가 어렵고, 소각로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장점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프로판(C3H8) 3 Sm3의 연소에 필요한 이론공기량은?

  1. 67.6 Sm3
  2. 71.4 Sm3
  3. 89.5 Sm3
  4. 95.3 Sm3
(정답률: 알수없음)
  • 프로판(C3H8)의 분자식을 보면 탄소원자가 3개이므로 연소시 CO2와 H2O가 생성됩니다. 이때 이론공기량은 연소에 필요한 산소량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프로판(C3H8) 1몰당 산소가 필요한 양은 5몰입니다. 따라서 3몰의 프로판에 필요한 산소량은 15몰입니다.

    이제 이 산소량에 대한 이론공기량을 계산해보겠습니다. 이론공기량은 연소에 필요한 산소량을 기준으로 계산되며, 이때 산소는 대기 중 21% 정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론공기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15몰 x (100/21) = 71.4 Sm3

    따라서 정답은 "71.4 Sm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배연 탈황시 발생된 슬러지 처리에 많이 쓰이는 고형화 처리법은?

  1. 시멘트 기초법
  2. 석회 기초법
  3. 자가 시멘트법
  4. 열가소성 플라스틱법
(정답률: 알수없음)
  • 자가 시멘트법은 슬러지에 포함된 불순물을 시멘트와 혼합하여 고형화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시멘트의 결합력을 이용하여 슬러지를 고형화시키기 때문에 처리 후에는 안정적인 고형체로 변하게 됩니다. 또한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과 압력으로 인해 슬러지 내의 유해물질도 분해되어 처리 효율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토양오염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오염경로의 다양성
  2. 피해발현의 직접성 및 급성적 형태
  3. 타 환경인자와의 영향관계의 모호성
  4. 오염의 비인지성
(정답률: 알수없음)
  • 토양오염의 특징 중에서 "피해발현의 직접성 및 급성적 형태"는 틀린 것입니다. 이는 오히려 토양오염의 특징 중에서 부재하는 것입니다. 토양오염은 오랜 기간 동안 노출되어야만 피해가 발생하며, 그 영향은 직접적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토양오염의 피해는 급성적인 형태가 아니라, 만성적인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토양오염의 특징은 "오염경로의 다양성", "타 환경인자와의 영향관계의 모호성", "오염의 비인지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폐기물 공정시험 기준(방법)

41. 가스크로마토 그래프분석에 사용하는 검출기 중 방사선 동위원소(53Ni,3H)를 이용하여 시료 중의 유기할로겐 화합물, 니트로화합물 및 유기금속화합물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것은?

  1. 열전도 검출기 (TCD)
  2. 수소염 이온화 검출기 (FID)
  3. 전자포획 검출기 (ECD)
  4. 방사동위 검출기 (FPD)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포획 검출기 (ECD)는 방사선 동위원소(53Ni,3H)를 이용하여 시료 중의 유기할로겐 화합물, 니트로화합물 및 유기금속화합물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이유는, 이 검출기가 전자를 포획하여 전자를 잃은 분자이온을 생성하고, 이 분자이온이 검출기 전극과 충돌하여 전류 신호를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유기할로겐 화합물, 니트로화합물 및 유기금속화합물은 전자를 쉽게 잃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화합물들을 검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흡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시료분석시 흡수셀 재질 중 플라스틱제는 주로 어떤 파장범위를 측정할 때 사용 되는가?

  1. 근적외부
  2. 근자외부
  3. 자외부
  4. 가시부
(정답률: 알수없음)
  • 플라스틱 재질은 근적외부 파장대에서 높은 투과율을 가지기 때문에 흡광광도계에서는 근적외부 파장대를 측정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이는 근적외부 파장대에서 시료의 흡광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근적외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폐기물공정시험방법에 사용되는 용어설명 및 일반적 총칙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약’이라 함은 기재된 양에 대하여 ±10% 이상의 차가 있어서는 안된다.
  2. 시험에 사용하는 물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정제수 또는 탈염수를 말한다.
  3. ‘냄새가 없다’라고 기재한 것은 냄새가 없거나, 또는 거의 없는 것을 표시하는 것이다.
  4. ‘정확히 취하여’라 하는 것은 규정한 양의 검체를 0.1mg까지 달아 정확히 취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확히 취하여’라 하는 것은 규정한 양의 검체를 0.1mg까지 달아 정확히 취하는 것을 말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다.

    - "‘약’이라 함은 기재된 양에 대하여 ±10% 이상의 차가 있어서는 안된다." : 맞는 내용이다.
    - "시험에 사용하는 물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정제수 또는 탈염수를 말한다." : 일반적으로 맞는 내용이지만, 특정한 검사에서는 다른 물을 사용해야 할 수도 있다.
    - "‘냄새가 없다’라고 기재한 것은 냄새가 없거나, 또는 거의 없는 것을 표시하는 것이다." : 맞는 내용이다.

    따라서, 정답은 "‘정확히 취하여’라 하는 것은 규정한 양의 검체를 0.1mg까지 달아 정확히 취하는 것을 말한다."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시료의 전처리 방법인 마이크로파에 의한 유기물분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산과 함께 시료를 용기에 넣고 마이크로파를 가한다.
  2. 재현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3. 가열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4. 유기물이 다량 함유된 시료의 전처리에 이용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마이크로파에 의한 유기물분해는 가열속도가 빠르고 유기물이 다량 함유된 시료의 전처리에 이용되지만, 재현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는 마이크로파의 가열 방식이 시료 내부의 물분자를 직접 가열하여 유기물을 분해하기 때문에 시료 내부의 물분자의 양과 분포에 따라 가열 효과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마이크로파에 의한 유기물분해를 사용할 때는 재현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조건을 설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수산화나트륨(NaOH) 5g을 정제수 500mL에 용해시킨 용액의 농도는?

  1. 0.05 N
  2. 0.15 N
  3. 0.25 N
  4. 0.35 N
(정답률: 알수없음)
  • 0.25 N은 1L의 용액에 0.25 mol의 NaOH가 포함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500mL의 용액에는 0.125 mol의 NaOH가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NaOH의 분자량은 40g/mol이므로 0.125 mol의 NaOH는 5g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이 용액의 농도는 0.25 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흡광광도법에 의해 크롬을 정량하기 위해서는 크롬이온 전체를 6가크롬으로 변화시켜야 하는데 이때 사용하는 시약은?

  1. 디페닐카르바지드
  2. 질산암모늄
  3. 과망간산칼륨
  4. 염화제일주석
(정답률: 알수없음)
  • 흡광광도법에서 크롬을 정량하기 위해서는 크롬이온을 6가크롬으로 산화시켜야 합니다. 이때, 과망간산칼륨은 강한 산화제로서 크롬이온을 6가크롬으로 산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과망간산칼륨이 크롬을 정량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약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대상폐기물의 양이 25 ton 일때 시료의 최소 수는?

  1. 10
  2. 12
  3. 14
  4. 16
(정답률: 알수없음)
  • 대상폐기물의 양이 25 ton 이므로, 시료의 양도 일정한 비율로 줄여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대상폐기물의 1% 이상을 시료로 채취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따라서, 25 ton의 1%는 0.25 ton (250 kg) 입니다.

    시료의 최소 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대상폐기물을 시료로 나누어야 합니다. 250 kg씩 나누면 100개의 시료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많은 시료를 채취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시료 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요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시료 수는 대상폐기물의 크기, 분포, 특성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또한, 분석 방법, 분석 목적, 예산 등도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대개 10~20개의 시료가 적절한 수준으로 판단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14" 인 이유는 대상폐기물의 양과 일반적인 시료 수 범위를 고려하여 결정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시료의 축소방법인 구획법에 의해 시료를 축소할 때 모아진 대시료를 네모꼴로 엷게 균일한 두께로 편 다음 등분하여 총 몇 개의 덩어리로 나누는가?

  1. 9
  2. 16
  3. 20
  4. 25
(정답률: 알수없음)
  • 시료를 축소할 때 구획법을 사용하면 시료를 네모꼴로 엷게 균일한 두께로 펴게 되고, 이 때 네모꼴의 면적은 시료의 원래 면적과 같으므로 시료의 부피는 축소된 비율에 따라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시료를 축소한 후 등분할 때 나누어지는 덩어리의 개수는 시료의 부피에 비례하게 된다. 이 문제에서는 축소된 시료를 4등분하므로, 나누어지는 덩어리의 개수는 4의 배수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크롬(Cr)을 원자흡광광도법(공기0아세틸렌불꽃)으로 시험하는 과정에서 철, 니켈등의 공존물질에 의한 방해영향이 크므로 어떤 시약을 넣어 측정하는가?

  1. 황산나트륨
  2. 인산나트륨
  3. 질산나트륨
  4. 염화나트륨
(정답률: 알수없음)
  • 크롬(Cr)을 원자흡광광도법으로 측정할 때, 철, 니켈 등의 공존물질에 의한 방해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황산나트륨을 넣어 측정합니다. 이는 황산나트륨이 철, 니켈 등의 금속 이온과 결합하여 안정화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황산나트륨을 넣어 측정하면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수분 및 고형물 측정방법에 대한 설명 중 적합한 것은?

  1. 증발접시는 가급적 무게가 무거운 것을 사용하여 시료 측정오차를 최소화 한다.
  2. 평량병 또는 증발접시를 미리 105 ~ 110℃에서 30분간 건조시킨 다음 실온에서 방냉한다.
  3. 시료는 105 ~ 110℃의 건조기 안에서 2시간 이상 건조시킨다.
  4. 평량병 또는 증발접시는 시료의 두께를 10㎜ 이하로 넓게 펼 수 있는 정도로 하부 면적이 넓은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평량병 또는 증발접시는 시료의 두께를 10㎜ 이하로 넓게 펼 수 있는 정도로 하부 면적이 넓은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는 시료의 표면적이 넓어질수록 증발이 빨라지고 측정오차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폐기물공정실험방법에 의한 온도 표시가 틀린 것은?

  1. 냉수 : 15 ℃ 이하
  2. 열수 : 약 100 ℃
  3. 온수 : 50 ~ 60 ℃
  4. 찬곳 : 0~15 ℃의 곳(따로 규정이 없는 경우)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온수 : 50 ~ 60 ℃" 이다. 이유는 온수는 일반적으로 35 ~ 45 ℃ 사이의 온도를 가지며, 50 ~ 60 ℃는 이미 더 높은 온도 범위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온도 범위는 폐기물공정실험방법에 따른 온도 표시와 일치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은 흡광광도법에서 사용하는 특수용도용 흡수셀 중 저농도 시료를 측정할 때 사용하는 것은?

  1. 사각형셀
  2. 원통형셀
  3. 유동셀
  4. 마이크로셀
(정답률: 알수없음)
  • 저농도 시료를 측정할 때는 셀 내부의 광로의 길이가 짧아야 하며, 원통형셀은 다른 셀에 비해 광로의 길이가 짧아서 농도가 낮은 시료를 측정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원통형셀은 셀 내부의 용액이 균일하게 혼합되어 있어서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흡광광도계의 흡광도 눈금을 보정할 때 사용하는 시약으로 적당한 것은?

  1. 가망간산칼륨
  2. 중크롬산칼륨
  3. 티오황산나트륨
  4. 염화제일주석산
(정답률: 알수없음)
  • 중크롬산칼륨은 흡광광도계의 흡광도 눈금을 보정할 때 사용되는 시약 중 하나입니다. 이는 중크롬산칼륨이 안정성이 높고, 높은 흡광도 범위에서도 정확한 눈금 보정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중크롬산칼륨은 물에 녹기 쉽고, 비교적 저렴하게 구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은 용출시험방법의 시료용액의 조제에 관한 설명이다. ( ) 안에 알맞은 내용은?

  1. 10 g
  2. 50 g
  3. 100 g
  4. 200 g
(정답률: 알수없음)
  • 용출시험에서는 시료를 일정한 양의 용매에 녹여서 시료용액을 만들어 사용한다. 이때, 시료용액의 농도는 일정해야 하므로 시료의 양이 일정해야 한다. 따라서, 보기에서는 시료의 양이 100 g으로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원추4분법에 의해 시료를 축소할 때 한번의 일련의 조작이 끝난 시료는 조작 전 시료보다 얼마만큼 축소되는가?

  1. 1/8
  2. 1/4
  3. 1/2
  4. 3/4
(정답률: 알수없음)
  • 원추4분법은 시료를 4등분하여 그 중 하나를 취하고, 나머지 3등분 중 하나를 버리고 남은 2등분을 다시 4등분하여 그 중 하나를 취하고, 이를 반복하여 시료를 축소하는 방법이다.

    즉, 한번의 조작에서 시료는 4등분 중 하나를 취하고, 나머지 3등분 중 하나를 버리므로 시료는 1/4로 축소된다. 이를 반복하면 시료는 1/4씩 계속해서 축소되므로, 4번의 조작 후에는 시료가 1/4 x 1/4 x 1/4 x 1/4 = 1/256으로 축소된다.

    따라서, 한번의 일련의 조작이 끝난 시료는 조작 전 시료보다 1/4로 축소된다. 이 중에서 정답은 "1/2"이 아니므로, "1/2"가 아닌 보기를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용출용액 중의 PCBs 분석(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용출용액 중의 PCBs를 헥산으로 추출한다.
  2. 유효측정농도는 0.05mg/L 이상으로 한다.
  3. 전자포획 검출기를 사용한다.
  4. 검출기의 온도는 270 ~ 300 ℃ 범위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유효측정농도는 0.05mg/L 이상으로 한다." 이다. 이유는 PCBs가 매우 작은 농도에서도 인체에 해로울 수 있는 유독물질이기 때문에, 가능한 한 낮은 농도에서도 검출할 수 있도록 유효측정농도를 0.05mg/L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이는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흡광광도분석법에서 목적성분의 농도를 정량하기 위해 다음 식을 적용한다. 식에 대해 잘못 설명한 것은? (단, 식은 It = Ioㆍ10 εθ)

  1. 램버어트 비어(Lambert-Beer)의 법칙이 적용된다.
  2. Io는 입사광의 강도, It는 투사광의 강도이다.
  3. ℓ은 빛의 투과거리이다.
  4. ε는 비례상수로서 투과계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ε는 비례상수로서 투과계수이다. 이유는 ε는 물질의 농도와 물질이 흡수하는 빛의 파장에 따라 결정되는 상수이며, 이는 물질의 흡수능력을 나타내는 값으로 흡광계수라고도 불린다. 따라서 ε 값이 클수록 물질이 빛을 많이 흡수하므로 농도가 높아질수록 It 값이 작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유도결합플라스마 발광광도법 분석장치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시료원자화부
  2. 연산처리부
  3. 광원부
  4. 분광부
(정답률: 알수없음)
  • 유도결합플라스마 발광광도법 분석장치의 구성요소 중 "시료원자화부"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분석 과정에서 시료를 원자화하는 부분으로, 일반적으로 별도의 장비로 처리됩니다. 따라서 이는 유도결합플라스마 발광광도법 분석장치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폐기물의 용출시험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상온, 상압에서 진탕회수가 매분당 약 200회, 진폭이 4~5cm의 진탕기를 사용, 6시간 연속 진탕한다.
  2. 진탕이 어려운 경우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매분당 2,000회전 이상으로 30분 이상 원심분리한다.
  3. 용출시험이 용매는 염산으로 Ph를 5.8 ~ 6.3으로 한다.
  4. 용출시험시 폐기물시료와 용출용매를 1:10 (W:V)의 비로 혼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상온, 상압에서 진탕회수가 매분당 약 200회, 진폭이 4~5cm의 진탕기를 사용, 6시간 연속 진탕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이유는 폐기물의 종류와 상태에 따라 진탕시간과 진탕회수, 진폭 등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폐기물의 특성에 맞게 적절한 진동기나 원심분리기를 선택하여 용출시험을 진행해야 한다. 진탕이 어려운 경우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매분당 2,000회전 이상으로 30분 이상 원심분리하는 것이 좋다. 이는 폐기물 내의 미립자나 물질을 분리하여 용출시험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흡광광도법으로 구리를 정향할 때 비스머스(Bi)가 구리의 양보다 2배 이상 존재할 경우, 어떤 색을 나타내어 방해하게 되는가?

  1. 적색
  2. 청색
  3. 청록색
  4. 황색제
(정답률: 알수없음)
  • 비스머스(Bi)는 흡광광도법에서 구리(Cu)와 함께 측정되는 원소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비스머스가 구리의 양보다 2배 이상 존재할 경우, 황색제를 나타내어 방해하게 됩니다. 이는 비스머스가 고농도로 존재할 때, 흡광선의 파장을 흡수하면서 황색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샘플에 비스머스가 많이 존재할 경우, 정확한 측정을 위해 황색제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폐기물 관계 법규

61. 폐기물처리시설의 유지관리에 관한 기술업무를 담당할 기술관리인을 두어야 하는 폐기물처리시설 기준으로 틀린 것은? (단, 폐기물처리업자가 운영하는 폐기물처리시설이 아닌 경우임)

  1. 멸균분쇄시설로서 1일 처리능력이 5톤 이상인 시설
  2. 퇴비화시설로서 1일 처리능력이 5톤 이상인 시설
  3. 절단시설로서 1일 처리능력이 100톤 이상인 시설
  4. 압축시설로서 1일 처리능력이 100톤 이상인 시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절단시설로서 1일 처리능력이 100톤 이상인 시설"

    멸균분쇄시설은 폐기물을 분쇄하고 멸균하여 처리하는 시설이며, 처리능력이 5톤 이상이어야 한다. 이는 폐기물 처리 시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퇴비화시설은 폐기물을 퇴비로 만드는 시설로, 처리능력이 5톤 이상이어야 한다. 압축시설은 폐기물을 압축하여 체적을 줄이는 시설로, 처리능력이 100톤 이상이어야 한다. 하지만 절단시설은 폐기물을 절단하여 처리하는 시설로, 처리능력이 100톤 이상이어야 한다는 조건은 없다. 따라서, "절단시설로서 1일 처리능력이 100톤 이상인 시설"이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관리형 매입시설에서 침출수 배출량이 1일 2,000m3이상인 경우, COD의 측정주기 기준은?

  1. 매일 1회 이상
  2. 주 1회 이상
  3. 월 2회 이상
  4. 월 1회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침출수 배출량이 1일 2,000m3이상인 경우, COD의 측정주기 기준은 "매일 1회 이상"이다. 이는 대량의 침출수가 배출되는 시설에서 COD 농도가 급격하게 변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매일 측정함으로써 농도 변화를 빠르게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기준이 적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음식물폐기물처리시설의 기술관리인 자격기준으로 틀린 것은?

  1. 화공산업기사
  2. 기계기사
  3. 전기공사기사
  4. 토복산업기사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공사기사는 음식물폐기물처리시설의 기술관리와는 관련이 없는 전기공사 분야의 자격기준이기 때문에 틀린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화학, 기계, 토목 분야와 관련된 자격기준이므로 음식물폐기물처리시설의 기술관리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폐기물처리시설인 차단형 매입시설의 정기검사항목이 아닌 것은?

  1. 빗물, 지하수 유입방지 조치
  2. 계량시설의 작동상태
  3. 사용종료매입지 밀폐상태
  4. 옹벽의 안정성
(정답률: 알수없음)
  • 차단형 매입시설은 폐기물을 수거하고 처리하기 위한 시설로, 폐기물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계량시설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계량시설의 작동상태는 정기검사항목 중 하나입니다. 반면, 빗물, 지하수 유입방지 조치, 사용종료매입지 밀폐상태, 옹벽의 안정성은 폐기물 처리시설 전반적인 안전성과 환경보호를 위한 검사항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은 청정지역에서의 관리형매입시설의 침출수 배출허용 기준을 나열한 것이다. 이중 잘못된 것은?

  1. 색도 - 100도 이하
  2. 카드뮴함유량 - 0.02mg/ℓ 이하
  3. 시안함유량 - 0.2 mg/ℓ 이하
  4. 수은함유량(mg/ℓ) - 불검출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색도 - 100도 이하"이다.

    색도는 물의 투명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물에 불순물이 섞여 있을 때 물체를 구분하기 어렵게 만드는 정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색도가 높을수록 불순물이 많은 것이며, 이는 수질 오염의 지표가 된다. 따라서 침출수 배출허용 기준에서는 색도가 낮을수록 좋은 것이다.

    따라서 "색도 - 100도 이하"가 잘못된 기준이다. 올바른 기준은 "색도 - 5도 이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폐기물관리법이 적용되지 않는 물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원자력법에 의한 방사성물질 및 이에 의하여 오염된 물질
  2. 용기에 들어 있는 기체상 물질
  3. 하수도법에 의한 하수
  4. 수질환경보전법에 의한 수질오염방지시설에 유입되거나 공공수역으로 배출되는 폐수
(정답률: 알수없음)
  • 폐기물관리법은 고체, 액체, 가스 상관없이 모든 폐기물에 대해 적용되지만, "용기에 들어 있는 기체상 물질"은 이미 용기 안에 보관되어 있기 때문에 폐기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폐기물관리법이 적용되지 않는 물질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국가폐기물관리종합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종합계획의 분석
  2. 종합계획의 기조
  3. 부문별 폐기물관리정책
  4. 재원조달 계획
(정답률: 알수없음)
  • 국가폐기물관리종합계획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은 "종합계획의 기조", "부문별 폐기물관리정책", "재원조달 계획"이다.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종합계획의 분석"이다. 이유는 종합계획의 분석은 이미 수립된 계획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포함되어야 할 사항이 아니라 이미 수행된 작업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합계획의 분석은 국가폐기물관리종합계획의 수립 이후에 수행되어야 하는 작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과태료 부과권자는 과태료를 부과 할 경우 몇 일 이상의 기간을 정하여 과태료처분대상자에게 구술 또는 서면에 의한 의견진술의 기뢰를 주어야 하는가?

  1. 5일 이상
  2. 10일 이상
  3. 15일 이상
  4. 30일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과태료 부과권자는 과태료를 부과하기 전에 과태료처분대상자에게 구술 또는 서면에 의한 의견진술의 기회를 주어야 합니다. 이 기간은 법률에서 "합리적인 기간"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10일 이상으로 정해지고 있습니다. 이는 과태료처분대상자가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자신의 입장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고려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폐기물처리 가격의 최저액보다 낮은 가격으로 폐기물을 수탁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은?

  1.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2.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
  3. 1년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
  4. 2년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알수없음)
  • 폐기물 처리 가격의 최저액보다 낮은 가격으로 폐기물을 수탁하는 것은 불법이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이 과태료의 기준은 경제적인 이유로 인해 불법적인 폐기물 처리를 유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폐기물처리업 허가의 결격사유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미성년자
  2.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된 지 2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자
  3. 폐기물관리법을 위반하여 징역 이상의 형의 집행유예의 선고를 받고 그 집행유예기간이 경과하지 아니한 자.
  4. 폐기물처리업의 허가가 취소된 자로서 그 허가가 취소된 날부터 2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
(정답률: 알수없음)
  •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된 지 2년이 경과되지 아니한 자는 폐기물처리업 허가의 결격사유에 해당됩니다. 이유는 파산선고를 받은 자는 경제적으로 불안정하며, 복권된 지 2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아직 경제적인 회복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폐기물처리업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안정적인 경제적 기반을 갖추기 위해 이러한 결격사유가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은 과징금에 관한 내용이다. ( ) 안에 알맞은 것은?

  1. 대통령령
  2. 환경부령
  3. 지방자치단체장
  4.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
(정답률: 알수없음)
  • 과징금은 대한민국 헌법 제37조에 근거하여 대통령령으로 정해진다. 따라서 정답은 "대통령령"이다. 환경부령, 지방자치단체장,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과징금 부과와는 관련이 있지만, 이를 규정하는 근본적인 법령은 대통령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폐기물인계서 등의 전산처리에 관한 내용이다. ( ) 안에 알맞은 것은?

  1. 6월간
  2. 1년간
  3. 2년간
  4. 3년간
(정답률: 알수없음)
  • 폐기물인계서는 폐기물 처리 시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보관 기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이 기간은 3년으로 정해져 있으며, 이후에는 폐기물 처리에 대한 책임이 소멸됩니다. 따라서 폐기물인계서 등의 전산처리에서는 이 보관 기간을 고려하여 3년간으로 설정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폐기물 재활용을 위한 에너지의 회수 기준으로 맞는 것은?

  1. 다른 물질과 혼합하지 아니하고 당해 폐기물의 저위발열량이 킬로그램당 4천6백칠로칼로리 이상일 것
  2. 다른 물질과 혼합하지 아니하고 당해 폐기물의 고위 발열량이 킬로그램당 4천6백킬로칼로리 이상일 것
  3. 다른 물질과 혼합하지 아니하고 당해 폐기물의 저위발열량이 킬로그램당 3천킬로칼로리 이상일 것.
  4. 다른 물질과 혼합하지 아니하고 당해 폐기물의 고위발열령이 킬로그램당 3천킬로칼로리 이상일 것.
(정답률: 알수없음)
  • 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회수하여 활용해야 합니다. 이때, 폐기물의 열에너지 회수 기준으로는 폐기물의 발열량이 중요합니다. 저위발열량은 폐기물을 연소시켰을 때 발생하는 열에너지 중 일부를 이용할 수 있는 열에너지를 말하며, 고위발열량은 폐기물을 연소시켰을 때 발생하는 전체 열에너지를 말합니다. 따라서, 폐기물 재활용을 위한 에너지의 회수 기준으로는 "다른 물질과 혼합하지 아니하고 당해 폐기물의 저위발열량이 킬로그램당 3천킬로칼로리 이상일 것"이 맞습니다. 이는 폐기물을 연소시켰을 때 일부 열에너지를 회수하여 활용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발열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 ) 안에 알맞은 내용은?

  1. 5일
  2. 10일
  3. 20일
  4. 30일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보기는 한 달의 일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20일은 한 달 중 중간에 위치하면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답으로 선택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폐기물처리업 업종구분과 영업내용의 범위를 벗어나는 영업을 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은?

  1.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3.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백만원 이하의 벌금
  4.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률: 알수없음)
  • 폐기물처리업은 환경보호와 관련된 중요한 업종으로, 업종구분과 영업내용의 범위를 벗어나는 영업을 하는 것은 심각한 문제입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벌칙기준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적용되는 이유는, 벌금이나 징역 등의 처벌이 너무 가벼우면 업종 내에서 법을 어기는 것이 일상화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너무 무거운 처벌은 업종 내에서 경쟁력을 잃을 수 있으므로 적절한 벌칙기준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적절한 벌칙기준으로 판단되어 적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폐기물발생억제지침 준수의무대상 배출자의 업종으로 틀린 것은?

  1. 제1차 금속산업 (조립금속제품제조업 제외)
  2. 섬유제품제조업 (봉제의복 제외)
  3.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4. 전기, 가스업
(정답률: 알수없음)
  • "제1차 금속산업 (조립금속제품제조업 제외)"은 폐기물 발생량이 많고, 처리가 어려운 유해물질을 다루는 산업으로 분류되어 있기 때문에 폐기물발생억제지침 준수의무대상 배출자로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주변지역 영향 조사 대상 폐기물처리시설 기준으로 맞는 것은?

  1. 매입면적 330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지정폐기물 매립시설
  2. 매입면적 3300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지정폐기물 매립시설
  3. 매립면적 1만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지정폐기물 매립시설
  4. 매립면적 3만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지정폐기물 매립시설
(정답률: 알수없음)
  • 매립면적 1만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지정폐기물 매립시설이 적합한 이유는, 폐기물 매립시설은 폐기물을 처리하고 저장하는 시설로서, 매립면적이 충분하지 않으면 폐기물 처리량이 부족해지거나 폐기물이 적절히 처리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매립면적이 충분한 시설이 필요하며, 매립면적 1만제곱미터 이상의 시설은 충분한 처리량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폐기물처리시설 주변지역 영향 조사시 조사 횟수 기준으로 맞는 것은?

  1. 각 항목당 계절을 달리하여 4회 이상 측정하되 악취는 여름(6월부터 8월까지)에 2회 이상 측정하여야 한다.
  2. 각 항목당 계절을 달리하여 4회 이상 측정하되 악취는 여름(6월부터 8월까지)에 1회 이상 측정하야 한다.
  3. 각 항목당 계절을 달리하여 2회 이상 측정하되 악취는 여름(6월부터 8월까지)에 2회 이상 측정하여야 한다.
  4. 각 항목당 계절을 달리하여 2회 이상 측정하되 악취는 여름(6월부터 8월까지)에 1회 이상 측정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폐기물처리시설 주변지역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여름철에 더 심해지기 때문에, 악취를 측정하는 경우 여름(6월부터 8월까지)에 더 자주 측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각 항목당 계절을 달리하여 2회 이상 측정하되 악취는 여름에 1회 이상 측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폐기물관리법령에서 규정하고 있는 기계적 처리시설이 아닌 것은?

  1. 열분해시설
  2. 연료화시설
  3. 유수분리시설
  4. 멸균분쇄시설
(정답률: 알수없음)
  • 열분해시설은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가스나 액체 등으로 변환하는 시설이며, 다른 보기들은 모두 기계적 처리시설에 해당하지만, 열분해시설은 기계적 처리가 아닌 열적 처리에 해당하기 때문에 폐기물관리법령에서 기계적 처리시설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페기물통계조사는 몇 년 마다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가?

  1. 2년
  2. 3년
  3. 5년
  4. 7년
(정답률: 알수없음)
  • 페기물통계조사는 쓰레기 처리 시설의 운영 및 관리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쓰레기 처리 시설의 설치 및 운영 계획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됩니다. 이러한 정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한 주기로 조사를 실시하여 최신 정보를 수집하고자 합니다. 따라서 페기물통계조사는 보통 5년마다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