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9-07)

폐기물처리산업기사
(2008-09-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폐기물개론

1. 어느도시 쓰레기의 성분 중 비가연성이 약75%(중량비)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밀도가 500kg/m3인 쓰레기 8m3가 있을 때 가연성 물질의 양(TON)은?

  1. 1
  2. 2
  3. 3
  4. 4
(정답률: 알수없음)
  • 쓰레기의 총 중량은 500kg/m3 x 8m3 = 4000kg = 4톤이다.
    비가연성 물질은 총 중량의 75%를 차지하므로, 비가연성 물질의 중량은 4톤 x 0.75 = 3톤이다.
    따라서 가연성 물질의 양은 4톤 - 3톤 = 1톤이다. 따라서 정답은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폐기물 적재차량 중량이 22,000KG, 빈차의 중량이 14,000KG 이고, 적재함의 크기는 H : 150cm, W : 200cm, L : 400cm일때 차량 적재계수는?

  1. 0.35t/m3
  2. 0.45t/m3
  3. 0.53t/m3
  4. 0.67t/m3
(정답률: 알수없음)
  • 적재함의 부피는 150cm x 200cm x 400cm = 12,000,000cm3 = 12m3 이다.
    따라서, 적재차량의 적재계수는 (22,000kg - 14,000kg) / 12m3 = 667kg/m3 = 0.67t/m3 이다.
    즉, 적재차량이 1m3의 공간에 최대 0.67t의 무게를 적재할 수 있다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쓰레기를 소각했을 때 남은 재의 중량은 쓰레기 중량의 약 1/3 이다. 쓰레기 90ton을 소각했을 때 재의 용적 이 10m3 라고 하면 재의 밀도는?

  1. 1.5ton/m3
  2. 2.0ton/m3
  3. 2.5ton/m3
  4. 3.0ton/m3
(정답률: 알수없음)
  • 쓰레기 90ton을 소각하면 재의 중량은 약 30ton이 된다. 이를 용적으로 환산하면 10m3 이므로, 재의 밀도는 30ton/10m3 = 3.0ton/m3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3.0ton/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쓰레기 발생량을 예측하는 방법 중 쓰레기 배출에 영향을주는 모든 인자를 시간에 대한 함수로 나타낸 후 시간에 대한 함수로 표현된 각 영향인자들 간에 상관 관계를 수식화 한 것은?

  1. 경향법
  2. 추정법
  3. 동적모사모델
  4. 다중회귀모델
(정답률: 알수없음)
  • 쓰레기 발생량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여러 인자들의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인자들을 시간에 대한 함수로 나타내고, 이들 간의 상관 관계를 수식화하여 예측하는 방법을 동적모사모델이라고 한다. 이는 쓰레기 발생량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 다양한 인자들을 고려하고, 이들 간의 상호작용을 반영하여 보다 정확한 예측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정답은 "동적모사모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쓰레기의 압축 전 밀도가 0.45ton/m3이었던 것을 압축 한 결과 0.85ton/m3로 되었다. 부피 감소율은 몇 % 인가?

  1. 약42%
  2. 약47%
  3. 약52%
  4. 약57%
(정답률: 알수없음)
  • 압축 전의 부피를 1로 가정하면, 압축 후의 부피는 0.85/0.45 = 1.89이 된다. 따라서 부피 감소율은 (1-1.89)/1 x 100% = 약 47%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인구35만 도시의 쓰레기 발생량이 1.5kg/인·일 이고, 이 도시의 쓰레기 수거율은 90%이다. 적재용량이 10ton인 수거차량으로 수거한다면 하루에 몇 대로 운반해야 하는가?

  1. 6대
  2. 8대
  3. 10대
  4. 12대
(정답률: 알수없음)
  • 하루에 발생하는 쓰레기 양은 인구수(35만) x 1.5kg/인 x 0.9(수거율) = 47.25톤이다. 하루에 적재용량이 10톤인 수거차량으로 수거한다면, 하루에 필요한 수거차량 대수는 47.25톤 ÷ 10톤/대 = 4.725대이다. 따라서, 최소 5대 이상의 수거차량이 필요하며, 10대가 필요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 )안에 알맞은 내용은?

  1. 자성이고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2. 자성이고 전기전도성이 우수하지 못한 금속
  3. 비자성이고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4. 비자성이고 전기전도성이 우수하지 못한 금속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금속은 비자성이기 때문에 전자를 잘 받아들이고 전기전도성이 우수하며, 동시에 전자의 이동으로 인한 전류를 잘 흐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전도성이 우수합니다. 또한, 자성이 아닌 비자성이기 때문에 자기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전류를 흐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금속은 비자성이고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적환장 위치 선정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주도로의 접근이 용이하고 2차 또는 보조수송수단 연결이 쉬운 지역
  2. 주민의 반대가 적고 주위환경에 대한 영향이 최소인 곳
  3. 설치 및 작업이 쉬운 곳
  4. 수거하고자 하는 개별적 고형물 발생지역의 하중중심에서 먼 곳
(정답률: 알수없음)
  • "수거하고자 하는 개별적 고형물 발생지역의 하중중심에서 먼 곳"은 적환장 위치 선정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이유는 적환장은 고형물을 수거하고 처리하는 시설이기 때문에, 고형물 발생지점과 가까울수록 운송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형물 발생지점의 하중중심과 가까운 위치에 적환장을 위치시키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A 도시에서 1주일 동안 쓰레기 수거상황을 조사한 다음, 결과를 적용한 1인당 1일 쓰레기 발생량(kg/인·일)은?

  1. 약 0.8
  2. 약 1.1
  3. 약1.6
  4. 약2.1
(정답률: 84%)
  • 주어진 표에서 "총 쓰레기량"을 "인구수"와 "조사일수"로 나누면 1인당 1일 쓰레기 발생량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총 쓰레기량 ÷ 인구수 ÷ 조사일수)를 계산하면 된다.
    예를 들어, "A 도시 1주일"의 경우, 총 쓰레기량은 1,260kg, 인구수는 700명, 조사일수는 7일이다. 따라서, (1,260 ÷ 700 ÷ 7) = 약 1.6(kg/인·일) 이므로 정답은 "약 1.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채취한 쓰레기 시료의 분석절차 순서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시료→물리적조성→건조→밀도측정→분류→화학적조성분석
  2. 시료→건조→분류→물리적조성→전처리→화학적조성분석
  3. 시료→밀도측정→물리적조성→건조→분류→화학적조성분석
  4. 시료→전처리→건조→물리적조성→밀도측정→화학적조성분석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시료→밀도측정→물리적조성→건조→분류→화학적조성분석"입니다.

    시료를 먼저 채취한 후, 밀도측정을 통해 쓰레기의 밀도를 측정합니다. 그 다음으로 물리적 조성을 분석하여 쓰레기의 물리적 특성을 파악합니다. 건조를 통해 쓰레기의 수분 함량을 측정하고, 분류를 통해 쓰레기를 분류합니다. 마지막으로 화학적 조성 분석을 통해 쓰레기의 화학적 성분을 파악합니다.

    따라서, 시료→밀도측정→물리적조성→건조→분류→화학적조성분석이 가장 알맞은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국내 쓰레기 수거노선 설정시 유의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발생량이 많은 곳은 하루 중 가장 나중에 수거한다.
  2. 될 수 있는 한 한번 간 길은 가지 않는다.
  3. 가능한 한 시계방향으로 수거노선을 정한다.
  4. 적은 양의 쓰레기가 발생하나 동일한 수거빈도를 받기를 원하는 적재지점은 가능한 한 같은 날 왕복내에서 수거하도록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발생량이 많은 곳은 하루 중 가장 나중에 수거한다."가 틀린 것이다. 발생량이 많은 곳은 가능한 빨리 수거하여 쓰레기가 넘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발생량이 많은 지역은 일찍 수거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쓰레기의 발생량과 성상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수집빈도가 높을수록 또한 쓰레기통이 클수록 쓰레기 발생량이 증가한다.
  2. 도시의 규모가 커질수록 쓰레기 발생량이 증가한다.
  3. 생활수준이 증가할수록 쓰레기의 종류는 다양화 되고 발생량은 감소한다.
  4. 재활용품의 회수 및 재이용률이 증가할수록 쓰레기 발생량은 감소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생활수준이 증가할수록 쓰레기의 종류는 다양화 되고 발생량은 감소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생활수준이 증가하면서 소비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쓰레기가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쓰레기 발생량도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폐기물 입경분석을 위해 체(sieve)분석한 결과 유효경은 1mm , 30%를 통과시킨 체 눈의 크기는 3mm. 60%를 통과시킨체 눈의 크기는 5mm, 90%를 통과시킨 체 눈의 크기는 10mm이였을 때 균등계수는?

  1. 2
  2. 3
  3. 5
  4. 10
(정답률: 알수없음)
  • 균등계수는 입경분포의 균일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즉, 입경분포가 좁을수록(입경이 비슷한 입자들이 많을수록) 균등계수는 작아지고, 입경분포가 넓을수록(입경이 다양한 입자들이 많을수록) 균등계수는 커진다.

    이 문제에서는 1mm의 유효경을 가진 입자들을 분석하고 있으며, 30%를 통과시키는 체의 눈의 크기는 3mm, 60%를 통과시키는 체의 눈의 크기는 5mm, 90%를 통과시키는 체의 눈의 크기는 10mm이다. 이 정보를 토대로 입경분포를 그려보면, 입경이 1mm 이하인 입자들은 모두 포함되며, 30% 이상 60% 미만의 입자들은 3mm 이상 5mm 미만의 눈을 통과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60% 이상 90% 미만의 입자들은 5mm 이상 10mm 미만의 눈을 통과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입경분포를 그려보면, 입경이 다양한 입자들이 많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균등계수는 크게 나올 것이다. 정답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선별 효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worrell의 제안식을 적용 한다면 선별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선별효율은?

  1. 약 30%
  2. 약 50%
  3. 약 70%
  4. 약 90%
(정답률: 알수없음)
  • Worrell의 제안식은 선별효율 = (선별된 양 / 총 양) * 100 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선별된 양이 20kg, 총 양이 40kg 이므로 선별효율은 (20 / 40) * 100 = 50% 이다. 즉, 총 양 중 절반만 선별되었다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약간 경사진 판에 진동을 줄 때 무거운 것이 빨리 판의 경사면 위로 올라가는 원리를 이용한 선별법은?

  1. pneumatic table
  2. floatation
  3. secator
  4. inertial separation
(정답률: 알수없음)
  • "pneumatic table"은 공기압을 이용하여 물체를 분리하는 기술로, 진동을 준 판 위에 물체를 올려놓고 공기를 통해 물체를 분리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무게가 더 높은 물체일수록 빠르게 경사면 위로 올라가기 때문에 무게를 기준으로 선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방식은 무게를 기준으로 물체를 분리하는 선별법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우리나라에서 발생 되는 하수슬러지 처리방법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1. 매립
  2. 소각
  3. 해양투기
  4. 재활용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에서는 하수슬러지 처리 방법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매립이다. 하지만 해양투기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하수슬러지를 배로 운반하여 바다에 버리는 것을 말한다. 이 방법은 처리 비용이 저렴하고 처리 과정이 간단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지만, 바다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해양환경 문제로 인해 국내외에서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Trommel screen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스크린 다음에 분쇄기를 투어 분리된 폐기물을 주입, 분쇄함으로서 입도를 균일하게 한다.
  2. 원통의 경사도가 크면 효율도 떨어지고 부하율도 커진다.
  3. 스크린 중 선별효율이 우수하고 유지관리상 문제가 적다.
  4. 회전속도가 증가하면 어느 정도까지는 선별효율이 증가하나 일정속도 이상이 되면 원심력에 의해 막힘현상이 일어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스크린 다음에 분쇄기를 투어 분리된 폐기물을 주입, 분쇄함으로서 입도를 균일하게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Trommel screen은 회전하는 원통 모양의 스크린으로, 폐기물을 회전시켜 중력과 원심력을 이용하여 분리하는 기계입니다. 따라서 분쇄기를 사용하여 입도를 균일하게 하는 것은 Trommel screen의 기본 원리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전단식 파쇄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충격파쇄기에 비해 이물질의 혼입에 강하며 폐기물의 입도가 고르다.
  2. 고정칼, 왕복 또는 회전칼과의 교합에 의하여 폐기물을 전단 한다.
  3. 주로 목재류, 플라스틱류 및 종이류를 파쇄하는데 이용된다.
  4. 충격파쇄기에 비해 대체적으로 파쇄속도가 느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단식 파쇄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충격파쇄기에 비해 대체적으로 파쇄속도가 느리다."입니다. 전단식 파쇄기는 충격파쇄기보다 파쇄속도가 빠르며, 이물질의 혼입에 강하며 폐기물의 입도가 고르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수분함량이 80%인 슬러지 100m3을 30m3으로 농축하였다면 농축된 슬러지 함수율은?(단, 슬러지의 비중 1.0)

  1. 약 25%
  2. 약 28%
  3. 약 33%
  4. 약 39%
(정답률: 알수없음)
  • 슬러지의 비중이 1.0이므로 1m3의 슬러지 무게는 1000kg이다. 따라서 원래 슬러지의 수분 함량은 80m3 × 1000kg/m3 × 0.8 = 64,000kg이다.

    농축 후 슬러지의 총 무게는 동일하므로, 농축된 슬러지의 수분 함량은 (64,000kg ÷ 30m3 ÷ 1000kg/m3) × 100% = 약 21.3%이다.

    따라서, 농축된 슬러지의 함수율은 (100% - 21.3%) × 100% = 약 78.7%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농축된 슬러지의 함수율이 아니라 농축된 슬러지의 수분 함량을 묻고 있으므로, 수분 함량인 21.3%를 100%에서 빼면 농축된 슬러지의 수분 함량은 약 78.7%가 아닌 약 78.7%의 보수인 약 21.3%가 된다.

    따라서, 농축된 슬러지의 수분 함량은 약 21.3%이고, 함수율은 (100% - 21.3%) × 100% = 약 78.7%의 보수인 약 3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물렁거리는 가벼운 물질로부터 딱딱한 물질을 선별하는데 이용 되며, 경사진 컨베이어를 통해 폐기물을 주입시켜 회전하는 드럼 위에 떨어뜨려 분류하는 선별 방식은?

  1. stoners
  2. jips
  3. secators
  4. float separator
(정답률: 알수없음)
  • 선별 방식에서 사용되는 드럼은 회전하는 칼날이 달린 장치인데, 이를 "secators"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secator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폐기물처리기술

21. 배연 탈황시 발생된 슬러지 처리(FGD)에 많이 사용되는 고화 처리 방법은?

  1. 석회 기초법
  2. 열가소성 플라스틱법
  3. 표면 캡슐화법
  4. 자가 시멘트법
(정답률: 알수없음)
  • 자가 시멘트법은 FGD 슬러지를 시멘트 원료로 사용하여 콘크리트나 시멘트 블록 등의 건축자재를 생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FGD 슬러지를 안전하게 처리하면서 동시에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어서 경제적이고 환경적으로도 유리합니다. 또한, 자가 시멘트법은 FGD 슬러지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조성의 시멘트 원료를 생산할 수 있어서 다양한 용도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유기적 고형화에 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수밀성이 크며 다양한 폐기물에 적용 가능
  2. 상업화된 처리법의 현장자료가 빈약
  3. 일반 폐기물보다 방사선 폐기물처리에 적용함
  4. 미생물 및 자외선에 대한 안정성이 강함
(정답률: 알수없음)
  • 유기적 고형화는 유기물을 분해하여 안전하고 안정적인 고형물로 만드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미생물 및 자외선은 고형화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미생물 및 자외선에 대한 안정성이 강함"은 다른 보기들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소화조 가스의 열량을 측정한 결과 6,300kcal/m3였다. 메탄가스의 함유량(%)은 얼마로 추정할 수 있는가? (단, 메탄가스 열량 = 9,000kcal/m3, 메탄이외의 가스는 불연소성이라 가정함)

  1. 50%
  2. 60%
  3. 65%
  4. 70%
(정답률: 알수없음)
  • 메탄가스의 열량은 9,000kcal/m3이고, 소화조 가스의 열량은 6,300kcal/m3이므로, 소화조 가스는 메탄가스 이외의 다른 가스도 함유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소화조 가스의 열량이 메탄가스의 열량보다 낮아지는 것은 당연하다. 만약, 소화조 가스가 100% 메탄가스였다면, 열량은 9,000kcal/m3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소화조 가스의 열량이 6,300kcal/m3이라면, 메탄가스의 함유량은 6,300/9,000 = 0.7 = 70%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7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쓰레기 열분해 시 열분해 온도가 증가할수록 발생 가스 중 함량(구성비, %)이 증가하는 것은?

  1. 수소
  2. CH4
  3. C2H6
  4. 이산화탄소
(정답률: 알수없음)
  • 쓰레기 열분해 시 열분해 온도가 증가할수록 발생하는 가스 중 수소의 함량이 증가하는 이유는, 고온에서 쓰레기의 유기물 성분이 분해되면서 수소가 많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열분해 온도가 높을수록 수소의 함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CH4와 C2H6도 유기물 성분이지만, 수소보다 탄소 원자가 더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수소보다는 적은 양이 발생하게 됩니다. 이산화탄소는 유기물 성분이 아니기 때문에 발생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어느 매립지의 쓰레기 수용량은 1,635,200m3이고 수거 대상 인구가 200,000명, 1인 1일 쓰레기배출량을 2.0kg로 매립시의 쓰레기 부피감소율을 30%라 할때 매립장의 사용 년 수는? (단, 쓰레기 밀도 500kg/m3으로 수거시의 밀도임)

  1. 6년
  2. 7년
  3. 8년
  4. 9년
(정답률: 알수없음)
  • 쓰레기 수용량 = (인구 수) x (1인 1일 쓰레기배출량) x (사용 년 수) x (쓰레기 부피감소율)

    쓰레기 부피감소율은 매립시에만 적용되므로, 수거시의 쓰레기 밀도 500kg/m3을 사용하여 쓰레기 부피를 계산해야 함.

    쓰레기 부피 = (인구 수) x (1인 1일 쓰레기배출량) x (365일) / (쓰레기 밀도)

    = 200,000 x 2.0 x 365 / 500

    = 292,400m3

    매립시의 쓰레기 부피 = (쓰레기 부피) x (쓰레기 부피감소율)

    = 292,400 x 0.7

    = 204,680m3

    따라서, 사용 년 수 = (쓰레기 수용량) / (매립시의 쓰레기 부피)

    = 1,635,200 / 204,680

    ≈ 8

    따라서, 정답은 "8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메탄 1Sm3를 공기과잉계수 1.5로 연소시킬 경우, 실제습윤연소 가스량(Sm3)은 약 얼마인가?

  1. 12.4
  2. 15.3
  3. 18.5
  4. 19.6
(정답률: 알수없음)
  • 메탄과 공기를 연소시키면 이산화탄소와 수증기가 생성되며, 이때 생성된 가스의 부피는 원래 가스의 부피보다 더 많아진다. 이는 공기가 연소에 참여하기 때문인데, 이를 보정하기 위해 공기과잉계수를 사용한다.

    공기과잉계수 1.5는 연소에 필요한 공기의 양을 메탄의 양에 1.5배 더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메탄 1Sm3를 연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공기의 양은 1.5 × 1Sm3 = 1.5Sm3이다.

    연소 후 생성된 가스의 부피는 메탄과 공기의 부피의 합보다 더 많아진다. 이는 연소 후 생성된 이산화탄소와 수증기가 원래 가스의 부피보다 더 많기 때문이다. 이 비율은 연소시 생성된 이산화탄소와 수증기의 부피 비율에 따라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이산화탄소와 수증기의 부피 비율은 1:1이다.

    따라서 메탄 1Sm3를 공기과잉계수 1.5로 연소시키면 생성된 가스의 부피는 메탄 1Sm3과 공기 1.5Sm3의 부피의 합보다 더 많아진다. 이산화탄소와 수증기의 부피 비율이 1:1이므로, 생성된 이산화탄소와 수증기의 부피는 각각 메탄 1Sm3과 공기 1.5Sm3의 부피의 합인 2.5Sm3의 절반인 1.25Sm3이다.

    따라서 실제습윤연소 가스량은 메탄 1Sm3과 생성된 이산화탄소와 수증기의 부피인 1.25Sm3의 합인 2.25Sm3이다. 이 값을 반올림하면 15.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열분해공정이 소각에 비해 갖는 장점이 아닌 것은?

  1. 황분, 중금속이 재(ASH)중에 고정될 확률이 낮다.
  2. 환원성 분위기로 Cr+3가 Cr+6로 변화하지 않는다.
  3. 배기가스량이 적다.
  4. NOX 발생량이 적다.
(정답률: 알수없음)
  • 열분해공정은 소각과 달리 황분과 중금속이 재(ASH) 중에 고정될 확률이 낮다는 장점이 없다. 이는 열분해공정에서는 고온에서 화학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황분과 중금속이 기체 상태로 방출되어 고정되지 않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합성 차수막의 CRYSTALLINITY가 증가할수록 나타내는 성질로 틀린 것은?

  1. 충격에 강해짐
  2. 화학물질에 대한 저항성 증가
  3. 인장강도 증가
  4. 투수계수 감소
(정답률: 알수없음)
  • 합성 차수막의 CRYSTALLINITY가 증가할수록 나타내는 성질로 "충격에 강해짐"은 맞는 설명입니다. 이는 결정성이 높아지면서 분자 간 결합이 강화되어 물질의 강도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충격에 대한 저항성이 높아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인구가 300,000인 도시의 폐기물 매립지를 선정하고자한다. 도시의 1인당 폐기물 발생량은 3kg/day 이였으며 폐기물의 밀도는 500kg/m3이었다. 매립지는 지형상 2m 정도 굴착 가능하다면 매립지 선정에 필요한 최소한의 면적(m2/year)은?

  1. 169,500
  2. 219,000
  3. 288,000
  4. 328,500
(정답률: 알수없음)
  • 도시의 총 폐기물 발생량은 다음과 같다.

    300,000명 x 3kg/day = 900,000kg/day

    1년은 365일이므로, 1년 동안 발생하는 폐기물 양은 다음과 같다.

    900,000kg/day x 365 days = 328,500,000kg/year

    폐기물의 밀도가 500kg/m3이므로, 필요한 매립지의 부피는 다음과 같다.

    328,500,000kg / 500kg/m3 = 657,000m3/year

    매립지는 지형상 2m 정도 굴착 가능하므로, 필요한 매립지의 면적은 다음과 같다.

    657,000m3 / 2m = 328,500m2/year

    따라서, 필요한 최소한의 면적은 328,500m2/year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처리용량이 20kℓ/day인 분뇨처리장에 가스저장 탱크를 설계하고자 한다. 가스 저류기간을 6hr으로 하고 생성 가스량을 투입량의 8배로 가정한다면 가스탱크의 용량은?

  1. 40m3
  2. 60m3
  3. 80m3
  4. 120m3
(정답률: 알수없음)
  • 분뇨처리장에서 생성되는 가스량은 투입량의 8배이므로, 하루에 생성되는 가스량은 20kℓ x 8 = 160kℓ이다. 이를 시간당 가스생성량으로 환산하면 160kℓ / 24hr = 6.67kℓ/hr 이다.

    가스저장 탱크의 가스 저류기간은 6시간으로 주어졌으므로, 가스탱크의 용량은 6.67kℓ/hr x 6hr = 40m3 이다. 따라서 정답은 "40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30g 의 에탄(C2H6)을 완전 연소시키기 위한 이론공기량은? (단, 0°C. 1기압 기준)

  1. 78.4L
  2. 156.8L
  3. 373.3L
  4. 436.2L
(정답률: 알수없음)
  • 에탄(C2H6)의 분자량은 30g/mol 이다. 에탄이 완전 연소되면 다음과 같은 반응식을 보인다.

    C2H6 + 3O2 → 2CO2 + 3H2O

    이 반응식에서 에탄 1 몰이 연소될 때 소비되는 산소의 몰은 3 몰이다. 따라서 30g의 에탄을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3 몰의 산소가 필요하다.

    이론공기량은 연소에 필요한 산소량을 공기 중의 산소량으로 나눈 것이다. 공기는 대략적으로 21%의 산소와 79%의 질소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이론공기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3 몰의 산소) / (공기 중 1 몰의 산소) = 3 / 0.21 = 14.29 몰의 공기

    따라서, 이론공기량은 14.29 몰이다. 이를 0°C, 1기압 기준으로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V = nRT/P = (14.29 mol) x (0.0821 L·atm/mol·K) x (273 K) / (1 atm) = 373.3 L

    따라서, 정답은 "373.3L"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쓰레기를 소각할 경우 발생하는 기체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NOX
  2. CH4
  3. CO2
  4. CO
(정답률: 알수없음)
  • 쓰레기를 소각할 경우 발생하는 기체 중 CH4는 메탄으로, 온실가스 중 하나이기 때문에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CH4는 이산화탄소(CO2)보다 온실 효과가 더 강하므로, 대기 중 CH4 농도가 높아지면 지구 온도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쓰레기를 소각할 때는 CH4를 최대한 방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200kℓ처리용량의 분뇨처리장에서 발생 되는 메탄을 사용하는 보일러에서 기대할 수 있는 열생산량은? (단, 가스생산량 = 8m3/kℓ(분뇨), CH4 함량 = 75%, CH4 열량 = 9,000kcal/m3, 보일러 열교환 효율 = 80%, 기타조건 고려 안함)

  1. 4.31 × 106 kcal
  2. 6.79 × 104 kcal
  3. 8.64 × 106 kcal
  4. 9.75 × 104 kcal
(정답률: 알수없음)
  • 가스생산량 = 8m3/kℓ(분뇨) 이므로 200kℓ의 분뇨에서 발생하는 가스는 8m3/kℓ × 200kℓ = 1600m3이다.

    CH4 함량이 75%이므로, CH4 가스의 양은 1600m3 × 0.75 = 1200m3이다.

    CH4 열량은 9,000kcal/m3이므로, 1200m3의 CH4 가스는 1200m3 × 9,000kcal/m3 = 10,800,000kcal의 열을 발생시킨다.

    보일러 열교환 효율이 80%이므로, 실제로 보일러에서 발생하는 열은 10,800,000kcal × 0.8 = 8,640,000kcal이다.

    따라서, 200kℓ처리용량의 분뇨처리장에서 발생 되는 메탄을 사용하는 보일러에서 기대할 수 있는 열생산량은 "8.64 × 106 kca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소각로의 연소능력이 200KG/m2·h이며, 쓰레기량이 10,000kg/일 이다. 1일 8시간 소각하면 로의 면적은?

  1. 약 6.3m2
  2. 약 7.3m2
  3. 약 8.3m2
  4. 약 9.3m2
(정답률: 알수없음)
  • 연소능력은 단위 면적당 시간당 연소 가능한 쓰레기의 양을 의미한다. 따라서 1m2 면적당 1시간에 연소 가능한 쓰레기의 양은 200kg이다. 하루에 총 10,000kg의 쓰레기를 8시간 동안 소각한다면, 1시간에 1,250kg의 쓰레기를 소각해야 한다. 따라서 면적은 1,250kg/200kg/m2 = 6.25m2 이므로, 약 6.3m2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CSPE 합성 차수막의 장. 단점으로 틀린 것은?

  1. 접합이 용이하다.
  2. 미생물에 강하다.
  3. 산 및 알카리에 약하다.
  4. 기름, 탄화수소 및 용매류에 약하다.
(정답률: 알수없음)
  • 답: "미생물에 강하다."가 틀린 것이다. CSPE 합성 차수막은 미생물에 약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방부제 처리가 필요하다. "산 및 알카리에 약하다."는 이유는 CSPE 합성 차수막이 산과 알카리에 노출되면 분해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CSPE 합성 차수막은 산과 알카리가 많이 사용되는 환경에서는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RDF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대기오염이 적을 것
  2. 함수량이 낮을 것
  3. 발열량이 낮을 것
  4. 재의 양이 적을 것
(정답률: 알수없음)
  • RDF의 구비조건은 대기오염이 적을 것, 함수량이 낮을 것, 재의 양이 적을 것입니다. 발열량이 낮을 것은 RDF의 구비조건이 아닙니다. RDF는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열에너지를 생성하는 기술이므로 발열량이 높을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발열량이 낮을 필요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함수율이 90%인 슬러지 1,000m3을 함수율 20%로 처리하여 매립하였다면 매립된 슬러지의 중량은 몇 톤인가? ( 단. 슬러지 비중 1.0)

  1. 100
  2. 125
  3. 130
  4. 135
(정답률: 알수없음)
  • 함수율이 90%이므로, 처리된 슬러지의 양은 1,000 x 0.9 = 900m3이다.

    슬러지의 비중이 1.0이므로, 1m3의 슬러지 중량은 1톤이다.

    따라서, 처리된 슬러지의 중량은 900 x 1 = 900톤이다.

    이 중에서 함수율 20%로 처리되지 않은 슬러지의 양은 1000 x 0.1 = 100m3이다.

    따라서, 매립된 슬러지의 중량은 900 - 100 = 800톤이다.

    정답은 800을 반올림한 1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어떤 분뇨처리장으로 VS가 1.4g/ℓ인 분뇨가 50kℓ/일 유입될 때 소화조(1단계소화 →2단계소화,직렬방식)에서 발생 되는 총 CH4 가스 양은? (단,1 단계 소화조 및 2단계 소화조에서의 VS 제거율은 각각 55%, 20%이고 CH4 가스 생산량은 각각 1m3/kg - VS제거, 0.5m3/kg - VS제거 이다.)

  1. 약 19m3/일
  2. 약 279m3/일
  3. 약 37m3/일
  4. 약 42m3/일
(정답률: 알수없음)
  • 분뇨 유입량은 50kℓ/일이고, VS 농도는 1.4g/ℓ이므로, 하루에 유입되는 VS 양은 다음과 같다.

    50,000 ℓ/일 × 1.4 g/ℓ = 70,000 g/일 = 70 kg/일

    1단계 소화조에서 VS 제거율이 55%이므로, 1단계 소화조에서 제거되는 VS 양은 다음과 같다.

    70 kg/일 × 55% = 38.5 kg/일

    1단계 소화조에서 제거된 VS 양은 2단계 소화조로 이동하게 되고, 2단계 소화조에서 VS 제거율이 20%이므로, 2단계 소화조에서 제거되는 VS 양은 다음과 같다.

    38.5 kg/일 × 20% = 7.7 kg/일

    따라서, 2단계 소화조에서 메탄(CH4) 가스 생산량은 다음과 같다.

    7.7 kg/일 × 0.5 m3/kg - VS제거 = 3.85 m3/일

    따라서, 총 CH4 가스 생산량은 1단계 소화조와 2단계 소화조에서 각각 생산된 CH4 가스 양을 합산한 값이다.

    1단계 소화조에서 생산된 CH4 가스 양 = 38.5 kg/일 × 1 m3/kg - VS제거 = 38.5 m3/일
    2단계 소화조에서 생산된 CH4 가스 양 = 3.85 m3/일
    총 CH4 가스 생산량 = 38.5 m3/일 + 3.85 m3/일 = 42.35 m3/일

    따라서, 정답은 "약 42m3/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우리나라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로 재활용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사항은?

  1. 염분함량
  2. 발열량
  3. 유기물함량
  4. 밀도
(정답률: 알수없음)
  •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로 재활용할 때 가장 큰 문제점은 염분함량입니다. 음식물 쓰레기에는 소금 등의 염분이 포함되어 있어서, 이를 퇴비로 사용하면 토양의 염분농도가 높아져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거나 토양의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를 퇴비로 재활용할 때는 염분함량을 줄이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어느 분뇨 처리장에서 잉여슬러지량은 분뇨 처리량의 30% 이며 함수율은 99%이다. 이것을 농축조에서 함수율 98%로 농축하여 탈수기로 탈수시키고자 한다. 탈수기는 일주일 중 6일 운전하고 1일 5시간씩 가동한다면 탈수기의 슬러지처리능력은 어느 정도로 하면 되는가? (단, 비중은 1.0, 1일 분뇨 처리량은 100kL이다.)

  1. 0.8m3/hr
  2. 1.8m3/hr
  3. 2.7m3/hr
  4. 3.5m3/hr
(정답률: 50%)
  • 분뇨 처리장에서 생산되는 슬러지량은 분뇨 처리량의 30%이므로, 1일에 생산되는 슬러지량은 100kL x 0.3 = 30kL이다. 이 슬러지를 농축조에서 함수율 98%로 농축하면, 30kL x 0.98 = 29.4kL의 슬러지가 생산된다.

    탈수기는 일주일 중 6일 운전하고 1일 5시간씩 가동하므로, 1주일에는 총 6 x 24 + 5 = 149시간 가동한다. 이때 탈수기의 처리능력을 Q라고 하면, 1주일에 처리할 수 있는 슬러지량은 149시간 x Q = 29.4kL 이어야 한다. 따라서 Q = 29.4kL / 149시간 = 0.1973kL/hr = 1.973m3/hr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답을 m3/hr이 아니라 m3/day로 주어졌으므로, Q를 일일 처리량으로 변환해야 한다. 1일에 처리할 수 있는 슬러지량은 1.973m3/hr x 24시간 = 47.352m3/day 이다. 따라서 탈수기의 슬러지 처리능력은 약 3.5m3/hr 이다.

    즉, 탈수기의 처리능력은 3.5m3/hr이 되어야 1일에 생산되는 슬러지량을 처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폐기물 공정시험 기준(방법)

41. 다음의 설명하고 있는 시료 축소방법은?

  1. 구획법
  2. 교호삽법
  3. 원추 2분법
  4. 원추 4분법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방법은 교호삽법으로, 시료를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에서 한 번에 하나씩 번갈아가며 샘플을 추출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시료의 편향성을 줄이고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이온전극법으로 NO2-이온(감응막의 조성 : ph감응유리)을 측정 하는데 가장 적당한 전극은?

  1. 고체막 전극
  2. 격막형 전극
  3. 유리막전극
  4. 활성막전극
(정답률: 알수없음)
  • 격막형 전극은 감응막의 조성에 따라 pH를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온전극법으로 NO2-이온을 측정하는데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격막형 전극이 pH감응유리로 이루어져 있어서 감응막의 pH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격막형 전극은 이온전극법에서 pH감응성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전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은 반고상 또는 고상폐기물의 ph측정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가장 적절한 내용은?

  1. ①50mL, ② 25mL
  2. ①50mL, ② 30mL
  3. ①100mL, ② 30mL
  4. ①100mL, ② 50mL
(정답률: 알수없음)
  • 반고상 또는 고상폐기물의 ph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물에 용해시켜야 한다. 따라서, 적정 용액의 양이 적으면 측정이 어렵고, 많으면 낭비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적정 용액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해 50mL의 물에 25mL의 샘플을 용해시키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따라서 정답은 "①50mL, ② 25m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원자흡광광도법에 의한 시료중 크롬 정량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철, 니켈 등의 공존물질에 의한 방해영향이 크므로 과망간산칼륨 5%(W/V%)를 첨가하여 측정한다.
  2. 정량범위는 357.9nm에서 0.2 ~ 5mg/ℓ이다.
  3. 유효측정농도는 0.01mg/ℓ이상으로 한다.
  4. 크롬중공음극램프를 사용한다.
(정답률: 54%)
  • 크롬 정량범위는 357.9nm에서 0.2 ~ 5mg/ℓ이며, 유효측정농도는 0.01mg/ℓ 이상으로 한다. 이에 따라 철, 니켈 등의 공존물질에 의한 방해영향이 크므로 과망간산칼륨 5%(W/V%)를 첨가하여 측정하는 것이다. 이는 과망간산칼륨이 철, 니켈 등의 공존물질과 결합하여 복합물을 형성하고, 이 복합물이 크롬과는 다른 파장에서 흡수되기 때문에 크롬의 정량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크롬중공음극램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폐기물 용출시험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진탕회수는 매분당 약 200회로 한다.
  2. 진탕후 1.0㎛ 유리섬유 여과지로 여과한다.
  3. 진폭이 4~5cm의 진탕기로 4시간 연속 진탕한다.
  4. 여과가 어려운 경우에는 매분당 3,000회전 이상으로 20분 이상 원심분리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진폭이 4~5cm의 진탕기로 4시간 연속 진탕하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폐기물 용출시험에서는 진폭이 2~3cm인 진탕기를 사용하여 30분간 진탕합니다. 이는 폐기물이 실제 운반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을 모방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5톤 이상의 차량에 적재된 폐기물은 평면상으로 몇 등분하여 시료를 채취하는가?

  1. 4등분
  2. 6등분
  3. 9등분
  4. 12등분
(정답률: 알수없음)
  • 5톤 이상의 차량에 적재된 폐기물은 대체로 큰 양이므로, 시료를 채취할 때 적절한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양의 시료가 필요하다. 따라서, 평면상으로 시료를 채취할 때 등분수를 많이 하는 것이 좋다. 이 보기에서는 4등분은 너무 적고, 12등분은 너무 많으므로 적절하지 않다. 6등분은 2의 배수이므로 대표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따라서, 9등분이 적절한 선택이다. 9등분은 3의 배수이므로 대표성을 확보하기 쉽고, 시료 양도 적당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흡광광도법으로 분석되는 항목-측정방법-측정파장-발색의 연결이 맞는 것은?

  1. 카드뮴 - 디티존법 - 460nm - 청색
  2. 시안 - 디페닐카바지드법 - 540nm - 적자색
  3. 구리 - 디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법 - 440nm - 황갈색
  4. 비소 - 비화수소증류법 - 510nm - 적자색
(정답률: 알수없음)
  • 구리는 디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법으로 측정되며, 이 방법은 440nm 파장에서 측정된다. 이 방법은 황갈색 발색과 연결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가스크로마토그래프 분석에 사용되는 검출기 중 유기할로겐화합물, 니트로화합물 및 유기금속화합물을 선택적으로 검출하기에 가장 적절한 것은?

  1. ECD(전자포획 검출기)
  2. FPD(불꽃 광도 검출기)
  3. FID(불꽃이온화 검출기)
  4. TCD(열전도도 검출기)
(정답률: 84%)
  • ECD(전자포획 검출기)는 유기할로겐화합물, 니트로화합물 및 유기금속화합물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가스크로마토그래프 분석에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ECD가 전자포획 작용을 이용하여 검출하는데, 이 작용은 유기할로겐화합물, 니트로화합물 및 유기금속화합물과 상호작용하기 때문입니다. FPD와 FID는 불꽃을 이용하여 검출하는데, 이는 유기화합물 전체를 검출하기 때문에 선택적인 검출이 어렵습니다. TCD는 열전도도를 이용하여 검출하는데, 이는 유기화합물과 상관없이 모든 가스를 검출하기 때문에 선택적인 검출이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흡광광도법에서 사용하는 흡수셀은 오염되기 쉬우므로 미리 깨끗하게 씻은 후 사용하여야 한다. 이 때 흡수셀 세척에 사용되는 용액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사염화탄소 용액
  2. 아세톤 용액
  3. 노르말 헥산 용액
  4. 탄산나트륨용액
(정답률: 알수없음)
  • 흡수셀은 오염되기 쉬우므로 깨끗하게 세척해야 한다. 이때 사용되는 용액은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야 하며, 동시에 흡수셀 자체를 손상시키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탄산나트륨 용액이 가장 적합하다. 이는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뿐만 아니라, 흡수셀을 손상시키지 않는 안전한 용액이기 때문이다. 다른 용액들은 흡수셀을 손상시키거나 오염물질을 제거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어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수분 40%, 고형물 60%인 쓰레기의 유기물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강열감량을 측정하였다. 대상 쓰레기의 유기물 함량(%)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3.5
  2. 22.8
  3. 37.3
  4. 48.7
(정답률: 알수없음)
  • 강열감량법은 쓰레기를 고온에서 연소시켜 총 무게에서 재료의 무게를 뺀 값을 구하여 유기물 함량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문제에서는 쓰레기의 총 무게가 100g이고, 강열감량 후의 무게가 60g이므로 쓰레기의 고형물 함량은 60%이다. 따라서 유기물 함량은 100% - 60% = 40%이다. 이 값을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반올림하면 37.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유도 결합 플라즈마 발광광도법(ICP)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ICP분석장치는 중심에 고온, 고전자 밀도 영역이 형성되어 도넛 형태가 된다.
  2. 플라즈마의 온도는 최고 15,000KDP 이르며 보통 시료는 6,000~8,000K의 고온에 주입된다.
  3. ICP는 알곤 가스를 플라즈마 가스로 사용하여 수정발진식 고주파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주파수 27.13MHZ 영역에서 유도코일에 의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킨다.
  4. 플라즈마는 그 자체가 광원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매우 넓은 농도범위에서 시료를 측정할 수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ICP분석장치는 중심에 고온, 고전자 밀도 영역이 형성되어 도넛 형태가 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ICP는 중심에 고온, 고전자 밀도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맞지만, 이 영역은 도넛 형태가 아니라 원통형입니다. 이는 플라즈마가 유도코일 주위에서 회전하면서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디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은 법(흡광광도법)으로 적자색의 흡광도를 530nm에서 측정하는 항목은?

  1. 크롬
  2. 구리
  3. 비소
  4. 시안
(정답률: 알수없음)
  • 디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은 비소와 결합하여 적자색을 나타내는 화합물이기 때문에, 흡광도를 측정하여 비소의 양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비소"입니다. 크롬, 구리, 시안은 이 항목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대상폐기물의 양이 600톤인 경우, 시료의 최소 수는?

  1. 20
  2. 25
  3. 30
  4. 36
(정답률: 알수없음)
  • 대상폐기물의 양이 600톤이므로, 이를 1톤씩 나누면 600개의 시료가 필요하다. 따라서, 시료의 최소 수는 600개이다.

    600을 약수분해하면 2 x 2 x 2 x 3 x 5 x 5 이므로, 이 중 가장 작은 소수인 2부터 차례대로 나누어보면서 모든 소인수를 포함하는 수를 찾으면 된다.

    2 x 2 x 2 x 3 x 5 = 120 이므로, 시료의 최소 수는 120개가 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120이 없으므로, 다시 약수분해한 결과 중 가장 작은 소수부터 차례대로 나누어보면서 모든 소인수를 포함하는 수를 찾아야 한다.

    2 x 2 x 3 x 5 = 60
    2 x 2 x 3 x 3 x 5 = 180
    2 x 2 x 3 x 3 x 5 x 5 = 900

    위와 같이 계속해서 나누어보면, 36이 가장 작은 수이면서 모든 소인수를 포함하는 수이므로, 시료의 최소 수는 36개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측정하여야 하는 시험 항목은?

  1. 구리
  2. 유기인
  3. 시안
  4. 크롬
(정답률: 알수없음)
  •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은 유기화합물을 분석하는 데에 주로 사용되는 분석 기술이기 때문에, 측정해야 하는 시험 항목은 유기인입니다. 구리, 시안, 크롬은 무기화합물이기 때문에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측정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휘발성 저급염소화 탄화수소류를 가스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운반가스는?

  1. 수소
  2. 산소
  3. 질소
  4. 알곤
(정답률: 알수없음)
  • 운반가스로 질소를 사용하는 이유는 질소가 안정적이며 반응성이 낮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측정하고자 하는 휘발성 저급염소화 탄화수소류를 분리하고 검출하는 과정에서 운반가스로 사용하면 측정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정확한 분석이 가능합니다. 반면 수소나 산소는 화학적으로 매우 활발하므로 측정 대상 물질과 반응하여 측정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알곤은 비싸고 운반과 보관이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의 총칙에 대한 설명이 맞는 것은?

  1. 기밀용기는 취급 또는 저장하는 동안에 밖으로부터의 공기 또는 다른 가스가 침입하지 아니하도록 내용물을 보호하는 용기를 말한다.
  2. “고상폐기물”이라 함은 고형물의 함량이 10%이상인 것을 말한다.
  3. 백분율중 용액 100g중 성분용량(㎖)을 표시할 때는 W/V%로 표시한다.
  4. 십억분율은 ㎎/ℓ, ㎎/㎏ 또는 ppm의 기호를 쓴다.
(정답률: 알수없음)
  • 기밀용기는 내용물을 외부 공기나 가스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용기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흡광광도법에 의한 시안 측정시 넣는 시약중 잔류염소에 의한 영향을 줄이기 위해 가하는 시약은?

  1. 질산(1+4)
  2. 클로라민T
  3. L-아스코르빈산
  4. 초산아연 용액
(정답률: 알수없음)
  • L-아스코르빈산은 잔류염소를 제거하는 화학물질로, 흡광광도법에 의한 시안 측정시에 사용됩니다. 이는 시안과 결합하여 안정적인 화합물을 생성하면서 잔류염소를 제거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L-아스코르빈산은 시안 측정시에 가장 적합한 시약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기름 성분 측정을 위한 노말헥산 추출시험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80°C 로 유지시킨 전기열판 또는 전기맨틀을 사용하여 노말헥산을 날려 보낸다.
  2. 폐기물중의 비교적 휘발 되지 않는 탄화수소와 탄화수소 유도체 및 그리스유상물질이 노말헥산층에 용해되는 성질을 이용한 방법이다.
  3. 노말헥산 추출물질 함량이 낮은 경우 염화제이철용액을 넣고 교반하면서 묽은 염산으로 PH 4이하로 조절한다.
  4. 정량범위는 5 ~ 200 ㎎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80°C 로 유지시킨 전기열판 또는 전기맨틀을 사용하여 노말헥산을 날려 보낸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노말헥산 추출시험에서는 노말헥산을 사용하여 기름 성분을 추출합니다. 따라서 노말헥산을 날려 보내는 것이 아니라, 노말헥산을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은 폐기물공정시험기준(방법)상의 규정이다. A, B, C, D중 가장 큰 수는?

  1. A
  2. B
  3. C
  4. D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A"이다. 이유는 모든 항목에서 "최소 3회 이상"이라는 규정이 있기 때문에, "A"의 경우 3회 이상의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기 때문이다. 다른 항목들은 3회 이상의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A"가 가장 큰 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PH시험방법에 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PH는 수소이온농도를 그 역수의 자연대수로써 나타내는 값이다.
  2. PH는 보통 유리전극과 비교전극으로 된 PH미터를 사용하며 양 전극간의 기전력 차이를 이용한다.
  3. PH미터는 임의의 한 종류의 PH표준용액에 대하여 검출부를 물로 잘 씻은 다음, 5회 되풀이하여 PH를 측정하였을 때 그 재현성이 ± 0.05이내인 것을 쓴다.
  4. PH 11이상의 시료는 오차가 크므로 알카리에서 오차가 적은 특수전극을 쓰고 필요한 보정을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PH미터는 임의의 한 종류의 PH표준용액에 대하여 검출부를 물로 잘 씻은 다음, 5회 되풀이하여 PH를 측정하였을 때 그 재현성이 ± 0.05이내인 것을 쓴다."이 부분이 틀린 설명입니다. PH미터는 보통 2개의 전극을 사용하며, 측정 대상인 시료의 수소이온농도를 측정하여 PH값을 계산합니다.

    PH는 수소이온농도를 그 역수의 로그값으로 나타내는 값입니다. 즉, PH = -log[H+]입니다. 이는 수소이온농도가 10배씩 증가할 때마다 PH값은 1씩 감소합니다.

    따라서, PH미터는 보통 유리전극과 비교전극으로 된 PH미터를 사용하며 양 전극간의 기전력 차이를 이용하여 시료의 수소이온농도를 측정하여 PH값을 계산합니다. PH 11이상의 시료는 오차가 크므로 알카리에서 오차가 적은 특수전극을 쓰고 필요한 보정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폐기물 관계 법규

61. 매립시설의 설치검사기준 중 차단형 매립시설에 대한 검사항목이 아닌 것은?

  1. 바닥과 외벽의 압축강도, ENrp
  2. 내부막의 구획면적, 매립가능용적, 두계, 압축강도
  3. 빗물유입 방지시설 및 덮개설치내역
  4. 차수시설의 재질, 두께, 투수계수
(정답률: 알수없음)
  • 차단형 매립시설은 지하수 오염을 막기 위해 설치되는 시설로, 지하수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차단형 매립시설의 검사항목으로는 지하수 오염을 막기 위한 기능적인 측면이 중요합니다. 이에 반해 "차수시설의 재질, 두께, 투수계수"는 차단형 매립시설의 기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항목으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지정폐기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광재는 모두 지정폐기물에 해당한다.
  2. 폐산의 경우 수소이온농도지수가 3.0이하인 것은 지정폐기물로 분류된다.
  3. 분진은 소각시설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한정한다.
  4.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 함유 폐기물에서 1리터당 2밀리그램 이상 함유한 액체상태의 것은 지정폐기물에 해당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 함유 폐기물에서 1리터당 2밀리그램 이상 함유한 액체상태의 것은 지정폐기물에 해당한다. 이유는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은 위험물질로 분류되어 있고, 1리터당 2밀리그램 이상 함유하면 환경오염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폐기물처리업의 업종구분과 영업내용의 범위를 벗어나는 영업을 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

  1.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함
  2.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함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함
  4.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함
(정답률: 알수없음)
  • 폐기물처리업은 환경보호와 관련된 중요한 업종으로, 영업내용의 범위를 벗어나는 영업을 하면 환경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벌칙이 부과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가벼운 벌칙인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함"은, 범죄의 종류와 범위에 따라 다양한 벌칙이 부과될 수 있는 형법상의 일반적인 원칙에 따라 결정된 것입니다. 즉, 폐기물처리업의 업종구분과 영업내용의 범위를 벗어나는 영업을 한 자는 범죄의 종류와 범위에 따라 다양한 벌칙이 부과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가벼운 벌칙이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함"이라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폐기물 처리업자가 폐기물의 수집. 운반. 처리상황 등을 기록한 장부의 보존기간은? (단, 최종 기재일 기준)

  1. 1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률: 알수없음)
  • 폐기물 처리업자는 환경부의 규정에 따라 폐기물의 수집, 운반, 처리과정을 기록한 장부를 작성해야 합니다. 이 장부는 환경부나 관련 기관에서 검토나 감사를 위해 제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폐기물 처리과정의 투명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폐기물 처리업자는 폐기물 처리과정을 기록한 장부를 3년간 보존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폐기물 처리시설의 중간처리시설 중 소각시설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열분해시설(가스화 시설을 포함한다)
  2. 용융시설
  3. 일반 소각시설
  4. 고온 소각시설
(정답률: 알수없음)
  • 용융시설은 폐기물을 녹여서 재활용 가능한 금속 등의 재료로 분리하는 시설로, 폐기물을 소각하지 않기 때문에 소각시설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반면, 열분해시설, 일반 소각시설, 고온 소각시설은 모두 폐기물을 소각하여 처리하는 시설로, 중간처리시설 중 소각시설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의료폐기물 발생 의료기관 및 시험 검사기관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의사법에 따른 동물 병원
  2. 검역법에 따른 검역소
  3. 노인복지법에 따른 병상이 10개 이상인 노인요양시설
  4. 의료법에 따라 설치된 기업체의 부속 의료기관으로서 면적이 100제곱미터 이상인 의무시설
(정답률: 알수없음)
  • 노인복지법에 따른 병상이 10개 이상인 노인요양시설은 의료기관이 아니므로 옳지 않은 것이다. 이 시설은 노인들의 일상생활을 지원하고 건강관리를 위한 시설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은 폐기물재활용신고자의 준수하상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기준은?

  1. 6개월
  2. 1년
  3. 2년
  4. 3년
(정답률: 알수없음)
  • 폐기물재활용신고자는 ( )마다 신고를 해야 하기 때문에, 1년이라는 기준은 매년 신고를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한 폐기물 에너지 회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다른물질과 혼합하지 아니하고 해당 폐기물의 저위발열량이 3,000kcal/kg이상일 것
  2. 에너지의 회수효유율(회수에너지 총량을 투입에너지 총량으로 나눈 비율)이 75% 이상일 것
  3. 회수열을 모두 열원으로 스스로 이용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공급할 것
  4. 환경부장관이 정하는 고시하는 경우에는 폐기물의 50%이상을 원료나 재료로 재활용하고 그 나머지 중에서 에너지의 회수에 이용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환경부장관이 정하는 고시하는 경우에는 폐기물의 50%이상을 원료나 재료로 재활용하고 그 나머지 중에서 에너지의 회수에 이용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 환경부장관이 정하는 고시에 따라 폐기물의 재활용과 에너지 회수 비율이 결정되기 때문에, 이 기준은 유동적이며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기준은 절대적인 기준이 아니며, 환경부장관이 정하는 고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폐기물 관리법에서 적용되는 용어의 정의로 틀린 것은?

  1. “지정폐기물”이란 사업장폐기물 중 폐유.폐산 등 주변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거나 의료 폐기물 등 인체에 위해를 줄 수 있는 해로운 물질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폐기물을 말한다.
  2. “생활폐기물”이란 사업장폐기물 외의 폐기물을 말한다.
  3. “폐기물 감량화시설”이란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양을 줄이고 사업장 내 재활용을 통하여 폐기물배출을 최소화하는 시설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을 말한다.
  4. “폐기물처리시설”이라 함은 폐기물의 수집, 운반시설, 폐기물의 중간처리 시설, 최종처리 시설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시설을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생활폐기물”이란 사업장폐기물 외의 폐기물을 말한다."이다. 생활폐기물은 일반 가정이나 공공시설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말하며,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은 사업장폐기물로 분류된다. 나머지 용어들은 정확하게 정의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폐기물발생억제지침 준수의무대상 배출자의 규모 기준으로 맞는 것은?

  1. 최근 2년간 연평균 배출량을 기준으로 지정폐기물 외의 폐기물을 200톤 이상 배출하는 자
  2. 최근 2년간 연평균 배출량을 기준으로 지정폐기물 외의 폐기물을 1,000톤 이상 배출하는 자
  3. 최근 3년간 연평균 배출량을 기준으로 지정폐기물 외의 폐기물을 200톤 이상 배출하는 자
  4. 최근 3년간 연평균 배출량을 기준으로 지정폐기물 외의 폐기물을 1,000톤 이상 배출하는 자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최근 3년간 연평균 배출량을 기준으로 지정폐기물 외의 폐기물을 1,000톤 이상 배출하는 자"입니다. 이유는 폐기물발생억제지침에서는 대규모 배출자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기 위해 최근 3년간 연평균 배출량을 기준으로 지정폐기물 외의 폐기물을 1,000톤 이상 배출하는 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는 대규모 배출자일수록 폐기물 발생량이 많아서 더욱 더 규제가 필요하다는 판단에서 나온 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폐기물처리업의 변경허가를 받아야 할 중요사항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집·운반·처리대상 폐기물의 변경
  2. 운반차량(임시차량 포함)의 증차
  3. 주차장 소재지의 변경(지정폐기물을 대상으로 하는 수집·운반업만 해당)
  4. 매립시설 제방의 증·개축
(정답률: 알수없음)
  • 운반차량(임시차량 포함)의 증차는 폐기물처리업의 변경허가를 받아야 할 중요사항 중 하나이다. 이유는 운반차량의 증차는 처리능력의 증대와 직결되기 때문에, 이에 따른 환경오염의 위험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운반차량의 증차는 환경오염을 예방하기 위해 규제되고 있으며, 변경허가를 받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폐기물 통계조사는 몇 년마다 실시하는가?

  1. 3년
  2. 5년
  3. 7년
  4. 10년
(정답률: 알수없음)
  • 폐기물 통계조사는 5년마다 실시됩니다. 이는 폐기물 발생 현황을 파악하고, 폐기물 관리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폐기물 발생량의 변화 추이를 파악하여 환경 문제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는 데에도 활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의료폐기물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격리의료폐기물
  2. 위해의료폐기물
  3. 특정의료폐기물
  4. 일반의료폐기물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일반의료폐기물"입니다.

    일반의료폐기물은 의료기관에서 발생하는 일반적인 폐기물로서, 의료행위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일반적인 폐기물을 말합니다.

    반면, 격리의료폐기물은 감염성이 있는 폐기물, 위해의료폐기물은 유해한 화학물질이나 방사성 물질 등을 포함한 폐기물, 특정의료폐기물은 인체조직, 혈액, 체액 등과 같이 특정한 의료행위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사후 관리 항목 및 방법에 따라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매립시설이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합 보고서를 매립시설 사용 종료신고 후 몇 년마다 작성하여야 하는가?

  1. 매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률: 알수없음)
  • 매립시설은 사후 관리가 중요하며, 매립시설 사용 종료신고 후 일정 기간마다 종합 보고서를 작성하여야 합니다. 이 기간은 매년, 2년, 3년, 5년 등이 될 수 있지만, 보통 매립시설의 영향이 오랜 기간에 걸쳐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5년마다 작성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폐기물 처리 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폐기물의 수집·운반·보관 및 그 장비·용기 등의 개선에 관한 사항
  2. 재원의 확보 계획
  3.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현황과 향후 설치 계획
  4. 폐기물 발생 현환과 향후 관리 계획
(정답률: 알수없음)
  • 폐기물 처리 기본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은 폐기물의 수집, 운반, 보관 및 그 장비, 용기 등의 개선에 관한 사항, 재원의 확보 계획, 폐기물 처리시설의 설치현황과 향후 설치 계획, 그리고 폐기물 발생 현환과 향후 관리 계획입니다. 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폐기물 발생 현환과 향후 관리 계획입니다. 이는 폐기물 처리 기본계획의 장기적인 목표와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다른 사항들은 보다 구체적인 계획 수립을 위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토지이용의 제한 기간은 폐기물매립시설의 사용이 종료되거나 그 시설이 폐쇄된 날부터 몇 년 이내로 하는가?

  1. 10년 이내
  2. 15년 이내
  3. 20년 이내
  4. 25년 이내
(정답률: 알수없음)
  • 폐기물매립시설은 환경오염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토지이용의 제한 기간을 둡니다. 이 기간은 폐기물매립시설의 사용이 종료되거나 그 시설이 폐쇄된 날부터 몇 년 이내로 하는데, 이는 폐기물이 자연적으로 분해되는 시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20년 이내"가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폐기물처리업의 업종구분과 그에 따른 영업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폐기물중간처리업 : 폐기물 중간처리시설을 갖추고 폐기물을 소각처리, 기계적 처리, 화학적 처리, 생물학적 처리, 그 밖에 환경부장관이 폐기물을 안전하게 중간처리 할 수 있다고 인정하여 고시하는 방법으로 중간처리(생활폐기물을 재활용하는 경우는 제외)하는 영업
  2. 폐기물최종처리업 : 폐기물최종처리시설을 갖추고 폐기물을 매립 등(해역 배출은 제외)의 방법으로 최종처리하는 영업
  3. 폐기물수집. 운반업 : 폐기물을 수집하여 처리장소로 운반하는 영업
  4. 폐기물종합처리업 : 폐기물처리시설을 갖추고 폐기물을 수집·운반하여 폐기물의 중간처리와 최종처리를 종합적으로 하는 영업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폐기물중간처리업 : 폐기물 중간처리시설을 갖추고 폐기물을 소각처리, 기계적 처리, 화학적 처리, 생물학적 처리, 그 밖에 환경부장관이 폐기물을 안전하게 중간처리 할 수 있다고 인정하여 고시하는 방법으로 중간처리(생활폐기물을 재활용하는 경우는 제외)하는 영업"이 옳지 않은 것이다.

    폐기물처리업은 폐기물을 처리하는 방법에 따라 중간처리업, 최종처리업, 수집. 운반업, 종합처리업으로 구분된다. 폐기물중간처리업은 폐기물을 중간처리하는 영업으로, 폐기물을 소각, 기계적 처리, 화학적 처리, 생물학적 처리 등의 방법으로 처리한다. 따라서 폐기물종합처리업이 폐기물처리시설을 갖추고 폐기물을 수집·운반하여 폐기물의 중간처리와 최종처리를 종합적으로 하는 영업이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동물성 잔재물과 의료폐기물 중 조직물류폐기물 등 부패·변질의 우려가 있는 폐기물의 처리명령대상이 되는 조업중단기간 기준은?

  1. 3일
  2. 7일
  3. 10일
  4. 15일
(정답률: 알수없음)
  • 조업중단기간 기준은 해당 폐기물의 부패·변질 우려가 있는 정도에 따라 다르며, 동물성 잔재물과 의료폐기물은 3일, 조직물류폐기물 등 부패·변질의 우려가 있는 폐기물은 15일이다. 이는 해당 폐기물이 부패·변질하여 환경오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기간을 고려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영업정지 기간에 영업을 한 폐기물처리업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

  1.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2.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4.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오백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알수없음)
  • 영업정지 기간 동안 영업을 하는 것은 불법이므로, 이를 위반한 폐기물처리업자에 대해서는 처벌이 필요합니다. 이에 따라서, 영업정지 기간에 영업을 한 폐기물처리업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입니다. 이는 관련 법령에서 정한 벌칙 기준으로, 영업정지 기간 동안 영업을 하는 것은 경제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막기 위해 벌칙이 부과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환경부장관, 시·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이 광역폐기물 처리시설의 설치 또는 운영을 위탁할 수 있는 자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한국환경자원공사
  2. 지방자치법에 의한 지방자치단체조합으로서 폐기물의 광역처리를 위하여 설립된 조합
  3. 광역폐기물처리업 영업을 허가 받은 자
  4. 해당 광역폐기물처리시설을 시공한 자(그 시설의 운영을 위탁하는 경우에만 해당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환경부장관, 시·도지사 또는 시장·군수·구청장이 광역폐기물 처리시설의 설치 또는 운영을 위탁할 수 있는 자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해당 광역폐기물처리시설을 시공한 자(그 시설의 운영을 위탁하는 경우에만 해당한다)"입니다. 이유는 광역폐기물 처리시설을 시공한 자는 시설의 건설과 관련된 기술과 경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운영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들이 운영을 위탁받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됩니다. 그러나 이들이 광역폐기물처리업 영업을 허가 받은 자가 아니라면, 운영을 위탁받을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