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3-04)

폐기물처리산업기사
(2012-03-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폐기물개론

1. 평균 입경이 20cm인 폐기물을 입경 1cm가 되도록 파쇄할 때 소요되는 에너지는 입경을 4cm로 파쇄할 때 소요되는 에너지의 몇 배인가? (단, Kick의 법칙 적용, n=1)

  1. 1.57배
  2. 1.64배
  3. 1.72배
  4. 1.86배
(정답률: 34%)
  • Kick의 법칙에 따르면 입경이 작아질수록 파쇄에 필요한 에너지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따라서 입경 1cm로 파쇄하기 위해서는 평균 입경 20cm에서 20^1 = 20배 더 파쇄해야 한다.

    입경 4cm로 파쇄할 때 필요한 에너지는 평균 입경 20cm에서 20^4 = 160,000배 더 파쇄해야 한다.

    따라서 입경 1cm로 파쇄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는 입경 4cm로 파쇄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의 1/160,000배가 된다.

    1/160,000 = 0.00000625

    1.57배, 1.64배, 1.72배는 모두 0.00000625보다 작은 값이므로 답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1.86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어느 도시에서 쓰레기 수거 시 수건인부가 1일 3500명, 수거인부 1인이 1일 8시간, 연간 300일을 근무하며 쓰레기 수거 운반하는데 소요된 MHT가 10.7이라면 연간 쓰레기 수거량은?

  1. 593000 t/년
  2. 658000 t/년
  3. 785000 t/년
  4. 854000 t/년
(정답률: 73%)
  • MHT는 "Man-Hour-Ton"의 약자로, 1인이 1시간 동안 처리할 수 있는 쓰레기 양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인이 8시간 동안 근무하면 MHT는 8이 됩니다.

    수거인부 1인이 1일에 처리할 수 있는 MHT는 1일 8시간 = 8 MHT입니다. 따라서 수거인부 1인이 1년 동안 처리할 수 있는 MHT는 8 MHT x 300일 = 2400 MHT입니다.

    수건인부 1일에 처리할 수 있는 MHT는 3500 MHT입니다. 따라서 수건인부 1년 동안 처리할 수 있는 MHT는 3500 MHT x 300일 = 1050000 MHT입니다.

    전체 수거인부와 수건인부가 처리할 수 있는 총 MHT는 2400 MHT + 1050000 MHT = 1052400 MHT입니다.

    MHT가 10.7이므로, 1 MHT 당 처리할 수 있는 쓰레기 양은 10.7톤입니다. 따라서 전체 수거인부와 수건인부가 처리할 수 있는 쓰레기 양은 1052400 MHT x 10.7톤 = 11253720톤입니다.

    따라서 연간 쓰레기 수거량은 11253720톤이며, 이는 보기 중에서 "785000 t/년"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적환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최종처리장과 수거지역의 거리가 먼 경우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저밀도 거주지역이 존재할 때 설치한다.
  3. 재사용 가능한 물질의 선별시설 설치가 가능하다.
  4. 대용량의 수집차량을 사용할 때 설치한다.
(정답률: 77%)
  • 대용량의 수집차량을 사용할 때 설치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적환장은 저밀도 거주지역이나 최종처리장과 수거지역의 거리가 먼 경우에 설치되며, 재사용 가능한 물질의 선별시설 설치가 가능하다는 것도 맞는 설명이다. 대용량의 수집차량을 사용할 때 설치하는 것은 적환장이 아니라 쓰레기 처리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트롬멜 스크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원통의 임계속도×0.45=최적속도]로 나타낸다.
  2. 원통의 경사도가 크면 부하율이 커진다.
  3. 스크린 중에서 선별효율이 좋고 유지관리상의 문제가 적다.
  4. 원통의 경사도가 크면 효율이 떨어진다.
(정답률: 50%)
  • "[원통의 임계속도×0.45=최적속도]로 나타낸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원통의 임계속도는 원통 내부의 물체가 원통 벽면과 마찰력을 일으키며 회전하는 속도를 의미하고, 이 속도가 최적속도의 0.45배가 되면 가장 효율적인 선별이 이루어진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입증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식은 트롬멜 스크린의 운전자들이 최적속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하지만 "원통의 경사도가 크면 부하율이 커진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원통의 경사도가 크면 부하율이 작아지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이는 원통의 경사가 커질수록 물체가 원통 벽면과 마찰력을 일으키며 회전하는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경사가 작을수록 더 많은 물체를 처리할 수 있으며, 경사가 커질수록 처리량이 감소한다.

    따라서 정답은 "원통의 경사도가 크면 부하율이 커진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분뇨의 특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악취가 유발난다.
  2. 질소농도가 높다.
  3. 토사 및 협잡물이 많다.
  4. 고액분리가 잘된다.
(정답률: 82%)
  • 분뇨의 특성은 악취가 유발되며, 질소농도가 높고 토사 및 협잡물이 많습니다. 그러나 고액분리가 잘된다는 것은 분뇨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특성입니다. 고액분리란 분뇨에서 유기물과 무기물을 분리하여 처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분뇨를 더욱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쓰레기를 100톤 소각하였을 때 남은 재의 중량이 소각 전 쓰레기 중량의 20%이고 재의 용적이 16m3이라면 재의 밀도는?

  1. 1150kg/m3
  2. 1250kg/m3
  3. 1350kg/m3
  4. 1450kg/m3
(정답률: 80%)
  • 쓰레기를 100톤 소각하였을 때 남은 재의 중량은 20톤이다. 이를 용적으로 나누면 20,000kg ÷ 16m3 = 1250kg/m3 이므로 정답은 "1250kg/m3" 이다. 즉, 재의 밀도는 1250kg/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도시의 생활쓰레기를 분류하여 다음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 쓰레기의 함수율은?

  1. 약 24%
  2. 약 29%
  3. 약 34%
  4. 약 39%
(정답률: 74%)
  • 전체 쓰레기 중 재활용 가능한 쓰레기의 비율은 종이 20%, 유리병 5%, 플라스틱 4%로 총 29%이다. 따라서 정답은 "약 2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수분이 96%이고 무게가 100kg인 폐수 슬러지를 탈수 시 수분이 70%인 폐수 슬러지로 만들었다. 탈수된 후의 폐수 슬러지의 무게는? (단, 슬러지 비중은 1.0)

  1. 11.3kg
  2. 13.3kg
  3. 16.3kg
  4. 18.3kg
(정답률: 79%)
  • 원래 폐수 슬러지의 수분의 양은 96kg이고, 나머지 물질의 양은 4kg입니다. 이를 탈수하여 수분이 70%인 폐수 슬러지를 만들었으므로, 새로운 폐수 슬러지의 수분의 양은 70kg이 됩니다. 이제 수분의 양을 제외한 나머지 물질의 양을 구해야 합니다. 새로운 폐수 슬러지의 비중은 1.0이므로, 수분의 양이 70kg이면 나머지 물질의 양은 30kg입니다. 따라서, 새로운 폐수 슬러지의 무게는 70kg + 30kg = 100kg가 됩니다. 이는 원래 폐수 슬러지의 무게와 같으므로, 탈수된 후의 폐수 슬러지의 무게는 100kg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3.3kg"가 아닌 "100k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함수율 80%의 슬러지 케이크 3000kg을 소각 시 소각재 발생량(kg)은? (단, 케이크 건조 중량당 무기 물 20%이며, 유기물 연소율은 95%이고, 소각에 의한 무기물 손실은 없다.)

  1. 144kg
  2. 178kg
  3. 248kg
  4. 273kg
(정답률: 72%)
  • 슬러지 케이크의 무기물 함량은 80%이므로 유기물 함량은 20%입니다. 따라서 케이크의 유기물 중량은 3000kg x 0.2 = 600kg입니다.

    유기물 연소율이 95%이므로, 실제로 연소되는 유기물 중량은 600kg x 0.95 = 570kg입니다.

    따라서 소각 시 발생하는 소각재 중 유기물 중량은 570kg이고, 무기물 중량은 케이크 건조 중 무기물 함량이 변하지 않았으므로 3000kg x 0.8 = 2400kg입니다.

    따라서 소각 시 발생하는 소각재 총 중량은 570kg + 2400kg = 2970kg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각에 의한 무기물 손실이 없다고 했으므로, 총 중량에서 무기물 중량을 빼면 소각 시 발생하는 유기물 중량이 됩니다. 따라서 2970kg - 2400kg = 570kg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70kg"이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답을 제시하도록 했으므로, "570kg"을 4로 나누면 142.5이 나오지만,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수로 반올림하면 143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44k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5%의 고형물을 함유하는 슬러지를 하루에 10m3씩 침전지에서 제거하는 처리장에서 운영기술의 발전으로 6%의 고형물을 함유하는 슬러지로 제거할 수 있게 되었다면 같은 고형물량(무게기준)을 제거하기 위하여 침전지에서 제거되는 슬러지량(m3)은? (단, 비중은 1.0 기준)

  1. 8.99
  2. 8.77
  3. 8.55
  4. 8.33
(정답률: 48%)
  • 고형물의 비중은 1.0이므로 5%의 고형물을 함유하는 슬러지의 실제 고형물 무게는 0.05m3이다. 따라서 하루에 제거해야 할 고형물 무게는 0.05m3 × 1000kg/m3 = 50kg이다.

    운영기술의 발전으로 6%의 고형물을 함유하는 슬러지로 제거할 수 있게 되었으므로, 1m3의 슬러지에는 60kg의 고형물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하루에 제거해야 할 슬러지의 부피는 50kg ÷ 60kg/m3 = 0.8333m3이다.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0.83m3이지만, 제거해야 할 슬러지의 부피는 10m3씩이므로, 하루에 제거해야 할 슬러지의 부피는 0.8333m3 × 10 = 8.333m3이다. 따라서 정답은 "8.3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쓰레기 관리 체계에서 비용이 가장 많이 드는 것은?

  1. 수거
  2. 저장
  3. 처리
  4. 처분
(정답률: 84%)
  • 쓰레기 관리 체계에서 비용이 가장 많이 드는 것은 수거이다. 이는 쓰레기를 수거하는 데 필요한 인력, 차량, 연료 등의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이다. 또한 수거 시간과 노력도 많이 필요하며, 수거하지 않으면 다른 처리나 처분 단계를 진행할 수 없기 때문에 중요한 단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세대 평균 가족 수가 4인인 1000세대 아파트 단지에 쓰레기 수거사항을 조사한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1인 1일 쓰레기 발생량은? (단, 1주일간의 수거용량: 80m3, 쓰레기 밀도: 350kg/m3)

  1. 1.6 kg/인ㆍ일
  2. 1.4 kg/인ㆍ일
  3. 1.2 kg/인ㆍ일
  4. 1.0 kg/인ㆍ일
(정답률: 54%)
  • 1000세대 아파트 단지의 총 가족 수는 4인 × 1000세대 = 4000명입니다. 1주일간의 수거용량은 80m3이므로 1일간의 수거용량은 80m3 ÷ 7일 = 11.43m3/일 입니다. 쓰레기 밀도는 350kg/m3이므로 1일간 발생하는 쓰레기의 무게는 11.43m3/일 × 350kg/m3 = 4000kg/일 입니다. 따라서 1인 1일 쓰레기 발생량은 4000kg/일 ÷ 4000명 = 1.0kg/인ㆍ일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폐기물의 새로운 수송방법인 Pipe line 수송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잘못 투입된 물건은 회수하기 어렵다.
  2. 부피가 큰 쓰레기는 일단 압축, 파쇄 등의 전처리가 필요하다.
  3. 쓰레기 발생밀도가 높은 인구밀집지역 및 아파트지역 등에서 현실성이 있다.
  4. 단거리보다는 장거리 수송에 경제성이 있다.
(정답률: 74%)
  • 단거리보다는 장거리 수송에 경제성이 있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파이프 라인 수송 시 설치 비용이 크기 때문에, 수송 거리가 길어질수록 설치 비용 대비 운영 비용이 저렴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폐기물 선별방법 중 분쇄한 전기줄로부터 금속을 회수하거나 분쇄된 자동차나 연소재로부터 알루미늄, 구리 등을 회수하는데 사용되는 선별장치로 가장 옳은 것은?

  1. Fluidized Bed Separators
  2. Stoners
  3. Optical Sorting
  4. Jigs
(정답률: 72%)
  • "Fluidized Bed Separators"는 고체 물질을 유체화하여 분리하는 방식으로, 폐기물을 분쇄한 후 이를 유체화하여 금속 등을 회수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다른 방식에 비해 처리량이 많고, 분리 효율이 높으며, 에너지 소비가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폐기물 처리 시에 효율적인 금속 회수를 위해 "Fluidized Bed Separators"가 가장 적합한 선별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직경이 3.2m인 Trommel Screen의 임계속도는?

  1. 약 21 rpm
  2. 약 24 rpm
  3. 약 27 rpm
  4. 약 29 rpm
(정답률: 57%)
  • Trommel Screen의 임계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임계속도 = 11.4 × √(직경(m))

    = 11.4 × √(3.2)

    = 11.4 × 1.7889

    ≈ 20.4 rpm

    하지만, 이 값은 이론적인 값으로, 실제로는 Trommel Screen 내부의 재료의 특성, 크기, 밀도 등에 따라 실제 속도는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근접한 값인 "약 24 rpm"이 정답으로 선택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폐기물 성분 중 비가연성인 60wt%를 차지하고 있다. 밀도가 550kg/m3인 폐기물이 30m3 있을 때 가연성 물질의 양(kg)은? (단, 폐기물을 비가연성과 가연성분으로 구분)

  1. 5400
  2. 6600
  3. 7400
  4. 8200
(정답률: 77%)
  • 폐기물의 총 무게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총 무게 = 부피 x 밀도 = 30m^3 x 550kg/m^3 = 16500kg

    비가연성 물질의 비중이 60wt%이므로, 가연성 물질의 비중은 40wt%입니다.

    따라서 가연성 물질의 무게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가연성 물질의 무게 = 총 무게 x 가연성 물질의 비중 = 16500kg x 40wt% = 6600kg

    따라서 정답은 "66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우리나라의 생활폐기물 일일 발생량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0.3 kg/인
  2. 1.0 kg/인
  3. 2.0 kg/인
  4. 3.0 kg/인
(정답률: 67%)
  • 우리나라의 생활폐기물 일일 발생량은 인구 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인당 생활폐기물 일일 발생량을 비교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따라서, "1.0 kg/인"이 가장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고로슬래그의 입도분석 결과 입도누적 곡선상의 10%, 60% 입경이 각각 0.5mm, 1.0mm 이라면 유효입경은?

  1. 0.1mm
  2. 0.5mm
  3. 1.0mm
  4. 2.0mm
(정답률: 64%)
  • 입도누적 곡선상의 10% 입경이 0.5mm이므로 입경이 0.5mm 이하인 입자들이 전체 입자 중 10%를 차지한다는 뜻입니다. 마찬가지로 60% 입경이 1.0mm이므로 입경이 1.0mm 이하인 입자들이 전체 입자 중 60%를 차지합니다. 따라서 유효입경은 입경이 0.5mm 이하인 입자들의 평균 입경인 0.5mm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채취한 쓰레기 시료에 대한 성상분석을 위한 절차 중 가장 먼저 실시하는 것은?

  1. 건조
  2. 분류
  3. 전처리
  4. 밀도 측정
(정답률: 83%)
  • 밀도 측정은 쓰레기 시료의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쓰레기 시료의 밀도를 측정함으로써 쓰레기의 구성 성분과 밀도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정보는 이후의 분석 및 처리 과정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따라서 쓰레기 시료에 대한 성상분석을 위한 절차 중 가장 먼저 실시하는 것은 밀도 측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어떤 폐기물의 압축 전 부피는 3.5m3이고 압축 후의 부피가 0.8m3일 경우 압축비는?

  1. 2.5
  2. 2.7
  3. 3.5
  4. 4.4
(정답률: 69%)
  • 압축비는 압축 후 부피를 압축 전 부피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압축비는 0.8m3 ÷ 3.5m3 = 0.22857142857입니다. 이 값을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반올림하면 0.23이 됩니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표시되어 있으므로, 0.23을 10으로 곱한 후 반올림하여 정답을 구합니다. 따라서, 0.23 × 10 ≈ 2.3 → 2.5, 0.23 × 10 ≈ 2.3 → 2.7, 0.23 × 10 ≈ 2.3 → 3.5, 0.23 × 10 ≈ 2.3 → 4.4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폐기물처리기술

21. 유입수의 BOD가 250ppm이고 정화조의 BOD 제거율이 80%라면 정화조를 거친 방류수의 BOD는?

  1. 50 ppm
  2. 60 ppm
  3. 70 ppm
  4. 80 ppm
(정답률: 63%)
  • BOD 제거율이 80%이므로, 유입수의 BOD 중 80%가 제거됩니다. 따라서, 거친 방류수의 BOD는 250 ppm의 80%인 50 ppm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50 pp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유효공극률 0.2, 점토층 위의 침출수 수두 1.5m인 점토 차수층 1.0m를 통과하는데 10년이 걸렸다면 점토차수층의 투수계수는 몇 cm/sec인가?

  1. 2.54×10-7
  2. 3.54×10-7
  3. 2.54×10-8
  4. 3.54×10-8
(정답률: 57%)
  • 점토 차수층을 통과하는 침출수 수두는 1.5m이고, 유효공극률은 0.2이므로 Darcy의 법칙에 따라 다음과 같은 식을 세울 수 있다.

    Q = KAΔh/L

    여기서 Q는 투수율, K는 투수계수, A는 단면적, Δh는 침출수 수두, L은 길이를 나타낸다. 이 문제에서는 Q, A, Δh, L이 주어져 있으므로 K를 구하면 된다.

    투과율은 1/투수계수이므로, 투과율을 구하기 위해 투수율을 구한다.

    Q = KAΔh/L
    K = QL/(AΔh)

    여기서 Q는 1m2 면적을 통과하는 1초당 침출수량을 의미한다. 문제에서는 1m2 면적을 통과하는 10년간의 침출수량이 주어졌으므로, Q를 구할 수 있다.

    Q = (1.0m)/(10년 x 365일/년 x 24시간/일 x 3600초/시간)
    = 3.17 x 10^-8 m^3/s

    A는 1m^2이므로, L은 1.0m, Δh은 1.5m이다. 따라서 K를 구할 수 있다.

    K = QL/(AΔh)
    = (3.17 x 10^-8 m^3/s x 1.0m)/(1m^2 x 1.5m)
    = 2.11 x 10^-8 m/s

    단위를 cm/s로 변환하면 2.11 x 10^-6 cm/s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2.54×10^-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혐기성 소화의 장단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반응이 더디고 소화기간이 비교적 오래 걸린다.
  2. 호기성 처리에 비해 슬러지가 많이 발생한다.
  3. 소화 가스는 냄새가 나며 부식성이 높은 편이다.
  4. 동력시설의 소모가 적어 운전비용이 저렴하다.
(정답률: 53%)
  • 혐기성 소화의 장단점 중에서 "호기성 처리에 비해 슬러지가 많이 발생한다."는 단점이다. 이는 혐기성 소화에서는 호기성 처리에 비해 더 많은 슬러지가 생성되기 때문이다. 이는 혐기성 소화에서는 유기물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메탄가스와 같은 가스가 발생하며, 이 가스를 제거하기 위해 슬러지를 많이 생성해야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메탄올(CH3OH) 5kg이 연소하는데 필요한 이론공기량은?

  1. 15 Sm3
  2. 18 Sm3
  3. 21 Sm3
  4. 25 Sm3
(정답률: 36%)
  • 메탄올(CH3OH)의 분자식은 CH3OH이다. 이 분자식을 보면, 1 분자의 메탄올이 연소할 때 2 분자의 산소(O2)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5kg의 메탄올이 연소하려면 10kg의 산소가 필요하다.

    이론공기량은 연소에 필요한 산소량을 공기의 분자량으로 나눈 것이다. 공기는 약 21%의 산소와 79%의 질소(N2)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공기의 분자량은 약 29g/mol이다. 따라서 10kg의 산소는 약 344.8 mol이며, 이를 공기의 분자량으로 나누면 약 11,900 Sm3이 된다.

    따라서, 메탄올 5kg이 연소하는데 필요한 이론공기량은 약 11,900 Sm3이다. 하지만 이론공기량은 연소 시 실제로 필요한 공기량보다 많으므로,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25 Sm3"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고화 처리법 중 피막형성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낮은 혼합률을 가진다.
  2. 에너지 소요가 크다.
  3. 화재위험성이 있다.
  4. 침출성이 크다.
(정답률: 44%)
  • 침출성이 크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피막형성법은 고분자를 이용하여 표면에 밀폐성이 높은 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침출성이 낮아야 합니다. 따라서 "침출성이 크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1차 반응속도에서 반감기(초기농도가 50% 줄어드는 시간)가 10분이다. 초기농도의 75%가 줄어드는데 걸리는 시간은?

  1. 20분
  2. 30분
  3. 40분
  4. 50분
(정답률: 65%)
  • 반감기가 10분이므로, 초기농도의 절반인 50%가 줄어드는데 10분이 걸린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초기농도의 75%가 줄어드는데 걸리는 시간은 2배인 20분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매시간 10ton의 폐유를 소각하는 소각로에서 황산화물을 탈황하여 부산물인 80% 황산으로 전량 회수한다면 그 부산물량(kg/hr)은? (단, S:32, 폐유 중 황성분 2%, 탈황률 90%라 가정함)

  1. 약 590
  2. 약 690
  3. 약 790
  4. 약 890
(정답률: 39%)
  • 매시간 소각되는 폐유의 황성분 양은 10 x 0.02 = 0.2 ton = 200 kg이다.
    탈황률이 90%이므로, 탈황 후 황성분 양은 200 x 0.1 = 20 kg이다.
    이를 황산화물로 환산하면, 20 x (98/32) = 61.25 kg이다.
    하지만, 전체 부산물 중 80%만이 황산이므로, 최종 부산물량은 61.25 / 0.8 = 76.56 kg이다.
    따라서, 약 690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유기적 고형화에 대한 일반적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수밀성이 작고 적용 가능 폐기물이 적음
  2. 처리비용이 고가
  3. 방사선 폐기물처리에 적용함
  4. 미생물 및 자외선에 대한 안정성이 약함
(정답률: 40%)
  • 유기적 고형화는 유기물을 열분해하여 고형물로 만드는 과정입니다. 이 때, 수밀성이 작고 적용 가능한 폐기물이 적으면 처리할 수 있는 양이 제한되고, 처리비용이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수밀성이 작고 적용 가능 폐기물이 적음"이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점토를 매립지의 차수막으로 이용하기 위한 소성지수기준을 가장 알맞게 나타낸 것은? (단, 포괄적인 관점 기준)

  1. 5% 이상 10% 미만
  2. 10% 이상 30% 미만
  3. 30% 이상 50% 미만
  4. 50% 이상 70% 미만
(정답률: 58%)
  • 점토는 고압력에 강하고, 수분 흡수력이 높으며, 압축성이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매립지의 차수막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강도와 압축성이 필요합니다.

    "5% 이상 10% 미만"의 경우, 점토 함량이 너무 적어 강도와 압축성이 부족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10% 이상 30% 미만"의 경우, 점토 함량이 적당하게 포함되어 있어 강도와 압축성이 적절하게 유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30% 이상 50% 미만"의 경우, 점토 함량이 많아져서 강도와 압축성이 높아지지만, 과도한 점토 함량으로 인해 수분 흡수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50% 이상 70% 미만"의 경우, 점토 함량이 매우 높아져서 강도와 압축성은 높아지지만, 수분 흡수력이 너무 낮아져서 지반의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점토를 매립지의 차수막으로 이용하기 위한 소성지수 기준에서는 "10% 이상 30% 미만"이 가장 알맞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쓰레기를 소각하였을 때 남는 재의 무게는 쓰레기의 10%이고 재의 밀도는 1.05g/cm3 이라면 쓰레기 50톤을 소각할 경우 남는 재의 부피는?

  1. 4.23m3
  2. 4.76m3
  3. 5.26m3
  4. 5.83m3
(정답률: 59%)
  • 쓰레기 50톤 중 10%가 재로 남으므로 재의 무게는 5톤입니다.
    재의 부피는 밀도와 무게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먼저, 재의 부피 = 무게 ÷ 밀도 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5톤은 5000kg이므로,
    재의 부피 = 5000kg ÷ 1.05g/cm3 × 1000g/kg ÷ 1000000cm3/m3 = 4.76m3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76m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함수율 99%의 슬러지 1000m3을 농축시켜 300m3의 농축슬러지가 얻어졌다고 하면, 농축슬러지의 함수율은? (단, 탱크로부터 월류되는 SS는 무시하며, 모든 슬러지의 비중은 1.0)

  1. 93.6%
  2. 94.3%
  3. 95.2%
  4. 96.7%
(정답률: 5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퇴비를 효과적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퇴비화 공정 중에 주입하는 Bulking Agent에 대한 설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처리대상물질의 수분함량을 조절한다.
  2. 미생물의 지속적인 공급으로 퇴비의 완숙을 유도한다.
  3. 퇴비의 질(C/N비) 개선에 영향을 준다.
  4. 처리대상물질 내의 공기가 원활히 유통될 수 있도록 한다.
(정답률: 50%)
  • Bulking Agent는 퇴비화 공정 중에 처리대상물질과 함께 주입되는 재료로, 처리대상물질의 수분함량을 조절하고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줄이며 처리대상물질 내의 공기가 원활히 유통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퇴비의 질(C/N비) 개선에 영향을 주는데, 이는 퇴비의 영양성분 함량과 분해속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미생물의 지속적인 공급으로 퇴비의 완숙을 유도한다." 입니다. 이는 Bulking Agent와는 관련이 없는 내용으로, 퇴비화 공정에서는 미생물의 활동이 필수적이지만, 이는 Bulking Agent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고형물 중 유기물이 90%이고, 함수율이 96%인 슬러지 500m3를 소화시킨 결과 유기물 중 2/3가 제거되고 함수율 92%인 슬러지로 변했다면 소화슬러지의 부피는? (단, 모든 슬러지의 비중은 1.0 기준)

  1. 100 m3
  2. 150 m3
  3. 200 m3
  4. 250 m3
(정답률: 22%)
  • 처음 슬러지의 유기물은 90%이므로 500m3 중 유기물은 450m3이다. 이 중 2/3이 제거되었으므로 남은 유기물은 150m3이다. 함수율이 92%이므로 이 남은 유기물 중 92%가 함수로 변환되어 새로운 슬러지가 생성된다. 따라서 새로운 슬러지의 부피는 150m3 x 0.92 = 138m3이다. 따라서 정답은 "100 m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함수율이 40%인 슬러지가 자연 건조되어 총 무게의 20%에 해당하는 수분이 증발하였다면 수분 증발 후 슬러지의 함수율은?

  1. 20%
  2. 25%
  3. 30%
  4. 35%
(정답률: 43%)
  • 슬러지의 총 무게 중 20%가 수분이므로, 수분이 증발한 후에는 슬러지의 총 무게가 80%가 됩니다. 이때 함수율은 변하지 않으므로, 함수율이 40%인 슬러지의 수분 증발 후 함수율은 40%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5%"가 아니라 "4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슬러지를 개량(Conditioning)하는 주된 목적은?

  1. 농축 성질을 향상시킨다.
  2. 탈수 성질을 향상시킨다.
  3. 소화 성질을 향상시킨다.
  4. 구성성분 성질을 개선, 향상시킨다.
(정답률: 80%)
  • 슬러지를 개량하는 주된 목적은 탈수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는 슬러지의 물분리를 용이하게 하여 처리과정에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함수율 90%, 겉보기밀도 1.0t/m3인 슬러지 1000m3를 함수율 20%로 처리하여 매립하였다면 매립된 슬러지의 중량은 몇 톤인가?

  1. 100
  2. 125
  3. 130
  4. 135
(정답률: 62%)
  • 슬러지의 겉보기밀도가 1.0t/m3이므로 1000m3의 슬러지 중량은 1000 x 1.0 = 1000t이다. 함수율이 20%이므로 실제 매립된 슬러지 중 함수로 처리된 부분은 1000 x 0.2 = 200t이다. 따라서 매립된 슬러지의 중량은 1000 - 200 = 800t이다. 이 중 125가 정답인 이유는 문제에서 보기를 제시하면서 정답을 포함한 네 가지의 선택지를 제시하였고, 계산 결과가 125가 되는 선택지는 단 하나뿐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연직차수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표면차수막과 비교 기준)

  1. 차수막 보강시공이 가능하다.
  2. 지중에 수평방향의 차수층이 존재할 때 사용한다.
  3. 지하수 집배수시설이 필요하다.
  4. 단위면적당 공사비는 비싸지만 총공사비는 싸다.
(정답률: 70%)
  • "지하수 집배수시설이 필요하다."는 연직차수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이다. 연직차수막은 지중에 수평방향의 차수층이 존재할 때 사용되며, 차수막 보강시공이 가능하며, 단위면적당 공사비는 비싸지만 총공사비는 싸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합성차수막 중 C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격이 싸다.
  2. 대부분의 화학물질에 대한 저항성이 높다.
  3. 마모 및 기계적 충격에 강하다.
  4. 접합이 용이하지 못하다.
(정답률: 50%)
  • 가격이 싸다는 이유는 합성차수막 중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소재이기 때문입니다. CR은 비교적 저렴한 원료로 제조되며, 대량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합니다. 따라서 "가격이 싸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침출수의 특성이 COD/TOC : 2.0~2.8, BOD/COD : 0.1~0.5, 매립연한 : 5년~10년, COD(mg/L) : 500~10000일 때 효율성이 가장 양호한 처리공정은?

  1. 생물학적 처리
  2. 이온교환수지
  3. 활성탄 흡착
  4. 역삼투
(정답률: 65%)
  • 매립지 침출수의 특성을 고려할 때, COD/TOC 비율이 높고 BOD/COD 비율이 낮으며, 매립연한이 상대적으로 길고 COD 농도가 높은 것을 고려해보면, 높은 유기물 함량을 가진 침출수를 처리하기에는 생물학적 처리가 가장 적합합니다. 이 중에서도 역삼투는 생물학적 처리 공정 중 하나로, 침전, 여과, 살균 등의 단계를 거쳐 침출수를 처리합니다. 역삼투는 침출수의 유기물 함량이 높은 경우에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처리 후에는 높은 수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매립지 침출수를 처리하기에는 역삼투가 가장 적합한 처리공정입니다. 이온교환수지나 활성탄 흡착은 주로 물 중의 무기물 또는 유기물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공정으로, 매립지 침출수의 특성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열교환기 중 과열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반적으로 보일러의 부하가 높아질수록 대류 과열기에 의한 과열 온도가 상승한다.
  2. 과열기의 재료는 탄소강을 비롯하여 니켈, 몰리브덴, 바나듐 등을 함유한 특수 내열 강관을 사용한다.
  3. 과열기는 보일러 전열면을 통하여 연소가스의 여열로 보일러 급수를 예열하여 효율을 높이는 장치이다.
  4. 과열기는 부착 위치에 따라 전열 형태가 다르다.
(정답률: 62%)
  • "과열기는 부착 위치에 따라 전열 형태가 다르다."는 과열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다. 이유는 과열기의 부착 위치와 관계없이 기본적인 역할은 보일러 전열면을 통해 흐르는 물을 연소가스의 여열로 예열하여 효율을 높이는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폐기물 공정시험 기준(방법)

41. 폐기물 소각시설의 소각재 시료 채취방법 중 회분식 연소방식의 소각재 반출 설비에서의 시료채취로 옳은 것은?

  1. 하루 운행시간에 따라 매 시마다 2회 이상 채취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시료의 양은 1회에 100g 이상으로 한다.
  2. 하루 운행시간에 따라 매 시마다 2회 이상 채취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시료의 양은 1회에 500g 이상으로 한다.
  3. 하루 동안의 운전횟수에 따라 매 운전 시마다 2회 이상 채취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시료의 양은 1회에 100g 이상으로 한다.
  4. 하루 동안의 운전횟수에 따라 매 운전 시마다 2회 이상 채취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시료의 양은 1회에 500g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53%)
  • 회분식 연소방식의 소각재 반출 설비에서는 시료의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해 하루 동안의 운전횟수에 따라 매 운전 시마다 2회 이상 채취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시료의 양은 1회에 500g 이상으로 한다. 이는 운전횟수가 많을수록 많은 양의 폐기물이 처리되기 때문에 시료를 더 많이 채취하여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시료의 양이 500g 이상이어야 분석에 필요한 충분한 양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은 용출 시험을 위한 시료 용액 조제에 관한 내용이다. ( )안에 옳은 것은?

  1. pH 5.8~6.3
  2. pH 4.5~8.3
  3. pH 6.5~7.5
  4. pH 6.3~7.2
(정답률: 65%)
  • 용출 시험을 위한 시료 용액은 pH가 중요한 요소이다. pH가 너무 낮으면 시료 용액이 산성이 되어 용출 시험에 영향을 미치고, pH가 너무 높으면 시료 용액이 알칼리성이 되어 용출 시험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pH가 적당한 범위인 "pH 5.8~6.3"을 선택하여 시료 용액을 조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은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으로 비소를 측정하는 내용이다. ( )안에 옳은 내용은?

  1. 적자색의 흡광도를 430nm
  2. 적자색의 흡광도를 530nm
  3. 청색의 흡광도를 430nm
  4. 청색의 흡광도를 530nm
(정답률: 85%)
  • 비소는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에서는 적색 빛(530nm)에서 높은 흡광도를 보이기 때문에, 적자색의 흡광도를 530nm로 측정한다. 청색 빛(430nm)에서는 흡광도가 낮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이온전극법에 의한 시안 측정목적이다. ( )안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4이하, 산성
  2. 6~8, 중성
  3. 9~10, 알칼리성
  4. 12~13, 알칼리성
(정답률: 72%)
  • 이온전극법은 용액의 이온농도를 측정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시안(CN-)은 이온으로써 이온전극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그림에서 보이는 pH 계는 용액의 pH 값을 나타내는데, 시안(CN-)의 최적 pH 범위는 12~13이다. 이 범위에서 시안(CN-)의 이온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온전극법에 의한 시안(CN-) 측정에서는 pH를 12~13으로 조절한다.

    따라서 정답은 "12~13, 알칼리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수은을 원자흡수분광광도법(환원기화법)으로 측정할 때 정밀도(RSD)는?

  1. ±10%
  2. ±15%
  3. ±20%
  4. ±25%
(정답률: 72%)
  • 환원기화법으로 측정할 때는 측정값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정밀도가 낮을 수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요인들로는 샘플의 농도, 측정기기의 정확도, 측정자의 기술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측정값의 변동이 크게 일어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밀도(RSD)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수은을 원자흡수분광광도법(환원기화법)으로 측정할 때 정밀도(RSD)는 "±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매질효과가 큰 시험 분석방법에서 분석 대상 시료와 동일한 매질의 표준시료를 확보하지 못한 경우에 매질효과를 보정하여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은?

  1. 절대검정곡선법
  2. 표준물질첨가법
  3. 상대검정곡선법
  4. 내부연적법
(정답률: 41%)
  • 표준물질첨가법은 분석 대상 시료에 정량적으로 표준물질을 첨가하여 매질효과를 보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분석 대상 시료와 동일한 매질의 표준시료를 확보하지 못해도 매질효과를 보정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첨가된 표준물질의 양과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매질효과를 보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분석 대상 시료의 농도를 정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기체크로마토그래피 분석법으로 측정하여야 하는 항목은?

  1. 유기인
  2. 시안
  3. 기름성분
  4. 비소
(정답률: 67%)
  • 기체크로마토그래피 분석법은 유기화합물을 분석하는데 특화된 분석법이기 때문에 "유기인"을 측정하여야 합니다. 시안, 기름성분, 비소는 유기화합물이 아니기 때문에 기체크로마토그래피 분석법으로 측정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은 기체크로마토그래피의 전자포획검출기에 관한 설명이다. ( )안에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알파(α) 선
  2. 베타(β) 선
  3. 감마(γ) 선
  4. X 선
(정답률: 58%)
  • 기체크로마토그래피의 전자포획검출기는 베타(β) 선을 이용하여 검출을 한다. 이는 베타(β) 선이 전자를 방출하면서 발생하는 전자-이온 쌍을 검출기 내부에서 측정하여 화합물의 양을 측정하기 때문이다. 알파(α) 선은 크기가 크고 전기적으로 양성이기 때문에 검출기 내부에서 많은 상호작용을 일으키고, 감마(γ) 선과 X 선은 전자-이온 쌍을 직접 생성하지 않기 때문에 검출에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으로 크롬을 측정할 때 시료 중에 총 크롬을 6가크롬으로 산화시키는데 사용되는 시약은?

  1. 아황산나트륨
  2. 염화제일주석
  3. 티오환산나트륨
  4. 과망간산칼륨
(정답률: 65%)
  • 과망간산칼륨은 산화제로서 시료 중에 존재하는 크롬을 6가크롬으로 산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으로 크롬을 측정할 때 총 크롬을 6가크롬으로 산화시키기 위해 과망간산칼륨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유기물 함량이 비교적 높지 않고 금속의 수산화물, 산화물, 인산염 및 황화물을 함유하는 시료에 적용되는 산분해법은?

  1. 질산-황산 분해법
  2. 질산-염산 분해법
  3. 질산-과염소산 분해법
  4. 질산-불화수소산 분해법
(정답률: 69%)
  • 유기물 함량이 비교적 높지 않은 시료에 적용되는 산분해법은, 금속의 수산화물, 산화물, 인산염 및 황화물을 함유하는 시료를 분해하기에 적합한 산분해법이 필요하다. 이 중에서도 질산-염산 분해법은 금속의 수산화물, 산화물, 인산염 및 황화물을 분해할 수 있는 강력한 산분해법으로, 적은 양의 시료에서도 높은 분해율을 보이기 때문에 적합하다. 또한, 질산-염산 분해법은 안정성이 높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분석결과의 정확성과 재현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유기물 함량이 비교적 높지 않고 금속의 수산화물, 산화물, 인산염 및 황화물을 함유하는 시료에 적용되는 산분해법으로는 질산-염산 분해법이 가장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편광현미경법으로 석면을 측정할 때 석면의 정량범위는?

  1. 1~25%
  2. 1~50%
  3. 1~80%
  4. 1~100%
(정답률: 65%)
  • 편광현미경법으로 석면을 측정할 때 석면의 정량범위는 1~100%입니다. 이는 석면이 존재하는 양에 따라서 광학적으로 나타나는 정도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25%, 1~50%, 1~80%의 범위는 석면이 존재하는 양이 적은 경우를 나타내며, 1~100%의 범위는 석면이 존재하는 양이 많은 경우를 포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으로 구리를 정량할 때 간섭물질에 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비스무트(Bi)가 구리의 양보다 2배 이상 존재할 경우에는 황색을 나타내어 방해한다.
  2. 비스무트(Bi)가 구리의 양보다 2배 이상 존재할 경우에는 청색을 나타내어 방해한다.
  3. 비스무트(Bi)가 구리의 양보다 2배 이상 존재할 경우에는 적색을 나타내어 방해한다.
  4. 비스무트(Bi)가 구리의 양보다 2배 이상 존재할 경우에는 적자색을 나타내어 방해한다.
(정답률: 65%)
  • 비스무트(Bi)가 구리의 양보다 2배 이상 존재할 경우에는 황색을 나타내어 방해하는 이유는, 비스무트와 구리는 가시선 분광법에서 유사한 파장대를 가지기 때문에, 비스무트가 과다하게 존재할 경우 구리의 신호를 방해하게 되어 구리의 정량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원자흡수분광광도법을 이용한 크롬 측정에 관한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량범위는 사용하는 장치 및 측정조건 등에 다르나 357.9nm에서 최종용액 중에서 0.01~5mg/L이다.
  2. 공기-아세틸렌 불꽃에서는 철, 니켈 등의 공존물질에 의한 방해영향이 크므로 이때는 황산나트륨을 1% 정도 넣어서 측정한다.
  3. 시료 중에 칼륨, 나트륨, 리튬, 세슘과 같이 이온화가 어려운 원소가 100mg/L 이상의 농도로 존재할 때에는 측정을 간섭한다.
  4. 염이 많은 시료를 분석하면 버너 헤드 부분에 고체가 생성되어 불꽃이 자주 꺼지고 버너 헤드를 청소해야 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시료를 묻혀 분석하거나, 메틸아이소부틸케톤 등을 사용하여 추출하여 분석한다.
(정답률: 47%)
  • 시료 중에 칼륨, 나트륨, 리튬, 세슘과 같이 이온화가 어려운 원소가 100mg/L 이상의 농도로 존재할 때에는 측정을 간섭한다는 것이 옳지 않다. 이러한 원소들은 원자흡수분광광도법에서는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오히려 이러한 원소들은 플라즈마 분광법에서 간섭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감염성 미생물에 대한 검사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아포균 검사법
  2. 세균배양 검사법
  3. 멸균테이프 검사법
  4. 일반세균 검사법
(정답률: 71%)
  • 일반세균 검사법은 감염성 미생물의 종류를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체액이나 조직에서 세균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 방법이기 때문에 다른 검사 방법들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아포균 검사법은 곰팡이류 감염을 진단하는 방법, 세균배양 검사법은 세균의 종류와 수를 파악하는 방법, 멸균테이프 검사법은 세균의 형태와 수를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실험실에서 폐기물의 수분을 측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폐기물의 수분함량은?

  1. 25.3%
  2. 28.3%
  3. 34.3%
  4. 38.6%
(정답률: 47%)
  • 실험실에서 사용한 평균적인 평형수분계의 무게는 25.3g 이다. 이 수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폐기물의 무게는 100g 이므로, 폐기물의 수분함량은 25.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폐기물 시료채취를 위한 채취도구 및 시료 용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노말헥산 추출물질 실험을 위한 시료 채취 시에는 무색경질의 유리병을 사용하여야 한다.
  2. 유기인 실험을 위한 시료 채취 시에는 무색경질의 유리병을 사용하여야 한다.
  3. 시료 중에 다른 물질의 혼입이나 성분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르크 마개를 사용하며, 다만 고무마개는 셀로판지를 씌워 사용할 수도 있다.
  4. 시료용기에는 폐기물의 명칭, 대상 폐기물의 양, 채취장소, 채취시간 및 일기, 시료번호, 채취책임자 이름, 시료의 양, 채취방법, 기타 참고자료를 기재한다.
(정답률: 79%)
  • "노말헥산 추출물질 실험을 위한 시료 채취 시에는 무색경질의 유리병을 사용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노말헥산 추출물질 실험을 위한 시료 채취 시에는 노말헥산이 용액으로 들어있는 유리병을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노말헥산 추출물질 실험을 위한 시료 채취 시에는 노말헥산이 들어있는 유리병을 사용하여야 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시료 중에 다른 물질의 혼입이나 성분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코르크 마개를 사용하며, 다만 고무마개는 셀로판지를 씌워 사용할 수도 있다는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시료 용기를 밀폐하여 외부의 오염물질이나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은 수분 및 고형물-중량법의 분석 절차이다. ( )안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110±5℃, 2시간
  2. 105±5℃, 4시간
  3. 105~110℃, 2시간
  4. 105~110℃, 4시간
(정답률: 67%)
  • 고형물-중량법은 시료의 수분 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방법은 시료를 가열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남은 고형물의 중량을 측정하여 수분 함량을 계산한다. 따라서 가열 시간과 온도는 수분 제거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보기 중에서 옳은 답은 "105~110℃, 4시간" 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110±5℃, 2시간: 온도가 높고 가열 시간이 짧아 수분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 105±5℃, 4시간: 온도는 적절하지만 가열 시간이 짧아 수분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 105~110℃, 2시간: 가열 시간이 짧아 수분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 105~110℃, 4시간: 온도와 가열 시간이 적절하여 수분이 완전히 제거되어 정확한 수분 함량을 측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0.1N 수산화나트륨용액 20mL가 있다. 이 용액을 중화시키려면 다음 중 어느 것이 적합한가?

  1. 0.1M 황산 20mL
  2. 0.1M 염산 10mL
  3. 0.1M 황산 10mL
  4. 0.1M 염산 40mL
(정답률: 74%)
  • 0.1N 수산화나트륨용액은 염기성 용액이므로 산성 용액을 이용하여 중화시켜야 한다. 따라서, 0.1M 황산 10mL이 적합하다. 이는 황산과 수산화나트륨이 중화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염산이나 황산으로 중화시키는 것이지만, 황산이 가장 적합한 산성 용액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대상 폐기물의 양이 550톤이라면 시료의 최소수는?

  1. 32
  2. 34
  3. 36
  4. 38
(정답률: 83%)
  • 대상 폐기물의 양과 시료의 양은 비례 관계에 있다. 따라서 시료의 양이 적을수록 대상 폐기물의 양 대비 시료에서 검출되는 물질의 양이 적어져서 정확한 분석 결과를 얻기 어렵다. 따라서 시료의 최소수는 가능한 한 많아야 한다.

    따라서 대상 폐기물의 양이 550톤이라면 시료의 최소수는 36이 되어야 한다. 이는 시료당 15톤씩 채취하는 것으로 계산된 결과이다. (550 ÷ 15 ≈ 36.6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온도 표시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찬 곳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0~15℃의 곳을 뜻한다.
  2. 냉수는 4℃ 이하를 말한다.
  3. 온수는 60~70℃를 말한다.
  4. 상온은 15~25℃를 말한다.
(정답률: 65%)
  • 온도 표시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찬 곳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0~15℃의 곳을 뜻한다." 이다. 실제로는 찬 곳의 온도는 사용되는 분야나 규정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품 보관용 냉장고의 경우 0~4℃를 찬 곳으로 정의하고 있다.

    냉수는 4℃ 이하를 말하는 이유는, 물의 밀도가 최대치가 되는 온도가 4℃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4℃ 이하의 물은 더 차가워져도 밀도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물이 얼어붙지 않고 유지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냉수는 4℃ 이하로 유지되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온수는 60~70℃를 말하는 이유는, 이 온도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물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 온도에서는 물이 너무 뜨거워서 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지만, 동시에 충분히 뜨거워서 세정력이 높아져서 세탁이나 청소에 적합하다.

    상온은 15~25℃를 말하는 이유는, 이 온도 범위가 대부분의 사람들이 쾌적하게 느끼는 온도 범위이기 때문이다. 이 온도에서는 너무 추운 것도 아니고 더운 것도 아니어서 대부분의 실내 활동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폐기물 관계 법규

61. 주변지역 영향 조사대상 폐기물처리시설 기준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매립면적 1만 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지정폐기물 매립시설
  2. 매립면적 10만 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일반폐기물 매립시설
  3. 시멘트 소성로(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로 한정한다.)
  4. 1일 처리능력이 50톤 이상인 사업장 폐기물 소각 시설(같은 사업장에 여러개의 소각시설이 있는 경우에는 각 소각시설의 1일 처리능력의 합계가 50톤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정답률: 57%)
  • 매립면적 10만 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일반폐기물 매립시설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매립면적이 너무 크기 때문에 지역사회와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일반폐기물 매립시설은 가능한 한 작은 규모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사업장폐기물을 폐기물처리업자에게 위탁하여 처리하려는 사업장폐기물배출자는 환경부장관이 고시하는 폐기물 처리 가격의 최저액보다 낮은 가격으로 폐기물을 위탁하여서는 아니 된다. 이를 위반하여 폐기물 처리 가격의 최저액보다 낮은 가격으로 폐기물 처리를 위탁한 자에 대한 벌칙 또는 과태료 처분기준은?

  1.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2.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
  3.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5백만원 이하의 벌금
  4.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3백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65%)
  • 위반행위가 경미한 경우에는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고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이는 법적으로 정해진 최소한의 처분기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용어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1. 폐기물처리시설: 폐기물의 중간처분시설, 최종처분시설 및 재활용시설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을 말한다.
  2. 처리: 폐기물의 소각, 중화, 파쇄, 고형화 등의 중간처리와 매립하거나 해역으로 배출하는 등의 최종처리를 말한다.
  3. 지정폐기물: 사업장폐기물 중 폐유, 폐산 등 주변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거나 의료폐기물 등 인체에 위해를 줄 수 있는 해로운 물질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폐기물을 말한다.
  4. 생활폐기물: 사업장폐기물 외의 폐기물을 말한다.
(정답률: 80%)
  • 정답은 "생활폐기물: 사업장폐기물 외의 폐기물을 말한다." 이다. 생활폐기물은 가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말하며,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은 사업장폐기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한국폐기물협회의 업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폐기물 관련 국제교류 및 협력
  2. 폐기물 관련 홍보 및 교육, 연수
  3. 폐기물 관련 시설 관리
  4. 폐기물산업의 발전을 위한 지도 및 조사, 연구
(정답률: 67%)
  • 한국폐기물협회의 업무 중에서 "폐기물 관련 시설 관리"는 다른 업무들과는 다르게 직접적으로 폐기물 처리 시설의 운영과 관리에 관련된 업무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다른 업무들은 폐기물 처리 산업의 발전과 관련된 업무이지만, 시설 관리는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업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의료폐기물의 종류 중 위해의료폐기물의 종류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전염성류 폐기물
  2. 병리계 폐기물
  3. 손상성 폐기물
  4. 생물, 화학폐기물
(정답률: 63%)
  • 전염성류 폐기물은 감염성이 있는 폐기물로서 인체에 직접적인 위험이 있으며, 병원 등에서 발생하는 의료폐기물 중에서 가장 위험한 종류입니다. 반면에, 병리계 폐기물은 조직, 세포 등의 검체를 처리하는 폐기물이며, 손상성 폐기물은 침대, 의자 등의 손상된 의료기기를 처리하는 폐기물입니다. 생물, 화학폐기물은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으로 처리가 필요한 폐기물로서 위해성이 있을 수 있지만, 전염성류 폐기물에 비해 직접적인 위험이 적습니다. 따라서, 전염성류 폐기물이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폐기물 처분시설 중 의료폐기물을 대상으로 하는 시설의 기술관리인의 자격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폐기물처리산업기사
  2. 임상병리사
  3. 보건관리사
  4. 위생사
(정답률: 69%)
  • 보건관리사는 의료폐기물 처리와는 관련이 없는 직종이기 때문에 옳지 않은 것이다. 폐기물처리산업기사는 폐기물 처리와 관련된 기술을 보유한 자격이며, 임상병리사는 의료진이 진단 및 치료에 필요한 검사를 수행하는 직종이며, 위생사는 위생 및 환경 관리에 대한 전문 지식을 보유한 자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폐기물의 통계조사(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 조사)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1년마다 폐기물 배출 및 처리업체의 보고 자료 등 서면조사에 기초하여 작성
  2. 2년마다 폐기물 배출 및 처리업체의 보고 자료 등 서면조사에 기초하여 작성
  3. 3년마다 폐기물 배출 및 처리업체의 보고 자료 등 서면조사에 기초하여 작성
  4. 5년마다 폐기물 배출 및 처리업체의 보고 자료 등 서면조사에 기초하여 작성
(정답률: 34%)
  • 폐기물의 통계조사는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 폐기물 배출 및 처리업체의 보고 자료 등 서면조사에 기초하여 작성됩니다. 이는 폐기물 발생 및 처리 현황이 빠르게 변화할 수 있는데, 이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매년 조사를 실시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1년마다 폐기물 배출 및 처리업체의 보고 자료 등 서면조사에 기초하여 작성하는 것이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폐기물처리시설 중 환경부령이 정한 멸균분쇄시설의 검사기관이 아닌 것은?

  1. 한국산업기술시험원
  2. 한국환경공단
  3. 보건환경연구원
  4.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정답률: 60%)
  •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는 폐기물 처리시설 중 하나가 아니라 매립지를 관리하는 공사이기 때문에 멸균분쇄시설의 검사기관이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폐기물 처리업자가 폐기물의 발생, 배출, 처리상황 등을 기록한 장부의 보존기간은? (단, 최종 기재일 기준)

  1. 6개월간
  2. 1년간
  3. 2년간
  4. 3년간
(정답률: 71%)
  • 폐기물 처리업자의 장부는 환경부나 지자체 등 관련 기관에서 검사나 감사를 할 때 필요한 자료이기 때문에 보존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폐기물 처리업자의 장부의 보존기간은 3년간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의료폐기물은 [환경부장관이 지정한 기관이나 단체]가 환경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한 검사기준에 따라 검사한 전용 용기만을 사용하여 처리하여야 한다. 다음 중 환경부장관이 지정한 기관이나 단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한국환경공단
  2. 국립환경과학원
  3.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4.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정답률: 43%)
  • 국립환경과학원은 환경부장관이 지정한 기관이나 단체가 아니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누구든지 수입폐기물을 수입할 당시의 성질과 상태 그대로 수출하여서는 아니 된다. 이를 위반하여 수입폐기물을 수입 당시의 성질과 상태 그대로 수출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

  1.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5백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함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함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백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함
  4.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함
(정답률: 69%)
  • 수입폐기물은 수출 시에도 수입 당시의 성질과 상태 그대로 수출할 수 없다는 법률이 있기 때문에, 이를 위반한 경우에는 법적으로 처벌을 받아야 한다. 이에 따라, 수입폐기물을 수입 당시의 성질과 상태 그대로 수출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은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함" 이다. 이는 수입폐기물을 무단으로 수출하는 행위가 심각한 범죄로 간주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높은 벌칙이 부과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폐기물처리시설 중 기계적 재활용시설이 아닌 것은?

  1. 연료화시설
  2. 탈수ㆍ건조시설
  3. 응집ㆍ침전시설
  4. 증발ㆍ농축시설
(정답률: 86%)
  • 응집ㆍ침전시설은 폐수나 오염된 물에서 고형물을 분리하는 시설로, 기계적 재활용이 아닌 생물학적 처리나 소각 등 다른 방법으로 처리됩니다. 반면에 연료화시설, 탈수ㆍ건조시설, 증발ㆍ농축시설은 모두 폐기물을 열분해하거나 건조시켜 연료나 재료로 재활용하는 기계적 재활용시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음식물류 폐기물 배출자에 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식품위생법에 따른 집단급식소(사회복지사업법에 따른 사회복지시설의 집단급식소 제외) 중 1일 평균 총 급식 인원이 50명 이상인 집단급식소를 운영하는 자
  2. 식품위생법에 따른 집단급식소(사회복지사업법에 따른 사회복지시설의 집단급식소 제외) 중 1일 평균 총 급식 인원이 100명 이상인 집단급식소를 운영하는 자
  3. 식품위생법에 따른 집단급식소(사회복지사업법에 따른 사회복지시설의 집단급식소 제외) 중 1일 평균 총 급식 인원이 200명 이상인 집단급식소를 운영하는 자
  4. 식품위생법에 따른 집단급식소(사회복지사업법에 따른 사회복지시설의 집단급식소 제외) 중 1일 평균 총 급식 인원이 300명 이상인 집단급식소를 운영하는 자
(정답률: 62%)
  • 정답은 "식품위생법에 따른 집단급식소(사회복지사업법에 따른 사회복지시설의 집단급식소 제외) 중 1일 평균 총 급식 인원이 100명 이상인 집단급식소를 운영하는 자"입니다.

    이유는 식품위생법 제3조(정의)에 따르면, "집단급식소"란 "1일 평균 총 급식 인원이 100명 이상인 급식소"를 말합니다. 따라서, 이 기준을 충족하는 집단급식소를 운영하는 자는 음식물류 폐기물 배출자로서의 기준을 충족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의료폐기물 발생 의료기관 및 시험ㆍ검사기관에 대한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의료법에 따라 설치된 기업체의 부속 의료기관으로서 면적이 100제곱미터 이상인 의무시설
  2. 군통합병원령에 따른 연대급 이상 군부대에 설치된 의무시설
  3. 수의사법에 따른 동물병원
  4. 노인복지법에 따른 노인요양시설
(정답률: 40%)
  • 정답은 "군통합병원령에 따른 연대급 이상 군부대에 설치된 의무시설"입니다. 이유는 군통합병원령에 따라 설치된 의무시설은 의료기관이 아니라 병원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의료폐기물 발생 기준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폐기물 처리업자의 폐기물보관량 및 처리기한에 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폐기물 수집, 운반업자가 임시보관장소에 폐기물을 보관하는 경우)

  1. 의료 폐기물 외의 폐기물: 중량이 450톤 이하이고 용적이 300세제곱미터 이하, 5일 이내
  2. 의료 폐기물 외의 폐기물: 중량이 500톤 이하이고 용적이 300세제곱미터 이하, 5일 이내
  3. 의료 폐기물 외의 폐기물: 중량이 550톤 이하이고 용적이 300세제곱미터 이하, 5일 이내
  4. 의료 폐기물 외의 폐기물: 중량이 600톤 이하이고 용적이 300세제곱미터 이하, 5일 이내
(정답률: 67%)
  • 정답은 "의료 폐기물 외의 폐기물: 중량이 450톤 이하이고 용적이 300세제곱미터 이하, 5일 이내"입니다. 이유는 폐기물 처리업자가 임시보관장소에서 보관할 수 있는 폐기물의 양과 기한은 관련 법령에 따라 규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 중 "의료 폐기물 외의 폐기물"에 대한 기준은 중량이 450톤 이하이고 용적이 300세제곱미터 이하이며, 5일 이내에 처리해야 합니다. 이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보다 엄격한 조치가 취해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폐기물처리업의 변경신고 사항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상호의 변경
  2. 연락장소나 사무실 소재지의 변경
  3. 임시차량의 증차 또는 운반차량의 감차
  4. 대표자의 변경(권리, 의무를 승계하는 경우 포함)
(정답률: 54%)
  • 대표자의 변경은 폐기물처리업의 변경신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대표자가 변경되면 회사의 권리와 의무가 변경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은 신고가 필요하며, 이를 포함하여 신고해야 한다. 상호의 변경, 연락장소나 사무실 소재지의 변경, 임시차량의 증차 또는 운반차량의 감차는 모두 폐기물처리업의 변경신고 사항으로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설치신고대상 폐기물처리시설 기준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일반소각시설로서 1일 처분능력이 100톤(지정폐기물의 경우에는 5톤) 미만인 시설
  2. 생물학적 처분시설로서 1일 처분능력이 100톤 미만인 시설
  3. 열분해시설로서 시간당 처분능력이 100킬로그램 미만인 시설
  4. 열처리조합시설로서 시간당 처분능력이 100킬로그램 미만인 시설
(정답률: 42%)
  • 일반소각시설은 일반적인 가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처리하는 시설로, 매우 많은 양의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일 처분능력이 100톤 미만인 일반소각시설은 폐기물 처리 능력이 매우 낮은 시설이며, 이는 폐기물 처리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폐기물처리업의 업종구분과 영업내용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폐기물수집, 운반업: 폐기물을 수집하여 재활용 또는 처분장소로 운반하거나 폐기물을 수출하기 위하여 수집ㆍ운반하는 영업
  2. 폐기물 중간재활용업: 폐기물 재활용시설을 갖추고 중간가공 폐기물을 만드는 영업
  3. 폐기물 최종재활용업: 폐기물 재활용시설을 갖추고 최종가공 재활용폐기물을 만드는 영업
  4. 폐기물 종합재활용업: 폐기물 재활용시설을 갖추고 중간재활용업과 최종재활용업을 함께 하는 영업
(정답률: 50%)
  • 정답은 "폐기물 최종재활용업: 폐기물 재활용시설을 갖추고 최종가공 재활용폐기물을 만드는 영업"입니다. 이유는 폐기물 최종재활용업은 최종가공 재활용폐기물을 만드는 영업이지만, 실제로는 최종가공이 아닌 중간가공 단계에서 멈추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폐기물 중간재활용업과 폐기물 종합재활용업이 더 정확한 업종구분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 운영을 위탁받을 수 있는 자의 기준에 관한 내용 중 소각시설의 경우 보유하여야 하는 기술인력 기준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기계기사 1급 1명
  2. 폐기물처리기술사 1명
  3. 시공분야에서 3년 이상 근무한 자 1명
  4. 폐기물처리기사 또는 대기환경기사 1명
(정답률: 67%)
  • 시공분야에서 3년 이상 근무한 자 1명은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나 운영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옳지 않은 기준이다. 다른 기준들은 폐기물처리와 관련된 기술인력을 보유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적절한 기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시도지사 또는 지방환경관서의 장이 규정에 따른 영업정지 기간의 2분의 1의 범위 안에서 그 행정처분을 가볍게 할 수 있는 경우와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위반내용을 시도지사 또는 지방환경관서에 신속히 자진 신고한 경우
  2. 위반의 정도가 경미하고 그로 인한 주변 환경오염이 없거나 미미하여 사람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 경우
  3. 위반행위에 대하여 행정처분을 하는 것이 지역주민의 건강과 생활환경에 심각한 피해를 줄 우려가 있는 경우
  4. 공익을 위하여 특별히 행정처분을 가볍게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정답률: 40%)
  • 위반내용을 시도지사 또는 지방환경관서에 신속히 자진 신고한 경우는, 영업자가 스스로 위반행위를 인지하고 이를 신고하여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의지를 보이는 경우로, 이를 통해 지역주민의 건강과 생활환경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하고 환경보전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 행정처분을 가볍게 할 수 있는 경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