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10-01)

폐기물처리산업기사
(2016-10-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폐기물개론

1. 정원 쓰레기의 재활용 용도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1. 퇴비의 생산
  2. 바이오메스 연료로의 이용
  3. 매립지 최종 복토재
  4. 조경용 멀취(mulch)생산
(정답률: 77%)
  • 정원 쓰레기는 유기물이 많기 때문에 퇴비의 생산이나 바이오메스 연료로의 이용, 그리고 조경용 멀취 생산에 적합합니다. 하지만 매립지 최종 복토재로는 부적절합니다. 매립지 최종 복토재는 비생분해성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정원 쓰레기와 같은 유기물은 이미 생분해가 가능하기 때문에 매립지 최종 복토재로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폐수처리장에서 발생되는 액상 폐기물을 관리할 때 최우선으로 고려할 사항은?

  1. 소독
  2. 탈수
  3. 운반
  4. 소각
(정답률: 82%)
  • 액상 폐기물을 탈수하는 것은 폐수의 부피를 줄이고, 처리 및 운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탈수된 폐기물은 소각 등의 처리 과정에서 효율적으로 처리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폐수처리장에서 발생되는 액상 폐기물을 관리할 때는 탈수가 가장 중요한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수거대상 인구가 1,200명인 지역에서 1주 동안의 쓰레기수거 상태를 조사하여 다음 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 지역의 1인당 1일 쓰레기 발생량(kg)은?

  1. 1.21
  2. 1.82
  3. 2.38
  4. 2.62
(정답률: 65%)
  • 쓰레기 수거량은 일주일 동안의 총합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쓰레기 수거량의 총합은 1,200명 x 0.54 kg/일 x 7일 = 4,536 kg 이다. 이를 인구수와 일수로 나누면 4,536 kg ÷ 1,200명 ÷ 7일 = 0.54 kg/인/일 이다. 따라서, 이 지역의 1인당 1일 쓰레기 발생량은 0.54 kg 이다. 이 값을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반올림하면 2.62 이므로 정답은 2.6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지정폐기물인 것은 어느 것인가?

  1. 수소이온(H+)농도 지수가 1.5인 폐산
  2. 수소이온(H+)농도 지수가 12.0인 폐알칼리
  3. 광재로서 철금속이 함유된 제철소 발생 고로슬래그
  4. 폐유로서 튀김 후 폐기되는 폐식용유
(정답률: 73%)
  • "수소이온(H+)농도 지수가 1.5인 폐산"이 지정폐기물인 이유는, 이 폐산은 위험물질로 분류되며, 처리 시에는 특별한 안전조치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수소이온농도 지수(pH)가 1.5인 폐산은 강한 산으로, 인체나 환경에 대한 위험이 있기 때문에 지정폐기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목재, 고무, 플라스틱 등의 폐기물을 파쇄하는 데 적당한 형식의 파쇄장치가 아닌 것은?

  1. Von Roll
  2. Hazemag
  3. Lindemann
  4. Tollemacshe
(정답률: 60%)
  • Hazemag은 목재, 고무, 플라스틱 등의 폐기물을 파쇄하는 데 적합한 형식의 파쇄장치입니다. Von Roll, Lindemann, Tollemacshe는 다른 종류의 파쇄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폐기물의 고위발열량 계산에 기초로 활용되는 것은?

  1. 물리적 조성
  2. 수분량
  3. 화학적 조성
  4. 산성분
(정답률: 77%)
  • 폐기물의 고위발열량은 폐기물의 연소로 발생하는 열의 양을 의미합니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폐기물의 화학적 조성이 중요합니다. 폐기물의 화학적 조성에 따라 연소 시 발생하는 열의 양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폐기물의 고위발열량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화학적 조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석면 폐기물 발생원이 아닌 것은?

  1. 보일러 공장
  2. 발전소
  3. 자동차 공장
  4. 피혁 공장
(정답률: 80%)
  • 석면은 건축물 내부 재료, 보일러 및 발전소 내부 재료 등에서 사용되어 폐기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동차 부품 등에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피혁 공장에서는 석면이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석면 폐기물 발생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전단파쇄기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대체로 충격파쇄기에 비해 파쇄속도가 빠르다.
  2. 이물질의 혼입에 대하여 약하다.
  3. 파쇄물의 크기를 고르게 할 수 있다.
  4. 주로 목재류, 플라스틱류 및 종이류를 파쇄하는 데 이용된다.
(정답률: 82%)
  • "대체로 충격파쇄기에 비해 파쇄속도가 빠르다."는 이유는 전단파쇄기가 회전하는 날개에 의해 물질을 잘게 자르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비해 충격파쇄기는 물질을 충격적으로 부딪혀서 파쇄하는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전단파쇄기에 비해 속도가 느릴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폐기물 발생량 저감 차원에서 중요시 되고 있는 폐기물관리의 3R 중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Refuse
  2. Reduce
  3. Reuse
  4. Recycle
(정답률: 88%)
  • "Refuse"는 폐기물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3R 중에서는 포함되지만, 폐기물을 관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폐기물관리의 3R이라는 용어에서는 제외됩니다. "Refuse"는 소비자가 불필요한 제품이나 포장재를 거부하고 대안을 찾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폐기물 발생을 줄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도시쓰레기의 특성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배출량은 생활수준의 향상, 생활양식, 수집형태 등에 따라 좌우된다.
  2. 쓰레기의 질은 지역, 기후 등에 따라 달라진다.
  3. 도시쓰레기의 처리는 성상에 크게 지배된다.
  4. 쓰레기 발생량은 계절에 따라 일정하다.
(정답률: 91%)
  • 쓰레기 발생량은 계절에 따라 일정하다는 이유는, 쓰레기의 발생 원인이 대부분 인간의 생활 패턴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계절이 바뀌어도 인간들의 생활 패턴은 크게 변하지 않기 때문에 쓰레기 발생량도 일정하게 유지된다. 예를 들어, 음식물 쓰레기는 계절에 따라 발생량이 크게 변하지 않는데, 이는 인간들이 계절에 따라 다른 음식을 먹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쓰레기 발생량은 계절에 따라 일정하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물질의 전기전도성을 이용하여 도체물질과 부도체물질로 분리하는 선별법은?

  1. 자력선별법
  2. 트롬멜선별법
  3. 와전류선별법
  4. 정전기선별법
(정답률: 75%)
  • 와전류선별법은 물질의 전기전도성을 이용하여 도체물질과 부도체물질로 분리하는 선별법입니다. 이 방법은 전기장을 이용하여 물질을 분리하는데, 전기장을 가한 후 전류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 도체물질과 부도체물질이 분리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와전류선별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폐기물의 소각처리에 중요한 연료특성인 발열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저위발열량은 연소에 의해 생성된 수분이 응축하였을 경우의 발열량이다.
  2. 고위발열량은 소각로의 설계기준이 되는 발열량으로 진발열량이라고도 한다.
  3. 단열열량계로 측정한 발열량은 고위발열량이다.
  4. 발열량은 플라스틱의 혼입률이 많으면 증가하지만 계절적 변동과 상관없이 일정하다.
(정답률: 77%)
  • 단열열량계로 측정한 발열량은 고위발열량이다. 이는 소각로의 설계 및 연료 선택에 중요한 기준이 되는 값으로, 연소 시 발생하는 열의 양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저위발열량은 수분이 응축되어 발생하는 열의 양을 나타내며, 고위발열량보다 값이 낮다. 따라서 폐기물의 발열량을 측정할 때는 단열열량계를 사용하여 고위발열량을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플라스틱의 혼입률이 많으면 발열량이 증가할 수 있지만, 계절적 변동과 상관없이 일정한 값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pH가 8과 10인 폐알칼리액을 동일량으로 혼합하였을 경우 이 용액의 pH는?

  1. 8.3
  2. 9.0
  3. 9.7
  4. 10.0
(정답률: 63%)
  • pH는 음이온 농도와 양이온 농도의 비로 결정되므로, 두 용액의 pH를 평균하면 안 된다. 대신, 두 용액의 음이온 농도와 양이온 농도를 고려하여 pH를 계산해야 한다. 폐알칼리액은 NaOH와 같은 강염기이므로, 음이온은 OH-이고 양이온은 Na+이다. 따라서, 두 용액을 혼합하면 Na+와 OH-이 서로 중화되어 NaOH가 생성되고, 이로 인해 OH-의 농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혼합 용액의 pH는 10보다는 높아지지만 8보다는 낮아지므로, 정답은 9.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쓰레기의 발생량 예측에 사용되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경향법(Trend method)
  2. 물질수지법(Material balance method)
  3. 다중회귀모델(Multiple regression model)
  4. 동적모사모델(Dynamic simulation model)
(정답률: 82%)
  • 물질수지법은 쓰레기 발생량을 예측하기 위해 쓰레기가 발생하는 원인과 양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쓰레기 발생량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거리와는 관련이 없으며, 쓰레기 발생량 예측에 가장 적합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고로슬래그의 입도분석 결과 입도누적 곡선상의 10%, 60%, 입경이 각각 0.5mm, 1.0mm라면 유효입경(mm)은?

  1. 0.1
  2. 0.5
  3. 1.0
  4. 2.0
(정답률: 72%)
  • 입도누적 곡선상의 10% 지점은 입경이 0.5mm이므로, 이 지점 이상의 입경의 입자들이 전체 입자 중 10%를 차지한다는 뜻입니다. 마찬가지로 60% 지점은 입경이 1.0mm이므로, 이 지점 이상의 입경의 입자들이 전체 입자 중 60%를 차지합니다. 따라서 유효입경은 0.5mm입니다. 0.1mm은 10% 지점보다 작은 입경이므로 유효입경이 될 수 없고, 2.0mm는 60% 지점보다 큰 입경이므로 마찬가지로 유효입경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쓰레기의 수거방법 중 수거시간이 가장 많이 소요되는 형태는?

  1. Alley
  2. Curb
  3. Setout-setback
  4. Back yard carry
(정답률: 85%)
  • "Back yard carry"는 쓰레기를 집 뒷마당에서 수거하는 방법으로, 다른 방법들과 달리 집 안으로 들어가야 하고 무거운 쓰레기통을 들어야 하기 때문에 수거시간이 가장 많이 소요되는 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10m3의 폐기물을 압축비 8로 압축하였을 때 압축 후의 부피(m3)는?

  1. 0.85
  2. 0.95
  3. 1.15
  4. 1.25
(정답률: 85%)
  • 압축비 8은 원래의 부피를 1/8로 줄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0m3의 폐기물을 압축하면 10/8 = 1.25m3의 부피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인구 3만인 중소도시에서 쓰레기 발생량 100m3/day(밀도는 650kg/m3)를 적재중량 4ton 트럭으로 운반하려면 1일 소요될 트럭 운반대수는? (단, 트럭의 1일 운반횟수는 1회 기준)

  1. 11대
  2. 13대
  3. 15대
  4. 17대
(정답률: 75%)
  • 1일 총 적재량 = 100m3/day x 650kg/m3 = 65,000kg/day
    1대 트럭이 적재할 수 있는 양 = 4,000kg
    1일 운반대수 = 65,000kg/day ÷ 4,000kg/truck = 16.25 대
    따라서, 1일 소요될 트럭 운반대수는 17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밀도가 550kg/m3인 쓰레기 3m3 중 가연성 쓰레기가 30wt%일 때, 가연성 물질의 중량(kg)은?

  1. 약 415
  2. 약 435
  3. 약 455
  4. 약 495
(정답률: 80%)
  • 3m3의 쓰레기 중 가연성 쓰레기의 부피는 3 x 0.3 = 0.9m3이다. 이 가연성 쓰레기의 질량은 부피 x 밀도 = 0.9 x 550 = 495kg이다. 따라서 정답은 "약 49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폐기물의 성상분석을 위해 일반적으로 분석하는 항목이 아닌 것은?

  1. 진비중
  2. 저위발열량
  3. 원소분석치
  4. 물리적 조성
(정답률: 67%)
  • 정답은 "진비중"입니다.

    진비중은 폐기물의 무게 중에서 물의 비중에 의해 부유되어 나오는 물질의 비중을 뺀 나머지 무게를 말합니다. 따라서 폐기물의 물리적 조성을 파악하는 항목이 아니라, 폐기물의 무게와 부피를 계산하는 데 사용됩니다.

    반면에 저위발열량, 원소분석치, 물리적 조성은 폐기물의 성상을 분석하는 중요한 항목입니다. 저위발열량은 폐기물을 연소시켰을 때 발생하는 열의 양을 나타내며, 원소분석치는 폐기물 내에 포함된 원소의 종류와 양을 분석합니다. 물리적 조성은 폐기물의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으로, 폐기물의 크기, 모양, 밀도 등을 분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폐기물처리기술

21. 내륙매립공법 중 도랑형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침출수 수집장치나 차수막 설치가 용이
  2. 사전 정비작업이 그다지 필요하지 않으나 매립용량 낭비
  3. 파낸 흙을 복토재로 이용 가능한 경우 경제적
  4. 대개 폭 5 ~ 8m 및 깊이 1 ~ 2m정도의 소규모 도랑을 판 후 매립
(정답률: 76%)
  • "침출수 수집장치나 차수막 설치가 용이"는 도랑형공법의 장점 중 하나로, 이 방법은 지면의 경사를 따라 도랑을 판 후 매립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침출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수집장치나 차수막 설치가 필요한 경우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도랑형공법의 특징이나 단점을 설명한 것이며, "사전 정비작업이 그다지 필요하지 않으나 매립용량 낭비"는 도랑을 판 후 매립하는 과정에서 지면을 굴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사전 정비작업이 필요하지 않지만, 매립용량을 낭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파낸 흙을 복토재로 이용 가능한 경우 경제적"은 도랑을 판 후 발생한 흙을 복토재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대개 폭 5 ~ 8m 및 깊이 1 ~ 2m정도의 소규모 도랑을 판 후 매립"은 도랑형공법이 대개 소규모 도로나 보도 등의 공사에 적합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분뇨처리장에서 생물학적 처리를 함에 있어 보통 희석수는 원수의 얼마 정도인가?

  1. 약 20배 정도
  2. 약 50배 정도
  3. 약 100배 정도
  4. 약 200배 정도
(정답률: 61%)
  • 정답: 약 20배 정도

    분뇨처리장에서 생물학적 처리를 하기 위해서는 분뇨와 물을 섞어서 처리해야 합니다. 이때 보통 분뇨와 물을 1:10~1:20 정도의 비율로 섞어서 처리합니다. 즉, 분뇨 1부에 물 10~20부를 섞어서 처리한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희석수는 원수의 약 20배 정도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매립지 표면차수막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매립지 바닥의 투수계수가 큰 경우에 사용하는 방법이다.
  2. 매립 전이라면 보수가 용이하지만 매립 후는 어렵다.
  3. 지하수 집배수시설이 불필요하다.
  4. 차수막 단위면적당 공사비는 저렴하지만 매립지 전체를 시공하는 경우가 많아 총 공사비는 비싸다.
(정답률: 86%)
  • "지하수 집배수시설이 불필요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매립지 표면차수막은 비록 투수성이 낮아 물이 흐르지 않지만, 지하수가 축적될 수 있기 때문에 지하수 집배수시설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지하수가 매립지 내부에 축적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인공 복토재의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투수계수가 높아야 한다.
  2. 연소가 잘 되지 않아야 한다.
  3. 생분해가 가능하여야 한다.
  4. 살포가 용이해야 한다.
(정답률: 84%)
  • 정답은 "살포가 용이해야 한다."입니다.

    인공 복토재는 토양 개량재로 사용되며, 토양의 구조를 개선하고 수분 보존 능력을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인공 복토재가 토양 내부로 쉽게 스며들어야 하므로 살포가 용이해야 합니다.

    반면에 "투수계수가 높아야 한다."는 인공 복토재의 토양 내부 유동성을 높이기 위한 조건입니다. 투수계수가 높을수록 인공 복토재가 토양 내부로 쉽게 스며들어가고, 토양 내부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보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조건도 중요하지만, 살포가 용이한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연소가 잘 되지 않아야 한다."와 "생분해가 가능하여야 한다."는 인공 복토재의 환경 친화성을 높이기 위한 조건입니다. 연소가 잘 되지 않아야 인공 복토재가 토양 내부에서 불안정한 화학 반응을 일으키지 않고, 생분해가 가능하여야 인공 복토재가 토양 내부에서 자연스럽게 분해되어 환경 오염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오염된 토양의 현지 생물학적 복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저농도의 오염물도 처리가 가능하다.
  2. 물리화학적 방법에 비하여 처리면적이 작다.
  3. 포화대수층뿐만 아니라 불포화대수층의 처리도 가능하다.
  4. 원래 오염물질보다 독성이 더 큰 중간생성물이 생성될 수 있다.
(정답률: 60%)
  • "포화대수층뿐만 아니라 불포화대수층의 처리도 가능하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생물학적 복원 기술의 장점들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 보기는 생물학적 복원 기술의 범위를 설명하고 있다.

    "물리화학적 방법에 비하여 처리면적이 작다."의 이유는 생물학적 복원 기술은 오염된 토양 내부에 있는 미생물들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을 분해하고 제거하기 때문에, 처리면적이 작아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물리화학적 방법은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큰 규모의 시설과 장비가 필요하며, 처리면적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소화된 슬러지를 토양에 이용하여 얻어지는 토양의 물리적 개량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수분보유력이 증가하며 경작이 수월해진다.
  2. 살충제가 스며드는 양이 커져 살충효과가 지속된다.
  3. 유기물 함량이 증가되어 토양미생물의 성장이 활성화된다.
  4. 토양 속의 통기성 및 공극률이 증가된다.
(정답률: 66%)
  • 정답은 "수분보유력이 증가하며 경작이 수월해진다."입니다.

    살충제가 스며드는 양이 커져 살충효과가 지속된다는 이유는, 소화된 슬러지가 토양미생물의 활동을 촉진시켜 토양 구조를 개선시키고, 이로 인해 토양 내 살충제의 이동이 원활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살충제의 효과가 더 오래 지속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슬러지 함수율을 99%에서 92%로 낮출 경우 감소하는 슬러지 부피는? (단, 슬러지 비중1.0)

  1. 1/5
  2. 1/6
  3. 1/7
  4. 1/8
(정답률: 80%)
  • 슬러지 함수율이 99%에서 92%로 낮아지면, 처리된 폐수 중 슬러지로 남아있는 비율이 적어지므로 슬러지 부피는 감소합니다.

    슬러지 함수율이 99%일 때, 처리된 폐수 중 슬러지 부피는 1%입니다. 즉, 100L의 폐수를 처리하면 1L의 슬러지가 생깁니다.

    하지만 슬러지 함수율이 92%로 낮아지면, 처리된 폐수 중 슬러지 부피는 8%가 됩니다. 즉, 100L의 폐수를 처리하면 8L의 슬러지가 생깁니다.

    따라서, 슬러지 부피는 1L에서 8L로 증가하므로, 감소하는 슬러지 부피는 7L입니다.

    정답은 "1/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유기물(포도당, C6H12O6) 1kg을 혐기성소화 시킬 때 이론적으로 발생되는 메탄량(kg)은?

  1. 약 0.09
  2. 약 0.27
  3. 약 0.73
  4. 약 0.93
(정답률: 83%)
  • 유기물을 혐기성소화 시키면 메탄가스(CH4)와 이산화탄소(CO2)가 발생한다. 이때 발생하는 메탄가스의 양은 유기물의 화학식에 따라 다르다. 유기물 1kg의 화학식인 C6H12O6을 분해하면 6CO2와 12H2O가 발생한다. 이때 메탄가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C6H12O6 → 3CO2 + 3CH4 + 3H2O

    유기물 1kg을 분해하면 메탄가스 3kg이 발생한다. 따라서 유기물 1kg을 혐기성소화 시킬 때 이론적으로 발생되는 메탄가스의 양은 3/11 kg이다. 이 값은 약 0.27에 가깝다. 따라서 정답은 "약 0.2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열분해기술에 대한 내용이 아닌 것은?

  1. 무산소, 저산소 상태로 가열한다.
  2. 폐기물 중의 가스, 기름 등을 회수할 수 있는 자원화 기술이다.
  3. 환원성 분위기가 유지되므로 Cr3이 Cr6으로 변할 수 있다.
  4. 배기가스량이 적다.
(정답률: 81%)
  • 열분해기술과 관련 없는 보기는 "배기가스량이 적다." 이다.

    Cr3이 Cr6으로 변하는 이유는, 열분해 과정에서 물질이 높은 온도와 환원성 분위기에 노출되어 일어나는 화학 반응으로, Cr3이 Cr6으로 산화되는 것이다. 환원성 분위기는 산화 작용을 억제하고 환원 작용을 촉진하는 분위기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일반적인 슬러지처리 순서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농축-개량-탈수-최종처분
  2. 농축-안정화-개량-건조
  3. 농축-탈수-건조-최종처분
  4. 농축-개량-안정화-탈수
(정답률: 66%)
  • "농축-개량-안정화-탈수" 순서에서는 슬러지를 농축시켜 부피를 줄이고, 개량하여 안정화시키고, 그 후에 탈수하여 물을 제거한 후 최종적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이 순서에서는 농축과 개량이 먼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안정화와 탈수가 그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 순서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바닥상에서 연소재의 분리가 어렵고, 투입 시 파쇄가 필요하며, 내부에 매체를 간헐적으로 보충해야 하는 단점을 가진 소각로는?

  1. 화격자식 소각로
  2. 회전원통형 소각로
  3. 유동층식 소각로
  4. 다단로상식 소각로
(정답률: 80%)
  • 유동층식 소각로는 연소재를 공기와 함께 유동층으로 만들어 연소시키는 방식으로, 바닥상에서 연소재를 분리할 필요가 없고 파쇄도 필요하지 않습니다. 또한 내부에 매체를 간헐적으로 보충할 필요도 없습니다. 따라서 다른 소각로에 비해 운전 및 유지보수가 간편하며, 처리 효율도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고형화처리된 폐기물의 검사항목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투수율
  2. 함수율
  3. 압축강도
  4. 용출시험
(정답률: 48%)
  • 함수율은 고형화처리된 폐기물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화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검사항목들과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투수율은 폐기물 내부의 공간을 차지하는 물질의 비율을 나타내며, 압축강도는 폐기물이 압축에 얼마나 견디는지를 나타내며, 용출시험은 폐기물이 지하수 등에 노출될 때 발생하는 환경오염을 예측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매립 후 정상상태의 단계에서 발생하는 가스 중 두 번째로 큰 부분을 차지하는 가스는? (단, 가스구성비 %, 부피 기준)

  1. 이산화탄소(CO2)
  2. 메탄(CH4)
  3. 황화수소(H2S)
  4. 수소(H2)
(정답률: 68%)
  • 이산화탄소(CO2)는 유기물 분해 과정에서 생성되는 가스 중 두 번째로 많이 발생합니다. 이는 매립지에서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 유기물이 분해되면서 발생하는 가스 중 하나이며, 메탄(CH4) 다음으로 많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가 두 번째로 큰 부분을 차지하는 가스입니다. 황화수소(H2S)와 수소(H2)는 발생량이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합성차수막 중 PVC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작업이 용이하다.
  2. 접합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하다.
  3. 자외선, 오존, 기후에 약하다.
  4. 대부분의 유기화학물질에 강하다.
(정답률: 95%)
  • "대부분의 유기화학물질에 강하다."가 틀린 것이다. PVC는 대부분의 유기화학물질에 약하기 때문에 자외선, 오존, 기후 등에 쉽게 영향을 받는다. 이는 PVC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낮추는 요인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분뇨처리 과정에서 포기조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하여 임호프콘으로 측정한 결과, 유입수의 침전물이 5mL이고 유출수의 침전물이 0.3mL일 때 제거율(%)은 어느 것인가?

  1. 85
  2. 90
  3. 94
  4. 98
(정답률: 72%)
  • 제거율(%) = ((유입수의 침전물 - 유출수의 침전물) / 유입수의 침전물) x 100
    = ((5 - 0.3) / 5) x 100
    = 94

    따라서 정답은 "9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퇴비화 과정 중에 출현하는 미생물과 분해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퇴비화는 중온균과 고온균이 주된 역할을 한다.
  2. 고온영역에서는 세균과 방선균이 분해의 주된 역할을 한다.
  3. 숙성단계에서는 사상균(곰팡이)이 분해의 주된 역할을 한다.
  4. 초기에는 중온성 진균과 세균이 주로 분해의 주된 역할을 한다.
(정답률: 61%)
  • "초기에는 중온성 진균과 세균이 주로 분해의 주된 역할을 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숙성단계에서 사상균(곰팡이)이 분해의 주된 역할을 하는 이유는 사상균이 다양한 유기물을 분해할 수 있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또한 사상균은 고온과 저온에서 모두 활동할 수 있어서 퇴비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반면, 초기에는 중온성 진균과 세균이 주로 분해의 주된 역할을 한다는 설명은 너무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이유나 설명이 없어서 다른 보기들에 비해 부족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매립지 위치선정 시 적당한 곳은 어느 것인가?

  1. 홍수범람지역
  2. 습지대
  3. 단층지역
  4. 지하수위 낮은 곳
(정답률: 87%)
  • 매립지는 지하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지하수위가 낮은 곳에 위치해야 합니다. 지하수위가 높은 곳에 매립지를 위치시키면 지하수 오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하수위 낮은 곳"이 적당한 매립지 위치선정 기준입니다. "홍수범람지역"과 "습지대"는 홍수나 강우 등의 자연재해로 인해 매립물이 유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단층지역"은 지하수층이 하나뿐인 지역으로 지하수 오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분뇨의 총 고형물(TS)이 40,000mg/L이고, 그 중 휘발성 고형물(VS)은 60%이며, CH4의 발생량은 VS 1kg당 0.6m3라면 분뇨 1m3당의 CH4 가스발생량(m3)은?

  1. 16.4
  2. 14.4
  3. 12.4
  4. 10.4
(정답률: 65%)
  • 분뇨 1m3의 TS 양은 40,000mg이므로, VS 양은 40,000mg x 0.6 = 24,000mg이다. 이를 kg으로 환산하면 24kg이다. 따라서 분뇨 1m3당 CH4 발생량은 24kg x 0.6m3/kg = 14.4m3이다. 따라서 정답은 "14.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소각로 중 회전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폐기물의 소각에 방해됨이 없이 연속적으로 재를 배출할 수 있다.
  2. 용융상태의 물질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는다.
  3. 습식 가스세정시스템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4. 대기오염 제어시스템에 대한 분진부하율 및 열효율이 낮은 편이다.
(정답률: 50%)
  • "대기오염 제어시스템에 대한 분진부하율 및 열효율이 낮은 편이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유는 소각로 중 회전로는 폐기물을 연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고, 용융상태의 물질에 방해받지 않으며, 습식 가스세정시스템과 함께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기오염 제어시스템에 대한 분진부하율 및 열효율이 낮은 것은 환경오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문제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안정화방법 중 습식산화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치 못한 것은?

  1. 액상슬러지에 열과 압력을 작용시켜 용존산소에 의하여 화학적으로 슬러지 내의 유기물을 산화시킨다.
  2. 반응탑, 고압펌프, 공기압축기,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3. 산화범위에 융통성이 있고 슬러지의 질에 영향을 받지 않으나 냄새가 나고 건설비가 많이 요구된다.
  4. 고도의 운전기술이 필요하며 처리된 슬러지의 탈수가 잘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정답률: 70%)
  • 습식산화는 액상슬러지에 열과 압력을 작용시켜 용존산소에 의하여 화학적으로 슬러지 내의 유기물을 산화시키는 방법이다. 따라서 "액상슬러지에 열과 압력을 작용시켜 용존산소에 의하여 화학적으로 슬러지 내의 유기물을 산화시킨다."는 설명은 적절하다. "고도의 운전기술이 필요하며 처리된 슬러지의 탈수가 잘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는 습식산화의 단점으로, 처리된 슬러지의 탈수가 잘 되지 않는 이유는 습식산화 후 생성된 슬러지가 농축되어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습식산화는 반응탑, 고압펌프, 공기압축기,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산화범위에 융통성이 있고 슬러지의 질에 영향을 받지 않지만 냄새가 나고 건설비가 많이 요구된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고도의 운전기술이 필요하며 처리된 슬러지의 탈수가 잘 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는 습식산화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폐기물 공정시험 기준(방법)

41. 폐기물공정시험기준(방법)에서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에 의하여 분석하는 항목이 아닌 것은?

  1. PCB
  2. 유기인
  3. 수은
  4. 휘발성 저급염소화 탄화수소류
(정답률: 85%)
  •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은 유기화합물을 분석하는데 사용되는 분석 방법이므로, "수은"은 유기화합물이 아니기 때문에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으로 분석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수은"은 폐기물공정시험기준(방법)에서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에 의하여 분석하는 항목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기체크로마토그래프법으로 PCBs 측정 시 시료의 전처리과정에서 유분의 제거를 위한 알칼리 분해제는?

  1. 수산화나트륨
  2. 수산화칼륨
  3. 염화나트륨
  4. 수산화칼슘
(정답률: 63%)
  • PCBs는 지방에 농축되어 있기 때문에, 기체크로마토그래프법으로 측정하기 전에 시료에서 지방을 제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시료를 알칼리 분해제로 처리하여 지방을 유분으로 변환한 후, 유분을 제거합니다. 이때, 수산화칼륨은 강한 알칼리성을 가지고 있어 지방을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기 때문에 PCBs 측정 시 시료의 전처리과정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산화칼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5g의 NaCN을 정제수 4L에 녹이면 이 수용액 중 CN의 농도(mg/L)는? (단, Na 원자량23)

  1. 433
  2. 523
  3. 663
  4. 783
(정답률: 44%)
  • NaCN의 몰질량은 Na의 몰질량(23 g/mol)과 CN의 몰질량(26 g/mol)을 합한 값인 49 g/mol이다. 따라서 5g의 NaCN은 몰질량으로 환산하면 0.102 mol이다.

    4L의 정제수에 5g의 NaCN을 녹였으므로, 이 용액의 몰농도는 0.102 mol/4 L = 0.0255 mol/L이다.

    CN의 몰질량이 26 g/mol이므로, 이 용액에서 CN의 질량농도는 0.0255 mol/L × 26 g/mol = 0.663 g/L = 663 mg/L이다.

    따라서 정답은 "66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시료의 전처리 방법 중 다량의 점토질 또는 규산염을 함유한 시료에 적용하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질산-과염소산 분해법
  2. 질산-과염소산-불화수소산 분해법
  3. 질산-과염소산-염화수소산 분해법
  4. 질산-과염소산-황화수소산 분해법
(정답률: 80%)
  • 다량의 점토질 또는 규산염을 함유한 시료는 농도가 높아서 분석에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전처리가 필요하다. 이 중에서 "질산-과염소산-불화수소산 분해법"은 강력한 산화제인 불화수소산을 사용하여 시료를 분해하는 방법으로, 다량의 점토질 또는 규산염을 함유한 시료에 적용하기 적합하다. 이 방법은 시료를 완전히 분해하여 분석에 방해가 되는 물질을 제거하고, 정확한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폐기물공정시험방법에서 원자흡수분광광도법에 의한 비소의 측정 시 연소가스는?

  1. 아세틸렌-공기
  2. 수소-공기
  3. 아르곤-수소
  4. 아세틸렌-수소
(정답률: 54%)
  • 비소의 측정 시에는 연소가스가 비소를 포함하지 않아야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연소가스로는 비소를 포함하지 않는 아르곤-수소가 선택되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연소 시 비소를 발생시키는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선택되지 않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폐기물 중 시안을 측정(이온전극법)할 때 시료채취 및 관리에 관한 내용으로 ( )에 알맞은 것은?

  1. ㉮ pH 10 이상, ㉯ 8시간
  2. ㉮ pH 10 이상, ㉯ 24시간
  3. ㉮ pH 12 이상, ㉯ 8시간
  4. ㉮ pH 12 이상, ㉯ 24시간
(정답률: 90%)
  • 시안은 pH가 높을수록 이온화되어 측정이 용이해지므로 pH 12 이상의 용액을 사용한다. 또한, 시안은 시간이 지나면 분해되어 측정이 어려워지므로 24시간 동안 안정화시켜 측정한다. 따라서 정답은 "㉮ pH 12 이상, ㉯ 24시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크롬(자외선/가시선 분광법) 측정 시 첨가한 표준물질의 농도에 대한 측정 평균값의 상대백분율로 나타내는 정확도 값은 어느 것인가?

  1. 90 ~110% 이내
  2. 85 ~ 115% 이내
  3. 80 ~ 120% 이내
  4. 75 ~ 125% 이내
(정답률: 72%)
  • 정확도는 측정값이 실제값과 얼마나 가까운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일반적으로 상대백분율로 표현된다. 따라서 크롬 측정 시 첨가한 표준물질의 농도에 대한 측정 평균값의 상대백분율로 나타내는 정확도 값은 "75 ~ 125% 이내"이다. 이는 표준물질의 농도가 실제값과 25% 이상 차이나거나 25% 이상 높아도 125% 이내로 측정값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범위 내에서 측정값이 나오면 상대적으로 정확한 측정이라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Lambert-Beer의 법칙과 관계없는 것은?

  1. 투광도는 용액의 농도에 반비례한다.
  2. 투광도는 층장의 두께에 비례한다.
  3. 흡광도는 층장의 두께에 비례한다.
  4. 흡광도는 용액의 농도에 비례한다.
(정답률: 63%)
  • 정답: "투광도는 층장의 두께에 비례한다."

    설명: Lambert-Beer의 법칙은 물질의 농도와 빛의 흡수량 사이에 비례 관계가 있다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투광도는 용액의 농도에 반비례한다."와 "흡광도는 용액의 농도에 비례한다."는 Lambert-Beer의 법칙과 관련이 있습니다. 하지만 "투광도는 층장의 두께에 비례한다."는 Lambert-Beer의 법칙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이는 단순히 빛이 물질을 통과할 때 층장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빛이 통과하는 양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폐기물 용출조작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상온, 상압에서 진탕회수를 매분당 약 200회로 한다.
  2. 진폭 6~8cm의 진탕기를 사용한다.
  3. 진탕기로 6시간 연속 진탕한다.
  4. 여과가 어려운 경우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매 분당 3,000회전 이상으로 20분 이상 원심 분리한다.
(정답률: 80%)
  • 진폭 6~8cm의 진탕기를 사용하는 이유는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섞어서 용출을 촉진하기 위해서입니다. 진폭이 크면 폐기물이 더욱 세게 충돌하여 더욱 효과적인 용출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폐기물공정시험방법의 총칙에 명시된 용어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항량으로 될 때까지 건조한다.”라 함은 같은 조건에서 1시간 더 건조할 때 전후 무게 차가 g당 0.3mg이하일 때를 말한다.
  2. “약”이라 함은 기재된 양에 대하여 ±10% 이상의 차가 있어서는 안 된다.
  3. “정확히 단다.”라 함은 규정된 양의 검체를 취하여 분석용 저울로 0.1mg까지 다는 것을 말한다.
  4. “감압 또는 진공”이라 함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15mmH2O 이하를 말한다.
(정답률: 80%)
  • “감압 또는 진공”이라 함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15mmH2O 이하를 말한다. - 이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감압 또는 진공"이라는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규정이 없는 경우 15mmH2O 이하를 말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카드뮴의 분석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다이페닐카르바지드법
  2. 다이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법
  3. 디티존법
  4. 환원기화법
(정답률: 70%)
  • 카드뮴은 디티존법을 사용하여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카드뮴과 디티존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복합체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카드뮴 함량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높은 정확도와 민감도를 가지며, 다른 방법들보다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5g 증발접시에 적당량의 시료를 취하여 증발접시와 무게를 달았더니 20g이었다. 105 ~ 110℃ 건조기 안에서 4시간 건조시킨 후 항량으로 무게를 달았더니 10g이었다. 수분과 고형물의 함유율(%)은 어느 것인가?

  1. 수분:50%, 고형물:50%
  2. 수분:67%, 고형물:33%
  3. 수분:33%, 고형물:67%
  4. 수분:30%, 고형물:70%
(정답률: 54%)
  • 시료의 초기 무게는 20g이고, 건조 후 무게는 10g이므로, 시료에서 증발한 수분의 양은 20g - 10g = 10g이다.

    따라서, 수분의 함유율은 (10g / 20g) x 100% = 50%이다.

    고형물의 함유율은 수분 함유율과 합쳐서 100%가 되므로, 고형물의 함유율은 100% - 50% = 50%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고형물의 함유율이 33%로 주어졌으므로, 시료에는 수분이 더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건조 후 고형물의 비중이 더 높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수분의 함유율은 더 높아지고, 고형물의 함유율은 더 낮아졌을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수분:67%, 고형물:3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수산화나트륨(NaOH) 10g을 정제수 500mL에 용해시킨 용액의 농도(N)는? (단, 나트륨 원자량은 23)

  1. 0.5
  2. 0.4
  3. 0.3
  4. 0.2
(정답률: 67%)
  • 농도(N)는 용질의 몰수(몰질량/용액의 부피)로 정의된다. 따라서, 먼저 NaOH의 몰질량을 계산해야 한다.

    NaOH의 몰질량 = 나트륨 원자량 + 산소 원자량 + 수소 원자량
    = 23 + 16 + 1
    = 40 g/mol

    따라서, 10g의 NaOH는 몰수로 환산하면 10/40 = 0.25 mol 이다.

    농도(N) = 몰수/용액의 부피
    = 0.25 mol/0.5 L
    = 0.5 mol/L

    따라서, 정답은 "0.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폐기물의 pH(유리전극법)측정 시 사용되는 표준용액이 아닌 것은?

  1. 수산염 표준용액
  2. 수산화칼슘 표준용액
  3. 황산염 표준용액
  4. 프탈산염 표준용액
(정답률: 84%)
  • 황산염 표준용액은 pH 측정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수산염 표준용액, 수산화칼슘 표준용액, 프탈산염 표준용액은 pH 측정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잔류염소가 함유된 시안측정 시료에서 잔류염소를 제거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은?

  1. 초산아연 용액(10W/V%)
  2. L-아스코르빈산 용액(10W/V%)
  3. 10% 황산제일철암모늄 용액
  4. 5% 피로인산나트륨 용액
(정답률: 82%)
  • L-아스코르빈산은 잔류염소를 화학적으로 환원시켜 제거할 수 있는 강력한 환원제이기 때문에 잔류염소가 함유된 시안측정 시료에서 잔류염소를 제거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잔류염소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이지 않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화학물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으로 수은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 )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340mm
  2. 490mm
  3. 540mm
  4. 580mm
(정답률: 50%)
  • 주어진 그림에서 수은의 흡수선이 253.7nm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253.7nm 근처의 파장대역을 측정해야 한다. 따라서 253.7nm 근처의 파장대역을 가진 필터를 선택해야 하는데, 주어진 보기에서 490mm에 해당하는 파장대역이 253.7nm 근처의 파장대역을 가지므로 정답은 490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성상에 따른 시료의 채취방법으로 틀린 것은?

  1. 고상혼합물의 경우 적당한 채취 도구를 사용하며 한 번에 일정량씩 채취한다.
  2. 액상혼합물의 경우 원칙적으로 최종지점의 낙하구에서 흐르는 도중에 채취한다.
  3. 액상혼합물이 용기에 들어 있는 경우 잘 혼합하여 균일한 상태로 하여 채취한다.
  4. 대형 콘크리트 고형화물로서 분쇄가 어려울 경우에는 임의의 5개소에서 채취한 후 각각 파쇄하여 50g씩 균등량을 혼합하여 채취한다.
(정답률: 85%)
  • "대형 콘크리트 고형화물로서 분쇄가 어려울 경우에는 임의의 5개소에서 채취한 후 각각 파쇄하여 50g씩 균등량을 혼합하여 채취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채취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수소이온농도(pH)가 10이라면 [OH]의 농도(mol/L)는?

  1. 10-9
  2. 10-8
  3. 10-6
  4. 10-4
(정답률: 60%)
  • pH와 pOH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pH + pOH = 14

    따라서, pH가 10일 때 pOH는 14 - 10 = 4입니다.

    pOH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됩니다.

    pOH = -log[OH-]

    따라서, [OH-] = 10^-pOH = 10^-4 mol/L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0^-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폐기물 중 기름성분의 추출에 사용되는 물질은?

  1. 클로로폼
  2. 사염화탄소
  3. 벤젠
  4. 노말헥산
(정답률: 87%)
  • 노말헥산은 폐기물 중 기름성분의 추출에 사용되는 용매로 널리 사용되는 물질입니다. 이는 기름성분과 잘 혼합되며, 추출 후에도 쉽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클로로폼, 사염화탄소, 벤젠은 건강 위험이 있거나 환경 오염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제한되거나 금지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폐기물공정시험법의 시약 및 용액의 조제방법에 대한 내용으로 ( )에 적합한 것은?

  1. 시안화칼륨
  2. 산화칼슘
  3. 수산화바륨
  4. 에틸알콜
(정답률: 56%)
  • 이 시험법은 폐기물의 총유기탄소(TOC) 함량을 측정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샘플에 산화제를 첨가하여 산화시키고, 생성된 이산화탄소를 수산화바륨 용액으로 흡수시켜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수산화바륨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폐기물 관계 법규

61.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를 마친 자는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검사기관으로부터 검사를 받아야 한다. 다음 중 음식물류 폐기물처리시설의 검사기관으로 옳은 것은? (단, 그밖에 환경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관 제외)

  1. 한국산업연구원
  2. 보건환경연구원
  3. 한국농어촌공사
  4. 한국환경공단
(정답률: 76%)
  • 음식물류 폐기물처리시설은 환경부령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인가한 검사기관으로부터 검사를 받아야 한다. 그러나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인가한 검사기관이 아닌 경우에는 환경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관 중에서 검사를 받아야 한다. 따라서, "한국환경공단"은 환경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관 중에서 음식물류 폐기물처리시설의 검사기관으로 인가되어 있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폐기물처리시설의 유지, 관리에 관한 기술관리의 대행을 할 수 있는 자'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한국환경공단
  2. 국립환경연구원
  3. 시·도 보건환경연구원
  4. 지방환경관리청
(정답률: 91%)
  • 한국환경공단은 폐기물처리시설의 유지, 관리에 관한 기술관리 대행을 수행하는 공공기관으로, 폐기물 처리 및 관리, 대기오염, 수질오염 등 환경문제에 대한 연구와 대응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가장 알맞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폐기물관리법의 적용범위에 해당하는 물질인 것은?

  1. 폐기되는 탄약
  2. 가축의 사체
  3. 가축분뇨
  4. 광재
(정답률: 72%)
  • 광재는 폐기물관리법 제2조 제1항 제1호에 해당하는 산업폐기물로서, 채광 및 광업에서 발생하는 폐기물로 분류되어 폐기물관리법의 적용범위에 해당합니다. 반면, 탄약은 폐기물관리법 제2조 제1항 제2호에 해당하는 군사폐기물, 가축의 사체와 분뇨는 폐기물관리법 제2조 제1항 제3호에 해당하는 축산폐기물로 분류되어 폐기물관리법의 적용범위에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폐기물처리업자가 환경부령이 정하는 양과 기간을 초과하여 폐기물을 보관하였을 경우 벌칙기준은?

  1.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7천만원 이하의 벌금
  2.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4.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50%)
  • 환경부령에서 정한 폐기물 보관 기간과 양을 초과하여 보관한 경우, 폐기물 처리업자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집니다. 이는 폐기물 처리업자가 폐기물을 적절하게 처리하지 않아 환경오염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폐기물 처리업자는 환경부령에서 정한 기간과 양을 준수하여 적절하게 폐기물을 처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국가 폐기물관리 종합계획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재원 조달 계획
  2. 부문별 폐기물관리 정책
  3. 폐기물관리계획의 검토 및 평가
  4. 종합계획의 기조
(정답률: 63%)
  • 정답: "폐기물관리계획의 검토 및 평가"

    폐기물관리 종합계획에는 재원 조달 계획, 부문별 폐기물관리 정책, 종합계획의 기조 등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폐기물관리계획의 검토 및 평가"는 이미 계획이 수립된 후에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종합계획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 과정은 계획의 실행 결과를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폐기물 수출신고를 하려는 자가 폐기물의 발생지를 관할하는 지방환경관서의 장에게 제출하는 신고서에 첨부하여야 하는 서류가 아닌 것은?

  1. 수출폐기물의 운반계획서
  2. 수출가격이 본선 인도가격(F.O.B)으로 명시된 수출계약서나 주문서 사본
  3. 수출폐기물 처리계획 확인서
  4. 수출폐기물의 운반계약서 사본(위탁운반하는 경우에만 첨부한다.)
(정답률: 62%)
  • "수출폐기물 처리계획 확인서"는 폐기물의 처리 방법과 처리 시설 등을 확인하는 서류이므로, 폐기물 수출신고를 하려는 자가 제출해야 하는 필수 서류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수출폐기물 처리계획 확인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주변지역 영향조사 대상 폐기물처리시설 기준으로 옳은 것은 어느 것인가? (단, 대통령령으로 정하며 폐기물처리업자 설치, 운영)

  1. 매립면적 1만 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지정폐기물 매립시설
  2. 매립면적 2만 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지정폐기물 매립시설
  3. 매립면적 3만 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지정폐기물 매립시설
  4. 매립면적 5만 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지정폐기물 매립시설
(정답률: 85%)
  • 매립면적 1만 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지정폐기물 매립시설이 옳은 것은 폐기물 처리시설 중 가장 기본적인 매립시설이기 때문입니다. 폐기물을 매립하는 것은 폐기물 처리의 가장 기본적인 방법 중 하나이며, 매립면적이 충분하지 않으면 폐기물을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매립면적 1만 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지정폐기물 매립시설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중간처분시설 중 기계적 처분시설에 해당하는 것은?

  1. 고형화·고화·안정화 시설
  2. 반응시설
  3. 소멸화시설
  4. 용융시설
(정답률: 81%)
  • 기계적 처분시설은 폐기물을 물리적으로 분쇄, 압축, 파쇄 등의 방법으로 처리하는 시설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용융시설은 폐기물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용융시켜 고형물질을 액체로 변환한 후, 냉각하여 고형화시키는 방식으로 처리합니다. 따라서 용융시설은 기계적 처분시설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지정폐기물의 수집·운반·보관 기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폐농약·폐촉매는 보관개시일로부터 30일을 초과하여 보관하여서는 아니 된다.
  2. 수집·운반 차량은 녹색도색을 하여야 한다.
  3. 지정폐기물과 지정폐기물 외의 폐기물을 구분없이 보관하여야 한다.
  4. 폐유기용제는 휘발되지 아니하도록 밀폐된 용기에 보관하여야 한다.
(정답률: 62%)
  • 폐유기용제는 휘발성이 강하기 때문에 밀폐된 용기에 보관하여야 합니다. 이는 안전하고 환경적으로 적절한 보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폐기물발생억제지침 준수의무 대상 배출자의 규모기준으로 ( )에 알맞은 것은?

  1. 1톤 이상
  2. 10톤 이상
  3. 100톤 이상
  4. 1,000톤 이상
(정답률: 64%)
  • 폐기물 발생억제지침에서는 대규모 폐기물 발생자로 분류되는 경우, 연간 1,000톤 이상의 폐기물을 발생시키는 경우를 말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1,000톤 이상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폐기물처리시설 중 멸균분쇄시설의 정기검사항목이 아닌 것은?

  1. 자동투입장치와 투입량 자동계측장치의 작동상태
  2. 자동기록장치의 작동상태
  3. 폭발사고와 화재 등에 대비한 구조의 적절유지
  4. 멸균조건의 적정유지 여부(멸균검사 포함)
(정답률: 46%)
  • 자동투입장치와 투입량 자동계측장치의 작동상태는 멸균분쇄시설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이지만, 정기검사항목으로는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해당 시설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검사하는 것이 아니라, 멸균조건의 적정유지 여부와 폭발사고 및 화재 등에 대비한 구조의 적절유지 등을 검사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운영하는 자 중에 기술관리인을 임명하지 아니하고 기술관리 대행계약을 체결하지 아니한 자에 대한 과태료 처분기준은?

  1. 1천만원 이하
  2. 5백만원 이하
  3. 3백만원 이하
  4. 2백만원 이하
(정답률: 81%)
  • 기술관리인을 임명하지 않거나 기술관리 대행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경우, 해당 시설의 안전성과 환경보호에 대한 책임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게 되므로, 이는 관련 법규 위반으로 간주됩니다. 그러나 이러한 위반행위의 정도는 상황에 따라 다르며, 이에 따라 과태료의 크기가 결정됩니다. 이 경우,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운영하는 자 중에 기술관리인을 임명하지 아니하고 기술관리 대행계약을 체결하지 아니한 자에 대한 과태료 처분기준은 "1천만원 이하"입니다. 이는 해당 위반행위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경미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지정폐기물에 함유된 유해물질이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1. 기름성분
  2. 구리
  3. 니켈
(정답률: 58%)
  • 지정폐기물은 인체나 환경에 유해한 물질이 함유된 폐기물을 말합니다. 그 중에서도 "니켈"은 인체에 유해한 물질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반면에 "기름성분", "납", "구리"는 모두 지정폐기물에 함유된 유해물질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니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시·도지사나 지방환경관서의 장이 폐기물처리시설의 개선명령을 명할 때 개선 등에 필요한 조치의 내용, 시설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정하여야 하는 기간은? (단, 연장기간은 고려하지 않음)

  1. 3개월
  2. 6개월
  3. 1년
  4. 1년 6개월
(정답률: 59%)
  • 폐기물처리시설의 개선명령을 받은 시설 운영자는 개선 등에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시·도지사나 지방환경관서의 장은 개선 등에 필요한 조치의 내용, 시설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정해야 합니다. 이 기간은 1년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폐기물처리업의 허가를 받을 수 없는 자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미성년자
  2. 파산선고를 받은 자로서 파산선고를 받은 날부터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3. 폐기물관리법을 위반하여 징역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그 형의 집행이 끝나거나 집행을 받지 아니하기로 확정된 후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4. 폐기물처리업의 허가가 취소된 자로서 그 허가가 취소된 날부터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정답률: 70%)
  • 정답은 "미성년자"입니다. 폐기물처리업의 허가를 받을 수 없는 자의 기준은 폐기물관리법 제21조에 명시되어 있으며, 파산선고를 받은 자로서 파산선고를 받은 날부터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는 허가를 받을 수 없는 자의 기준 중 하나입니다. 이유는 파산선고를 받은 자는 경제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이기 때문에 폐기물처리업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없다는 판단이 내려졌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폐기물처리담당자 등이 이수하여야 하는 교육과정으로 틀린 것은?

  1. 사업장폐기물배출자 과정
  2. 폐기물처리업 기술요원 과정
  3. 폐기물재활용시설 기술요원 과정
  4. 폐기물처분시설 기술담당자 과정
(정답률: 66%)
  • 정답은 "폐기물재활용시설 기술요원 과정"입니다. 이유는 폐기물재활용시설 기술요원 과정은 폐기물 처리와는 관련이 없는 재활용 기술에 대한 교육과정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세 개의 교육과정은 모두 폐기물 처리와 관련된 기술에 대한 교육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지정폐기물(의료폐기물은 제외) 보관창고에 설치해야 하는 지정폐기물의 종류, 보관가능용량, 취급 시 주의사항 및 관리책임자 등을 기재한 표지판 표지의 규격기준으로 옳은 것은? (단, 드럼 등 소형용기에 붙이는 경우 제외)

  1. 가로 60센티미터 이상×세로 40센티미터 이상
  2. 가로 80센티미터 이상×세로 60센티미터 이상
  3. 가로 100센티미터 이상×세로 80센티미터 이상
  4. 가로 120센티미터 이상×세로 100센티미터 이상
(정답률: 79%)
  • 정답은 "가로 60센티미터 이상×세로 40센티미터 이상"이다. 이는 보관창고 내에서 표지판이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한 최소한의 크기이다. 또한, 이 크기는 보관창고의 크기와 비교하여 적절한 크기로 판단되기 때문에 규격기준으로 채택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폐기물발생억제지침 준수의무 대상 배출자의 규모기준으로 ( )에 알맞은 것은?

  1. ㉮ 2년간, ㉯ 200톤 이상
  2. ㉮ 2년간, ㉯ 1천톤 이상
  3. ㉮ 3년간, ㉯ 200톤 이상
  4. ㉮ 3년간, ㉯ 1천톤 이상
(정답률: 78%)
  • 폐기물 발생억제지침은 대규모 폐기물 발생자에게 더욱 엄격한 규제를 적용하기 위해 규모 기준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3년간에 1천톤 이상의 폐기물을 발생시키는 대규모 폐기물 발생자는 준수의무 대상 배출자로 분류됩니다. 이는 다른 보기들과 비교하여 폐기물 발생량과 기간 모두가 높은 대규모 폐기물 발생자를 대상으로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의료폐기물 중 일반 의료폐기물에 해당되는 것은?

  1. 시험·검사 등에 사용된 배양액
  2. 파손된 유리재질의 시험기구
  3. 혈액·체액·분비물·배설물이 함유되어 있는 탈지면
  4. 한방침
(정답률: 72%)
  • 혈액, 체액, 분비물, 배설물이 함유되어 있는 탈지면은 인체에서 나오는 생체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 의료폐기물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기준 중 고온용융시설의 개별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시설에서 배출되는 잔재물의 강열감량은 5% 이하가 될 수 있는 성능을 갖추어야 한다.
  2. 연소가스의 체류시간은 1초 이상이어야 하고, 충분하게 혼합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3. 연소가스의 체류시간은 섭씨 1,200도에서의 부피로 환산한 연소가스의 체적으로 계산한다.
  4. 시설의 출구온도는 섭씨 1,200도 이상이 되어야 한다.
(정답률: 59%)
  • "연소가스의 체류시간은 섭씨 1,200도에서의 부피로 환산한 연소가스의 체적으로 계산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고온용융시설에서는 폐기물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용융시키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 때, 시설에서 배출되는 잔재물의 강열감량은 5% 이하가 되어야 합니다. 이는 폐기물의 연소가 완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연소가스의 체류시간은 1초 이상이어야 하고, 충분하게 혼합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합니다. 이는 연소가스의 완전한 연소를 위해 필요한 조건입니다. 마지막으로, 시설의 출구온도는 섭씨 1,200도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이는 폐기물의 완전한 연소를 위해 필요한 온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