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4-28)

폐기물처리산업기사
(2018-04-2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폐기물개론

1. 지정폐기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pH가 2이하인 폐산은 지정폐기물이다.
  2. pOH가 1.5이하인 페알카리는 지정폐기물이다.
  3. 농촌에서 농부가 사용하고 남은 폐농약은 지정폐기물이다.
  4. 샌드블라스트 폐사에서 0.3mg/L이상의 카드뮴이 용출되어 나오면 지정폐기물에 해당된다.
(정답률: 77%)
  • "농촌에서 농부가 사용하고 남은 폐농약은 지정폐기물이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농촌에서 사용한 폐농약은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지정폐기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우리나라 인구 1인당 1일 생활쓰레기 평균 발생량(kg)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약 0.2
  2. 약 1.0
  3. 약 2.2
  4. 약 3.2
(정답률: 87%)
  • 우리나라 인구 1인당 1일 생활쓰레기 평균 발생량은 약 1.0kg이다. 이는 우리나라의 생활환경과 소비문화가 발전하면서 쓰레기 발생량이 증가하고,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생활쓰레기 발생량이 더욱 늘어났기 때문이다. 또한, 쓰레기 처리 시설의 부족과 쓰레기 분리수거의 미흡 등으로 인해 쓰레기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개인적으로 쓰레기 발생량을 줄이고, 적극적인 분리수거를 실천하여 환경보호에 기여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쓰레기 발생량 조사방법 중 물질수지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스템에 유입되는 대표적 물질을 설정하여 발생량을 추산하여야 한다.
  2. 주로 산업폐기물의 발생량 추산에 이용된다.
  3. 물질수지를 세울 수 있는 상세한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 가능하다.
  4. 우선적으로 조사하고자 하는 계의 경계를 정확하게 설정하여야 한다.
(정답률: 78%)
  • "시스템에 유입되는 대표적 물질을 설정하여 발생량을 추산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은, 이 방법은 모든 경우에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일반 가정에서 발생하는 쓰레기의 경우, 시스템에 유입되는 대표적 물질을 설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 방법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도시 일반폐기물의 조성성분 중 가장 적게 차지하는 성분이라고 생각되는 것은?

  1. 수분
  2. 탄소
  3. 산소
(정답률: 82%)
  • 일반적으로 도시 일반폐기물의 조성성분 중에서는 수분, 탄소, 산소가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황은 일반적으로 폐기물에 많이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황이 가장 적게 차지하는 성분이라고 생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폐기물의 밀도가 200kg/m3인 것을 500kg/m3으로 압축시킬 때 폐기물의 부피변화는?

  1. 60% 감소
  2. 64% 감소
  3. 67% 감소
  4. 70% 감소
(정답률: 91%)
  • 폐기물의 밀도가 200kg/m3에서 500kg/m3으로 압축되면, 단위 부피당 폐기물의 질량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동일한 질량의 폐기물을 담기 위해서는 더 적은 부피가 필요합니다.

    압축 전 폐기물의 부피를 100%로 가정하면, 압축 후 폐기물의 부피는 (200/500) x 100 = 40%가 됩니다. 따라서 폐기물의 부피는 60% 감소합니다.

    정답: "60% 감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쓰레기 재활용 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인 수거방법은?

  1. 집단수거
  2. 타종수거
  3. 분리수거
  4. 혼합수거
(정답률: 78%)
  • 분리수거는 재활용 가능한 쓰레기와 그렇지 않은 쓰레기를 분리하여 수거하는 방법으로, 재활용 가능한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어 가장 효과적인 수거 방법이다. 집단수거는 일정 지역에서 모아서 수거하는 방법으로, 분리가 되어 있지 않은 쓰레기를 모아서 처리하기 때문에 효과적이지 않다. 타종수거는 일정한 종류의 쓰레기만 모아서 수거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종류의 쓰레기를 처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혼합수거는 분리가 되어 있지 않은 쓰레기를 모아서 처리하는 방법으로, 재활용 가능한 쓰레기를 분리하여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효과적이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pH가 3인 폐산 용액은 pH가 5인 폐산 용액에 비하여 수소이온이 몇 배 더 함유되어 있는가?

  1. 2배
  2. 15배
  3. 20배
  4. 100배
(정답률: 81%)
  • pH가 3인 용액은 수소이온 농도가 10^-3 mol/L이고, pH가 5인 용액은 수소이온 농도가 10^-5 mol/L입니다.

    따라서, pH가 3인 용액은 pH가 5인 용액에 비해 수소이온 농도가 10^-3 mol/L ÷ 10^-5 mol/L = 100배 더 높습니다.

    즉, pH가 3인 용액은 pH가 5인 용액에 비해 수소이온이 100배 더 함유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쓰레기 수거 시 물과 섞어 잘게 분쇄한 뒤 용적을 감소시켜 수거하며, 반드시 폐수처리시설이 있어야만 사용할 수 있는 장치는?

  1. Pulverizer
  2. Stationary Compactors
  3. Baler
  4. Rotary Compactors
(정답률: 61%)
  • Pulverizer는 쓰레기를 물과 섞어 잘게 분쇄하여 용적을 감소시키는 장치이며, 이 과정에서 생기는 폐수를 처리하기 위해 반드시 폐수처리시설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쓰레기 발생량에 영향을 주는 모든 인자를 시간에 대한 함수로 나타낸 후, 시간에 대한 함수로 표현된 각 영향인자들간의 상관관계를 수식화하는 쓰레기 발생량 예측 모델은?

  1. 시간인지회귀모델
  2. 다중회귀모델
  3. 정적모사모델
  4. 동적모사모델
(정답률: 84%)
  • 쓰레기 발생량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여러 인자들의 영향을 받습니다. 이러한 인자들은 모두 시간에 대한 함수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함수들을 모아서 쓰레기 발생량을 예측하는 모델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모델은 시간에 대한 함수로 표현된 각 영향인자들간의 상관관계를 수식화하므로, 동적모사모델이라고 부릅니다. 이는 정적모사모델과는 달리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인자들을 고려하여 더 정확한 예측을 가능하게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동적모사모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쓰레기의 물리적 성상분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분함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105~110℃에서 4시간 건조시킨다.
  2. 회분함량 측정을 위해 가열하는 온도는 600±25℃이어야 한다.
  3. 종류별 성상분석은 일반적으로 손선별로 한다.
  4. 쓰레기 밀도는 겉보기밀도가 아닌 진밀도를 측정하여야 한다.
(정답률: 73%)
  • "쓰레기 밀도는 겉보기밀도가 아닌 진밀도를 측정하여야 한다."이 틀린 것이다. 쓰레기의 밀도는 겉보기밀도로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진밀도는 보다 정확한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겉보기밀도는 쓰레기의 부피와 무게를 측정하여 계산할 수 있으며, 진밀도는 쓰레기의 공기 중 포함된 부피를 제거한 후의 밀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수거노선 설정 시 유의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고지대에서 저지대로 차량을 운행한다.
  2. 다량 발생되는 배출원은 하루 중 가장 나중에 수거한다.
  3. 반복운행, U자 회전을 피한다.
  4. 가능한 한 시계방향으로 수거노선을 정한다.
(정답률: 89%)
  • 정답: "다량 발생되는 배출원은 하루 중 가장 나중에 수거한다."

    설명: 다량 발생되는 배출원은 일찍 수거하면 해당 지역의 쓰레기통이 가득 차서 추가적인 쓰레기를 버리지 못하게 될 수 있기 때문에, 하루 중 가장 나중에 수거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렇게 하면 쓰레기통이 비어있는 상태에서 배출원들이 쓰레기를 버릴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수거가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특정 물질의 연소계산에 있어 그 값이 가장 적은 값은?

  1. 실제 공기량
  2. 이론 연소가스량
  3. 이론 산소량
  4. 이론 공기량
(정답률: 68%)
  • 정답은 "이론 산소량"입니다. 이유는 연소 반응식에서 필요한 산소의 양을 계산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이론 산소량은 연소 반응식에서 필요한 산소의 양을 계산한 값으로, 이 값이 적을수록 물질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량이 적어지므로 연소 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양도 적어집니다. 따라서 이론 산소량이 가장 적은 값이 가장 효율적인 연소 계산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인구가 6,000,000명이 사는 도시에서 1년에 3,000,000ton의 폐기물이 발생된다. 이 폐기물을 4,500명의 인부가 수거할 때 MHT는? (단, 수거인부의 1일 작업시간 = 8시간, 1년 작업 일수 = 300일)

  1. 2.3
  2. 3.6
  3. 4.7
  4. 8.8
(정답률: 81%)
  • MHT는 일일 폐기물 처리량을 의미한다.

    1년에 발생하는 폐기물의 양은 3,000,000 ton이고, 이를 4,500명의 인부가 처리해야 한다.

    1일 작업시간은 8시간이므로, 1인당 8시간 동안 처리할 수 있는 폐기물의 양은 다음과 같다.

    1인당 1일 처리량 = 3,000,000 ÷ (4,500명 × 300일 × 8시간) = 1/10 ton

    따라서, MHT는 1인당 1일 처리량인 1/10 ton이다.

    이를 kg 단위로 환산하면 100kg이 되므로, 정답은 3.6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중유 1kg을 완전연소시킬 때의 저위발열량(kcal/kg)은? (단, Hh= 12000kcal/kg, 원소분석에 의한 수소 분석비 = 20%, 수분함량 = 20%)

  1. 10800
  2. 11988
  3. 20988
  4. 21988
(정답률: 72%)
  • 중유는 탄화수소와 수소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완전연소시 CO2와 H2O가 생성된다. 이때 발생하는 열량은 탄화수소와 수소의 저위발열량과 생성된 CO2와 H2O의 열량 합이다.

    중유 1kg에서 탄화수소의 질량은 (1-0.2-0.2) = 0.6kg이다. 탄화수소의 분자량은 약 12x6 = 72이므로, 탄화수소의 몰량은 0.6/72 = 0.00833mol이다. 따라서 탄화수소의 저위발열량은 0.00833 x 12000 = 100 kcal이다.

    수소의 질량은 (1-0.2-0.2) x 0.2 = 0.08kg이다. 수소의 분자량은 1이므로, 수소의 몰량은 0.08/1 = 0.08mol이다. 따라서 수소의 저위발열량은 0.08 x 12000 = 960 kcal이다.

    CO2의 생성량은 탄화수소의 생성량과 같으므로 0.6kg이다. CO2의 분자량은 12+2x16 = 44이므로, CO2의 몰량은 0.6/44 = 0.0136mol이다. CO2의 열량은 몰당 94kcal이므로, CO2의 열량은 0.0136 x 94 = 1.2744 kcal이다.

    H2O의 생성량도 탄화수소의 생성량과 같으므로 0.6kg이다. H2O의 분자량은 2+16 = 18이므로, H2O의 몰량은 0.6/18 = 0.0333mol이다. H2O의 열량은 몰당 56kcal이므로, H2O의 열량은 0.0333 x 56 = 1.873 kcal이다.

    따라서 중유 1kg의 완전연소 열량은 100 + 960 + 1.2744 + 1.873 = 1063.1474 kcal이다. 따라서 중유 1kg의 저위발열량은 1063.1474 kcal/kg이다. 이 값은 보기 중 "10800"과 가장 가깝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제품의 원료채취, 제조, 유통, 소비, 폐기의 전단계에서 발생하는 환경부하를 전과정평가(LCA)를 통해 정량적인 수치로 표시하는 우리나라의 환경 라벨링 제도는?

  1. 환경마크제도(EM)
  2. 환경성적표지제도(EDP)
  3. 우수재활용마크제도(GR)
  4. 에너지절약마크제도(ES)
(정답률: 74%)
  • 환경성적표지제도(EDP)는 제품의 전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부하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제품에 부착하는 환경 라벨링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소비자는 환경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기업은 환경성능을 개선하여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EDP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쓰레기를 압축시켜 용적감소율(VR)이 33%인 경우 압축비(CR)은?

  1. 1.29
  2. 1.31
  3. 1.49
  4. 1.57
(정답률: 79%)
  • 용적감소율(VR)은 압축 전의 용적과 압축 후의 용적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VR = 33%는 압축 후의 용적이 압축 전의 용적의 0.67배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압축비(CR)는 압축 후의 용적과 압축 전의 용적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CR = 1 / VR = 1 / 0.67 = 1.49가 됩니다.

    즉, 쓰레기를 압축시켜 용적감소율(VR)이 33%인 경우 압축비(CR)은 1.49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적환장을 설치하였을 경우 나타나는 현상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폐기물 처리시설과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경제적이다.
  2. 쓰레기 차량의 출입이 빈번해진다.
  3. 소음 및 비산먼지, 악취 등이 발생한다.
  4. 재활용품이 회수되지 않는다.
(정답률: 73%)
  • 적환장은 쓰레기를 소각하여 처리하는 시설이므로, 재활용품은 소각되어 버리기 때문에 회수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파쇄 메카니즘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압축작용
  2. 전단작용
  3. 회전작용
  4. 충격작용
(정답률: 74%)
  • 파쇄 메카니즘은 물질을 작은 조각으로 분해하는 과정을 말하는데, 이 과정에서 압축작용, 전단작용, 충격작용 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회전작용은 파쇄 메카니즘과는 거리가 먼 개념이다. 회전작용은 물체를 회전시켜서 작용하는 힘을 말하는데, 파쇄 메카니즘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회전작용이 파쇄 메카니즘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폐기물 압축기를 형태에 따라 구별한 것이라 볼 수 없는 것은?

  1. 왕복식 압축기
  2. 백(bag) 압축기
  3. 수직식 압축기
  4. 회전식 압축기
(정답률: 51%)
  • 왕복식 압축기는 형태에 따라 구별할 수 있는 폐기물 압축기 중 하나가 아닙니다. 왕복식 압축기는 폐기물을 압축하는 방식에 따라 구분되며, 폐기물을 수직으로 압축하는 수직식 압축기, 회전하는 회전식 압축기, 백(bag)에 폐기물을 담아 압축하는 백 압축기와 함께 형태에 따라 구별할 수 있는 압축기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쓰레기의 발생량 예측 방법 중 최저 5년 이상의 과거 처리 실적을 바탕으로 예측하며 시간과 그에 따른 쓰레기 발생량 간의 상관관계만을 고려하는 방법은?

  1. 직접계근법
  2. 경향법
  3. 다중회귀모델
  4. 동적모사모델
(정답률: 83%)
  • 경향법은 최저 5년 이상의 과거 처리 실적을 바탕으로 쓰레기 발생량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시간과 쓰레기 발생량 간의 상관관계만을 고려합니다. 이 방법은 간단하고 직관적이며,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하기 때문에 예측 정확도가 높은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경향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폐기물처리기술

21. 매립장의 사용년한을 더 연장하기 위하여 압축매립 시 사용하는 압축기로 적합한 것은?

  1. 고정식 압축기
  2. 백 압축기
  3. 회정식 압축기
  4. 베일러(baler)
(정답률: 56%)
  • 베일러는 압축된 폐기물을 밀어내는 방식으로 압축하는 백 압축기의 일종입니다. 이는 매립장에서 폐기물을 더욱 밀집시켜 사용년한을 연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베일러가 압축매립 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압축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기술 중 퇴비화의 장ㆍ단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운영 시 에너지 소모가 비교적 적다.
  2. 퇴비가 완성되어도 부피가 크게 감소(50% 이하) 되지 않는다.
  3. 생산된 퇴비는 비료가치가 높다.
  4.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므로 퇴비제품의 품질표준화가 어렵다.
(정답률: 68%)
  • 정답: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므로 퇴비제품의 품질표준화가 어렵다."

    생산된 퇴비는 비료가치가 높은 이유는 유기물을 분해하여 질소, 인, 칼륨 등의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영양소는 식물의 성장에 필수적인 요소이며, 비료로 사용될 경우 작물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퇴비화 기술에서는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기 때문에 퇴비제품의 품질표준화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토양 중에서 1분 동안 12m를 침출수가 이동(겉보기 속도)하였다면, 이때 토양공극내의 침출수 속도(m/s)는? (단, 유효공극률 = 0.4)

  1. 0.08
  2. 0.2
  3. 0.5
  4. 0.8
(정답률: 49%)
  • 유효공극률은 토양 중 유효하게 물이 흐를 수 있는 공간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침출수가 이동한 거리 12m를 1분(60초)으로 나누어 속도를 구하면 0.2m/s가 된다. 이때, 유효공극률이 0.4이므로, 토양공극내의 침출수 속도는 0.2m/s ÷ 0.4 = 0.5m/s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0.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퇴비화공정의 운전척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분함량이 너무 크면 퇴비화가 지연되므로 적정 수분함량은 30~40% 정도가 적절하다.
  2. 온도가 서서히 내려가 40~45℃에서는 퇴비화가 거의 완성된 상태로 간주한다.
  3. 퇴비가 되면 진한 회색을 띠며 약간의 갈색을 나타낸다.
  4. pH는 변동이 크지 않다.
(정답률: 52%)
  • "pH는 변동이 크지 않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퇴비화 공정에서는 pH가 변화할 수 있으며, 이를 조절하기 위해 산 또는 알칼리를 첨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매립지의 침출수 농도가 반으로 감소하는데 4년이 걸린다면, 이 침출수 농도가 90% 분해되는데 걸리는 시간(년)은? (단, 1차 반응기준)

  1. 약 11.3
  2. 약 13.3
  3. 약 15.3
  4. 약 17.3
(정답률: 69%)
  • 1차 반응속도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rate = k[A]

    여기서 [A]는 침출수의 농도를 나타내며, k는 속도상수입니다. 매립지의 침출수 농도가 반으로 감소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ln([A]₀/[A]) = kt

    여기서 [A]₀는 초기 침출수 농도이며, t는 시간입니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t = (1/k)ln([A]₀/[A])

    문제에서 침출수 농도가 반으로 감소하는데 4년이 걸린다고 했으므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A]₀/[A] = 2

    따라서 t = (1/k)ln2 x 4 = 4.16/k

    이제 침출수 농도가 90% 분해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구해야 합니다. 이 경우 [A]₀/[A] = 10이므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t = (1/k)ln10 x t₉₀

    여기서 t₉₀는 침출수 농도가 90% 분해되는데 걸리는 시간입니다. 따라서 t₉₀를 구하려면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t₉₀ = t x ln10/ln([A]₀/[A]) = 4.16/k x ln10/ln2 = 13.3

    따라서 정답은 "약 13.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분뇨 정화조(PVC 원형 정화조)의 처리순서가 가장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 부패조 - 여과조 - 산화조 - 소독조
  2. 산화조 - 부패조 - 여과조 - 소독조
  3. 부패조 - 산화조 - 소독조 - 여과조
  4. 산화조 - 여과조 - 부패조 – 소독조
(정답률: 57%)
  • 분뇨 정화조 처리순서는 먼저 부패조에서 유기물을 분해하고, 그 다음 여과조에서 물과 고형물을 분리하며, 산화조에서는 질소와 인을 산화시켜 처리하고, 마지막으로 소독조에서는 세균 등을 제거하여 정화된 물을 얻는 것입니다. 따라서 "부패조 - 여과조 - 산화조 - 소독조"가 가장 올바른 처리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분뇨의 활성슬러지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2단계 활성슬러지 처리 방식에는 2개의 폭기조가 필요하다.
  2. 1단계 활성슬러지 처리 방식은 분뇨의 희석없이, 예비 폭기 후 희석수를 가하여 활성슬러지 방법으로 처리하는 것이다.
  3. 1단계 활성슬러지 처리 방식에서 예비 폭기기간은 8시간이다.
  4. 희석포기처리 방식의 특징은 희석포기하여 폭기조의 유출수를 침전시킨 후에 슬러지를 폭기조로 반송시키지 않는다는 것이다.
(정답률: 42%)
  • 1단계 활성슬러지 처리 방식에서 예비 폭기기간은 8시간이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1단계 활성슬러지 처리 방식에서 예비 폭기기간은 일반적으로 1~2시간 정도이며, 처리 시설의 규모나 운영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하루에 45ton을 처리하는 폐기물에너지 전환시설로부터 생성되는 열발생률(kcal/kwh)은? (단, 폐기물의 에너지 함량 = 2800kcal/kg, 발전된 순수 전기에너지 = 800kW)

  1. 약 4563
  2. 약 5563
  3. 약 6563
  4. 약 7563
(정답률: 58%)
  • 폐기물의 에너지 함량은 2800kcal/kg 이므로, 하루에 처리되는 45ton의 폐기물은 45,000kg이다. 따라서 하루에 발생하는 열은 2800kcal/kg x 45,000kg = 126,000,000kcal이다.

    발전된 순수 전기에너지는 800kW이므로, 1시간 동안 발생하는 전기에너지는 800kWh이다. 이때 발생하는 열은 발전 효율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kWh당 약 3,412kcal의 열이 발생한다. 따라서 800kWh에 해당하는 열은 800kWh x 3,412kcal/kWh = 2,729,600kcal이다.

    따라서 하루에 처리되는 폐기물에너지 전환시설로부터 발생하는 열발생률은 126,000,000kcal / 2,729,600kcal = 약 46.1이다. 이 값을 1kWh당 발생하는 열로 환산하면 46.1kcal/kWh가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답을 kcal/kWh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이 값을 역수로 취해주면 약 6563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약 656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하수슬러지를 토양에 주입 시 부하율 결정이자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토양의 종류
  2. 냄새 유발 여부
  3. 중금속
  4. 생태보전지역 여부
(정답률: 56%)
  • 하수슬러지를 토양에 주입할 때 생태보전지역 여부를 고려하는 이유는, 생태보전지역은 생태계의 보전과 복원을 위해 법적으로 지정된 지역으로, 이곳에서는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한이나 규제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생태보전지역에 하수슬러지를 주입하면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부하율 결정이자로서는 가장 거리가 먼 것으로 고려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매립지 내에서 일어나는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변화로 중요도가 가장 낮은 것은?

  1. 유기물질의 호기성 또는 혐기성 반응에 의한 분해
  2. 가스의 이동 및 방출
  3. 분해물질의 농도구배 및 삼투압에 의한 이동
  4. 무기물질의 용출 및 분해
(정답률: 46%)
  • 매립지 내에서 유기물질의 분해는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에 반해, 무기물질의 용출 및 분해는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중요도가 가장 낮은 것입니다. 무기물질은 대부분 분해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에 매립지 내에서는 유기물질의 분해와 관련된 문제에 더욱 집중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과 같은 조성의 쓰레기를 소각처분하고자 할 때 이론적으로 필요한 공기의 양(m)은 표준상태에서 쓰레기 1kg당 얼마인가?

  1. 약 1.25
  2. 약 2.25
  3. 약 3.25
  4. 약 4.25
(정답률: 43%)
  • 쓰레기 소각 반응식은 C6H12O6 + 6O2 → 6CO2 + 6H2O + 열 입니다. 이 반응식에서 1kg의 쓰레기를 소각하면 6mol의 O2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공기 중의 산소(O2) 비율이 약 21%이므로, 6mol / 0.21 = 28.57mol의 공기가 필요합니다. 이를 표준상태로 환산하면, 28.57mol x 22.4L/mol = 약 640L의 공기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1kg의 쓰레기를 소각할 때 이론적으로 필요한 공기의 양은 약 640L / 1000g = 약 0.64L/g 이 됩니다. 이 값에 2를 곱하면, 산소 분자(O2)가 2개이므로, 약 1.28이 됩니다. 하지만 쓰레기 소각 시 발생하는 CO2와 H2O 등의 가스도 함께 처리해야 하므로, 실제로는 이보다 조금 더 많은 공기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약 1.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발열량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원소 분석에 의한 방법
  2. 오르자트(orsat) 분석에 의한 방법
  3. 추정식에 의한 방법
  4. 물리조성 분석치에 의한 방법
(정답률: 72%)
  • 오르자트 분석은 연료의 화학적 구성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발열량 측정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오르자트 분석에 의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폐기물의 고위발열량과 저위발열량의 차이가 360kcal/kg일 때, 이 폐기물의 함수율(%)은? (단, 수소연소에 의한 수분발생은 무시한다.)

  1. 36
  2. 45
  3. 60
  4. 90
(정답률: 55%)
  • 함수율은 폐기물에서 추출 가능한 열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고위발열량은 폐기물을 연소시켰을 때 발생하는 열의 양을 나타내고, 저위발열량은 폐기물을 연소시키지 않고 처리했을 때 발생하는 열의 양을 나타낸다. 따라서 고위발열량과 저위발열량의 차이가 클수록 함수율이 높아진다.

    이 문제에서는 고위발열량과 저위발열량의 차이가 360kcal/kg이므로, 함수율은 (360/460) x 100 = 78.26%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60%가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일반적으로 폐기물의 고위발열량과 저위발열량의 차이가 360kcal/kg일 때, 함수율을 대략 60%로 계산하기 때문이다. 이는 근사치이지만, 폐기물 처리 시스템의 설계나 운영 등에 있어서 유용한 지표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매립지를 선정하고자 할 때 고려되는 사항으로 가장 관련이 적은 것은?

  1. 장래토지이용계획
  2. 접근난이도
  3. 주위경관
  4. 지하수위
(정답률: 69%)
  • 매립지를 선정할 때는 환경적인 측면에서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주위경관은 매립지가 주변 지역의 시각적인 인상을 어떻게 바꿀지에 대한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매립지를 선정할 때는 이러한 주위경관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지역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매립지 선정 시 고려되어야 할 요소이지만, 주위경관은 그 중에서도 가장 관련성이 높은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토양 및 지하수 오염 복원 기술 중 포화토양층 내에 존재하는 휘발성 유기오염물질을 원위치에서 처리하는 기술은?

  1. pump and treat 기술
  2. air sparging 기술
  3. bioventing 기술
  4. 토양세척법(soil washing)
(정답률: 60%)
  • 포화토양층 내에 존재하는 휘발성 유기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오염된 지하수를 추출하여 처리하는 "pump and treat 기술"이나 오염된 토양을 세척하는 "토양세척법"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이러한 기술들은 처리 시간이 오래 걸리고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반면 "air sparging 기술"은 오염된 지하수를 추출하지 않고, 포화토양층 내에 공기를 주입하여 휘발성 유기오염물질을 기체 상태로 만들어 처리하는 기술이다. 이는 처리 시간이 짧고 비용이 상대적으로 적게 들어가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air sparging 기술"이 포화토양층 내에 존재하는 휘발성 유기오염물질을 처리하는 효과적인 기술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알칼리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희석수를 사용하여 슬러지를 개량시키는 방법은?

  1. 동결융해(Freeze-Thaw)
  2. 세정(Elutriation)
  3. 농축(Thickening)
  4. 용매추출(Solvent Extraction)
(정답률: 72%)
  • 세정(Elutriation)은 입자 크기에 따라 분리하는 기술로, 희석수를 사용하여 슬러지를 희석시키고, 입자 크기가 큰 슬러지를 분리하여 알칼리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세정(Elutriatio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슬러지의 탈수 가능성을 표현하는 용어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균등계수(Uniformity coefficient)
  2. 투수계수(Coefficient of permeability)
  3. 유효입경(Effective diameter)
  4. 비저항계수(Specific resistance coefficient)
(정답률: 50%)
  • 슬러지는 물에 비해 입자 크기가 크고 혼합물질이 많아 물의 흐름에 저항을 줍니다. 따라서 슬러지의 탈수 가능성을 평가할 때는 슬러지의 투수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때 사용하는 용어가 비저항계수입니다. 비저항계수는 토양이나 슬러지와 같은 다공성 매체에서 물의 흐름에 대한 저항을 나타내는 지표로, 값이 작을수록 투수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슬러지의 비저항계수가 낮을수록 탈수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함수율이 98%인 슬러지를 함수율 80%의 슬러지로 탈수시켰을 대 탈수 후/전의 슬러지 체적비(탈수 후/전)는? (단, 비중 = 1.0 기준)

  1. 1/9
  2. 1/10
  3. 1/15
  4. 1/20
(정답률: 74%)
  • 함수율이 98%인 슬러지는 물과 거의 같은 비중을 가지므로, 탈수 후에는 체적이 크게 줄어들 것이다. 탈수 후의 슬러지 체적을 V1, 탈수 전의 슬러지 체적을 V2라고 하면, V1/V2 = (80/100)/(98/100) = 4/49 이다. 따라서 탈수 후/전의 슬러지 체적비는 1/10이 된다. 이는 탈수 후의 슬러지 체적이 탈수 전의 슬러지 체적의 1/10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화격자식(stoker) 소각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속적인 소각과 배출이 가능하다.
  2. 체류시간이 짧고 교반력이 강하여 국부가열 발생이 적다.
  3. 고온 중에서 기계적으로 구동하기 때문에 금속부의 마모손실이 심하다.
  4. 플라스틱 등과 같이 열에 쉽게 용해되는 물질은 화격자가 막힐 염려가 있다.
(정답률: 65%)
  • "체류시간이 짧고 교반력이 강하여 국부가열 발생이 적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화격자식 소각로는 체류시간이 짧고 교반력이 강하여 국부가열 발생이 많이 일어난다. 이는 폐기물을 빠르게 소각하고, 공기를 잘 섞어 연소를 원활하게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분뇨의 혐기성 분해 시 가장 많이 발생하는 가스는?

  1. NH3
  2. CO2
  3. H2S
  4. CH4
(정답률: 64%)
  • 분뇨의 혐기성 분해는 미생물에 의해 일어나며, 이 과정에서 유기물이 분해되어 다양한 가스가 발생합니다. 이 가운데 가장 많이 발생하는 가스는 메탄(CH4)입니다. 이는 혐기성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할 때 생성되는 가스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CH4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폐기물 공정시험 기준(방법)

41. 공정시험법의 내용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함량시험법
  2. 총칙
  3. 일반시험법
  4. 기기분석법
(정답률: 50%)
  • 공정시험법은 제품의 품질을 검사하기 위한 법이며, 총칙, 일반시험법, 기기분석법 등이 포함됩니다. 하지만 "함량시험법"은 제품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품질 검사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공정시험법의 내용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이온전극법에서 사용하는 이온전극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유리막 전극
  2. 고체막 전극
  3. 격막형 전극
  4. 액막형 전극
(정답률: 50%)
  • 이온전극법에서 사용하는 이온전극의 종류 중 "액막형 전극"은 없습니다. 이유는 액막형 전극은 액체 표면에 형성된 막을 이용하여 이온전도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이온전극법과는 다른 측정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온전극법에서 사용하는 이온전극의 종류는 "유리막 전극", "고체막 전극", "격막형 전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에 의한 구리 분석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 산성, ㉡ 황갈색
  2. ㉠ 산성, ㉡ 적자색
  3. ㉠ 알칼리성, ㉡ 황갈색
  4. ㉠ 알칼리성, ㉡ 적자색
(정답률: 62%)
  •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에 의한 구리 분석에서는 샘플에 약간의 암모니아 용액을 첨가하여 pH를 알칼리성으로 유지하면서 측정을 진행합니다. 이는 구리 이온이 알칼리성 환경에서 안정적인 착물을 형성하기 때문입니다. 이 때, 구리 이온과 암모니아 용액이 반응하여 형성되는 착물은 황갈색을 띄게 됩니다. 따라서, 옳은 정답은 "㉠ 알칼리성, ㉡ 황갈색"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기체크로마토그래프용 검출기 중 전자포획형 검출기(ECD)로 검촐할 수 있는 물질이 아닌 것은?

  1. 유기할로겐화합물
  2. 니트로화합물
  3. 유황화합물
  4. 유기금속화합물
(정답률: 60%)
  • 전자포획형 검출기(ECD)는 전자를 포획하여 검출하는데, 유황화합물은 전자를 포획하지 못하기 때문에 ECD로 검출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황화합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채취대상 폐기물 양과 최소 시료수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대상 폐기물양이 300톤이면, 최소 시료수는 30이다.
  2. 대상 폐기물양이 1000톤이면, 최소 시료수는 40이다.
  3. 대상 폐기물양이 2500톤이면, 최소 시료수는 50이다.
  4. 대상 폐기물양이 5000톤이면, 최소 시료수는 60이다.
(정답률: 68%)
  • 대상 폐기물양이 증가할수록 최소 시료수도 증가한다. 이는 채취한 시료가 대상 폐기물의 전체적인 특성을 대표하기 위해서는 일정량 이상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상 폐기물양이 1000톤일 때 최소 시료수는 40이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원자흡광광도법에서 내화성 산화물을 만들기 쉬운 원소분석 시 사용하는 가연성 가스와 조연성가스로 적합한 것은?

  1. 수소 - 공기
  2. 아세틸렌 - 공기
  3. 프로판 - 공기
  4. 아세틸렌 - 일산화이질소
(정답률: 60%)
  • 내화성 산화물을 만들기 쉬운 원소분석 시에는 높은 온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가연성 가스와 조연성 가스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아세틸렌은 높은 온도에서도 안정적이며, 일산화이질소는 산화 작용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내화성 산화물을 만들기 적합한 가스 조합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세틸렌 - 일산화이질소"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구리를 정량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약과 그 목적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구연산이암모늄용액 - 발색 보조제
  2. 초산부틸 - 구리의 추출
  3. 암모니아수 - pH조절
  4. 디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 나트륨 - 구리의 발색
(정답률: 48%)
  • 구리를 정량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약은 디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 나트륨이며, 이 시약은 구리의 발색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구연산이암모늄용액은 pH 조절을 위해 사용되며, 초산부틸은 구리의 추출을 위해 사용됩니다. 암모니아수는 구리의 발색을 돕는 역할을 하지만, 디에틸디티오카르바민산 나트륨보다는 덜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유리전극법에 의한 pH 측정 시 정밀도에 관한 설명으로 ( )에 알맞은 것은?

  1. ± 0.01
  2. ± 0.05
  3. ± 0.1
  4. ± 0.5
(정답률: 76%)
  • 유리전극법은 pH 값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정확도가 높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pH 값은 매우 민감한 값이기 때문에, 측정 시에 조금만 불안정한 상황이라도 큰 오차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리전극법으로 pH 값을 측정할 때는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여러 가지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이러한 조치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유리전극을 보정하는 것입니다. 유리전극을 보정할 때는 pH 4.01, pH 7.00, pH 10.01의 버퍼 용액을 사용하여 보정을 합니다. 이 때, 보정 용액의 농도나 온도 등이 조금만 바뀌어도 pH 값이 크게 변할 수 있기 때문에, 보정 용액의 농도와 온도를 정확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이러한 조치들을 취하면, 유리전극법으로 pH 값을 측정할 때 오차는 보통 ± 0.05 이내로 유지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정답이 "± 0.05" 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순수한 물 500mL에 HCI(비중 1.2) 99mL를 혼합하였을 때 용액의 염산농도(중량 %)는?

  1. 약 16.1%
  2. 약 19.2%
  3. 약 23.8%
  4. 약 26.9%
(정답률: 47%)
  • 염산농도(중량 %)는 용액 내 염산의 질량을 전체 용액의 질량으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먼저 혼합된 용액의 총 질량을 구해야 합니다.

    순수한 물의 질량 = 500g
    HCI의 질량 = 99g

    총 질량 = 500g + 99g = 599g

    다음으로, 염산의 질량을 구해야 합니다. 염산의 질량은 염산의 부피와 비중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HCI의 부피 = 99mL
    HCI의 비중 = 1.2

    HCI의 질량 = 99mL x 1.2g/mL = 118.8g

    따라서, 염산의 질량은 118.8g입니다.

    마지막으로, 염산농도를 계산합니다.

    염산농도(중량 %) = (염산의 질량 ÷ 총 질량) x 100%
    = (118.8g ÷ 599g) x 100%
    = 약 19.2%

    따라서, 정답은 "약 19.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pH값 크기순으로 pH 표준액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단, 20℃ 기준)

  1. 수산염표준액 < 프탈산염표준액 < 붕산염표준액 < 수산화칼슘표준액
  2. 프탈산염표준액 < 인산염표준액 < 탄산염표준액 < 수산염표준액
  3. 탄산염표준액 < 붕산염표준액 < 수산화칼슘표준액 < 수산염표준액
  4. 인산염표준액 < 수산염표준액 < 붕산염표준액 < 탄산염표준액
(정답률: 78%)
  • pH값이 작을수록 산성이므로, pH값이 작은 수산염표준액이 가장 높은 산도를 가지고 있고, pH값이 큰 수산화칼슘표준액이 가장 낮은 산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pH값 크기순으로 나열하면 "수산염표준액 < 프탈산염표준액 < 붕산염표준액 < 수산화칼슘표준액"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폐기물시료 축소단계에서 원추꼭지를 수직으로 눌러 평평하게 한 후 부채꼴로 4등분하여 일정 부분을 취하고 적당한 크기까지 줄이는 방법은?

  1. 원추구획법
  2. 교호삽법
  3. 원추사분법
  4. 사면축소법
(정답률: 73%)
  • 이 방법은 원추꼭지를 수직으로 눌러 평평하게 한 후 부채꼴로 4등분하여 일정 부분을 취하고 적당한 크기까지 줄이는 방법으로, 이때 사용되는 방법이 원추사분법입니다. 즉, 원추를 일정한 비율로 나누어 샘플링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온도의 영향이 없는 고체상태 시료의 시험조작은 어느 상태에서 실시하는가?

  1. 상온
  2. 실온
  3. 표준온도
  4. 측정온도
(정답률: 59%)
  • 고체 상태의 시료는 온도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기 때문에 상온에서 시험조작을 실시한다. 상온은 일반적으로 20~25℃ 정도를 의미하며, 이 온도에서 시료를 조작하면 온도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고체 상태의 시료를 분석할 때는 상온에서 시험조작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시안을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으로 측정할 때 클로라민-T와 피리딘∙피라졸론 혼합액을 넣어 나타나는 색으로 옳은 것은?

  1. 적색
  2. 황갈색
  3. 적자색
  4. 청색
(정답률: 62%)
  • 클로라민-T와 피리딘∙피라졸론 혼합액을 넣으면 청색으로 나타납니다. 이는 클로라민-T와 피리딘∙피라졸론이 반응하여 형성되는 화합물의 색깔로, 이 색깔은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으로 측정할 때 시안의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우리나라의 용출시험 기준 항목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6가크롬 및 그 화합물 : 0.5mg/L
  2. 카드뮴 및 그 화합물 : 0.3mg/L
  3. 수은 및 그 화합물 : 0.005mg/L
  4. 비소 및 그 화합물 : 1.5mg/L
(정답률: 39%)
  • 정답은 "6가크롬 및 그 화합물 : 0.5mg/L" 이다. 이유는 우리나라의 용출시험 기준 항목 중 6가크롬 및 그 화합물에 대한 기준치는 0.05mg/L이며, 0.5mg/L로 기재된 것은 오타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유기인 및 PCBs의 실험에 사용되는 증발농축장치의 종류는?

  1. 추출형 냉각기형
  2. 환류형 냉각기형
  3. 구데르나다니쉬형
  4. 리비히 냉각기형
(정답률: 72%)
  • 유기인 및 PCBs의 실험에 사용되는 증발농축장치는 구데르나다니쉬형이다. 이는 구데르나다니쉬의 원리를 이용하여 증발농축을 수행하는 장치로, 증발농축 시 샘플과 증발물이 분리되어 안전하고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구데르나다니쉬형은 높은 농축도와 높은 회수율을 보장하며, 다양한 용매에 대응할 수 있는 다재다능한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액체시약의 농도에 있어서 황산(1+10)이라고 되어 있을 경우 옳은 것은?

  1. 물 1mL와 황산 10mL를 혼합하여 조제한 것
  2. 물 1mL와 황산 9mL를 혼합하여 조제한 것
  3. 황산 1mL와 물 9mL를 혼합하여 조제한 것
  4. 황산 1mL와 물 10mL를 혼합하여 조제한 것
(정답률: 67%)
  • "황산(1+10)"은 황산 1mL과 물 10mL를 혼합하여 조제한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황산의 농도가 1/11 (약 9.09%)이라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황산 1mL와 물 10mL를 혼합하여 조제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투사광의 강도 It가 입사광 강도 I0의 10%라면 흡광도(A)는?

  1. 0.5
  2. 1.0
  3. 2.0
  4. 5.0
(정답률: 66%)
  • 흡광도(A)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A = -log10(It/I0)

    여기서 주어진 조건에 따라 It = 0.1I0 이므로,

    A = -log10(0.1) = 1.0

    따라서 정답은 "1.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용출시험의 결과 산출 시 시료 중의 수분함량 보정에 관한 설명으로 ( )에 알맞은 것은?

  1. 15 × {100 - 시료의 함수율(%)}
  2. 15 - {100 - 시료의 함수율(%)}
  3. 15 / {100 - 시료의 함수율(%)}
  4. 15 + {100 - 시료의 함수율(%)}
(정답률: 83%)
  • 용출시험에서는 시료 중의 수분 함량을 보정해야 한다. 이는 시료 중의 수분이 증발되어 무게가 감소하므로, 실제 용출물의 함량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이다. 이 때, 보정 계수는 15이며, 시료의 함수율이 높을수록 보정 계수는 작아진다. 이는 시료 중의 수분이 많을수록 증발되는 무게가 많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정 계수는 15에서 시료의 함수율을 빼고, 그 결과를 100에서 빼준 값으로 나누어 구한다. 따라서 정답은 "15 / {100 - 시료의 함수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GC법에서 인화합물 및 황화합물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검출하는 고감도 검출기는?

  1. 열전도도 검출기(TCD)
  2. 불꽃이온화 검출기(FID)
  3. 불꽃광도형 검출기(FPD)
  4. 불꽃열이온화 검출기(FTD)
(정답률: 52%)
  • 불꽃광도형 검출기(FPD)는 인화합물 및 황화합물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검출하는 고감도 검출기이다. 이는 불꽃을 발생시켜서 불꽃 내부에서 생성된 화학물질들이 광자를 방출하면서 검출되는 원리를 이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화합물 및 황화합물의 검출에 특히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폐기물공정시험방법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고상폐기물이라 함은 고형물의 함량이 5%미만인 것을 말한다.
  2. 상온은 15~20℃이고, 실온은 4~25℃이다.
  3. 감압 또는 진공이라 함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15mmH2O이하를 말한다.
  4. 항량으로 될 때까지 강열한다 함은 같은 조건에서 1시간 더 강열할 때 전후 무게의 차가 g당 0.3mg이하일 때를 말한다.
(정답률: 70%)
  • "항량으로 될 때까지 강열한다 함은 같은 조건에서 1시간 더 강열할 때 전후 무게의 차가 g당 0.3mg이하일 때를 말한다." 이 용어는 폐기물을 열분해할 때 사용되는 용어로, 일정한 조건에서 폐기물을 일정 시간 동안 강열한 후, 무게의 변화를 측정하여 폐기물의 열분해 정도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이 때, 항량으로 될 때까지 강열한다는 것은 무게의 변화가 미미해지거나 없어질 때까지 강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방법은 폐기물의 처리 효율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폐기물 관계 법규

61. 폐기물처리시설의 최종처리시설 중 차단형 매립시설의 경우 사후관리이행보증금 산출 시 합산되는 소요 비용에 포함되는 것은?

  1. 지하수의 오염검사에 소요되는 비용
  2. 매립시설에서 배출되는 가스의 처리에 소요되는 비용
  3. 침출수 처리시설의 가동과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
  4. 매립시설 제방 등의 유실방지에 소요되는 비용
(정답률: 39%)
  • 차단형 매립시설은 폐기물을 지하에 매립하여 처리하는 시설로, 이 때 폐기물이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것을 막기 위해 지하수의 오염검사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사후관리이행보증금 산출 시 합산되는 소요 비용에는 "지하수의 오염검사에 소요되는 비용"이 포함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매립시설에서 발생하는 가스, 침출수, 유실 등의 처리나 방지에 소요되는 비용을 나타내는데, 이들은 차단형 매립시설에서도 필요하지만, 지하수 오염검사는 차단형 매립시설에서 특히 중요한 비용 항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폐기물처분 또는 재활용시설 관리기준 중 공통기준에 관한 내용으로 ( )에 옳은 것은?

  1. 1년 이상
  2. 2년 이상
  3. 3년 이상
  4. 5년 이상
(정답률: 76%)
  • 폐기물처분 또는 재활용시설은 환경오염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안전하게 운영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시설의 건립, 운영, 폐쇄 등에 대한 관리기준이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공통기준 중 하나인 "시설의 운영계획 및 보고서 작성"에 따르면, 시설 운영자는 시설 운영계획서를 작성하고, 매년 업데이트하여 보고서로 제출해야 합니다. 이 보고서에는 시설 운영상황, 환경오염방지대책, 안전관리 등에 대한 내용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보고서를 통해 시설 운영자는 시설 운영상황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문제점을 발견하여 조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고서를 제출하는 주기가 짧을수록 시설 운영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폐기물처분 또는 재활용시설 관리기준에서는 시설 운영계획서 제출 주기를 3년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의료폐기물 중 일반의료폐기물이 아닌 것은?

  1. 일회용 주사기
  2. 수액세트
  3. 혈액∙체액∙분비물∙배설물이 함유되어 있는 탈지면
  4. 파손된 유리재질의 시험기구
(정답률: 65%)
  • 파손된 유리재질의 시험기구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료기기가 아니며, 안전상의 이유로 처리가 필요합니다. 일회용 주사기, 수액세트, 혈액∙체액∙분비물∙배설물이 함유되어 있는 탈지면은 모두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의료폐기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관리형 매립시설에서 발생되는 침출수의 배출량이 1일 2000세제곱미터 이상인 경우 오염물질 측정주기 기준은?

  1. ㉠ 매일 2회, ㉡ 주 1회
  2. ㉠ 매일 1회, ㉡ 주 1회
  3. ㉠ 주 2회, ㉡ 월 1회
  4. ㉠ 주 1회, ㉡ 월 1회
(정답률: 50%)
  • 정답은 "㉠ 매일 1회, ㉡ 주 1회"입니다.

    이유는 관리형 매립시설에서 발생되는 침출수는 오염물질이 매우 높은 농도로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오염물질 농도를 측정하는 주기가 짧아야 합니다. 따라서, 매일 1회씩 측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또한, 주 1회씩 측정하여 월간 평균 농도를 파악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오염물질 농도가 낮은 경우에 적용되는 측정주기이므로, 관리형 매립시설에서는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폐기물처리업의 변경허가 사항으로 틀린 것은? (단, 폐기물 중간처분업, 폐기물 최종처분업 및 폐기물 종합처분업인 경우)

  1. 처분대상 폐기물의 변경
  2. 주차장 소재지의 변경
  3. 운반차량(임시차량은 제외한다.)의 증차
  4. 폐기물의 처분시설의 신설
(정답률: 54%)
  • 주차장 소재지의 변경은 폐기물 처리업의 변경허가 사항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폐기물 처리업의 변경허가 사항은 폐기물의 종류나 양 등이 변경되거나 처분시설이 신설되는 경우에 해당됩니다. 주차장 소재지의 변경은 이와 관련이 없는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폐기물처리시설의 폐쇄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자에 대한 벌칙기준은?

  1.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이하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이하의 벌금
  4.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이하의 벌금
(정답률: 43%)
  • 폐기물처리시설은 환경오염을 일으킬 가능성이 큰 시설이므로, 이를 폐쇄명령에 따라 이행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엄격한 벌칙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적용됩니다. 이는 다른 보기에 비해 더 높은 벌칙으로, 폐기물처리시설의 폐쇄명령 이행을 강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폐기물처리시설의 유지∙관리에 관한 기술관리를 대행할 수 있는 자는?

  1. 지정 폐기물 최종처리업자
  2. 환경보전협회
  3. 한국환경산업기술원
  4. 한국환경공단
(정답률: 77%)
  • 한국환경공단은 국가 기관으로서 폐기물 처리 및 관리에 대한 기술적 지원 및 관리를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폐기물처리시설의 유지∙관리에 관한 기술관리를 대행할 수 있는 자로서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폐기물의 에너지 회수기준으로 ( )에 맞는 것은?

  1. 3천
  2. 4천5백
  3. 5천5백
  4. 7천
(정답률: 64%)
  • 주어진 그림에서 폐기물이 연소로 인해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시스템이 나타나 있습니다. 이때, 발생하는 전기의 양은 연소로 인한 열에너지의 양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연소로 인한 열에너지가 많을수록 더 많은 전기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주어진 보기에서는 연소로 인한 열에너지가 3천 kcal/kg 이상인 경우에만 전기 생산이 가능하다고 나와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3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폐기물재활용신고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재활용 신고를 한 자가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변경하려면 시∙도지사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2. 재활용 신고를 한 자는 신고한 재활용용도 및 방법에 따라 재활용하는 등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준수사항을 지켜야 한다.
  3. 시∙도지사는 법에서 정한 폐기물의 수집∙운반∙보관∙처리의 기준과 방법을 지키지 아니한 경우 재활용시설의 폐쇄를 명령하거나 6개월 이내의 기간을 정항 재활용사업의 전부 또는 일부의 정지나 재활용신고대상 폐기물의 재활용 금지를 명령할 수 있다.
  4. 관련규정을 위반하여 재활용시설의 폐쇄처분을 받은 자는 그 처분을 받은 날부터 6개월간 다시 재활용신고를 할 수 없다.
(정답률: 61%)
  • "관련규정을 위반하여 재활용시설의 폐쇄처분을 받은 자는 그 처분을 받은 날부터 6개월간 다시 재활용신고를 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재활용시설의 폐쇄처분을 받은 자가 6개월 이내에 다시 재활용사업을 시작할 수 없다는 내용이 맞다. 하지만 그 이후에는 다시 재활용신고를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폐기물처리업의 허가를 받을 수 없는 자에 대한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폐기물처리업의 허가가 취소된 자로서 그 허가가 취소된 날부터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2. 파산선고를 받고 복권되지 아니한 자
  3. 폐기물관리법을 위반하여 징역 이상의 형의 집행 유예를 선고받고 그 집행유예 기간이 지나지 아니한 자
  4. 폐기물관리법 외의 법을 위반하여 징역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그 형의 집행이 끝난 지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
(정답률: 63%)
  • "폐기물관리법 외의 법을 위반하여 징역 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그 형의 집행이 끝난 지 2년이 지나지 아니한 자"가 틀린 것이다. 이유는 폐기물처리업은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규제되는 산업이므로, 다른 법을 위반하여 징역 이상의 형을 선고받은 경우에도 폐기물처리업의 허가를 받을 수 없다. 따라서, 이 기준은 올바르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폐기물처리시설은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맞게 설치하되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규모 미만의 폐기물 소각 시설을 설치, 운영하여서는 아니 된다.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규모 미만의 폐기물 소각시설”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시간당 폐기물 소각능력이 15킬로그램 미만인 폐기물 소각시설
  2. 시간당 폐기물 소각능력이 25킬로그램 미만인 폐기물 소각시설
  3. 시간당 폐기물 소각능력이 50킬로그램 미만인 폐기물 소각시설
  4. 시간당 폐기물 소각능력이 100킬로그램 미만인 폐기물 소각시설
(정답률: 55%)
  •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규모 미만의 폐기물 소각시설 기준은 "시간당 폐기물 소각능력이 25킬로그램 미만인 폐기물 소각시설"입니다. 이는 폐기물 처리량이 적은 소규모 시설은 환경부령에 따라 설치, 운영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시간당 폐기물 소각능력이 25킬로그램 미만인 폐기물 소각시설은 규모 미만의 소규모 시설로 분류되어 환경부령에 따라 설치, 운영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폐기물관리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 중 틀린 것은?

  1. 생활폐기물이란 사업장 폐기물 외의 폐기물을 말한다.
  2. 처리란 폐기물의 중화, 파쇄, 고형화 등에 의한 중간처리와 소각, 매립(해역배출 제외) 등에 의한 최종처리를 말한다.
  3. 폐기물처리시설이란 폐끼물의 중간처분시설과 최총처분시설 및 재활용시설로서 대통령이 정하는 시설을
    말한다.
  4. 사업장폐기물이란 대기환경보전법, 물환경보전법 또는 소음, 진동규제법의 규정에 의하여 배출시설을 설치, 운영하는 사업장 기타 대통령령이 정하는 사업장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을 말한다.
(정답률: 52%)
  • 정답은 "생활폐기물이란 사업장 폐기물 외의 폐기물을 말한다."이다. 생활폐기물은 일반 가정이나 공공시설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말하며, 사업장 폐기물과는 구분되는 개념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정확한 정의를 제시하고 있다. 처리란 폐기물을 중간처리하거나 최종처리하는 것을 말하며, 폐기물처리시설은 폐기물을 처리하는 시설을 말한다. 사업장폐기물은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폐기물 처리시설을 설치, 운영하는 자는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관리기준에 따라 그 시설을 유지, 관리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관리기준에 적합하지 아니하게 폐기물처리시설을 유지, 관리하여 주변환경을 오염시킨 경우에 대한 벌칙기준으로 적절한 것은?

  1.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3.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4. 5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44%)
  • 폐기물 처리시설을 운영하는 자는 환경부령으로 정하는 관리기준에 따라 시설을 유지, 관리하여야 하지만, 이를 위반하여 주변환경을 오염시키는 경우, 관리기준 위반의 정도와 심각성에 따라 벌칙이 부과됩니다. 이 경우, 벌금과 징역이 부과될 수 있으며, 벌금의 경우 2천만원 이하, 징역의 경우 2년 이하로 정해져 있습니다. 이는 관리기준 위반의 정도와 심각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벌칙으로 판단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주변지역에 대한 영향 조사를 하여야 하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폐기물처리시설'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폐기물처리업자가 설치, 운영)

  1. 시멘트 소성로(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로 한정한다.)
  2. 매립면적 3만 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일반폐기물 매립시설
  3. 매립면적 1만 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지정폐기물 매립시설
  4. 1일 처분능력이 50톤 이상인 사업장폐기물 소각시설(같은 사업장에 여러 개의 소각시설이 있는 경우에는 각 소각시설의 1일 처분 능력의 합계가 50톤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정답률: 67%)
  • 매립면적 3만 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일반폐기물 매립시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매립면적이 클수록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는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대규모 폐기물 처리시설을 운영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매립면적이 3만 제곱미터 이상인 일반폐기물 매립시설은 옳은 기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폐기물관리의 기본원칙으로 틀린 것은?

  1. 폐기물은 소각, 매립 등의 처분을 하기보다는 우선적으로 재활용함으로써 자원생산성의 향상에 이바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2. 국내에서 발생한 폐기물은 가능하면 국내에서 처리되어야 하고, 폐기물은 수입할 수 없다.
  3. 누구든지 폐기물을 배출하는 경우에는 주변환경이나 주민의 건강에 위해를 끼치지 아니하도록 사전에 적절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4. 사업자는 제품의 생산방식 등을 개선하여 폐기물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고, 발생한 폐기물을 스스로 재활용함으로써 폐기물의 배출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정답률: 68%)
  • "국내에서 발생한 폐기물은 가능하면 국내에서 처리되어야 하고, 폐기물은 수입할 수 없다."가 틀린 것이다. 이는 국제적인 폐기물 수출입 규제에 따라 국내에서 처리할 수 없는 일부 폐기물은 수입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시ㆍ도지사가 폐기물처리 신고자에게 처리금지 명령을 하여야 하는 경우, 그 처리금지를 갈음하여 부과할 수 있는 최대 과징금은?

  1. 1천만원
  2. 2천만원
  3. 3천만원
  4. 5천만원
(정답률: 46%)
  • 폐기물관리법 제47조에 따르면, 시ㆍ도지사가 폐기물처리 신고자에게 처리금지 명령을 하여야 하는 경우, 그 처리금지를 갈음하여 부과할 수 있는 최대 과징금은 2천만원이다. 이는 해당 조항에서 명시된 바이며, 다른 보기에 제시된 금액은 해당 조항과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특별자치도지사, 시장∙군수∙구청장이나 공원∙도로 등 시설의 관리자가 폐기물의 수집을 위하여 마련한 장소나 설비 외의 장소에 사업장폐기물을 버리거나 매립한 자에게 부과되는 벌칙기준으로 옳은 것은?

  1.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
  2.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7천만원 이하의 벌금
  3.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7천만원 이하의 벌금
  4.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9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54%)
  • 사업장폐기물을 마련된 장소나 설비 외의 장소에 버리거나 매립한 경우, 벌칙으로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7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된다. 이는 환경보호법 제47조 제1항에 규정된 내용으로, 환경을 보호하고 폐기물을 적절히 처리하기 위한 법적 제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기술관리인을 두어야 할 폐기물처리시설이 아닌 것은?

  1. 시간당 처분능력이 300킬로그램 이상을 처리하는 소각시설
  2. 멸균분쇄시설로서 시간당 처분능력이 100킬로그램 이상인 시설
  3. 지정폐기물을 매립하는 시설로서 면적이 3300제곱미터 이상인 시설
  4. 시료화, 퇴비화 또는 연료화시설로서 1일 재활용능력이 5톤 이상인 시설
(정답률: 53%)
  • 시간당 처분능력이 300킬로그램 이상을 처리하는 소각시설은 기술적으로 매우 복잡하며,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전문적인 기술관리가 필요하기 때문에 기술관리인을 두어야 한다. 따라서, 이외의 다른 시설들은 기술관리인을 두지 않아도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음식물류 폐기물처리시설인 사료화 시설의 설치검사 항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혼합시설의 적절여부
  2. 가열∙건조시설의 적절여부
  3. 발효시설의 적절여부
  4. 사료화 제품의 적절성
(정답률: 51%)
  • 발효시설은 음식물류 폐기물을 처리하는 과정 중 하나이지만, 사료화 시설의 설치검사 항목으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발효시설의 적절여부"입니다. 사료화 시설의 설치검사 항목으로는 혼합시설의 적절여부, 가열∙건조시설의 적절여부, 사료화 제품의 적절성 등이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폐기물처리시설 중 중간처분시설인 기계적 처분시설과 그 동력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용융시설(동력 7.5kW 이상인 시설로 한정한다.)
  2. 압축시설(동력 7.5kW 이상인 시설로 한정한다.)
  3. 절단시설(동력 7.5kW 이상인 시설로 한정한다.)
  4. 응집∙침전시설(동력 15kW 이상인 시설로 한정한다.)
(정답률: 63%)
  • 응집∙침전시설은 다른 시설들과 달리 동력 기준이 15kW 이상인 것은 아니라서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