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처리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0-08-22)

폐기물처리산업기사
(2020-08-2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폐기물개론

1. 폐기물 자원화하는 방법 중 에너지 회수방법에 속하는 것은?

  1. 물질 회수
  2. 직접열 회수
  3. 추출형 회수
  4. 변환형 회수
(정답률: 70%)
  • 직접열 회수는 폐기물에서 발생하는 열을 직접 회수하여 에너지로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폐기물을 연소시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여 전기나 열을 생산하는 방식으로, 폐기물을 처리하면서 동시에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폐기물 자원화하는 방법 중 에너지 회수방법에 속하는 것은 직접열 회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부피 100m3인 폐기물의 부피를 10m3로 압축하는 경우 압축비는?

  1. 0.1
  2. 1
  3. 10
  4. 90
(정답률: 71%)
  • 압축비는 압축 후 부피를 압축 전 부피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100m3에서 10m3로 압축한 경우 압축비는 100m3을 10m3으로 나눈 값인 1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폐기물의 성상 분석 절차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밀도측정 – 물리적 조성분석 – 건조 – 분류(타는 물질, 안타는 물질)
  2. 밀도측정 – 건조 – 화학적 조정분석 – 전처리(절단 및 분쇄)
  3. 전처리(절단 및 분쇄) - 밀도측정 – 화학적조정분석 – 분류(타는 물질, 안타는 물질)
  4. 전처리(절단 및 분쇄) 건조 – 물리적 조성분석 – 발열량 측정
(정답률: 72%)
  • 폐기물의 성상 분석 절차는 물리적 조성분석과 화학적 조정분석을 포함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먼저 밀도측정이 필요합니다. 밀도측정을 통해 폐기물의 밀도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물리적 조성분석과 건조를 진행합니다. 이후 분류 작업을 통해 타는 물질과 안타는 물질을 구분합니다. 따라서 "밀도측정 – 물리적 조성분석 – 건조 – 분류(타는 물질, 안타는 물질)"이 가장 적합한 절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건조된 고형물의 비중이 1.65이고 건조 전 슬러지의 고형분 함량이 35%, 건조중량이 400kg이라 할 때 건조 전 슬러지의 비중은?

  1. 1.02
  2. 1.16
  3. 1.27
  4. 1.35
(정답률: 43%)
  • 고형물의 비중이 1.65이므로 1m³의 고형물 질량은 1.65톤이다. 건조중량이 400kg이므로 건조된 고형물의 부피는 0.2424m³이다. 따라서 건조 전 슬러지의 부피는 0.2424m³/0.35 = 0.6926m³이다. 건조 전 슬러지의 질량은 부피 x 비중 = 0.6926m³ x x = 1.1439톤이므로 비중은 1.1439톤/0.6926m³ = 1.1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관거(pipe)를 이용한 폐기물 수송의 특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10km이상의 장거리 수성에 적당하다.
  2. 잘못 투입된 폐기물의 회수는 곤란하다.
  3. 조대폐기물은 파쇄, 압축 등의 전처리를 해야한다.
  4. 화재, 폭발 등의 사고 발생 시 시스템 전체가 미비되며 대체 시스템의 전환이 필요하다.
(정답률: 74%)
  • 관거를 이용한 폐기물 수송은 10km 이상의 장거리 수송에 적합하다. 이는 관거가 지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지상에서 발생하는 교통체증과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잘못 투입된 폐기물의 회수는 어렵고, 조대폐기물은 파쇄, 압축 등의 전처리가 필요하다. 또한 화재, 폭발 등의 사고 발생 시 시스템 전체가 미비되며 대체 시스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함수율 80%인 폐기물 10ton을 건조시켜 함수율 30%로 만들 경우 감소하는 폐기물의 중량(ton)은? (단, 비중 = 1.0)

  1. 2.6
  2. 2.9
  3. 3.2
  4. 3.5
(정답률: 53%)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적환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최종 처리장과 수거지역의 거리가 먼 경우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폐기물의 수거와 운반을 빈리하는 기능을 한다.
  3. 주거지역의 밀도가 낮을 때 적환장을 설치한다.
  4. 적환장의 위치는 수거하고자 하는 개별적 고형물 발생지역의 하중 중심과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여야 한다.
(정답률: 42%)
  • "주거지역의 밀도가 낮을 때 적환장을 설치한다."는 적환장에 대한 설명과는 관련이 없으므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이 아닙니다. 나머지 보기 중에서 "적환장의 위치는 수거하고자 하는 개별적 고형물 발생지역의 하중 중심과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여야 한다."가 가장 거리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쓰레기 재활용 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인 수거 방법은?

  1. 문전수거
  2. 타종수거
  3. 분리수거
  4. 혼합수거
(정답률: 61%)
  • 분리수거는 재활용 가능한 쓰레기와 그렇지 않은 쓰레기를 분리하여 수거하는 방법으로, 재활용 가능한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어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반면에 문전수거나 혼합수거는 재활용 가능한 쓰레기와 그렇지 않은 쓰레기가 섞여 있어서 재활용이 어렵고, 타종수거는 특정 종류의 쓰레기만 수거하기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쓰레기를 처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도시폐기물 최종 분석 결과를 Dulong공식으로 발열량을 계산하고자 할 때 필요하지 않은 성분은?

  1. H
  2. C
  3. S
  4. Cl
(정답률: 71%)
  • Dulong 공식은 화학식이 CxHyOzNwSv일 때 발열량을 계산하는 공식이다. Cl은 이 공식에서 필요하지 않은 성분이다. Cl은 화학식에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Dulong 공식에서 계산할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물질회수를 위한 선별방법 중 플라스틱에서 종이를 선별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와전류 선별
  2. Jig 선별
  3. 광학 선별
  4. 정전기적 선별
(정답률: 60%)
  • 정전기적 선별은 플라스틱과 종이의 정전기적 특성을 이용하여 선별하는 방법이다. 플라스틱과 종이는 각각 다른 정전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전기장을 가해주면 플라스틱과 종이가 각각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를 통해 플라스틱과 종이를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에서 종이를 선별하는 가장 적절한 방법은 정전기적 선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쓰레기를 파쇄할 경우 발생하는 이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일반적으로 압축 시 밀도 증가율이 크다.
  2. 매립 시 폐기물이 잘 섞여서 혐기성을 유지하므로 메탄 발생량이 많아진다.
  3. 조대쓰레기에 의한 소각로의 손상을 방지한다.
  4. 고밀도 매립이 가능하다.
(정답률: 59%)
  • 쓰레기를 파쇄할 경우 발생하는 이점 중에서 "매립 시 폐기물이 잘 섞여서 혐기성을 유지하므로 메탄 발생량이 많아진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유는 쓰레기를 파쇄하면 쓰레기의 부피는 줄어들지만, 쓰레기 내부의 공기가 제거되어 산소가 부족한 환경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혐기성 분해가 더욱 촉진되어 메탄 발생량이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난분해성 유기화합물의 생물학적 반응이 아닌 것은?

  1. 탈수소반응(가수분해반응)
  2. 고리분할
  3. 탈알킬화
  4. 탈할로겐화
(정답률: 53%)
  • 탈수소반응(가수분해반응)은 유기화합물에서 수소 원자가 제거되어 더 작은 분자로 분해되는 반응이다. 이는 생물학적 반응이 아니라 화학적 반응이기 때문에 정답으로 선택된 것이다. 고리분할, 탈알킬화, 탈할로겐화는 모두 생물학적 반응으로서, 유기화합물이 생물체 내에서 대사되거나 분해될 때 일어나는 반응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파쇄에 필요한 에너지를 구하는 법칙으로 고운파쇄 또는 2차분쇄에 잘 적용되는 법칙은?

  1. 도플러의 법칙
  2. 킥의 법칙
  3. 패러데이의 법칙
  4. 케스터너의 법칙
(정답률: 70%)
  • 고운파쇄 또는 2차분쇄에서는 입자의 운동에너지가 파쇄에 필요한 에너지로 전환되기 때문에, 파쇄에 필요한 에너지는 입자의 운동에너지와 관련이 있다. 이 때, 입자의 운동에너지는 입자의 질량과 속도에 비례하므로, 파쇄에 필요한 에너지도 입자의 질량과 속도에 비례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파쇄에 필요한 에너지 ∝ 입자의 질량 × 입자의 속도^2 이다. 이 법칙은 킥의 법칙으로 알려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폐기물의 관리에 있어서 가장 중점적으로 우선 순위를 갖는 요소는?

  1. 재활용
  2. 소각
  3. 최종처분
  4. 감량화
(정답률: 63%)
  • 감량화는 폐기물을 최대한 줄이는 것으로, 다른 처리 방법들보다 환경적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폐기물을 감량화하면 자원의 낭비를 줄이고, 자연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감량화는 재활용과 소각 등의 처리 방법에 비해 비용이 적게 들어가므로 경제적인 효과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인구가 800000명인 도시에서 연간 1000000ton의 폐기물이 발생한다면 1인 1일 폐기물의 발생량(kg/cap‧day)은?

  1. 3.12
  2. 3.22
  3. 3.32
  4. 3.42
(정답률: 54%)
  • 1인 1일 폐기물의 발생량(kg/cap‧day)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000,000 ton / 800,000 people / 365 days = 3.42 kg/cap‧day

    따라서 정답은 "3.4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쓰레기를 원추4분법으로 축분 도중 2번째에서 모포가 걸렸다. 이후 4회 더 축분하였다면 추후 모포의 함유량(%)은?

  1. 25
  2. 12.5
  3. 6.25
  4. 3.13
(정답률: 54%)
  • 원추 4분법이란 쓰레기를 4등분하여 각각의 부분을 다시 4등분하여 총 16등분으로 나누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2번째 축분에서 모포가 걸렸다면, 쓰레기는 8등분 중 2등분인 1/4만큼 모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후 4회 더 축분하면 16등분 중 1/4씩 4번 나누므로, 모포가 포함된 부분은 1/4의 1/4인 1/16이 됩니다. 따라서 모포의 함유량은 1/4 × 1/16 = 1/64이며, 이를 백분율로 환산하면 1.56%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6.25"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지정폐기물의 종류와 분류물질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폐유독물질 - 폐촉매
  2. 부식성 – 폐산(pH 2.0이하)
  3. 부식성 – 폐알칼리(pH 12.5이상)
  4. 유해물질함유 - 소각재
(정답률: 45%)
  • 정답은 "폐유독물질 - 폐촉매"입니다. 폐유독물질은 유해한 화학물질이 포함된 오일이나 윤활유 등을 말하며, 이러한 폐유독물질은 폐유처리시설에서 처리됩니다. 반면, 폐촉매는 산화나 환원 반응 등에서 사용된 촉매를 말하며, 폐촉매는 폐촉매처리시설에서 처리됩니다. 따라서, 폐유독물질과 폐촉매는 서로 다른 종류의 지정폐기물이며, 분류물질의 연결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폐기물발생량의 표시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단위는?

  1. m3/인‧일
  2. kg/인‧일
  3. 개/인‧일
  4. 봉투/인‧일
(정답률: 70%)
  • 폐기물의 발생량을 표시할 때는 일반적으로 무게를 기준으로 합니다. 따라서 kg/인‧일이 가장 많이 이용되는 단위입니다. m3/인‧일은 부피를 기준으로 하지만 폐기물은 무게가 더 중요하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개/인‧일은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봉투/인‧일은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봉투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물렁거리는 가벼운 물질로부터 딱딱한 물질을 선별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경사진 Conveyor를 통해 폐기물을 주입시켜 천천히 회전하는 드럼위에 떨어뜨려서 분류하는 장치는?

  1. Stoners
  2. Ballistic Separator
  3. Fluidized Bed Separators
  4. Secators
(정답률: 60%)
  • Secators는 물렁거리는 가벼운 물질로부터 딱딱한 물질을 선별하는데 사용되는데, 이는 경사진 Conveyor를 통해 폐기물을 주입시켜 천천히 회전하는 드럼위에 떨어뜨려서 분류하는 장치이다. 다른 보기들은 다른 분류 방법을 사용하는데, Stoners는 중력을 이용하여 무게가 가벼운 물질을 분리하는데 사용되고, Ballistic Separator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물질을 분리하는데 사용되고, Fluidized Bed Separators는 공기를 이용하여 물질을 분리하는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적환장의 기능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분리선별
  2. 비용분석
  3. 압축파쇄
  4. 수송효율
(정답률: 60%)
  • 적환장은 폐기물을 처리하는 공간으로, 분리선별, 압축파쇄, 수송효율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비용분석은 적환장의 기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비용분석은 폐기물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용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경영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지, 폐기물을 처리하는데 직접적인 기능을 가지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비용분석은 적환장의 기능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폐기물처리기술

21. 소각로에서 PVC 같은 염소를 함유한 물질을 태울 때 발생하며 맹독성을 갖는 것으로 분자구조는 염소가 달린 두 개의 벤젠고리 사이에 한 개의 산소원자가 있고, 135개의 이성체를 갖는 것은?

  1. THM
  2. Furan
  3. PCB
  4. BPHC
(정답률: 54%)
  • 문제에서 설명한 분자구조는 다이옥신이며, 이중에서도 135개의 이성체를 갖는 것은 Furan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Fura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분뇨처리의 혐기성 소화를 기술한 것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혐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기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2. 다른 방법들보다 장기적인 면에서 볼 때 경제적이며 운영비가 적다는 이점이 있다.
  3. 유용한 CH4가 생성된다.
  4. 분뇨량이 많으면 소화조를 70℃ 이상 가열시켜 줄 필요가 있다.
(정답률: 50%)
  • "분뇨량이 많으면 소화조를 70℃ 이상 가열시켜 줄 필요가 있다."는 혐기성 소화 과정에서 온도가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며, 분뇨량이 많을 경우에는 더 높은 온도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조치가 필요하다. 다른 보기들은 혐기성 소화의 특징이나 장점을 설명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분뇨처리과정 중 고형물 농도 10%, 유기물 함유율 70%인 농축슬러지는 소화과정을 통해 유기물의 100%가 분해되었다. 소화된 슬러지의 고형물 함량이 6%일 때, 전체 슬러지량은 얼마가 감소되는가? (단, 비중 = 1.0 가정)

  1. 1/4
  2. 1/3
  3. 1/2
  4. 1/1.5
(정답률: 39%)
  • 농축슬러지의 고형물 농도가 10%이므로, 100kg의 농축슬러지는 10kg의 고형물과 90kg의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소화과정을 통해 유기물의 100%가 분해되었으므로, 고형물은 모두 유기물로 분해되어 수분으로 변하게 된다. 따라서, 소화된 슬러지의 고형물 함량이 6%일 때, 100kg의 소화된 슬러지는 6kg의 고형물과 94kg의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를 통해 전체 슬러지량은 10kg에서 6kg으로 4kg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산업폐기물의 처리 시 함유 처리항목과 그 조건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특정유해 함유물질 : 수분 함량 85% 이하일 경우 고온열분해 시킨다.
  2. 폐합성수지 : 편의 크기를 45cm 이상으로 절단시켜 소각, 용융시킨다.
  3. 유기물계통 일반산업폐기물 : 수분함량 85% 이하로 유지시켜 소각시킨다.
  4. 폐유 : 수분함량 5ppm 이하일 경우 소각 시킨다.
(정답률: 37%)
  • 정답은 "폐합성수지 : 편의 크기를 45cm 이상으로 절단시켜 소각, 용융시킨다." 이다. 폐합성수지는 소각, 용융 처리 대상이지만, 크기를 45cm 이상으로 절단시켜야 한다는 조건은 없다. 따라서, 이 조건은 잘못 짝지어진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제1,2차 활성슬러지공법과 희석 방법을 적용하여 분뇨를 처리할 때, 처리 전 수거분뇨의 BOD가 20000mg/L이며 제1차 활성슬러지처리에서의 BOD제거율은 70%이고 20배 희석 후의 방류수에서의 BOD가 30mg/L라면 제2차 활성슬러지 처리에서의 BOD 제거율(%)은?

  1. 60
  2. 70
  3. 80
  4. 90
(정답률: 37%)
  • 처리 전 수거분뇨의 BOD는 20000mg/L이고, 제1차 활성슬러지 처리에서의 BOD제거율은 70%이므로, 제1차 처리 후의 BOD는 20000 x 0.3 = 6000mg/L이 됩니다. 이를 20배 희석하면 방류수의 BOD는 6000 / 20 = 300mg/L이 됩니다.

    따라서, 제2차 활성슬러지 처리에서의 BOD 제거율은 (300-30) / 300 x 100 = 90%가 됩니다.

    즉, 처리 전 수거분뇨의 BOD가 높았지만, 제1차 처리와 20배 희석을 통해 BOD를 크게 감소시켰기 때문에 제2차 처리에서 높은 BOD 제거율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우리나라 음식물쓰레기를 퇴비로 재활용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것은?

  1. 염분함량
  2. 발열량
  3. 유기물함량
  4. 밀도
(정답률: 64%)
  • 음식물쓰레기를 퇴비로 재활용할 때 염분함량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이유는 염분이 많은 음식물쓰레기를 사용하면 퇴비로 만들어진 토양이 염분농도가 높아져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고, 토양의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염분이 많은 음식물쓰레기는 퇴비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폭 1.0m, 길이 100m인 침출수 집배수시설의 투수계수 1.0×10-2cm/s, 바닥 구배가 2%일 때 년간 집배수량(ton)은? (단, 침출수의 밀도 = 1ton/m3)

  1. 1051
  2. 5000
  3. 6307
  4. 20000
(정답률: 42%)
  • 년간 집배수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년간 집배수량 = 침출수의 밀도 × 침출수 집배수시설의 단면적 × 침출수 집배수시설의 길이 × 바닥 구배

    여기서 침출수 집배수시설의 단면적은 폭과 깊이를 곱한 값이므로, 이 문제에서는 깊이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폭만 이용하여 계산합니다.

    침출수 집배수시설의 단면적 = 폭 × 1m = 1.0m²

    따라서 년간 집배수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년간 집배수량 = 1ton/m³ × 1.0m² × 100m × 2% = 2ton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단위를 ton으로 주어졌으므로, 답을 ton으로 변환해줍니다.

    년간 집배수량 = 2ton = 2000kg = 2000/1000 = 2.0ton

    따라서 정답은 "200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슬러지를 고형화하는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취급이 용이하며, 운반무게가 감소한다.
  2. 유해물질의 독성이 감소한다.
  3. 오염물질의 용해도를 낮춘다.
  4. 슬러지 표면적이 감소한다.
(정답률: 42%)
  • "취급이 용이하며, 운반무게가 감소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이유는 슬러지를 고형화하는 과정에서 슬러지의 물분을 제거하여 무게가 감소하고, 고형화된 슬러지는 취급이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슬러지 처리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이 보기는 슬러지 처리 후에 발생하는 부가적인 효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폐기물을 매립한 후 복토를 실시하는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폐기물을 보이지 않게 하여 미관상 좋게 한다.
  2. 우수를 효과적으로 배제한다.
  3. 쥐나 파리 등 해충 및 야생동물의 서식처를 없앤다.
  4. CH4 가스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정답률: 54%)
  • CH4 가스는 메탄가스로, 폐기물 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 중 하나입니다. 이 가스는 화재나 폭발의 위험성이 있으며, 온실가스로서 대기 중에 방출되면 지구 온난화에 기여합니다. 따라서 폐기물 매립지에서는 CH4 가스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폐기물을 매립하기 전에 가스 추출 시스템을 설치하거나, 매립 후에는 복토를 실시하여 가스가 누출되지 않도록 합니다. 이러한 조치는 환경 보호와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유동층 소각로의 장단점이라 볼 수 없는 것은?

  1. 미연소분 배출로 2차 연소실이 필요하다.
  2. 가스의 온도가 낮고 과잉공기량이 적다.
  3. 상(床)으로부터 찌꺼기 분리가 어렵다.
  4. 기계적 구동부분이 적어 고장율이 낮다.
(정답률: 37%)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Rotary Kiln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모든 폐기물을 소각시킬 수 있다.
  2. 부유성 물질의 발생이 적다.
  3. 연속적으로 재가 방출된다.
  4. 1400℃ 이상의 운전 가능하다.
(정답률: 42%)
  • Rotary Kiln은 폐기물 소각에 사용되는 장비로, 폐기물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연소시키는 과정에서 부유성 물질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부유성 물질의 발생이 적다."는 Rotary Kiln의 특징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Rotary Kiln 내부의 고온 가열 공간이 폐기물을 완전히 연소시키는데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오염된 농경지의 정화를 위해 다른 장소로부터 비오염 토양을 운반하여 혼합하는 정화기술은?

  1. 객토
  2. 반전
  3. 희석
  4. 배토
(정답률: 63%)
  • 객토는 오염된 농경지의 토양을 정화하기 위해 다른 장소로부터 비오염 토양을 운반하여 혼합하는 정화기술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객토가 정답이 됩니다. 반전은 토양의 층을 뒤집는 기술, 희석은 오염된 물을 물을 섞어 농도를 낮추는 기술, 배토는 오염된 토양을 제거하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유기성 폐기물 퇴비화의 단점이라 할 수 없는 것은?

  1. 퇴비화 과정 중 외부 가온 필요
  2. 부지선정의 어려움
  3. 악취발생 가능성
  4. 낮은 비료가치
(정답률: 58%)
  • 퇴비화 과정 중 외부 가온은 유기물의 분해를 돕기 위해 필요한 공기의 유입을 말하는데, 이는 퇴비화 과정의 핵심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것은 유기성 폐기물 퇴비화의 단점이 아니라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부지선정의 어려움, 악취발생 가능성, 낮은 비료가치는 모두 유기성 폐기물 퇴비화의 단점으로 지적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메탄발효 조건이 아닌 것은?(문제 내용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문제 내용을 아시느분께서는 오류신고를 통하여 내용 작성 부탁 드립니다.)

  1. 영양조건
  2. 혐기조건
  3. 호기조건
  4. 유기물량
(정답률: 52%)
  • 문제 내용이 정확하지 않아서 정확한 답을 제시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호기조건"이 메탄발효 조건 중 하나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호기조건은 메탄생성균이 최적으로 성장하고 활동할 수 있는 환경 조건을 말합니다. 이 조건에는 적정한 pH, 온도, 산소 농도 등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메탄생성균이 메탄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호기조건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소각 시 다이옥신이 생성될 수 있는 가능성이 가장 큰 물질은?

  1. 노르말헥산
  2. 에탄올
  3. PVC
  4. 오존
(정답률: 70%)
  • PVC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의 약자로, 소각 시 열분해되면 다이옥신을 생성할 가능성이 가장 큰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폐기물 고형화 방법 중 유기중합체법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우레아폼(UF)방법이다.
  2. 고형성분만 처리 가능하다.
  3. 고형화 시키는데 많은 양의 첨가제가 필요하다.
  4. 최종처리 시 2차용기에 넣어 매립해야 한다.
(정답률: 42%)
  • 유기중합체법은 폐기물을 열분해하여 고형화시키는 방법으로,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고형화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고형화 시키는데 많은 양의 첨가제가 필요하다."는 유기중합체법의 특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고형분 30%인 주방찌꺼기 10톤의 소각을 위하여 함수율이 50% 되게 건조시켰다면 이때의 무게(톤)는? (단, 비중 = 1.0 가정)

  1. 2
  2. 3
  3. 6
  4. 8
(정답률: 54%)
  • 본 해설은 비추 누적갯수 초과로 자동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AI해설 오류가 많아 비추 2개 이상시 자동 블라인드 됩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알카리성 폐수의 중화제가 아닌 것은?

  1. 황산
  2. 염산
  3. 탄산가스
  4. 가성소다
(정답률: 51%)
  • 알카리성 폐수는 pH 값이 7보다 높은 폐수를 말합니다. 따라서 중화제로는 산성물질을 사용해야 합니다. 황산과 염산은 강한 산성물질이므로 알카리성 폐수를 중화시키기에 적합합니다. 탄산가스는 중화력이 약하지만, 중화 후에는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되어 자연적으로 처리됩니다. 하지만 가성소다는 알칼리성 물질로, 알카리성 폐수를 더욱 알칼리성으로 만들어 처리를 어렵게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성소다는 알카리성 폐수의 중화제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유효공극율 0.2, 점토층 위의 침출수가 수두 1.5m인 점토 차수층 1.0m를 통과하는데 10년이 걸렸다면 점토 차수층의 투수계수(cm/s)는?

  1. 2.54×10-7
  2. 2.54×10-8
  3. 5.54×10-7
  4. 5.54×10-8
(정답률: 41%)
  • 투수계수(K)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구할 수 있다.

    K = (q/n) * (L/T)

    여기서 q는 침출수량, n은 유효공극율, L은 토층 두께, T는 시간이다.

    문제에서 주어진 값으로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K = (1.5/0.2) * (100/10)

    K = 7.5 * 10

    K = 75

    하지만 보기에서는 단위가 cm/s로 주어졌으므로, m/s에서 cm/s로 변환해줘야 한다.

    75 m/s = 7500 cm/s

    따라서 정답은 "2.54×10-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매립지 내에서 분해단계(4단계) 중 호기성 단계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치 못한 것은?

  1. N2의 발생이 급격히 증가된다.
  2. O2가 소모된다.
  3. 주요 생성기체는 CO2이다.
  4. 매립물의 분해속도에 따라 수 일에서 수 개월 동안 지속된다.
(정답률: 55%)
  • "매립지 내에서 분해단계(4단계) 중 호기성 단계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치 못한 것은?"에 대한 답은 "주요 생성기체는 CO2이다."입니다. 호기성 단계에서는 주요 생성기체가 메탄(CH4)이며, 이후에 메탄산화 단계에서 CO2가 생성됩니다.

    "N2의 발생이 급격히 증가된다."는 호기성 단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이는 호기성 단계에서 메탄생산균이 메탄을 생성하면서 동시에 질소(N2)를 방출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매립물의 분해속도에 따라 수 일에서 수 개월 동안 지속됩니다. 이와 동시에 호기성 단계에서는 산소(O2)가 소모되며, 이후에는 메탄산화 단계에서 CO2가 생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폐기물 공정시험 기준(방법)

41. 시료의 분할채취방법 중 구회법에 의해 축소할 때 몇 등분 몇 개의 덩어리로 나누는가?

  1. 가로 4등분, 세로4등분, 16개 덩어리
  2. 가로 4등분, 세로5등분, 20개 덩어리
  3. 가로 5등분, 세로5등분, 25개 덩어리
  4. 가로 5등분, 세로6등분, 30개 덩어리
(정답률: 62%)
  • 구회법은 시료를 가로와 세로로 번갈아가며 축소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가로 4등분, 세로 5등분으로 시료를 축소하면 20개의 덩어리가 생성된다. 다른 보기들은 가로와 세로의 등분수가 같거나, 더 많은 등분수를 가지기 때문에 더 많은 덩어리가 생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크롬을 원자흡수분광광도법으로 분석할 때 간섭물질에 관한 내용으로 ( )에 옳은 것은?

  1. 황산나트룸
  2. 시안화칼륨
  3. 수산화칼슘
  4. 수산화칼륨
(정답률: 46%)
  • 크롬을 원자흡수분광광도법으로 분석할 때, 간섭물질로 인해 크롬의 흡수선이 감소하거나 왜곡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황산나트룸"은 크롬과 유사한 흡수선을 가지고 있어 크롬과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크롬 분석 시에는 "황산나트룸"을 간섭물질로 고려해야 합니다. "시안화칼륨", "수산화칼슘", "수산화칼륨"은 크롬과 다른 흡수선을 가지고 있어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시료의 전처리방법에서 회화에 의한 유기물 분해 시 증발접시의 재질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백금
  2. 실리카
  3. 사기제
  4. 알루미늄
(정답률: 50%)
  • 알루미늄은 강한 산화작용을 가지고 있어, 회화에 의한 유기물 분해 시 산화되어 증발접시의 재질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알루미늄은 적당하지 않은 재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감염성미생물(아포균 검사법) 측정에 적용되는 '지표생물포자'에 관한 설명으로 ( )에 알맞은 것은?

  1. ㉠ 약, ㉡ 비병원성
  2. ㉠ 강, ㉡ 비병원성
  3. ㉠ 약, ㉡ 병원성
  4. ㉠ 강, ㉡ 병원성
(정답률: 52%)
  • 지표생물포자는 환경에서 발견되는 미생물 중에서도 특정 감염성 미생물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는데 사용되는 미생물입니다. 따라서, 강한 저항력을 가지고 있는 감염성 미생물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되므로 "㉠ 강, ㉡ 비병원성"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검정곡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검정곡선은 분석물질의 농도변화에 따른 지시값을 나타낸 것이다.
  2. 절대검정곡선법이란 시료의 농도와 지시값과 의 상관성을 검정곡선 식에 대입하여 작성하는 방법이다.
  3. 표준물질첨가법이란 시료와 동일한 매질에 일정량의 표준물질을 첨가하여 검정곡선을 작성하는 방법이다.
  4. 상대검정곡선법이란 검정곡선 작성용 표준용액과 시료에 서로 다른 양의 내부표준 물질을 첨가하여 시험분석 절차, 기기 또는 시스템의 변동으로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다.
(정답률: 42%)
  • 정답은 "절대검정곡선법이란 시료의 농도와 지시값과 의 상관성을 검정곡선 식에 대입하여 작성하는 방법이다."이다.

    검정곡선은 분석물질의 농도변화에 따른 지시값을 나타내는 것이 맞으며, 표준물질첨가법은 시료와 동일한 매질에 일정량의 표준물질을 첨가하여 검정곡선을 작성하는 방법이 맞다.

    하지만 절대검정곡선법은 검정곡선 식에 시료의 농도와 지시값의 상관성을 대입하여 작성하는 방법이 아니라, 표준용액을 이용하여 작성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상대검정곡선법이란 검정곡선 작성용 표준용액과 시료에 서로 다른 양의 내부표준 물질을 첨가하여 시험분석 절차, 기기 또는 시스템의 변동으로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폐기물공정시험기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사항 중 올바른 것은?

  1. 용액의 농도를 단순히 “%”로만 표시할 때는 V/V%를 말한다.
  2. “정확히 취한다”라 함은 규정된 양의 검체, 시액을 홀피펫으로 눈금의 1/10까지 취하는 것을 말한다.
  3. “수욕상에서 가열한다”라 함은 규정이 없는 한 수온 60~70℃에서 가열함을 뜻한다.
  4. “약”이라 함은 기재된 양에 대하여 ±10%이상의 차가 있어서는 안 된다.
(정답률: 44%)
  • 정답은 "“약”이라 함은 기재된 양에 대하여 ±10%이상의 차가 있어서는 안 된다." 이다. 이는 정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기준으로, 시험 결과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규정되었다. 즉, 시약이나 검체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처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흡광광도법에서 Lambert-Beer의 법칙에 관계되는 식은? (단, a= 투사광의 강도, b = 입사광의 강도, c = 농도, d = 빛의 투과거리, E = 흡광계수)

  1. a/b = 10-cdE
  2. b/a = 10-cdE
  3. a/cd = E × 10-b
  4. b/cd = E × 10-a
(정답률: 53%)
  • Lambert-Beer의 법칙은 "입사광의 강도(b)와 투사광의 강도(a)는 농도(c), 빛의 투과거리(d), 그리고 흡광계수(E)에 비례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법칙입니다.

    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a = b × c × d × E

    하지만 이 식에서 우리가 원하는 것은 "a/b"와 "c"의 관계식입니다.

    따라서 위의 식에서 양변을 "b"로 나누어줍니다:

    a/b = c × d × E

    여기서 "d"와 "E"는 상수이므로, "c"와 "a/b"는 반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따라서 "c"가 10배 증가하면 "a/b"는 10배 감소하게 됩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a/b = 10-cdE

    따라서 정답은 "a/b = 10-cd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기체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유기물질을 분석하는 기본 원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컬럼을 통과하는 동안 유기물질이 성분별로 분리된다.
  2. 검출기는 유기물질을 성분별로 분리 검출한다.
  3. 기록계에 나타난 피크의 넓이는 물질의 온도에 비례한다.
  4. 기록계에 나타난 머무름 시간으로 유기물질을 정성 분석할 수 있다.
(정답률: 53%)
  • "기록계에 나타난 피크의 넓이는 물질의 온도에 비례한다."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유기물질을 분석하는 기본 원리와 관련이 없는 설명이다. 따라서 이것이 틀린 것이다.

    기체크로마토그래피법은 컬럼을 통과하는 동안 유기물질이 성분별로 분리되고, 검출기는 유기물질을 성분별로 분리 검출한다. 또한 기록계에 나타난 머무름 시간으로 유기물질을 정성 분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원자흡수분광광도법으로수은을 분석할 경우 시료채취 및 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 )에 알맞은 것은?

  1. ㉠ 2, ㉡ 14
  2. ㉠ 3, ㉡ 24
  3. ㉠ 2, ㉡ 28
  4. ㉠ 3, ㉡ 32
(정답률: 55%)
  • 원자흡수분광광도법으로 수은을 분석할 경우, 시료채취 및 관리에는 깨끗하고 오염되지 않은 유리 용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시료를 채취할 때는 가능한 한 빠르게 채취하고, 저장할 때는 냉장고나 냉동고에 보관해야 합니다.

    정답이 "㉠ 2, ㉡ 28" 인 이유는, 2번 보기에서는 깨끗하고 오염되지 않은 유리 용기를 사용하라는 내용이 있고, 28번 보기에서는 시료를 냉장고나 냉동고에 보관하라는 내용이 있기 때문입니다. 14번 보기에서는 시료를 채취할 때 빠르게 채취하라는 내용이 있지만, 유리 용기에 대한 언급이 없습니다. 3번 보기에서는 시료를 채취할 때 빠르게 채취하고, 냉장고나 냉동고에 보관하라는 내용이 있지만, 유리 용기에 대한 언급이 없습니다. 32번 보기에서는 시료를 냉장고나 냉동고에 보관하라는 내용이 있지만, 유리 용기에 대한 언급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기체크로마토그래피의 전자포획검출기에 관한 설명으로 ( )에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알파(α) 선
  2. 베타(β) 선
  3. 감마(γ) 선
  4. X선
(정답률: 59%)
  • 기체크로마토그래피의 전자포획검출기는 베타(β) 선을 이용하여 검출을 수행한다. 이는 기체크로마토그래피에서 분리된 화합물이 전자포에 충돌하여 이온화되고, 이온화된 전자들이 전자포 내부에서 가속되어 베타(β) 선을 방출하면서 검출기에서 검출되기 때문이다. 알파(α) 선은 전자포를 통과하지 못하고 벽면에 충돌하여 검출이 어렵고, 감마(γ) 선과 X선은 전자포를 통과하여 검출기에서 검출되지만, 이온화되지 않기 때문에 검출 효율이 낮다. 따라서 기체크로마토그래피의 전자포획검출기에서는 베타(β) 선을 이용하여 검출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10g 도가니에 20g의 시료를 취한 후 25% 질산암모늄용액을 넣어 탄화시킨 다음 600±25℃의 전기로에서 3시간 강열하였다. 데시케이터에서 식힌 후 도기니와 시료의 무게가 25g 이었다면 강열감량(%)는?

  1. 15
  2. 20
  3. 25
  4. 30
(정답률: 40%)
  • 강열감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강열감량(%) = (원래 무게 - 강열 후 무게) / 원래 무게 × 100

    도가니와 시료의 원래 무게는 10g + 20g = 30g 이다.

    강열 후 무게는 25g 이므로,

    강열감량(%) = (30g - 25g) / 30g × 100 = 16.7%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25"인 이유는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시료 내 수은을 원자흡수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할 때의 내용으로 ( )에 옳은 것은

  1. 시안화칼륨
  2. 과망간산칼륨
  3. 아연분말
  4. 이염화주석
(정답률: 43%)
  • 수은을 원자흡수분광광도법으로 측정할 때, 시료 내의 수은 원자를 증발시켜 기체 상태로 만들고, 이를 농도에 따라 흡수하는데, 이 과정에서 시료 내에 다른 물질들이 수은 원자의 흡수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시료에 이온화된 수은을 생성하는 이온화기를 사용하고, 이온화된 수은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광선의 파장은 253.7nm입니다. 따라서 이온화기에 사용되는 물질은 이 파장에서의 흡수가 적어야 하며, 이염화주석은 이 조건을 만족하기 때문에 이온화기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온도 표시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찬 곳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0~15℃의 곳을 뜻한다.
  2. 냉수는 4℃ 이하를 말한다.
  3. 온수는 60~70℃를 말한다.
  4. 상온은 15~25℃를 말한다.
(정답률: 48%)
  • 온도 표시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찬 곳은 따로 규정이 없는 한 0~15℃의 곳을 뜻한다." 이다. 실제로는 찬 곳의 온도는 사용되는 분야나 규정에 따라 다르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품 보관용 냉장고의 경우 0~4℃를 찬 곳으로 정의하고 있다.

    냉수는 4℃ 이하를 말하는 이유는, 물의 밀도가 최대치가 되는 온도가 4℃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4℃ 이하의 물은 더 차가워져도 밀도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물이 얼어붙지 않고 유지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냉수는 4℃ 이하로 유지되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온수는 60~70℃를 말하는 이유는, 이 온도에서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병원체가 사멸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식기나 소독용품 등을 세척할 때 사용되는 물의 온도로도 많이 사용된다.

    상온은 15~25℃를 말하는 이유는, 이 온도 범위가 인체의 편안한 온도 범위와 비슷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내에서 사람이 머무는 공간이나 제품 보관용 공간 등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원자흡수분광도법에서 중공음극램프선을 흡수하는 것은?(문제 내용이 정확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문제 내용을 아시느분께서는 오류신고를 통하여 내용 작성 부탁 드립니다.)

  1. 기저상태의 원자
  2. 여기상태의 원자
  3. 이온화된 원자
  4. 불꽃중의 원자쌍
(정답률: 44%)
  • 원자흡수분광도법에서 중공음극램프선을 흡수하는 것은 기저상태의 원자입니다. 이는 기저상태의 원자가 최소 에너지 상태이기 때문에, 더 높은 에너지 상태의 원자보다 더 적은 에너지를 흡수하여 흡수선이 더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수분과 고형물의 함량에 따라 폐기물을 구분 할 때 다음 중 포함되지 않은 것은?

  1. 액상 폐기물
  2. 반액상 폐기물
  3. 반고상 폐기물
  4. 고상 폐기물
(정답률: 66%)
  • 반액상 폐기물은 고형물과 액상물이 혼합되어 있어서 분리가 어려운 폐기물을 말합니다. 따라서 수분과 고형물의 함량에 따라 폐기물을 구분할 때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1N 수산화나트륨용액 20mL를 중화시키려고 할 때 가장 적합한 용액은?

  1. 0.1M 황산 20mL
  2. 0.1M 염산 10mL
  3. 0.1M 황산 10mL
  4. 0.1M 염산 40mL
(정답률: 54%)
  • 1N 수산화나트륨용액은 40mL의 0.1M 산성용액과 중화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0.1M 황산 10mL 용액이 가장 적합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20mL 이상의 용액이 필요하거나, 염산이므로 중화 후에도 염화물이 남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유리전극법으로 수소이온농도를 측정할 때 간섭물질에 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리전극은 일반적으로 용액의 색도, 탁도에 의해 간섭을 받지 않는다.
  2. 유리전극은 산화 및 환원성 물질 그리고 염도에 간섭을 받는다.
  3. pH 10 이상에서 나트륨에 의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낮은 나트륨 오차 전극을 사용하여 줄일 수 있다.
  4. pH는 온도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정답률: 44%)
  • 옳지 않은 것은 "유리전극은 일반적으로 용액의 색도, 탁도에 의해 간섭을 받지 않는다." 이다. 유리전극은 용액의 색도, 탁도에도 간섭을 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측정값이 왜곡될 수 있다. 따라서 측정 전에는 용액의 색도, 탁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보정을 해주어야 한다.

    유리전극은 산화 및 환원성 물질 그리고 염도에 간섭을 받는 이유는, 유리전극의 작동 원리가 유리 내부의 수소 이온과 외부 용액의 수소 이온 농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전위차를 측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용액 내에 산화 및 환원성 물질이 존재하거나 염도가 높을 경우, 이온 농도 차이가 왜곡되어 측정값이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pH 10 이상에서 나트륨에 의해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이유는, pH 10 이상에서는 유리전극 내부의 수소 이온 농도가 매우 낮아지기 때문에, 외부 용액에 존재하는 나트륨 이온이 유리 내부로 침투하여 전위차를 왜곡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낮은 나트륨 오차 전극을 사용하여 오차를 줄일 수 있다.

    pH는 온도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는 이유는, pH는 수소 이온 농도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온도가 변화하면 수소 이온 농도도 변화하게 되므로, pH도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pH 측정 시에는 온도 보정을 해주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절연유 중에 포함된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PCBs)을 식속하게 분석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절연유를 진탕 알카리 분해하고 대용량 다층실리카겔 컬럼을 통과시켜 정제한다.
  2. 기체크로마토그래프-열전도검출기에 주입하여 크로마토그램에 나타난 피크형태로부터 정량분석 한다.
  3. 정량한계는 0.5mg/L 이상이다.
  4. 기체크로마토그래프의 운반기체는 부피백분율 99.999% 이상의 헬륨 또는 질소를 이용한다.
(정답률: 26%)
  • "정량한계는 0.5mg/L 이상이다."가 틀린 것이다. 정량한계는 0.5mg/L 이하이다.

    기체크로마토그래프-열전도검출기는 PCBs와 같은 화합물을 분리하고 검출하는 데 사용되는 분석 기술이다. 절연유를 진탕 알카리 분해하고 정제한 후, 기체크로마토그래프-열전도검출기에 주입하여 크로마토그램에 나타난 피크형태로부터 PCBs의 양을 정량분석한다. 이 기술은 민감하고 정확하며, PCBs와 같은 화합물을 식속하게 분석하는 데 널리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pH = 1인 폐산과 pH = 5인 폐산의 수소이온농도 차이(배)는?

  1. 4배
  2. 4백배
  3. 만배
  4. 10만배
(정답률: 58%)
  • pH는 수소이온농도의 음의 로그값이므로, pH가 1인 폐산의 수소이온농도는 pH가 5인 폐산의 수소이온농도보다 10^4배 높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만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폐기물공정시험기준상 ppm(parts per million)단위로 틀린 것은?

  1. mg/m3
  2. g/m3
  3. mg/kg
  4. mg/L
(정답률: 38%)
  • 정답은 "mg/m3"입니다.

    이유는 ppm은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 중 하나로, 1백만분의 1의 농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ppm은 물질의 농도를 공기나 물 등의 체적 단위에 대해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반면에 "mg/m3"은 공기 중의 물질 농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공기의 체적 단위에 대해 물질의 농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mg/m3"은 폐기물공정시험기준상 ppm과는 단위가 다르며,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는 방식도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폐기물 관계 법규

61. 환경상태의 조사 ‧ 평가에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상시 조사 ‧ 평가하여야 하는 내용이 아닌 것은?

  1. 환경오염지역의 접근성 실태
  2. 환경오염 및 환경훼손 실태
  3.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 현황
  4. 환경의 질의 변화
(정답률: 38%)
  • 환경상태의 조사 ‧ 평가에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상시 조사 ‧ 평가하여야 하는 내용 중 "환경오염지역의 접근성 실태"는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환경상태의 조사 ‧ 평가에서는 환경오염 및 환경훼손 실태,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 현황, 환경의 질의 변화 등을 조사하고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환경오염지역의 접근성 실태"는 환경상태의 조사 ‧ 평가에서 상시 조사 ‧ 평가하여야 하는 내용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환경부장관이나 시 ‧ 도지사가 폐기물처리업자에게 영업의 정지를 명령하려는 때 그 영업의 정지가 천재지변이나 그 밖에 부득이한 사유로 해당 영업을 계속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그 영업의 정지를 갈음하여 부과할 수 있는 최대 과징금은? (단, 그 폐기물처리업자가 매출액이 없거나 매출액을 산정하기 곤란한 경우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

  1. 5천만원
  2. 1억원
  3. 2억원
  4. 3억원
(정답률: 54%)
  • 환경부가 제시한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에 따르면, 폐기물처리업자에 대한 최대 과징금은 해당 업체의 매출액의 3% 이하로 한정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천재지변이나 부득이한 사유로 인해 영업의 정지를 명령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이 한도를 초과하여 최대 1억원까지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영업의 정지를 갈음하여 부과할 수 있는 최대 과징금은 1억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사업장폐기물을 공동으로 수집, 운반, 재활용 또는 처분하는 공동 운영기구의 대표자가 폐기물의 발생 ‧ 배출 ‧ 처리상황 등을 기록한 장부를 보전하여야 하는 기간은?

  1. 1년
  2. 3년
  3. 5년
  4. 7년
(정답률: 63%)
  • 사업장폐기물을 공동으로 처리하는 공동 운영기구의 대표자는 폐기물의 발생, 배출, 처리 상황 등을 기록한 장부를 보전하여야 합니다. 이는 환경부의 규정으로, 폐기물 관리에 대한 책임을 다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 장부의 보존 기간은 3년입니다. 이유는, 이 기간 동안에는 관련 기관에서 폐기물 처리에 대한 검사나 조사를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기간 동안에는 폐기물 처리에 대한 민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대비하기 위해 보존 기간이 3년으로 정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폐기물 처분시설 또는 재활용시설의 검사 기준에 관한 내용 중 멸균분쇄시설의 설치검사 항목이 아닌 것은?

  1. 계량시설의 작동상태
  2. 분쇄시설의 작동상태
  3. 자동기록장치의 작동상태
  4. 밀폐형으로 된 자동제어에 의한 처리방식인지 여부
(정답률: 31%)
  • 멸균분쇄시설은 폐기물을 처리하기 전에 분쇄와 멸균을 동시에 수행하는 시설이므로, 분쇄시설의 작동상태와 밀폐형으로 된 자동제어에 의한 처리방식인지 여부 등이 검사 항목에 포함됩니다. 그러나 계량시설의 작동상태는 폐기물 처리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검사 항목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폐기물처리시설의 유지 ‧ 관리에 관한 기술관리를 대행할 수 있는 자와 거리가 먼 것은?

  1. 엔지니어링산업 진흥법에 따라 신고한 엔지니어링사업자
  2. 기술사법에 따른 기술사사무소(법에 따른 자격을 가진 기술사가 개설한 사무소로 한정한다.)
  3. 폐기물관리 및 설치신고에 관한 법률에 따른 한국화학시험연구원
  4. 한국환경공단
(정답률: 44%)
  • 정답은 "엔지니어링산업 진흥법에 따라 신고한 엔지니어링사업자"이다. 폐기물관리 및 설치신고에 관한 법률에 따라 유지 ‧ 관리에 관한 기술관리를 대행할 수 있는 자는 해당 법률에 명시된 기관이어야 하며, 한국화학시험연구원은 그 중 하나이다. 엔지니어링사업자는 해당 법률에 명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폐기물 처분시설 중 관리형 매립시설에서 발생하는 침출수의 배출허용기준 중 '나 지역'의 생물학적 산소요구량의 기준은?(단, '나 지역'은 「물환경보전법 시행규칙」에 따른다.)

  1. 60 mg/L 이하
  2. 70 mg/L 이하
  3. 80 mg/L 이하
  4. 90 mg/L 이하년
(정답률: 63%)
  • '나 지역'의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기준은 물환경보전법 시행규칙에 따라 결정된다. 이 기준은 해당 지역의 수질환경과 생태계 특성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수치로 설정된 것이다. 따라서 '나 지역'의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기준이 70 mg/L 이하인 것은 해당 지역의 수질환경과 생태계 특성 등을 고려하여 적정한 수치로 설정된 결과이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 지역의 특성과는 상이한 수치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폐기물 수집 ‧ 운반증을 부착한 차량으로 운반해야 될 경우가 아닌 것은?

  1. 사업장폐기물배출자가 그 사업장에서 발생한 폐기물을 사업장 밖으로 운반하는 경우
  2. 폐기물처리 신고자가 재활용 대상 폐기물을 수집 ‧ 운반하는 경우
  3. 폐기물처리업자가 폐기물을 수집 ‧ 운반하는 경우
  4. 광역 폐기물 처분시설의 장치 ‧ 운영자가 생활폐기물을 수집 ‧ 운반하는 경우
(정답률: 46%)
  • 광역 폐기물 처분시설의 장치 ‧ 운영자가 생활폐기물을 수집 ‧ 운반하는 경우는 이미 폐기물 처리시설이 있기 때문에 폐기물을 다른 곳으로 운반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폐기물 수집 ‧ 운반증을 부착한 차량으로 운반할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폐기물 수집 ‧ 운반업자가 임시보관장소에 의로폐기물을 5일 이내로 냉장 보관할 수 있는 전용보관시설의 온도 기준은?

  1. 섭씨 2도 이하
  2. 섭씨 3도 이하
  3. 섭씨 4도 이하
  4. 섭씨 5도 이하
(정답률: 61%)
  • 임시보관장소에서의 폐기물 보관은 위생적인 이유로 냉장 보관이 필요합니다. 이때, 보관 온도가 낮을수록 폐기물 내부의 미생물 활동이 저하되어 부패가 더디게 일어나기 때문에 보관 온도는 낮을수록 좋습니다. 그러나 너무 낮은 온도에서 보관하면 폐기물 내부의 물질이 얼어붙어 처리가 어려워지므로 적절한 보관 온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폐기물 수집 ‧ 운반업자가 임시보관장소에 의로폐기물을 5일 이내로 냉장 보관할 수 있는 전용보관시설의 온도 기준은 "섭씨 4도 이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폐기물처리 담당자 등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는 기관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국립환경연구원
  2. 환경보전협회
  3. 한국환경공단
  4.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정답률: 34%)
  • 국립환경연구원은 환경연구 및 기술개발을 주요 업무로 하며, 폐기물 처리 및 관리에 대한 연구와 교육을 수행하는 기관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 ‧ 운영하는 자는 일정한 기간마다 정기검사를 받아야 한다. 소각시설의 경우 최초 정기검사일 기준은?

  1. 사용개시일부터 5년이 되는 날
  2. 사용개시일부터 3년이 되는 날
  3. 사용개시일부터 2년이 되는 날
  4. 사용개시일부터 1년이 되는 날
(정답률: 46%)
  • 폐기물처리시설의 정기검사 주기는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소각시설의 경우는 사용개시일부터 3년이 되는 날부터 시작된다. 이는 폐기물처리시설이 처음 사용되고부터 3년이 지나면, 시설의 상태나 안전성 등을 점검하고 유지보수를 실시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초 정기검사일은 사용개시일부터 3년이 되는 날로 정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폐기물관리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으로 틀린 것은?

  1. 생활폐기물 : 사업장페기물 외의 폐기물을 말한다.
  2. 폐기물감량화시설 :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양을 줄이고, 사업장 내 재활용을 통하여 폐기물 배출을 최소화하는 시설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을 말한다.
  3. 처분 : 폐기물의 소각 ‧ 중화 ‧ 파쇄 ‧ 고형화 등의 중간처분과 매립하는 등의 최종처분을 위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활동을 말한다.
  4. 폐기물 : 쓰레기, 연소재, 오니, 폐유, 폐산, 폐알칼리 및 동물의 사체 등으로서 사람의 생활이나 사업활동에 필요하지 아니하게 된 물질을 말한다.
(정답률: 47%)
  • 정답은 "생활폐기물 : 사업장페기물 외의 폐기물을 말한다."이다. 생활폐기물은 가정이나 일반 시설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말하며,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은 사업장폐기물로 분류된다.

    정답 설명:
    - 생활폐기물: 가정이나 일반 시설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말한다.
    - 폐기물감량화시설: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양을 줄이고, 사업장 내 재활용을 통하여 폐기물 배출을 최소화하는 시설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을 말한다.
    - 처분: 폐기물의 소각‧중화‧파쇄‧고형화 등의 중간처분과 매립하는 등의 최종처분을 위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활동을 말한다.
    - 폐기물: 쓰레기, 연소재, 오니, 폐유, 폐산, 폐알칼리 및 동물의 사체 등으로서 사람의 생활이나 사업활동에 필요하지 아니하게 된 물질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폐기물처리업 중 폐기물 수집 ‧ 운반업의 변경허가를 받아야 할 중요사항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수집 ‧ 운반대상 폐기물의 변경
  2. 영업구역의 변경
  3. 주차장 소재지의 변경(지정폐기물을 대상으로 하는 수집 ‧ 운반업만 해당한다.
  4. 운반차량(임시차량 포함) 증차
(정답률: 40%)
  • 운반차량(임시차량 포함) 증차는 폐기물 수집 및 운반업의 변경허가를 받아야 할 중요사항 중 하나이다. 이는 기존에 운영하던 차량의 수용능력이 한계에 다다르거나, 수집 대상 폐기물의 양이 증가하여 추가적인 차량이 필요한 경우에 해당된다. 이 경우에는 새로운 차량을 추가로 구입하거나, 임시차량을 사용하여 운반 업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변경허가를 받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기술관리인을 두어야 할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폐기물처리시설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단, 폐기물처리업자가 운영하는 폐기물처리 시설은 제외)

  1. 지정폐기물 외의 폐기물을 매립하는 시설로서 면접이 12000m2인 시설
  2. 멸균분쇄시설로서 시간당 처분능력이 150kg 인 시설
  3. 용해로로서 시간당 재활용능력이 300kg인 시설
  4. 사료화 ‧ 퇴비화 또는 연료화시설로서 1일 재활용능력이 10톤인 시설
(정답률: 3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환경부장관 또는 시 ‧ 도지사가 영업주역을 제한하는 조건을 붙일 수 있는 폐기물처리업 대상은?

  1. 생활폐기물 수집 ‧ 운반업
  2. 폐기물 재생 처리업
  3. 지정폐기물 처리업
  4. 사업장폐기물 처리업
(정답률: 51%)
  • 환경부장관 또는 시 ‧ 도지사가 영업주역을 제한하는 조건을 붙일 수 있는 폐기물처리업 대상은 생활폐기물 수집 ‧ 운반업입니다. 이는 일반 가정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을 수집하고 운반하는 업무를 말하며, 대부분 지자체에서 직접 운영하거나 위탁 운영하는 경우가 많아서 환경부장관 또는 시 ‧ 도지사가 조건을 붙일 수 있습니다. 다른 업종들은 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등의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규제가 필요한 경우가 있을 수 있지만, 생활폐기물 수집 ‧ 운반업은 지자체에서 직접 운영하거나 위탁 운영하는 경우가 많아서 규제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폐쇄 명령을 이행하지 아니한 자에 대한 벌칙 기준으로 맞는 것은?

  1. 1년 이하의 징역이나 1천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의 징역이나 2천만원 이하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천만원 이하의 벌금
  4. 5년 이하의 징역이나 5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42%)
  • 폐쇄 명령은 중요한 사회적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를 이행하지 않는 것은 심각한 범죄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벌칙도 높게 책정되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5년 이하의 징역이나 5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가장 높은 이유는, 폐쇄 명령을 이행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경제적 피해가 크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높은 벌칙이 부과되어, 이를 예방하고 법을 지키도록 유도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폐기물처리 담당자 등에 대한 교육의 대상자(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람)에 해당 되지 않은 자는?

  1.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 ‧ 운영자
  2. 사업장폐기물을 처리하는 사업자
  3. 폐기물처리 신고자
  4. 확인을 받아야 하는 지정폐기물을 배출하는 사업자
(정답률: 22%)
  • 사업장폐기물을 처리하는 사업자는 이미 폐기물 처리에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폐기물 처리에 대한 교육 대상자가 아니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들은 해당 법령에서 교육 대상자로 명시되지 않았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폐기물관리법을 적용하지 아니하는 물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용기에 들어 있지 아니한 고체상태의 물질
  2. 원자력안전법에 따른 방사성 물질과 이로 인하여 오염된 물질
  3. 하수도법에 따른 하수 ‧ 분뇨
  4. 물환경보전법에 따른 수질 오염 방지시설에 유입되거나 공공 수역으로 배출되는 폐수
(정답률: 57%)
  • "용기에 들어 있지 아니한 고체상태의 물질"은 폐기물관리법에 적용되는 물질이 아니라는 것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폐기물관리법은 모든 폐기물에 대해 적용되며, 고체상태의 물질도 예외는 아닙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옳지 않은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폐기물처리시설의 종류 중 기계적 재활용시설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압축 ‧ 압출 ‧ 성형 ‧ 주조시설(동력 7.5kW 이상인 시설로 한정한다.)
  2. 절단시설(동력 7.5kW 이상인 시설로 한정한다.)
  3. 융용 ‧ 용해시설(동력 7.5kW 이상인 시설로 한정한다.)
  4. 고형화 ‧ 고화시설(동력 15kW 이상인 시설로 한정한다.)
(정답률: 43%)
  • 기계적 재활용시설은 폐기물을 분쇄, 선별, 세척 등의 과정을 거쳐 재활용 가능한 원자재로 만드는 시설이다. 따라서 압축, 압출, 성형, 주조, 절단, 융용, 용해 등의 시설은 모두 기계적 재활용시설에 해당된다. 하지만 고형화 및 고화시설은 동력이 15kW 이상인 시설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기계적 재활용시설에 해당되지 않는다. 고형화 및 고화시설은 폐기물을 고형화시켜서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시설로, 기계적 재활용과는 다른 방식으로 폐기물을 처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지정폐기물이 아닌 것은?

  1. pH가 12.6인 폐알칼리
  2. 고체상태의 폐합성 고무
  3. 수분함량이 90%인 오니류
  4. PCB를 2mg/L이상 함유한 액상 폐기물
(정답률: 37%)
  • 고체상태의 폐합성 고무는 지정폐기물이 아닙니다. 이유는 폐합성 고무는 재활용이 가능하며, 환경오염의 위험이 적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주변지역 영향 조사대상 폐기물처리시설 기준으로 틀린 것은? (단, 폐기물처리업자가 설치 ‧ 운영하는 시설)

  1. 시멘트 소성로(폐기물을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로 한정한다.
  2. 매립면적 15만 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일반폐기물 매립시설
  3. 매립면적 3만 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지정폐기물 매립시설
  4. 1일 재활용능력이 50톤 이상인 사업장폐기물 소각열회수시설(같은 사업장에 여러 개의 소각열회수시설이 있는 경우에는 각 소각열회수시설의 1일 재활용틍력의 합계가 50톤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정답률: 40%)
  • 매립면적 3만 제곱미터 이상의 사업장 지정폐기물 매립시설이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 기준은 지정폐기물 매립시설의 최소 매립면적 기준입니다. 즉, 폐기물처리업자가 설치 ‧ 운영하는 지정폐기물 매립시설은 최소 3만 제곱미터 이상의 매립면적을 가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