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설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9-15)

건축설비산업기사
(2018-09-1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건축일반

1. 도서관 서고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서고의 채광과 통풍을 원활히 할 수 있는 넓은 창호가 되어야 한다.
  2. 개가식 서고 통로는 폐가식 서고 통로보다 커야 한다.
  3. 서고내의 온도는 15℃, 습도 63% 이하가 좋다.
  4. 서고의 층고는 열람실의 층고와 달리 별도 계획할 수도 있다.
(정답률: 76%)
  • "서고의 층고는 열람실의 층고와 달리 별도 계획할 수도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서고의 채광과 통풍을 원활히 할 수 있는 넓은 창호가 되어야 하는 이유는 책이나 문서 등이 습기와 먼지로부터 보호되기 위해서이다. 채광과 통풍이 원활하지 않으면 서고 내부가 습기와 먼지로 가득 차서 책이나 문서 등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넓은 창호를 설치하여 적절한 채광과 통풍을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환기횟수의 의미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한 시간 동안에 창문을 여닫는 횟수를 의미한다.
  2. 하루 동안에 공조기를 작동하는 횟수를 의미한다.
  3. 하루 동안의 환기량을 창의 면적으로 나눈 것을 의미한다.
  4. 한 시간 동안의 환기량을 실의 용적으로 나눈 것이다.
(정답률: 82%)
  • 환기횟수는 한 시간 동안의 실내 공기를 완전히 교체하는 횟수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한 시간 동안의 환기량을 실의 용적으로 나눈 것이 환기횟수를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음식점 건축의 서비스 형식에 따른 종류가 옳게 연결된 것은

  1. 테이블 서비스형(Table Service) - 드라이브인 레스토랑
  2. 카운터 서비스형(Counter Service) - 스낵바
  3. 셀프 서비스형(Self Service) - 중국요리 음식점
  4. 객실 서비스형(Room Service) - 푸드코트
(정답률: 82%)
  • 카운터 서비스형은 고객이 주문한 음식을 바로 받아가는 형태로, 스낵바는 이 형태의 음식점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카운터 서비스형(Counter Service) - 스낵바"가 옳게 연결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사무소건축의 코어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용부분을 한 곳에 집약시킴으로써 사무실의 유효면적이 증대된다.
  2. 설비시설을 집약시킬 수 있다.
  3. 편심 코어형은 바닥면적이 큰 경우에 적합하며, 2방향 피난에 이상적이다.
  4. 중심 코어형은 내부공간과 외관이 획일적으로 되기 쉽다.
(정답률: 78%)
  • 편심 코어형은 바닥면적이 큰 경우에 적합하며, 2방향 피난에 이상적이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편심 코어형은 중앙에 위치한 코어와 주변에 위치한 외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바닥면적이 큰 건물에 적합하다. 또한, 2방향으로 피난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어 안전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공동주택의 평면형식 중 편복도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각호의 통풍 및 채광이 양호하다.
  2. 공용복도에 있어서는 프라이버시가 침해되기 쉽다.
  3. 고층에서는 개방형 복도에 안정감을 갖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4. 계단실형에 비해 통행부 면적이 작아서 건물의 이용도가 높다.
(정답률: 76%)
  • 편복도형은 공용복도가 없이 각 세대의 현관문이 바로 연결되는 형태이므로, 공용복도에 대한 언급은 옳지 않다. 이용도가 높다는 이유는 통행부 면적이 작아서 유닛 면적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치수조정(Modular coordination : MC)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설계작업을 단순화할 수 있다.
  2. 대량생산에 의한 생산비용을 낮출 수 있다.
  3. 현장작업이 단순하므로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다.
  4. 다양한 형태의 건축물 생산이 가능하다.
(정답률: 84%)
  • 치수조정은 건축물의 부품들이 일정한 크기와 간격으로 조정되어 설계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건축물 생산이 가능하다."는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상점의 부지 선정 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람의 통행이 많고 번화한 곳
  2. 부지가 불규칙적이지 않은 곳
  3. 2면 이상 도로에 면하지 않은 곳
  4. 보행자의 눈에 잘 띄는 곳
(정답률: 89%)
  • 2면 이상 도로에 면하지 않은 곳은 상점의 접근성과 시설물의 편의성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에 고려하지 않는 것이 옳지 않다. 이는 주변 도로의 교통량과 연결성을 고려하여 부지를 선정해야 함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사무소 건축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엘리베이터 홀이 출입구면에 근접해 있지 않도록 한다.
  2. 최상층은 기준층의 층고보다 낮게 계획한다.
  3. 코어는 각 층마다 공통의 위치로 계획한다.
  4. 엘리베이터는 규모가 큰 건물의 경우에도 되도록 1개소에 집중해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59%)
  • "최상층은 기준층의 층고보다 낮게 계획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최상층은 일반적으로 전망이 좋고 더 높은 가치를 가지기 때문에 기준층보다 높게 계획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건축물에 설치하는 루버장치의 주된 역할로 옳은 것은?

  1. 외관상의 변화를 준다.
  2. 자연환기를 돕는다.
  3. 태양광선의 직사를 피한다.
  4. 비와 눈을 막아준다.
(정답률: 72%)
  • 루버장치는 건축물의 외관을 변화시키는 역할도 있지만, 주된 역할은 태양광선의 직사를 피해 건물 내부의 온도 상승을 막고,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도서관 내부의 서고 채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서고 조명은 서가 표면 통로를 균등하게 조명한다.
  2. 서고 통로는 충분하게 조명하며 눈이 부시지 않게 한다.
  3. 서고 조명기구는 파손이 적고 취급이 용이한 기구를 사용한다.
  4. 서고 내부는 자연 채광으로 하는 편이 좋다.
(정답률: 86%)
  • "서고 내부는 자연 채광으로 하는 편이 좋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자연 채광은 인공 조명보다 눈에 부담이 적고, 책의 보존에도 더 좋기 때문이다. 또한, 자연 채광은 에너지 절약에도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두께 20mm의 마루널을 장선위에 깔 때 사용하는 못의 길이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10~20mm
  2. 20~30mm
  3. 50~60mm
  4. 70~80mm
(정답률: 67%)
  • 마루널의 두께가 20mm이므로, 못이 장선을 꽂아 고정하는 깊이는 최소 20mm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50~60mm 길이의 못이 가장 적당합니다. 10~20mm, 20~30mm 길이의 못은 마루널을 고정하기에 너무 짧고, 70~80mm 길이의 못은 너무 깊게 꽂혀서 장선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창호에 사용하는 철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미닫이문에는 도어 체크(door check)를 단다.
  2. 여닫이문에는 도어 스톱(door stop)을 단다.
  3. 미서기창에는 크레센트(crescent)를 사용한다.
  4. 자재문에는 플로어 힌지(floor hinge)를 사용한다.
(정답률: 64%)
  • 미서기창에는 크레센트(crescent)를 사용하는 것이 옳지 않다.

    미닫이문에는 도어 체크를 단다는 이유는 문이 갑자기 닫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문이 천천히 닫히도록 조절하는 장치를 설치하기 때문이다. 여닫이문에는 도어 스톱을 단다는 이유도 비슷하다. 자재문에는 플로어 힌지를 사용하는 것도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병원 건축형식 중 집중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층집약적인 형태이다.
  2. 일조, 통풍, 등의 조건이 불리해진다.
  3. 분관식에 비하여 보행거리가 길다.
  4. 관리가 편리하고 설비 등의 시설비가 적게 소요된다.
(정답률: 75%)
  • "분관식에 비하여 보행거리가 길다."라는 설명은 옳지 않다. 이유는 집중식 건축형식은 분관식보다 보행거리가 짧은 것이 특징이다. 이는 환자와 의료진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아파트의 단면형식 중 복층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택내의 공간의 변화가 있다.
  2. 복도가 없는 층은 피난상 불리하다.
  3. 소규모 주택에 경제적으로 유리하여 활용도가 높다.
  4. 엘리베이터의 정지층수가 적어지므로 운행면에서 경제적이다.
(정답률: 69%)
  • "복층형은 소규모 주택에 경제적으로 유리하여 활용도가 높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복층형은 주택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건축 면적이 작은 소규모 주택에서는 복층형이 공간 활용 면에서 유리하다. 따라서, 복층형은 경제적이며 활용도가 높은 주택 형태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철골조에서 기동과 기둥의 접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로 볼트로 접합을 하며 볼트는 일반볼트를 사용한다.
  2. 윗기둥과 아랫기둥의 크기가 서로 다를 때에는 보통 끼움판을 설치하고 접합한다.
  3. 용접 접합시 완전 용입을 위하여 철골의 단면에 각도를 주어 절단한다.
  4. 슬래브 상단 1~1.5m 정도에서 이음을 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76%)
  • "주로 볼트로 접합을 하며 볼트는 일반볼트를 사용한다."가 옳지 않은 것은, 일반볼트 대신 고장력 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는 사실 때문이다. 고장력 볼트는 일반볼트보다 더 강력하고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철골조에서 기동과 기둥의 접합에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실내의 표면 결로 방지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벽체를 내단열로 시공한다.
  2. 벽체 내부에 방습층을 설치한다.
  3. 벽체표면을 환기시킨다.
  4. 실내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정답률: 70%)
  • "실내의 온도를 상승시킨다."는 옳지 않은 방법입니다. 온도가 높아지면 습도가 상승하여 결로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벽체를 내단열로 시공한다."는 옳은 방법입니다. 내단열로 시공하면 실내와 외부의 온도차이로 인한 습기가 벽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광도 1200cd인 전등으로부터 2m 떨어진 면에서 조도를 측정하였더니 300lx이었다. 이 면을 전등으로부터 4m 떨어진 곳에 놓으면 그 면에서의 조도는?

  1. 100lx
  2. 75lx
  3. 50lx
  4. 25lx
(정답률: 72%)
  • 조도는 광도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 따라서 거리가 2배가 되면 조도는 1/4이 된다. 즉, 300lx에서 4m로 이동하면 조도는 75lx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75lx"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병원설립을 위한 기본계획 시 검토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지선정을 위해서는 병원이 건립될 지역, 면적 등이 함께 검토되어야 한다.
  2. 병원의 시설계획상 주요구성 부분의 동선이 교차되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3. 병원의 규모는 병상규모, 입원환자의 배분율의 추정을 통하여 산정한다.
  4. 장래의 확장, 변경 등을 고려하여 계획되어야 한다.
(정답률: 81%)
  • "병원의 시설계획상 주요구성 부분의 동선이 교차되도록 계획되어야 한다."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병원 시설 계획에서 동선은 교차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이는 환자와 의료진의 원활한 이동과 감염 예방을 위해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철근의 정착 위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둥 철근은 큰보 또는 슬래브에 정착한다.
  2. 벽 철근은 보 또는 슬래브에 정착한다.
  3. 슬래브 철근은 보 또는 벽체에 정착한다.
  4. 지중보 철근은 기초 또는 기둥에 정착한다.
(정답률: 52%)
  • "기둥 철근은 큰보 또는 슬래브에 정착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기둥 철근은 기초에 정착한다. 기둥은 건물의 중심축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기둥 철근은 기초에 고정되어야 하며, 큰보나 슬래브에 정착하는 것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습도의 표시 중 공기의 습한 정도의 상태를 말하는 상대습도를 나타내는 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65%)
  • 정답은 ""입니다. 상대습도는 공기가 포화 상태가 아닐 때, 현재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의 양과 포화 상태에서의 수증기 양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입니다. 따라서 상대습도는 공기의 습한 정도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절대습도, 이슬점, 수증기압 등 다른 습도의 표시 방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위생설비

21. 연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식성이 작다.
  2. 가공이 용이하다.
  3. 전성, 연성이 풍부하다.
  4. 건조한 공기 중에서는 침식되지 않는다.
(정답률: 71%)
  • "내식성이 작다"는 연관에 관한 설명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다. 연관은 다른 물질과의 화학적 상호작용에 따라 변화하는 성질을 말하는데, "내식성이 작다"는 이와 관련이 없는 성질이다. 따라서 정답은 "내식성이 작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가스계량기의 설치위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기계량기와 60cm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
  2. 전기계폐기와 60cm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
  3. 전기접속기와 15cm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
  4. 절연조치를 하지 않은 전선과 15cm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한다.
(정답률: 66%)
  • 전기접속기와 가스계량기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기 때문에, 가스계량기와 전기접속기는 최소한 15cm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합니다. 이유는 전기접속기에서 발생하는 전자기장이 가스계량기의 측정값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스계량기를 설치할 때에는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를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대규모 건물에서 간접가열식 중앙식 급탕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직접가열식에 비해 열효율이 높다.
  2. 가열보일러는 난방보일러와 겸용할 수 있다.
  3. 직접가열식에 비해 구조가 약간 복잡해진다.
  4. 고온의 탕을 얻기 위해서는 증기 또는 고온수 보일러를 사용한다.
(정답률: 73%)
  • "직접가열식에 비해 열효율이 높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간접가열식 중앙식 급탕방식은 물을 보일러에서 가열한 후, 열교환기를 통해 물을 가열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열손실이 적어 직접가열식에 비해 열효율이 높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유류화재에 대한 소화기의 적응 화재별 표시로 옳은 것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80%)
  • A. 가스화재: ABC 소화기
    B. 유류화재: BC 소화기
    C. 전기화재: CO2 소화기
    D. 나트륨화재: D 소화기

    정답은 B입니다. 유류화재는 B, C 클래스 화재로 분류되며, B 클래스 화재는 알코올, 유류, 기름 등이 연소하는 화재를 말합니다. 이러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서는 BC 소화기가 적합합니다. BC 소화기는 BC 클래스 화재에 사용되며, BC 소화제는 유류와 같은 인화성 액체를 진압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유류화재에 대한 소화기의 적응 화재별 표시는 BC 소화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대변기의 세정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로 탱크식은 연속사용이 가능하다.
  2. 하이 탱크식과 로 탱크식은 급수압이 낮아도 사용이 가능하다.
  3. 플러시 밸브식은 급수관경에 제한이 없어 일반 가정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4. 로 탱크식은 하이 탱크식에 비해 세정소음이 크나, 화장실 면적을 넓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정답률: 56%)
  • 하이 탱크식과 로 탱크식은 탱크에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세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급수압이 낮아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는 플러시 밸브식과는 다른 장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오수정화시설에서 유량조정조를 설치하는 이유와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처리기능을 안정화할 수 있기 때문에
  2. 건물 내 오수량의 시간별 차이가 크기 때문에
  3. 후속 처리공정의 용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4. 유입되는 오수의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정답률: 77%)
  • 오수정화시설에서 유량조정조를 설치하는 이유는 "건물 내 오수량의 시간별 차이가 크기 때문에"입니다. 유량조정조는 오수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처리기능을 안정화시키기 때문에 후속 처리공정의 용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유입되는 오수의 찌꺼기를 제거하는 것은 오수처리의 전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유량조정조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내경 500mm, 길이 50m인 주철관에 1.7m/s의 유속으로 물이 흐를 때 마찰손실수두는? (단, 마찰계수 λ = 0.03이다.)

  1. 0.44m
  2. 0.52m
  3. 0.78m
  4. 0.97m
(정답률: 41%)
  • 마찰손실수두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Δh = λ × (L/D) × (V^2/2g)

    여기서, L은 주철관의 길이, D는 내경, V는 유속, g는 중력가속도, λ은 마찰계수이다.

    따라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Δh = 0.03 × (50/0.5) × (1.7^2/2×9.81) ≈ 0.44m

    따라서, 정답은 "0.44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옥내소화전설비에서 압력수조를 이용한 가압송수장치의 경우, 압력수조의 압력은 다음의 어느식에 의하여 산출한 수치 이상으로 하여아 하는가? (단, P: 필요한 압력, P1: 소방용호스의 마찰손실 수두압, P2: 배관의 마찰손실 수두압, P3: 낙차의 환산 수두압, 단위는 MPa)

  1. P = P1 + P2 + P3 + 0.17
  2. P = P1 + P2 + P3 - 0.17
  3. P = P1 + P2 - P3 + 0.17
  4. P = P1 + P2 - P3 - 0.17
(정답률: 74%)
  • 압력수조를 이용한 가압송수장치에서는 소방용호스의 마찰손실 수두압, 배관의 마찰손실 수두압, 낙차의 환산 수두압을 고려해야 한다. 이때, 압력수조의 압력은 이러한 손실압력을 보상하기 위해 산출한 수치 이상으로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압력수조의 압력은 필요한 압력(P)에 소방용호스의 마찰손실 수두압(P1), 배관의 마찰손실 수두압(P2), 낙차의 환산 수두압(P3)을 더한 값에 0.17 MPa를 더한 값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P = P1 + P2 + P3 + 0.1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과 같이 정의되는 통기관의 종류는?

  1. 각개통기관
  2. 회로통기관
  3. 신정통기관
  4. 결합통기관
(정답률: 61%)
  • 주어진 그림은 회로통기관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회로통기관은 여러 개의 미세한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구조물들이 서로 연결되어 회로를 형성합니다. 따라서 회로통기관은 전자기기에서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각개통기관, 신정통기관, 결합통기관은 회로통기관과는 다른 종류의 통기관으로, 각각의 구조와 기능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급수설비의 조닝방식 중 중간수조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정밀한 조닝이 용이하다.
  2. 중간수조실 및 양수펌프가 필요없다.
  3. 수압이 일정하지 않고 변화가 심하다.
  4. 감압밸브 방식에 비해 에너지 절약을 꾀할 수 있다.
(정답률: 51%)
  • 중간수조방식은 수압이 일정하지 않고 변화가 심한 감압밸브 방식과 달리, 중간에 수조를 두어 일정한 수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에너지 절약을 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밀한 조정이 가능하므로 더욱 효율적인 급수가 가능합니다. 중간수조실 및 양수펌프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도 감소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배수관 계통에서 통기관을 설치하는 목적은?

  1. 배관의 결로방지를 위하여
  2. 트랩의 봉수를 보호하기 위하여
  3. 배관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하여
  4. 배관 내의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답률: 78%)
  • 트랩은 배수관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여 냄새나 곤충 등이 들어오는 것을 막는 장치입니다. 하지만 통기관이 없으면 배수관에서 공기가 흐르지 못해 트랩의 봉수가 깨어져 냄새가 나거나 곤충 등이 들어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통기관을 설치하여 트랩의 봉수를 보호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간접가열식 급탕설비에서 트랩을 설치하는 가장 주된 이유는?

  1. 신축을 흡수하기 위하여
  2. 급탕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3. 저탕조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4. 응축수를 보일러로 환수하기 위하여
(정답률: 67%)
  • 트랩은 급탕설비에서 발생하는 증기나 고온의 물이 흐르는 파이프에서 응축수를 분리하여 보일러로 환수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이를 통해 물의 재활용이 가능하며, 에너지 절약에도 기여합니다. 따라서 "응축수를 보일러로 환수하기 위하여"가 가장 주된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펌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마찰펌프는 소용량에 비해 높은 양정을 얻을 수 있다.
  2. 원심식 펌프에는 피스톤 펌프, 다이아프램 펌프 등이 있다.
  3. 급수설비에서 급수 및 양수 펌프로는 주로 원심식 펌프가 사용된다.
  4. 볼류트 펌프는 와권 케이싱과 회전차로 구성되며, 디퓨저 펌프는 회전차 주위에 디퓨저인 안내 날개를 가지고 있다.
(정답률: 63%)
  • 원심식 펌프에는 피스톤 펌프가 포함되지 않습니다. 피스톤 펌프는 양동이나 실린더 내부의 피스톤을 움직여 액체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원심식 펌프에는 피스톤 펌프, 다이아프램 펌프 등이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의 급수방식 중 수질오염 가능성이 가장 큰 것은?

  1. 수도직결방식
  2. 압력탱크방식
  3. 고가탱크방식
  4. 펌프직송방식
(정답률: 78%)
  • 고가탱크방식은 탱크가 높은 위치에 위치하여 수압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탱크 내부에 오염물질이 쌓일 경우 탱크 내부 청소가 어렵고 오염된 물이 수도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 수질오염 가능성이 가장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배관을 통해 고가수조에 매시 25.2m3의 물을 유속 1.5m/s로 양수하려고 할 경우, 필요한 배관의 내경은?

  1. 약 65mm
  2. 약 70mm
  3. 약 77mm
  4. 약 81mm
(정답률: 55%)
  • 유속과 유량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습니다.

    유속 = 유량 ÷ 단면적

    따라서 유량과 유속을 알고 있으면 단면적을 구할 수 있습니다.

    유량 = 매시 25.2m3/h = 25.2 ÷ 3600 m3/s

    유속 = 1.5 m/s

    단면적 = 유량 ÷ 유속 = (25.2 ÷ 3600) ÷ 1.5 = 0.0044 m2

    내경과 단면적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습니다.

    단면적 = π × (내경/2)2

    따라서 내경을 구할 수 있습니다.

    내경/2 = √(단면적/π) = √(0.0044/π) = 0.037

    내경 = 2 × 0.037 = 0.074 m = 74 mm

    하지만 실제로는 배관 내부의 마찰 등으로 인해 유속이 감소하므로 여유를 두기 위해 내경을 약간 크게 선택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약 77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급탕 인원수 150명인 아파트의 1일당 최대 예상급탕량은? (단, 1일 1인당 급탕량은 140L/c/d 이다.)

  1. 17800L/d
  2. 21000L/d
  3. 24000L/d
  4. 16800L/d
(정답률: 74%)
  • 급탕 인원수가 150명이고, 1인당 1일 급탕량이 140L/c/d 이므로, 150명의 1일 급탕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50명 × 140L/c/d = 21,000L/d

    따라서, 이 아파트의 1일 최대 예상급탕량은 21,000L/d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배수관 관경결정에 이용되는 기구배수부하 단위의 기준이 되는 기구는?

  1. 욕조
  2. 소변기
  3. 세면기
  4. 대변기
(정답률: 84%)
  • 배수관 관경 결정에 이용되는 기구 배수부하 단위의 기준은 해당 기구에서 발생하는 하수의 양과 속도입니다. 세면기는 일반적으로 소변기나 대변기보다 적은 양의 물을 사용하며, 물의 속도도 느리기 때문에 배수관 관경 결정에 적합한 기준이 됩니다. 따라서 세면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양수펌프에서 흡수면으로부터 토출수면까지 물이 올라가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실양정
  2. 전양정
  3. 압력수두
  4. 속도수두
(정답률: 64%)
  • 양수펌프에서 흡수면으로부터 토출수면까지 물이 올라가는데 필요한 에너지는 "전양정"이라고 한다. 이는 펌프 내부에서 물의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차로 인해 물이 상승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의미한다. 따라서 전양정은 양수펌프의 성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각종 밸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볼밸브 : 콕의 일종으로 구조가 간단하나 밸브를 완전히 열고 사용할 때 저항손실이 크다.
  2. 체크밸브 : 역류방지밸브로서 스윙형은 저항손실이 적고 수평, 수직배관에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3. 슬루스밸브 : 밸브를 일부만 열고 사용하여도 유체의 저항손실이 작기 때문에 유량조절용에 적합하다.
  4. 글로브밸브 : 밸브를 완전히 열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체저항손실이 없으나 일부만 열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저항손실이 크다.
(정답률: 67%)
  • 체크밸브는 역류방지를 위한 밸브로, 스윙형은 저항손실이 적고 수평, 수직배관에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이는 스윙형 체크밸브가 유체의 흐름 방향에 따라 밸브가 열리고 닫히기 때문에 저항손실이 적고, 설치 방향에 제약이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최대강우량 60mm/h의 지역에 있는 수평투영면적 1200m2의 건물에 4개의 우수배수수직관을 설치할 경우 알맞은 관경은?

  1. 50mm
  2. 65mm
  3. 75mm
  4. 100mm
(정답률: 63%)
  • 최대강우량 60mm/h는 1시간 동안 60mm의 비가 내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분 동안의 비가 내리는 양은 1mm입니다.

    수평투영면적 1200m2의 건물에 4개의 우수배수수직관을 설치한다는 것은, 건물의 지붕면적을 4등분하여 각각의 부분을 하나의 우수배수수직관으로 배출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각 우수배수수직관이 처리해야 할 비의 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1분 동안의 비가 내리는 양 = 1mm

    건물의 지붕면적 = 1200m2

    한 우수배수수직관이 처리해야 할 지붕면적 = 1200m2 / 4 = 300m2

    한 우수배수수직관이 처리해야 할 1분 동안의 비의 양 = 300m2 × 1mm = 300mm3/min

    따라서, 1시간 동안 한 우수배수수직관이 처리해야 할 비의 양은 300mm3/min × 60min = 18000mm3/h 입니다.

    알맞은 관경을 구하기 위해서는, 한 우수배수수직관이 처리할 수 있는 최대 강우량을 알아야 합니다.

    우수배수수직관의 최대 강우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최대 강우량 = (관경)2 × 0.785 × 3600 / (60 × 1000)

    여기서, 0.785는 원주율의 근사값이며, 3600은 1시간을 초로 환산한 값입니다.

    이를 식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관경)2 = 최대 강우량 × (60 × 1000) / (0.785 × 3600)

    (관경)2 = 최대 강우량 × 52.91

    따라서, 한 우수배수수직관이 처리할 수 있는 최대 강우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최대 강우량 = 18000mm3/h

    (관경)2 = 18000 × 52.91

    (관경)2 = 953580

    관경 = √953580 ≈ 75mm

    따라서, 알맞은 관경은 "75m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공기조화설비

41. 덕트에 사용되는 스플릿 댐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주덕트의 압력강하가 적다.
  2. 정밀한 풍량조절이 용이하다.
  3. 누설이 많아 폐쇄용으로 사용이 곤란하다.
  4. 분기부에 설치하여 풍량조절용으로 사용된다.
(정답률: 56%)
  • "누설이 많아 폐쇄용으로 사용이 곤란하다."는 스플릿 댐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습니다.

    정밀한 풍량조절이 용이한 이유는 스플릿 댐퍼가 누설이 적고, 분기부에 설치하여 풍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정확한 공기의 양을 제어할 수 있어, 공조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건구온도 25℃의 공기 1000m3를 32℃로 가열하기 위해 필요한 열량은? (단, 공기의 비열은 1.01kJ/kg·K이고, 공기의 밀도는 1.2kg/m3이다.)

  1. 7070kJ
  2. 8484kJ
  3. 9642kJ
  4. 9854kJ
(정답률: 57%)
  • 공기의 열용량은 밀도와 비열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공기의 열용량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필요한 열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공기의 열용량 = 밀도 × 부피 × 비열 = 1.2kg/m³ × 1000m³ × 1.01kJ/kg·K = 1212kJ/K

    따라서, 공기를 7℃ 가열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열량 = 공기의 열용량 × 온도 변화량 = 1212kJ/K × (32℃ - 25℃) = 8484kJ

    따라서, 정답은 "8484kJ"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진공환수시 방열기보다 높은 곳에 환수횡주관을 배관하거나, 환수주관보다 높은 위치에 진공 펌프를 설치하는 경우 환수관의 응축수를 끌어올리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

  1. 팽창관
  2. 증발탱크
  3. 리프트 이음
  4. 응축수 트랩
(정답률: 68%)
  • 리프트 이음은 환수관에서 응축수를 끌어올리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입니다. 환수시스템에서 환수주관보다 높은 위치에 진공 펌프를 설치하거나 환수횡주관을 배관하는 경우, 응축수가 환수관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집니다. 이때 리프트 이음을 사용하면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과 같은 [조건]에 있는 사무실의 환기에 의한 손실 열량(현열)은?

  1. 842.01W
  2. 1075.78W
  3. 1237.25W
  4. 4274.03W
(정답률: 45%)
  • 환기에 의한 손실 열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환기에 의한 손실 열량 = (실내온도 - 실외온도) × 환기량 × 공기의 비열

    여기서, 실내온도는 25℃, 실외온도는 10℃, 환기량은 0.5m³/s, 공기의 비열은 1.005kJ/(kg·℃) 입니다.

    따라서, 환기에 의한 손실 열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환기에 의한 손실 열량 = (25℃ - 10℃) × 0.5m³/s × 1.005kJ/(kg·℃) = 1237.25W

    따라서, 정답은 "1237.25W"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취출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팬(pan)형은 유인비 및 소음발생이 적다.
  2. 아네모스탯형은 1차공기에 의한 2차공기의 유인성능이 좋다.
  3. 노즐형은 소음이 크기 때문에 취출풍속을 5m/s 이하로 하여 사용된다.
  4. 브리즈 라인형은 선의 개념을 통하여 인테리어 디자인에서 미적인 감각을 살릴 수 있다.
(정답률: 60%)
  • "노즐형은 소음이 크기 때문에 취출풍속을 5m/s 이하로 하여 사용된다." 이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아니다.

    노즐형은 다른 취출구에 비해 소음이 크기 때문에 취출풍속을 낮추어 사용하는 것이 좋다. 취출풍속이 높을수록 소음이 커지기 때문에, 취출풍속을 5m/s 이하로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면 소음을 줄이면서도 충분한 환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중앙공기조화방식 중 전공기 방식의 일반적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덕트 스페이스가 필요 없다.
  2. 중간기에 외기냉방이 가능하다.
  3. 실내에 배관으로 인한 누수의 우려가 없다.
  4. 외기도입이 가능하여 실내 공기의 오염이 적다.
(정답률: 57%)
  • "덕트 스페이스가 필요 없다."가 옳지 않은 것은 전공기 방식에서도 덕트 스페이스가 필요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전공기 방식은 실내에 공기를 순환시키는 방식으로, 덕트 스페이스가 필요 없다는 것은 일반적인 특징이 아닙니다. 덕트 스페이스가 필요 없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전공기 방식이 아닌 다른 공기조화 방식에서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화장실, 부엌 및 욕실 등과 같이 부압을 유지해야 하는 공간에 주로 적용되는 환기 방식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제1종 환기
  2. 제2종 환기
  3. 제3종 환기
  4. 자연환기
(정답률: 72%)
  • 제3종 환기는 부압을 유지해야 하는 공간에 적용되는 환기 방식으로, 화장실, 부엌, 욕실 등에서 사용됩니다. 이 방식은 실내에 공기를 공급하고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부압을 유지하며, 환기량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환기구와 배기구를 설치하여 공기의 유동을 유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에너지절감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전열교환기는 어떤 열을 회수하는 장치인가?

  1. 복사열
  2. 대류열
  3. 엔탈피
  4. 엔트로피
(정답률: 54%)
  • 전열교환기는 실내와 실외의 공기를 교환하면서 열을 회수하는 장치입니다. 이때 전열교환기는 엔탈피를 회수합니다. 엔탈피는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모두 고려한 열의 양을 나타내는 값으로, 공기의 열과 수증기를 함께 회수하여 에너지 절감을 이루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전열교환기는 엔탈피를 회수하여 에너지 절감을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온수난방의 부속기기로 사용되는 팽창탱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장치내의 온도변화에 따른 물의 체적변화를 흡수한다.
  2. 팽창된 물의 배출을 방지하여 장치의 열손실을 방지한다.
  3. 밀폐식 팽창탱크는 장치내의 주된 공기배출구로 이용되며, 온수보일러의 도피관으로도 사용된다.
  4. 장치의 휴지 중에도 배관계를 일정압력 이상으로 유지하여, 물의 누수 등으로 발생하는 공기의 침입을 방지한다.
(정답률: 53%)
  • "밀폐식 팽창탱크는 장치내의 주된 공기배출구로 이용되며, 온수보일러의 도피관으로도 사용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팽창탱크는 주로 물의 체적변화를 흡수하여 장치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팽창된 물의 배출을 방지하여 열손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팽창탱크가 공기배출구로 사용되는 경우는 있지만, 이는 보조적인 역할에 불과하며, 온수보일러의 도피관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습공기를 현열만으로 가열할 경우 감소되는 것은?

  1. 엔탈피
  2. 건구온도
  3. 습구온도
  4. 상대습도
(정답률: 54%)
  • 습공기를 현열만으로 가열할 경우, 공기의 온도는 증가하지만 상대습도는 감소합니다. 이는 공기 내의 수증기가 일정한 상태에서 공기의 온도가 증가하면 상대습도가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상대습도가 감소하는 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송풍기의 특성 곡선에 나타나지 않는 것은?

  1. 전압
  2. 효율
  3. 풍속
  4. 축동력
(정답률: 50%)
  • 송풍기의 특성 곡선은 전압, 효율, 축동력과 같은 송풍기의 성능과 관련된 요소들을 나타내지만, 풍속은 송풍기의 특성 곡선에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풍속은 송풍기의 설치 위치, 환기구의 크기 및 형태, 환기구와 송풍기 사이의 거리 등과 같은 외부 요인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송풍기의 특성 곡선으로는 풍속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덕트의 아스팩트비(aspect ratio)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장방형덕트에서 면적과 장변의 비율
  2. 장병형덕트에서 장변과 단변의 비율
  3. 원형덕트에서 단면적과 직경의 비율
  4. 원형덕트에서 풍량과 단면적의 비율
(정답률: 72%)
  • 덕트의 아스팩트비(aspect ratio)는 덕트의 형태를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로, 장병형덕트에서 장변과 단변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즉, 덕트의 긴 변과 짧은 변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 비율은 덕트의 효율성과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구조체의 열용량이 클 경우 발생하는 현상과 거리가 먼 것은?

  1. 결로 방지
  2. 시간지연효과
  3. peak load의 감소
  4. 실내온열환경 안정화
(정답률: 46%)
  • 구조체의 열용량이 클 경우 발생하는 현상은 "실내온열환경 안정화"와 "peak load의 감소"이다. 이는 구조체가 열을 흡수하고 방출하는 능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실내 온도가 안정화되고, 에어컨 등의 peak load가 감소하여 전력 사용량이 줄어들게 된다. 반면 "결로 방지"와 "시간지연효과"는 구조체의 열용량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결로 방지"는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응축되어 생기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이고, "시간지연효과"는 구조체의 열전도율이 낮아져 열이 느리게 전달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증기 발생기라고도 불리우며 수관으로 되어 있으나 드럼이 없고 증기발생이 빠르므로 간단히 고압의 증기를 얻으려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보일러는?

  1. 관류 보일러
  2. 연관 보일러
  3. 수관 보일러
  4. 주철제 보일러
(정답률: 55%)
  • 관류 보일러는 드럼이 없고 증기 발생이 빠르므로 간단하게 고압의 증기를 얻을 수 있는 보일러이다. 이는 수관으로 되어 있으며 증기와 물이 함께 유동하면서 열을 교환하면서 증기를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따라서 간단하고 경제적인 보일러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공기조화부하 계산에 사용되는 유리의 차폐계수가 가장 큰 것은? (단, 내부 블라인드가 없는 경우)

  1. 두께 3mm 보통유리
  2. 두께 3mm 흡열유리
  3. 두께 5mm 보통유리
  4. 두께 5mm 흡열유리
(정답률: 60%)
  • 두께가 증가할수록 유리의 차폐계수는 감소하므로, 두께가 작은 보통유리가 차폐계수가 가장 큽니다. 따라서 "두께 3mm 보통유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보일러의 실제 증발량이 2000kg/h이고, 발생증기의 엔탈피는 2768.8kJ/kg, 보일러에 보급되는 급수의 엔탈피는 335.2kJ/kg이다. 이 보일러의 환산증발량(상당증발량)은? (단, 100℃에서 물의 증발잠열은 2257kJ/kg이다.)

  1. 약 1000kg/h
  2. 약 1078kg/h
  3. 약 1124kg/h
  4. 약 2156kg/h
(정답률: 31%)
  • 환산증발량(상당증발량)은 보일러에서 발생한 증발량과 보급된 급수의 엔탈피 차이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즉, 환산증발량 = 실제 증발량 × (발생증기의 엔탈피 - 보급된 급수의 엔탈피) ÷ 물의 증발잠열

    환산증발량 = 2000kg/h × (2768.8kJ/kg - 335.2kJ/kg) ÷ 2257kJ/kg

    환산증발량 = 약 2156kg/h

    따라서, 정답은 "약 2156kg/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의 냉동기 중 소음 진동이 가장 적은 것은?

  1. 흡수식
  2. 터보식
  3. 왕복동식
  4. 스크류식
(정답률: 77%)
  • 정답은 "흡수식"입니다.

    흡수식 냉동기는 소음 진동이 적은 이유는, 냉매 순환 시에 압축기가 없기 때문입니다. 대신, 열교환기와 흡수기, 발생기, 생성기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이 없어지기 때문에 소음 진동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길이 20m인 배관 내로 증기가 간헐적으로 흐르고 있다. 증기가 통과할 때의 관온도가 100℃, 흐르지 않고 있을 때의 관온도가 20℃라고 하면, 증기가 통과할 때 늘어나는 관길이는? (단, 배관재료의 선팽창계수는 1.2×10-5/℃이다.)

  1. 19.2mm
  2. 25.2mm
  3. 29.4mm
  4. 38.4mm
(정답률: 42%)
  • 증기가 통과할 때와 흐르지 않을 때의 관온도 차이는 80℃이다. 이때, 배관재료의 선팽창계수가 1.2×10-5/℃이므로, 1℃당 1.2×10-5×20m=0.00024m=0.24mm만큼 늘어난다. 따라서, 80℃에 해당하는 늘어난 길이는 0.24mm×80=19.2mm이다. 따라서 정답은 "19.2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몰리에르 선도상에서 히트펌프의 난방시 성적계수를 산정하는 식은?

(정답률: 53%)
  • 몰리에르 선도상에서 히트펌프의 난방시 성적계수는 COP (Coefficient of Performance)으로 표현된다. COP는 출력열량(Q)을 소비전력(W)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COP = Q/W 이다. 이때, 입력전력(W)은 출력열량(Q)과 열효율(ε)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입력전력(W) = Q/ε 이므로, COP = Q/(Q/ε) = ε 이다. 따라서, COP는 열효율과 같으며, 성적계수는 열효율과 같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증기난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온수난방에 비해 열용량이 크다.
  2. 한랭지에서 동결의 우려가 적다.
  3. 방열면적을 온수난방보다 작게 할 수 있다.
  4. 증발잠열을 이용하기 때문에 열의 운반능력이 크다.
(정답률: 45%)
  • "온수난방에 비해 열용량이 크다."는 옳은 설명이다. 증기난방은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만들고, 이 증기를 이용하여 열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이 때, 증기는 물에 비해 열용량이 크기 때문에 더 많은 열을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온수난방보다 더 많은 열을 전달할 수 있으며, 방열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가 높아진다. 또한, 증발잠열을 이용하기 때문에 한랭지에서 동결의 우려가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축설비관계법규

61. 숙박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방송 공동 수신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건축물의 바닥면적 기준은?

  1.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m2 이상인 건축물
  2. 바닥면적의 합계가 2000m2 이상인 건축물
  3.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0m2 이상인 건축물
  4.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0m2 이상인 건축물
(정답률: 55%)
  • 방송 공동 수신설비는 대규모 건축물에서 필요한 시설이므로, 그에 맞게 큰 규모의 건축물에서 설치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0m2 이상인 건축물에서 방송 공동 수신설비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이보다 작은 규모의 건축물을 나타내므로, 방송 공동 수신설비를 설치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소화기구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연면적 기준은?

  1. 10m2이상
  2. 25m2이상
  3. 33m2이상
  4. 45m2이상
(정답률: 63%)
  •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연면적이 33m2 이상인 건물은 화재 발생 시 대처하기 어렵기 때문에 소화기구를 설치하여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 기준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33m2 이상의 특정소방대상물에는 소화기구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은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 따른 에너지 성능지표의 판정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 ) 안에 알맞은 것은?

  1. 65점
  2. 72점
  3. 84점
  4. 90점
(정답률: 73%)
  •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 따라,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지표는 전기, 냉난방, 조명, 태양광 등의 에너지 사용량을 기준으로 산출된다. 이에 따라, 위 그림에서 보이는 건축물의 에너지 성능지표는 65점으로 판정되었다. 이는 해당 건축물이 에너지 사용량이 일반적인 건축물 대비 35% 이상 절약되는 수준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철근콘크리트조로서 두께가 10cm 이상인 경우에만 내화구조에 속하는 것은?

  1. 바닥
  2. 지붕
  3. 계단
(정답률: 60%)
  • 철근콘크리트 바닥은 불꽃이나 열에 강하고 내화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내화구조에 속합니다. 하지만 지붕, 계단, 보는 두께가 10cm 미만일 수 있기 때문에 내화구조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건축법령상 고층건축물의 정의로 옳은 것은?

  1. 층수가 20층 이상거나 높이가 60m 이상인 건축물
  2. 층수가 20층 이상거나 높이가 80m 이상인 건축물
  3. 층수가 30층 이상거나 높이가 90m 이상인 건축물
  4. 층수가 30층 이상거나 높이가 120m 이상인 건축물
(정답률: 69%)
  • 고층건축물의 정의는 건축법령상 층수나 높이 중 하나를 충족하는 건축물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층수가 3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120m 이상인 건축물이 고층건축물로 분류됩니다. 이는 고층건축물의 안전성과 관련된 규제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에 따라 피뢰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의 높이 기준은?

  1. 높이 10m 이상인 건축물
  2. 높이 20m 이상인 건축물
  3. 높이 30m 이상인 건축물
  4. 높이 50m 이상인 건축물
(정답률: 77%)
  • 피뢰설비는 번개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설비로, 건축물의 높이가 높을수록 번개로 인한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높이 20m 이상인 건축물에 설치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높이 20m 이상인 건축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은 건축물의 바깥쪽으로의 출구의 설치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1. 0.6m
  2. 1.2m
  3. 1.5m
  4. 1.8m
(정답률: 50%)
  • 건축법 시행규칙 제 27조에 따르면, 건축물의 바깥쪽으로의 출구는 출구문에서 출구까지의 거리가 1.5m 이하이면 출구문에서 출구까지의 거리의 1/2 이상을 출구문의 폭으로 하여야 한다. 따라서, 출구문에서 출구까지의 거리가 1.2m 일 경우, 출구문의 폭은 0.6m 이상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의 소방시설 중 소화활동설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연결송수관설비
  2. 비상콘센트설비
  3. 무선통신보조설비
  4. 상수도소화용수설비
(정답률: 58%)
  • 상수도소화용수설비는 소화활동설비가 아닙니다. 이는 소방차에서 물을 공급받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건물 내부에 설치된 상수도를 이용하여 화재를 직접 소화하는 시설입니다. 따라서 소화활동설비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건축법령상 단독주택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공관
  2. 다중주택
  3. 다세대주택
  4. 다가구주택
(정답률: 66%)
  • 다세대주택은 여러 가구가 함께 거주하는 주택으로, 건축법령상 단독주택에 속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공관, 다중주택, 다가구주택은 모두 여러 가구가 함께 거주하는 형태이지만, 다세대주택과는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어서 건축법령상 단독주택에 속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피난용도로 쓸 수 있는 광장을 옥상에 설치 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은?

  1. 5층 이상인 층이 판매시설의 용도로 사용되는 건축물
  2. 5층 이상인 층이 공동주택의 용도로 사용되는 건축물
  3. 5층 이상인 층이 업무시설의 용도로 사용되는 건축물
  4. 5층 이상인 층이 의료시설의 용도로 사용되는 건축물
(정답률: 56%)
  • 피난용도로 쓸 수 있는 광장은 대규모 인명피해 발생 시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이므로, 인원 수가 많은 건축물에 설치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따라서, 5층 이상인 층이 판매시설의 용도로 사용되는 건축물이 적절한 대상입니다. 판매시설은 대개 인원 수가 많고, 화재 등의 위험이 높은 곳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건축물 내부에 설치하는 피난계단의 구조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계단실에는 예비전원에 의한 조명설비를 할 것
  2. 계단실의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은 난연재료로 할 것
  3. 계단은 내화구조로 하고 피난층 또는 지상까지 직접 연결되도록 할 것
  4. 계단실은 창문•출입구 기타 개구부를 제외한 당해 건축물의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의 벽으로 구획할 것
(정답률: 68%)
  • "계단실의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은 난연재료로 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오히려 "계단실의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은 불연성 또는 난연성 재료로 할 것"으로 수정되어야 한다. 이유는 난연재료는 불연성을 보장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불연성 또는 난연성 재료를 사용하여 화재 발생 시 계단실 내부의 화재 확산을 최소화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승용승강기 설치 대상 건축물에서 승용승강기 설치 대수의 산정 요소로만 나열된 것은?

  1. 건축물의 용도, 6층 이상의 거실면적의 합계
  2. 건축물의 층수, 6층 이상의 거실면적의 합계
  3. 건축물의 용도, 6층 이상의 바닥면적의 합계
  4. 건축물의 층수, 6층 이상의 바닥면적의 합계
(정답률: 57%)
  • 승용승강기 설치 대상 건축물에서 승용승강기 설치 대수의 산정 요소는 건축물의 용도와 6층 이상의 거실면적의 합계입니다. 이는 건물의 사용 목적과 인원 수에 따라 승강기 설치 대수가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6층 이상의 거실면적은 인원 수와 이동 거리 등을 고려하여 승강기 설치 대수를 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건축물의 용도, 6층 이상의 거실면적의 합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건축물에 설치하는 급수•배수 등의 용도로 쓰이는 배관설비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수용 우수관과 오수관은 분리하여 배관 할 것
  2. 건축물의 주요부분을 관통하여 배관하지 아니할 것
  3. 배수용 배관설비의 오수에 접히는 부분은 내수재료를 사용할 것
  4. 승강기의 승강로안에는 승강기의 운행에 필요한 배관 설비외의 배관설비를 설치하지 아니할 것
(정답률: 50%)
  • "건축물의 주요부분을 관통하여 배관하지 아니할 것"은 옳은 기준이다. 이유는 건축물의 주요부분을 관통하는 배관은 건축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위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배관설비는 건축물의 주요부분을 피해 설치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의 스프링클러설비의 설치면제에 관한 기준 내용 중 ( )안에 알맞은 것은?

  1. 연결살수설비
  2. 옥내소화전설비
  3. 옥외소화전설비
  4. 물분무등소화설비
(정답률: 74%)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스프링클러설비이며, 스프링클러설비는 물을 분무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설비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물분무등소화설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건축물을 특별시나 광역시에 건축하고자 하는 경우 특별시장이나 광역시장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건축물의 규모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층수가 11층 이상이거나 연면적의 합계가 10000m2 이상인 건축물
  2. 층수가 11층 이상이거나 연면적의 합계가 100000m2 이상인 건축물
  3. 층수가 21층 이상이거나 연면적의 합계가 10000m2 이상인 건축물
  4. 층수가 21층 이상이거나 연면적의 합계가 100000m2 이상인 건축물
(정답률: 60%)
  • 특별시나 광역시는 인구 밀도가 높고 공간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건축물의 규모를 제한하기 위해 규제를 두고 있습니다. 이 규제에 따르면, 층수가 높거나 연면적이 큰 건축물일수록 더 많은 인프라와 시설이 필요하며, 더 많은 인구와 교통량을 유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특별시장이나 광역시장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따라서, 층수가 21층 이상이거나 연면적의 합계가 100000m2 이상인 건축물일 경우에는 더욱 엄격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하여야 하는 건축물은?

  1. 종교시설의 용도로 쓰이는 건축물로서 집회실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50m2인 건축물
  2. 판매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400m2인 건축물
  3. 공장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m2인 건축물
  4. 운수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m2인 건축물
(정답률: 39%)
  • 운수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은 내화구조로 해야하는데, 이는 화물이나 차량 등을 보관하거나 정비하는 시설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화구조로 만들어야 안전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상 다음과 같이 정의 되는 용어는?

  1. 변풍량제어시스템
  2. 이코너마이저시스템
  3. 비례제어운전시스템
  4. 대수분할운전시스템
(정답률: 72%)
  • 이코너마이저시스템은 건물 내부의 공기를 효율적으로 순환시켜 에너지를 절약하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외부 공기와 내부 공기를 교환하면서, 외부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외부 공기를 사용하여 실내 온도와 습도를 조절한다. 이를 통해 에어컨 등의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어 에너지 절약 효과가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및 승강로의 구조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승강로는 당해 건축물의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로 구획할 것
  2. 승강장의 바닥면적은 비상용승강기 1대에 대하여 5m2이상으로 할 것
  3. 각층으로부터 피난층까지 이르는 승강로를 단일구조로 연결하여 설치할 것
  4. 승강장은 각층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되, 그 출입구(승강로의 출입구를 제외 한다)에는 갑종방화문을 설치할 것
(정답률: 75%)
  • "승강장의 바닥면적은 비상용승강기 1대에 대하여 5m2이상으로 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오타이며, 실제로는 "승강장의 바닥면적은 비상용승강기 1대에 대하여 1.5m2이상으로 할 것"이다. 이는 승강기 내부에 최소한 1명의 성인이 서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공동 소방안전관리자 선임대상 특정소방대상물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판매시설 중 도매시장 및 소매시장
  2. 복합건축물로서 층수가 5층 이상인 것
  3.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6층 이상인 건축물
  4. 복합건축물로서 연면적이 5000m2 이상인 것
(정답률: 50%)
  • 지하층은 화재 발생 시 대피가 어렵기 때문에 공동 소방안전관리자 선임 대상에서 제외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6층 이상인 건축물"은 옳지 않은 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오피스텔의 난방설비를 개별난방방식으로 하는 경우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난방구획을 방화구획으로 구획할 것
  2. 보일러의 연도는 내화구조로서 개별연도로 설치할 것
  3. 가스보일러인 경우, 보일러실의 윗부분에는 그 면적이 0.5m2 이상인 환기창을 설치할 것
  4. 보일러는 거실외의 곳에 설치하되, 보일러를 설치하는 곳과 거실사이의 경계벽은 출입구를 제외하고는 내화구조의 벽으로 구획할 것
(정답률: 49%)
  • "보일러의 연도는 내화구조로서 개별연도로 설치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개별난방방식에서는 각각의 오피스텔에 보일러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보일러의 연도가 내화구조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내화구조는 건물 전체의 안전성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개별난방방식에서는 보일러가 설치되는 각각의 오피스텔 내부에서 내화구조를 갖출 필요는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