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9-20)

방사선비파괴검사기사
(2014-09-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파괴검사 개론

1. 다음 중 30mm 압연 강판에 존재하는 라미네이션을 검사하고자 할 때 가장 적절한 비파괴검사법은?

  1. 자동 방사선투과검사
  2. 자동 와전류탐상검사
  3. 자동 초음파탐상검사
  4. 질량분석 누설검사
(정답률: 67%)
  • 30mm 압연 강판에 존재하는 라미네이션을 검사하고자 할 때 가장 적절한 비파괴검사법은 "자동 초음파탐상검사"입니다. 이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체 내부의 결함을 탐지하는 검사법으로, 강판의 두께와 라미네이션의 위치, 크기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자동화된 검사 시스템을 사용하면 빠르고 정확한 검사가 가능하며, 인력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비파괴검사법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초음파탐상시험은 방사선투과시험보다 두꺼운 강재를 검사할 수 있다.
  2. 방사선투과시험은 결함의 깊이와 형태를 정확히 알 수 있다.
  3. 초음파탕상시험은 원리적으로 펄스반사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4. 표면결함의 검출은 강자성체의 경우 자분탐상시험이 효과적이다.
(정답률: 64%)
  • "표면결함의 검출은 강자성체의 경우 자분탐상시험이 효과적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방사선투과시험은 X선이나 감마선을 이용하여 물체 내부의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결함의 깊이와 형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매우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초음파탐상시험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물체 내부의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방사선투과시험보다 두꺼운 강재를 검사할 수 있어 유용합니다. 또한 원리적으로 펄스반사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자분탐상시험은 자석을 이용하여 물체 내부의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표면결함의 검출에 효과적이며, 강자성체의 경우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와전류탐상시험이 가능하지 않은 대상물은?

  1. 고무 막대
  2. 강철 막대
  3. 구리 막대
  4. 알루미늄 막대
(정답률: 81%)
  • 고무 막대는 전기를 전달하지 않는 절연체이기 때문에 와전류탐상시험이 불가능합니다. 반면에 강철 막대, 구리 막대, 알루미늄 막대는 전기를 전달하는 금속이기 때문에 와전류탐상시험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자분탐상검사에 영향을 미치는 자분의 성질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자분의 색조와 휘도
  2. 자분의 전기적 성질
  3. 자분의 입도
  4. 자분의 비중
(정답률: 50%)
  • 자분탐상검사는 자분의 크기와 모양 뿐만 아니라 전기적 성질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자분의 전기적 성질은 자분 간의 상호작용과 충돌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자분탐상검사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자분의 색조와 휘도", "자분의 입도", "자분의 비중"이며, 정답은 "자분의 전기적 성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침투탐상시험이 적합한지를 선택하는 조건과 거리가 먼 것은?

  1. 시험체의 재질
  2. 시험체의 형상
  3. 시험체의 표면 상태
  4. 시험체의 제작 공차
(정답률: 61%)
  • "시험체의 제작 공차"는 침투탐상시험에 적합한 조건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침투탐상시험은 시험체의 표면 상태와 형상에 민감하며, 재질도 중요하지만 제작 공차는 시험체의 개별적인 특성이므로 일정한 기준을 정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제작 공차는 침투탐상시험에서는 보다 적합한 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판재를 펀치와 다이 사이에서 압축하여 성형하는 방법은?

  1. 압출 가공
  2. 프레스 가공
  3. 인발 가공
  4. 압연 가공
(정답률: 62%)
  • 판재를 펀치와 다이 사이에서 압축하여 성형하는 방법은 프레스 가공이다. 이는 펀치와 다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모양으로 판재를 압축하고 성형하는 공정으로, 대량 생산에 적합하며 정확한 크기와 모양을 만들 수 있다. 압출 가공은 금속을 끌어내는 방식으로, 인발 가공은 금속을 빼내는 방식으로, 압연 가공은 금속을 압착하는 방식으로 각각 다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담금질(quenching)후의 마텐자이트의 결정구조는?

  1. 체심정방격자
  2. 면심입방격자
  3. 면심입방격자
  4. 조밀육방격자
(정답률: 44%)
  • 담금질 후의 마텐자이트는 매우 단단하고 바람직한 물성을 가지는데, 이는 그 구조적 특징 때문이다. 마텐자이트의 결정구조는 체심정방격자이다. 이는 담금질 과정에서 급격한 냉각으로 인해 원자들이 빠르게 배열되어 형성되는 구조로, 원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어 매우 단단하고 강한 결합을 가지게 된다. 이에 반해 면심입방격자나 조밀육방격자는 덜 단단하고 강한 결합을 가지는 구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의 입계부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결정입계에 탄화물 석출에 의해 부식이 발생된다.
  2. 결정입계에 질화물 석출에 의해 부식이 발생된다.
  3. 티타늄을 첨가하면 입계에 부식이 촉진된다.
  4. 결정입계에 크롬 농도가 감소되어 부식이 발생한다.
(정답률: 75%)
  • "티타늄을 첨가하면 입계에 부식이 촉진된다."가 틀린 것이다.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은 일반적으로 크롬과 니켈 등의 합금 원소를 함유하고 있어 내식성이 뛰어나다. 그러나 고온에서 사용되는 경우, 결정입계라는 구조적 결함 부근에서 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탄화물이나 질화물 등의 석출물이 생기면서 발생하는데, 이러한 석출물이 입계 부근에서 발생하면 부식이 발생한다.

    따라서, "티타늄을 첨가하면 입계에 부식이 촉진된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다. 티타늄은 오히려 입계 부근에서 석출물의 생성을 억제하여 부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순철의 변태가 아닌 것은?

  1. A4 변태
  2. A3 변태
  3. A2 변태
  4. A1 변태
(정답률: 48%)
  • 순철은 변태가 아니기 때문에 "A1 변태"가 정답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변태를 나타내는 표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주석청동 주물은 상당한 강도가 있고, 마모ㆍ수압 및 부식에 견디며, 외관도 미려하므로 널리 사용되나 용탕의 유동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것은?

  1. S
  2. Ni
  3. Zn
  4. Pb
(정답률: 52%)
  • 주석청동 주물은 주로 주석과 구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중 구리는 강도가 높지만 용탕성이 낮아 주조 과정에서 유동성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용탕성을 높이기 위해 주조 과정에서 아연(Zn)을 첨가합니다. 아연은 구리와 호환성이 좋아 용탕성을 높이면서도 강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강의 시험에서 죠미니 선단 담금질(Jominy end quenching test)시험의 목적은?

  1. 경화능시험
  2. 초단파시험
  3. 자기이력시험
  4. 전자유도시험
(정답률: 62%)
  • 죠미니 선단 담금질 시험은 강재의 경화능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경화능시험"입니다. 초단파시험, 자기이력시험, 전자유도시험은 각각 다른 재료의 물성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6:4 황동에 Sn을 넣은 것으로 복수기판, 용접봉 등에 이용되는 것은?

  1. Naval brass
  2. Haed brass
  3. Albrac bronze
  4. Admiralty metal
(정답률: 58%)
  • Naval brass는 황동에 스날을 넣은 합금으로, 높은 강도와 내식성을 가지고 있어 복수기판, 용접봉 등에 이용됩니다. 또한, 해군에서도 사용되는 합금으로서 "Naval"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Head brass", "Albrac bronze", "Admiralty metal"은 이유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강중에 비금속 개재물의 영향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 재료 내부에 점재하여 인성을 해친다.
  2. 강에 백점이나 헤어 크랙의 원인이 된다.
  3. 철의 규산염 등은 적열취성의 원인이 된다.
  4. 열처리 하였을 때 개재물로부터 균열을 일으키기 쉽다.
(정답률: 45%)
  • "강에 백점이나 헤어 크랙의 원인이 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비금속 개재물이 강에 점재하여 강의 내부에 마이크로크랙을 형성시키고, 이로 인해 백점이나 헤어 크랙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금속재료에서 탄소의 함량이 가장 적은 것에서 많은 순서로 옳은 것은?

  1. 전해철<연강<주철<경강
  2. 전해철<연강<경강<주철
  3. 연강<전해철<경강<주철
  4. 연강<전해철<주철<경강
(정답률: 50%)
  • 탄소는 철과 합쳐져 강도와 경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탄소 함량이 적은 순서대로 강도와 경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전해철은 탄소 함량이 가장 적고, 주철은 탄소 함량이 가장 많으므로 "전해철<연강<경강<주철" 순서가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금속 분말의 유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가 아닌 것은?

  1. 분말의 수분 함량
  2. 분말의 입도 및 형상
  3. 분말의 자기적 성질
  4. 분말과 용기 사이의 마찰 계수
(정답률: 67%)
  • 분말의 자기적 성질은 유동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유동성은 분말의 입도 및 형상, 수분 함량, 그리고 분말과 용기 사이의 마찰 계수와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알루미늄, 마그네슘, 구리 및 구리합금, 스테인리스강의 절단에 주로 이용되는 절단법은?

  1. 산소 아크 절단
  2. 탄소 아크 절단
  3. 아크 에어 가우징
  4. 티크 절단
(정답률: 58%)
  • 알루미늄, 마그네슘, 구리 및 구리합금, 스테인리스강은 열에 민감한 재질이기 때문에 열이 발생하는 절단법은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재질의 절단에는 열이 발생하지 않는 티크 절단법이 주로 이용됩니다. 티크 절단법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티크를 이용하여 재질을 절단하는 방법으로, 열이 발생하지 않아 재질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일반적인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용입 깊이가 얕다.
  2. 사용 용접전류가 적어 용접능률이 낮다.
  3. 아크가 눈에 보이므로 용접상태를 확인하면서 용접 할 수 있다.
  4. 용접선이 길고, 연속용접이 가능한 부재에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정답률: 58%)
  • 서브머지드 아크용접은 용입 깊이가 얕고 사용 용접전류가 적어 용접능률이 낮은 특징이 있습니다. 그러나 용접선이 길고, 연속용접이 가능한 부재에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이유는, 이러한 부재들은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용접선을 길게 이어 연속적으로 용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생산성을 높이는 데에 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용접결함 중 치수상의 결함이 아닌 것은?

  1. 스트레인 변형
  2. 용접부 크기의 부적당
  3. 접합 불량
  4. 용접부 형상의 부적당
(정답률: 19%)
  • 접합 불량은 용접부의 결함으로, 용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용접부의 강도나 내구성이 떨어지는 상황을 말합니다. 이는 용접부의 크기나 형상, 스트레인 변형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이산화탄소 아크용접 와이어에 구리 도금을 한 이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와이어의 녹을 방지한다.
  2. 전류의 가속(Pick-up)을 개선한다.
  3. 비드 외관을 개선하기 위함이다.
  4. 자연수명을 증가시키기(넓히기) 위함이다.
(정답률: 27%)
  • 이산화탄소 아크용접 와이어에 구리 도금을 한 이유는 비드 외관을 개선하기 위함이 아니라, 와이어의 녹을 방지하고 전류의 가속(Pick-up)을 개선하며 자연수명을 증가시키기(넓히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그림과 같은 플레어 용접의 홈 종류는?

  1. V형
  2. X형
  3. K형
  4. J형
(정답률: 68%)
  • 정답은 "X형"입니다. 이유는 홈의 모양이 X자 모양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V자, K자, J자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방사선투과검사 원리

21. 다음 중 방사선투과 사진의 감도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기하학적 불선명도
  2. 필름의 입도
  3. 산란방사선
  4. 필름의 크기
(정답률: 83%)
  • 방사선투과 사진의 감도는 기하학적 불선명도, 필름의 입도, 산란방사선과 관련이 있지만, 필름의 크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필름의 크기는 이미지의 크기와 관련이 있지만, 감도와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방사선투과검사 시 촬영된 필름에 초생달 모양의 흰 자국이 생기는 경우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정착액이 약화되었을 때
  2. 현상 중 온도변화가 심할 때
  3. 촬영 전 필름이 구겨졌을 때
  4. 촬영 후 필름이 구겨졌을 때
(정답률: 62%)
  • 촬영 전 필름이 구겨졌을 때, 필름의 표면이 불균일하게 되어 방사선이 일정하게 투과되지 않고 일부 구멍이 생기게 됩니다. 이로 인해 필름에 초생달 모양의 흰 자국이 생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밀봉되지 않은 방사성 동위원소에서 방출하는 선량률이 100feet 거리에서 900mR/h이면 300feet에서의 선량률은?

  1. 100mR/h
  2. 300mR/h
  3. 600mR/h
  4. 2700mR/h
(정답률: 50%)
  • 방사성 동위원소의 방출하는 선량률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역정사례 법칙에 따라 계산할 수 있다.

    100feet에서의 선량률을 R1, 300feet에서의 선량률을 R2라고 하면,

    R1 : R2 = (300/100)^2 : 1

    = 9 : 1

    따라서, 100feet에서의 선량률이 900mR/h이므로,

    300feet에서의 선량률은 900mR/h ÷ 9 = 100mR/h 이다.

    즉, 거리가 3배 멀어지면 선량률은 9배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식별한계 콘트라스트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상의 크기와 농도의 분포
  2. X선 필름의 입상성(증감지, 방사선질)
  3. Ir-192가 Co-60보다 식별한계 콘트라스트가 크다.
  4. 투과사진의 관찰 조건 및 개인차
(정답률: 43%)
  • 정답은 "Ir-192가 Co-60보다 식별한계 콘트라스트가 크다." 이다. 이유는 Ir-192의 에너지가 높아서 물질을 투과하는 능력이 더 뛰어나기 때문에, 물질 내부의 작은 변화를 더 잘 포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Ir-192는 Co-60보다 더 높은 식별한계 콘트라스트를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방사선 내부피폭의 방어원칙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선원 격납
  2. 경로 차단
  3. 화학적 처리
  4. 차폐체 이용
(정답률: 50%)
  • 방사선 내부피폭의 방어원칙은 방사선을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막는 것입니다. 이 중에서 "차폐체 이용"은 방사선을 외부에서 차단하여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차폐체 이용"은 방사선 내부피폭의 방어원칙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방어원칙을 실천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방사선투과시험의 필터(filter)의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필터는 방사선을 연화(softening시키므로 과잉의 피사체 콘트라스트를 줄인다.
  2. 장파장의 방사선은 단파장의 방사선량만큼 필터를 투과하지 못한다.
  3. 필터를 사용하면 전압을 올리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얻는다.
  4. 필터를 사용하면 전체 방사선의 강도를 감소시킨다.
(정답률: 32%)
  • "장파장의 방사선은 단파장의 방사선량만큼 필터를 투과하지 못한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필터는 방사선을 연화시켜 과잉의 피사체 콘트라스트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이는 필터가 방사선의 일부를 흡수하고, 그 결과로 전체적으로 방사선의 강도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터를 사용하면 전체 방사선의 강도를 감소시킨다."는 옳은 설명이다.

    하지만 "장파장의 방사선은 단파장의 방사선량만큼 필터를 투과하지 못한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필터는 일정한 두께와 재질로 만들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특정 파장의 방사선을 더 많이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필터를 사용하면 특정 파장의 방사선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단파장이든 장파장이든 상관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10Ci의 Co-60 선원으로부터 10m 떨어졌을 때의 선량률은 얼마인가? (단, C0-60의 RHM값은 1.35이다.)

  1. 0.35mR/h
  2. 13.5mR/h
  3. 135mR/h
  4. 1.35mR/h
(정답률: 39%)
  • 선원으로부터의 거리가 10m이므로, 선량률은 RHM값인 1.35을 거리의 제곱(10^2)으로 나눈 값이다.

    즉, 선량률 = 1.35 / (10^2) = 0.0135 mR/h/m^2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거리 10m에서의 선량률이므로, 위의 값을 거리 10m으로 나누어줘야 한다.

    따라서, 선량률 = 0.0135 / 10^2 = 0.000135 mR/h/cm^2

    이 값을 mR/h로 변환하면, 0.000135 x 100 = 0.0135 mR/h 이다.

    따라서, 정답은 "135mR/h"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입상성이 큰 필름은 어떤 특성이 있는가?

  1. 입상성이 작은 필름보다 명료도가 좋아진다.
  2. 입상성이 작은 필름보다 선명도가 좋아진다.
  3. 입상성이 작은 필름보다 감광속도가 빨라진다.
  4. 입상성이 작은 필름보다 노출시간이 길어진다.
(정답률: 52%)
  • 입상성이 큰 필름은 빛을 흡수하는 능력이 높기 때문에 감광속도가 빨라지게 됩니다. 따라서, 입상성이 작은 필름보다 더 빠른 속도로 빛을 받아들일 수 있어서 노출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이는 사진 촬영 시간을 단축시키고 움직임이 있는 대상을 더 잘 촬영할 수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방사선작업종사자의 인체가 방사선에 영향을 받는 요소가 아닌 것은?

  1. 개개인의 생물학적 효과비
  2. 조사된 방사선의 총량
  3. 선원의 용량
  4. 개개인의 연령차이
(정답률: 39%)
  • 선원의 용량은 방사선작업종사자의 인체가 방사선에 영향을 받는 요소가 아닙니다. 이는 방사선작업종사자의 업무와 관련이 없는 개인적인 정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방사선작업종사자의 인체가 방사선에 영향을 받는 요소는 "개개인의 생물학적 효과비", "조사된 방사선의 총량", "개개인의 연령차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Mo를 표적으로 사용한 X선관의 관전압을 높였을 때, 발생되는 Kα 특성X선의 파장은?

  1. 짧아진다.
  2. 길어진다.
  3. 변하지 않는다.
  4. 경우에 따라 길어질 때도 있고, 짧아질 때도 있다.
(정답률: 20%)
  • Mo의 Kα 특성X선의 파장은 0.71 Å이고, 이 값은 Mo의 원자 구조에 의해 결정된 고유한 값이기 때문에 Mo를 표적으로 사용한 X선관의 관전압을 높여도 Kα 특성X선의 파장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변하지 않는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방사선투과사진의 콘트라스트에 영향을 주는 인자가 아닌 것은?

  1. 기하학적 조건
  2. 시편의 두께차
  3. 필름의 종류
  4. 방사선의 에너지
(정답률: 45%)
  • 기하학적 조건은 방사선투과사진의 콘트라스트에 영향을 주는 인자 중 하나가 아니다. 기하학적 조건은 촬영각도, 촬영거리, 촬영방향 등과 같은 촬영 조건에 관련된 요소이며, 콘트라스트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정답은 "기하학적 조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X선의 일반적인 성질이 아닌 것은?

  1. 직진한다.
  2. 빛의 속도와 동일하다.
  3. 필름을 감광시킨다.
  4. 전기 또는 자장의 영향을 받는다.
(정답률: 39%)
  • X선은 전기 또는 자장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X선은 전자가 고속으로 가속되어 발생하며, 전자의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파입니다. 따라서 전기 또는 자장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방사성 핵종인 세슘 137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절한 내용은?

  1. 세슘 137은 핵분열 생성물의 주성분의 하나이다.
  2. 세슘 137은 반감기가 30년이다.
  3. 세슘 137은 1.22MeV의 γ선을 방출한다.
  4. 세슘 137은 β-방사체 이다.
(정답률: 42%)
  • "세슘 137은 β-방사체 이다."가 부적절한 내용이다. 세슘 137은 β-방사를 하면서 γ선을 방출하는 방사성 핵종이다. 따라서 "세슘 137은 β-방사체 이다."라는 설명은 부적절하다.

    세슘 137은 핵분열 생성물의 주성분 중 하나로, 반감기가 30년이며, 1.22MeV의 γ선을 방출한다. 이는 핵분열이나 핵실험 등에서 발생하는 방사성 폐기물로 인해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1.22MeV의 γ선은 인체에 대한 위험성이 높은 선량을 가지고 있으므로, 적절한 방호조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방사성동위원소의 붕괴기구(disintegration mechanism)중에서 중성자의 방출이 동반되어 중성자원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은?

  1. 감마선 방출
  2. 자발핵분열
  3. 알파입자의 방출
  4. 베타입자의 방출
(정답률: 65%)
  • 자발핵분열은 원자핵 내부에서 일어나는 자발적인 붕괴로, 이 과정에서 중성자가 방출됩니다. 따라서 중성자원으로 이용될 수 있습니다. 감마선 방출, 알파입자의 방출, 베타입자의 방출은 모두 중성자를 방출하지 않으므로 중성자원으로 이용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2.54cm 두께 알루미늄판 내에 0.13cm의 공동결함이 있을 때 X선 투과촬영법에 의해 필름에 도달한 투과강도의 비는 대략 어떻게 되는가? (단, 알루미늄의 X선 흡수계수(μ)는 1.89cm-1)

  1. 1:2.8
  2. 1:2.5
  3. 1:1.3
  4. 1:1.1
(정답률: 45%)
  • X선이 알루미늄판을 통과할 때, 강한 흡수로 인해 X선의 강도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알루미늄판의 두께가 증가하면 X선의 강도는 더욱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공동결함이 있는 부분에서는 X선의 강도가 더욱 감소하게 되므로, 필름에 도달한 투과강도의 비는 1:1.3이 된다. 즉, 공동결함이 없는 부분에 비해 투과강도가 1.3배 낮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피사체 콘트라스트에 영향을 주는 인자가 아닌 것은?

  1. 시험체의 재질
  2. 방사선의 에너지
  3. 산란방사법
  4. 관전류
(정답률: 48%)
  • 관전류는 피사체 콘트라스트에 영향을 주는 인자가 아닙니다. 피사체 콘트라스트는 시험체의 재질, 방사선의 에너지, 산란방사법 등과 같은 요소에 영향을 받습니다. 관전류는 X선 촬영 시 발생하는 불필요한 노이즈를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적 요소이지만, 피사체 콘트라스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γ선과 물질과의 상호작용에서 γ선 에너지가 2moC2이상일 때 일어날 수 있는 상호작용은? (단, 여기서 mo와 C는 각각 전자의 정지질량과 광속도를 나타낸다.)

  1. 광전효과
  2. 콤프턴산란
  3. 전자쌍생성
  4. Auger 효과
(정답률: 43%)
  • 정답은 "전자쌍생성"이다. γ선은 고에너지 전자기파이기 때문에 물질과 상호작용할 때 전자와 양전하를 가진 입자들을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호작용은 γ선의 에너지가 충분히 높을 때만 일어난다. 이때 γ선의 에너지는 전자쌍 생성에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인 2moC2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전자쌍생성"이 정답이다. "광전효과"는 광자가 물질과 상호작용하여 전자를 방출하는 현상이고, "콤프턴산란"은 γ선이 물질과 상호작용하여 새로운 방향으로 산란되는 현상이다. "Auger 효과"는 전자가 물질과 상호작용하여 내부 전자가 방출되는 현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그림과 같이 100mAㆍs의 노출량으로 A타입의 필름을 촬영하여 사진농도 1.5를 얻었을 때, 촬영배치의 변화없이 B타입의 필름으로 사진농도 2.0을 얻으려면 필요한 노출량은 얼마인가?

  1. 50mAㆍs
  2. 250mAㆍs
  3. 400mAㆍs
  4. 500mAㆍs
(정답률: 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노출도표에 명시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X-선 장비 명칭 및 일련번호
  2. 투과도계의 종류 및 증감지 종류
  3. 필름의 종류 및 FFD
  4. 기준농도 및 현상 조건
(정답률: 50%)
  • 투과도계의 종류 및 증감지 종류는 노출도표에 명시되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노출도표와는 관련이 없는 장비와 부속품의 정보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노출도표에는 X-선 장비 명칭 및 일련번호, 필름의 종류 및 FFD, 기준농도 및 현상 조건만 명시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X선 발생장치의 취급에 대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X선 방생장치의 확인은 복수의 방법으로 행한다.
  2. X선 발생기의 제어기는 주기적으로 커버를 열고 내부를 청소한다.
  3. X선 장치를 사용 중에는 필름배지를 휴대해야 한다.
  4. 인터록, 도어 스위치 등의 외부 안전회로와 연동하여 사용할 때는 정기적으로 인접회로의 작동을 확인한다.
(정답률: 67%)
  • "X선 발생기의 제어기는 주기적으로 커버를 열고 내부를 청소한다."가 틀린 것이다. X선 발생기의 제어기는 주기적으로 청소하지 않는다.

    이유는 X선 발생기의 제어기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제어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민감한 전자 부품들이 있기 때문에 직접적인 청소는 오히려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 주변의 먼지나 오염물질은 부드러운 천이나 붓으로 가볍게 닦아내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방사선투과검사 시험

41. 정전기를 띤 세레늄(selenuium) 하전판을 사용하여 X선 영상을 기록하는 건식 방사선투과시험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Stereo Radiography
  2. Television Radiography
  3. Xero Radiography
  4. Neutron Radiography
(정답률: 44%)
  • 정전기를 띤 세레늄 하전판을 사용하여 X선 영상을 기록하는 건식 방사선투과시험 방법을 Xero Radiography라고 한다. 이는 "Xero"가 "건조한"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이 방법은 필름 대신 건조한 하전판을 사용하여 X선 영상을 기록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이름이 붙여졌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방사선 투과사진에서 강이나 경금속 등 재질의 종류에 관계없이 시험체의 두께가 얇아지면 투과도계의 식별도는 어떻게 되는가? (단, 다른 조건의 변화는 없다.

  1. 좋아지는 경향이 있다.
  2.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3. 얇아진 두께의 제곱에 비례한다.
  4. 얇아진 두께의 제곱근에 비례한다.
(정답률: 18%)
  •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이는 시험체의 두께가 얇아지면 방사선이 시험체를 통과하는데 필요한 경로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투과도계는 더 적은 정보를 수집하게 되어 식별도가 낮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방사선투과시험 정지액으로 사용되는 용액 중 가장 적당한 것은?

  1. 3% 빙초산 수용액
  2. 10% 빙초산 수용액
  3. 15% 빙초산 수용액
(정답률: 60%)
  • 방사선투과시험은 방사선을 이용하여 물질의 내부 구조를 파악하는 검사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때, 정지액은 물질의 구조를 더욱 선명하게 보기 위해 사용됩니다.

    정지액으로 사용되는 용액은 물질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선택됩니다. 빙초산은 물에 잘 녹아 방사선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어, 방사선투과시험에서는 빙초산 수용액이 주로 사용됩니다.

    그 중에서도 3% 빙초산 수용액이 가장 적당한 이유는, 높은 농도의 빙초산 수용액은 물질의 구조를 왜곡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3% 빙초산 수용액은 방사선 차단 효과가 충분하면서도 물질의 구조를 왜곡시키지 않아,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방사선투과검사 필름용 자동현상기의 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수시로 현상온도를 점검한다.
  2. Roller rack를 정기적으로 세척한다.
  3. 처리액 보충탱크에는 물에 뜨는 덮개를 사용한다.
  4. 보충액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대량 제조한다.
(정답률: 64%)
  • 보충액을 대량 제조하는 것은 오히려 관리에 부적절한 방법이다. 보충액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품질이 저하되므로 정기적으로 교체해야 한다. 따라서 "보충액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대량 제조한다."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사진처리 과정에서 정착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현상 안된 은염의 제거
  2. 현상 반응의 정지
  3. 현상된 은을 영구상으로 고착화
  4. 건조 공정에서 손상을 입지 않도록 젤라틴의 경화
(정답률: 42%)
  • 정착은 이미 현상된 은염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과정이며, 이는 보기에서 "현상된 은을 영구상으로 고착화"로 나타납니다. 따라서 정답은 "현상 반응의 정지"입니다. 현상 반응의 정지는 이미 현상된 필름을 더 이상 반응시키지 않고, 원하는 밝기와 명암 대비를 얻기 위해 정지액으로 처리하는 과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저에너지 γ선 선원에는 75Sem 169Yb, 170Tm 및 153Gd 등이 있다. 다음 중 반감기가 짧은 것부터 긴 것으로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1. 75Se-169Yb-153Gd-170Tm
  2. 153Gd-170Tm-169Yb-75Se
  3. 169Yb-75Se-170Tm-153Gd
  4. 170Tm-75Se-153Gd-169Yb
(정답률: 40%)
  • 반감기가 짧은 순서대로 나열하면 75Sem, 169Yb, 170Tm, 153Gd이다. 이유는 반감기가 짧다는 것은 원자핵이 불안정하고 빠르게 붕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반감기가 짧은 순서대로 나열하면 빠르게 붕괴하는 원자핵이 먼저 나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X 선관에서 소비되는 전력과 X선 출력과의 비로 표현될 수 있는 X선의 발생효율은 무엇에 비례하는가?

  1. 관전압
  2. 표적재료의 질량
  3. 관전류
  4. 표적재료의 원자번호
(정답률: 45%)
  • X선의 발생효율은 표적재료의 원자번호에 비례합니다. 이는 표적재료의 원자번호가 클수록 X선이 원자 내부에서 상호작용하는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높은 원자번호를 가진 표적재료를 사용하면 더 효율적인 X선 발생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150kVp X선에 의한 방사선투과 등가게수가 조건과 같을 때 강(steel) 12.7mm(0.5인치)두께와 동일한 노출시간을 얻기 위한 인코넬의 등가두께는 약 몇 mm인가? (단, 강에 대한 인코넬의 등가계수 : 1.4이다.)

  1. 9.1mm
  2. 12.7mm
  3. 17.8mm
  4. 25.4mm
(정답률: 23%)
  • 강과 인코넬의 등가게수가 1.4이므로, 인코넬의 등가게수는 1.4배 커야 한다.
    따라서, 방사선투과 등가게수가 같을 때 강 12.7mm 두께와 동일한 노출시간을 얻기 위해서는 인코넬의 두께는 12.7mm/1.4 = 9.1mm가 된다.
    즉, 인코넬의 등가두께는 9.1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ASTM 투과도계 사용 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투과도계 시험하는 시험편과 재질이 동일한 것을 원칙으로 한다.
  2. 투과도계 두께는 시험편 두께의 1%이하이어야 한다.
  3. 투과도계 직경은 투과도계 두께의 4배, 2배 및 1배이며 최소 직경은 각각 0.04, 0.02, 0.01 인치이다.
  4. 지시번호는 투과도계의 납글자로 구성되며 지시번호는 투과도계가 사용되는 시험편의 두께범위를 나타낸다.
(정답률: 50%)
  • "투과도계 두께는 시험편 두께의 1%이하이어야 한다." 이것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투과도계 두께는 시험편 두께의 10% 이하이어야 한다." 이다. 이유는 투과도계의 두께가 시험편의 두께보다 크면 측정값이 왜곡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한 카세트내에 감광속도가 다른 2개 이상의 필름을 넣고 촬영하는 주된 이유는?

  1. 필름의 영상에 미치는 산란방사선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2. 1회 촬영으로 두께가 다른 시험체를 검사하기 위하여
  3. 필름에 나타날 수 있는 인공결함으로 인한 재촬영을 피하기 위하여
  4. 부적절한 노출시간으로 산란방사선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정답률: 52%)
  • 한 카세트내에 감광속도가 다른 2개 이상의 필름을 넣고 촬영하는 이유는 1회 촬영으로 두께가 다른 시험체를 검사하기 위해서입니다. 각각의 시험체는 두께가 다르기 때문에 적절한 노출을 위해 필름의 감광속도를 조절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감광속도가 다른 필름을 사용하여 적절한 노출을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맞대기 용접부의 방사선 투과사진에서 최고 및 최저 농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최저 농도는 중앙 용접부의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낸다.
  2. 최고 농도는 용접부의 양끝단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낸다.
  3. 최고 농도는 좌우 양끝단 용접부의 농도 중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낸다.
  4. 최저 농도는 좌우 양끝단 용접부의 농도 중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낸다.
(정답률: 58%)
  • 맞대기 용접부의 방사선 투과사진에서 최저 농도는 좌우 양끝단 용접부의 농도 중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낸다. 이는 용접부의 양쪽 끝단에서는 재료가 충분히 녹아 합쳐지지 않아 농도가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부분은 용접부의 강도를 낮출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방사선 투과검사에 사용되는 X선관이 고진공을 사용하므로써 장비에 미치는 영향이 아닌 것은?

  1. X선 장비가 소형화 됨
  2. X선 장비의 수명이 길어짐
  3. X선 장비의 작동이 보다 안전하게 됨
  4. X선 장비의 노후화가 빨리 됨
(정답률: 60%)
  • X선관이 고진공을 사용하면 X선의 진폭이 증가하므로 더 강력한 X선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방사선 투과검사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지만, 동시에 X선 장비의 노후화를 빨리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X선 장비의 노후화가 빨리 됨"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Co-60 선원 35 Ci를 사용하여 7cm 두께 강판 용접부위를 촬영하는데 18분의 노출시간이 필요했다. 만일 100 Ci를 사용하고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고 할 때의 노출시간은?

  1. 1.5분
  2. 6.3분
  3. 44.1분
  4. 51.4분
(정답률: 69%)
  • Co-60의 방사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므로, 방사능이 2배가 되면 노출시간은 반으로 줄어든다. 따라서 35 Ci에서 100 Ci로 방사능이 약 2.9배 증가하므로, 노출시간은 약 2.9배 감소하여 18분/2.9 ≈ 6.3분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납스크린의 깊은 긁힘 자국이 투과사진에 검은 선으로 나타나는 그 이유는?

  1. 납스트린에서 방사선의 흡수량이 늘어나기 때문에 보다 많은 방사선이 필름에 도달하기 때문
  2. 긁힘 자국에서는 표면적이 늘어나기 때문에 필름노출에 영향을 주는 전자의 방출이 증가하기 때문
  3. 긁힘 자국과 필름사이에 공기막이 형성되기 때문
  4. 긁힘 자국은 투과사진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투과사진에 나타난 검은 선은 다른 원인에 기인한다.
(정답률: 32%)
  • 긁힘 자국에서는 표면적이 늘어나기 때문에 필름노출에 영향을 주는 전자의 방출이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X선 발생장치로 방사선 투과검사를 실시할 경우 필름의 양면과 직접 접촉하여 사용된 연박증감지가 상질에 가장 바람직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관전압의 범위는?

  1. 150~400kVp
  2. 500~750kVp
  3. 800~1000kVp
  4. 1100~2000kVp
(정답률: 50%)
  • 방사선 투과검사에서 필름은 방사선을 받아들이고, 그 결과로 이미지가 형성된다. 이때 필름의 양면과 직접 접촉하여 사용된 연박증감지가 상질에 가장 바람직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관전압의 범위는 150~400kVp이다. 이는 관전압이 낮으면 이미지가 더욱 부드럽고 세밀해지기 때문이다. 반면에 관전압이 높을수록 이미지가 거칠어지고 노이즈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상질한 이미지를 얻기 위해서는 적절한 관전압 범위를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비파괴검사 시 주조품에서 대표적으로 발견되는 불연속이 아닌 것은?

  1. 심(seams)
  2. 기공(gas pockts)
  3. 수축관(shrinkage)
  4. 열터짐(hot tears)
(정답률: 38%)
  • 심(seams)은 주조 과정에서 여러 개의 주조 부품을 결합하기 위해 필요한 접합부이며, 불연속적인 결함이 아니기 때문에 비파괴검사 시 발견되지 않는다. 반면, 기공(gas pockets), 수축관(shrinkage), 열터짐(hot tears)은 주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결함으로 비파괴검사 시 발견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은 방사선투과 검사방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X선관에 의해 방출되는 방사선의 총량은 관전류, 관전압 및 X선관이 작동하는 시간에 의해 결정되며, 다른 작동조건이 일정할 때 전류가 변하면 방출되는 방사선의 투과력에 변화가 생긴다.
  2. γ선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의 총량은 선원의 강도 및 노출시간에 따라 결정되며, 방사선의 투과력은 선원의 강도(세기)에 비례한다.
  3. X선의 노출인자는 mA×min이고 γ선의 노출인자는 Ci×min이 되며, 노출인자를 고려하여 촬영배치를 설정한다.
  4. .X선관에 적용되는 전압은 선질뿐만 아니라 빔의 강도에도 영향을 미치며, 전압이 높아짐에 따라 보다 짧은 파장의 X선이 생성되어 투과력이 증가한다.
(정답률: 33%)
  • X선관에 적용되는 전압이 높아짐에 따라 보다 짧은 파장의 X선이 생성되어 투과력이 증가하는 이유는, 전압이 높아짐에 따라 전자가 더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X선을 생성하게 되고, 이는 보다 짧은 파장의 X선을 생성하게 되어 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투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공업용 X선관의 초점 크기를 결정하는 것은?

  1. X 선관의 크기
  2. 집속컵의 크기
  3. 냉각물질의 재질
  4. X선관 창(Window)의 크기
(정답률: 43%)
  • 공업용 X선관에서 초점 크기는 집속컵의 크기에 의해 결정됩니다. 집속컵은 X선을 집중시켜서 촬영 대상에 집중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집속컵의 크기가 작으면 초점이 작아지고, 크면 초점이 커집니다. 따라서 집속컵의 크기가 초점 크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고에너지 X선 발생장치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멀티섹션식의 X선관을 갑는 공진변압기형 장치는 보통의 단일섹션으로 된 X선관에서 발생되는 X선보다 훨씬 낮은 투과력을 갖는다.
  2. 반데그라프형 발생장치 중 일반적인 방사선투과검사용으로 사용되어지는 것은 2.5MeV 범위이다.
  3. 베타트론은 0.013×0.025cm의 텅스텐(W)와이어 표적을 사용한다.
  4. 선형가속기는 radio frequency voltage에 의해 전자를 가이드 아래로 가속하며, 진행파 가속방법과 압축파 가속방법이 있다.
(정답률: 29%)
  • 반데그라프형 발생장치 중 일반적인 방사선투과검사용으로 사용되어지는 것은 2.5MeV 범위이다. 이는 일반적인 방사선투과검사에서 필요한 충분한 투과력을 갖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고에너지 X선 발생장치에 대한 설명이지만, 멀티섹션식의 X선관과 베타트론, 선형가속기는 각각 다른 발생장치의 종류를 나타내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방사선 투과검사 시 산란선의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사용하는 보조재가 아닌 것은?

  1. 마스크(Mask)
  2. 콜리메이터(Collimator)
  3. 연박스크린(Lead foil screen)
  4. 격자 다이아프램(Grid diaphragm)
(정답률: 50%)
  • 콜리메이터는 방사선을 일정한 방향으로 집중시켜 산란선의 영향을 줄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보조재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방사선투과검사 규격

61. 비파괴검사를 위한 방사선투과검사 시 방사선의 인체에 대한 영향과 관계없는 것은?

  1. 신체적 장해를 유발할 수 있다.
  2. 유전적 장해를 유발할 수 있다.
  3. 내부피폭에 의한 위험성이 높다.
  4. 외부피폭에 의한 위험성이 높다.
(정답률: 41%)
  • 내부피폭은 방사선이 인체 내부로 들어가서 조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내부피폭에 의한 위험성이 높다는 것은 방사선이 인체 내부로 들어가서 조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신체적, 유전적 장해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주강품의 방사선 투과시험방법(KS D 0227)에 의해 주강품에서 수축을 필름 위에서 측정하는 경우 호칭두께가 15mm일 때 시험시야의 크기(지름)는?

  1. 20mm
  2. 30mm
  3. 40mm
  4. 50mm
(정답률: 31%)
  • 주강품의 호칭두께가 15mm이므로, KS D 0227에 따라 시험시야의 크기는 호칭두께의 3.3배인 49.5mm에 가장 가까운 값인 50m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50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주강품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D 0227)에 의한 주강품의 결함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블로홀
  2. 갈라짐
  3. 용입 불량
  4. 모래 박힘 및 개재물
(정답률: 45%)
  • 주강품의 결함 중에서는 "용입 불량"이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는 주강품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결함으로, 주강품의 내부에 공기나 다른 불순물이 혼입되어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반면 "블로홀", "갈라짐", "모래 박힘 및 개재물"은 주강품의 결함으로 간주됩니다. "블로홀"은 주강품의 표면에 구멍이나 동그란 홈이 생긴 경우를 말하며, "갈라짐"은 주강품의 표면이나 내부에서 균열이 생긴 경우를 말합니다. "모래 박힘 및 개재물"은 주강품 내부에 모래나 다른 불순물이 혼입되어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β선에 대한 검출감도가 특히 높고, 표면 오염의 검출에 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사선 측정기는?

  1. TLD식 측정기
  2. 이온함식 측정기
  3. G-M 계수관식 측정기
  4. 신틸레이션 계수관식 측정기
(정답률: 65%)
  • G-M 계수관식 측정기는 범용적으로 사용되며, β선에 대한 검출감도가 특히 높기 때문에 표면 오염의 검출에 주로 사용됩니다. 이는 G-M 계수관식 측정기가 기체 전류 증폭기(Gas-Multiplication)를 이용하여 작은 전자 신호를 증폭시키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매우 작은 방사선을 검출할 수 있으며, 표면 오염의 검출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강용점 이음부의 방사선투과시험방법(KS D 0845)에 따라 결함을 평가할 때 틀린 것은?

  1. 제1종 결함에 있어서 결함의 긴 지름이 모재두께의 1/2을 초과하면 4류로 한다.
  2. 제2종 결함의 평가 시 크기에 관계없이 융합부족이 있으며 1류가 될 수 없다.
  3. 0.5mm 이하의 제1종 결함이라도 시험 시야 내에 15개 이하 있으면 1급이 될 수 있다.
  4. 결함의 종별이 1종류인 경우는 그 분류를 총합 분류로 한다.
(정답률: 46%)
  • "0.5mm 이하의 제1종 결함이라도 시험 시야 내에 15개 이하 있으면 1급이 될 수 있다."가 틀린 것이다. 이유는 KS D 0845에서는 제1종 결함의 개수와 크기 모두를 고려하여 평가하며, 0.5mm 이하의 제1종 결함이라도 시험 시야 내에 15개 이상 있으면 2급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시험 시야 내에 결함 개수와 크기를 모두 고려하여 평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알루미늄 주물의 방사선투과시험방법 및 투과사진의 등급분류 방법(KS D 0241)에서 대상으로 하는 결함과 형상이 아닌 것은?

  1. 수축(별 모양)
  2. 수축(스펀지 모양)
  3. 가스 포로시티(봉모양)
  4. 가스 포로시티(원모양)
(정답률: 53%)
  • 알루미늄 주물의 방사선투과시험은 결함과 형상을 검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수축(별 모양)"이 대상이 아닌 이유는 수축은 형상적 결함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축(별 모양)은 형상적 결함이 아니라서 방사선투과시험에서 검사 대상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원자력안전법시행규칙에서 사용 중인 방사성동위원소의 사용 등의 신고대상 수량으로 옳은 것은?

  1. 표면방사선량률 : 100μSv/h 이하
  2. 표면방사선량률 : 200μSv/h 이하
  3. 표면방사선량률 : 300μSv/h 이하
  4. 표면방사선량률 : 500μSv/h 이하
(정답률: 32%)
  • 원자력안전법시행규칙에서 사용 중인 방사성동위원소의 사용 등의 신고대상 수량은 "표면방사선량률 : 500μSv/h 이하" 입니다. 이는 인체가 직접 접촉할 수 있는 표면에서 방사선이 발생하는 양을 나타내는데, 이 수치가 500μSv/h 이하라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수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신고를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표준방사선투과검사(ASME Sec,V, Artㆍ22 SE-1025)에 의한 투과도계의 사용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투과도계의 번호는 투과도계의 두께의 100배이다.
  2. 투과도계의 감도를 구하는 공식은 로 표시된다.
  3. 2-2T 투과도계 등가 감도는 2%가 된다.
  4. 1-1T 투과도계 등가 감도는 1%가 된다.
(정답률: 50%)
  • 정답은 "2-2T 투과도계 등가 감도는 2%가 된다." 이유는 투과도계의 번호는 투과도계의 두께의 100배이므로, 2-2T 투과도계는 두께가 0.002인 것을 의미한다. 또한, 투과도계의 감도를 구하는 공식은 I/I0 = e^(-μx) 이므로, 두께가 같은 두 개의 투과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의 비율은 e^(-μx) / e^(-μx) = 1이 된다. 따라서, 2-2T 투과도계 등가 감도는 2%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방사선투과검사(ASME Sec,V, Art.2)에서 부재 두께가 2.5인치 일 때 허용되는 기하학적 불선명도는 얼마인가?

  1. 0.020 인치
  2. 0.030 인치
  3. 0.040 인치
  4. 0.070 인치
(정답률: 25%)
  • ASME Sec V, Art.2에서는 부재 두께가 2.5인치인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방사선투과검사에서 허용되는 기하학적 불선명도는 1/6인치 이하이다. 따라서, 2.5인치의 1/6인치를 계산하면 0.4167인데, 가장 가까운 값은 0.030인치이므로 정답은 "0.030 인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수시출입자에 대한 비부의 연간선량한도는?

  1. 20 mSv
  2. 50 mSv
  3. 150 mSv
  4. 500 mSv
(정답률: 59%)
  • 수시출입자는 방사선 작업장에서 일하는 근로자가 아니지만, 방사선 작업장에 출입하여 일시적으로 방사선에 노출될 수 있는 사람을 말한다. 이러한 사람들의 연간선량한도는 일반인의 1.25배인 1mSv로 정해져 있지만, 비부의 경우에는 50mSv로 높아진다. 이는 비부가 방사선 작업장에 출입하여 일시적으로 노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방사선 서베이터의 지시 값이 0.9R/h 이었을 때 그 위치에서 30분 동안의 피복선량은 얼마인가?

  1. 0.3R
  2. 0.45R
  3. 2.4R
  4. 18R
(정답률: 85%)
  • 피복선량은 방사선 서베이터의 지시 값과 시간에 비례하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피복선량 = 지시 값 × 시간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피복선량 = 0.9R/h × 0.5h = 0.45R

    따라서 정답은 "0.45R"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포켓 도시미터(Pocket Dosimeter) 사용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방사선에 대한 방항성 때문에 패용상 문제점이 있다.
  2. 외부충격 및 전기적 충격에 취약하다.
  3. 직독식 포켓도시미터와 포켓 챔버형이 있다.
  4. 작업 중에 수시로 눈금을 확인할 수 있다.
(정답률: 56%)
  • 작업 중에 수시로 눈금을 확인할 수 있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닌가요? 포켓 도시미터는 방사선에 대한 방항성 때문에 패용상 문제점이 있습니다. 이는 측정 대상과 도시미터의 위치, 방향 등에 따라 측정값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방사선 측정기기 중 방사선 작업구역(공간) 부근의 방사선량을 측정하기 위한 기기는?

  1. 필름배지
  2. 서베이미터
  3. 포켓선량계
  4. 열형관선량계
(정답률: 73%)
  • 서베이미터는 방사선 작업구역(공간) 부근의 방사선량을 측정하기 위한 기기로, 고에너지 방사선을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 결과를 숫자로 표시하여 정확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방사선 작업구역에서의 방사선 안전을 위해 서베이미터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방사선 작업종사자의 손에 대한 연간 등가선량한도는?

  1. 150mSv
  2. 2500mSv
  3. 3000mSv
  4. 500
(정답률: 36%)
  • 방사선 작업종사자는 방사선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은 직업군이므로, 그들의 손에 대한 등가선량한도는 다른 직업군에 비해 높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 등가선량한도는 500mSv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는 손에 대한 최대 허용선량을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이보다 높거나 낮은 값이므로 정답은 5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방사선투과검사의 목적으로 작업장 개설 및 변경의 경우 신고서를 언제까지 제출해야 하는가?

  1. 변경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5일 이내
  2. 변경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15일 이내
  3. 변경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30일 이내
  4. 변경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60일 이내
(정답률: 29%)
  • 방사선투과검사 작업장 개설 및 변경은 방사선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규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작업장 개설 및 변경 시에는 해당 규정에 따라 신고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이때 변경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30일 이내에 제출해야 하는 이유는, 작업장 개설 및 변경이 이루어진 후에는 새로운 위험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빠르게 파악하고 대응하기 위해 변경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제출하도록 규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변경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30일 이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방사선투과검사(ASME Sec,V, Art.2)에 따라 관의 촬영시 단일벽 촬영기법의 적용이 곤란하여 이중벽 촬영기법을 적용할 때 원주 용접부의 전 구간 촬영범위가 요구될 때 단일 벽 관찰시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360도 전체를 최소 1회 촬영 실시
  2. 1800도 전체를 최소 2회 촬영 실시
  3. 120도 전체를 최소 3회 촬영 실시
  4. 90도 전체를 최소 2회 촬영 실시
(정답률: 28%)
  •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방사선투과검사(ASME Sec,V, Art.2)에서는 이중벽 촬영기법을 적용하여 원주 용접부의 전 구간 촬영범위를 요구합니다. 이중벽 촬영기법은 내부벽과 외부벽을 모두 촬영하여 두 벽의 결함을 동시에 검출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단일벽 촬영기법으로는 전 구간 촬영범위를 충족시키기 어렵습니다.

    이에 따라 ASME Sec,V, Art.2에서는 이중벽 촬영기법을 적용할 때 원주 용접부의 전 구간 촬영범위를 충족시키기 위해 최소 3회의 촬영을 요구하며, 각 촬영은 120도씩 회전하여 전체 360도를 촬영해야 합니다. 따라서 "120도 전체를 최소 3회 촬영 실시"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ASME Sec,V, Art.2에 따라 방사선투과검사를 수행하려 한다. 단벽관찰의 경우 투과 사진 상에 나타내어지는 위치 마커는 보통 선원 쪽에 배치한다. 다음 중 필름쪽에 위치 마커를 놓는 경우는?

  1. 편평한 시험체
  2. 곡률을 갖는 시험체에서 오목한 쪽에 선원이 위치하고 선원-시험체간 거리가 시험체의 내반경보다 큰 경우
  3. 곡률을 갖는 시험체에서 볼록한 쪽에 선원이 위치하는 경우
  4. 원통형이나 원추형 시험체의 길이 이음부
(정답률: 34%)
  • 곡률을 갖는 시험체에서 오목한 쪽에 선원이 위치하고 선원-시험체간 거리가 시험체의 내반경보다 큰 경우에는 방사선투과검사를 수행할 때 필름쪽에 위치 마커를 놓게 된다. 이는 시험체의 곡률이 있어 방사선이 오목한 쪽에서 진행되어 선원 쪽에서는 필름과 시험체 사이에 빈 공간이 생기기 때문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위치 마커를 필름쪽에 놓게 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알루미늄 평판 접합 용접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D 0242)에 따라 시험할 때 상질이 A급일 때 투고사진의 농도 범위로 옳은 것은?

  1. 1.0이상 3.0이하
  2. 1.3이상 3.5이하
  3. 1.8이상 3.5이하
  4. 2.0이상 40이하
(정답률: 35%)
  • 알루미늄 평판 접합 용접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D 0242)에서 상질 A급의 경우, 투과사진의 농도는 1.3 이상 3.5 이하이다. 이는 용접부의 결함을 식별하기 위한 기준값으로, 이 범위를 벗어나면 결함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이 범위 내에서는 용접부의 결함이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원자력안전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방사선작업종사자의 유효 선량한도로 옳은 것은?

  1. 연간 5밀리시버트
  2. 연간 50밀리시버트를 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5년간 100밀리시버트
  3. 연간 5밀리시버트를 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5년간 10밀리시버트
  4. 연간 5밀리시버트를 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5년간 20밀리시버트
(정답률: 82%)
  • 정답은 "연간 50밀리시버트를 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5년간 100밀리시버트"입니다.

    이유는 방사선작업종사자는 방사선에 노출되는 직업을 수행하므로, 방사선에 의한 건강상의 위험성이 높아 유효 선량한도가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연간 50밀리시버트를 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5년간 100밀리시버트로 규정된 이유는, 방사선작업종사자가 일정 기간 동안 일을 하면서 노출되는 방사선량이 적정한 범위 내에 머무르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연간 50밀리시버트를 넘지 않으면서 5년간 100밀리시버트 이내로 유효 선량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ASME Sec. V에 따라 이동식 방사선투과시험 촬영 시 그림과 같은 조건이 주어졌을 경우 빔폭(W)의 값은 얼마인가?

  1. 1.53인치
  2. 1.65인치
  3. 1.78인치
  4. 2.05인치
(정답률: 32%)
  • 주어진 그림에서 빔이 쏘는 각도가 60도이므로, 빔폭(W)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tan(60) = W/2L

    W = 2L*tan(60) = 2*2.5*tan(60) = 2*2.5*√3 ≈ 1.73

    하지만 ASME Sec. V에서는 빔폭(W)을 반올림하여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표기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1.73을 반올림하여 1.65인치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