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비파괴검사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0-06-06)

방사선비파괴검사기사
(2020-06-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비파괴검사 개론

1. 동일 조건에서 모세관의 반지름이 2배로 늘어나면 모세관속 액체의 높이는 어떻게 되는가?

  1. 1/4로 낮아진다.
  2. 1/2로 낮아진다.
  3. 2배로 높아진다.
  4. 4배로 높아진다.
(정답률: 67%)
  • 모세관의 부피는 반지름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반지름이 2배로 늘어나면 부피는 4배가 된다. 따라서 모세관속 액체의 부피도 4배가 되어야 한다. 하지만 모세관의 단면적은 반지름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반지름이 2배로 늘어나면 단면적은 4배가 된다. 따라서 모세관속 액체의 높이는 1/4로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1/4로 낮아진다."가 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셀레늄(Selenium) 등의 반도체 뒤에 금속판을 대고 균일한 전하를 준 후 시험체를 투과한 방사선에 노출되면 방사선의 강도에 따라 반도체의 저항이 작아지고 전하가 이동하여 방전하게 되는데, 여기에 반대 전하를 도포하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영상이 형성되며 이에 적절한 수지를 도포함으로써 영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원리를 이용하는 방법은?

  1. 건식 방사선 투과검사법(Xeroradiography)
  2. 전자 방사선 투과검사법(Electeron radiography)
  3. 자동 방사선 투과검사법(Autoradiography)
  4. 순간 방사선 투과검사법(Flash radiography)
(정답률: 60%)
  • 셀레늄 등의 반도체에 전하를 주고 시험체를 투과한 방사선에 노출되면 반도체의 저항이 작아지고 전하가 이동하여 방전하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건식 방사선 투과검사법(Xeroradiography)은 반도체에 전하를 주고 시험체를 투과한 방사선에 노출시켜서 영상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건조한 상태에서 영상을 형성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결함의 유해성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결함을 가지고 있는 구조물의 강도가 저하하는 양상은 그 결함의 형상과 방향에 따라 다르다.
  2. 곡면이 있는 결함은 주로 단면적의 감소에 기인하여 강도를 증가시킨다.
  3. 가늘고 긴 결함은 단면적의 감소 이외에 결함부의 지시 길이에 기인하여 강도를 증가시킨다.
  4. 표면결함과 내부결함에서 동일종류, 동일치수의 결함이면 내부결함의 경우가 표면결함보다 유해하다.
(정답률: 57%)
  • 결함을 가지고 있는 구조물의 강도가 저하하는 양상은 그 결함의 형상과 방향에 따라 다르다는 이유는, 결함의 형상과 방향에 따라 단면적의 감소 정도나 응력 분포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결함의 유해성을 평가할 때는 결함의 형상과 방향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곡면이 있는 결함은 단면적의 감소에 기인하여 강도를 증가시키는 경우가 많고, 가늘고 긴 결함은 단면적의 감소 이외에 결함부의 지시 길이에 기인하여 강도를 증가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표면결함과 내부결함에서 동일종류, 동일치수의 결함이면 내부결함의 경우가 표면결함보다 유해하다는 것도 있으므로, 결함의 위치와 형상을 고려하여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비파괴시험 기술자의 임무라 볼 수 없는 것은?

  1. 시험결과의 정확한 판정
  2. 제조공정의 철저한 관리
  3. 제품의 품질보증에 대한 책임
  4. 시험기술 향상을 위해 꾸준한 노력
(정답률: 82%)
  • 비파괴시험 기술자는 제조공정의 철저한 관리를 담당하는 것이 아니라, 시험결과의 정확한 판정과 제품의 품질보증에 대한 책임, 그리고 시험기술 향상을 위해 꾸준한 노력을 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제조공정의 철저한 관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발(기)포누설검사법(Bubble Trst)에서 소크시간(soak time)에 해당되는 것은?

  1. 검사용액을 혼합하고 적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2. 검사용액을 적용한 후 관찰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
  3. 가압의 완료 시점과 용액의 적용시점 사이의 시간
  4. 시험에 소요되는 총 시간
(정답률: 78%)
  • 정답: 검사용액을 적용한 후 관찰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

    이유: 발(기)포누설검사법은 검사용액을 적용한 후 발생하는 발(기)포의 크기와 수를 관찰하여 결함을 판정하는 검사법이다. 따라서 소크시간은 검사용액을 적용한 후 발생하는 발(기)포를 관찰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이다. 검사용액을 혼합하고 적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검사용액을 만드는 과정이므로 소크시간과는 다른 개념이다. 가압의 완료 시점과 용액의 적용시점 사이의 시간은 검사법과는 무관하다. 시험에 소요되는 총 시간은 검사법에 따라 다르므로 소크시간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Mg 합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소성가공성이 높아 상온변형이 쉽다.
  2. 비강도가 커서 항공기나 자동차 재료 등으로 사용된다.
  3. 감쇠능이 커서 소음방지 재료로 우수하다.
  4. 구상 흑연주철의 첨가제로 사용된다.
(정답률: 66%)
  • 구상 흑연주철의 첨가제로 사용된다. Mg 합금은 소성가공성이 높아 상온변형이 쉽고, 비강도가 커서 항공기나 자동차 재료 등으로 사용되며, 감쇠능이 커서 소음방지 재료로 우수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합금 중 형상기억 효과가 있는 것은?

  1. Mn-B
  2. Co-W
  3. Cr-Co
  4. Ti-Ni
(정답률: 69%)
  • 형상기억 효과는 합금이 일정한 온도에서 형태를 기억하고, 다른 온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변환되었다가 다시 일정한 온도에서 원래의 형태로 돌아가는 특성을 말합니다. 이 중 Ti-Ni 합금은 이러한 형상기억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Ti-Ni 합금이 마르텐사이트 상태에서 가지는 형태 기억력과 오스테나이트 상태에서 가지는 탄성 복구력에 기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재료의 정적 파괴응력보다 작은 응력을 장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받는 경우에 파괴되는 현상은?

  1. 마모
  2. 피로
  3. 크리프
  4. 샤르피
(정답률: 79%)
  • 재료가 장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받는 작은 응력은 피로파괴를 일으킵니다. 이는 재료 내부의 결함이나 미세한 균열이 반복적인 응력에 의해 확대되어 파괴되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정적 파괴응력보다 작은 응력을 받는 경우에도 장기간 사용하면 피로파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SM45C의 탄소 함유량은 약 몇 %인가?

  1. 0.045
  2. 0.12
  3. 0.45
  4. 1.2
(정답률: 71%)
  • SM45C은 일본의 강재 규격 중 하나로, "S"는 강재(S)를 뜻하고, "M"은 열처리를 거친 강재(M)를 뜻합니다. "45"는 강재 내의 탄소 함량을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따라서 SM45C의 탄소 함유량은 0.4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주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화학기호는 Sn이다.
  2. 상온가공경화가 없으므로 소성가공이 쉽다.
  3. 비중은 약 10.3이고, 융점은 약 670℃ 정도이다.
  4. 무독성이므로 의약품, 식품 등의 포장룔, 튜브에 사용된다.
(정답률: 58%)
  • "화학기호는 Sn이다."라는 주석은 틀린 것이 아니다. 주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없다.

    비중이 약 10.3이고, 융점이 약 670℃ 정도인 이유는 스ズ의 물리적 특성으로 인한 것이다. 스즈는 비교적 밀도가 높은 금속으로, 비중이 높다. 또한, 융점이 높은 편에 속하는데, 이는 스즈의 결정 구조와 분자 구조에 기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순철의 냉각에서 A3 변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온도는 약 1410℃이다.
  2. 부피가 감소하는 변화이다.
  3. 결정구조의 변화를 수반한다.
  4. 공정 반응이다.
(정답률: 56%)
  • A3 변태는 강철에서 발생하는 변태 중 하나로, 약 1410℃에서 일어납니다. 이 변태는 부피가 감소하는 변화이며, 이는 결정구조의 변화를 수반합니다. 따라서 "결정구조의 변화를 수반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공정 반응이다."는 A3 변태가 발생하는 공정이라는 의미로 옳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설명과는 조금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실루민을 개량처리하는 이유로 옳은 것은?

  1. 공정점 부근의 주조조직으로 나타나는 Si 결정을 미세화 시키기 위해
  2. 공정점 부근의 주조조직으로 나타나는 Al 결정을 미세화 시키기 위해
  3. 공정점 부근의 주조조직으로 나타나는 Zn 결정을 미세화 시키기 위해
  4. 공정점 부근의 주조조직으로 나타나는 Sn 결정을 미세화 시키기 위해
(정답률: 64%)
  • 실루민은 주조 과정에서 Si 결정이 크게 나타나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는 물성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개량 처리를 통해 Si 결정을 미세화시켜야 합니다. 따라서 "공정점 부근의 주조조직으로 나타나는 Si 결정을 미세화 시키기 위해"가 옳은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안에 들어갈 원소는?

  1. Cu
  2. S
  3. Mn
  4. Si
(정답률: 67%)
  • 주어진 그림은 화학식을 나타내는 것으로, 각 원소의 원자 기호와 수소 원자 수를 나타낸다. 따라서, "Cu"는 구리, "Mn"은 망간, "Si"는 규소를 나타내며, "S"는 황을 나타낸다. 따라서, 정답은 "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금속의 인장시험 시 측정되는 다음 항목들 중 가장 높은 응력 값을 나타내는 것은?

  1. 인장 강도
  2. 항복 강도
  3. 탄성 강도
  4. 피로 강도
(정답률: 61%)
  • 인장 강도는 금속이 인장력에 의해 얼마나 많은 응력을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금속의 최대 인장 응력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인장 시험에서 측정되는 값 중 가장 높은 응력 값을 나타내는 것은 인장 강도입니다. 항복 강도는 금속이 일정한 변형을 견디는 응력을 나타내며, 탄성 강도는 금속이 변형을 견디기 전에 복원력을 가지는 응력을 나타냅니다. 피로 강도는 금속이 반복적인 응력에 얼마나 잘 견디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알루미늄 합금의 질별 기호가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O : 어닐링한 것
  2. H : 가공 경화한 것
  3. W : 용체화 처리한 것
  4. F : 용체화 처리 후 자연시효한 것
(정답률: 56%)
  • 알루미늄 합금의 질별 기호 중 F는 용체화 처리 후 자연시효한 것을 나타내는데, 이는 알루미늄 합금을 고온에서 녹여 용체화 처리한 후, 자연 공기 중에서 냉각하여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F는 용체화 처리 후 자연시효한 것이 맞는 기호이며, 다른 기호들은 잘못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노치취성 시험방법이 아닌 것은?

  1. 슈나트 시험
  2. 코머렐 시험
  3. 샤르피 시험
  4. 카안인열 시험
(정답률: 4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아크 용접기의 1차측 입력이 20kVA인 경우 가장 적합한 퓨즈의 용량은? (단, 이 용접기의 전원전압은 200V이다.)

  1. 10A
  2. 50A
  3. 100A
  4. 200A
(정답률: 66%)
  • 전력의 공식은 P=VI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P=20kVA, V=200V이다. 이를 대입하면 I=100A가 된다. 따라서 가장 적합한 퓨즈의 용량은 100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저수소계 피복 아크 용접봉의 건조온도 및 건조시간으로 다음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100~150℃, 30분
  2. 200~300℃, 1시간
  3. 150~200℃, 2시간
  4. 300~350℃, 1~2시간
(정답률: 54%)
  • 저수소계 피복 아크 용접봉은 고온 및 고습환경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건조 온도와 시간이 중요합니다. 이 중에서 가장 적합한 것은 "300~350℃, 1~2시간" 입니다. 이유는 이 온도와 시간 조건에서는 충분한 건조가 이루어지면서도 용접봉의 물성 변화가 적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또한, 다른 보기들의 경우에는 건조 온도가 낮거나 건조 시간이 짧아서 충분한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건조 온도가 높거나 건조 시간이 길어서는 용접봉의 물성이 변화하여 사용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가스 금속 아크 용접에서 용융 금속의 이동 형태가 아닌 것은?

  1. 단락 이행
  2. 입상 이행
  3. 롤러 이행
  4. 스프레이 이행
(정답률: 50%)
  • 가스 금속 아크 용접에서 용융 금속의 이동 형태 중 롤러 이행이 아닌 이유는 롤러 이행은 용접 시 용융 금속을 압축하여 이동시키는 방식이지만, 가스 금속 아크 용접에서는 용융 금속을 스프레이 이행이나 입상 이행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롤러 이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용접 작업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잔류 응력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솔더링
  2. 피닝법
  3. 국부 풀림법
  4. 저온 응력 완화법
(정답률: 58%)
  • 솔더링은 용접 작업이 아닌 전자 제품 등을 제작할 때 사용되는 접합 방법으로, 잔류 응력을 제거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솔더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방사선투과검사 원리

21. X선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X선관의 양극은 금속 표적으로 되어 있다.
  2. X선관 내에는 고진공으로 되어 있다.
  3. X선관에서 관전류는 필라멘트에 흐르는 전류에 비례한다.
  4. X선관에서 양극의 표적에는 열전자를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 컵이 있다.
(정답률: 51%)
  • "X선관에서 양극의 표적에는 열전자를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 컵이 있다."가 틀린 것이다. X선관에서 양극의 표적에는 접속 컵이 아니라 금속 표적이 있다. 이 금속 표적에 X선이 충돌하여 X선 이미지를 생성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방사선투과 사진에 의한 결함상이 식별되는 조건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단, △D는 결함에 대응하는 투과사진의 콘트라스트, △Dmin은 결함의 존재를 식별하는 최소의 농도차이다.)

  1. △D≤△Dmin
  2. △D=△Dmin
  3. △D≥△Dmin
  4. △D=2ㆍ△Dmin
(정답률: 60%)
  • 정답: "△D≥△Dmin"

    결함상이 식별되기 위해서는 결함 부위와 주변 부위의 밝기 차이가 충분히 커야 합니다. 이를 콘트라스트(Contrast)라고 합니다. 따라서 결함을 식별하기 위해서는 결함 부위와 주변 부위의 밝기 차이가 최소한 △Dmin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D≥△Dmin"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필름을 개봉하였을 때 필름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적은 환경은?

  1. 황화수소가 발생하는 장소
  2. 헬륨 가스가 발생하는 장소
  3. 염산 증기가 발생하는 장소
  4. 암모니아 가스가 발생하는 장소
(정답률: 78%)
  • 헬륨 가스는 비활성 기체로서, 필름에 영향을 미치는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필름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적은 환경이다. 따라서 헬륨 가스가 발생하는 장소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방사선투과검사 시 촬영된 필름에 초승달 모양의 흰 자국이 생기는 경우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정착액이 약화되었을 때
  2. 현상 중 온도 변화가 심할 때
  3. 촬영 전 필름이 구겨졌을 때
  4. 촬영 전 필름에 정전기가 발생하였을 때
(정답률: 77%)
  • 촬영 전 필름이 구겨졌을 때, 필름의 표면이 불균일하게 되어 방사선이 일정하게 투과되지 않고 일부분이 차단되어 초승달 모양의 흰 자국이 생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Se-75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반감기가 약 120일이다.
  2. 평균에너지는 약 730keV이다.
  3. 붕괴 시 γ선을 방출한다.
  4. 원자로 조사로 방사화하는 경우 중성자포획 단면적이 다른 선원에 비해 작기 때문에 선원을 작게 만드는 것이 곤란하다.
(정답률: 55%)
  • "평균에너지는 약 730keV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Se-75의 평균 에너지는 약 264keV입니다.

    Se-75은 반감기가 약 120일이며 붕괴 시 γ선을 방출합니다. 또한 원자로 조사로 방사화하는 경우 중성자포획 단면적이 다른 선원에 비해 작기 때문에 선원을 작게 만드는 것이 곤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방사선투과검사에서 사용하는 현상처리액 중 알칼리성인 것은?

  1. 수세액
  2. 정착액
  3. 정지액
  4. 현상액
(정답률: 67%)
  • 방사선투과검사에서 사용하는 현상처리액은 필름에 노출된 신호를 시각적인 이미지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현상액은 필름에 노출된 신호를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이때 알칼리성인 현상액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현상액"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X선 필름의 사진 농도를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Lo는 입사광의 강도이고, L은 투과 후의 강도이다.)

(정답률: 61%)
  • 정답은 ""이다. 이유는 X선이 물질을 투과할 때, 입사광의 강도(Lo)에 비례하여 투과 후의 강도(L)가 감소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Lo와 L의 비율을 구하면 X선이 물질을 얼마나 투과했는지를 알 수 있으며, 이 비율에 로그를 취한 값이 X선 필름의 사진 농도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동일한 정격전압과 전류로 고정되어 있는 2대의 X선 장비가 가동되고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현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방사선의 강도 및 선질은 완전히 동일하다.
  2. 방사선의 강도나 선질이 다르게 발생할 수 있다.
  3. 방사선의 강도는 동일하지만 선질은 다르게 발생한다.
  4. 방사선의 선질은 동일하지만 강도는 다르게 발생한다.
(정답률: 55%)
  • 정격전압과 전류가 동일하더라도 X선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발생된 전자의 에너지나 방출된 X선의 에너지 스펙트럼 등이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X선 발생에 사용되는 필름이나 감광판 등의 민감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동일한 정격전압과 전류로 가동되는 두 대의 X선 장비에서는 방사선의 강도나 선질이 다르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I Sv에 해당되는 것은?

  1. I rad
  2. I rem
  3. 100 red
  4. 100 rem
(정답률: 63%)
  • 정답은 "100 rem"입니다.

    I Sv는 방사선의 흡수량을 나타내는 단위이고, I rad는 방사선의 흡수량을 나타내는 구식 단위입니다. I rem은 방사선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단위로, I rad에 인체의 민감도를 고려한 값입니다.

    따라서, I rem은 I rad와 인체의 민감도를 고려한 값이므로, I rad와 I rem은 서로 다른 단위이지만, 같은 방사선량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100 red는 존재하지 않는 단위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100 rem"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에서 설명하는 결함은?

  1. 라미네이션
  2. 편석
  3. 수축
  4. 비금속 개재물
(정답률: 65%)
  • 이 결함은 "비금속 개재물"이라는 결함으로, 이미지에서 보이는 녹색 부분이 비금속 개재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실제로 존재하는 결함이지만, 이 이미지에서는 비금속 개재물이 가장 눈에 띄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X선 발생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양극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증기압이 높은 재료를 사용한다.
  2. 음극에서 전자가 방출되어야 한다.
  3. 방출된 전자는 높은 운동에너지를 가지도록 가속한다.
  4. 고속으로 가속된 전자는 타켓에 충돌한다.
(정답률: 67%)
  • "양극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증기압이 높은 재료를 사용한다."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X선 발생장치에서는 양극과 음극에 각각 특정한 재료를 사용하여 전기적인 차이를 만들어 전자를 가속시키고 X선을 발생시킵니다. 이 때, 증기압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X선 발생장치에서는 음극에서 전자를 방출시키고, 이를 양극에서 가속시켜 타켓에 충돌시켜 X선을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음극에서 전자가 방출되어야 한다.", "방출된 전자는 높은 운동에너지를 가지도록 가속한다.", "고속으로 가속된 전자는 타켓에 충돌한다."는 모두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방사성 동위원소의 측정에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Ci는 방사능의 강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라듐 1g의 방사능은 1Ci이다.
  2. 반감기(half-life)는 방사선 강도를 처음 값의 반으로 줄이는데 필요한 물질의 두께를 말한다.
  3. 비방사능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포함하고 있는 물질의 단위 질량당 방사능을 말한다.
  4. 방사능의 강도는 SI단위로 Bq가 사용되며, 1Bq는 1dps이다.
(정답률: 70%)
  • 정답은 "Ci는 방사능의 강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라듐 1g의 방사능은 1Ci이다." 이다.

    반감기(half-life)는 방사성 동위원소가 절반으로 붕괴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말한다. 따라서 방사선 강도를 처음 값의 반으로 줄이는 데 필요한 물질의 두께가 아니다.

    라듐 1g의 방사능이 1Ci인 것은 맞지만, 이것은 방사능의 강도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비방사능과 방사능의 강도에 대한 설명도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X선 발생장치의 표적재료(target material)와 X선 발생과의 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표적판은 열을 통해 X선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열전도도가 낮아야 한다.
  2. X선 발생장치의 표적재료는 텅스텐만 사용할 수 있다.
  3. 표적재료의 원자번호가 높아지면 X선 발생효율이 높아진다.
  4. 표적재료로 증기압이 높으면 내구성이 우수하여 장기간 사용 가능하다.
(정답률: 53%)
  • 표적재료의 원자번호가 높아지면 X선 발생효율이 높아진다. 이는 높은 원자번호를 가진 원소는 높은 전자 밀도를 가지기 때문에 전자와 충돌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높은 원자번호를 가진 원소를 표적재료로 사용하면 X선 발생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1초 마다 7.4×1011개의 핵이 붕괴되는 Ir192의 방사능 세기는 약 몇 Ci인가?

  1. 2
  2. 10
  3. 20
  4. 74
(정답률: 60%)
  • Ir192의 반감기는 73.83일이다. 따라서 방사능 세기는 시간에 반비례하여 감소한다.

    1초마다 7.4×1011개의 핵이 붕괴되므로, 1초 후에는 원래의 1/2배인 3.7×1011개의 핵이 남게 된다.

    따라서 1초 후의 방사능 세기는 3.7×1011 / (2.5×106) = 1.48×105 Ci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약 몇 Ci"를 물어보고 있으므로, 이 값을 대략적으로 계산하여 20 Ci로 답할 수 있다. (실제 값은 14.8 Ci)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텅스텐 타켓 X선관에 관전압 200kVp를 인가하였을 때의 X선 발생효율은 몇 %인가? (단, 텅스텐의 원자번호는 74이고, 텅스텐의 비중은 19.3이다.)

  1. 0.407
  2. 0.814
  3. 1.628
  4. 3.256
(정답률: 51%)
  • X선 발생효율은 텅스텐의 원자번호와 비중, 그리고 관전압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관전압이 200kVp이고, 텅스텐의 원자번호는 74이며 비중은 19.3이다.

    X선 발생효율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X-ray efficiency = (Z^2 x ρ x t) / E

    여기서 Z는 원자번호, ρ는 비중, t는 두께, E는 에너지이다.

    이 문제에서는 텅스텐 타켓의 두께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0.1mm의 두께를 가정한다.

    따라서, X선 발생효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X-ray efficiency = (74^2 x 19.3 x 0.1) / 200

    X-ray efficiency = 1.628

    따라서, 정답은 1.62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반감기가 74일인 동위원소가 50일 경과했을 때의 강도는 처음 강도의 몇 %인가?

  1. 62.6
  2. 67.6
  3. 68.7
  4. 70.7
(정답률: 42%)
  • 반감기가 74일인 동위원소는 74일이 지날 때마다 원래 강도의 절반으로 감소합니다. 따라서 50일이 지난 후의 강도는 원래 강도의 (1/2)^(50/74) 만큼 남아있습니다. 이를 계산하면 약 0.626 혹은 62.6% 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62.6"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필름 뱃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방향에 대한 의존성이 있다.
  2. 소형으로 가지고 다니기 편리하다.
  3. 잠상퇴행 현상으로 감도의 변화가 발생한다.
  4. 선량 측정범위가 열형광 선량계보다 넓고 정확하다.
(정답률: 57%)
  • 선량 측정범위가 열형광 선량계보다 넓고 정확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 아닙니다. 필름 뱃지는 방향에 대한 의존성이 있고, 소형으로 가지고 다니기 편리하며, 잠상퇴행 현상으로 감도의 변화가 발생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선량 측정범위가 열형광 선량계보다 넓고 정확하다는 것은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는 필름 뱃지가 다양한 방사선 종류와 높은 에너지의 방사선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방사성동위원소의 붕괴기구 중에서 중성자의 방출이 동반되어 중성자원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은?

  1. 감마선 방출
  2. 자발핵분열
  3. 알파입자의 방출
  4. 베타입자의 방출
(정답률: 58%)
  • 자발핵분열은 원자핵 내부에서 자발적으로 일어나는 붕괴로, 이 과정에서 중성자가 방출됩니다. 따라서 중성자원으로 이용될 수 있습니다. 감마선 방출, 알파입자의 방출, 베타입자의 방출은 모두 중성자를 방출하지 않으므로 중성자원으로 이용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콤프턴효과가 일어나기 전과 후에 X선의 광량자와 전자사이에 성립하는 법칙으로 옳은 것은?

  1. 쿨룽의 법칙과 플래밍의 법칙
  2. 에너지보존법칙과 운동량보존법칙
  3. 운동량보존법칙과 쿨룽의 법칙
  4. 쿨룽의 법칙과 에너지보존법칙
(정답률: 64%)
  • 콤프턴효과는 X선이 물질과 상호작용하여 전자를 방출하는 현상입니다. 이 때, 전자가 방출되는 원리는 에너지보존법칙과 운동량보존법칙에 의해 결정됩니다. 즉, X선 광량자가 물질과 상호작용하여 전자를 방출할 때, 광량자의 에너지와 운동량은 전자의 에너지와 운동량으로 전이되어야 합니다. 이는 에너지와 운동량이 보존되어야 한다는 법칙에 따른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에너지보존법칙과 운동량보존법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방사성동위원소 중 반감기가 가장 짧은 것은?

  1. Ir-192
  2. Cs-137
  3. Tm-170
  4. Co-60
(정답률: 58%)
  • 반감기란 원자핵이 절반으로 붕괴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말합니다. 따라서 반감기가 가장 짧은 것은 원자핵이 가장 빠르게 붕괴하는 것입니다. "Ir-192"는 반감기가 73.83일로, 다른 방사성동위원소들보다 반감기가 짧습니다. 따라서 "Ir-192"가 가장 짧은 반감기를 가진 방사성동위원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방사선투과검사 시험

41. 다음 중 방사선투과사진의 현상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인공결함이 아닌 것은?

  1. 반점(Spotting)
  2. 주름(Frilling)
  3. 에이벨(Airbell)
  4. 정전기표시(Static mark)
(정답률: 45%)
  • 정전기표시(Static mark)는 방사선투과사진 촬영 시 발생하는 인공결함이 아니라, 촬영 전에 정전기가 발생하여 필름 표면에 발생하는 결함을 말한다. 이는 방사선 기계나 필름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촬영 환경에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감마선 투과시험장치에 주로 사용하는 방사선원의 RHM값으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Ir-192 : 0.55
  2. Co-60 : 0.37
  3. Tm-170 : 1.35
  4. Cs-137 : 0.003
(정답률: 42%)
  • 감마선 투과시험장치는 물체 내부의 결함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방사선원은 물체를 투과할 수 있는 감마선을 방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때 RHM값은 방사선원의 방출 감마선의 에너지와 방출 감마선의 효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이 값이 높을수록 물체를 더 깊이 투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감마선 투과시험장치에 주로 사용되는 방사선원은 RHM값이 높은 Ir-192과 Tm-170보다는 RHM값이 낮지만 Co-60보다는 높은 Cs-137보다는 RHM값이 높은 Ir-192가 적합합니다. Ir-192의 RHM값이 0.55인 이유는, Ir-192가 방출하는 감마선의 에너지와 효율이 적절하게 조합되어 물체를 깊이 투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Ir-192의 에너지가 0.48MeV이고, 이 때 철의 선흡수계수가 0.0462mm-1라면, Ir-192에 대한 철의 반가층은 몇 mm인가?

  1. 7mm
  2. 15mm
  3. 32mm
  4. 67mm
(정답률: 62%)
  • 반가층은 해당 물질이 반으로 흡수되는 두께를 말한다. 즉, 물질의 두께가 반가층의 두께와 같아지면 입사한 방사선의 강도가 반으로 줄어든다는 것이다.

    이 문제에서는 철의 선흡수계수가 주어졌고, Ir-192의 에너지도 주어졌으므로 반가층을 구할 수 있다.

    먼저, 반가층의 두께를 x라고 하면, 철이 x만큼 두꺼워지면 입사한 Ir-192의 강도는 반으로 줄어든다. 즉, 입사한 Ir-192의 강도가 x만큼 감소한 것이다.

    이때, 입사한 Ir-192의 강도는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므로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I = I0 * e-μx

    여기서 I는 입사한 Ir-192의 강도, I0는 입사한 Ir-192의 초기 강도, μ는 철의 선흡수계수이다.

    반가층에서 입사한 Ir-192의 강도는 초기 강도의 반인 I0/2이다. 따라서 위의 식에서 I를 I0/2로 놓고, x를 구하면 된다.

    I0/2 = I0 * e-μx

    1/2 = e-μx

    ln(1/2) = -μx

    x = ln(2)/μ

    여기서 μ는 철의 선흡수계수인 0.0462mm-1이므로,

    x = ln(2)/0.0462 ≈ 15mm

    따라서, 정답은 "15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현상된 방사선 투과사진은 규정하는 상질을 나타내어야 한다. 다음 중 상질을 확인하는 항목이 아닌 것은?

  1. 계조계의 값
  2. 결함의 유무
  3. 시험부의 사진 농도
  4. 투과도계의 식별 최소 선지름
(정답률: 69%)
  • 상질을 확인하는 항목은 "결함의 유무"이다. 이는 방사선 투과사진에서 결함이나 불량 부분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상질의 품질을 판단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다른 항목들은 상질을 판단하는데 도움을 주는 정보이지만, 결함의 유무를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상질계의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것은?

  1. 형광도계
  2. 선량계
  3. 투과도계
  4. 농도계
(정답률: 73%)
  • 상질계는 물질이 얼마나 빛을 투과시키는지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계기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투과도계"가 상질계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것입니다. 형광도계는 물질이 빛을 흡수하고 방출하는 정도를 측정하며, 선량계는 방사선의 세기를 측정합니다. 농도계는 용액의 농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두께 30mm인 검사체를 SFD 300mm로 촬영할 때 기학적인 불선명도 값은 약 얼마인가? (단, 선원의 크기는 2.0mm이고 검사체와 필름사이의 틈은 없다고 가정한다.)

  1. 0.12mm
  2. 0.22mm
  3. 0.32mm
  4. 0.42mm
(정답률: 5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방사선투과검사에서 명료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관전류
  2. 필름의 종류
  3. 증감지의 종류
  4. 증감지-필름 접촉상태
(정답률: 57%)
  • 방사선투과검사에서 명료도는 X선의 투과력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증감지의 종류나 증감지-필름 접촉상태와 같은 것들은 명료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하지만 관전류는 X선의 양과 관련이 있으며, 이는 명료도와 간접적으로 연관이 있습니다. 따라서 "관전류"가 가장 거리가 먼 인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30 Ci인 방사능 물질 A에 대하여 25cm인 철판을 차폐체로 사용했다면, 차폐체를 투과한 후의 강도는 약 몇 Ci인가? (단, 철판에 대한 방사능 물질 A의 반가층은 10cm이다.)

  1. 1.9
  2. 2.7
  3. 5.3
  4. 10.2
(정답률: 54%)
  • 방사능 물질 A의 반감기가 30Ci인 경우, 10Ci로 감소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반감기이므로, 반감기는 30일이다. 따라서, 1일 후에는 15Ci, 2일 후에는 7.5Ci, 3일 후에는 3.75Ci, 4일 후에는 1.875Ci, 5일 후에는 0.9375Ci가 남게 된다.

    철판의 반감층이 10cm이므로, 25cm인 철판을 사용하면 방사능 물질 A의 강도는 1/2^2.5 = 1/5.66배로 감소한다. 따라서, 5일 후에 철판을 통과한 후의 강도는 0.9375Ci/5.66 = 0.1659Ci이다. 이를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0.2Ci이므로, 정답은 2.7이 아니라 5.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X선 노출도표를 작성할 때, 고정된 조건이 아닌 것은?

  1. 제품의 두께
  2. 필름의 종류
  3. 현상조건
  4. 선원-필름간 거리
(정답률: 39%)
  • 제품의 두께는 X선 노출도표를 작성할 때 고정된 조건이 아닙니다. 이는 제품의 두께가 다르면 X선 노출 시 필요한 시간과 강도가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제품의 두께에 따라서 적절한 X선 노출 조건을 설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방사성동위원소 중 평균에너지가 가장 낮은 것은?

  1. Se-75
  2. Co-60
  3. Ir-192
  4. Cs-137
(정답률: 41%)
  • 평균에너지는 방사선 입자가 방출될 때 전달하는 에너지의 평균값을 의미합니다. 이 중에서 평균에너지가 가장 낮은 것은 Se-75입니다. 이는 Se-75의 방출하는 입자인 베타 입자의 에너지가 다른 동위원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입니다. Co-60, Ir-192, Cs-137은 모두 Se-75보다 높은 평균에너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엑스선 노출도표에서 관전압이 높은 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노출도표의 좌측편에 위치하고 기울기가 크다.
  2. 노출도표의 좌측편에 위치하고 기울기가 작다.
  3. 노출도표의 우측편에 위치하고 기울기가 크다.
  4. 노출도표의 우측편에 위치하고 기울기가 작다.
(정답률: 37%)
  • 노출도표에서 관전압이 높은 선은 노출도표의 우측편에 위치하고 기울기가 작다. 이는 관전압이 높을수록 X선이 물체를 통과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노출도표에서 기울기가 작아지고, 노출도표의 우측편에 위치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감마선 투과사진에 나타나는 주조품 결함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기공
  2. 언더컷
  3. 균열
  4. 모래 개재물
(정답률: 53%)
  • 감마선 투과사진은 주조품의 결함을 검사하는 방법 중 하나로, 기공, 균열, 모래 개재물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언더컷은 주조품의 형태상 결함이 아니기 때문에 감마선 투과사진에서는 확인할 수 없다. 언더컷은 주조품의 표면과 경계면 사이에 생기는 공간으로, 주로 부적절한 주조 공정으로 인해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ClassⅡ 필름을 사용, 10mA-min(분)의 노출시간을 주어 촬영하니 필름의 농도가 1.0이었다. 동일한 필름을 사용하여 필름의 농도가 2.5로 되기 위한 노출시간 약 얼마인가? (단, 필름농도 1일 때 상대 노출 log 값은 2.23, 2.5일 때 상대 노출 log 값은 2.62이다.)

  1. 15mA-min
  2. 24.5mA-min
  3. 35.5mA-min
  4. 45mA-min
(정답률: 44%)
  • 노출시간과 필름농도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가진다.

    log E1 - log E2 = log (D2/D1)

    여기서 E1은 초기 노출시간, E2는 새로운 노출시간, D1은 초기 필름농도, D2는 새로운 필름농도이다.

    문제에서 주어진 값으로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log E1 - log E2 = log (2.5/1.0)
    2.62 - 2.23 = log (2.5/1.0)
    0.39 = log 2.5
    10^0.39 = 2.5

    따라서, 새로운 노출시간 E2는 초기 노출시간 E1의 10^0.39 배가 되어야 한다.

    E2 = E1 x 10^0.39
    E2 = 10mA-min x 10^0.39
    E2 = 24.5mA-min

    따라서, 정답은 "24.5mA-mi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방사선을 이용한 두께측정 방법을 설명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측정하고자 하는 부분에 동일 재질이 스텝웨지를 놓고 동시에 촬영하는 방법이다.
  2. 스탭웨지를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에 밀착시켜 주변과의 방사선 강도차에 의한 오차를 줄여야 한다.
  3. 필름의 농도와 스텝웨지의 두께에 대응하는 곡선을 그려 시험체의 농도를 비교하여 두께를 측정한다.
  4. 사용전압은 가능한한 높게 하여 관용도를 증가시켜 여러 범위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게 한다.
(정답률: 49%)
  • "스탭웨지를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에 밀착시켜 주변과의 방사선 강도차에 의한 오차를 줄여야 한다."가 틀린 내용입니다.

    스탭웨지는 측정하고자 하는 부분에 놓이는 것이 아니라, 촬영기와 시험체 사이에 놓이며, 시험체와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진 두께가 일정하게 변하는 물체입니다. 따라서 스탭웨지를 측정하고자 하는 부위에 밀착시키는 것이 아니라, 촬영기와 시험체 사이에 정확하게 위치시켜야 합니다.

    사용전압을 높이면 방사선의 관용도가 증가하여 여러 범위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방사선투과검사를 할 때 사용되는 선형 투과도계의 주된 용도는?

  1. 결함의 크기 측정
  2. 필름의 콘트라스트 결정
  3. 사진농도의 결정
  4. 투과사진의 상질 판정
(정답률: 70%)
  • 선형 투과도계는 방사선투과검사에서 사용되는 장비로, 투과된 방사선의 양을 측정하여 투과사진의 상질을 판정하는데 사용됩니다. 이는 결함의 크기 측정이나 필름의 콘트라스트 결정, 사진농도의 결정과는 다른 개념으로, 투과사진의 상질을 정확하게 평가하여 검사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용접부에서 발견되는 별 모양의 결함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크레이터 균열
  2. 라미네이션
  3. 피로 균열
  4. 슬래그 개재물
(정답률: 58%)
  • 정답은 "크레이터 균열"입니다.

    크레이터 균열은 용접 시 용접봉과 용접부 사이에 공기가 갇혀서 생기는 결함으로, 별 모양의 모양새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용접 시 용접봉과 용접부 사이에 충분한 압력이나 열이 전달되지 않아서 공기가 갇히고, 용접봉이 용융되면서 공기가 폭발하는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결함은 용접부의 강도를 감소시키고, 누출이나 파손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용접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엑스선 발생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관전류가 높아지면, 투과력이 증가한다.
  2. 관전류가 높아지면, 강도가 증가한다.
  3. 관전압이 높아지면, 투과력이 증가한다.
  4. 관전압이 높아지면, 강도가 증가한다.
(정답률: 44%)
  • "관전류가 높아지면, 투과력이 증가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엑스선 발생장치에서 관전류가 증가하면, 강도가 증가하게 되어 물질을 관통하는 능력이 증가합니다. 하지만 이는 투과력이 아닌 관통력입니다. 따라서 "관전류가 높아지면, 강도가 증가한다."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방사선투과검사에서 선원으로 X선발생장치 대신 감마선장치를 사용할 때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협소한 장소에 접근성이 좋다.
  2. 전원이 필요 없다.
  3. 소형 경량으로 이동성이 좋다.
  4. 명암도가 좋다.
(정답률: 72%)
  • 감마선은 X선과 달리 선원이 필요하지 않으며, 전원도 필요하지 않습니다. 또한 소형 경량으로 이동성이 좋아 협소한 장소에 접근하기 용이합니다. 하지만 감마선은 명암도가 좋지 않습니다. 이는 감마선이 X선보다 파장이 길어서 세부적인 구조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방사선투과검사 시 사용하는 방사성 동위원소의 붕괴형태가 아닌 것은?

  1. 전자포획
  2. 감마선 방출
  3. 하전입자의 충돌
  4. 베타입자 방출
(정답률: 42%)
  • 방사선투과검사에서 사용하는 방사성 동위원소는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붕괴하여 다양한 방사선을 방출합니다. 이 중에서 "하전입자의 충돌"은 방사성 동위원소의 붕괴형태가 아닙니다. "하전입자의 충돌"은 입자물리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양전하를 가진 입자와 음전하를 가진 입자가 서로 충돌하여 발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것은 방사성 동위원소의 붕괴형태가 아니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방사선투과검사가 초음파탐상검사에 비하여 효과적인 경우는?

  1. 재질경계 부위와 같은 재질변화를 검출하고자 하는 경우
  2. 피로균열과 같은 미세한 표면결함을 검출하고자 하는 경우
  3. 기공과 같은 구형결함을 검출하고자 하는 경우
  4. 라미네이션과 같은 면상 결함을 검출하고자 하는 경우
(정답률: 46%)
  • 방사선투과검사는 X선을 이용하여 물체 내부의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이며, 기공과 같은 구형결함을 검출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이는 X선이 물체를 투과하여 내부를 촬영하기 때문에, 구형결함과 같이 3차원적인 형태를 가진 결함을 뚜렷하게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초음파탐상검사는 음파를 이용하여 물체 내부를 탐색하는 방법이며, 기공과 같은 구형결함을 검출하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방사선투과검사 규격

61. 강 용접 이음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B 0845)에 따라 모재의 두께가 20mm인 강판맞대기 용접부의 A급 투과사진의 식별 가능한 투과도계의 최소 선지름(mm)은?

  1. 0.25
  2. 0.40
  3. 0.42
  4. 0.64
(정답률: 40%)
  • KS B 0845에서는 A급 투과사진의 식별 가능한 최소 선지름을 0.4mm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0.40"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규정된 최소 선지름보다 작거나 크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원자력안전법령상 방사선장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원자력관계사업자가 취하여야 할 조치사항이 아닌 것은?

  1. 방사선량 및 방사성오염의 측정
  2. 건강진단
  3. 피폭관리
  4. 방사성물질의 누출량을 낮게 유지
(정답률: 56%)
  • 방사성물질의 누출량을 낮게 유지하는 것은 방사선장해를 방지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조치이기 때문에, 이것은 원자력안전법령상 방사선장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원자력관계사업자가 반드시 취해야 할 조치사항입니다. 다른 보기들인 방사선량 및 방사성오염의 측정, 건강진단, 피폭관리도 중요하지만, 이들은 방사선장해를 방지하기 위한 보조적인 조치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원자력안전법령상에 따른 판독특이자가 아닌 것은?

  1. 선량한도 이내로 방사선에 노출된 사람
  2. 선량계의 훼손으로 인해 선량판독이 불가능하게 된 사람
  3. 선량계의 분실로 인해 선량판독이 불가능하게 된 사람
  4. 선량계 교체 주기를 2개월 이상 지난 후 선량계를 제출한 사람
(정답률: 65%)
  • 선량한도 이내로 방사선에 노출된 사람은 원자력안전법령상에 따른 판독특이자가 아닙니다. 이는 선량한도 이내로 노출된 경우에는 건강에 해를 끼치지 않는 수준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특별한 조치나 판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방사선투과검사(ASME Sec.V Art.2)에서 규정한 X선(단일필름)촬영 시 필름농도허용범위로서 옳은 것은?

  1. 1.8~4.0
  2. 0.6~4.0
  3. 1.3~3.5
  4. 2.0~2.5
(정답률: 58%)
  •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방사선투과검사에서는 필름농도가 일정 범위 내에 있어야만 올바른 촬영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범위는 ASME Sec.V Art.2에서 규정되어 있으며, X선(단일필름)촬영 시 필름농도허용범위는 1.8~4.0입니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촬영 결과가 왜곡될 수 있기 때문에 이 범위 내에서 촬영을 진행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ASME Sec.V Art.2에서 규정되어 있지 않은 임의의 값들이므로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원자력안전법령상 방사성동위원소 등의 사용자가 기록하여야 할 사항과 그 기록의 보존기간이 옳은 것은?

  1. 방사성동위원소 등의 기록사용-10년
  2. 자체처분한 방사성폐기물의 종류 및 수량-10년
  3. 배기구 및 배수구에서의 방사성물질의 농도-10년
  4. 방사선작업종사자로 근무한 기간 중의 건강진단 기록-10년
(정답률: 47%)
  • 정답은 "배기구 및 배수구에서의 방사성물질의 농도-10년"입니다. 이유는 원자력안전법령상 방사성동위원소 등의 사용자는 방사성물질의 배출 및 방출시설에서 방사성물질의 농도를 측정하여 기록해야 하며, 이 기록은 10년간 보존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방사성물질이 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 이를 추적하고 평가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원자력안전법령상 방사선작업종사자에 대한 연간 유효선량한도는 얼마인가?

  1. 150mSv
  2. 50Sv
  3. 150Sv
  4. 50mSv
(정답률: 61%)
  • 원자력안전법령상 방사선작업종사자의 연간 유효선량한도는 50mSv이다. 이는 방사선에 노출된 작업종사자가 연간 최대 50mSv의 선량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한도는 작업종사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설정되었으며, 이를 초과하면 작업종사자의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방사선투과검사(ASME Sec.V Art.22 SE-94)에 규정된 촬영투과사진 현상 시 적정 세척 온도 범위는?

  1. 10~30℃
  2. 16~30℃
  3. 16~40℃
  4. 25~40℃
(정답률: 60%)
  •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방사선투과검사 시 적정 세척 온도 범위는 촬영투과사진 현상 시 필름의 이미지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정해진 것입니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필름에 영향을 미쳐 이미지 품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정 세척 온도 범위는 16~30℃로 정해져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 범위를 벗어나거나, 너무 좁거나, 혹은 너무 넓은 범위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방사선량 단위 사용의 연결이 틀린 것은?

  1. 조사선량-렌트겐(R)
  2. 흡수선량-그레이(Gy)
  3. 등가선량-라드(rad)
  4. 유효선량-시버트(Sv)
(정답률: 50%)
  • 등가선량-라드(rad)은 방사선이 인체에 주는 영향을 나타내는 단위로, 조사선량-렌트겐(R)은 방사선의 강도를 나타내는 단위, 흡수선량-그레이(Gy)는 물질이 방사선을 흡수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단위, 유효선량-시버트(Sv)는 인체에 피해를 주는 방사선의 종류와 강도를 고려한 단위이다. 따라서, 연결이 틀린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주강품의 방사선투과검사 방법(KS D 0227)에서 시험부의 공칭 두께가 20mm였다면, 1류에 허용되는 모래 박힘의 최대 치수는?

  1. 6.0mm
  2. 8.0mm
  3. 10.0mm
  4. 12.0mm
(정답률: 45%)
  • 주강품의 방사선투과검사 방법(KS D 0227)에서 1류에 허용되는 모래 박힘의 최대 치수는 시험부의 공칭 두께의 1/3 이하이다. 따라서, 20mm의 공칭 두께에서 1/3을 계산하면 6.67mm가 나오므로, 이 값보다 작은 6.0mm이 최대 치수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방사선에 대한 반가층의 두께가 가장 얇은 차폐체는?

  1. 알루미늄
  2. 콘크리트
(정답률: 67%)
  • 납은 전자 구조가 안정적이어서 방사선을 잘 흡수하고 차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방사선 차폐체로 가장 효과적이며, 반가층의 두께가 가장 얇은 차폐체입니다. 알루미늄과 철도 방사선 차폐체로 사용되지만, 납에 비해 효과가 떨어집니다. 콘크리트는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방사선 차폐체로 사용되지만, 납에 비해 효과가 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강 용접 이음부의 방사선투과시험방법(KS B 0845)에 따라 결함을 분류할 때 제3종의 결함이 존재하는 경우의 결함 분류는?

  1. 1류
  2. 2류
  3. 3류
  4. 4류
(정답률: 50%)
  • 강 용접 이음부의 방사선투과시험방법(KS B 0845)에서 제3종 결함은 "길이가 10mm 이하이며, 이음부 두께의 10% 이하인 결함"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결함은 용접 이음부의 강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4류로 분류됩니다. 4류 결함은 용접 이음부의 안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경미한 결함으로, 보통은 용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강 용접 이음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B 0845)에서 모재 두께 24mm인 경우 제1종 결함에 대한 시험 시야로 옳은 것은?

  1. 10×10mm
  2. 15×15mm
  3. 10×20mm
  4. 10×30mm
(정답률: 42%)
  • 강 용접 이음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KS B 0845)에서 모재 두께 24mm인 경우 제1종 결함에 대한 시험 시야는 "10×10mm"이 옳습니다. 이는 KS B 0845에서 모재 두께가 24mm인 경우 제1종 결함에 대한 시험 시야가 10mm×10mm 이상이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결함의 크기가 10mm×10mm 이하일 경우에도 충분한 검사를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10×10mm"이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방사선투과검사(ASME Sec.V Art.2)에 따라 방사선 촬영기법에 관한 상세 정보를 문서화할 때, 포함하도록 규정된 항목이 아닌 것은?

  1. 모재 종류 및 두께
  2. 가하하적불선명도 값
  3. 사용한 동위원소 종류
  4. 방사선투과사진 촬영 횟수
(정답률: 43%)
  • 가하하적불선명도 값은 방사선 촬영기법과는 관련이 없는 값으로,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방사선투과검사에서는 필요하지 않은 정보입니다. 따라서, 문서화할 때 포함하도록 규정된 항목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방사선투과검사(ASME Sec.V Art.2)에서 2인치 미만의 강을 검사하는 경우 기하학적 불선명도의 최대치는?

  1. 0.004인치
  2. 0.02인치
  3. 0.04인치
  4. 0.07인치
(정답률: 52%)
  • 2인치 미만의 강을 검사하는 경우, ASME Sec.V Art.2에서는 최대 0.02인치의 기하학적 불선명도를 허용합니다. 이는 검사 중 발생할 수 있는 측정 오차를 고려하여 설정된 값으로, 이보다 큰 불선명도가 발생하면 검사 결과의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검사 시에는 이 값을 준수하여 검사를 진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강 용접 이음부의 방사선 투과 시험 방법(KS B 0845)에서 바깥지름 100mm 원둘레 이음 용접부의 2종벽 단일면 촬영방법 중 가로 균열의 검출을 특히 필요로 하는 경우 시험부의 유효길이로 적당한 것은?

  1. 50mm
  2. 65mm
  3. 70mm
  4. 75mm
(정답률: 53%)
  • 강 용접 이음부의 방사선 투과 시험 방법(KS B 0845)에서 바깥지름 100mm 원둘레 이음 용접부의 2종벽 단일면 촬영방법 중 가로 균열의 검출을 특히 필요로 하는 경우, 시험부의 유효길이로 적당한 것은 50mm이다. 이는 KS B 0845에서 규정된 유효길이 범위(30mm~70mm) 중에서, 가로 균열 검출에 가장 적합한 길이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 범위를 벗어나면 균열의 크기가 작아져 검출이 어려워지거나, 반대로 크기가 커져서 검출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따라서, 가로 균열 검출을 위해서는 적절한 유효길이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원자력안전법령상의 방사선 관리구역에 해당하지 않는 곳은?

  1. 외부 방사선량률이 1주당 400마이크로시버트 이상인 곳
  2. 수 중의 방서성 물질의 농도가 최대허용수중 농도의 1/10 이상인 곳
  3. 공기 중의 방사성 물질의 농도가 유도공기 중 농도기준을 초과하는 곳
  4. 물체 표면의 오염도가 허용표면오염도를 초과하는 곳
(정답률: 45%)
  • 수 중의 방서성 물질의 농도가 최대허용수중 농도의 1/10 이상인 곳은 원자력안전법령상의 방사선 관리구역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방사선 관리구역의 기준 중 하나로, 수 중의 방사성 물질 농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해당 지역을 방사선 관리구역으로 지정하여 방사선 위험에 대한 예방 및 대응을 강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수 중의 방서성 물질 농도가 최대허용수중 농도의 1/10 이상인 곳은 방사선 관리구역에 해당하며, 이외의 보기들은 방사선 관리구역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감마상수를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감마선 핵종 1Ci로 부터 1mm 떨어진 곳에서의 방사선량률
  2. 감마선 핵종 1Ci로 부터 1cm 떨어진 곳에서의 방사선량률
  3. 감마선 핵종 1Ci로 부터 1m 떨어진 곳에서의 방사선량률
  4. 감마선 핵종 1Ci로 부터 1km 떨어진 곳에서의 방사선량률
(정답률: 49%)
  • 감마선은 매우 높은 에너지를 가진 전자기파이기 때문에, 거리가 멀어질수록 에너지가 약해지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따라서 감마선 핵종 1Ci로 부터 1m 떨어진 곳에서의 방사선량률이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은 원자력안전법령에서 정의한 내용이다. 다음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1
  2. 5
  3. 10
  4. 50
(정답률: 59%)
  • 원자력안전법령에서 정의한 "방사선"은 원자력발전소 등에서 발생하는 방사능을 가진 입자나 전자기파를 말한다. 따라서 정답은 "50"이 아니라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방사선투과검사(ASME Sec.V Art.22 SE-1025)에 규정된 직사각형 상질계의 재료그룹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아연
  2. 티타늄
  3. 마그네슘
  4. 알루미늄
(정답률: 59%)
  • 아연은 직사각형 상질계의 재료그룹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아연이 비철금속이며, ASME Sec.V Art.22 SE-1025에서는 철계 금속재료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연은 방사선투과검사의 대상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방사선투과검사(ASME Sec.V Art.22 SE-94)에 규정된 필름 정착 시 헹거를 교반하는 방법은?

  1. 10초간 수직 교반시키고 30초 경과 후 재교반시킨다.
  2. 10초간 수직 교반시키고 1분 경과 후 재교반시킨다.
  3. 30초간 수직 교반시키고 30초 경과 후 재교반시킨다.
  4. 30초간 수직 교반시키고 1분 경과 후 재교반시킨다.
(정답률: 34%)
  • 보일러 및 압력용기에 대한 방사선투과검사에서 필름 정착 시 헹거를 교반하는 이유는 필름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검사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함입니다. "10초간 수직 교반시키고 1분 경과 후 재교반시킨다."는 필름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충분한 시간을 주기 위한 것입니다. 10초간의 교반은 필름이 헹거에 붙어있는 것을 방지하고, 1분 경과 후 재교반은 필름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시간을 주는 것입니다. 이렇게 충분한 시간을 주어 필름을 균일하게 분포시키면 검사 결과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