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공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9-19)

의공기사
(2015-09-1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초의학 및 의공학

1. 유리 마이크로 피펫 미세전극을 이용하여 세포 내부의 전압을 측정하는 경우 미세전극 내부에 채우는 전해액으로 적당한 것은?

  1. 150 mole NaCl
  2. 3 mole HCl
  3. 3 mole NaCl
  4. 3 mole KCl
(정답률: 71%)
  • 유리 마이크로 피펫 미세전극은 세포 내부의 전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때 미세전극 내부에 채우는 전해액은 세포 내부의 이온 농도와 유사한 조성을 가져야 합니다.

    따라서, 3 mole KCl이 적당한 전해액입니다. 이는 K+와 Cl- 이온의 농도가 각각 3 mol/L인 용액으로, 세포 내부의 이온 농도와 유사하며, 또한 전해질의 농도가 높아 전극 내부의 전위 변화를 빠르게 감지할 수 있습니다.

    반면, 150 mole NaCl은 너무 높은 농도로 세포 내부와는 차이가 크며, 3 mole HCl은 과도한 산성도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3 mole NaCl은 Na+와 Cl- 이온의 농도가 동일하므로 전위 변화를 감지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심전도 검사 시 의료용 페이스트(paste)가 준비되지 않았을 경우, 대신 사용할 수 있는 용액은?

  1. 식염수
  2. 증류수
  3. 75% 알코올
  4. 녹말용액
(정답률: 92%)
  • 식염수는 전해질이 함유되어 있어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심전도 검사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안전하고 저렴하게 구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증류수나 75% 알코올은 전해질이 함유되어 있지 않아 전기 신호를 전달할 수 없으며, 녹말용액은 전기 신호를 방해할 수 있어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시냅스에서 신경전달물질의 양을 조절하는 기전이 아닌 것은?

  1. 시냅스 간극 바깥쪽으로 확산되어 없어짐
  2. 효소에 의해 파괴됨
  3. 재흡수 되는 과정을 통해 시냅스 전 신경세포 축삭으로 흡수
  4. 시냅스 후 수용체에 의해 흡수되어 사라짐
(정답률: 54%)
  • 시냅스 후 수용체에 의해 흡수되어 사라지는 것은, 신경전달물질이 시냅스 후 수용체에 결합하여 신호를 전달한 후, 수용체에서 분리되어 다시 시냅스 간극으로 돌아가지 않고 수용체 내부로 흡수되어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이는 신경전달물질의 양을 조절하는 중요한 기전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세포에서 유전정보인 DNA와 단백질을 만드는 데 필요한 RNA를 담고 있는 구조는?

  1. 세포막
  2. 막단백질
  3. 미토콘드리아
(정답률: 91%)
  • RNA는 DNA에서 유전정보를 복사하여 만들어지는데, 이 과정은 핵에서 일어납니다. 따라서 RNA를 담고 있는 구조는 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 )안에 알맞은 용어는?

  1. 진피층
  2. 표피층
  3. 투명층
  4. 과립층
(정답률: 91%)
  • 이 그림은 피부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피부는 크게 표피층, 진피층, 피하층으로 나뉘며, 이 중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층이 표피층입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표피층이라는 용어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일반적인 화학센서에서 측정하는 대상물질로만 짝지어진 내용이 아닌 것은?

  1. 수소이온농도, 산소분압
  2. 대사산물, 광량
  3. 산소분압, 이산화탄소분압
  4. 헤마토크릿, 전해질
(정답률: 70%)
  • 일반적인 화학센서는 대상물질의 화학적인 특성을 측정하여 분석하는데, 대사산물과 광량은 화학적인 특성이 아닌 생물학적인 특성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화학센서에서 측정하는 대상물질로 짝지어지지 않습니다. 대사산물은 생체 내에서 대사과정을 거쳐 생성되는 물질이며, 광량은 빛의 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은 해부학적 방향에 대한 용어설명이다. 해당하는 방향은?

  1. 시상면(sagittal plane)
  2. 관상면(coronal plane)
  3. 이마면(frontal plane)
  4. 가로면(transverse plane)
(정답률: 89%)
  • 이 그림은 인체를 왼쪽과 오른쪽으로 나누는 평면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시상면이라고 합니다. 시상면은 인체를 왼쪽과 오른쪽으로 나누는 평면으로, 인체를 좌우로 나누는 방향입니다. 따라서 이 그림은 시상면에서 본 인체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ECG 의 측정방법 중 팔다리에서 측정하는 신호가 아닌 것은?

  1. LEAD 1
  2. V6
  3. aVF
  4. aVR
(정답률: 85%)
  • V6은 팔다리에서 측정하는 신호가 아니라, 가슴 벽면에서 측정하는 신호입니다. 따라서 V6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호흡기계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혈액이나 체액의 갑작스런 pH 변화 방지 기능
  2. 공기의 온도와 습기조절 능력으로 기관보호
  3. 미생물, 공기 중의 독소입자로부터 신체 보호
  4. 확산을 통한 산소공급 및 이산화탄소 제거
(정답률: 62%)
  • 호흡기계는 공기의 온도와 습기를 조절하여 기관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공기의 온도와 습기조절 능력으로 기관보호"가 호흡기계의 기능이 아닌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세포외액에서 농도가 가장 높은 이온은?

  1. Na+
  2. Cl-
  3. K+
  4. HCO3-
(정답률: 84%)
  • 세포외액에서 농도가 가장 높은 이온은 "Na+"입니다. 이는 세포 내부와 세포 외부의 이온 농도 차이를 유지하기 위해 Na-K 펌프가 작용하여 Na+를 세포 외부로 배출하고 K+를 세포 내부로 유입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세포 외부의 Na+ 농도가 가장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중추 신경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미주신경
  2. 시상
  3. 뇌간
  4. 척수
(정답률: 79%)
  • 미주신경은 중추 신경계에 속하지 않는다. 미주신경은 신경계의 일부분으로서, 중추 신경계와는 달리 신경세포의 연결이 척수나 뇌에 직접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신경절을 통해 간접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미주신경은 주로 내장기관의 조절과 같은 자율신경계의 일부분으로 작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흡착전극(suction electrod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탈부착 작업이 쉽다.
  2. 피부 표면에 부착하는 전극이다.
  3. 동잡음(motion artifact)이 비교적 크다.
  4. 인체 내부의 장기에 부착해서 측정한다.
(정답률: 90%)
  • 인체 내부의 장기에 부착해서 측정하는 것은 흡착전극이 아닌 내부전극(intracardiac electrode)의 특징이다. 흡착전극은 피부 표면에 부착하는 전극으로 탈부착 작업이 쉽고 동잡음이 비교적 크다는 특징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직육면체의 금속에 열을 가하고 길이의 변화에 따른 저항을 측정하였다. 열에 의해 금속의 길이는 20% 늘어났고, 면적은 10% 증가했다. 저항계수가 열에 의해 10% 증가했다면 총 저항의 변화율은?

  1. 10% 감소
  2. 10% 증가
  3. 20% 감소
  4. 20% 증가
(정답률: 77%)
  • 길이가 20% 늘어났으므로, 단면적이 10% 증가했으므로 부피는 32% 증가합니다. 이에 따라 저항은 길이, 단면적, 저항계수의 곱에 비례하므로 32% 증가합니다. 따라서 총 저항의 변화율은 20%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광전식 혈량 측정 장치에서 측정되는 맥파의 전파속도를 2배로 올리려면 영(Young)의 탄성계수를 몇 배로 하여야 하는가?

  1. 1배
  2. 2배
  3. 4배
  4. 8배
(정답률: 75%)
  • 광전식 혈액 측정 장치에서 측정되는 맥파의 전파속도는 매질의 탄성계수와 밀도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전파속도를 2배로 올리려면 매질의 탄성계수를 4배로 올려야 합니다. 이는 탄성계수와 전파속도가 비례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탄성계수가 2배가 되면 전파속도도 2배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에 있는 판막은?

  1. 폐동맥판
  2. 승모판
  3. 삼첨판
  4. 중격
(정답률: 76%)
  •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에 있는 판막은 삼첨판입니다. 삼첨판은 우심실과 폐동맥, 신장동맥을 연결하는 혈관의 입구에 위치하며, 혈액이 역류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전기적 흥분이 신경세포에서 신경세포로 전달되는 메커니즘과 심장세포와 심장세포사이로 흥분이 전달될 수 있는 메커니즘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1. synapse - synapse
  2. synapse – gap junction
  3. cable theory – starling's law
  4. 크리스티앙 외르스테드의 법칙 – 렌쯔의 법칙
(정답률: 83%)
  • 전기적 흥분은 신경세포 내부에서 발생하고, 이를 다른 신경세포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시냅스를 통해 화학신호로 변환되어 전달되어야 합니다. 반면에 심장세포는 gap junction이라는 직접적인 연결로 인해 전기적 신호가 전달됩니다. 따라서, "synapse – gap junction"이 올바른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심장, 혈관, 호흡계를 조절하는 중추는?

  1. 간뇌
  2. 중뇌
  3. 연수
(정답률: 69%)
  • 정답은 "연수"입니다. 연수는 뇌의 신경계 중 하나로, 심장, 혈관, 호흡계 등을 조절하는 중추입니다. 이는 신체의 기본적인 생존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대뇌피질의 시각영역이 속하는 부위는?

  1. 전두엽
  2. 측두엽
  3. 두정엽
  4. 후두엽
(정답률: 77%)
  • 시각영역은 후두엽에 위치해 있습니다. 후두엽은 대뇌피질의 후반부에 위치하며 시각, 청각, 후각 등 다양한 감각 정보를 처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골격근과 뼈의 연결부위에 위치하는 구조물은?

  1. 인대
  2. 활막
  3. 연골
(정답률: 71%)
  • 골격근과 뼈의 연결부위에 위치하는 구조물은 건이다. 이는 인대와 활막과는 다르게 근육과 뼈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며, 강력하고 탄력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운동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은 피부표면에 부착된 전극의 전기적 등가회로에서 전극-페이스트 경계면의 등가회로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Ehc는 전극표면에 나타나는 반전지 전위를 의미한다.
  2. Rs는 땀에 의한 저항성분과 진피의 저항성분을 제외한 전해질 전체의 저항성분을 의미한다.
  3. Rd는 전극-전해질(페이스트)의 저항성분을 의미한다.
  4. Cd는 전극-전해질(페이스트)의 커패시턴스 성분을 의미한다.
(정답률: 80%)
  • 정답은 "Ehc는 전극표면에 나타나는 반전지 전위를 의미한다."이다. 이유는 이미 문제에서 설명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모두 맞는 설명이다. Rs는 땀에 의한 저항성분과 진피의 저항성분을 제외한 전해질 전체의 저항성분을 의미한다. Rd는 전극-전해질(페이스트)의 저항성분을 의미하고, Cd는 전극-전해질(페이스트)의 커패시턴스 성분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의용전자공학

21. 불대수의 연산으로 틀린 것은?

  1. A + 0 = 0
  2. A + 1 = 1
  3. A · 1 = A
  4. A · 0 = 0
(정답률: 81%)
  • 정답은 "A + 0 = 0"입니다. 이는 항등원에 대한 정의에 따라 A와 0이 합쳐져도 A가 그대로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A + 0은 A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회로에서 P-N 접합 다이오드와 LED의 순방향 전압강하가 각각 0.7V와 2.0V일 때, LED로 흐르는 전류는?

  1. 0 mA
  2. 0.3 mA
  3. 1.3 mA
  4. 1.6 mA
(정답률: 53%)
  • 전압강하는 P-N 접합 다이오드와 LED에서 각각 0.7V와 2.0V이므로, 전압의 총 강하는 2.7V이다. 이 회로에서 전압원은 5V이므로, 나머지 전압은 5V - 2.7V = 2.3V이다. 이 회로는 직렬 연결이므로 전류는 모든 부품에서 동일하다. 따라서, LED로 흐르는 전류는 (2.3V / 10000Ω) = 0.23mA이다. 하지만, LED는 정전압 2.0V에서 동작하므로, 나머지 전압 0.3V는 P-N 접합 다이오드에서 강하되어야 한다. P-N 접합 다이오드의 전압강하는 0.7V이므로, P-N 접합 다이오드에서 흐르는 전류는 (0.3V / 1000Ω) = 0.3mA이다. 따라서, LED로 흐르는 전류는 0.3m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주로 마이크로파 통신, 레이더, 국제전화에 사용되는 주파수는?

  1. 장파
  2. 단파
  3. 초단파
  4. 센티미터파
(정답률: 63%)
  • 주로 마이크로파 통신, 레이더, 국제전화에 사용되는 주파수는 센티미터파입니다. 이는 센티미터파가 짧은 파장을 가지고 있어서,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전파가 건물이나 장애물에 잘 통과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센티미터파는 대기권에서의 흡수가 적어서 멀리까지 전파가 전달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생체의 압력계측 중 혈압측정에 있어서 직접측정법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실시간으로 계측이 가능하다.
  2. 혈관 내로 플루드 필드(Fluid-filled) 카테터를 삽입한다.
  3. 말단 부위에 커프(Cuff)를 부착하고 압력을 증가한다.
  4. 카테터에 스트레인 게이지(Strain-gauge) 타입의 압력센서를 연결하여 파형을 측정한다.
(정답률: 83%)
  • "혈관 내로 플루드 필드 카테터를 삽입한다."는 생체의 압력계측 중 혈압측정에 대한 직접측정법 중 하나이지만, 말단 부위에 커프를 부착하고 압력을 증가하는 것은 간접측정법에 해당한다. 이는 말단 부위의 동맥을 압박하여 혈압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상완동맥이나 대퇴동맥에서 측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커패시터 필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Vr은 리플전압의 실효값, VDC는 피러의 직류전압의 평균값이다.)

  1. 맥동률 이다.
  2. 리플이 클수록 효율적인 필터이다.
  3. 커패시터의 용량을 크게 하면 출력전압은 직류에 가까워진다.
  4. 커패시터의 충전과 방전에 의한 출력전압의 변동이 리플전압(ripple voltage)이다.
(정답률: 81%)
  • "리플이 클수록 효율적인 필터이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리플이 클수록 필터의 효율성은 떨어지게 됩니다. 리플은 출력전압의 변동을 의미하며, 이는 커패시터의 충전과 방전에 의한 것입니다. 따라서 리플이 작을수록 출력전압이 안정적이며, 필터의 효율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생체계측을 위한 기본 구성 중 센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생체의 측정대상에 대한 고통과 해를 최소화해야 한다.
  2. 생체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에서 발생하는 에너지형태에만 반응한다.
  3. 가변 변환소자는 센서의 작동을 위한 전력공급을 필요로 한다.
  4. 생체에서 뽑아내는 에너지를 최대한으로 요구한다.
(정답률: 80%)
  • "생체에서 뽑아내는 에너지를 최대한으로 요구한다."는 오히려 틀린 설명입니다. 센서는 생체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에서 발생하는 에너지형태에만 반응하며, 생체의 측정대상에 대한 고통과 해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가변 변환소자는 센서의 작동을 위한 전력공급을 필요로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생체계측기기의 비선형적 특성이 아닌 것은?

  1. 포화(saturation)
  2. 불감대(dead zone)
  3. 브레이크다운(breakdown)
  4. 감도표류(sensitivity drift)
(정답률: 65%)
  • 감도표류는 생체계측기기의 비선형적 특성이 아닙니다. 감도표류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측정된 값이 변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측정기기의 정확도를 저하시키는 요인 중 하나이며, 보정이 필요합니다. 포화는 측정값이 최대치에 도달하여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것을 말하며, 불감대는 측정값이 일정 범위 내에서 변화하지 않는 것을 말합니다. 브레이크다운은 측정기기가 과부하 상태에 놓여 파괴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단위 정전하가 회로의 두 점간을 이동할 때 얻거나 또는 잃는 에너지를 두 점 사이의 무엇이라 정의하는가?

  1. 전류
  2. 전압
  3. 전하
  4. 저항
(정답률: 68%)
  • 단위 정전하가 회로의 두 점간을 이동할 때 얻거나 잃는 에너지는 전압이라고 정의됩니다. 이는 전압이 전하를 이동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전압이 높을수록 전하가 이동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가 많아지므로, 전압이 높을수록 회로에서의 전류도 강해집니다. 따라서 전압은 회로에서 전류의 크기와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중요한 인터페이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I/O(Input/Output)포트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이다.
  2. CPU와 외부장치사이에는 병렬입출력 인터페이스가 있다.
  3. 외부에 메모리를 둘 경우 주소버스의 하위 바이트를 사용한다.
  4. I/O(Input/Output)포트는 비트주소지정(bit addressing)이 불가능하다.
(정답률: 77%)
  • "I/O(Input/Output)포트는 비트주소지정(bit addressing)이 불가능하다."가 틀린 이유는, I/O 포트는 비트 단위로 입출력이 가능하며, 따라서 비트주소지정도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R-L-C 직렬회로에서 R=4Ω, XL=9Ω, XC=6Ω이고, 전압 V=200V의 사인파 교류전압을 인가했을 때 이 회로에 흐르는 전류(A)의 크기는?

  1. 10 A
  2. 15 A
  3. 40 A
  4. 20 A
(정답률: 67%)
  • R-L-C 직렬회로에서 전류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I = V / Z

    여기서 Z는 전체 임피던스를 나타내며, R, XL, XC의 합과 같습니다.

    Z = R + XL - XC

    따라서,

    Z = 4 + 9 - 6 = 7 Ω

    전류 I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I = V / Z = 200 / 7 ≈ 28.57 A

    하지만, 이 전류는 전압과의 위상차가 있으므로, 복소수 형태로 나타내야 합니다.

    Z = 7 + j3

    여기서 j는 허수단위를 나타냅니다.

    전류 I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I = V / Z = 200 / (7 + j3) ≈ 40 A ∠ -22.62°

    따라서, 정답은 "40 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마이크로프로세서 내에 있는 레지스터로서 프로그램의 다음 명령어가 들어있는 주소를 저장하는 곳은?

  1. 명령레지스터
  2. 번지레지스터
  3. 프로그램카운터
  4. 누산기
(정답률: 73%)
  • 프로그램카운터는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명령레지스터는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를 저장하고, 번지레지스터는 메모리 주소를 저장하며, 누산기는 연산 결과를 저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심전도 같은 생체계측시스템에서 장비 자체의 성능을 바꾸어 출력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원하지 않는 입력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원하는 입력
  2. 간섭 입력
  3. 반대 입력
  4. 변형 입력
(정답률: 67%)
  • 변형 입력은 생체계측시스템에서 원하는 입력과는 달리, 장비 자체의 성능을 바꾸어 출력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입력을 말한다. 이는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 교차감쇠, 전극 이탈 등의 외부 요인으로 인해 생기는 입력이다. 따라서 변형 입력은 생체신호 측정의 정확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멀티플렉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복수의 입력에서 하나의 입력을 택하고 그 로직을 출력에 통과시키는 디바이스다.
  2. 병렬로 입력된 데이터를 제어 입력에 의해 컨트롤하여 직렬로 다수의 데이터 출력을 꺼내는 회로이다.
  3. 멀티플렉서는 로터리 스위치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4. 멀티플렉서는 일반적으로 2n개의 입력선과 n개의 선택선, 그리고 한 개의 출력선으로 구성된다.
(정답률: 68%)
  • "멀티플렉서는 로터리 스위치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멀티플렉서는 디지털 회로로 구성된 선택기이며, 로터리 스위치와는 다릅니다.

    멀티플렉서는 병렬로 입력된 데이터 중에서 하나의 입력을 선택하여 출력으로 보내는 디바이스입니다. 선택선을 통해 어떤 입력을 선택할지 결정하며, 선택된 입력은 직렬로 출력됩니다. 따라서 "병렬로 입력된 데이터를 제어 입력에 의해 컨트롤하여 직렬로 다수의 데이터 출력을 꺼내는 회로이다."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또한, 멀티플렉서는 일반적으로 2의 거듭제곱 개의 입력선과 선택선, 그리고 한 개의 출력선으로 구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생체신호 측정에 사용되는 흡착전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기흡착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2. 접착제나 고무 끈의 사용 없이도 탈 부착이 편리하다.
  3. 재질은 은-염화은(Ag-AgCl)으로 되어있다.
  4. 심전도 측정 시 흉부전극으로 사용한다.
(정답률: 73%)
  • 공기흡착원리를 이용하는 것은 생체신호 측정에 사용되는 흡착전극과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기흡착원리를 이용한 것이다."입니다. 흡착전극은 접착제나 고무 끈의 사용 없이도 탈 부착이 편리하며, 심전도 측정 시 흉부전극으로 사용됩니다. 또한, 재질은 은-염화은(Ag-AgCl)으로 되어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어떤 연산증폭기에 계단파를 1μs동안 인가 하였을 때, 출력전압이 –5V에서 +5V까지 변화하였을 경우 슬루율(slew rate)은 얼마인가?

  1. -5 V/μs
  2. 5 V/μs
  3. -10 V/μs
  4. 10 V/μs
(정답률: 80%)
  • 슬루율은 출력전압이 단위 시간당 얼마나 변화하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계단파를 1μs동안 인가하였으므로, 출력전압이 10V까지 변화하는데 걸린 시간은 1μs이다. 따라서 슬루율은 10V/μ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일정 동맥 부위에서 심장 박동에 의해 분출된 혈액의 흐름을 파형화한 것으로, 주로 도플러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맥파는?

  1. 직경맥파
  2. 혈류맥파
  3. 압맥파
  4. 횡파
(정답률: 82%)
  • 맥파는 일정 동맥 부위에서 혈액의 흐름을 파형화한 것으로, 혈류맥파는 심장 박동에 의해 분출된 혈액의 흐름을 파형화한 것입니다. 이는 도플러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며, 혈액의 흐름 속도와 방향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혈류맥파는 혈액의 흐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회로의 권수를 N, 전 자속수를 [Wb]라 할 때의 패러데이 법칙에서 유도 기전력 e[V]는 얼마인가? (단, Q는 전하량, B는 자속밀도, E는 전계의 세기이다.)

(정답률: 74%)
  • 유도 기전력은 e = -N(dΦ/dt)이다. 여기서 dΦ/dt는 자속의 변화율이다. 따라서 B가 일정하다면 유도 기전력은 0이 된다. 이유는 자속이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저주파 증폭기의 혼변조 일그러짐(Inter-Modulation Distortion ; IM)은 어떤 일그러짐에 속하는가?

  1. 진폭 일그러짐
  2. 직선 일그러짐
  3. 위상 일그러짐
  4. 주파수 일그러짐
(정답률: 56%)
  • 저주파 증폭기의 혼변조 일그러짐은 "진폭 일그러짐"에 속한다. 이는 입력 신호의 진폭이 일정하지 않아 출력 신호의 진폭이 왜곡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주로 비선형적인 증폭기에서 발생하며, 고조파 신호가 혼합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주파수 변조(FM)회로에서 변조지수가 6이고, 신호주파수가 4kHz일 때 최대 주파수 편이는?

  1. 20 kHz
  2. 24 kHz
  3. 28 kHz
  4. 32 kHz
(정답률: 91%)
  • 주파수 변조(FM)에서 변조지수는 변조 신호의 최대 주파수 변화량을 의미합니다. 변조지수가 6이라면, 변조 신호의 최대 주파수 변화량은 원래 신호 주파수의 6배까지 가능합니다. 따라서, 신호주파수가 4kHz일 때 최대 주파수 편이는 4kHz x 6 = 24kHz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4 k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호흡기의 기능 평가법 중에 “폐 내에서 공기가 폐포 간에 균형 있게 분포하는 기능”에 대한 평가 기능은?

  1. 환기능
  2. 분포능
  3. 확산능
  4. 피폭능
(정답률: 82%)
  • 분포능은 폐 내에서 공기가 폐포 간에 균형 있게 분포하는 기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는 폐의 기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 폐의 효율적인 기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른 보기들인 환기능은 폐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기능, 확산능은 폐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가 교환되는 기능, 피폭능은 폐의 용량과 관련된 기능을 평가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의료안전·법규 및 정보

41. 의료기기 안전성·유효성 심사에 관한 자료 중 임상시험성적에 관한 자료에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내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임상시험대상 의료기기의 제조번호
  2. 기존 다른 유사 의료기기와의 유효성 비교
  3. 임상시험 방법
  4. 임상시험 기간
(정답률: 74%)
  • 임상시험성적에 관한 자료에는 임상시험대상 의료기기의 제조번호, 임상시험 방법, 임상시험 기간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기존 다른 유사 의료기기와의 유효성 비교는 필수적인 내용은 아닙니다. 이는 선택적인 내용으로, 의료기기 개발자가 선택하여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비교는 의료기기의 새로운 기술이 기존 기술과 비교하여 얼마나 우수한지를 보여주는 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의료기기법에서 정의하는 의료기기가 아닌 것은?

  1. 사람 또는 동물에게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되는 기구·기계·장치·재료
  2. 장애인이 장애의 예방·보완과 기능 향상을 위하여 사용하는 의지(義肢)·보조기
  3. 임신조절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4. 질병의 진단·치료·경감·처치 또는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정답률: 82%)
  • 장애인이 사용하는 의지(義肢)·보조기는 의료기기가 아니라 보조기구에 해당한다. 의료기기는 질병의 진단, 치료, 예방, 경감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임상시험용 의료기기의 첨부문서에 기재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제품명 및 형명
  2. “임상시험용” 이라는 표시
  3. 제조업자 또는 수입업자의 상호
  4. 일회용인 경우 “일회용”이라는 표시와 “재사용 금지”라는 표시
(정답률: 59%)
  • 일회용인 경우 “일회용”이라는 표시와 “재사용 금지”라는 표시는 제품의 안전성과 사용 방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첨부문서에 반드시 기재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제품명, 형명, 임상시험용이라는 표시, 제조업자 또는 수입업자의 상호는 제품의 안전성과 사용 방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기 때문에 첨부문서에 기재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의료영상시스템의 저장방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단기저장장치는 접근빈도가 높은 영상에 사용한다.
  2. 단기저장장치는 고속의 저장장치가 이용된다.
  3. 장기저장장치는 자기 디스크나 광디스크가 주로 사용된다.
  4. 장기저장장치는 고가의 저장장치가 이용된다.
(정답률: 66%)
  • 장기저장장치는 고가의 저장장치가 이용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는 장기저장장치의 종류와 용량, 성능 등에 따라 다르며, 현재는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도 대용량의 고성능 저장장치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장장치의 가격은 단순히 용량과 성능뿐만 아니라 다양한 요소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시장 경쟁과 기술 발전에 따라 변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레이저의 안전관리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레이저용 보안경을 착용한다.
  2. 시술부위 이외의 피부에 노출을 금지한다.
  3. 반사된 레이저광은 에너지가 감소되어 위험하지 않다.
  4. 노출될 경우를 대비해 장막을 치료공간 내의 창문 등에 설치한다.
(정답률: 90%)
  • "반사된 레이저광은 에너지가 감소되어 위험하지 않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반사된 레이저광은 에너지가 감소되지만 여전히 눈이나 피부에 위험을 줄 수 있으므로 안전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컴퓨터 시스템의 한 분야로서 저장된 전문가의 지식을 통하여 사용자의 질의에 대한 응답을 제공하는 의사결정 시스템은?

  1. 데이터베이스시스템
  2. 전문가시스템
  3. 데이터통신시스템
  4. 병원정보시스템
(정답률: 89%)
  • 전문가시스템은 저장된 전문가의 지식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질의에 대한 응답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이 문제와 같이 사용자의 질의에 대한 응답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찾을 때는 전문가시스템이 정답이 된다. 데이터베이스시스템은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 데이터통신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 병원정보시스템은 의료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의료가스의 흐름, 공급압의 하락 및 공급장치의 기능불량을 추적하고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시스템은?

  1. 의료가스 차단 시스템
  2. 의료가스 제습 시스템
  3. 의료가스 비상정지 시스템
  4. 의료가스 공급감시 시스템
(정답률: 91%)
  • 의료가스 공급감시 시스템은 의료기기에서 사용되는 가스의 흐름, 공급압의 하락 및 공급장치의 기능불량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이상이 발생하면 경고를 발생시켜 의료진이 즉각적인 대처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의료기기의 안전한 운영을 위해 필수적인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의료기기 수입업소의 시설 중 반드시 구비해야 할 시설이 아닌 것은?

  1. 제품보관창고
  2. 영업소
  3. 시험실(시험이 필요한 경우)
  4. 고객센터
(정답률: 75%)
  • 고객센터는 의료기기 수입업소의 시설 중 반드시 구비해야 할 시설이 아닙니다. 이는 제품 보관, 영업 및 시험과는 관련이 없는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의료기관 개설자에 대하여 사용중인 의료기기가 검사를 받아 부적합으로 판정된 경우 의료기기의 사용 중지를 명할 수 있는 자가 아닌 것은?

  1. 의료기기 사용업자
  2. 시장
  3. 구청장
  4. 식품의약품안전처장
(정답률: 82%)
  • 의료기기 사용업자는 의료기기를 사용하는 주체이기 때문에, 해당 의료기기의 사용 중지를 명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에 시장, 구청장,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은 의료기기 사용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권한이 부족하기 때문에, 의료기기의 사용 중지를 명할 수 있는 자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물리적인 상해나 고정 불량의 위험을 가능한 한 적게 설계하고 제작해야 하며 일정 중량을 견뎌야 하는 의료기기의 형태는?

  1. 휴대형 기기
  2. 이동형 기기
  3. 환자를 지지 고정하는 기기
  4. 손으로 잡는 기기
(정답률: 87%)
  • 환자를 지지 고정하는 기기는 의료기기 중 일정 중량을 견뎌야 하며 물리적인 상해나 고정 불량의 위험을 최소화해야 하는 기기이기 때문입니다. 이 기기는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의 필수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정의기능
  2. 표준기능
  3. 조작기능
  4. 제어기능
(정답률: 60%)
  • 정의기능, 조작기능, 제어기능은 모두 DBMS의 필수기능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수정, 삭제하고 데이터를 검색, 삽입, 수정, 삭제하며, 데이터의 무결성과 보안을 유지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하지만 표준기능은 DBMS의 필수기능은 아니며,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간의 호환성을 위한 표준화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표준기능은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모든 DBMS에서 동일하게 지원되지 않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접촉 특성에 따라 의료기기를 분류할 때 뼈, 조직, 혈액과 같은 인체에 접촉하는 의료기기는?

  1. 제한접촉형 의료기기
  2. 표면접촉형 의료기기
  3. 체내외 연결형 의료기기
  4. 체내 이식형 의료기기
(정답률: 85%)
  • 뼈, 조직, 혈액과 같은 인체에 직접 접촉하는 의료기기는 체내 이식형 의료기기로 분류됩니다. 이는 인체 내부에 삽입되어 기능을 수행하거나 대체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세 가지 분류는 각각 제한적인 접촉, 표면적인 접촉, 체내외 연결로 인체와의 접촉이 덜한 경우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전자파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전자파는 광범위한 주파수 영역을 가지는 전자기 에너지이다.
  2. 전자파는 파장이 짧을수록 에너지가 커진다.
  3. 전자파는 주파수가 높을수록 낮은 에너지를 갖는다.
  4. 전자파는 거리가 멀어질수록 약해지는 성질이 있다.
(정답률: 80%)
  • "전자파는 주파수가 높을수록 낮은 에너지를 갖는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전자파의 주파수가 높을수록 에너지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전자파의 에너지는 주파수와 직접 비례하기 때문입니다. 즉, 주파수가 높을수록 파장이 짧아지고, 파장이 짧을수록 에너지가 높아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PACS 도입 시 기대효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영상획득 비용 절감
  2. 화상처리기법 등을 통한 진료의 질 향상
  3. 인터넷을 통한 타 병원과의 정보 교환이 용이
  4. 영상 데이터의 영구적인 보관이 가능
(정답률: 62%)
  • PACS 도입으로 영상획득 비용이 절감되는 이유는, 기존에 필름으로 촬영하던 방식에서 디지털 영상으로 촬영하게 되면 필름 구매 및 보관, 현상 등의 비용이 절감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영상획득 비용 절감은 PACS 도입 시 기대효과로 적당하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의료용구의 전기·기계적 안전에 의한 공통 기준규격상 휴대형 기기에 부착한 운반용 핸들이나 손잡이는 핸들 및 그 장치수단에 그 기기 중량의 몇 배와 동등한 힘을 가한 시험에서 규정한 부하에 견뎌야 하는가?

  1. 1배
  2. 2배
  3. 4배
  4. 8배
(정답률: 83%)
  • 휴대형 기기에 부착된 운반용 핸들이나 손잡이는 사용자가 기기를 들어 옮길 때 사용되는데, 이때 핸들이나 손잡이가 떨어지거나 부러지면 사용자나 환자에게 큰 위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운반용 핸들이나 손잡이는 기기 중량의 몇 배와 동등한 힘을 견뎌야 합니다. 이때, 부하를 4배로 설정하는 것은 기기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최소한의 요구사항이며, 이보다 적은 부하로 시험을 진행하면 핸들이나 손잡이가 부러지거나 떨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전기쇼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매크로쇼크의 전류치는 체중이 무거울수록 높아진다.
  2. 매크로쇼크에 대한 작용은 전류밀도와 관계있다.
  3. 매크로쇼크는 전류의 주파수가 높을수록 위험하다.
  4. 매크로쇼크는 몸의 끝에서 끝으로 흐르는 큰 전류를 말한다.
(정답률: 53%)
  • 매크로쇼크는 몸의 끝에서 끝으로 흐르는 큰 전류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1mA 이상의 큰 전류가 몸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전기적 충격을 말한다. 따라서 정답은 "매크로쇼크는 몸의 끝에서 끝으로 흐르는 큰 전류를 말한다." 이다.

    전류의 주파수가 높을수록 위험한 이유는, 고주파 전류는 몸을 통과할 때 피부나 근육 등의 저항이 적어져서 내부 조직까지 전류가 흐르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또한 고주파 전류는 심장의 동작을 방해할 수 있어서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전문가시스템(Expert System)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학문분야는?

  1. 경영학 - 조직행동
  2. 컴퓨터과학 - 인공지능
  3. 전자공학 - 회로이론
  4. 심리학 – 학습이론
(정답률: 83%)
  • 전문가시스템은 인공지능 분야에서 발전된 기술로, 컴퓨터과학에서 연구되고 개발되었다. 인공지능은 컴퓨터가 인간의 지능을 모방하거나 강화하는 기술이며, 전문가시스템은 인공지능 기술 중 하나로, 전문가의 지식과 경험을 컴퓨터에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전문가시스템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된 학문분야는 컴퓨터과학 - 인공지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각 의료기관에서 개별적으로 추진해온 전자의무기록을 국가적으로 확장하여, 환자의 과거, 현재의 건강과 진료를 포함하여 개인의 건강정보를 모아 전자적으로 기록한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AMR(Automated Medical Record)
  2. CMR(Computerized Medical Record)
  3. EHR(Electronoc Health Rocord)
  4.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정답률: 74%)
  • EHR은 환자의 과거, 현재의 건강과 진료를 모두 포함하는 개인의 건강정보를 전자적으로 기록한 것을 말한다. AMR은 자동화된 의료기록, CMR은 컴퓨터화된 의료기록, EMR은 전자 의료기록을 의미하지만, 이들은 개별적인 의료기관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며, EHR은 국가적으로 통합된 건강정보를 의미하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등전위 접지시스템을 검사하기 위해 측정기를 등전위 접지점과 환자환경 내의 각종 노출도체에 접속하여, 각각의 전위차를 측정하였다. 마이크로쇼크를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측정 전위차의 값은 얼마 이하가 되어야 하는가?

  1. 10 mV
  2. 1 mV
  3. 0.5 mV
  4. 0.05 mV
(정답률: 54%)
  • 마이크로쇼크는 인체에 미세한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이는 인체에 해로울 수 있다. 따라서 등전위 접지시스템을 검사할 때는 마이크로쇼크를 방지하기 위해 측정 전위차의 값이 일정 수준 이하가 되어야 한다. 이 값은 일반적으로 10 mV 이하로 설정되며, 이보다 높은 값은 마이크로쇼크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정답은 "10 m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환자의 임상진료와 관련된 모든 정보의 보관소로서 임상의사와 기억을 보조, 의사결정 과정의 직접적 도구 역할을 하며 병원, 임상전문가, 보험회사들 사이에서 의사소통의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은?

  1. OCS
  2. LIS
  3. EMR
  4. DCS
(정답률: 74%)
  • EMR은 Electronic Medical Record의 약자로, 환자의 임상진료와 관련된 모든 정보를 전자적으로 보관하는 시스템이다. 이는 임상의사와 기억을 보조하고 의사결정 과정의 직접적인 도구로 사용되며, 병원, 임상전문가, 보험회사들 사이에서 의사소통의 중요한 매개체 역할을 한다. 따라서 EMR은 환자의 건강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의료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의료기기

61. 인공심폐기의 구성 요소 중 저체온의 유도를 위한 것은?

  1. 여과기(Filters)
  2. 산화기(Oxygenator)
  3. 저혈조(Blood Reservoir)
  4. 열교환기(Heat Exchanger)
(정답률: 84%)
  • 열교환기는 인공심폐기에서 혈액과 외부 공기 사이의 열을 교환하여 체온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저체온의 유도를 위한 구성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인공심장을 구동메커니즘에 따라 분류할 경우 해당되지 않는 종류는?

  1. 전기박동식
  2. 전기기계식
  3. 전기유압식
  4. 유체기계식
(정답률: 44%)
  • 전기박동식은 인공심장이 심장의 자연적인 박동과 같은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여 구동되는 방식이 아니라, 외부에서 전기적인 자극을 가해 인공심장을 구동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수액펌프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수액펌프의 알람기능에서 PURGE는 이물질 주입 시에 작동하는 표시이다.
  2. 일반적인 사용 온도조건은 5~40℃ 정도이며, 상대습도는 90%보다 낮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3. 연속주입은 프로그램에 의해 작은 펄스형태로 한 번 주입량이 20 nano liters에서 100 micro liters 사이에서 정한다.
  4. 수액펌프의 종류로서 선형 연동펌프, 회전형 연동펌프, 교환형 피스톤 펌프, 횡격막형 피스톤 펌프 등이 있다.
(정답률: 64%)
  • 수액펌프의 종류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정답입니다. PURGE는 이물질 주입 시에 작동하는 표시이며, 이는 알람기능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페이스메이커는 사용하는 전지의 수명이 매우 중요하다. 단자 전압이 1.8V이고 1Ah 용량의 전지는 얼마의 에너지를 저장하고 있는가?

  1. 1.8 J
  2. 1800 J
  3. 6480 J
  4. 6.48 J
(정답률: 61%)
  • 전지의 에너지는 전압과 용량의 곱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1.8V x 1Ah = 1.8 Wh = 1.8 x 3600 J = 6480 J 이다. 따라서, 정답은 "6480 J"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아네로이드 혈압계의 구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전극
  2. 압박대
  3. 고무구
  4. 압력계
(정답률: 75%)
  • 아네로이드 혈압계는 압력계, 압박대, 고무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전극은 혈압계의 구조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전극은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장치로 사용되며, 혈압계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동맥압과 Cuff 압력이 같아지면 동맥 내의 혈액이 혈관에서 뿜어져 나와 흐르기 시작하면서 소리가 나는데 이때를 설명하는 용어는?

  1. Echo sound
  2. Cuff sound
  3. Korotkoff sound
  4. Muffing sound
(정답률: 75%)
  • 동맥압과 Cuff 압력이 같아지면 Cuff가 동맥을 압박하지 않게 되고, 동맥 내의 혈액이 혈관에서 뿜어져 나와 흐르기 시작합니다. 이때 혈압 측정기에서 들리는 소리를 Korotkoff sound라고 합니다. 이 소리는 혈압 측정 시 사용되는 청진기로 들을 수 있으며, 혈압 측정의 정확성을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미숙아 및 치아노제·호흡장애 등의 이상 증세를 보이는 신생아를 수용하는 곳에 쓰이는 것으로 산소공급기가 달린 격리 보온기기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산소호흡장치
  2. 고압산소기
  3. 마취기
  4. 인큐베이터
(정답률: 90%)
  • 인큐베이터는 신생아를 보호하고 격리 보온하는 장치로, 산소공급기가 달린 것도 있지만 주요 기능은 보온과 습도 조절입니다. 따라서 "산소호흡장치"나 "고압산소기", "마취기"와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X-선관의 관전압이 100 kVp, 관전류가 100 mA로 50m/s 동안 작동했을 경우의 열용량 (Heat Unit)은?

  1. 0.05 HU
  2. 500 HU
  3. 200000 HU
  4. 500000 HU
(정답률: 51%)
  • X-선관의 작동 시간과 전류, 전압 등의 조건에 따라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Heat Unit (HU)로 표시합니다. HU는 일반적으로 의학 영상 진단에서 사용되며, 영상의 밝기와 대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주어진 조건에서, 열용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열용량 = (관전압 × 관전류 × 작동시간) / 1000

    = (100 kVp × 100 mA × 0.05 s) / 1000

    = 500 HU

    따라서, 정답은 "500 HU"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감마카메라를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광전자 증배관 : 가시광선을 검출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해주는 장치이다.
  2. 섬광결정체 : 높은 에너지의 감마선을 낮은 에너지의 가시광선으로 바꾸어주는 역할을 한다.
  3. 시준기 : 인체 내에서 방출되는 감마선을 제한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나오는 감마선만이 섬광결정체에 도달하도록 해주는 기구이다.
  4. 위치감지회로 : 감마선의 변화량에 의해 출력전압이 미분형태로 얻어지므로 이를 이용하여 감마선이 들어온 위치를 계산한다.
(정답률: 55%)
  • 섬광결정체는 높은 에너지의 감마선을 가시광선으로 바꾸는 역할을 하지 않는다. 오히려 광전자 증배관에서 가시광선을 검출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한다.

    위치감지회로는 감마선이 들어온 위치를 계산하는 역할을 한다. 감마선이 감지기에 들어오면 광전자 증배관에서 광전자가 발생하고, 이 광전자들이 섬광결정체에서 가시광선으로 변환된다. 변환된 가시광선은 위치감지회로에서 처리되어 감마선이 들어온 위치를 계산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생체신호계측용 차동증폭기를 이용하여 심전도를 측정하고자 할 때, 차동증폭기의 반전 입력단자(-)와 비반전 입력단자(+)에 접속하는 신체부위가 틀린 것은?

  1. aVR은 왼팔과 왼발의 중점에 –극, 오른팔에 +극을 접속한다.
  2. aVL은 오른팔과 왼발의 중점에 –극, 왼팔에 +극을 접속한다.
  3. aVF는 양발 중점에 –극, 왼팔에 +극을 접속한다.
  4. aVF는 양팔 중점에 –극, 왼발에 +극을 접속한다.
(정답률: 65%)
  • 정답은 "aVF는 양팔 중점에 –극, 왼발에 +극을 접속한다."입니다.

    심전도 측정 시, 차동증폭기의 반전 입력단자(-)는 신체의 양쪽 어디에나 접속할 수 있지만, 비반전 입력단자(+)는 특정한 부위에만 접속해야 합니다. 이유는 비반전 입력단자(+)는 신체의 전기적 중심을 나타내는 부위에 접속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aVF는 양발 중점에 –극, 왼팔에 +극을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 양팔 중점에 –극, 왼발에 +극을 접속해야 합니다. 이는 aVF가 심전도에서 심장의 수평축을 측정하는데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혈중산소포화도를 측정할 때 사용하는 전자파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자외선 – 보라색 빛
  2. 자외선 – 빨간색 빛
  3. 적외선 – 파란색 빛
  4. 적외선 – 빨간색 빛
(정답률: 86%)
  • 적외선은 혈액 내의 산소와 헤모글로빈이 결합할 때 흡수되는 파장이기 때문에 혈중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데에 적합합니다. 빨간색 빛은 혈액 내의 산소와 헤모글로빈이 결합하지 않은 경우에 흡수되는 파장이기 때문에 혈중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적외선 – 빨간색 빛이 옳게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정전기능 측정기의 회전자극기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서보모터 장치
  2. 회전신호 발생기
  3. 안진측정기
  4. 회전상태 측정 센서
(정답률: 77%)
  • 정전기능 측정기의 회전자극기는 회전신호 발생기와 회전상태 측정 센서, 그리고 서보모터 장치로 구성됩니다. 안진측정기는 회전자극기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안진측정기는 회전축의 안정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독립적인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체열진단기의 구성 중에서 Image grabb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등온선 처리는 영상을 획득하기 전에 한다.
  2. 영상신호의 필터링과 이득조정을 통해 화상을 최적화한다.
  3. 이미지 파일을 하드디스크에 저장하게 해준다.
  4. Image processor에서 1차 처리된 신호를 바탕으로 Image grabber에서 작업을 한다.
(정답률: 53%)
  • Image grabber는 영상신호를 필터링하고 이득을 조정하여 화상을 최적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온도 측정을 정확하게 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이다. 따라서 "영상신호의 필터링과 이득조정을 통해 화상을 최적화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임상검사 장비 중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 성분이나 비중이 다른 물질을 분리·정제·농축하게 하여 액체 속의 고체입자를 분리하는 장비는?

  1. 소변분석기
  2. 원심분리기
  3. 혈구분석기
  4. 혈액가스분석기
(정답률: 90%)
  •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 성분이나 비중이 다른 물질을 분리·정제·농축하게 하여 액체 속의 고체입자를 분리하는 장비는 원심분리기입니다. 이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액체 속의 고체입자를 분리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혈액, 소변 등의 검체에서 세포, 단백질, 성분 등을 분리하고 정량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방사선 치료 장비 중 외조사 치료장치(external beam therapy machines)가 아닌 것은?

  1. 표재치료장치
  2. Cyclotron
  3. 코발트60 원격치료장치
  4. Gamma knife units
(정답률: 60%)
  • Gamma knife units는 외조사 치료장치가 아니라 내부조사 치료장치이다. Gamma knife units는 뇌종양 등을 치료하기 위해 뇌 내부로 방사선을 조사하는 장비이다. 따라서 외부에서 방사선을 조사하는 외조사 치료장치와는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반사된 초음파의 세기를 휘도(brigftness)변조하여 시간과 깊이(거리)의 관계로 표시한는 초음파 진단법은?

  1. M 모드
  2. A 모드
  3. B 모드
  4. 도플러 영상
(정답률: 54%)
  • M 모드는 초음파를 시간과 깊이(거리)의 관계로 표시하는 초음파 진단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초음파를 휘도 변조하여 반사된 초음파의 세기를 표시하므로, 시간과 깊이(거리)의 관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M 모드는 심장, 혈관 등의 용도로 많이 사용되며,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B 모드와 함께 초음파 진단법 중 가장 기본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단색광기(monochrometer)의 부품이 아닌 것은?

  1. 프리즘
  2. 소작분무기
  3. 슬릿
  4. 회절격자
(정답률: 69%)
  • 단색광기(monochrometer)는 빛을 분석하는데 사용되는 기기로, 빛을 분해하는 부품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소작분무기"는 이와 관련이 없는 부품으로, 정답입니다. "프리즘", "슬릿", "회절격자"는 모두 빛을 분해하거나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부품으로, 단색광기의 핵심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피부의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심부조직을 효과적으로 전기 자극하는 치료기로 중첩 현상을 이용하며 심부조직의 자극이나 근력증진 등에 효과적인 치료기기는?

  1. 저주파치료기
  2. 중주파치료기
  3. 간섭전류치료기
  4. 초음파치료기
(정답률: 54%)
  • 간섭전류치료기는 중첩 현상을 이용하여 피부의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심부조직을 효과적으로 전기 자극하는 치료기입니다. 이는 다른 치료기들과는 달리 근력증진 등에 효과적인 치료가 가능하며, 피부의 자극을 최소화하여 부작용이 적은 치료가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심근의 활동에 의해 발생되는 수 mV의 전위차를 피부표면 혹은 체내의 측정점에서 검출하는 측정법은?

  1. EEG
  2. ECG
  3. EMG
  4. ENG
(정답률: 85%)
  • ECG는 Electrocardiogram의 약자로, 심근의 활동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측정하는 검사법이다. 이 신호는 심장의 수축과 이완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적인 변화로 인해 발생하며, 이를 피부표면 혹은 체내의 측정점에서 검출하여 수 mV의 전위차로 나타낸다. 따라서 심장의 기능을 평가하고 질병 진단에 활용되는 검사법으로 널리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전기수술기의 작용(기능)이 아닌 것은?

  1. 진통
  2. 절개
  3. 응고
  4. 지혈
(정답률: 88%)
  • 전기수술기의 작용 중 "진통"은 아닙니다. 전기수술기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이용하여 조직을 절개하고 응고시키며 지혈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진통 효과는 없습니다. 따라서 수술 중에는 환자에게 진통제를 투여하여 통증을 완화시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의용기계공학

81. 나사의 리드가 L 이고 유효 지름이 d 일 때 리드각은?

(정답률: 77%)
  • 리드각은 나사가 한 번 회전할 때 나사가 나아가는 거리인 리드(L)와 나사의 유효 지름(d)에 의해 결정된다. 리드각은 360도를 리드(L)로 나눈 값이므로, 리드각은 360/L이다. 따라서,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적혈구가 붕괴되어 헤모글로빈이 혈구 밖으로 용출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면역 반응
  2. 독소 반응
  3. 염증 반응
  4. 용혈 현상
(정답률: 88%)
  • 적혈구가 파괴되어 헤모글로빈이 혈액에서 떨어져 나오는 현상을 용혈 현상이라고 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면역 반응이나 독소 반응, 염증 반응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혈액에서 생체조직의 초음파 전파속도는 약 몇 m/s 정도인가?

  1. 500 m/s
  2. 1000 m/s
  3. 1500 m/s
  4. 2200 m/s
(정답률: 77%)
  • 생체조직은 약 1500 m/s의 초음파 전파속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생체조직의 밀도와 탄성에 의해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공기의 전파속도는 330 m/s, 물의 전파속도는 1500 m/s, 강철의 전파속도는 5000 m/s 정도입니다. 따라서, 생체조직의 전파속도가 물과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평가방법 중 생체적합성을 평가하는 시험이 아닌 것은?

  1. 세포독성 시험
  2. 인장 시험
  3. 민감성 시험
  4. 혈액적합성 시험
(정답률: 86%)
  • 인장 시험은 생체적합성을 평가하는 시험이 아닙니다. 인장 시험은 재료의 물리적 강도와 내구성을 평가하는 시험으로, 재료의 사용 가능한 수명과 내구성을 예측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생체적합성을 평가하는 시험은 "세포독성 시험", "민감성 시험", "혈액적합성 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인장 시험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응력-변형률 곡선을 얻었다. 그림에 나타난 재료 중에서 인성(toughnss)이 가장 큰 재료는?

(정답률: 56%)
  • 인성(toughness)은 곡선 아래 면적으로 나타낸다. 따라서 면적이 가장 큰 재료가 인성이 가장 큰 재료이다. 그림을 보면 면적이 가장 큰 곡선은 "㉡" 이므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뼈는 무기질(mineral)과 유기물(organic)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 20%의 빈 공간을 가지고 있을 때 무기물과 유기물이 차지하는 체적비율이 동일하고 각각의 밀도가 3.0g/cm3, 1.0g/cm3 이라면 이 뼈의 밀도는?

  1. 0.5 g/cm3
  2. 1.6 g/cm3
  3. 1.5 g/cm3
  4. 2.6 g/cm3
(정답률: 64%)
  • 뼈의 전체 체적을 100으로 가정하면, 무기물과 유기물 각각이 50의 체적을 차지하게 됩니다. 무기물의 밀도가 3.0g/cm3 이므로, 무기물이 차지하는 체적의 질량은 50 x 3.0 = 150g 입니다. 유기물의 밀도가 1.0g/cm3 이므로, 유기물이 차지하는 체적의 질량은 50 x 1.0 = 50g 입니다. 따라서, 전체 뼈의 질량은 150g + 50g = 200g 이고, 전체 뼈의 체적은 100cm3 이므로, 뼈의 밀도는 200g/100cm3 = 2.0g/cm3 입니다. 하지만, 뼈 내부의 빈 공간이 약 20% 존재하므로, 실제 뼈의 밀도는 2.0g/cm3 x 0.8 = 1.6g/cm3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6 g/cm3"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물리적 에너지 중의 하나인 방사선을 이용한 의공학 기술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열한 것은?

  1. ㄱ, ㄴ
  2. ㄱ, ㄴ, ㄷ
  3. ㄱ, ㄴ, ㄷ, ㄹ
  4. ㄴ, ㄷ, ㄹ
(정답률: 80%)
  • 정답은 "ㄱ, ㄴ"입니다.

    이유는 방사선은 의학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데, 방사선 치료나 방사선 영상 촬영 등의 의학 기술에 활용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ㄱ, ㄴ"이 정답이 됩니다.

    나머지 보기들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정답이 아닙니다.

    - "ㄱ, ㄴ, ㄷ": ㄷ은 의공학 기술 중 하나인 의료기기를 나타내는데, 방사선은 의료기기가 아니므로 정답이 아닙니다.
    - "ㄱ, ㄴ, ㄷ, ㄹ": ㄷ은 위와 같은 이유로 정답이 아니며, ㄹ은 로봇공학 기술을 나타내는데, 방사선과는 관련이 없으므로 정답이 아닙니다.
    - "ㄴ, ㄷ, ㄹ": 방사선은 의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로봇공학이나 의료기기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생체재료의 기계적 성질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방법 중 반복적인 하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기계적 성질을 측정하는 동적 시험에 속하는 것은?

  1. 인장시험
  2. 압축시험
  3. 피로시험
  4. 경도시험
(정답률: 84%)
  • 피로시험은 반복적인 하중에 의해 생체재료가 얼마나 내구성이 있는지를 측정하는 시험 방법입니다. 이 시험은 생체재료가 실제 사용 중에 받게 될 반복적인 하중에 대한 내구성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피로시험은 생체재료의 실제 사용 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시험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항목들 중 옳은 내용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a, b
  2. c, d
  3. a, c
  4. b, d
(정답률: 77%)
  • b와 d는 모두 "포도"와 관련된 내용이다. b는 포도를 상징하는 그림이고, d는 포도를 수확하는 시기인 가을을 나타내는 것이다. a와 c는 각각 "사과"와 "딸기"와 관련된 내용이 섞여있고, 이는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변형률(strai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장 변형률은 “양”으로, 압축 변형률은 “음”으로 간주한다.
  2. 탄성물질에 대한 변형률은 전단응력에 반비례한다.
  3. 변형률은 단위가 없는 무차원 값이다.
  4. 변형률은 매우 작은 양이기 때문에 측정 시 정밀도가 매우 중요하다.
(정답률: 67%)
  • "탄성물질에 대한 변형률은 전단응력에 반비례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탄성물질의 경우 변형률은 응력에 비례한다. 이는 후크의 법칙에 따른 것이다. 즉, 응력과 변형률은 일정한 비례 상수인 탄성계수에 의해 결정된다.

    탄성물질에 대한 변형률이 전단응력에 반비례하는 것은 비탄성물질의 특성이다. 비탄성물질은 응력에 따라 변형률이 일정하지 않으며, 응력이 증가할수록 변형률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원자핵이 자화(Magnetization)될 때 발생되는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원자핵들은 외부자장을 가하면 자장방향과 거의 수직으로 정렬한다.
  2. 세차운동의 회전속도는 원자핵의 종류에 따라서 각각 다르다.
  3. 원자핵은 자장이 없는 상태에서 제멋대로 배열되어 있다.
  4. 원자핵의 회전속도는 자장의 강도에 비례하며 변한다.
(정답률: 62%)
  • "원자핵의 회전속도는 자장의 강도에 비례하며 변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원자핵들은 외부자장을 가하면 자장방향과 거의 수직으로 정렬됩니다. 이는 외부자장이 원자핵의 자기모멘트를 일정 방향으로 정렬시키기 때문입니다. 세차운동의 회전속도는 원자핵의 종류에 따라서 각각 다르지만, 자장이 없는 상태에서 제멋대로 배열되어 있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생체재료로 활용되고 있는 재료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강력한 부식성
  2. 풍부한 인성
  3. 우수한 강도
  4. 큰 연성
(정답률: 80%)
  • 생체재료로 활용되는 재료는 인체 내에서 사용 가능하며, 생체적합성이 높아야 합니다. 따라서 "강력한 부식성"은 생체재료로 활용되는 재료의 특징이 아닙니다. 강력한 부식성이 있는 재료는 인체 내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으며, 부식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보행에서 단하지지지(single-limb-support) 기간과 같은 것은?

  1. 같은 하지에서의 양하지지지(double-limb-support) 기간
  2. 반대편 하지에서의 양하지지지(double-limb-support) 기간
  3. 반대편 하지에서의 유각기(swing) 기간
  4. 같은 하지에서의 유각기(swing) 기간
(정답률: 69%)
  • 보행에서 단하지지지(single-limb-support) 기간은 한 발만 바닥에 닿아있는 시간을 말한다. 따라서 반대편 하지에서의 유각기(swing) 기간은 다른 발이 바닥에 닿기 전까지 한 발만 바닥에 닿아있는 단하지지지(single-limb-support) 기간과 같은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반대편 하지에서의 유각기(swing) 기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모세관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체와 액체의 자유표면이 접할 때 접합부분에 곡면을 형성하게 된다.
  2. 수은의 자유표면 형상은 볼록한 곡면을 띤다.
  3. 액체 속에 모세관을 넣었을 때 관내의 액면이 외부와 자유표면보다 높거나 낮아지는 현상을 모세관 현상이라 한다.
  4. 액체의 응집력과 관과 액체 사이의 부착력 차이에 의해서 액면은 항상 볼록하게 형성된다.
(정답률: 65%)
  • "액체의 응집력과 관과 액체 사이의 부착력 차이에 의해서 액면은 항상 볼록하게 형성된다."가 틀린 것이다. 액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은 응집력이 부착력보다 큰 경우이다. 따라서 응집력과 부착력의 차이에 따라 액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도, 오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생체 내에 금속재료를 삽입하였을 경우에 일어나는 문제점으로 틀린 것은?

  1. 금속이온 용출에 의한 위해 작용
  2. 부식에 의한 파손
  3. 체내 결합에 따른 주위조직 위해 작용
  4. 생체분해성
(정답률: 76%)
  • 생체분해성은 생체 내에서 분해되어 체외로 배출되는 성질을 의미한다. 따라서 생체 내에 삽입된 금속재료가 생체분해성이 있다면 체내에서 분해되어 체외로 배출되므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금속이온 용출, 부식, 체내 결합 등의 문제는 생체 내에 삽입된 금속재료가 주변 조직에 영향을 미치거나 체내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어떤 재료가 변형률 0.01까지 탄성변형을 하였다고 가정하고, 변형률 0.001에서 응력이 106 Pa 이었다면 이 재료의 탄성계수는 얼마인가?

  1. 106 Pa
  2. 107 Pa
  3. 108 Pa
  4. 109 Pa
(정답률: 47%)
  • 탄성계수는 응력과 변형률의 비율로 정의된다. 즉, 탄성계수 = 응력 / 변형률이다. 이 문제에서는 변형률이 0.01까지 탄성변형을 한다고 가정하였으므로, 변형률이 0.001일 때에는 아직 탄성변형 범위 내에 있다. 따라서 변형률 0.001에서의 응력은 탄성계수에 변형률 0.001을 곱한 값과 같다. 즉, 응력 = 탄성계수 x 변형률 = 탄성계수 x 0.001 이다. 이 문제에서 응력이 106 Pa 이므로, 탄성계수는 106 Pa / 0.001 = 109 Pa 이다. 따라서 정답은 "109 Pa"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심장판막 재료로 사용되는 세라믹 재료는?

  1. 열분해탄소(pyroltic carbon)
  2. 알루미나(alumina)
  3. 바이오글라스(bioglass)
  4. 수산화인회석(hydroxyapatite)
(정답률: 40%)
  • 심장판막은 매우 얇은 층으로 만들어져 있어서 강하고 경량의 재료가 필요합니다. 열분해탄소(pyroltic carbon)는 고온에서 가스 상태로 변화시킨 탄소를 고체로 만들어진 세라믹 재료로, 높은 강도와 경량성을 가지고 있어 심장판막에 적합한 재료입니다. 또한 생체적합성이 높아서 인체 내에서도 안전하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상지의지로만 구성된 항목으로 옳은 것은?

  1. 주관절의지, 수부의지, 수지의지
  2. 수부의지, 슬관절의지, 대퇴의지
  3. 하퇴의지, 주관절의지, 대퇴의지
  4. 대퇴의지, 고관절의지, 수지의지
(정답률: 84%)
  • 주관절의지는 상지나 하지의 관절을 움직이는 능력을 말하며, 수부의지는 손목과 손가락을 움직이는 능력을 말하고, 수지의지는 발목과 발가락을 움직이는 능력을 말합니다. 따라서 "주관절의지, 수부의지, 수지의지"가 상지의지로만 구성된 항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상처를 입은 조직에는 백혈구들이 이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동하여 온다. 이물질에 대항하여 탐식작용(phagocytosis)을 하는 세포가 아닌 것은?

  1. 호중구
  2. 단핵구
  3. 사이토카인
  4. 대식세포
(정답률: 70%)
  • 사이토카인은 이물질을 직접 탐식하는 세포가 아니라, 면역반응을 조절하거나 염증을 일으키는 역할을 하는 단백질입니다. 따라서 이물질에 대항하여 직접적인 탐식작용을 하는 호중구, 단핵구, 대식세포와는 달리, 사이토카인은 이물질 제거를 위한 백혈구의 활동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Co-Cr 합금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높은 내마모성을 가지고 있다.
  2. 체액과 생리적 부하에 대한 내부식성이 우수하다.
  3. 주조과정을 통해서 인공관절로 만들 수 있다.
  4. 티타늄 합금의 강도보다 작다.
(정답률: 64%)
  • Co-Cr 합금은 높은 내마모성과 체액 및 생리적 부하에 대한 내부식성이 우수하며, 주조과정을 통해 인공관절로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티타늄 합금보다 강도가 작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는 Co-Cr 합금이 티타늄 합금보다 덜 단단하고 강력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