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공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3-05)

의공기사
(2017-03-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기초의학 및 의공학

1. 전해질 겔(electrolyte gel)의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극과 피부사이에 절연층을 만든다.
  2. 전극과 피부간의 전기적 저항을 줄인다.
  3. 전극과 피부간의 전기적 접촉 상태를 좋게 유지한다.
  4. 피부 각질층의 전기 전도도를 증가시킨다.
(정답률: 91%)
  • "전극과 피부사이에 절연층을 만든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전해질 겔은 전극과 피부 사이의 전기적 접촉 상태를 유지하고, 전기적 저항을 줄여 전류의 흐름을 용이하게 합니다. 또한 피부 각질층의 전기 전도도를 증가시켜 전기적 자극을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그림의 초음파 혈류계를 이용하여 혈류의 속도를 측정하는 메커니즘에 대해 잘못 설명한 것은?

  1. 두 개의 초음파 송수신 장치(T)와 한 개의 반사판(Reflector)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초음파가 반사판을 통과한 후 들어오는 각도를 계측한다.
  3. 한 쪽의 초음파 송신장치를 출발한 초음파가 혈관과 반사판을 지나 수신 장치에 들어올 때까지의 진행 시간을 계측한다.
  4. 혈류량을 계측할 때는 혈관의 단면에 대한 대략적인 정보가 필요하다.
(정답률: 90%)
  • "초음파가 반사판을 통과한 후 들어오는 각도를 계측한다."라는 설명은 잘못된 설명입니다. 초음파 혈류계는 한 쪽의 초음파 송신장치를 출발한 초음파가 혈관과 반사판을 지나 수신 장치에 들어올 때까지의 진행 시간을 계측하여 혈류의 속도를 측정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한 쪽의 초음파 송신장치를 출발한 초음파가 혈관과 반사판을 지나 수신 장치에 들어올 때까지의 진행 시간을 계측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실무율에 대한 설명 중 트린 것은?

  1. 신경에 자극을 가할 때 역치 이상일 때는 반응을 일으키고, 역치 이하일 때는 활동 전압은 발생되지 않으나 다만 흥분성의 변화만이 있는 것을 실무율이라고 한다.
  2. 단일 신경섬유가 자극의 강도에 따라 최고의 흥분을 하거나 흥분을 하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3. 실무율은 신경세포에서만 일어난다.
  4. 단일 세포에서 관찰되는 성질이다.
(정답률: 86%)
  • 정답은 "실무율은 신경세포에서만 일어난다." 이다. 이유는 실무율은 신경세포에서만 나타나는 성질이기 때문이다. 다른 세포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관찰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ATP를 소모하는 이온의 이동과정은?

  1. 세포내부에서 외부로 K+이동
  2. 세포내부에서 외부로 Ca2+이동
  3. 세포내부에서 외부로 Na+이동
  4. 세포내부에서 외부로 SO42-이동
(정답률: 77%)
  • ATP는 세포막을 통과하는 이온의 이동을 촉진시키는데 사용됩니다. Na+ 이온은 세포막을 통과하기 위해 ATP를 사용합니다. Na+ 이온은 세포 내부에서 농도가 낮고 외부에서 농도가 높기 때문에, 세포막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ATP는 이러한 에너지를 제공하여 Na+ 이온이 세포막을 통과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인체의 혈액량은 대략 체중의 몇 퍼센트 정도인가?

  1. 1%
  2. 7%
  3. 23%
  4. 54%
(정답률: 92%)
  • 인체의 혈액량은 대략 체중의 7% 정도이다. 이는 인체의 평균 체중이 70kg일 때, 약 5리터의 혈액이 인체 내에 순환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체중이 높아지면 혈액량도 그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방사성 붕괴 시 나타나는 현상과 거리가 먼 것은?

  1. alpha decay
  2. X-ray decay
  3. positron decay
  4. gamma decay
(정답률: 86%)
  • 방사성 붕괴 시 나타나는 현상은 일반적으로 알파 붕괴, 베타 붕괴, 감마 붕괴 등이 있습니다. 이 중 X-선 붕괴는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용어입니다. X-선은 원자의 전자가 에너지를 방출할 때 발생하는 것으로, 방사성 붕괴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X-선 붕괴는 방사성 붕괴 시 나타나는 현상과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미세전극(microelectrod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극의 길이는 0.05~10㎛정도이다.
  2. 세포의 활동전위를 측정하기 위한 전극이다.
  3. 급속 미세전극, 유리 마이크로피펫 미세전극등이 있다.
  4. 인체 내에 삽입하는 전극이다.
(정답률: 77%)
  • 인체 내에 삽입하는 전극이라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미세전극은 주로 생물학 실험에서 세포의 활동전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극으로, 인체 내에 삽입하는 것은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습니다. 따라서 인체 내에 삽입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금속 전극이나 실리콘 전극 등 다른 종류의 전극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휴지기 전위를 조정하는 메커니즘이 아닌 것은?

  1. Na+이온보다 K+이온을 더 잘 통과시킨다.
  2. 삼투 현상에 의해 이온을 이동시켜 준다.
  3. 크기가 큰 음전하의 단백질은 세포막을 통과할 수 없다.
  4. Na+/K+펌프는 Na+ 이온 3개를 내보낼 때 K+이온 2개를 들여온다.
(정답률: 89%)
  • "크기가 큰 음전하의 단백질은 세포막을 통과할 수 없다."가 휴지기 전위를 조정하는 메커니즘이 아닙니다.

    이유: 휴지기 전위는 세포막 내부와 외부의 이온 농도 차이를 유지하기 위해 이온을 이동시키는 과정입니다. 이때, 삼투 현상은 세포막 내부와 외부의 이온 농도 차이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삼투 현상은 이온이 농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으로, 이를 통해 세포막 내부와 외부의 이온 농도 차이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삼투 현상에 의해 이온을 이동시켜 준다."는 휴지기 전위를 조정하는 메커니즘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서미스터(thermisto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반도체 물질의 온도가 증가하면 저항값이 감소하는 부특성을 주로 이용한다.
  2. 소형으로 만들 수 있으며 응답속도가 빠르다.
  3. 구조적으로 직열형, 방열형, 지연형으로 구분된다.
  4. 온도를 기전력으로 바꾸어 전류를 흐르게 한다.
(정답률: 58%)
  • 서미스터는 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는 반도체 소자로, 온도를 기전력으로 바꾸어 전류를 흐르게 합니다. 따라서 "온도를 기전력으로 바꾸어 전류를 흐르게 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심장의 벽은 3층 구조로 되어 있다. 밖에서부터 차례로 옳게 나열된 것은?

  1. 심외막-심근-심내막
  2. 심내막-심근-심외막
  3. 심외막-심내막-심근
  4. 심내막-심외막-심근
(정답률: 90%)
  • 정답은 "심외막-심근-심내막"이다.

    심장의 벽은 3층 구조로 되어 있으며, 각 층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1. 심외막: 심장을 둘러싸고 있는 가장 바깥쪽 층으로, 심장을 보호하고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2. 심근: 중간 층으로, 심장의 주요 구성 요소인 근육 섬유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축과 이완을 통해 혈액을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3. 심내막: 심장 내부를 덮고 있는 가장 안쪽 층으로, 심장을 보호하고 내부를 윤활하여 심장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한다.

    따라서, 심장의 벽은 심외막-심근-심내막 순서로 되어 있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 )안에 들어갈 적절한 용어는?

  1. left
  2. medial
  3. inferior
  4. lateral
(정답률: 92%)
  • 이 보기는 인체의 해부학적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들이다. "Inferior"는 아래쪽을 의미하며, 다른 보기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inferior"는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이식형 생체 전극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인체에 삽입되는 전극이다.
  2. 장기간 측정용으로 사용 가능하다.
  3. 전극의 신호는 무선방식으로만 전달된다.
  4. 인체 내부 장기의 전위 측정이나 전기 자극을 목적으로 한다.
(정답률: 94%)
  • 전극의 신호는 무선방식으로만 전달된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이식형 생체 전극은 인체에 삽입되어 인체 내부 장기의 전위 측정이나 전기 자극을 목적으로 사용되며, 장기간 측정용으로도 사용됩니다. 하지만 전극의 신호는 무선방식으로만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유선방식으로도 전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포도당 바이오센서에는 어떤 물리량을 측정하는 센서가 필요한가?

  1. 산소농도
  2. 질소농도
  3. pH
  4. 온도
(정답률: 78%)
  • 포도당 바이오센서는 포도당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이므로, 포도당 농도와 관련된 물리량을 측정하는 센서가 필요합니다. 산소농도는 포도당 농도와 관련이 있으며, 포도당이 산소와 반응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산소가 소비되기 때문에 산소농도를 측정하는 센서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산소농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일반적으로 혈액의 온도가 낮아질 때의 현상으로 옳은 것은?

  1. 산소와 영양분 공급이 풍부해진다.
  2. 혈류속도가 빨라진다.
  3. 액체의 점성이 커진다.
  4. 혈류저항이 작아진다.
(정답률: 79%)
  • 혈액의 온도가 낮아질 때, 혈액 내부의 분자들이 서로 떨어져 움직이는 데 필요한 에너지가 감소하게 되어 액체의 점성이 커지게 됩니다. 이는 혈액의 순환에 영향을 미치며, 혈액의 점성이 높아지면 혈액의 흐름이 느려지고 혈액의 저항이 커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류마티스 관절염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자가면역질환이다.
  2. 남성에 비해 여성의 발병률이 높다.
  3. 모든 관절에 생길 수 있다.
  4. 60대 이상 노인들에게만 발병한다.
(정답률: 94%)
  • 류마티스 관절염은 자가면역질환이며, 남성에 비해 여성의 발병률이 높으며, 모든 관절에 생길 수 있지만, 60대 이상 노인들에게만 발병하는 것은 아니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어린이나 청소년에게서도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금속판 전극을 사용할 수 없는 곳은?

  1. 복부
  2. 넓적다리
  3. 소장
(정답률: 95%)
  • 소장은 금속판 전극을 사용할 수 없는 곳입니다. 이는 소장이 전해질 전기 신호를 방해하거나 왜곡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장 검사를 할 때에는 다른 검사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분극 전극이 아닌 것은?

  1. 스테인리스 재질의 바늘형 전극
  2. 겔을 사용하지 않은 건성 전극(dry electrode)
  3. 엔치 내부에 이식하는 백금 전극
  4. 일회용 Ag-AgCl 전극
(정답률: 96%)
  • 분극 전극은 전극의 표면에 전기적으로 활성한 물질을 도금하여 전극의 표면을 확장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일회용 Ag-AgCl 전극은 분극 전극이 아니며, Ag-AgCl 전극은 전극의 표면에 활성 물질을 도금하지 않고도 전극의 표면을 확장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일회용 Ag-AgCl 전극은 분극 전극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위액 분비를 자극하는 인자가 아닌 것은?

  1.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2. 펩시노겐(perpsinogen)
  3. 가스트린(astrin)
  4. 히스타민(histamine)
(정답률: 44%)
  • 펩시노겐은 위산 생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위산 생성을 위해 소화 효소인 펩신(pepsin)으로 변환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위액 분비를 자극하는 인자가 아닙니다. 반면, 아세틸콜린, 가스트린, 히스타민은 모두 위액 분비를 자극하는 인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탄성한계 내에서 압력 또는 변위에 따른 전선의 길이, 직경의 변화를 이용하는 트랜스듀서는?

  1. 스트레인게이지
  2. 압전소자
  3. 서미스터
  4. 바리스터
(정답률: 90%)
  • 스트레인게이지는 탄성한계 내에서 압력 또는 변위에 따른 전선의 길이, 직경의 변화를 이용하여 변위나 압력을 측정하는 트랜스듀서입니다. 이는 전기저항의 변화를 이용하여 변위나 압력을 감지하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구조물의 변형이나 물체의 무게 등을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스트레인게이지는 압전소자, 서미스터, 바리스터와는 다른 원리로 작동하며, 변위나 압력 측정에 특화된 트랜스듀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골격의 기능으로 옳은 것은?

  1. 소화기능
  2. 배설기능
  3. 발성기능
  4. 조혈기능
(정답률: 91%)
  • 골격은 뼈와 근육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조혈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조혈기능은 빈혈 등 혈액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골수에서 혈액세포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혈액 내의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을 유지하고 생산합니다. 따라서 골격은 조혈기능을 통해 우리 몸의 혈액 건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의용전자공학

21. 다음의 다이오드 소자 중 순방향 동작 전압이 가장 낮은 것은?

  1. 제너 다이오드
  2. 가변용량 다이오드
  3. 발광 다이오드
  4. 쇼트키 다이오드
(정답률: 69%)
  • 쇼트키 다이오드가 순방향 동작 전압이 가장 낮은 이유는, 이 다이오드는 PN 접합부의 철저한 제어로 인해 매우 빠른 스위칭 속도와 낮은 전압 손실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주파 회로나 고속 스위칭 회로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출력 전력 100W의 반송파를 50% 변조할 때 측파대 전력은 몇 W인가?

  1. 3.5
  2. 6.5
  3. 10.5
  4. 12.5
(정답률: 56%)
  • 반송파를 50% 변조하면 측파대 전력은 원래의 반송파 전력에 변조 지수의 제곱을 곱한 값이 된다. 변조 지수는 0.5이므로, 측파대 전력은 100W x 0.5^2 = 25W가 된다. 그러나 반송파가 측파대로 돌아오면서 다시 한번 변조되므로, 최종적으로 측파대 전력은 25W x 2 = 50W가 된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2.5"가 아니라 "50"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그림과 같이 반파 정류된 전압의 평균값은?

  1. 약 3.82 V
  2. 약 6 V
  3. 약 7.64 V
  4. 약 12 V
(정답률: 73%)
  • 반파 정류된 전압의 평균값은 Vm/π 이다. 여기서 Vm은 최대 전압이다. 그림에서 Vm은 6V이므로, 평균값은 6/π 약 1.91V이다. 하지만 다음으로 전압을 2배로 올리면 평균값도 2배가 된다. 따라서 1.91V × 2 약 3.82V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약 3.82 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회로에서 트랜지스터의 βDC는 200이고, VBE=0.7V이다. C1과 C2의 용량은 리액턴스를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크다. VIN=1mV일 때 RL에 출력되는 교류전압은 몇 mV 인가?

  1. 400
  2. 30
  3. 10
  4. 3
(정답률: 36%)
  • 이 회로는 에미터 전압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증폭기로 동작한다. 따라서 출력 전압은 입력 전압에 비례하여 증폭된다.

    입력 전압 VIN이 1mV이므로, 베이스 전압은 VBE=0.7V이고, 이에 따라 콜렉터 전압은 약 4.3V이다. 이 때, 콜렉터 전류는 IC = (VCC-VCE)/RL = (10-4.3)/1k = 5.7mA이다.

    이 때, 베이스 전류는 IB = ICDC = 5.7mA/200 = 28.5μA이다.

    이에 따라 C1과 C2에 인가되는 교류전압은 VIN-VBE = 0.3mV이고, 이에 따라 C1과 C2에 인가되는 교류전류는 약 28.5μA이다.

    따라서 RL에 출력되는 교류전압은 IC×RL = 5.7mA×1k = 5.7V이다.

    하지만 이 회로는 증폭기로 동작하므로, 출력 전압은 입력 전압에 비례하여 증폭된다. 따라서 RL에 출력되는 교류전압은 5.7V×1000 = 5.7mV이다.

    따라서 정답은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때 발생하는 양자화 오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연속되는 양을 이산값으로 근사화 시킬 때 원신호와의 차이로 발생하는 오차를 말한다.
  2. 디지털화에 따르는 품질저하의 원인이 된다.
  3. 양자화 잡음을 줄이기 위해 양자화 폭을 일정하게 고정하는 선형 양자화 방법이 있다.
  4. 계단 형태의 신호를 저역 통과 필터에 적용할 때 발생한다.
(정답률: 82%)
  • "계단 형태의 신호를 저역 통과 필터에 적용할 때 발생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양자화 오차는 연속되는 양을 이산값으로 근사화 시킬 때 원신호와의 차이로 발생하는 오차를 말하며, 디지털화에 따르는 품질저하의 원인이 됩니다. 양자화 잡음을 줄이기 위해 양자화 폭을 일정하게 고정하는 선형 양자화 방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10진수 314를 16진수로 옳게 변환한 것은?

  1. FF
  2. 12D
  3. 13A
  4. 213
(정답률: 80%)
  • 10진수 314를 16진수로 변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16으로 나눈 나머지를 구합니다. (314 % 16 = 6)
    2. 16으로 나눈 몫을 구합니다. (314 // 16 = 19)
    3. 몫이 0이 될 때까지 1, 2 과정을 반복합니다.

    따라서, 314를 16진수로 변환하면 13A가 됩니다. (314 = 13 x 16^2 + 10 x 16^1 + 6 x 16^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마이크로컴퓨터의 입출력 시스템에서 인터페이스(interface) 회로의 기본적인 기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데이터 형식의 변환
  2. 입출력 장치의 상태조사
  3. 전송의 동기 제어
  4. 신호의 레벨 제어
(정답률: 77%)
  • 인터페이스 회로의 기본적인 기능은 데이터 형식의 변환, 전송의 동기 제어, 신호의 레벨 제어이다. 입출력 장치의 상태조사는 인터페이스 회로의 보조적인 기능으로, 입출력 장치의 상태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입출력 장치의 상태조사는 인터페이스 회로의 기본적인 기능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JK 플립플롭에서 J=0, K=0 그리고 Q=0일 때의 다음 상태인 Q1과, J=0, K=0 그리고 Q=1일 때의 다음 상태인 Q2를 올바르게 표현한 것은? (단, Q는 현재 상태를 의미한다.)

  1. Q1=0, Q2=0
  2. Q1=0, Q2=1
  3. Q1=1, Q2=0
  4. Q1=1, Q2=1
(정답률: 94%)
  • JK 플립플롭에서 J=0, K=0일 때, Q의 상태는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Q1=0, Q2=0이 아닌 "Q1=0, Q2=1"이 된다. 이는 현재 Q가 1이므로 K=0이면 Q가 유지되고, J=1이면 Q가 반전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J=0이므로 Q는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Q1=0, Q2=1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뇌전도 측정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깊은 수면 중에 강하게 나타나는 뇌파는 델타(δ)파이다.
  2. 10-20 전극배치법은 전극을 전두엽에 10개, 후두엽에 20개를 배치하는 방법이다.
  3. 단극유도법으로 측정하면 대뇌피질 및 심부의 이상 상태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
  4. 단극유도법의 기준 전극은 일반적으로 귓볼에 장착한다.
(정답률: 73%)
  • "단극유도법으로 측정하면 대뇌피질 및 심부의 이상 상태를 쉽게 발견할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단극유도법은 특정 부위의 뇌활동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대뇌피질 및 심부의 이상 상태를 발견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뇌전도 검사는 종합적인 진단을 위한 보조 검사로 활용됩니다. 10-20 전극배치법은 전극을 전두엽에 10개, 후두엽에 10개를 배치하는 방법이 아니라 후두엽에 20개를 배치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아날로그 신호를 변조하여 전송할 때의 변조 방식이 아닌 것은?

  1. 진폭 변조
  2. 주파수 변조
  3. 위상 변조
  4. 델타 변조
(정답률: 76%)
  • 아날로그 신호를 변조하여 전송할 때, "진폭 변조", "주파수 변조", "위상 변조"는 모두 일정한 주기로 변화하는 신호를 다른 파형으로 변환하는 방식이지만, "델타 변조"는 이전 샘플과 현재 샘플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신호를 변조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다른 방식과 구분됩니다. 즉, "델타 변조"는 이전 샘플과의 차이를 이용하여 신호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다른 방식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전자기유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회로에 쇄교하는 자속이 시간적으로 변화하면 기전력이 발생한다.
  2. 전자기유도 회로에서 발생하는 기전력은 쇄교 자속의 시간 변화율에 반비례한다.
  3. 유도 기전력의 방향은 렌츠의 법칙(Lenz’s law)으로 알 수 있다.
  4. 와전류의 원인이 된다.
(정답률: 63%)
  • "전자기유도 회로에서 발생하는 기전력은 쇄교 자속의 시간 변화율에 반비례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정답이 없다.

    그 이유는, 전자기유도 현상에서 발생하는 기전력은 쇄교 자속의 변화율에 비례한다는 것이 아니라, 쇄교 자속의 변화율에 반비례한다는 것이 맞다. 이는 렌츠의 법칙에 따라서 유도 기전력의 방향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즉, 쇄교 자속의 변화가 빠를수록 유도 기전력은 작아지고, 변화가 느릴수록 유도 기전력은 커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뇌전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뇌의 전기적 활동은 신경세포에 의해 발생한다.
  2. 뇌전도는 수십 μV 정도의 극히 미세한 전위이다.
  3. 10Hz~100Hz 범위의 주파수 특성을 갖는다.
  4. 간질, 수면장애 등의 뇌관련 질환의 진단에 유용하다.
(정답률: 83%)
  • 뇌전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10Hz~100Hz 범위의 주파수 특성을 갖는 이유는 뇌파의 주파수가 이 범위에 해당하기 때문입니다. 이 범위는 alpha, beta, theta, delta 등의 뇌파 주파수 범위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생체 계측을 위한 시스템의 기본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측정대상
  2. 센서
  3. 출력장치
  4. 압력
(정답률: 81%)
  • 압력은 생체 계측을 위한 시스템의 기본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생체 계측 시스템에서는 측정대상(생체 신호), 센서(생체 신호를 감지하는 장치), 출력장치(생체 신호를 표시하거나 처리하는 장치)이 필요하지만, 압력은 생체 신호 중 하나가 아니기 때문에 기본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의 저항 연결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두 개의 저항이 직렬 연결된 회로에서는 저항이 큰 쪽의 전압강하가 더 크다.
  2. 두 개의 저항이 병렬 연결된 회로에서는 저항이 큰 쪽에 흐르는 전류가 더 크다.
  3. 전류계와 저항을 병렬 연결하면 전류계의 측정점위가 확대된다.
  4. 전압계와 저항을 직렬 접속하면 전압계의 측정점위가 확대된다.
(정답률: 81%)
  • "두 개의 저항이 병렬 연결된 회로에서는 저항이 큰 쪽에 흐르는 전류가 더 크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유는 병렬 연결된 회로에서는 전압이 같으므로 저항이 작은 쪽에는 더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고, 저항이 큰 쪽에는 더 적은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는 오므로 "두 개의 저항이 직렬 연결된 회로에서는 저항이 큰 쪽의 전압강하가 더 크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타이밍 동작은 패치(fatch) 사이클이 존재한다.
  2.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타이밍 동작은 실행(execute) 사이클이 존재한다.
  3. 1명령당의 기간을 명령(instruction) 사이클이라 한다.
  4. 클럭의 1주기를 스택(stack) 사이클이라 한다.
(정답률: 71%)
  • "클럭의 1주기를 스택(stack) 사이클이라 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클럭의 1주기는 클럭 사이클이라고 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동작에서는 명령 사이클, 패치 사이클, 실행 사이클 등이 존재합니다. 스택(stack)은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메모리 구조 중 하나이며, 클럭 사이클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주파수 범위가 8~13Hz이고, 정서적으로 안정된 상태에 있을 때 가장 활성화되는 뇌전도 파형은?

  1. 델타(δ)파
  2. 세타(θ)파
  3. 알파(α)파
  4. 베타(β)파
(정답률: 77%)
  • 알파파는 주로 안정된 상태에서 활성화되며, 뇌파 주파수 범위가 8~13Hz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알파파가 가장 활성화될 것입니다. 델타파는 깊은 수면 상태에서, 세타파는 휴식 상태에서, 베타파는 활동적인 상태에서 주로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진공 중에 두 점전하 Q1과 Q2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F라고 하고, Q1과 Q2 부근에 점전하 Q3을 놓을 경우에 Q1과 Q2사이에 새롭게 작용하는 힘을 F’라고 하면, F와 F’의 크기 관계를 옳게 표현한 것은?

  1. F > F’
  2. F < F’
  3. F = F’
  4. Q3의 크기에 따라 다르다.
(정답률: 81%)
  • 정답: F = F’

    이유: 진공 상태에서 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쿨롱의 법칙에 따라 전하의 크기와 거리에 비례하며, 진공 상태에서는 다른 전하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Q3의 존재 여부와 크기는 F와 F’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F와 F’는 동일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A급 증폭기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정현과 신호의 입력에 대하여 반주기 이하의 출력을 얻을 수 있으며, 주로 고주파 동조 증폭기에서 이용된다.
  2. 반주기(180도)보다 조금 많은 영역에서 동작하도록 바이어스 되어 있다.
  3. 신호가 없는 상태에서 트랜지스터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정현파 신호를 인가할 때 반주기만큼 전류가 흐른다.
  4. 입력주기의 전주기에 대하여 선형영역에서 동작하며, 출력파형과 입력파형의 모양이 같다.
(정답률: 65%)
  • A급 증폭기는 입력주기의 전주기에 대하여 선형영역에서 동작하며, 출력파형과 입력파형의 모양이 같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이는 입력신호의 크기와 상관없이 일정한 증폭을 유지하며, 왜곡이 적은 깨끗한 출력신호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생체계측 시에 증폭기의 신호 출력을 측정하였더니 0.505V이고, 신호를 제거하고 잡음을 측정하였더니 50.5μV인 경우 S/N비는 몇 dB인가?

  1. 10
  2. 40
  3. 60
  4. 80
(정답률: 70%)
  • S/N비는 신호의 크기와 잡음의 크기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S/N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S/N비 = 20log10(신호크기/잡음크기)

    여기서 신호크기는 0.505V이고, 잡음크기는 50.5μV이다. 단위를 맞추기 위해 잡음크기를 V로 변환하면 0.0000505V가 된다.

    따라서 S/N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S/N비 = 20log10(0.505/0.0000505) ≈ 80dB

    따라서 정답은 "8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심장 박동에 따라 발생되는 미세한 체적의 변화를 측정하여 가시적으로 기록하는 맥과 검사법은?

  1. 용적맥파법
  2. 압맥파법
  3. 오실로메트릭 방법
  4. 초음파 감지법
(정답률: 65%)
  • 용적맥파법은 심장 수축 시 혈액이 동맥에 흐르면서 동맥의 체적이 약간 변화하게 되는데, 이 변화를 측정하여 맥박을 기록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맥박의 빈도뿐만 아니라 심장의 수축력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압맥파법은 동맥의 압력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이며, 오실로메트릭 방법은 호흡 운동에 따른 가슴 용량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초음파 감지법은 심장 및 혈관 내부의 혈류 상태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의료안전·법규 및 정보

41. 방사선 관계 종사자의 선량한도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수정체 등가선량: 연간 150mSv 이하
  2. 피부 등가선량: 연간 500mSv 이하
  3. 유효선량: 연간 50mSv 이하
  4. 5년간 누적 유효선량: 250mSv 이하
(정답률: 64%)
  • 방사선 관계 종사자의 선량한도 기준 중에서 5년간 누적 유효선량이 250mSv 이하인 것이 틀린 것은 없습니다. 이는 방사선 관계 종사자가 일하는 기간 동안 받을 수 있는 최대 선량으로, 이를 초과하면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준수해야 합니다. 다른 기준들도 모두 중요하지만, 이 중에서 틀린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향후 PACS의 발전방향과 거리가 먼 것은?

  1. 병원정보시스템과 분리
  2. 컴퓨터 보조 진단에 응용
  3. 영상의학의 연구 및 교육 정ㅂ 제공
  4. 3차원 영상 기술의 활용
(정답률: 87%)
  • "PACS"는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의 약자로, 의료 영상을 디지털화하여 저장, 관리, 전송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이 시스템은 병원정보시스템과 연동하여 사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병원정보시스템과 분리"하는 이유는 PACS가 병원정보시스템과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분리된 PACS는 더욱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며, 보안성도 높아집니다. 또한, PACS는 컴퓨터 보조 진단에 응용되어 의료진의 진단 능력을 향상시키고, 영상의학의 연구 및 교육에도 활용됩니다. 또한, 3차원 영상 기술의 활용도 더욱 발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병원에서 주로 사용하는 의료 가스는 가스 중앙 파이프 시스템을 통해 공급이 이루어진다. 시스템 구성에 있어서 필요 없는 것은?

  1. 고압가스 실린더
  2. 진공펌프
  3. 콤프레서(compressor)
  4. 산업용 가스
(정답률: 93%)
  • 병원에서 사용하는 의료 가스는 일반적으로 산소, 질소, 이산화탄소 등의 기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기체들은 가스 중앙 파이프 시스템을 통해 공급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산업용 가스는 의료 가스 시스템 구성에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의료폐기물의 전용용기에 표시하는 도형의 색상을 잘못 연결한 것은?

  1. 재활용하는 태반 - 녹색
  2. 격리의료폐기물 - 붉은색
  3. 위해의료폐기물(상자형 용기) - 노란색
  4. 일반의료폐기물 – 흰색
(정답률: 85%)
  • 일반의료폐기물은 일반적인 의료진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로서, 위해성이 없는 폐기물을 말합니다. 따라서 특별한 처리가 필요하지 않으며, 일반적인 쓰레기와 같은 방식으로 처리됩니다. 이에 따라 전용용기에는 흰색 도형이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해당하는 경우는?

  1. 허가 또는 인증을 받지 아니하거나 신고를 하지 아니한 읠기기를 수리ㆍ판매ㆍ임대ㆍ수여를 한 경우
  2. 사용 시 국민건강에 중대한 피해를 주거나 치명적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의료기기에 대해 사용중지의 명령을 위반한 자의 경우
  3. 의료기기의 첨부문서에 사용방법과 사용 시 주의사항을 기입하지 않은 경우
  4.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로 거짓의 기술문서심사결과통지서, 임상시험결과보고서, 비임상시험성적서를 작성 또는 발급에 해당하는 위반행위를 한 자의 경우
(정답률: 84%)
  • "허가 또는 인증을 받지 아니하거나 신고를 하지 아니한 의료기기를 수리ㆍ판매ㆍ임대ㆍ수여를 한 경우"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해당한다. 이는 의료기기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국내에서는 의료기기에 대한 허가나 인증, 신고 등의 절차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절차를 거치지 않고 의료기기를 수리, 판매, 임대, 수여하는 것은 국민 건강에 위협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처벌 대상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인체에 흐르는 전류와 인체반응에서 전류는 실효치, 주파수 60Hz, 1초간 통전-매크로 쇼크 전류 조건에서 통증, 혼절가능, 기절, 허탈, 피로감을 느끼는 최소 전류값은 얼마 이상인가?

  1. 1mA
  2. 6A
  3. 50mA
  4. 1A
(정답률: 55%)
  • 인체에 흐르는 전류와 인체반응은 안전한 전류 범위와 위험한 전류 범위가 있습니다. 실효치 50mA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인체에 통증, 혼절, 기절, 허탈, 피로감 등의 반응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최소 전류값을 묻고 있으므로, 50mA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병원정보시스템 전상망 구축 시 고려해야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이동성 및 공공복지 증진
  2. 안정성
  3. 보안성
  4. 전산망 설치 공간
(정답률: 84%)
  • "이동성 및 공공복지 증진"은 병원정보시스템 구축 시 고려해야할 사항이 아닙니다. 이동성 및 공공복지 증진은 병원 정보시스템의 활용 방안 중 하나일 뿐입니다. 이동성 및 공공복지 증진은 모바일 기기를 활용하여 환자의 건강 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이동성을 높이고, 공공복지를 증진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의료기기위원회는 분야별로 분과위원회를 둘 수 있는데 분과위원회의 구성 기준은?

  1. 5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
  2. 1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
  3. 2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
  4. 3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
(정답률: 76%)
  • 의료기기위원회의 분과위원회는 해당 분야의 전문성과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이며, 2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하는 것은 효율적인 의사결정과 의견 수렴을 위한 적절한 인원 수를 고려한 결과이다. 또한, 인원이 너무 적으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어렵고, 인원이 너무 많으면 의견 조율이 어렵기 때문에 적절한 수준으로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의료기기의 과온 및 기타 위해요인에 대한 보호에서 초과하는 온도에 도달하지 않아야 하는 최대 허용온도가 틀린 것은?

  1. A종 절연재료: 105℃
  2. E종 절연재료: 100℃
  3. F종 절연재료: 155℃
  4. B종 절연재료: 130℃
(정답률: 77%)
  • 정답은 "A종 절연재료: 105℃" 이다. 이유는 각 종류의 절연재료는 그 재료의 내구성과 내열성에 따라 최대 허용온도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A종 절연재료는 다른 종류의 절연재료보다 내구성과 내열성이 높아 최대 허용온도가 105℃로 결정되었고, E종 절연재료는 내구성과 내열성이 낮아 최대 허용온도가 100℃로 결정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레이저와 조직 간에 발생하는 상호작용 중 함유된 에너지가 일반적으로 약 1~2mJ로 적은 양이지만 몇 나노 초(ns)동안 GW(gigawatt)의 파워에 도달하는 높은 강도의 펄스를 이용하여 대상 조직을 이온화하는 것은?

  1. 확산효과
  2. 온열효과
  3. 광분해효과
  4. 광화확효과
(정답률: 82%)
  • 레이저의 높은 강도의 펄스는 대상 조직 내 분자들을 이온화시키고 분해시키는데, 이를 광분해효과라고 합니다. 이는 레이저 에너지가 분자 내부의 결합을 파괴하고 분자를 이온화시키는 과정으로, 이온화된 분자들은 화학 반응을 일으키며 대상 조직을 파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접지공사의 종류 중 제3종 접지공사의 접지저항 값은 최대 몇 Ω 이하인가?

  1. 10Ω 이하
  2. 10MΩ 이하
  3. 100kΩ 이하
  4. 100Ω 이하
(정답률: 70%)
  • 제3종 접지공사는 일반적으로 전기적 위험이 적은 장소에서 사용되며, 접지저항 값은 100Ω 이하이다. 이는 전기적 위험이 적은 장소에서는 접지저항이 낮을수록 안전하다는 원리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100Ω 이하"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의료기기의 습열 멸균 공정에 대한 성과 적격성 검증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유지시간 전체에 걸쳐 온도 및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사전에 결정된 프로필을 따라야 한다.
  2. 수증기가 멸균 온도 대역 내의 온도 및 수증기 압력에 상응하는 온도에 해당되어야 한다.
  3. 유지시간 전체에 걸쳐 측정된 온도는 멸균 온도 +10K를 상한선으로 하여 소정의 멸균 온도 대역 내에 해당되어야 한다.
  4. 평형시간은 800L 미만의 멸균기 챔버의 경우에 15초를, 이보다 큰 멸균기 챔버의 경우에 30초를 각기 초과해서는 안 된다.
(정답률: 76%)
  • "유지시간 전체에 걸쳐 측정된 온도는 멸균 온도 +10K를 상한선으로 하여 소정의 멸균 온도 대역 내에 해당되어야 한다."이것이 틀린 것이다. 올바른 기준은 "유지시간 전체에 걸쳐 측정된 온도는 멸균 온도 +5K를 상한선으로 하여 소정의 멸균 온도 대역 내에 해당되어야 한다."이다. 이유는 멸균 온도 대역 내에서 온도가 너무 높으면 의료기기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여유 온도를 두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전자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빛의 속도와 같은 속도로 진행한다.
  2. 전자기 에너지이다.
  3. 파장이 짧을수록 에너지는 커진다.
  4. 주파수가 낮을수록 높은 투과력을 갖는다.
(정답률: 74%)
  • 주파수가 낮을수록 높은 투과력을 갖는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주파수가 낮을수록 파장이 길어지고, 이는 물질에 의해 더 많이 흡수되기 때문에 투과력이 낮아진다. 예를 들어, 라디오파는 주파수가 낮아서 건물이나 산을 통과할 수 있지만, 감마선은 주파수가 높아서 인체조차도 통과하지 못한다.

    주파수가 낮을수록 높은 투과력을 갖는다는 설명이 틀린 이유는, 주파수가 낮을수록 파장이 길어지기 때문에 물질에 의해 더 쉽게 흡수되기 때문이다. 파장이 짧을수록 에너지는 커지는 것은 맞지만, 이는 전자파의 성질과 관련된 것이며, 투과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어미 허가를 받은 의료기기와 구조ㆍ원리ㆍ성능ㆍ사용목적 및 사용방법 등이 본질적으로 동등한 의료기기의 경우에는 제출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이미 허가받은 제품과 비교한 자료
  2. 사용목적에 관한 자료
  3. 작용원리에 관한 자료
  4. 기원 또는 발견 및 개발경위에 관한 자료
(정답률: 88%)
  • 어미 허가를 받은 의료기기와 구조, 원리, 성능, 사용목적 및 사용방법 등이 본질적으로 동등한 의료기기의 경우에는 기원 또는 발견 및 개발경위에 관한 자료를 제출하지 않아도 된다. 이는 이미 허가받은 제품과 비교한 자료, 사용목적에 관한 자료, 작용원리에 관한 자료는 이미 어미 허가를 받은 제품에서 검증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새로운 의료기기를 개발할 때는 기원 또는 발견 및 개발경위에 관한 자료를 제출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병원정보시스템(HIS)의 구성 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WMS(웨어하우스 관리 시스템)
  2. OCS(처방전달시스템)
  3. PACS(의료영상시스템)
  4. OA(사무자동화시스템)
(정답률: 74%)
  • WMS(웨어하우스 관리 시스템)은 병원정보시스템(HIS)의 구성 요소가 아니며, 주로 물류 및 유통 관리를 위한 시스템으로 사용된다. HIS는 환자 정보 관리, 진료 정보 관리, 의료 영상 관리, 처방전 전달 등 의료 서비스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체계화된 의학 및 수의학용 명명법으로서, 질병의 여러 가지 특성을 다축체계로 코드화한 분류체계는?

  1. ICD
  2. SNOMED
  3. CPT
  4. RCC
(정답률: 67%)
  • SNOMED는 질병의 여러 가지 특성을 다축체계로 코드화한 분류체계로, 다른 보기들은 질병 분류체계가 아닌 의료청구용 용어집(CPT)이나 암 등급 분류체계(RCC)이다. ICD는 질병과 관련된 진단 및 치료 정보를 수집하고 통계를 작성하기 위한 국제 표준 질병 분류체계이지만, SNOMED는 ICD보다 더 상세하고 체계화된 용어를 제공하여 의료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와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SNOMED가 체계화된 의학 및 수의학용 명명법으로서 질병의 여러 가지 특성을 다축체계로 코드화한 분류체계라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전기쇼크 방지 방법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환자를 모든 접지된 물체나 모든 전류원으로 부터 분리시키거나 절연시키는 것이다.
  2. 환자가 닿을 수 있는 모든 전도체를 같은 전위(등전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반드시 접지 전위로 만들어야 한다.
  3. 의료용 접지방식을 준수하여 전기쇼크를 방지한다.
  4. 장치설계 시 전기쇼크 안전을 고려하고 사용 절차 중 전기 쇼크 방지에 주의한다.
(정답률: 73%)
  • "환자를 모든 접지된 물체나 모든 전류원으로 부터 분리시키거나 절연시키는 것이다."가 틀린 것이다. 이는 전기쇼크 방지를 위한 올바른 방법이 아니며, 오히려 전기적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올바른 방법은 "환자가 닿을 수 있는 모든 전도체를 같은 전위(등전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반드시 접지 전위로 만들어야 한다."이다. 이는 전기적 위험을 최소화하고 전기적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에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시기는?

  1. 1950년대
  2. 1960년대
  3. 1970년대
  4. 1940년대
(정답률: 53%)
  • 이 시기에는 여성들이 대중적으로 머리를 짧게 자르고, 헤어스타일이 단순하고 깔끔한 경향이 있었다. 이를 표현한 이미지가 보기의 그림이기 때문에 정답은 "1950년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의료기기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질병을 진단ㆍ치료ㆍ경감ㆍ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2. 상해(傷害) 또는 장애를 진단ㆍ치료ㆍ경감 또는 보정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3. 재활분야의 장애인 보조기구 중 의지ㆍ보조기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4. 임신을 조절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정답률: 88%)
  • "재활분야의 장애인 보조기구 중 의지ㆍ보조기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은 의료기기의 범위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의료기기의 범위가 질병, 상해, 장애를 진단, 치료, 경감, 보정하는 제품에 한정되기 때문이다. 재활분야의 장애인 보조기구는 이러한 목적이 아닌, 장애인의 일상생활에서의 도움을 위한 제품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휴대형 의료용전기기기의 기계적 안전을 위한 낙하시험에서 기기의 중량법 낙하높이로 틀린 것은?

  1. 7kg - 5cm
  2. 30kg - 4cm
  3. 45kg - 3cm
  4. 70kg – 2cm
(정답률: 87%)
  • 정답은 "30kg - 4cm" 이다. 이유는 기기의 중량이 증가할수록 낙하높이는 감소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70kg의 기기가 2cm로 가장 안전하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의료기기

61. 인공호흡기의 호흡조절방식 중 환자가 자연스런 호흡을 하면서 인공호흡기가 정해진 1회 호흡량을 정해진 횟수에 따라 전달하는 양식으로 환자의 자발적인 호흡사이에 치료자가 설정한 강제적 환기를 삽입한 호흡조절 방식은?

  1. 지속성 기도양압(CPAP)
  2. 호기말 양압호흡(PEEP)
  3. 간헐적 강제환기(IMV)
  4. 계속적 인공호흡기(CMV)
(정답률: 79%)
  • 간헐적 강제환기(IMV)는 환자가 자연스러운 호흡을 유지하면서 인공호흡기가 일정한 횟수에 따라 강제적인 환기를 삽입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환자의 호흡근육을 유지하면서 인공호흡기의 지원을 받을 수 있어서 호흡기능 회복에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심전도 파형에서 QRS 복합파는 심실의 수축을, T파는 불응기를 나타낸다면 P파는 어떤 현상을 반영하는가?

  1. 심방의 불응
  2. 심실의 수축
  3. 심방의 수축
  4. 심실의 불응
(정답률: 81%)
  • P파는 심방의 수축을 반영한다. P파는 심방의 선형적인 수축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기적인 활동을 나타내며, 이는 심실의 수축을 유발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신전도계 노드에서 시작된다. 따라서 P파는 심방의 수축을 나타내는 파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초음파 진단 장치에서 초음파의 주파수가 증가할 경우 나타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1. 공간분해능 저하 및 감쇠 감소
  2. 공간분해능 저하 및 감쇠 증가
  3. 공간분해능 향상 및 감쇠 증가
  4. 공간분해능 향상 및 감쇠 감소
(정답률: 70%)
  • 초음파의 주파수가 증가하면 파장이 짧아지므로 공간분해능이 향상됩니다. 또한, 초음파가 조직 내에서 흡수되는 양이 증가하므로 감쇠도 증가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간분해능 향상 및 감쇠 증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혈류량 측정법 중에서 골격근이나 피부 조직에서의 혈류량 측정법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임피던스 측정법
  2. 소실율 측정법
  3. 광전식 플레티스모그래피 측정법
  4. 콘덴서식 플레티스모그래피 측정법
(정답률: 42%)
  • 소실율 측정법은 혈액이 피부나 골격근을 통과할 때 발생하는 소실율을 측정하여 혈류량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비침습적이며, 측정이 간단하고 빠르며 정확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골격근이나 피부 조직에서의 혈류량 측정에 가장 적합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인공심폐기용 산화기로는 기포형과 막형이 있다. 산화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막형 산화기의 경우 반투과막을 통해 가스교환이 이루어진다.
  2. 기포형 산화기의 경우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3. 기포형 산회기의 경우 2시간 이내의 단기간 관류(perfusion)에 유리하다.
  4. 두 경우 모두 산소의 공급 및 이산화탄소 제거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정답률: 68%)
  • "기포형 산화기의 경우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가 틀린 설명이다. 실제로는 막형 산화기가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막형 산화기가 기포형 산화기보다 더 효율적인 가스교환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마취제로 사용되는 것이 아닌 것은?

  1. 에테르(ether)
  2. 피라비탈(pyrabital)
  3. 메틸헥사비탈(methyl hexabital)
  4. 에페드린(ephedrine)
(정답률: 75%)
  • 피라비탈은 진정제로 사용되는 약물이며, 마취제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마취제로 사용될 수 있는 약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에서 X-선 광자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X-선 광자의 에너지 단위는 주로 keV가 사용된다.
  2. 1keV 에너지는 전자가 1kV의 전위차를 이동하면서 얻는 운동에너지이다.
  3. 진단방사선기기에서 사용하는 X-선 에너지의 범위는 20~150keV이다.
  4. X-선의 파장이 짧을수록 에너지는 감소한다.
(정답률: 89%)
  • "X-선의 파장이 짧을수록 에너지는 감소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파장이 짧을수록 에너지는 증가한다. 이는 파장과 주파수가 반비례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파장이 짧을수록 주파수는 높아지고, 이는 에너지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빨간색 빛의 파장은 길고 주파수가 낮지만, 파란색 빛의 파장은 짧고 주파수가 높다. 따라서 파란색 빛은 더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X-선의 파장이 짧을수록 더 높은 에너지를 가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감마나이프(Gamma Knife)의 구성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조사부(radiation unit)
  2. 고조파 발진부
  3. 시준기 헬멧(collimator helmet)
  4. 환자 테이블
(정답률: 54%)
  • 감마나이프는 뇌종양 치료를 위한 방사선 치료 장비로, 조사부, 시준기 헬멧, 환자 테이블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고조파 발진부는 감마나이프와는 관련이 없는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IABP(Intra Aortic Balloon Pump)의 심기능 보조 메커니즘이 아닌 것은?

  1. 관상동맥의 혈류량이 증가한다.
  2. 심박출량이 감소한다.
  3. 풍선의 수축과 확장에 의해 심장의 후부하가 감소한다.
  4. 심장의 산소 소비량이 감소한다.
(정답률: 67%)
  • 심박출량이 감소하는 이유는 IABP가 심장의 후부하를 감소시켜 심실의 전기적인 수축을 개선하고 심장의 혈액 공급량을 증가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심박출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레이저 의료기기는 인체에 다양한 어떤 작용을 하게 된다. 다음 중에서 세포막 파괴, 세포로부터의 수분 증발, 팽창, 세포 파열 등을 일으키는 레이저 의료기기의 작용은?

  1. 열작용
  2. 광작용
  3. 전자작용
  4. 혈액응고작용
(정답률: 73%)
  • 레이저 의료기기는 높은 에너지를 가진 광선을 발생시켜 조직 내부에 열을 전달합니다. 이로 인해 조직 내부의 분자들이 진동하고, 이 진동으로 인해 열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열작용으로 인해 세포막 파괴, 세포로부터의 수분 증발, 팽창, 세포 파열 등의 작용이 일어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열작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X-선이나 초음파로 뼈의 칼슘농도를 측정하여 뼈의 상태를 진단하는 기기는?

  1. 환자감시장치
  2. 혈압계
  3. 골밀도 측정기
  4. 캠슐형 내시경
(정답률: 94%)
  • 골밀도 측정기는 X-선이나 초음파를 이용하여 뼈의 칼슘농도를 측정하여 뼈의 밀도와 강도를 파악하는 기기입니다. 따라서 뼈의 상태를 진단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전정기능을 회전자극으로 검사하기 위한 회전 형태는?

  1. 등가속 단방향 회전자극
  2. 등가속 양방향 회전자극
  3. 각가속 단방향 회전자극
  4. 각가속 양방향 회전자극
(정답률: 52%)
  • 전정기능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이성적인 회전자극이 필요하며, 회전 방향이 바뀌는 양방향 회전자극이 더욱 효과적이다. 따라서 "각가속 양방향 회전자극"이 선택되는 것이다. 이는 회전 방향이 바뀌면서 발생하는 자극으로, 전정기능을 더욱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게 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인공고관절 수술 후 시간의 흐름에 따른 마모로 인해서 금속이나 세라믹 등의 미립자들이 떨어져 나와 여러 생체반응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 중 뼈에 생기는 현상은?

  1. 마찰계수의 저하
  2. 골흡수
  3. 탈구
  4. 골용해
(정답률: 83%)
  • 인공고관절 수술 후 마모로 인해 미립자들이 떨어져 나와 뼈에 부착되면, 뼈세포들이 이를 인식하고 골흡수를 일으키게 됩니다. 이로 인해 뼈가 노출되고 마찰계수가 저하되어 미립자들이 더욱 떨어지게 되는데, 이 과정을 골용해라고 합니다. 즉, 뼈가 노출되고 미립자들이 떨어지는 과정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영구형 페이스메이커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전극과 본체를 모두 체내에 이식
  2. 응급상황에서 응급처리를 위해 주로 사용
  3. 크기가 작고 가벼움
  4. 전극은 정맥을 통해 심장에 삽입하기도 함
(정답률: 82%)
  • 영구형 페이스메이커는 전극과 본체를 모두 체내에 이식하여 심장의 신호를 조절하는 장치입니다. 이 장치는 크기가 작고 가벼워서 신체에 부담이 적고, 전극은 정맥을 통해 심장에 삽입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영구적으로 사용하기에는 수명이 제한적이며, 응급상황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응급상황에서는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임시 페이스메이커가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핵의학 영상 장치에서 트랜지스터나 진공관을 이용할 때보다 훨씬 잡음이 적으므로 미약한 비츨 검출할 때 사용되는 것은?

  1. 가이거-뭘러 카운터(GM counter)
  2. NaI 섬광 검출기
  3. 광전자증배관(Photomultiplier)
  4. 시준기(Collimator)
(정답률: 80%)
  • 광전자증배관은 광자를 전자로 변환하여 증폭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 과정에서 트랜지스터나 진공관을 사용하는 것보다 훨씬 잡음이 적어 미약한 비츨을 검출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핵의학 영상 장치에서도 광전자증배관이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혈관 수축에 의해 혈관의 내경이 1/2로 줄어들었다. 이 때 혈관에 흐르는 혈류량의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1/2로 줄어든다.
  2. 1/4로 줄어든다.
  3. 1/8로 줄어든다.
  4. 1/16로 줄어든다.
(정답률: 71%)
  • 혈관의 내경이 1/2로 줄어들면 혈관의 단면적은 1/4로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혈류량은 혈관 단면적과 혈액의 속도에 비례하므로 1/4로 줄어들게 됩니다. 또한, 혈액의 속도는 혈관 내부의 저항과 반비례하므로 혈관 내경이 줄어들면 저항이 증가하여 혈액의 속도가 느려지게 됩니다. 따라서 혈류량은 1/4 × 1/4 = 1/16로 줄어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의료영상을 얻기 위한 초음파 트랜스듀서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1. 초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어떤 종류의 결정체를 압축하거나 늘렸을 때 결정의 양면에 전하가 발생하는 압전효과(piezoelectric effect)를 주로 사용한다.
  2. 세라믹 물질인 PZT(lead zirconate titanate)를 널리 사용한다.
  3. 초음파 트랜스듀서에서 발생한 음파는 일정거리에서는 접속을 유지하는 영역을 프레넬 영역이라 한다.
  4. 초음파는 무한히 거리가 멀어져도 넓은 각도로 퍼지는 않고 직진하는 특성이 있다.
(정답률: 86%)
  • "초음파는 무한히 거리가 멀어져도 넓은 각도로 퍼지는 않고 직진하는 특성이 있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초음파는 공기나 물 등의 매질에서 직진하며, 넓은 각도로 퍼지지 않는다. 이는 초음파의 파장이 짧아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감마카메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감마카메라는 산소밀도 분포를 단층 영상으로 보여준다.
  2. 시준기(Collimator)는 납과 같은 고밀도의 금속체로 만든다.
  3. 섬광결정체는 높은 에너지의 감마선을 낮은 에너지의 가시광선으로 바꾼다.
  4. 광증배관은 미약한 가시광 광자신호를 고감도로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정답률: 50%)
  • "감마카메라는 산소밀도 분포를 단층 영상으로 보여준다."가 틀린 것이다. 감마카메라는 방사성 물질이 방출하는 감마선을 감지하여 그 영상을 만들어내는데, 이는 산소밀도 분포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체열진단을 위한 적외선 이미지 센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적외선 파장대역의 중심영역에서만 반응하고 가시광선 영역의 가까운 영역에서는 반응하지 않는다.
  2. 양자형은 반도체 PN 접합 사이의 에너지 흡수차에 의한 광기전력 효과를 응용한 것이다.
  3. 열형은 조사되어지는 적외선이 열을 발생시켜 저항값이 변화하여 전류가 변하는 원리를 응용한 것이다.
  4. 체열진단 센서의 종류로는 서미스터, 볼로미터, 서모파일, 초전소자 등이 있다.
(정답률: 73%)
  • "적외선 파장대역의 중심영역에서만 반응하고 가시광선 영역의 가까운 영역에서는 반응하지 않는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적외선 이미지 센서는 적외선 파장대역에서만 작동하기 때문이다. 적외선 파장대역은 가시광선 파장대역과 다르기 때문에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반응하지 않는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X-선 CT 영상의 특성 중 얼마나 작은 부위를 영상으로 감지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척도는?

  1. 시야각(field of view)
  2. 균일도(uniformity)
  3. 대조해상도(contrast resolution)
  4. 공간해상도(spatial resolution)
(정답률: 72%)
  • 공간해상도는 영상에서 얼마나 작은 부위를 구별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따라서 X-선 CT 영상에서 공간해상도가 높을수록 더 작은 부위까지 세밀하게 구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반해 시야각은 영상에서 볼 수 있는 범위를 나타내는 것이고, 균일도는 영상에서 밝기가 일정한지를 나타내는 것이며, 대조해상도는 영상에서 서로 다른 조직이나 구조물 간의 대조를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의용기계공학

81. 생체 신호 측정용 표면전극이 갖춰야 할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접촉저항이 높을 것
  2. 분극 전압이 작을 것
  3. 잡음이 발생하지 않을 것
  4. 장시간 안정적으로 접촉을 유지할 수 있을 것
(정답률: 81%)
  • "접촉저항이 높을 것"은 틀린 조건입니다. 생체 신호 측정용 표면전극은 신체와 접촉하여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데, 이때 접촉저항이 낮을수록 더 정확한 신호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접촉저항이 낮을수록 좋은 생체 신호 측정용 표면전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노인들의 일반적인 보행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활보장의 감소
  2. 분속수의 증가
  3. 발 전체로 접지
  4. 입각기와 유각기의 비율 증가
(정답률: 83%)
  • 노인들의 일반적인 보행 특징으로 "분속수의 증가"가 틀린 것입니다. 분속수란 보행 시 한 발이 땅에 닿는 횟수를 말하는데, 노인들은 보통 젊은이들보다 분속수가 감소하며, 보행 속도가 느려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분속수의 감소"가 올바른 보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생체 조직의 물성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암세포는 정상세포에 비해 열에 강하다.
  2. 초음파의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초음파 흡수가 감소한다.
  3. 혈액의 광 흡수 특성은 산소 포화도에 의존하지 않는다.
  4. 주파수에 따라 도전율과 비유전율이 계단적으로 변하는 α, β, γ 분산이 있다.
(정답률: 77%)
  • 생체 조직은 전기적으로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주파수에 따라 도전율과 비유전율이 계단적으로 변하는 α, β, γ 분산이 있다. 이는 생체 조직의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며, 이러한 특성은 의료 영상 진단 등에 활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혈액 적합성이 가장 적게 요구되는 기기는?

  1. 수액세트
  2. 수혈세트
  3. 혈액투석기 튜브
  4. 관절경
(정답률: 71%)
  • 관절경은 혈액과 직접적인 접촉이 없기 때문에 혈액 적합성이 가장 적게 요구되는 기기입니다. 반면에 수액세트, 수혈세트, 혈액투석기 튜브는 혈액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므로 혈액 적합성이 높은 기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생체조직이 나타내는 일반적인 물리적 특성의 조합으로만 나열된 것은?

  1. a, d, e
  2. a, c, e
  3. b, c, d
  4. b, d, e
(정답률: 75%)
  • 이 보기는 생체조직의 일반적인 물리적 특성의 조합으로만 나열된 것입니다. 따라서, 생체조직의 일반적인 특성을 고려해보면, a, d, e가 정답입니다.

    a. 유연성과 탄성: 생체조직은 일정한 유연성과 탄성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이는 조직 내부의 섬유 구조와 세포 간의 연결 등으로 인해 가능합니다.

    c. 전기적 특성: 생체조직은 전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중요한 특성은 아닙니다.

    b. 광학적 특성: 생체조직은 광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중요한 특성은 아닙니다.

    d. 투과성과 반사율: 생체조직은 일정한 투과성과 반사율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이는 조직 내부의 세포와 섬유 구조, 그리고 조직의 밀도 등으로 인해 결정됩니다.

    e. 인장강도와 압축강도: 생체조직은 일정한 인장강도와 압축강도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이는 조직 내부의 섬유 구조와 세포 간의 연결, 그리고 조직의 밀도 등으로 인해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뼈의 구성 성분인 수산화 인회석[hydroxyapatite, Ca10(PO4)6(OH)2]의 칼슘과 인의 비율(Ca/P)은?

  1. 0.50
  2. 1.33
  3. 1.50
  4. 1.67
(정답률: 67%)
  • 칼슘과 인의 원자량 비율은 각각 40.08 g/mol과 30.97 g/mol이므로, 칼슘과 인의 몰 비율은 1.3:1이다. 하지만 수산화 인회석의 분자식에는 수소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칼슘과 인의 몰 비율을 계산할 때 수소도 고려해야 한다. 수산화 인회석의 분자식에서 수소 원자의 수는 2 × 6 = 12개이다. 따라서 칼슘과 인, 수소의 몰 비율은 10:6:12 = 5:3:6이다. 이를 단순화하면 1.67: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6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단조, 주조체로 형성이 가능하며 체액과 생리적 부하에 대해 내부식성이 우수한 의용금속재료는?

  1. 스테인리스강
  2. Ti-Ni 합금
  3. Co-Cr 합금
  4. 티타늄 합금
(정답률: 48%)
  • Co-Cr 합금은 단조, 주조체로 형성이 가능하며 체액과 생리적 부하에 대해 내부식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의용금속재료로 많이 사용됩니다. 스테인리스강은 내식성이 우수하지만 생체적합성이 떨어지고, Ti-Ni 합금은 기억력형성이 가능하지만 가공성이 떨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습니다. 티타늄 합금은 내식성과 생체적합성이 우수하지만 가공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의용 합성고분자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의료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2. 결합하고 있는 분자의 수가 증가할수록 액체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3. 무수히 많은 단위 분자가 서로 화학적 결합으로 형성되는 유기물질이다.
  4. 약 10~20가지 종류만이 일회용 의료용품이나 이식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정답률: 63%)
  • "결합하고 있는 분자의 수가 증가할수록 액체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의용 합성고분자는 결합하고 있는 분자의 수가 적을수록 액체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분자 간의 결합이 강해질수록 고체로 변하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생체재료별 특성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스테인리스강(stainless steel)은 고강도이면서 내마성이 우수하다.
  2. 카본-티타늄(carbon-titanium)은 제조가 쉽고 성형 시 균일성이 좋다.
  3. 알루미나(alumina)는 높은 생체적합성을 가지고 압축강도가 우수하다.
  4. 테프론(teflon)은 굽힘성과 탄성이 우수하다.
(정답률: 69%)
  • "카본-티타늄(carbon-titanium)은 제조가 쉽고 성형 시 균일성이 좋다."가 틀린 설명이다. 카본-티타늄은 제조가 어렵고 고가의 재료이며, 성형 시 균일성이 좋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효소나 항체는 어떤 면역체계에 속하는가?

  1. 화학적 방어벽
  2. 세포적 방어벽
  3. 물리적 방어벽
  4. 기계적 방어벽
(정답률: 66%)
  • 효소나 항체는 세포적 방어벽에 속하지 않습니다. 대신, 화학적 방어벽에 속합니다. 이는 효소나 항체가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화학물질이나 세균, 바이러스 등을 분해하거나 중화시켜서 몸 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화학적 방어벽은 몸의 면역체계 중 하나로서,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막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높은 분자량과 뛰어난 기계적 특성을 갖고 있어 모든 화합물과 물에 강한 저향력이 있어서 인공관절에 이용되는 것은?

  1. 폴리아마이드(Polyamide)
  2. 폴리설폰(Polysulfoe)
  3. 폴리아세탈(Polyacetal)
  4.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정답률: 44%)
  • 폴리아세탈은 높은 분자량과 뛰어난 기계적 특성을 갖고 있어 인공관절에 이용됩니다. 또한 모든 화합물과 물에 강한 저향력을 가지고 있어 내구성이 뛰어나며, 내구성이 중요한 부품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정지되어 있거나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물체에 작용하는 힘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은?

  1. 정역학
  2. 운동학
  3. 유체역학
  4. 탄성학
(정답률: 75%)
  • 정지되어 있거나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물체에 작용하는 힘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은 "정역학"입니다. 이는 물체의 운동 상태와 움직임에 대한 원리와 법칙을 연구하는 분야로, 물체의 운동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점탄성의 경험적 모델에 사용되는 구성 요소는?

  1. 질량, 대쉬폿
  2. 저항, 대쉬폿
  3. 스프링, 질량
  4. 스프링, 대쉬폿
(정답률: 81%)
  • 점탄성의 경험적 모델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는 스프링과 대쉬폿입니다. 이는 스프링이 물체의 탄성을 나타내며, 대쉬폿은 물체의 마찰력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질량과 저항은 물체의 운동에 영향을 미치지만, 탄성과 마찰력은 물체의 운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점탄성 모델에서는 스프링과 대쉬폿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하지 의지의 기본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소켓
  2. 미용커버
  3. 하퇴부
  4. 구두
(정답률: 64%)
  • 위의 보기에서 "구두"는 의지의 기본 구성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다. 구두는 의지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신발의 일종으로, 의지의 기본 구성요소인 소켓, 미용커버, 하퇴부와는 다른 성질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생체이 열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방은 근육보다 열을 전달하기 쉽다.
  2. 열의 방산은 주로 호흡에 의해 일어난다.
  3. 유아의 체중 당 방열량은 성인에 비해 작다.
  4. 인체 조직 내의 열운반의 대부분은 혈액의 순환에 의해 이루어진다.
(정답률: 68%)
  • 인체 조직은 열을 전달하기 어렵기 때문에, 열이 전달되는 대부분은 혈액의 순환을 통해 이루어진다. 혈액은 열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며, 열이 발생하는 곳에서 열을 가져와서 열이 필요한 곳으로 운반해준다. 따라서 인체 조직 내의 열운반의 대부분은 혈액의 순환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것이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나사의 종류에 따른 사용 방법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1. 3각 나사: 힘의 전달용
  2. 둥근 나사: 큰 힘이 작용하는 경우
  3. 사다리꼴 나사: 일반 결합용
  4. 4각 나사: 일반결합용
(정답률: 64%)
  • 둥근 나사는 힘이 크게 작용하는 경우에 사용되며, 이는 나사의 형태가 원형으로 되어 있어서 힘이 균등하게 분산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둥근 나사는 큰 힘이 작용하는 부분에서 사용되며, 이를 통해 안정적인 결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세라믹 생체재료 중 생체비활성 소재가 아닌 것은?

  1. 알루미나
  2. 바이오글라스
  3. 지르코니아
  4. 카본 세라믹
(정답률: 68%)
  • 바이오글라스는 생체적합성이 뛰어나며, 인체와 상호작용하여 치아나 뼈 등의 재생을 촉진하는 생체활성 소재입니다. 따라서, 바이오글라스는 생체비활성 소재가 아닌 것입니다. 반면,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카본 세라믹은 생체적합성이 낮아 생체비활성 소재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신호전달의 근원으로서 미세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 및 전달시키고, 화학적 물질을 분비하여 다른 신경원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능력을 가진 세포의 최소 단위는?

  1. 척수(spinal cord)
  2. 연수(medulla oblongata)
  3. 시냅스(synapse)
  4. 뉴런(neuron)
(정답률: 71%)
  • 뉴런은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고 전달하는 능력을 가지며, 화학적 물질을 분비하여 다른 뉴런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세포이기 때문에 신호전달의 근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척수와 연수는 뉴런이 모여 있는 중추신경계의 일부분이지만, 뉴런 자체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시냅스는 뉴런과 뉴런, 또는 뉴런과 근육 등의 연결 부분을 의미하며, 뉴런의 일부분이지만 뉴런 자체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뉴런(neuron)"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운동형상학(kinematics)에서 다루지 않는 것은?

  1. 관절각도
  2. 보장(step length)
  3. 보행속도
  4. 지면반력
(정답률: 85%)
  • 운동형상학은 물체의 운동을 분석하는 학문으로, 물체의 위치, 속도, 가속도 등을 다룹니다. 따라서 지면반력은 물체의 운동과는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으므로 운동형상학에서 다루지 않습니다. 지면반력은 물체가 지면과 접촉하여 발생하는 반력으로, 물체의 운동을 설명하는 운동학적인 개념이 아니라, 물리학적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생체 연조직에 부하를 줬을 경우 시간에 따라 일정 부하에서 길이가 변화가 되며 부하를 제거 하였을 때는 서서히 원상태로 복귀하는 현상은?

  1. 캐비테이션
  2. 크리프 현상
  3. 탄성현상
  4. 히스테리시스 현상
(정답률: 63%)
  • 탄성현상은 생체 연조직에 일정한 부하를 가하면 그 부하에 비례하여 변형이 일어나지만, 부하를 제거하면 원래의 형태로 돌아오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생체 연조직이 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탄성계수가 높을수록 더욱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캐비테이션은 액체나 기체 내부에서 생기는 공극 현상, 크리프 현상은 시간에 따라 일정 부하에서 변형이 계속 진행되는 현상, 히스테리시스 현상은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생체 연조직의 특성이 변화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