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어류양식학
1. F1 잡종을 어류 양식이 실제로 이용하고 있는 양식종은?
2. 같은 지역에서 잉어를 양식할 때 성장이 가장 느린 양식방법은?
3. 다음 중 방류재포 양식을 설명한 것은?
4. 종묘생산을 위한 인공수정시 건식 수정방법이 주로 쓰이는 어종은?
5. Artemia 의 부화조건으로 틀린 것은?
6. 넙치를 육상사육수조에서 양성하고자 한다. 넙치의 적정 수온범위 내에서 수조의 환수율이 10~12회전/일 인 경우 m2당 양성밀도로 가장 적당한 것은?
7. 미꾸라지 당년생 육성시 1일 먹이의 양은 체중비 몇 % 정도가 적당한가?
8. 해산어류의 양성과 관련된 일반적 특징으로 틀린 것은?
9. 방어를 축제식으로 양식하고자 한다. m2당 방어 치어의 일반적인 방양마릿수는?
10. 사료의 결함으로 등여윔병에 걸렸을 경우 주로 관계가 되는 성분은?
11. 잉어의 대형 종묘생산은 3~4cm 정도 되는 소형 종묘를 어느 정도의 크기로 키우는 과정인가?
12. 다음 중 구중(口中) 부화를 하지 않는 종류는?
13. 돌돔의 자치어 사육의 설명이 잘못된 것은?
14. 은연어의 해수양식에서 사방 5~10cm되는 가두리에 1m2당 몇 kg 정도까지 수용하면 적정한가?
15. 수온 15~17℃일 때 복어알의 부화일수는?
16. 참돔은 환경조건, 먹이와 성숙에 따라 체색이 변화된다. 참돔의 체색변화와 관계없는 것은?
17. 동물먹이생물의 번식법을 열거한 것으로 틀린 것은?
18. 종묘생산을 위한 잉어 친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9. 실뱀장어의 소상과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20. 난 발생시 제 1난할(cleavage) 억제로 유도되는 개체는?
2과목: 무척추동물양식학
21. 우렁쉥이의 서식장으로 적당하지 않은 곳은?
22. 고막의 주 서식장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23. 먹이생물인 규조류의 배양속도를 현장에서 가장 편리하고 쉽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은?
24. 라마르크 대합과 비교하여 대합의 형태적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낸 것은?
25. 참담치를 내해나 내안에서 수하식으로 양식할 수 있는 장소로 가장 적합한 곳은?
26. 가리비 유생이 수정 후 부유생물을 거쳐 부착생활에 들어갈 때까지의 기간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27. 그림 중의 손상위치 중 어느 곳에 손상을 입은 것이 종묘로 사용할 때 가장 위험한가?
28. 수하식 굴 양성시 굴의 부착성 해적을 막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9. 성숙한 피조개 정소의 색으로 맞는 것은?
30. 이동이 심한 조개류의 양성시설로 우리나라 서·남해안의 간석지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방식은?
31. 다음 전복의 모패 선정관리에 대한 내용 중 적합하지 않는 것은?
32. 다음 중 바지락 양식장 적지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33. 문어의 양성 적수온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34. 다음 중 서식지 저질의 특징이 다른 것은?
35. 가리비 치패를 수용, 관리하는 중간육성의 주 목적은?
36. 단련 종굴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37. 대합(백합)의 부유치패가 가장 많이 침하하는 대조시의 노출선은?
38.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전복류 중 한류계에 속하는 전복은?
39. 다음 중 유생기에서 반드시 필로소마(Phyllosoma)기를 거치는 것은?
40. 보리새우과의 보리새우와 대하의 교미행동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3과목: 해조류양식학
41. 엽면시비의 장점이 아닌 것은?
42. 김 사상체 배양에서 미량 금속의 흡수가 효과적으로 되기 위해서 첨가하는 것은?
43. 우뭇가사리의 배우체와 사분포자체의 가장 뚜렷한 구별점은?
44. 톳과 거의 같은 수위에 무성하게 군락을 이루어 톳의 증식에 해를 끼치는 것은?
45. 양식 김 중에서 영성이 가장 강한 김은?
46. 김사상체의 성질과 조도의 관계가 틀린 것은?
47. 톳 양식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48. 미역과 동일한 세대 교번을 하는 조류는?
49. 조가비 사상체의 배양을 하는데 있어서 물갈이 후에 갑작스럽게 사상체의 색이 변한 일이 생겼다면 통상적으로 어떤 점을 먼저 점검해야 하는가?
50. 뜬발의 성질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51. 다음 중 미역 초기배양에서 배우체의 비료주기에 대한 내용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52. 출고한 김냉장 씨발(종망)은 어떻게 처리하는가?
53. 홑파래 접합자 배양법으로 알맞은 것은?
54. 탄산칼슘이 김사상체 배양의 조가비 표면에 침착하여 나타나는 것은?
55. 김 사상체 배양을 위한 포자는?
56. 미역 생활사의 순서 중 맞는 것은?
57. 다음 중 미역의 채묘 적온은?
58. 풀가사리의 반상근에서 직립체가 돋아나는 시기는?
59. 다시마 종묘를 촉성배양법으로 배양하면 유주자 착생 후 얼마 만에 아포체가 나타나는가?
60. 미역의 가이식 적지 선정 방법으로 틀린 것은?
4과목: 양식장환경
61. 홍조류가 다른 해조류와 차이가 나는 근거가 되는 것은?
62. 연골어류의 삼투조절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63. 어류의 지느러미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64. 보리새우 유생기의 발육단계 중 다음 번 탈피시 까지 그 기간이 가장 짧은 것은?
65. 플랑크톤 등을 먹지 않고 대형 수초만을 먹고 사는 초식성 틸라피아는?
66. 어류의 산소 소비량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67. 연체동물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68. 전갱이과에 속하는 종류는
69. 가물치류가 알을 보호하는 방법은?
70. 다음 중 전복 유생의 먹이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71. 경골어류의 아가미에서 염세포(salt cell)의 기능은?
72. 따개비류는 다음 중 어디에 속하는 것은?
73. 다음 해조류 중 한천의 원료로 사용되는 것은?
74. 톳의 영양번식과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75. 규조류와 같은 식물성 플랑크톤을 즐겨 먹고 사는 어류만으로 짝지어진 것은?
76. 어류의 생식선 자극 호르몬에 대한 설명 중 바르게 된 것은?
77. 동물문의 이름을 계통학상의 순서대로 옯게 배열한 것은?
78. 다음 중 난태생어류는?
79. 다음 중 굴의 식성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80. 다음의 어류 중 측편형 체형을 가지는 종류가 아닌 것은?
5과목: 수산질병학
81. 은어 사육을 위하여 콘크리트 사각형 사육지를 만들려고 할 때의 주의사항 중 잘못된 것은?
82. 용존산소 용해도에 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83. 다음 중 적조생물로서 보편적이기는 하나 피해가 가장적은 것은?
84. 강벽(cor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85. 다음 중 외양에서 늦여름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적조생물은?
86. 다음 중 보상깊이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87. 순환여과식 양식장의 고형 오물제거시설로 침전조를 이용한 방법을 택했을 때,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88. 부영양화가 진행되려면 어떠한 조건을 구비해야 하는가?
89. 어류에 유독한 NH3 이온의 수중함량 비율이 가장 높아지는 경우는?
90. 다음 중 생물 부착막 여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91. 사육 수조에서 고형오멸을 제거하는데 영향을 주는 주요요인은?
92. 다음 중 일반적으로 산소가 가장 많이 녹아있는 곳에사는 어류는?
93. 폐쇄적 순환양식장에서 사용하는 생물학적 여과의 유해물질 분해단계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94. 노지 양어지에서 플랑크톤의 발생정도를 측정하는데 많이 이용되는 손쉬운 방법은?
95. 순환여과식 양어지의 물속에 있는 암모니아의 양을 최소한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은?
96. 수중의 질산화 반응에 관한 내용이 옳지 않는 것은?
97. 물속에 용해되어 있는 암모니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98. 다음 유해물질 중 가장 낮은 농도로도 양식어류에 유독한 것은?
99. 양어장에서 사용하는 원심펌프는 흡입 양정이 과다하면 캐비테이션의 발생으로 유량 및 압력이 낮아지거나 흡상작용을 상실하게 된다. 여기서 캐비테이션이란?
100. 다음 중 패류 종묘배양장의 종묘 사육수 주수용 용수에 있는 병원성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적합한 방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