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어류양식학
1. 다음 중 방양된 잉어치어의 해적생물이 아닌 것은?
2. 우리나라에서 무지개송어의 성장을 계속적으로 높게 유지할 수 있도록 공급하기에 가장 적합한 수원은?
3. 크기에 따른 가물치 치어의 수용밀도로 가장 적절한 것은?
4. 식물성 먹이 생물을 배양하기 위하여 고려되는 3가지 측면 중 기술적측면에 속하지 않는 것은?
5. 넙치를 육상사육수조에서 양성하고자 한다. 넙치의 적정 수온범위 내에서 수조의 환수율이 10~12회전/일 인 경우 m2 당 양성밀도로 가장 적당한 것은?
6. 채널메기의 자어를 탱크에서 사육하려고 한다. 1분간 4L 정도의 물을 주입하는 유수식으로 사육할 경우 약 몇 마리 정도의 자어를 기를 수 있는가?
7. 참돔은 환경조건, 먹이와 성숙에 따라 체색이 변화된다. 참돔의 체색변화와 관계없는 것은?
8. 발안율이 80%의 경우 발안란 20만립(粒)을 확보하고자 할 때 1마리 평균 2500 립(粒)짜리 송어친어의 필요한 마리 수는?
9. 조피볼락의 출산시기의 추정에 관한 내용 중 거리가 먼 것은?
10. 방어의 종묘를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하는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11. 순환여과식에서 축적된 질산염 등을 다시 분해하는 생물여과는?
12. 어류이 숙성이가 생기는 원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3. 활어 운반시에 주로 냉각 마취를 이용하는 어류는?
14. 먹이생물인 알테미아가 주로 사용되는 단계는?
15. 영양소인 단백질에 함유된 질소(N) 성분의 평균 값은?
16. 사료계수에 대한 내용을 맞게 설명한 것은?
17. 은어의 부화 직후 사육밀도는 수량 1m3 당 몇 마리 인가?
18. 생물학적 여과조에서 암모니아를 산화시키는 세균은?
19. 다음 중 무지개 송어의 말을 수온 10℃ 전후에서 부화시킬 경우 알을 운반하기에 가장 알맞은 시기는?
20. 공기 또는 산소를 물속에 주입하여 포기하는 방법은?
2과목: 무척추동물양식학
21. 가리비 치패의 중간육성관리 내용 중 적합하지 않은 것은?
22. 우럭이 종묘생산 및 양성과정 중 틀린 것은?
23. 피조개 채묘예보에 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24. 참가리비의 인공종묘 생산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25. 굴이 부착치패와 따개비 치패가 구별되는 점은?
26. 바지락 양식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27. 대하양식에 있어서 광합성 세균(PSB)의 효능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28. 대합류의 자연채묘에 주로 사용되는 채묘방법은?
29. 까막전복이 성숙기까지의 적산수온은?
30. 굴의 종류 중 생식방법이 유생형에 속하는 것은?
31. 대합의 이동특성을 이용한 양성방법은?
32. 굴, 피조개의 자연채묘시기 예측을 위한 조사항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33. 문어 양성관리 시에 가장 주의해야 할 해적생물은?
34. 꽃게의 양성과정에서 공식현상에 대한 원인과 대책으로 올바르지 않는 것은?
35. 굴의 이상폐사가 가장 많이 일어나는 때는?
36. 참가리비 치패가 저서생활로 들어가게 되는 각장의 범위는?
37. 무척추동물 중 돌리올라리아(doliolaria)의 유생기를 가지는 종은?
38. 해삼의 재생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9. 다음 중 참전복 치패의 저서초기 먹이생물로 가장 적합한 것은?
40. 굴이 고정식 채묘 방법에 속하는 것은?
3과목: 해조류양식학
41. 미역 종묘의 가이식 필요성에서 볼 때 그 비중이 가장 낮은 것은?
42. 홑파래의 인공채묘와 관련된 설명 중 옳은 것은?
43. 4~6월에 어둡고 통풍이 나쁜 배양장에 잘 발생하고 병반부가 미끈미끈하고 특유의 썩는 냄새가 나는 김사상체 병해는?
44. 김 자연채묘(건홍)의 적기는?
45. 다음 중 김에 엽면살포법으로 시비를 하여 가장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46. 북향의 김양식장이 좋은 이유는?
47. 기존 건물을 이용하여 조가비 사상체를 배양할 때 가장 좋은 건물의 방향은?
48. 2년생 다시마를 저수온기에 최대한 활용하여 단기간에 생장시키는 양식방법은?
49. 톳의 생활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50. 다시마의 억제배양을 할 수 있는 여름철의 수조 온도는?
51. 미역 포자엽을 음건한 후 포자를 방출시키는 이유는?
52. 김어장에서 자리바꿈이 일어나는 원인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53. 다음 중 기생성 갯병과 관계 없는 것은?
54. 다시마의 종묘생산에서 촉성배양을 위한 주요 영양염이 아닌 것은?
55. 3월 이후 냉장발을 사용하여 양식기간을 연장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56. 김 양식장에서 소비가 가장 많은 비료분은?
57. 미역의 가이식 적지 선정 방법으로 틀린 것은?
58. 미역의 생장대가 있는 부분은?
59. 청각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60. 다음 중 긴잎돌김의 특성은?
4과목: 양식장환경
61. 다음 어류 중 턱이 없는 어류는?
62. 조개류에서 앞쪽과 뒤쪽의 구분 설명으로 옳은 것은?
63. 어류에서 나타나는 이차 성징의 연결이 틀린 것은?
64. 수컷에서만 혼인색이 나타나는 어류는?
65. 요각류(Copepoda)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66. 우리나라 새우양식장에 난이나 유생의 형태로 유입되는 해적생물이 아닌 것은?
67. 해조류 군락천이에서 입식순서가 옳게 연결된 것은?
68. 갈조류 중에서 체제의 분화가 가장 잘된 것은?
69. 가리비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70. 경골 어류에서 부레의 기능이 아닌 것은?
71. 다음 해조류 중에서 체제가 가장 단순한 종은?
72. 다음 중 뱀장어 유생의 이름은?
73. 가리비류 중 한류계로 우리나라 동해안에 주로 분포하며 수심이 20~35m 되는 곳에 많이 서식하는 종류는?
74. 해류의 지표종이라고 하는 화살벌레류는 어느 동물에 해당하는가?
75. 발전어류(發電魚類)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76. 갑각류의 어린 유생시기 때의 명칭과 종이 서로 다른 것은?
77. 해조류의 엽록체에서 명반응에 이용되는 틸라코이드가 있는 곳으로 동전을 포개놓은 듯한 구조를 보이는 것은?
78. 다음 어류 중 새끼를 낳는 태생어는?
79. 동물에서 에너지원으로 가장 먼저 사용되는 영양소는?
80. 가을과 겨울에 걸쳐 산란하는 종류는?
5과목: 수산질병학
81. 윙클러 방법에 의한 용존산소량의 정량법을 옳게 설명한 것은?
82. 다음 중 개방적 수질환경을 띠고 있는 것은?
83. 물 변화가 있는 양어장에서의 조치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84. 순환여과시스템에서 물의 생물학적 여과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85. 빈영양호를 가장 정확하게 설명한 것은?
86. 적조발생과 그 피해에 관하여 바르게 설명한 것은?
87. 유기태 질소가 세균에 의해 산화된 최종 질소화합물은?
88. 순환여과식 양어장에서 용수처리에 기여도가 가장 큰 생물은?
89. 담수에서 중요시 되지 않는 영양염류는?
90. 공기양수기에서 실용적인 최소 침수율은?
91. 양식생물에 영향을 미치는 수온에 관련된 설명 중 틀린것은?
92. 김양식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93. 일반적으로 정수 양어지에서 수질관리사항으로 크게 중요하지 않는 것은?
94. 사육수조에서 고형 오물을 제거하는데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은?
95. 다량의 염소이온이 함유된 시료수의 COD를 측정할 때 염소 이온의 반응 참여를 막기 위하여 첨가하는 시약은?
96. 다음 중 폐쇄식 양식에 속하는것은?
97. 잉어양식에서 친어를 정수식 양어지에 수용하여 저밀도로 사육 관리할 때 적당한 수용밀도는?
98. 양어용수 중의 경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99. 자가오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00. 다음 중 산소소비에 관여하는 요소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