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7-16)

가스기능장
(2006-07-1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액화석유가스의 충전사업자는 수요자의 시설에 대하여 위해 예방 조치를 하고, 그 실시 기록을 작성하여 몇 년간 보존하여야 하는가?

  1. 1년
  2. 2년
  3. 3년
  4. 4년
(정답률: 80%)
  • 액화석유가스 충전사업자는 안전을 위해 수요자의 시설에 대한 예방 조치를 하고, 그 실시 기록을 작성하여 최소 2년간 보존하여야 합니다. 이는 안전관리를 위한 법적 규정으로, 2년 이상 보존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도 최소 2년간 보존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산화에틸렌의 저장탱크 및 충전용기에는 45℃에서 그 내부 가스의 압력이 얼마 이상이 되도록 질소가스 를 충전하는가?

  1. 0.2 MPa
  2. 0.4 MPa
  3. 1 MPa
  4. 2 MPa
(정답률: 75%)
  • 산화에틸렌은 고압 가스이기 때문에 저장탱크 및 충전용기 내부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질소가스를 충전하는데, 이때 내부 압력이 0.4 MPa 이상이 되도록 충전합니다. 이는 안전한 저장 및 운반을 위한 국제적인 기준 중 하나인 UN 규격에 따른 것입니다. 따라서 0.4 MPa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물체에 압력을 가하면 발생한 전기량은 압력에 비례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압력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응답이 빠르고 급격한 압력 변화를 측정하는데 유효한 압력계는?

  1. 다이아프램(Diaphram) 압력계
  2. 벨로즈(Bellows) 압력계
  3. 부르돈관(Bourdon Tube) 압력계
  4. 피에조(Piezo) 압력계
(정답률: 80%)
  • 피에조 압력계는 압력을 가하면 발생하는 전기량을 측정하여 압력을 측정하는데, 다른 압력계들과는 달리 응답이 매우 빠르고 급격한 압력 변화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급격한 압력 변화를 측정하는데 유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의료용 가스용기의 도색 구분으로 옳은 것은?

  1. 산소 - 청색
  2. 액화탄산가스 - 회색
  3. 질소 - 갈색
  4. 에틸렌 - 흑색
(정답률: 63%)
  • 액화탄산가스는 일반적으로 회색으로 도색되어 있습니다. 이는 안전을 위한 구분으로, 액화탄산가스가 들어있는 가스용기를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회색은 일반적으로 중립적인 색상으로, 액화탄산가스가 다른 가스와 혼합되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을 강조하기 위해 선택된 것으로 생각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도시가스공급시설 중 정압기지 등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압기를 설치한 장소는 계기실, 전기실 등과 구분하고 누출된 가스가 계기실 등으로 유입되지 아니하도록 할 것
  2. 정압기지에는 시설의 조작을 안전하고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조명도가 100 룩스 이상이 되도록 할 것
  3. 정압기지 주위에는 높이 1.5m 이상의 경계책 등을 설치하여 외부인의 출입을 방지할 수 있는 조치를 할 것
  4. 지하에 설치하는 정압기실은 천정, 바닥 및 벽의 두께가 각각 30㎝ 이상의 방수조치를 한 콘크리트 구조일 것
(정답률: 81%)
  • 정압기지에는 시설의 조작을 안전하고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조명도가 100 룩스 이상이 되도록 할 것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정압기지의 안전성과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조명도는 작업자의 안전성과 작업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압기지의 안전성과 관련된 기준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산화에틸렌의 공기 중 폭발범위(한계)를 가장 옳게 나타낸 것은?

  1. 하한: 3.0v%, 상한: 80v%
  2. 하한: 2.4v%, 상한: 10.3v%
  3. 하한: 4.1v%, 상한: 55v%
  4. 하한: 2.8v%, 상한: 37v%
(정답률: 80%)
  • 산화에틸렌은 공기 중에서 최소 3.0%에서 최대 80%의 농도 범위에서 폭발할 수 있습니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폭발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하한: 3.0v%, 상한: 80v%"가 가장 옳은 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하한과 상한이 적절하지 않거나 범위가 너무 좁거나 넓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표준상태(0℃, 1기압)에서 부탄(C4H10) 가스의 비체 적은 몇 L/g 인가?

  1. 0.39
  2. 0.52
  3. 0.64
  4. 0.87
(정답률: 44%)
  • 부탄(C4H10)의 분자량은 58 g/mol 이다. 부탄 가스는 이상기체로 작용하므로 비체적은 아보가드로 수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 mol의 가스가 차지하는 부피 = 22.4 L (STP)

    1 mol의 부탄 가스의 질량 = 58 g

    따라서 1 g의 부탄 가스가 차지하는 부피는 다음과 같다.

    1 g의 부탄 가스가 차지하는 부피 = 22.4 L / 58 g = 0.386 L/g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면 0.39 L/g 이므로 정답은 "0.39"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산소 16㎏과 질소 56㎏인 혼합기체의 전압이 506.5KPa 이다. 이때 질소의 분압은 몇 KPa 인가?

  1. 202.6
  2. 303.9
  3. 405.2
  4. 506.5
(정답률: 57%)
  • 혼합기체의 전압은 각 성분의 분압의 합과 같다는 가스법칙에 따라,

    전압 = 산소 분압 + 질소 분압

    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질소 분압을 구하기 위해서는 전압에서 산소 분압을 뺀 후에 남은 값을 구하면 된다.

    전압 - 산소 분압 = 질소 분압

    506.5 - (16/72.6) x 506.5 = 405.2

    따라서, 질소의 분압은 405.2 K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산소 공급원을 차단하여 소화하는 방법은?

  1. 제거소화
  2. 질식효과
  3. 냉각소화
  4. 희석소화
(정답률: 78%)
  • 산소 공급원을 차단하여 소화하는 방법은 "질식효과"입니다. 이는 화재가 일어난 공간에서 산소를 차단하여 화염이 연소할 수 있는 산소를 공급받지 못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화염이 꺼지게 되며, 화재를 진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식품접객업소로서 영업장의 면적이 몇 m2 이상인 가스사용시설에 대하여 가스누출자동차단기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1. 33
  2. 50
  3. 100
  4. 200
(정답률: 80%)
  • 식품접객업소의 경우, 안전을 위해 가스누출시 차단기를 설치해야 합니다. 이때, 면적이 100m2 이상인 가스사용시설에 대해서는 가스누출자동차단기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가스 배관을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배관은 그 외면으로부터 수평거리로 건축물(지하가 및 터널 포함)까지 2m 이상을 유지할 것
  2. 배관은 그 외면으로부터 지하의 다른 시설물과 0.3m 이상의 거리를 유지 할 것
  3. 배관은 지반의 동결에 따라 손상을 받지 않도록 적절한 깊이로 매설 할 것
  4. 배관의 입상부, 지반급면부 등 지지조건이 급변하는 장소에는 곡관의 삽입, 지반개량 등 필요한 조치를 할 것
(정답률: 75%)
  • "배관은 그 외면으로부터 수평거리로 건축물(지하가 및 터널 포함)까지 2m 이상을 유지할 것"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 기준은 배관과 건축물 사이의 안전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건축물과의 거리가 2m 이상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열역학 제 2 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일을 소비하지 않고 열은 저온체에서 고온체로 이동시키는 것은 불가능 하다.
  2. 열이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이동하여 마침내 온도의 차가 없는 열평형을 이룬다.
  3. 온도가 일정한 조건에서 기체의 체적은 압력에 반비례한다.
  4. 절대온도 0 도에서는 엔트로피도 0 도이다.
(정답률: 81%)
  • 열역학 제 2 법칙은 열은 항상 온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이동하며, 이 과정에서 일을 소비하지 않으면서는 열을 저온체에서 고온체로 이동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열역학 제 1 법칙인 에너지 보존 법칙과 함께 열역학의 기본 원리 중 하나입니다. 이유는 열은 항상 열역학적으로 불균형한 상태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열이 저온체에서 고온체로 이동하면서 열역학적으로 더 균형적인 상태로 변화하게 되는데, 이러한 변화는 항상 일을 필요로 합니다. 따라서 일을 소비하지 않으면서 열을 저온체에서 고온체로 이동시키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가스도매사업의 가스공급시설의 시설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액화천연가스의 저장설비 및 처리설비는 그 외면으로부터 사업소 경계까지 30m 이상의 거리 유지
  2. 고압인 가스공급시설은 통로, 공지 등으로 구획된 안전 구역안에 설치하되, 그 면적은 2만 m2 미만일 것
  3. 2개 이상의 제조소가 인접하여 잇는 경우의 가스공급시설은 그 외면으로부터 그 제조소와 다른 제조소의 경계까지 20m 이상의 거리 유지
  4. 액화천연가스의 저장탱크는 그 외면으로부터 처리 능력이 20만m3 이상
(정답률: 41%)
  • 액화천연가스의 저장설비 및 처리설비는 그 외면으로부터 사업소 경계까지 30m 이상의 거리 유지하는 것이 옳은 기준입니다. 이유는 액화천연가스는 폭발 위험이 있기 때문에, 안전거리를 유지하여 인근 건물이나 시설물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이 기준을 지키지 않으면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매설용 주철관에 모르타르 등으로 라이닝하는 이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2.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3. 마찰저항을 적게 하기 위하여
  4. 수분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답률: 65%)
  • 매설용 주철관은 지하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부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르타르 등으로 라이닝하여 부식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라이닝을 하면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서 더욱 튼튼한 구조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고압가스안전관리법상 당해 가스시설의 안전을 직접 관리하는 사람은?

  1. 안전관리 부총괄자
  2. 안전관리 책임자
  3. 안전관리원
  4. 특정설비 제조자
(정답률: 85%)
  •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서는 안전관리 부총괄자가 당해 가스시설의 안전을 직접 관리하는 책임을 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관리 부총괄자가 정답입니다. 안전관리 책임자는 안전관리 부총괄자의 대리인으로서 일부 책임을 지고, 안전관리원은 안전관리 부총괄자나 안전관리 책임자의 지시에 따라 안전관리 업무를 수행합니다. 특정설비 제조자는 가스시설을 제조하는 업체로서, 안전관리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CO와 Cl2를 원료로 하여 포스겐을 제조할 때 주로 쓰이는 촉매는?

  1. 염화 제1구리
  2. 백금, 로듐
  3. 니켈, 바나듐
  4. 활성탄
(정답률: 81%)
  • 활성탄은 큰 표면적과 다양한 화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어 촉매로서 많이 사용됩니다. CO와 Cl2를 원료로 하는 포스겐 제조 과정에서도 활성탄은 CO와 Cl2의 반응을 촉진시켜 포스겐을 더욱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활성탄이 포스겐 제조 과정에서 주로 사용되는 촉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공기액화 분리장치의 밸브에서 열손실을 줄이는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내용은?

  1. 단축밸브로 하여 열의 전도를 방지한다.
  2. 열전도율이 적은 재료를 밸브봉으로 사용한다.
  3. 밸브 본체의 열용량을 가급적 적게 한다.
  4. 누설이 적은 밸브를 사용한다.
(정답률: 64%)
  • 단축밸브를 사용하면 밸브의 길이가 짧아져 열이 전달되는 거리가 줄어들어 열손실을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적용을 받는 가스 종류 및 범위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용의 온도에서 압력이 0.1 MPa 이상이 되는 액화가스
  2. 상용의 온도에서 압력이 1 MPa 이상이 되는 압축 가스
  3. 15도에서 압력이 0 Pa을 초과하는 아세틸렌가스
  4. 35도에서 압력이 0 Pa을 초과하는 액화시안화수소
(정답률: 71%)
  • "상용의 온도에서 압력이 0.1 MPa 이상이 되는 액화가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서는 액화가스와 압축 가스를 구분하여 적용 범위를 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액화가스는 상온에서 압력이 일정 이상인 경우에 액체 상태로 존재하는 가스를 말하며, 압축 가스는 상온에서 기체 상태로 존재하는 가스를 말합니다. 따라서 "상용의 온도에서 압력이 0.1 MPa 이상이 되는 액화가스"는 액화가스에 해당하며,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적용 범위에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서 정한 500ℓ 이상의 이음매 없는 용기의 재검사 주기는?

  1. 1년마다
  2. 2년마다
  3. 3년마다
  4. 5년마다
(정답률: 85%)
  •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서는 500ℓ 이상의 이음매 없는 용기를 5년마다 재검사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안전을 위해 용기 내부의 부식, 파손, 변형 등을 확인하고 대처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용기의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인 검사가 필요하며, 5년 주기는 검사 주기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는 기간으로 판단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염소의 제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염산을 전기분해 한다.
  2. 표백분에 진한 염산을 가한다.
  3. 소금물을 전기분해 한다.
  4. 염화암모늄 용액에 소석회를 가한다.
(정답률: 77%)
  • 염화암모늄 용액에 소석회를 가하는 것은 염소를 생성하는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 방법은 염화암모늄과 소석회가 반응하여 질산염과 암모니아를 생성하는 화학반응입니다. 따라서 염소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염산을 전기분해 한다." 또는 "표백분에 진한 염산을 가한다." 등의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고압가스 취급 장치로부터 미량의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검지하기 위하여 시험지를 사용한다. 검지가스에 대한 시험지 종류와 반응색이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아세틸렌 - 염화제1구리착염지 - 적색
  2. 포스겐 - 연당지 - 흑색
  3. 암모니아 - 전분지 - 적색
  4. 일산화탄소 - 초산벤지딘지 - 청색
(정답률: 89%)
  • 아세틸렌은 구리와 반응하여 염화제1구리착염지를 생성하며, 이 때 적색 반응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아세틸렌 검지에는 염화제1구리착염지 시험지를 사용하며, 적색 반응이 나타나면 누출이 확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압력조정기에 대한 제품검사 항목이 아닌 것은?

  1. 구조검사
  2. 기밀검사
  3. 외관검사
  4. 치수검사
(정답률: 73%)
  • 압력조정기의 기능과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구조, 기밀, 치수 등의 검사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외관검사는 제품의 외관적인 결함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로, 압력조정기의 기능과 성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외관검사는 압력조정기에 대한 제품검사 항목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시설 또는 그 부대시설에서 고압가스 특정제조 허가의 대상이 아닌 것은?

  1. 석유정제업자의 석유정제시설로서 그 저장 능력이 100톤 이상인 것
  2. 석유화학공업자의 석유화학공업시설로서 그 저장능력이 100톤 이상인 것
  3. 철강공업자의 철강공업시설로서 그 처리능력이 1만 세제곱미터 이상인 것
  4. 비료생산업자의 비료제조사설로서 그 저장능력이 100톤 이상인 것
(정답률: 79%)
  • 고압가스 특정제조 허가는 고압가스를 제조, 저장, 운반, 사용하는 시설에 대해 국가에서 허가하는 것입니다. 이 중에서 철강공업자의 철강공업시설은 고압가스를 사용하는 시설이며, 처리능력이 1만 세제곱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고압가스 특정제조 허가의 대상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철강공업자의 철강공업시설로서 그 처리능력이 1만 세제곱미터 이상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아세틸렌 제조에서 반드시 필요한 장치가 아닌 것은?

  1. 건조기
  2. 압축기
  3. 가스청정기
  4. 정류기
(정답률: 57%)
  • 아세틸렌 제조에서 정류기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정류기는 가스 혼합물에서 특정 성분을 분리하여 순수한 가스를 얻는 장치인데, 아세틸렌 제조 과정에서는 이미 순수한 아세틸렌 가스가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류기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수소의 성질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상온에서 가장 가벼운 기체이다.
  2. 증기밀도가 약 0.09 g/L로서 아주 낮다.
  3. 고온에서 금속재료에 전혀 투과하지 못한다.
  4. 무색, 무미의 가연성 가스이다.
(정답률: 83%)
  • 수소는 고온에서 금속재료에 전혀 투과하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고온에서 금속재료와 반응하여 화재나 폭발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옳지 않은 설명이다. 수소는 금속과 반응하여 수소화물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열이 방출되어 폭발 위험이 있다. 따라서 수소를 다룰 때에는 안전에 주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주울 톰슨 계수는 이상기체의 경우 어떤 값을 가지는가?

  1. 0 이다.
  2. +값을 갖는다.
  3. -값을 갖는다.
  4. 1이 된다.
(정답률: 62%)
  • 주울 톰슨 계수는 이상기체의 분자간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상기체는 분자간 상호작용이 없기 때문에 주울 톰슨 계수는 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냉매설비에 사용하는 재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암모니아는 동 및 동합금을 사용하지 못한다.
  2. 항상 물에 접촉되는 부분에는 60%를 넘는 알루미늄을 함유한 합금을 사용하지 못한다.
  3. 염화메탄에는 알루미늄합금을 사용하지 못한다.
  4. 프레온에는 2%를 넘는 마그네슘을 함유한 알루미늄합금을 사용하지 못한다.
(정답률: 75%)
  • "항상 물에 접촉되는 부분에는 60%를 넘는 알루미늄을 함유한 합금을 사용하지 못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냉매설비에 사용되는 재료 중에서는 없는 내용이다. 이유는 냉매설비에 사용되는 재료는 물과 접촉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문장은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고압가스 일반제조 시설에서저장탱크의 가스방출 장치는 몇 m3 이상의 가스를 저장하는 곳에 설치하여야 하는가?

  1. 3
  2. 5
  3. 7
  4. 10
(정답률: 67%)
  • 고압가스 일반제조 시설에서 저장탱크의 가스방출 장치는 5m3 이상의 가스를 저장하는 곳에 설치하여야 합니다. 이는 안전을 위한 규정으로, 5m3 이상의 가스가 출입구나 환기구가 부족한 곳에 축적될 경우 폭발이나 화재 등의 위험이 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5m3 이상의 가스를 저장하는 곳에는 가스방출 장치를 설치하여 안전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고압가스를 제조 할 때 압축하면 안 되는 가스는?

  1. 가연성가스아세틸렌, 에틸렌, 수소 제외) 중 산소 용량이 전 용량의 5%인 것
  2. 산소 중 가연성가스의 용량이 전 용량의 3% 인 것
  3. 아세틸렌, 에틸렌 또는 수소 중의 산소용량이 전용량의 1% 인 것
  4. 산소 중의 아세틸렌, 에틸렌 또는 수소의 용량 합계가 전 용량의 1% 인 것
(정답률: 87%)
  • 압축하면 폭발 위험이 있는 가스는 가연성 가스들인데, 산소가 충분히 존재할 경우에만 폭발이 일어납니다. 따라서 산소 용량이 전 용량의 5%보다 적은 가스는 압축해도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정압기의 구조에 따른 분류 중 일반 소비기기용이나 지구 정압기에 널리 사용되고 사용압력은 중압용이며, 구조와 기능이 우수하고 정특성은 좋지만, 안전성이 부족하고 크기가 대형인 정압기는?

  1. 레이놀드(Reynolds)식 정압기
  2. 피셔(Fisher)식 정압기
  3. Axial Flow Valve(AFV)식 정압기
  4. 루트(Roots)식 정압기
(정답률: 82%)
  • 레이놀드식 정압기는 구조가 복잡하고 크기가 대해 안전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일반 소비기기용이나 지구 정압기에는 사용되지 않고, 중압용으로 사용되며 구조와 기능이 우수하고 정특성이 좋은 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은 실제기체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 분자간의 인력이 상당히 있으며, 분자 부피가 존재한다.
  2. 완전 탄성체이다.
  3. 압축인자가 압력이나 온도에 따라 변한다.
  4. 압력이 낮고, 온도가 높으면 이상기체에 가까워진다.
(정답률: 78%)
  • "완전 탄성체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분자간의 인력이 상당히 있고 분자 부피가 존재하는 기체는 완전 탄성체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완전 탄성체는 분자간의 인력이 없고 분자 부피가 없는 이상 기체에만 존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온도가 일정한 밀폐된 용기 속에 있는 기체를 압축하여 그 용적을 1/2로 하면 압력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1. 1/4이 된다.
  2. 1/2이 된다.
  3. 4배가 된다.
  4. 2배가 된다.
(정답률: 55%)
  • 보일의-마리어 법칙에 따르면, 일정한 온도와 양을 가진 기체의 압력과 부피는 반비례 관계에 있다. 따라서 부피가 1/2로 줄어들면 압력은 2배가 증가한다. 따라서 정답은 "2배가 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메탄의 임계온도는 약 몇 도인가?

  1. -162
  2. -|83
  3. 97
  4. 152
(정답률: 66%)
  • 메탄의 임계온도는 -82.5도입니다. 이유는 메탄은 -162도에서 액체상에서 기체상으로 변화하는 상태인 증기압이 1기압이 되는 온도를 의미하는 증기압임계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온도는 -82.5도입니다. 따라서 "-|83"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기체의 확산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기체의 확산속도는 분자량과 관계가 없다.
  2. 기체의 확산속도는 그 기체의 분자량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
  3. 기체의 확산속도는 그 기체의 분자량에 반비례한다.
  4. 기체의 확산속도는 그 기체의 분자량에 비례한다.
(정답률: 79%)
  • 기체 분자는 무작위로 움직이며, 다른 기체 분자와 충돌하면서 확산이 일어납니다. 분자량이 큰 기체 분자는 충돌 시 다른 분자를 밀어내는 힘이 더 크기 때문에 확산 속도가 느립니다. 따라서 기체의 확산속도는 그 기체의 분자량의 제곱근에 반비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완전 연소시 공기량이 가장 적게 소요되는 가스는?

  1. 메탄
  2. 에탄
  3. 프로판
  4. 부탄
(정답률: 83%)
  • 메탄은 가장 간단한 구조를 가진 가스로, 분자 내부의 결합이 가장 강하고 안정적입니다. 따라서 완전 연소시에도 산소와 가장 쉽게 반응하여 공기량이 가장 적게 소요됩니다. 반면에 에탄, 프로판, 부탄은 메탄보다 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분자 내부의 결합이 덜 강하고 불완전 연소시에는 더 많은 에너지를 방출하므로 공기량이 더 많이 소요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질소의 용도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암모니아 합성원료
  2. 냉매
  3. 개미산 제조
  4. 치환용 가스
(정답률: 83%)
  • 질소는 암모니아 합성원료, 냉매, 치환용 가스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개미산 제조는 질소를 이용한 화학 반응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용도입니다. 개미산은 질소산과 메탄올을 반응시켜서 만들어지는데, 이때 질소가 산화제 역할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개미산 제조에는 질소가 필수적으로 사용되지만, 다른 용도에 비해 사용량이 적고, 거리가 먼 용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이상적인 냉동사이클의 기본 사이클은?

  1. 카르노사이클
  2. 역카르노사이클
  3. 랭킨사이클
  4. 브레이튼사이클
(정답률: 65%)
  • 이상적인 냉동사이클은 역카르노사이클입니다. 역카르노사이클은 열역학적으로 가장 효율적인 사이클로, 열원과 냉원 사이에 역카르노 열기관을 사용하여 열을 이동시키는 방식입니다. 이 사이클은 열원에서 냉매를 압축하고, 냉원에서 냉매를 확장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냉매의 온도를 낮추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상적인 냉동사이클에서는 열 손실이 없으며, 열 교환 효율이 최대화되어 가장 효율적인 냉동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LP가스의 일반적인 성질로서 옳지 않은 것은?

  1. 물에는 녹지 않으나, 알콜과 에테르에는 용해한다.
  2. 액체는 물보다 가볍고, 기체는 공기보다 무겁다.
  3. 기화는 용이하나, 기화하면 체적의 팽창율은 적다.
  4. 증발잠열이 커서 냉매로도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71%)
  • "액체는 물보다 가볍고, 기체는 공기보다 무겁다."는 일반적인 성질이 아닙니다. 오히려 액체는 일반적으로 물보다 무겁고, 기체는 공기보다 가볍습니다.

    "기화는 용이하나, 기화하면 체적의 팽창율은 적다."는 옳은 성질입니다. 이는 LP가스가 액체 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변화할 때 체적이 크게 증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는 LP가스가 액화된 상태에서 운반 및 저장이 용이하다는 장점으로 이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법령상 독성가스가 아닌 것은?

  1. 시안화수소
  2. 황화수소
  3. 염화비닐
  4. 포스겐
(정답률: 74%)
  • 염화비닐은 법령상 독성가스가 아닙니다. 이는 염화비닐이 공기 중에서 증발하지 않고 고체나 액체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염화비닐은 직접적으로 인체에 유해한 독성가스가 아니지만, 염화비닐을 가공하거나 사용할 때 발생하는 가스나 먼지는 인체에 유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고온의 물체로부터 방사되는 에너지 중의 특정한 파장의 방사에너지, 즉 휘도를 표준온도의 고온물체와 비교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는?

  1. 열전대 온도계
  2. 광 온도계
  3. 색 온도계
  4. 제겔콘 온도계
(정답률: 82%)
  • 광 온도계는 고온의 물체로부터 방사되는 특정한 파장의 방사에너지를 측정하여 온도를 측정하는데, 이는 휘도를 표준온도의 고온물체와 비교하여 측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광 온도계는 휘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온도를 측정하므로, 다른 온도계와는 구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특정 고압가스 사용 신고의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저장능력 250 ㎏ 이상의 액화가스 저장설비를 갖추고 특정고압가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자
  2. 저장능력 30 m3 이상의 압축가스 저장설비를 갖추고 특정고압가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자
  3. 배관에 의하여 특정고압가스를 공급받아 사용하는자
  4. 액화염소를 사용하고자 하는 자
(정답률: 56%)
  • 저장능력 30 m3 이상의 압축가스 저장설비를 갖추고 특정고압가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자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오히려 정확한 기준이다. 저장능력 30 m3 이상의 압축가스 저장설비를 갖추는 것은 안전한 고압가스 사용을 위한 필수적인 조건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특정고압가스 사용 신고를 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밸브(Valve) 중 유체를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기 위한 역류방지용 밸브는?

  1. 글로브 밸브(Globe Valve)
  2. 게이트 밸브(Gate Valve)
  3. 체크 밸브(Check Valve)
  4. 니들 밸브(Needle Valve)
(정답률: 91%)
  • 체크 밸브는 유체가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하기 위한 밸브로, 유체가 역류하지 않도록 방지합니다. 이는 밸브 내부에 있는 구조물이 유체가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막아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역류방지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기체 중 표준상태(STP)에서 밀도가 가장 큰 것은?

  1. 부탄(C4H10)
  2. 이산화탄소(CO2)
  3. 삼산화황(SO3)
  4. 염소(Cl2)
(정답률: 56%)
  • 가스의 밀도는 분자의 질량과 부피에 영향을 받습니다. 분자의 질량이 같다면 부피가 작을수록 밀도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분자의 질량이 같은 경우, 분자의 부피를 비교하여 밀도가 가장 큰 기체를 찾아야 합니다.

    이산화탄소(CO2)와 염소(Cl2)는 분자의 구조가 선형이므로 분자의 부피가 작습니다. 부탄(C4H10)은 분자의 구조가 가지각형이므로 분자의 부피가 큽니다.

    반면, 삼산화황(SO3)은 분자의 구조가 평면 삼각형 형태이므로 분자의 부피가 작습니다. 따라서 STP에서 밀도가 가장 큰 기체는 "삼산화황(SO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냉동사이클에서 응축기가 열을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선은?

  1. (1)
  2. (2)
  3. (3)
  4. (4)
(정답률: 81%)
  • 냉동사이클에서 응축기는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받아들이고, 냉매의 상태를 액체로 바꾸면서 열을 제거합니다. 따라서 응축기가 열을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선은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동관의 종류로서 옳지 않은 것은?

  1. 타프치동
  2. 인산탈동
  3. 듀랄루민
  4. 무산소동
(정답률: 80%)
  • 듀랄루민은 실제로는 동관의 종류가 아니라, 알루미늄 합금의 상품명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석유를 분해해서 얻은 수소와 공기를 분리하여 얻은 질소를 반응시켜 제조 할 수 있는 것은?

  1. 프로필렌
  2. 황화수소
  3. 아세틸렌
  4. 암모니아
(정답률: 80%)
  • 석유를 분해해서 얻은 수소와 공기를 분리하여 얻은 질소를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는 것은 암모니아입니다. 이는 하버-보쉬 공정이라고 불리며, 질소와 수소를 반응시켜 암모니아를 생산하는 과정입니다. 암모니아는 비료, 폭발물, 산업용 냉매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독성가스를 수용하는 압력용기의 용접부의 전 길이에 대하여 실시하여야 하는 비파괴 시험법은?

  1. 침투 탐상시험
  2. 방사선 투과시험
  3. 초음파 탐상시험
  4. 자분 탐상시험
(정답률: 75%)
  • 독성가스를 수용하는 압력용기의 용접부는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용접 결함이 발생할 경우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용접부의 전 길이에 대하여 비파괴 시험을 실시하여 결함을 발견하고 예방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방사선 투과시험은 용접부의 내부 결함을 검출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시험은 X선이나 감마선을 이용하여 용접부를 투과시키고, 투과된 방사선을 감지하여 결함을 파악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용접부의 내부 결함을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으며, 비교적 빠르고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독성가스를 수용하는 압력용기의 용접부의 전 길이에 대하여 방사선 투과시험을 실시하는 것이 적절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38 ㎝Hg 진공은 절대압력으로 약 몇 ㎏/cm2ㆍabs 인가?

  1. 0.26
  2. 0.52
  3. 3.8
  4. 7.6
(정답률: 56%)
  • 38 ㎝Hg 진공은 약 -51.33 kPa의 절대압력입니다. 따라서, 이를 cm2ㆍabs 단위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51.33 kPa) / (1.01325 bar) = 0.506 cm2ㆍabs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0.52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5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SI 단위인 Joul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Newton의 힘의 방향으로 1m 움직이는데 필요한 일이다.
  2. 1Ω의 저항에 1A의 전류가 흐를 때 1초간 발생하는 열량이다.
  3. 1㎏의 질량을 1m/sec2 가속시키는데 필요한 힘이다.
  4. 1Joule은 약 0.24 ㎈에 해당한다.
(정답률: 69%)
  • 정답은 "1Joule은 약 0.24 ㎈에 해당한다."입니다.

    1Joule은 1㎏의 질량을 1m/sec2 가속시키는데 필요한 힘입니다. 이는 운동에너지와 일의 개념을 이해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운동에너지는 질량과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1㎏의 질량을 1m/sec2 가속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가하면 그 질량은 1m/sec의 속도를 얻게 됩니다. 이 때의 운동에너지는 1/2 x 1kg x (1m/sec)2 = 0.5J 입니다. 따라서 1Joule은 1㎏의 질량을 1m/sec2 가속시키는데 필요한 힘과 같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반데르발스(Van Der Waals)식은 기체분자간의 인력과 기체 자신이 차지하는 부피를 고려한 상태식이다. 기체 n 몰에 대한 반데르발스 식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정답률: 65%)
  • 정답은 ""입니다.

    반데르발스 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P + n^2a/V^2)(V - nb) = nRT

    여기서, P는 압력, V는 부피, n은 몰수, T는 온도, a와 b는 반데르발스 상수입니다.

    위 식에서, n^2a/V^2는 기체 분자 간의 인력을 나타내는 항이고, nb는 기체 분자의 크기를 고려한 항입니다. 이 두 항을 고려하여 기체 분자 간의 상호작용과 기체 분자의 크기를 모두 고려한 상태식이 반데르발스 식입니다.

    따라서, ""가 정답인 이유는, 이 보기가 반데르발스 식을 올바르게 나타내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메탄 80v%, 에탄 15v%, 프로탄 5v%의 혼합가스의 공기 중 폭발 하한계 값은 몇 % 인가? (단, 메탄, 에탄, 프로판의 하한계는 각각 5%, 3%, 2.1%이다.)

  1. 2.4%
  2. 3.5%
  3. 4.3%
  4. 5.1%
(정답률: 63%)
  • 각 가스의 하한계 값과 혼합비를 고려하여 가중평균을 구해야 한다.

    메탄 80v%의 하한계는 5%, 에탄 15v%의 하한계는 3%, 프로판 5v%의 하한계는 2.1%이다.

    따라서, (0.8 × 5) + (0.15 × 3) + (0.05 × 2.1) = 4.3% 이다.

    따라서, 이 혼합가스의 공기 중 폭발 하한계 값은 4.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가스제조 공장에서 정제된 가스를 저장하여 가스의 질을 균일하게 유지하여, 제조량과 수용량을 조절하는 것은

  1. 정압기
  2. 압송기
  3. 배송기
  4. 가스홀더
(정답률: 91%)
  • 가스홀더는 가스를 저장하여 가스의 질을 균일하게 유지하고, 제조량과 수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가스를 저장하거나 운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가스의 질을 균일하게 유지하거나 제조량과 수용량을 조절하는 기능은 가스홀더에만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헴펠법에서 CO2, O2 , CmHn, CO의 가스로 구성된 혼합가스를 흡수액에 접촉시킬 때 가스의 흡수분리 순서로 옳은 것은?

  1. CO → O2 → CmHn → CO2
  2. CO2 → O2 → CO → CmHn
  3. CmHn → O2 → CO2 → CO
  4. CO2 → CmHn → O2 → CO
(정답률: 60%)
  • 헴펠법에서는 가장 먼저 CO2를 흡수시키고, 이어서 CmHn을 흡수시킵니다. 그 다음으로 O2를 흡수시키고, 마지막으로 CO를 흡수시킵니다. 이는 각 가스의 흡수능력이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CO2와 CmHn은 흡수액과 높은 친화성을 가지고 있어 먼저 흡수됩니다. O2는 이들보다 친화성이 낮기 때문에 그 다음으로 흡수됩니다. 마지막으로 CO는 다른 가스들보다 친화성이 가장 낮기 때문에 가장 마지막에 흡수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CO2 → CmHn → O2 → CO"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일반적으로 가스를 구분할 때 가연성가스가 아닌 것은?

  1. 수소
  2. 아세틸렌
  3. 일산화탄소
  4. 산소
(정답률: 74%)
  • 가연성 가스는 공기와 혼합되어 일정한 비율 이상이 되면 폭발할 수 있는 가스를 말합니다. 산소는 가연성 가스가 아닌 이유는 공기와 혼합되어도 폭발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산소는 오히려 불을 붙이는 데 필요한 산소 공급원이 되어 불꽃이 더 크게 타오르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PERT에서 Network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가장 긴 작업시간이 예상되는 공정을 주 공정이라한다.
  2. 명목상의 활동(Dummy)은 점선 화살표(--->)로 표시한다.
  3. 활동(Activity)은 하나의 생산작업요소로서 원(O)으로 표시한다
  4. Network는 일반적으로 활동과 단계의 상호관계로 구성된다.
(정답률: 55%)
  • "활동(Activity)은 하나의 생산작업요소로서 원(O)으로 표시한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PERT에서 Network는 일반적으로 활동과 단계의 상호관계로 구성됩니다. 가장 긴 작업시간이 예상되는 공정을 주 공정이라 하며, 명목상의 활동(Dummy)은 점선 화살표(--->)로 표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공정분석 기호 중 ☐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1. 검사
  2. 정제
  3. 가공
  4. 저장
(정답률: 49%)
  • ☐는 "검사"를 의미합니다. 이는 공정 중 제품의 품질을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단계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기호들은 제품을 만들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는 이미 만들어진 제품의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단계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어떤 측정법으로 동일 시료를 무한 횟수로 측정하였을 때 데이터 분포의 평균치와 참값과의 차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신뢰성
  2. 정확성
  3. 정밀도
  4. 오차
(정답률: 79%)
  • 정확성은 측정 결과의 평균값과 참값과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는 측정 결과의 신뢰성과는 다른 개념으로, 동일한 측정법으로 측정한 결과가 참값과 얼마나 가까운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확성이 높을수록 측정 결과가 실제 값과 일치하며, 측정 결과의 신뢰성과는 별개로 측정 방법의 정확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축의 완성지름, 철사의 인장강도, 아스피린 순도와 같은 데이터를 관리하는 가장 대표적인 관리도는?

  1. 관리도
  2. nP 관리도
  3. c 관리도
  4. u 관리도
(정답률: 78%)
  • " 관리도"는 변수형 관리도 중 하나로, 공정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완성지름, 철사의 인장강도, 아스피린 순도와 같은 연속적인 데이터를 관리하는데 적합합니다. 이 관리도는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공정의 안정성을 판단하고, 공정의 변화를 감지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생산계획량을 완성하는데 필요한 인원이나 기계의 부하를 결정하여 이를 현재인원 및 기계의 능력과 비교하여 조정하는 것은?

  1. 일정계획
  2. 절차계획
  3. 공수계획
  4. 진도관리
(정답률: 83%)
  • 생산계획량을 완성하는데 필요한 인원이나 기계의 부하를 결정하여 이를 현재인원 및 기계의 능력과 비교하여 조정하는 것은 "공수계획"입니다. 이는 생산에 필요한 인력과 자원을 적절하게 배분하여 생산 일정을 지키고 생산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계획입니다. 따라서 생산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계획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TPM 활동의 기본을 이루는 3정 5S 활동에서 3정에 해당되는 것은?

  1. 정시간
  2. 정돈
  3. 정리
  4. 정량
(정답률: 79%)
  • 3정 중 "정량"은 기계나 설비의 상태를 측정하고 분석하여 정량적인 데이터를 수집하는 활동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기계의 이상을 빠르게 감지하고 예방 정비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TPM 활동에서 3정 중 "정량"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