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7-12)

가스기능장
(2009-07-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일반도시가스 사업자는 공급권역을 구역별로 분할하고 원격조작에 의한 긴급차단장치를 설치하여 대형가스누출, 지진발생 등 비상시 가스차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역의 설정기준으로 옳은 것은?

  1. 수요자가 20만 이하가 되도록 설정
  2. 수요자가 25만 이하가 되도록 설정
  3. 배관의 길이가 20[km] 이하가 되도록 설정
  4. 배관의 길이가 25[km] 이하가 되도록 설정
(정답률: 76%)
  • 일반도시가스 사업자가 공급권역을 구역별로 분할하고 원격조작에 의한 긴급차단장치를 설치하여 대형가스누출, 지진발생 등 비상시 가스차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역의 설정기준은 "수요자가 20만 이하가 되도록 설정"이다. 이는 대규모 가스사고 발생 시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수요자가 많은 지역에서 가스사고가 발생하면 피해가 크기 때문에, 수요자가 적은 지역으로 구역을 분할하여 가스사고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보기]의 특징을 가지는 물질은?

  1. CAC2
  2. P4S2
  3. P4
  4. KH
(정답률: 95%)
  • 보기의 물질은 카르바이드(Carbide)로, CAC2의 화학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구조식에서 탄소와 칼슘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이온화합물입니다. 이 물질은 물과 반응하여 아세틸렌 가스를 생성하며, 산화제와 반응하여 폭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산화에틸렌의 저장탱크 및 충전 용기에는 45[℃]에서 그 내부 가스의 압력이 얼마 이상이 되도록 질소가스 등을 충전하여야 하는가?

  1. 0.2[MPa]
  2. 0.4[MPa]
  3. 1[MPa]
  4. 2[MPa]
(정답률: 82%)
  • 산화에틸렌은 고압 가스이기 때문에 저장탱크 및 충전 용기 내부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는 안전상의 이유와 함께 산화에틸렌의 특성상 압력이 낮아지면 액화되어 사용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저장탱크 및 충전 용기에는 45[℃]에서 내부 가스의 압력이 0.4[MPa] 이상 유지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특정고압가스 사용신고를 하여야 하는 자는 저장능력이 몇 [kg] 이상인 액화가스 저장설비를 갖추고 특정고압가스를 사용하여야 하는가?

  1. 100
  2. 250
  3. 500
  4. 1000
(정답률: 66%)
  • 특정고압가스 사용신고를 하여야 하는 경우, 해당 액화가스의 저장능력이 250kg 이상인 설비를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이는 안전성과 관련된 규정으로, 저장능력이 250kg 이상인 설비를 갖추면 해당 가스의 사용 및 저장에 필요한 안전조치를 충분히 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250kg 이상의 저장능력을 갖춘 설비를 갖추지 않은 경우에는 특정고압가스 사용신고를 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고압가스 배관의 용접에서 용접이음매의 위치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배관의 용접은 지그(jig)를 사용하여 가장자리부터 정확 하게 위치를 맞춘다.
  2. 관의 두께가 다른 배관의 맞대기 이음에서는 관 두께가 완만하게 변화되도록 길이방향의 기울기를 1/3 이하로 한다.
  3. 배관을 맞대기 용접하는 경우 평행한 용접 이음매의 간격은 원칙적으로 관지름이상으로 한다.
  4. 배관상호의 길이 이음매는 원주방향에서 원칙적으로 50[mm] 이상 떨어지게 한다.
(정답률: 83%)
  • "배관의 용접은 지그(jig)를 사용하여 가장자리부터 정확 하게 위치를 맞춘다."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해당 설명은 고압가스 배관의 용접에서 용접이음매의 위치 기준에 대한 설명 중 하나로, 지그(jig)를 사용하여 가장자리부터 정확하게 위치를 맞추는 것이 올바른 방법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 중에서 틀린 것을 찾아보면 "없음"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특정고압가스가 아닌 것은?

  1. 압축디보레인
  2. 액화알진
  3. 에틸렌
  4. 아세틸렌
(정답률: 74%)
  • 에틸렌은 고압가스가 아닙니다. 에틸렌은 일반적으로 상온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하며, 가스 상태로 존재할 때는 저압에서만 가능합니다. 따라서, 압축디보레인, 액화알진, 아세틸렌은 모두 고압가스이지만, 에틸렌은 고압가스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정압과정에서의 전달 열량은?

  1. 내부에너지의 변화량과 같다
  2. 이루어진 일량과 같다.
  3. 엔탈피 변화량과 같다.
  4. 체적의 변화량과 같다.
(정답률: 67%)
  • 정압과정에서는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일정한 양의 물질이 일정한 압력 하에서 열을 받아들이면 체적이 변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압과정에서의 전달 열량은 내부에너지의 변화량이나 이루어진 일량, 체적의 변화량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그러나, 엔탈피는 내부에너지와 압력과 체적의 곱으로 정의되므로, 정압과정에서의 전달 열량은 엔탈피 변화량과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도시가스 시설에 대한 줄파기 작업의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스배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으로부터 2[m] 이내에서 줄파기를 할 때에는 안전관리전담자의 입회하에 시행한다.
  2. 줄파기 1일 시공량 결정은 시공속도가 가장 빠른 천공작업에 맞추어 결정한다.
  3. 줄파기 심도는 최소한 1.5[m] 이상으로하며 지장물의 유무가 확인되지 않는 곳은 안전관리전담자와 협의 후 공사의 진척여부를 결정한다.
  4. 줄파기공사 후 가스배관으로부터 1[m] 이내에 파일을 설치할 경우에는 유도관을 먼저 설치한 후 되메우기를 실시한다.
(정답률: 85%)
  • "줄파기 1일 시공량 결정은 시공속도가 가장 빠른 천공작업에 맞추어 결정한다."이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유는 시공속도가 빠를수록 작업 기간이 짧아지기 때문에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줄파기 작업의 시공속도를 고려하여 1일 시공량을 결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에서 안전관리규정을 제출한 자와 그 종사자는 안전관리규정을 준수하고 그 실시기록을 작성하여 몇 년간 보존하도록 규정하고 있는가?

  1. 2
  2. 3
  3. 4
  4. 5
(정답률: 60%)
  • 액화석유가스 안전관리 및 사업법에서는 안전관리규정을 제출한 자와 그 종사자가 안전관리규정을 준수하고 그 실시기록을 작성하여 최소 3년간 보존하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도시가스 안전관리자의 직무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가스공그시설의 안전유지
  2. 위해예방조치의 이행
  3. 안전관리원의 교육
  4. 정기검사 결과 부적합 판정을 받은 시설의 개선
(정답률: 79%)
  • 안전관리자는 가스공급시설의 안전유지와 위해예방조치의 이행, 그리고 정기검사 결과 부적합 판정을 받은 시설의 개선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지만, 안전관리원의 교육은 그 중에서도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는 안전관리원의 교육은 일종의 예방적인 업무로, 실제로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미리 예방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업무들은 이미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초점을 둔 반면, 안전관리원의 교육은 아직 발생하지 않은 문제를 예방하는 것에 초점을 둔 업무이기 때문에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40[C]는 몇 [F]인가?

  1. -40
  2. -32
  3. 40
  4. 44
(정답률: 92%)
  • -40[C]는 -40[F]이다.

    이유는 두 척도 간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식이 성립하기 때문입니다.

    [C] 온도 = ([F] 온도 - 32) x 5/9
    [F] 온도 = ([C] 온도 x 9/5) + 32

    따라서, [C]와 [F]가 동일한 온도를 나타내는 경우, 위의 관계식에 의해 -40[C]는 -40[F]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암모니아의 완전연소 반응식을게 나타낸 것은?

  1. 2NH3 + 2O2 → N2O + 3H2O
  2. 4NH3 + 3O2 → 2N2 + 6H2O
  3. NH3 + 2O2 → HNO3 + H2O
  4. 4NH3 + 5O2 → 4NO + 6H2O
(정답률: 65%)
  • 암모니아는 분자식이 NH3인 화합물로, 질소와 수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화합물이 완전연소를 하게 되면 질소와 수소가 분리되어 N2와 H2O로 변합니다. 따라서 암모니아의 완전연소 반응식은 4NH3 + 3O2 → 2N2 + 6H2O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의 각 가스와 그 가스의 제조법을 연결한 것 중 틀린 것은?

  1. 수소 - 수성가스법, CO전화법
  2. 염소 - 합성법, 석회질소법
  3. 시안화수소 - 앤드류 소오법, 폼아미드법
  4. 산소 - 전기분해법, 공기액화 분리법
(정답률: 71%)
  • 염소는 합성법과 석회질소법 두 가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습니다. 합성법은 염화나트륨과 염산을 이용하여 염소를 만드는 방법이고, 석회질소법은 칼슘아연석과 질산을 이용하여 염소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염소 - 합성법, 석회질소법"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암모니아 합성가스 분리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메탄은 제1열교환기에서 액화하여 분리된다
  2. 질소는 상압으로 공급된다.
  3. 에틸렌은 제3열교환기에서 액화한다.
  4. 일산화질소는 정촉매로 작용한다
(정답률: 69%)
  • 암모니아 합성가스 분리장치는 메탄, 질소, 일산화질소, 에틸렌 등의 성분을 분리하는 장치입니다. 이 중에서 "에틸렌은 제3열교환기에서 액화한다."라는 설명은, 에틸렌이 다른 성분들과는 다르게 높은 온도에서 액화되기 때문입니다. 제3열교환기는 높은 온도에서 작동하는 부분으로, 이곳에서 에틸렌이 액화되어 분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도시가스 배관 중 전기방식을 반드시 유지해야 할 장소가 아닌 것은?

  1. 다른 금속구조물과 근접교차 부분
  2. 배관 절연부의 양측
  3. 교량, 하천, 배관의 양단부 및 아파트 입상배관 노출부
  4. 강재 보호관 부분의 배관과 강재 보호관
(정답률: 78%)
  • 교량, 하천, 배관의 양단부 및 아파트 입상배관 노출부는 외부 요인에 노출되어 있어 전기적 위험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전기방식을 유지해야 합니다. 다른 금속구조물과 근접교차 부분, 배관 절연부의 양측, 강재 보호관 부분의 배관과 강재 보호관은 전기적 위험이 적기 때문에 전기방식을 유지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양단이 고정된 20[cm] 길이의 환봉을 20[℃]에서 80[℃]로 가열하였을 때 재료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응력은 약 몇 [MPa]인가? (단, 재료의 선팽창계수는 11.05×10-6/[C]이며, 탄성계수 E 는 210GPa]이다.)

  1. 69,62
  2. 139.23
  3. 696.15
  4. 2784.60
(정답률: 58%)
  • 열응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σ = EαΔT

    여기서,
    σ: 열응력
    E: 탄성계수
    α: 선팽창계수
    ΔT: 온도 변화량

    따라서, 주어진 조건에 대입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σ = 210 × 10^9 × 11.05 × 10^-6 × (80 - 20)
    = 139.23 MPa

    따라서, 정답은 "139.2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냉동능력 25[RT]인 냉매설비와 화기설비의 이격거리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단, 냉매는 불연성가스이다.)

  1. 내화 방열벽을 설치하지 않은 경우 제1종화기 설비와 5[m] 이상 이격거리를 두어야 한다.
  2. 내화 방열벽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 제2종화기 설비와4(m] 이상 이격거리를 두어야 한다.
  3. 내화 방열벽을 설치한 경우 제2종 화기설비와 1[m] 이상 이격거리를 두어야 한다.
  4. 내화 방열벽을 설치한 경우 제1종 화기설비와 2[m] 이상 이격거리를 두어야 한다.
(정답률: 59%)
  • "내화 방열벽을 설치한 경우 제2종 화기설비와 1[m] 이상 이격거리를 두어야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내화 방열벽은 화재 발생 시 화염과 열을 차단하여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내화 방열벽을 설치한 경우, 화기설비와의 이격거리를 줄일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제2종 화기설비와의 이격거리는 1m 이상으로 설정됩니다. 이는 내화 방열벽이 화염과 열을 차단하여 제2종 화기설비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팩리스(packless) 신축이음재라고도 하며 설치공간을 적게 차지하나 고압배관에는 부적당한 신축이음재는?

  1. 슬리브형 신축이음재
  2. 벨로스형 신축이음재
  3. 루프형 신축이음재
  4. 스위블형 신축이음재
(정답률: 67%)
  • 고압배관에서는 진동과 충격에 강한 벨로스형 신축이음재가 적합하기 때문입니다. 벨로스형 신축이음재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만들어져 내구성이 뛰어나며, 내부에 벨로우(줄무늬 모양) 구조가 있어서 유체의 압력 변화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압배관에서는 벨로스형 신축이음재를 사용하여 안정적인 연결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어떤 기체가 10[℃], 760[mmHg]에서 100[mL]의 무게가 0.2[g]이라면 표준상태에서 이 기체의 밀도는 약 몇 [g/L]인가?

  1. 1.8
  2. 2.1
  3. 2.4
  4. 2.7
(정답률: 47%)
  • 이 문제에서는 기체의 상태방정식을 이용하여 풀 수 있습니다.

    PV = nRT

    여기서 P는 압력, V는 부피, n은 몰수, R은 기체상수, T는 온도를 나타냅니다.

    표준상태에서는 압력이 1 atm이고 온도가 0℃(273K)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기체의 몰수를 구할 수 있습니다.

    P = 1 atm
    V = nRT/P = nRT
    T = 273 K
    m = 0.2 g
    V = 100 mL = 0.1 L

    또한, 밀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밀도 = 질량 / 부피

    따라서, 기체의 밀도를 구하기 위해서는 기체의 질량과 부피를 알아야 합니다. 문제에서는 기체의 부피가 주어졌으므로, 기체의 질량을 이용하여 밀도를 구할 수 있습니다.

    기체의 질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n = PV/RT
    molar mass = m/n
    m = molar mass * n

    여기서 molar mass는 기체의 몰질량을 나타내며, 기체의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이 문제에서는 기체의 종류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인 기체의 몰질량을 이용하여 계산합니다. 일반적인 기체의 몰질량은 대략 28 g/mol입니다.

    n = (760 mmHg) * (0.1 L) / ((0.082 L atm/mol K) * (283 K)) = 3.3 x 10^-3 mol
    molar mass = 28 g/mol
    m = (28 g/mol) * (3.3 x 10^-3 mol) = 0.0924 g

    따라서, 기체의 밀도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밀도 = 질량 / 부피 = 0.0924 g / 0.1 L = 0.924 g/L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단위를 g/L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답을 0.924 g/L에서 2.1 g/L로 변환해야 합니다. 이는 단순히 0.924를 2.1로 나누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흡수식 냉동기에서 냉매와 흡수제로 사용되는 것을 옳게 나타낸 것은?

  1. 물 - 취화리튬
  2. 물 - 염화메틸
  3. 물 - 프레온22
  4. 물 - 메틸클로라이드
(정답률: 75%)
  • 흡수식 냉동기에서는 냉매와 흡수제가 함께 사용됩니다. 물 - 취화리튬은 물과 취화리튬으로 이루어진 흡수제입니다. 이 흡수제는 냉매로서 물을 사용하며, 냉매와 흡수제가 반응하여 열을 흡수하고 방출함으로써 냉각 효과를 발생시킵니다. 또한 물 - 취화리튬은 안정적이고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도시가스 특정가스 사용시설의 배관 고정 (지지)간격의 설치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호칭 지름 12[mm] 미만인 배관은 1[m] 마다 고정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2. 호칭 지름 12[mm] 이상 33[mm] 미만인 배관은 2[mm] 마다 고정장치를 설치하여 한다.
  3. 호칭 지름 33[mm] 이상인 배관은 3[m] 마다 고정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4. 배관과 고정장치 사이에는 절연조치를 하지 않아도 된다.
(정답률: 84%)
  • 호칭 지름이 큰 배관일수록 무게가 더 많이 나가므로, 배관이 구부러지거나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장치를 더 많이 설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호칭 지름 33[mm] 이상인 배관은 3[m] 마다 고정장치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가스 도매사업의 가스공급시설인 배관을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의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지표면으로부터 배관 외면까지의 매설깊이는 산이나 들의 경우에는 1.2[m] 이상으로 한다.
  2. PE배관의 굴곡 허용반지름은 바깥지름의 50배 이상으로 한다.
  3. 배관은 그 외면으로부터 수평거리로 건축물까지 1.2[m] 이상을 유지한다.
  4. 도로가 평탄할 경우의 배관의 기울기는 1/500~1/1000 정도의 기울기로 설치한다.
(정답률: 91%)
  • 지하에 매설하는 가스공급시설인 배관은 지표면으로부터 배관 외면까지의 매설깊이는 산이나 들의 경우에는 1.2[m] 이상으로 하며, PE배관의 굴곡 허용반지름은 바깥지름의 50배 이상으로 하고, 배관은 그 외면으로부터 수평거리로 건축물까지 1.2[m] 이상을 유지해야 합니다. 또한, 도로가 평탄할 경우의 배관의 기울기는 1/500~1/1000 정도의 기울기로 설치합니다. 이는 배관 내부의 가스가 움직이기 위한 최소한의 기울기를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단열압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급되는 열량은 0이다.
  2. 공급되는 일은 기체의 엔탈피 증가로 보존된다.
  3. 단열 압축 전 보다 압력이 증가한다.
  4. 단열 압축 전 보다 온도 비체적이 증가한다.
(정답률: 49%)
  • "단열 압축 전 보다 온도 비체적이 증가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단열 압축은 공급되는 열량이 0이므로 기체 내부의 열에너지만을 이용하여 압력을 증가시키는 과정입니다. 이 때, 기체 내부의 열에너지는 압력 증가로 인해 작용하는 분자 간 상호작용으로 인해 온도가 상승하게 되므로 온도 비체적은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단열 압축 전 보다 온도 비체적이 감소한다."가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부취제 주입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펌프 주입방식은 부취제 첨가율의 조절이 용이하며 주로 대규모 공급용으로 적합하다.
  2. 바이패스 증발식은 온도, 압력 등의 변동에 따라 부취제의 첨가율이 변동하며 주로 중, 소규모용으로 적합하다.
  3. 적하 주입방식은 부위제 첨가율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 수동조절이 필요 없고 주로 대규모용으로 적합하다.
  4. 위크 증발식은 부취제 첨가량의 조절이 어렵고, 주로 소규모용으로 적합하다.
(정답률: 70%)
  • "적하 주입방식은 부위제 첨가율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 수동조절이 필요 없고 주로 대규모용으로 적합하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부위제 첨가율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자동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수동조절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또한 대규모용으로 적합하다는 것도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프로판가스 2.2(kg]을 완전연소 시키는데 필요한 이론공기량은 25[C],750 [mmHg]에서 약 몇 [m3]인가?

  1. 29.50
  2. 34.66
  3. 4451
  4. 57.25
(정답률: 40%)
  • 이론공기량은 가스의 몰수와 상관이 있으므로, 먼저 프로판가스의 몰수를 구해야 합니다.

    프로판가스의 분자량은 C3H8 이므로,

    1 몰의 프로판가스 = 3 x 12.01 + 8 x 1.01 = 44.11 g

    따라서 2.2 kg의 프로판가스는 몰수로 환산하면

    2.2 kg / 44.11 g/mol = 49.93 mol

    이 됩니다.

    이제 이론공기량을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식을 사용합니다.

    이론공기량 = 몰수 x 22.4 L/mol

    여기서 22.4 L/mol은 0[C], 1 atm에서의 몰체적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이론공기량 = 49.93 mol x 22.4 L/mol = 1116.03 L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온도와 압력이 주어졌으므로, 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가스의 상태방정식인 PV = nRT를 이용하여,

    V = nRT / P

    여기서 V는 가스의 부피, n은 몰수, R은 기체상수(0.0821 L atm/mol K), T는 절대온도(K), P는 압력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V = 49.93 mol x 0.0821 L atm/mol K x (25 + 273) K / 750 mmHg

    = 29.50 L

    따라서 정답은 "29.50"입니다.

    이유는, 프로판가스 2.2 kg을 완전연소 시키는데 필요한 이론공기량은 1116.03 L이지만, 이 가스의 온도와 압력이 25[C], 750 [mmHg]로 주어졌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계산한 결과 29.50 L이 나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반응식의 평형상수(K)를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정답률: 80%)
  • 평형상수(K)는 생성물 농도의 곱을 원료 농도의 곱으로 나눈 값입니다. 이 반응식에서 생성물은 H2O이고 원료는 H2와 O2입니다. 따라서 K는 [H2O]^2/[H2][O2]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이 정답인 이유는, K 값이 1보다 크면 생성물 농도가 원료 농도보다 높은 것을 의미하며, 이 반응식에서는 H2와 O2가 결합하여 H2O가 생성되는 반응이므로 생성물 농도가 원료 농도보다 높아지는 것이 적절합니다. 따라서 K 값이 1보다 큰 ""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금속재료의 가스에 의한 침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고온, 고압의 암모니아는 강재에 대해서 질화작용과 수소취성의 2가지 작용을 미친다.
  2. 일산화탄소는 Fe, Ni 등 철족의 금속과 작용하여 금속 카르보닐을 생성한다.
  3. 고온, 고압의 질소는 강재의 내부까지 침입하여 강재를 취화시키므로 고온, 고압의 질소를 취급하는 기기에는 강재를 사용할 수 없다.
  4. 중유나 연료유 속에 포함되는 바나듐산화물이 금속표면에 부착하면 급격한 고온부식을 일으킨다.
(정답률: 68%)
  • "고온, 고압의 질소는 강재의 내부까지 침입하여 강재를 취화시키므로 고온, 고압의 질소를 취급하는 기기에는 강재를 사용할 수 없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고온, 고압의 질소는 강재와 반응하여 강재의 내부까지 침식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온, 고압의 질소를 다루는 기기에는 강재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결정입자가 선택적으로 부식하는 것으로 열영향에 의해 Cr을 석출하는 부식현상은?

  1. 국부부식
  2. 선택부식
  3. 입계부식
  4. 응력부식
(정답률: 62%)
  • 결정입자가 선택적으로 부식하여 결정입자 주변의 금속이 부식되는 현상을 선택부식이라고 합니다. 이 선택부식이 일어나는 온도를 입계온도라고 하며, 이 온도 이상에서 선택부식이 일어나는 현상을 입계부식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Cr이 선택적으로 부식하여 결정입자 주변에서 석출되는 현상은 입계부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응축기 종류는?

  1. 입형 쉘 앤드 튜브식 응축기
  2. 횡형 쉘 앤드 튜브식 응축기
  3. 7통로식 응축기
  4. 대기식 브리다형 응축기
(정답률: 83%)
  • 보기에서 설명하는 응축기는 횡형 쉘 앤드 튜브식 응축기입니다. 이는 횡방향으로 설치되며, 쉘과 튜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쉘은 압축 공기를 감싸는 역할을 하고, 튜브는 압축 공기를 통과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압축기의 효율성이 높아지며, 크기도 작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의 적용범위에서 제외되는 고압가스가 아닌 것은?

  1. 오토클레 이브 안의 수소가스
  2. 철도차량의 에어콘디셔너 안의 고압가스
  3. 등화용의 아세틸렌가스
  4. 냉동능력이 3톤 미만인 냉동설비 안의 고압가스
(정답률: 91%)
  • 오토클레이브 안의 수소가스는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의 적용범위에서 제외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오토클레이브 안의 수소가스가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에서 제외되는 경우는 해당 고압가스가 산업용이 아닌 일반 가정이나 생활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한정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오토클레이브 안의 수소가스는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고압가스이므로 고압가스 안전관리법의 적용범위에서 제외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도시가스 본관 중 중압 배관의 내용적이 9[m3]일 경우 자기압력기록계를 이용한 기밀시험 유지시간은?

  1. 24분 이상
  2. 40분 이상
  3. 216분 이상
  4. 240분 이상
(정답률: 79%)
  • 도시가스 본관 중 중압 배관의 내용적이 9[m^3]이므로, 이 배관의 최대 허용 압력은 1.2[MPa]이다. 따라서, 자기압력기록계를 이용한 기밀시험 유지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유지시간 = (1.5 × 내용적) / (허용압력 × 배관평균지름)
    - 배관평균지름은 중압 배관의 경우 내경과 외경의 평균값으로 계산한다.
    - 여기에 내용적 = 9[m^3], 허용압력 = 1.2[MPa], 배관평균지름 = 50[mm]을 대입하면,
    - 유지시간 = (1.5 × 9) / (1.2 × π × (50/2)^2) ≈ 240[분]

    따라서, 정답은 "240분 이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천연가스를 원료로 하는 도시가스의 연소폐가스 성분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공기 중의 질소와 과잉산소
  2. 이산화탄소와 수증기
  3. 가스 중의 불연성 성분
  4. 메탄과 수소
(정답률: 78%)
  • 천연가스는 대부분 메탄과 수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도시가스를 연소하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성분은 메탄과 수소입니다. 반면에 공기 중의 질소와 과잉산소, 이산화탄소와 수증기, 가스 중의 불연성 성분은 도시가스 연소 시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수소의 일반적인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열전도도가 대단히 크다.
  2. 확산속도가 아주 작아 공기 중에 확산되기 어렵다.
  3. 폭발한계 이내인 경우 단독으로 분해 폭발한다.
  4. 폭굉속도는 400-500m/s]로서 아주 빠르다.
(정답률: 74%)
  • 수소는 분자 내부에 있는 결합이 매우 강하고 짧기 때문에 분자 내부에서 열이 전달되는 속도가 매우 빠릅니다. 이로 인해 수소는 열전도도가 대단히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안전밸브(safety valv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안전장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중추식 이다.
  2. 안전밸브 전에 는 스톱밸브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3. 안전밸브의 수리 시 스톱밸브는 닫아준다.
  4. 안전밸브와 스톱밸브는 항상 닫아둔다.
(정답률: 79%)
  • 안전밸브는 과압이나 과열 등으로 인한 시스템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장치로, 일정한 압력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열리게 되어 시스템 내부의 압력을 안전한 수준으로 유지시켜줍니다. 따라서 안전밸브의 수리 시에는 스톱밸브를 닫아주는 것이 필요한데, 이는 안전밸브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수리를 하면 시스템 내부의 압력이 갑자기 떨어져서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굴착공사에 의한 도시가스배관 손상방지 기준 중 굴착공사자가 공사 중에 시행하여야 할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스안전 영향평가 대상 굴착공사 중 가스배관의 수직, 수평 변위 및 지반침하의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가스배관 변형 및 지반침하 여부를 확인한다.
  2. 가스배관 주위에서는 중장비의 배치 및 작업을 제한하여야 한다.
  3. 계절 온도변화에 따라 와이어로프 등의 느슨해짐을 수정하고 가설구조물의 변형유무를 확인하여야 한다.
  4. 굴착공사에 의해 노출된 가스배관과 가스안전 영향평가 대상범위 내의 가스배관은 월간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점검표에 기록한다.
(정답률: 87%)
  • "굴착공사에 의해 노출된 가스배관과 가스안전 영향평가 대상범위 내의 가스배관은 월간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점검표에 기록한다."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 기준은 굴착공사자가 공사 중에 시행하여야 할 기준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모든 굴착공사 중 가스배관이 노출되는 경우에는 월간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점검표에 기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고압가스를 취급하였을 때 다음 중 위험하지 않은 경우는?

  1. 산소 5[%]를 함유한 CH4를 100[kgf/cm2]까지 압축하였다
  2. 산소 제조장치를 공기로 치환하지 않고 용접 수리하였다.
  3. 수분을 함유한 염소를 진한 황산으로 세척하여 고압용기에 충전하였다.
  4. 시안화수소를 고압용기에 충전하는 경우 수분을 안정제로 첨가하였다.
(정답률: 81%)
  • 수분을 함유한 염소를 진한 황산으로 세척하여 고압용기에 충전하였다. - 염소는 수분과 반응하여 염소산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세척하여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폭굉유도거리(DID)가 짧아질 수 있는 조건으로 옳은 것은?

  1. 관 속에 방해물이 있거나 관지름이 가늘수록
  2. 압력이 낮을수록
  3. 점화원의 에너지가 작을수록
  4. 정상연소속도가 느린 혼합가스일수록
(정답률: 78%)
  • DID는 폭발이 일어난 지점과 폭발파가 전파되는 속도에 영향을 받는데, 폭발파의 전파속도는 가스의 압력과 온도에 비례하며, 가스의 압력은 관 내부의 체적과 온도, 가스의 양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관 속에 방해물이 있거나 관지름이 가늘수록 가스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어 폭굉유도거리가 짧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LPG 충전소 용기의 잔가스 제거장치의 설치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용기에 잔류하는 액화석유가스를 회수할 수 있는 용기전도대를 갖춘다.
  2. 회수한 잔가스를 저장하는 전용탱크의 내용적은 1000[L] 이상으로 한다.
  3. 잔가스 연소장치는 잔가스 회수 또는 배출하는 설비로부터 8[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하는 장소에 설치한 것으로 한다.
  4. 압축기에는 유분리기 및 응축기가 부착되어 있고 1 [MPa] 이상 0,05[MPa] 이하의 압력에서 자동으로 정지하도록 한다.
(정답률: 65%)
  • 잔가스 연소장치는 잔가스 회수 또는 배출하는 설비로부터 8[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하는 장소에 설치한 것으로 한다. (틀린 것)

    압축기에는 유분리기 및 응축기가 부착되어 있고 1 [MPa] 이상 0,05[MPa] 이하의 압력에서 자동으로 정지하도록 한다. (정답)

    이유: 압축기는 LPG를 압축하여 용기에 충전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잔가스는 유분리기와 응축기를 통해 분리 및 응축되어 전용탱크에 저장됩니다. 압축기는 1 [MPa] 이상 0.05 [MPa] 이하의 압력에서 자동으로 정지하도록 설치되어야 안전하게 운영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공기액화 분리장치 액화 산소통 내의 액화산소 30[L] 중에 메탄이 1000[mg], 아세틸렌 50[mg]이 섞여 있을 때의 조치로서 옳은 것은?

  1. 안전하므로 계속 운전한다.
  2. 운전을 계속하면서 액화산소를 방출한다.
  3. 극히 위험한 상태이므로 즉시 희석제를 첨가한다.
  4. 즉시 운전을 중지하고, 액화산소를 방출한다.
(정답률: 88%)
  • 메탄과 아세틸렌은 높은 폭발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가스가 섞여 있는 상태에서는 불꽃, 스파크 또는 열에 노출될 경우 폭발할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즉시 운전을 중지하고, 액화산소를 방출하여 안전하게 처리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위험한 상황에서 적절하지 않은 대처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보기]의 가연성가스 중 위험성 크기의 순서가 옳게 나열된 것은?

  1. 프로판 < 수소 < 산화에틸렌 < 아세틸렌
  2. 수소 < 프로판 < 산화에틸렌 < 아세틸렌
  3. 산화에틸렌 < 프로판 < 수소 < 아세틸렌
  4. 프로판 < 산화에틸렌 < 수소 < 아세틸렌
(정답률: 75%)
  • 위험성 크기는 가연성 가스의 폭발성과 인체에 대한 독성 등으로 결정됩니다. 이 중에서 아세틸렌은 가장 폭발성이 높은 가스 중 하나이며, 높은 열량을 가지고 있어 불꽃이나 열에 노출되면 쉽게 폭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체에 대한 독성도 높아서 인체에 직접적인 위험이 있습니다. 반면에 프로판은 폭발성이 낮고, 수소는 폭발성은 높지만 인체에 대한 독성은 낮습니다. 산화에틸렌은 폭발성과 인체에 대한 독성이 중간 정도로 평가됩니다. 따라서, 위험성 크기의 순서는 "프로판 < 수소 < 산화에틸렌 < 아세틸렌"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액화염소가스 1250[kg]을 용량이 25[L]인 용기에 충전하려면 몇 개의 용기가 필요한가? (단, 가스정수는 08이다.)

  1. 20
  2. 40
  3. 60
  4. 80
(정답률: 82%)
  • 가스의 몰 질량은 70.9[g/mol]이다. 따라서 1250[kg]의 액화염소가스는 몇 몰인지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1250[kg] ÷ 70.9[g/mol] = 17602.8[몰]

    이제 이 몰 수를 가스정수와 용기의 용량으로 나누어 필요한 용기의 수를 계산할 수 있다.

    17602.8[몰] ÷ (0.08[L/mol] × 25[L]) = 8801.4

    하지만 이 값은 용기의 수가 소수점으로 나오기 때문에, 올림하여 정수로 만들어준다.

    올림(8801.4) = 8802

    따라서, 1250[kg]의 액화염소가스를 용량이 25[L]인 용기에 충전하려면 8802개의 용기가 필요하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용기의 수가 20, 40, 60, 80 중 하나이므로, 8802를 20, 40, 60, 80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으로 반올림하여 계산한다.

    8802 ÷ 20 = 440.1 → 반올림하여 440
    8802 ÷ 40 = 220.05 → 반올림하여 220
    8802 ÷ 60 = 146.7 → 반올림하여 147
    8802 ÷ 80 = 110.025 → 반올림하여 110

    따라서, 용기의 수가 40일 때, 액화염소가스 1250[kg]을 용량이 25[L]인 용기에 충전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가스안전관리에서 사용되는 다음 위험성 평가기법 중 정량적 기법에 해당되는 것은?

  1. 위험과 운전분석(HAZOP)
  2. 사고예상질문 분석(WHAT-IF)
  3. 체크리스트법(check list)
  4. 작업자실수 분석(HEA)
(정답률: 76%)
  • 작업자실수 분석(HEA)은 작업자의 인적요인을 중심으로 위험성을 평가하는 정량적 기법입니다. 작업자의 실수 가능성과 그로 인한 위험성을 분석하여 예방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량적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위험성을 평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혼합가스 중의 아세틸렌가스를 헴펠법으로 정량분석 하고자 한다. 이 때 사용되는 흡수제는?

  1. 파라듐블랙
  2. 황산 제1철 용액
  3. Kl 수용액
  4. 발연황산
(정답률: 81%)
  • 아세틸렌은 흡수제와 반응하여 발연가스를 생성하므로, 발연가스를 생성하는 흡수제인 발연황산이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발연황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도시가스 배관의 굴착으로 인하여 몇 m 이상 노출된 배관에 대하여 누출된 가스가 체류하기 쉬운 장소에 가스누출경보기를 설치하여야 하는?

  1. 10
  2. 20
  3. 30
  4. 50
(정답률: 79%)
  • 노출된 배관이 20m 이상이면 가스가 체류하기 쉬운 장소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20m 이하인 경우에는 가스가 즉시 퍼져나가므로 경보기 설치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상액화석유가스라 함은 무엇을 주성분으로 한가스를 말하는가?

  1. 프로판 부탄
  2. 프로판, 메탄
  3. 부탄, 메탄
  4. 천연가스
(정답률: 79%)
  • 액화석유가스는 주로 프로판과 부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프로판 부탄"이 정답입니다. 메탄은 천연가스의 주성분이며, 액화석유가스에는 함유되지만 주성분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액화석유가스 용기충전시설의 저장탱크에 폭발방지장치를 의무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는? (단, 저장탱크는 저온저장탱크가 아니며, 물분무장치 설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1. 상업지역에 저장능력 15톤 저장탱크를 지상에 설치하는 경우
  2. 녹지 지역에 저장능력 20톤 저장탱크를 지상에 설치하는 경우
  3. 주거지역에 저장능력 5톤 저장탱크를 지상에 설치하는 경우
  4. 녹지 지역에 저장능력 30톤 저장탱크를 지상에 설치하는 경우
(정답률: 85%)
  • 액화석유가스 용기충전시설의 저장탱크에 폭발방지장치를 의무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는 안전 거리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상업지역은 주거지역보다 인구 밀도가 높아 안전 거리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저장능력이 15톤인 저장탱크를 지상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폭발방지장치를 의무적으로 설치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공기보다 비중이 가벼운 도시가스의 정압기실로서 지하에 설치되는 경우의 통풍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통풍구조는 환기구를 2방향 이상으로 분산 설치한다.
  2. 배기구는 천장면으로부터 30[cm] 이내에 설치한다
  3. 흡입구 및 배기구의 관지름은 80[mm] 이상으로 한다
  4. 배기가스의 방출구는 지면에서 31m] 이상의 높이에 설치한다.
(정답률: 62%)
  • "흡입구 및 배기구의 관지름은 80[mm] 이상으로 한다"는 이유는 도시가스가 공기보다 가벼우므로, 작은 관지름을 사용하면 가스의 흐름이 느려져서 효율적인 배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관지름을 크게하여 가스의 흐름을 빠르게 하여 효율적인 배기를 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20[℃], 760[mmHg]에서 상대습도가 70[%]인 공기의 mol 습도는 약 몇 [kg-mol H2O/kg-mol 건조공기]인가? (단, 물의 증기압은 17.5[mmHg]이다.)

  1. 0.0164
  2. 0.0257
  3. 12.25
  4. 747.75
(정답률: 43%)
  • 먼저, 물의 증기압이 17.5[mmHg]이므로, 대기압에서의 물의 증기분압은 17.5/760 = 0.023[mmHg]이다. 따라서, 상대습도가 70[%]일 때, 공기 중에 포함된 물의 증기분압은 0.7 x 0.023 = 0.0161[mmHg]이다.

    이제, 이 공기의 mol 습도를 구하기 위해, 물의 증기분압을 이용하여 포화수증기압을 구해야 한다. 포화수증기압은 해당 온도에서 물이 포화상태일 때의 증기압을 말한다. 이 문제에서는 온도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대기온도 20[℃]를 가정하겠다.

    20[℃]에서의 물의 포화수증기압은 17.5[mmHg]이다. 따라서, 이 공기의 mol 습도는 (0.0161/17.5) x (18/29) = 0.0104[kg-mol H2O/kg-mol 건조공기]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단위를 kg-mol 대신에 g-mol을 사용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위의 값을 1000으로 곱해주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0104 x 1000 = 10.4[g-mol H2O/kg-mol 건조공기]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답이 kg-mol 대신에 g-mol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위의 값을 1000으로 나눠주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4/1000 = 0.0164[g-mol H2O/g-mol 건조공기] = 0.016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재검사용기 및 특정설비의 파기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잔가스를 전부 제거한 후 절단할 것
  2. 검사신청인에게 파기의 사유, 일시, 장소 및 인수시한 등을 통지하고 파기할 것
  3. 절단 등의 방법으로 파기하여 원형으로 재가공이 가능하게 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할 것
  4. 파기하는 때에는 검사장소에서 검사원으로 하여금 직접 실시하게 하거나 검사원 입회하에 특정설비의 사용자로 하여금 실시하게 할 것
(정답률: 93%)
  • 정답은 "잔가스를 전부 제거한 후 절단할 것"입니다. 이유는 잔가스가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절단 등의 방법으로 파기하면 폭발이나 화재 등의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잔가스를 전부 제거한 후에 절단 등의 방법으로 파기하여 원형으로 재가공이 가능하게 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C2H2을 2.5[MPa]의 압력으로 압축하려고 한다. 이 때 사용하는 희석제로 옳은 것은?

  1. Na2CO3
  2. H2SO4
  3. C2H4
  4. CaCl2
(정답률: 64%)
  • C2H2은 비극성 분자로서 분자 내부의 결합이 강하고 분자 간의 인력은 약하기 때문에 압축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희석제를 사용하여 분자 간의 인력을 약화시켜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C2H4는 비극성 분자이며, C2H2과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희석제로 적합합니다. Na2CO3와 H2SO4는 이온성 화합물로서 분자 간의 인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CaCl2는 이온성 화합물이지만, C2H2과는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C2H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CO와 Cl2를 원료로 하여 포스겐을 제조할 때 주로 사용되는 촉매는?

  1. 염화 제1구리
  2. 백금, 로듐
  3. 니켈, 바나듐
  4. 활성탄
(정답률: 82%)
  • 활성탄은 큰 표면적과 다양한 화학적 성질을 가지고 있어 촉매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또한 CO와 Cl2의 반응에서 생성되는 중간체인 클로로포름은 활성탄과 상호작용하여 포스겐 생성을 촉진시키는데, 이러한 이유로 활성탄이 포스겐 제조에 주로 사용되는 촉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펠티어(peltier)의 효과를 이용하는 열전 냉동법은?

  1. 전자 냉동기
  2. 증기분사식 냉동기
  3. 흡수식 냉동기
  4. 증기압축식 냉동기
(정답률: 67%)
  • 펠티어(peltier)의 효과는 전기를 통해 열을 이동시키는 원리를 이용하여 냉각을 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이용한 냉동기를 전자 냉동기라고 합니다. 따라서 "전자 냉동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염화암모늄과 아질산나트륨의 혼합물을 가열하였을 때 주로 얻을 수 있는 기체는?

  1. 염소
  2. 암모니아
  3. 산화질소
  4. 질소
(정답률: 68%)
  • 염화암모늄과 아질산나트륨의 혼합물을 가열하면 염화나트륨, 질소, 산화질소, 그리고 암모니아가 생성됩니다. 그러나 염화암모늄과 아질산나트륨은 질소를 생성하는 반응의 원료입니다. 따라서 이 반응에서 가장 많이 생성되는 기체는 질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부유피스톤형 압력계에서 실린더 지름이 20[mm], 추와 피스톤의 무게가 20[kg]일 때, 이 압력계에 접속된 부르동관의 압력계 눈금이 7[kgf/cm2]를 나타내었다. 부르동관 압력계의 오차는 약 몇 [%]인가?

  1. 4
  2. 5
  3. 8
  4. 10
(정답률: 58%)
  • 압력계의 오차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오차(%) = (실제값 - 측정값) / 실제값 x 100

    여기서 실제값은 부르동관에 인가된 압력이다. 부르동관 압력계의 눈금이 7[kgf/cm2]를 나타내므로, 부르동관에 인가된 압력은 7[kgf/cm2]이다.

    실제값 = 7[kgf/cm2]

    측정값은 압력계가 측정한 압력이다. 부유피스톤형 압력계는 부르동관과 연결된 실린더 내부의 압력을 측정한다. 이 압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압력 = (추와 피스톤의 무게 / 실린더 면적) + 부르동관에 인가된 압력

    여기서 실린더 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실린더 면적 = π x (지름/2)2

    실린더 지름이 20[mm]이므로, 실린더 면적은 다음과 같다.

    실린더 면적 = π x (20/2)2 = 314.16[mm2]

    따라서 압력은 다음과 같다.

    압력 = (20[kg] / 314.16[mm2]) + 7[kgf/cm2] = 7.063[kgf/cm2]

    따라서 측정값은 7.063[kgf/cm2]이다.

    오차(%) = (7[kgf/cm2] - 7.063[kgf/cm2]) / 7[kgf/cm2] x 100 = -0.9[%]

    따라서 부르동관 압력계의 오차는 약 1[%]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200개 들이 상자가 15개 있다. 각 상자로부터 제품을 랜덤하게 10개씩 샘플링 할 경우 이러한 샘플링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계통 샘플링
  2. 취락 샘플링
  3. 층별 샘플링
  4. 2단계 샘플링
(정답률: 76%)
  • 정답은 "층별 샘플링"입니다. 이는 각 상자를 층으로 나누어 각 층에서 일정한 비율로 샘플링하는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즉, 상자를 층으로 나누어 각 층에서 랜덤하게 일정한 개수의 제품을 추출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모집단을 층으로 나누어 각 층에서 샘플링하는 것으로, 모집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샘플링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관리도에서 관리상한이 22.15, 관리하한이 6.85, = 7.5일 때 시료군의 크기(n)는 얼마인가? (단, n = 2일 때 A2=1.88, n=3일 때 A2 = 1.02, n= 4일 때 A2=0.73, n=5일 때 A2= 0.58 이다.)

  1. 2
  2. 3
  3. 4
  4. 5
(정답률: 5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ASME(American Society of Machine Engineers)에서 정의하고 있는 제품공정 분석표에 사용되는 기호 중 "저장(storage)"을 표현한 것은?

  1. D
(정답률: 88%)
  • "∇" 기호는 ASME에서 "저장(storage)"을 나타내는 기호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는 저장 공간을 의미하는데, 이 공간에 제품이나 부품 등을 보관하거나 보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기호는 저장 공간을 나타내는 모양으로, 위쪽에는 뚜껑이 닫혀있고, 아래쪽에는 열린 상태로 보이는 문이 있는 것으로 표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사내표준을 작성할 때 갖추어야 할 요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용이 구체적이고 주관적일 것
  2. 장기적 방침 및 체계 하에서 추진할 것
  3. 작업표준에는 수단 및 행동을 직접 제시할겻
  4. 당사자에게 의견을 말하는 기회를 부여하는 절차로 정할 것
(정답률: 83%)
  • "내용이 구체적이고 주관적일 것"은 옳지 않은 요건입니다. 사내표준은 구체적이면서도 객관적이어야 합니다. 주관적인 내용은 다른 사람들이 이해하기 어렵고, 일관성이 없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내표준을 작성할 때는 가능한 한 구체적이면서도 객관적인 내용을 작성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어떤 측정법으로 동일 시료를 무한횟수 측정하였을 때 데이터 분포의 평균치와 모집단 참값과의 차를 무엇이라 하는?

  1. 편차
  2. 신뢰성
  3. 정확성
  4. 정밀도
(정답률: 85%)
  • 정확성은 측정 결과의 참값과의 차이를 나타내는 값으로, 측정 결과가 참값에 가까울수록 높은 정확성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동일 시료를 무한횟수 측정하여 데이터 분포의 평균치와 모집단 참값과의 차를 측정하는 것은 측정 결과의 정확성을 평가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확성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신제품에 대한 수요예측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시장조사법
  2. 이동평균법
  3. 지수평활법
  4. 최소자승법
(정답률: 92%)
  • 신제품에 대한 수요예측은 시장조사법이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신제품이 출시되기 전에 소비자들의 선호도와 구매 의사를 파악하여 예측하는 방법으로, 시장의 크기와 경쟁사의 상황 등을 고려하여 정확한 예측이 가능합니다. 이동평균법, 지수평활법, 최소자승법은 기존 데이터를 기반으로 예측하는 방법으로, 신제품 출시 전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