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7-11)

가스기능장
(2010-07-1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고압가스 일반제조 시설기준 중 가연성가 스 제조설비의 전기설비는 방폭성능을 가지는 구조이어야 한다. 다음 중 제외 대상이 되는 가스는?

  1. 에탄
  2. 브롬화메탄
  3. 에틸아민
  4. 수소
(정답률: 91%)
  • 브롬화메탄은 가연성이 없기 때문에 방폭성능을 가지는 구조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제외 대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SI단위인 Joul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Newton의 힘의 방향으로 1[m] 움직이는 데 필요한 일이다
  2. 1[Ω]의 저항에 1[A]의 전류가 흐를 때 1초간 발생하는 열량이다
  3. 1[kg]의 질량을 1[m/s2] 가속시키는데 필요한 힘이다.
  4. 1Joule은 약 0.24[cal]에 해당한다
(정답률: 79%)
  • 정답: "1Joule은 약 0.24[cal]에 해당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1 Joule은 1[kg]의 질량을 1[m/s2] 가속시키는데 필요한 힘이다. 이는 운동에너지와 같은 형태로 나타낼 수 있으며, 또한 1[N]의 힘의 방향으로 1[m] 움직이는 데 필요한 일이다. 또한 1[Ω]의 저항에 1[A]의 전류가 흐를 때 1초간 발생하는 열량으로도 나타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사업자 등은 그의 시설이나 제품과 관련하여 가스사고가 발생한 때에는 한국가스안전공사에 통보하여야 한다. 사고의 통보 시에 통보내용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은 사항은?

  1. 피해현황(인명 및 재산)
  2. 시설현황
  3. 사고내용
  4. 사고원인
(정답률: 89%)
  • 사고원인은 사고가 발생한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이기 때문에 통보내용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가스압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등온압축 동력이 단열압축 동력보다 크다.
  2. 동일가스, 동일 흡입 온도에서는 압축비가 클수록 토출온도는 낮다
  3. 압축비가 일정한 경우 간극 용적비가 작아질수록 체적효율은 좋아진다.
  4. 압축비가 일정한 경우 간극 용적 비가 작아질수록 체적효율은 나빠진다.
(정답률: 79%)
  • 가스를 압축할 때, 압축비가 일정하다면 가스의 체적은 감소하게 되고, 이때 간극 용적비가 작아질수록 가스 분자들이 서로 부딪히는 빈도가 높아져 체적효율이 좋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압축비가 일정한 경우 간극 용적비가 작아질수록 체적효율은 좋아진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흡수식 냉동설비의 냉동능력 정의로 옳은 것은?

  1. 발생기를 가열하는 24시간의 입열량 6천 640[kcal]를 1일의 냉동능력 1[톤]으로 본다.
  2. 발생기를 가열하는 1시간의 입열량 3천 3201kcal]를 1일의 냉동능력 1[톤]으로 본다
  3. 발생기를 가열하는 1시간의 입열량 6천 640[kcal]를 1일의 냉동능력 1[톤]으로 본다.
  4. 발생기를 가열하는 24시간의 입열량 3천 320[kcal]를 1일의 냉동능력 1[톤]으로 본다
(정답률: 89%)
  • 정답은 "발생기를 가열하는 1시간의 입열량 6천 640[kcal]를 1일의 냉동능력 1[톤]으로 본다." 입니다.

    흡수식 냉동설비는 열을 흡수하여 냉각하는 원리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냉동능력은 일정한 시간 동안 발생기에서 흡수한 열의 양으로 정의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1시간 동안 발생기에서 가열된 열의 양이 6천 640[kcal]이므로, 이를 24시간으로 확대하여 1일 동안 발생하는 열의 양으로 계산하면 6천 640[kcal] x 24시간 = 159,360[kcal]이 됩니다. 이를 1[톤]으로 나누면 1일 동안 처리할 수 있는 열의 양이 되므로, 159,360[kcal] ÷ 1[톤] = 159.36[톤]이 됩니다. 따라서 "발생기를 가열하는 1시간의 입열량 6천 640[kcal]를 1일의 냉동능력 1[톤]으로 본다."가 옳은 정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어떤 용기에 액체염소 25(kg]이 들어있다. 이 염소를 표준상태인 바깥으로 내 놓으면 몇 [m3]의 부피를 차지하는??

  1. 7,9
  2. 11.0
  3. 15.4
  4. 22.4
(정답률: 56%)
  • 액체염소의 밀도는 1.56 [g/cm3]이다. 따라서 25 [kg]의 액체염소는 부피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25 [kg] × (1000 [g] / 1 [kg]) ÷ (1.56 [g/cm3]) = 16025.6 [cm3]

    이를 미터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16025.6 [cm3] ÷ (100 [cm/m])3 = 0.0160256 [m3]

    따라서 액체염소 25 [kg]는 0.0160256 [m3]의 부피를 차지한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7,9"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독성가스 배관 설치 시 반드시 2중 배관으로 하지 않아도 되는 가스는?

  1. 에틸렌
  2. 시안화수소
  3. 염화메탄
  4. 암모니아
(정답률: 64%)
  • 에틸렌은 불활성 가스로서, 고온에서만 폭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온도에서는 2중 배관으로 설치하지 않아도 됩니다. 반면, 시안화수소, 염화메탄, 암모니아는 모두 독성이 있으며, 불활성 가스가 아니므로 2중 배관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반데르발스(Van der Waals) 상태식 중 보정항에 대하여 옳게 표현한 것은?

  1. 실제기체에서 분자 간 상호 인력의 작용과 분자 자체의 크기(부피)를 고려하여 보정한 식이다
  2. 실제기체에서 원자 간의 공유결합에 의한 압력 감소를 고려하여 보정한 식이다
  3. 실제기체에서 양이온과 음이온의 작용에 의한 이온결합을 고려하여 보정한 식이다
  4. 실제기체에서 이상기체보다 높은 압력과 낮은 온도를 고려하여 보정한 식이다.
(정답률: 74%)
  • 반데르발스(Van der Waals) 상태식의 보정항은 "실제기체에서 분자 간 상호 인력의 작용과 분자 자체의 크기(부피)를 고려하여 보정한 식이다"입니다. 이는 이상기체 상태식에서는 고려되지 않는 실제 기체의 분자 간 상호작용과 크기를 고려하여 보정한 것입니다. 이 보정항은 실제 기체의 압력과 부피를 더욱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가스안전 영향평가 대상 등에서 산업통상자원부령이 정하는 가스배관이 통과하는 지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해당 건설공사와 관련된 굴착공사로 인하여 도시가스배관이 노출될 것이 예상되는 부분
  2. 해당 건설공사에 의한 굴착바닥면의 양끝으로부터 굴착심도의 0.6배 이내의 수평 거리에 도시가스배관이 매설된 부분
  3. 해당 공사에 의하여 건설될 지하시설물 바닥의 직하부에 관지름 500[mm]인 저압의 가스배관이 통과하는 경우 그 건설공사에 해당하는 부분
  4. 해당 공사에 의하여 건설될 지하시설물 바닥의 직하 부에 최고사용압력이 중압 이상인 가스배관이 통과하는 경우 그 건설공사에 해당하는 부분
(정답률: 75%)
  • 정답은 "해당 공사에 의하여 건설될 지하시설물 바닥의 직하부에 관지름 500[mm]인 저압의 가스배관이 통과하는 경우 그 건설공사에 해당하는 부분"입니다. 이유는 가스안전 영향평가 대상 등에서 산업통상자원부령이 정하는 가스배관이 통과하는 지점은 가스안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부분으로, 해당 공사와 직접적으로 연관된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가스배관이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부분이나,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부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고압가스 운반 시 가스누출사고가 발생하였다. 이 부분의 수리가 불가능한 경우 재해 발생 또는 확대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사항 으로볼수없는 것은?

  1. 상황에 따라 안전한 장소로 운반한다
  2. 상황에 따라 안전한 장소로 대피한다.
  3. 비상연락망에 따라 관계 업소에 원조를 이리동
  4. 펜스를 설치하고 다른 운반차량에 가스를 옮긴다
(정답률: 83%)
  • 펜스를 설치하고 다른 운반차량에 가스를 옮기는 것은 가스누출사고가 발생한 차량을 격리시켜서 주변인들의 안전을 보호하고, 가스를 안전하게 옮겨서 재해 발생 또는 확대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대처 방안이지만, 이 부분의 수리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이미 재해가 발생한 상황이므로 대처 방안으로는 부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가스공급시설 중 최고사용압력이 고압인 가스홀더 2개가 있다. 2개의 가스홀더의 지름이 각각 30[m], 50[m]일 경우 두 가스홀더의 간격은 몇 [m] 이상을 유지하여야 하는 가?

  1. 15[m]
  2. 20[m]
  3. 30[m]
  4. 50[m]
(정답률: 89%)
  • 가스홀더의 최고사용압력이 고압이므로 안전을 위해 가스홀더 간격은 최소한 지름의 2배 이상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30[m] 지름의 가스홀더와 50[m] 지름의 가스홀더 간격은 50[m] 지름 가스홀더의 지름의 2배인 100[m] 이상이 되어야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값 중에서는 100[m] 이상인 값이 없으므로, 최소한 50[m] 지름 가스홀더의 지름의 2배인 100[m]보다는 작으면서 30[m] 지름 가스홀더의 지름의 2배인 60[m] 이상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가장 적절한 답은 "20[m]"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고온, 고압하에서 일산화탄소를 사용하는 장치에 철재를 사용할 수 없는 주된 원인은?

  1. 철카르보님을 만들기 때문에
  2. 탈탄산작용을 하기 때문에
  3. 중합부식을 일으키기 때문에
  4. 가수분해하여 폭발하기 때문에
(정답률: 91%)
  • 고온, 고압하에서 일산화탄소를 사용하는 장치에서 철재를 사용할 수 없는 이유는 철이 일산화탄소와 반응하여 철카르보님을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철카르보님은 매우 안정적인 화합물이며, 이로 인해 장치 내부에서 중합부식을 일으키고, 장치의 수명을 단축시키거나 파손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철 대신에 다른 재질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도시가스 사업법에서 정의하는 용어에 대한설명 중 틀린 것은?

  1. 배관이라 함은 본관, 공 , 내관을 말한다.
  2. 본관이라함은 공급관 옥외배관을 말한다.
  3. 내관이라함은 가스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토지의 경계에서 연소기에 이르는 배관을 말한다.
  4. 액화가스라함은 상용의 온도에서 압력이 0.2[MPa] 이상이 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80%)
  • 정답은 "본관이라함은 공급관 옥외배관을 말한다."입니다. 본관은 공급관 전체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옥외배관만을 말합니다. 따라서 본관과 공급관은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몰조성으로 프로판 50[%], n-부탄 50[%]인 LP가스가 있다. 이 가스 1[kg] 중 프로판의 질량은 약 몇 [kg]인가?

  1. 0.32
  2. 0.38
  3. 0.43
  4. 0.52
(정답률: 62%)
  • LP가스의 몰조성은 프로판과 n-부탄의 몰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프로판과 n-부탄의 몰질량 비율을 구해야 한다.

    프로판의 몰질량은 44.1[g/mol], n-부탄의 몰질량은 58.1[g/mol]이므로,

    프로판 1 몰질량당 질량 = 44.1[g/mol]

    n-부탄 1 몰질량당 질량 = 58.1[g/mol]

    따라서, LP가스 1[kg] 중 프로판의 질량은

    프로판의 몰조성 = 50[%] = 0.5

    n-부탄의 몰조성 = 50[%] = 0.5

    프로판의 몰질량 비율 = 0.5 x 44.1[g/mol] / (0.5 x 44.1[g/mol] + 0.5 x 58.1[g/mol]) = 0.43

    즉, LP가스 1[kg] 중 프로판의 질량은 약 0.43[kg]이다.

    따라서, 정답은 "0.4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가스 정압기에서 메인밸브의 열림과 유량 과의 관계를 의미하는 것은?

  1. 정특성
  2. 동특성
  3. 유량특성
  4. 오프셋
(정답률: 94%)
  • 가스 정압기에서 메인밸브의 열림과 유량은 비례 관계에 있습니다. 즉, 메인밸브를 더 많이 열면 더 많은 가스 유량이 나오게 됩니다. 이러한 관계를 유량특성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수소(H2)가스의 공업적 제조법이 아닌 것은?

  1. 물의 전기분해
  2. 공기 액화 분리법
  3. 수성가스법
  4. 석유의 분해법
(정답률: 83%)
  • 공기 액화 분리법은 공기를 압축하고 냉각하여 액체 상태로 만든 후, 액체 상태에서 분리하는 방법으로 수소를 제조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따라서 공업적 수소 제조법으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풍압대와 관계없이 설치할 수 있는 방식의 가스보일러는?

  1. 자연배기식(CF) 단독배기통 방식
  2. 자연배기식(CF) 복합배기통 방식
  3. 강제배기식(FE) 단독배기통 방식
  4. 강제배기식(FB) 공동배기구 방식
(정답률: 91%)
  • 강제배기식(FE) 단독배기통 방식은 풍압대와 관계없이 설치할 수 있는 방식의 가스보일러입니다. 이는 강제로 배기를 추출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때문에 풍압대의 영향을 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습니다. 반면 자연배기식(CF) 단독배기통 방식과 자연배기식(CF) 복합배기통 방식, 강제배기식(FB) 공동배기구 방식은 풍압대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설치 시 풍압대를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이상기체의 내부에너지(internal energy)에 대하여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온도 및 부피의 함수이다.
  2. 온도 및 압력의 함수이다.
  3. 온도만의 함수이다.
  4. 압력만의 함수이다
(정답률: 89%)
  • 이상기체의 내부에너지는 분자의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의 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때, 온도는 분자의 운동에너지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으므로 내부에너지는 온도만의 함수입니다. 부피나 압력은 분자의 위치에너지와 관련이 있으므로 내부에너지와 간접적으로만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온도만이 내부에너지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아세틸렌을 용기에 충전할 때 충전 중의 압력은 얼마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1.5[MPa]
  2. 2.5[MPa]
  3. 3.5[MPa]
  4. 4.5[MPa]
(정답률: 89%)
  • 아세틸렌은 고압에서 안정적인 가스이지만, 고압에서 저장하면 폭발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1.5~2.5 MPa 정도의 압력으로 충전합니다. 따라서, 충전 중의 압력은 2.5 MPa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지하철 주변에 도시가스 배관을 매설하려고 한다. 이 때 다음 중 무엇이 가장 문제가 되는가?

  1. 대기부식
  2. 미주전류부식
  3. 고온부식
  4. 응력부식균열
(정답률: 92%)
  • 지하철 주변은 습기가 많고 환경이 적합하지 않아 대기부식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지만, 도시가스 배관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금속이기 때문에 미주전류부식이 가장 큰 문제가 됩니다. 미주전류부식은 금속의 전기적인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부식으로, 도시가스 배관과 같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금속이 물과 접촉하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배관의 부식으로 인한 누출 등으로 인한 안전 문제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큰 문제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다음 중 염소의 주된 용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수돗물의 살균
  2. 염화비닐의 원료
  3. 섬유의 표백
  4. 수소의 제조원료
(정답률: 88%)
  • 염소는 수소의 제조원료가 아닙니다. 염소는 수돗물의 살균, 염화비닐의 원료, 섬유의 표백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수소는 수소와 결합하여 염소화수소를 만드는 과정에서 생산될 뿐, 염소의 주된 용도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응력-변형률선도에서 최대인장강도를 나타내는 점은?

  1. C
  2. D
  3. E
  4. F
(정답률: 84%)
  • 최대인장강도는 재료가 가장 많이 늘어날 수 있는 지점으로, 이는 응력-변형률선도에서 곡선이 끝나는 지점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그래프에서는 곡선이 끝나는 지점인 E가 최대인장강도를 나타내는 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피스톤식 팽창기를 사용한 공기액화 사이클은?

  1. 클라우드(Claude) 공기 액화 사이클
  2. 린데(Linde) 공기 액화 사이클
  3. 필립스(Philips) 공기액화 사이클
  4. 캐스케이드(cascade) 공기액화 사이클
(정답률: 76%)
  • 피스톤식 팽창기를 사용한 공기액화 사이클은 "클라우드(Claude) 공기 액화 사이클"입니다. 이는 공기를 압축하여 냉각한 후, 팽창기를 통해 압력을 낮추어 냉각한 공기를 확장시켜 액화시키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높은 압력과 낮은 온도를 필요로 하며, 고압 압축기와 팽창기를 사용하여 공기를 처리합니다. 이 방식은 1902년 프랑스 공학자 클로드(Claude)가 개발하였으며, 대량 생산에 적합하고 안정적인 공기액화를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독성가스와 그 제독제를 잘못 연결한 것은?

  1. 염소-가성소다수용액, 탄산소다수용액, 소석회
  2. 포스겐-가성소다수용액, 소석회
  3. 황화수소-가성소다수용액, 탄산소다수용액
  4. 시안화수소-탄산소다수용액, 소석회
(정답률: 73%)
  • 시안화수소는 탄산소다와 함께 반응하여 시안화나트륨을 생성하므로, 시안화수소와 탄산소다수용액이 함께 사용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시안화수소-탄산소다수용액, 소석회"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섭씨온되℃]와 화씨온도 [T]가 같은 값을 나타내는 온도는?

  1. -20[C]
  2. -40[℃]
  3. -50[℃]
  4. -60[C]
(정답률: 92%)
  • 섭씨온도와 화씨온도는 서로 다른 척도를 사용하기 때문에 같은 온도를 나타내는 경우는 한정적입니다. 그 중에서도 섭씨온도와 화씨온도가 같은 값은 -40도입니다. 이는 물이 얼기 시작하는 온도인 0℃와 32℉가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값입니다. 따라서 -40℃와 -40℉는 서로 같은 온도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수소의 품질검사 시 흡수제로 사용되는 용액은?

  1. 암모니 아성 가성소다 용액
  2. 하이드로설파이드시약
  3. 동암모니아시약
  4. 발연황산시약
(정답률: 76%)
  • 수소는 불활성 기체이기 때문에 직접적인 분석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수소의 품질을 검사할 때는 수소가 흡수되는 용액을 이용합니다. 이때, 하이드로설파이드시약은 수소와 반응하여 산화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수소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하이드로설파이드시약은 수소의 품질검사 시 흡수제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법령상 독성가스가 아닌 것은?

  1. 불화수소
  2. 불소
  3. 염화비닐
  4. 모노실란
(정답률: 74%)
  • 염화비닐은 법령상 독성가스가 아닙니다. 이유는 염화비닐은 고체나 액체 상태에서는 안전하지만 가열되거나 연소될 때 독성가스인 염화수소를 방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염화비닐은 안전한 사용과 폐기가 필요합니다. 반면, 불화수소와 불소는 독성가스이며, 모노실란은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물체가 열을 받고 변화할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물체간의 인력에 저항하여 집합상태가 변화한다.
  2. 위치에너지를 증가시킨다.
  3. 외부에 저항하여 체적변화를 일으킨다.
  4. 분자 운동에너지를 증가시킨다.
(정답률: 76%)
  • 위치에너지를 증가시키는 것은 열을 받아 물체의 위치가 변화할 때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고체가 열을 받아 팽창하거나 액체가 열을 받아 기체로 상태가 변화할 때, 물체의 위치에너지가 증가합니다. 이는 물체의 분자들이 열에 의해 움직이며, 서로간의 인력에 저항하여 집합상태가 변화하고, 외부에 저항하여 체적변화를 일으키며, 분자 운동에너지를 증가시키는 과정과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고압차단 스위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작동압력은 정상고압보다 4[kgf/cm] 정도 높다
  2. 전자밸브와 조합하여 고속다기통 압축기의 용량제어용으로 주로 이용된다.
  3. 압축기 1대마다 설치 시에는 토출 스톱밸브 직전에 설치한다
  4. 작동 후 복귀 상태에 따라 자동 복귀형과 수동 복귀형이 있다.
(정답률: 55%)
  • "전자밸브와 조합하여 고속다기통 압축기의 용량제어용으로 주로 이용된다."가 틀린 것이 아닙니다. 고압차단 스위치는 고압 가스나 액체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며, 전자밸브와 함께 사용하여 용량 제어에 이용됩니다. 따라서, "전자밸브와 조합하여 고속다기통 압축기의 용량제어용으로 주로 이용된다."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내진설계 관련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가속도 시간이력이란 지진의 지반운동가 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기록한 이력을 말한다.
  2. 기능수행수준이란 설계지진 작용 시 구조물이나 시설물에 변형이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나 그 수준과 범위는 구조물이나 시설물이 붕괴되거나 또는 이들의 손상으로 인하여 대규모 피해가 초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성능수준을 말한다.
  3. 하중계수 설계법이란 구조물의 관성력은 무시하고, 작용하는 하중의 시간별 크기에 대하여 해석하는 방법을 말한다
  4. 가속도 계수란 지반운동으로 구조물에서 발생한 최대지진 가속도를 말한다
(정답률: 67%)
  • 정답은 "가속도 시간이력이란 지진의 지반운동가 속도를 시간별로 측정하여 기록한 이력을 말한다." 이다. 이는 지진의 지반운동을 시간별로 측정하여 기록한 것으로, 지진의 세기와 지속시간 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공기액화 분리장치에 아세틸렌가스가 혼입되면 안 되는 이유로 옳은 것은?

  1. 배관 내에서 동결되어 막이므로
  2. 산소의 순도가 나빠지기 때문에
  3. 질소와 산소의 분리가 방해되므로
  4. 분리기 내의 액체산소탱크에 들어가 폭발하기 때문에
(정답률: 92%)
  • 아세틸렌은 매우 불안정한 가스이며, 고온이나 고압에서 폭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기액화 분리장치 내의 액체산소탱크에 아세틸렌가스가 혼입되면, 액체산소와 접촉하여 폭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분리기 내의 안전을 위해 아세틸렌가스가 혼입되지 않아야 하는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진탕형 오토클레이브(auto clave)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고압력에 사용할 수 없다.
  2. 가스누설의 가능성이 없다.
  3. 반응물의 오손이 많다.
  4. 뚜껑판의 뚫어진 구멍에 촉매가 들어갈 염려가 없다.
(정답률: 76%)
  • 진탕형 오토클레이브는 증기를 이용하여 살균하는 기기로, 내부에 고압력이 형성됩니다. 이러한 고압력 상태에서는 가스가 누출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가스누설의 가능성이 없다."는 설명이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가연성가스가 폭발할 위험이 있는 농도에 도달할 우려가 있는 장소의 등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종 장소는 상용상태에서 가연성가스가 체류하여 위험하게 될 우려가 있는 장소. 정비보수 또는 누출 등으로 인하여 종종 가연성가스가 체류하여 위험하게 될 우려가 있는 장소를 말한다
  2. 2종 장소는 밀폐된 용기 또는 설비 내에 밀봉된 가연성가스가 그 용기 또는 설비의 사고로 인해 파손되거나 오조작의 경우에만 누출할 위험이 있는 장소를 말한다.
  3. 0종 장소는 상용의 상태에서 가연성가스의 농도가 연속해서 폭발하한계 이상으로 되는 장소(폭발상한계를 넘는 경우에는 폭발한계내로 들어갈 우려가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를 말한다.
  4. 4종 장소는 확실한 기계적 환기조치에 의하여 가연성가스가 체류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나 환기장치에 이상이나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는 가연성가스가 체류하여 위험하게 될 우려가 있는 장소를 말한다.
(정답률: 79%)
  • 정답은 "1종 장소는 상용상태에서 가연성가스가 체류하여 위험하게 될 우려가 있는 장소. 정비보수 또는 누출 등으로 인하여 종종 가연성가스가 체류하여 위험하게 될 우려가 있는 장소를 말한다"입니다.

    4종 장소는 기계적 환기조치로 가연성가스가 체류하지 않도록 되어 있지만, 환기장치에 이상이나 사고가 발생하면 위험해질 수 있는 장소를 말합니다. 즉, 기계적인 안전장치가 있지만 예기치 못한 상황에 대비하여 주의가 필요한 장소입니다.

    반면 1종 장소는 상용상태에서 가연성가스가 체류하여 위험할 우려가 있는 장소로, 정비보수나 누출 등으로 인해 가연성가스가 체류할 가능성이 높은 장소를 말합니다. 따라서 1종 장소는 4종 장소보다 위험도가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가스도매사업자의 가스공급시설의 시설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액화석유가스의 저장설비와 처리설비는 그 외면으로부터 보호시설까지 20[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한다
  2. 고압인 가스공급시설은 통로, 공지 등으로 구획된 안전구역 안에 설치하되, 그 면적은 2만[m2] 미만으로 한다.
  3. 2개 이상의 제조소가 인접하여 있는 경우의 가스공급시설은 그 외면으로부터 그 제조소와 다른 제조소의 경계까지 20[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한다.
  4. 액화천연가스의 저장탱크는 그 외면으로부터 처리능력이 20만[m2] 이상인 압축기와 30[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한다
(정답률: 56%)
  • 액화석유가스의 저장설비와 처리설비는 그 외면으로부터 보호시설까지 20[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한다는 것은 옳은 기준이며, 오류 신고가 잘못된 것입니다. 이 기준은 액화석유가스의 폭발, 화재 등으로 인한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입니다. 저장설비와 처리설비는 보호시설로부터 최소한 20m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하며, 이를 충족하지 못하면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이 기준은 매우 중요하며 엄격하게 준수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저온장치의 운전 중 CO2와 수분이 존재할때 장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CO2는 저온에서 탄소와 수소로 분해되어 영향이 없다.
  2. 얼음이 되어 배관밸브를 막아 흐름을 저해한다
  3. CO2는 저장장치의 촉매 기능을 하므로 효율을 상승시킨다
  4. CO2는 가스로 순도를 저하시킨다
(정답률: 89%)
  • 저온장치에서 CO2와 수분이 존재하면, 이들은 얼음으로 변화하여 배관밸브를 막아 흐름을 저해합니다. 이는 장치의 작동에 지장을 줄 수 있으며, 유지보수 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CO2와 수분의 제어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산소 16(kg과 질소 56(kg]인 혼합기체의 전압이 506.5[kPa]이다. 이 때 질소의 분압은 몇 [kPa]인가?

  1. 202.6
  2. 303.9
  3. 405.2
  4. 506,5
(정답률: 64%)
  • 혼합기체의 전압은 각 성분의 분압의 합과 같습니다. 따라서, 산소와 질소의 분압을 각각 x와 y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합니다.

    x + y = 506.5

    또한, 산소와 질소의 질량 비는 다음과 같습니다.

    산소 : 질소 = 16 : 56 = 4 : 14

    따라서, 산소와 질소의 분압 비는 다음과 같습니다.

    x : y = 4 : 14 = 2 : 7

    이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식을 세울 수 있습니다.

    x + y = 506.5
    2x + 7x = 9x = 506.5 x 2
    x = 202.6

    따라서, 질소의 분압은 다음과 같습니다.

    y = 7x = 7 x 202.6 = 1418.2
    y = 1418.2 / 10 = 141.8

    따라서, 질소의 분압은 141.8[kPa]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정답이 405.2[kPa]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산소와 질소의 분압 비가 2 : 7임을 이용하여 계산한 값입니다.

    x : y = 2 : 7
    y = 7x / 2 = 7 x 202.6 / 2 = 708.1
    y = 708.1 / 10 = 70.8

    따라서, 질소의 분압은 70.8[kPa]입니다. 이를 전압과 합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202.6 + 70.8 = 273.4
    273.4 x 2 = 546.8

    따라서, 산소와 질소의 분압 비가 2 : 7일 때 전압이 506.5[kPa]인 혼합기체에서 질소의 분압은 405.2[kP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아세틸렌의 주된 제법으로 옳은 것은?

  1. 메탄과 같은 탄화수소를 고온(1200~2000[C])에서 열분해 시켜서 만든다.
  2. 메탄과 같은 탄화수소를 수증기 개질법에 의하여 만든다.
  3. 메탄과 같은 탄화수소를 부분산화법에 의하여 만든다.
  4. 메탄과 같은 탄화 수소를 연소시켜서 얻는다.
(정답률: 70%)
  • 아세틸렌은 탄화수소 중 가장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만들기 위해서는 메탄과 같은 탄화수소를 고온(1200~2000[C])에서 열분해 시켜서 만들어야 합니다. 이는 메탄 분자 내부의 결합을 끊어내어 아세틸렌 분자를 만들어내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메탄과 같은 탄화수소를 고온(1200~2000[C])에서 열분해 시켜서 만든다."가 옳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파이핑 레이아웃(piping layout)의 실시 시 주의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항상 일관된 사고(思考)에 의해 행하도록 하며 장치 전체의 미관을 고려한다
  2. 장치가 운전하기 쉽도록 고려한다
  3. 유지관리에 대한 충분한 고려를 한다.
  4. 배관은 되도록 굴곡(屈曲)을 많게 하여 최단거리로 한다
(정답률: 87%)
  • 배관을 최단거리로 설치하면, 유체의 유동성이 좋아지고 압력 손실이 적어지기 때문에 효율적인 운전이 가능해집니다. 하지만 배관이 직선적으로 설치되면, 환경에 따라 공간이 제한되거나 건축물의 구조물과 충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굴곡을 많이 주어 최단거리로 배관을 설치하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유지보수도 용이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강한 자성을 가지고 있어 자장에 대해 흡인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분석이 가능한 가스는?

  1. CH4
  2. CO2
  3. O2
  4. H
(정답률: 72%)
  • 강한 자성을 가지고 있는 가스는 자장에 대해 흡인되어 분석이 가능합니다. 이 중에서도 분자 내에 양성자와 음성자가 균형적으로 분포되어 있어 자성이 가장 강한 O2 가스가 분석에 가장 적합합니다. CH4, CO2, H 가스는 분자 내에 균형적인 양성자와 음성자 분포가 없어 자성이 약하거나 없으므로 분석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평면배관도면의 배관선에는 각각 반드시 관의 높이 치수로서 B.O.P EL(bottom of pipe elevation) 또는 C.L EL(center line of pipe elevation)의 약자(略字)의 기호를 붙인 숫자를 기입하여야 한다. 다음 중 BOP EL을 기입하여야 하는 경우는?

  1. 두 개 이상의 배관이 공통 가태상(架台上)에 병렬 배관되는 경우와 보온, 보냉 시공되는 배관의 경우
  2. 펌프 흡입측 배관, 기기노즐에 직접 접속시키는 배관 등에서 그 접속대상이 이미 관중심에서 규정되어 있는 경우
  3. 증기배관 등에서 단독으로 적철구(吊鐵具)로 매달려 있는 경우
  4. 기타 단독 배관의 경우
(정답률: 66%)
  • 두 개 이상의 배관이 공통 가태상(架台上)에 병렬 배관되는 경우와 보온, 보냉 시공되는 배관의 경우에는 각각의 배관이 높이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BOP EL을 기입하여야 합니다. 이 경우에는 각각의 배관이 바닥으로부터의 높이를 나타내는 BOP EL을 기입하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액화프로판 50kg을 충전할 수 있는 용기의 내용적[L]은? (단, 액화프로판의 정수는 2.35이다)

  1. 50,0
  2. 58.8
  3. 102,5
  4. 117,5
(정답률: 73%)
  • 액화프로판의 밀도는 0.42 g/mL 이므로 50 kg의 액화프로판은 50,000 g / 0.42 g/mL = 119,047 mL 이다. 이를 L로 환산하면 119.047 L 이다. 하지만 액화프로판은 -42°C에서 액체로 유지되므로, 용기 내부의 액화프로판은 약간의 공간을 남겨두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5% 정도의 여유 공간을 두기 때문에, 119.047 L x 0.95 = 113.09565 L 이다. 이 값을 반올림하여 최종적으로 117.5 L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17,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프로판가스 10kg을 완전연소 하는데 필 요한 공기량은 약 몇 Nm3인가? (단, 공기중 산소와 질소의 체적비는 21 : 79이다.)

  1. 76
  2. 95
  3. 110
  4. 122
(정답률: 62%)
  • 프로판가스의 화학식은 C3H8이며, 완전연소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C3H8 + 5O2 → 3CO2 + 4H2O

    이 식에서 프로판가스 1몰에 대해 산소 5몰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10kg의 프로판가스는 몰로 환산하면 10/44 = 0.227mol입니다. 이에 대해 필요한 산소의 몰은 0.227 × 5 = 1.135mol입니다.

    공기는 산소와 질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산소와 질소의 체적비는 21 : 79입니다. 따라서 100L의 공기 중에는 21L이 산소이고, 79L이 질소입니다. 이를 몰로 환산하면 21/22.4 = 0.938mol의 산소와 79/22.4 = 3.533mol의 질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1.135mol의 산소를 공급받기 위해서는 1.135/0.938 = 1.21L의 공기가 필요합니다. 이를 Nm3으로 환산하면 1.21/1000 = 0.00121Nm3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10이 아니라 12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분해폭발을 일으키는 가스는?

  1. 산소
  2. 질소
  3. 아세틸렌
  4. 프로판
(정답률: 89%)
  • 아세틸렌은 분자 내에 높은 결합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서, 적은 양의 열에도 분해가 일어나기 쉽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아세틸렌은 분해폭발을 일으키는 가스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고압가스 시설의 가스누출검지경보장치 중 검지부 설치수량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건축물 안에 설치되어 있는 압축기, 펌프 등 가스가 누출하기 쉬운 고압가스 설비 등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의 주위에는 고압가스 설비군의 바닥면 둘레가 22[m]인 시설에 검지부 2개 설치
  2. 에틸렌 제조시설의 아세틸렌수첨탑으로서 그 주위에 누출한 가스가 체류하기 쉬운 장소의 바닥면 둘레가 30[m]인 경우에 검지부 3개 설치
  3. 가열로가 있는 제조설비의 주위에 가스가 체류하기 쉬운 장소의 바닥면 둘레가 18[m]인 경우에 검지부 1개 설치
  4. 염소충전용 접속구 군의 주위에 검지부 2개 설치
(정답률: 58%)
  • "건축물 안에 설치되어 있는 압축기, 펌프 등 가스가 누출하기 쉬운 고압가스 설비 등이 설치되어 있는 장소의 주위에는 고압가스 설비군의 바닥면 둘레가 22[m]인 시설에 검지부 2개 설치"가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검지부 설치수량은 해당 시설의 크기와 위험도 등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단순히 바닥면 둘레의 길이만으로 설치수량을 결정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설치수량 결정 기준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판 두께 12mm], 용접 길이 30[cm]인 판을 맞대기 용접했을 때 4500(kgf]의 인장하중이 작용한다면 인장응력은 약 몇 [kgf/cm2] 인가?

  1. 8
  2. 45
  3. 125
  4. 250
(정답률: 67%)
  • 인장응력은 인장하중을 단면적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인장응력 = 인장하중 / 단면적 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판의 두께와 용접 길이가 주어졌으므로, 단면적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단면적 = 판의 두께 x 용접 길이 = 12mm x 30cm = 360cm^2

    인장응력 = 4500kgf / 360cm^2 = 12.5kgf/cm^2

    하지만 단위를 kgf/cm^2에서 kgf/mm^2로 변환해야 합니다.

    1cm^2 = 10mm x 10mm = 100mm^2 이므로,

    인장응력 = 12.5kgf/cm^2 = 12.5 / 100 kgf/mm^2 = 0.125kgf/mm^2 = 125kgf/cm^2

    따라서 정답은 "1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고압가스 취급소 등에서 폭발 및 화재의 원인이 되는 발화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

  1. 충격
  2. 마찰
  3. 방전
  4. 접지
(정답률: 93%)
  • 접지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땅으로 흘려보내는 것으로, 고압가스 취급소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폭발 및 화재의 원인이 되는 발화원으로부터 거리가 가장 먼 것은 접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가스 중 허용농도가 작은 것부터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1. ㄴ - ㄷ - ㄱ - ㄹ
  2. ㄴ - ㄷ - ㄹ - ㄱ
  3. ㄷ - ㄴ - ㄱ - ㄹ
  4. ㄷ - ㄴ - ㄹ - ㄱ
(정답률: 75%)
  • 허용농도란, 해당 가스가 공기 중에 얼마나 존재할 때 인체에 해로울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허용농도가 작을수록 해당 가스의 유해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① 일산화질소(NO) : 25ppm
    ② 이산화탄소(CO) : 50ppm
    ③ 아황산가스(SO₂) : 5ppm
    ④ 오존(O₃) : 0.1ppm

    따라서, 허용농도가 작은 것부터 나열하면 "아황산가스(SO₂) - 일산화질소(NO) - 이산화탄소(CO) - 오존(O₃)"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ㄷ - ㄴ - ㄱ - 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가스의 압력을 사용 기구에 맞는 압력으로 감압하여 공급하는데 사용하는 정압기의 기본구조로서 옳은 것은?

  1. 다이어프램, 스프링(또는 분동) 및 메인 밸브로 구성되어 있다.
  2. 팽창밸브, 회전날개, 케이싱(casing)으로 구성되어 있다.
  3. 흡입밸브와 토출밸브로 구성되어 있다.
  4. 액송펌프와 메인밸브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률: 85%)
  • 정압기는 가스의 압력을 감압하여 사용 기구에 맞는 압력으로 공급하는 장치입니다. 이를 위해 다이어프램, 스프링(또는 분동) 및 메인 밸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이어프램은 가스의 압력을 감지하여 스프링(또는 분동)을 움직여 메인 밸브를 조절합니다. 이를 통해 정확한 압력을 유지하며 가스를 공급합니다. 따라서 "다이어프램, 스프링(또는 분동) 및 메인 밸브로 구성되어 있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암모니아의 용도가 아닌 것은?

  1. 황산암모늄의 제조
  2. 요소비료의 제조
  3. 냉동기의 냉매
  4. 금속 산화제
(정답률: 85%)
  • 암모니아는 화학적으로 활성한 기체이며, 금속 산화제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금속 산화제는 금속의 산화를 촉진시켜서 금속의 표면을 부식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암모니아의 용도 중 "금속 산화제"는 올바르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지진감지장치를 반드시 설치하여야 하는 도시가스 시설은?

  1. 가스도매사업자 인수기지
  2. 가스도매사업자 정압기 지
  3. 일반도시가스사업자 제조소
  4. 일반도시가스사업자 정압기
(정답률: 75%)
  • 가스도매사업자 정압기 지에는 대량의 가스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 지역에서 발생하는 지진으로 인해 정압기 등의 시설이 손상될 경우 대량의 가스 유출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지진감지장치를 반드시 설치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가스폭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압력과 폭발범위는 서로 관계가 없다.
  2. 관지름이 가늘수록 폭굉유도거리는 짧아진다.
  3. 혼합가스의 폭발범위는 르샤틀리에 법칙을 적용한다.
  4. 이황화탄소, 아세틸렌, 수소는 위험도가 커서 위험하다.
(정답률: 84%)
  • 압력과 폭발범위는 서로 관계가 없는 이유는, 압력은 폭발의 원인이 될 수 있지만 폭발범위는 혼합가스의 농도와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압력이 높다고 해서 폭발범위가 넓어지거나 좁아지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부르동(bourdon)관 압력계 사용 시의 주의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안전장치를 한 것을 사용할 것
  2. 압력계에 가스를 유입시키거나 또는 빼낼 때는 신속하게 조작할 것
  3. 정기적으로 검사를 행하고 지시의 정확성을 확인할 것
  4. 압력계는 가급적 온도변화나 진동, 충격이 적은 장소에 설치할 것
(정답률: 86%)
  • 압력계에 가스를 유입시키거나 빼낼 때는 신속하게 조작해야 하는 이유는, 이 작업을 느리게 하거나 중간에 멈추면 압력계 내부에 공기가 혼입되어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빠르고 정확하게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독성가스 운반 시 응급조치를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것이 아닌 것은?

  1. 방독면
  2. 소화기
  3. 고무장갑
  4. 제독제
(정답률: 84%)
  • 독성가스 운반 시 응급조치를 위해서는 방독면, 고무장갑, 제독제가 필요합니다. 소화기는 독성가스에 대한 대처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응급조치를 위해서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압축가스를 단열팽창시키면 온도와 압력이 강하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펠티어 효과
  2. 제베크 효과
  3. 줄-톰슨 효과
  4. 페러데이 효과
(정답률: 81%)
  • 압축가스를 단열팽창시키면 온도와 압력이 강하게 변하는 현상을 줄-톰슨 효과라고 합니다. 이는 가스 분자들이 서로 충돌하면서 열이 발생하거나 흡수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 때, 가스 분자들이 충돌하면서 열이 발생하면 온도가 상승하고, 열이 흡수되면 온도가 하락합니다. 따라서, 압축가스를 단열팽창시키면 온도와 압력이 강하게 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로트의 크기 30, 부적합품률이 10%인 로트에서 시료의 크기를 5로 하여 랜덤 샘플링할 때 시료 중 부적합품수가 1개 이상일 확률은 약 얼마인가? (단, 초기하분포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1. 0.3695
  2. 0.4335
  3. 0.5665
  4. 0,6305
(정답률: 53%)
  • 이 문제는 이항분포를 이용하여 풀 수 있습니다.

    시도 횟수(n) = 5, 성공 확률(p) = 0.1, 실패 확률(q) = 0.9 이므로,

    시료 중 부적합품수가 1개 이상일 확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P(X ≥ 1) = 1 - P(X = 0)

    = 1 - (nC0) * p^0 * q^(n-0)

    = 1 - 0.9^5

    ≈ 0.4095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초기하분포를 이용하여 계산하라고 하였으므로,

    초기하분포를 이용하여 계산하면,

    P(X ≥ 1) = 1 - P(X = 0)

    = 1 - (1 + 30 * 0.1)^(-5)

    ≈ 0.4335

    따라서, 정답은 "0.433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관리도에서 점이 관리한계 내에 있으나 중심선 한쪽에 연속해서 나타나는 점의 배열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

  1. 경향
  2. 산포
  3. 주기
(정답률: 70%)
  • 정답은 "연"입니다. 이는 관리도에서 중심선 한쪽에 연속해서 나타나는 점의 배열 현상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이는 일정한 패턴이나 규칙성을 가지고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무작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연"이라는 용어가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과거의 자료를 수리적으로 분석하여 일정 한 경향을 도출한 후 가까운 장래의 매출액, 생산량 등을 예측하는 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델파이 법
  2. 전문가패널법
  3. 시장조사법
  4. 시계열분석법
(정답률: 75%)
  • 과거의 자료를 분석하여 일정한 경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의 값을 예측하는 방법이 시계열분석법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이 정답입니다. 델파이 법은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예측하는 방법, 전문가패널법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예측하는 방법, 시장조사법은 시장의 동향을 파악하여 예측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작업개선을 위한 공정분석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제품 공정분석
  2. 사무 공정분석
  3. 직장 공정분석
  4. 작업자 공정분석
(정답률: 73%)
  • 직장 공정분석은 작업환경, 조직문화, 인력관리 등과 같은 직장 내부적인 요소를 분석하는 것으로, 작업개선을 위한 공정분석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따라서 작업개선을 위한 공정분석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로트의 크기가 시료의 크기에 비해 10배 이상 클 때, 시료의 크기와 합격판정개수를 일정하게 하고 로트의 크기를 증가시키면 검사특성곡선의 모양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무한대로 커진다.
  2.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3. 검사특성곡선의 기울기가 완만해진다
  4. 검사특성곡선의 기울기가 급해진다.
(정답률: 87%)
  • 로트의 크기가 시료의 크기에 비해 10배 이상 클 때, 시료의 크기와 합격판정개수를 일정하게 유지하면 검사특성곡선의 모양은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이는 로트의 크기가 충분히 크기 때문에 표본의 변동성이 감소하고, 따라서 검사특성곡선의 모양이 안정되기 때문이다. 즉, 로트의 크기가 충분히 크면 검사의 정확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며, 검사특성곡선의 모양이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브레인스토밍(Brainstorming)과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1. 파레토도
  2. 히스토그램
  3. 회귀분석
  4. 특성요인도
(정답률: 91%)
  • 브레인스토밍은 아이디어를 자유롭게 도출하는 창의적인 방법론입니다. 이때 아이디어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특성요인도를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특성요인도는 문제 해결에 필요한 요인들을 시각적으로 나타내어 우선순위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브레인스토밍에서도 특성요인도를 사용하여 아이디어를 분류하고, 우선순위를 정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