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3-11)

정보통신산업기사
(2012-03-1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전자회로

1. QPSK에서 반송파 간의 위상차는?

  1. π/2
  2. π
  3. 3π/2
(정답률: 86%)
  • QPSK에서는 2개의 비트를 1개의 심볼로 변조하기 때문에, 4개의 가능한 심볼이 존재합니다. 이 심볼들은 I축과 Q축에서 각각 90도씩 차이가 나는 위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반송파 간의 위상차는 π/2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진폭과 위상은 같고 주파수만 다른 방송파가 전송되는 방식은?

  1. QAM
  2. FSK
  3. ASK
  4. DPSK
(정답률: 74%)
  • 주파수 변조 방식 중 하나인 FSK는 진폭과 위상은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주파수만 변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주파수만 다른 방송파가 전송되는 상황에서 FSK가 적합한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BCD 부호를 10진수로, 2진수를 8진수나 16진수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회로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디코더
  2. 인코더
  3. 멀티플렉서
  4. 디멀티플렉서
(정답률: 82%)
  • 정답은 "디코더"이다.

    BCD 부호를 10진수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4비트의 BCD 코드를 각각의 자릿수에 해당하는 10진수로 변환해야 한다. 이를 위해 BCD 코드의 각 자릿수를 구분하여 디코딩하는 회로가 필요하다.

    또한, 2진수를 8진수나 16진수로 변환하기 위해서도 디코더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3비트의 2진수를 8진수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2진수의 각 자릿수를 구분하여 디코딩하는 회로가 필요하다.

    반면에 인코더는 입력된 정보를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회로이고, 멀티플렉서와 디멀티플렉서는 여러 개의 입력 신호 중에서 하나의 출력 신호를 선택하는 회로이다. 따라서 BCD 부호나 2진수를 변환하기 위해서는 디코더가 가장 적합한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LC 발진기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콜피츠 발진기
  2. 하틀리 발진기
  3. 클랩 발진기
  4. 위상천이 발진기
(정답률: 75%)
  • LC 발진기는 콜피츠 발진기, 하틀리 발진기, 클랩 발진기에 해당됩니다. 위상천이 발진기는 다른 발진기와는 달리 LC 회로가 아닌 위상천이 회로를 사용하기 때문에 LC 발진기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초크 코일과 콘덴서로 구성된 필터 회로에서 리플율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인덕턴스 L을 크게 한다.
  2. 캐피시턴스 C를 작게 한다.
  3. 주파수를 낮춘다.
  4. 부하저항 R을 작게 한다.
(정답률: 90%)
  • 초크 코일은 전류의 변화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고, 콘덴서는 전압의 변화를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필터 회로에서 리플율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전류나 전압의 변화를 최대한 막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인덕턴스 L을 크게 해야 합니다. 인덕턴스가 크면 전류의 변화를 막아주는 효과가 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덕턴스 L을 크게 한다."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10진수 128을 BCD(Binary Coded Decimal) 부호로 바르게 변환한 것은?

  1. 0001 0010 1000
  2. 0100 0010 1001
  3. 1000 0001 1000
  4. 0010 0100 0011
(정답률: 87%)
  • BCD는 10진수를 4비트씩 나누어 각각을 2진수로 변환하여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128을 4비트씩 나누면 0001 0010 1000이 됩니다. 이유는 1x10^2 + 2x10^1 + 8x10^0 = 128 이므로, 각 자리수를 4비트씩 나누어 2진수로 변환한 값이 0001 0010 100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60[Hz] 사인파가 단상 전파정류기의 입력에 공급된다. 출력주파수는 얼마인가?

  1. 240[Hz]
  2. 120[Hz]
  3. 60[Hz]
  4. 30[Hz]
(정답률: 84%)
  • 단상 전파정류기는 입력 주파수의 2배인 출력 주파수를 가진다. 따라서 60[Hz]의 입력 주파수에 대해 출력 주파수는 2배인 120[Hz]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0[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3개의 입력 A, B, C 중 2개 이상이 1일 때 출력 Y가 1이 되는 다수결 회로의 논리식으로 맞는 것은?

  1. Y = AB+BC+AC
  2. Y = A⊕B⊕C
  3. Y = ABC
  4. Y = A+B+C
(정답률: 85%)
  • 정답은 "Y = AB+BC+AC"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Y = A⊕B⊕C"는 XOR 게이트를 사용한 식으로, 1이 홀수개일 때 출력이 1이 되는 회로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2개 이상이 1일 때 출력이 1이 되어야 하므로 해당 식은 맞지 않는다.
    - "Y = ABC"는 AND 게이트를 사용한 식으로, 모든 입력이 1일 때 출력이 1이 되는 회로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2개 이상이 1일 때 출력이 1이 되어야 하므로 해당 식은 맞지 않는다.
    - "Y = A+B+C"는 OR 게이트를 사용한 식으로, 입력 중 하나 이상이 1일 때 출력이 1이 되는 회로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2개 이상이 1일 때 출력이 1이 되어야 하므로 해당 식은 맞지 않는다.

    따라서, "Y = AB+BC+AC"가 정답이다. 이 식은 두 개의 AND 게이트와 하나의 OR 게이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A, B, C 중 2개 이상이 1일 때 각각의 AND 게이트에서 1이 출력되어 OR 게이트로 전달되어 출력이 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RE에 흐르는 전류는 무엇인가?

  1. 직류성분만 흐르고 교류성분은 거의 흐르지 않는다.
  2. 교류성분만 흐르고 직류성분은 거의 흐르지 않는다.
  3. 직류성분과 교류성분의 합이 흐른다.
  4. 직류성분과 교류성분의 차가 흐른다.
(정답률: 70%)
  • RE에 흐르는 전류는 직류성분과 교류성분의 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러나 이 회로에서는 C와 L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 고주파 신호는 L을 통과하고 C를 우회하게 되어 교류성분이 거의 흐르지 않습니다. 따라서 RE에 흐르는 전류는 주로 직류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D 플립플롭을 이용하여 구성된 회로가 아닌 것은?

  1. 8비트 레지스터
  2. 4비트 쉬프트 레지스터
  3. 15진 카운터
  4. BCD 컨버터
(정답률: 78%)
  • BCD 컨버터는 D 플립플롭을 이용하여 구성된 회로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이다. BCD 컨버터는 4비트 이진수를 10진수 BCD 코드로 변환하는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적분기에 사용하는 콘덴서의 절연저항이 커야하는 이유로 맞는 것은?

  1. 연산의 정밀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2. 연산이 끝나면 전하가 방전하기 때문에
  3. 단락시켜도 잔류전압이 방전되지 않기 때문에
  4. 회로 동작이 복잡해지기 때문에
(정답률: 72%)
  • 적분기는 전기 신호를 적분하여 출력하는데, 이때 콘덴서의 절연저항이 낮으면 전하가 누설되어 연산의 정밀도가 저하됩니다. 따라서 적분기에 사용하는 콘덴서의 절연저항은 커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클리퍼 회로를 구성하는 부품이 아닌 것은?

  1. 저항
  2. 캐패시터
  3. 다이오드
  4. 직류전원
(정답률: 72%)
  • 클리퍼 회로는 입력 신호의 크기를 제한하는 회로로, 입력 신호가 일정 크기 이상이 되면 출력 신호가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도록 만들어진다. 이를 위해 입력 신호를 제한하는 부품으로는 저항과 다이오드가 사용되며, 직류전원은 회로를 구성하는 전원원으로 사용된다. 캐패시터는 입력 신호의 크기를 제한하는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에 클리퍼 회로를 구성하는 부품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식과 같이 주어지는 논리식을 불 대수를 적용하여 간략화한 것은?

  1. Z = D + EF
  2. Z = + D + EF
  3. Z = A +
  4. Z = A + D
(정답률: 7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이미터 전류를 1[mA] 변화시켰더니 컬렉터 전류의 변화는 0.96[mA]였다. 이 트랜지스터의 β는 얼마인가?

  1. 0.96
  2. 1.04
  3. 24
  4. 48
(정답률: 68%)
  • β = 컬렉터 전류(IC) / 베이스 전류(IB)

    베이스 전류는 이미터 전류의 변화와 같으므로 IB = 1[mA]

    IC의 변화는 0.96[mA] 이므로 IC = 1[mA] + 0.96[mA] = 1.96[mA]

    따라서, β = IC / IB = 1.96[mA] / 1[mA] = 24

    정답은 "2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최대효율을 얻기 위한 발진기의 동작 방식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A급
  2. AB급
  3. B급
  4. C급
(정답률: 89%)
  • C급은 가장 일반적인 발진기의 동작 방식으로, 고압 가스를 사용하여 작동한다. 이 방식은 비교적 간단하고 안정적이며,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최대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더 복잡하고 고급스러운 발진기가 필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전압 안정계수가 0.1인 정전압회로의 입력전압이 ±5[V] 변화할 때 출력 전압의 변화는?

  1. ±0.05[mA]
  2. ±0.5[mA]
  3. ±0.05[V]
  4. ±0.5[V]
(정답률: 67%)
  • 전압 안정계수가 0.1이므로 입력 전압의 10%에 해당하는 값만 출력 전압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입력 전압이 ±5[V] 변화할 때 출력 전압은 ±0.5[V]만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0.5[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NOR 게이트인 다음 그림의 논리회로 기호와 동일한 것은?

(정답률: 86%)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NOR 게이트의 출력은 입력 중 하나 이상이 0일 때만 1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입력이 모두 1일 때 출력이 0이 되는 ""와 ""은 NOR 게이트와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입력이 모두 0일 때 출력이 1이 되는 ""도 NOR 게이트와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멀티플렉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여러 개의 데이터 입력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 단에 연결하는 회로이다.
  2. 2n개의 입력선과 1개의 출력선이 존재한다.
  3. 8×1 MUX는 4개의 선택신호가 필요하다.
  4. 멀티플렉서는 데이터 선택기라고도 한다.
(정답률: 76%)
  • 8×1 MUX는 3개의 선택신호가 필요하다. 2n개의 입력선과 1개의 출력선이 존재하며, 여러 개의 데이터 입력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 단에 연결하는 회로이다. 멀티플렉서는 데이터 선택기라고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그 값이 작을수록 좋은 특성을 나타내는 것은 무엇인가?

  1. 정류기의 정류효율
  2. 동상신호 제거비
  3. 증폭기의 신호대 잡음비
  4. TR 바이어스 회로의 안정계수
(정답률: 70%)
  • 그 값이 작을수록 좋은 특성을 나타내는 것은 "TR 바이어스 회로의 안정계수"이다. 이는 회로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안정성이 높을수록 회로의 동작이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안정성이 높을수록 좋은 특성을 나타내며, 값이 작을수록 안정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위상고정루프(PLL) 회로의 응용 분야로서 틀린 것은?

  1. 주파수 합성기
  2. FM 복조 회로
  3. AM 복조 회로
  4. 고역 통과 필터
(정답률: 76%)
  • 위상고정루프(PLL) 회로는 주파수 합성기, FM 복조 회로, AM 복조 회로에 모두 응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역 통과 필터는 PLL 회로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회로입니다. 따라서 고역 통과 필터가 PLL 회로의 응용 분야로서는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정보통신기기

21. 다음 중 근거리 무선접속방식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단말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통상 전송거리는 10[cm]이내 이다.
  2. 주파수대역은 13.56[MHz]대 이다.
  3. 읽기만 가능하다.
  4. 지불 및 티켓팅 서비스가 가능하다.
(정답률: 78%)
  • 정답: "읽기만 가능하다."

    설명: NFC는 근거리 무선접속방식으로, 전송거리가 10cm 이내이며 주파수대역은 13.56MHz 대입니다. NFC 단말은 읽기와 쓰기가 가능하지만, 이 중에서 읽기만 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 NFC 단말은 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읽어오는 역할만 수행하며, 정보를 수정하거나 추가할 수 없습니다. NFC는 지불 및 티켓팅 서비스도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마이크로파의 전파특성이 아닌 것은?

  1. 전파특성이 안정하다.
  2. 전파손실이 작다.
  3. 협대역 특성이 있다.
  4. S/N 비의 개선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정답률: 70%)
  • 마이크로파의 전파특성 중에서 협대역 특성이 없다는 것은 잘못된 정보입니다. 마이크로파는 고주파이기 때문에 협대역 특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협대역 특성이 있다."가 아닌 다른 보기가 됩니다.

    "전파특성이 안정하다."는 마이크로파의 특성 중 하나로, 전파의 주파수가 변해도 전파의 성질이 크게 변하지 않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파손실이 작다."는 마이크로파의 특성 중 하나로, 공기나 유리 등의 일반적인 물질에서도 전파가 잘 통과하기 때문에 전파 손실이 적습니다.

    "S/N 비의 개선도를 크게 할 수 있다."는 마이크로파의 특성 중 하나로,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또한 높은 주파수에서는 더 낮은 잡음을 가지기 때문에 S/N 비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G3 FAX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디지털 전송방식을 사용한다.
  2. PM 또는 FM 변조방식을 사용한다.
  3. 전송제어절차는 권고 T.30에 규정되어 있다.
  4. 전송시 MH 또는 MR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압축 전송한다.
(정답률: 72%)
  • 정답: "전송시 MH 또는 MR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압축 전송한다."

    G3 FAX는 디지털 전송방식을 사용하며, 전송제어절차는 권고 T.30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PM 또는 FM 변조방식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대신, G3 FAX는 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변조합니다. 이 방식은 두 개의 캐리어 신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며, 이를 통해 높은 전송 속도와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지상파 방송 대역 위성방송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잘못된 것은?

  1. TV 방송의 난시청 지역을 해소할 수 있다.
  2. 고주파 사용으로 고스트(Ghost)가 없는 고품질 방송이 가능하다.
  3. 중계기가 천재지변에 영향을 받지 않아 재난방송망 확보가 용이하다.
  4. 특정지역만 한정하여 방송이 가능하므로 인접 국가로의 전파 월경이 발생하지 않는다.
(정답률: 81%)
  • "특정지역만 한정하여 방송이 가능하므로 인접 국가로의 전파 월경이 발생하지 않는다."가 잘못된 것이다. 위성방송은 지구 상의 어느 곳에서나 수신이 가능하므로 인접 국가로의 전파 월경이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유선기반의 홈네트워크 기술이 아닌 것은?

  1. Home PNA
  2. PLC(Power Line Communication)
  3. Ethernet
  4. Bluetooth
(정답률: 89%)
  • Bluetooth는 무선 기반 기술이므로 유선기반의 홈네트워크 기술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정지 및 이동 중에도 고속으로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휴대 인터넷 서비스는?

  1. WiBro
  2. WCDMA
  3. VoIP
  4. RFID
(정답률: 87%)
  • WiBro는 이동 중에도 고속으로 무선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휴대 인터넷 서비스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WiBro와는 다른 기술이나 서비스를 나타내므로 정답은 WiBro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샤논의 통신용량 공식에서 통신용량과 대역폭은 몇 배 비례하는가?

  1. 1배
  2. 1.5배
  3. 2배
  4. 3배
(정답률: 85%)
  • 샤논의 통신용량 공식에서 통신용량과 대역폭은 1배 비례한다. 이는 공식에서 대역폭이 증가하면 통신용량도 증가하기 때문이다. 즉, 대역폭이 2배가 되면 통신용량도 2배가 되고, 대역폭이 3배가 되면 통신용량도 3배가 된다. 따라서, 통신용량과 대역폭은 1배 비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통신 제어 장치(CCU)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송ㆍ수신 제어
  2. 전송 에러 제어
  3. 시분할 다중 제어
  4. 입ㆍ출력 제어
(정답률: 63%)
  • 통신 제어 장치(CCU)의 기능 중에서 "입ㆍ출력 제어"는 옳지 않은 것입니다. CCU는 송수신 제어, 전송 에러 제어, 시분할 다중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입출력 제어는 다른 장치들이 수행하는 역할입니다. 입출력 제어는 주변 장치와의 데이터 교환을 관리하고,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인터럽트를 처리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CCU는 입출력 제어를 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CATV의 센터설비에서 헤드엔드의 주요 기능과 거리가 먼 것은?

  1. 프로그램의 검색 및 편집
  2. 변조
  3. TV 신호처리
  4. Pilot 신호발생
(정답률: 81%)
  • 헤드엔드는 CATV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장비 중 하나로, TV 신호를 처리하고 변조하여 케이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합니다. 이 중에서 "프로그램의 검색 및 편집"은 헤드엔드에서 처리되는 주요 기능 중 하나입니다. 이 기능은 CATV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검색하고, 필요한 부분을 편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기능은 사용자가 CATV 시스템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변조", "TV 신호처리", "Pilot 신호발생"은 모두 TV 신호를 처리하고 전송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기능이지만, "프로그램의 검색 및 편집"과는 거리가 먼 기능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정보 단말기의 기능 중 통신 장비 간의 약속된 부호를 송수신하여 에러 검출 및 정정하는 기능은?

  1. 입ㆍ출력 제어 기능
  2. 다중화 제어 기능
  3. 송ㆍ수신 제어 기능
  4. 에러 제어 기능
(정답률: 72%)
  • 에러 제어 기능은 통신 장비 간의 약속된 부호를 송수신하여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한 에러를 검출하고 정정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데이터 전송의 에러를 검출하고 정정하는 기능을 담당하므로, 정답은 "에러 제어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멀티미디어 단말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처리장치
  2. 저장장치
  3. 미디어 입출력장치
  4. 신호 변환장치
(정답률: 80%)
  • 신호 변환장치는 멀티미디어 단말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이는 다른 디지털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 디지털 신호를 다른 형태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멀티미디어 단말의 구성 요소는 처리장치, 저장장치, 미디어 입출력장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처리장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저장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미디어 입출력장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입력하고 출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의 도파기 길이가 15[cm]라 한다면 이 안테나의 고유주파수는 얼마인가?

  1. 0.5[GHz]
  2. 1[GHz]
  3. 2[GHz]
  4. 3[GHz]
(정답률: 71%)
  • 반파장 안테나의 길이는 공기 중 전파의 속도와 고유주파수에 비례하므로, 고유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고유주파수 = 전파의 속도 / (2 x 안테나 길이)

    전파의 속도는 약 3 x 10^8 [m/s]이므로, 15[cm]를 미터 단위로 변환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고유주파수 = 3 x 10^8 / (2 x 0.15) = 1 x 10^9 [Hz] = 1[GHz]

    따라서, 정답은 "1[G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화상정보를 특정 목적으로 특정의 수신자에게 전달하여 보안, 감시 등 분야에 응용하는 화상정보 시스템은?

  1. CCTV
  2. CATV
  3. HDTV
  4. DTV
(정답률: 92%)
  • CCTV는 Closed Circuit Television의 약자로, 비디오 카메라와 모니터 등을 이용하여 특정 목적으로 특정 수신자에게 화상정보를 전달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보안, 감시 등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며, 전송되는 화상정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보안성이 높은 시스템으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CCTV가 특정 목적으로 특정 수신자에게 화상정보를 전달하여 보안, 감시 등 분야에 응용하는 화상정보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하나의 전송로에 여러 개의 신호를 중복시켜 하나의 고속 신호를 만들어 전송하는 장비는?

  1. 집중화기
  2. 다중화기
  3. 모뎀 공유 장치
  4. 라우터
(정답률: 67%)
  • 다중화기는 하나의 전송로에 여러 개의 신호를 중복시켜 하나의 고속 신호를 만들어 전송하는 장비이다. 따라서 다중화기가 정답이다. 집중화기는 여러 개의 신호를 하나로 집중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모뎀 공유 장치는 여러 대의 모뎀을 공유하여 사용하는 장치이며, 라우터는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는 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이동통신망에서 중계기(Repeater)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무엇인가?

  1. 셀간 핸드오버를 신속하게 한다.
  2. 셀 서비스 커버리지 내부의 전파 음영 지역을 해소시킨다.
  3. 다른 기지국으로 통화 채널을 중계해 준다.
  4. 동일 셀 내부에서 섹터간에 핸드오버를 지원한다.
(정답률: 55%)
  • 중계기는 전파가 약해지거나 사라지는 전파 음영 지역을 해소시켜 셀 서비스 커버리지를 확장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더 넓은 지역에서 안정적인 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셀 서비스 커버리지 내부의 전파 음영 지역을 해소시킨다."가 가장 중요한 역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스퓨리어스 발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대역외 발사
  2. 고조파 발사
  3. 기생발사
  4. 상호변조에 의한 발사
(정답률: 51%)
  • 정답은 "대역외 발사"입니다.

    "대역외 발사"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용어이며, 스퓨리어스 발상에 해당합니다.

    "고조파 발사"는 라디오나 TV에서 소리와 영상을 전송할 때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로, 원래의 신호에 고조파를 추가하여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기생발사"는 다른 사람의 무선 주파수를 불법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상호변조에 의한 발사"는 무선 주파수를 다른 주파수로 변조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일부 무선 통신 장비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DSU(Digital Service Unit)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LAN 또는 WAN상에서 디지털 전용회선 연결에 사용된다.
  2. 단말기가 디지털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필요하다.
  3. 정확한 동기 유지를 위한 Clock 추출회로가 있다.
  4. 음성급 전용망에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등화기와 AGC가 필요하다.
(정답률: 78%)
  • 음성급 전용망에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등화기와 AGC가 필요하다는 것은 DSU의 특징이 아니라 디지털 신호 전송에 필요한 기술적인 요소이다. DSU는 LAN 또는 WAN상에서 디지털 전용회선 연결에 사용되며, 단말기가 디지털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필요하며, 정확한 동기 유지를 위한 Clock 추출회로가 있다는 것이 DSU의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집중화기(concentrator)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집중화기 입력 회선의 수(M)는 출력 회선의 수(N)보다 작거나 같다.(M≤N)
  2. 단일 회선 제어기(SLC)는 집중화기가 각각의 데이터 통신 회선과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감시 신호를 공급한다.
  3. 다중 선로 제어기(MLC)는 집중화기와 터미널을 링크한다.
  4. 원격 네트워크 처리장비(RNP)는 원격 일괄처리 기능과 집중화기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정답률: 78%)
  • "다중 선로 제어기(MLC)는 집중화기와 터미널을 링크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일반적으로 집중화기 입력 회선의 수(M)는 출력 회선의 수(N)보다 작거나 같은 이유는, 집중화기는 여러 개의 입력 회선에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하나의 출력 회선으로 전송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입력 회선의 수가 출력 회선의 수보다 많아지면 데이터 전송이 병목 현상을 일으키게 됩니다.

    단일 회선 제어기(SLC)는 집중화기가 각각의 데이터 통신 회선과 접속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 감시 신호를 공급하며, 다중 선로 제어기(MLC)는 여러 개의 터미널과 집중화기를 연결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합니다.

    원격 네트워크 처리장비(RNP)는 원격지에서 일괄처리 기능과 집중화기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전송 제어 장치(TCU)에서 회선 접속부를 통해 들어온 데이터를 직렬과 병렬 신호로 변환하는 것은?

  1. 신호 변환부
  2. 직ㆍ병렬 신호부
  3. 회선 제어부
  4. 입ㆍ출력 장치부
(정답률: 60%)
  • 회선 접속부에서 들어온 데이터는 직렬 신호로 전송되는데, 이를 TCU에서 처리하기 위해서는 직렬 신호를 병렬 신호로 변환해야 합니다. 이러한 변환 작업은 회선 제어부에서 수행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회선 제어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두 개의 랜을 연결하여 확장된 랜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며 ISO 7 layer의 2계층에서 이용되는 장비는?

  1. 허브
  2. 리피터
  3. 라우터
  4. 브리지
(정답률: 85%)
  • 브리지는 두 개의 랜을 연결하여 확장된 랜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며, 이를 위해 MAC 주소를 이용하여 패킷을 필터링하고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ISO 7 layer의 2계층에서 이용되는 장비입니다. 반면, 허브는 단순히 신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하고, 리피터는 신호를 증폭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라우터는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역할을 하며, 브리지와는 다른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브리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정보전송개론

41. 전송모드(Mode)에 따라 분류되는 전송매체는 어느 것인가?

  1.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2. 동축 케이블
  3. 광 섬유
  4. 마이크로파 통신
(정답률: 71%)
  • 전송모드에 따라 분류되는 전송매체는 단일모드와 다중모드로 나뉩니다. 단일모드는 광섬유이며, 다중모드는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 동축 케이블, 마이크로파 통신 등이 포함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광 섬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광통신에서 사용되는 발광소자는?

  1. VD(Varactor Diode)
  2. PIN 다이오드
  3. APD(Avalanche Photo Diode)
  4. LD(Laser Diode)
(정답률: 86%)
  • 광통신에서는 빛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이를 위해 발광소자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LD(Laser Diode)는 레이저를 발생시켜 광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LD는 광통신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발광소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OSI 7계층에서 하위 3계층에서 발생한 데이터 분실 등의 오류를 회복시키는 계층은?

  1. 네트워크 계층
  2. 트랜스포트 계층
  3. 세션 계층
  4. 데이터링크 계층
(정답률: 74%)
  • 트랜스포트 계층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고 복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하위 3계층에서 발생한 데이터 분실 등의 오류를 회복시키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네트워크 계층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로를 결정하고, 데이터링크 계층은 물리적인 데이터 전송을 담당합니다. 세션 계층은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공통선 신호방식(Common Channel Signaling)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통화채널과 분리된 별도의 신호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된다.
  2. 축적 프로그램 제어 방식에 의해 신속한 상호 전달 능력과 망의 상태 관리나 보수 과금 정보 전송도 수행할 수 있다.
  3. 신호망의 일부 손상이 통신망의 마비를 초래할 수 있다.
  4. 신호전송의 전기적 조건에 따라서 직류방식, In-Band 방식 등으로 나눈다.
(정답률: 71%)
  • 정답은 "신호망의 일부 손상이 통신망의 마비를 초래할 수 있다."입니다.

    공통선 신호방식은 통화채널과 분리된 별도의 신호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며, 축적 프로그램 제어 방식에 의해 신속한 상호 전달 능력과 망의 상태 관리나 보수 과금 정보 전송도 수행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신호전송의 전기적 조건에 따라서 직류방식, In-Band 방식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통선 신호방식은 신호망의 일부 손상이 통신망의 마비를 초래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는 공통선 신호방식이 하나의 신호채널을 여러 회선이 공유하기 때문에, 한 회선의 손상이 다른 회선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통신 프로토콜의 기능 중 메시지에 주소, 오류 검출 코드 등 데이터 제어 정보를 추가하는 과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Encapsulation
  2. Reassembly
  3. Fragmentation
  4. Error Control
(정답률: 76%)
  • Encapsulation은 데이터 제어 정보를 추가하여 메시지를 만드는 과정을 말한다. 다른 보기들은 데이터를 나누거나 오류를 검출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Encapsulation은 데이터 제어 정보를 추가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따라서 정답은 "Encapsulatio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비트 전송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수신측이 비트 동기를 유지하도록 송신측은 시작 플래그 이전에 휴지(idle) 바이트(01111111)를 계속 전송한다.
  2. 비트블록(프레임)의 처음과 끝을 나타내는 플래그(01111110)를 덧붙여 전송한다.
  3. 플래그와 같은 비트패턴이 프레임의 중간에 나타난다면 수신측에서는 이를 플래그로 인식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4. 프레임 동기를 맞추기 위해 STX-ETX 문자를 사용한다.
(정답률: 71%)
  • 정답은 "프레임 동기를 맞추기 위해 STX-ETX 문자를 사용한다." 이다. 이유는 비트 전송방식에서는 STX-ETX 문자 대신에 시작 플래그와 끝 플래그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STX-ETX 문자는 문자 전송방식에서 사용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 수용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서비스 지역을 작게 나눈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MTSO
  2. 기지국
  3. 중계 사이트
(정답률: 82%)
  • 정답은 "셀"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 수용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서비스 지역을 작게 나누어야 한다. 이때, 작게 나누어진 지역을 "셀"이라고 부른다. 각 셀은 기지국에 의해 커버되며, 이 기지국은 MTSO(모바일 통신 교환소)와 연결되어 중계 사이트로 신호를 전달한다. 따라서, "셀"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 수용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정재파 전압의 최소값이 20[V], 최대값이 40[V]인 선로에서 반사계수는 얼마인가?

  1. 1/2
  2. 1/3
  3. 1/4
  4. 1/5
(정답률: 68%)
  • 반사계수는 (Vmax - Vmin) / (Vmax + Vmin) 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반사계수는 (40 - 20) / (40 + 20) = 1/3 이다. 이유는 전압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가 20이고, 최대값과 최소값의 합이 60이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반사계수를 계산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공동 이용기(Sharing Unit)의 도입시 고려할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네트워크 환경
  2. 자동 응답기
  3. 접속 가능한 모뎀
  4. 동시 접속 단말기 수
(정답률: 81%)
  • 공동 이용기(Sharing Unit)의 도입시 고려할 요소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네트워크 환경"이 아닌, "자동 응답기"입니다. 이는 공동 이용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동시에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응답하는 기능을 가진 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요소들인 접속 가능한 모뎀과 동시 접속 단말기 수는 공동 이용기를 설치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소이지만, 자동 응답기는 이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그림과 같은 아날로그 변조방식은?

  1. PM
  2. AM
  3. FM
  4. PCM
(정답률: 66%)
  • 이 그림은 진폭 변조(AM, Amplitude Modulation) 방식을 나타낸다. AM은 원래 음성 신호를 변조 신호의 진폭으로 변화시켜 전송하는 방식으로, 변조 신호의 진폭이 변화함에 따라 전송되는 신호의 진폭도 변화한다. 따라서 AM 방식은 변조 신호의 진폭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음성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16위상 변조방식을 사용하는 변복조기에서 단위 펄스의 시간간격이 T = 8×10-4일 때, 데이터 전송속도와 변조속도는 각각 얼마인가?

  1. 2,500[bps], 1,250[baud]
  2. 5,000[bps], 1,250[baud]
  3. 2,500[bps], 2,500[baud]
  4. 5,000[bps], 2,500[baud]
(정답률: 79%)
  • 단위 펄스의 시간간격 T = 8×10-4이므로, 변조주파수는 1/T = 1250Hz이다. 따라서 변조속도는 1250[baud]이다. 데이터 전송속도는 한 번의 변조에 2개의 비트를 전송하므로, 2 × 1250 = 2500[bps]이다. 따라서 정답은 "5,000[bps], 1,250[bau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디지털 통신망을 구성하는 디지털 교환기 사이에 클럭주파수의 차이가 생기면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슬립(Slip)
  2. 폴링(Polling)
  3. 피기백(Piggyback)
  4. 인터리빙(Interleaving)
(정답률: 77%)
  • 클럭주파수의 차이로 인해 수신측에서는 송신측의 데이터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고, 일부 데이터가 누락되는 현상을 슬립(Slip)이라고 한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통신망에서는 클럭 신호를 동기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계층간 통신에서 N+1 계층에 의해 N 계층과 계속해서 N-1 계층으로 투명하게 전달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현하는 것은 무엇인가?

  1. PDU
  2. SDU
  3. IDU
  4. PCI
(정답률: 46%)
  • SDU는 "Service Data Unit"의 약자로, 서비스 데이터 단위를 의미합니다. 계층간 통신에서 N+1 계층에서 생성된 사용자 데이터는 SDU로 표현되며, 이는 N 계층과 계속해서 N-1 계층으로 투명하게 전달됩니다. 즉, SDU는 상위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기 위한 단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대역 내 통신 신호와의 간섭이 없다는 이점이 있으나 다중전송방식의 주파수 이용효율이 낮고 다중분리 필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는 통화로 신호방식은?

  1. 직류방식
  2. In-band 방식
  3. Out-of-band 방식
  4. 혼합방식
(정답률: 61%)
  • Out-of-band 방식은 대역 외부에서 통신을 하는 방식으로, 대역 내 다른 신호와의 간섭이 없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다중전송방식의 주파수 이용효율이 낮고 다중분리 필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만을 변화시키는 변조방식은?

  1. PSK
  2. ASK
  3. FSK
  4. QAM
(정답률: 66%)
  •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만을 변화시키는 변조방식은 ASK(Amplitude Shift Keying)이다. ASK는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 중 하나로, 0과 1의 이진 신호를 각각 다른 진폭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이 때, 0은 반송파의 진폭이 0이 되도록 하고, 1은 반송파의 진폭이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만을 변화시키는 ASK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각 펄스에 대한 직류성분을 제거시키고 동기유지와 전송대역폭을 줄이는 방법으로 바이폴라(Bipolar) 방식과 맨체스터(Manchester) 방식을 결합한 것은?

  1. 차동(Differential)부호 방식
  2. 다이코드(Dicode) 방식
  3. CMI 방식
  4. HDB3 방식
(정답률: 73%)
  • CMI 방식은 바이폴라 방식과 맨체스터 방식을 결합한 것으로, 각 펄스에 대한 직류성분을 제거하고 동기유지와 전송대역폭을 줄이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차동 부호 방식과 달리 신호의 크기가 일정하므로 신호의 안정성이 높아지고, HDB3 방식과 달리 신호의 변환 규칙이 간단하여 구현이 용이합니다. 따라서 CMI 방식이 선택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비트 동기를 유지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클럭 인코딩과 추출
  2. DPLL(Digital Phase-Locked-Loop)
  3. 하이브리드 방식
  4. 어드레스(Address) 교환
(정답률: 76%)
  • 어드레스(Address) 교환은 비트 동기를 유지하는 방법이 아니라 데이터 전송 시에 주소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클럭 인코딩과 추출, DPLL, 하이브리드 방식은 모두 비트 동기를 유지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ARQ 방식 중에서 연속적으로 데이터를 보내고 오류가 발생하여 수신측에서 NAK을 전송하면 송신측은 오류가 발생한 데이터 프레임부터 재전송하는 방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1. Adaptive ARQ
  2. Selective ARQ
  3. Stop-and-Wait ARQ
  4. Go-Back-N ARQ
(정답률: 68%)
  • Go-Back-N ARQ은 수신측에서 NAK을 전송하면 송신측이 오류가 발생한 데이터 프레임부터 재전송하는 방식이다. 다른 ARQ 방식들은 NAK을 받은 데이터 프레임만 재전송하는 방식이거나, ACK를 받은 다음에 다음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Go-Back-N ARQ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비동기식 전송 방식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송신측과 수신측이 항상 동기를 유지한다.
  2. 문자나 비트를 Start-Stop 비트없이 전송한다.
  3. 정보 전송형태는 블록 단위로 이루어진다.
  4. 전송되는 각 문자 사이에 휴지기간(Idle Time)이 있다.
(정답률: 70%)
  • 비동기식 전송 방식은 문자를 하나씩 전송하며, 전송되는 각 문자 사이에는 휴지기간(Idle Time)이 있습니다. 이는 송신측과 수신측이 항상 동기를 유지하지 않고, 문자를 전송할 때마다 일정 시간의 휴지기간을 두기 때문입니다. Start-Stop 비트를 사용하지 않고 문자나 비트를 전송하며, 정보 전송형태는 블록 단위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동일한 송신 안테나에서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주파수를 송신하고 주파수에 따른 감쇄 정도가 다른 특성을 이용하여 수신 안테나에서 두 신호를 합성하는 다이버시티 방식은?

  1. 공간 다이버시티
  2. 주파수 다이버시티
  3. 편파 다이버시티
  4. 각도 다이버시티
(정답률: 82%)
  • 주파수 다이버시티는 동일한 송신 안테나에서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주파수를 송신하고 주파수에 따른 감쇄 정도가 다른 특성을 이용하여 수신 안테나에서 두 신호를 합성하는 다이버시티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주파수 간 간섭이나 다른 잡음에 의한 감쇄를 극복할 수 있어서 통신 신호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산기일반 및 정보설비기준

61. 다음 중 Deadlock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점유와 대기(Hold and wait)
  2. 순환 대기(Circular wait)
  3. 상호 배제(Mutual exclusion)
  4. 선점(Preemption)
(정답률: 74%)
  • 선점(Preemption)은 Deadlock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아니라는 것은, 다른 세 가지 요소(점유와 대기, 순환 대기, 상호 배제)가 모두 충족되어야 Deadlock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선점(Preemption)은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가 CPU를 선점하여 다른 프로세스가 대기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가 먼저 처리되어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선점(Preemption)은 Deadlock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운영체제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컴퓨터 하드웨어에 대한 자원을 관리하는 소프트웨어이다.
  2. 응용 프로그램과 하드웨어 자원에 대한 연계 역할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이다.
  3. 컴퓨터에서 항상 수행되고 있으며, 운영체제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커널(kernel)이다.
  4. 사용자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경우 쉽게 접근하여 운영체제의 프로그램을 변경할 수 있다.
(정답률: 79%)
  • "사용자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경우 쉽게 접근하여 운영체제의 프로그램을 변경할 수 있다."는 올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운영체제는 보안상의 이유로 사용자가 쉽게 접근하여 변경할 수 없습니다.

    운영체제는 컴퓨터 하드웨어에 대한 자원을 관리하고, 응용 프로그램과 하드웨어 자원에 대한 연계 역할을 수행하며, 컴퓨터에서 항상 수행되고 있으며, 운영체제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커널(kerne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에 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프로세서나 복잡한 컴퓨터들이 노드를 이루면서 동작하는 시스템
  2. 복합적이면서도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동작하는 시스템
  3. 병렬적이면서 동기적인 컴퓨터 시스템에서 동시에 여러 개의 태스크(task)를 수행하는 시스템
  4. 플린(Flynn)의 MIMD 구조로 둘 이상의 프로세서를 가진 시스템
(정답률: 67%)
  •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은 플린(Flynn)의 MIMD 구조로 둘 이상의 프로세서를 가진 시스템입니다. 이는 동시에 여러 개의 태스크(task)를 수행할 수 있는 병렬적이면서 동기적인 컴퓨터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입출력 포트의 종류 중 병렬 포트(Parallel Port)가 아닌 것은?

  1. USB
  2. FDD
  3. HDD
  4. CD-ROM
(정답률: 83%)
  • USB는 병렬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병렬 포트와는 달리 직렬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리얼 포트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USB는 병렬 포트가 아닌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정보의 단위가 작은 것에서 큰 순으로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1. Bit < Nibble < Byte < Word
  2. Bit < Byte < Nibble < Word
  3. Nibble < Bit < Word < Byte
  4. Nibble < Bit < Byte < Word
(정답률: 66%)
  • 정답은 "Bit < Nibble < Byte < Word"이다.

    - Bit: 컴퓨터에서 가장 작은 정보의 단위로, 0 또는 1의 값을 가진다.
    - Nibble: 4개의 비트로 이루어진 정보의 단위로, 16가지의 값을 가질 수 있다.
    - Byte: 8개의 비트로 이루어진 정보의 단위로, 256가지의 값을 가질 수 있다.
    - Word: 컴퓨터 아키텍처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2바이트 또는 4바이트로 이루어진 정보의 단위로, 여러 바이트를 묶어서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Bit가 가장 작고 Word가 가장 큰 정보의 단위이며, Nibble과 Byte는 그 사이에 위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과 같은 운영체제의 운용 기법은?

  1. 단일 사용자 시스템
  2. 실시간 처리 시스템
  3. 분산처리 시스템
  4. 시분할 시스템
(정답률: 84%)
  • 위 그림은 실시간 처리 시스템의 예시로, 여러 개의 작업이 동시에 처리되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작업이 발생하는 즉시 즉각적으로 처리해야 하므로 실시간 처리 시스템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인터럽트의 처리과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터럽트 처리루틴의 시작번지에 점프하여 루틴을 수행한다.
  2. 레지스터 내용을 스택에서 Pop한다.
  3. 중단했던 점의 이전 명령부터 처리해 간다.
  4. 프로그램 카운터의 내용을 스택에 Push한다.
(정답률: 61%)
  • "중단했던 점의 이전 명령부터 처리해 간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를 중단하고 인터럽트 처리루틴의 시작번지로 점프한다. 그리고 레지스터 내용을 스택에 저장하고, 프로그램 카운터의 내용을 스택에 Push한다. 그리고 인터럽트 처리루틴을 수행하며, 처리가 끝나면 스택에서 프로그램 카운터의 내용을 Pop하여 이전에 실행하던 명령어 다음부터 실행을 계속한다. 따라서 "중단했던 점의 이전 명령부터 처리해 간다."는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주변 장치들을 제어하거나 주변 장치의 상태를 읽기 위해 할당된 특수 목적 레지스터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누산기
  2. PC
  3. DR
  4. SFR
(정답률: 66%)
  • SFR은 Special Function Register의 약자로,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주변 장치들을 제어하거나 주변 장치의 상태를 읽기 위해 할당된 특수 목적 레지스터를 의미합니다. 다른 보기들인 누산기, PC, DR은 모두 마이크로컨트롤러의 다른 기능들을 수행하는 레지스터들이지만, SFR은 주변 장치들과의 상호작용을 위한 특수 목적 레지스터로서, 다른 레지스터들과는 목적과 기능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인 메모리 사이의 속도 차이로 인한 성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조는 무엇인가?

  1. USB 2.0
  2. Boot loader
  3. Cache
  4. DMA
(정답률: 74%)
  • Cache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인 메모리 사이의 속도 차이를 줄이기 위해 사용되는 구조입니다. Cache는 CPU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미리 저장해두어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CPU는 메인 메모리에 접근하는 횟수를 줄이고, 더 빠른 속도로 작업을 처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

  1. ㉠ 컴파일러, ㉡ 어셈블러
  2. ㉠ 링커, ㉡ 컴파일러
  3. ㉠ 컴파일러, ㉡ 링커
  4. ㉠ 링커, ㉡ 어셈블러
(정답률: 82%)
  • 주어진 그림은 소스 코드를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만드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1. 소스 코드는 컴파일러를 통해 어셈블리 코드로 변환됩니다.
    2. 어셈블리 코드는 어셈블러를 통해 오브젝트 코드로 변환됩니다.
    3. 오브젝트 코드는 링커를 통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만들어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 컴파일러, ㉡ 링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방송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정에서 정의하는 “국선”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사업자의 교환설비로부터 이용자방송통신설비의 최초단자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구성되는 회선을 말한다.
  2. 사업자의 교환설비로부터 이용자방송통신설비의 최종단자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구성되는 회선을 말한다.
  3. 방송제공자의 교환설비로부터 사업자방송통신설비의 최초단자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구성되는 회선을 말한다.
  4. 방송제공자의 교환설비로부터 사업자방송통신설비의 최종단자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구성되는 회선을 말한다.
(정답률: 70%)
  • 정답은 "사업자의 교환설비로부터 이용자방송통신설비의 최초단자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구성되는 회선을 말한다."이다. 이는 방송통신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기기와 사업자의 교환설비를 연결하는 회선을 의미한다. 이 회선은 이용자와 사업자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이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적 요건이 규정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설비의 설치ㆍ보전을 위해 토지의 일시 사용할 수 있는 기간에 관한 규정으로 맞는 것은?

  1. 6개월을 초과할 수 없다.
  2. 1년을 초과할 수 없다.
  3. 1년6개월을 초과할 수 없다.
  4. 2년을 초과할 수 없다.
(정답률: 77%)
  •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설비를 설치하고 보전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토지는 소유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 기간을 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기간은 너무 짧으면 설치 및 보전에 어려움이 있고, 너무 길면 소유자의 권리를 침해할 우려가 있으므로 적절한 기간을 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기간통신사업자가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토지의 기간은 6개월을 초과할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업법령에 의한 정보통신공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아파트의 방송공송수신설비공사
  2. 물류 창고의 방범을 위한 CCTV설비 설치공사
  3. 우체국의 수전설비 설치공사
  4. 구청의 화상회의시스템 설비공사
(정답률: 84%)
  • 우체국은 정보통신공사업법령에 의한 정보통신공사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우체국이 정보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체국의 수전설비 설치공사"가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구내통신선로설비의 회선을 충분히 확보하여야 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구내로 인입되는 국선의 수용
  2. 구내회선의 구성
  3. 단말장치간의 상호연동
  4. 단말장치 등의 증설
(정답률: 57%)
  • 구내통신선로설비의 회선을 충분히 확보하여야 하는 사항 중에서 "단말장치간의 상호연동"은 아닙니다. 이는 구내통신선로설비의 회선을 확보하는 것과는 별개의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단말장치간의 상호연동은 단말장치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프로토콜과 인터페이스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는 구내통신선로설비의 회선을 확보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정보통신공사업을 경영하려는 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ㆍ도시자에게 등록하여야 한다. 다음 중 공사업의 등록기준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자산 평가액
  2. 기술능력
  3. 자본금
  4. 공사실적
(정답률: 63%)
  • 공사실적은 공사업의 등록기준 중 하나이지만, 이유는 다른 세 가지 기준(자산 평가액, 기술능력, 자본금)과는 달리 과거의 성과나 경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현재의 기술능력과 자본금 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사업의 등록기준 중에서는 가장 다양한 평가 요소를 고려하는 기준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설비에 장해를 주거나 줄 우려가 있는 장해물 등에 대해 소유자나 점유자에게 제거를 요구할 수 있게 되는데, 소유자나 점유자가 요구에 따르지 않거나 기타 부득이한 사유가 있어 기간통신사업자가 직접 제거할 수 있는 장해물은?

  1. 하수도관
  2. 가스관
  3. 가로수
  4. 전력선
(정답률: 80%)
  •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설비에 장해를 주거나 줄 우려가 있는 장해물 등에 대해 소유자나 점유자에게 제거를 요구할 수 있는 것은 전기통신설비의 안전한 운영을 위한 조치입니다. 그러나 가로수는 도시의 녹색지대를 형성하고 생태계를 유지하는 등의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기간통신사업자가 직접 제거할 수 있는 장해물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가로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정보통신설비의 설치 및 유지, 보수에 관한 공사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전기통신 관련법령 및 전기설비 공사업에 의한 전기설비공사
  2. 방송법 및 방송관련 법령에 의한 방송설비공사
  3. 수전설비를 제외한 정보통신 전용 전기시설 설비공사
  4. 정조통신설비를 이용하여 정보를 제어, 저장 및 처리하는 정보설비공사
(정답률: 50%)
  • 정답인 "전기통신 관련법령 및 전기설비 공사업에 의한 전기설비공사"는 정보통신설비의 설치 및 유지, 보수에 관한 공사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전기통신 관련법령과 전기설비 공사업이 전기설비공사를 담당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보통신설비와 관련된 공사가 아니라 전기설비와 관련된 공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은 전력유도 방지에 관한 규정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수치로 맞게 나열된 것은?

  1. ㉠ 650, ㉡ 600
  2. ㉠ 550, ㉡ 430
  3. ㉠ 650, ㉡ 430
  4. ㉠ 550, ㉡ 300
(정답률: 72%)
  • 전력유도 방지 규정에서는 전선의 길이와 굵기에 따라 전력유도를 방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간격을 규정하고 있다. 이 규정에 따르면, 전선의 길이가 1m 이하이고 굵기가 10mm² 이하인 경우에는 ㉠ 650mm, ㉡ 430mm 이상의 간격을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 650, ㉡ 43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선로설비의 회선 상호간, 회선 대지간 및 회선의 심선 상호간의 절연저항은 직류 500볼트 절연저항계로 측정할 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0[MΩ]
  2. 20[MΩ]
  3. 30[MΩ]
  4. 40[MΩ]
(정답률: 66%)
  • 선로설비의 회선 상호간, 회선 대지간 및 회선의 심선 상호간의 절연저항은 안전한 운영을 위해 일정 수준 이상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절연저항계는 직류 500볼트를 가한 상태에서 측정합니다. 따라서, 이 절연저항계로 측정했을 때 회선 상호간, 회선 대지간 및 회선의 심선 상호간의 절연저항이 10[MΩ] 이상이어야 안전한 운영이 가능합니다. 이유는 10[MΩ] 이상의 절연저항이 유지되면 전기적으로 안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설비의 설치ㆍ보전을 위하여 운반구를 운행할 필요가 있을시 관계 공공기관에 협조를 요청할 수 있는 사항으로 관련없는 것은?

  1. 차량의 운행
  2. 선박의 운행
  3. 인력의 동원
  4. 항공기 운행
(정답률: 84%)
  • 정답은 "인력의 동원"입니다.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설비의 설치ㆍ보전을 위하여 운반구를 운행할 필요가 있을시 관계 공공기관에 협조를 요청할 수 있는 사항은 차량의 운행, 선박의 운행, 항공기 운행입니다. 인력의 동원은 이와 관련이 없는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