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6-11)

정보통신산업기사
(2016-06-1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전자회로

1. 전원 주파수가 60[Hz]인 정류회로에서 출력이 120[Hz]인 리플 주파수를 나타내는 회로방식은 무엇인가?

  1. 3상 반파정류회로
  2. 3상 전파정류회로
  3. 단상 반파정류회로
  4. 단상 전파정류회로
(정답률: 82%)
  • 단상 전파정류회로는 전원 주파수가 60[Hz]인 AC 전원에서 반파주기가 2배인 120[Hz]의 리플 주파수를 출력하는 회로방식이다. 이는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AC 전원을 반파시켜서 얻어진 DC 전원에서 필터링을 통해 리플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따라서 단상 전파정류회로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정전압 전원장치에서 무부하시 직류출력전압이 150[V]이고, 부하시 직류 출력전압이 100[V]일 때 전압 변동률은?

  1. 50[%]
  2. 30[%]
  3. 20[%]
  4. 10[%]
(정답률: 77%)
  • 전압 변동률은 (무부하시 직류출력전압 - 부하시 직류출력전압) / 무부하시 직류출력전압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50 - 100) / 150 x 100 = 50[%] 입니다. 즉, 전압 변동률은 부하가 생길 때 전압이 50% 감소한다는 뜻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트랜지스터 증폭기의 바이어스 안정도를 나타내는 숫자로 가장 좋은 것은?

  1. 1
  2. 2
  3. 3
  4. 4
(정답률: 80%)
  • 정답은 "1"입니다.

    바이어스 안정도란 트랜지스터 증폭기에서 입력 신호가 변화할 때 출력 신호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정도를 말합니다. 이는 바이어스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숫자 "1"은 고정된 바이어스 전압을 가지는 고정 바이어스 증폭기를 나타내며, 이는 바이어스 안정도가 가장 높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다른 숫자들은 바이어스 전압을 조정하는 다른 방법들을 나타내며, 이들은 바이어스 안정도가 낮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열잡음(Thermal Noise)과 백색 잡음(White Noise)과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열잡음(Thermal Noise)은 Color Noise이므로 백색 잡음(White Noise)과 완전하게 다르다.
  2. 열잡음(Thermal Noise)은 흑색 잡음이므로 백색 잡음(White Noise)과는 반대의 특성을 갖는다.
  3. 열잡음(Thermal Noise)은 실제로 발생하는 잡음 중에서 백색 잡음(White Noise) 특성에 유사한 잡음 중 하나에 속한다.
  4. 열잡음(Thermal Noise)과 백색 잡음(White Noise)은 완전하게 일치하는 용어이다.
(정답률: 82%)
  • 열잡음(Thermal Noise)은 실제로 발생하는 잡음 중에서 백색 잡음(White Noise) 특성에 유사한 잡음 중 하나에 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트랜지스터 증폭기의 입력전력이 1[mW]이고, 출력전력이 2[W]일 때 증폭기의 전력이득은 약 얼마인가?

  1. 12[dB]
  2. 23[dB]
  3. 33[dB]
  4. 45[dB]
(정답률: 70%)
  • 전력이득은 출력전력과 입력전력의 비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력이득은 2[W] / 1[mW] = 2000 입니다.

    그러나 이 값을 데시벨(dB)로 표현해야 합니다. 전력이득을 데시벨로 변환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력이득(dB) = 10log(출력전력/입력전력)

    따라서 전력이득은 10log(2[W]/1[mW]) = 10log(2000) ≈ 33[dB] 입니다.

    즉, 입력전력 1[mW]를 증폭하여 출력전력 2[W]로 만들었으므로 전력이득은 약 33[dB]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2단 이상의 증폭기에서 잡음을 줄일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1. 종단 증폭기의 이득은 첫단 증폭기에 비해 가능한 낮게 설계한다.
  2. 첫단 증폭기는 가능한 이득이 큰 증폭기로 구성한다.
  3. 첫단 증폭기를 트랜지스터(쌍극성 트랜지스터) 증폭기로 구성한다.
  4. 첫단 증폭기를 잡음지수(Noise Figure)가 낮은 증폭기로 구성한다.
(정답률: 77%)
  • 첫단 증폭기를 잡음지수(Noise Figure)가 낮은 증폭기로 구성한다. 이유는 첫단 증폭기에서 발생하는 잡음은 이후의 모든 증폭기에서 증폭되기 때문에, 첫단 증폭기에서 잡음을 최소화하는 것이 전체 시스템의 잡음을 줄일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그리모가 같은 콜피츠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fo)는?

(정답률: 73%)
  • 그리모는 콜피츠 발진기의 피드백 회로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회로는 양의 피드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그리모에서 발생한 신호가 증폭되어 다시 콜피츠 발진기에 입력되면서 발진 주파수가 증폭된다.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발진 주파수는 점차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발진 주파수 증폭이라고 하며, 이는 콜피츠 발진기의 특징 중 하나이다. 따라서 그리모가 콜피츠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그리모가 있는 경우 발진 주파수는 더 높아진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수정 발진회로에서 수정 진동자의 전기적 직렬 공진 주파수를 fs, 병렬 공진 주파수를 fp라 할 때, 가장 안정된 발진을 하기 위한 조건은? (단, fa는 발진 주파수이다.)

  1. fp < fa < fs
  2. fa = fs
  3. fs < fa < fp
  4. fa = fp
(정답률: 86%)
  • 수정 발진회로에서는 수정 진동자의 공진 주파수가 발진 주파수와 일치해야 안정된 발진이 가능하다. 따라서 fa는 fs와 fp의 중간에 위치해야 한다. 만약 fa가 fs보다 작거나 fp보다 크다면, 수정 진동자는 공진하지 않으므로 안정된 발진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정답은 "fs < fa < fp"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진폭 변조에서 변조도가 1일 때 반송파의 전력이 2[W]일 경우 상측파와 하측파의 전력은 얼마인가?

  1. 상측파 : 2[W], 하측파 : 2[W]
  2. 상측파 : 0.5[W], 하측파 : 0.5[W]
  3. 상측파 : 2[W], 하측파 : 1[W]
  4. 상측파 : 1[W], 하측파 : 0.5[W]
(정답률: 65%)
  • 진폭 변조에서 변조도가 1일 때, 반송파의 전력은 변조되기 전의 전력의 2배가 된다. 따라서 반송파의 전력이 2[W]이므로, 변조되기 전의 전력은 1[W]이다.

    상측파와 하측파는 변조되기 전의 전력을 반씩 나누어 가져간다. 따라서 상측파와 하측파의 전력은 각각 0.5[W]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상측파 : 0.5[W], 하측파 : 0.5[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신호의 표본값에 따라 펄스의 진폭은 일정하고 그 위상만 변화하는 변조방식은?

  1. PCM
  2. PPM
  3. PWM
  4. PFM
(정답률: 64%)
  • 신호의 표본값에 따라 펄스의 진폭은 일정하고 그 위상만 변화하는 변조방식은 PPM(Pulse Position Modulation)이다. PCM은 펄스의 진폭을 변화시키는 변조방식이고, PWM은 펄스의 폭을 변화시키는 변조방식이며, PFM은 펄스의 주파수를 변화시키는 변조방식이다. 따라서, PPM이 유일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펄스부호변조(PCM)의 송신측 과정이 아닌 것은?

  1. 복호화
  2. 양자화
  3. 표본화
  4. 부호화
(정답률: 90%)
  • 복호화는 펄스부호변조(PCM)의 송신측 과정이 아니라 수신측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PCM에서는 양자화, 표본화, 부호화가 송신측에서 이루어지며, 수신측에서는 이를 복호화하여 원래의 아날로그 신호를 복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펄스신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상승시간이란 펄스의 진폭의 10[%]에서 90[%]까지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2. 하강시간이란 펄스의 진폭의 90[%]에서 10[%]까지 하강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3. 펄스 폭이란 펄스 파형이 상승 및 하강의 진폭의 66.7[%]가 되는 구간의 시간을 말한다.
  4. 오버슈트란 상승 파형에서 이상적 펄스파의 진폭보다 높은 부분을 말한다.
(정답률: 81%)
  • 정답은 "오버슈트란 상승 파형에서 이상적 펄스파의 진폭보다 높은 부분을 말한다."이다.

    펄스 폭이란 펄스 파형이 상승 및 하강의 진폭의 66.7[%]가 되는 구간의 시간을 말하며, 상승시간과 하강시간은 각각 펄스의 진폭의 10[%]에서 90[%]까지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90[%]에서 10[%]까지 하강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오버슈트는 이상적인 펄스파의 진폭보다 높은 부분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클리퍼(Clipper) 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입력 파형을 주어진 기준전압 레벨 이상 또는 이하로 잘라내는 회로
  2. 일정한 레벨 내에서 신호를 고정시키는 회로
  3. 특정 시각에 발진 동작을 시키는 회로
  4. 안정 상태와 준안정 상태를 번갈아 동작하는 회로
(정답률: 89%)
  • 입력 파형을 주어진 기준전압 레벨 이상 또는 이하로 잘라내는 회로는 클리퍼(Clipper) 회로입니다. 이 회로는 입력 신호의 일부를 잘라내어 출력 신호를 형성하는데, 이때 잘라내는 기준전압 레벨을 설정하여 입력 신호를 일정한 범위 내에서 고정시킵니다. 따라서 입력 신호의 크기가 기준전압 레벨 이상이면 잘라내어 출력 신호를 형성하고, 이하이면 출력 신호를 형성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한글코드는 ASCII 코드를 기반으로 하여 몇 비트(Bit)를 하나의 문자로 표현하는가?

  1. 8비트
  2. 16비트
  3. 32비트
  4. 64비트
(정답률: 60%)
  • 한글은 초성, 중성, 종성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ASCII 코드의 7비트로는 모든 한글을 표현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16비트를 사용하여 한글을 표현합니다. 16비트는 2바이트(Byte)에 해당하며, 이를 유니코드(Unicode)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두 입력이 1과 0일 때, 1의 출력이 나오지 않는 게이트는?

  1. OR 게이트
  2. NOR 게이트
  3. NAND 게이트
  4. XOR 게이트
(정답률: 72%)
  • NOR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0일 때만 출력이 1이 되는 게이트이기 때문에, 두 입력 중 하나가 1이어도 출력이 0이 되므로 1의 출력이 나오지 않습니다. 따라서 NOR 게이트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논리회로도가 나타내는 플립플롭회로는 무엇인가?

  1. T 플립플롭
  2. D 플립플롭
  3. J-K 플립플롭
  4. S-R 플립플롭
(정답률: 81%)
  • 다음 논리회로도에서는 입력신호가 T와 D로 나뉘어져 있고, 출력신호는 Q와 Q'로 나뉘어져 있다. T 플립플롭은 T 입력신호가 1일 때만 출력신호가 바뀌는 반면, D 플립플롭은 입력신호가 현재 출력신호와 같을 때 출력신호가 바뀐다. 따라서, 이 회로에서는 D 플립플롭이 사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의 진리표에 대한 논리회로 기호로 맞는 것은?

(정답률: 74%)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AND 게이트의 입력이 모두 참일 때 출력이 참이 되는 것을 이용하여, 입력 A와 B가 모두 참일 때 출력이 참이 되도록 하였기 때문이다. 즉, A와 B가 모두 1일 때 C가 1이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X, Y 두 입력을 갖는 2진 비교기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X = Y 일 때, X ⊕
  2. X ≠ Y 일 때, X ⊕ Y
  3. X > Y 일 때,
  4. X < Y 일 때,
(정답률: 60%)
  • "X < Y 일 때, " 이 틀린 것이 아니다.

    X와 Y를 비교할 때, X가 Y보다 작으면 X ⊕ 1이 Y ⊕ 0보다 작아지므로 출력이 1이 된다. 따라서 "X < Y 일 때, "가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그림과 같이 2n개(0~7)의 10진수 입력을 넣었을 때, 출력이 2진수(000~111)로 나오는 회로의 명칭은?

  1. 디코더 회로
  2. A-D 변환회로
  3. D-A 변환회로
  4. 인코더 회로
(정답률: 68%)
  • 정답: 인코더 회로

    인코더 회로는 입력된 여러 개의 신호 중에서 특정한 조합의 신호를 찾아내어 그것을 하나의 코드 신호로 변환하는 회로이다. 이 문제에서는 2n개의 10진수 입력 중에서 어떤 하나의 입력이 1이 되는지를 찾아서 그에 해당하는 2진수 코드를 출력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사용된 회로는 인코더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기억된 정보를 보존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리플레시(Refresh)를 해주어야만 하는 기억소자는?

  1. Dynamic ROM
  2. Static ROM
  3. Dynamic RAM
  4. Static RAM
(정답률: 80%)
  • Dynamic RAM은 충전된 전하가 시간이 지나면서 빠져나가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리플레시를 해주어야만 정보를 보존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Static RAM은 전하가 유지되기 때문에 리플레시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또한 ROM은 읽기 전용 메모리이기 때문에 리플레시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Dynamic RAM이 기억된 정보를 보존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리플레시를 해주어야만 하는 기억소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정보통신기기

21. 다음 중 통신 제어 장치(CCU)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송ㆍ수신 제어
  2. 전송 에러 제어
  3. 시분할 다중 제어
  4. 입ㆍ출력 제어
(정답률: 58%)
  • 통신 제어 장치(CCU)의 기능 중에서 "입ㆍ출력 제어"는 옳지 않은 것입니다. CCU는 송수신 제어, 전송 에러 제어, 시분할 다중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입출력 제어는 다른 장치들이 수행하는 역할입니다. 입출력 제어는 주변 장치와의 데이터 교환을 관리하고,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인터럽트를 처리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CCU는 입출력 제어를 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정보 단말기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송ㆍ수신 제어 기능
  2. 출력 변환 기능
  3. 에러 제어 기능
  4. 다중화 기능
(정답률: 75%)
  • 다중화 기능은 정보 단말기의 기능 중 하나가 아닙니다. 다중화는 여러 개의 신호를 하나의 통로로 전송하는 기술로, 정보 단말기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VDSL 서비스 방식에서 가입자 댁내 장비는?

  1. 다중화장비(DSLAM)
  2. 네트워크접속장치(NAS)
  3. EMS
  4. 모뎀(Modem)
(정답률: 90%)
  • VDSL 서비스 방식에서 가입자 댁내 장비는 "모뎀(Modem)"입니다. 이는 VDSL 신호를 인터넷 신호로 변환하여 가정 내부의 컴퓨터나 기타 인터넷 기기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입니다. 다중화장비(DSLAM)는 VDSL 신호를 수신하여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네트워크접속장치(NAS)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의 네트워크와 가입자 댁내 장비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EMS는 장비 관리를 위한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DSU(Digital Service Unit)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LAN 또는 WAN 상에서 디지털 전용회선 연결에 사용된다.
  2. 단말기가 디지털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필요하다.
  3. 정확한 동기 유지를 위한 Clock 추출회로가 있다.
  4. 음성급 전용망에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등화기와 AGC가 필요하다.
(정답률: 84%)
  • DSU(Digital Service Unit)의 특징 중에서 "음성급 전용망에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등화기와 AGC가 필요하다."는 특징이 아닙니다. DSU는 LAN 또는 WAN 상에서 디지털 전용회선 연결에 사용되며, 단말기가 디지털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필요합니다. 또한, 정확한 동기 유지를 위한 Clock 추출회로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다중화기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파수 분할 다중화기(FDM)는 하나의 채널에 주파수 대역별로 전송로를 구성한다.
  2. 역다중화기(Inverse Multiplexer)는 협대역 통신으로 2,400[bps] 이하의 전송속도를 얻는다.
  3. 비동기 시분할 다중화기는 실제로 보낼 데이터가 있는 단말장치에만 동적으로 각 채널에 타임 슬롯을 할당한다.
  4. 광대역 다중화기는 여러 가지 다른 속도의 동기식 데이터를 묶어 광대역 전송이 가능하다.
(정답률: 72%)
  • 역다중화기(Inverse Multiplexer)는 협대역 통신으로 2,400[bps] 이하의 전송속도를 얻는다. -> 옳은 설명입니다.

    주파수 분할 다중화기(FDM)는 하나의 채널에 주파수 대역별로 전송로를 구성한다. -> 옳은 설명입니다.

    비동기 시분할 다중화기는 실제로 보낼 데이터가 있는 단말장치에만 동적으로 각 채널에 타임 슬롯을 할당한다. -> 옳은 설명입니다.

    광대역 다중화기는 여러 가지 다른 속도의 동기식 데이터를 묶어 광대역 전송이 가능하다. -> 옳은 설명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설명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주파수 분할 다중화기(FDM)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아날로그 전송에 적합하며, 비동기 전송에 이용된다.
  2. 전송 속도가 낮은 부채널의 신호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하여 전송한다.
  3. 채널간 완충지역으로 가드밴드(Guard Band)가 필요 없다.
  4. 주파수 분할 다중화기 자체가 주파수 편이 모뎀 역할을 하므로 별도의 모뎀이 필요 없다.
(정답률: 76%)
  • "채널간 완충지역으로 가드밴드(Guard Band)가 필요 없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FDM에서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된 신호들이 동시에 전송되기 때문에 채널간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채널 사이에는 일정한 주파수 간격을 두고 가드밴드를 설정하여 채널간 간섭을 방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내용은 어떤 장비에 대한 설명인가?

  1. L2 스위치
  2. L3 스위치
  3. L4 스위치
  4. 라우터
(정답률: 74%)
  • 이 장비는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스위치 중에서도 L4 스위치에 해당합니다. L4 스위치는 OSI 모델에서 4계층인 전송 계층에서 동작하며,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기반으로 패킷을 전달합니다. L2 스위치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며, MAC 주소를 기반으로 패킷을 전달하고, L3 스위치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하며, IP 주소를 기반으로 패킷을 전달합니다. 라우터는 네트워크 간의 패킷 전송을 담당하는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WAN(Wide Area Network)의 전송 방식이 아닌 것은?

  1. Leased Line
  2. Circuit Switched
  3. Packed Switched
  4. Message Switched
(정답률: 67%)
  • 정답: Message Switched

    이유: WAN의 전송 방식에는 Leased Line, Circuit Switched, Packed Switched, Message Switched가 있습니다. 그 중 Message Switched는 데이터를 작은 메시지 단위로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으로, 데이터 전송 시간이 불규칙하고 오버헤드가 크기 때문에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Message Switched는 WAN의 전송 방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물리계층 장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네트워크 장비간의 실제 전기적인 전송을 담당한다.
  2. 리피터는 물리적인 신호를 다시 증폭하는 역할을 한다.
  3. 허브는 네트워크에 다수의 단말을 연결할 때 사용된다.
  4. 브리지는 두 개의 근거리통신망(LAN)을 서로 연결해 주는 통신망 연결 장치이다.
(정답률: 70%)
  • 옳지 않은 설명은 "브리지는 두 개의 근거리통신망(LAN)을 서로 연결해 주는 통신망 연결 장치이다." 이다. 브리지는 두 개의 LAN을 연결하는 것뿐만 아니라, 같은 LAN 내에서도 트래픽을 분리하거나 필터링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UCC 등의 등장으로 인터넷상에 영상 트래픽이 증가하고 있다. 영상 트래픽은 음성이나 텍스터 트래픽에 비하여 정보량이 수100~수1,000배에 달하므로 영상 정보의 압축 기술이 대단히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다음의 영상 정보 압축 기술 중 가장 압축률이 높은 기술은 어느 것인가?

  1. H.264
  2. MPEG-3
  3. MPEG-4
  4. H.323
(정답률: 58%)
  • 가장 압축률이 높은 기술은 "H.264"이다. 이는 고화질 영상을 압축할 때 사용되는 기술로, 이전의 MPEG-2나 MPEG-4에 비해 더욱 효율적인 압축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H.264는 예측 인코딩, 변환 인코딩, 엔트로피 인코딩 등의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압축한다. 또한, H.264는 인터넷 상에서의 영상 스트리밍에도 적합하며, 고화질 영상을 낮은 비트레이트로 전송할 수 있어 대역폭을 절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문서 팩시밀리의 종류 중 G4 등급의 특징으로 잘못된 것은?

  1. 디지털 신호 방식 및 디지털 전용망을 사용
  2. A4 원고 3~5초 내에 전송 가능
  3. 디지털 신호방식으로 MH, MR부호화 방식으로 압축
  4. 고능률 부호화 방식(MMR)을 적용하여 공중 데이터망을 이용
(정답률: 79%)
  • G4 등급의 특징 중 잘못된 것은 "디지털 신호방식으로 MH, MR부호화 방식으로 압축" 입니다. G4 등급은 디지털 신호 방식 및 디지털 전용망을 사용하며, A4 원고를 3~5초 내에 전송 가능하며, 고능률 부호화 방식(MMR)을 적용하여 공중 데이터망을 이용합니다. 따라서, MH, MR 부호화 방식은 G4 등급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CATV의 센터설비에서 헤드엔드의 주요 기능과 거리가 먼 것은?

  1. 프로그램의 검색 및 편집
  2. 변조
  3. TV 신호처리
  4. Pilot 신호발생
(정답률: 76%)
  • 헤드엔드는 CATV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비 중 하나입니다. 이 장비는 TV 신호를 처리하고 변조하여 케이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합니다. 그러나 프로그램의 검색 및 편집은 헤드엔드의 주요 기능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 기능은 일반적으로 STB (Set-Top Box)와 같은 다른 장비에서 수행됩니다. 따라서 "프로그램의 검색 및 편집"이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조건에 해당하는 전화기의 접속률은?

  1. 25[%]
  2. 40[%]
  3. 90[%]
  4. 133[%]
(정답률: 82%)
  • 전화기 4대 중 1대만 사용 가능하므로, 전화기의 접속률은 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4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말기는?

  1. PCS 단말
  2. CDMA 단말
  3. PSTN 단말
  4. LTE Advanced 단말
(정답률: 90%)
  • 4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는 LTE Advanced 기술을 사용하며, 따라서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LTE Advanced 단말기가 필요합니다. 다른 보기인 PCS 단말, CDMA 단말, PSTN 단말은 모두 4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무선수신기의 주요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공간상에 존재하는 많은 고주파 신호 중 원하는 신호를 선택한다.
  2. 수신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미약한 고주파의 반송파 신호를 적당한 크기로 증폭한다.
  3. 고주파 반송파 신호를 적절한 중간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바꾼다.
  4. 중간주파수 대역에서 원래의 정보신호를 복원하기 위하여 고주파 신호와 혼합한다.
(정답률: 62%)
  • "공간상에 존재하는 많은 고주파 신호 중 원하는 신호를 선택한다."가 무선수신기의 주요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다.

    무선수신기는 수신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미약한 고주파의 반송파 신호를 적당한 크기로 증폭하고, 고주파 반송파 신호를 적절한 중간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바꾼 후, 중간주파수 대역에서 원래의 정보신호를 복원하기 위하여 고주파 신호와 혼합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렇게 복원된 정보신호는 스피커나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수신기의 전기적 성능이 아닌 것은?

  1. 감도
  2. 선택도
  3. 변조도
  4. 충실도
(정답률: 65%)
  • 수신기의 전기적 성능은 감도, 선택도, 충실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그러나 변조도는 송신기의 성능과 관련이 있으며, 수신기의 전기적 성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변조도가 수신기의 전기적 성능과 관련이 없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아주 작은 네온 전구의 집합과 같은 기능을 하는 평면형 표시 장치로 2매의 얇은 유리 기판 사이의 좁은 틈에 네온 등의 가스를 봉입하고 유리의 내면에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투명전극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은?

  1. OLED
  2. PDP
  3. LCD
  4. CRT
(정답률: 76%)
  • PDP는 평면형 표시 장치로, 작은 네온 전구의 집합과 같은 기능을 합니다. 이는 2매의 얇은 유리 기판 사이의 좁은 틈에 네온 등의 가스를 봉입하고 유리의 내면에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투명전극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PDP가 정답입니다. OLED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고, LCD는 액정을 사용하며, CRT는 전자 광선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뉴미디어 기기 중 문자 혹은 도형 형태의 정보를 수신자가 원할 때 제공하며 수신자는 수신장치 없이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은?

  1. 비디오텍스(Videotex)
  2. 팩시밀리(Facsimile)
  3. 텔레텍스트(Teletext)
  4. 텔레텍스(Teletex)
(정답률: 70%)
  • 텔레텍스트(Teletext)는 문자와 도형 형태의 정보를 수신자가 원할 때 제공하며, 수신자는 수신장치 없이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뉴미디어 기기이다. 이는 텔레비전 수신기에 내장되어 있으며, 특정 버튼을 누르면 화면에 나타나는 정보를 선택하고 읽을 수 있다. 따라서, 텔레텍스트는 수신자가 별도의 수신장치 없이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유일한 뉴미디어 기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VOD(Video On Demand) 시스템의 사용자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세션에 대한 물리적 관리를 진행한다.
  2. '클라이언트부'라고도 한다.
  3. 헤드엔드와 통신이 가능한 셋탑박스가 있다.
  4. 고객이 요청하는 시간과 콘텐츠를 상기 시스템과 실시간으로 통신하여 이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답률: 76%)
  • "'세션에 대한 물리적 관리를 진행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VOD 시스템은 세션에 대한 논리적인 관리를 진행하며, 이는 서버 측에서 처리됩니다. 세션은 사용자가 시청하는 동안 유지되는 연결 상태를 의미하며, 이를 관리하기 위해 서버 측에서는 세션 ID를 부여하고 해당 ID를 통해 사용자와의 연결을 유지합니다. 따라서 '세션에 대한 논리적 관리를 진행한다.'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멀티미디어 기기의 기능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고사양 CPU
  2. 저해상도 디스플레이
  3. 고속지원
  4. 다양한 서비스 형태 이용
(정답률: 90%)
  • 멀티미디어 기기는 고화질의 영상과 음성을 재생하고 편집하는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하는데, 이 중에서 "저해상도 디스플레이"는 기능으로 맞지 않는다. 왜냐하면 멀티미디어 기기는 고화질의 영상을 재생하고 편집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고해상도의 디스플레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저해상도의 디스플레이는 멀티미디어 기기의 기능에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정보전송개론

41. 동기 TDM방식에서 n개의 신호출처가 있는 경우, 각 프레임이 포함하는 시간슬롯(time slot)의 최소 개수는?

  1. n-1개
  2. n개
  3. n+1개
  4. n+2개
(정답률: 72%)
  • 동기 TDM 방식에서 각 신호출처는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시간슬롯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n개의 신호출처가 있다면, 각 신호출처는 하나의 시간슬롯을 사용하게 되므로 최소한 n개의 시간슬롯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n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디지털 변조방식이 아닌 것은?

  1. ASK
  2. FSK
  3. PSK
  4. PM
(정답률: 82%)
  • PM은 진폭 변조 방식이며, 나머지 세 가지는 주파수, 위상, 진폭을 이용한 디지털 변조 방식입니다. 따라서 PM은 디지털 변조 방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반송 다중통신에서 초군(기초 초군)대역을 이용하는 경우 4[kHz]의 음성채널 몇 개를 정송할 수 있는가?

  1. 20개
  2. 30개
  3. 50개
  4. 60개
(정답률: 71%)
  • 초군(기초 초군)대역은 60[kHz] ~ 108[kHz]의 주파수 대역을 말한다. 4[kHz]의 음성채널을 전송하기 위해서는 최소 8[kHz]의 대역폭이 필요하다. 따라서 초군대역에서는 최대 7개의 음성채널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60[kHz] ~ 108[kHz]의 대역폭을 모두 이용하면 7개의 음성채널을 전송할 수 있는데, 이를 모두 더하면 60개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60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의 변조방식 중 전송과정에서 에러발생 가능성(Error Probability)이 가장 낮은 것은?

  1. ASK
  2. FSK
  3. QAM
  4. PSK
(정답률: 83%)
  • QAM은 직교적인 두 개의 변조 신호를 이용하여 다양한 신호를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다른 변조 방식들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또한, QAM은 높은 대역폭 효율성을 가지고 있어서 에러 발생 가능성이 낮습니다. 따라서, 전송과정에서 에러 발생 가능성이 가장 낮은 변조 방식은 QA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전송선로의 무왜(無歪) 조건이 성립하기 위한 R, L, C, G의 관계식으로 옳은 것은? (단, R : 저항, L : 인덕턴스, C : 커패시턴스, G : 컨덕턴스)

(정답률: 74%)
  • 무왜 조건은 전송선로에서 신호가 왜곡 없이 전달되기 위한 조건으로, 전송선로의 저항, 인덕턴스, 커패시턴스, 컨덕턴스가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만족해야 한다.

    R^2 + (ωL - 1/ωC)^2 = (ωL + 1/ωC)^2

    위 식에서 ω는 각주파수를 나타내며, ωL과 1/ωC는 각각 전송선로의 인덕턴스와 커패시턴스에 의한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이 식을 만족하면 전송선로에서 신호가 왜곡 없이 전달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어떤 신호가 전송매체상의 A지점과 B지점 구간에서 전송되는 경우, 전력 레벨이 1/2로 감소하였다면, A-B 구간에서 발생하는 손실은 약 얼마인가?

  1. 1[dB]
  2. 2[dB]
  3. 3[dB]
  4. 4[dB]
(정답률: 66%)
  • 전력과 전압은 로그 스케일로 측정되기 때문에, 전력이 1/2로 감소하면 전압은 1/√2로 감소합니다. 따라서, 전압이 1/√2로 감소하면 손실은 3[dB]입니다. 3[dB]는 전력이 1/2로 감소하는데 필요한 손실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UTP 케이블을 이용하여 공장 내 통신기기를 직접 연결하고자 한다. UTP 케이블의 손실이 5[dB]일 때 케이블의 길이는? (단, UTP 케이블 감쇠 손실은 2.5[dB/km]이다.)

  1. 0.5[km]
  2. 1[km]
  3. 1.5[km]
  4. 2[km]
(정답률: 80%)
  • UTP 케이블의 감쇠 손실은 2.5[dB/km]이므로, 케이블의 길이가 x[km]일 때 손실은 2.5x[dB]이다. 문제에서 주어진 손실은 5[dB]이므로, 2.5x = 5 이다. 이를 풀면 x = 2[km]이므로, 정답은 "2[km]"이다. 즉, UTP 케이블의 길이가 2[km]일 때 손실이 5[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전송매체의 전송 주파수가 높을수록 전류가 도체표면을 따라 흐르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누화효과
  2. 유도효과
  3. 표피효과
  4. 절연효과
(정답률: 73%)
  • 전송매체의 전송 주파수가 높을수록 전류가 도체표면을 따라 흐르는 현상을 "표피효과"라고 한다. 이는 전송 주파수가 높아질수록 전자의 운동에너지가 증가하게 되어 전자가 도체 내부로 침투하기 어려워지고, 대신 도체 표면에서 전자가 반사되어 표면을 따라 흐르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고주파 전파나 광파 등의 전송매체에서 흔히 나타나며, 전파의 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이를 이용하기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비트 동기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1차 또는 2차 표준(망동기 기준 클럭)으로부터 동기 클럭 신호를 추출하는 방법
  2. 주 신호 채널과 분리된 보조 채널의 동기화된 신호로부터 동기 클럭 신호를 추출하는 방법
  3. 변조된 수신 신호로부터 동기 클럭 신호를 유도하는 방법
  4. 1개 또는 2개 이상의 SYN 문자를 정보 블록 앞에 추가로 전송하여 동기를 확보하는 방법
(정답률: 72%)
  • "1개 또는 2개 이상의 SYN 문자를 정보 블록 앞에 추가로 전송하여 동기를 확보하는 방법"은 비트 동기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아닙니다. 이유는 SYN 문자를 전송하는 것은 데이터 전송에 대한 동기화를 위한 것이지, 비트 동기화를 위한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SYN 문자는 데이터 전송 시작을 알리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수신 측에서 데이터를 받을 준비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비트 동기화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디지털 전송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신호를 변화하기 않고 전송하는 방식이 Baseband 전송이다.
  2. Baseband 전송 방식은 대역폭이 좁은 반면 전송 가능한 거리가 짧다.
  3. Baseband 전송은 반송파의 진폭 또는 주파수 등을 변환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
  4. 동축케이블은 Broadband와 Baseband 전송에 모두 이용된다.
(정답률: 59%)
  • "신호를 변화하기 않고 전송하는 방식이 Baseband 전송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Baseband 전송은 디지털 신호를 직접 전송하는 방식으로, 신호를 변조하지 않고 전송하기 때문에 대역폭이 좁고 전송 가능한 거리가 짧다는 것이 옳은 설명이며, 동축케이블은 Broadband와 Baseband 전송에 모두 이용된다는 것도 옳은 설명이다.

    하지만 "Baseband 전송은 반송파의 진폭 또는 주파수 등을 변환하여 전송하는 방식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Baseband 전송은 반송파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CAS(Channel Associated Signaling/통화로 신호방식)방식 중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방식은?

  1. No.5
  2. No.7
  3. R1 MFC
  4. R2 MFC
(정답률: 72%)
  •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CAS 방식은 R2 MFC이다. R2 MFC는 전화기와 교환기 사이에 2개의 주파수 톤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신뢰성이 높고 오류가 적은 방식이다. 또한, 기존의 R1 MFC 방식보다 전송 속도가 빠르고 효율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No.7 신호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통화채널과 분리된 별도의 신호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된다.
  2. 두 개의 음성대역 주파수를 혼합하여 송출한다.
  3. 기능별로 모듈화된 계층구조를 갖는다.
  4. 다양한 서비스 제공능력을 갖는다.
(정답률: 55%)
  • No.7 신호방식은 두 개의 음성대역 주파수를 혼합하여 송출하는 것이 아니라, 통화채널과 분리된 별도의 신호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된다. 이 방식은 디지털 통신에서 사용되며, 기능별로 모듈화된 계층구조를 갖고 다양한 서비스 제공능력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OSI 7계층에서 암호화, 해독, 정보압축 등을 수행하는 계층은?

  1. 전송계층
  2. 세션계층
  3. 표현계층
  4. 응용계층
(정답률: 79%)
  • 정답은 "표현계층"입니다. 이 계층은 데이터의 형식을 변환하고, 암호화 및 해독, 정보압축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ASCII 코드로 작성된 텍스트 데이터를 유니코드로 변환하거나, 이미지 파일을 JPEG 형식으로 압축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기능들은 응용계층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OSI 7계층에서 정보처리를 수행하는 응용프로그램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파일 전송, 메시지 통신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은?

  1. 응용계층
  2. 표현계층
  3. 세션계층
  4. 전달계층
(정답률: 58%)
  • 응용계층은 OSI 7계층 중 가장 상위에 위치하며, 사용자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계층입니다. 이 계층은 응용프로그램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파일 전송, 메시지 통신 등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응용프로그램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때, 응용계층이 이를 처리하고 하위 계층으로 전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OSI 프로토콜 구조 중에서 데이터링크 계층이 하는 역할이 아닌 것은?

  1. 흐름제어
  2. 데이터 동기 제공
  3. 에러의 검출 및 정정
  4. 네트워크 어드레싱
(정답률: 77%)
  • 데이터링크 계층은 흐름제어, 데이터 동기 제공, 에러의 검출 및 정정을 수행합니다. 그러나 네트워크 어드레싱은 네트워크 계층에서 수행됩니다. 따라서 "네트워크 어드레싱"은 데이터링크 계층이 하는 역할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IP address 중 지정된 네트워크의 모든 호스트에 브로드캐스팅이 불가능한 IP address는 무엇인가?

  1. 77.255.255.255
  2. 154.3.255.255
  3. 211.82.157.255
  4. 80.222.230.255
(정답률: 66%)
  •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해당 네트워크의 모든 호스트에게 메시지를 보내는 주소이다.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해당 네트워크의 IP 주소 중 마지막 호스트 주소를 모두 1로 바꾼 것이다.

    예를 들어, IP 주소가 192.168.1.0/24 라면, 해당 네트워크의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192.168.1.255 가 된다.

    따라서, 주어진 IP 주소 중에서 마지막 호스트 주소를 모두 1로 바꾸었을 때 해당 네트워크의 모든 호스트에게 메시지를 보낼 수 없는 주소는 "80.222.230.25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네트워크 토폴로지(topology, 망구성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Star형
  2. Mesh형
  3. Bus형
  4. Node형
(정답률: 80%)
  • "Node형"은 네트워크 토폴로지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유는 "Node형"은 특정한 망구성방식을 나타내는 용어가 아니라, 단순히 네트워크에 연결된 개별적인 장치를 의미하는 용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Node형"은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나타내는 용어 중 하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IP address 체계 중 C class에서 네트워크 하나의 최대 호스트 ID수는 몇 개인가?

  1. 64개
  2. 128개
  3. 254개
  4. 510개
(정답률: 86%)
  • C class IP 주소 체계에서 네트워크 하나의 호스트 ID 비트 수는 8비트이며, 이는 2의 8승인 256개의 주소 중 첫 번째와 마지막 주소를 제외하면 호스트 ID로 사용 가능한 254개의 주소가 남게 됩니다. 따라서 C class에서 네트워크 하나의 최대 호스트 ID수는 254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디지털 통신망을 구성하는 디지털 교환기 사이에 클럭주파수의 차이가 생기면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슬립(Slip)
  2. 폴링(Polling)
  3. 피기백(Piggyback)
  4. 인터리빙(Interleaving)
(정답률: 72%)
  • 클럭주파수의 차이로 인해 수신측에서는 송신측의 데이터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고, 일부 데이터가 누락되는 현상을 슬립(Slip)이라고 한다. 따라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통신망에서는 클럭 신호를 동기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다이코드(dicode) 전송부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0에서 0으로 변화가 없을 때는 0전위
  2. 1에서 1로 변화가 없을 때는 (-)전위
  3. 0에서 1로 변화가 있을 때는 (+)전위
  4. 1에서 0으로 변화가 있을 때는 (-)전위
(정답률: 82%)
  • "1에서 1로 변화가 없을 때는 (-)전위"가 틀린 설명입니다. 다이코드(dicode) 전송부호는 바이너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부호화 방식 중 하나로, 바이너리 데이터의 변화를 전송부호로 변환합니다. 0에서 0으로 변화가 없을 때는 0전위, 0에서 1로 변화가 있을 때는 (+)전위, 1에서 0으로 변화가 있을 때는 (-)전위입니다. 1에서 1로 변화가 없을 때는 전위가 없으므로, 이 경우에는 이전 전위를 유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산기일반 및 정보설비기준

61. 10진수 284의 9의 보수, 10의 보수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709 710
  2. 711 712
  3. 713 714
  4. 715 716
(정답률: 62%)
  • 10진수 284의 9의 보수는 각 자리수를 9에서 뺀 값이다. 따라서 9의 보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9의 보수: 715
    1의 보수: 715 + 1 = 716

    따라서 정답은 "715 716"이다. 다른 보기들은 284의 보수가 아니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컴퓨터가 중간 변환 과정 없이 직접 이해할 수 있는 언어는 무엇인가?

  1. 기계어
  2. 어셈블리어
  3. ALGOL
  4. PL/1
(정답률: 76%)
  • 기계어는 컴퓨터가 직접 이해할 수 있는 0과 1로 이루어진 이진 코드 언어이다. 따라서 중간 변환 과정 없이 컴퓨터가 바로 실행할 수 있다. 어셈블리어는 기계어와 유사하지만 사람이 이해하기 쉽도록 기호로 표현된 언어이며, ALGOL과 PL/1은 고급 언어로 컴파일러를 통해 기계어로 변환되어야 실행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운영체제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프로세스 생성과 제거, 메시지 전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2. 메모리 할당과 메모리 회수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3. 입출력 스케줄링과 주변장치의 전반적인 관리를 수행한다.
  4. 파일의 생성 및 삭제, 변경, 보관, 저장은 사용자가 직접 관리한다.
(정답률: 67%)
  • "파일의 생성 및 삭제, 변경, 보관, 저장은 사용자가 직접 관리한다."는 운영체제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이다. 이는 사용자가 아닌 운영체제가 파일 시스템을 관리하며, 파일의 생성, 삭제, 변경, 보관, 저장 등을 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2진수 10101101.0101을 8진수로 변환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255.22
  2. 255.23
  3. 255.24
  4. 3E.A1
(정답률: 74%)
  • 2진수 10101101.0101을 8진수로 변환하면 255.24가 된다. 이유는 2진수를 3자리씩 끊어서 8진수로 변환하면 되는데, 101 011 010 101.010 1로 나눌 수 있다. 각각을 8진수로 변환하면 5 3 2 5.2 4가 되고, 이를 합치면 255.24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병렬처리 방식 중 동시수행가능 명령어 등을 컴파일러로 검출하여 하나의 명령어 코드로 압축하는 동시수행기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VLIW(Ver Large Instruction Word)
  2. Super-Scalar
  3. Pipeline
  4. Super-Pipeline
(정답률: 70%)
  • VLIW(Ver Large Instruction Word)는 동시에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하나의 매우 큰 명령어로 묶어서 처리하는 병렬처리 기법입니다. 이를 위해 컴파일러가 동시에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검출하여 하나의 명령어 코드로 압축합니다. 이 방식은 하드웨어적인 복잡도를 줄이면서도 높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Super-Scalar, Pipeline, Super-Pipeline은 다른 병렬처리 기법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주 기억장치에 지장된 명령어를 하나하나씩 인출하여 연산코드 부분을 해석한 다음 해석한 결과에 따라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여 각각의 연산 장치와 메모리에 지시 신호를 내는 것은?

  1. 연산 논리 장치(ALU)
  2. 입출력 장치(I/O Unit)
  3. 채널(Channel)
  4. 제어 장치(Control Unit)
(정답률: 59%)
  • 주 기억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해석하고, 각각의 연산 장치와 메모리에 지시 신호를 내는 역할을 하는 것은 제어 장치(Control Unit)입니다. 제어 장치는 CPU의 핵심 구성 요소 중 하나로, 명령어 해석과 실행을 담당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합니다. 따라서, CPU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다중프로세서(Multiprocessor)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프로세서나 복잡한 컴퓨터들이 노드를 이루면서 동작하는 시스템
  2. 제어방식이 복합적이면서도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동작하는 시스템
  3. 병렬적이면서 동기적인 컴퓨터 시스템에서 동시에 여러 개의 태스크(Task)를 수행하는 시스템
  4. 플린(Flynn)의 MIMD구조로 둘 이상의 프로세서를 가진 시스템
(정답률: 60%)
  • 다중프로세서 시스템은 플린(Flynn)의 MIMD구조로 둘 이상의 프로세서를 가진 시스템입니다. 이는 여러 개의 프로세서가 동시에 여러 개의 태스크(Task)를 수행하는 병렬적이면서 동기적인 컴퓨터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교착상태(Deadlock)의 필요조건이 아닌 것은?

  1. 선점
  2. 점유(보유)와 대기
  3. 상호배제
  4. 환형대기
(정답률: 65%)
  • "선점"은 교착상태의 필요조건 중 하나인 "점유(보유)와 대기"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선점"은 교착상태의 필요조건이 아니라면, 나머지 세 가지 조건인 "상호배제", "환형대기", "점유(보유)와 대기" 중 하나가 교착상태의 필요조건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프로그램 언어의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다양한 응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
  2. 명령문이 통일성 있고 단순, 명료해야 한다.
  3. 가능한 외부적인 지원은 차단하고, 많은 내부적 지원이 가능해야 한다.
  4. 언어의 확장성이 좋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분명해야 한다.
(정답률: 82%)
  • 가능한 외부적인 지원은 차단하고, 많은 내부적 지원이 가능해야 한다.이 조건은 오히려 잘못된 조건입니다. 프로그램 언어는 가능한 외부적인 지원을 제공하여 다양한 라이브러리와 모듈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내부적인 지원만으로는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조건은 오히려 잘못된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표(Table) 및 배열(Array) 구조의 데이터를 처리하고자 할 경우 명령어들의 유용한 주소 지정 방식은?

  1. 간접 주소 지정
  2. 메모리 참조 주소 지정
  3. 인덱스 주소 지정
  4. 직접 주소 지정
(정답률: 62%)
  • 표(Table) 및 배열(Array) 구조의 데이터는 일정한 규칙에 따라 순서대로 저장되어 있으므로, 각 데이터의 위치를 나타내는 인덱스(index)를 사용하여 주소를 지정하는 것이 가장 유용합니다. 인덱스 주소 지정은 간단하고 직관적이며, 데이터의 추가나 삭제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덱스 주소 지정이 가장 적합한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기간통신사업자가 선로 등에 관한 측량, 전기통신설비의 설치 또는 본전 공사를 위해 필요한 경우 사유 또는 국ㆍ공유의 전기통신설비 및 토지 등을 일시 사용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허용되는 최대 사용기간은?

  1. 1개월
  2. 3개월
  3. 6개월
  4. 10개월
(정답률: 75%)
  • 기간통신사업자가 일시 사용할 수 있는 국ㆍ공유의 전기통신설비 및 토지 등은 공공의 이익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므로, 사용기간이 너무 길 경우 다른 이용자들의 이익을 침해할 수 있기 때문에 최대 사용기간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기간통신사업자가 일시 사용할 수 있는 최대 기간은 6개월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업법령에 의한 정보통신공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아파트의 방송공동수신설비공사
  2. 물류 창고의 방범을 위한 CCTV설비 설치공사
  3. 우체국의 수전설비 설치공사
  4. 구청의 화상회의시스템 설비공사
(정답률: 80%)
  • 우체국은 정보통신공사업법령에 의한 정보통신공사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우체국은 우편물 배달 및 금융업무를 주요 업무로 하기 때문에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이 주요 업무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체국의 수전설비 설치공사는 정보통신공사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보편적 역무의 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도선통신용 유선전화 서비스
  2. 긴급통신용 선박무선전화 서비스
  3. 인터넷유지보수를 위한 전화 서비스
  4. 장애인ㆍ저소득층에 대한 요금감면 전화 서비스
(정답률: 74%)
  • 인터넷유지보수를 위한 전화 서비스는 보편적 역무의 내용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특정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편적 역무는 모든 고객에게 동일하게 제공되는 서비스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설비의 설치ㆍ보전을 위하여 운반구를 운행할 필요가 있을시 관계 공공기관에 협조를 요청할 수 있는 사항으로 관련 없는 것은?

  1. 차량의 운행
  2. 선박의 운행
  3. 인력의 동원
  4. 항공기 운행
(정답률: 75%)
  • 정답은 "인력의 동원"입니다.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설비의 설치ㆍ보전을 위하여 운반구를 운행할 필요가 있을시 관계 공공기관에 협조를 요청할 수 있는 사항은 차량의 운행, 선박의 운행, 항공기 운행입니다. 인력의 동원은 이와 관련이 없는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선로설비의 회선 상호간ㆍ회선과 대지 간 및 회선의 심선 상호간의 절연저항은 직류 500볼트 절연저항계로 측정하는 경우 적절한 저항은 몇 [MΩ] 이상이어야 하는가?

  1. 5[MΩ]
  2. 10[MΩ]
  3. 7[MΩ]
  4. 2[MΩ]
(정답률: 66%)
  • 선로설비의 회선 상호간ㆍ회선과 대지 간 및 회선의 심선 상호간의 절연저항은 안전한 전기적 운용을 위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 절연저항은 직류 500볼트 절연저항계로 측정하는 경우 적절한 저항은 10[MΩ] 이상이어야 한다. 이는 안전한 전기적 운용을 위한 규정으로, 저항이 이보다 낮으면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10[MΩ] 이상의 저항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업법령에서 규정하는 정보통신기술자 중 고급 기술자의 인정범위로 옳은 것은?

  1. 기술사
  2. 기사 자격 취득 후 3년 이상 공사업무를 수행한 자
  3. 산업기사 자격 취득 후 8년 이상 공사업무를 수행한 자
  4. 기능사 자격 취득 후 10년 이상 공사업무를 수행한 자
(정답률: 64%)
  • 정답은 "산업기사 자격 취득 후 8년 이상 공사업무를 수행한 자"입니다. 이유는 정보통신공사업법령에서 고급 기술자로 인정되기 위해서는 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하고 8년 이상의 경력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정보통신공사업법령에서 규정하는 고급 기술자의 인정범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전송망사업용설비와 수신자설비의 분계점에서 수신자에게 종합유선방송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설비 및 선로설비에 대한 세부기술 기준은 어디에서 정하여 고시하는가?

  1. 한국유선방송협회
  2. 국립전파연구원
  3. 산업통상자원부
  4. 미래창조과학부
(정답률: 69%)
  • 전송망사업용설비와 수신자설비의 분계점에서 수신자에게 종합유선방송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설비 및 선로설비에 대한 세부기술 기준은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정하여 고시합니다. 이는 미래창조과학부가 방송통신기술 분야를 총괄하는 정부기관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전기통신사업을 위하여 사용 중인 전기통신설비를 물리적 또는 기술적 형태에 따라 바르게 분류하여 나타낸 것은?

  1. 교환설비, 전송설비, 선로설비, 단말설비, 정보처리설비, 전원설비
  2. 교환설비, 송신설비, 수신설비, 단말설비, 가공설비, 전원설비
  3. 전송설비, 선로설비, 가공설비, 기간설비, 정보처리설비, 전원설비
  4. 전송설비, 송신설비, 수신설비, 기간설비, 정보처리설비, 전원설비
(정답률: 62%)
  • 정답은 "교환설비, 전송설비, 선로설비, 단말설비, 정보처리설비, 전원설비"입니다.

    - 교환설비: 전화기와 같은 단말기 간의 통화를 연결해주는 장치
    - 전송설비: 통화나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장치
    - 선로설비: 전송설비와 교환설비를 연결하는 물리적인 전선이나 케이블 등
    - 단말설비: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는 기기로, 전화기나 컴퓨터 등
    - 정보처리설비: 통신망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장치
    - 전원설비: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로, 통신설비가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전기를 공급합니다.

    따라서, "교환설비, 전송설비, 선로설비, 단말설비, 정보처리설비, 전원설비"가 올바른 분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의 하자담보 책임기간이 다른 하나는?

  1. 터널시 통신구공사
  2. 전송설비공사
  3. 교환기설치공사
  4. 위성통신설비공사
(정답률: 72%)
  • 정보통신공사의 하자담보 책임기간은 일반적으로 1년이지만, "터널시 통신구공사"는 터널 내부에 설치되는 통신시설을 담당하기 때문에 다른 공사들과는 달리 보다 긴 기간의 책임기간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공사를 설계하는 사람이 정보통신공사업법 및 같은 법 시행령에서 정하는 기술기준에 적합하게 설계하여야 한다면, 감리원은 무엇에 적합하도록 공사를 감리하여야 하는가?

  1. 품질기준 및 안전기준
  2. 기술기준 및 설계기준
  3. 공사시방서 및 내역서
  4. 설계도서 및 관련규정
(정답률: 47%)
  • 감리원은 공사가 정보통신공사업법 및 같은 법 시행령에서 정하는 기술기준에 적합하게 설계되었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따라서 감리원은 설계도서 및 관련규정에 적합하도록 공사를 감리해야 합니다. 설계도서 및 관련규정은 공사의 기술적인 측면을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감리원은 이를 확인하여 공사가 적합한 기술적 수준을 충족시키고 있는지를 판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