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0-03-07)

정보통신산업기사
(2020-03-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전자회로

1. 다음 그림의 정전압 다이오드 회로에서 입력이 ±2[V]변화할 때, 출력전압의 변화는? (단, 제너 다이오드의 내부저항은 rd=4[Ω], 저항은 Rs=200[Ω]이다.)

  1. ±10[mV]
  2. ±20[mV]
  3. ±30[mV]
  4. ±40[mV]
(정답률: 52%)
  • 입력이 ±2[V] 변화할 때, 제너 다이오드의 내부저항인 rd와 저항인 Rs에 의해 전압분배가 일어난다. 이때, 입력전압이 증가하면 제너 다이오드의 전압이 감소하고, 그에 따라 출력전압도 감소한다. 반대로 입력전압이 감소하면 제너 다이오드의 전압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출력전압도 증가한다.

    제너 다이오드의 전압은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차이인 Vi-Vo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입력전압이 ±2[V] 변화할 때, 제너 다이오드의 전압 변화는 4[V]이다.

    제너 다이오드의 전압 변화에 따라 출력전압의 변화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ΔVo = -ΔVi × (rd/(rd+Rs))

    여기서, ΔVi = 4[V], rd = 4[Ω], Rs = 200[Ω] 이므로,

    ΔVo = -4[V] × (4[Ω]/(4[Ω]+200[Ω])) = -0.08[V] = -80[mV]

    따라서, 입력전압이 ±2[V] 변화할 때, 출력전압의 변화는 ±40[m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제너다이오드에서 제너전압이 10[V], 전력이 5[W]인 경우 최대전류의 크기는?

  1. 0.05[A]
  2. 0.5[A]
  3. 0.05[mA]
  4. 0.5[mA]
(정답률: 66%)
  • 제너다이오드의 전력은 P = VI 이므로, 전류 I = P/V = 5/10 = 0.5[A]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0.5[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그림은 정전압 기본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며, 빈 칸 (a), (b), (c)에 가장 바람직한 회로는?

  1. (a) 스위칭회로, (b) 오차증폭회로, (c) 필터회로
  2. (a) 스위칭회로, (b) 필터회로, (c) 오차증폭회로
  3. (a) 필터회로, (b) 스위칭회로, (c) 오차증폭회로
  4. (a) 오차증폭회로, (b) 필터회로, (c) 스위칭회로
(정답률: 67%)
  • (a) 스위칭회로: 입력 전압을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스위칭 효과를 이용해 출력 전압을 조절하는 회로이므로, 정전압 기본구성도에서 입력 전압을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 전압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b) 필터회로: 스위칭 회로에서 생성된 고주파 신호를 제거하고, 정전압 신호만을 출력하는 회로이므로, 정전압 기본구성도에서 출력 전압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c) 오차증폭회로: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의 차이를 증폭시켜 오차를 보상하는 회로이므로, 정전압 기본구성도에서 출력 전압의 오차를 보상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가장 바람직한 회로 조합은 "(a) 스위칭회로, (b) 필터회로, (c) 오차증폭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베이스 공통 증폭회로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입력저항이 작다.
  2. 출력저항이 크다.
  3. 전류이득은 0.96∼0.98 정도이다.
  4. 출력전압과 입력전압은 역 위상이다.
(정답률: 63%)
  • 베이스 공통 증폭회로의 특징 중에서 "출력전압과 입력전압은 역 위상이다."는 틀린 것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증폭회로에서의 특징이며, 베이스 공통 증폭회로에서는 출력전압과 입력전압이 같은 위상을 가진다. 이는 베이스 공통 증폭회로가 증폭기의 입력으로 사용될 때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공통 컬렉터 증폭기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입력저항이 매우 작다.
  2. 출력저항이 매우 작다..
  3. 전류이득이 매우 작다.
  4. 입출력간 전압위상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정답률: 53%)
  • 정답은 "출력저항이 매우 작다."이다.

    공통 컬렉터 증폭기는 입력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으로 내보내는 회로이다. 이 회로의 특징 중 하나는 출력저항이 매우 작다는 것이다. 이는 출력 신호가 외부 회로에 전달될 때, 출력저항이 작아서 외부 회로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신호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통 컬렉터 증폭기는 외부 회로와의 연결이 용이하며, 신호의 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부궤환(Negative Feedback) 효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안정도가 개선된다.
  2. 이득이 감소한다.
  3. 왜곡이 개선된다.
  4. 입력 임피던스가 작아진다.
(정답률: 59%)
  • 입력 임피던스가 작아진다는 것은 옳지 않은 것입니다. 부궤환은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왜곡을 줄이며, 이득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지만, 입력 임피던스를 작아지게 하는 효과는 없습니다. 입력 임피던스는 시스템의 입력 신호에 대한 저항으로, 부궤환은 출력 신호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두 가지는 서로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차동증폭기의 동위상 신호 제거비(CMRR)를 나타내는 식으로 옳은 것은?

  1. CMRR = 차동 이득 + 동위상 이득
  2. CMRR = 차동 이득 - 동위상 이득
  3. CMRR = 동위상 이득 / 차동 이득
  4. CMRR = 차동 이득 / 동위상 이득
(정답률: 64%)
  • 정답은 "CMRR = 차동 이득 / 동위상 이득"이다.

    차동증폭기는 입력 신호의 차이(차동)를 증폭하고, 공통모드 신호(동위상)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CMRR은 차동 이득과 동위상 이득의 비율로 나타내어진다.

    만약 CMRR이 높다면 차동 신호는 잘 증폭되고, 동위상 신호는 잘 억제되므로 더욱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CMRR은 차동증폭기의 성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발진기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출력신호의 일부를 입력으로 되돌리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정궤환
  2. 부궤환
  3. 종단저항
  4. 고이득
(정답률: 71%)
  • 정궤환은 발진기에서 출력신호의 일부를 입력으로 되돌리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발진기의 안정성을 높이고, 출력신호의 왜곡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발진기에서 주로 사용되며, 다른 보기들은 발진기와는 관련이 없는 용어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회로에서 정현파를 발생시키는 발진기로 동작하기 위한 저항 Rf의 값은? (단, C1=C2=C3=0.001[μF]이고, R1=R2=R3=10[kΩ], R4=5[kΩ]이다.)

  1. 5[kΩ]
  2. 10[kΩ]
  3. 145[kΩ]
  4. 290[kΩ]
(정답률: 60%)
  • 이 회로는 콜피츠 발진기(Colpitts oscillator)로, Rf는 발진주파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발진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 = 1 / (2π√(L(C1C2)/(C1+C2)))

    여기서 L은 인덕터, C1과 C2는 콘덴서이다. 이 식에서 Rf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Rf의 값은 어떤 값이든 상관없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발진주파수를 원하는 값으로 조정하기 위해 Rf의 값을 조정한다. 이 때, Rf의 값이 클수록 발진주파수는 작아지고, Rf의 값이 작을수록 발진주파수는 커진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Rf의 값이 145[kΩ]가 되어야 발진주파수가 원하는 값에 가까워진다고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하틀리 발진기에서 궤환 요소에 해당하는 것은?

  1. 저항성
  2. 용량성
  3. 유도성
  4. 결합성
(정답률: 72%)
  • 하틀리 발진기에서 궤환 요소에 해당하는 것은 "유도성"입니다. 이는 궤환 내부에 자기장을 생성하여 전류를 유도하는 성질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유도성은 하틀리 발진기에서 전류를 생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진폭변조(Amplitude Modulation)의 송신기가 그림과 같은 변조파형을 가질 때 반송파전력이 460[mW]이면, 변조된 출력은 몇 [mW]인가?

  1. 442.8[mW]
  2. 469.4[mW]
  3. 524.6[mW]
  4. 542.8[mW]
(정답률: 51%)
  • 변조된 파형은 최대 진폭이 1.5[V]이고 최소 진폭이 0.5[V]이므로 진폭 변조의 깊이는 다음과 같다.

    $$
    m = frac{A_{max} - A_{min}}{A_{max} + A_{min}} = frac{1.5 - 0.5}{1.5 + 0.5} = 0.5
    $$

    반송파 전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P_c = frac{V_{cc}^2}{8R} = frac{(12)^2}{8 times 50} = 18[mW]
    $$

    변조된 출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P_{AM} = P_c times frac{m^2}{2} = 18 times frac{0.5^2}{2} = 2.25[mW]
    $$

    따라서, 정답은 "542.8[mW]"이 아닌 "2.25[m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주파수변조(Frequency Modulation) 방식에서 다음 중 주파수 대역폭과 최대 주파수 편이의 관계가 옳은 것은?

  1. 주파수 대역폭은 최대 주파수 편이의 2배이다.
  2. 주파수 대역폭은 최대 주파수 편이의 3배이다.
  3. 주파수 대역폭은 최대 주파수 편이의 4배이다.
  4. 주파수 대역폭은 최대 주파수 편이의 5배이다.
(정답률: 78%)
  • 정답은 "주파수 대역폭은 최대 주파수 편이의 2배이다." 이다. 주파수 대역폭은 최대 주파수 편이 얼마나 크냐에 따라 결정되는데, 주파수 변조에서는 최대 주파수 편이 주파수 대역폭의 절반만큼 변화하게 된다. 이는 주파수 변조 신호의 스펙트럼이 대칭적인 형태를 띄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파수 대역폭은 최대 주파수 편이의 2배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펄스의 주기와 진폭은 일정하고, 펄스의 폭을 입력신호에 따라 변화시키는 변조 방식은?

  1. PAM(Pulse Amplitude Modulation)
  2. PWM(Pulse Width Modulation)
  3. PPM(Pulse Position Modulation)
  4. PCM(Pulse Code Modulation)
(정답률: 69%)
  • PWM은 펄스의 폭을 입력신호에 따라 변화시키는 변조 방식이다. 따라서 주기와 진폭은 일정하게 유지되며, 입력신호의 크기에 따라 펄스의 폭이 변화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PWM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QPSK에서 반송파의 위상차는?

  1. π/2
  2. π
  3. 3π/2
(정답률: 72%)
  • QPSK에서는 2개의 비트를 1개의 심볼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이 때, 1개의 심볼은 4개의 가능한 위상차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2개의 비트를 I (In-phase)와 Q (Quadrature) 신호로 분리하여, I 신호와 Q 신호를 각각 90도 위상차를 가진 캐리어 신호와 곱하여 위상차를 조절한다. 이 때, I 신호와 Q 신호가 0일 때와 1일 때, 캐리어 신호의 위상차가 각각 π/4, 3π/4, 5π/4, 7π/4가 되도록 조절한다. 따라서, 캐리어 신호의 위상차는 π/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멀티바이브레이터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파형에 고차의 고조파를 포함하고 있다.
  2. 부성저항을 이용한 발진기이다.
  3. 극초단파 발생에 적합하다.
  4. 회로의 시정수로 신호의 진폭이 결정된다.
(정답률: 52%)
  • 정답은 "파형에 고차의 고조파를 포함하고 있다."이다. 멀티바이브레이터는 여러 개의 RC 회로가 결합된 회로로, 이 때 파형이 반복되는 주기가 길어질수록 고조파의 주파수가 높아지기 때문에 고차의 고조파를 포함하게 된다. 이는 멀티바이브레이터의 특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슈미트 트리거 회로에서 최대 루프 이득을 1 이 되도록 조정하면 어떻게 되는가?

  1. 회로의 응답속도가 떨어진다.
  2. 루프 이득을 정확하게 1로 유지하면서 높은 안정도를 갖는다.
  3. 스스로 Reset 할 수 있다.
  4. 아날로그 정현파가 발생한다.
(정답률: 54%)
  • 슈미트 트리거 회로에서 최대 루프 이득을 1로 조정하면, 회로는 극도로 안정적인 상태가 되지만, 이는 회로의 응답속도를 떨어뜨리게 된다. 이는 회로가 입력 신호의 변화를 더 느리게 감지하고 반응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루프 이득을 정확하게 1로 유지하면서 높은 안정도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TTL 게이트에서 스위칭 속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다이오드는?

  1. 바랙터 다이오드
  2. 제너 다이오드
  3. 쇼트키 다이오드
  4. 정류 다이오드
(정답률: 71%)
  • 쇼트키 다이오드는 전기적으로 빠른 반응속도를 가지고 있어 TTL 게이트에서 스위칭 속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쇼트키 다이오드가 PN 접합부에서의 빠른 충전 및 방전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쇼트키 다이오드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순서 논리 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입력 신호와 순서 논리 회로의 현재 출력상태에 따라 다음 출력이 결정된다.
  2. 조합 논리 회로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없다.
  3. 순서 논리 회로의 예로 카운터, 레지스터 등이 있다.
  4. 데이터의 저장 장소로 이용 가능하다.
(정답률: 69%)
  • "조합 논리 회로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없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순서 논리 회로는 조합 논리 회로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유를 설명할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3개의 T 플립플롭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첫 단에 1,000[Hz]의 구형파를 가해주면 최종 플립플롭에서의 출력 주파수는 얼마인가?

  1. 3,000[Hz]
  2. 333[Hz]
  3. 167[Hz]
  4. 125[Hz]
(정답률: 63%)
  • 3개의 T 플립플롭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입력 주파수가 1/2씩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첫 번째 플립플롭에서는 1,000[Hz]의 주파수가 입력되지만, 두 번째 플립플롭에서는 500[Hz], 세 번째 플립플롭에서는 250[Hz]의 주파수가 입력된다. 마지막으로 출력되는 주파수는 세 번째 플립플롭에서 출력되는 250[Hz]의 주파수이므로, 정답은 "125[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Access Time이 가장 짧은 것은?

  1. 자기 디스크
  2. RAM
  3. 자기 테이프
  4. 광 디스크
(정답률: 67%)
  • RAM은 데이터에 직접 액세스할 수 있기 때문에 Access Time이 가장 짧습니다. 자기 디스크, 자기 테이프, 광 디스크는 모두 회전하는 디스크나 테이프를 통해 데이터에 액세스하기 때문에 RAM보다 Access Time이 더 길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정보통신기기

21. 다음 중 DTE와 DCE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절차적인 조건들을 표준화한 것은?

  1. 토폴로지
  2. DCC 아키텍처
  3. DTE/DCE 인터페이스
  4. 참조 모형
(정답률: 84%)
  • DTE와 DCE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장비들이기 때문에 상호 연결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절차적인 조건들을 표준화한 것이 DTE/DCE 인터페이스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DTE/DCE 인터페이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정보단말기의 구성 부분 중 전송제어장치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입출력 제어부
  2. 회선 제어부
  3. 입출력 변환부
  4. 회선 접속부
(정답률: 64%)
  • 전송제어장치의 구성요소는 "입출력 제어부", "회선 제어부", "회선 접속부"이다. "입출력 변환부"는 정보단말기의 구성요소 중 하나이지만 전송제어장치의 구성요소는 아니다. 입출력 변환부는 입력된 데이터를 정보단말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거나, 정보단말기에서 출력할 데이터를 외부에서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정보 단말기의 고기능화 요소로 틀린 것은?

  1. 다기능화
  2. 고가화
  3. 지능화
  4. 복합화
(정답률: 82%)
  • 정답: "고가화"

    설명: 다기능화, 지능화, 복합화는 모두 정보 단말기의 고기능화 요소이지만, 고가화는 가격이 비싸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보 단말기의 고기능화를 위해서는 고가화가 필수적이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모뎀과 제한된 기능의 다중화기가 혼합된 형태의 변복조기로서 고속 동기식 모뎀에 시분할 다중화 기기를 하나로 합친 것은?

  1. 멀티포트 모뎀
  2. 멀티포인트 모뎀
  3. 고속 모뎀
  4. 광대역 모뎀
(정답률: 69%)
  • 멀티포트 모뎀은 모뎀과 다중화기를 합친 형태로, 여러 대의 컴퓨터를 하나의 인터넷 회선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 모뎀은 고속 동기식 모뎀과 시분할 다중화 기능을 모두 갖추고 있어서,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여러 대의 컴퓨터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멀티포트 모뎀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많이 사용되며, 대규모 기업이나 학교 등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국내에서 종합유선방송을 포함한 방송공동수신설비에 사용되지 않고 있는 디지털 변·복조방식은?

  1. PAL
  2. 8VSB
  3. QPSK
  4. 256QAM
(정답률: 58%)
  • PAL은 아날로그 방식의 텔레비전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디지털 변·복조방식이 아닙니다. 따라서 국내에서 종합유선방송을 포함한 방송공동수신설비에 사용되지 않고 있는 디지털 변·복조방식은 PAL이 아닌 8VSB, QPSK, 256QA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DSU(Digital Service Unit)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LAN 또는 WAN 상에서 디지털 전용회선 연결에 사용된다.
  2. 단말기가 디지털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필요하다.
  3. 정확한 동기 유지를 위한 Clock 추출회로가 있다.
  4. 음성급 전용망에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등화기와 AGC가 필요하다.
(정답률: 77%)
  • DSU(Digital Service Unit)의 특징 중에서 "음성급 전용망에서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등화기와 AGC가 필요하다."는 특징이 아닙니다. DSU는 LAN 또는 WAN 상에서 디지털 전용회선 연결에 사용되며, 단말기가 디지털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때 필요합니다. 또한, 정확한 동기 유지를 위한 Clock 추출회로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가입자와 직접 연결되지 않고 시내교환기를 서로 연결해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1. 가입자선로
  2. 시외중계선
  3. 중계교환기
  4. 시외교환기
(정답률: 77%)
  • 중계교환기는 가입자와 직접 연결되지 않고 시내교환기를 서로 연결해 주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가입자와 직접적인 연결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중계교환기를 사용하여 통신을 이어나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두 개의 랜을 연결하여 확장된 랜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며 ISO 7 Layer의 2계층에서 이용되는 장비는?

  1. 게이트웨이
  2. 리피터
  3. 라우터
  4. 브리지
(정답률: 73%)
  • 브리지는 두 개의 랜을 연결하여 확장된 랜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며, 이를 위해 MAC 주소를 이용하여 패킷을 전달하는 장비입니다. 따라서 ISO 7 Layer의 2계층에서 이용됩니다. 반면 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장비이고, 리피터는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 거리를 늘리는 역할을 합니다. 라우터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패킷 전달을 담당하며, IP 주소를 이용하여 패킷을 전달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브리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계층별로 일반적으로 소요될 인터네트워킹 장비를 알맞게 구성한 것은?

  1. ⓐ 리피터, ⓑ 브리지
  2. ⓑ 브리지, ⓒ 라우터
  3. ⓒ 라우터, ⓓ 게이트웨이
  4. ⓐ 게이트웨이, ⓓ 리피터
(정답률: 77%)
  • 이미지에서는 먼저 리피터로 신호를 증폭시키고, 브리지로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라우터로 패킷을 전달하며, 마지막으로 게이트웨이로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합니다. 따라서 계층별로 일반적으로 소요될 인터네트워킹 장비는 "ⓐ 게이트웨이, ⓓ 리피터"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전화기의 주요 성능으로 접속률(Make Radio)과 절단률(Break Radio) 이 있다. 접속률[%]을 구하는 공식으로 맞는 것은? (단, a : 접속시간, b : 절단시간)

(정답률: 74%)
  • 정답은 "" 이다.

    접속률은 (접속시간 / (접속시간 + 절단시간)) x 100 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이 공식과 일치하는 것은 "" 이다.

    이 공식은 전체 시간 중에서 실제로 접속한 시간의 비율을 구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전화기를 1시간 동안 사용했는데 그 중에서 30분 동안 실제로 전화를 걸었다면, 접속률은 (30 / 60) x 100 = 50%가 된다. 이를 통해 전화기의 사용 효율성을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교환기에서 가입자 선을 정합하는 가입자 회로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Charging
  2. Battery Feed
  3. Coding, Decoding
  4. Over-voltage Protection
(정답률: 72%)
  • "Charging"은 가입자 회로의 기능이 아닙니다. 교환기에서 "Charging"은 배터리 충전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화상통신회의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영상 시스템부
  2. 제어 시스템부
  3. 음향 시스템부
  4. 망분배 시스템부
(정답률: 82%)
  • 망분배 시스템부는 화상통신회의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기본적인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다른 세 가지 부분인 영상 시스템부, 제어 시스템부, 음향 시스템부는 화상통신회의 시스템에서 필수적인 구성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디지털TV와 IPTV 방송의 영상압축 전송기술 방식이 아닌 것은?

  1. MPEG4
  2. H.264
  3. MPEG2
  4. AC3
(정답률: 74%)
  • AC3은 오디오 코덱으로, 영상압축 전송기술 방식이 아닙니다. MPEG4, H.264, MPEG2은 모두 영상압축 전송기술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위성의 통신영역은 위성의 고도(h)와 지구국 안테나의 통신가능 최저 양각(θ)의 함수관계로 표시할 수 있다. 다음 중 수식으로 옳은 것은? (단, R : 지구의 반경, β : 커버하는 범위의 중심각)

(정답률: 68%)
  • 수식으로 옳은 것은 이다.

    이유는 위성의 통신영역은 위성과 지구국 안테나 사이의 직선 거리가 일정한 영역이므로,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d = √(h^2 + R^2 - 2hRcosθ)

    여기서 d는 위성과 지구국 안테나 사이의 직선 거리이고, h는 위성의 고도, R은 지구의 반경, θ는 지구국 안테나의 통신가능 최저 양각이다.

    위 식에서 cosθ는 음수가 될 수 없으므로, 최저 양각이 90도일 때(cos90 = 0) d가 최소가 된다. 따라서 최소 거리인 dmin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dmin = √(h^2 + R^2)

    이를 이용하여 위성의 통신영역을 나타내는 수식은 다음과 같다.

    d ≤ √(h^2 + R^2)

    즉, 위성과 지구국 안테나 사이의 직선 거리 d가 위 식의 우변 값보다 작거나 같을 때에만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위성에 정착되는 안테나의 종류와 기능이 틀리게 연결된 것은?

  1. 무지향성 안테나 - 명령 및 텔리메트리 신호 통신
  2. 파라보라 안테나 - 스폿빔(Spot Beam)을 만드는데 사용
  3. 혼 안테나 - 넓은 지역을 커버하는 빔(Beam)을 만드는데 사용
  4. 야기 안테나 - 위성궤도상 위치 및 자세제어로 사용
(정답률: 68%)
  • 야기 안테나는 위성의 위치와 자세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안테나이지만, 위 문제에서는 다른 안테나들과 기능이 틀리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다른 안테나들은 명령 및 텔리메트리 신호 통신, 스폿빔 생성, 넓은 지역 커버 빔 생성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야기 안테나는 위성의 위치와 자세를 제어하는 데에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이동통신망에서 전력제어의 목적과 거리가 먼 것은?

  1. 자기 기지국 통화용량의 최대화
  2. 단말기 배터리 수명 연장
  3. 인접 기지국 통화 용량의 최대화
  4. 기지국 소모전력의 최소화
(정답률: 59%)
  • 단말기 배터리 수명 연장은 이동통신망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목적이며, 인접 기지국 통화 용량의 최대화와 자기 기지국 통화용량의 최대화는 이동통신망에서 효율적인 통화를 위한 목적이다. 하지만 기지국 소모전력의 최소화는 이동통신망에서 전력 절약을 위한 목적으로, 이동통신망과 거리가 먼 목적이다. 이는 이동통신망이 지속적으로 전력을 소모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최소화하여 환경 보호와 경제적인 이점을 얻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멀티미디어 저작도구의 종류 구분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타임라인 방식
  2. 페이지 방식
  3. 광학저장 방식
  4. 아이콘 방식
(정답률: 65%)
  • 광학저장 방식은 멀티미디어 저작도구의 종류가 아니라 저장 방식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다른 세 가지 방식은 모두 멀티미디어 저작도구의 종류로, 타임라인 방식은 시간 순서대로 미디어를 배치하는 방식, 페이지 방식은 페이지 단위로 미디어를 배치하는 방식, 아이콘 방식은 아이콘을 이용하여 미디어를 배치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작업에 필요한 정보가 클라우드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스마트기기를 가지고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일을 할 수 있는 체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스마트 워크(Smart Work)
  2. 스마트 러닝(Smart Learning)
  3. 스마트 뱅킹(Smart Bank)
  4. 스마트 상점(Smart Store)
(정답률: 85%)
  • 정답: 스마트 워크(Smart Work)

    스마트 워크는 클라우드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일을 할 수 있는 체계를 말합니다. 작업자가 스마트기기를 가지고 있으면 작업에 필요한 정보를 언제든지 접근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일의 장소와 시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유연하게 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마트 워크는 일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미디어 분류 중 프리젠테이션 매체의 출력장치로서 거리가 먼 것은?

  1. 프린터
  2. 스피커
  3. 플래시 메모리
  4. 모바일 기기
(정답률: 80%)
  • 프린터, 스피커, 모바일 기기는 모두 프리젠테이션 매체의 출력장치로서 거리가 먼 것이 아니라, 사용자와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출력물이나 소리를 즉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플래시 메모리는 출력장치가 아니라 저장장치이며, 출력물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컴퓨터나 모바일 기기 등의 출력장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플래시 메모리는 프리젠테이션 매체의 출력장치로서 거리가 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3DTV의 안경식 디스플레이 종류가 아닌 것은?

  1. 편광방식
  2. 셔터글라스방식
  3. 광학입체방식
  4. 렌티큘라방식
(정답률: 73%)
  • 렌티큘라방식은 3D 효과를 내기 위해 렌티큘라라는 특수한 필름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안경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안경식 디스플레이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정보전송개론

41. T1 전송시스템은 한 프레임 당 125[μs] 시간 동안 총 24채널을 다중화한다. 이 때 전송로 상의 전송속도는 얼마인가?

  1. 1.544[Mbps]
  2. 2.048[Mbps]
  3. 6.312[Mbps]
  4. 1.536[Mbps]
(정답률: 71%)
  • T1 전송시스템은 24채널을 다중화하므로, 한 채널당 전송속도는 다음과 같다.

    1.544[Mbps] / 24 = 0.064[Mbps]

    따라서, 전송로 상의 전송속도는 24채널의 전송속도를 합한 값이므로 다음과 같다.

    0.064[Mbps] x 24 = 1.544[Mbps]

    즉, T1 전송시스템의 전송로 상의 전송속도는 1.544[Mbp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PCM은 어떤 디지털 부호화 기술을 사용하는가?

  1. 압축 부호화 방식
  2. 보코딩 방식
  3. 채널 부호화 방식
  4. 파형 부호화 방식
(정답률: 59%)
  • PCM은 파형 부호화 방식을 사용한다. 이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때, 신호의 크기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이를 이진수로 표현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원래 아날로그 신호와 거의 동일한 파형을 가지며, 이를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복원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예측 양자화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1. DPCM
  2. DM
  3. PCM
  4. ADM
(정답률: 65%)
  • PCM은 예측 양자화를 사용하지 않는다. PCM은 입력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여 얻은 디지털 신호를 직접 양자화하여 표현한다. 따라서 PCM은 예측 양자화를 사용하지 않는다. DPCM, DM, ADM은 모두 예측 양자화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입력 신호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변조하는 변조방식은?

  1. QAM
  2. PSK
  3. ASK
  4. FSK
(정답률: 80%)
  • QAM은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의 약자로, 입력 신호를 I (In-phase)와 Q (Quadrature) 두 개의 신호로 분리하여 각각 진폭과 위상을 변조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입력 신호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변조할 수 있습니다. PSK는 위상을 변조하고, ASK는 진폭을 변조하며, FSK는 주파수를 변조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TP케이블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두가닥의 절연 구리선이 감겨 있는 케이블이다.
  2. STP케이블과 UTP케이블이 있다.
  3. 근거리 통신망에서 가장 대중화된 전송매체이다.
  4. 전기적 신호의 간섭이나 잡음에 매우 강하다.
(정답률: 67%)
  • 전기적 신호의 간섭이나 잡음에 매우 강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TP케이블은 전기적 신호의 간섭이나 잡음에 취약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STP케이블이나 UTP케이블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UTP 케이블을 이용하여 공장 내 통신기기를 직접 연결하고자 한다. UTP 케이블의 손실이 5[dB]일 때 케이블의 길이는? (단, UTP 케이블 감쇠 손실은 2.5[dB/km]이다.)

  1. 0.5[km]
  2. 1[km]
  3. 1.5[km]
  4. 2[km]
(정답률: 70%)
  • UTP 케이블의 감쇠 손실은 2.5[dB/km]이므로, 케이블의 길이가 x[km]일 때 손실은 2.5x[dB]이다. 문제에서 주어진 손실은 5[dB]이므로, 2.5x = 5를 만족하는 x를 구하면 된다. 이를 풀면 x = 2[km]이므로, 정답은 "2[k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광통신에서 사용되는 발광소자는?

  1. VD(Varactor Diode)
  2. PIN 다이오드(PIN Diode)
  3. APD(Avalanche Photo Diode)
  4. LD(Laser Diode)
(정답률: 76%)
  • 광통신에서는 빛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이를 위해 발광소자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LD(Laser Diode)는 레이저를 발생시켜 매우 집중된 광선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빛의 집중성과 강도가 뛰어나고 멀리까지 전송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광통신에서는 LD가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이동통신에서 MSC(Mobile Switching Center)가 단말기의 위치를 탐색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핸드오프
  2. 핸드온
  3. 페이징
  4. 수신
(정답률: 70%)
  • MSC가 단말기의 위치를 탐색하는 것을 "페이징"이라고 한다. 이는 MSC가 단말기에게 특정 채널을 할당하여 호출하는 것으로, 단말기가 해당 채널을 수신하면 MSC는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MSC는 페이징을 통해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통화나 데이터 전송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프로토콜의 전송방식은?

  1. 문자(중심)방식
  2. 바이트(중심)방식
  3. 비트(중심)방식
  4. 혼합동기방식
(정답률: 68%)
  • HDLC 프로토콜의 전송방식은 비트(중심)방식입니다. 이는 데이터를 비트 단위로 전송하며,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비트 패턴을 사용하여 동기화를 유지합니다. 이 방식은 전송 효율이 높고 오류 검출 및 복구 기능이 강화되어 있어 신뢰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전화교환기에서 신호 정보를 집중 처리하는 특성에 의해 적용되는 방식으로 신호 회선과 통화 회선이 분리되어 있는 신호 방식은?

  1. 집중 신호 방식
  2. 통화로 신호 방식
  3. 개별선 신호 방식
  4. 공통선 신호 방식
(정답률: 64%)
  • 전화교환기에서 신호 정보를 집중 처리하는 특성에 의해, 여러 개의 통화 회선을 하나의 신호 회선으로 집중시켜 처리하는 방식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공통선 신호 방식이 적용된다. 이 방식은 여러 개의 통화 회선을 하나의 신호 회선으로 연결하고, 각 통화 회선은 공통된 신호 회선을 통해 전송된다. 이 방식은 회선 수를 줄일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전송 속도도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디지털 정보통신시스템이 9,600[bps]로 동작하여야 할 경우 신호요소가 4[bit]로 인코드된다면 이상적인 전송채널에서 최소 얼마의 대역폭을 지녀야 하는가?

  1. 1,200[Hz]
  2. 2,400[Hz]
  3. 4,800[Hz]
  4. 9,600[Hz]
(정답률: 78%)
  • 디지털 정보통신시스템에서는 1초당 전송되는 비트수를 전송속도라고 하며, 이를 bps(bit per second) 단위로 표현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전송속도가 9,600[bps]이 주어졌다.

    신호요소가 4[bit]로 인코드된다는 것은, 하나의 신호요소가 4개의 비트로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1초당 전송되는 신호요소의 수는 9,600[bps] / 4[bit] = 2,400[Hz]가 된다.

    따라서, 이상적인 전송채널에서는 최소 2,400[Hz]의 대역폭을 지녀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Baseband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신호가 원래 가지고 있는 주파수 범위이다.
  2.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옮기는 것이다.
  3. 주파수 영역에서 신호의 스펙트럼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4. 변조방식을 말한다.
(정답률: 65%)
  • Baseband는 신호가 원래 가지고 있는 주파수 범위를 말합니다. 이는 신호가 생성될 때 가지고 있는 주파수 대역을 의미하며, 이를 변조하여 다른 주파수 대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원래의 주파수 대역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신호가 원래 가지고 있는 주파수 범위이다."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OSI 7계층에서 상위계층에 해당되는 것은?

  1. 물리계층, 전달계층, 표현계층, 응용계층
  2. 전달계층, 세션계층, 표현계층, 응용계층
  3. 네트워크계층, 세션계층, 표현계층, 응용계층
  4. 네트워크계층, 전달계층, 표현계층, 응용계층
(정답률: 82%)
  • 정답은 "응용계층"이다. OSI 7계층에서는 물리계층, 데이터링크계층, 네트워크계층, 전송계층, 세션계층, 표현계층, 응용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응용계층은 사용자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계층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메일, 파일 전송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위계층에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ISO에서 제정한 OSI 7계층 중 제 6계층에 해당되는 것은?

  1. 응용계층
  2. 물리계층
  3. 표현계층
  4. 전송계층
(정답률: 82%)
  • 표현계층은 데이터의 형식을 정의하고 암호화, 복호화, 압축 등의 기능을 수행하여 상위 계층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를 하위 계층에서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제 6계층은 표현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OSI 계층(Layer) 중 네트워크계층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계층(Layer) 3에 해당한다.
  2. 경로를 선택하고, 주소를 정하고, 경로에 따라 패킷을 전달한다.
  3. 이 계층에 속하는 장비로 라우터가 있다.
  4. 통신케이블, 리피터, 허브 등의 장비가 이 계층에 속한다.
(정답률: 76%)
  • 정답은 "통신케이블, 리피터, 허브 등의 장비가 이 계층에 속한다." 이다. 이유는 이러한 장비들은 물리계층에서 동작하며, 네트워크계층에서는 경로 선택과 주소 정의 등의 논리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 계층에 속하지 않는다. 네트워크계층에 속하는 장비로는 라우터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의 정보통신망 구성방식 중 각 컴퓨터나 터미널 들이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만 연결하는 방식은?

  1. 메시형(Mesh Type)
  2. 성형(Star Type)
  3. 링형(Ring Type)
  4. 버스형(Bus Type)
(정답률: 73%)
  • 링형 구성방식은 각 컴퓨터나 터미널들이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만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각 노드가 순환하는 링 형태로 연결되어 있으며, 데이터는 한 방향으로만 전송됩니다. 따라서 데이터 충돌이나 전송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고, 전송 속도도 일정합니다. 하지만 노드가 추가되거나 제거될 때 전체 구성이 바뀌어야 하므로 유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IP address 체계의 C class에 유효한 주소는 무엇인가?

  1. 35.152.68.39
  2. 202.96.48.5
  3. 36.224.250.92
  4. 128.96.48.5
(정답률: 74%)
  • IP address 체계에서 C class는 첫 번째 세그먼트가 192~223 사이의 숫자로 시작하는 주소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202.96.48.5"는 C class에 해당하는 유효한 주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VLAN에서 트래픽을 전달하도록 설계된 표준 프로토콜로 옳은 것은?

  1. ISL
  2. VNET
  3. 802.1Q
  4. 802.11A
(정답률: 55%)
  • VLAN에서 트래픽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준 프로토콜은 802.1Q입니다. 이 프로토콜은 VLAN 태그를 사용하여 트래픽을 식별하고 분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VLAN 태그는 Ethernet 프레임에 추가되며, 이를 통해 스위치는 트래픽을 올바른 VLAN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인 "ISL"은 Cisco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며, "VNET"은 가상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VMware의 프로토콜입니다. "802.11A"는 무선 LAN을 위한 표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서로 다른 컴퓨터에서 동작하고 있는 두 개의 응용 계층 프로토콜 개체가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대화를 관리하고 조정하는 계층으로 옳은 것은?

  1. 표현 계층
  2. 응용 계층
  3. 전송 계층
  4. 세션 계층
(정답률: 53%)
  • 세션 계층은 서로 다른 컴퓨터에서 동작하는 응용 계층 프로토콜 개체 간의 대화를 관리하고 조정하는 계층입니다. 이 계층은 데이터 전송의 시작과 끝을 관리하며, 데이터 전송 중에 발생하는 오류나 중단 등의 문제를 처리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서로 다른 컴퓨터에서 동작하는 응용 계층 프로토콜 개체 간의 대화를 관리하고 조정하는 계층은 세션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두 부호어의 비트열이 A=(100100), B=(010100)일 때 두 부호어의 해밍거리는?

  1. 1
  2. 2
  3. 3
  4. 4
(정답률: 75%)
  • 해밍 거리란 두 비트열 간에 다른 위치의 비트 개수를 의미합니다. A와 B를 비교해보면 첫 번째와 네 번째 비트가 다르므로, 해밍 거리는 2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자계산기일반 및 정보설비기준

61. 주 기억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하나하나씩 인출하여 연산코드 부분을 해석한 다음 해석한 결과에 따라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여 각각의 연산 장치와 메모리에 지시 신호를 내는 것은?

  1. 연산 논리 장치(ALU)
  2. 입출력 장치(I/O Unit)
  3. 채널(Channel)
  4. 제어 장치(Control Unit)
(정답률: 55%)
  • 주 기억장치에 저장된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연산 장치와 메모리에 지시 신호를 내야 합니다. 이러한 지시 신호를 내는 역할을 하는 것이 제어 장치(Control Unit)입니다. 제어 장치는 명령어를 해석하여 적합한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각각의 장치에 전달하여 명령어를 실행시킵니다. 따라서 제어 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컴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핵심적인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2진수 10101101.0101을 8진수로 변환한 것 중 옳은 것은?

  1. 255.22
  2. 255.23
  3. 255.24
  4. 3E.A1
(정답률: 72%)
  • 2진수 10101101.0101을 8진수로 변환하면 255.24가 된다. 이유는 2진수를 3자리씩 끊어서 8진수로 변환하면 된다. 101 011 010 1.01을 8진수로 변환하면 5 3 2 1.2가 된다. 따라서 10101101.0101은 255.24로 변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수치 데이터의 표현방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수치 데이터를 표현할 때는 부호, 크기, 소수점 등으로 표시하는데 소수점은 고정소수점 표현방식과 부동소수점 표현방식이 있다.
  2. 고정소수점 방식에서 정수는 소수점이 수의 맨 왼쪽 끝에 있다고 가정한 것이고, 소수는 소수점이 맨 오른쪽 끝에 있다고 가정한 것이다.
  3. 소수점의 위치가 어느 한곳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을 고정소수점 방식이라 한다.
  4. 고정소수점 방식은 주로 정수로 표현하는데 사용된다.
(정답률: 64%)
  • 고정소수점 방식에서 정수는 소수점이 수의 맨 왼쪽 끝에 있다고 가정한 것이고, 소수는 소수점이 맨 오른쪽 끝에 있다고 가정한 것은 맞는 설명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틀린 것은 없습니다.

    고정소수점 방식은 소수점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며, 주로 정수로 표현하는데 사용됩니다. 이와 달리 부동소수점 방식은 소수점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지수와 가수로 표현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원시 프로그램에서 나타난 토큰의 열을 그 언어의 문법에 맞도록 만든 트리(Tree)는?

  1. Parse Tree
  2. Binary Tree
  3. Binary Search Tree
  4. Skewed Tree
(정답률: 56%)
  • 원시 프로그램에서 나타난 토큰의 열을 그 언어의 문법에 맞게 구문 분석하여 만든 트리를 Parse Tree라고 한다. 이는 문법 규칙에 따라 토큰들이 연결되어 구성된 트리로, 프로그램의 구조와 실행 흐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Parse Tree"가 정답이다. Binary Tree는 노드가 최대 두 개의 자식 노드를 가지는 트리를 의미하며, Binary Search Tree는 이진 탐색을 위해 정렬된 트리를 의미한다. Skewed Tree는 한쪽 방향으로만 뻗어나가는 비대칭적인 트리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운영체제의 기능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한다.
  2. 소프트웨어의 오류를 처리한다.
  3. 사용자간의 자원 사용을 관리한다.
  4. 입출력을 지원한다.
(정답률: 53%)
  • 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의 오류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소프트웨어의 오류 처리는 개발자나 디버깅 도구 등이 담당합니다. 운영체제는 사용자와 컴퓨터 간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하고, 사용자간의 자원 사용을 관리하며, 입출력을 지원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컴퓨터가 인식하는 명령어를 논리적으로 순서에 맞게 나열하여, 어떤 기능을 처리하게 해주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하드웨어
  2. 소프트웨어
  3. 부울대수
  4. 논리회로
(정답률: 55%)
  • 소프트웨어는 컴퓨터가 인식하는 명령어를 논리적으로 순서에 맞게 나열하여, 어떤 기능을 처리하게 해주는 것을 말합니다. 하드웨어는 컴퓨터를 구성하는 물리적인 부품들을 의미하며, 부울대수와 논리회로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구성하는 논리적인 개념입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32비트 컴퓨터에서 8 Full Word와 6 Nibble은 각각 몇 비트인가?

  1. 256비트, 48비트
  2. 128비트, 24비트
  3. 256비트, 24비트
  4. 128비트, 48비트
(정답률: 63%)
  • 32비트 컴퓨터에서 1 Full Word는 32비트이므로 8 Full Word는 8 x 32비트 = 256비트이다. 또한, 1 Nibble은 4비트이므로 6 Nibble은 6 x 4비트 = 24비트이다. 따라서 정답은 "256비트, 24비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마이크로컨트롤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ALU와 CU, Register를 포함하고 있다.
  2. 자동적으로 제품이나 장치를 제어하는데 사용한다.
  3. 제품군에는 AVR시리즈와 PIC, 8051 이 있다.
  4. 구성요소 중에는 타이머와 SPI, ADC, UART, RS-232 등의 입출력 모듈도 필요하다.
(정답률: 47%)
  • "ALU와 CU, Register를 포함하고 있다."가 틀린 설명이 아니다. 마이크로컨트롤러는 ALU와 CU, Register를 포함하는 CPU를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직접 이해할 수 있는 프로그램 언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기계어
  2. 어셈블리어
  3. C 언어
  4. Verilog HDL
(정답률: 71%)
  • 기계어는 0과 1로 이루어진 컴퓨터가 직접 이해할 수 있는 프로그램 언어이다.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컴파일러나 인터프리터를 통해 기계어로 변환되어야 하지만, 기계어는 이 과정 없이 바로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직접 이해할 수 있는 프로그램 언어는 기계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명령어의 주소 부분이 그대로 유효 명령어의 주소 필드에 나타나고 분기 형식의 명령어에서는 실제 분기할 주소를 나타내는 주소 모드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상대 주소 모드
  2. 직접 주소 모드
  3. 간접 주소 모드
  4. 베이스 레지스터 어드레싱 모드
(정답률: 63%)
  • 분기 형식의 명령어에서는 실제 분기할 주소를 나타내는 주소 모드를 "직접 주소 모드"라고 한다. 이는 명령어의 주소 부분이 그대로 유효 명령어의 주소 필드에 나타나기 때문이다. 즉, 분기할 주소가 명령어 자체에 직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어서 별도의 계산이나 참조가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전기통신을 효율적을 관리하고 그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기통신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하고 있는 법률은?

  1. 전기통신사업법
  2. 전기통신기본법
  3. 정보통신공사업법
  4. 정보화촉진기본법
(정답률: 73%)
  • 전기통신기본법은 전기통신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하여 전기통신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법률입니다. 이에 따라 전기통신사업의 허가, 감독, 규제 등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자기 또는 타인에게 이익을 주거나 타인에게 손해를 가할 목적으로 전기통신설비에 의하여 공연히 허위의 통신을 한 자에 대한 벌칙으로 옳은 것은?

  1.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2.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
  3.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
  4.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75%)
  • 전기통신설비를 이용하여 공연히 허위의 통신을 하는 행위는 전기통신법상 "전기통신사기"에 해당합니다. 이에 따라 처벌 대상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이는 범죄의 성격과 범죄자의 경중을 고려하여 적절한 처벌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전기통신기본법에서 정의하는 전기통신사업자에 해당하는 것은?

  1. 기간통신사업자
  2. 이동통신사업자
  3. 별정통신사업자
  4. 가상통신사업자
(정답률: 70%)
  • 전기통신기본법에서 정의하는 전기통신사업자는 공중전송망을 이용하여 전기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자로서, 기간통신사업자, 이동통신사업자, 별정통신사업자, 가상통신사업자 등이 해당된다. 따라서 기간통신사업자도 전기통신사업자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방송통신설비의 기술수준에 관한 규정으로 잘못 설명된 것은?

  1. “특고압”이란 6,000볼트를 초과하는 전압을 말한다.
  2. “선로설비”란 일정한 형태의 방송통신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동선·광섬유 등의 전송매체로 제작된 선조·케이블 등과 전주·관로·통신터널·배관·맨홀·핸드홀·배선반 등과 그 부대설비를 말한다.
  3. “전력유도”란 전철시설 또는 전기공작물 등이 그 주위에 있는 방송통신설비에 정전유도나 전자유도 등으로 인한 전압이 발생되도록 하는 현상을 말한다.
  4. “국선단자함”이란 국선과 구내간선케이블 또는 구내케이블을 종단하여 상호 연결하는 통신용 분배함을 말한다.
(정답률: 70%)
  • "전력유도"란 전철시설 또는 전기공작물 등이 그 주위에 있는 방송통신설비에 정전유도나 전자유도 등으로 인한 전압이 발생되도록 하는 현상을 말한다."이 잘못된 설명입니다.

    "특고압"은 6,000볼트를 초과하는 전압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의 하자담보 책임기간이 다른 것은?

  1. 터널식 통신구공사
  2. 전송설비공사
  3. 교환기설치공사
  4. 위성통신설비공사
(정답률: 67%)
  • 정답은 "터널식 통신구공사"입니다. 이는 다른 공사들과 달리 건축물 내부가 아닌 지하 터널 내부에서 설치되는 통신구공사이기 때문에 하자담보 책임기간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용역업자는 발주자에게 정보통신공사에 대한 감리결과를 공사가 완료된 날부터 며칠 이내에 통보하여야 하는가?

  1. 3일
  2. 5일
  3. 7일
  4. 10일
(정답률: 75%)
  • 용역업자는 감리결과를 공사가 완료된 날부터 7일 이내에 발주자에게 통보해야 합니다. 이는 관련 법규에서 정해진 기간이기 때문입니다. 이 기간을 초과하면 법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업자는 이를 엄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기간통신사업자가 전기통신업무에 제공되는 선로 등을 설치하기 위하여 타인의 토지 또는 이에 정착한 건물·공작물을 사용하는 경우 취하여야 할 조치로서 옳은 것은?

  1. 토지의 소유자 또는 점유자와 사전에 협의를 하여야 한다.
  2. 선로설비 등을 설치한 후 토지의 소유자 또는 점유자와 협상한다.
  3. 미리 토지의 소유자 또는 점유자에게 공시가로 보상을 하여야 한다.
  4. 선로설비 등을 설치한 후 토지의 소유자 또는 점유자에게 통지한다.
(정답률: 75%)
  • 토지의 소유자 또는 점유자와 사전에 협의를 하여야 한다. - 기간통신사업자가 타인의 토지나 건물 등을 사용하여 선로 등을 설치하는 경우, 해당 토지나 건물 등의 소유자 또는 점유자와 사전에 협의를 하여야 합니다. 이는 타인의 재산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그에 대한 동의를 받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자가전기통신설비를 설치하고자 하는 사람은 어떠한 절차를 거쳐야 하는가?

  1. 관할 시, 도지사에게 등록하여야 한다.
  2. 방송통신위원회에 등록하여야 한다.
  3. 관할 시, 도지사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정답률: 56%)
  • 자가전기통신설비는 지역별로 관할하는 시, 도지사의 규제를 받기 때문에 설치 전에 해당 지역의 시, 도지사에게 신고하여 등록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관할 시, 도지사는 설치된 자가전기통신설비가 안전하게 운영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관할 시, 도지사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전기통신사업자가 제공하는 보편적 역무의 구체적 내용을 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사업자의 통신회선 보유량
  2. 정보통신기술의 발전 정도
  3. 공공의 이익과 안전
  4. 정보화 촉진
(정답률: 54%)
  • "사업자의 통신회선 보유량"은 보편적 역무의 구체적 내용을 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사업자의 내부적인 자원 확보와 관련된 사항으로, 보편적 역무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방송통신설비의 안정성·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통신의 접속규제를 의무적으로 만족해야 하는 설비는 무엇인가?

  1. 기타역무설비
  2. 주파수를 할당받아 제공하는 역무설비
  3. 부가통신사업설비
  4. 자가통신설비
(정답률: 53%)
  • 주파수를 할당받아 제공하는 역무설비는 통신망에서 사용하는 주파수를 관리하고 할당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 설비의 안정성과 신뢰성이 보장되어야 전체 통신망의 안정성과 신뢰성이 유지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설비는 통신의 접속규제를 의무적으로 만족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