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파전자통신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6-11)

전파전자통신기능사
(2016-06-1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 구분

1. AM 변조에서 반송파의 진폭이 100[V] 이고, 신호파의 진폭이 75[V]일 때 변조도는 몇 [%]인가?

  1. 0.14
  2. 0.25
  3. 0.43
  4. 0.75
(정답률: 91%)
  • 변조도는 (반송파 진폭-원래 신호파 진폭)/(반송파 진폭+원래 신호파 진폭)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변조도는 (100-75)/(100+75) = 0.25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0.75"인 이유는 잘못된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89.1 [MHz] 의 반송파를 최대주파수편이 100[KHz], 신호파 10[KHz]로 FM 변조했을 경우 변조지수 (mf) 는?

  1. 0.1
  2. 0.89
  3. 8.9
  4. 10
(정답률: 74%)
  • 변조지수 (mf)는 최대주파수편을 신호파 주파수로 나눈 값입니다. 따라서, mf = 100[KHz] / 10[KHz] = 10 이므로 정답은 "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 발생하는 영상주파수는? (단. 수신주파수, 국부발진주파수, 중간주파수를 fr, fo, fi라고 하며, 상측(上側) 헤테로다인 방식의 주파수 변환을 한다.)

  1. fi + fr
  2. fi - fr
  3. fo - fr
  4. fr + 2fi
(정답률: 82%)
  •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는 상측 헤테로다인 방식을 사용하므로, 수신주파수(fr)에서 국부발진주파수(fo)를 빼면 중간주파수(fi)가 나옵니다. 이 중간주파수(fi)는 또 다시 국부발진을 거쳐서 출력주파수로 변환됩니다. 이 때, 중간주파수(fi)가 두 번 발생하므로 2fi가 되고, 이를 수신주파수(fr)에 더하면 영상주파수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fr + 2fi"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전체 비트수가 32이고, 정보 비트 수가 30비트일 때 코드 효율은 약 얼마인가?

  1. 약 0.03
  2. 약 0.94
  3. 약 1.06
  4. 약 15.5
(정답률: 83%)
  • 코드 효율은 정보 비트 수를 전체 비트 수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코드 효율은 30/32 = 0.9375 입니다. 이 값은 보기에서 "약 0.94"에 해당하며, 반올림하여 0.94로 표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어떤 전송시스템에서 코드효율이 1이고, 전송효율이 0.8일 때 전체효율은?

  1. 1.8
  2. 1
  3. 0.8
  4. 0.2
(정답률: 91%)
  • 전체효율은 코드효율과 전송효율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전체효율은 1 x 0.8 = 0.8 입니다. 코드효율이 1이므로 모든 정보가 전송되고, 전송효율이 0.8이므로 전송된 정보 중 80%만이 정확하게 도착한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는 80%의 효율을 가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30[MHz] 주파수의 파장은?

  1. 1[m]
  2. 5[m]
  3. 10[m]
  4. 100[m]
(정답률: 72%)
  • 파장은 속도(v)를 주파수(f)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이 때, 전파의 속도는 빛의 속도인 3 x 10^8 [m/s] 입니다. 따라서, 파장은 3 x 10^8 [m/s] / 30 x 10^6 [Hz] = 10 [m]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전리층 전파에서 발생하는 페이딩(fading)의 방지대책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공간 다이버시티를 이용한다.
  2. 페이딩 방지용 안테나를 사용한다.
  3. 수신기 내에 AVC 혹은 AGC를 사용한다.
  4. 송신 주파수를 높인다.
(정답률: 65%)
  • 송신 주파수를 높이는 것은 전파의 파장을 짧게 만들어 공간 다이버시티 효과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전리층 전파에서 발생하는 페이딩을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송신 주파수를 높인다."는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최적운용주파수(FOT)가 17[MHz]일 때, 최고사용주파수(MUF)는 몇 [MHz]인가?

  1. 8.5[MHz]
  2. 10[MHz]
  3. 17[MHz]
  4. 20[MHz]
(정답률: 88%)
  • 최고사용주파수(MUF)는 최적운용주파수(FOT)보다 약 1.5배에서 2배 정도 높은 주파수를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17[MHz]의 최적운용주파수(FOT)에서는 20[MHz] 정도의 최고사용주파수(MUF)를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MH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급전선의 특성 임피던스가 50[Ω]이고, 안테나 임피던스가 75[Ω]인 경우 급전선에 안테나를 연결하였을 때 반사계수는 얼마인가?

  1. 0.1
  2. 0.2
  3. 0.3
  4. 0.4
(정답률: 77%)
  • 안테나와 급전선의 임피던스 불일치로 인해 반사파가 발생하게 되고, 이 때 반사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Gamma = frac{Z_L - Z_0}{Z_L + Z_0}$$

    여기서 $Z_L$은 안테나의 임피던스, $Z_0$은 급전선의 임피던스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문제에서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Gamma = frac{75 - 50}{75 + 50} = frac{25}{125} = 0.2$$

    즉, 반사계수는 0.2이므로 정답은 "0.2"입니다. 이는 안테나와 급전선의 임피던스 차이가 크지 않아서 반사파가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가 5[Ω], 부하 임피던스가 10[Ω]인 선로에 정재파비는 얼마인가?

  1. 0.5
  2. 1
  3. 1.5
  4. 2
(정답률: 64%)
  • 정재파비는 부하 임피던스의 절반인 5[Ω]를 가지고 있으므로,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와 정재파비의 임피던스를 병렬로 연결하면 부하 임피던스가 나오게 됩니다. 이 때, 병렬 연결된 임피던스의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Z = 1/Z1 + 1/Z2

    여기서 Z1은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인 5[Ω], Z2는 정재파비의 임피던스인 5[Ω]입니다. 따라서,

    1/Z = 1/5 + 1/5 = 2/5

    Z = 5/2 = 2.5[Ω]

    즉, 정재파비의 임피던스는 2.5[Ω]이며, 가까운 보기 중에서 정답은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원래 등록한 이동통신 교환국 서비스 지역을 벗어나, 다른 이동통신 교환국 서비스 지역에 들어가서도 계속해서 이동전화를 걸거나 받을 수 있는 서비스는?

  1. 로밍(roamimg)
  2. 다중접속
  3. 페이딩
  4. TRS
(정답률: 94%)
  • 로밍은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자가 자신이 등록한 이동통신 교환국 서비스 지역을 벗어나 다른 이동통신 교환국 서비스 지역에 들어가도 이동전화를 걸거나 받을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즉, 다른 지역에서도 자신의 휴대폰 번호를 유지하며 통화, 문자, 데이터 등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로밍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위성통신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것은?)

  1. 동보통신이 가능하다.
  2. 전송지연이 발생하지 않는다.
  3. 광대역 통신이 가능하다.
  4. 넓은 범위의 지역에서 통신이 가능하다.
(정답률: 91%)
  • 전송지연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설명은 부적절합니다. 위성 통신에서도 전송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위성과 지구 간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발생하는 시간적인 차이로 인해 발생합니다. 그러나 위성 통신의 장점 중 하나는 지리적 제약이 적다는 것입니다. 즉, 넓은 범위의 지역에서 통신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정지위성의 고도와 가장 가까운 고도는 얼마인가?

  1. 1,000[km]
  2. 10,000[km]
  3. 20,000[km]
  4. 36,000[km]
(정답률: 92%)
  • 정지위성은 지구와 동일한 속도로 공전하며, 지구의 자전 주기와 일치하는 주기로 공전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고도가 약 36,000[km]여야 합니다. 이 고도에서는 지구의 자전 주기와 정지위성의 공전 주기가 일치하기 때문에 정지위성은 항상 같은 지점을 바라보게 됩니다. 따라서, 정지위성의 고도는 36,000[k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위성통신 지구국에 널리 사용되는 안테나는?

  1. 롬빅 안테나
  2. 웨이브 안테나
  3. 카세그레인 안테나
  4. 야기 안테나
(정답률: 77%)
  • 카세그레인 안테나는 다른 안테나에 비해 크기가 작고, 수신 감도가 높으며, 방사패턴이 좁아 신호의 집중도가 높아서 위성통신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위성통신은 중계기능에 따라 수동위성과 능동위성으로 나눌 수 있다. 다음 중 능동 위성방식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랜덤 위성
  2. 위상 위성
  3. 정지 위성
  4. 반사 위성
(정답률: 71%)
  • 능동 위성은 자체적으로 통신 신호를 생성하고 중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반사 위성은 지구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반사하여 전달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므로 능동 위성 방식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정현파, 여현파 또는 여러 가지 형태의 신호를 만들어 내는 장치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신호발생기
  2. 변복조기
  3. 논리회로
  4. 증폭기
(정답률: 79%)
  • 신호발생기는 이름 그대로 다양한 형태의 신호를 만들어내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는 신호발생기가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변복조기는 주파수를 변조하는 장치, 논리회로는 논리 연산을 수행하는 장치, 증폭기는 신호를 증폭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비교측정의 분류에서 피측정량을 지침의 지시눈금으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신속한 측정이 가능하나 감도는 떨어지고 정밀을 요하지 않는 공업상 실제 측정에 많이 사용되는 것은 무엇인가?

  1. 편위법
  2. 영위법
  3. 치환법
  4. 보상법
(정답률: 78%)
  • 편위법은 측정 대상의 피측정량을 지침의 지시눈금으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신속한 측정이 가능하나 감도는 떨어지고 정밀을 요하지 않는 공업상 실제 측정에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편리하고 빠른 측정이 가능하며, 정밀한 측정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 유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편위법이 다른 비교측정의 분류인 영위법, 치환법, 보상법보다 공업상 실제 측정에 더 많이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원래의 신호를 재현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수신기의 종합주파수 특성이나 왜율 등에 따라 크게 좌우되는 항목은?

  1. 선택도
  2. 안정도
  3. 충실도
  4. 잡음지수
(정답률: 68%)
  • 충실도는 원래의 신호를 재현하는 능력을 나타내는데, 이는 수신기의 종합주파수 특성이나 왜율 등에 따라 크게 좌우되기 때문입니다. 즉, 수신기가 신호를 정확하게 받아들이고 재현할 수 있는 능력이 충분하다면 충실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충실도는 수신기의 성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오실로스코프의 수직축과 수평축 입력에 주파수와 진폭이 같고, 위상이 90도 다른 전압을 가하면 스코프에 나타나는 리사주 도형은 어떤 모양인가?

  1. 사선
  2. 타원
  3. 사각형
(정답률: 78%)
  • 주파수와 진폭이 같고, 위상이 90도 다른 전압을 가하면 스코프에 나타나는 리사주 도형은 "원" 모양입니다. 이는 사인파와 코사인파의 합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두 파는 90도 위상차이를 가지므로 원 모양으로 나타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단상 전파 정류회로에서 다이오드 순방향 저항을 0으로 가정하였을 때, 정류 효율은 이론적으로 최대 얼마인가?

  1. 40.6 [%]
  2. 81.2 [%]
  3. 100 [%]
  4. 112 [%]
(정답률: 78%)
  • 단상 전파 정류회로에서 다이오드는 양방향으로 전류를 통과시킬 수 없기 때문에, 입력 전압의 절반만을 출력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최대 정류 효율은 50%가 됩니다.

    하지만 다이오드의 순방향 저항을 0으로 가정하면, 다이오드가 전류를 흐르게 하는데 필요한 에너지 손실이 없어지므로, 최대 정류 효율은 100%가 됩니다. 그러나 실제 다이오드의 순방향 저항은 0이 아니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는 100%에 가까워지지만 실제로는 그보다 낮은 값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81.2 %"가 됩니다. 이 값은 다이오드의 순방향 저항을 고려한 이론적인 계산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 구분

21. 다음 중 ITU의 법률문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Administrative Regulations
  2. Constitution of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3. Convention of the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4.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AFETY OF LIFE AT SEA SOLAS
(정답률: 73%)
  •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AFETY OF LIFE AT SEA SOLAS"은 해양 안전을 다루는 국제 조약이며, ITU의 법률문서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나머지 보기는 ITU의 법률문서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문장 중 괄호 안에 들어갈 단어로 적합한 것은?

  1. the Administration
  2. the council
  3. the Staff
  4. the Secretary-General
(정답률: 77%)
  • 이 문장에서는 "the Secretary-General"이 "the United Nations"의 대표자로서 발언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the Secretary-General"이 가장 적합한 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What is the supreme organ of the ITU?

  1. The Council
  2. The General Secretariat
  3. the Plenipotentiary Conference
  4. the World Radiocommunication Conference
(정답률: 80%)
  • The Plenipotentiary Conference is the supreme organ of the ITU because it is the highest decision-making body of the organization, where member states gather every four years to establish the ITU's policies, strategies, and financial plans. It has the power to adopt and amend the ITU's constitution and convention, elect the ITU's senior officials, and determine the organization's budget.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무선통신 관련 용어와 해석이 옳지 못한 것은?

  1. Frequency tolerance – 주파수 허용편차
  2. Spurious emission – 대역외 발사
  3. Survival craft station – 구명 이동국
  4. Alarm signal – 경보 신호
(정답률: 69%)
  • Spurious emission – 대역외 발사: 이 용어는 무선 송신기에서 의도하지 않은 주파수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의미합니다. 즉, 주파수 대역폭을 벗어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What signals shall we send in urgency by radiotelephony?

  1. SECURITE, spoken three times
  2. PAN PAN, spoken three times
  3. MAYDAY, spoken three times
  4. HELP, spoken three times
(정답률: 72%)
  • The correct answer is "PAN PAN, spoken three times" because it is used to indicate an urgent situation that is not immediately life-threatening, such as a mechanical problem or a medical emergency that does not require immediate assistance. "SECURITE" is used to broadcast safety information, "MAYDAY" is used to indicate a life-threatening emergency, and "HELP" is not a recognized radiotelephony signal.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문장의 밑줄 친 부분을 가장 옳게 번역한 것은?

  1. 안전통보가 그 국에 염려 없는 것을 느낄 때까지
  2. 안전통보가 그 국에 관계없다는 것을 확인할 때까지
  3. 안전통보가 그 국에 중요하다고 인정될 때까지
  4. 안전통보가 그 국에 만족할 정도로 관계 있을 때까지
(정답률: 66%)
  • The reason why the correct answer is "안전통보가 그 국에 관계없다는 것을 확인할 때까지" is because the sentence is talking about the safety notification and waiting until it is confirmed that it is not necessary for that country.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에 대한 가장 적합한 해석은?

  1. 양호한 신호
  2. 유익한 통신
  3. 유해한 혼신
  4. 해로운 사고
(정답률: 90%)
  • 해당 이미지는 "유해한 혼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는 전기적인 신호가 잘못된 경로로 흐르거나 간섭을 일으켜서 기기나 시스템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혼신은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저해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What is the safety signal used in radiotelephony?

  1. MAYDAY
  2. PAN PAN
  3. SECURITE
  4. OVER
(정답률: 72%)
  • "SECURITE" is the safety signal used in radiotelephony because it is used to indicate a safety message or information that is important for the safety of aircraft or vessels, but does not require immediate assistance. It is used to alert other pilots or vessels to potential hazards or dangers in the area.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해상이동 업무용 약어 “SLT”의 의미를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International Information
  2. Notice to mariners
  3. Prefix office of destination
  4. Radio Maritime Letter
(정답률: 65%)
  • SLT는 "Radio Maritime Letter"의 약어로, 해상에서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무선 전문 용어를 나타냅니다. 이는 해상에서 통신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어로, 특히 해상 이동 업무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Radio Maritime Letter"가 SLT의 올바른 의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그곳은 이곳에 전송할 것이 있습니까?”라는 내용의 Q 부호는?

  1. QRU
  2. QSU
  3. QSA
  4. QUM
(정답률: 61%)
  • 정답은 "QRU"입니다.

    Q 부호는 무선 통신에서 사용되는 짧은 질문 혹은 명령어를 의미합니다.

    - QSU: "당신의 위치는 어디인가요?"라는 질문을 의미합니다.
    - QSA: "신호 세기는 어떻게 되나요?"라는 질문을 의미합니다.
    - QUM: "내가 보낸 메시지를 이해했나요?"라는 질문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그곳은 이곳에 전송할 것이 있습니까?"라는 질문은 "QRU"로 표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figure(숫자) 또는 Mark(기호) code가 적절하게 표현되지 않은 것은?

  1. 1 – UNA ONE
  2. 4 – KARTE FOUR
  3. 8 - OKEITEEN
  4. 마침점 – STOP
(정답률: 89%)
  • 8 - OKEITEEN은 figure(숫자) code가 아닌 Mark(기호) code이기 때문에 적절하게 표현되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무선전화 절차용어 중 “STOP" 은 어떤 숫자 또는 기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인가?

  1. 숫자 2
  2. 숫자 6
  3. 숫자 9
  4. 종지부
(정답률: 90%)
  • "STOP"은 숫자나 기호가 아니라, 전송을 중지하고 종료하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종지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문장의 회신에게 괄호 안에 들어갈 단어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fair
  2. commercial
  3. poor
  4. good
(정답률: 64%)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상업용 건물들이며, "commercial"은 "상업적인"이라는 뜻이 있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문장을 올바르게 해석한 것은?

  1. 무선전화에 의한 조난통보는 MAYDAY로 고정되어야 한다.
  2. 무선전화에 의한 조난통보는 MAYDAY에 의해서 시작되어야 한다.
  3. 무선전화에 의한 조난전송을 위하여 호출은 조난신호 MAYDAY로 설정되어야 한다.
  4. 무선전화에 의한 조난통신을 위하여 통신을 설정할 때는, 호출은 조난신호 MAYDAY에 의하여 전치(前置)되어야 한다.
(정답률: 78%)
  • 무선전화에 의한 조난통신을 위하여 통신을 설정할 때는, 호출은 조난신호 MAYDAY에 의하여 전치(前置)되어야 한다. : 무선전화로 조난통보를 할 때는 반드시 MAYDAY 신호로 시작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Fill in the blank with the proper abbreviation to be used for radiocommunications in the maritime mobile service.

  1. CQ
  2. WX
  3. TL(Traffic List)
  4. TR(Traffic Report)
(정답률: 65%)
  • The proper abbreviation to be used for radiocommunications in the maritime mobile service to report traffic conditions is TR (Traffic Report). This is because a Traffic Report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traffic situation, including the number of vessels in the area, their positions, and any hazards or obstructions to navigation.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AMVER(Automated Mutual-assistance Vessel Rescue) 통신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수색과 구조(Search and Rescue)업무를 행한다.
  2. 미국 해안경비대(U.S.C.G)에 의해 무료로 운용된다.
  3. 해상에 있어서 사고예방, 조난 시에 위치 추적을 한다.
  4. 항해하는 선박의 안전운항과 경제적 운항을 위하여 항로를 추천하는 제도이다.
(정답률: 69%)
  • 항해하는 선박의 안전운항과 경제적 운항을 위하여 항로를 추천하는 제도이다. - 이 설명은 AMVER과는 관련이 없다. AMVER은 해상에서 수색과 구조 업무를 행하며, 미국 해안경비대에 의해 무료로 운용되며, 해상에서 사고예방과 조난 시에 위치 추적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IMO 표준해사통신영어에 대한 의미가 잘못 표기된 것은?

  1. 위치 : Status
  2. 침로 : Courses
  3. 방위 : Bearings
  4. 거리 : Distance
(정답률: 75%)
  • 위치 : Status가 잘못 표기된 것입니다. IMO 표준해사통신영어에서 "위치"는 "Position"으로 표기됩니다. "Status"는 선박의 상태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문장에 대한 번역으로 적절한 것은?

  1. 본선은 기관고장으로 예인 중이다.
  2. 본선은 기관 고장으로 수리 중이다.
  3. 본선은 기관 고장으로 표류 중이다.
  4. 본선은 기관 고장으로 대기상태다.
(정답률: 72%)
  • The correct translation is "The main ship is adrift due to engine failure."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의 문장을 표준 해사영어로 번역하였을 때 괄호 안에 들어갈 가장 적당한 단어는?

  1. waiting
  2. pilot
  3. custom
  4. quarantine
(정답률: 77%)
  • 이미지에서 보이는 비행기는 검역을 받기 위해 입국심사를 받은 후에 "quarantine" 구역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Quarantine"은 검역을 받은 사람이나 동물을 격리시켜서 질병이 전파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구역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문장에서는 비행기가 검역을 받은 후에 격리 구역으로 이동한다는 의미로 "quarantine"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문장에 대한 번역으로 옳은 것은?

  1. 본선의 우현 로프는 절단되었다.
  2. 본선의 좌현 로프는 절단되었다.
  3. 선수의 예인 로프는 절단되었다.
  4. 선미의 예인 로프는 절단되었다.
(정답률: 76%)
  • The left main rope of the ship was cut. (해석: 선박의 좌측 주요 로프가 절단되었다.)
    정답: "본선의 좌현 로프는 절단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 구분

41. 다음 중 전파법의 목적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전파의 효율적인 이용
  2. 전파에 관한 기술개발의 촉진
  3. 전파 관련 분야의 진흥
  4. 개인의 복리증진
(정답률: 90%)
  • 전파법은 전파의 효율적인 이용, 전파에 관한 기술개발의 촉진, 전파 관련 분야의 진흥을 목적으로 합니다. 개인의 복리증진은 법의 목적이 아니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특정한 주파수의 용도를 정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주파수 분배
  2. 주파수 할당
  3. 주파수 지정
  4. 주파수 사용승인
(정답률: 68%)
  • 특정한 주파수를 어떤 용도로 사용할지 결정하는 것을 주파수 분배라고 합니다. 이는 주파수를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는 다양한 기관과 업체들이 서로 충돌 없이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주파수 분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전파이용의 촉진과 전파와 관련된 새로운 기술의 개발과 전파방송기기 산업의 발전 등을 위하여 전파진흥기본계획을 몇 년마다 세워야 하는가?

  1. 2년
  2. 3년
  3. 4년
  4. 5년
(정답률: 83%)
  • 전파진흥기본계획은 전파이용의 촉진과 전파와 관련된 새로운 기술의 개발, 전파방송기기 산업의 발전 등을 위한 중요한 계획입니다. 이러한 계획은 기술의 발전과 산업의 변화가 빠르게 일어나는 현대사회에서는 일정한 주기로 업데이트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전파진흥기본계획은 보통 5년마다 세워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대가에 의한 주파수할당을 받은 자의 주파수의 이용기간은 몇 년의 범위 내에서 이용할 수 있는가?

  1. 5년
  2. 10년
  3. 15년
  4. 20년
(정답률: 69%)
  • 대한민국의 전파관리규정에서는 대가에 의한 주파수할당을 받은 자의 주파수 이용기간을 20년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주파수할당을 받은 자는 20년 동안 해당 주파수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심사에 의한 주파수할당을 받은 자의 주파수의 이용기간은 몇 년의 범위 내에서 이용할 수 있는가?

  1. 5년
  2. 10년
  3. 15년
  4. 20년
(정답률: 60%)
  • 주파수 할당은 일정 기간 동안 유효하며, 일반적으로 10년간 이용이 가능합니다. 이는 주파수 할당을 받은 자가 해당 주파수를 안정적으로 이용하고, 기술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심사에 의해 주파수를 할당하고자 하는 경우 심사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전파자원 이용의 효율성
  2. 신청자의 재정적 능력
  3. 신청자의 기술적 능력
  4. 신청자의 전파발전을 위한 경력
(정답률: 79%)
  • 주파수 할당과 관련하여 심사하는 사항 중에서는 "신청자의 전파발전을 위한 경력"이 아닙니다. 이는 주파수 할당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주파수 할당 심사에서는 전파자원 이용의 효율성, 신청자의 재정적 능력, 신청자의 기술적 능력 등이 중요한 평가 요소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준공검사를 받지 아니하고 운용할 수 있는 무선국은?

  1. 25W 무선설비를 시설하는 어선의 선박국
  2. 적합성평가를 받지 않은 무선기기를 사용하는 아마추어국
  3. 30W 무선설비를 시설하는 방송국
  4. 50W 무선설비를 시설하는 화물선의 선박국
(정답률: 79%)
  • 해양수산부 고시 제2019-22호에 따르면, 25W 이하의 무선설비를 시설하는 어선의 선박국은 준공검사를 받지 않아도 운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나머지 보기들은 준공검사를 받아야 운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선박국과 해안국 간, 선박국 상호간 또는 선상통신국 상호 간의 무선통신업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이동업무
  2. 해상이동업무
  3. 육상이동업무
  4. 해상무선항행업무
(정답률: 70%)
  • 해상이동업무는 선박과 해안국, 선박과 선박, 선상통신국과 선박 간의 무선통신업무를 말합니다. 이는 선박이 항해 중에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거나, 안전한 항해를 위한 통신, 구조작업 등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업무입니다. 따라서, "해상이동업무"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전원회로에 퓨즈 또는 자동차단기를 갖추어야 하는 무선설비의 공중선 전력의 범위는 얼마인가?

  1. 공중선 전력 3 와트를 초과하는 무선설비
  2. 공중선 전력 5 와트를 초과하는 무선설비
  3. 공중선 전력 8 와트를 초과하는 무선설비
  4. 공중선 전력 10 와트를 초과하는 무선설비
(정답률: 75%)
  • 전원회로에 퓨즈 또는 자동차단기를 갖추어야 하는 이유는 과부하나 단락 등으로 인한 전기적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공중선 전력이 높을수록 더 많은 전기적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공중선 전력 10 와트를 초과하는 무선설비에는 퓨즈 또는 자동차단기를 갖추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무선설비의 운용을 위한 전원의 전압변동률은 정격전압의 얼마 이내로 유지할 수 있어야 하는가?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74%)
  • 무선설비는 전압변동에 매우 민감하므로 안정적인 운용을 위해서는 전압변동률이 작아야 합니다. 그리고 전압변동률이 작을수록 더욱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전압변동률이 너무 작으면 비용이 증가하므로 적절한 범위 내에서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무선설비의 운용을 위한 전원의 전압변동률은 보통 ±10[%] 이내로 유지됩니다. 이 범위는 안정적인 운용을 보장하면서도 비용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범위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무선설비를 위탁운용하거나 공동 사용하는 경우 만족해야 하는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성능이 우수한 무선설비를 사용할 것
  2. 전파가 능률적으로 발사될 수 있는 곳에 설치할 것
  3. 이미 시설된 무선국의 운용에 지장을 주지 아니할 것
  4. 무선설비로부터 발사되는 전파가 인근 주택가의 방송수신에 장애를 주지 아니할 것
(정답률: 73%)
  • "이미 시설된 무선국의 운용에 지장을 주지 아니할 것"이 틀린 것입니다. 무선설비를 공동 사용하거나 위탁운용할 때는 이미 시설된 무선국의 운용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따라서, "성능이 우수한 무선설비를 사용할 것"은 무선설비의 성능이 우수할수록 전파가 더 효율적으로 발사되어 인근 주택가의 방송수신에 장애를 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전파전자통신기능사의 종사범위 중 육상에 개설하는 무선국의 무선설비로 국내통신을 위한 통신운용의 범위로서 맞는 것은?

  1. 해안국과 항공국 외의 무선국의 공중선 전력 150와트 이하의 무선전신 및 팩시밀리
  2. 어업용 해안국 외의 해안국의 공중선 전력 100와트이하의 팩시밀리
  3. 항공국과 방송국 외의 무선국의 공중선 전력 120 와트 이하의 무선전화
  4. 항무용 해안국의 공중선 전력 150와트 이하의 팩시밀리
(정답률: 68%)
  • 해안국 외의 어업용 무선국은 해양에서 어로를 잡기 위해 사용되는 무선국으로, 이들은 해안국과 항공국 외의 지역에서 사용되며, 전력은 100와트 이하의 팩시밀리로 제한됩니다. 이는 다른 무선국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해양 환경 보호를 위한 조치입니다. 따라서, "어업용 해안국 외의 해안국의 공중선 전력 100와트이하의 팩시밀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국제전기통신연합의 헌장 및 협약 중 전파통신에 관한 특별 규정이 아닌 것은?

  1. 무선주파수 스펙트럼 및 정지위성 궤도의 이용
  2. 유해한 혼신
  3. 전기통신의 비밀
  4. 국방기관의 설비
(정답률: 44%)
  • 전기통신의 비밀은 국제전기통신연합의 헌장 및 협약 중 전파통신에 관한 특별 규정이 아닌 것입니다. 이는 전기통신에 관한 정보나 데이터를 무단으로 탈취하거나 공개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규정입니다. 이는 국가 안보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매우 중요한 규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디지털선택호출장치(DSC)의 조난 및 안전 주파수로 맞지 않는 것은?

  1. 2,187.5 [kHz]
  2. 8,414.5 [kHz]
  3. 156.525 [MHz]
  4. 22.375 [MHz]
(정답률: 57%)
  • 디지털선택호출장치(DSC)의 조난 및 안전 주파수는 2,187.5 [kHz], 8,414.5 [kHz], 156.525 [MHz] 중 하나여야 합니다. 22.375 [MHz]는 DSC의 주파수 범위를 벗어나므로 맞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육상 VHF해안국의 통신범위(20~30해리)내에 속하는 해역은?

  1. A1 해역
  2. A2 해역
  3. A3 해역
  4. A4 해역
(정답률: 86%)
  • 육상 VHF해안국의 통신범위는 20~30해리이므로, 이 범위 내에 속하는 해역은 A1 해역입니다. A1 해역은 해안에서 20해리 이내의 해역으로, 육상 VHF해안국의 통신범위 내에 속하는 해역입니다. A2, A3, A4 해역은 각각 30, 50, 70해리 이내의 해역으로, 육상 VHF해안국의 통신범위를 벗어나는 해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SOLAS협약상 GMDSS 규정의 적용대상 선박은?

  1. 국내항해에 취항하는 5,000톤의 여객선
  2. 국제항해에 취항하는 총톤수 500톤 어선
  3. 국제항해에 취항하는 총톤수 10,000톤 어선
  4. 국제항해에 취항하는 총톤수 300톤 어선
(정답률: 76%)
  • SOLAS협약상 GMDSS 규정의 적용대상 선박은 국제항해에 취항하는 선박 중 총톤수가 300톤 이상인 선박입니다. 따라서 "국제항해에 취항하는 총톤수 300톤 어선"이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규정의 적용대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암호표를 가지고 암호의 내용을 알아내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암호분석
  2. 암호해독
  3. 암호연구
  4. 암호습득
(정답률: 91%)
  • 암호는 일반적으로 의미를 숨기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이며, 암호화된 내용을 해독하여 원래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을 암호해독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암호표를 가지고 암호의 내용을 파악하는 것은 암호해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통신 제원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호출부호
  2. 주파수
  3. 업무일지
  4. 교신시간
(정답률: 84%)
  • 업무일지는 통신 제원에 속하지 않습니다. 호출부호와 주파수는 무선 통신에서 사용되는 중요한 제원이며, 교신시간은 통신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업무일지는 통신 제원이 아니며, 통신 과정에서 기록되는 업무 내용이나 일정 등을 기록하는 문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통신 수단별 보안도가 가장 낮은 것은?

  1. 시호통신
  2. 전령통신(인편)
  3. 전기통신
  4. 음향통신
(정답률: 57%)
  • 전기통신은 전기 신호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기 때문에, 전기 신호를 가로채거나 변조하는 공격에 취약합니다. 또한, 전기통신은 무선 통신과 유선 통신 모두에 사용되기 때문에, 무선 통신의 경우에는 무선 신호를 가로채는 공격도 가능합니다. 따라서, 통신 수단별 보안도가 가장 낮은 것은 전기통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통신보안 위규사항 중 국가 행정비밀의 누설에 관한 사항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대공관계 특별호구조사, 신원조사 등
  2. 비밀로 분류된 대공관계 신고, 보고제도
  3. 재외 공관에 발하는 훈령
  4. 기타 국가 시책에 영향을 초래하는 사항
(정답률: 71%)
  • "재외 공관에 발하는 훈령"은 국가 행정비밀의 누설에 관한 사항으로 볼 수 없습니다. 이는 국내에서만 적용되는 규정이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국가 행정비밀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