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중개사 1차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11-23)

공인중개사 1차
(2011-11-2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부동산학개론

1. 부동산의 개념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경제적 개념의 부동산은 자본, 자산으로서의 특성을 지닌다.
  2. 좁은 의미의 부동산은 토지 및 그 정착물을 말한다.
  3. 준(準)부동산은 부동산과 유사한 공시방법을 갖춤으로써 넓은 의미의 부동산에 포함된다.
  4. 부동산의 물리적 개념은 부동산활동의 대상인 유형(有形)적 측면의 부동산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5. 토지는 생산재이지만 소비재는 아니다.
(정답률: 69%)
  • "토지는 생산재이지만 소비재는 아니다."가 틀린 설명이다. 토지는 생산재이면서도 소비재이기도 하다. 생산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것은 물론, 주거나 레저 등의 소비적인 용도로도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건물의 내용연수와 생애주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ㄱ-경제적 내용연수, ㄴ-신축단계
  2. ㄱ-물리적 내용연수, ㄴ-안정단계
  3. ㄱ-경제적 내용연수, ㄴ-안정단계
  4. ㄱ-기능적 내용연수, ㄴ-안정단계
  5. ㄱ-물리적 내용연수, ㄴ-신축단계
(정답률: 54%)
  • 이 건물은 신축단계에 있으므로, 정답은 "ㄱ-물리적 내용연수, ㄴ-신축단계"입니다. 물리적 내용연수는 건물의 물리적인 내구성과 수명을 의미하며, 신축단계는 건물이 처음 지어지는 단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건물은 아직 건축이 완료되지 않았으며, 물리적 내용연수는 건축이 완료된 이후에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상권과 관련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상권은 점포의 매출이 발생하는 구역을 정의하는 공간 개념으로 상품이나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규모가 다르다.
  2. 일반적으로 상품이나 서비스의 구입 빈도가 낮을수록 상권의 규모는 작다.
  3. 상권획정을 위한 접근법으로는 공간독점접근법, 시장침투접근법, 분산시장접근법이 있는데 고급 가구점과 같은 전문품점의 경우 분산시장접근법이 유용하다.
  4. 컨버스(P. D. Converse)는 경쟁하는 두 도시에 각각 입지해 있는 소매시설간 상권의 경계지점을 확인할 수 있도록 레일리(W. J. Reilly)의 소매중력모형을 수정했다.
  5. 허프(D. L. Huff)는 상권분석에서 결정론적인 접근보다 확률론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정답률: 50%)
  • 일반적으로 상품이나 서비스의 구입 빈도가 낮을수록 상권의 규모는 작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실제로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구입 빈도가 낮더라도 해당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높을 경우 상권의 규모가 크게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급 의류점은 구입 빈도가 낮지만 상품 가격이 높고 수요가 높을 경우 상권의 규모가 크게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지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리카도(Ricardo)는 토지비옥도의 차이 및 비옥한 토지의 한정, 수확체감의 법칙의 작용을 지대 발생원인으로 보았다.
  2. 위치지대설에서 지대함수는 중심지에서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지대가 점점 감소하는 함수이다.
  3. 마찰비용이론에 의하면 교통수단이 좋을수록 공간의 마찰이 적어지며, 이때 토지이용자는 마찰비용으로 교통비와 지대를 지불한다고 본다.
  4. 특정 토지는 입지경쟁이 일어난다면 최대의 순현재가치를 올릴 수 있는 이용에 할당되는데, 이때 최대의 순현재가치를 올릴 수 있는 원인이 무엇이든 아무런 상관이 없다.
  5. 독점지대설은 토지의 소유 자체를 지대발생의 원인으로 보며, 차액지대설로는 설명이 불가능한 최열등지에 대한 지대발생의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정답률: 43%)
  • 마지막 보기인 "독점지대설은 토지의 소유 자체를 지대발생의 원인으로 보며, 차액지대설로는 설명이 불가능한 최열등지에 대한 지대발생의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가 틀렸습니다. 독점지대설은 토지의 소유자가 지대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토지의 소유자들이 지대를 분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합니다. 따라서 차액지대설로는 설명이 불가능한 최열등지에 대한 지대발생의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독점지대설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토지의 분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ㄷ, ㅁ
  3. ㄱ, ㄹ, ㅁ
  4. ㄴ, ㄷ, ㄹ
  5. ㄷ, ㄹ, ㅁ
(정답률: 64%)
  • - "ㄴ, ㄷ, ㄹ"이 옳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 토지의 분류는 크게 경작지, 임야, 건물지, 논, 밭, 숲, 침수지 등으로 나눌 수 있다.
    - 이 중에서 "ㄴ, ㄷ, ㄹ"은 각각 경작지, 임야, 건물지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 경작지는 농작물을 재배하기 위해 경작하는 땅을 말하며, 임야는 나무를 심어 재배하는 땅을 말한다.
    - 건물지는 주택, 상가, 공장 등 건물을 세우기 위해 사용되는 땅을 말한다.
    - 따라서 "ㄴ, ㄷ, ㄹ"은 토지의 분류 중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분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부동산마케팅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소비자의 가족구성은 소비자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2. 분양대행사를 이용하는 것은 마케팅 믹스(marketing mix)의 4P전략 중 가격(Price)전략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3. 부동산마케팅에서는 경쟁하며 판매하는 상품이 없기 때문에 경쟁사를 마케팅참여자로 볼 수 없다.
  4. 관계 마케팅(interactive marketing) 전략은 AIDA(Attention, Interest, Desire, Action)원리에 기반을 두면서 소비자의 욕구를 파악하여 마케팅효과를 극대화하는 전략이다.
  5. 마케팅 믹스는 부동산 공급자가 표적시장에서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품(Product), 가격(Price), 유통경로(Place), 차별화(Positioning)를 조합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53%)
  • "소비자의 가족구성은 소비자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족 구성원의 수, 나이, 성별, 직업 등이 소비자의 구매 패턴, 욕구, 선호도 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가족 구성원이 많은 경우에는 대형 주택이나 아파트를 선호할 가능성이 높고, 반면에 독신이나 부부인 경우에는 작은 크기의 주택이나 아파트를 선호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부동산마케팅에서는 소비자의 가족구성을 파악하여 그에 맞는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부동산시장과 효율적 시장이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효율적 시장은 본질적으로 제품의 동질성과 상호간의 대체성이 있는 시장이다.
  2. 준강성 효율적 시장에서는 기술적 분석으로 초과이익을 얻을 수 없다.
  3. 강성 효율적 시장에서는 누구든지 어떠한 정보로도 초과이익을 얻을 수 없다.
  4. 부동산시장은 여러 가지 불완전한 요소가 많으므로 할당효율적 시장(allocationally efficient market)이 될 수 없다.
  5. 부동산증권화 및 실거래가신고제도 등으로 우리나라 부동산시장의 효율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정답률: 48%)
  • "부동산시장은 여러 가지 불완전한 요소가 많으므로 할당효율적 시장(allocationally efficient market)이 될 수 없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부동산시장은 정보의 비대칭성, 거래비용의 높음, 제도적인 제약 등 여러 가지 불완전한 요소가 많아 할당효율적 시장이 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부동산시장은 효율적 시장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부동산의 특성으로 인해 파생되는 특징에 관한 설명 중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ㄱ-부동성, ㄴ-영속성, ㄷ-용도의 다양성, ㄹ-개별성
  2. ㄱ-개별성, ㄴ-영속성, ㄷ-부동성, ㄹ-용도의 다양성
  3. ㄱ-부동성, ㄴ-용도의 다양성, ㄷ-영속성, ㄹ-개별성
  4. ㄱ-부동성, ㄴ-개별성, ㄷ-용도의 다양성, ㄹ-영속성
  5. ㄱ-용도의 다양성, ㄴ-부동성, ㄷ-개별성, ㄹ-영속성
(정답률: 67%)
  • 부동산은 물리적으로 이동이 어렵기 때문에 부동성이 있으며, 오랜 기간 동안 존재할 수 있는 영속성이 있습니다. 또한 부동산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각각의 부동산은 개별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개별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ㄱ-부동성, ㄴ-영속성, ㄷ-용도의 다양성, ㄹ-개별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시장상황별 추정 수익률의 예상치가 다음과 같은 부동산의 기대수익률과 분산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 처리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기대수익률 : 20%, 분산 : 0.6%
  2. 기대수익률 : 20%, 분산 : 0.4%
  3. 기대수익률 : 25%, 분산 : 4%
  4. 기대수익률 : 25%, 분산 : 5%
  5. 기대수익률 : 25%, 분산 : 6%
(정답률: 62%)
  • 기대수익률은 시장상황별 추정 수익률의 평균값을 의미하고, 분산은 시장상황별 추정 수익률의 흩어진 정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기대수익률이 20%인 부동산은 시장상황별 추정 수익률의 평균이 20%로 예상되며, 분산이 0.6%로 상대적으로 적게 흩어져 있어서 안정적인 수익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분산이 높거나 기대수익률이 높아서 높은 수익을 예상할 수 있지만, 그만큼 위험도가 높아지므로 안정적인 수익을 원하는 경우에는 20%의 기대수익률과 0.6%의 분산을 가진 부동산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부동산개발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장의 불확실성이 개발업자에게 지우는 부담을 시장위험이라 한다.
  2. 보전재개발은 현재의 시설을 대부분 그대로 유지하면서 노후ㆍ불량화의 요인만을 제거하는 재개발을 말한다.
  3. BOT(Build-Operate-Transfer)방식은 민간사업자가 스스로 자금을 조달하여 시설을 건설하고, 일정기간 소유ㆍ운영한 후, 사업이 종료한 때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 등에게 시설의 소유권을 이전하는 것을 말한다.
  4. 부동산개발의 타당성분석에 있어 개발된 부동산이 현재나 미래의 시장상황에서 매매되거나 임대될 수 있는 정도를 조사하는 것은 시장성분석이다.
  5. 도시환경정비사업은 상업지역ㆍ공업지역 등으로서 토지의 효율적 이용과 도심 또는 부도심 등 도시기능의 회복이나 상권 활성화 등이 필요한 지역에서 도시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사업이다.
(정답률: 49%)
  • 보전재개발은 현재의 시설을 대부분 그대로 유지하면서 노후ㆍ불량화의 요인만을 제거하는 재개발을 말한다. (정답)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현금흐름이 다음과 같은 투자안을 순현재가치가 큰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단, 할인율 연 10%, 사업기간은 1년임)

  1. B > C > A > D
  2. B > A > C > D
  3. A > C > B > D
  4. A > C > D > B
  5. C > B > D > A
(정답률: 49%)
  • 할인율이 10%이므로, 각 연도의 현금흐름을 할인하여 현재가치로 환산한 후 합산하여 순현재가치를 구한다.

    A: -100 + 50/(1+0.1) = -54.55
    B: -200 + 120/(1+0.1) = -81.82
    C: -150 + 80/(1+0.1) + 90/(1+0.1)^2 = 3.31
    D: -300 + 200/(1+0.1) + 100/(1+0.1)^2 = -4.13

    따라서, 순현재가치가 큰 순서대로 나열하면 "B > A > C > D" 이다.

    B는 초기 투자금이 크지만, 높은 현금흐름으로 인해 순현재가치가 가장 크다.
    A는 초기 투자금이 작지만, 현금흐름이 빠르게 발생하여 순현재가치가 두 번째로 크다.
    C는 초기 투자금이 중간 정도이며, 현금흐름이 두 번 발생하여 순현재가치가 양수이다.
    D는 초기 투자금이 가장 크지만, 현금흐름이 늦게 발생하여 순현재가치가 음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부동산시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완전히 동질적인 아파트라 하더라도 아파트가 입지한 시장지역이 달라지면 서로 다른 가격이 형성될 수 있다.
  2. 일반적으로 부동산의 공급에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가격의 왜곡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3. 부동산시장은 부동산소유권을 할당하고 공간을 배분하는 기능을 한다.
  4. 부동산시장은 경제활동별 지대지불능력에 따라 토지이용의 유형을 결정하는 기능을 한다.
  5. 부동산시장은 국지성으로 인해 동일한 가격이 형성된다.
(정답률: 62%)
  • 정답은 "부동산시장은 국지성으로 인해 동일한 가격이 형성된다." 이다.

    부동산시장은 지역적 특성, 수요와 공급의 변화, 거래 시기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가격이 결정된다. 따라서 완전히 동질적인 아파트라 하더라도 입지한 지역에 따라 가격이 다를 수 있다. 또한 부동산의 공급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가격의 왜곡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부동산시장은 부동산소유권을 할당하고 공간을 배분하는 기능을 하며, 경제활동별 지대지불능력에 따라 토지이용의 유형을 결정하는 기능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부동산활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ㄷ
  3. ㄴ, ㅁ
  4. ㄷ, ㄹ
  5. ㄹ, ㅁ
(정답률: 66%)
  • - 부동산활동이란 부동산의 매매, 임대, 평가, 중개 등의 활동을 말한다.
    - 부동산중개업자는 매도인과 매수인을 연결시켜 부동산 매매를 중개한다.
    - 부동산평가사는 부동산의 가치를 평가하여 그에 맞는 가격을 제시한다.
    - 부동산개발자는 부동산을 개발하여 새로운 건물이나 시설물을 건설한다.
    - 따라서 "ㄱ, ㄷ"가 정답이다. 부동산중개와 부동산평가는 부동산 매매와 가치 평가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활동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부동산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부동산관리자가 상업용 부동산의 임차자를 선정할 때는 가능매상고가 중요한 기준이 된다.
  2. 비율임대차(percentage lease)는 임차자 총수입의 일정비율을 임대료로 지불하는 것을 말한다.
  3. 대응적 유지활동은 시설 등이 본래의 기능을 발휘하는데 장애가 없도록 유지계획에 따라 시설을 교환하고 수리하는 사전적 유지활동을 의미한다.
  4. 부동산관리자는 임대차 계약 시 임차자에게 언제, 얼마의 임대료를 납입해야 하는지 주지시킬 필요가 있다.
  5. 임대료 손실보험은 건물 화재 등으로 피해가 발생하여 건물을 수리 및 복원하는 기간 동안 초래되는 임대료 손실을 보상해 주는 보험이다.
(정답률: 56%)
  • "대응적 유지활동은 시설 등이 본래의 기능을 발휘하는데 장애가 없도록 유지계획에 따라 시설을 교환하고 수리하는 사전적 유지활동을 의미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다만, 추가적으로 설명하자면 대응적 유지활동은 예방적 유지보수와 함께 부동산 관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방적 유지보수는 시설물의 고장이나 파손 등이 발생하기 전에 미리 예방하는 것이고, 대응적 유지활동은 이미 고장이나 파손이 발생한 시설물을 수리하거나 교환하는 것입니다. 이 두 가지 유지보수 방법을 적절히 조합하여 부동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최근 부동산시장에서 소형아파트의 임대료가 10% 상승함에 따라 소형아파트의 임대수요량은 5% 감소한 반면 오피스텔의 임대수요는 7% 증가했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단, 다른 조건은 불변임)

  1. ㄱ-탄력적, ㄴ-보완재
  2. ㄱ-비탄력적, ㄴ-보완재
  3. ㄱ-단위탄력적, ㄴ-대체재
  4. ㄱ-탄력적, ㄴ-대체재
  5. ㄱ-비탄력적, ㄴ-대체재
(정답률: 46%)
  • 정답은 "ㄱ-비탄력적, ㄴ-대체재"이다. 소형아파트의 임대료 상승으로 인한 수요 감소와 오피스텔의 임대수요 증가는 서로 대체 관계에 있으며, 이는 비탄력적인 상황이다. 즉, 가격 변화에 대한 수요의 반응이 크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오피스텔은 소형아파트와 대체재 관계에 있으므로 대체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외부효과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단, 다른 조건은 불변임)

  1. 부(-)의 외부효과에 대한 규제는 부동산의 가치를 상승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2. 정(+)의 외부효과의 경우 비용을 지불하지 않은 사람도 발생되는 이익을 누릴 수 있다.
  3. 지역지구제나 토지이용계획은 외부효과 문제의 해결 수단이 될 수 없다.
  4. 부동산의 부동성과 연속성(인접성)은 외부효과와 관련이 있다.
  5. 부(-)의 외부효과가 발생하는 재화의 경우 시장에만 맡겨두면 지나치게 많이 생산될 수 있다.
(정답률: 55%)
  • "지역지구제나 토지이용계획은 외부효과 문제의 해결 수단이 될 수 없다."가 틀린 것이다. 지역지구제나 토지이용계획은 외부효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수단 중 하나이다. 이러한 제도를 통해 지역 내에서 발생하는 부정적인 외부효과를 최소화하고 긍정적인 외부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거지역과 공업지역을 분리하여 공장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 등의 부정적인 외부효과를 최소화하고 주거지역에서는 생활환경을 개선하여 긍정적인 외부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A는 부동산자금을 마련하기 위하여 20×1년 1월 1일 현재, 2년 동안 매년 연말 2,000원씩을 불입하는 투자 상품에 가입했다. 투자 상품의 이자율이 연 10%라면, 이 상품의 현재가치는?(단, 십원단위 이하는 절사함)

  1. 3,400원
  2. 3,600원
  3. 3,700원
  4. 3,200원
  5. 3,300원
(정답률: 40%)
  • 이 문제는 연금의 현재가치를 구하는 문제이다. A가 20×1년 1월 1일부터 2년 동안 매년 연말 2,000원씩 불입하면, 총 40,000원을 불입하게 된다. 이에 대한 이자율은 연 10%이므로, 1년에 4,000원의 이자가 발생한다. 따라서 2년 동안의 이자는 8,000원이 된다. 이를 현재가치로 환산하면, 8,000원 ÷ (1+0.1)² = 6,611.57원이 된다. 이에 A가 불입한 40,000원을 더하면, 총 현재가치는 46,611.57원이 된다. 이를 십원단위로 절사하면 46,610원이 되는데, 이를 20로 나누면 2,33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330×2 = 4,660원에서 1,260원을 뺀 3,400원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공공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공재의 소비에는 비배제성과 비경합성이 있다.
  2. 공공재의 공급을 사적 시장에 맡기면 사회에서 필요한 양만큼 충분히 생산된다.
  3. 공공재는 일반적으로 정부가 세금이나 공공의 기금으로 공급하는 경우가 많다.
  4. 공공재는 외부효과를 유발하는 경우가 많다.
  5. 잘 보전된 산림은 공공재적 성격을 지닌다.
(정답률: 64%)
  • "공공재의 공급을 사적 시장에 맡기면 사회에서 필요한 양만큼 충분히 생산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이는 공공재의 특성 중 하나인 비경합성 때문입니다. 공공재는 한 명이 사용해도 다른 사람들의 이용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사적 시장에서는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나 공공기관 등이 공급을 조절하거나 지원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우리나라의 부동산투자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부동산투자회사의 설립 자본금은 1억원 이상이다.
  2. 부동산신탁의 수익자란 신탁행위에 따라 신탁이익을 받는 자를 말한다.
  3. 부동산신탁의 신탁재산관리인이란 수탁자를 대신하여 신탁재산을 관리하는 자를 말한다.
  4. 금융위원회는 공익을 위하여 또는 부동산투자회사의 주주를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하면 부동산투자회사 등에 금융감독 관련 업무에 관한 자료 제출이나 보고를 명할 수 있다.
  5. 부동산투자회사는 부동산투자회사가 아닌 회사와 합병할 수 없다.
(정답률: 58%)
  • 정답은 "부동산투자회사는 부동산투자회사가 아닌 회사와 합병할 수 없다."이다.

    부동산투자회사의 설립 자본금은 1억원 이상이어야 하며, 부동산신탁의 수익자는 신탁행위에 따라 신탁이익을 받는 자를 말하며, 부동산신탁의 신탁재산관리인은 수탁자를 대신하여 신탁재산을 관리하는 자를 말한다. 또한, 금융위원회는 공익을 위하여 또는 부동산투자회사의 주주를 보호하기 위하여 필요하면 부동산투자회사 등에 금융감독 관련 업무에 관한 자료 제출이나 보고를 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유량(flow)과 저량(stock)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저량은 일정한 기간을 정해야 측정이 가능한 개념이다.
  2. 유량은 일정 시점에서만 측정이 가능한 개념이다.
  3. 유량의 예로는 주택재고량, 부동산투자회사의 자산가치 등이 있다.
  4. 저량의 예로는 주택거래량, 신규주택공급량 등이 있다.
  5. 만약 현재 우리나라에 총 1,500만 채의 주택이 존재하고 그 중 100만 채가 공가로 남아 있다면, 현재 주택저량의 수요량은 1,400만 채이다.
(정답률: 58%)
  • 저량은 일정한 기간을 정해야 측정이 가능한 개념이며, 유량은 일정 시점에서만 측정이 가능한 개념이다. 따라서, "만약 현재 우리나라에 총 1,500만 채의 주택이 존재하고 그 중 100만 채가 공가로 남아 있다면, 현재 주택저량의 수요량은 1,400만 채이다."라는 설명은 주택의 총 수량(저량)과 공가를 제외한 주택 수량(유량)을 구분하여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주택금융과 관련된 다음 상황에서 옳은 것은?(단, 다른 조건과 가정은 배제함)

  1. ㄱ : 4억원, ㄴ : 대출 가능
  2. ㄱ : 4억원, ㄴ : 대출 불가능
  3. ㄱ : 3억 5천만원, ㄴ : 대출 불가능
  4. ㄱ : 3억원, ㄴ : 대출 가능
  5. ㄱ : 3억원, ㄴ : 대출 불가능
(정답률: 43%)
  • ㄱ의 경우, 주택 담보 대출 한도는 해당 부동산의 감정가격의 60%까지 가능하므로, 해당 부동산의 감정가격이 6억 6천만원 이상이어야 4억원 이상의 대출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ㄱ은 4억원까지 대출 가능하지 않습니다. ㄴ의 경우, 대출 가능 여부는 해당 부동산의 감정가격과 대출 신청자의 신용 등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결정되므로, 단순히 ㄱ의 금액과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ㄴ은 대출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일반 기업대출과 부동산금융에 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부동산개발신탁(사업)금융의 자금은 위탁자가 관리한다.
  2. 일반 기업대출의 자금은 차입자가 관리하고 부동산 프로젝트금융의 자금은 위탁계좌에 의해 관리된다.
  3. 부동산개발신탁(사업)금융의 차입자는 신탁회사이다.
  4. 일반 기업대출의 차입자는 일반기업이고 부동산 프로젝트금융의 차입자는 특수법인이다.
  5. 부동산 프로젝트금융은 비소구(非訴求) 또는 제한적 소구 금융방식이다.
(정답률: 44%)
  • "부동산개발신탁(사업)금융의 자금은 위탁자가 관리한다."가 틀린 것이다. 부동산개발신탁(사업)금융의 자금은 신탁회사가 관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법령을 기준으로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부동산정책이 아닌 것은?

  1. 소득세법 - 지정지역(투기지역)의 지정
  2. 종합부동산세법 - 종합부동산세
  3. 공공토지의 비축에 관한 법률 - 토지은행
  4. 택지소유상한에 관한 법률 - 택지소유상한
  5.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 용도지역
(정답률: 57%)
  • 정답은 "택지소유상한에 관한 법률 - 택지소유상한"입니다. 이유는 다른 보기들은 각각 소득세, 종합부동산세, 공공토지의 비축, 국토의 계획과 관련된 법령이지만, 택지소유상한에 관한 법률은 부동산의 소유와 관련된 법령입니다. 이 법령은 토지소유자의 권리를 제한하고, 토지의 합리적인 이용을 촉진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부동산의 가격발생요인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효용(유용성)은 인간의 필요나 욕구를 만족시켜 줄 수 있는 재화의 능력을 말한다.
  2. 상대적 희소성은 인간의 욕망에 비해 욕망의 충족 수단이 질적ㆍ양적으로 한정되어 있어서 부족한 상태를 말한다.
  3. 가격발생요인인 효용, 유효수요, 상대적 희소성 중 하나만 있어도 가격이 발생한다.
  4. 양도가능성(이전성)을 부동산의 가격발생요인으로 포함하는 견해도 있다.
  5. 가격형성요인은 가격발생요인에 영향을 미친다.
(정답률: 47%)
  • "가격발생요인인 효용, 유효수요, 상대적 희소성 중 하나만 있어도 가격이 발생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없다. 이유는 효용, 유효수요, 상대적 희소성은 모두 부동산의 가격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인들이기 때문이다. 이들 중 하나만 있어도 가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은 그것이 다른 요인들과 상호작용하여 가격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부동산 조세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단, 다른 조건은 불변임)

  1. 부동산 취득 단계에서 부과되는 조세로는 취득세, 인지세 등이 있다.
  2. 헨리 조지(Henry George)는 토지에서 발생하는 지대수입을 100% 징세할 경우, 토지세 수입만으로 재정을 충당할 수 있기 때문에 토지세 이외의 모든 조세는 철폐하자고 주장했다.
  3. 지가상승에 대한 기대가 퍼져 있는 상황에서 양도소득세가 중과되어 동결효과(lock-in effect)가 발생하면 지가가 하락한다.
  4. 조세의 전가란 납세의무자에게 부담된 조세가 납세의무자의 부담이 되지 않고 다른 사람에게 이전되는 것을 말한다.
  5. 부동산세금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필요한 재원을 조달하거나 분배의 불공평성을 개선하기 위해 부과하기도 한다.
(정답률: 57%)
  • "지가상승에 대한 기대가 퍼져 있는 상황에서 양도소득세가 중과되어 동결효과(lock-in effect)가 발생하면 지가가 하락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양도소득세가 중과되어 동결효과가 발생하면 부동산 소유자들이 부동산을 매각하지 않고 보유하게 되므로 시장에 유동성이 부족해지고, 이에 따라 지가가 하락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양도소득세가 중과되는 것은 부동산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부동산증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우리나라 자산유동화증권(asset-backed securities)제도는「자산유동화에 관한 법률」에 의해 도입 되었다.
  2. 저당대출자동이체채권(mortgage pay-through bonds)은 하나의 저당집합에서 만기와 이자율을 다양화하여 발행한 여러 종류의 채권을 말한다.
  3. 저당대출자동이체채권은 저당채권이체증권(mortgage pass-through securities)과 주택저당담보부채권(mortgage-backed bonds)을 혼합한 성격의 주택저당증권(mortgage backed securities)이다.
  4. 주택저당담보부채권은 저당채권의 집합에 대한 채권적 성격의 주택저당증권이다.
  5. 다계층저당증권(collateralized mortgage obligation)의 발행자는 저당채권의 풀(pool)에 대한 소유권을 가지면서 동 풀(pool)에 대해 채권을 발행하는 것이다.
(정답률: 47%)
  • 저당대출자동이체채권은 하나의 저당집합에서 만기와 이자율을 다양화하여 발행한 여러 종류의 채권을 말한다. (이 설명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주택정책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단, 다른 조건은 불변임)

  1. 현재 주택정책의 관련 부처는 국토해양부 외에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등 다양하다.
  2. 주택임대료 규제는 임대주택의 질적 수준을 하락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3. 주택임대차 계약 갱신 시 임대료의 상승률에 대한 규제는 기존 임차인들의 주거이동을 저하시킬 수 있다.
  4. 주택임대료 보조정책을 시행할 경우 장기적으로 임대주택의 공급은 증가할 수 있다.
  5. 정부가 규제하는 주택임대료의 상한이 시장의 균형임대료보다 높아야 시장에 영향을 준다.
(정답률: 53%)
  • "정부가 규제하는 주택임대료의 상한이 시장의 균형임대료보다 높아야 시장에 영향을 준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정부가 규제하는 주택임대료의 상한이 시장의 균형임대료보다 높을 경우, 임대주택의 공급이 감소하고, 임대료가 높아지는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는 시장의 균형을 고려하여 적절한 주택정책을 수립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부동산의 수요와 공급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단, 다른 조건은 불변임)

  1. 주택임대료가 상승하면 다른 재화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하락하여 임대수요량이 감소하는 것은 대체효과에 대한 설명이다.
  2. 인구의 감소라는 요인으로 수요곡선 자체가 이동하는 것은 수요의 변화이다.
  3. 일반적으로 이자율이 하락하면 부동산의 수요가 증가한다.
  4. 균형 상태인 시장에서 건축원자재의 가격이 하락하면 균형거래량은 감소하고 균형가격은 하락한다.
  5. 주택의 수요(demand)와 소요(needs)의 개념은 서로 다르다.
(정답률: 58%)
  • "균형 상태인 시장에서 건축원자재의 가격이 하락하면 균형거래량은 감소하고 균형가격은 하락한다."이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니다. 이유는 건축원자재의 가격이 하락하면 건설비용이 감소하게 되어 부동산 개발자들이 더 많은 부동산을 건설하게 되어 공급이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균형거래량은 감소하지만 균형가격은 하락하게 된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은 부동산회사의 부채비율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ㄱ : 200,000원, ㄴ : 25%, ㄷ : 400,000원, ㄹ : 100%
  2. ㄱ : 200,000원, ㄴ : 10%, ㄷ : 400,000원, ㄹ : 100%
  3. ㄱ : 200,000원, ㄴ : 10%, ㄷ : 400,000원, ㄹ : 75%
  4. ㄱ : 160,000원, ㄴ : 25%, ㄷ : 200,000원, ㄹ : 75%
  5. ㄱ : 160,000원, ㄴ : 10%, ㄷ : 200,000원, ㄹ : 100%
(정답률: 46%)
  • 정답은 "ㄱ : 200,000원, ㄴ : 25%, ㄷ : 400,000원, ㄹ : 100%"이다.

    부채비율은 부채/자본으로 계산되며, 이 회사의 부채는 400,000원이고 자본은 200,000원이므로 부채비율은 200,000/400,000 = 0.5 = 50%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부채비율이 200%로 주어졌으므로, 자본은 부채의 절반인 200,000원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ㄱ은 200,000원이 되고, ㄴ은 부채비율이 25%로 주어졌으므로 자본의 4배인 400%의 부채를 가질 수 있다는 뜻이다. ㄷ는 부채의 합인 400,000원이 주어졌으므로 그대로 적용하면 되고, ㄹ은 자본이 부채의 절반이므로 100%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우리나라의 부동산투자회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영업인가를 받은 날부터 6개월이 지난 자기관리 부동산투자회사의 최저자본금은 70억원 이상이 되어야 한다.
  2. 부동산투자회사는 주식회사로 하며, 그 상호에 부동산투자회사라는 명칭을 사용하여야 한다.
  3. 영업인가를 받은 날부터 6개월이 지난 위탁관리 부동산투자회사 및 기업구조조정 부동산투자회사의 최저자본금은 각각 50억원 이상이 되어야 한다.
  4. 기업구조조정 부동산투자회사는 자산운용 전문인력을 포함한 임직원을 상근으로 두고 자산의 투자ㆍ운용을 직접 수행하는 회사이다.
  5. 부동산투자회사는「부동산투자회사법」에서 특별히 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상법」의 적용을 받는다.
(정답률: 54%)
  • 영업인가를 받은 날부터 6개월이 지난 위탁관리 부동산투자회사 및 기업구조조정 부동산투자회사의 최저자본금은 각각 50억원 이상이 되어야 한다. (정답은 3번)

    기업구조조정 부동산투자회사는 자산운용 전문인력을 포함한 임직원을 상근으로 두고 자산의 투자ㆍ운용을 직접 수행하는 회사이다. 이는 맞는 설명이다.

    부동산투자회사는 주식회사로 하며, 그 상호에 부동산투자회사라는 명칭을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부동산투자회사는「부동산투자회사법」에서 특별히 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상법」의 적용을 받는다.

    따라서, 틀린 설명은 3번인 "영업인가를 받은 날부터 6개월이 지난 위탁관리 부동산투자회사 및 기업구조조정 부동산투자회사의 최저자본금은 각각 50억원 이상이 되어야 한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자금조달방법 중 부채금융(debt financing)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ㅁ
  3. ㄴ, ㄷ
  4. ㄷ, ㄹ
  5. ㄷ, ㅁ
(정답률: 51%)
  • 부채금융(debt financing)은 자금을 조달할 때 대출 등의 방법으로 부채를 발생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ㄴ, ㄷ"인 보기인 대출과 채권 발행은 모두 부채금융의 형태이므로 정답입니다. "ㄱ, ㄴ"인 보기인 자기자본과 대출은 자기자본은 부채가 아니므로 부채금융이 아니며, "ㄱ, ㅁ"인 보기인 자기자본과 주식 발행은 자기자본의 형태이므로 부채금융이 아닙니다. "ㄷ, ㄹ"인 보기인 채권 발행과 주식 발행은 채권 발행은 부채금융이지만 주식 발행은 자기자본의 형태이므로 정답이 아닙니다. 마지막으로 "ㄷ, ㅁ"인 보기인 채권 발행과 자기자본은 채권 발행은 부채금융이지만 자기자본은 부채가 아니므로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부동산투자 타당성분석 방법 중 할인기법이 아닌 것은?

  1. ㄱ, ㅁ
  2. ㄴ, ㄷ
  3. ㄴ, ㄹ
  4. ㄴ, ㅁ
  5. ㄷ, ㄹ
(정답률: 55%)
  • 할인기법은 부동산의 현재 가치를 계산하는 방법 중 하나이지만, 다른 보기들은 모두 부동산투자 타당성분석에서 사용되는 방법들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ㄴ, 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부동산의 경기순환과 변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단, 다른 조건은 불변임)

  1. 부동산경제를 구성하고 있는 각 부문에서 순환적 변동을 비롯한 계절적, 장기적, 무작위적 변동이 나타난다.
  2. 무작위적 변동이란 예기치 못한 사태로 초래되는 비순환적 경기변동 현상을 말한다.
  3. 대학교 근처의 임대주택이 방학을 주기로 공실률이 높아지는 것은 계절적 변동에 속한다.
  4. 상향시장에서 직전 회복시장의 거래사례가격은 현재시점에서 상한가가 된다.
  5. 상향시장에서는 건축허가량이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정답률: 64%)
  • "상향시장에서 직전 회복시장의 거래사례가격은 현재시점에서 상한가가 된다."는 틀린 설명이다. 상향시장에서는 거래사례가격이 상승하긴 하지만, 상한가가 되는 것은 아니다. 이유는 시장에서 판매자와 구매자의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지 않을 때에만 상한가가 발생하는데, 이는 일반적인 상황이 아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부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도시공간구조 및 입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동심원설에 의하면 중심지와 가까워질수록 범죄, 빈곤 및 질병이 적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2. 선형이론에 의하면 주택구입능력이 높은 고소득층의 주거지는 주요 간선도로 인근에 입지하는 경향이 있다.
  3. 다핵심이론에서는 다핵의 발생요인으로 유사활동간 분산지향성, 이질활동간 입지적 비양립성 등을 들고 있다.
  4. 도시공간구조의 변화를 야기하는 요인은 교통의 발달이지 소득의 증가와는 관계가 없다.
  5. 잡화점, 세탁소는 산재성 점포이고 백화점, 귀금속점은 집재성 점포이다.
(정답률: 46%)
  • 선형이론에 따르면 고소득층은 주요 간선도로 인근에 주거지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교통의 편리성과 접근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고소득층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은 주요 도로와 교통망이 발달한 지역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부동산 가격공시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표준지의 평가에 있어서 공익사업의 계획 또는 시행이 공고 또는 고시됨으로 인해 공시기준일 현재 현실화ㆍ구체화된 지가의 증가분은 이를 반영하여 평가한다.
  2. 표준지공시지가의 공시사항으로는 표준지의 단위면적당 가격, 표준지 및 주변토지의 이용상황, 도로ㆍ교통상황, 지세 등이 있다.
  3. 표준지의 적정가격을 조사ㆍ평가하는 경우에는 인근유사토지의 거래가격ㆍ임대료 및 당해 토지와 유사한 이용가치를 지닌다고 인정되는 토지의 조성에 필요한 비용추정액 등을 종합적으로 참작하여야 한다.
  4. 표준주택가격을 평가하는 경우에 표준주택에 전세권 그 밖의 주택의 사용ㆍ수익을 제한하는 권리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당해 권리가 존재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보고 적정가격을 평가하여야 한다.
  5. 표준지의 평가는 공부상의 지목에 불구하고 현장 조사 당시의 이용상황을 기준으로 평가하되, 일시적인 이용상황은 이를 고려하지 아니한다.
(정답률: 30%)
  • "표준지의 평가는 공부상의 지목에 불구하고 현장 조사 당시의 이용상황을 기준으로 평가하되, 일시적인 이용상황은 이를 고려하지 아니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표준지의 평가는 현장 조사 당시의 이용상황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일시적인 이용상황은 고려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평가 시점에서의 이용상황이 중요하며, 이용상황이 변화하면 평가도 변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의 자료로 평가한 부동산의 가치는?

  1. 637,380,000원
  2. 640,740,000원
  3. 642,000,000원
  4. 642,840,000원
  5. 644,520,000원
(정답률: 39%)
  • 주어진 자료에서 부동산의 면적은 1,284.0㎡이고, 평가단위 가격은 500,000원/㎡이다. 따라서 부동산의 가치는 면적에 평가단위 가격을 곱한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1,284.0㎡ x 500,000원/㎡ = 642,000,000원

    따라서 정답은 "642,00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자본회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ㄷ
  2. ㄱ, ㄴ, ㄹ
  3. ㄱ, ㄷ, ㅁ
  4. ㄴ, ㄹ, ㅁ
  5. ㄷ, ㄹ, ㅁ
(정답률: 32%)
  • - 자본회수란 투자한 자본을 언제 어떻게 회수할 것인가에 대한 계획이다.
    - "ㄱ, ㄷ, ㅁ"은 모두 자본회수 방법을 나타내는 것으로, 각각은 다음과 같다.
    - "ㄱ": 현금 배당을 통해 주주에게 이익을 분배하고 자본을 회수하는 방법이다.
    - "ㄷ": 주식 매각을 통해 자본을 회수하는 방법이다.
    - "ㅁ": 사업을 확장하거나 새로운 사업을 시작함으로써 얻는 이익을 통해 자본을 회수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최유효이용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최유효이용분석이란 지역분석과 개별분석을 통하여 대상부동산이 최대의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용도를 찾아내는 작업이다.
  2. 특정 토지의 용도가 인근지역의 일반적인 용도와는 전혀 다른 데도 최유효이용이 될 수 있는 이유 중의 하나는 부동산의 개별성 때문이다.
  3. 중도적 이용(interim use)이란 가까운 장래에 대상부동산의 새로운 최유효이용이 도래할 것으로 예상될 때 그 대기과정 중에 있는 현재의 이용을 말한다.
  4. 초과토지(excess land)란 현존 지상개량물에 필요한 적정면적 이상의 토지를 말하며 건부지와 다른 용도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없다.
  5. 투기적 이용(speculative use)의 경우에는 불확실성이 높기 때문에 최유효이용을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
(정답률: 43%)
  • 최유효이용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초과토지(excess land)란 현존 지상개량물에 필요한 적정면적 이상의 토지를 말하며 건부지와 다른 용도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없다."이다. 초과토지는 건부지와 다른 용도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최근 신축한 주택(토지 300m2, 건물 500m2)을 91,000,000원에 매도의뢰 했으나 85,500,000원에 거래되었는데, 이는 매도자의 급박한 사정으로 인하여 정상거래가격대비 5% 저가(低價)로 매도한 것이다. 이 건물은 매도자가 최근 82,000원/m2에 직접 건축한 것으로 유사 건물의 재조달원가는 거래시점 현재 90,000원/m2이 일반적이다. 이 주택의 토지평가액은?(단, 건물의 신축시점과 거래시점은 동일함)

  1. 40,500,000원
  2. 44,500,000원
  3. 45,000,000원
  4. 46,000,000원
  5. 49,000,000원
(정답률: 39%)
  • 주택의 거래가격은 정상거래가격대비 5% 저가로 매도되었으므로, 정상거래가격은 85,500,000원 ÷ 0.95 ≈ 90,000,000원이다. 이 건물은 매도자가 최근 82,000원/m2에 직접 건축한 것으로, 건물의 재조달원가는 거래시점 현재 90,000원/m2이다. 따라서 건물의 재조달원가는 82,000원/m2보다 높으므로, 건물의 가치는 최소한 82,000원/m2 × 500m2 = 41,000,000원 이상이다. 따라서 이 주택의 토지평가액은 건물의 가치를 제외한 나머지인 90,000,000원 - 41,000,000원 = 49,000,000원이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토지 300m2"이라는 조건이 주어졌으므로, 토지평가액은 49,000,000원 ÷ 300m2 = 163,333원/m2이다. 따라서 정답은 163,333원/m2 × 275m2 = 45,000,000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감정평가의 분류 및 부동산 가격제원칙에 관한 설명 중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ㄱ-부분평가, ㄴ-기회비용의 원칙
  2. ㄱ-부분평가, ㄴ-균형의 원칙
  3. ㄱ-구분평가, ㄴ-경쟁의 원칙
  4. ㄱ-구분평가, ㄴ-기회비용의 원칙
  5. ㄱ-구분평가, ㄴ-균형의 원칙
(정답률: 55%)
  • 정답은 "ㄱ-부분평가, ㄴ-기회비용의 원칙"입니다.

    부동산 가격 평가에서는 전체적인 가치를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부분적인 가치를 평가하는 부분평가가 중요합니다. 또한 부동산 가격은 기회비용의 원칙에 따라 다른 투자 기회와 비교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이 두 가지 원칙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민법 및 민사특별법

41. 단독행위가 아닌 것은?

  1. 합의해제
  2. 청약의 철회
  3. 의사표시의 취소
  4. 법정대리인의 동의
  5. 무권대리행위에 대한 본인의 추인
(정답률: 52%)
  • 합의해제는 단독행위가 아닌 것이다. 합의해제는 두 개 이상의 당사자가 서로 합의한 내용을 해제하는 것으로, 상호적인 동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단독으로 결정할 수 없으며 상대방의 동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대리권의 범위가 명확하지 않은 임의대리인이 일반적으로 할 수 있는 행위가 아닌 것은?

  1. 미등기 부동산을 등기하는 행위
  2. 부패하기 쉬운 물건의 매각행위
  3. 소의 제기로 소멸시효를 중단시키는 행위
  4. 무이자 금전소비대여를 이자부로 변경하는 행위
  5. 은행예금을 찾아 보다 높은 금리로 개인에게 빌려주는 행위
(정답률: 57%)
  • 임의대리인은 대리권의 범위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할 수 있는 행위는 대리인의 일반적인 업무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한됩니다. 따라서 "은행예금을 찾아 보다 높은 금리로 개인에게 빌려주는 행위"는 일반적인 대리인의 업무에 해당하지 않으며, 이는 대리인의 권한을 벗어난 행위로 간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甲이 자기 소유의 고화(古畵) 한 점을 乙에게 960만원에 매도할 의사로 청약하였는데 청약서에는 690만원으로 기재되어 매매계약이 체결되었다. 甲의 진의를 알 수 있는 다른 해석 자료가 없어서 690만원에 매매계약이 성립한 것으로 보는 법률행위의 해석 방법은?(단, 甲의 착오로 인한 취소가능성은 논외로 함)

  1. 예문해석
  2. 유추해석
  3. 자연적 해석
  4. 규범적 해석
  5. 보충적 해석
(정답률: 49%)
  • 정답은 "규범적 해석"이다. 이유는 매매계약에서는 당사자들이 합의한 가격이 계약의 규범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청약서에 기재된 가격인 690만원이 매매계약의 규범이 되어 성립된 것으로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의사표시의 효력발생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1. 과실 없이 상대방의 소재를 알지 못하는 표의자는 공시송달에 의하여 의사표시의 효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2. 표의자가 의사표시 발신 후 행위능력을 상실하더라도 그 의사표시의 효력에는 영향이 없다.
  3. 표의자는 의사표시가 도달하기 전에는 그 의사표시를 철회할 수 있다.
  4. 우편물이 등기우편의 방법으로 발송되었다는 사실만으로는 상당기간 내에 도달하였다고 추정할 수 없다.
  5. 내용증명 우편물이 반송되지 않았다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무렵에 송달되었다고 보아야 한다.
(정답률: 52%)
  • "우편물이 등기우편의 방법으로 발송되었다는 사실만으로는 상당기간 내에 도달하였다고 추정할 수 없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등기우편은 발송일로부터 2~3일 이내에 도달하도록 우체국에서 보장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등기우편으로 발송된 의사표시는 발송일로부터 2~3일 이내에 도달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반사회질서의 법률행위로서 무효라고 볼 수 없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ㄱ, ㄷ, ㄹ
  5. ㄴ, ㄷ, ㄹ
(정답률: 46%)
  • 반사회질서의 법률행위는 법적으로 유효하며, 무효화할 수 없는 것들을 의미합니다. 이에 따라, 판례에 따라 다소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경우들이 해당됩니다.

    - ㄱ: 법적으로 필요한 절차를 거쳤을 경우 (예: 공고, 통지 등)
    - ㄷ: 법적으로 정당한 권한을 가진 자가 행한 경우 (예: 공무원의 행정처분)
    - ㄹ: 법적으로 정당한 목적을 가진 경우 (예: 자기방어, 공익을 위한 행위 등)

    따라서, 이러한 경우들은 반사회질서의 법률행위로서 무효화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甲은 강제집행을 면하기 위하여 乙과 통모하여 그의 부동산을 매매의 형식을 빌려 乙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쳤고, 乙은 그 사정을 모르는 丙에게 저당권을 설정해 주면서 금원을 차용하였다. 다음 중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1. 甲ㆍ乙 사이의 매매계약은 무효이다.
  2. 甲은 乙에게 진정명의회복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를 청구할 수 있다.
  3. 丙이 과실로 가장매매 사실을 모른 경우에도 丙의 저당권은 보호된다.
  4. 丙의 저당권실행으로 甲에게 손해가 발생한 경우, 甲은 乙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5. 丙의 저당권실행으로 제3자가 부동산을 매수한 경우, 甲은 乙에게 부당이득금의 반환을 구할 수 없다.
(정답률: 35%)
  • "甲ㆍ乙 사이의 매매계약은 무효이다."가 틀린 것이 아닌 이유는, 乙의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가 완료되었기 때문에 매매계약은 유효하게 체결된 것으로 간주됩니다.

    "甲은 乙에게 진정명의회복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를 청구할 수 있다."가 맞는 이유는, 甲이 乙과의 매매계약이 강제집행을 면하기 위한 가짜 계약임을 입증하면, 그 계약은 무효가 되고 甲은 진정한 소유자로서 소유권이전등기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丙이 과실로 가장매매 사실을 모른 경우에도 丙의 저당권은 보호된다."가 맞는 이유는, 丙이 乙의 부당한 행위를 알지 못하고 저당권을 설정한 경우에도, 丙의 저당권은 보호됩니다.

    "丙의 저당권실행으로 甲에게 손해가 발생한 경우, 甲은 乙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가 맞는 이유는, 丙의 저당권실행으로 인해 甲에게 손해가 발생한 경우, 乙은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습니다.

    "丙의 저당권실행으로 제3자가 부동산을 매수한 경우, 甲은 乙에게 부당이득금의 반환을 구할 수 없다."가 틀린 것은, 甲이 乙과의 매매계약이 가짜 계약임을 입증하고 진정한 소유자임을 인정받은 경우, 甲은 부당이득금의 반환을 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법률행위의 무효 또는 취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1. 무효행위의 추인은 명시적인 의사표시로 하여야 한다.
  2. 법정대리인은 취소원인 종료 전에도 추인할 수 있다.
  3. 취소할 수 있는 법률행위를 추인한 자는 그 법률행위를 다시 취소하지 못한다.
  4. 법률행위의 취소를 당연한 전제로 한 소송상의 이행청구에는 취소의 의사표시가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5. 당사자 쌍방이 각각 취소사유 없이 법률행위를 취소한 경우, 쌍방이 모두 취소의 의사표시를 하였다는 사정만으로 그 법률행위의 효력이 상실되는 것은 아니다.
(정답률: 40%)
  • "법률행위의 취소를 당연한 전제로 한 소송상의 이행청구에는 취소의 의사표시가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무효행위의 추인은 명시적인 의사표시로 하여야 합니다. 법정대리인은 취소원인 종료 전에도 추인할 수 있습니다. 취소할 수 있는 법률행위를 추인한 자는 그 법률행위를 다시 취소하지 못합니다. 당사자 쌍방이 각각 취소사유 없이 법률행위를 취소한 경우, 쌍방이 모두 취소의 의사표시를 하였다는 사정만으로 그 법률행위의 효력이 상실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소송상의 이행청구에는 취소의 의사표시가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없습니다. 이행청구는 법률행위의 취소와는 별개의 절차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행청구를 통해 법률행위의 취소를 요구하려면 별도의 취소소송을 제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권한을 넘은 표현대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1. 복임권이 없는 대리인이 선임한 복대리인의 권한도 기본대리권이 될 수 있다.
  2. 정당한 이유의 유무는 대리행위 당시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하는 것이 원칙이다.
  3. 공법상의 행위 중 등기신청에 관한 대리권도 기본대리권이 될 수 있다.
  4. 사원총회의 결의를 거쳐야 처분할 수 있는 비법인사단의 총유재산을 대표자가 임의로 처분한 경우에도 권한을 넘은 표현대리에 관한 규정이 준용될 수 있다.
  5. 기본대리권의 내용과 대리행위가 동종이 아니더라도 상대방이 그 권한이 있다고 믿을만한 정당한 이유가 있으면 표현대리가 성립할 수 있다.
(정답률: 44%)
  • "사원총회의 결의를 거쳐야 처분할 수 있는 비법인사단의 총유재산을 대표자가 임의로 처분한 경우에도 권한을 넘은 표현대리에 관한 규정이 준용될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사원총회의 결의를 거쳐야 처분할 수 있는 비법인사단의 총유재산을 대표자가 임의로 처분한 경우에는 권한을 넘은 표현대리에 관한 규정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이 경우에는 대표자의 권한을 넘어선 처분은 무효로 간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무권대리인 乙이 甲의 토지를 丙에게 매도하고 인도와 동시에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쳐 주었다. 다음 중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1. 乙ㆍ丙 사이의 매매계약은 원칙적으로 甲에게 효력이 없다.
  2. 甲은 乙ㆍ丙 사이의 매매계약에 대하여 추인을 거절할 수 있다.
  3. 丙이 계약당시 乙의 대리권 없음을 안 경우에는 甲의 추인 전이라도 매매계약을 철회할 수 없다.
  4. 乙이 甲을 단독상속한 경우, 乙은 소유자의 지위에서 丙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의 말소등기를 청구할 수 없다.
  5. 乙이 甲을 단독상속한 경우, 乙은 소유자의 지위에서 丙에 대하여 토지의 점유로 인한 부당이득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
(정답률: 47%)
  • "乙이 甲을 단독상속한 경우, 乙은 소유자의 지위에서 丙에 대하여 토지의 점유로 인한 부당이득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가 틀린 것이 아니다.

    이유는, 무권대리인인 乙이 甲의 토지를 丙에게 매도하고 인도와 동시에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쳐 주었을 경우, 乙은 甲의 대리인으로서 행한 행위이므로 甲과 丙 사이의 매매계약에 효력이 있다. 따라서, 乙이 甲을 단독상속한 경우에도 乙은 소유자의 지위에서 丙에 대하여 토지의 점유로 인한 부당이득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법률행위의 조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1. 기성조건을 정지조건으로 한 법률행위는 무효이다.
  2. 사회질서에 반한 조건이 해제조건이면 조건 없는 법률행위가 된다.
  3. 조건의 성취가 미정인 권리ㆍ의무는 일반규정에 의하여 처분할 수 없다.
  4. 해제조건부 법률행위에서 조건이 성취되지 않으면 법률행위의 효력은 소멸하지 않는다.
  5. 정지조건부 법률행위는 조건이 성취되면 소급하여 효력이 생기는 것이 원칙이다.
(정답률: 38%)
  • 해제조건부 법률행위에서 조건이 성취되지 않으면 법률행위의 효력은 소멸하지 않는 이유는, 조건부로 행해진 법률행위는 조건이 성취되기 전까지는 일단 효력이 발생하며, 조건이 성취되면 그때부터 법률행위의 효력이 발생하는 것이 원칙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조건이 성취되지 않더라도 법률행위의 효력은 소멸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물권의 변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1. 건물을 신축한 자는 등기를 하여야 소유권을 취득한다.
  2. 5년간 소유의 의사로 평온ㆍ공연하게 동산을 점유한 자는 그 점유개시 당시에 과실이 있더라도 소유권을 취득한다.
  3. 미등기건물의 매수인은 그 건물의 불법점유자에 대하여 직접 자신의 소유권에 기한 명도를 청구할 수 없다.
  4. 점유권은 상속으로 상속인에게 이전될 수 없다.
  5. 합유지분포기에 따른 물권변동의 효력은 등기없이도 발생한다.
(정답률: 43%)
  • 미등기건물의 매수인은 그 건물의 불법점유자에 대하여 직접 자신의 소유권에 기한 명도를 청구할 수 없는 이유는 건물을 신축한 자가 등기를 하지 않으면 소유권을 취득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미등기건물의 소유권은 등기되어 있는 것이 아니므로 매수인은 불법점유자에 대한 소유권 명도를 청구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등기하여야 물권변동의 효력이 생기는 것은?

  1. 등기된 입목에 대한 저당권의 취득
  2. 피담보채무의 변제로 인한 저당권의 소멸
  3. 혼동에 의한 지상권의 소멸
  4. 상속에 의한 소유권의 취득
  5. 분묘기지권의 취득
(정답률: 36%)
  • 물권변동은 등기에 의해 효력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등기되지 않은 입목에 대한 저당권은 효력이 없습니다. 따라서 "등기된 입목에 대한 저당권의 취득"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등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1. 가등기 후 제3자에게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된 경우, 본등기를 하지 않은 가등기권리자는 가등기의무자에게 제3자명의 등기의 말소를 청구할 수 있다.
  2. 멸실된 건물에 대한 보존등기를 신축된 건물의 보존등기로 유용할 수 있다.
  3. 가등기 이후에 가압류등기가 마쳐지고 가등기에 기한 본등기가 된 경우, 등기관은 그 가압류등기를 직권으로 말소할 수 없다.
  4. 甲 명의의 저당권설정의 가등기가 있은 후에 乙 명의의 저당권설정등기가 되었고, 그 후 甲의 가등기에 기해 본등기가 되었다면, 乙의 저당권이 甲의 저당권에 우선한다.
  5. 토지대장상 소유권이전등록을 받은 자는 대장상 최초의 소유명의인 앞으로 보존등기를 한 다음에 이전등기를 하여야 한다.
(정답률: 41%)
  • 토지대장상 소유권이전등록을 받은 자는 대장상 최초의 소유명의인 앞으로 보존등기를 한 다음에 이전등기를 해야 한다. 이는 보존등기가 이전등기보다 우선순위가 높기 때문이다. 이전등기를 먼저 하게 되면 보존등기가 사라지게 되므로, 보존등기를 먼저 한 후 이전등기를 해야 한다. 이는 판례로도 인정되어 있는 사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혼동에 의한 물권소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ㄹ
  5. ㄱ, ㄷ
(정답률: 37%)
  • 혼동에 의한 물권소멸은 물건을 잘못 판매하거나 잘못된 등기를 한 경우에 발생합니다. 이 경우에는 소유자가 아닌 사람이 물건을 취득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물권소멸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

    이 중에서도 "ㄷ, ㄹ"이 옳은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ㄱ, ㄴ" : 이 경우에는 물건을 잘못 판매한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A가 소유한 물건을 B에게 판매하고 나중에 A가 다시 그 물건을 판매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에는 B가 물건을 취득한 것이므로 물권소멸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 "ㄴ, ㄷ" : 이 경우에는 잘못된 등기를 한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A가 소유한 물건을 B에게 판매하고 B가 등기를 하지 않은 채로 A가 다시 그 물건을 판매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에는 B가 등기를 하지 않았으므로 물권소멸이 발생합니다.
    - "ㄷ, ㄹ" : 이 경우에는 물건을 잘못 판매하거나 잘못된 등기를 한 경우 모두 해당됩니다. 예를 들어, A가 소유한 물건을 B에게 판매하고 B가 등기를 하지 않은 채로 A가 다시 그 물건을 판매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에는 B가 물건을 취득한 것이므로 물권소멸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B가 등기를 하지 않았으므로 물권소멸이 발생합니다.
    - "ㄱ, ㄹ" : 이 경우에는 물건을 잘못 판매하거나 잘못된 등기를 한 경우 모두 해당됩니다. 예를 들어, A가 소유한 물건을 B에게 판매하고 B가 등기를 한 뒤 A가 다시 그 물건을 판매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에는 B가 물건을 취득한 것이므로 물권소멸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A가 다시 판매한 것이므로 물권소멸이 발생합니다.
    - "ㄱ, ㄷ" : 이 경우에는 물건을 잘못 판매하거나 잘못된 등기를 한 경우 모두 해당됩니다. 예를 들어, A가 소유한 물건을 B에게 판매하고 B가 등기를 하지 않은 채로 A가 다시 그 물건을 판매하고, 그 물건을 C가 취득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에는 B가 등기를 하지 않았으므로 물권소멸이 발생합니다. 그러나 C가 물건을 취득한 것이므로 물권소멸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甲의 토지를 무단으로 점유하던 乙이 문서를 위조하여 자기 앞으로 등기를 이전한 다음, 丙에게 매도하여 丙이 소유자로 등기되어 있다. 다음 중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1. 甲은 丙을 상대로 진정명의회복을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를 청구할 수 있다.
  2. 甲은 乙, 丙을 상대로 각 등기의 말소등기를 청구할 수 없다.
  3. 甲의 말소등기청구로 소유권을 상실한 丙은 乙에게 이미 지급한 매매대금의 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
  4. 丙이 乙을 소유자로 믿었고, 믿었는데 과실이 없는 경우에도 소유권을 즉시 취득할 수 없다.
  5. 丙명의의 등기 후, 선의ㆍ무과실로 토지를 10년간 점유하면 丙은 그 토지를 시효취득할 수 있다.
(정답률: 38%)
  • "甲은 乙, 丙을 상대로 각 등기의 말소등기를 청구할 수 없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유는 등기법 제32조에 따라 등기부에 등록된 사항은 등기부에 등록된 사실로서 제3자에게 효력이 있으며, 등기부에 등록된 소유자는 등기부에 등록된 소유권을 보유하게 됩니다. 따라서 甲이 토지의 진정한 소유자이지만 등기부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등기부에 등록된 乙과 丙은 등기부에 등록된 사실에 따라 소유자로 인정됩니다. 이에 따라 甲은 乙과 丙을 상대로 각 등기의 말소등기를 청구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등기청구권의 법적 성질이 다른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1. 매수인의 매도인에 대한 등기청구권
  2. 청구권 보전을 위한 가등기에 기한 본등기청구권
  3. 매매계약의 취소로 인한 매도인의 매수인에 대한 등기청구권
  4. 시효취득에 기한 등기청구권
  5. 중간생략등기에 있어서 최종양수인의 최초양도인에 대한 등기청구권
(정답률: 34%)
  • "매매계약의 취소로 인한 매도인의 매수인에 대한 등기청구권"은 매매계약이 취소되었을 때 매도인이 매수인에게 소유권을 넘겨주지 않아도 등기청구권을 행사하여 소유권을 얻을 수 있는 권리입니다. 이는 매수인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매매계약이 취소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매도인이 소유권을 이전하지 않는 경우 매수인이 소유권을 얻을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선의 또는 악의점유를 구별할 실익이 없는 것은?

  1. 부동산소유권의 등기부시효취득
  2. 점유침탈자의 특별승계인에 대한 점유자의 반환청구권
  3. 점유자의 회복자에 대한 유익비상환청구권
  4. 점유물의 멸실ㆍ훼손에 따른 점유자의 회복자에 대한 책임
  5. 점유자의 과실수취권
(정답률: 50%)
  • "점유자의 회복자에 대한 유익비상환청구권"은 선의 또는 악의점유를 구별할 필요가 없는 이유는, 이 권리는 점유자가 불법적으로 점유한 물건을 회복한 후에 그 물건에서 얻은 이익을 반환하도록 요구하는 권리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권리는 점유자의 선의 또는 악의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법정지상권이 성립되는 경우를 모두 고른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1. ㄱ, ㄴ
  2. ㄴ, ㄷ
  3. ㄷ, ㄹ
  4. ㄱ, ㄷ
  5. ㄴ, ㄹ
(정답률: 40%)
  • 법정지상권이 성립되는 경우는 다양하지만, 이 보기에서는 "다른 사람의 토지를 20년 이상 보유하고 있어서 그 토지를 자신의 것으로 믿고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해당됩니다. 이 경우에는 "ㄴ, ㄷ"가 정답인데, "ㄴ"은 다른 사람의 토지를 보유하고 있어야 하고, "ㄷ"는 그 토지를 20년 이상 보유하고 사용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저당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1. 저당권이 설정된 토지의 소유자가 그 위에 건물을 신축하는 경우, 저당권자는 교환가치의 실현이 방해될 염려가 있으면 공사의 중지를 청구할 수 있다.
  2. 저당권이 설정된 토지의 소유자가 그 위에 건물을 신축하여 보존등기를 경료한 경우, 저당권의 우선변제적 효력은 건물에도 미친다.
  3. 근저당권의 확정된 피담보채권액이 채권최고액을 상회하는 경우, 근저당권자와 채무자 겸 근저당권설정자 사이에서는 채권 전액의 변제가 있을 때까지 근저당권의 효력이 잔존채무에 미친다.
  4. 기본계약인 당좌대월계약에서 발생한 채무를 담보하기 위한 근저당권은 그 결산기가 도래한 이후에 발행된 약속어음상의 채권을 담보하지 않는다.
  5. 저당권 설정 전에 저당부동산에 대하여 지상권을 취득한 자는 저당권의 실행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정답률: 31%)
  • "저당권이 설정된 토지의 소유자가 그 위에 건물을 신축하여 보존등기를 경료한 경우, 저당권의 우선변제적 효력은 건물에도 미친다."이 말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유는 저당권은 해당 부동산 전체에 대한 권리를 가지기 때문에 건물에 대해서도 우선변제적 효력을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부동산의 점유취득시효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1. 취득시효로 인한 소유권취득의 효과는 점유를 개시한 때에 소급한다.
  2. 시효취득을 주장하는 점유자는 자주점유를 증명할 책임이 없다.
  3. 시효취득자가 제3자에게 목적물을 처분하여 점유를 상실하면, 그의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은 즉시 소멸한다.
  4. 취득시효완성 후 이전등기 전에 제3자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되면 시효취득자는 등기명의자에게 시효취득을 주장할 수 없음이 원칙이다.
  5. 부동산명의수탁자는 신탁부동산을 점유시효취득 할 수 없다.
(정답률: 36%)
  • "시효취득자가 제3자에게 목적물을 처분하여 점유를 상실하면, 그의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은 즉시 소멸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다. 시효취득자가 제3자에게 목적물을 처분하여 점유를 상실하더라도, 그의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은 소멸하지 않는다. 이는 대법원 판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타인의 토지에 지상권을 취득한 자가 건물을 축조하고 그 건물에 전세권을 설정하여 준 경우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1. 전세권이 법정갱신된 경우, 그 존속기간은 전(前)전세권의 약정기간과 동일하다.
  2. 전세기간 중 건물의 소유권이 이전된 경우, 신구 소유자가 연대하여 전세금반환채무를 부담한다.
  3. 건물 일부에 전세권이 설정된 경우, 전세권자는 건물 전부에 대하여 전세권에 기한 경매를 청구할 수 있다.
  4. 건물소유자가 지료를 체납하여 지상권이 소멸하였더라도 전세권자는 토지 소유자에게 대항할 수 있다.
  5. 건물 위에 1순위 저당권, 전세권, 2순위 저당권이 차례대로 설정된 후, 2순위 저당권자가 경매를 신청하면 전세권과 저당권은 모두 소멸하고 배당순위는 설정등기의 순서에 의한다.
(정답률: 39%)
  • 타인의 토지에 지상권을 취득한 자가 건물을 축조하고 그 건물에 전세권을 설정하여 준 경우, 전세권은 건물 소유자에게 있으며, 전세권자는 건물 소유자와 별도의 계약을 통해 전세금을 받고 일정 기간 동안 건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건물 위에 1순위 저당권, 전세권, 2순위 저당권이 차례대로 설정된 후, 2순위 저당권자가 경매를 신청하면 전세권과 저당권은 모두 소멸하고 배당순위는 설정등기의 순서에 의한다. 이는 판례에 의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저당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1. 채무자가 저당물을 손상, 멸실하였을 때에는 기한의 이익을 상실한다.
  2. 저당권의 효력은 저당권 설정 전에 목적부동산에 권원없이 부합된 물건에 미치지 않는다.
  3. 공유지분을 목적으로 저당권을 설정할 수 있다.
  4. 저당부동산에 대하여 전세권을 취득한 자는 저당권자에게 그 부동산으로 담보된 채권을 변제하고 저당권의 소멸을 청구할 수 있다.
  5. 구분건물의 전유부분에 설정된 저당권의 효력은, 그 전유부분의 소유자가 나중에 대지사용권을 취득한 경우에는 그 대지사용권에도 미치는 것이 원칙이다.
(정답률: 40%)
  • "공유지분을 목적으로 저당권을 설정할 수 있다."가 틀린 것이다.

    저당권의 효력은 저당권 설정 전에 목적부동산에 권원없이 부합된 물건에 미치지 않는 이유는, 저당권은 해당 부동산에 대한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른 물건에 대한 권리를 보장할 수 없다.

    채무자가 저당물을 손상, 멸실하였을 때에는 기한의 이익을 상실한다는 것은, 채무자가 저당물을 손상, 멸실시키면 그에 따른 손해배상을 해야 하지만, 저당권의 효력은 여전히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유지분을 목적으로 저당권을 설정할 수 없는 이유는, 공유지분은 개별적으로 매각이 불가능하므로 저당권 설정이 불가능하다.

    저당부동산에 대하여 전세권을 취득한 자는 저당권자에게 그 부동산으로 담보된 채권을 변제하고 저당권의 소멸을 청구할 수 있다는 것은, 전세권자가 저당권자에게 대금을 지불하고 저당권을 해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분건물의 전유부분에 설정된 저당권의 효력은, 그 전유부분의 소유자가 나중에 대지사용권을 취득한 경우에는 그 대지사용권에도 미치는 것이 원칙이다는 것은, 대지권은 부동산의 소유권과 같은 법적 효력을 가지므로, 대지권을 취득한 경우에도 저당권의 효력이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동일한 건물에 대하여 서로 다른 사람이 저당권과 유치권을 각각 주장하는 경우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1. 건물의 점유는 유치권의 성립요건이다.
  2. 경매개시결정의 기입등기 후 그 소유자인 채무자가 건물에 관한 공사대금채권자에게 그 건물의 점유를 이전한 경우, 공사대금채권자의 유치권은 성립할 수 없다.
  3. 건물에 대한 임차보증금반환청구권은 유치권의 피담보채권이 될 수 없다.
  4. 경매개시결정의 기입등기 전에 유치권을 취득한 자는 저당권이 실행되더라도 그의 채권이 완제될 때까지 매수인에 대하여 목적물의 인도를 거절할 수 있다.
  5. 유치권자에게는 우선변제권이 인정되지 않는다.
(정답률: 31%)
  • "경매개시결정의 기입등기 후 그 소유자인 채무자가 건물에 관한 공사대금채권자에게 그 건물의 점유를 이전한 경우, 공사대금채권자의 유치권은 성립할 수 없다."이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유는 건물의 점유는 유치권의 성립요건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물의 점유를 이전한 경우에는 해당 건물에 대한 유치권이 성립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저당권의 객체가 될 수 없는 권리는?

  1. 지역권
  2. 어업권
  3. 전세권
  4. 지상권
  5. 광업권
(정답률: 48%)
  • 저당권은 부동산과 같은 유형의 재산에 대한 권리를 가질 수 있지만, 지역권은 특정 지역에서의 우선권이나 특권을 나타내는 권리이기 때문에 저당권의 객체가 될 수 없습니다. 다시 말해, 지역권은 특정 지역에서의 우선권을 보장하는 것이지 부동산 자체에 대한 권리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계약의 성립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1. 매매계약 체결 당시 목적물과 대금이 구체적으로 확정되지 않았더라도, 그 확정방법과 기준이 정해져 있으면 계약이 성립할 수 있다.
  2. 청약자가 “일정한 기간 내에 이의를 하지 않으면 승낙한 것으로 본다.”는 뜻을 청약 시 표시하였더라도, 상대방은 이에 구속되지 않음이 원칙이다.
  3. 격지자간의 계약에서 청약은 그 통지를 상대방에게 발송한 때에 효력이 발생한다.
  4. 승낙기간이 지난 후에 승낙이 도착한 경우, 청약자는 이를 새로운 청약으로 보아 승낙할 수 있다.
  5. 보증금의 수수는 임대차계약의 성립요건이 아니다.
(정답률: 43%)
  • "격지자간의 계약에서 청약은 그 통지를 상대방에게 발송한 때에 효력이 발생한다."가 틀린 설명이 아닙니다. 이유는 계약의 성립 요건 중 하나인 "의사표시의 일치"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청약자가 청약을 발송한 시점에서 상대방에게 청약이 통지되어야 청약의 효력이 발생합니다. 이는 판례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동시이행의 항변권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1. 동시이행의 항변권을 배제하는 당사자 사이의 특약은 유효하다.
  2. 동시이행 항변권의 원용이 없으면 법원은 그 인정여부를 심리할 필요가 없다.
  3. 동시이행관계에 있는 채무 중 일방채무의 이행불능으로 인한 손해배상채무는 상대방의 채무와 동시이행관계에 있다.
  4. 일방의 이행제공으로 수령지체에 빠진 상대방은 그 후 그 일방이 이행제공 없이 이행을 청구하는 경우에는 동시이행항변권을 주장할 수 없다.
  5. 구분소유적 공유관계가 해소되는 경우, 공유지분권자 상호간의 지분이전등기의무는 동시이행관계에 있다.
(정답률: 38%)
  • "일방의 이행제공으로 수령지체에 빠진 상대방은 그 후 그 일방이 이행제공 없이 이행을 청구하는 경우에는 동시이행항변권을 주장할 수 없다."이 부분이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유는 동시이행의 항변권은 상대방의 이행이 없는 경우에도 주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계약의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교환계약은 낙성ㆍ쌍무계약이다.
  2. 매매계약은 유상ㆍ요물계약이다.
  3. 증여계약은 무상ㆍ요식계약이다.
  4. 사용대차계약은 낙성ㆍ쌍무계약이다.
  5. 임대차계약은 유상ㆍ편무계약이다.
(정답률: 43%)
  • 교환계약은 상호간에 물건이나 서비스 등을 교환하는 계약으로, 양측이 서로 물건이나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받는 것이므로 낙성ㆍ쌍무계약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계약금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1. 계약금에 의해 해제권이 유보된 경우, 채무불이행을 이유로 계약을 해제할 수 없다.
  2. 매도인이 이행에 전혀 착수하지 않았다면 매수인은 중도금을 지급한 후에도 계약금을 포기하고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
  3. 매도인이 계약금의 배액을 상환하고 계약을 해제한 경우, 매수인은 매도인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4. 계약금의 포기나 배액상환에 의한 해제권 행사를 배제하는 당사자의 약정은 무효이다.
  5. 매도인이 매수인에게 이행을 최고하고 대금지급을 구하는 소송을 제기한 후에도 매수인은 계약금을 포기하고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
(정답률: 27%)
  • 매도인이 매수인에게 이행을 최고하고 대금지급을 구하는 소송을 제기한 후에도 매수인은 계약금을 포기하고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 이는 계약금이 해제권을 유보하는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매수인이 계약금을 포기하고 계약을 해제할 경우, 매도인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甲은 자기소유의 주택을 乙에게 매도하는 계약을 체결하면서 대금은 乙이 丙에게 지급하기로 하는 제3자를 위한 계약을 체결하였다. 다음 중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1. 乙이 丙에게 상당한 기간을 정하여 대금수령 여부의 확답을 최고하였음에도 그 기간 내에 확답을 받지 못한 경우, 丙이 대금수령을 거절한 것으로 본다.
  2. 乙이 丙에게 대금을 지급한 후 계약이 무효가 된 경우, 乙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丙에게 대금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
  3. 계약이 乙의 기망으로 체결된 경우, 丙은 이를 이유로 계약을 취소할 수 없다.
  4. 丙이 乙에게 대금수령의 의사표시를 한 후 甲과 乙이 계약을 합의해제 하더라도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丙에게는 효력이 없다.
  5. 丙이 乙에게 대금수령의 의사표시를 하였으나 乙이 대금을 지급하지 않은 경우, 丙은 乙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정답률: 37%)
  • "계약이 乙의 기망으로 체결된 경우, 丙은 이를 이유로 계약을 취소할 수 없다."가 틀린 것이다. 판례에 따르면, 계약이 乙의 기망으로 체결된 경우, 丙은 이를 이유로 계약을 취소할 수 있다. 이는 乙이 丙을 속여 계약을 체결한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답은 "계약이 乙의 기망으로 체결된 경우, 丙은 이를 이유로 계약을 취소할 수 없다."이다.

    "乙이 丙에게 대금을 지급한 후 계약이 무효가 된 경우, 乙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丙에게 대금반환을 청구할 수 있다."의 이유는, 乙이 丙에게 대금을 지급한 후 계약이 무효가 된 경우, 乙은 이미 대금을 지불한 상태이므로, 丙에게 대금을 반환받아야 한다. 이는 乙의 불이행으로 인해 계약이 무효가 된 경우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甲은 자기소유의 주택을 乙에게 매도하는 계약을 체결하였는데, 그 주택의 점유와 등기가 乙에게 이전되기 전에 멸실되었다. 다음 중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1. 주택이 태풍으로 멸실된 경우, 甲은 乙에게 대금지급을 청구할 수 없다.
  2. 주택이 태풍으로 멸실된 경우, 甲은 이미 받은 계약금을 반환할 의무가 없다.
  3. 甲의 과실로 주택이 전소된 경우, 乙은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
  4. 乙의 과실로 주택이 전소된 경우, 甲은 乙에게 대금지급을 청구할 수 있다.
  5. 甲이 이행기에 이전등기에 필요한 서류를 제공하면서 주택의 인수를 최고하였으나 乙이 이를 거절하던 중 태풍으로 멸실된 경우, 甲은 乙에게 대금지급을 청구할 수 있다.
(정답률: 51%)
  • "주택이 태풍으로 멸실된 경우, 甲은 이미 받은 계약금을 반환할 의무가 없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이유는 주택이 멸실되면 계약이 무효가 되기 때문에, 계약금도 반환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甲의 건물에 대한 甲과 乙 사이의 매매계약의 해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1. 계약 성립 후 건물에 가압류가 되었다는 사유만으로도 乙은 甲의 계약위반을 이유로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
  2. 甲의 소유권이전등기의무의 이행불능을 이유로 계약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乙은 그와 동시이행관계에 있는 잔대금을 제공하여야 한다.
  3. 甲의 귀책사유로 인한 이행지체를 이유로 계약을 해제한 乙이 계약이 존속함을 전제로 甲에게 계약상 의무이행을 구하는 경우, 甲은 그 이행을 거절할 수 있다.
  4. 乙의 중도금 지급 채무불이행을 이유로 매매계약이 적법하게 해제된 경우, 乙은 착오를 이유로 계약을 취소할 수 없다.
  5. 甲이 소의 제기로써 계약해제권을 행사한 후 그 소를 취하하면 해제의 효력도 소멸한다.
(정답률: 33%)
  • "甲의 귀책사유로 인한 이행지체를 이유로 계약을 해제한 乙이 계약이 존속함을 전제로 甲에게 계약상 의무이행을 구하는 경우, 甲은 그 이행을 거절할 수 있다." 이유는 乙이 계약을 해제하면서도 계약이 존속한다는 전제 하에 甲에게 의무이행을 요구하는 것이므로, 甲은 이를 거절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甲이 1만m2 토지를 乙에게 매도하는 계약을 체결하였다.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토지 전부가 丙의 소유이고 甲이 이를 乙에게 이전할 수 없는 경우, 악의인 乙은 계약을 해제할 수 없다.
  2. 토지의 2천m2가 丙의 소유이고 甲이 이를 乙에게 이전할 수 없는 경우, 악의인 乙은 대금감액을 청구할 수 없다.
  3. 토지의 2천m2가 계약당시 이미 포락(浦落)으로 멸실된 경우, 악의인 乙은 대금감액을 청구할 수 있다.
  4. 토지 위에 설정된 지상권으로 인하여 계약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경우, 악의인 乙도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
  5. 토지 위에 설정된 저당권의 실행으로 乙이 그 토지의 소유권을 취득할 수 없게 된 경우, 악의인 乙은 계약의 해제뿐만 아니라 손해배상도 청구할 수 있다.
(정답률: 28%)
  • 토지 위에 설정된 저당권은 해당 토지의 소유권을 취득할 수 없게 만드는 권리이므로, 이로 인해 乙이 계약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 경우, 악의인 乙은 계약의 해제뿐만 아니라 손해배상도 청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甲이 자기 토지를 乙에게 매도함과 동시에 환매특약을 하였다. 다음 중 옳은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1. 甲의 상속인은 환매권을 행사할 수 없다.
  2. 환매기간을 정하지 않은 경우, 그 기간은 3년으로 한다.
  3. 乙에게 소유권이전등기가 된 후에 환매특약이 등기되어도, 甲은 환매특약등기 이전에 권리를 취득한 제3자에 대하여 대항할 수 있다.
  4. 등기된 환매권은 처분금지의 효력이 없으므로, 乙은 자신으로부터 토지를 매수한 자의 소유권이전등기청구를 거절할 수 없다.
  5. 환매권이 행사되면 목적물의 과실과 대금의 이자는 상계한 것으로 보며, 당사자는 이와 달리 정할 수 없다.
(정답률: 30%)
  • 등기된 환매권은 처분금지의 효력이 없으므로, 乙은 자신으로부터 토지를 매수한 자의 소유권이전등기청구를 거절할 수 없다. 이는 등기된 환매권이 이미 공시된 것으로, 매수자는 이를 알고 거래를 진행한 것이므로 처분금지의 효력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매수자는 소유권이전등기를 거절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임대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1. 임차인은 임대인에 대하여 필요비의 상환을 청구할 수 없다.
  2. 임대차가 묵시로 갱신된 경우, 전임대차에 대하여 제3자가 제공한 담보는 원칙적으로 소멸하지 않는다.
  3. 건물임대차에서 임차인이 증축부분에 대한 원상회복의무를 면하는 대신 유익비상환청구권을 포기하기로 하는 약정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유효하다.
  4. 임차인이 임대인의 동의없이 전대한 경우, 임대인은 임대차를 해지하지 않고 전차인에게 불법점유를 이유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5. 견고한 건물의 소유를 목적으로 하는 토지임대차는 그 존속기간이 20년을 넘지 못한다.
(정답률: 45%)
  • 건물임대차에서 임차인이 증축부분에 대한 원상회복의무를 면하는 대신 유익비상환청구권을 포기하기로 하는 약정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유효하다. 이유는, 이 약정은 임차인과 임대인 간의 자유로운 계약에 따른 것으로, 특별한 법적 제한이나 규제가 없는 한 유효하다는 판례가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집합건물의 관리단과 관리인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1. 관리인의 선임은 관리단집회의 소집ㆍ개최 없이 서면결의로 할 수 있다.
  2. 관리단집회에서 적법하게 결의된 사항은 그 결의에 반대한 구분소유자에게는 효력이 없다.
  3. 수분양자가 분양대금을 완납하였지만 분양자측의 사정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받지 못하였다면, 그는 관리단의 구성원이 되어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다.
  4. 구분소유자가 공동이익에 반하는 행위를 하는 경우, 관리인은 직권으로 해당 구분소유자의 전유부분의 사용을 금지할 수 있다.
  5. 관리단의 재산으로 채무를 전부 변제할 수 없게 된 경우, 각 구분소유자는 연대하여 관리단의 채무 전부를 변제할 책임이 있음이 원칙이다.
(정답률: 33%)
  • "관리인의 선임은 관리단집회의 소집ㆍ개최 없이 서면결의로 할 수 있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는 「주택관리규약」 제15조 제1항에 규정되어 있으며, 관리인의 선임은 관리단집회에서 결의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서면결의로도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주택임대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1. 계약서상에 확정일자를 부여하는 기관은 확정일자부를 작성하여야 하며, 확정일자부는 1년을 단위로 매년 만들어야 한다.
  2. 주택임차권은 상속인에게 상속될 수 없다.
  3. 주택임대차가 묵시적으로 갱신된 경우, 임차인은 전임대차가 종료한 날로부터 3개월 이내에 한하여 임대인에게 계약해지의 통지를 할 수 있다.
  4. 임대차기간이 끝난 경우, 임차인이 보증금을 반환받지 못하였더라도 임대차관계가 종료한다.
  5. 한국토지주택공사(A)가 주택을 임차한 후 A가 선정한 입주자가 주택을 인도받고 주민등록을 마친 경우, 법인인 A는 주택임대차보호법상의 대항력을 취득하지 못한다.
(정답률: 41%)
  • "계약서상에 확정일자를 부여하는 기관은 확정일자부를 작성하여야 하며, 확정일자부는 1년을 단위로 매년 만들어야 한다."가 옳은 설명인 이유는, 주택임대차보호법 제6조에 따라 임대차계약서에는 확정일자를 기재하여야 하며, 이를 부여하는 기관은 해당 지자체이다. 이때, 확정일자부는 해당 지자체에서 매년 1년 단위로 작성하여야 하며, 이를 통해 임대인과 임차인의 권리와 의무가 확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부동산 실권리자명의 등기에 관한 법률상의 명의신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ㄴ, ㄹ
  5. ㄷ, ㄹ
(정답률: 23%)
  • - "ㄴ"은 부동산 실권리자명의 등기에 관한 법률상의 명의신탁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부동산 소유자가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부동산을 맡겨 등기를 대신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 "ㄹ"은 이에 따라 명의신탁을 받은 자는 등기부 등 관련 서류를 작성하고 제출할 수 있으며, 등기가 완료되면 등기부 등 관련 서류를 반환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명의신탁을 받은 자는 부동산 소유자의 대리인으로 등기를 대신할 수 있으며, 등기가 완료되면 등기부 등 관련 서류를 반환받을 권리가 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甲 소유의 대지 위에 있는 甲의 주택을 임차한 乙은 주택임대차보호법상 보증금 중 일정액을 최우선변제 받을 수 있는 소액임차인이다. 다음 중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1. 甲이 주택을 丙에게 매도한 경우, 乙은 그 매매대금으로부터 최우선변제를 받을 수 있다.
  2. 주택의 경매절차에서 乙이 다른 채권자에 우선하여 변제받으려면 집행법원에 배당요구 종기일 이전에 배당을 요구하여야 한다.
  3. 대지에 저당권을 설정할 당시 주택이 미등기인 채 이미 존재하였다면, 乙은 저당권에 기한 대지의 경매절차에서 최우선변제를 주장할 수 있다.
  4. 주택과 대지가 함께 경매되어 대지와 건물의 매각대금에서 동시에 배당받을 경우, 乙의 최우선변제권은 대지와 건물의 가액에 비례하여 안분배당 받음이 원칙이다.
  5. 甲이 대지만을 丙에게 매도한 뒤 그 대지가 경매되는 경우에도 乙은 그 환가대금에서 최우선변제를 받을 수 있다.
(정답률: 2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1. 상가건물의 공유자인 임대인이 임차인에게 갱신 거절의 통지를 하는 행위는 공유물의 관리행위이므로, 공유지분의 과반수로써 결정하여야 한다.
  2. 일시사용을 위한 것임이 명백한 임대차에는 이 법이 적용되지 않는다.
  3. 임대인의 지위를 승계한 양수인은 승계 이후의 연체차임액이 3기 이상의 차임에 달하여야 임대차계약을 해지할 수 있음이 원칙이다.
  4. 임대인은 계약이 존속하는 동안 임차목적물의 사용ㆍ수익에 필요한 상태를 유지하게 할 의무를 진다.
  5. 임대인이 임대차기간 만료 전 6개월부터 1개월 사이에 갱신거절 등의 통지를 하지 않아 성립하는 임대차의 법정갱신은 전체 임대차기간이 5년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만 가능하다.
(정답률: 37%)
  • "임대인이 임대차기간 만료 전 6개월부터 1개월 사이에 갱신거절 등의 통지를 하지 않아 성립하는 임대차의 법정갱신은 전체 임대차기간이 5년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만 가능하다."이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이유는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3조에 따라 법정갱신은 전체 임대차기간이 5년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만 가능하다고 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가등기담보 등에 관한 법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의함)

  1. 이 법에서 정한 청산절차를 거치지 않은 담보가등기에 기한 본등기는 원칙적으로 무효이다.
  2. 이 법에 정해진 청산절차 없이 담보목적부동산을 처분하여 선의의 제3자에게 소유권을 취득하게 한 채권자는 채무자에게 불법행위책임을 진다.
  3. 집행법원이 정한 기간 안에 채권신고를 하지 않은 담보가등기권자는 매각대금을 배당받을 수 없다.
  4. 채권담보의 목적으로 부동산 소유권을 이전한 경우, 그 부동산에 대한 사용수익권은 담보권설정자에게 있음이 원칙이다.
  5. 부동산담보를 설정하기 위한 등기비용은 특약이 없는 한 담보권설정자인 채무자가 부담한다.
(정답률: 34%)
  • "이 법에서 정한 청산절차를 거치지 않은 담보가등기에 기한 본등기는 원칙적으로 무효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부동산담보를 설정하기 위한 등기비용은 특약이 없는 한 담보권설정자인 채무자가 부담하는 것은 담보권설정과 관련된 법률에서 규정된 원칙입니다. 이 법에서는 담보권설정과 관련된 절차와 권리, 의무 등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청산절차를 거치지 않은 담보가등기에 기한 본등기가 무효인 것은 맞지만, 이는 다른 설명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