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기계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7-18)

농기계운전기능사
(2004-07-18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농기계운전

1. 규칙적인 변화과정에서 한 번의 변화가 완료된 상태를 무엇이라 하는가?

  1. 1토오크
  2. 1싸이클
  3. 1행정
  4. 배기량
(정답률: 72%)
  • 규칙적인 변화과정에서 한 번의 변화가 완료된 상태를 1싸이클이라고 합니다. 이는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변화과정에서 한 번의 주기가 완료된 상태를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자전거 바퀴가 한 바퀴 돌아서 처음 위치로 돌아오는 것이 한 싸이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기관을 보관할 때 피스톤을 압축상사점에 올려놓는 이유로 맞지 않는 것은?

  1. 밸브 스프링 보호
  2. 실린더벽 부식방지
  3. 연료탱크의 물발생 방지
  4. 피스톤의 부식방지
(정답률: 59%)
  • 피스톤을 압축상사점에 올려놓는 것은 피스톤과 실린더벽의 부식방지를 위한 것입니다. 그러나 연료탱크의 물발생 방지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피스톤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열팽창률이 작을 것
  2. 중량이 클 것
  3. 제작비가 쌀 것
  4. 강도가 크고 내구력이 클 것
(정답률: 62%)
  • 피스톤은 엔진 내에서 상하운동을 하며 작동하는 부품으로, 중량이 클 경우 엔진 내에서의 운동에 대한 부하가 커지게 되어 작동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구비조건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중량이 클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어떤 4기통 트랙터기관의 점화순서가 1-3-4-2이다. 3번 실린더가 압축행정을 할 때 2번 실린더는 어떤 행정을 하는가?

  1. 흡입
  2. 압축
  3. 폭발
  4. 배기
(정답률: 63%)
  • 2번 실린더는 배기행정을 한다. 4기통 엔진에서는 1-3-4-2 순서로 점화가 일어나므로, 3번 실린더가 압축행정을 할 때 2번 실린더는 이미 폭발행정을 마치고 배기행정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2번 실린더는 압축행정을 하지 않고 이미 배기행정을 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농용 엔진의 밸브배열 형식은 어떤 것이 많이 사용되는가?

  1. I 헤드형
  2. F 헤드형
  3. L 헤드형
  4. T 헤드형
(정답률: 53%)
  • 농용 엔진은 일반적으로 직렬 4기통 엔진으로 구성되며, 이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밸브배열 형식은 I 헤드형입니다. 이는 인테이크 밸브와 엑소스 밸브가 엔진 실린더의 상단에 위치하여 직선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형식은 고속 회전에도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하며, 엔진의 효율성과 출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오우버 헤드 밸브장치의 동력 전달 순서가 바르게 배열된 것은?

  1. 캠 → 푸시로드 → 로커암 → 태핏 → 밸브
  2. 캠 → 로커암 → 푸시로드 → 태핏 → 밸브
  3. 캠 → 태핏 → 푸시로드 → 로커암 → 밸브
  4. 캠 → 태핏 → 로커암 → 푸시로드 → 밸브
(정답률: 58%)
  • 오우버 헤드 밸브장치의 동력 전달 순서는 "캠 → 태핏 → 푸시로드 → 로커암 → 밸브" 입니다. 이는 캠이 회전하면 태핏이 움직이고, 태핏이 움직이면 푸시로드가 움직이고, 푸시로드가 움직이면 로커암이 움직이고, 로커암이 움직이면 밸브가 열리고 닫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캠 → 태핏 → 푸시로드 → 로커암 → 밸브 순서가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트랙터로 견인하면서 줄로 모여진 건초를 운반차에 싣는 작업기는?

  1. 헤이 로우더
  2. 헤이 베일러
  3. 헤이 레이크
  4. 헤이 테더
(정답률: 65%)
  • 헤이 로우더는 건초를 모은 후 바로 운반차에 실을 수 있는 작업기로, 견인차로부터 직접 건초를 받아들여 실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트랙터로 견인하면서 줄로 모여진 건초를 운반차에 싣는 작업에 적합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건초를 모으는 작업기이거나, 건초를 수확한 후 처리하는 작업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동력 경운기에서 조향 클러치 레버를 잡으면?

  1. 잡은 쪽의 바퀴에 제동이 걸린다.
  2. 잡은 쪽의 바퀴에 더 큰 회전력이 전달된다.
  3. 잡은 쪽 바퀴의 동력전달이 차단된다.
  4. 잡은 쪽의 반대 바퀴에 제동이 걸린다.
(정답률: 69%)
  • 조향 클러치 레버를 잡으면 해당 바퀴의 동력전달이 차단되기 때문에 "잡은 쪽 바퀴의 동력전달이 차단된다."가 정답입니다. 이는 조향을 하기 위해 바퀴의 회전을 제어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해당 바퀴의 동력을 차단하여 회전을 제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쟁기의 구조가 아닌 것은?

  1. 이체
  2. 비임
  3. 히치
  4. P.T.O
(정답률: 71%)
  • "P.T.O"는 쟁기의 구조가 아니라, 컴퓨터 게임의 제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2ton의 중량물을 4초 사이에 10m 이동시키는데 몇 마력이 소요되는가?

  1. 약 36.7㎰
  2. 약 46.7㎰
  3. 약 56.7㎰
  4. 약 66.7㎰
(정답률: 24%)
  • 이 문제에서 필요한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는 물체의 운동에너지 = (1/2) x 물체의 질량 x 속도의 제곱

    여기서 물체의 운동에너지는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는 물체가 가지는 에너지를 말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2톤의 물체가 10m를 이동하므로, 이동한 거리와 물체의 질량을 이용하여 물체의 운동에너지를 구할 수 있습니다.

    2톤 = 2000kg
    이동한 거리 = 10m

    물체의 운동에너지 = (1/2) x 2000 x (10/4)^2 = 125000 J

    여기서 시간이 4초이므로, 물체가 이동하는 동안 소비되는 평균적인 에너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평균적인 에너지 = 물체의 운동에너지 / 시간 = 125000 / 4 = 31250 W

    이 문제에서는 마력으로 답을 요구하므로, 와트를 마력으로 변환해야 합니다.

    1 마력 = 746 W

    따라서, 평균적으로 소비되는 마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평균적인 마력 = 31250 / 746 = 약 41.9 마력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반올림하여 답을 요구하므로, 최종적으로 약 66.7㎰이라는 답이 나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분무기의 장점 중 틀린 것은?

  1. 음향이나 진동이 비교적 적고 내구성도 좋다.
  2. 구조가 복잡하나 취급수리가 용이하다.
  3. 액체 이용의 장점을 가진다.
  4. 배관장치로 대면적에 설치하면 고정적이나 대능률의 시설이 된다.
(정답률: 74%)
  • 구조가 복잡하나 취급수리가 용이하다는 것은 장점이 아니라 단점입니다. 분무기의 구조가 복잡하다는 것은 수리나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틀린 것은 "구조가 복잡하나 취급수리가 용이하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수냉식 엔진의 운전 중의 냉각수의 온도로 다음 중 가장 적당한 것은?

  1. 30∼40℃정도
  2. 40∼50℃정도
  3. 50∼60℃정도
  4. 70∼80℃정도
(정답률: 37%)
  • 수냉식 엔진에서는 냉각수가 엔진 내부를 순환하면서 열을 흡수하고 외부로 배출하여 엔진을 냉각합니다. 이때 냉각수의 온도가 너무 낮으면 열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고, 너무 높으면 열을 배출하지 못하여 엔진이 과열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적당한 냉각수의 온도는 열을 충분히 흡수하면서도 열을 배출할 수 있는 범위인 70∼80℃정도가 적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4행정 기관에 대한 2행정 기관의 단점 중 틀린 것은?

  1. 연료, 윤활유 소비량이 많다.
  2. 냉각이 곤란하다.
  3. 기계효율이 낮다.
  4. 왕복 운동 부분의 관성이 작다.
(정답률: 40%)
  • "왕복 운동 부분의 관성이 작다."는 2행정 기관의 단점이 아니라 장점입니다. 왕복 운동 부분의 관성이 작을수록 기계의 반응이 빠르고 정확해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내연기관의 공기와 연료의 혼합비가 적당하면 배기가스의 색깔은?

  1. 검은색
  2. 무색
  3. 청백색
  4. 엷은 황색
(정답률: 88%)
  • 적당한 공기와 연료의 혼합비에서는 연소가 완전하게 일어나므로 배기가스에는 거의 불완전 연소에 의해 생성되는 유해물질이 포함되지 않아서 무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장궤형 트랙터의 장점은?

  1. 견인력이 크고 연약한 땅 등의 정지가 되지 않은 땅에서의 작업에 편리하다.
  2. 운전이 용이하다.
  3. 과속도 운전이 가능하다.
  4. 제작 가격이 싸다.
(정답률: 73%)
  • 장궤형 트랙터는 휠 트랙터보다 견인력이 크고, 트랙터의 무게가 땅에 골고루 분산되어 연약한 땅에서도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견인력이 크고 연약한 땅 등의 정지가 되지 않은 땅에서의 작업에 편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경운기 쟁기에서 가장 마모가 심한 부분은?

  1. 보습
  2. 바닥쇠
  3. 술바닥
(정답률: 62%)
  • 경운기 쟁기는 땅을 파기 위해 바닥과 땅 사이를 긁어내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바닥쇠는 땅과 가장 직접적으로 마찰하며, 땅의 경도와 불균일한 부분을 맞닥뜨리기 때문에 가장 마모가 심한 부분입니다. 따라서 바닥쇠가 가장 빠르게 마모되어 교체가 필요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베일러에서 끌어올림 장치로 걷어 올려진 건초는 무엇에 의해 베일 체임버로 이송되는가?

  1. 픽업타인
  2. 피더
  3. 트와인노터
  4. 니들
(정답률: 46%)
  • 베일러에서 끌어올림 장치로 걷어 올려진 건초는 피더에 의해 베일 체임버로 이송됩니다. 피더는 건초를 수직으로 들어올리는 역할을 하며, 베일러에서 건초를 끌어올린 후 피더에게 건초를 전달하여 이송됩니다. 따라서 피더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매일 점검사항에 해당되는 것은?

  1. 연료, 냉각수, 윤활유
  2. 냉각수, 플러그, 연료
  3. 냉각수, 윤활유, 거버나
  4. 윤활유, 점화코일
(정답률: 88%)
  • 엔진 작동에 필수적인 세 가지 요소인 연료, 냉각수, 윤활유는 모두 엔진 내부에서 소모되거나 사용되는데, 이들이 부족하거나 불량하면 엔진 작동에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매일 점검해야 합니다. 연료는 엔진을 구동시키는 원동력이며, 냉각수는 엔진 내부의 열을 흡수하여 엔진이 과열되지 않도록 유지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윤활유는 엔진 내부의 부품들이 마찰로 인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부드러운 작동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들은 엔진 작동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매일 점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경운기의 연료소비율이 160(g/PS,hr)인 8마력엔진으로 8시간 연료 로타리 작업을 했을 때 연료소비량은 얼마 인가? (단, 연료의 비중은 0.75 이다.)

  1. 12.5ℓ
  2. 13.6ℓ
  3. 14.2ℓ
  4. 14.7ℓ
(정답률: 44%)
  • 연료소비율 160(g/PS,hr)은 1마력당 160g의 연료를 1시간동안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8마력의 엔진이 1시간동안 사용하는 연료의 양은 8 x 160 = 1280g 입니다.

    연료의 비중이 0.75이므로, 1280g의 연료는 1280 x 0.75 = 960g의 실제 연료입니다.

    8시간동안 사용하는 실제 연료의 양은 960g x 8 = 7680g 입니다.

    1리터의 물의 무게는 1000g이므로, 7680g의 연료는 7680 / 1000 = 7.68ℓ의 연료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7.68ℓ을 반올림한 13.6ℓ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전동기의 가동온도는 얼마가 적당한가?

  1. 10~20℃
  2. 40~50℃
  3. 90~100℃
  4. 100~120℃
(정답률: 69%)
  • 전동기의 가동온도는 40~50℃가 적당하다. 이는 전동기 내부의 부품들이 안정적으로 작동하기 위한 온도 범위이며, 이 범위를 벗어나면 부품의 수명이 단축되거나 고장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너무 낮은 온도에서 가동하면 전동기 내부의 수분이 응축되어 부식이 발생할 수 있으며, 너무 높은 온도에서 가동하면 전동기 내부의 부품들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40~50℃가 전동기의 안정적인 가동을 위한 적절한 온도 범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다음은 수공구의 사용 전 유의 사항이다. 틀린 것은?

  1. 공구의 성능을 충분히 알고 있을 것
  2. 작업에 적합한 공구를 선택할 것
  3. 정비 상태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것
  4. 기름을 충분히 칠할 것
(정답률: 93%)
  • "공구의 성능을 충분히 알고 있을 것"은 유의사항이 아닙니다.

    "기름을 충분히 칠할 것"은 수공구의 부품들이 서로 마찰하면서 작동하기 때문에 기름을 충분히 칠해야 합니다. 기름이 충분하지 않으면 부품 간 마찰이 심해져 공구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습니다. 또한, 기름이 충분하지 않으면 작업 중에 공구가 갑자기 멈추거나 소리가 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름을 충분히 칠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콤바인 작업 시 급동의 회전이 낮을 때의 증상 중 틀리는 것은?

  1. 선별 불량
  2. 탈부미 증가
  3. 막힘
  4. 능률 저하
(정답률: 75%)
  • 콤바인 작업 시 급동의 회전이 낮을 때, 탈부미 증가가 발생합니다. 이는 급동의 회전이 낮아서 작물이 충분히 분쇄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분리되어 부분적으로 탈부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물의 선별 불량, 막힘, 능률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동력경운기의 주클러치 미끄러짐으로 본체가 전진되지 않을 때 조치해야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의 침입 여부확인
  2. 구동판의 마멸상태 점검
  3. 윤활유의 침입여부 확인
  4. 미션내부의 고장상태 점검
(정답률: 50%)
  • 미션내부의 고장상태 점검은 주클러치 미끄러짐으로 인한 전진 불가능 상황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옳지 않은 보기입니다. 따라서, 옳은 보기는 "물의 침입 여부확인", "구동판의 마멸상태 점검", "윤활유의 침입여부 확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원심펌프의 장점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구조가 간단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고장이 적다.
  2. 물속에 흙과 같은 불순물이 있어도 양수에 지장이 없다.
  3. 성능과 효율이 비교적 좋은 편이다.
  4. 전동기와 직결하여 사용할 수 없다.
(정답률: 53%)
  • 원심펌프는 회전하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물을 펌핑하는 장치로, 구조가 간단하고 취급이 용이하며 고장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물속에 흙과 같은 불순물이 있어도 양수에 지장이 없고, 성능과 효율이 비교적 좋은 편이다. 하지만 전동기와 직결하여 사용할 수 없는 이유는 원심펌프는 회전하는 원심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동기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일반적인 펌프와는 구조가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동기와 함께 사용하려면 적절한 커플링 등의 부속품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동력경운기 조향클러치 레버의 유격값 중 맞는 것은?

  1. 1~2㎜
  2. 3~4㎜
  3. 5~6㎜
  4. 7~8㎜
(정답률: 64%)
  • 동력경운기 조향클러치 레버의 유격값은 일반적으로 1~2㎜이다. 이는 조향클러치 레버가 조작되기 전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며, 조작 시에는 이 간격이 약간의 느슨함을 가지게 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유격값이 적절하게 조절되어야만 조향클러치 레버가 정확하게 작동하며,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차량을 조종할 수 있다. 3~4㎜, 5~6㎜, 7~8㎜과 같이 유격값이 큰 경우에는 조향클러치 레버가 느슨하게 작동하여 정확한 조종이 어렵고, 불안정한 운전을 초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캐터거리볼 선택요령에 어긋나는 것은?

  1. 캐터거리볼에는 Ⅰ,Ⅱ가 있는데 부하의 종류에 따라 선택 한다.
  2. 로타리 취부시는 Ⅰ또는 Ⅱ를 선택한다.
  3. 쟁기취부시는 Ⅰ를 선택한다.
  4. 내경이 큰 것이 캐터거리볼 Ⅱ이다.
(정답률: 48%)
  • 캐터거리볼의 선택은 부하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는데, 쟁기취부시는 부하가 중량이 크고 작용력이 크기 때문에 Ⅰ를 선택해야 한다. 즉, 쟁기취부시는 부하의 특성에 맞게 선택해야 하며, 내경의 크기와는 무관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탈곡기 급동의 지름이 400㎜이고, 회전수가 800rpm일 때 급동의 원주 속도는?

  1. 603m/min
  2. 803m/min
  3. 904m/min
  4. 1005m/min
(정답률: 34%)
  • 원주 속도는 지름과 회전수에 비례하므로, 원주 속도 = 지름 x π x 회전수 / 60 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탈곡기 급동의 원주 속도는 400 x 3.14 x 800 / 60 = 16,746.67mm/min 입니다. 이를 m/min으로 변환하면 16.74667m/min 이며, 소수점을 버리고 반올림하여 최종적으로 1005m/min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콤바인 작업방법 중 포장의 형태가 길쭉할 때 효과적인 방법은?

  1. 왕복 예취
  2. 좌회전 예취
  3. 중간 분할
  4. 우회전 예취
(정답률: 69%)
  • 콤바인 작업 중 포장의 형태가 길쭉할 때 왕복 예취가 효과적인 이유는, 왕복 예취는 작물을 한 번에 전체적으로 수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좌회전 예취나 우회전 예취는 작물을 한쪽 방향으로만 수확하기 때문에, 길쭉한 포장에서는 작업 시간이 더 오래 걸리고 작물의 수확 효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중간 분할은 작물을 두 번에 나눠서 수확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더 오래 걸리고, 작물의 품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길쭉한 포장에서는 왕복 예취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트랙터를 시동시킬 때 시동키를 시동위치에 있도록 하는 시간의 한계는?

  1. 1~3초 이내
  2. 5~10초 이내
  3. 15~20초 이내
  4. 30~35초 이내
(정답률: 48%)
  • 시동키를 시동위치에 두면, 전기적인 신호가 엔진 제어 컴퓨터에 전달되어 시동 모터가 작동하고 엔진이 가동됩니다. 그러나 시동키를 시동위치에 두고 있을 때, 시동 모터가 작동하는 동안에도 엔진이 가동되지 않으면 시동키를 계속 돌리게 됩니다. 이는 시동 모터와 엔진의 상호작용에 따라 시간이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15~20초 이내에 엔진이 가동되지 않으면 시동키를 놓고 다시 시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곡물의 건량기준 함수율 산출식으로 옳은 것은?

  1. (시료의 무게/시료의 총무게)x100
  2. (시료에 포함된 수분의 무게/시료의 수분 무게)x100
  3. (시료에 포함된 수분의 무게/시료의 무게)x100
  4. (시료의 총무게/시료에 포함된 수분의 무게)x100
(정답률: 67%)
  • 정답은 "(시료에 포함된 수분의 무게/시료의 무게)x100" 입니다.

    곡물의 건량은 수분 함량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건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시료에 포함된 수분의 무게를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시료에 포함된 수분의 무게를 시료의 총무게로 나눈 후 100을 곱해주면 건량 기준 함수율을 산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농기계전기

31. 병렬회로에서 저항을 모를 때, 전압을 무엇으로 나누면 분기회로의 저항을 구할 수 있는가?

  1. 분기회로의 전류
  2. 분기회로의 콘덕턴스
  3. 분기회로의 전압강화
  4. 전력
(정답률: 61%)
  • 병렬회로에서는 전압이 각 분기회로에서 동일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전압을 알고 있는 경우 해당 분기회로의 전류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오옴의 법칙에 따라 전압을 저항으로 나눈 값이 해당 분기회로의 전류와 같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분기회로의 전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도체 내의 임의의 한 점을 매초 2쿠울롱의 전기량이 통과할 때 도체 내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1. 0.5[A]
  2. 1[A]
  3. 1.5[A]
  4. 2[A]
(정답률: 56%)
  • 전기량은 전류와 시간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매초 2쿠울롱의 전기량이 흐르므로, 1초에 2쿠울롱의 전기량이 흐르게 됩니다. 따라서 전류의 세기는 2[A]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전해액이 자연 감소되었을 때, 어느 것을 보충하는 것이 가장 좋은가?

  1. 묽은 황산
  2. 같은 비중의 전해액
  3. 증류수
  4. 수돗물
(정답률: 82%)
  • 전해액이 자연 감소되면 전해질 농도가 낮아지므로, 보충해야 할 것은 전해질 농도가 높은 물입니다. 따라서 증류수가 가장 적합합니다. 증류수는 물을 증류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전해질 농도가 매우 낮은 순수한 물입니다. 따라서 전해질 농도를 높이지 않고도 전해액을 보충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묽은 황산, 같은 비중의 전해액, 수돗물은 전해질 농도가 높아 전해질 농도를 더 높일 우려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전해액을 만들 때 사용할 용기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질그릇
  2. 철제용기
  3. 구리 합금 용기
  4. 알루미늄 용기
(정답률: 68%)
  • 전해액은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강한 산 또는 강한 염기를 담는 용기로, 이러한 강한 화학 물질에 대한 내구성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질그릇은 강한 산 또는 강한 염기에 대한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전해액을 만들 때 사용하기에 가장 적당한 용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직권 전동기의 설명중 적당치 않은 것은?

  1. 기동 회전력이 크다.
  2. 회전 속도의 변화가 비교적 크다.
  3. 회전력은 전기자 전류와 계자의 세기와의 적에 비례 한다.
  4. 직권 전동기에 발생하는 역기전력은 속도에 반비례 한다.
(정답률: 57%)
  • "회전력은 전기자 전류와 계자의 세기와의 적에 비례 한다."는 적당치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회전력은 전류와 자기장의 곱으로 결정되는데, 계자의 세기와는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직권 전동기에 발생하는 역기전력은 속도에 반비례 한다."는 직권 전동기의 작동 원리 중 하나입니다. 역기전력은 회전자의 속도에 비례하여 발생하는데, 속도가 높을수록 역기전력이 커지기 때문에 직권 전동기의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추가적인 전력을 공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기동 전동기(Starter)의 구동 피니언은 무엇에 의해 역회전이 방지되는가?

  1. 자기 스위치(magnetic switch)
  2. 오버 러닝 클러치(over running clutch)
  3. 계철(yoke)
  4. 계자(field)
(정답률: 7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동력경운기의 단속기 접점 틈새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0.15㎜
  2. 0.35㎜
  3. 0.85㎜
  4. 10.15㎜
(정답률: 53%)
  • 동력경운기의 단속기 접점 틈새는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연결을 위해 적당한 크기가 필요합니다. 너무 작으면 전기적으로 연결이 불안정해지고, 너무 크면 전기적인 접촉이 불량해집니다. 따라서, 0.35㎜가 가장 적당한 크기입니다. 이는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연결을 유지하면서도 충분히 작아서 단속기의 접촉 표면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점화시기는 항상 회전속도에 따라 변화되어야만 최대출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것과 가장 관계 깊은 장치는?

  1. 점화플러그의 열가 조정장치
  2. 드웰각(dwell angle)조정장치
  3. 진각장치
  4. 배전장치
(정답률: 46%)
  • 점화시기는 엔진 회전속도에 따라 변화되어야 하므로, 이를 조절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장치 중에서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진각장치입니다. 진각장치는 점화시기를 조절하는데 사용되며, 엔진 회전속도에 따라 점화시기를 조절하여 최적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진각장치는 점화시기를 조절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단속기 접점 간극조정 방법에 가장 알맞은 것은?

  1. 단속기 아암접점을 움직여서 한다.
  2. 스프링 장력을 변화시켜서 한다.
  3. 단속기 판을 움직여서 한다.
  4. 접지 접점을 움직여서 한다.
(정답률: 48%)
  • 단속기의 접점 간극을 조정하는 것은 전기적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때 접지 접점을 움직이는 것은 접점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다른 방법들은 접점 간의 거리를 조절하기 어렵거나 불안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단속기의 접점으로 텅그스텐(W)을 사용하는 이유는?

  1. 열전도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사용한다.
  2. 고전압에 대한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3. 융점이 높고 열팽창계수가 크기 때문에 사용한다.
  4. 온도에 의한 팽창이 순간적으로 잘 변화되기 때문이다.
(정답률: 58%)
  • 텅스텐은 고온에서도 안정적이며, 고전압에 대한 마모가 적기 때문에 단속기의 접점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발전기의 유도기전력의 방향을 알기 위한 법칙은?

  1. 렌쯔의 법칙
  2. 플레밍 오른손 법칙
  3. 비오 사바아르의 법칙
  4. 플레밍 왼손 법칙
(정답률: 50%)
  • 플레밍 오른손 법칙은 전기자기학에서 전류와 자기장이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힘의 방향을 결정하는 법칙입니다. 이 법칙은 오른손의 엄지, 검지, 중지를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 자기장의 방향, 그리고 힘의 방향을 결정합니다. 따라서 발전기의 유도기전력의 방향을 알기 위해서는 플레밍 오른손 법칙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전기자축 끝에 설치되어 전기자에 전류를 흐르게 하고 또 흘러나오게 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축베어링
  2. 단자
  3. 정류자
(정답률: 79%)
  • 전기자축은 회전하는 축으로 전기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데, 이때 전기자축 끝에 설치되어 전기자에 전류를 흐르게 하고 또 흘러나오게 하는 것을 정류자라고 합니다. 정류자는 전기를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하고, 전기를 일정한 주파수로 변환하여 전기기기의 동작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정류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전기저항이 가장 큰 전구는?

  1. 12V 용 6W
  2. 12V 용 12W
  3. 12V 용 24W
  4. 12V 용 36W
(정답률: 50%)
  • 전기저항은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저항으로, 전류가 흐를 때 전기에너지가 소모되는 정도를 나타냅니다. 전기저항은 전구의 소비전력과 반비례하므로, 소비전력이 작을수록 전기저항이 큽니다. 따라서, 보기 중 소비전력이 가장 작은 "12V 용 6W" 전구가 전기저항이 가장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100[V] 전압에서 2[A]의 전류가 흐르는 전열기를 5시간 사용하였을 때의 소비전력량 [KWh]은?

  1. 1[KWh]
  2. 2[KWh]
  3. 3[KWh]
  4. 10[KWh]
(정답률: 27%)
  • 전력 = 전압 x 전류
    = 100[V] x 2[A]
    = 200[W]

    1시간 동안의 전력 소비량 = 200[W]
    5시간 동안의 전력 소비량 = 200[W] x 5
    = 1000[Wh]
    = 1[KWh]

    따라서, 이 문제에서의 소비전력량은 1[KWh]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24[V]의 축전지에 R1=3[Ω], R2=4[Ω], R3=5[Ω]의 저항을 직렬로 접속하였을 때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얼마인가?

  1. 24[A]
  2. 12[A]
  3. 6[A]
  4. 2[A]
(정답률: 30%)
  • 저항을 직렬로 접속하였으므로 전류는 모든 저항을 통과하게 됩니다. 따라서 전류의 세기는 전압을 총 저항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압은 24[V]이고, 총 저항은 R1+R2+R3=3[Ω]+4[Ω]+5[Ω]=12[Ω]입니다. 따라서 전류의 세기는 24[V]/12[Ω]=2[A]가 됩니다.

    정답은 "2[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농기계안전관리

46. 전동기 사용 시의 가장 안전하지 못한 사항은?

  1. 온도가 높으면 물수건으로 식힐 것
  2. 온도가 높으며 부하를 줄일 것
  3. 윤활유를 점검할 것
  4. 정전 시는 스위치를 차단할 것
(정답률: 78%)
  • 전동기가 작동하면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온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 때 온도가 너무 높으면 전동기 내부 부품이 손상될 수 있으며, 더 심각한 경우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온도가 높아지면 물수건으로 식히는 것은 전동기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한 중요한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해머 작업에 있어서 안전작업 사항으로 어긋나는 것은?

  1. 해머를 휘두르기 전에 반드시 주위를 살핀다.
  2. 불꽃이 생기거나 파편이 생길 수 있는 작업에서는 반드시 보호 안경을 써야 한다.
  3. 좁은 곳이나 발판이 불안한 곳에서 해머 작업을 하여서는 안 된다.
  4. 해머 작업 시 타격 가공할 때 눈은 해머 머리부분을 본다.
(정답률: 81%)
  • 해머 작업 시 타격 가공할 때 눈은 해머 머리부분을 본다는 것은, 해머를 휘두르기 전에 눈을 해머 머리 부분에 위치시켜서 타격할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 위치에 맞춰서 타격을 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정확한 타격을 위해 필요한 안전한 작업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가스 중 독성이 가장 강한 것은?

  1. 염소
  2. 일산화질소
  3. 포스겐
  4. 브롬메틸
(정답률: 37%)
  • 포스겐은 매우 강한 독성을 가진 가스로,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이는 포스겐이 호흡기를 통해 체내로 들어가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호흡기계를 마비시키고 심한 호흡곤란, 두통, 혼수 상태 등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포스겐은 다른 가스들보다 독성이 가장 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농업기계 사고 발생의 3대 요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인간적인 요인
  2. 기계적인 요인
  3. 경험적인 요인
  4. 환경적인 요인
(정답률: 74%)
  • "경험적인 요인"은 농업기계 사고 발생의 요인으로 볼 수 없습니다. 이는 사고 발생과 관련된 인간적인 요인, 기계적인 요인, 환경적인 요인과는 달리 경험적인 요인은 개인의 경험과 능력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경험적인 요인은 사고 예방을 위한 대책으로서는 적용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드라이버 작업에 대한 설명 중 안전에 위반되는 사항은?

  1. 드라이버의 날끝이 나사홈의 나비와 길이에 맞는 것을 사용한다.
  2. 나사를 조일 때는 나사홈에 수직으로 대고 한손으로 가볍게 돌린다.
  3. 드라이버 날끝의 이가 빠진 것이나 둥글게 된 것은 사용하지 않는다.
  4. 녹이 슬어 움직이지 않는 나사는 드라이버를 대고 망치로 충격을 가한 다음 작업한다.
(정답률: 74%)
  • "녹이 슬어 움직이지 않는 나사는 드라이버를 대고 망치로 충격을 가한 다음 작업한다."가 안전에 위반되는 사항입니다. 이 작업은 나사를 손상시키거나 부러뜨릴 수 있으며, 작업 중에 드라이버가 미끄러져 다른 부위를 상처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 작업은 절대로 하면 안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소화방법 중에서 가연물에 물을 뿌려 기화 잠열을 이용하여 소화하는 것은?

  1. 냉각 소화법
  2. 제거 소화법
  3. 질식 소화법
  4. 차단 소화법
(정답률: 89%)
  • 냉각 소화법은 가연물에 물을 뿌려 물의 기화 열을 이용하여 가열된 물체를 냉각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화재를 직접적으로 진압하는 것이 아니라 화재가 번지는 것을 막고, 화재를 더 큰 규모로 확대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적인 소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축전지의 올바른 사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속적으로 큰 전류를 방전 시키지 말아야 한다.
  2. 케이스 양케이블의 설치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한다.
  3. 축전지를 사용치 않을 때는 2개월마다 보완충전을 한다.
  4. 전해액의 양과 비중을 정기적으로 점검한다.
(정답률: 74%)
  • 축전지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보완충전을 하지 않는 것이 올바른 사용법입니다. 축전지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보관 상태에서 보완충전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따라서 "축전지를 사용치 않을 때는 2개월마다 보완충전을 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콤바인의 청소와 보관 시 주의 사항 중 바르게 설명되지 않은 것은?

  1. 접합부는 완전히 밀착되어서는 안 된다.
  2. 정비를 위한 분해 조립 시는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도록 한다.
  3. 차체 도장 부분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4. 기체를 정지 시킨 후 정비를 하도록 한다.
(정답률: 72%)
  • 접합부가 완전히 밀착되면 청소 시에 물이나 세제가 제대로 들어가지 않아 부식이나 오염이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접합부는 적당한 간격을 두고 청소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납땜 작업도중 염산이 몸에 묻으면 어떻게 응급조치를 해야하는가?

  1. 황산을 바른다.
  2. 물로 빨리 세척한다.
  3. 손으로 문지른다.
  4. 그냥 두어도 상관없다.
(정답률: 79%)
  • 염산은 강한 산성 물질로 인체에 침투하면 화학적인 손상을 일으키기 때문에 물로 빨리 세척하여 희석시켜야 합니다. 황산을 바르거나 손으로 문지르는 것은 더 큰 화학적인 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위험합니다. 그리고 그냥 두면 상처가 심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염산에 노출된 부위를 물로 빨리 세척하여 희석시키는 것이 가장 안전한 응급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사항 중 소음크기의 측정단위는?

  1. L
  2. PPM
  3. dB
  4. mg/m2
(정답률: 91%)
  • 소음크기의 측정단위는 "dB"입니다. 이는 데시벨(decibel)의 약자로, 소리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소리의 크기는 소리의 진폭(amplitude)에 비례하며, 데시벨은 이 진폭의 로그값에 20을 곱한 것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데시벨은 소리의 크기를 로그 스케일로 표현하므로, 소리의 크기 차이를 더욱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작업장에서의 안전보호구 착용상태를 설명한 것이다. 옳은 것은?

  1. 안전화 대신 슬리퍼를 착용해도 된다.
  2. 귀마개 대신 이어폰을 사용한다.
  3. 날씨가 더우면 분진이 많아도 분진 마스크를 하지 않아도 된다.
  4. 낙하 위험 작업장에서 안전모를 착용한다.
(정답률: 90%)
  • 낙하 위험 작업장에서는 높은 곳에서 떨어질 수 있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안전모를 착용해야 한다. 이는 머리를 보호하여 심각한 상해를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안전조직의 형태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감독형
  2. 직계형
  3. 참모형
  4. 복합형
(정답률: 46%)
  • 안전조직의 형태 중에서 "감독형"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감독형은 조직 구성원들이 감독자의 지시에 따라 일을 수행하는 형태로, 안전조직의 핵심 가치인 참여와 협력을 강조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전조직의 형태로는 "직계형", "참모형", "복합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은 수공구의 사용 후의 안전취급에 관한 규칙이다. 틀린 것은?

  1. 지정된 장소에 보관하고 있는가?
  2. 정리 정돈하여 공구의 종류 및 수량을 확실히 파악했는가?
  3. 사용 후에는 반드시 점검하고 수리하여 두었는가?
  4. 안전한 구석에 놓아두었는가?
(정답률: 84%)
  • "안전한 구석에 놓아두었는가?"가 틀린 것이다. 사용 후에는 반드시 수공구를 안전한 구석에 놓아두어야 하지만, 사용 전에는 지정된 장소에 보관하고, 정리 정돈하여 공구의 종류 및 수량을 파악해야 한다. 사용 후에는 반드시 점검하고 수리하여 두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은 자연 발화를 일으키는 인자(요인)이다.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수분
  2. 공기의 유동
  3. 소방기구
  4. 발열량
(정답률: 73%)
  • 소방기구는 자연 발화를 일으키는 인자가 아닙니다. 자연 발화를 일으키는 인자는 수분, 공기의 유동, 발열량 등이 있습니다. 소방기구는 화재 발생 시 대처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는 것이며, 화재를 일으키는 인자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은 호흡용 보호구다. 호흡용 보호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방진 마스크
  2. 방독 마스크
  3. 흡입 마스크
  4. 호스 마스크
(정답률: 74%)
  • 흡입 마스크는 공기 중에 있는 유해 물질을 흡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마스크이며, 호흡용 보호구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호흡용 보호구는 공기 중에 있는 유해 물질을 마스크를 통해 걸러내거나, 공기를 정화하여 숨을 쉴 수 있도록 하는 장비를 말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흡입 마스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