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물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4-04)

위험물기능장
(2004-04-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다음 화합물 중 성상이 흰색 결정인 것은?

  1. 피크린산
  2. 테트릴
  3. 트리니트로톨루엔
  4. 헥소겐
(정답률: 80%)
  • 헥소겐은 성상이 흰색 결정인 화합물입니다. 이는 헥소겐이 분자 구조상 극성이 없기 때문에 물과 잘 혼합되어 결정화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반면, 피크린산, 테트릴, 트리니트로톨루엔은 극성이 강하거나 분자 구조가 복잡하여 결정화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무색 또는 백색의 결정으로 308℃에서 사방정계에서 입방정계로 전이하는 물질은?

  1. NaCℓ O4
  2. NaCℓ O3
  3. KCℓ O3
  4. KCℓ O4
(정답률: 45%)
  • 정답은 "NaCℓ O4"입니다. 이유는 NaCℓ O4가 308℃에서 입방정계로 전이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러한 특성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제2류 위험물의 일반적 성질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착화되기 쉬운 가연성물질이며 대단히 연소속도가 빠른 고체이다.
  2.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착화되기 쉬운 가연성물질이며 대단히 연소속도가 빠른 액체이다.
  3.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착화되는 가연성물질이며 연소 속도가 비교적 느린 고체이다.
  4.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착화되는 가연성물질이며 연소 속도가 빠른 액체이다.
(정답률: 81%)
  • 제2류 위험물은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착화되기 쉬운 가연성물질이며 대단히 연소속도가 빠른 고체입니다. 이는 제2류 위험물이 일반적으로 산화성이 강하고, 공기 중에서 쉽게 연소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고체 상태에서는 연소면이 작아서 연소속도가 빠르고, 높은 열량을 가지고 있어서 폭발 위험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제1류 고체 위험물로만 구성된 것은?

  1. KCℓ O3, HCℓ O4, Na2O, KCℓ
  2. KCℓ O3, KCℓ O4, NH4Cℓ O4, NaCℓ O4
  3. KCℓ O3, HCℓ O4, K2O, Na2O2
  4. KCℓ O3, HCℓ O4, K2O2, Na2O
(정답률: 87%)
  • 제1류 고체 위험물은 산화제와 연료로만 이루어진 물질로, KCℓ O3, KCℓ O4, NH4Cℓ O4, NaCℓ O4이 해당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산화제와 연료 이외의 물질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제1류 고체 위험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지정수량이 제일 적은 물질은?

  1. 칼륨
  2. 적린
  3. 황린
  4. 질산염류
(정답률: 82%)
  • 칼륨은 인체 내에서 필수적인 미량 원소이지만, 다른 물질들과 비교했을 때 지정수량이 제일 적습니다. 따라서 칼륨이 지정수량이 제일 적은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크산토프로테인 반응과 관계 되는 물질은?

  1. 황산
  2. 클로로슬폰산
  3. 무수크롬산
  4. 질산
(정답률: 85%)
  • 크산토프로테인은 질산과 반응하여 녹색 혹은 노란색의 색소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크산토프로테인 반응과 관련된 물질은 "질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주유취급소에서의 위험물의 취급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동차에 주유 시 고정주유설비를 사용하여 직접 주유하여야 한다.
  2. 고정주유설비에 유류를 공급하는 배관은 전용탱크로 부터 고정주유설비에 직접 접결된 것이어야 한다.
  3. 유분리장치에 고인 유류는 넘치지 않도록 수시로 퍼내어야 한다.
  4. 주유 시 자동차 등의 원동기는 정지시킬 필요는 없으나 자동차의 일부가 주유취급소의 공지 밖에 나와서는 안된다.
(정답률: 83%)
  • 주유 시 자동차 등의 원동기는 정지시킬 필요는 없으나 자동차의 일부가 주유취급소의 공지 밖에 나와서는 안된다는 것이 옳지 않습니다. 이는 오히려 위험할 수 있으며, 자동차의 일부가 주유취급소의 공지 밖에 나와서는 안된다는 규정은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인화성액체 위험물에 대하여 가장 많이 쓰이는 소화원리는?

  1. 주수소화
  2. 연소물 제거
  3. 냉각소화
  4. 질식소화
(정답률: 72%)
  • 인화성액체는 산소를 많이 소비하여 연소가 일어나기 때문에, 산소를 차단하여 연소를 막는 질식소화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질식소화는 소화제를 통해 연소 반응에 참여하는 산소를 차단하여 연소를 막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인화성액체 위험물에 대해서는 질식소화가 가장 많이 쓰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설치기준으로 옳은 것은?

  1. 갑종방화문 또는 을종방화문으로 구획된 실에 설치할 것
  2. 저압식 저장용기의 충전비는 1.5이상 1.9이하로 할 것
  3. 저압식 저장용기에는 내압시험압력의 0.8배 내지 1.2배 압력에서 작동하는 안전밸브를 설치할 것
  4. 저장용기는 350Kg/cm2 이상의 내압시험에 합격한 것으로 할 것
(정답률: 50%)
  • 이산화탄소는 인체에 유해한 가스이므로, 저장용기가 불시에 파열하거나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갑종방화문 또는 을종방화문으로 구획된 실에 설치해야 합니다. 이는 저장용기를 화재로부터 보호하고, 불시에 누출되는 이산화탄소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중탄산칼륨, 탄산수소칼륨 소화약제는 어느 색으로 착색하여야 하는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백색
  2. 보라색
  3. 담홍색
  4. 회백색
(정답률: 42%)
  • 중탄산칼륨과 탄산수소칼륨은 알칼리성을 띄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소화약제를 적정시키면서 적정지시약으로 사용되는 메틸오렌지는 알칼리성 용액에서 보라색으로 착색됩니다. 따라서, 중탄산칼륨과 탄산수소칼륨 소화약제는 보라색으로 착색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위험분위기가 존재하는 시간과 빈도에 따라 방폭지역이 분류되는데 이상상태에서 위험분위기를 발생할 우려가 있는 장소를 무엇이라 하는가?

  1. 0종장소
  2. 1종장소
  3. 2종장소
  4. 3종장소
(정답률: 66%)
  • 2종장소는 평소에는 안전하지만 특정 조건이나 상황에서는 위험분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장소를 말합니다. 따라서 방폭지역 분류에서는 2종장소에 대한 방폭조치가 필요합니다. 0종장소는 위험분위기가 발생하지 않는 안전한 장소, 1종장소는 항상 위험분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장소, 3종장소는 위험분위기가 항상 발생하는 장소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알칼리를 다루는 곳에서 가장 큰 내약품성을 나타내는 재질은?

  1. 양모
  2. 삼베
  3. 폴리에틸렌
  4. 6· 6나이론
(정답률: 77%)
  • 폴리에틸렌은 알칼리에 대한 내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알칼리를 다루는 곳에서 가장 큰 내약품성을 나타내는 재질로 선택됩니다. 이는 폴리에틸렌이 분자 구조상 안정성이 높아서 알칼리와의 반응이 적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공기 액화 분리장치의 폭발원인이 아닌 것은?

  1. 질소화합물(NO, NO2)의 혼입
  2. 공기중의 질소의 과다 혼입
  3. 액체 공기중의 오존의 혼입
  4. 공기 흡입구로 부터 아세틸렌의 침입
(정답률: 62%)
  • 공기 액화 분리장치는 대부분 질소와 산소를 분리하여 액체 상태로 저장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공기중의 질소가 과다하게 혼입되면 분리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질소화합물이나 오존 등은 폭발원이 될 가능성이 있어서 공기 액화 분리장치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아세틸렌은 분리 과정에서 사용되는 가스 중 하나이지만, 공기 흡입구로 부터 침입하면 안전하지 않은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공기중의 질소의 과다 혼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지연성(조연성)가스는?

  1. 이산화탄소
  2. 아세트알데히드
  3. 이산화질소
  4. 산화프로필렌
(정답률: 59%)
  • 지연성(조연성) 가스란,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나 독성이 있는 물질로서, 냄새나 색깔이 없어서 인체가 인지하기 어렵고, 농도가 높아져야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가스를 말합니다. 이산화질소는 이러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지연성(조연성) 가스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특수위험물판매취급소의 작업실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화구조로 된 벽으로 구획하여야 한다.
  2. 출입구는 갑종 및 을종방화문을 설치하여야 한다.
  3. 출입구는 바닥으로부터 0.1m 이상의 턱을 설치 한다.
  4. 바닥면적은 6m2 이상 10m2 이하로 한다.
(정답률: 18%)
  • "출입구는 갑종 및 을종방화문을 설치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은, 특수위험물판매취급소의 작업실 출입구는 반드시 갑종 및 을종방화문 중 하나를 설치해야 하지만, 둘 다 설치할 필요는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출입구는 갑종 및 을종방화문을 설치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니트로셀룰로오스를 저장, 운반할 때 가장 좋은 방법은?

  1. 질소가스를 충전한다.
  2. 갈색 유리병에 넣는다.
  3. 냉동시켜서 운반한다.
  4. 알코올 등으로 습면을 만들어 운반한다.
(정답률: 82%)
  • 니트로셀룰로오스는 물에 녹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물로 운반하거나 저장할 경우에는 물에 녹지 않아서 처리가 어렵고, 물에 녹을 경우 폭발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알코올 등으로 습면을 만들어 운반하는 것이 안전하고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습면을 만들면 니트로셀룰로오스가 물에 녹아 처리가 용이하며, 폭발 위험도가 낮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그림과 같은 탱크의 내용적은? (단, π 는 3.14 이다.)

  1. 약 258 m3
  2. 약 282 m3
  3. 약 312 m3
  4. 약 375 m3
(정답률: 80%)
  • 탱크의 형태는 원기둥과 원뿔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내용적은 원기둥의 부피와 원뿔의 부피의 합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원기둥의 부피는 밑면의 넓이(반지름의 제곱에 π를 곱한 값)와 높이를 곱한 값입니다. 따라서 원기둥의 부피는 3.14 x 5 x 5 x 10 = 785 m3 입니다.

    원뿔의 부피는 1/3 x 밑면의 넓이(반지름의 제곱에 π를 곱한 값)와 높이를 곱한 값입니다. 따라서 원뿔의 부피는 1/3 x 3.14 x 5 x 5 x 5 = 261.67 m3 입니다.

    따라서 탱크의 내용적은 원기둥의 부피와 원뿔의 부피의 합인 785 + 261.67 = 1046.67 m3 입니다. 이를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약 282 m3 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화학적 질식 위험물질로 인체 내에 산화효소를 침범하여 가장 치명적인 물질은?

  1. 에탄
  2. 포름알데히드
  3. 시안화수소
  4. 염화비닐
(정답률: 72%)
  • 시안화수소는 인체 내의 산화효소를 침범하여 미토콘드리아의 호흡과정을 방해하고, 산소와 결합하여 세포 내의 산소공급을 차단하여 뇌와 심장 등 중요한 기관의 기능을 마비시키는 위험물질입니다. 따라서, 시안화수소는 가장 치명적인 물질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유기용제의 독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방향족화합물은 사슬형화합물 보다 독성이 강하다.
  2. 지방족 탄화수소 중 고급이 저급보다 마취성이 강하다.
  3. 할로겐화탄화수소는 그 모체 화합물보다 독성이 강하다.
  4. 할로겐화탄화수소는 주로 조혈기관(골수)를 해친다.
(정답률: 63%)
  • "할로겐화탄화수소는 주로 조혈기관(골수)를 해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할로겐화탄화수소는 그 모체 화합물보다 독성이 강하며, 방향족화합물은 사슬형화합물보다 독성이 강하고, 지방족 탄화수소 중 고급이 저급보다 마취성이 강합니다.

    하지만 할로겐화탄화수소는 주로 신경계를 해칩니다. 조혈기관(골수)를 해친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페놀을 사용하는 작업장에서 사용하는 장갑으로 적당하지 않는 재질은?

  1. 네오프렌
  2. 폴리비닐알코올
  3. 부틸
  4. 부나 - N
(정답률: 73%)
  • 페놀은 폴리비닐알코올과 반응하여 분해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폴리비닐알코올 장갑은 페놀을 다루는 작업장에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폴리비닐알코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다음 ( )에 알맞는 용어는?

  1. ①고속회전기, ②굴절
  2. ①압축기, ②간섭
  3. ①정전기, ②방전
  4. ①자기장, ②회절
(정답률: 91%)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전기 방전 현상으로, 전기적으로 충전된 물체(정전기)가 공기 등의 절연체를 통해 방전되는 것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정답은 "①정전기, ②방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위험물 시설안전원을 두어야 할 제조소 등은 지정수량의 얼마 이상인가?

  1. 5만배
  2. 3만배
  3. 2만배
  4. 1만배
(정답률: 57%)
  • 위험물 시설안전원은 제조소 등이 보유한 위험물의 양과 위험성에 따라 지정되며, 안전원의 수는 위험물의 양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안전원을 두어야 할 제조소 등의 위험물 양이 1만배 이상인 경우에 안전원을 지정해야 합니다. 이는 위험물의 양이 많을수록 사고 발생 시 피해가 커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옥외탱크저장소의 탱크 중 압력탱크의 수압시험 기준은?

  1. 최대상용압력의 2배의 압력으로 20분간 수압
  2. 최대상용압력의 2배의 압력으로 10분간 수압
  3. 최대상용압력의 1.5배의 압력으로 20분간 수압
  4. 최대상용압력의 1.5배의 압력으로 10분간 수압
(정답률: 89%)
  • 압력탱크는 최대상용압력 이하에서 사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최대상용압력의 1.5배 이상의 압력으로 시험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또한, 10분간 시험하는 것은 충분한 시간이며, 20분간 시험하는 것은 비효율적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최대상용압력의 1.5배의 압력으로 10분간 수압"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황화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금속분, 과산화물 등과 격리저장하여야 한다.
  2. 삼황화인은 물, 염산, 황산에는 녹는다.
  3. 분해하면 유독하고 가연성인 황화수소가 발생한다.
  4. 삼황화인은 공기중 100℃에서 발화한다.
(정답률: 67%)
  • "삼황화인은 물, 염산, 황산에는 녹는다." 이유는 삼황화인이 물, 염산, 황산과 반응하여 황화수소와 산화물을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반응으로 인해 삼황화인은 녹게 됩니다. 따라서 "삼황화인은 물, 염산, 황산에는 녹는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니트로셀룰로오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셀룰로이드에 황산과 질산을 작용하여 만든다.
  2. 셀룰로이드의 니트로 화합물이다.
  3. 질화도가 낮은 것보다 높은 것이 더 위험하다.
  4. 정제가 나쁜 잔산(殘酸)이 있는 경우 위험성이 크다.
(정답률: 69%)
  • 셀룰로이드는 니트로셀룰로오스의 일종입니다. 따라서 "셀룰로이드의 니트로 화합물이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발연황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기 중에서 백연을 내는 점성 액체이다.
  2. 산화하기 쉽고 탈수성이 좋다.
  3. 유기물과 접촉하면 탄화 분해시켜 발화되는 위험이 있다.
  4. 부식성이 강하고 모든 금속을 부식시킨다.
(정답률: 52%)
  • 발연황산은 모든 금속을 부식시키는 것이 아니라, 일부 금속은 부식시키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부식성이 강하고 모든 금속을 부식시킨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1급 방화관리 대상물로서 관리대상이 아닌 것은?

  1. 연면적 15,000m2 이상인 것
  2. 가연성 가스를 1천톤 이상 저장, 취급하는 시설
  3. 소방대상물로서 층수가 11층 이상인 것
  4. 가스제조설비를 갖추고 도시가스 사업허가를 받아야하는 시설
(정답률: 68%)
  • 가스제조설비를 갖추고 도시가스 사업허가를 받아야하는 시설은 방화관리 대상물 중에서는 관리대상이 아니라는 것은, 방화관리 대상물의 기준 중에서는 해당 사항이 없기 때문입니다. 방화관리 대상물의 기준은 연면적, 가연성 가스 저장 및 취급량, 층수 등으로 정해져 있으며, 가스제조설비를 갖추고 도시가스 사업허가를 받아야하는 시설은 이러한 기준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관리대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내용적 2000㎖의 비이커에 포를 가득 채웠더니 중량이 850g 이었고 비이커 용기의 중량은 450g 이었다. 이 때 비이커 속에 들어 있는 포의 팽창비는? (단, 포 수용액의 밀도는 1.15이다.)

  1. 약 5배
  2. 약 6배
  3. 약 7배
  4. 약 8배
(정답률: 62%)
  • 포의 질량 = 총 중량 - 비이커 용기의 중량 = 850g - 450g = 400g
    포의 부피 = 질량 ÷ 밀도 = 400g ÷ 1.15 = 약 348.7㎖
    따라서, 비이커 용기에 가득 차 있을 때의 부피는 2000㎖이고, 실제로 담긴 포의 부피는 약 348.7㎖ 이므로, 팽창비는 2000㎖ ÷ 348.7㎖ ≈ 5.73 ≈ 약 6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위험물제조소의 바닥면적이 60m2 이상 90m2 미만일 때 급기구의 면적은?

  1. 150cm2 이상
  2. 300cm2 이상
  3. 450cm2 이상
  4. 600cm2 이상
(정답률: 79%)
  • 위험물제조소의 바닥면적이 60m2 이상 90m2 미만이므로, 급기구 면적은 바닥면적의 0.5%에서 1% 사이여야 합니다.

    60m2 x 0.005 = 300cm2

    90m2 x 0.01 = 900cm2

    따라서, 급기구 면적은 300cm2 이상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이동탱크저장소의 칸막이 설치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2,000ℓ 이하 마다 1개씩 설치
  2. 3,000ℓ 이하 마다 1개씩 설치
  3. 3,500ℓ 이하 마다 1개씩 설치
  4. 4,000ℓ 이하 마다 1개씩 설치
(정답률: 88%)
  • 이동탱크저장소의 칸막이 설치는 안전을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저장소의 용량이 작을수록 칸막이를 설치해야 하는 빈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4,000ℓ 이하 마다 1개씩 설치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위험물제조소의 채광, 환기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채광설비는 단열재료를 사용하고 연소할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하고 채광면적을 최대로 할 것
  2. 환기설비는 자연배기 방식으로 할 것
  3. 환기구는 지붕위 또는 지상 2m 이상의 높이에 회전식 고정 벤티레이터 또는 루프팬 방식으로 설치할 것
  4. 급기구는 낮은 곳에 설치할 것
(정답률: 62%)
  • "급기구는 낮은 곳에 설치할 것"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급기구는 가능한 높은 곳에 설치하여 위험물의 가스나 연기가 높은 곳으로 배출되도록 해야 합니다. 이는 화재 발생 시 위험물이 빠르게 분산되어 화재 확산을 막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간이탱크저장소의 1개의 탱크의 용량은 얼마 이하 이어야 하는가?

  1. 300리터
  2. 400리터
  3. 500리터
  4. 600리터
(정답률: 82%)
  • 간이탱크저장소는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가스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가정에서 사용되는 가스의 용량은 600리터 이하입니다. 따라서, 간이탱크저장소의 용량은 600리터 이하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소화약제인 Halon-1301의 분자식은?

  1. CF2Br2
  2. CF3Br
  3. CFBr3
  4. CF2Cl2
(정답률: 88%)
  • Halon-1301은 화학식이 CF3Br인 화합물입니다. 이유는 Halon-1301이 CF3Br의 화학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브롬과 클로로의 수가 다르거나, 플루오린의 수가 다르기 때문에 Halon-1301과는 화학식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에테르 중 과산화물을 확인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산화철을 첨가한다.
  2. 10% KI 용액을 첨가하여 1분 이내에 황색으로 변화하는지 확인한다.
  3. 30% FeSO4 10mL를 에테르 1L의 비율로 첨가하여 추출한다.
  4. 98% 에틸알코올 120mL를 에테르 1L의 비율로 첨가하여 증류한다.
(정답률: 73%)
  • 과산화물은 KI와 반응하여 황색의 I2를 생성하므로, 10% KI 용액을 첨가하여 1분 이내에 황색으로 변화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옳은 방법이다. 다른 보기들은 에테르 중 과산화물을 확인하는 방법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위험물 중 형상은 다르지만 성질이 같은 것은?

  1. 제1류와 제6류
  2. 제2류와 제5류
  3. 제3류와 제5류
  4. 제4류와 제6류
(정답률: 91%)
  • 정답: 제1류와 제6류

    이유: 제1류와 제6류는 폭발성이 강하고 불안정한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제1류는 폭발성이 강하고 불안정한 화학물질로서, 물과 접촉하면 폭발할 수 있습니다. 제6류는 불안정하고 폭발성이 강한 화학물질로서, 충격이나 마찰에 의해 폭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둘 다 매우 위험한 화학물질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글리세린은 다음 중 어디에 속하는가?

  1. 1가 알코올
  2. 2가 알코올
  3. 3가 알코올
  4. 4가 알코올
(정답률: 64%)
  • 글리세린은 3개의 알코올기가 있는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다른 알코올과는 달리, 3가 알코올에 속합니다. 이는 글리세린 분자가 3개의 하이드록시(-OH)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원자의 구성입자 중 질량이 가장 가벼운 것은?

  1. 양성자(p)
  2. 중성자(n)
  3. 중간자(m)
  4. 전자(e)
(정답률: 82%)
  • 전자는 질량이 매우 가벼워서 다른 세 가지 입자에 비해 약 1/1836밖에 되지 않습니다. 이는 전자가 원자의 외부에 위치하며, 양성자와 중성자는 원자핵 안에 위치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자가 가장 가벼운 원자의 구성 입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벤젠(C6H6)에 직접 반응하는 라디칼은?

  1. -OH
  2. -NH2
  3. -SO3H
  4. -COOH
(정답률: 53%)
  • 벤젠(C6H6)은 전자밀도가 높은 분자이기 때문에 직접적인 반응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벤젠에 직접 반응하는 라디칼은 없습니다. 하지만 벤젠에 반응하여 라디칼을 생성시키는 기능을 가진 분자들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SO3H"는 벤젠에 결합하여 벤젠-소듐(sodium benzenesulfonate)을 형성하면서 라디칼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SO3H"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염소(Cℓ )의 산화수가 +3 인 물질은?

  1. HCℓ O4
  2. HCℓ O3
  3. HCℓ O2
  4. HCℓ O
(정답률: 74%)
  • 염소의 산화수가 +3이므로, 이온의 전하가 -3이 되어야 합니다. HCℓO4의 경우, 염소의 산화수는 +7이므로 이온의 전하가 -7이 되어야 하며, HCℓO3의 경우, 염소의 산화수는 +5이므로 이온의 전하가 -5가 되어야 합니다. HCℓO2의 경우, 염소의 산화수는 +3이므로 이온의 전하가 -3이 되어 정답입니다. 마지막으로, HCℓO의 경우, 염소의 산화수는 +1이므로 이온의 전하가 -1이 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독성이 강하여 아주 적은 량으로도 중독을 일으키고 피부에 닿으면 화상을 입을 수 있는 위험물은?

  1. 황화인
  2. 황린
  3. 적린
(정답률: 69%)
  • 황린은 독성이 매우 강하고 적은 양으로도 중독을 일으키며 피부에 닿으면 화상을 입을 수 있는 위험물질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황린입니다. 황화인, 황, 적린은 모두 독성이 있지만 황린보다는 상대적으로 적은 위험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포 소화약제의 인화점은 크리브랜드 개방식 인화점 측정시험기를 사용한다. 인화점은 몇 ℃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가?

  1. 2.5℃
  2. -5℃
  3. 20℃
  4. 60℃
(정답률: 47%)
  • 포 소화약제는 일반적으로 60℃ 이상에서 인화되기 때문에, 크리브랜드 개방식 인화점 측정시험기를 사용하여 인화점을 측정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6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포(Foam) 소화약제의 일반적인 성질이 아닌 것은?

  1. 균질일 것
  2. 변질방지를 위한 유효한 조치를 할 것
  3. 현저한 독성이 있거나 손상을 주지 않을 것
  4. 포는 목재등 고체표면에 쉽게 퍼짐성이 좋을 것
(정답률: 70%)
  • 포 소화약제는 고체와 액체의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액체 부분이 발포제 역할을 하여 소화작용을 한다. 이러한 발포제는 목재 등 고체표면에 쉽게 퍼지며, 이는 발포제의 특성으로 인해 발생한다. 따라서 포는 목재등 고체표면에 쉽게 퍼짐성이 좋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극성공유결합으로 이루어진 분자가 아닌 것은?

  1. HF
  2. CH3COOH
  3. NH3
  4. CH4
(정답률: 43%)
  • CH4은 극성공유결합을 가지지 않는다. 이는 탄소와 수소의 전기음성도 차이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CH4은 극성분자가 아니며, 나머지 세 분자는 극성공유결합을 가지고 있어 극성분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수분을 함유한 NaClO2 의 분해온도는?

  1. 약 50℃
  2. 약 70℃
  3. 약 100℃
  4. 약 120℃
(정답률: 58%)
  • NaClO2는 열분해에 의해 NaCl과 O2로 분해됩니다. 이때 분해에 필요한 에너지는 NaClO2의 결합에너지보다 높아야 합니다. NaClO2의 결합에너지는 약 120℃ 이상의 온도에서 분해에 필요한 에너지보다 높아지므로, 약 120℃ 이상의 온도에서 분해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약 1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유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순도가 50 중량% 이하인 것은 제외한다.
  2. 사방황의 색상은 황색이다.
  3. 단사황의 비중은 1.95이다.
  4. 고무상황의 결정형은 무정형이다.
(정답률: 68%)
  • "순도가 50 중량% 이하인 것은 제외한다."는 유황의 순도가 낮을 경우 다른 불순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사방황의 색상은 황색이 맞습니다.

    단사황의 비중은 1.95이 맞습니다.

    고무상황의 결정형은 무정형이 맞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물 속에 저장하여야 할 위험물은?

  1. 나트륨
  2. 황린
  3. 피크린산
  4. 과염소산
(정답률: 90%)
  • 황린은 물과 반응하여 유독가스인 황화수소를 생성하므로 물 속에 저장하여야 합니다. 다른 물질들은 물과 반응하지 않거나 물 속에서 안정적이므로 특별한 저장 방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TNT가 분해될 때 주로 발생하는 가스는?

  1. 일산화탄소
  2. 암모니아
  3. 시안화수소
  4. 염화수소
(정답률: 72%)
  • TNT는 분해될 때 일산화탄소와 질소가 발생합니다. 이 중에서 일산화탄소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TNT 분해과정에서 일산화탄소가 생성되는 반응이 가장 빠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TNT가 분해될 때 주로 발생하는 가스는 일산화탄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위험물선박운송 및 저장규칙에서 정하는 선박으로 운송할 수 있는 물질은?

  1. 요오드산칼륨
  2. 과망간산암모늄
  3. 과염소산(농도가 75질량% 인 것)
  4. 아세틸퍼옥시드(농도가 30질량% 인 것)
(정답률: 44%)
  • 위험물선박운송 및 저장규칙에서는 운송할 수 있는 물질을 위험성에 따라 분류하고, 각 분류에 따라 운송 조건을 규정합니다. 요오드산칼륨은 위험성이 낮은 5.1류로 분류되어 있으며, 적절한 조건에서 운송할 수 있습니다. 다른 물질들은 위험성이 높아 운송이 제한되거나 특별한 조건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반도체공업, 광통신 화이버재료로 사용되는 트리클로로실란(HSiCl3)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무기화합물이다.
  2. 물보다 무겁고 물과 접촉 시 분해한다.
  3. 벤젠, 에테르, 사염화탄소에 녹는다.
  4. 소화약제로는 이산화탄소, 건조분말이 유효하다.
(정답률: 48%)
  • 소화약제로 이산화탄소와 건조분말이 유효한 이유는, 트리클로로실란이 물과 접촉 시 분해되면서 열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물로는 소화가 어렵고, 이산화탄소나 건조분말로 소화를 시도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알코올류에서 탄소수가 증가할수록 변화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인화점이 낮아진다.
  2. 연소범위가 넓어진다.
  3. 수용성이 감소된다.
  4. 액체 비중이 작아진다.
(정답률: 53%)
  • 알코올류에서 탄소수가 증가할수록 분자의 크기가 커지고, 분자 간의 인력이 강해지기 때문에 수용성이 감소됩니다. 이는 물과 같은 극성 용매와의 상용성이 떨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자동화재탐지설비 중 연기감지기는 실내로의 공기 유입구로부터 얼마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하여야 하는가?

  1. 1.0m
  2. 1.5m
  3. 2.0m
  4. 2.5m
(정답률: 75%)
  • 연기감지기는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설치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공기 유입구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해야 합니다. 이 거리는 일반적으로 1.5m 정도로 설정됩니다. 이는 공기 유입구에서 발생하는 불쾌한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연기감지기의 정확한 작동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유지류 중 요오드 값이 100이하인 불건성유는?

  1. 아마인유
  2. 참기름
  3. 피마자유
  4. 번데기유
(정답률: 70%)
  • 피마자유는 요오드 값이 100 이하인 불건성유입니다. 이유는 피마자유가 식물성 유지 중에서 요오드 함량이 가장 낮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제4류 위험물 지정수량 48만배 이상을 저장 취급하는 제조소의 자체소방대에서 갖추어야 하는 (a)화학소방자동차대수 및 (b)조작인원은?

  1. (a) 4대, (b) 20인
  2. (a) 3대, (b) 15인
  3. (c) 2대, (b) 10인
  4. (d) 1대, (b) 5인
(정답률: 89%)
  • 제4류 위험물은 매우 위험한 물질로, 화재 발생 시 대처가 어렵고 폭발, 화재, 독성 등의 위험이 크기 때문에 자체소방대가 필요합니다. 이 중 48만배 이상을 저장 취급하는 제조소는 매우 위험한 상황이므로 대처 능력이 높은 자체소방대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a)화학소방자동차 대수는 4대 이상이 필요합니다. 화학소방자동차는 화학물질에 대처하기 위한 특수한 소방차로, 화학물질의 종류와 양에 따라 필요한 대수가 달라집니다. 48만배 이상의 제4류 위험물을 저장 취급하는 제조소는 매우 큰 규모이므로, 대처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4대 이상의 화학소방자동차가 필요합니다.

    또한, (b)조작인원은 20인 이상이 필요합니다. 제4류 위험물은 매우 위험한 물질이므로 대처에 필요한 인원 수도 많아야 합니다. 20명 이상의 조작인원이 필요한 이유는, 화재 발생 시 빠르고 정확한 대처를 위해 충분한 인원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a) 4대, (b) 20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포소화약제의 하나인 수성막포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불소계 계면활성포의 일종이며 라이트워터라고 한다.
  2. 소화원리는 질식작용과 냉각작용이다.
  3. 타 포소화약제보다 내열성, 내포화성이 높아 기름화재에 적합하다.
  4. 단백포보다 독성이 없으나 장기보존성이 떨어진다.
(정답률: 66%)
  • "단백포보다 독성이 없으나 장기보존성이 떨어진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수성막포는 불소계 계면활성포의 일종으로, 단백포와 비교하여 독성이 적은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내열성과 내포화성이 높아 기름화재에 적합하며, 소화원리는 질식작용과 냉각작용입니다. 하지만 수성막포는 장기보존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는 수성막포가 물에 녹기 쉽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샘플링 검사의 목적으로서 틀린 것은?

  1. 검사비용 절감
  2. 생산공정상의 문제점 해결
  3. 품질향상의 자극
  4. 나쁜 품질인 로트의 불합격
(정답률: 50%)
  • 샘플링 검사의 목적 중 "생산공정상의 문제점 해결"은 올바른 목적입니다. 이는 샘플링 검사를 통해 불량품이 발견되면 해당 생산공정에서 불량이 발생한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여 향후 불량 발생을 예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생산공정의 효율성과 품질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월 100대의 제품을 생산하는데 세이퍼 1대의 제품 1대당 소요공수가 14.4 H 라 한다. 1일 8 H, 월 25일, 가동한다고 할 때 이 제품 전부를 만드는데 필요한 세이퍼의 필요대 수를 계산하면? (단,작업자 가동율 80 %, 세이퍼 가동율 90 % 이다.)

  1. 8대
  2. 9대
  3. 10대
  4. 11대
(정답률: 52%)
  • 월 생산량은 100대이므로, 총 소요공수는 100 x 14.4 = 1440 H 입니다.
    하루 가동시간은 8시간, 월 가동일수는 25일이므로 총 가동시간은 8 x 25 = 200 시간입니다.
    작업자 가동율이 80% 이므로, 실제 가동시간은 200 x 0.8 = 160 시간입니다.
    세이퍼 가동율이 90% 이므로, 실제 세이퍼 가동시간은 160 x 0.9 = 144 시간입니다.
    따라서, 필요한 세이퍼 대수는 1440 / 144 = 10대 입니다.
    즉, 10대가 필요한 이유는 월 생산량과 가동시간, 가동율 등을 고려하여 계산한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의 PERT/CPM에서 주공정(Critical path)은? (단, 화살표 밑의 숫자는 활동시간을 나타낸다.)

  1. ① - ③ - ② - ④
  2. ① - ② - ③ - ④
  3. ① - ② - ④
  4. ① - ④
(정답률: 59%)
  • 주공정은 가장 긴 시간이 걸리는 경로를 말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① - ② - ③ - ④가 주공정이다. 이유는 이 경로를 따라가면 가장 오래 걸리는 시간인 23일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다른 경로들은 이보다 짧은 시간이 소요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제품공정분석표에 사용되는 기호 중 공정간의 정체를 나타내는 기호는?

(정답률: 61%)
  • 제품공정분석표에서 사용되는 기호 중 공정간의 정체를 나타내는 기호는 "" 입니다. 이 기호는 공정간의 연결을 나타내며, 이전 공정에서 생산된 제품이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여 가공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기호들은 각각 생산공정, 검사공정, 보관공정 등을 나타내는데, 이들은 각각의 공정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T Q C (Total Quality Control)란?

  1. 시스템적 사고방법을 사용하지 않는 품질관리 기법이다.
  2. 아프터 서비스를 통한 품질을 보증하는 방법이다.
  3. 전사적인 품질정보의 교환으로 품질향상을 기도하는 기법이다.
  4. QC부의 정보분석 결과를 생산부에 피드백하는 것이다.
(정답률: 77%)
  • TQC는 전사적인 품질정보의 교환으로 품질향상을 기도하는 기법입니다. 이는 모든 부서와 직원들이 품질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문제점을 해결하며 지속적인 개선을 추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계수값 관리도는 어느 것인가?

  1. R관리도
  2. 관리도
  3. P관리도
  4. 관리도
(정답률: 49%)
  • 계수값 관리도는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률을 관리하기 위한 통계적인 도구 중 하나입니다. 이 중에서도 P관리도는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률을 비율로 나타내어 관리하는 도구입니다. 따라서, 계수값 관리도 중에서 P관리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