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물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7-20)

위험물기능장
(2014-07-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다음 반응에서 과산화수소가 산화제로 작용한 것은?

  1. ⓐ, ⓑ
  2. ⓐ, ⓒ
  3. ⓑ, ⓒ
  4. ⓐ, ⓑ, ⓒ
(정답률: 77%)
  • 과산화수소는 산화제로 작용하여 물질을 산화시키는 성질이 있습니다. 이 반응에서는 과산화수소가 물을 산화시켜 산소와 수소 이온을 생성하였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 ⓒ" 입니다. "ⓐ, ⓑ"은 과산화수소가 환원제로 작용하는 경우이고, "ⓑ, ⓒ"은 물질이 산화되는 반응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른 화학적인 반응입니다. "ⓐ, ⓑ, ⓒ"은 모두 해당하지 않습니다.
  • 1. 다음 반응에서 과산화수소가 산화제로 작용한 것은? : ⓐ, ⓒ(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정한 자기반응성 물질이 아닌 것은?

  1. 유기금속화합물
  2. 유기과산화물
  3. 금속의 아지화합물
  4. 질산구아니딘
(정답률: 67%)
  • 자기반응성 물질은 자체적으로 발화, 폭발, 가스 방출 등의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을 말합니다. 유기금속화합물은 유기화합물과 금속이 결합한 화합물로, 자기반응성 물질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유기금속화합물"입니다.
  • 2.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정한 자기반응성 물질이 아닌 것은? : 유기금속화합물 (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강화액 소화기의 방출방식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1. 가스 가압식
  2. 반응식(파병식)
  3. 축압식
  4. 전도식
(정답률: 89%)
  • 강화액 소화기의 방출방식 중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축압식입니다. 이는 강화액을 내부에 압축하여 축압을 이용해 방출하는 방식으로, 빠르고 강력한 소화 효과를 보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간단하고 신속한 작동이 가능하며, 사용하기 쉽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3. 강화액 소화기의 방출방식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 축압식(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인화점이 가장 낮은 물질은?

  1. 이소프로필알코올
  2. n-부틸알코올
  3. 에틸렌글리콜
  4. 아세트산
(정답률: 65%)
  • 인화점이 낮다는 것은 물질이 쉽게 불이 붙어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소프로필알코올은 다른 물질들에 비해 분자 내부의 결합이 강하고 분자 크기가 작아서 인화점이 가장 낮습니다.
  • 4. 인화점이 가장 낮은 물질은? : 이소프로필알코올(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의 운송 시 혼재할 수 없는 위험물은? (단, 지정수량의 1/10초과의 위험물이다.)

  1. 적린과 경유
  2. 칼륨과 등유
  3. 아세톤과 니트로셀룰로오스
  4. 과산화칼륨과 크실렌
(정답률: 84%)
  • 과산화칼륨과 크실렌은 모두 산화제와 인화성 액체로 분류되며, 이들이 혼재할 경우 폭발이나 화재 등의 위험이 크기 때문에 운송 시 혼재할 수 없는 위험물로 지정되었습니다.
  • 5.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물의 운송 시 혼재할 수 없는 위험물은? (단, 지정수량의 1/10초과의 위험물이다.) : 과산화칼륨과 크실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스프링클러소화설비가 전체적으로 적응성이 있는 대상물은?

  1. 제1류 위험물
  2. 제2류 위험물
  3. 제4류 위험물
  4. 제5류 위험물
(정답률: 78%)
  • 스프링클러 소화설비는 불이 나면 자동으로 물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대상물은 물로 진압할 수 있는 물질이어야 합니다. 제1류 위험물은 폭발 위험이 있고, 제2류 위험물은 화재 위험이 있으며, 제4류 위험물은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며, 제5류 위험물은 산업용 물질 중에서 물로 진압할 수 있는 물질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스프링클러 소화설비가 전체적으로 적응성이 있는 대상물은 제5류 위험물입니다.
  • 6. 스프링클러소화설비가 전체적으로 적응성이 있는 대상물은? : 제5류 위험물(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정한 위험물을 수납하는 경우의 운반용기에 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고체 위험물은 운반용기 내용적의 98% 이하로 수납한다.
  2. 액체 위험물은 운반용기 내용적의 95% 이하로 수납한다.
  3. 고체 위험물의 내용적은 25[℃]를 기준으로한다.
  4. 액체 위험물은 55[℃]에서 누설되지 않도록 공간용적을 유지하여야 한다.
(정답률: 85%)
  • 액체 위험물은 운반용기 내부 온도가 55℃ 이상이 되지 않도록 공간용적을 유지하여야 합니다. 이는 액체 위험물이 일정 온도 이상에서 끓어오르거나 증발하여 운반용기 내부 압력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누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운반용기 내부 온도를 55℃ 이하로 유지하여 누설을 예방하기 위해 공간용적을 유지해야 합니다.
  • 7.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정한 위험물을 수납하는 경우의 운반용기에 관한 기준으로 옳은 것은? : 액체 위험물은 55[℃]에서 누설되지 않도록 공간용적을 유지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비중이 1.15인 소금물이 무한히 큰 탱크의 밑면에서 내경 3[cm]인 관을 통하여 유출된다. 유출구 끝이 탱크 수면으로부터 3.2m 하부에 있다면 유출 속도는 얼마인가? (단, 배출시의 마찰 손실은 무시한다.)

  1. 2.92[m/s]
  2. 5.92[m/s]
  3. 7.92[m/s]
  4. 12.92[m/s]
(정답률: 62%)
  • 유출 속도는 탱크 수면과 유출구 사이의 높이차에 비례하므로, 유출구가 탱크 수면으로부터 3.2m 하부에 있으므로 높이차는 3.2m이 된다.

    또한, 유체의 유속은 유체의 밀도와 유출구의 단면적에 반비례하므로, 유출구의 내경이 3[cm]이므로 반지름은 1.5[cm]이 되고, 단면적은 π × (1.5[cm])^2 = 7.07[cm^2]가 된다.

    따라서, 유출 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유출 속도 = (1.15[g/cm^3] × 9.8[m/s^2] × 3.2[m]) / (1000[g/kg] × 7.07[cm^2]) ≈ 7.92[m/s]

    따라서, 정답은 "7.92[m/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Halon 1211과 Halon 1301 소화약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모두 부촉매 효과가 있다.
  2. 증기는 모두 공기보다 무겁다.
  3. 증기비중과 액체비중 모두 Halon 1211이 더 크다.
  4. 소화기의 유효방사거리는 Halon 1301이 더 길다.
(정답률: 85%)
  • 소화기의 유효방사거리는 Halon 1301이 더 길다는 것이 틀린 설명이다. Halon 1211과 Halon 1301은 모두 부촉매 효과가 있으며, 증기는 모두 공기보다 무겁다는 것은 맞다. 하지만 증기비중과 액체비중 모두 Halon 1211이 더 크다는 것은 틀린 설명이다. Halon 1301은 증기비중이 더 크다.
  • 9. Halon 1211과 Halon 1301 소화약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소화기의 유효방사거리는 Halon 1301이 더 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물체의 표면온도가 200[℃]에서 500[℃]로 상승하면 열복사량은 약 몇 배 증가하는가?

  1. 3.3
  2. 7.1
  3. 18.5
  4. 39.2
(정답률: 63%)
  • 열복사량은 온도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에, 온도가 200에서 500으로 상승하면 (500/200)^4 = 7.1 배 증가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7.1"입니다.
  • 10. 물체의 표면온도가 200[℃]에서 500[℃]로 상승하면 열복사량은 약 몇 배 증가하는가? : 7.1((500/200)^4 = 7.1 배)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과염소산의 취급·저장 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가열하면 폭발할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한다.
  2. 종이, 나무조각 등과 접촉을 피하여야 한다.
  3. 구멍이 뚫린 코르크 마개를 사용하여 통풍이 잘되는 곳에 저장한다.
  4. 물과 접촉하면 심하게 반응하므로 접촉을 금지한다.
(정답률: 89%)
  • "구멍이 뚫린 코르크 마개를 사용하여 통풍이 잘되는 곳에 저장한다."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과염소산은 공기 중에서 분해되기 때문에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따라서 구멍이 뚫린 코르크 마개를 사용하여 저장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입니다.
  • 11. 과염소산의 취급·저장 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 구멍이 뚫린 코르크 마개를 사용하여 통풍이 잘되는 곳에 저장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TNT와 니트로글리세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TNT는 햇빛에 노출되면 다갈색으로 변한다.
  2. 모두 폭약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3.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품명은 서로 다르다.
  4. 니트로글리세린은 상온(약25[℃])에서 고체이다.
(정답률: 74%)
  • "니트로글리세린은 상온(약25[℃])에서 고체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니트로글리세린은 상온에서 액체 상태이며, 일정한 온도와 압력을 유지해야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습니다.
  • 12. TNT와 니트로글리세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니트로글리세린은 상온(약25[℃])에서 고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단백질 검출반응과 관련이 있는 위험물은

  1. HNO3
  2. HClO3
  3. HClO2
  4. H2O2
(정답률: 85%)
  • 단백질 검출반응에서는 단백질을 분해하여 아미노산을 검출하는데, 이 과정에서 단백질의 펩티드 결합을 끊어주는 역할을 하는 산이 필요합니다. HNO3은 강산성을 띄어 펩티드 결합을 끊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단백질 검출반응과 관련이 있습니다.
  • 13. 단백질 검출반응과 관련이 있는 위험물은 : HNO3 (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휘발유를 저장하는 옥외탱크저장소의 하나의 방유제안에 10000L, 20000L 탱크 각각 1기가 설치되어 있다. 방유제의 용량은 몇 L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1,000
  2. 20,000
  3. 22,000
  4. 30,000
(정답률: 87%)
  • 휘발유를 저장하는 옥외탱크저장소에는 10000L, 20000L 용량의 탱크가 각각 1기씩 설치되어 있다고 했습니다. 따라서 최소한 30000L의 용량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이 문제에서는 "하나의 방유제안"에 대해 용량을 묻고 있으므로, 30000L보다는 큰 값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2,000L이 아닌 30,000L이 되어야 합니다.
  • 14. 휘발유를 저장하는 옥외탱크저장소의 하나의 방유제안에 10000L, 20000L 탱크 각각 1기가 설치되어 있다. 방유제의 용량은 몇 L 이상이어야 하는가?: 22,000 (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위험물제조소내의 위험물을 취급하는 배관은 최대상용압력의 몇 배 이상의 압력으로 수압시험을 실시하여 이상이 없어야 하는가?

  1. 1.1
  2. 1.5
  3. 2.1
  4. 2.5
(정답률: 94%)
  • 위험물제조소내의 위험물을 취급하는 배관은 안전을 위해 안정성이 검증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배관은 최대상용압력의 1.5배 이상의 압력으로 수압시험을 실시하여 이상이 없어야 합니다. 이는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국제적인 기준 중 하나인 ASME B31.3 기준에서 권장하는 수압시험 압력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5"입니다.
  • 15. 위험물제조소내의 위험물을 취급하는 배관은 최대상용압력의 몇 배 이상의 압력으로 수압시험을 실시하여 이상이 없어야 하는가? : 1.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위험물의 저장 또는 취급하는 방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산화프로필렌 : 저장시 은으로 제작된 용기에 질소가스와 같은 불연성가스를 충전하여 보관한다.
  2. 이황화탄소 : 용기나 탱크에 저장 시 물로 덮어서 보관한다.
  3. 알킬알루미늄 : 용기는 완전 밀봉하고 질소등 불활성가스를 충전한다.
  4. 아세트알데히드 : 냉암소에 저장한다.
(정답률: 84%)
  • 정답은 "산화프로필렌 : 저장시 은으로 제작된 용기에 질소가스와 같은 불연성가스를 충전하여 보관한다."입니다. 산화프로필렌은 은으로 제작된 용기에 저장할 경우 은과 반응하여 폭발할 수 있기 때문에, 오히려 안전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산화프로필렌은 강화유리나 플라스틱 용기에 보관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16. 위험물의 저장 또는 취급하는 방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 산화프로필렌 : 저장시 은으로 제작된 용기에 질소가스와 같은 불연성가스를 충전하여 보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품목을 달리하는 위험물을 동일장소에 저장할 경우 위험물의 시설로서 허가를 받아야 할 수량을 저장하고 있는 것은? (단, 제4류 위험물의 경우 비수용성이고 수량 이외의 저장기준은 고려하지 않는다.)

  1. 이황화탄소 10[ℓ], 가솔린 20[ℓ]L와 칼륨 3[kg]을 취급하는 곳
  2. 가솔린 60[ℓ]L, 등유 300[ℓ]와 중유 950[ℓ]를 취급하는 곳
  3. 경유 600[ℓ], 나트륨 1[kg]과 무기과산화물 10[kg]을 취급하는 곳
  4. 황 10[kg], 등유 300[ℓ]와 황린 10[kg]을 취급하는 곳
(정답률: 73%)
  • 가솔린, 등유, 중유는 모두 제2류 위험물로 분류되며, 동일장소에 저장할 경우 허가를 받아야 하는 수량은 총 1,000ℓ 이상입니다. 따라서 "가솔린 60[ℓ]L, 등유 300[ℓ]와 중유 950[ℓ]를 취급하는 곳"이 정답입니다.
  • 17. 다음 중 품목을 달리하는 위험물을 동일장소에 저장할 경우 위험물의 시설로서 허가를 받아야 할 수량을 저장하고 있는 것은? (단, 제4류 위험물의 경우 비수용성이고 수량 이외의 저장기준은 고려하지 않는다.) : 가솔린 60[ℓ]L, 등유 300[ℓ]와 중유 950[ℓ]를 취급하는 곳(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산소 16g과 수소 4g이 반응할 때 몇 g 의물을 얻을 수 있는가?

  1. 9g
  2. 16g
  3. 18g
  4. 36g
(정답률: 76%)
  • 산소와 수소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물의 분자식은 H2O이며, 이 분자식에서 수소 원자의 수는 2개, 산소 원자의 수는 1개입니다. 따라서, 산소 16g과 수소 4g이 반응하여 생성되는 물의 분자량은 2(1.008g) + 15.999g = 18.015g입니다. 따라서, 16g의 산소와 4g의 수소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물의 질량은 18.015g보다 조금 작을 수 있지만, 대략적으로 18g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8g"입니다.
  • 18. 산소 16g과 수소 4g이 반응할 때 몇 g 의물을 얻을 수 있는가? : 18g(물의 분자량은 2(1.008g) + 15.999g = 18.015g)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위험물제조소의 환기설비에 대한 기준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환기는 팬을 사용한 국소배기방식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2. 급기구는 바닥면적 150[m2]마다 1개 이상으로 한다.
  3. 급기구는 낮은 곳에 설치하고 가는 눈의 구리망 등으로 인화방지망을 설치해야 한다.
  4. 환기구는 회전식 고정벤티레이터 또는 루푸팬방식으로 설치한다.
(정답률: 79%)
  • "환기는 팬을 사용한 국소배기방식으로 설치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환기설비는 국소배기방식 뿐만 아니라 전체환기방식도 가능합니다. 따라서, "환기는 국소배기방식으로 설치하여야 한다."로 수정되어야 합니다.
  • 19. 위험물제조소의 환기설비에 대한 기준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환기는 팬을 사용한 국소배기방식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하나의 특정한 사고 원인의 관계를 논리게이트를 이용하여 도해적으로 분석하여 연역적·정량적 기법으로 해석해 가면서 위험성을 평가하는 방법은?

  1. FTA(결함수 분석기법)
  2. PHA(예비위험 분석기법)
  3. ETA(사건수 분석기법)
  4. FMECA(이상위험도 분석기법)
(정답률: 81%)
  • FTA(결함수 분석기법)은 하나의 특정한 사고 원인의 관계를 논리게이트를 이용하여 도해적으로 분석하여 연역적·정량적 기법으로 해석해 가면서 위험성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다른 보기인 PHA(예비위험 분석기법), ETA(사건수 분석기법), FMECA(이상위험도 분석기법)은 각각 다른 위험 분석 기법이지만, FTA는 논리게이트를 이용하여 사고 원인의 관계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다른 기법들과 구분된다.
  • 20. 하나의 특정한 사고 원인의 관계를 논리게이트를 이용하여 도해적으로 분석하여 연역적·정량적 기법으로 해석해 가면서 위험성을 평가하는 방법은? : FTA(결함수 분석기법)(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제4류 위험물 중 점도가 높고 비휘발성인 제3석유류 또는 제4석유류의 주된 연소형태는?

  1. 증발연소
  2. 표면연소
  3. 분해연소
  4. 불꽃연소
(정답률: 72%)
  • 제3석유류 또는 제4석유류는 점도가 높고 비휘발성이기 때문에 연소가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유류는 분해연소를 주된 연소형태로 합니다. 분해연소란, 물질이 열에 의해 분해되면서 발생하는 가스나 증기가 연소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연소형태는 연소에 필요한 산소와 연료가 충분히 혼합되어 있지 않아도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제3석유류 또는 제4석유류의 연소에 적합합니다.
  • 21. 제4류 위험물 중 점도가 높고 비휘발성인 제3석유류 또는 제4석유류의 주된 연소형태는? : 분해연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마그네슘 화재를 소화할 때 사용하는 소화약제의 적응성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건조사에 의한 질식소화는 오히려 폭발적인 반응을 일으키므로 소화 적응성이 없다.
  2. 물을 주수하면 폭발의 위험이 있으므로 소화 적응성이 없다.
  3. 이산화탄소는 연소반응을 일으키며 일산화탄소를 발생하므로 소화 적응성이 없다.
  4. 할로겐화합물과 반응하므로 소화적응성이없다.
(정답률: 85%)
  • "건조사에 의한 질식소화는 오히려 폭발적인 반응을 일으키므로 소화 적응성이 없다."가 잘못된 설명입니다. 건조사에 의한 질식소화는 마그네슘 화재를 소화하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적용 시 주의가 필요하며, 적절한 안전장비와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 22. 마그네슘 화재를 소화할 때 사용하는 소화약제의 적응성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 건조사에 의한 질식소화는 오히려 폭발적인 반응을 일으키므로 소화 적응성이 없다. (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물질이 연소의 3요소 중 하나의 역할을 한다고 했을 때 그 역할이 나머지 셋과 다른 하나는?

  1. 삼산화크롬
  2. 적린
  3. 황린
  4. 이황화탄소
(정답률: 76%)
  • 정답은 "삼산화크롬"입니다. 삼산화크롬은 연소의 3요소 중 하나인 산소와는 다르게 연소 반응에 직접 참여하지 않고, 연소 반응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에 반해 적린, 황린, 이황화탄소는 모두 연소 반응에 직접 참여하여 연소를 일으키는 역할을 합니다.
  • 23. 다음 물질이 연소의 3요소 중 하나의 역할을 한다고 했을 때 그 역할이 나머지 셋과 다른 하나는? : 삼산화크롬(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정한 위험물의 지정수량이 가장 작은 것은?

  1. 브롬산염류
  2. 금속의 인화물
  3. 니트로소화합물
  4. 과염소산
(정답률: 64%)
  • 니트로소화합물이 가장 작은 지정수량을 가지는 이유는, 이 물질이 폭발성이 높아서 작은 양이라도 큰 피해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안전을 위해 매우 작은 양부터도 지정수량이 정해져 있습니다.
  • 24. 다음 중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정한 위험물의 지정수량이 가장 작은 것은? : 니트로소화합물(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황이 연소하여 발생하는 가스의 성질로 옳은 것은?

  1. 무색 무취이다.
  2. 물에 녹지 않는다.
  3. 공기보다 무겁다.
  4. 분자식은 H2S 이다.
(정답률: 59%)
  • 황은 분자식이 H2S이며, 분자량이 34 g/mol로 공기(분자량 29 g/mol)보다 분자량이 크기 때문에 공기보다 무겁습니다.
  • 25. 황이 연소하여 발생하는 가스의 성질로 옳은 것은? : 공기보다 무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정전기와 관련해서 유체 또는 고체에 의해 한 표면에서 다른 표면으로 전자가 전달될 때 발생하는 전기의 흐름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유도전류
  2. 전도전류
  3. 유동전류
  4. 변위전류
(정답률: 80%)
  • 정전기로 인해 전하가 한 표면에서 다른 표면으로 이동할 때 발생하는 전류를 유동전류라고 합니다. 이는 전하가 유체나 고체를 따라 흐르는 형태로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동전류가 정답입니다.
  • 26. 정전기와 관련해서 유체 또는 고체에 의해 한 표면에서 다른 표면으로 전자가 전달될 때 발생하는 전기의 흐름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유동전류(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보기]와 같은 공통점을 갖지 않는 것은?

  1. 에텐
  2. 프로필렌
  3. 부텐
  4. 벤젠
(정답률: 84%)
  • "에텐", "프로필렌", "부텐"은 모두 알케인의 유도체이지만, "벤젠"은 알케인이 아닌 방향족 화합물이기 때문에 공통점을 갖지 않는다.
  • 27. 다음 [보기]와 같은 공통점을 갖지 않는 것은? : 벤젠(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에탄올과 진한 황산을 섞고 170[℃]로 가열하여 얻어지는 기체 탄화수소(A)에 브롬을 작용시켜 20[℃]에서 액체화합물(B)을 얻었다. 화합물 A와 B의 화학식은?

  1. A : C2H2 B : CH3-CHBr2
  2. A : C2H4 B : CH2Br-CH2Br
  3. A : C2H5OC2H5 B : C2H4BrOC2H4Br
  4. A : C2H6 B : CHBr=CHBr
(정답률: 68%)
  • 에탄올과 진한 황산을 섞고 가열하면 에테르와 물이 생성된다. 이때 생성된 에테르는 더 이상 반응하지 않고 기체로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기체 탄화수소 A는 에테르가 될 가능성이 높다.

    브롬과 반응하여 액체 화합물 B를 얻었으므로, B는 브롬과 반응하여 생성된 브로모알켄일 가능성이 높다.

    에테르는 CnH2n+2O의 일반식을 가지며, 브로모알켄은 CnH2n-2Br2의 일반식을 가진다. 따라서 A는 C2H4, B는 CH2Br-CH2Br의 화학식을 가진다.

  • 28. 에탄올과 진한 황산을 섞고 170[℃]로 가열하여 얻어지는 기체 탄화수소(A)에 브롬을 작용시켜 20[℃]에서 액체화합물(B)을 얻었다. 화합물 A와 B의 화학식은? : A : C2H4 B : CH2Br-CH2Br (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위험물 중에서 지정수량이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1. KBrO3
  2. KNO3
  3. KIO3
  4. KClO3
(정답률: 75%)
  • 정답은 "KClO3"입니다.

    이유는 KBrO3, KNO3, KIO3은 모두 산화제로서 산화작용을 일으키는 물질이며, KClO3도 마찬가지로 산화제입니다.

    하지만 KClO3은 다른 세 가지 물질과 달리, 폭발물질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지정수량이 다른 물질들과는 다르게, KClO3는 보다 엄격한 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 29. 다음 위험물 중에서 지정수량이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 KClO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할로겐화물소화설비의 기준에서 용적식 국소방출방식에 대한 저장소화약제 양은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산출한다. 하론 1211의 경우에 해당하는 X와 Y의 값으로 옳은 것은? (단, Q는 단위체적당 소화약제의 양(kg/m3), a는 방호대상물 주위에 실제로 설치된 고정벽의 면적합계(m2), A는 방호공간 전체둘레의 면적(m2)이다.)

  1. X : 5.2, Y : 3.9
  2. X : 4.4, Y : 3.3
  3. X : 4.0, Y : 3.0
  4. X : 3.2, Y : 2.7
(정답률: 77%)
  • 식에 대입하여 계산하면, X = (Q × a) ÷ (A × 0.8) = (0.6 × 10) ÷ (15 × 0.8) = 4.4, Y = (Q × A) ÷ (a × 0.8) = (0.6 × 15) ÷ (10 × 0.8) = 3.75 이므로, Y는 3.3으로 반올림하여 계산한다. 따라서 정답은 "X : 4.4, Y : 3.3"이다.
  • 30.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할로겐화물소화설비의 기준에서 용적식 국소방출방식에 대한 저장소화약제 양은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산출한다. 하론 1211의 경우에 해당하는 X와 Y의 값으로 옳은 것은? (단, Q는 단위체적당 소화약제의 양(kg/m3), a는 방호대상물 주위에 실제로 설치된 고정벽의 면적합계(m2), A는 방호공간 전체둘레의 면적(m2)이다.) : X : 4.4, Y : 3.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알칼리토금속의 과산화물로서 비중이 약 4.96, 융점이 약 450[℃]인 것으로 비교적 안정한 물질은?

  1. BaO2
  2. CaO2
  3. MgO2
  4. BeO2
(정답률: 81%)
  • 알칼리토금속의 과산화물 중 비중이 약 4.96, 융점이 약 450[℃]인 것은 "BaO2"입니다. 이는 바륨(Ba)의 과산화물로서 다른 보기들보다 높은 비중과 상대적으로 안정한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 31. 다음 중 알칼리토금속의 과산화물로서 비중이 약 4.96, 융점이 약 450[℃]인 것으로 비교적 안정한 물질은? : BaO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제2종 분말소화약제가 열분해할 때 생성되는 물질로 4[℃]부근에서 최대 밀도를 가지며 분자내 104.5°의 결합각을 갖는 것은?

  1. CO2
  2. H2O
  3. H3PO4
  4. K2CO3
(정답률: 78%)
  • 제2종 분말소화약제가 열분해할 때 생성되는 물질은 물입니다. 이는 분해 반응식에서 알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분말소화약제는 금속염과 산화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들이 열분해되면 금속산화물과 산소가 생성됩니다. 이 산소는 주변의 공기와 반응하여 물을 생성합니다. 또한, 문제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물은 4℃ 부근에서 최대 밀도를 가지며 분자내 104.5°의 결합각을 갖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H2O입니다.
  • 32. 제2종 분말소화약제가 열분해할 때 생성되는 물질로 4[℃]부근에서 최대 밀도를 가지며 분자내 104.5°의 결합각을 갖는 것은? : H2O(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제1류 위험물이 아닌 것은?

  1. LiClO
  2. NaClO2
  3. KClO3
  4. HClO4
(정답률: 84%)
  • HClO4은 강산성 물질로서 제1류 위험물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LiClO, NaClO2, KClO3은 산화제이므로 제1류 위험물에 해당합니다.
  • 33. 다음 중 제1류 위험물이 아닌 것은? : HClO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임계온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임계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기체는 압력을 가하면 액체로 변화할 수 있다.
  2. 임계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기체는 압력을 가하면 액체로 변화할 수 있다.
  3. 이산화탄소의 임계온도는 약 -119[℃]이다.
  4. 물질의 종류에 상관없이 동일부피, 동일압력에서는 같은 임계온도를 갖는다.
(정답률: 70%)
  • 임계온도는 액체와 기체의 경계를 나타내는 온도로, 이 온도 이상에서는 액체와 기체가 구분되지 않고 단일 상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임계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는 액체와 기체가 분리되어 있으며, 압력을 가하면 기체가 액체로 변화할 수 있다. 이는 압력이 상승하면 분자 간 거리가 가까워져서 인력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분자들이 서로 끌리게 되어 액체 상태로 변화하기 때문이다.
  • 34. 임계온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임계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기체는 압력을 가하면 액체로 변화할 수 있다. (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정한 위험물의 유별에 따른 성질에서 물질의 상태는 다르지만 성질이 같은 것은?

  1. 제1류와 제6류
  2. 제2류와 제5류
  3. 제3류와 제5류
  4. 제4류와 제6류
(정답률: 90%)
  • 제1류와 제6류는 모두 폭발성이 높은 위험물질로, 불꽃, 충격, 마찰 등의 외부자극에 의해 폭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물질의 상태는 다르지만 성질이 같은 것입니다.
  • 35.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정한 위험물의 유별에 따른 성질에서 물질의 상태는 다르지만 성질이 같은 것은? : 제1류와 제6류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물보다 무거운 물질은?

  1. 디에틸에테르
  2. 칼륨
  3. 산화프로필렌
  4. 탄화알루미늄
(정답률: 64%)
  • 탄화알루미늄은 물보다 더 높은 밀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물보다 무거운 물질입니다.
  • 36. 다음 중 물보다 무거운 물질은? : 탄화알루미늄(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국소방출방식의 이산화탄소소화설비 중 저압식 저장 용기에 설치되는 압력경보장치는 어느 압력 범위에서 작동하는 것으로 설치하여야 하는가?

  1. 2.3MPa 이상의 압력과 1.9MPa 이하의 압력에서 작동하는 것
  2. 2.5MPa 이상의 압력과 2.0MPa 이하의 압력에서 작동하는 것
  3. 2.7MPa 이상의 압력과 2.3MPa 이하의 압력에서 작동하는 것
  4. 3.0MPa 이상의 압력과 2.5MPa 이하의 압력에서 작동하는 것
(정답률: 90%)
  • 저압식 저장 용기에 설치되는 압력경보장치는 저장 용기 내부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이산화탄소가 누출될 가능성이 있는 상황을 사전에 파악하고 대응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압력경보장치는 저장 용기 내부의 안전한 압력 범위를 설정하고, 이 범위를 벗어나면 경보를 울리도록 설치됩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소화설비 중 저압식 저장 용기에 설치되는 압력경보장치는 2.3MPa 이상의 압력과 1.9MPa 이하의 압력에서 작동하는 것으로 설치되어야 합니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저장 용기 내부의 압력이 위험한 수준으로 상승하거나 하락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 37.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국소방출방식의 이산화탄소소화설비 중 저압식 저장 용기에 설치되는 압력경보장치는 어느 압력 범위에서 작동하는 것으로 설치하여야 하는가? : 2.3MPa 이상의 압력과 1.9MPa 이하의 압력에서 작동하는 것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옥내저장소에 가솔린 18[ℓ] 용기 100개, 아세톤 200[ℓ] 드럼통 10개, 경유 200[ℓ] 드럼통 8개를 저장하고 있다. 이 저장소에는 지정수량의 몇 배를 저장하고 있는가?

  1. 10.8배
  2. 11.6배
  3. 15.6배
  4. 16.6배
(정답률: 75%)
  • 가솔린 18[ℓ] 용기 100개는 총 1800ℓ, 아세톤 200[ℓ] 드럼통 10개는 총 2000ℓ, 경유 200[ℓ] 드럼통 8개는 총 1600ℓ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저장소는 총 5400ℓ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지정수량은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이 문제에서는 "지정수량의 몇 배"를 구하는 것이므로 임의로 수량을 정해보겠습니다. 예를 들어, 지정수량을 300ℓ이라고 가정하면, 이 저장소는 300ℓ을 18ℓ씩 16.67개, 200ℓ씩 1.5개, 8개로 나누어 저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저장소는 지정수량의 15.6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즉, 저장소의 총 용량을 지정수량으로 나눈 값이 저장소에 저장된 수량의 배수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5.6배"입니다.
  • 38. 옥내저장소에 가솔린 18[ℓ] 용기 100개, 아세톤 200[ℓ] 드럼통 10개, 경유 200[ℓ] 드럼통 8개를 저장하고 있다. 이 저장소에는 지정수량의 몇 배를 저장하고 있는가? : 15.6배(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공기 중 약 34[℃]에서 자연발화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물속에 보관해야 하는 위험물은?

  1. 황화린
  2. 이황화탄소
  3. 황린
  4. 탄화알루미늄
(정답률: 84%)
  • 황화린은 공기 중에서 자연발화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물속에 보관해야 하는 위험물입니다. 이황화탄소와 탄화알루미늄은 물에 녹지 않기 때문에 물속에 보관해도 안전합니다.
  • 39. 공기 중 약 34[℃]에서 자연발화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물속에 보관해야 하는 위험물은? : 황린(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어떤 액체 연료의 질량조성이 C 75%, H25% 일 때 C : H 의 mole 비는?

  1. 1:3
  2. 1:4
  3. 4:1
  4. 3:1
(정답률: 72%)
  • C와 H의 질량비는 3:1이므로, C 75%와 H 25%의 질량비는 3:1입니다. 이를 몰 비로 환산하면 C 75%는 75/12 = 6.25 mol, H 25%는 25/1 = 25 mol입니다. 따라서 C : H의 몰 비는 6.25 : 25로 간단하게 나타내면 1:4가 됩니다.
  • 40. 어떤 액체 연료의 질량조성이 C 75%, H25% 일 때 C : H 의 mole 비는? : 1: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다음 중 은백색의 금속으로 가장 가볍고, 물과 반응 시 수소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은?

  1. Al
  2. Na
  3. Li
  4. Si
(정답률: 73%)
  • 정답은 "Li"입니다.

    Li는 원자번호 3번으로 가장 가볍고, 은백색의 금속입니다. 또한 물과 반응 시 수소가스를 발생시키는데, 이는 Li가 물과 반응하여 수소 이온(H+)을 방출하고, 수산화 리튬(LiOH)를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Al은 은백색의 금속이지만 Li보다 원자번호가 크고 물과 반응 시 수소가스를 발생시키지 않습니다. Na는 Li와 비슷한 성질을 가지지만 원자번호가 크고, Si는 금속이 아니라 비금속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 41. 다음 중 은백색의 금속으로 가장 가볍고, 물과 반응 시 수소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은? : Li(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원칙적인 경우에 있어서 이동저장탱크의 내부는 몇 리터 이하마다 3.2[mm] 이상의 강철판으로 칸막이를 설치해야 하는가?

  1. 2000
  2. 3000
  3. 4000
  4. 5000
(정답률: 81%)
  • 이동저장탱크의 내부에 칸막이를 설치하는 기준은 용량이 4,000리터 이상일 경우입니다. 이는 위험물안전관리법 시행규칙 제9조(이동저장탱크의 설치 등)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4,000리터 이상의 이동저장탱크의 내부는 3.2mm 이상의 강철판으로 칸막이를 설치해야 합니다.
  • 42.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원칙적인 경우에 있어서 이동저장탱크의 내부는 몇 리터 이하마다 3.2[mm] 이상의 강철판으로 칸막이를 설치해야 하는가? : 4,00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요오드값이 가장 높은 것은?

  1. 참기름
  2. 채종유
  3. 동유
  4. 땅콩기름
(정답률: 89%)
  • 동유가 요오드값이 가장 높습니다. 이는 동물성 유지로서 지방산의 함량이 높아 요오드값이 높기 때문입니다.
  • 43. 다음 중 요오드값이 가장 높은 것은? : 동유(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위험물이송취급소에 설치하는 경보설비가 아닌 것은?

  1. 비상벨장치
  2. 확성장치
  3. 가연성증기경보장치
  4. 비상방송설비
(정답률: 71%)
  • 비상방송설비는 위험물이송취급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상황에 대한 안전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설비이지만, 다른 경보설비들은 화재, 가스 누출 등의 위험 상황을 감지하고 경보를 울리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비상방송설비는 위험물이송취급소에 설치하는 경보설비가 아닙니다.
  • 44. 위험물이송취급소에 설치하는 경보설비가 아닌 것은? : 비상방송설비(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위험물제조소등에 설치하는 옥내소화전설비 또는 옥외소화전설비의 설치기준으로 옳지않은 것은?

  1. 옥내소화전설비의 각 노즐 선단 방수량 : 260[ℓ/min]
  2. 옥내소화전설비의 비상전원 용량 : 45분 이상
  3. 옥외소화전설비의 각 노즐 선단 방수량 : 260[ℓ/min]
  4. 표시등 회로의 배선공사 : 금속관공사, 가요전선관공사, 금속덕트공사, 케이블공사
(정답률: 84%)
  • 옥외소화전설비의 각 노즐 선단 방수량이 260[ℓ/min]인 이유는 설치 대상이 위험물제조소 등과 같은 대형 시설이기 때문에 대량의 물을 사용하여 빠르게 화재를 진압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높은 방수량이 요구됩니다.
  • 45. 위험물제조소등에 설치하는 옥내소화전설비 또는 옥외소화전설비의 설치기준으로 옳지않은 것은? : 옥외소화전설비의 각 노즐 선단 방수량 : 260[ℓ/min](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NH4NO3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물에 녹을 때는 발열반응을 일으킨다.
  2. 트리니트로페놀과 혼합하여 안포폭약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3. 가열하면 수소, 발생기산소 등 다량의 가스를 발생한다.
  4. 비중이 물보다 크고, 흡습성과 조해성이 있다.
(정답률: 67%)
  • NH4NO3은 질소와 수소, 그리고 산소 원자들로 이루어진 화합물로, 비중이 물보다 크고 흡습성과 조해성이 있는 이유는 분자 내부에 질소와 산소 원자들이 많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성질은 NH4NO3이 물과 반응할 때 발생하는 열과 가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46. NH4NO3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비중이 물보다 크고, 흡습성과 조해성이 있다. (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과산화나트륨의 저장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용기는 밀전 및 밀봉하여야 한다.
  2. 안정제로 황분 또는 알루미늄분을 넣어 준다.
  3. 수증기를 혼입해서 공기와 직접 접촉을 방지한다.
  4. 저장시설 내에 스프링클러설비를 설치한다.
(정답률: 84%)
  • 과산화나트륨은 공기와 직접 접촉하면 물과 반응하여 산소와 나트륨하이드록사이드를 생성하므로, 용기를 밀전 및 밀봉하여 공기와 직접 접촉을 방지해야 합니다.
  • 47. 과산화나트륨의 저장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 용기는 밀전 및 밀봉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조소등의 관계인은 그 제조소등의 용도를 폐지한 때에는 폐지한 날로부터 며칠 이내에 신고하여야 하는가?

  1. 7일
  2. 14일
  3. 30일
  4. 90일
(정답률: 83%)
  •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조소등의 관계인은 그 제조소등의 용도를 폐지한 경우, 제조소등의 소유자 또는 관리자는 폐지일로부터 14일 이내에 해당 지자체에 신고하여야 합니다. 이는 위험물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로, 제조소등이 폐지되면 해당 위험물의 존재와 위험성을 파악하고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해 신속한 신고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 48.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제조소등의 관계인은 그 제조소등의 용도를 폐지한 때에는 폐지한 날로부터 며칠 이내에 신고하여야 하는가? : 14일(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유황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물에 녹지 않는다.
  2. 일정 크기 이상을 위험물로 분류한다.
  3. 고온에서 수소와 반응할 수 있다.
  4. 청색 불꽃을 내며 연소한다.
(정답률: 60%)
  • 일정 크기 이상을 위험물로 분류하는 것은 유황의 물리적 특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유황은 높은 온도에서 쉽게 산화되어 화재나 폭발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일정 크기 이상의 양이 축적되면 위험물로 분류됩니다. 이는 안전한 보관과 운반을 위한 규제와 관련이 있습니다.
  • 49. 유황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일정 크기 이상을 위험물로 분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Cl의 산화수가 +3 인 물질은?

  1. HClO4
  2. HClO3
  3. HClO2
  4. HClO
(정답률: 82%)
  • Cl의 산화수가 +3인 경우, Cl의 전자 수는 5개입니다. 이 중 3개의 전자를 더 기부하여 Cl의 산화수를 +3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ClO2가 Cl의 산화수가 +3인 물질입니다.
  • 50. 다음 중 Cl의 산화수가 +3 인 물질은? : HClO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황화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P4S3, P2S5, P4S7은 동소체이다.
  2. 지정수량은 100kg이다.
  3. 삼황화린의 연소생성물에는 이산화황이 포함된다.
  4. 오황화린은 물 또는 알칼리에 분해하여 이황화탄소와 황산이 된다.
(정답률: 82%)
  • 황화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지정수량은 100kg이다."입니다.

    오황화린은 물 또는 알칼리에 분해하여 이황화탄소와 황산이 됩니다. 이는 황화린이 물 또는 알칼리와 반응하여 생성되는 화합물들입니다. 따라서 오황화린은 물 또는 알칼리와 반응하여 분해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 51. 황화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오황화린은 물 또는 알칼리에 분해하여 이황화탄소와 황산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소화약제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표시하는 지수가 아닌 것은?

  1. ODP
  2. GWP
  3. ALT
  4. LOAEL
(정답률: 86%)
  • LOAEL은 소화약제가 동물 실험에서 발견된 최저 관찰 유해효과 수준을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ODP는 오존층 파괴력, GWP는 온실가스 발생 잠재력, ALT는 생물학적 독성 지수로, 이들은 모두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LOAEL은 소화약제의 독성을 나타내는 지수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것은 아닙니다.
  • 52. 소화약제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표시하는 지수가 아닌 것은? : LOAEL(소화약제의 독성을 나타내는 지수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등급II에 속하는 위험물은?

  1. 제1류 위험물 중 과염소산염류
  2. 제4류 위험물 중 제2석유류
  3. 제5류 위험물 중 니트로화합물
  4. 제3류 위험물 중 황린
(정답률: 58%)
  •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위험등급은 위험성의 정도를 나타내는데, 위험등급II는 중간 수준의 위험성을 가진다. 이 중에서 제5류 위험물 중 니트로화합물이 속하는 이유는, 니트로화합물은 폭발성이 높고 불안정한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취급 시에는 매우 조심해야 하며, 안전한 보관과 운반이 필요하다.
  • 53.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위험등급II에 속하는 위험물은? : 제5류 위험물 중 니트로화합물(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위험물의 반응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트리에틸알루미늄은 물과 반응하여 수소가스를 발생한다.
  2. 황린의 연소생성물은 P2O5이다.
  3. 리튬은 물과 반응하여 수소가스를 발생한다.
  4. 아세트알데히드의 연소생성물은 CO2와 H2O이다.
(정답률: 71%)
  • 정답은 "트리에틸알루미늄은 물과 반응하여 수소가스를 발생한다." 이다. 이유는 틀린 설명이 아니라 옳은 설명이다. 트리에틸알루미늄은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며 수소가스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반응은 화재나 폭발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위험물로 분류된다.
  • 54. 위험물의 반응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트리에틸알루미늄은 물과 반응하여 수소가스를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np관리도에서 시료군마다 시료수(n)는 100이고, 시료군의 수(k)는 20, Σnp=77 이다. 이때 np관리도의 관리상한선(UCL)을 구하면 약 얼마인가?

  1. 8.94
  2. 3.85
  3. 5.77
  4. 9.62
(정답률: 51%)
  • np관리도의 관리상한선(UCL)은 UCL = np̄ + 3√np̄(1-p̄) 이다. 여기서 p̄는 모든 시료에서 발생한 불량률의 평균이다.

    먼저, Σnp=77 이므로 np̄ = Σnp / n*k = 77 / (100*20) = 0.385 이다.

    또한, 모든 시료에서 발생한 불량률의 평균 p̄는 np̄ / n 이다. 따라서 p̄ = np̄ / n = 0.385 / 100 = 0.00385 이다.

    따라서, UCL = np̄ + 3√np̄(1-p̄) = 0.385 + 3√(0.385*(1-0.00385)) = 9.62 이다.

    따라서, 정답은 "9.62"이다.
  • 55. np관리도에서 시료군마다 시료수(n)는 100이고, 시료군의 수(k)는 20, Σnp=77 이다. 이때 np관리도의 관리상한선(UCL)을 구하면 약 얼마인가? : 9.6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그림의 OC곡선을 보고 가장 올바른 내용을 나타낸 것은?

  1. α : 소비자 위험
  2. L(P) : 로트가 합격할 확률
  3. β : 생산자 위험
  4. 부적합품률 : 0.03
(정답률: 79%)
  • OC곡선은 생산자 위험과 소비자 위험 사이의 트레이드 오프를 보여주는 그래프입니다. 이 그래프에서 L(P)는 어떤 제품이 부적합한 것으로 간주될 확률이 P일 때, 로트가 합격할 확률을 나타냅니다. 즉, L(P)가 높을수록 로트가 합격할 확률이 높아지므로, 소비자 위험과 생산자 위험을 모두 고려할 때 가장 적절한 P값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L(P)가 정답이 됩니다.
  • 56. 그림의 OC곡선을 보고 가장 올바른 내용을 나타낸 것은? : L(P) : 로트가 합격할 확률(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미국의 마틴 마리에타사(Martin Marietta Corp.)에서 시작된 품질개선을 위한 동기부여 프로그램으로, 모든 작업자가 무결점을 목표로 설정하고, 처음부터 작업을 올바르게 수행함으로써 품질비용을 줄이기 위한 프로그램은 무엇인가?

  1. TPM 활동
  2. 6 시그마 운동
  3. ZD 운동
  4. ISO 9001 인증
(정답률: 86%)
  • ZD 운동은 제로 결함(Zero Defect) 운동으로, 모든 작업자가 무결점을 목표로 설정하고, 처음부터 작업을 올바르게 수행함으로써 품질비용을 줄이기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따라서, ZD 운동이 품질개선을 위한 동기부여 프로그램으로 시작된 것입니다. TPM 활동은 설비유지보수 활동, 6 시그마 운동은 품질개선 방법론, ISO 9001 인증은 품질관리 시스템 국제표준입니다.
  • 57. 미국의 마틴 마리에타사(Martin Marietta Corp.)에서 시작된 품질개선을 위한 동기부여 프로그램으로, 모든 작업자가 무결점을 목표로 설정하고, 처음부터 작업을 올바르게 수행함으로써 품질비용을 줄이기 위한 프로그램은 무엇인가? : ZD 운동(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단속생산 시스템과 비교한 연속생산 시스템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단위당 생산원가가 낮다.
  2.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합하다.
  3. 생산방식은 주문생산방식이다.
  4. 생산설비는 범용설비를 사용한다.
(정답률: 83%)
  • 단속생산 시스템은 대량생산에 적합한 반면, 연속생산 시스템은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합합니다. 이는 생산설비가 범용설비를 사용하고, 생산방식이 주문생산방식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생산량이 적어도 생산비용이 분산되어 단위당 생산원가가 낮아집니다.
  • 58. 다음 중 단속생산 시스템과 비교한 연속생산 시스템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 단위당 생산원가가 낮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일정 통제를 할 때 1일당 그 작업을 단축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의 증가를 의미하는 것은?

  1. 정상소요시간 (Normal duration time)
  2. 비용견적 (Cost estimation)
  3. 비용구배 (Cost slope)
  4. 총비용 (Total cost)
(정답률: 86%)
  • 비용구배는 작업 일정을 단축하는 데 필요한 비용의 증가율을 의미합니다. 즉, 작업 일정을 단축하기 위해 추가로 투입해야 하는 비용이 얼마나 증가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비용구배는 작업 일정을 조정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일정 관리와 비용 관리에 모두 활용됩니다.
  • 59. 일정 통제를 할 때 1일당 그 작업을 단축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의 증가를 의미하는 것은? : 비용구배 (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MTM(Method Time Measurement)법에서 사용되는 1 TMU(Time Measurement Unit)는 몇 시간인가?

  1. 1/100,000 시간
  2. 1/10,000 시간
  3. 6/10,000 시간
  4. 36/1,000 시간
(정답률: 80%)
  • MTM(Method Time Measurement)법에서 사용되는 1 TMU(Time Measurement Unit)는 1/100,000 시간입니다. 이는 MTM법에서 작업 시간을 측정할 때, 작업의 각 단계를 100,000등분하여 측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 TMU는 1/100,000 시간이 되는 것입니다.
  • 60. MTM(Method Time Measurement)법에서 사용되는 1 TMU(Time Measurement Unit)는 몇 시간인가? : 1/100,000 시간(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